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542B1 - 반사재 - Google Patents

반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542B1
KR101455542B1 KR1020137000453A KR20137000453A KR101455542B1 KR 101455542 B1 KR101455542 B1 KR 101455542B1 KR 1020137000453 A KR1020137000453 A KR 1020137000453A KR 20137000453 A KR20137000453 A KR 20137000453A KR 101455542 B1 KR101455542 B1 KR 101455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sin layer
reflector
layer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652A (ko
Inventor
다케토시 츠츠미
다이키 노자와
마사히코 가와노
준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우수한 반사성, 특히 우수한 광 확산성을 갖는 새로운 반사재를 제공한다.
내부에 공극을 갖는 수지층 (A) 의 적어도 편면에,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 (B) 를 구비하고, 수지층 (B) 는,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가 상이한 열가소성 수지의 조합에 의해, 3 차원 표면 조도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반사재{REFLECTIVE MATERIAL}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사재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 많은 분야에서 반사재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분야에 있어서 장치의 대형화 및 표시 성능의 고도화가 진행되어, 조금이라도 많은 광을 액정에 공급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게 되어, 반사재에 대해서도, 보다 더 우수한 광 반사성 (간단히 「반사성」이라고도 한다) 이 요구되게 되어 왔다.
반사재로서,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반사 필름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반사재의 재료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분자 사슬 중에 함유되는 방향 고리가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필름이 열화, 황변하여, 반사 필름의 광 반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충전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필름 내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켜, 광 산란 반사를 발생시킨 반사재 (특허문헌 2 참조) 나, 올레핀계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기재층과,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층으로 구성된 적층 구성의 올레핀계 수지 광 반사체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이와 같은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반사 필름은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열화나 황변의 문제가 적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무기 분말을 다량으로는 함유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비상용성의 수지 중 적어도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열수축률이 저감된 2 축 연신 반사 시트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이 반사 시트는, 무기 분말을 다량으로 함유하지 않아도, 평량, 밀도가 동일 정도의 종래의 반사 시트에 비해 보다 높은 반사율을 나타낸다는 특징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반사 시트의 표면은 비교적 평활하여 정반사성이 강하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에 삽입하여 광원을 점등시키면, 화면의 밝기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이른바 휘도 불균일)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이 화면의 휘도 불균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에 유기 미립자 등을 코팅하여 요철을 형성시킴으로써, 높은 광 확산성을 부여한 반사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2395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42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316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581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085843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여러 가지의 반사재가 제안되어 왔지만, 여전히, 고휘도인 백라이트를 얻기 위하여, 한층 더 반사성이 개선된 반사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반사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열화나 황변의 문제가 적어, 그 유용성은 높다. 그러나, 내열성이 충분하지는 않기 때문에, 내열성이 요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열에 의해 필름이 수축되거나, 물결 주름이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액정 디스플레이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의 분야에서는, 최근, LED 등의 고온 발열을 수반하는 광원이 사용되고 있어, 반사재에 보다 더 나은 내열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절곡 가공 등을 실시한 반사재를 액정 표시 장치 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반사재에는, 이와 같은 절곡 가공성 (이하 「내절곡성」이라고 칭한다) 도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반사성, 특히 우수한 광 확산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내열성 및 내절곡성도 우수하여 고온 환경하에서도 물결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는, 새로운 반사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미분상 충전재를 함유하는 수지층 (A) 의 적어도 편면에, 유리 전이 온도 (JIS K 7121) 가 85 ∼ 150 ℃ 인 비정성(非晶性)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 (B) 를 형성한 적층 구성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반사성을 가지며, 내열성 및 내절곡성도 우수하여, 고온 환경하에서도 수축되지 않는, 새로운 반사재를 알아냈다.
본 발명자는 또한, 비정성 수지와, 이것에 비상용인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 (B) 에 대하여 추가적인 검토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견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 상기의 2 종의 수지가 블렌드된 수지층 (B) 는, 3 차원 표면 조도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 이상이라는 특징적인 표면 상태가 되어, 높은 광 확산성이라는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2) 또한, 이와 같은 표면 상태가 되려면, 혼합되는 2 종의 수지의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가 기인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공극을 갖는 수지층 (A) 의 적어도 편면에,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 (B) 를 구비하고, 수지층 (B) 는,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가 상이한 열가소성 수지의 조합에 의해, 3 차원 표면 조도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반사재는 내부에 공극을 갖는 수지층 (A) 의 적어도 편면에,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 (B) 를 구비하고, 수지층 (B) 는,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가 상이한 열가소성 수지의 조합에 의해, 3 차원 표면 조도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우수한 광 확산성을 갖고, 백라이트에 삽입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고휘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수지의 하나로서, 유리 전이 온도 (JIS K 7121) 가 85 ∼ 150 ℃ 인 비정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절곡성과 함께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고온 환경하에서도 물결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사재는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반사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에서 실시한 물결 주름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의 반사재 (「본 반사재」라고 칭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 본 반사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반사재>
본 반사재는 내부에 공극을 갖는 수지층 (A) 의 적어도 편면에, 열가소성 수지 (Ⅰ)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를 함유하는 수지층 (B) 를 구비한 적층 구성의 반사재이며, 그 수지층 (B) 는 3 차원 표면 조도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 이상인 특징을 갖는 것이다.
<수지층 (A)>
수지층 (A) 는 내부에 공극을 갖는 층이며, 본 반사재에 반사성을 부여함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본 반사재의 내절곡성을 높일 수 있는 층이다.
(수지층 (A) 의 공극률)
수지층 (A) 는 내부에 공극을 갖는 층이며, 그 공극률, 즉 공극이 당해 층에서 차지하는 체적 비율은, 반사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10 ∼ 9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의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반사재의 백화가 충분히 진행되기 때문에 높은 반사성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반사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파단되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수지층 (A) 의 공극률은, 상기 범위 중에서도, 특히 20 % 이상 혹은 80 % 이하, 그 중에서도 25 % 이상 혹은 75 %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30 % 이상 혹은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에 공극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화학 발포법, 물리 발포법, 초임계 발포법, 연신법, 추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본 반사재에 있어서는, 막제조성이나 연속 생산성이나 안정 생산성 등의 면에서 연신법이 바람직하다.
연신 방법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롤 연신법, 압연법, 텐터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롤 연신법, 및/또는 텐터 연신법이 연신 조건의 선택폭이 넓기 때문에 이들을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적어도 1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연신은 롤 연신법 등에 의해 세로 방향 (MD) 으로 연신하는 1 축 연신법, 세로 방향으로의 1 축 연신 후 이어서 텐터 연신법 등에 의해 가로 방향 (TD) 으로 연신하는 축차 2 축 연신법, 또는 텐터 연신법을 사용하여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동시 2 축 연신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2 축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수지)
수지층 (A) 의 주성분을 이루는 수지 (베이스 수지) 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디엔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반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상기 서술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 (EPDM) 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계적 성질, 유연성 등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나 폴리에틸렌 수지 (PE) 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PE 에 비해 융점이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또한,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 성형성의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중에서도, MFR (230 ℃ 21.18 N) 이 0.1 ∼ 20, 특히 0.2 ∼ 10, 그 중에서도 특히 0.5 ∼ 5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 (A) 중에 함유되는 베이스 수지는, 수지층 (A)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3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100 % 포함한다) 이다.
(미분상 충전제)
수지층 (A) 는, 우수한 반사성을 얻기 위하여,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굴절률차로 인한 굴절 산란 외에, 미분상 충전제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과의 굴절률차로 인한 굴절 산란, 나아가 미분상 충전제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과 미분상 충전제의 굴절률차로 인한 굴절 산란 등으로부터도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미분상 충전제로는, 무기질 미분체, 유기질 미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무기질 미분체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실리카, 마이카, 탤크, 카올린, 클레이, 유리 분말, 아스베스토스 분말, 제올라이트, 규산 백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와의 굴절률차를 고려하면, 굴절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률이 1.6 이상인,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티탄은 다른 무기 충전제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아, 베이스 수지와의 굴절률차를 현저하게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충전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적은 배합량으로 우수한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반사재의 두께를 얇게 해도 높은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 경우, 산화티탄의 양은 무기 충전제 합계 질량의 30 % 이상, 또는 유기 충전제와 무기 충전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질량의 3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질 미분체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분상 충전제의 표면에, 실리콘계 화합물,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한편, 유기질 미분체로는, 폴리머 비즈, 폴리머 중공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질 미분체와 유기질 미분체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미분상 충전제는 입경이 0.05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0.1 ㎛ 이상 10 ㎛ 이하이다. 충전제의 입경이 0.05 ㎛ 이상이면, 베이스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균질인 시트가 얻어진다. 또한 입경이 15 ㎛ 이하이면,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치밀하게 형성되어, 고반사성의 반사재가 얻어진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으로는, 반사재의 반사성, 기계적 강도,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수지층 (A)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10 ∼ 8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7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이면,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반사재에 고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70 질량% 이하이면, 반사재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수지층 (A) 에 있어서,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 비율로는, 광 반사성, 기계적 강도 및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베이스 수지 : 미분상 충전제 = 80 : 20 ∼ 30 : 70, 특히 80 : 20 ∼ 60 : 4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수지층 (A) 는 상기 서술한 이외의 다른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열 안정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상용화제, 활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수지층 (A) 의 형태)
수지층 (A) 는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고, 또한, 용융 수지 조성물을 압출 혹은 도포 등에 의해 (시트를 형성하지 않고) 박막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시트체는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1 축 혹은 2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지만,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1.1 배 이상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특히 2 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B)>
수지층 (B) 는 열가소성 수지 (Ⅰ)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를 함유하는 층이다.
수지층 (B) 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Ⅰ) 및 이것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를 함유하고, 3 차원 표면 조도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 이상으로 되는 것이면 되고, 이와 같은 산술 평균 조도 (Sa) 가 되는 한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Ⅰ)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조도)
수지층 (B) 의 표면은 3 차원 표면 조도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 이상인 것이 중요하다. 화면의 휘도 불균일 해소의 면에서, 산술 평균 조도 (Sa) 는 0.5 ㎛ 이상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 이상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지층 (B) 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혼합되는 2 종의 수지의 용해도 파라미터 (이하 「SP 값」으로 표기한다) 에 착안하면 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혼합되는 수지의 SP 값의 절대값의 차가 0.3 ∼ 3.0 (cal/㎤)0.5,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5 (cal/㎤)0.5 가 되는 것과 같은 조합을 선택하면 된다.
이와 같은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2 종의 수지의 분산성이 적당히 조정되어, 형성되는 수지층 (B) 의 3 차원 표면 조도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상기의 범위가 되어, 높은 광 확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 혼합되는 수지의 SP 값의 절대값의 차가 0.5 (cal/㎤)0.5 이상이면, 수지층 (B) 중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의 분산상이 형성되어, 수지층 (B) 의 표면이 성기어져, 높은 광 확산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혼합되는 수지의 SP 값의 절대값의 차가 3.0 (cal/㎤)0.5 이하이면, 수지층 (B) 중의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의 분산상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수지층 (B) 의 막제조성도 안정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SP 값의 절대값의 차가 지나치게 크면, 상 분리를 일으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Ⅱ) 가 용융 수지 조성물로부터 분리·이탈되고, T 다이 구금 주위에 부착 (눈곱)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의 열가소성 수지 (Ⅰ) 의 SP 값이 5.0 ∼ 15.0 (cal/㎤)0. 5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7.0 (cal/㎤)0.5 이상 혹은 12.0 (cal/㎤)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타방의 열가소성 수지 (Ⅱ) 의 SP 값은 5.3 ∼ 14.7 (cal/㎤)0. 5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7.3 (cal/㎤)0.5 이상 혹은 11.7 (cal/㎤)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술 사상으로부터, SP 값이 상기 범위에 있는 열가소성 수지 (Ⅰ) 을 후보 수지 1 로 하여 스크리닝하고, 나아가서는 SP 값이 상기 범위에 있는 열가소성 수지 (Ⅰ) 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를 후보 수지 2 로 하여 스크리닝하여, 이들 후보 수지 1 및 2 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수지층 중에서, 3 차원 표면 조도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이상이 되는 것을 선택함으로써, 수지층 (B)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SP 값은 열가소성 수지 (Ⅰ) 혹은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를 구성하는 원자 및 원자단의 증발 에너지 (Δei) 와 몰 체적 (Δvi) 을, 하기의 Fedors 의 식에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
SP 값 (cal/㎤)0.5 = (ΣΔei/Δvi)0.5
여기서, Δei 및 Δvi 에는, Fedors 가 제안한 상수를 사용하였다 (표 1 참조).
표 1 은 Fedors 에 의한 원자 및 원자단의 증발 에너지와 몰 체적의 발췌이다.
Figure 112013001741236-pct00001
또한, 수지층 (B) 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Ⅰ)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는 각각 1 종류의 수지이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수지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1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 (Ⅰ-1) 과, 이것에 비상용인 2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 (Ⅱ-1) (Ⅱ-2) 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Ⅰ-1)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1) 이 함유되어 있는 것 외에, 열가소성 수지 (Ⅰ-2) 와 이것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2) 와 같이 2 종류 이상의 조합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단, 수지층 (B) 의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Sa) 를 0.5 ㎛ 이상으로 하는 효과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 (Ⅰ)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다르게 표현하면, SP 값의 절대값의 차가 0.3 ∼ 3.0 (cal/㎤)0.5 가 되는 조합에 함유되는 수지량이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전체 수지의 70 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80 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9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Ⅰ)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Ⅱ) 의 함유 비율은, 60 : 40 ∼ 90 : 10, 또는, 40 : 60 ∼ 10 : 90 인 것, 그 중에서도 70 : 30 ∼ 80 : 20, 또는, 30 : 70 ∼ 20 : 80 인 것이, 분산상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수지층 (B) 의 표면을 조면화하는 효과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단, 열가소성 수지 (Ⅰ) 및 열가소성 수지 (Ⅱ) 중 어느 것이 많아져도, 어느 것이 모상 혹은 분산상이 되는지의 차이이기 때문에, 수지층 (B) 의 표면을 조면화하는 효과의 면에서는 동일하다.
(추가적인 특성의 부여)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수지의 1 종,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수지의 1 종,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Ⅰ) 또는 (II) 로서, 유리 전이 온도 (JIS K 7121, Tg) 가 85 ∼ 150 ℃ 인 비정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본 반사재에 내열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지층 (B) 의 베이스 수지란, 수지층 (B)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2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수지의 의미이다.
여기서 말하는 비정성 수지란, 결정화에 수반하는 발열 피크가 관찰되지 않거나, 또는 관찰되었다고 해도 결정 융해 열량이 10 J/g 이하가 되는 결정화도가 매우 낮은 수지를 나타낸다.
비정성 수지는, 환경 온도가 변화해도 유리 전이점 이하에서는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유리 전이점 부근의 온도까지는, 수축률이 작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성질로부터, 반사재에 높은 내열성을 부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지층 (B) 의 베이스 수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Ⅰ) 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85 ∼ 150 ℃ 이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내열성이 충분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지층 (B) 의 베이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비정성 수지로서, 예를 들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수지, 비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신성, 유리 전이 온도의 범위, 투명성을 고려한 경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층 (B) 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시클로올레핀 호모폴리머,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란, 주사슬이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주사슬의 적어도 일부에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이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는, 노르보르넨이나 테트라시클로도데센으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 중에 적어도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시클로올레핀) 을 단량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도입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시클로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시클로올레핀과 α-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로 분류되고, 모두 본 반사재에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등의 1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 비시클로[2.2.1]헵타-2-엔 (관용명 : 노르보르넨), 5-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5-디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부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타데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메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비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프로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 등의 2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 (관용명 : 디시클로펜타디엔), 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7-디엔 혹은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8-디엔 또는 이들의 부분 수소 첨가물 (또는 시클로펜타디엔과 시클로헥센의 부가물) 인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엔 ; 5-시클로펜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세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과 같은 3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간단히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이라고도 한다), 8-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비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프로페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과 같은 4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
8-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세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페닐-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 테트라시클로[7.4.13,6.01,9.02,7]테트라데카-4,9,11,13-테트라엔 (1,4-메타노-1,4,4a,9a-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이라고도 한다), 테트라시클로[8.4.14,7.01,10.03,8]펜타데카-5,10,12,14-테트라엔 (1,4-메타노1,4,4a,5,10,10a-헥사하이드로안트라센이라고도 한다) ; 펜타시클로[6.6.1.13,6.02,7.09,14]-4-헥사데센, 펜타시클로[6.5.1.13,6.02,7.09,13]-4-펜타데센, 펜타시클로[7.4.0.02,7.13,6.110,13]-4-펜타데센 ; 헵타시클로[8.7.0.12,9.14,7.111,17.03,8.012,16]-5-에이코센, 헵타시클로[8.7.0.12,9.03,8.14,7.012,17.113,16]-14-에이코센 ; 시클로펜타디엔의 4 량체 등의 다환의 시클로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클로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α-올레핀의 구체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의 탄소수 2 ∼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8 의 에틸렌 또는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또는 시클로올레핀과 α-올레핀의 중합 방법 및 얻어진 중합체의 수소 첨가 방법에, 각별한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 (Tg) 가 70 ∼ 170 ℃, 특히 80 ℃ 이상, 160 ℃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85 ℃ 이상, 150 ℃ 이하의 시클로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 때, 2 종류 이상의 시클로올레핀 수지를 조합하여 혼합하고, 혼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닛폰 제온사 제조의 「제오노아 (등록 상표)」 (화학명 ;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미츠이 화학사 제조의 「아펠 (등록 상표)」 (에틸렌과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의 부가 공중합체) 이나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의 「TOPAS (등록 상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닛폰 제온사 제조의 「제오노아 (등록 상표)」 (화학명 ;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및/또는,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의 「TOPAS (등록 상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를 사용하면, 높은 반사 성능을 갖는 반사재가 얻어지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시클로올레핀으로서, 올레핀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노르보르넨의 함유량은 60 ∼ 90 wt%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5 wt% 이상, 80 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비정성 수지 (2 성분 이상의 비정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량) 는, 수지층 (B)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100 % 는 제외한다) 이다.
상기와 같이, 수지층 (B) 의 베이스 수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Ⅰ) 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85 ∼ 150 ℃ 인 비정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내절곡성을 높이는 관점을 가미하면, 다른 수지로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Ⅱ) 로서, 올레핀계 수지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배합하여 수지층 (B) 를 형성함으로써,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단독으로는 얻을 수 없었던 내절곡성과, 올레핀계 수지 단독으로 얻을 수 없었던 내열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이라고 칭한다) 는 0.1 이상, 혹은 20 이하 (JIS K 7210, 230 ℃, 하중 21.18 N)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이상, 혹은 1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MFR 도 상기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양자의 MFR 을 조정하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중에 배향되어, 반사재로서의 기계 특성을 극단적으로 악화시켜 버릴 우려가 없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수지 (PE) 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 수지 (PE) 에 비해 융점이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또한,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 성형성의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중에서도, MFR (230 ℃ 21.18 N) 이 0.1 ∼ 20, 특히 0.2 ∼ 10, 그 중에서도 특히 0.5 ∼ 5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 (A) (B)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수지층 (A) 의 올레핀계 수지와 동일한 모노머 단위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올레핀계 수지,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상용되기 때문에,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과 부타디엔 혹은 이소프렌 등의 공액 디엔의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을 하드 세그먼트, 공액 디엔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한 블록 공중합체이며, 가황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 첨가를 한 것은 열 안정성이 높아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수소 첨가에 의해 공액 디엔 성분의 이중 결합을 없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수소 첨가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라고도 한다) 가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
수지층 (B) 는, 3 차원 표면 조도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 이상이 되는 한에 있어서,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해도 된다. 미분상 충전제의 종류, 입경 및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해서는, 수지층 (A) 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고, 바람직한 예도 동일하다.
(다른 성분)
수지층 (B) 는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활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상용화제, 분산제 및 확산 비즈 등을 배합하면, 3 차원 표면 조도의 산술 평균 조도 (Sa) 를 원하는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수지층 (B) 에는 기본적으로 이들은 배합하지 않지만, 소량이면 배합할 수도 있다.
(수지층 (B) 의 형태)
수지층 (B) 는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고, 또한, 용융 수지 조성물을 압출 혹은 도포 등에 의해 (시트를 형성하지 않고) 박막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시트체는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1 축 혹은 2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지만,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1.1 배 이상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특히 2 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구성>
본 반사재는 수지층 (A) 와 수지층 (B) 를 형성한 적층 구성을 갖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지층 (A) 에 반사성을 부여하면서, 내절곡성 등의 가공성을 유지하여, 수지층 (B) 에 높은 광 확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반사재는, 수지층 (A) 및 (B) 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승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매우 우수한 반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 (B) 의 수지를 선택함으로써, 내열성을 부여시킬 수도 있고, 보다 높은 반사성을 발휘하면서, 내열성 및 가공성을 부여시킬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적층 구성에 있어서는, 광이 조사되는 측 (반사 사용면측) 의 최외층에 수지층 (B) 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사재에 높은 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적층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수지층 (A) 의 양면에 수지층 (B) 를 형성한 3 층의 적층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층 (A) 및 수지층 (B) 이외에 다른 층을 구비해도 되고, 수지층 (A) 및 수지층 (B) 의 각 층간에 다른 층이 개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 (A), 수지층 (B)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되어도 된다.
<두께>
본 반사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30 ㎛ ∼ 15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용면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고려하면 50 ㎛ ∼ 10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50 ㎛ ∼ 7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조명 기구, 조명 간판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100 ㎛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실시예의 결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지층 (B) 는 얇아도 반사재 전체의 내열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수지층 (B) 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내절곡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각 층 합계 두께비 (예를 들어 수지층 (B) 가 2 층 있는 경우에는 2 층의 합계 두께의 비율) 는 3 : 1 ∼ 15 : 1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 : 1 ∼ 10 : 1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반사율>
본 반사재는 적어도 편면의 평균 반사율이 파장 420 ㎚ ∼ 700 ㎚ 의 광에 대하여 97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사성을 갖는 것이면, 반사재로서 양호한 반사 특성을 나타내어, 이 반사재를 삽입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그 화면이 충분한 밝기를 실현할 수 있다.
<공극률>
본 반사재는 반사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지층 (A) 에 공극을 갖는 층을 구비하고 있지만, 수지층 (A) 의 공극률은, 연신에 의해 공극을 형성하는 경우의 공극률은, 수지층 (A) 를 구성하는 필름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공극률 (%) =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 연신 후의 필름의 밀도)/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100
<내절 강도>
본 반사재는 다음의 시험 방법으로 측정되는 내절 강도를 1000 회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의 시험 방법은, MIT 내마모 피로 시험기를 사용하여, 길이 10 ㎝, 건 10 ㎜ 로 절단한 시료에, 9.8 N 의 하중을 가하고, 왕복 절곡 속도 175 rpm, 흔들림각 좌우 135°의 조건하에서, 절단에 이르기까지의 절곡 횟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제조 방법>
본 반사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 적층 구성을 구비한 반사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지만, 하기 제조 방법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올레핀계 수지 등에, 미분상 충전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한 수지 조성물 A 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성분으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에 미분상 충전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고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쉘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90 ℃ ∼ 270 ℃) 에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올레핀계 수지, 미분상 충전제 등을 별도의 피더 등에 의해 소정량을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미리 올레핀계 수지에 고농도로 배합한 이른바 마스터 배치를 만들어 두고, 이 마스터 배치와 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원하는 농도의 수지 조성물 A 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의 비정성 수지에,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그 밖에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배합한 수지 조성물 B 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그 밖에 산화 방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고,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쉘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220 ℃ ∼ 280 ℃) 에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B 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별도의 피더 등에 의해 소정량을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B 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그 밖의 산화 방지제 등을 미리 고농도로 배합한 이른바 마스터 배치를 만들어 두고, 이 마스터 배치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합하여 원하는 농도의 수지 조성물 B 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 A 및 B 를 건조시킨 후, 각각 별도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각각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압출 온도 등의 조건은 분해에 의해 분자량이 저하되는 것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 A 의 압출 온도는 190 ℃ ∼ 270 ℃, 수지 조성물 B 의 압출 온도는 220 ℃ ∼ 28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용융된 수지 조성물 A 및 수지 조성물 B 를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T 다이의 슬릿상의 토출구로부터 적층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롤에 밀착 고화시켜 캐스트 시트를 형성한다.
얻어진 캐스트 시트는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A) 내부의 올레핀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박리되어 공극이 형성되고, 시트의 백화가 진행되어, 필름의 광 반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캐스트 시트는 2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 축 연신을 한 것만으로는 형성되는 공극은 1 방향으로 신장된 섬유상 형태밖에 되지 않지만, 2 축 연신함으로써, 그 공극은 종횡 양 방향으로 신장된 것이 되어 원반상 형태가 된다.
즉, 2 축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A) 내부의 올레핀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박리 면적이 증대하여, 시트의 백화가 더욱 진행되고, 그 결과, 필름의 광 반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2 축 연신하면 필름의 수축 방향의 이방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필름에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캐스트 시트를 연신할 때의 연신 온도는 수지층 (B) 의 비정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 (Tg+50 ℃)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이면, 연신시에 필름이 파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온도가 (Tg+50 ℃) 이하의 온도이면, 연신 배향이 높아져, 그 결과, 공극률이 커지므로, 고반사성의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2 축 연신의 연신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경우는 없고, 예를 들어, 동시 2 축 연신이어도 축차 연신이어도 상관없다. 연신 설비를 사용하여, 용융 막제조한 후, 롤 연신에 의해 필름의 인취 방향 (MD) 으로 연신한 후, 텐터 연신에 의해, MD 의 직교 방향 (TD) 으로 연신해도 되고, 튜뷸러 연신 등에 의해 2 축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2 축 연신인 경우의 연신 배율은 면적 배율로서 6 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 배율을 6 배 이상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A) 및 수지층 (B) 로 구성되는 반사 필름 전체의 공극률이 40 %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연신 후에는, 반사 필름에 치수 안정성 (공극의 형태 안정성) 을 부여하기 위하여, 열 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을 열 고정시키기 위한 처리 온도는 110 ℃ ∼ 1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 고정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초 ∼ 3 분이다. 또한, 연신 설비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연신 후에 열 고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텐터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도>
본 반사재는 그대로 반사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반사재를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판으로서 유용하다.
이 때, 본 반사재를 적층하는 금속판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판이나 스테인리스판, 아연 도금 강판 등을 들 수 있다.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본 반사재를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 융착하는 방법, 접착성 시트를 개재하여 접착하는 방법, 압출 코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 또는 수지판 (합쳐서 「금속판 등」이라고 한다) 의 반사재를 첩합(貼合)시키는 측의 면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반사재를 첩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 설비를 사용하여, 반사재를 첩합시키는 금속판 등의 표면에, 건조 후의 접착제 막두께가 2 ㎛ ∼ 4 ㎛ 정도가 되도록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어서, 적외선 히터 및 열풍 가열로에 의해 도포면의 건조 및 가열을 실시하고, 금속판 등의 표면을 소정 온도로 유지하면서, 즉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반사재를 피복, 냉각시킴으로써, 반사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반사재의 용도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 부재로서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편광 반사 시트, 확산 시트, 도광판, 반사 시트, 광원, 광원 리플렉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반사재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패널이나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사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에지부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의 조사광을 집광하여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갖는 광원 리플렉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용어의 설명>
일반적으로 「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고 평평한 제품으로, 통상적으로, 롤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일컫고 (일본 공업 규격 JIS K 6900), 일반적으로 「시트」란, JIS 에 있어서의 정의상, 얇고,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는 작고 평평한 제품을 일컫는다. 그러나,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성분」으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당해 주성분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허용하는 의미를 포함한다. 이 때, 당해 주성분의 함유 비율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성분 (2 성분 이상이 주성분인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량) 은 조성물 중의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100 % 포함한다) 을 차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X ∼ Y」 (X, Y 는 임의의 숫자) 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의미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크다」 및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다」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X 이상」 (X 는 임의의 숫자) 으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크다」의 의미를 포함하고, 「Y 이하」 (Y 는 임의의 숫자) 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다」의 의미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응용이 가능하다.
<측정 및 평가 방법>
우선은,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샘플의 각종 물성값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필름의 인취 (흐름) 방향을 MD, 그 직교 방향을 TD 로 표시한다.
(공극률)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미연신 필름 밀도」로 표기한다) 와 연신 후의 필름의 밀도 (「연신 필름 밀도」로 표기한다) 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대입하여 필름의 공극률 (%) 을 구하였다.
공극률 (%) = {(미연신 필름 밀도 - 연신 필름 밀도)/미연신 필름 밀도}× 100
(평균 반사율)
분광 광도계 (「U-3900H」, (주) 히타치 제작소 제조) 에 적분구를 장착하고, 알루미나 백판(白板)을 100 % 로 하였을 때의 반사율을, 파장 420 ㎚ ∼ 700 ㎚ 에 걸쳐 0.5 ㎚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값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평균 반사율 (%) 로 하였다.
(반사재의 물결 주름 평가)
20 인치형 TV 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도 1 참조) 를 본뜬 SUS 판에 대하여, SUS 판과 반사재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반사재 (샘플) 를 첩부(貼付)하고, 80 ℃ 의 열풍 오븐에 투입하였다. 3 시간 후에 꺼내,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그 후, SUS 판과 반사재 사이의 거리 (SUS 판에 대하여 반사재가 몇 ㎜ 물결 주름져 있는지) 를 측정하였다.
(내절 강도)
MIT 내마모 피로 시험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샘플을, 길이 10 ㎝, 폭 10 ㎜ 로 절단하여, 9.8 N 의 하중을 가하고, 왕복 절곡 속도 175 rpm, 흔들림각 좌우 135°의 조건하에서, 절단에 이르기까지의 절곡 횟수를 측정하였다.
(3 차원 표면 조도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 (Sa))
하기의 장치, 조건에 의해, 반사재 (샘플) 의 표면 (수지층 B) 을 관찰하여, 얻어진 화상에 대하여 해석을 실시하고, 산술 평균 조도 (이하 「Sa」로 표기한다) 를 계산하였다. 또한, 계산시에는, JIS B 0601 : 2001 에 준거하였다.
장치 : 전자선 3 차원 조도 해석 장치 「ERA-4000」 (엘리오닉스사 제조)
증착 조건 : 10 ㎃ × 100 sec, Pt-Pd 증착
가속 전압 : 10 ㎸
관찰 배율 : 250 배
해석 에어리어 : 360 (㎛) × 480 (㎛)
(광 확산성)
하기의 장치 및 조건에 의해, 반사재 (샘플) 의 반사광 강도를 측정하고, 다음의 식에 대입하여, 정반사 성분과 확산 반사 성분의 강도비를 계산하였다.
반사 성분 강도비 α = Σ(-5 도 ∼ 5 도의 반사광 강도)/Σ(25 도 ∼ 35 도의 반사광 강도)
반사 성분 강도비 β = Σ(55 도 ∼ 65 도의 반사광 강도)/Σ(25 도 ∼ 35 도의 반사광 강도)
장치 : 자동 변각 광도계 「GP-1R 형」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사 제조)
광원 : 할로겐 램프
광속 조리개 직경 : 10.5 ㎜
수광 조리개 직경 : 4.5 ㎜
광 입사 방향 : 필름의 TD
광 입사각 : -30 도
반사광의 수광 측정 범위 : -30 도 ∼ 90 도
측정 간격 : 1 도
상기 반사 성분 강도비 α 및 β 를 하기 평가 기준에 비추어, 광 확산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단, 기호 「○」, 및 「△」는 실용 레벨 이상이다.
= 평가 기준 =
「○」 : 반사 성분 강도비 α 및 β 가 모두 0.5 이상
「△」 : 반사 성분 강도비 α 혹은 β 중 어느 것이 0.5 이상
「×」 : 반사 성분 강도비 α 및 β 가 모두 0.5 미만
<실시예 1>
(수지층 (A)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작)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4 g/10 min)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 2230」, 밀도 4.2 g/㎤, 루틸형 산화티탄, Al, Si 표면 처리, TiO2 함유량 96.0 %, 제조법 : 염소법) 을, 50 : 5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70 ℃ 에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제작하였다.
(수지층 (B)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작)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ZEONOR 1430R」, 밀도 (ASTMD792) : 1.01 g/㎤,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133 ℃, SP 값 : 7.4)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ZEONOR 1060R」, 밀도 (ASTMD792) : 1.01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14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100 ℃, SP 값 : 7.4)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EA9」,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0.5 g/10 min, SP 값 : 8.0) 의 펠릿을, 50 : 25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3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작하였다.
(반사재의 제작)
상기 수지 조성물 A, B 를 각각, 200 ℃, 230 ℃ 로 가열된 압출기 A 및 B 에 공급하고, 각 압출기에 있어서, 200 ℃ 및 23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B) 의 3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30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225 ㎛ (수지층 (A) : 185 ㎛, 수지층 (B) : 20 ㎛ 적층비 A : B = 4.6 : 1)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공극률, 평균 반사율, 반사재의 물결 주름, 내절 강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극률에 관해서는, 수지층 (A) 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즉, 수지 조성물 A 를 압출기 A 에 공급하여, 상기 조작에 따라, 수지층 (A) 만의 단층 필름 (두께 185 ㎛) 을 얻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작에 있어서,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ZEONOR 1430R」, SP 값 : 7.4) 의 펠릿,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EA9」, SP 값 : 8.0) 의 펠릿을, 75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 또한 실시예 1 의 반사재의 제작에 있어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38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하고, 추가로 138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8 ㎛ (수지층 (A) : 190 ㎛, 수지층 (B) : 19 ㎛ 적층비 A : B = 5 : 1)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수지층 (A)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작)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4 g/10 min, SP 값 : 8.0)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 2230」, 밀도 4.2 g/㎤, 루틸형 산화티탄, Al, Si 표면 처리, TiO2 함유량 96.0 %, 제조법 : 염소법) 을 50 : 5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70 ℃ 에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제작하였다.
(수지층 (B)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작)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C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50」,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밀도 (ISO 1183) : 1.01 g/㎤, MFR (230 ℃, 21.18 N, JIS K 7210 : 1.2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127 ℃, SP 값 : 7.4)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1060R」,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밀도 (ISO 1183) : 1.01 g/㎤, MFR (230 ℃, 21.18 N, JIS K 7210) : 12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 7121) : 100 ℃, SP 값 : 7.4)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0.5 g/10 min, SP 값 : 8.0) 의 펠릿을, 50 : 25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3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작하였다.
(반사재의 제작)
상기 수지 조성물 A, B 를 각각, 200 ℃, 230 ℃ 로 가열된 압출기 A 및 B 에 공급하고, 각 압출기에 있어서, 200 ℃ 및 23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B) 의 3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30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225 ㎛ (수지층 (A) : 191 ㎛, 수지층 (B) : 17 ㎛, 적층비 A : B = 5.6 : 1)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산술 평균 조도 (Sa) 및 광 확산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수지층 (A)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작)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4 g/10 min, SP 값 : 8.0)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 2230」, 밀도 4.2 g/㎤, 루틸형 산화티탄, Al, Si 표면 처리, TiO2 함유량 96.0 %, 제조법 : 염소법) 을 50 : 5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70 ℃ 에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제작하였다.
(수지층 (B)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작)
스티렌계 공중합체 (토요 스티렌사 제조, 상품명 「T080」,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밀도 (ISO 1183) : 1.07 g/㎤, 유리 전이 온도 (Tg) (JIS K-7121) : 123 ℃, MFR (200 ℃, 49 N, JIS K-7210) : 1.7 g/10 min, SP 값 : 10.6)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 K 7112) : 0.9 g/㎤, MFR (230 ℃, 21.18 N, JIS K-7210) : 2.4 g/10 min, SP 값 : 8.0) 의 펠릿을, 75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3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작하였다.
(반사재의 제작)
상기 수지 조성물 A, B 를 각각, 200 ℃, 230 ℃ 로 가열된 압출기 A 및 B 에 공급하고, 각 압출기에 있어서, 200 ℃ 및 23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B) 의 3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30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225 ㎛ (수지층 A : 191 ㎛, 수지층 B : 17 ㎛, 적층비 A : B = 5.6 : 1)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 ∼ 4 의 반사재에 대하여, 공극률, 평균 반사율, 물결 주름 및 내절 강도의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3 및 4 의 반사재에 대하여, SP 값의 절대값의 차, Sa, 반사 성분 강도비 및 광 확산성의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01741236-pct00002
Figure 112013001741236-pct00003
표 3 의 결과로부터, SP 값이 상이하고, 그 차의 절대값이 0.3 ∼ 3.0 (cal/㎤)0. 5 의 범위에 있는 2 종의 수지를 블렌드함으로써, 표면 조도 (Sa) 를 0.5 ㎛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높은 광 확산성을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P 값의 차의 절대값과, 표면 조도 (Sa) 의 상관 관계가 보이는 점에서, 블렌드 수지의 SP 값의 절대값의 차가 표면 조도 (Sa) 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블렌드 수지에 대하여, SP 값의 차의 절대값을 고려하면서, 블렌드하는 수지를 선택함으로써, 내열성과 내절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반사재의 수지층 B 에 있어서, SP 값의 절대값의 차가 특정 범위에 있는 블렌드 수지를 사용하여, 특정의 표면 조도 (Sa) 로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광 확산성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고예 1 및 2 를 참조).
<참고예 1>
(수지층 B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작)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C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50」, SP 값 : 7.4)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1060R」, SP 값 : 7.4) 의 펠릿을, 67 : 33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3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작하였다.
(2 축 연신 시트의 제작)
상기 수지 조성물 B 를 230 ℃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압출기에 있어서 23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30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180 ㎛ 의 2 축 연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연신 시트에 대하여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산술 평균 조도 (Sa) 와 광 확산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참고예 2>
(수지층 B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작)
스티렌계 공중합체 (토요 스티렌사 제조, 상품명 「T080」, SP 값 : 10.6) 의 펠릿을 그대로, 수지 조성물 B 로 하였다.
(반사재의 제작)
상기 수지 조성물 B 를, 가열 온도 190 ℃, 프레스압 2 ㎫, 가압 시간 10 분, 냉각 시간 15 분의 조건에서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여, 두께 180 ㎛ 의 프레스 시트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프레스 시트에 대하여 참고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참고예 1 및 2 의 시트에 대하여, SP 값의 절대값의 차, Sa, 반사 성분 강도비 및 광 확산성의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01741236-pct00004
참고예 1 및 2 는 본 반사재의 수지층 (B) 를 비블렌드 수지로 한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이들 경우에서는, 단체 수지이기 때문에 SP 값에 차가 없고, 표 4 에 나타낸 반사 성분 강도비로부터도 광 확산성을 발현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반사재의 수지층 (B) 가 광 확산성을 발현하려면, 블렌드 수지에 의해, 수지층 (B) 의 표면 조도 (Sa) 를 0.5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내부에 공극을 갖는 수지층 (A) 의 적어도 편면에,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의 절대값의 차가 0.3 ∼ 3.0 (cal/㎤)0.5 인 2 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 (B) 를 구비하고,
    수지층 (B) 는,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가 상이한 열가소성 수지의 조합에 의해, 3 차원 표면 조도의 산술 평균 조도 (Sa) 가 0.5 ㎛ 이상으로 되어 있고,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의 절대값의 차가 0.3 ∼ 3.0 (cal/㎤)0.5 인 2 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수지 전체의 7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수지 중 적어도 1 종이 유리 전이 온도 (JIS K 7121) 가 85 ∼ 150 ℃ 인 비정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성 수지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가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반사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공극률이 20 % 이상 7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가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 (B) 가 반사재의 반사 사용면인 최외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각 층 합계 두께비가 (A) : (B) = 3 : 1 ∼ 15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KR1020137000453A 2010-07-16 2011-07-12 반사재 KR101455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1446 2010-07-16
JP2010161446 2010-07-16
JPJP-P-2011-002741 2011-01-11
JP2011002741 2011-01-11
PCT/JP2011/065898 WO2012008456A1 (ja) 2010-07-16 2011-07-12 反射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652A KR20130043652A (ko) 2013-04-30
KR101455542B1 true KR101455542B1 (ko) 2014-10-27

Family

ID=4546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453A KR101455542B1 (ko) 2010-07-16 2011-07-12 반사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39255B2 (ko)
KR (1) KR101455542B1 (ko)
CN (1) CN103003067B (ko)
TW (1) TWI482706B (ko)
WO (1) WO2012008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6408B2 (ja) * 2013-11-05 2018-07-11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4406083A (zh) * 2014-10-15 2015-03-11 巢湖市金鼎盛电子灯饰有限公司 一种新型柔性霓虹管管灯
WO2017013976A1 (ja) * 2015-07-21 2017-01-26 東レ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KR101673848B1 (ko) * 2016-05-12 2016-11-08 인스엘이디 주식회사 고반사율의 반사갓 및 이를 포함한 led 조명 장치
CN109975902A (zh) * 2017-12-27 2019-07-05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用反射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403A (ko) * 2004-05-31 2007-04-27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광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장치
JP2010241005A (ja) * 2009-04-07 2010-10-28 Mitsubishi Plastics Inc 白色積層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8339B2 (ja) * 2000-04-26 2011-05-25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
JP4933060B2 (ja) * 2004-05-31 2012-05-16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5399894B2 (ja) * 2007-03-29 2014-01-29 三菱樹脂株式会社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9013384A (ja) * 2007-07-09 2009-01-22 Nippon Paint Co Ltd 易滑性アンチブロッキング光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基材上に被覆硬化した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構造体およびその製法
WO2009096261A1 (ja) * 2008-02-01 2009-08-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光拡散性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118088A (ja) * 2009-12-02 2011-06-16 Konica Minolta Opto Inc 長尺状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403A (ko) * 2004-05-31 2007-04-27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광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장치
JP2010241005A (ja) * 2009-04-07 2010-10-28 Mitsubishi Plastics Inc 白色積層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03067B (zh) 2015-03-04
TWI482706B (zh) 2015-05-01
CN103003067A (zh) 2013-03-27
WO2012008456A1 (ja) 2012-01-19
TW201213129A (en) 2012-04-01
JP5739255B2 (ja) 2015-06-24
KR20130043652A (ko) 2013-04-30
JP2012158167A (ja)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703B1 (ko) 반사재
KR101455542B1 (ko) 반사재
JP6424474B2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JP6072754B2 (ja) 反射材
KR101597482B1 (ko) 반사재
WO2016167149A1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JP2011237572A (ja) 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フィルム
WO2013108562A1 (ja) 反射材
JP6459951B2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JP7521211B2 (ja) 反射材
JP2020011430A (ja) 反射材
JP2019117225A (ja) 反射材
JP2013148607A (ja) 反射材
JP7547748B2 (ja) 反射材
JP2024054898A (ja) 反射フィルム
CN113631967A (zh) 反射材料
WO2020196760A1 (ja) 反射材
JP2012096494A (ja) 反射材
JP2020060671A (ja) 反射材
JP2013148605A (ja) 反射材
JP2012096493A (ja) 反射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