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372A -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372A
KR20150004372A KR1020147031423A KR20147031423A KR20150004372A KR 20150004372 A KR20150004372 A KR 20150004372A KR 1020147031423 A KR1020147031423 A KR 1020147031423A KR 20147031423 A KR20147031423 A KR 20147031423A KR 20150004372 A KR20150004372 A KR 2015000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main surface
electric pole
electro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971B1 (ko
Inventor
아키라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원더 퓨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원더 퓨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원더 퓨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0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조작성이 우수한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제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는 주면부와 측면부와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면부는 주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 중의 적어도 1개의 측면부는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주면부에는 제1 전극렬과 제2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는 측면부에는 제3 전극렬과 제4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극렬의 단부 또는 상기 제3 전극렬의 단부에, 제1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전극렬의 단부 및 상기 제4 전극렬의 단부에, 제2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적어도 한쪽은 측면부의 경계를 통과하고 있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Description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TOUCH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AND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각종 전자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측에 탑재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을 투과해서 시인(視認)되는 표시 장치의 표시 내용에 따라서 입력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입력 기구(예를 들면 터치팬 등)나 인간의 손가락 등에 의하여, 터치면의 임의의 위치가 지정(접촉 또는 접근)된다. 이에 따라 입력이 행해진다. 이러한 터치 패널로서, 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이나,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패널이 알려져 있다.
상기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패널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전극이 영상 표시 영역(터치 또는 접근에 의한 입력 영역)의 이차원(x, y)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검출 전극은, 예를 들면 결정질(또는, 비결정질)의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혹은, 도전 세선(細線)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은 투명 유리(또는, 투명 수지 필름)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양면(또는, 편면)에 설치되어 있다. 영상 비(非) 표시 영역(표시 영역의 외측의 영역(베젤 영역))에 상기 검출 전극에 접속된 인출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 회로 패턴은 상기 검출 전극이 형성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에 관한 다수의 보고가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터치 패널을 표면과 측면을 구비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당해 터치 패널의 표면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위치 검출면을 형성하고, 당해 터치 패널의 측면에는 전극과 당해 전극을 외부에의 취출부(取出部)에 접속하는 리드 회로를 형성하고, 당해 터치 패널의 표면을 LCD의 표면에, 상기 측면을 LCD의 측부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베젤 대응 터치 패널」의 기재가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투명 기체와, 상기 투명 기체의 한쪽의 주면(主面)에 형성된 제1 도전부와, 상기 투명 기체의 다른 쪽의 주면에 접하는 제2 도전부를 갖는 도전 시트이고, 상기 제1 도전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제1 세선 도전성 패턴을 갖고, 상기 제2 도전부는, 각각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제3 방향과 직교하는 제4 방향으로 배열된 2 이상의 제2 세선 도전성 패턴을 갖고, 상기 제1 세선 도전성 패턴은, 도전성의 세선부와 그 세선 상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 정전 용량 감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 세선 도전성 패턴은, 도전성의 세선부와 당해 세선 상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2 정전 용량 감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세선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세선 도전성 패턴은, 상기 도전 시트를 투시했을 때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세선 도전성 패턴은 대략 선 형상이며, 또한 그 세선부의 선 폭(a)은 0.1∼25㎛이며, 상기 제1 및 제2 정전 용량 감지부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 시트」의 기재가 있다. 「도전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기재도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측면에 설치되는 입력부(측면 입력부)를 갖는 휴대 전화기」「측면 입력부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 및 복수의 검출 전극에 의하여 구성되며,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에 터치 센서의 검출 전극을 복수 설치함으로써 측면 입력부를 실장(實裝)」의 기재가 있다.
비특허문헌 1에는 「터치 패널의 시장과 재료 기술 동향」에 대한 기재가 있다.
일본국 특개2010-14641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2-53644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4493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7290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2-8868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316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2-17419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2-14629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2-14169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17533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15456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0-262557호 공보
덴키소시고교카이, 「터치 패널의 시장과 재료 기술 동향」, 나카타니 겐지, 전기 유리, 45호, pp. 7∼13(2011년 4월)
종래의 터치 패널은, 그 최대 면적을 갖는 주면(액티브 영역 :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 터치 패널의 터치 입력 영역)의 외측의 영역(비 액티브 영역 :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비 표시 영역 : 터치 패널의 터치 입력 영역 밖 : 광불투과성(光不透過性)의 의장 인쇄층이 형성된 의장 영역 : 가식(加飾) 영역 : 베젤 영역 : 새시 영역)에 인출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 액티브 영역(베젤 영역)의 면적은 무시할 수 없다. 터치 패널의 측면부가 터치 입력 영역으로서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종래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터치 위치(입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투명 전극이 최대 면적을 지닌 면(터치 패널 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면에 인출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 회로 패턴은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 회로 패턴이 형성된 베젤 영역은 표시 영역이 아니다. 상기 표시 영역(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터치 패널 주면의 베젤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 주면에 차지하는 표시 영역(입력 영역)의 비율을 크게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큰 표시면을 필요로 할 경우, 터치 패널 주면의 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입력 영역이 터치 패널 주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때문에, 터치 패널의 조작성에 한계가 있었다.
ITO(IZ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에 있어서는, 고광투과율화(高光透過率化)와 저저항화(低抵抗化)는 상반되는 특성이다. 고광투과율과 저저항의 양립은 곤란하다. ITO(IZ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은 단단하며 변형에 약하여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투명 도전막은 플렉서블성이 떨어진다. 즉, 상기 ITO(IZO)제의 투명 도전막이 사용되었을 경우, 기재에 투명 수지 필름이 사용되어도 플렉서블성이 떨어진다.
종래, 터치 패널의 검출 전극을 도전 세선(특히, 도전선을 메시 형상으로 형성한 패턴)으로 구성하는 것은 고안되지 않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렉서블성의 향상 및 광투과성의 향상은 고안되지 않았다. 터치 패널의 1개의 면(주면)에 차지하는 표시 영역(입력 영역)의 비율을 크게 함과 함께, 상기 주면과 교차하는 측면에도 입력 영역이 설치된 터치 패널은 고안되지 않았다. 즉, 복수면에 입력 영역을 구비한 터치 패널은 고안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특히, 본 발명은 주면 및 측면에 입력 영역을 갖는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는, 주면부(主面部)와, 측면부와, 중공부(中空部)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주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존재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연접(連接)해 있고,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대략 직교하는 측면부는 4개 이상 있고,
상기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1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2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주면부는, 주면(主面)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4개 이상의 측면부 중의 적어도 1개의 측면부는,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주면부에는,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電極列)과,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렬 및 상기 제2 전극렬은, 각각, 2개 이상의 섬 형상(island shape) 전극과, 상기 섬 형상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간 배선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는 측면부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3 전극렬과,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4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1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2 전극렬)의 연장(延長) 상(上)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2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1 전극렬)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렬의 단부(端部) 또는 상기 제3 전극렬의 단부에, 제1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렬의 단부 및 상기 제4 전극렬의 단부에, 제2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적어도 한쪽은, 서로 인접해 있는 측면부의 경계인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제1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다른 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3 전극렬의 근원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4 전극렬이 따르고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는 상기 인출 배선은, 상기 케이스체의 내면측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와,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는,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은,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실질적으로 겹쳐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가시광 차폐층이, 상기 주면 입력 영역 밖의 주면부 및/또는 상기 측면 입력 영역 밖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투명 수지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하드 코팅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투명 수지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하드 코팅층이, 상기 투명 수지층 표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보강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주면 입력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 형상 전극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주면 입력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렬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주면 입력 영역 및 상기 측면 입력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렬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도체는, Ag, Au, Cu, Al의 군 중에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금속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외부 접속 단자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 중 한쪽은, 스루홀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 중 다른 쪽은, 스루홀을 통하지 않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로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표면은 카본에 의해 덮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는, 주면부와, 측면부와,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주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존재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연접해 있고,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대략 직교하는 측면부는 4개 이상 있고,
상기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1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2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주면부는, 주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4개 이상의 측면부 중의 적어도 1개의 측면부는,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주면부에는,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과,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렬 및 상기 제2 전극렬은, 각각, 2개 이상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섬 형상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간 배선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는 측면부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3 전극렬과,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4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1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2 전극렬)의 연장 상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2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1 전극렬)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렬의 단부 또는 상기 제3 전극렬의 단부에, 제1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렬의 단부 및 상기 제4 전극렬의 단부에, 제2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적어도 한쪽은, 서로 인접해 있는 측면부의 경계인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전극렬, 상기 제2 전극렬, 상기 제3 전극렬, 상기 제4 전극렬,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이, 상기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에, 형성되는 도체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도체 패턴 형성 공정 후, 상기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이, 상기 케이스체로, 성형되는 성형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전극렬, 상기 제2 전극렬, 상기 제3 전극렬, 상기 제4 전극렬,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이, 상기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에, 형성되는 도체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도체 패턴 형성 공정 후, 상기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이, 상기 케이스체로, 성형되는 성형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다른 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3 전극렬의 근원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4 전극렬이 따르고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는 상기 인출 배선은, 상기 케이스체의 내면측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와,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는,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은,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실질적으로 겹쳐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체 패턴 형성 공정 후이며, 상기 성형 공정 전에 있어서, 가시광 차폐층이, 상기 주면 입력 영역 밖의 주면부 및/또는 상기 측면 입력 영역 밖의 측면부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투명 수지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하드 코팅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부 상에 배설(配設)된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를 제안한다.
정보 입력 영역이 주면 및 측면에 있으며 우수한 조작성을 갖고, 입출력 일체형 장치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 얻어진다.
도 1은 터치 패널 성형체(A)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 2는 터치 패널 필름(a)의 평면도.
도 3은 섬 형상 전극 및 인출 배선의 요부 확대도(평면도).
도 4는 의장 인쇄층의 평면도.
도 5는 터치 패널 필름(a)의 평면도.
도 6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사시도.
도 7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및 배면도.
도 8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하면도.
도 9는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의 설명도.
도 10은 터치 패널 단자부의 설명도.
도 11은 터치 패널 성형체(B)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 12는 입출력 일체형 장치(Ⅱ)의 설명도.
도 13은 터치 패널 성형체(C)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 14는 입출력 일체형 장치(Ⅲ)의 설명도.
도 15는 터치 패널 성형체(D)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 16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의 사시도.
도 17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및 배면도.
도 18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의 하면도.
도 19는 의장 필름의 평면도.
도 20은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의 사시도.
도 21은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및 배면도.
도 22는 입출력 일체형 장치(Ⅳ)의 설명도.
도 23은 터치 패널 성형체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 24는 터치 패널 필름(b)의 평면도.
도 25는 터치 패널 필름(c)의 평면도.
도 26은 터치 패널 필름(d)의 평면도.
도 27은 터치 패널 필름(e)의 평면도.
도 28은 터치 패널 필름(f)의 평면도.
제1 본 발명은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이다. 제1 실시형태가 되는 터치 패널은 케이스체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체는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체는 주면부와, 측면부와, 중공부를 구비한다. 상기 중공부는 상기 주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둘러싸이는) 영역에 존재한다. 상기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연접해 있다. 상기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다. 상기 대략 직교하는 측면부는 4개 이상 있다. 상기 4개 이상의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1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다. 상기 4개 이상의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2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다르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예를 들면 대략 직교해 있다. 상기 주면부는 주면 입력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4개 이상의 측면부 중의 적어도 1개의 측면부는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한다. 모든 측면부가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부의 수가 N(4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하면, (N-1)개 또는 (N-2)개 이하의 수의 측면부가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주면부에는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과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렬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렬 및 상기 제2 전극렬은 각각 2개 이상의 섬 형상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섬 형상 전극간은 전극간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는 측면부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3 전극렬과,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4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1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2 전극렬)의 연장 상에 설치되어 있다. 연장 상이란, 주면부(상기 제1, 2 전극렬의 형성면)와 측면부(상기 제3, 4 전극렬의 형성면)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으로 했을 경우(예를 들면, 케이스 성형 전인 필름 상태의 경우), 상기 전극렬이 동일 선상(예를 들면, 일직선상)에 있다는 것이다.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2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1 전극렬)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전극렬은 그 전극렬에 있어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섬 형상 전극을 구비한다. 섬 형상 전극이 1개인 경우여도 이 섬 형상 전극은 상기 제1 전극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섬 형상 전극 및 상기 전기적 접속 부분을 가지므로, 전극렬의 단어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섬 형상 전극이 2개 이상인 경우는, 상기 섬 형상 전극간은 전극간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3 전극렬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4 전극렬은 2개 이상의 섬 형상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섬 형상 전극간은 전극간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전극렬(또는, 상기 제3 전극렬)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상기 제2 전극렬의 단부 및 상기 제4 전극렬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적어도 한쪽은, 서로 인접해 있는 측면부의 경계인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다.
상기 제1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다른 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3 전극렬의 근원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4 전극렬이 따르고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도 설명된다.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상기 필름)의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로 다른 면은 표면과 이면이다. 상기 제3 전극렬 및 상기 제4 전극렬은, 이 전극렬들의 기초가 되는 전극렬이 상기 제1 전극렬인 경우, 상기 제1 전극렬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같은 측의 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3 전극렬 및 상기 제4 전극렬은, 이 전극렬들의 기초가 되는 전극렬이 상기 제2 전극렬인 경우, 상기 제2 전극렬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같은 측의 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다음의 (1)(2)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1) 상기 제1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상기 필름)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상기 필름)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렬의 연장 상에 있는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상기 필름)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렬의 연장 상에 있는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상기 필름)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렬을 따르고 있는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상기 필름)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렬을 따르고 있는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상기 필름)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2) 상기 제1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상기 필름)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상기 필름)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렬의 연장 상에 있는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상기 필름)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렬의 연장 상에 있는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상기 필름)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렬을 따르고 있는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상기 필름)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렬을 따르고 있는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상기 필름)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렬 및 상기 제2 전극렬이 모두 상기 주면부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제3 전극렬 및 상기 제4 전극렬이 모두 상기 측면부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된다.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은 서로 전기적으로 비접촉이어야만 한다.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은 서로 전기적으로 비접촉이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양자의 교차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전극렬, 상기 제2 전극렬, 상기 제3 전극렬, 및 상기 제4 전극렬은, 전부가 상기 필름의 일면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이 설치된 면과,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이 설치된 면은, 서로 달라도 된다. 그러나,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필수이다. 따라서,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필수 요건이 아닌 상기 실시형태(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은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되어 있음)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와,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는,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은, 실질적으로 서로 겹쳐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면 입력 영역에 있어서 광투과율이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해진다. 표시면에 있어서의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정전 용량의 변화가 거의 같은 검출 감도로 효율적으로 검출된다. 상기 제3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제4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관계는,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관계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기 제3 전극렬 및 상기 제4 전극렬은 측면부에 형성된다. 측면부에 있어서의 투광성은 주면부에 있어서의 투광성과 같이는 요구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제4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겹치는 곳도 있다. 물론, 겹쳐 있지 않은 경우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시광 차폐층이 상기 주면 입력 영역 밖의 주면부(및/또는 상기 측면 입력 영역 밖의 측면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수지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드 코팅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수지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설치되고, 하드 코팅층이 상기 투명 수지층 표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부의 내측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면부의 상기 섬 형상 전극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부의 상기 섬 형상 전극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전극간 배선도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부의 상기 전극간 배선도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전극렬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된다. 도체부가 메시 형상이면 그만큼 광투과율이 높다. 즉, 시인성이 좋다. 상기 도체는 Ag, Au, Cu, Al의 군 중에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금속에 의하여 구성된다. 2개 이상의 금속이란 합금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접속 단자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 중 한쪽은, 스루홀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 중 다른 쪽은, 스루홀을 통하지 않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카본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는 상기 인출 배선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체의 내면측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을 케이스체로 성형했을 경우, 상기 인출 배선의 연신이 일어나기 어렵다. 상기 인출 배선의 단선이 일어나기 어렵다.
제2 본 발명은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의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도체 패턴 형성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도체 패턴 형성 공정은, 상기 제1 전극렬, 상기 제2 전극렬, 상기 제3 전극렬, 상기 제4 전극렬,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이,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에 형성되는 공정이다. 각각의 도체 패턴은 동시에(또는, 순번대로) 형성된다. 상기 방법은 성형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성형 공정은, 상기 도체 패턴이 형성된 상기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이, 상기 케이스체로 성형되는 공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도체 패턴 형성 공정 후이며, 상기 성형 공정 전에 있어서, 가시광 차폐층이, 상기 주면 입력 영역 밖의 주면부 및/또는 상기 측면 입력 영역 밖의 측면부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공정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투명 수지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공정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하드 코팅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공정을 더 구비한다.
제3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부 상에 배설되어 있다.
상기 도체 패턴 형성 공정(제1 공정)의 종료 후, 상기 성형 공정(제2 공정)에 앞서,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의 적어도 한쪽이 형성된 상기 필름의 한쪽의 면에, 가시광을 차폐하며, 또한 의장을 부여하는 의장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의장 인쇄층을 형성하기 위한 의장 필름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부품 개수가 적어진다.
필름 인서트 성형과 필름 인몰드 성형에 의하여, 상기 가열 포밍체의 외면에 투명 수지층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투명 수지층의 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상자체 및 하드 코팅층의 형성을, 필름 인서트 성형과 필름 인몰드 성형을 1회 행하는 성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조 효율이 양호하다.
필름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상기 가열 포밍체의 외면에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자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층을 가열 포밍체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의 종료 후에, 전기 절연성 수지제의 고리 형상 보강 프레임을 상기 중공부의 내벽에 접해서 설치하는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져 변형에 강한 터치 패널이 얻어진다.
상기 제2 공정에 앞서 실행되며,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고, 가시광을 차폐하며, 또한 의장을 부여하는 의장 인쇄층이 불투명 영역으로서 형성되고, 투명한 영역이 상기 지시체에 의하여 위치가 지정되는 상기 주면 입력 영역 및 상기 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는 의장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의장 필름을 가열 포밍해서, 상기 주면부에 대응하는 제2 주면부와, 적어도 4개의 상기 측면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2 측면부를 가지며, 상자 형상의 상기 가열 포밍체에 대응하는 제2 가열 포밍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필름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상기 필름의 가열 포밍체와 상기 제2 가열 포밍체 사이에,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필름의 가열 포밍체에 대하여,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각종 패턴을 갖는 의장 인쇄층을 준비함으로써, 상자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층으로 필름의 가열 포밍체와 제2 가열 포밍체를 일체화시켜, 목적으로 하는 패턴의 의장 인쇄층을 갖는 터치 패널이 얻어진다.
상기 필름의 한쪽의 면에 상기 제1 전극렬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의 상기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면에 상기 제2 전극렬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필름의 한쪽의 면에 제1 전극렬 및 제2 전극렬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단순한 공정에 의하여 제1 전극렬 및 제2 전극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렬 및 상기 제2 전극렬의 각 복수 열의 각 열의 말단의 상기 섬 형상 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상기 인출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상기 한쪽의 면 또는 상기 다른 쪽의 면에서 상기 인출 배선의 종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인출 배선 또는 상기 단자부에 스루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한쪽의 면 또는 다른 쪽의 면에서 외부 회로와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제1 전극렬 및 제2 전극렬에 대한 신호의 송수(送受)를 행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 얻어진다.
상기 스루홀의 내부에 카본을 충전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단자부를 카본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 또는 상기 인출 배선을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와 같은 재료에 의하여 상기 단자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부를 덮는 보호층으로서 카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자부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단자부가 Ag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Ag의 산화나 마이그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의 측면부의 한쪽 또는 쌍방에, 상기 제3 전극렬을,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제1 전극렬이 연장되는 상기 제3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섬 형상 전극이 상기 전극간 배선을 개재해서 이루어지는 전극렬을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제2 전극렬에 평행하게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의 측면부의 한쪽에, 상기 제3 전극렬을,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제2 전극렬이 연장되는 상기 제3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섬 형상 전극이 상기 전극간 배선을 개재해서 이루어지는 전극렬을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제1 전극렬에 평행하게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지시체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는 측면 입력 영역을 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주면 입력 영역 및 측면 입력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전극렬에 대하여, 공통의 외부 회로에 의하여 신호의 송수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과 상기 인출 배선을, Ag, Au, Cu, Al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열 포밍체의 형성에 있어서, 인출 배선에 인가되는 인장력, 압축력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이 인출 배선들에 전기적 접속의 중단이 생기기 어렵다.
상기 제1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의 측면부와 상기 제2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의 측면부의 한쪽의 적어도 1개에 형성된 상기 인출 배선의 종단부에, 단자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의 측면부의 한쪽에 형성된 상기 인출 배선의 종단부에, 단자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인출 배선 및 단자부는 측면부에 형성된다. 터치 패널의 주면부의 대부분의 영역을 주면 입력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베젤 영역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출력 일체형 장치는, 상기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터치 패널과,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표시 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에서는, 상기 필름의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이 교차해서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렬의 상기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렬의 상기 섬 형상 전극이 분리되어, 번갈아서 2차원으로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표시면이기도 한 주면 입력 영역에 있어서, 광투과율이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한 것이 된다. 표시면에 있어서의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주면 입력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거의 같은 검출 감도로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그 한쪽의 면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의 일부가 이루는 면, 및 적어도 4개의 상기 측면부의 각각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가시광을 차폐하며, 의장을 부여하는 의장 인쇄층을 갖고, 상기 필름의 가열 포밍체는 상기 의장 인쇄층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의장 인쇄층에 의하여, 주면부에 주면 입력 영역을, 측면부에 측면 입력 영역을 대략 투명한 광투과성을 갖는 개구부로서 남기고, 터치 패널의 나머지 부분에 정보의 인쇄 표시, 장식이나 의장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가열 포밍체의 외면에 형성된 투명 수지층과, 이 투명 수지층의 면에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상자체를 투명 수지층에 의해 형성하여, 터치 패널의 내부를 보호하고, 하드 코팅층에 의하여 터치 패널의 최외부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필름의 가열 포밍체의 외면에 형성된 투명 수지층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자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층을 필름의 가열 포밍체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상기 중공부의 내벽에 접해서 설치된 전기 절연성 수지제의 고리 형상 보강 프레임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져 변형에 강한 터치 패널이 얻어진다.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고, 가시광을 차폐하며, 의장을 부여하는 의장 인쇄층이 불투명 영역으로서 형성되고, 투명한 영역이 상기 지시체에 의하여 위치가 지정되는 상기 주면 입력 영역 및 상기 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는 의장 필름을 가열 포밍해서, 상기 주면부에 대응하는 제2 주면부와, 적어도 4개의 상기 측면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자 형상의 상기 필름의 가열 포밍체에 대응하는 제2 가열 포밍체를 갖고, 필름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투명 수지층을 상기 필름의 가열 포밍체와 상기 제2 가열 포밍체 사이에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한 가열 포밍체에 대하여,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각종 패턴을 갖는 의장 인쇄층을 준비함으로써, 상자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층을 제2 가열 포밍체와 일체화시켜, 목적으로 하는 패턴의 의장 인쇄층을 갖는 터치 패널이 얻어진다.
상기 제1 전극렬이 상기 필름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렬이 상기 필름의 상기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면에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필름의 한쪽의 면에 제1 전극렬을 형성하고, 필름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면에 제2 전극렬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단순한 공정에 의하여 제1 전극렬 및 제2 전극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렬 및 상기 제2 전극렬의 각 복수 열의 각 열의 말단의 상기 섬 형상 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상기 인출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부가, 상기 한쪽의 면 또는 상기 다른 쪽의 면에서 상기 인출 배선의 종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인출 배선 또는 상기 단자부에 스루홀이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한쪽의 면 또는 다른 쪽의 면에서 외부 회로와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가능해져, 제1 전극렬 및 제2 전극렬에 대한 신호의 송수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스루홀의 내부에 카본이 충전되며, 상기 단자부가 카본 또는 상기 인출 배선을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와 같은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를 덮는 보호층으로서 카본층이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자부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단자부가 Ag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Ag의 산화나 마이그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의 측면부의 한쪽 또는 쌍방에, 상기 제3 전극렬이,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제1 전극렬이 연장되는 상기 제3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섬 형상 전극이 상기 전극간 배선을 개재해서 이루어지는 전극렬이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제2 전극렬에 평행하게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의 측면부의 한쪽에, 상기 제3 전극렬이,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제2 전극렬이 연장되는 상기 제3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섬 형상 전극이 상기 전극간 배선을 개재해서 이루어지는 전극렬을 상기 주면부의 상기 제1 전극렬에 평행하게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지시체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는 측면 입력 영역을 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주면 입력 영역 및 측면 입력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전극렬에 대하여, 공통의 외부 회로에 의하여 신호의 송수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의 측면부와 상기 제2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 측면부의 한쪽의 적어도 1개에 형성된 상기 인출 배선의 종단부에, 단자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상기 2개의 측면부의 한쪽에 형성된 상기 인출 배선의 종단부에, 단자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인출 배선 및 단자부는 측면부에 형성된다. 터치 패널의 주면부의 대부분의 영역을 주면 입력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베젤 영역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과 상기 인출 배선이, Ag, Au, Cu, Al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열 포밍체의 형성에 있어서, 인출 배선에 인가되는 인장력, 압축력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이 인출 배선들에 단선이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의 입출력 일체형 장치는, 주면 입력 영역 및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 성형체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는 터치 패널과, 그 중공부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표시 장치를 갖는다. 조작성이 우수하다.
<용어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어가 설명된다.
·「터치 패널」 : 터치 패널은 표시 장치에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가 방해되지 않고 유저에 의한 터치 조작이 검출되는 장치이다. 터치 패널은, 최대 면적부(주면부 : 주면)와, 이것에 연접하는 측면부(측면)를 구비한다. 상기 측면부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4개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주면부와 상기 측면부(4개의 측면부)에 의하여, 그 내측에 직방체 형상의 중공 구조(중공 공간, 중공부)를 지닌다. 따라서, 상기 터치 패널은 케이스 형상(상자 형상)의 입체 형상이다. 상기 주면부 및 측면부에는, 섬 형상 전극, 전극간 배선, 인출 배선, 단자부가 필요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에는 입력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필름」 : 터치 패널 필름은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에는, 섬 형상 전극, 전극간 배선, 인출 배선, 단자부, 의장 인쇄층이 필요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터치 패널 성형체」 : 섬 형상 전극 등이 형성된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이, 각종 성형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수지 성형체이다.
·「지시체」 : 예를 들면 도전성의 터치팬 등의 입력 기기이다. 혹은, 유저의 손가락이다. 유저가, 터치 패널의 주면부(측면부)에 있어서의 입력 영역의 임의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터치(터치 입력)」 : 지시체가 터치 패널에 대하여 접촉(또는, 접근)하는 것이다.
·「터치면」 : 상기 지시체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하여 접촉(또는, 접근)하는 면이다.
·「터치 위치」 : 상기 지시체의 접촉(또는, 접근)에 의하여 지시된 위치이다.
·「주면 입력 영역」 : 상기 지시체에 의해 위치가 지정되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영역이다.
·「측면 입력 영역」 : 상기 지시체에 의해 위치가 지정되는 상기 측면부에 있어서의 영역이다.
·「의장 인쇄층」 : 의장 인쇄층은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에 형성된다. 의장 인쇄층이 형성된 영역은 불투명 영역이다. 불투명 영역은 가시광을 차폐한다. 불투명 영역에는 의장이 형성되어 있다.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는 투명한 영역이 입력 영역이다. 의장 인쇄층은 터치 패널의 주면 입력 영역이나 측면 입력 영역의 외측(주위 : 새시부 : 베젤부)에 형성된다. 의장 인쇄층에는 원하는 문자 정보, 도안 기호에 의한 정보가 표시된다.
·「의장 필름」 : 상기 의장 인쇄층이 형성된 필름이다.
·「하드 코팅층」 : 터치 패널의 최외층(투명 수지 케이스, 혹은 의장 필름)에 소정의 강도(경도)를 부여하는 보호층이다. 상기 보호층에 의해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이 확보된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섬 형상 전극」 : 지시체의 접촉(또는, 접근)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이다. 접촉 검지 전극이라 불린다. 검출 전극이라고도 불린다. 섬 형상 전극의 형상은, 예를 들면 삼각형, 정방형, 직사각형, 마름모꼴(정각(頂角)은 90°여도 90° 이외여도 됨), N(N은 5 이상의 정수) 각형(角形), 원형, 타원형 등을 들 수 있다.
·「전극간 배선」 : 인접하는 섬 형상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배선)이다.
·「인출 배선」 : 섬 형상 전극과 터치 패널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배선)이다.
·「메시 형상 도체」 : 형태가 메시 형상인 도체(배선)이다. 상기 섬 형상 전극은 메시 형상 도체이다. 상기 전극간 배선도 바람직하게는 메시 형상 도체이다. 상기 인출 배선도 메시 형상 도체여도 된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 : 메시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 패턴이다.
·「터치 패널 단자부」 : 터치 패널의 측면부에 형성된 인출 배선의 종단부에 접속해서 형성된 입출력용의 단자부이다.
·「가열 포밍」 : 필름을 가열·연화시켜서 케이스(상자형) 형상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진공 성형(금형과 필름의 사이를 진공으로 하여 필름을 금형에 밀착시켜서 성형하는 진공 성형), 압공(壓空) 성형(필름을 가열 연화시키고 압축 공기의 힘으로 필름을 금형을 따르게 해서 성형하는 압공 성형) 등에 의한다.
·「가열 포밍체」 : 가열 포밍에 의하여 형성된 성형체이다.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 : 터치 패널 필름이 가열 포밍되어 형성된 성형체이다.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 : 의장 필름이 가열 포밍되어 형성된 성형체이다.
·「필름 인몰드 성형」 : 이형재(離型材)(박리재) 처리된 박리성 필름에 원하는 층(예를 들면 임시 경화된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 필름이 금형 내에 삽입되고, 용융 유동 상태의 성형용 수지가 금형 내에 주입되어 고화(固化)한다. 이에 따라, 표면에 원하는 층이 전사된 성형체가 얻어진다.
·「제1 방향」 : 터치 패널의 주면 입력 영역이 직사각형인 경우, 주면 입력 영역의 장변(長邊) 방향이 제1 방향이다. 도면에서는 y 방향(좌우 방향)이다. 주면 입력 영역이 정방형인 경우는, 주면 입력 영역의 어느 하나의 변의 방향이 제1 방향이다.
·「제2 방향」 : 터치 패널의 주면 입력 영역이 직사각형인 경우, 주면 입력 영역의 단변(短邊) 방향이 제2 방향이다. 도면에서는 x 방향(상하 방향)이다.
·「제3 방향」 : 도면이 표시되는 지면(紙面)에 수직 방향(안길이) 방향이 제3 방향이다. 도면에서는 z 방향이다. 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은 예를 들면 서로 직교해 있다. 그러나, 엄격한 직교는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교차 각도가 85°∼ 95°의 거의 직교여도 된다.
이하, 도면이 참조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단, 본 발명은 상술한 작용·효과가 만족되는 구성이면 된다.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도면은 알기 쉽게 묘사되어 있다. 축척은 엄밀하게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다.
[실시형태]
우선, 공통 사항이 설명된다.
<투영형 정전 용량 결합 방식 터치 패널>
본 발명은, 특히, 투영형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터치 패널이 표시 장치에 조립된 장치(입출력 일체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터치 패널은 전자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사용된다. 상기 터치 패널은 표시 장치(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면에 탑재된다. 상기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 성형체이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성형체의 터치면(예를 들면 주면)을 투과해서 시인되는 표시 장치의 표시 내용에 따라서, 지시체(예를 들면 터치팬이나 손가락 등의 도전체)의 터치면에의 접촉(접근 : 위치 지시)에 의해, 전자 기기의 각종 조작(예를 들면 입력 등)이 행해지는 장치이다.
상기 터치 패널에는 섬 형상 전극이 전기 절연성 투명 필름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필름의 양면(표면과 이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름 표면에 2개 이상의 섬 형상 전극이 x 방향(또는, y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름 이면에 2개 이상의 섬 형상 전극이 y 방향(또는, x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름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상기 섬 형상 전극은 격자 형상(이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필름 표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과, 필름 이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은, 실질적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의 섬 형상 전극에 의해, (x, y) 위치에서의 용량 변화가 순차 검출되면, 멀티 터치의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 섬 형상 전극은, 터치 패널 성형체의 주면과, 이 주면과 교차하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유저 터치에 의한 정보 입력 영역으로서, 주면에 형성된 주면 입력 영역과, 측면에 형성된 측면 입력 영역이 있다. 터치 입력 영역은 주면과 측면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의 주요한 구성 요소[터치 패널 성형체(A)∼(D)]의 공통 사항>
터치 패널[후술하는 터치 패널 성형체(A)∼(D)]의 공통 사항이 설명된다.
(터치 패널 성형체)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 필름의 가열 포밍체(터치 패널 성형체)이다. 상기 터치 패널 성형체는, 최대 면적부인 주면(x-y-z 좌표계에 있어서의 (xy)면), 상기 주면에 대략 직교하는 측면(상기 좌표계에 있어서의 (xz)면), 상기 주면에 대략 직교하는 측면(상기 좌표계에 있어서의 (yz)면)을 지닌다. 상기 (xy)면은 예를 들면 1개이다. 상기 (xz)면은 예를 들면 2개이다. 상기 (yz)면은 예를 들면 2개이다. 상기 주면과 상기 측면으로 구성되는 영역은 중공부(중공 공간)이다.
상기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 또는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이다.
(xz)면 및 (yz)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 및 상기 (xy)면에는 섬 형상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섬 형상 전극은 전극간 배선에 의하여 직렬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xy)면의 표면에는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이 x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xy)면의 이면에는 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이 y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배열은 표면과 이면에서 반대여도 된다.
상기 (xz)면에 섬 형상 전극렬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xz)면의 섬 형상 전극렬은, 예를 들면 상기 y 방향 배열의 섬 형상 전극렬이 형성된 필름이 90°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yz)면에 섬 형상 전극렬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yz)면의 섬 형상 전극렬은, 예를 들면 상기 x 방향 배열의 섬 형상 전극렬이 형성된 필름이 90°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xy)면의 섬 형상 전극렬은 상기 필름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렬의 일부이다. 상기 (xz)면의 섬 형상 전극렬은 상기 필름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렬의 일부이다. 상기 (xz)면의 섬 형상 전극렬은 예를 들면 상기 (xy)면의 섬 형상 전극렬의 연장 상에 존재한다. 상기 (yz)면의 섬 형상 전극렬은 상기 필름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렬의 일부이다. 상기 (yz)면의 섬 형상 전극렬은 예를 들면 상기 (xy)면의 섬 형상 전극렬의 연장 상에 존재한다.
상기 필름의 표면측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필름의 이면측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은, 실질적으로 서로 겹쳐 있지 않다. 광투과성(시인성)의 관점에서, 표면측의 섬 형상 전극과 이면측의 섬 형상 전극의 중첩되는 영역(면적)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중첩되는 영역(면적)은 영(零)이다. 정전 용량의 관점에서, 상기 섬 형상 전극이 겹치지 않는 영역(면적)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겹쳐 있지 않은 영역(면적)은 약간 존재한다.
상기 (xz)면 및 상기 (yz)면의 적어도 1개의 면에 인출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xz)면과 하나의 (yz)면(상기 2개의 면은 인접하며 또한 이어져 있음)의 쌍방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 배선은, 예를 들면 상기 (xz)면의 섬 형상 전극렬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출 배선은, 예를 들면 상기 (yz) 이면의 섬 형상 전극렬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출 배선의 말단부에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와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의 한쪽의 FPC 접속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FPC 접속 단자는 터치 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투영형의 정전 용량 결합 방식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터치 패널은 각종 정보의 입력 장치로서 기능하는 장치이다. 터치 패널의 주면에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의 주면 입력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측면((xz)면, (yz)면)의 적어도 1개의 측면에 직사각형상의 측면 입력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주면 입력 영역 및 측면 입력 영역에 대한 지시체의 터치에 의하여 지시된 터치 위치가, 터치 패널의 표면측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과, 터치 패널의 이면측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자기(自己) 용량 방식 또는 상호 용량 방식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검지된다.
터치 패널의 주면에는 액티브 영역이 구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 액티브 영역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액티브 영역은 터치에 의하여 각종 정보가 입력되는 영역이다. 상기 액티브 영역은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투명한 투광성 영역(주면 입력 영역 : 터치 입력 영역)이다. 상기 비 액티브 영역은 주면 입력 영역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의 영역(베젤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 액티브 영역은 광불투과성의 의장 인쇄층이 형성된 의장 영역(가식 영역)이다. 비 액티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어도 이 터치 입력은 검출되지 않는다. 터치 패널의 측면에는 액티브 영역과 비 액티브 영역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의 액티브 영역은 측면 입력 영역이다.
주면 입력 영역에 대한 지시체의 터치 위치의 자기 용량 방식(상호 용량 방식)에 의한 검출의 설명이 이루어진다.
자기 용량 방식에서는, 주면((xy)면)의 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에 대하여, 순번대로 터치 위치 검출을 위한 전압 신호가 공급된다. 주면((xy)면)의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에 대하여, 순번대로 터치 위치 검출을 위한 전압 신호가 공급된다. 터치 위치에 대향하는 주면의 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A, 및 주면의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B와, GND(그라운드) 사이의 용량이 증가하므로, 섬 형상 전극렬 A 및 섬 형상 전극렬 B로부터의 전달 신호의 파형이, x 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A 및 y 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B의 조합 이외의 x 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A' 및 y 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B'로부터의 전달 신호의 파형과 다른 파형으로 된다. 터치 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는, 섬 형상 전극렬(주면의 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및 주면의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로부터 공급된 전달 신호에 의거해서 터치 위치를 연산한다.
상호 용량 방식에서는, 예를 들면 주면의 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에 대하여, 순번대로 터치 위치 검출을 위한 전압 신호가 공급되고, 주면의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에 대하여, 순번대로 센싱(전달 신호의 검출)이 행해진다. 터치 위치에 대향하는 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A와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B 사이의 기생 용량에 대하여, 병렬로 지시체의 부유 용량이 가해진다.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B로부터의 전달 신호의 파형은, y 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B 이외의 y 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B'로부터의 파형과는 다른 파형이다. 따라서, 터치 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는, 전압 신호를 공급하고 있는 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의 순번과, 공급된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로부터의 전달 신호에 의거해서 터치 위치를 연산한다.
상기 자기 용량 방식(또는,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위치 검출 방법이 채용됨으로써, 주면 입력 영역에, 동시에 2개의 지시체가 접촉(또는 접근)해도 터치 위치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해서, 측면 입력 영역에 대한 지시체의 터치 위치의 검출이 가능하다.
(메시 형상 도체가 형성되는 터치 패널 필름,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는 의장 필름)
터치 패널 필름(의장 필름)은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이다. 이 필름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에스테르계 수지류(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피렌(PP) 등), 비닐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예를 들면, EVA 등), 폴리카보네이트(P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스티렌(PS), 환상 올레핀 고분자(COC), 폴리우레탄(PU),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PET를 들 수 있다.
상기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300㎛이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광투과율,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150㎛이다.
(메시 형상 도체의 형성 방법)
메시 형상 도체(그물코 형상 도체)의 대표적인 형성 방법이 설명된다. 섬 형상 전극이나 전극간 배선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 형상 도체로 구성된다. 상기 인출 배선도 상기 메시 형상 도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메시(높은 개구율)이면 광투과율이 높다.
(1) 도전성 잉크의 인쇄에 의한 방법
도전성 나노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전성 잉크가 투명 필름면 상에 메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인쇄(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그라비어 인쇄,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디스펜서 인쇄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도전성 나노 입자는 예를 들면 평균 입자경이 2㎛ 이하(바람직하게는 200∼500㎚)인 도전성 입자이다. 상기 입자의 재료는 예를 들면 Ag, Au, Pt, Cu, Al, 또는 카본이다. 바인더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메시 형상 도체는 도전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도전 잉크의 인쇄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폴리페닐렌비닐렌 등을 들 수 있다.
(2) 도체 박막의 에칭에 의한 방법
수지 필름면 상에 도체 박막이 형성된다. 상기 도체 박막 상에 메시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다. 레지스트 패턴으로부터 노출되는 도체 박막이 에칭 제거된다. 이에 따라 메시 형상 도체가 얻어진다. 상기 박막은,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 도금법에 의해 형성된다. 수지 필름에 맞붙여진 금속 박막이어도 된다. 도체 박막은 예를 들면 Au, Ag, Cu, Al 등의 박막이다.
도체 박막은 도전성 고분자로 형성되는 막이어도 된다. 상기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상기 고분자를 들 수 있다.
(3) 마스크를 사용한 금속 증착 박막에 의한 방법
금속 박막은 예를 들면 Au, Ag, Cu 또는 Al 박막이다.
(4) 은염(銀鹽)을 사용한 도전성 은 형성법에 의한 방법
수지 필름면 상에 감광성 할로겐화 은염과 바인더를 함유하는 감광 재료가 도포된다. 패턴 노광 및 현상이 행해진다. 노광부에 세선(細線)으로 이루어지는 은이 형성되고, 미(未) 노광부에 광투과성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메시 형상 도체(Ag)가 형성된다.
(메시 형상 도체(도체 세선)의 선 폭, 피치, 두께 치수)
섬 형상 전극이나 전극간 배선을 구성하는 도체 세선의 선 폭, 도체 세선의 피치, 도체 세선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면 10㎛∼50㎛, 100㎛∼1000㎛, 2㎛∼10㎛이다. 이러한 메시 형상 도체는, 도체 세선의 선 폭이 가늘며 선 폭에 대한 피치가 크고 눈에 띄기 어려우며 시인성이 향상된다.
메시 형상 도체(섬 형상 전극, 전극간 배선)의 개구율은 표시 화면의 명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개구율은 (메시 형상 도체의 외형 전면적-도체 부분의 면적)/(메시 형상 도체의 외형 전면적)이다.
상기 섬 형상 전극의 외형의 크기는 예를 들면 2㎜∼5㎜이다. 상기 전극간 배선의 외형 폭은 상기 섬 형상 전극의 외형보다 작다.
인접하는 섬 형상 전극(상기 전극간 배선에 의해 접속되는 섬 형상 전극) 사이의 거리(섬 형상 전극의 외형을 이루는 변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면 20㎛∼100㎛이다.
인출 배선(도체 세선)의 치수, 피치, 두께는, 상기 섬 형상 전극의 치수, 피치, 두께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체 세선의 선 폭, 피치, 두께는 각각 50㎛∼200㎛, 100㎛∼1000㎛, 10㎛∼50㎛여도 된다.
인출 배선은 섬 형상 전극렬로부터의 신호가 외부 회로에 전달되는 배선이다. 인출 배선은 높은 도전율을 갖는 도전 재료로 구성된다. 인출 배선은 메시 형상이다. 그러나 메시 형상에 한하지 않는다. 비(非) 메시(솔리드) 배선이어도 된다.
인출 배선의 연장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터치 패널 단자부, 및 고립 배선(터치 패널 필름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는 인출 배선이, 터치 패널 필름에 형성된 스루홀 내의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는, 터치 패널 필름의 다른 쪽의 면에 형성되는 고립 배선)은 메시 형상이다. 그러나, 메시 형상에 한하지 않는다. 소위, 솔리드 배선이어도 된다.
(의장 인쇄층)
의장 인쇄층은 광불투과성의 새시나 외곽선 문자 등의 인쇄가 실시된 층이다. 상기 의장 인쇄층은 상기 입력 영역(액티브 영역 : 터치 입력 영역)의 외측의 영역(비 액티브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의장 인쇄층은 의장 필름에 형성된다. 의장 필름으로서, 터치 패널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이 사용된다. 이 필름의 편면에 의장 인쇄층이 형성된다.
상기 의장 인쇄층은 인쇄(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그라비어 인쇄, 잉크젯 인쇄 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인쇄 두께는 예를 들면 2㎛∼10㎛이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에 직접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의장 인쇄층의 내측의 영역이 표시 영역(입력 영역)이다. 이 경우 의장 필름은 사용되지 않는다.
의장 인쇄층이 형성된 의장 필름과,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이 적층된 태양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터치 패널 성형체(D)여도 된다.
(하드 코팅층)
터치 패널(투명 수지 케이스(혹은, 의장 필름))의 최외층에 하드 코팅층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 하드 코팅층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20㎛이다. 하드 코팅층의 재료에는, 예를 들면 니데크사제의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제 Acier를 들 수 있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 (Ⅱ), (Ⅲ), (Ⅳ)의 공통 사항>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 (Ⅱ), (Ⅲ), (Ⅳ)의 공통 사항이 설명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표시 장치가 조합되어 입출력 일체화 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입출력 일체화 장치는, 터치 패널 성형체, 표시 장치, 터치 패널 성형체와 표시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 등의 접속 도체, 터치 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 표시 유닛 제어·신호 처리 회로, 입출력 일체화 장치 제어·신호 처리 회로 등을 구비한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LCD)이다.
터치 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는, 이것으로부터 송신되는 구동 신호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며, 터치 패널 성형체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한다. 터치 패널 성형체로부터의 신호 혹은 이 신호의 처리 결과는 표시 장치에 송신된다. 표시에 필요한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다. 처리 결과는 표시 유닛 제어·신호 처리 회로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표시 장치(표시면)에 표시된다. 입출력 일체화 장치 제어·신호 처리 회로는 입출력 일체화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상기 입출력 일체화 장치 제어·신호 처리 회로는 장치 전체에 관련되는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회로이다. 상기 입출력 일체화 장치 제어·신호 처리 회로는, 터치 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 및 표시 유닛 제어·신호 처리 회로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터치 패널과 조합되는 표시 장치는 문자 정보,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출력 장치이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면과 표시 유닛 제어·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표시면은, 영상을 출력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이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을 구비한다. 표시 유닛 제어·신호 처리 회로는, 출력 표시되어야 할 영상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영상 정보에 의거해서 표시 장치를 구동시킨다. 표시 장치는 표시 유닛 제어·신호 처리 회로의 제어 신호에 의거해서 소정의 영상을 표시면에 표시한다.
터치 패널의 주면은 표시 장치(표시면) 위쪽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터치 패널의 주면에 설치된 주면 입력 영역(터치 입력 영역, 액티브 영역)은 표시 장치(표시면)의 표시 영역에 상대하여 배치된다. 터치 패널의 주면에 설치된 비 액티브 영역은 표시 장치의 비 표시면의 표시 영역에 상대하여 배치된다. 유저는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투광성의 주면 입력 영역을 통하여 관찰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의 크기)
입출력 일체형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을 들 수 있다. 이 단말의 외형 치수는 가로 70㎜∼80㎜, 세로 130㎜∼150㎜, 두께 8㎜∼100㎜이다. 표시 장치(표시면)의 표시 영역의 형상, 및 상기 표시 장치(표시면)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의 주면 입력 영역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예를 들면 가로 방향 길이가 60㎜∼70㎜, 세로 방향 길이가 90㎜∼120㎜이다. 측면 입력 영역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예를 들면, 가로 측면에서는 두께 방향 길이가 8㎜∼10㎜, 가로 방향 길이가 50㎜∼60㎜이다. 세로 측면에서는 두께 방향 길이가 8㎜∼10㎜, 세로 방향 길이가 80㎜∼110㎜이다.
터치 패널은 표시 장치와 조합되어 사용된다. 터치 패널은 주면 입력 영역과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한다. 터치 입력 영역은 복수면에 있다. 인출 배선의 대부분은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주면의 대부분은 주면 입력 영역으로 된다. 따라서, 주면 입력 영역은 큰 표시면을 지닌다. 상기 터치 패널은 큰 표시면을 지닌 표시 장치에 사용된다. 큰 표시면을 지닌 입출력 일체화 장치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의 조작성은 우수하다.
(표시 장치의 예)
상기 터치 패널이 조합되는 표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LED 디스플레이 장치, 무기 LED 디스플레이 장치, 일렉트로크로믹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장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의 예)
상기 입출력 일체형 장치는, 예를 들면 일반 가전품(세탁기, 냉장고, 텔레비전 등), 휴대 전화기, 카 내비게이션 장치, 가반형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형 미디어 플레이어, 전자 북리더 장치, 태블릿 단말, 게임기, 전자 사전, 현금 자동 입출금기, 각종 이화학 기기를 비롯한 산업용 기기에 사용된다.
유저는, 상기 입출력 일체형 장치의 출력 표시 화면을 참조하면서, 같은 출력 표시 화면을 입력면으로 하여, 여기에 지시체(터치팬 등의 입력 기구나 손가락 등)로 터치한다. 상기 터치에 의하여, 출력 표시 화면의 임의의 위치가 지시된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종 조작 조건이 출력 표시 화면에서 선택된다. 혹은, 각종 조작 조건이 출력 표시 화면에 수치 입력된다. 각종 조작 조건에 대응해서 측면 입력 영역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키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키가 선택되어 각종 전자 장치에 그 운전 조건이 지시된다.
상기 터치 패널은, 주면과 측면의 양면에 터치 입력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조건의 지시에, 주면 입력 영역과 측면 입력 영역의 어느 하나의 면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조작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하,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입출력 일체형 장치가 설명된다.
<터치 패널 성형체(A)로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
<터치 패널 성형체(A)>
터치 패널(터치 패널 성형체(A))는 다음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도 1 참조).
도 1은 터치 패널 성형체(A)의 제조 공정 도면이다. 도 1의 (a)는, 터치 패널 필름에 섬 형상 전극과 인출 배선이 형성되는 공정과,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진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의 (b1)은, 도 1의 (a)의 필름이 가열 포밍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진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터치 패널 성형체)(α)의 사시도이다. 도 1의 (b2)는 도 1의 (b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의 (c)는 필름 인서트 성형과 필름 인몰드 성형의 공정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의 (d)는 금형으로부터 성형체가 취출된 후의 하드 코팅 재료 본 경화 공정에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의 (e1)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판(FPC) 접속 터치 패널 성형체(A)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의 (e2)는 Y-Y선 단면도이다.
터치 패널 필름(40)의 표면 및 이면에, 섬 형상 전극, 전극간 배선, 인출 배선, 인출 배선의 말단의 터치 패널 단자부(18), 스루홀(19)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었다(도 1의 (a) 참조). 상기 전극간 배선, 상기 인출 배선, 및 상기 스루홀은 도 1의 (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스루홀(19)은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의 단부의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형성되었다. 상기 섬 형상 전극에 의하여 터치 위치가 검출된다.
20은 터치 패널 필름(40)의 표면에 형성된 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이다. 30은 터치 패널 필름(40)의 이면에 형성된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이다. 21, 31은 섬 형상 전극의 사이를 접속하는 배선(전극간 배선)이다. 21은 터치 패널 필름(40)의 표면에 형성된 x 방향의 전극간 배선이다. 31은 터치 패널 필름(40)의 이면에 형성된 y 방향의 전극간 배선이다. 전극렬(1, 2, 3, 4)은 상기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전극간 배선으로 구성된다. 전극렬(1)은, 상기 터치 패널 필름(40)의 중앙 위치(도 1의 (b1)에 있어서는, (xy)면)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렬(2)은, 상기 터치 패널 필름(40)의 중앙 위치(도 1의 (b1)에 있어서는, (xy)면)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렬(3)은, 상기 터치 패널 필름(40)의 왼쪽 위치(도 1의 (b1)에 있어서는, (xz)면) 및 위쪽 위치(도 1의 (b1)에 있어서는, (yz)면)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렬(4)은, 상기 터치 패널 필름(40)의 왼쪽 위치(도 1의 (b1)에 있어서는, (xz)면) 및 위쪽 위치(도 1의 (b1)에 있어서는, (yz)면)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22, 32는 인출 배선이다. 22는 터치 패널 필름(40)의 표면에 형성된 x 방향의 인출 배선이다. 32는 터치 패널 필름(40)의 이면에 형성된 y 방향의 인출 배선이다. 10은 주면 입력 영역이다. 15a, 15b는 측면 입력 영역이다. 12는 주면(주면 영역)이다. 43은 의장 인쇄층이다. 18은 터치 패널 단자부이다.
의장 인쇄층(43)이 터치 패널 필름(40)의 표면에 형성되었다. 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 인출 배선(22, 32),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이 얻어졌다. 이 터치 패널 필름은 후술하는 도 2∼도 5, 도 10에 의하여 설명된다.
최종적으로 형성된 터치 패널에 있어서, 주면 입력 영역(10), 측면 입력 영역(15a, 15b)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도 1의 (a) 참조).
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 인출 배선(22, 32),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에 대하여, 터치 패널 단자부(18)(y 방향의 인출 배선(32)의 단부의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스루홀(19)이 형성되어도 된다. 터치 패널 단자부(18)(y 방향의 인출 배선(32)의 단부의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스루홀(19)이 형성된 후에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어도 된다.
도 1의 (a)에서 얻어진 필름이 가열 포밍되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50α)가 얻어졌다(도 1의 (b1)(b2) 참조).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나 의장 인쇄층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도 1의 (a) 참조)이, 가열 연화·냉각 고화(固化)되기 전에 형틀에 세팅되었다. 진공압이나 압축 공기에 의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자(케이스)가 성형되었다. 그 후, 불필요 부분이 트리밍(마감 가공, 펀칭 가공)되었다. 이에 따라, 내부에 직방체 형상의 중공부(63)를 갖는 상자형의 필름 중간품(중공부(63)의 외부의 면에 의장 인쇄층(43)을 갖는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이 얻어졌다(도 1의 (b1)(b2) 참조). 이 가열 포밍체(α)(50α)가 설명된다(후술하는 도 6 참조).
도 1의 (a), 도 1의 (b)에서는, 섬 형상 전극(20, 30)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시인(視認)되지 않는다. 그러나, 구성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표면이나 이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20, 30)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섬 형상 전극을 접속하는 전극간 배선(21, 31)은 생략되어 있다. z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표면의 섬 형상 전극(20)과 이면의 섬 형상 전극(30)이 인접하는 사이의 간극도 생략되어 있다(도 2, 도 5, 도 6, 도 7, 도 8, 도 11의 (a), 도 11의 (b), 도 13의 (a), 도 13의 (b), 도 15의 (a), 도 15의 (b), 도 15의 (e), 도 16, 도 17의 (b), 도 18, 도 24∼도 28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필름 인서트 성형과 필름 인몰드 성형에 의하여 터치 패널 성형체(A)(50A)가 얻어졌다(도 1의 (c) 및 도 1의 (d) 참조).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와 하드 코팅 재료의 임시 경화층(45a)이 표면에 형성된 박리성 필름(46)이 사용되어, 필름 인서트 성형과 필름 인몰드 성형이 행해졌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 성형체(A)(50A)가 얻어졌다.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중공부(63)의 내면이 볼록 형상 금형(91a)의 볼록 형상부에 세팅되었다.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외면과 오목 형상 금형(91b)의 오목 형상부 사이에, 하드 코팅 재료의 임시 경화층(45a)이 표면에 형성된 박리성 필름(46)이 세팅되었다. 그 후, 볼록 형상 금형(91a)과 오목 형상 금형(91b)이 형틀 맞춤(형틀 체결, 형틀 폐쇄)되었다(도 1의 (c) 참조). 유동화한 성형 수지 재료(투명 수지(60))가, 박리성 필름(46)에 형성된 하드 코팅 재료의 임시 경화층(45a)과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 외면 사이에 사출 충전되었다. 동시에 박리성 필름(46)의 면으로부터 성형 수지 재료의 면에 임시 경화층(45a)이 전사되었다. 냉각 고화 후 금형의 형틀 개방이 행해지고 성형체가 취출되었다.
금형으로부터 취출된 성형체의 하드 코팅 재료의 임시 경화층(45a)이 본 경화되었다. 하드 코팅층(45), 성형 수지 재료에 의한 투명 수지 케이스(62),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삼자가 일체화되었다. 의장 인쇄층(43)이 터치 패널 필름(40)과 투명 수지 케이스(62)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터치 패널 성형체(A)(50A)가 얻어졌다(도 1의 (d) 참조).
도 1의 (c)에서는 금형의 세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볼록 형상 금형(91a), 오목 형상 금형(91b)에는 성형체의 금형으로부터의 형틀 뽑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뽑기 구배(句配)가 구성되어 있다. 가열 용융한 성형 수지 재료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또한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코너(모서리)부는 곡면이다. 성형체에 있어서, 두께가 t인 투명 수지 경화체의 2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곡률 반경(R)은 모서리부의 내면측에서 R1=(1/t), 모서리부의 외면측에서 R2=(1.5/t)이다. 예를 들면, t=0.5㎜로 하면, R1=0.25㎜, R2=0.75㎜이다. 상기 뽑기 구배, 모서리부의 곡률 반경(R)은, 볼록 형상 금형(93a, 95a, 95b, 97a) 및 오목 형상 금형(93b, 95c, 97b)에도 형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70)의 한쪽의 FPC 단자부는, 터치 패널 성형체(A)(50A)의 (zy)면으로 노출되는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접속되어 있다(도 1의 (e) 참조).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70)의 다른 쪽의 FPC 단자부는, 표시 장치(90), 터치 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100), 표시 유닛 제어·신호 처리 회로(110), 입출력 일체형 장치 제어·신호 처리 회로(120) 등의 회로가 실장되는 실장 기판(92)의 실장 기판 단자(72)에 접속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9 참조).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70)이 접속되는 터치 패널 단자부(18)의 근방 부분의 구조는 후술된다(도 10 참조).
(터치 패널 필름에의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의 형성)
도 2는 섬 형상 전극, 인출 배선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a)의 평면도이다.
터치 패널 필름(40)의 표면에는 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20)의 전극렬이 형성되었다. 상기 섬 형상 전극(20)과 상기 섬 형상 전극(20)은 x 방향의 전극간 배선(21)에 의하여 접속되었다. 상기 전극렬은 y 방향으로 복수 열(예를 들면 10렬)이 형성되었다. x 방향의 인출 배선(22)이 상기 섬 형상 전극(20)의 전극렬의 말단 위치에 접속되었다.
터치 패널 필름(40)의 이면에는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30)의 전극렬이 형성되었다. 상기 섬 형상 전극(30)과 상기 섬 형상 전극(30)은 y 방향의 전극간 배선(31)에 의하여 접속되었다. 상기 전극렬은 x 방향으로 복수 열(예를 들면 6렬)이 형성되었다.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이 상기 섬 형상 전극(30)의 전극렬의 말단 위치에 접속되었다.
터치 패널 필름(40)의 표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20)과, 이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30)은, z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서로 겹치지 않는다. 즉, 간격을 두고 격자 형상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섬 형상 전극(20, 30)의 형태는 각각, 정각이 90°인 마름모꼴이다.
터치 패널 필름(40)의 표면에 x 방향의 인출 배선(22)(및,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이 접속되는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형성되어 있다.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은 스루홀(19)을 통하여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접속되어 있다. 스루홀(19)은 터치 패널 단자부(18)의 임의의 개소(또는, y 방향으로 배열되는 섬 형상 전극(30)의 전극렬의 말단의 섬 형상 전극(30)으로부터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이르기까지의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의 임의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필름(40)의 이면에 x 방향의 인출 배선(22)(및,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이 접속되는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형성되어도 된다. 스루홀(19)이 임의의 개소(x 방향으로 배열되는 섬 형상 전극(20)의 전극렬의 말단의 섬 형상 전극(20)으로부터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이르기까지의 x 방향의 인출 배선(22)의 임의의 개소)에 형성되어도 된다. x 방향의 인출 배선(22)이 스루홀(19)을 통하여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접속되어도 된다.
섬 형상 전극(검출 전극)(20, 30) 및 인출 배선(22, 32)의 저항값이 정밀하게 조정되며, 터치 위치의 위치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취출 배선(22, 32)의 저항값을 조정하기 위한 저항 조정부가 임의의 개소(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측면부에 형성된 인출 배선(22, 32)이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이르기까지의 도중의 임의의 개소)에 설치되어도 된다.
최종적으로 형성된 터치 패널의 주면 입력 영역(10)은 필름(40)의 주면부(12)의 대부분이다. 터치 패널의 측면 입력 영역(15a)의 섬 형상 전극(20)은 필름(40)의 위쪽에 위치해 있다. 터치 패널의 측면 입력 영역(15b)의 섬 형상 전극(30)은 필름(40)의 왼쪽에 위치해 있다(도 2 참조).
도 3은 메시 형상 도체(섬 형상 전극, 전극간 배선, 인출 배선)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의 (a1)은 y 방향의 전극간 배선(31)-섬 형상 전극(30)-전극간 배선(31)-섬 형상 전극(30)-전극간 배선(31)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의 (a2)는 x 방향의 전극간 배선(21)-섬 형상 전극(20)-전극간 배선(21)-섬 형상 전극(20)-전극간 배선(21)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의 (b1)은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의 (b2)는 x 방향의 인출 배선(22)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섬 형상 전극(20)과 섬 형상 전극(20)은 전극간 배선(2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x 방향에 있어서의 말단(단부)의 섬 형상 전극(20)에 인출 배선(22)이 접속되어 있다.
섬 형상 전극(30)과 섬 형상 전극(30)은 전극간 배선(3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y 방향에 있어서의 말단(단부)의 섬 형상 전극(30)에 인출 배선(32)이 접속되어 있다.
섬 형상 전극(20, 30) 및 전극간 배선(21, 32)은 상기 메시 형상 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출 배선(22, 32)도 상기 메시 형상 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인출 배선(22, 32)은 메시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소위 솔리드 배선이어도 된다.
인출 배선(22, 32)의 연장 부분인 터치 패널 단자부(18)도 메시 형상이어도, 메시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섬 형상 전극 및 전극간 배선은, 광투과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메시 형상이다. 특히, 개구율이 90% 이상인 메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선이 시인되기 어려워 표시 화면의 시야가 밝아진다.
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 및 인출 배선(22, 32)은 바람직하게는 메시 형상 도체이다. 그 이유는, 필름을 케이스(상자형)로 성형할 때에, 메시 형상 도체에 단선이 일어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가열 포밍체(α)(β)는 섬 형상 전극, 전극간 배선 및 인출 배선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이 가열 포밍됨으로써 얻어진다. 이때, 메시 형상 도체(섬 형상 전극, 전극간 배선, 인출 배선)가 가열 포밍체의 모서리부(능선부)에 위치해 있어도, 또한 가열 포밍 시에 발생하는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상기 메시 형상 도체에 작용해도, 상기 메시 형상 도체에는 단선이 일어나기 어렵다. 특히, 메시 형상 도체가 Au, Ag, Cu, Al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단선이 일어나기 어렵다.
인출 배선이 솔리드 배선인 경우여도 인출 배선은 Au, Ag, Cu, Al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Au, Ag, Cu, Al 등은 전성(展性)이나 연성(延性)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선이 일어나기 어렵다.
메시 형상 도체는, 상기 방법[예를 들면, (1) 도전 잉크의 인쇄에 의한 방법, (2) 도체 박막의 에칭에 의한 방법, (3) 증착 마스크를 사용한 금속 증착 방법, (4) 은염을 이용한 도전성 은 형성법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터치 패널 필름에의 의장 인쇄층의 형성)
도 4는 터치 패널 필름에 형성하는 의장 인쇄층의 평면도이다.
터치 패널의 주면((xy)면)으로 되는 영역(12)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면 입력 영역(10)이 광투과성의 투명한 개구 영역(44)으로서 형성된다. 이 영역은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다. 상기 개구 영역(44)의 외주 부분에 의장 인쇄층이 형성된다(도 4 참조).
예를 들면, 각종 조작을 위한 안내 키(7)나 투명한 배경이, 측면 입력 영역(15a, 15b)으로 되는 부분(점선으로 표시되는 부분)에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개구 영역(44)의 외주 부분이며, 또한 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지 않는 영역(도 4의 오른쪽 및 아래쪽의 영역)은, 의장 인쇄층(43)으로서 광불투과성의 층이 인쇄된다(도 4 참조).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16)는 개구부이다(도 4 참조). 터치 패널 단자부(18)(도 5 참조)는 상기 개구부(16)로부터 노출된다. 의장 인쇄층은 상기 개구부(16)에 설치되지 않는다(도 4 참조).
도 5는 터치 패널 필름(a)의 평면도이다. 상기 터치 패널 필름(a)에는 섬 형상 전극, 인출 배선, 및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4가 도 2 위에 겹쳐진 도면이다. 따라서 설명은 생략된다.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형성)
도 6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사시도이다.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는 그 내부에 직방체 형상 중공부(63)를 구비한다. 의장 인쇄층이 주면과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주면 입력 영역(x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20), 및 y 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30)이 형성)(10)이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주면부((xy)면)(12)에 형성되어 있다. 의장 인쇄층(43)이 주면 입력 영역(10)의 외주역에 형성되어 있다. 측면 입력 영역(15a, 15b)이 주면((xy)면)에 직교하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의장 인쇄층(43)이 측면 입력 영역(15a, 15b)의 외주역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단자부(18), 및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16)가 상기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19)이 상기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16)에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도 7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배면도이다. 도 7의 (b)는 좌측면도이다. 도 7의 (c)는 평면도이다. 도 7의 (d)는 우측면도이다. 도 7의 (e)는 정면도이다.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는 주면부(12)((xy)면)를 구비한다. 주면 입력 영역(10)이 주면부(12)에 형성되어 있다. 주면 입력 영역(10)은 주면부(12)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측면 입력 영역(15a)이 배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측면 입력 영역(15b)이 좌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단자부(18) 및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16)가 정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19)이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16)에 형성되어 있다. x 방향의 인출 배선(22)과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을 차폐하는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면에는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을 차폐하는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도 8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하면도이다.
x 방향의 인출 배선(22)이 단자부(18a)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출 배선(22)은 x 방향으로 배열된 전극렬의 단부(제6열째)의 섬 형상 전극(2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출 배선(22)은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다. y 방향의 인출 배선(32)이 단자부(18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출 배선(32)은 y 방향으로 배열된 전극렬의 단부(제10열째)의 섬 형상 전극(3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출 배선(32)은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터치 패널(터치 패널 성형체(A)) 및 표시 장치를 구비)가 설명된다.
도 9는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의 설명도이다. 도 9의 (a)는 사시도(하드 코팅층은 도시하지 않음)이다. 도 9의 (b)는 X-X선 단면도이다. 도 9의 (c)는 Y-Y선 단면도이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50Ⅰ)는, 터치 패널 성형체(A)(50A)로 구성된 상측 상자체(67)와, 상기 상측 상자체(67)에 끼워맞추는 하측 상자체(69)를 구비한다. 상기 상측 상자체(67)와 하측 상자체(69)에 의해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된다(도 9 참조).
터치 패널 성형체(A)(50A)의 최외층의 하드 코팅층(45)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도 9의 (a) 참조). 개구 영역(44)은 터치 패널 필름(40)에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투명한 영역이다. 개구 영역(44)은 주면 입력 영역(10)에 대응한다. 섬 형상 전극(20, 30)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실장 기판 단자(72)의 한쪽의 면에 탑재된 표시 장치(90)가 상측 상자체(67)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도 9의 (b), 도 9의 (c) 참조). 상측 상자체(67)와 실장 기판 단자(72)는 접합되어 있다. 터치 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100), 표시 유닛 제어·신호 처리 회로(110), 및 입출력 일체형 장치 제어·신호 처리 회로(120) 등의 회로가, 실장 기판 단자(72)의 다른 쪽의 면에 탑재되어 있다.
한쪽의 FPAC 단자(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70)의 단자)가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FPAC 단자가 실장 기판(92)의 실장 기판 단자부(72)에 접속되어 있다. 실장 기판 단자부(72)와 터치 패널 단자부(18)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7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주면 입력 영역 및 측면 입력 영역에 형성된 전극렬에 대하여, 공통의 외부 회로(100, 110, 120)에 의해서 신호의 송수가 된다(후술하는 도 12, 도 14, 도 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한쪽의 FPAC 단자와 터치 패널 단자부(18) 사이는 예를 들면 이방성 도전 접착제에 의하여 접속된다. 다른 쪽의 FPAC 단자와 실장 기판 단자부(72) 사이는 예를 들면 이방성 도전 접착제에 의하여 접속된다.
한쪽의 FPAC 단자와 터치 패널 단자부(18) 사이, 및 다른 쪽의 FPAC 단자와 실장 기판 단자부(72) 사이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도 9의 (b) 참조). 한쪽의 FPAC 단자와 터치 패널 단자부(18) 사이의 접속의 상세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도 12, 도 14, 도 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이방성 도전 접착제로서는,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한 이방성 도전 필름(ACF :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나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ACP : Anisotropic conductive Paste)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장 기판 단자부(72)와 다른 쪽의 FPAC 단자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이 배치된다. 또는, 실장 기판 단자부(72)와 다른 쪽의 FPAC 단자의 한쪽에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가 도포된 후, 가압하면서 이방성 도전 접착제가 경화된다. 실장 기판 단자부(72)와 다른 쪽의 FPAC 단자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합됨과 함께, 실장 기판(92)과 플렉서블 인쇄 회로판(FPC)(70)이 접합된다.
도 10은 터치 패널 단자부의 설명도이다. 도 10의 (a)는 터치 패널 단자부의 확대 평면이다. 도 10의 (b)는 W-W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의 (b1)은 스루홀 형성 시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b2)는 보호층 형성 후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c)는 터치 패널 단자부와 FPC 단자부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보호층(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호층(34)은 의장 인쇄층(43)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노출 부분, 및 고립 배선(23) 부분을 덮고 있다. 상기 노출 부분은 터치 패널 단자부(18) 근방에서의 노출 부분이다. 상기 노출 부분은 스루홀(19)에 충전된 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인출 배선(73) 및 터치 패널 단자부(75)는 보호층(34)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도 10 참조). 후술하는 도 11, 도 13, 도 15∼도 18, 도 24∼도 28에 도시되는 터치 패널 단자부(18)도 마찬가지이다.
터치 패널 단자부(18)는 인출 배선(32)의 연장 부분이다. 따라서, 터치 패널 단자부(18)는 인출 배선(32)의 단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고립 배선(23)은 인출 배선(22)이 형성된 면에 형성되어 있다. 고립 배선(23)은 인출 배선(22)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고립 배선(23)은 스루홀(19)에 충전된 도체를 통하여 인출 배선(32)에 접속되어 있다(도 10의 (b), 도 10의 (c) 참조).
섬 형상 전극(20, 30), 인출 배선(22, 32),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된 후 스루홀(19)이 형성된다. 상기 스루홀(19)은 고립 배선(23)과 인출 배선(32)의 전기적 접속에 사용된다(도 10의 (b1) 참조).
고립 배선(23)은 인출 배선(22, 32), 터치 패널 단자부(18)와 마찬가지로 메시 형상 도체여도 솔리드 배선이어도 된다.
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 인출 배선(22, 32), 의장 인쇄층(43)이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된 후, 터치 패널 단자부(18), 스루홀(19)이 형성되어도 된다. 터치 패널 단자부(18), 스루홀(19)이 형성된 후에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어도 된다.
카본 잉크가 터치 패널 필름(40)의 양면측으로부터 스루홀(19)에 공급·충전되고, 의장층 인쇄층(43)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보호층(34)이 설치된다. 상기 보호층(34)은, 의장층 인쇄층(43)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지 않은 고립 배선(23), 인출 배선(32), 스루홀(19) 충전 표면 노출 카본(33)을 완전히 덮고 있다. 상기 보호층은 카본 잉크의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도 10의 (b2) 참조).
인출 배선(22, 32) 및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Ag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을 경우, 카본 보호층(34)은 Ag 부분을 완전히 피복하고 있다. 따라서, Ag의 산화나 마이그레이션이 방지된다.
보호층(34)이 설치된 후 의장층 인쇄층(43)이 형성될 경우, 의장층 인쇄층(43)은 보호층(34)에 겹치도록 설치된다.
도 10의 (c)와 도 9의 (b)는 관련되어 있다. 도 10의 (c)는, 터치 패널 단자부(18)와 FPAC 단자부(78) 사이의 접속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형성된 카본 보호층(34)과 FPAC 단자부(78) 사이가 이방성 도전 접착제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Ⅱ)(터치 패널 성형체(B)로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를 구비)>
<터치 패널 성형체(B)>
터치 패널 성형체(B)는 다음의 제조 공정(도 11 참조)을 거쳐 제조된다.
도 11은 터치 패널 성형체(B)의 제조 공정 설명도이다. 도 11의 (a)는, 터치 패널 필름에 섬 형상 전극과 인출 배선이 형성되는 공정과,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진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1의 (b1)은, 도 11의 (a)의 필름이 가열 포밍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진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사시도이다. 도 11의 (b2)는 도 11의 (b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의 (c)는 필름 인서트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의 (d1)은 플렉서블 인쇄 회로판(FPC) 접속 터치 패널 성형체(B)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의 (d2)는 Y-Y선 단면도이다.
도 1의 터치 패널 성형체(A)는 하드 코팅층(45)을 구비한다. 도 11의 터치 패널 성형체(B)는 하드 코팅층(45)을 구비하지 않는다.
도 11의 (a) 및 도 11의 (b)는 도 1의 (a) 및 도 1의 (b)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1의 (a) 및 도 1의 (b)와 마찬가지로 행해졌다. 우선, 터치 패널 필름(40)에 메시 형상 도체 패턴(20, 30, 18)이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었다. 즉, 메시 형상 도체 패턴(20, 30, 18) 및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이 제작되었다. 이 터치 패널 필름이 가열 포밍되어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가 얻어졌다.
필름 인서트 성형이 상기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에 대하여 행해져 터치 패널 성형체(B)가 얻어졌다(도 11의 (c) 참조). 즉,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중공부(63)의 내면이 볼록 형상 금형(93a)의 볼록 형상부에 세팅되었다. 볼록 형상 금형(93a)과 오목 형상 금형(93b)이 형틀 맞춤(형틀 체결, 형틀 폐쇄)되었다. 유동화한 성형 수지 재료(투명 수지(60))가, 오목 형상 금형(93b)의 오목 형상부와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외면 사이에 사출·충전되었다. 냉각 고화 후 금형의 형틀 개방이 행해졌다. 성형체(B)(50B)가 금형으로부터 취출되었다.
상기 터치 패널 성형체(B)(50B)는, 투명 수지 케이스(62)와,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가 일체화된 것이다. 의장 인쇄층(43)이 터치 패널 필름(40)과 투명 수지 케이스(62)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의장 인쇄층(43)은 완전히 봉지(封止)되어 있다.
도 11의 (d)는, 터치 패널 성형체(A)(50A)가 터치 패널 성형체(B)(50B)로 치환된 도면이다(도 1의 (e) 참조). 따라서 상세는 생략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Ⅱ)>
입출력 일체형 장치(Ⅱ)(터치 패널 성형체(B)를 갖는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를 구비)가 설명된다.
도 12는 입출력 일체형 장치(Ⅱ)의 설명도이다. 도 12의 (a)는 X-X선(상기 X-X선 위치와 마찬가지 위치) 단면도이다. 도 12의 (b)는 Y-Y선(상기 Y-Y선 위치 위치와 마찬가지 위치) 단면도이다.
도 12의 입출력 일체형 장치(Ⅱ)(50Ⅱ)는 도 9의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50Ⅰ)와 마찬가지이다. 도 12는 터치 패널 성형체(A)(50A)가 터치 패널 성형체(B)(50B)로 치환된 도면이다(도 1 참조). 따라서 상세는 생략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Ⅲ)(터치 패널 성형체(C)로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를 구비)>
<터치 패널 성형체(C)>
터치 패널 성형체(C)는 다음의 제조 공정(도 13 참조)을 거쳐 제조된다.
도 13은 터치 패널 성형체(C)의 제조 공정 설명도이다. 도 13의 (a)는, 터치 패널 필름에 섬 형상 전극과 인출 배선이 형성되는 공정과,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진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3의 (b1)은, 도 13의 (a)의 필름이 가열 포밍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진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b2)는 도 13의 (b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3의 (c)는 필름 인서트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3의 (d1) 및 도 13의 (d2)는 보강 재료 성형 공정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의 (e1)은 플렉서블 인쇄 회로판(FPC) 접속 터치 패널 성형체(B)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3의 (e2)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판(FPC) 접속 터치 패널 성형체(B)의 Y-Y선 단면도이다.
터치 패널 성형체(C)(50C)는 보강 프레임(96)을 구비한다. 그러나, 터치 패널 성형체(B)(50B)는 보강 프레임(96)을 구비하지 않는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와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마찬가지이다. 터치 패널 성형체(C)(50C)는 터치 패널 성형체(B)(50B)와 마찬가지로 해서 얻어진다. 우선, 메시 형상 도체 패턴(20, 30, 18)이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었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20, 30, 18) 및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이 얻어졌다. 이 필름이 가열 포밍되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가 얻어졌다.
필름 인서트 성형(1차 성형)이 상기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를 사용해서 행해졌다. 그 후, 보강 재료 성형(2차 성형)이 행해졌다. 상기 2단계 성형에 의하여 터치 패널 성형체(C)(50C)가 얻어졌다. 상기 2단계 성형(1차 성형, 2차 성형)에서는 오목 형상 금형(95c)이 공통 금형으로서 사용된다.
우선,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중공부(63)의 내면이 볼록 형상 금형(95a)의 볼록 형상부에 세팅되었다(도 13의 (c) 참조).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중공부(63)의 외면이 오목 형상 금형(95c)의 오목 형상부에 세팅되었다. 볼록 형상 금형(95a)과 오목 형상 금형(95c)의 형틀 맞춤이 행해졌다.
유동화한 성형 수지 재료(투명 수지(60))가, 오목 형상 금형(95c)의 오목 형상부와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외면 사이에 사출·충전되었다. 냉각 고화(1차 성형)에 의하여 1차 성형체가 얻어졌다.
다음으로 형틀 개방이 행해졌다. 상기 1차 성형체가 오목 형상 금형(95c)에 남겨진 상태에서, 볼록 형상 금형(95a)이 볼록 형상 금형(95b)으로 변경되었다. 2차 성형이 행해졌다. 이 2차 성형에 의하여, 1차 성형에서 냉각 고화된 투명 수지(60)의 중공부(63)의 내면에 보강 프레임(96)이 형성되었다(도 13의 (d) 참조).
상기 2차 성형에서는, 볼록 형상 금형(95b)이 1차 성형에서 냉각 고화된 투명 수지(60)의 중공부(63)의 내부에 세팅되었다. 오목 형상 금형(95c)과 볼록 형상 금형(95b)의 형틀 맞춤이 행해졌다. 유동화한 성형 수지 재료가, 볼록 형상 금형(95b)의 볼록 형상부의 측면과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의 내측면 사이에 사출·충전되었다. 냉각 고화(2차 성형)에 의하여 2차 성형체가 얻어졌다.
또는, 2차 성형에서, 임시 경화 상태(예를 들면, B스테이지의 열경화성 수지)의 보강 프레임(96)이, 1차 성형에서 냉각 고화된 투명 수지(60)의 중공부(63)의 내부에 세팅되었다. 볼록 형상 금형(95b)의 볼록 형상부가 상기 보강 프레임(96)의 프레임 내에 세팅되었다. 임시 경화된 상태의 보강 프레임(96)이, 1차 성형에서 냉각 고화된 투명 수지(60)와 볼록 형상 금형(95b)의 볼록 형상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이다. 상기 임시 경화 보강 프레임(96)이 가열에 의해 본 경화되었다. 이것에 의해서도 2차 성형체가 얻어졌다.
또는, 2차 성형에서, 임시 경화 상태의 보강 프레임(96)이 볼록 형상 금형(95b)의 볼록 형상부의 외면에 세팅되었다. 볼록 형상 금형(95b)의 볼록 형상부가, 1차 성형에서 냉각 고화된 투명 수지(60)의 중공부(63)의 내부에 세팅되었다. 임시 경화 상태의 보강 프레임(96)이 투명 수지(60)와 볼록 형상 금형(95b)의 볼록 형상부 사이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임시 경화 상태의 보강 프레임(96)이 가열·본 경화되었다. 이것에 의해서도 2차 성형체가 얻어졌다.
상기 2차 성형에 있어서의 성형 수지 재료는 1차 성형에 있어서의 성형 수지 재료(투명 수지(60))와는 다르다. 예를 들면,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무기 입자가 충전된 성형용 수지 재료이다. 이 성형용 수지 재료는 투명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무기 입자가 충전된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이다.
이렇게 해서, 터치 패널 성형체(C)(50C)가 얻어졌다. 터치 패널 성형체(C)(50C)는, 보강 프레임(96), 투명 수지 케이스(62),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를 구비한다. 상기 삼자가 일체화되어 있다. 의장 인쇄층(43)은 터치 패널 필름(40)과 투명 수지 케이스(62)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의장 인쇄층(43)은 완전히 봉지되어 있다.
터치 패널 성형체(A)(50A)와 터치 패널 성형체(C)(50C)는 마찬가지이다(도 13의 (e) 및 도 1의 (e) 참조). 따라서 설명은 생략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Ⅲ)>
입출력 일체형 장치(Ⅲ)(터치 패널 성형체(C)를 갖는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를 구비)가 설명된다.
도 14는 입출력 일체형 장치(Ⅲ)의 설명도이다. 도 14의 (a)는 X-X선(상기 X-X선 위치와 마찬가지 위치) 단면도이다. 도 14의 (b)는 Y-Y선(상기 Y-Y선 위치와 마찬가지 위치) 단면도이다.
도 14의 입출력 일체형 장치(Ⅲ)(50Ⅲ)는 도 9의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50Ⅰ)와 마찬가지이다. 도 14는 터치 패널 성형체(A)(50A)가 터치 패널 성형체(C)(50C)로 치환된 도면이다(도 1 참조). 따라서 설명은 생략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Ⅳ)(터치 패널 성형체(D)로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를 구비)>
<터치 패널 성형체(D)>
터치 패널 성형체(D)는 다음의 제조 공정(도 15 참조)을 거쳐 제조된다.
도 15는 터치 패널 성형체(D)의 제조 공정 설명도이다. 도 15의 (a)는, 터치 패널 필름에 섬 형상 전극과 인출 배선이 형성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진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필름이 가열 포밍된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c)는 의장 인쇄층이 형성된 의장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5의 (d)는 도 15의 (c)의 의장 필름이 가열 포밍된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e1)은 필름 인서트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5의 (e2)는 터치 패널 성형체(D)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e3)은 X-X선 단면도이다. 도 15의 (f1)은 플렉서블 인쇄 회로판(FPC) 접속 터치 패널 성형체(D)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5의 (f2)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판(FPC) 접속 터치 패널 성형체(D)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1의 (a)와 마찬가지인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되었다(도 15의 (a) 참조).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40)이 가열 연화·냉각 고화 전에 형틀에 세팅되었다. 진공압이나 압축 공기에 의해 케이스(상자형) 형상으로 성형되었다. 그 후, 불필요 부분이 트리밍(마감 가공, 펀칭 가공)되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β)(50β)가 얻어졌다(도 15의 (b) 참조).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β)(50β)는 내부에 직방체 형상의 중공부를 갖는다.
도 1의 (a)와 마찬가지인 의장 인쇄층(43)이 의장 필름(42)에 형성되었다(도 15의 (c) 참조).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된 의장 필름(42)이 가열 연화·냉각 고화하기 전에 형틀에 세팅되었다. 진공압이나 압축 공기에 의해 케이스(상자형) 형상으로 성형되었다. 그 후, 불필요 부분이 트리밍(마감 가공, 펀칭 가공)되었다. 이에 따라,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가 얻어졌다(도 15의 (d) 참조).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는 내부에 직방체 형상의 중공부를 갖는다.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β)(50β)와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가 사용되며, 더블 필름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터치 패널 성형체(D)(50D)가 얻어졌다(도 15의 (e) 참조). 터치 패널 성형체(D)(50D)는 내부에 중공부(63)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β)(50β)의 중공부의 내면이 볼록 형상 금형(97a)의 볼록 형상부에 세팅되었다. 가열 포밍체(γ)(50γ)의 중공부의 외면이 오목 형상 금형(97b)의 오목 형상부에 세팅되었다. 볼록 형상 금형(97a)과 오목 형상 금형(97b)의 형틀 맞춤이 행해졌다. 유동화한 성형 수지 재료(투명 수지(60))가,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β)(50β)의 외면과,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의 내면 사이에 사출·충전되었다. 냉각 고화 후 형틀 개방이 행해졌다. 터치 패널 성형체(D)(50D)가 얻어졌다(도 15의 (e) 참조). 터치 패널 성형체(D)(50D)는 내부에 중공부(63)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 성형체(D)(50D)는, 투명 수지 케이스(62)와,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β)(50β)와,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의 일체화물이다. 의장 인쇄층은 의장 필름과 투명 수지 케이스(62)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의장 인쇄층은 완전히 봉지되어 있다.
터치 패널 성형체(A)(50A)와 터치 패널 성형체(D)(50D)는 마찬가지이다(도 15의 (f) 및 도 1의 (e) 참조). 따라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6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의 설명도이다. 도 17의 (a)는 배면도이다. 도 17의 (b)는 좌측면도이다. 도 17의 (c)는 평면도이다. 도 17의 (d)는 우측면도이다. 도 17의 (e)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의 하면도이다.
도 6의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50α)는 의장 인쇄층(43)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50β)는 상기 의장 인쇄층(43)이 설치되지 않았던 예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50β)는 의장 인쇄층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9는 의장 필름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의장 필름(42)에 형성된 의장 인쇄층(43)(도 19 참조)과, 도 4의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된 의장 인쇄층(43)은 동일하다. 주면 입력 영역(10)(터치 패널의 주면이 되는 영역(12)의 대부분의 영역)에는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영역은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한 개구 영역(44)이다. 상기 개구 영역(44)의 외주 부분에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었다.
예를 들면, 각종 조작을 위한 안내 키나 투명한 배경이, 측면 입력 영역(15a, 15b)으로 되는 부분(점선으로 표시되는 부분)에, 의장 인쇄층(43)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개구 영역(44)의 외주 부분이며, 또한 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지 않는 영역(도 19의 오른쪽 및 아래쪽의 영역)에는 광불투과성의 층(의장 인쇄층(43))이 인쇄되었다(도 19 참조).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16)는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노출되는 의장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는 개구부이다.
도 20은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의 사시도이다.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는 그 내부에 직방체 형상의 중공부를 구비한다. 개구 영역(44)이 의장 필름(42)의 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 영역(44)은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지 않는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 영역이다. 광불투과성의 의장 인쇄층(43)이 개구 영역(44)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측면 입력 영역(15a, 15b)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측면 입력 영역(15a, 15b)의 외주는 의장 인쇄층(43)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1은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의 설명도이다. 도 21의 (a)는 배면도이다. 도 21의 (b)는 좌측면도이다. 도 21의 (c)는 평면도이다. 도 21의 (d)는 우측면도이다. 도 21의 (e)는 정면도이다.
주면 입력 영역(10)이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의 주면부((xy)면)(12)에 개구 영역(44)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주면 입력 영역(10)은 주면부((xy)면)(12)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측면 입력 영역(15a)이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의 배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측면 입력 영역(15b)이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16) 및 의장 인쇄층(43)이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의 정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터치 패널 단자부(18) 및 스루홀(19)이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16)에 설치되어 있다. 의장 인쇄층(43)은 인출 배선(22) 및 인출 배선(32)을 차폐한다. 인출 배선(32)을 차폐하는 의장 인쇄층(43)이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있다(도 21 참조).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의 하면도는, 도 8의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의 하면도(단, 터치 패널 필름(40)이 의장 필름(42)으로 치환된다. 섬 형상 전극(20, 30), 인출 배선(22, 32), 스루홀(19), 터치 패널 단자부(18)(18a, 18b)가 제거된다)에 상당한다. 따라서 설명은 생략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Ⅳ)>
입출력 일체형 장치(Ⅳ)(터치 패널 성형체(D)를 갖는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를 구비)가 설명된다.
도 22는 입출력 일체형 장치(Ⅳ)의 설명도이다. 도 22의 (a)는 X-X선(상기 X-X선 위치와 마찬가지 위치) 단면도이다. 도 22의 (b)는 Y-Y선(상기 Y-Y선 위치와 마찬가지 위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입출력 일체형 장치(Ⅳ)(50Ⅳ)는 도 9의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50Ⅰ)와 마찬가지이다. 도 22는 도 1(단, 터치 패널 성형체(A)(50A)가 터치 패널 성형체(D)(50D)로 치환됨)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설명은 생략된다.
<터치 패널 성형체(A)∼(D)의 제조 공정>
도 23은 터치 패널 성형체의 제조 공정 설명도이다. 터치 패널 성형체(A)∼(D)의 제조 공정이 비교해서 설명된다.
도 1∼도 8, 도 11, 도 13, 도 15∼도 21의 터치 패널 성형체의 제조 공정이 도 23에, 비교해서 도시되어 있다. 우선, 터치 패널 필름(40)에 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 인출 배선(22, 32)이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었다. 그 후, 가열 포밍에 의하여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50α)가 제작되었다. 이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가 사용되며, 필름 인서트 성형과 필름 인몰드 성형에 의하여, 터치 패널 성형체(A)(50A)가 얻어졌다. 상기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가 사용되며, 필름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터치 패널 성형체(B)(50B)가 얻어졌다. 상기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50α)가 사용되며, 필름 인서트 성형과 보강 성형에 의하여 터치 패널 성형체(C)(50C)가 얻어졌다.
터치 패널 필름(40)에 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 인출 배선(22, 32)이 형성되었다. 그 후, 가열 포밍에 의하여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50β)가 제작되었다. 의장 필름(42)에 의장 인쇄층(43)이 형성되었다. 그 후, 가열 포밍에 의하여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가 제작되었다. 상기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50β)와 상기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50γ)가 사용되며, 필름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터치 패널 성형체(D)(50D)가 제작되었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50Ⅰ)는 터치 패널 성형체(A)(50A)를 구비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Ⅱ)(50Ⅱ)는 터치 패널 성형체(B)(50B)를 구비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Ⅲ)(50Ⅲ)는 터치 패널 성형체(C)(50C)를 구비한다. 입출력 일체형 장치(Ⅳ)(50Ⅳ)는 터치 패널 성형체(D)(50D)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 성형체의 제조 공정의 변형예>
터치 패널 성형체의 제조 공정의 변형예가 설명된다.
다음의 공정이 터치 패널 성형체 제조 공정의 변형예로서 예시된다. 터치 패널 성형체(B)(C)(D) 제조 공정의 필름 인서트 공정이, 필름 인서트 성형 공정과 필름 인몰드 성형 공정(터치 패널 성형체(A)의 제조 공정과 마찬가지)으로 치환되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 성형체(B')(C')(D')가 얻어졌다. 터치 패널 성형체(B')(C')(D')는 터치 패널 성형체(B)(C)(D)의 최외층에 하드 코팅층(45)이 설치된 것이다.
터치 패널 성형체(B)(C)(D)에 대하여 필름 인몰드 성형 공정이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 성형체(B)(C)(D)의 최외층에 하드 코팅층(45)이 설치된 터치 패널 성형체(B')(C')(D')가 얻어졌다.
터치 패널 성형체(A)∼(D) 제조 공정에 있어서,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α), 터치 패널 가열 포밍체(β),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의 형성 시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수지의 연화 온도이다. 상기 연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이러한 수지는, 예를 들면 PET(융점 : 258℃), PEN(융점 : 269℃), PE(융점 : 135℃), PP(융점 : 163℃), 폴리스티렌(융점 : 230℃), 폴리염화비닐(융점 : 180℃), 폴리염화비닐리덴(융점 : 212℃), TAC(융점 : 290℃) 등이다.
터치 패널 성형체(A)∼(D) 제조 공정에 있어서, 성형 수지 재료를 유동화시키는 가열 온도(성형 수지 재료의 사출 온도)는 수지의 용융 온도이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에서는 240℃ 전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서는 280℃ 전후, 폴리아미드계 수지에서는 200℃ 전후, ABS,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에서는 270℃ 전후이다.
<터치 패널 필름에 형성되는 섬 형상 전극, 인출 배선의 패턴의 변형예>
메시 형상 도체(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 인출 배선(22, 32), 터치 패널 단자부(18)) 패턴이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a)(도 2 참조)에서는, 인출 배선(32)이 주면부(12)의 오른쪽(터치 패널 성형체에서는 y 방향에 수직인 한쪽의 측면((xz)면)이 대응)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32) 및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에서는 x 방향에 수직인 한쪽의 측면((yz)면)이 대응)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널 필름(a)(도 2 참조), 상기 터치 패널 필름(b)(도 24 참조), 상기 터치 패널 필름(c)(도 25 참조)에서는, 섬 형상 전극(20, 30) 등의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주면부(12)의 왼쪽(터치 패널 성형체에서는 y 방향에 수직인 다른 쪽의 측면((xz)면)이 대응), 및 주면부(12)의 위쪽(터치 패널 성형체에서는 x 방향에 수직인 다른 쪽의 측면((yz)면)이 대응)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필름(a)이 사용된 터치 패널 성형체(A)∼(D)에서는, 인출 배선(22) 및 인출 배선(32)이 접속되는 터치 패널 단자부(18)는 x 방향에 수직인 한쪽의 측면((yz)면)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xz)면)의 2면의 교차 모서부(능선부)를 통과한다. 인출 배선(22) 및 인출 배선(3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yz)면)의 2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인출 배선(32)은 한쪽의 측면((yz)면)과 한쪽의 측면((xz)면)의 2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터치 패널 필름(40)에 섬 형상 전극(20, 30) 등의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은, 도 2의 터치 패널 필름(a)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몇가지 예가 도 24∼도 28에 도시된다. 이 메시 형상 도체 패턴들이더라도, 상기 터치 패널 성형체(A)∼(D)와 마찬가지로 해서 터치 패널 성형체가 제작된다.
도 24는 섬 형상 전극 및 인출 배선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b)의 평면도이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b)에서는, 인출 배선(32) 및 터치 패널 단자부(18) 그리고 스루홀(19)이 주면부(12)의 오른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y 방향에 수직인 한쪽의 측면((x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및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x 방향에 수직인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섬 형상 전극(20, 30) 등의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주면부(12)의 위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x 방향에 수직인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도 24 참조). 전극렬(1)은 상기 필름의 표면의 중앙 위치(상기 (xy)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렬(2)은 상기 필름의 이면의 중앙 위치(상기 (xy)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렬(3)은 상기 필름의 표면의 왼쪽 위치(상기 (xz)면) 및 위쪽 위치(상기 (yz)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렬(4)은 상기 필름의 이면의 왼쪽 위치(상기 (xz)면) 및 위쪽 위치(상기 (yz)면)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필름(b)이 사용된 터치 패널 성형체(A)∼(D)에서는, 인출 배선(22)이 접속된 터치 패널 단자부(18)는 한쪽의 측면((yz)면)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32)이 접속된 터치 패널 단자부(18)는 한쪽의 측면((xz)면)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yz)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인출 배선(3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xz)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도 25는 섬 형상 전극 및 인출 배선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c)의 평면도이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c)에서는, 인출 배선(32)이 주면부(12)의 오른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y 방향에 수직인 한쪽의 측면((xz)면)에 해당) 및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및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32)은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접속되어 있다(도 25 참조).
터치 패널 필름(c)에서는, 섬 형상 전극(20, 30) 등의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주면부(12)의 위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도 25에 있어서의 전극렬(1, 2, 3, 4)의 형성 개소와, 도 24에 있어서의 전극렬(1, 2, 3, 4)의 형성 개소는 거의 동일하다.
인출 배선(2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yz)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인출 배선(3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xz)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인출 배선(32)은 상기 측면과 상기 측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도 26은 섬 형상 전극 및 인출 배선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d)의 평면도이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d)에서는, 인출 배선(32)이 주면부(12)의 오른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xz)면)에 해당) 및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및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32)은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접속되어 있다(도 26 참조).
터치 패널 필름(d)에서는, 섬 형상 전극(20, 30) 등의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주면부(12)의 위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렬이 (xz)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도 26에 있어서의 전극렬(1, 2, 3, 4)의 형성 개소와, 도 24에 있어서의 전극렬(1, 2, 3, 4)의 형성 개소는 거의 동일하다.
도 27은 섬 형상 전극 및 인출 배선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e)의 평면도이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e)에서는, 인출 배선(32)이 주면부(12)의 오른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xz)면)에 해당) 및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및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32)은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접속되어 있다(도 27 참조).
터치 패널 필름(e)에서는, 섬 형상 전극(20, 30) 등의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주면부(12)의 왼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x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렬이 (yz)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도 27에 있어서의 전극렬(1, 2, 3, 4)의 형성 개소와, 도 24에 있어서의 전극렬(1, 2, 3, 4)의 형성 개소는 거의 동일하다.
인출 배선(2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yz)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인출 배선(3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xz)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인출 배선(32)은 상기 측면과 상기 측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도 28은 섬 형상 전극 및 인출 배선이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f)의 평면도이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터치 패널 필름(40)에 형성된 터치 패널 필름(f)에서는, 인출 배선(32)이 주면부(12)의 오른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xz)면)에 해당) 및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및 터치 패널 단자부(18)가 주면부(12)의 아래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배선(22, 32)은 터치 패널 단자부(18)에 접속되어 있다(도 28 참조).
터치 패널 필름(f)에서는, 섬 형상 전극(20, 30) 등의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주면부(12)의 왼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xz)면)에 해당), 주면부(12)의 오른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다른 쪽의 측면((xz)면)에 해당), 및 주면부(12)의 위쪽(터치 패널 성형체의 한쪽의 측면((yz)면)에 해당)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렬이 우측의 (xz)면에도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도 28에 있어서의 전극렬(1, 2, 3, 4)의 형성 개소와, 도 24에 있어서의 전극렬(1, 2, 3, 4)의 형성 개소는 거의 동일하다.
인출 배선(2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yz)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인출 배선(32)은 주면((xy)면)과 한쪽의 측면((xz)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인출 배선(22, 32)은 상기 측면과 상기 측면의 교차 모서리부(능선부)를 통과한다.
터치 패널 성형체의 x 방향에 수직인 측면의 한쪽, 또한 y 방향에 수직인 측면의 한쪽, 각각에 메시 형상 도체 패턴(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면 입력 영역이 형성된다. 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지 않는 영역의 측면에 인출 배선(22, 32)이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24, 도 25 참조).
터치 패널 성형체의 x 방향(또는, y 방향)에 수직인 측면의 한쪽에 메시 형상 도체 패턴(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면 입력 영역이 형성된다. 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지 않는 영역의 측면에 인출 배선(22, 32)이 형성되어 있다(도 26, 도 27 참조).
터치 패널 성형체의 x 방향에 수직인 한쪽의 측면, 또한 y 방향에 수직인 2개의 측면, 각각에 메시 형상 도체 패턴(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면 입력 영역이 형성된다. 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지 않는 영역의 측면에 인출 배선(22, 32)이 형성되어 있다(도 28 참조).
도 2, 도 24∼도 28에 도시되는 터치 패널 필름이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 성형체가 얻어진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섬 형상 전극(20, 30), 전극간 배선(21, 31))이 터치 패널 필름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면 입력 영역이 형성된다. 메시 형상 도체 패턴이 터치 패널 필름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면 입력 영역이 형성된다. 터치 패널 성형체는, 터치 패널 성형체의 주면에 수직인 측면(예를 들면, (가)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는 측면, (나)인출 배선(22, 32)이 형성되는 측면, (다)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는 면이며, 또한 인출 배선(22, 32)이 형성되는 측면, (라)측면 입력 영역으로 되지 않고, 인출 배선(22, 32)도 형성되지 않는 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인출 배선(22, 32)이 터치 패널 성형체의 주면에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터치 패널의 주면부(12)의 대부분의 영역이 주면 입력 영역으로 될 수 있다. 베젤 영역은 가능한 한 적어진다. 주면 입력 영역이 그만큼 커진다.
상기에 있어서는, 섬 형상 전극, 주면 입력 영역, 측면 입력 영역, 터치 패널 성형체 등의 형상, 치수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각종 개량, 수정,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역이 주면 및 측면에 존재하는 터치 패널이 얻어졌다. 상기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를 구비한 입출력 일체형 장치가 얻어졌다. 이 장치는 조작성이 좋다.
이 출원은, 2012년 9월 13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 특원2012-201339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1 : 제1 전극렬
2 : 제2 전극렬
3 : 제3 전극렬
4 : 제4 전극렬
10 : 주면 입력 영역
12 : 주면부
15a, 15b : 측면 입력 영역
16 : 터치 패널 단자부 개구부
18 : 터치 패널 단자부
18a : x 방향으로 배열되는 섬 형상 전극이 접속되는 단자부
18b : y 방향으로 배열되는 섬 형상 전극이 접속되는 단자부
19 : 스루홀
20 : x 방향으로 배열되는 섬 형상 전극
21 : x 방향의 전극간 배선
22 : x 방향의 인출 배선
23 : x 방향의 인출 배선의 형성면의 고립 배선
30 : y 방향으로 배열되는 섬 형상 전극
31 : y 방향의 전극간 배선
32 : y 방향의 인출 배선
33 : 카본
34 : 보호층
40 : 터치 패널 필름
42 : 의장 필름
43 : 의장 인쇄층
44 : 개구 영역
45 : 하드 코팅층
45a : 하드 코팅 재료의 임시 경화층
46 : 박리성 필름
50α :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α)
50β : 터치 패널 필름 가열 포밍체(β)
50γ : 의장 필름 가열 포밍체(γ)
50A : 터치 패널 성형체(A)
50B : 터치 패널 성형체(B)
50C : 터치 패널 성형체(C)
50D : 터치 패널 성형체(D)
50Ⅰ : 입출력 일체형 장치(Ⅰ)
50Ⅱ : 입출력 일체형 장치(Ⅱ)
50Ⅲ : 입출력 일체형 장치(Ⅲ)
50Ⅳ : 입출력 일체형 장치(Ⅳ)
60 : 투명 수지
62 : 투명 수지 케이스
63 : 중공부
67 : 상측 상자체
69 : 하측 상자체
70 :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
72 : 실장 기판 단자
73 : 보호층에 의해 피복된 인출 배선
74 : 이방성 도전막(AFC)
75 : 보호층에 의해 피복된 터치 패널 단자부
76 : 절연층
77 : 배선 도체층
78 : FPC 단자부
79 : 스루홀의 위치
90 : 표시 장치
91a, 93a, 95a, 95b, 97a : 볼록 형상 금형
91b, 93b, 95c, 97b : 오목 형상 금형
92 : 실장 기판
96 : 보강 프레임
100 : 터치 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
110 : 표시 유닛 제어·신호 처리 회로
120 : 입출력 일체형 장치 제어·신호 처리 회로

Claims (29)

  1.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는, 주면부(主面部)와, 측면부와, 중공부(中空部)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주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존재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연접(連接)해 있고,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대략 직교하는 측면부는 4개 이상 있고,
    상기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1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2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주면부는, 주면(主面)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4개 이상의 측면부 중의 적어도 1개의 측면부는,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주면부에는,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電極列)과,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렬 및 상기 제2 전극렬은, 각각, 2개 이상의 섬 형상(island shape) 전극과, 상기 섬 형상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간 배선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는 측면부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3 전극렬과,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4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1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2 전극렬)의 연장(延長) 상(上)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2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1 전극렬)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렬의 단부(端部) 또는 상기 제3 전극렬의 단부에, 제1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렬의 단부 및 상기 제4 전극렬의 단부에, 제2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적어도 한쪽은, 서로 인접해 있는 측면부의 경계인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다른 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3 전극렬의 근원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4 전극렬이 따르고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는 상기 인출 배선은, 상기 케이스체의 내면측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와,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는,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은,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실질적으로 겹쳐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가시광 차폐층이, 상기 주면 입력 영역 밖의 주면부 및/또는 상기 측면 입력 영역 밖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하드 코팅층이, 상기 투명 수지층 표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 입력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 형상 전극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 입력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렬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Ag, Au, Cu, Al의 군 중에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금속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접속 단자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 중 한쪽은, 스루홀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 중 다른 쪽은, 스루홀을 통하지 않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표면은 카본에 의해 덮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17.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는, 주면부와, 측면부와,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주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존재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연접해 있고,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대략 직교하는 측면부는 4개 이상 있고,
    상기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1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측면부 중의 적어도 2개의 측면부는,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제2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 있고,
    상기 주면부는, 주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4개 이상의 측면부 중의 적어도 1개의 측면부는,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주면부에는,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과,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제1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2개 이상의 제2 전극렬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렬 및 상기 제2 전극렬은, 각각, 2개 이상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섬 형상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간 배선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는 측면부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3 전극렬과,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4 전극렬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1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2 전극렬)의 연장 상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2 전극렬(및/또는 상기 제1 전극렬)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렬의 단부 또는 상기 제3 전극렬의 단부에, 제1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렬의 단부 및 상기 제4 전극렬의 단부에, 제2 인출 배선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타단부가, 상기 측면 입력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측면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적어도 한쪽은, 서로 인접해 있는 측면부의 경계인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전극렬, 상기 제2 전극렬, 상기 제3 전극렬, 상기 제4 전극렬,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이, 상기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에, 형성되는 도체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도체 패턴 형성 공정 후, 상기 전기 절연성 투명 수지 필름이, 상기 케이스체로, 성형되는 성형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다른 쪽의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전극렬은, 상기 제3 전극렬의 근원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제4 전극렬이 따르고 있는 상기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은, 상기 주면부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1 전극렬과 상기 제2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은, 상기 측면부의 일면측에 설치되고,
    전기 절연성 스페이서가, 상기 제3 전극렬과 상기 제4 전극렬의 교차부에 있어서, 그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능선부를 통과하고 있는 상기 인출 배선은, 상기 케이스체의 내면측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와,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의 중심 위치는,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렬의 섬 형상 전극은, 상기 주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 실질적으로 겹쳐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패턴 형성 공정 후이며, 상기 성형 공정 전에 있어서, 가시광 차폐층이, 상기 주면 입력 영역 밖의 주면부 및/또는 상기 측면 입력 영역 밖의 측면부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공정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공정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이, 상기 케이스체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공정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공정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 입력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 형상 전극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 입력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렬은, 메시 형상의 도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29.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부 상에 배설(配設)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20147031423A 2012-09-13 2013-08-20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1667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1339 2012-09-13
JP2012201339A JP5347096B1 (ja) 2012-09-13 2012-09-13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タッチパネルと表示装置を具備する入出力一体型装置
PCT/JP2013/072180 WO2014041967A1 (ja) 2012-09-13 2013-08-20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72A true KR20150004372A (ko) 2015-01-12
KR101667971B1 KR101667971B1 (ko) 2016-10-20

Family

ID=4976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423A KR101667971B1 (ko) 2012-09-13 2013-08-20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60760A1 (ko)
JP (1) JP5347096B1 (ko)
KR (1) KR101667971B1 (ko)
CN (1) CN104272232B (ko)
TW (1) TWI512583B (ko)
WO (1) WO20140419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728A (ko) * 2016-01-18 2017-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커브드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US11093056B2 (en) 2019-07-25 2021-08-17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and window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0742B (zh) 2012-10-01 2015-07-01 Young Lighting Technology Inc 觸控面板
CN103412667B (zh) * 2013-04-12 2015-04-08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TWI505156B (zh) * 2013-11-29 2015-10-21 Innolux Corp 觸控顯示裝置
JP6270120B2 (ja) * 2013-12-19 2018-01-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に組み込まれる保護カバーおよび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CN103809809B (zh) * 2014-01-28 2017-03-2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摸装置及其制造方法
JP5739554B2 (ja) * 2014-01-29 2015-06-24 株式会社ワンダーフューチャ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
JP2015153369A (ja) * 2014-02-19 2015-08-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次元形状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WO2015125338A1 (ja) * 2014-02-19 2015-08-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機器、積層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及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856207B2 (ja) * 2014-02-26 2016-02-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5170677A1 (ja) * 2014-05-08 2015-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位置入力装置の製造方法
KR101867749B1 (ko) * 2014-05-16 2018-06-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용 도전 시트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CN106415457B (zh) * 2014-05-23 2019-05-31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窗口
US9811707B2 (en) * 2014-06-04 2017-11-07 Lenovo (Singapore) Pte. Ltd. Fingerprint reader on a portion of a device for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JP6050282B2 (ja) 2014-06-09 2016-1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5183203A (zh) * 2014-06-13 2015-12-23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式电子装置
CN106662942A (zh) * 2014-06-27 2017-05-10 夏普株式会社 带触摸面板的显示装置
CN105320327A (zh) * 2014-07-25 2016-02-10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手持式电子装置及其触控外盖
KR102251881B1 (ko) 2014-07-31 2021-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
CN105468179A (zh) * 2014-08-12 2016-04-06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面板装置
KR20170018900A (ko) * 2014-08-28 2017-02-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구조체 및 터치 패널 모듈
WO2016039047A1 (ja) * 2014-09-11 2016-03-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構造体、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056516A1 (ja) * 2014-10-10 2016-04-1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16075737A1 (ja) 2014-11-10 2016-05-19 株式会社ワンダーフューチャ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
KR102283002B1 (ko) 2015-02-16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518759B2 (ja) * 2015-02-27 2019-05-22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US10528160B2 (en) 2015-02-27 2020-01-07 Fujikura Ltd. Wiring body, wiring board, and touch sensor
KR101985127B1 (ko) * 2015-03-27 2019-05-3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센서 및 터치 패널
KR102002882B1 (ko) * 2015-06-14 2019-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2884B1 (ko) 2015-06-14 2019-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021471A (ja) * 2015-07-08 2017-01-2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電子機器
US20170116453A1 (en) * 2015-10-23 2017-04-27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circuit offset from front surface of device
US10663821B2 (en) * 2015-11-06 2020-05-2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board having insulating films and terminal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834815B2 (en) 2015-12-01 2020-11-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Printed wiring line, electronic device, touch panel, gravure plate, printed wiring line formation method, touch panel produ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production method
US9939921B2 (en) * 2015-12-30 2018-04-10 Synaptics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keyboard spacebar with visual feedback associated with location sensing
JP2017126196A (ja) * 2016-01-14 2017-07-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KR102082485B1 (ko) * 2016-01-26 2020-02-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투명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US20190114002A1 (en) * 2016-03-30 2019-04-18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equipped display device
KR101904969B1 (ko) 2016-07-29 2018-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25832B1 (ko) 2017-06-05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0564754B2 (en) * 2017-07-12 2020-02-18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JP6480989B2 (ja) * 2017-08-03 2019-03-13 Nissha株式会社 成形品、電気製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CN107491222A (zh) * 2017-09-01 2017-12-1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面板
JP2019144625A (ja) * 2018-02-16 2019-08-2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19211906A (ja) * 2018-06-01 2019-1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及びセンサ付き装置
USD969816S1 (en) * 2018-10-01 2022-11-15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350962A (zh) * 2018-10-08 2019-02-1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装置
US11119616B2 (en) 2018-11-01 2021-09-14 Apple Inc. Trace transfer techniques for touch sensor panels with flex circuits
JP7063464B2 (ja) * 2018-11-15 2022-05-09 尾池工業株式会社 可撓性加飾積層シート、タッチパネル用モジュー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
US11853515B2 (en) 2018-12-19 2023-12-26 Apple Inc. Ultra-thin touch sensors
US10925153B2 (en) * 2019-04-16 2021-02-16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connection pads for high speed cables
CN110658656B (zh) * 2019-09-27 2022-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JP7338375B2 (ja) * 2019-09-30 2023-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7277392B2 (ja) * 2020-01-21 2023-05-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遠隔制御装置、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050838B (zh) * 2021-04-26 2023-11-2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18043930A (zh) * 2022-02-28 2024-05-14 积水保力马科技株式会社 电容传感器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2902A (ja) 2005-09-08 2007-03-22 Sony Corp 入力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0146418A (ja) 2008-12-21 2010-07-01 Alpine Electronics Inc 狭額縁lcd対応タッチパネル
JP2010262557A (ja) 2009-05-11 2010-11-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1003169A (ja) 2009-06-18 2011-01-06 Toyo Label:Kk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2011044933A (ja) 2009-08-21 2011-03-03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および制限解除方法
JP2011154561A (ja) 2010-01-27 2011-08-11 Minebea Co Ltd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1175335A (ja) 2010-02-23 2011-09-08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2053644A (ja) 2010-08-31 2012-03-15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導電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JP2012088683A (ja) 2010-09-21 2012-05-10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示用前面板、表示用前面板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2141690A (ja) 2010-12-28 2012-07-26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JP2012146297A (ja) 2010-12-21 2012-08-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明シート付タッチパネルセンサ
JP2012174190A (ja) 2011-02-24 2012-09-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画面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369A (ja) * 1993-12-27 1995-08-04 Gunze Ltd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
JP2003288166A (ja) * 2002-03-27 2003-10-10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と外部導線の接続構造
JP5462802B2 (ja) * 2008-12-01 2014-04-02 株式会社翔栄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入力装置
CN101833905A (zh) * 2010-02-02 2010-09-15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面板装置
TWI409684B (zh) * 2010-03-10 2013-09-21 Tpk Touch Solutions Inc 電容式觸控結構及其製造方法
CN102073406A (zh) * 2010-12-31 2011-05-25 汕头超声显示器有限公司 触摸屏及手持式装置
US8716932B2 (en) * 2011-02-28 2014-05-0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s
US9122088B2 (en) * 2011-03-31 2015-09-01 Nissha Printing Co., Ltd. Capacitance type touch screen
US8797285B2 (en) * 2011-04-18 2014-08-05 Atmel Corporation Panel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27307A (ko) * 2011-09-07 2013-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TWM425334U (en) * 2011-11-25 2012-03-21 Henghao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20130141340A1 (en) * 2011-12-05 2013-06-06 Esat Yilmaz Multi-Surface Touch Sensor
TWM430654U (en) * 2012-01-09 2012-06-01 Shun On Electronic Co Ltd Touch panel
JP5646795B1 (ja) * 2013-03-04 2014-12-24 パナ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成型品の製造方法、成型品、及び積層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2902A (ja) 2005-09-08 2007-03-22 Sony Corp 入力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0146418A (ja) 2008-12-21 2010-07-01 Alpine Electronics Inc 狭額縁lcd対応タッチパネル
JP2010262557A (ja) 2009-05-11 2010-11-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1003169A (ja) 2009-06-18 2011-01-06 Toyo Label:Kk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2011044933A (ja) 2009-08-21 2011-03-03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および制限解除方法
JP2011154561A (ja) 2010-01-27 2011-08-11 Minebea Co Ltd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1175335A (ja) 2010-02-23 2011-09-08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2053644A (ja) 2010-08-31 2012-03-15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導電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JP2012088683A (ja) 2010-09-21 2012-05-10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示用前面板、表示用前面板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2146297A (ja) 2010-12-21 2012-08-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明シート付タッチパネルセンサ
JP2012141690A (ja) 2010-12-28 2012-07-26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JP2012174190A (ja) 2011-02-24 2012-09-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画面入力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덴키소시고교카이, 「터치 패널의 시장과 재료 기술 동향」, 나카타니 겐지, 전기 유리, 45호, pp. 7∼13(2011년 4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728A (ko) * 2016-01-18 2017-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커브드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US11093056B2 (en) 2019-07-25 2021-08-17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and window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2232B (zh) 2017-03-08
TW201428588A (zh) 2014-07-16
JP2014056461A (ja) 2014-03-27
JP5347096B1 (ja) 2013-11-20
CN104272232A (zh) 2015-01-07
KR101667971B1 (ko) 2016-10-20
US20150160760A1 (en) 2015-06-11
WO2014041967A1 (ja) 2014-03-20
TWI512583B (zh)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971B1 (ko)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JP5739554B2 (ja)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
JP5470489B2 (ja)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
TWI664560B (zh) 層疊構造體、觸摸面板、帶觸摸面板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5278759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
US10325732B2 (en) Touch window having improved electrode pattern structure
WO2010016174A1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6031398A1 (ja) 積層構造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
EP3364277B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input device
US20150227170A1 (en) Touch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5149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885202B (zh) 一种触控基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JP6270120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に組み込まれる保護カバーおよび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EP3364276A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input device
JP6435901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導電性パターン基板
US10953638B2 (en) Plastic laminate structure
KR20160014942A (ko) 터치 윈도우
JP5574133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
US20180143719A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50141008A (ko)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