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307A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307A
KR20130027307A KR1020110090812A KR20110090812A KR20130027307A KR 20130027307 A KR20130027307 A KR 20130027307A KR 1020110090812 A KR1020110090812 A KR 1020110090812A KR 20110090812 A KR20110090812 A KR 20110090812A KR 20130027307 A KR20130027307 A KR 20130027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electrode
metal electrode
touch panel
extens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홍상수
양충모
이인형
이우진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7307A/ko
Priority to US13/312,138 priority patent/US8917250B2/en
Publication of KR2013002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307A/ko
Priority to US14/541,027 priority patent/US2015013811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86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 H05K1/0287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having an universal lay-out, e.g. pad or land grid patterns or mesh patterns
    • H05K1/0289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having an universal lay-out, e.g. pad or land grid patterns or mesh patterns having a matrix lay-out, i.e. having selectively interconnectable sets of X-conductors and Y-conductors in different pla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08Transpa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PC 일체형 터치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성의 투명필름을 적용하여 투명기판을 구비, 투명기판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FPC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공정시간 및 제조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다. 또한, 투명기판의 면적을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비활성영역을 터치패널의 측면으로 구부려 배치함으로써, 활성영역의 실질적인 면적이 넓게 구현하는 터치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 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터치패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종래의 터치패널(100)은 투명기판(110,120), 투명전극(115,125) 및 전극배선(117,127)으로 구성되고, FPC(130)가 별도로 구비된다. 즉, 대향하는 제1 투명기판(110) 및 제2 투명기판(120) 각각의 일면에 제1 투명전극(115) 및 제2 투명전극(125)을 형성하고, 제1 투명전극(1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배선(117)이 제1 투명전극(115)의 테두리에, 제2 투명전극(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배선(127)이 제2 투명전극(125)의 테두리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배선(117) 및 상기 제2 전극배선(127)은 투명기판(110,120)의 일측단에 집결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FPC(130)가 제1 전극배선(117) 및 제2 전극배선(127)에 연결되어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종래의 터치패널(100)을 구성하는 투명기판(110,120)은 투명전극(115,125)이 형성되는 활성영역과 전극배선(117,127)이 형성되는 비활성영역으로 구획된다. 투명전극(115,125)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터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면적의 활성영역에 형성되는 투명전극(115,125)을 조밀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투명전극(115,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117,127)의 개수 또한 증가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투명기판(110,120)에서 비활성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불필요하게 넓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LCD를 중심으로 한 박형 디스플레이 분야 사업의 급속한 확대와 함께 투명도전막 재료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투명도전막 재료로는 지금까지 ITO(Indium Thin Oxide)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투명전극으로서 ITO의 뛰어난 특성과 관련된 응용 제품의 수요 확대의 경향으로 볼 때, 향후 이들 재료의 소비량은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ITO를 구성하는 인듐(Indium)은 대표적인 희소, 고갈 자원의 하나로서, 그 공급량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인듐의 경우 짧게는 10년, 길더라도 25년 정도면 모두 고갈될 것이라고 한다. 이는 인듐이 아연광의 부산물로 정제되기 때문에 희소성이 높기 때문이다. 고갈 이전이라고 하더라도 인듐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관련 응용 제품의 제조 비용 상승을 부추기고 있어, 인듐을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투명전도막 개발이 매우 시급한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 투명필름을 적용하여 투명기판을 구비하고, 투명기판의 면적을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비활성영역을 터치패널의 측면으로 절곡 배치함으로써, 활성영역의 실질적인 면적을 넓게 구현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투명전극에 사용되는 ITO를 대체하여 금속박막으로 구성된 금속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투명도전막에 사용되는 자원의 고갈 문제를 해소하는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금속전극, 상기 제1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 및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된 제1 전극배선, 상기 제1 투명기판에 대향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제2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제2 연장부,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금속전극; 및 상기 제2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투명기판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전극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기판은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의 비활성영역 및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투명기판은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며, 제2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 투명기판의 비활성영역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패널에는 제어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전극배선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상기 제2 전극배선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투명기판 및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투명기판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전극은 직선의 전극선이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반복 배열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활성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금속전극은 상기 제1 금속전극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의 전극선이 평행하게 반복 배열되어 상기 제2 투명기판의 활성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의 돌출 방향과 상기 제2 연장부의 돌출 방향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전극 또는 제2 금속전극은 금속메쉬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금속전극, 상기 제1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 및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된 제1 전극배선, 상기 투명기판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제2 연장부,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형성된 제2 금속전극 및 상기 제2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전극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은 제1 활성영역과 제1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활성영역과 상기 제1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비활성영역 및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투명기판의 제1 활성영역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은 제2 활성영역과 제2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활성영역은 상기 제1 활성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2 활성영역과 상기 제2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 비활성영역 및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투명기판의 제2 활성영역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에는 제어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된 제1 전극배선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전극배선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전극은 직선의 전극선이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반복 배열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제1 활성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금속전극은 상기 제1 금속전극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의 전극선이 평행하게 반복 배열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제2 활성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전극 또는 제2 금속전극은 금속메쉬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전극; 및 상기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 및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전극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기판은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비활성영역 및 상기 연장부는 상기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기판은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전극은 금속메쉬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활성영역을 터치패널의 측면에 절곡 배치하여, 활성영역의 실질적인 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FPC를 별도로 구비하여 투명기판에 연결하는 종래의 방식 대신, 종래의 FPC에 대응하는 연장부를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터치패널과 FPC를 일체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터치패널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터치패널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터치패널의 사시도;
도 5a는 도 3의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투명기판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 5b는 도 3의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또 다른 투명기판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 따른 터치패널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7b는 도 7a에 따른 터치패널의 사시도;
도 8a는 도 6의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투명기판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 8b는 도 6의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또 다른 투명기판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및 사시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투명기판의 평면도 및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00)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00)은 제1 투명기판(210)과 이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2 투명기판(220), 제1 투명기판(21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투명기판(210)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215), 제2 투명기판(22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투명기판(220)과 일체로 형성된 제2 연장부(225), 투명기판(제1 투명기판(210), 제2 투명기판(220))에 형성된 금속전극(제1 금속전극(217), 제2 금속전극(227)) 및 전극배선(제1 전극배선(219), 제2 전극배선(229))으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기판(210,220)은 금속전극(217,227) 및 전극배선(219,229)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도 5 참조). 제1 투명기판(210)은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B)으로 양분되는데, 활성영역(A)은 입력수단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1 금속전극(217)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1 투명기판(210)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비활성영역(B)은 제1 금속전극(217)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전극배선(219)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1 투명기판(210)의 일 측에 배치된다. 제2 투명기판(220) 역시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B)으로 양분되는데, 활성영역(A)은 입력수단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2 금속전극(227)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2 투명기판(220)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비활성영역(B)은 제2 금속전극(227)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전극배선(229)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2 투명기판(220)의 일 측에 배치된다. 제1 금속전극(217) 및 제1 전극배선(219)은 제1 투명기판(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2 금속전극(227) 및 제2 전극배선(229)은 제2 투명기판(2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제1 투명기판(210)의 타면과 제2 투명기판(220)의 일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터치패널(200)을 구성한다. 이때, 제1 투명기판(210)의 타면과 제2 투명기판(220)의 일면 사이에는 양 투명기판(210,220)을 합지시키는 접착층(230; 도 3 참조)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패널(200)을 구성하는 투명기판(210,220)은 돌출된 연장부(215,225)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기판(210,220)은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투명기판(210,220)은 비활성영역(B)으로부터 돌출되어 투명기판(210,220)과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215,225)를 포함한다. 즉, 제1 투명기판(210)은 비활성영역(B)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투명기판(210)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215)를 포함하고, 제2 투명기판(220)은 비활성영역(B)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투명기판(220)과 일체로 형성된 제2 연장부(225)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215) 및 제2 연장부(225)는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패널(도 1, 도 2 참조)에서, 터치패널을 제어부에 연결하는 FPC(130; 도 1, 도 2 참조)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연성의 투명필름을 기본 재료로 하여 투명기판(210,220)을 제작하고, 이와 동시에, 종래의 FPC에 대응하는 연장부(215,225)를 투명기판(210,220)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여, FPC 일체형 터치패널(200)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터치패널(200)은 제1 투명기판(210)에 형성되는 제1 금속전극(217)과 제2 투명기판(220)에 형성되는 제2 금속전극(227)이 직교하므로, 제1 연장부(215)가 제1 투명기판(21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제2 연장부(225)가 제2 투명기판(22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90도를 이룬다(도 3 참조).
다음, 상기 투명기판(210,220)은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다. 연성의 투명필름은 절연재의 기능을 가지며, 굴곡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비활성영역(B) 및 연장부(215,225)에 소정의 자유도를 제공한다. 연성의 투명필름의 재료로는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굴곡성이 뛰어난 성질을 갖는 절연재라면 어떤 재료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두 가지 특성에 의해 투명기판(210,220)은 3차원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210,220)의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B)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비활성영역(B)이 활성영역(A)에 수직이 되도록 꺾이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210,220)의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B)의 경계라인부터 절곡되어 비활성영역(B) 및 연장부(215,225)가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휘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양 변형예 모두, 터치패널(200)의 상부에서는 제1 투명기판(210)의 활성영역(A)만이 사용자의 시각을 차지하게 되는 반면, 전극배선(217,227)이 형성되어 투명기판의 면적을 불필요하게 차지하고 있었던 비활성영역(B)은 터치패널(200)의 측면부를 감싸게 된다. 즉, 활성영역(A)을 더 넓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금속전극(217,227)은 입력수단이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서 터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투명기판(210,220)의 일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투명기판(210)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전극을 제1 금속전극(217), 제2 투명기판(220)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전극을 제2 금속전극(227)이라 명명하였다. 상기 금속전극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Evaporation) 등의 건식 공정,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의 습식 공정을 적용하여 투명기판에 전체적으로 박막을 형성한 후 선택적으로 에칭하거나, 또는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의 다이렉트(direct)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금속전극(217)과 제2 금속전극(227)의 테두리에는 제1 금속전극(217)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제1 전극배선(219), 제2 금속전극(227)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제2 전극배선(229)이 형성된다. 이때, 전극배선(219,229)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또는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을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전극배선(219,229)의 재료로는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은 페이스트(Ag paste) 또는 유기은으로 조성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성 고분자, 카본블랙(CNT포함)과 같은 금속산화물이나 금속류 등 저저항(低抵抗)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금속전극(217,227)과 동일한 금속으로 전극배선(219,229)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속전극(217,227)과 전극배선(219,229)을 투명기판(210,220)에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금속전극(217)은 제1 투명기판(210)의 활성영역(A)에 형성되되, 제1 금속전극(217)을 구성하는 개개의 금속전극선은 제1 연장부(215)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x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금속전극선이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제1 금속전극(217)을 구성한다. 한편, 제1 금속전극(2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배선(219)은 비활성영역(B)에 형성되고, 비활성영역(B)과 제1 연장부(215)의 경계에서 집결되어 제1 연장부(215)로 연장된다. 상기 제1 투명기판(210)은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되므로, 벤딩이 쉽고 유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투명기판(210)의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B)의 경계라인에서 제1 투명기판(210)을 절곡하여 구부린다. 비활성영역(B)에 형성된 제1 전극배선(219)이 터치패널(200)의 측면부를 감싸게 되고, 비활성영역(B)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제1 연장부(215)는 터치패널(200)에 구비된 제어부(290; 도 3 참조)를 향하게 되며, 제어부(290)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금속전극(227)은 제2 투명기판(220)의 활성영역(A)에 형성되되, 제2 금속전극(227)을 구성하는 개개의 금속전극선은 제2 연장부(225)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y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금속전극선이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제2 금속전극(227)을 구성한다. 한편, 제2 금속전극(2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배선(229)은 비활성영역(B)에 형성되고, 비활성영역(B)과 제2 연장부(225)의 경계에서 집결되어 제2 연장부(225)로 연장된다. 상기 제2 투명기판(210)은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되므로, 벤딩이 쉽고 유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투명기판(220)의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B)의 경계라인에서 제2 투명기판(220)을 절곡하여 구부린다. 비활성영역(B)에 형성된 제2 전극배선(229)이 터치패널(200)의 측면부를 감싸게 되고, 비활성영역(B)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제2 연장부(225)는 터치패널(200)에 구비된 제어부(290; 도 3 참조)를 향하게 되며, 제어부(290)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금속전극(217)과 제2 금속전극(227)의 형성 방향이 서로 수직하고, 제1 금속전극(217)과 제2 금속전극(227)은 각각 제1 연장부(215) 및 제2 연장부(225) 측을 향하기 때문에, 제1 투명기판(210)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215)의 돌출방향과 제2 투명기판(220)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부(225)의 돌출방향 역시 서로 90도를 이룬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70; 도 3 참조)는 상기 제2 투명기판(220)의 타면에 부착되어 위치하며, 접착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제2 투명기판(220)과 화상표시장치(270)를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표시장치(270)는 화상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또는 CRT(Cathod Ray Tub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접착부재(미도시)는 화상표시장치(270)에서 출력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투명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광학투명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투명기판(310)을 구비하고, 투명기판(310)의 양면에 금속전극(317,327)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300)은 투명기판(310), 투명기판(310)으로부터 연장되어 투명기판(310)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315) 및 제2 연장부(325), 투명기판(310)의 양면에 형성된 제1 금속전극(317) 및 제2 금속전극(327), 금속전극(317,327)과 연결되는 제1 전극배선(319) 및 제2 전극배선(329)으로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투명기판(310)은 금속전극(317,327) 및 전극배선(319,329)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투명기판(310)의 일면은 제1 활성영역(A1), 제1 비활성영역(B1)으로 구분되고, 타면은 제2 활성영역(A2), 제2 비활성영역(B2)으로 구분된다. 제1 활성영역(A1)과 제2 활성영역(A2)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비활성영역(B1)과 제2 비활성영역(B2)은 서로 90도 엇갈려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1 비활성영역(B1)이 제1 활성영역(A1)의 좌 우측(도면상의 x 축) 중 어느 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제2 비활성영역(B2)은 제2 활성영역(A2)의 상 하측(도면상의 y 축) 중 어느 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터치패널(300)을 구성하는 투명기판(310)은 돌출된 한 쌍의 연장부(제1 연장부(315) 및 제2 연장부(325))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기판(310)은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투명기판(310)은 일면의 제1 비활성영역(B1)으로부터 돌출되어 투명기판(310)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315), 타면의 제2 비활성영역(B2)으로부터 돌출되어 투명기판(310)과 일체로 형성된 제2 연장부(325)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비활성영역(B1)과 제2 비활성영역(B2)은 서로 대응하는 제1 활성영역(A1) 및 제2 활성영역(A2)을 기준으로 90 엇갈리게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 비활성영역(B1,B2)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연장부(315,325) 역시 활성영역(A1,A2)을 기준으로 x-y 평면상에서 서로 90도를 이룬다.
다음으로, 상기 투명기판(310)은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해당부분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을 가짐에 따라, 투명기판(310)은 3차원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310)의 제1 활성영역(A1)과 제1 비활성영역(B1)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제1 비활성영역(B1)이 제1 활성영역(A1)에 수직이 되도록 꺾이고, 또 투명기판(310)의 제2 활성영역(A2)과 제2 비활성영역(B2)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제2 비활성영역(B2)과 제2 활성영역(A2)이 수직이 되도록 꺾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310)의 제1 활성영역(A1)과 제1 비활성영역(B1)의 경계라인부터 절곡되어 제1 비활성영역(B1) 및 제1 연장부(315)가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휘어지고, 또 투명기판(310)의 제2 활성영역(A2)과 제2 비활성영역(B2)의 경계라인부터 절곡되어 제2 비활성영역(B2) 및 제2 연장부(325)가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휘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양 변형예 모두, 터치패널(300)의 상부에서는 투명기판(310)의 제1 활성영역(A1; 또는 제2 활성영역(A2))만이 사용자의 시각을 차지하게 되는 반면, 전극배선(319,329)이 형성되어 투명기판(310)의 면적을 불필요하게 차지하고 있었던 비활성영역(제1 비활성영역(B1) 및 제2 비활성영역(B2))은 터치패널(300)의 측면부를 감싸게 된다. 즉, 활성영역(A1,A2)을 더 넓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금속전극(317,327)은 입력수단이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서 터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투명기판(310)의 양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기판(310)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전극을 제1 금속전극(317), 투명기판(310)의 타면에 형성된 금속전극을 제2 금속전극(327)이라 명명하였다. 상기 금속전극(317,327)의 형성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해당부분과 동일하다.
제1 금속전극(317)과 제2 금속전극(327)의 테두리에는 제1 금속전극(317)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제1 전극배선(319), 제2 금속전극(327)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제2 전극배선(329)이 형성된다. 이때, 전극배선(319,329)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또는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을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전극배선(319,329)의 재료로는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은 페이스트(Ag paste) 또는 유기은으로 조성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성 고분자, 카본블랙(CNT포함)과 같은 금속산화물이나 금속류 등 저저항(低抵抗)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금속전극(317,327)과 동일한 금속으로 전극배선(319,329)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속전극(317,327)과 전극배선(319,329)을 투명기판(310)에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금속전극(317)은 투명기판(310)의 제1 활성영역(A1)에 형성되되, 제1 금속전극(317)을 구성하는 개개의 금속전극선은 제1 연장부(315)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x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금속전극선이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제1 금속전극(317)을 구성한다. 한편, 제1 금속전극(3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배선(319)은 제1 비활성영역(B1)에 형성되고, 제1 비활성영역(B1)과 제1 연장부(315)의 경계라인에서 집결되어 제1 연장부(315)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금속전극(327)은 투명기판(310)의 제2 활성영역(A2)에 형성되되, 제2 금속전극(327)을 구성하는 개개의 금속전극선은 제2 연장부(325)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y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금속전극선이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제2 금속전극(327)을 구성한다. 한편, 제2 금속전극(3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배선(329)은 제2 비활성영역(B2)에 형성되고, 제2 비활성영역(B2)과 제2 연장부(325)의 경계에서 집결되어 제2 연장부(325)로 연장된다.
상기 투명기판(310)은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되므로, 벤딩이 쉽고 유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기판(310)의 제1 활성영역(A1)과 제1 비활성영역(B1)의 경계라인에서 투명기판(310)을 절곡하여 구부린다. 제1 비활성영역(B1)에 형성된 제1 전극배선(319)이 터치패널(300)의 측면부를 감싸게 되고, 제1 비활성영역(B1)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제1 연장부(315)는 터치패널(300)에 구비된 제어부(390; 도 6 참조)를 향하게 되며, 제어부(390)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된다. 또한, 투명기판(310)의 제2 활성영역(A2)과 제2 비활성영역(B2)의 경계라인에서 투명기판(310)을 절곡하여 구부린다. 제2 비활성영역(B2)에 형성된 제2 전극배선(329)이 터치패널(300)의 측면부를 감싸게 되고, 제2 비활성영역(B2)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제2 연장부(325)는 터치패널(300)에 구비된 제어부(390; 도 6 참조)를 향하게 되며, 제어부(390)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금속전극(317)과 제2 금속전극(327)의 형성 방향이 서로 수직하고, 제1 금속전극(317)과 제2 금속전극(327)은 각각 제1 연장부(315) 및 제2 연장부(325) 측을 향하기 때문에, 투명기판(310)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315)의 돌출방향과 제2 연장부(325)의 돌출방향 역시 서로 90도를 이룬다.
상기 화상표시장치(370)는 상기 투명기판(310)의 타면에 부착되어 위치하며, 접착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투명기판(310)과 화상표시장치(370)를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표시장치(370) 및 접착부재(미도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와 반복되므로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및 사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투명기판의 평면도 및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투명기판(410), 상기 투명기판(4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투명기판(410)과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415), 상기 투명기판(410)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전극(417); 및 상기 금속전극(417)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명기판(410) 및 상기 연장부(415)에 형성된 전극배선(419)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기판(410)은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B)으로 구분되며, 상기 투명기판(410)의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B)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투명기판(410)의 비활성영역(B) 및 상기 연장부(415)는 상기 투명기판(410)의 활성영역(A)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효과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투명기판(410)은 금속전극(417) 및 전극배선(419)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투명기판(410)은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B)으로 양분되는데, 활성영역(A)은 입력수단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금속전극(417)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투명기판(410)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비활성영역(B)은 금속전극(417)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극배선(419)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투명기판(410)의 일측에 배치된다.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투명기판(410)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같이,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투명필름을 사용하고, 투명기판(410)의 비활성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의 역할을 하는 연장부(415)가 투명기판(4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투명기판(410)은 다양한 형상으로의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410)의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이 수직이 되도록 절곡되거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410)의 활성영역(A)과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으로부터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휘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으로 터치패널의 활성영역(A)을 보다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배선(419)은 금속전극(417)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그 기능 및 형성방법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들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화상표시장치(470)는 투명기판(410)의 일면상에 부착되어 위치하며, 화상표시장치(470) 일측면에는 상기 제어부(490)가 형성되며, 제어부(490)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연장부(415)가 연결되는 것은 이미 살펴보았다. 투명기판(410)의 일면상에는 접착층(430)이 도포되어 화상표시장치(470)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의 접착층(430)은 OCA(optical composite adhesive) 등 다양한 투명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금속전극은 그 명칭에 불구하고, 투명전극이나 금속메쉬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기판과 금속전극의 구조적인 변경을 통한 정전용량방식 또는 저항막방식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전극형태 및 구조적인 변경의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다.
이하에서는 투명전극과 금속메쉬전극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금속전극은 투명전극 또는 금속메쉬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투명전극은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투명전극은 전도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ITO(indium-tin oxide), 유기투명전극재료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ZnO(zinc oxide), SnO2(tin oxide), 그래핀, 등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물질의 투명전극으로 당업자에 의한 선택 및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투명전극은 스퍼터링(spattering)법, 진공증착법, 이온도금(ion plating)법 등의 물리적 방법이나, 스프레이(spray)법, 딥(dip)법,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등의 화학적 방법으로 투명기판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메쉬전극은 전기방사법에 의해 방사용액을 투명기판(11a)에 방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방사용액은 금속, 금속산화물, 전도성 고분자, 카본나노튜브, 그래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용매로 바인더와 함께 분산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 금속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금속산화물은 ITO(Indium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다. 전도성 고분자는 상기에서 예시한 물질들을 포함한다. 기타 전기방사법에 의한 금속메쉬전극의 형성방법은 일반적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금속메쉬전극의 형성은 전기방사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금속메쉬전극의 형성에 관한 공지의 방법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 질 것이다.
100 : 터치패널 110 : 제1 투명기판
120 : 제2 투명기판 115 : 제1 투명전극
125 : 제2 투명전극 117 : 제1 전극배선
127 : 제2 전극배선 130 : FPC(Flexible Printed Circuit: 연성인쇄회로)
200, 300 : 터치패널 210 : 제1 투명기판
220 : 제2 투명기판 A : 활성영역
B : 비활성영역 230, 330 : 접착층
215, 315 : 제1 연장부 225, 325 : 제2 연장부
217, 317 : 제1 금속전극 227,327 : 제2 금속전극
219, 319 : 제1 전극배선 229, 329 : 제2 전극배선
270, 370 : 화상표시장치 290, 390 : 제어부
310 : 투명기판 A1 : 제1 활성영역 A2 : 제2 활성영역 B1 : 제1 비활성영역 B2 : 제2 비활성영역 410: 투명기판
417: 금속전극 415: 연장부
419: 전극배선 430: 접착층
470: 화상표시장치 490: 제어부

Claims (17)

  1.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금속전극;
    상기 제1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 및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된 제1 전극배선;
    상기 제1 투명기판에 대향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제2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제2 연장부;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금속전극; 및
    상기 제2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투명기판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전극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기판은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의 비활성영역 및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투명기판은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며, 제2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 투명기판의 비활성영역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에는 제어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전극배선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상기 제2 전극배선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 및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투명기판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전극은 직선의 전극선이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반복 배열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활성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금속전극은 상기 제1 금속전극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의 전극선이 평행하게 반복 배열되어 상기 제2 투명기판의 활성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을 접착하는 접착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돌출 방향과 상기 제2 연장부의 돌출 방향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전극 또는 제2 금속전극은 금속메쉬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8.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금속전극;
    상기 제1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 및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된 제1 전극배선;
    상기 투명기판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제2 연장부;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형성된 제2 금속전극; 및
    상기 제2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전극배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은 제1 활성영역과 제1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활성영역과 상기 제1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비활성영역 및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투명기판의 제1 활성영역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은 제2 활성영역과 제2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활성영역은 상기 제1 활성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2 활성영역과 상기 제2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 비활성영역 및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투명기판의 제2 활성영역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에는 제어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된 제1 전극배선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제2 전극배선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전극은 직선의 전극선이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반복 배열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제1 활성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금속전극은 상기 제1 금속전극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의 전극선이 평행하게 반복 배열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제2 활성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전극 또는 제2 금속전극은 금속메쉬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5.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투명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전극; 및
    상기 금속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 및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전극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기판은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의 경계라인에서 절곡되어, 상기 투명기판의 비활성영역 및 상기 연장부는 상기 투명기판의 활성영역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연성의 투명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금속전극은 금속메쉬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1020110090812A 2011-09-07 2011-09-07 터치패널 KR20130027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812A KR20130027307A (ko) 2011-09-07 2011-09-07 터치패널
US13/312,138 US8917250B2 (en) 2011-09-07 2011-12-06 Touch panel
US14/541,027 US20150138114A1 (en) 2011-09-07 2014-11-13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812A KR20130027307A (ko) 2011-09-07 2011-09-07 터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307A true KR20130027307A (ko) 2013-03-15

Family

ID=4775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812A KR20130027307A (ko) 2011-09-07 2011-09-07 터치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917250B2 (ko)
KR (1) KR201300273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0552B2 (en) 2015-04-27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including a conductive polymer layer
KR20170143142A (ko) * 2016-06-20 2017-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8194305A1 (ko) * 2017-04-20 2018-10-25 주식회사 토비스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2400B2 (en) 2011-10-28 2018-12-25 Wacom Co., Ltd.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ctive stylus
TWI448939B (zh) * 2011-12-06 2014-08-11 Shih Hua Technology Ltd 觸摸屏面板
US20130181911A1 (en) 2012-01-17 2013-07-18 Esat Yilmaz On-Display-Sensor Stack
US9083344B2 (en) * 2012-02-01 2015-07-14 Apple Inc. Touch sensor with integrated signal bus extensions
KR101507503B1 (ko) * 2012-05-29 2015-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693452B2 (en) * 2012-06-28 2017-06-27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conductive path and a method of forming an apparatus with a conductive path
JP5347096B1 (ja) * 2012-09-13 2013-11-20 株式会社ワンダーフューチャ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タッチパネルと表示装置を具備する入出力一体型装置
US9432017B2 (en) * 2012-09-25 2016-08-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touch sensing system
TW202333401A (zh) 2013-03-07 2023-08-16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9209207B2 (en) * 2013-04-09 2015-12-08 Apple Inc. Flexible display with bent edge regions
KR101663763B1 (ko) * 2013-07-31 2016-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US9465490B2 (en) 2013-09-19 2016-10-11 Atmel Corporation Curved surface sensor pattern
CN104635844B (zh) * 2013-11-07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4199570B (zh) * 2014-08-11 2017-10-03 深圳市宇顺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屏的制作方法及触控屏
CN104166491B (zh) * 2014-08-11 2017-06-16 深圳市宇顺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屏的制作方法及触控屏
US9696860B2 (en) 2014-09-08 2017-07-04 Blackberry Limited Capacitive touch sensor
US9933870B2 (en) * 2015-03-17 2018-04-03 Lg Display Co., Ltd. Back plate member for flexible display,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58085A1 (ja) * 2015-03-27 2016-10-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ー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102372334B1 (ko) * 2015-04-14 2022-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TW201715360A (zh) * 2015-10-29 2017-05-01 達鴻先進科技股份有限公司 可撓式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以及觸控顯示面板
JP2017151575A (ja) * 2016-02-23 2017-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7346194A (zh) * 2017-06-28 2017-1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触控屏及其制作方法
KR102502274B1 (ko) * 2018-02-21 2023-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254468B2 (ja) * 2018-09-11 2023-04-10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486B2 (en) * 2001-01-23 2003-09-16 Mobigence, Inc. Expanded touch panel display
US7463248B2 (en) * 2005-04-04 2008-12-0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ptical devices using fold-up portions extended from a substrate
US7920127B2 (en) * 2005-07-29 2011-04-05 Alps Electric Co., Ltd. Capacitive coordinate detection device
US20080309633A1 (en) * 2007-06-13 2008-12-18 Apple Inc. Touch-sensitive display
US8400408B2 (en) * 2007-06-13 2013-03-19 Apple Inc. Touch screens with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resistors
JP2009193233A (ja) * 2008-02-13 2009-08-27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10165032A (ja) * 2009-01-13 2010-07-29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US8576209B2 (en) * 2009-07-07 2013-1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20120072793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US8816972B2 (en) * 2011-04-28 2014-08-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curved area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0552B2 (en) 2015-04-27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including a conductive polymer layer
KR20170143142A (ko) * 2016-06-20 2017-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77902A (ko) * 2016-06-20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90268B2 (en) 2016-06-20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bending region
US11991911B2 (en) 2016-06-20 2024-05-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bending region
WO2018194305A1 (ko) * 2017-04-20 2018-10-25 주식회사 토비스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1023062B2 (en) 2017-04-20 2021-06-01 Tovis Co., Ltd. Bezel-less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6243A1 (en) 2013-03-07
US8917250B2 (en) 2014-12-23
US20150138114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7307A (ko) 터치패널
US9811226B2 (en) Sensor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772727B2 (en) Touch panel
KR101119251B1 (ko) 터치패널
KR101340026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63371A1 (en) Touch panel
US20150110953A1 (en) Touch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panel
US20150060120A1 (en) Touch panel
KR101402825B1 (ko) 전극패턴의 구조가 개선된 터치윈도우
US20110109564A1 (en) Touch scre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374457B2 (ja) 面状体及びタッチパネル
CN101819495A (zh) 图案化衬底、具有其的触摸屏传感器组件及其制造方法
US20120032927A1 (en) Touch panel
KR20130069076A (ko) 터치패널용 기판과 fpcb의 연결구조
KR101956086B1 (ko)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35490A (ko) 디지털 저항막방식 터치패널
JP2013004074A (ja)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KR101109312B1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3359A (ko)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JP2012064211A (ja) 静電容量方式タッチ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101305697B1 (ko) 터치 패널
JP6134968B2 (ja) 表示装置
KR20140056960A (ko) 저항차 보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과 그 제조 방법
JP6134965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20039854A (ko) 터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