KR101517703B1 - 반사재 - Google Patents

반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703B1
KR101517703B1 KR1020137000452A KR20137000452A KR101517703B1 KR 101517703 B1 KR101517703 B1 KR 101517703B1 KR 1020137000452 A KR1020137000452 A KR 1020137000452A KR 20137000452 A KR20137000452 A KR 20137000452A KR 101517703 B1 KR101517703 B1 KR 10151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sin layer
reflector
cycloolefin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422A (ko
Inventor
다케토시 츠츠미
다이키 노자와
마사히코 가와노
준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polydienes homopolymers or poly-halodienes hom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08L23/0823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cyclic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우수한 반사성을 가지며, 또한 내열성 및 내절성이 우수한 반사재를 제공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수지층 (A) 를 구비한 반사재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반사재{REFLECTIVE MATERIAL}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사재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 많은 분야에서 반사재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분야에 있어서 장치의 대형화 및 표시 성능의 고도화가 진행되어, 조금이라도 많은 광을 액정에 공급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게 되어, 반사재에 대해서도 보다 더 우수한 광 반사성 (간단히 「반사성」이라고도 한다) 이 요구되게 되어 왔다.
반사재로서,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반사 필름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반사재의 재료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분자 사슬 중에 함유되는 방향 고리가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필름이 열화, 황변하여, 반사 필름의 광 반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충전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필름 내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켜, 광 산란 반사를 발생시킨 반사재 (특허문헌 2 참조) 나, 올레핀계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기재층과,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층으로 구성된 적층 구성의 올레핀계 수지 광 반사체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이와 같은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반사 필름은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열화나 황변의 문제가 적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무기 분말을 다량으로는 함유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비상용성의 수지 중 적어도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열수축률이 저감된 2 축 연신 반사 시트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이 반사 시트는, 무기 분말을 다량으로 함유하지 않아도, 평량, 밀도가 동일 정도의 종래의 반사 시트에 비해 보다 높은 반사율을 나타낸다는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2395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42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316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58134호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반사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열화나 황변의 문제가 적어, 그 유용성은 높다. 그러나, 내열성이 충분하지는 않기 때문에, 내열성이 요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열에 의해 필름이 수축되거나, 물결 주름이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액정 디스플레이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의 분야에서는, 최근, LED 등의 고온 발열을 수반하는 광원이 사용되고 있어, 반사재에 보다 더 나은 내열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절곡 가공 등을 실시한 반사재를 액정 표시 장치 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반사재에는, 이와 같은 절곡 가공성도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반사성을 가지며, 내열성 및 내절성도 우수하고, 고온 환경하에서도 수축되지 않는, 새로운 반사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반사재를 구성하는 주원료로서, 가시광의 흡수가 적고, 내열성이 있는 수지로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반사재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섀시 형상에 맞추어 굽힘 가공할 때의 내절곡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배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수지층 (A) 를 구비한 반사재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재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수지층 (A) 를 구비하기 때문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단독으로는 얻을 수 없었던 내절성과, 올레핀계 수지 단독으로 얻을 수 없었던 내열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고온 환경하에서도 수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사재는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반사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의 반사재 (「본 반사재」라고 칭한다) 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 본 반사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반사재>
본 반사재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수지층 (A) 를 구비한 반사재이다.
본 반사재는 수지층 (A) 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다른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 (A) 와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 (B) 를 구비한 구성은 본 반사재의 바람직한 적층 구성의 하나이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수지층 (A) 및 수지층 (B) 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 후, 본 반사재의 적층 구성, 두께, 물성 (반사율, 공극률, 내절 강도), 제조 방법, 용도 등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수지층 (A)>
수지층 (A) 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층으로, 반사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수지층 (A) 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시클로올레핀 호모폴리머,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란, 주사슬이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주사슬의 적어도 일부에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이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는, 노르보르넨이나 테트라시클로도데센으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 중에 적어도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시클로올레핀) 을 단량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도입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시클로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시클로올레핀과 α-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로 분류되고, 모두 본 반사재에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등의 1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 비시클로[2.2.1]헵타-2-엔 (관용명 : 노르보르넨), 5-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5-디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부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타데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메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비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프로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 등의 2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 (관용명 : 디시클로펜타디엔), 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7-디엔 혹은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8-디엔 또는 이들의 부분 수소 첨가물 (또는 시클로펜타디엔과 시클로헥센의 부가물) 인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엔 ; 5-시클로펜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세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과 같은 3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간단히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이라고도 한다), 8-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비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프로페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과 같은 4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
8-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세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페닐-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 테트라시클로[7.4.13,6.01,9.02,7]테트라데카-4,9,11,13-테트라엔 (1,4-메타노-1,4,4a,9a-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이라고도 한다), 테트라시클로[8.4.14,7.01,10.03,8]펜타데카-5,10,12,14-테트라엔 (1,4-메타노-1,4,4a,5,10,10a-헥사하이드로안트라센이라고도 한다) ; 펜타시클로[6.6.1.13,6.02,7.09,14]-4-헥사데센, 펜타시클로[6.5.1.13,6.02,7.09,13]-4-펜타데센, 펜타시클로[7.4.0.02,7.13,6.110,13]-4-펜타데센 ; 헵타시클로[8.7.0.12,9.14,7.111,17.03,8.012,16]-5-에이코센, 헵타시클로[8.7.0.12,9.03,8.14,7.012,17.113,16]-14-에이코센 ; 시클로펜타디엔의 4 량체 등의 다환의 시클로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클로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α-올레핀의 구체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의 탄소수 2 ∼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8 의 에틸렌 또는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또는 시클로올레핀과 α-올레핀의 중합 방법 및 얻어진 중합체의 수소 첨가 방법에 각별한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 (Tg) 가 70 ∼ 170 ℃, 특히 80 ℃ 이상, 160 ℃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85 ℃ 이상, 150 ℃ 이하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 때, 2 종류 이상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조합하여 혼합하고, 혼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반사재에서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닛폰 제온사 제조의 「제오노아 (등록 상표)」 (화학명 ;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미츠이 화학사 제조의 「아펠 (등록 상표)」 (에틸렌과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의 부가 공중합체) 이나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의 「TOPAS (등록 상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닛폰 제온사 제조의 「제오노아 (등록 상표)」 (화학명 ;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및/또는,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의 「TOPAS (등록 상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를 사용하면, 높은 반사 성능을 갖는 반사재가 얻어지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시클로올레핀으로서, 올레핀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노르보르넨의 함유량은 60 ∼ 90 wt%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5 wt% 이상, 80 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배합하여 수지층 (A) 를 형성함으로써,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만을 주성분으로 하여 수지층 (A) 를 형성한 경우에는 얻을 수 없었던 내절성과, 올레핀계 수지만을 주성분으로 하여 수지층 (A) 를 형성한 경우에는 얻을 수 없었던 내열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이라고 칭한다) 는 0.1 이상, 혹은 20 이하 (JIS K 7210, 230 ℃, 하중 21.18 N)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이상, 혹은 1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MFR 도 상기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양자의 MFR 을 조정하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중에 배향되어, 반사재로서의 기계 특성을 극단적으로 악화시켜 버릴 우려가 없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수지 (PE) 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PE 에 비해 융점이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또한,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 성형성의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중에서도, MFR (230 ℃ 21.18 N) 이 0.1 ∼ 20, 특히 0.2 ∼ 10, 그 중에서도 특히 0.5 ∼ 5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수지층 (B) 의 올레핀계 수지,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상용되기 때문에,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수지층 (B) 의 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채용하고, 수지층 (A)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채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과 부타디엔 혹은 이소프렌 등의 공액 디엔의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을 하드 세그먼트, 공액 디엔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한 블록 공중합체이며, 가황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 첨가를 한 것은 열 안정성이 높아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수소 첨가에 의해 공액 디엔 성분의 이중 결합을 없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수소 첨가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라고도 한다) 가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
수지층 A 는, 광 반사성을 얻기 위하여,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해도 된다.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굴절률차로 인한 굴절 산란 외에, 미분상 충전제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과의 굴절률차로 인한 굴절 산란, 나아가 미분상 충전제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과 미분상 충전제의 굴절률차로 인한 굴절 산란 등으로부터도 광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지층 (A) 및 수지층 (B) 의 적층 구성을 구비한 반사재의 경우에는, 수지층 (B) 에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시키면 충분한 광 반사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지층 (A) 에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시키지 않아도 된다.
미분상 충전제로는, 무기질 미분체, 유기질 미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무기질 미분체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실리카, 마이카, 탤크, 카올린, 클레이, 유리 분말, 아스베스토스 분말, 제올라이트, 규산 백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와의 굴절률차를 고려하면, 굴절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률이 1.6 이상인,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은 다른 무기 충전제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아, 베이스 수지와의 굴절률차를 현저하게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충전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적은 배합량으로 우수한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반사재의 두께를 얇게 해도 높은 광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 경우, 산화티탄의 양은 무기 충전제 합계 질량의 30 % 이상, 또는 유기 충전제와 무기 충전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질량의 3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질 미분체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분상 충전제의 표면에, 실리콘계 화합물,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유기질 미분체로는, 폴리머 비즈, 폴리머 중공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기질 미분체와 유기질 미분체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미분상 충전제는 입경이 0.05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0.1 ㎛ 이상 혹은 10 ㎛ 이하이다. 충전제의 입경이 0.05 ㎛ 이상이면, 베이스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균질인 반사재가 얻어진다. 또한 입경이 15 ㎛ 이하이면,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치밀하게 형성되어, 고반사성의 반사재가 얻어진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량으로는, 반사재의 광 반사성, 기계적 강도,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수지층 (A)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10 ∼ 8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7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이면,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반사재에 고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70 질량% 이하이면, 반사재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성분)
수지층 A 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포함하여 다른 수지 (「타 성분 수지」라고 한다) 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열 안정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상용화제, 활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수지층 (A) 의 형태)
수지층 (A) 는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고, 또한, 용융 수지 조성물을 압출 혹은 도포 등에 의해 (시트를 형성하지 않고) 박막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시트체는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1 축 혹은 2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지만,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1.1 배 이상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특히 2 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의 공극률)
수지층 (A) 는, 반사 성능을 높이는 관점에서 보면, 내부에 20 % 이상 80 % 이하의 범위에서 미세한 공극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수지층 (A) 의 공극률, 즉 수지층 (A) 에서 차지하는 공극의 체적 비율은 20 % 이상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 % 이상, 혹은, 75 %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30 % 이상, 혹은,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B)>
수지층 (B) 는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층이고, 반사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로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반사재는, 수지층 (A) 이외에, 이와 같은 수지층 (B) 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어, 수지층 (B) 에 광 반사성을 부여시키고, 수지층 (A) 에 내열성을 부여시키는 등의 기능 분리가 가능해져, 보다 더 높은 반사 성능과 함께, 보다 더 우수한 내열성 및 내절성을 얻을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올레핀계 수지)
수지층 (B) 에 사용하는 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상기 서술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 (EPDM) 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계적 성질, 유연성 등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 (B) 의 올레핀계 수지는, 수지층 (A) (B)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수지층 (A) 가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이 올레핀계 수지와 동일한 모노머 단위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
수지층 B 는, 보다 더 나은 반사 성능을 얻는 관점에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 이외에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종류, 입경 및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해서는, 수지층 (A) 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고, 바람직한 예도 동일하다.
수지층 B 에 함유되는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은, 반사재의 광 반사성, 기계적 강도,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수지층 (B)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10 ∼ 8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7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이면,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반사재에 고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70 질량% 이하이면, 반사재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성분)
수지층 B 에 함유되는 다른 성분으로는, 다른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열 안정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상용화제, 활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수지층 (B) 의 형태)
수지층 (B) 는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고, 또한, 용융 수지 조성물을 압출 혹은 도포 등에 의해 (시트를 형성하지 않고) 박막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시트체는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1 축 혹은 2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지만,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1.1 배 이상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특히 2 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B) 의 공극률)
수지층 (B) 는, 반사 성능을 높이는 관점에서, 내부에 20 % 이상 80 % 이하의 범위에서 미세한 공극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수지층 (B) 의 공극률, 즉 수지층 (B) 에서 차지하는 공극의 체적 비율은 20 % 이상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 % 이상, 혹은, 75 %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30 % 이상, 혹은,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구성>
본 반사재는 수지층 (A) 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이어도 되고, 수지층 (B) 를 구비한 2 층 구성, 혹은, 수지층 (A) 및 (B) 로 이루어지는 3 층 구성, 즉 (A)/(B)/(A) 또는 (B)/(A)/(B) 이어도 된다.
수지층 (A) 이외에 수지층 (B) 를 적층함으로써, 수지층 (A) 에는 주로 내열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갖게 하고, 수지층 (B) 에는 주로 광 반사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갖게 할 수 있는 등, 각 층의 기능 분리가 가능해져, 반사 성능, 내열성 및 내절성 모두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지층 (A) 및 (B) 이외의 층을 구비한 3 층 이상의 다층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 (A) 및 수지층 (B) 의 각 층간에 예를 들어 접착층을 개재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각종 구성에 있어서, 수지층 (A) 는, 반사재 전체의 내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반사재의 반사 사용면인 최외층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본 반사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30 ㎛ ∼ 15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용면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고려하면 50 ㎛ ∼ 10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50 ㎛ ∼ 7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조명 기구, 조명 간판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100 ㎛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외에 수지층 (B) 를 형성하는 경우,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각 층 합계 두께비 (예를 들어 수지층 (A) 가 2 층 있는 경우에는 2 층의 합계 두께의 비율) 는 1 : 2 ∼ 1 :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두께 비율이 1 : 2 이상으로 수지층 (B) 의 두께 비율이 크면(즉, 수지층 (A) 의 두께 비율이 1/3 이하), 반사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유연성이 충분해지기 때문에 양호한 절곡 가공성이 얻어지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두께 비율이 1 : 15 이상으로 수지층 (A) 의 두께 비율이 크면(즉, 수지층 (A) 의 두께 비율이 1/16 이상), 내열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반사율>
본 반사재는 적어도 편면의 평균 반사율이 파장 420 ㎚ ∼ 700 ㎚ 의 광에 대하여 97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사 성능을 갖는 것이면, 반사재로서 양호한 반사 특성을 나타내어, 이 반사재를 삽입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그 화면이 충분한 밝기를 실현할 수 있다.
<공극률>
본 반사재는 반사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공극을 갖는 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층의 공극률, 즉, 공극이 당해 층에서 차지하는 체적 비율은 10 % 이상, 90 % 이하, 특히 20 % 이상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의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반사재의 백화가 충분히 진행되기 때문에 높은 광 반사성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반사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파단되는 경우가 없다.
상기와 같은 공극을 갖는 층은 수지층 (A) (B)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양방이어도 되며, 그 밖의 층이어도 된다.
단, 수지층 (A) (B) 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수지층 (A) 에 공극을 형성하면 내열성이 저하되고, 또한,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도 저하되기 때문에, 수지층 (B) 에만 상기의 공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극을 수지층 (B) 에만 형성함으로써, 필름 전체의 내열성을 높일 수 있어,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또한, 반사재의 공극률은, 연신에 의해 공극을 형성하는 경우의 공극률은, 다음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공극률 (%) =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 연신 후의 필름의 밀도)/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100
<내절 강도>
본 반사재는 주로 수지층 (A) 에 있어서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다음의 시험 방법으로 측정되는 내절 강도를 1000 회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의 시험 방법은, MIT 내마모 피로 시험기를 사용하여, 길이 10 ㎝, 폭 10 ㎜ 로 절단한 시료에, 9.8 N 의 하중을 가하고, 왕복 절곡 속도 175 rpm, 흔들림각 좌우 135°의 조건하에서, 절단에 이르기까지의 절곡 횟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제조 방법>
본 반사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 적층 구성을 구비한 반사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지만, 하기 제조 방법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그 밖에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배합한 수지 조성물 A 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그 밖에 산화 방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고,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쉘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의 유동 개시 온도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220 ℃ ∼ 270 ℃) 에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별도의 피더 등에 의해 소정량을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그 밖의 산화 방지제 등을 미리 고농도로 배합한 이른바 마스터 배치를 만들어 두고, 이 마스터 배치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합하여 원하는 농도의 수지 조성물 A 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올레핀계 수지에, 미분상 충전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한 수지 조성물 B 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성분으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에 미분상 충전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고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쉘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90 ℃ ∼ 270 ℃) 에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올레핀계 수지, 미분상 충전제 등을 별도의 피더 등에 의해 소정량을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B 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미리 올레핀계 수지에 고농도로 배합한 이른바 마스터 배치를 만들어 두고, 이 마스터 배치와 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원하는 농도의 수지 조성물 B 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 A 및 B 를 건조시킨 후, 각각 다른 압출기에 공급하여, 각각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압출 온도 등의 조건은 분해에 의해 분자량이 저하되는 것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 A 의 압출 온도는 220 ℃ ∼ 270 ℃, 수지 조성물 B 의 압출 온도는 190 ∼ 2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용융된 수지 조성물 A 및 수지 조성물 B 를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T 다이의 슬릿상의 토출구로부터 적층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롤에 밀착 고화시켜 캐스트 시트를 형성한다.
얻어진 캐스트 시트는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B) 내부의 올레핀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박리되어 공극이 형성되고, 시트의 백화가 진행되어, 필름의 광 반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캐스트 시트는 2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 축 연신을 한 것만으로는 형성되는 공극은 1 방향으로 신장된 섬유상 형태밖에 되지 않지만, 2 축 연신함으로써, 그 공극은 종횡 양 방향으로 신장된 것이 되어 원반상 형태가 된다.
즉, 2 축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B) 내부의 올레핀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박리 면적이 증대하여, 시트의 백화가 더욱 진행되고, 그 결과, 필름의 광 반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2 축 연신하면 필름의 수축 방향의 이방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필름에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캐스트 시트를 연신할 때의 연신 온도는 수지층 (A) 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 (Tg+50 ℃) 이하의 범위 내의 g) 이상, (Tg+50 ℃)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이면, 연신시에 필름이 파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온도가 (Tg+50) ℃ 이하의 온도이면, 연신 배향이 높아지고, 그 결과, 공극률이 커지므로, 높은 반사율의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2 축 연신의 연신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경우는 없고, 예를 들어, 동시 2 축 연신이어도 축차 연신이어도 상관없다. 연신 설비를 사용하여, 용융 막제조한 후, 롤 연신에 의해 MD 로 연신한 후, 텐터 연신에 의해 TD 로 연신해도 되고, 튜뷸러 연신 등에 의해 2 축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2 축 연신인 경우의 연신 배율은 면적 배율로서 6 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 배율을 6 배 이상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A) 및 수지층 (B) 로 구성되는 반사재 전체의 공극률이 40 %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연신 후에는, 반사재에 치수 안정성 (공극의 형태 안정성) 을 부여하기 위하여, 열 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을 열 고정시키기 위한 처리 온도는 130 ∼ 16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 고정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초 ∼ 3 분이다. 또한, 연신 설비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연신 후에 열 고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텐터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도>
본 반사재는 그대로 반사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반사재를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판으로서 유용하다.
이 때, 본 반사재를 적층하는 금속판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판이나 스테인리스판, 아연 도금 강판 등을 들 수 있다.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본 반사재를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 융착하는 방법, 접착성 시트를 개재하여 접착하는 방법, 압출 코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 또는 수지판 (합쳐서 「금속판 등」이라고 한다) 의 반사재를 첩합(貼合)시키는 측의 면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반사재를 첩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 설비를 사용하여, 반사재를 첩합시키는 금속판 등의 표면에, 건조 후의 접착제 막두께가 2 ㎛ ∼ 4 ㎛ 정도가 되도록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어서, 적외선 히터 및 열풍 가열로에 의해 도포면의 건조 및 가열을 실시하고, 금속판 등의 표면을 소정 온도로 유지하면서, 즉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반사재를 피복, 냉각시킴으로써, 반사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반사재의 용도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 부재로서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편광 반사 시트, 확산 시트, 도광판, 반사 시트, 광원, 광원 리플렉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반사재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패널이나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사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에지부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의 조사광을 집광하여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갖는 광원 리플렉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용어의 설명>
일반적으로 「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고 평평한 제품으로, 통상적으로, 롤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일컫고 (일본 공업 규격 JIS K 6900), 일반적으로 「시트」란, JIS 에 있어서의 정의상, 얇고,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는 작고 평평한 제품을 일컫는다. 그러나,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성분」으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당해 주성분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허용하는 의미를 포함한다. 이 때, 당해 주성분의 함유 비율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성분 (2 성분 이상이 주성분인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량) 은 조성물 중의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100 % 포함한다) 을 차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X ∼ Y」 (X, Y 는 임의의 숫자) 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의미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크다」 및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다」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X 이상」 (X 는 임의의 숫자) 으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크다」의 의미를 포함하고, 「Y 이하」 (Y 는 임의의 숫자) 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다」의 의미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응용이 가능하다.
<측정 및 평가 방법>
우선은,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샘플의 각종 물성값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필름의 인취 (흐름) 방향을 MD, 그 직교 방향을 TD 로 표시한다.
(공극률)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미연신 필름 밀도」로 표기한다) 와 연신 후의 필름의 밀도 (「연신 필름 밀도」로 표기한다) 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대입하여 필름의 공극률 (%) 을 구하였다.
공극률 (%) = {(미연신 필름 밀도 - 연신 필름 밀도)/미연신 필름 밀도}× 100
(평균 반사율)
분광 광도계 (「U-3900H」, (주) 히타치 제작소 제조) 에 적분구를 장착하고, 알루미나 백판(白板)을 100 % 로 하였을 때의 반사율을, 파장 420 ㎚ ∼ 700 ㎚ 에 걸쳐 0.5 ㎚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값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평균 반사율 (%) 로 하였다.
(열수축률 (%))
샘플 (필름) 의 MD 및 TD 각각에 200 ㎜ 폭의 표선을 넣고, 샘플로서 잘라냈다. 이 잘라낸 샘플을, 온도 80 ℃ 의 열풍 순환 오븐 중에 넣고 3 시간 유지한 후, 샘플이 수축된 수축량을 측정하였다. 오븐에 넣기 전의 샘플의 원치수 (200 ㎜) 에 대한 수축량의 비율을 % 값으로 표시하고, 이것을 열수축률 (%) 로 하였다.
(내절 시험)
MIT 내마모 피로 시험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샘플을, 길이 10 ㎝, 폭 10 ㎜ 로 절단하여, 9.8 N 의 하중을 가하고, 왕복 절곡 속도 175 rpm, 흔들림각 좌우 135°의 조건하에서, 절단에 이르기까지의 절곡 횟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수지층 A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작)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OPAS 6013」,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밀도 (ISO 1183) : 1.02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138 ℃) 의 펠릿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OPAS 8007」,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밀도 (ISO 1183) : 1.02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10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78 ℃)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EA9」,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0.5 g/10 min) 의 펠릿을, 59 : 16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3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제작하였다.
(수지층 B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작)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4 g/10 min)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 2230」, 밀도 4.2 g/㎤, 루틸형 산화티탄, Al, Si 표면 처리, Ti02 함유량 96.0 %, 제조법 : 염소법) 을 50 : 5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70 ℃ 에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작하였다.
(반사재의 제작)
상기 수지 조성물 A, B 를 각각, 230 ℃, 200 ℃ 로 가열된 압출기 A 및 B 에 공급하고, 각 압출기에 있어서, 230 ℃ 및 20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 의 3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30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225 ㎛ (수지층 A : 17 ㎛, 수지층 B : 191 ㎛, 적층비 A : B = 1 : 5.6)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공극률, 평균 반사율, 내열 시험, 내절 시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극률에 관해서는, 수지층 A 내부에는 공극 없음으로 하여 필름 전체의 공극률로부터 수지층 B 의 공극률을 산출하고, 이것을 반사재 (샘플) 의 공극률 (%) 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 A 와 수지 조성물 B 의 압출량을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15 ㎛ (수지층 A : 31 ㎛, 수지층 B : 153 ㎛, 적층비 A : B = 1 : 2.5)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작에 있어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OPAS 6013」),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OPAS 8007」),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 상품명 「세프톤 2007」,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MFR (230 ℃, 21.18 N, JIS K-7210) : 2.4 g/10 min) 의 펠릿을, 59 : 16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34 ㎛ (수지층 A ; 16 ㎛, 수지층 B ; 202 ㎛, 적층비 A : B = 1 : 6.3)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작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4 g/10 min)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 2230」, 밀도 4.2 g/㎤, 루틸형 산화티탄, Al, Si 표면 처리, Ti02 함유량 96.0 %, 제조법 : 염소법) 을 89 : 11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31 ㎛ (수지층 A ; 19 ㎛, 수지층 B ; 193 ㎛, 적층비 A : B = 1 : 5.1)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수지층 A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작)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OPAS 6013」,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밀도 (ISO 1183) : 1.02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138 ℃) 의 펠릿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OPAS 8007」,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밀도 (ISO 1183) : 1.02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10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78 ℃)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4 g/10 min)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 2230」, 밀도 4.2 g/㎤, 루틸형 산화티탄, Al, Si 표면 처리, Ti02 함유량 96.0 %, 제조법 : 염소법) 을, 36 : 10 : 27 : 27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3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제작하였다.
(반사재의 제작)
상기 수지 조성물 A 를, 230 ℃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압출기에 있어서, 23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30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233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작에 있어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OPAS 6013」,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밀도 (ISO 1183) : 1.02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138 ℃) 의 펠릿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OPAS 8007」,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밀도 (ISO 1183) : 1.02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10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78 ℃)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4 g/10 min)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 2230」, 밀도 4.2 g/㎤, 루틸형 산화티탄, Al, Si 표면 처리, Ti02 함유량 96.0 %, 제조법 : 염소법) 을 26 : 7 : 33.5 : 33.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8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수지층 B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작)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 2230」) 을 50 : 5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70 ℃ 에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작하였다.
(반사재의 제작)
상기 수지 조성물 B 를 200 ℃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압출기에 있어서 20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30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180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수지 조성물 A 의 제작)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TOPAS 6013」) 의 펠릿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TOPAS 8007」)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 2230」) 을, 47 : 13 : 4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5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제작하였다.
(반사재의 제작)
수지 조성물 A 를 230 ℃ 로 가열된 압출기 A 에 공급하고, 압출기에 있어서 23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35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170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극률
(%)
반사율
(%)
수축률 (%) 내절 시험
(회)
MD TD



실시예

1 61 99.30 0.27 0.21 >1000
2 63 99.00 0.11 0.05 >1000
3 63 99.00 0.18 0.26 >1000
4 36 98.10 0.21 0.22 >1000
5 22 98.17 0.12 0.11 >1000
6 26 98.36 0.14 0.17 >1000
비교예
1 62 99.20 0.66 0.25 >1000
2 46 99.30 0.13 0.20 1 이하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2 의 반사재는, 파장 420 ㎚ ∼ 700 ㎚ 의 광에 대한 반사율이 97 % 이상으로, 높은 광 반사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의 반사재의 내절성은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 의 반사재는 내절성의 면에서 실시예 1 ∼ 6 의 반사재에 뒤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의 반사재는 열에 의한 수축이 크고, 내열성의 면에서 실시예 1 ∼ 6 의 반사재에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5)

  1.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 모두를 함유하는 수지층 (A) 를 구비한 반사재로서,
    상기 수지층 (A) 의 공극률이 10 % 이상 90 % 이하인 반사재.
  2.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 모두를 함유하는 수지층 (A) 및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 (B) 를 구비한 반사재로서,
    상기 수지층 (A) 및 수지층 (B) 중 어느 것의 공극률이 10 % 이상 90 % 이하인 반사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가 수지층 (A) 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의 비율로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공극률이 20 % 이상 8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각 층 합계 두께비가, (A) : (B) = 1 : 2 ∼ 1 :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올레핀계 수지와, 수지층 (B) 의 올레핀계 수지가 동일한 모노머 단위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가 반사재의 반사 사용면인 최외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8.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B) 가 수지층 (B) 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의 비율로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9.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B) 의 공극률이 20 % 이상 8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반사재를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 반사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00452A 2010-07-16 2011-07-11 반사재 KR101517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1445 2010-07-16
JP2010161445 2010-07-16
JPJP-P-2011-002740 2011-01-11
JP2011002740A JP5805951B2 (ja) 2010-07-16 2011-01-11 反射材
PCT/JP2011/065770 WO2012008399A1 (ja) 2010-07-16 2011-07-11 反射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422A KR20130029422A (ko) 2013-03-22
KR101517703B1 true KR101517703B1 (ko) 2015-05-04

Family

ID=4546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452A KR101517703B1 (ko) 2010-07-16 2011-07-11 반사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05951B2 (ko)
KR (1) KR101517703B1 (ko)
CN (1) CN103003726B (ko)
TW (1) TWI441862B (ko)
WO (1) WO2012008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0173A (ja) * 2012-09-28 2014-04-21 Sekisui Plastics Co Ltd ポリスチレン系樹脂フィルム、積層発泡シート、及び、発泡樹脂製容器
JP6110662B2 (ja) * 2012-12-28 2017-04-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ダイシングシート用基材フィルムおよびダイシングシート
CN103102668A (zh) * 2013-01-08 2013-05-15 北京化工大学 一种聚合物漫反射材料的配方及制备方法
JP6428624B2 (ja) * 2013-08-30 2018-11-28 Dic株式会社 バリア性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
JP2015101682A (ja) * 2013-11-26 2015-06-0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フィルム
WO2016072472A1 (ja) 2014-11-07 2016-05-12 三菱樹脂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
JP6481403B2 (ja) * 2015-02-16 2019-03-13 Dic株式会社 ミネラルオイルバリア性包装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JP6481406B2 (ja) * 2015-02-18 2019-03-13 Dic株式会社 ミネラルオイルバリア性包装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CN107850703B (zh) * 2015-07-24 2021-07-27 3M创新有限公司 带散热层的反射叠堆
CN107778647A (zh) * 2016-08-29 2018-03-09 合肥杰事杰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光反射率的聚丙烯合金及其制备方法
JP2019061162A (ja) * 2017-09-27 2019-04-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反射材
JP7547748B2 (ja) 2020-03-23 2024-09-1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反射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6699A1 (ja) * 2004-05-31 2005-12-08 Yupo Corporation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4694822B2 (ja) * 2004-11-19 2011-06-08 三菱樹脂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
WO2007072737A1 (ja) * 2005-12-22 2007-06-28 Mitsubishi Plastics, Inc. 反射フィルム
JP2007293289A (ja) * 2006-03-30 2007-11-08 Chisso Corp 光反射シート
WO2008149919A1 (ja) * 2007-06-05 2008-12-11 Asahi Kasei E-Materials Corporation 反射シート
JP2009186931A (ja) * 2008-02-08 2009-08-20 Asahi Kasei E-Materials Corp 反射シート
JP5115083B2 (ja) * 2007-08-08 2013-01-09 東レ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10186152A (ja) * 2009-01-19 2010-08-26 Mitsubishi Plastics Inc 白色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材
JP2010241005A (ja) * 2009-04-07 2010-10-28 Mitsubishi Plastics Inc 白色積層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03726A (zh) 2013-03-27
JP2012035616A (ja) 2012-02-23
WO2012008399A1 (ja) 2012-01-19
KR20130029422A (ko) 2013-03-22
TW201211137A (en) 2012-03-16
TWI441862B (zh) 2014-06-21
JP5805951B2 (ja) 2015-11-10
CN103003726B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703B1 (ko) 반사재
JP6072754B2 (ja) 反射材
KR101455542B1 (ko) 반사재
JP2015230351A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WO2013108562A1 (ja) 反射材
KR101597482B1 (ko) 반사재
JP2011237572A (ja) 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フィルム
JP7521211B2 (ja) 反射材
JP2010241005A (ja) 白色積層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材
JP2010186152A (ja) 白色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材
JP2019117225A (ja) 反射材
JP2013148607A (ja) 反射材
JP7547748B2 (ja) 反射材
JP2013083792A (ja) 反射材
JP2024054898A (ja) 反射フィルム
WO2020196760A1 (ja) 反射材
JP2012096494A (ja) 反射材
JP2013148605A (ja) 反射材
CN113631967A (zh) 反射材料
JP2021149061A (ja) 反射材
JP2019061162A (ja) 反射材
JP2021149060A (ja) 反射材
JP2020060671A (ja) 反射材
JP2010243817A (ja) 白色積層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材
JP2013113872A (ja) 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