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969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969B1
KR101904969B1 KR1020160097484A KR20160097484A KR101904969B1 KR 101904969 B1 KR101904969 B1 KR 101904969B1 KR 1020160097484 A KR1020160097484 A KR 1020160097484A KR 20160097484 A KR20160097484 A KR 20160097484A KR 101904969 B1 KR101904969 B1 KR 10190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touch
banding
lay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390A (ko
Inventor
곽나윤
김종석
안치욱
박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969B1/ko
Priority to US15/653,202 priority patent/US10409433B2/en
Priority to EP20167162.5A priority patent/EP3693838B1/en
Priority to EP19179106.0A priority patent/EP3557392A1/en
Priority to EP17182444.4A priority patent/EP3276469B1/en
Priority to CN201710604998.XA priority patent/CN107665910B/zh
Priority to CN201811382072.1A priority patent/CN109271063B/zh
Priority to CN201910916438.7A priority patent/CN110676295B/zh
Priority to TW110143606A priority patent/TWI807499B/zh
Priority to TW106125549A priority patent/TWI686646B/zh
Priority to TW109102648A priority patent/TWI750570B/zh
Publication of KR2018001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969B1/ko
Priority to US16/544,041 priority patent/US11036340B2/en
Priority to US17/343,664 priority patent/US11347341B2/en
Priority to US17/827,787 priority patent/US11614818B2/en
Priority to US18/126,931 priority patent/US2023023668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35Non-linear optics
    • G02F1/3501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non-linear optical devices, e.g. shape of non-linear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과 제1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평면영역 및 제2 표시영역과 제2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밴딩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감지유닛은, 상기 밴딩영역의 밴딩축에 평행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메쉬 형상의 복수의 제1 터치센서들,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는 메쉬 형상의 제2 터치센서들, 상기 제1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된 제1 접속전극들, 상기 제2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된 제2 접속전극들, 상기 제1 접속전극들 및 상기 제2 접속전극들에 연결된 복수의 터치신호배선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터치감지유닛을 포함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제공을 위해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최근,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display panel)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이 화면에 접촉 또는 근접함에 따라, 물체가 화면에 터치되었는지 여부 및 터치좌표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터치좌표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밴딩영역에서 배선의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에 인접한 제1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평면영역 및 제2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에 인접한 제2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밴딩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감지유닛은, 상기 밴딩영역의 밴딩축에 평행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메쉬 형상의 복수의 제1 터치센서들,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는 메쉬 형상의 복수의 제2 터치센서들, 상기 제1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된 제1 접속전극들, 상기 제2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된 제2 접속전극들, 상기 제1 접속전극들 및 상기 제2 접속전극들에 연결된 복수의 터치신호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전극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전극은 센터부분 및 양측 엣지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 엣지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엣지부분은 제1 엣지 및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제2 엣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엣지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1 터치센서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엣지는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양측 엣지부분들 중 다른 하나의 엣지부분은 제3 엣지 및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제4 엣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엣지는 상기 제3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4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엣지는 상기 제3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엣지 및 상기 제4 엣지 각각은 상기 제1 터치센서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엣지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2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엣지는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 각각은 상기 제1 터치센서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센서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양측 엣지부분들은 상기 밴딩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엣지는 상기 밴딩축과 경사지며,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 각각은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터치센서들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엣지의 일단 및 끝단은 상기 센터부분 및 상기 제2 엣지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엣지의 일단 및 끝단은 상기 센터부분 및 상기 제1 엣지의 끝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엣지가 상기 밴딩축과 이루는 경사는 상기 제2 엣지가 상기 밴딩축과 이루는 경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엣지부분은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를 연결하는 제3 엣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제1 엣지의 일단 및 상기 제2 엣지의 일단을 각각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터치센서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나열된 제1 센서부들 및 인접한 상기 제1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들 중 상기 제2 주변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 첫 번째 제1 센서부 및 마지막 번째 제1 센서부는 나머지 제1 센서부들의 일 부분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터치센서들 및 상기 제2 터치센서들 각각은 복수의 메쉬 개구부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메쉬선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쉬 개구부들은 제1 면적의 제1 메쉬 개구부들 및 상기 제1 면적과 다른 제2 면적의 제2 메쉬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쉬선들 각각의 내측선은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신호배선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터치신호배선은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경사부분 및 상기 밴딩축과 평행한 평행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된 발광소자층, 상기 발광소자층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감지유닛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접속전극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전극은 센터부분 및 양측 엣지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 엣지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엣지부분은 제3 엣지 및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제4 엣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과 제1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평면영역 및 제2 표시영역과 제2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밴딩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감지유닛은, 상기 밴딩영역의 밴딩축에 평행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메쉬 형상의 복수의 제1 터치센서들,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는 메쉬 형상의 복수의 제2 터치센서들, 상기 제1 터치센서들 및 상기 제2 터치센서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터치신호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신호배선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터치신호배선은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경사부분 및 상기 밴딩축과 평행한 평행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감지유닛은, 상기 제1 터치센서들의 끝단들 및 상기 터치신호배선들 중 대응하는 제1 터치신호배선들에 각각 연결된 제1 접속전극, 상기 제2 터치센서들의 끝단들 및 상기 터치신호배선들 중 대응하는 제2 터치신호배선들에 각각 연결된 제2 접속전극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전극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전극은 센터부분 및 양측 엣지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 엣지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엣지부분은 제1 엣지 및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제2 엣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밴딩영역에 배치되며 터치센서에 연결된 배선의 일단 및 끝단은 밴딩축과 수직한 기준축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배선의 일단 및 끝단이 밴딩축과 수직하지 않음에 따라, 배선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밴딩영역에서 배선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의 단면도들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b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6e에 도시된 A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7a에 도시된 센서패턴의 확대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6e에 도시된 B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d는 도 7c에 도시된 AX1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7c에 도시된 AX2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7c에 도시된 AX2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g 및 도 7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6e에 도시된 B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8a에 도시된 CC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 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스마트 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DD)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게임기, 음향 전자장치, 스마트 와치,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장치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밴딩축(BX)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평면영역(NBA) 및 밴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영역(NBA) 제1 표시면(IS1)을 포함하고, 밴딩영역(BA)은 제2 표시면(IS2)을 포함한다.
자세하게, 평면영역(NBA)은 제1 표시면(IS1)의 제1 표시영역(DD-DA1)과 제1 표시영역(DD-DA1)에 인접한 제1 주변영역(DD-NDA1)을 포함할 수 있다. 밴딩영역(BA)은 제2 표시면(IS2)의 제2 표시영역과 제2 표시영역에 인접한 제2 주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DD-DA1) 및 제2 표시영역(DD-DA2)은 밴딩축(BX)을 기준으로 구분되며, 제1 주변영역(DD-NDA1) 및 제2 주변영역(DD-NDA2)은 밴딩축(BX)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제1 표시영역(DD-DA1) 및 제2 표시영역(DD-DA2)을 통해 이미지(IM)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영역(NBA)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제1 표시면(IS1)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제1 표시면(IS1)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하나의 평면 영역(NBA) 및 평면 영역(NBA)을 사이에 두고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은 제2 방향(DR2)에서 평면 영역(NBA)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장치(DD)의 설명은 도 1a에 도시된 하나의 밴딩영역(BA)을 갖는 표시장치인 것으로 설명된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보호필름(PM), 표시모듈(DM), 광학부재(LM), 윈도우(WM), 제1 접착부재(AM1), 제2 접착부재(AM2), 및 제3 접착부재(AM3)를 포함한다. 보호필름(PM), 표시모듈(DM), 광학부재(LM), 윈도우(WM), 제1 접착부재(AM1), 제2 접착부재(AM2), 및 제3 접착부재(AM3) 각각은 평면 영역(NBA) 및 밴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보호필름(PM)과 광학부재(LM)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부재(LM)는 표시모듈(DM)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착부재(AM1)는 표시모듈(DM)과 보호필름(PM)을 결합하고, 제2 접착부재(AM2)는 표시모듈(DM)과 광학부재(LM)를 결합하고, 제3 접착부재(AM3)는 광학부재(LM)와 윈도우(WM)를 결합한다.
보호필름(PM)은 표시모듈(DM)을 보호한다. 보호필름(PM)은 외부에 노출된 제1 외면(OS-L)을 제공하고, 제1 접착부재(AM1)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제공한다. 보호필름(PM)은 외부의 습기가 표시모듈(DM)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보호필름(PM)은 플라스틱 필름을 베이스층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 ether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을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은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은 플라스틱 필름에 형성된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코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호필름(PM)은 생략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모듈(DM)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외부에 노출된 제2 외면(OS-U)을 제공하고, 제3 접착부재(AM3)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표시면(IS)이 제2 외면(OS-U)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M)는 유리 기판, 플라스틱 필름,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부터 선택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M)는 베젤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구조는 연속공정 또는 접착층을 이용한 접착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광학부재(LM)는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광학부재(LM)는 적어도 편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재(LM)는 위상차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학부재(LM)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모듈(DM)은 유기발광 표시패널(DP) 및 터치감지유닛(TS)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유닛(TS)은 유기발광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별도의 접착층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며,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IM, 도 1a 참조)를 생성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두께 방향(DR3)에서 마주하는 제1 표시 패널면(BS1-L) 및 제2 표시 패널면(BS1-U)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패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감지유닛(TS)은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터치감지유닛(TS)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은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반사 방지층은 컬러필터 또는 도전층, 절연층, 및 도전층의 적층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흡수 또는 상쇄간섭 또는 편광시켜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광학 부재(LM)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M1), 제2 접착 부재(AM2), 및 제3 접착 부재(AM3) 각각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 접착 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과 같은 유기 접착층일 수 있다. 유기 접착층은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폭시계, 폴리초산비닐계 등의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기 접착층은 유기층의 하나에 해당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유기 접착층은 기포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장치(DD)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능층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은 관절 구조 또는 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A)과 주변영역(NDA)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주변영역(NDA)은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주변영역(DD-NDA)에 각각 대응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주변영역(NDA)은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주변영역(DD-NDA)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 복수 개의 발광 라인들(EL), 복수개의 제1 및 제2 초기화 라인들(SL-Vint1, SL-Vint2), 복수 개의 제1 전원 라인들(SL-VDD1, SL-VDD2), 제2 전원 라인(E-VSS), 복수 개의 패드부들(PD), 복수 개의 신호 연결 라인들(SCL), 게이트-발광 구동부(GDC),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화소들(PX)이 배치된 영역이 표시영역(DA)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변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화소들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발광 라인들(E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화소들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전원 라인들(SL-VDD1, SL-VDD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서브 전원 라인들(SL-VDD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1 서브 전원 라인들(SL-VDD1)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2 전원 라인들(SL-VDD2)을 포함한다. 제2 전원 라인들(SL-VDD2)은 화소들(PX)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SL-VDD1, SL-VDD2)은 제1 전압을 수신한다. 제1 전압은 애노드 전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초기화 라인들(SL-Vint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초기화 라인들(SL-Vint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1 초기화 라인들(SL-Vint1)에 연결된다. 제1 초기화 라인들(SL-Vint1)은 화소들(PX)에 연결되며, 초기화 전압을 수신한다.
게이트-발광 구동부(GDC)는 주변영역(NDA)의 일측에 배치되며, 게이트 라인들(GL) 및 발광 라인들(EL)에 연결된다. 게이트-발광 구동부(GDC)는 신호 연결 라인들(SCL) 중 대응하는 제1 신호 연결 라인을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들 및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신호 연결 라인의 일단은 게이트-발광 구동부(GDC)에 연결되며, 끝단은 패드부들(PD)에 연결된다. 게이트 라인들(GL)은 게이트 신호들을 수신하고, 발광 라인들(EL)은 발광 신호들을 수신한다. 도 3a에 도시된 게이트-발광 구동부(GDC)와 제2 방향(DR2)에서 마주하는 또 다른 게이트-발광 구동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원 라인(E-VSS)은 제2 전압을 수신하며, 제2 전압은 캐소드 전압(또는 접지 전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전원 라인(E-VSS)을 통해 제2 전압이 화소들(PX)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원 라인(E-VSS)은 신호 연결 라인들(SCL) 중 대응하는 제2 신호 연결 라인을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제2 신호 연결 라인의 일단은 제2 전원 라인(E-VSS)에 연결되고, 끝단은 패드부들(PD)에 연결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SUB), 베이스층(SUB) 상에 배치된 회로층(DP-CL), 발광소자층(DP-OLED),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한다. 베이스층(SUB)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 복수 개의 도전층들 및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의 복수 개의 도전층들은 신호라인들 또는 화소의 제어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발광소자층(DP-OLED)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발광소자층(DP-OLED)을 밀봉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과 유기층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2 개의 무기층들과 그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수분/산소로부터 발광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무기층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감지유닛(TS)은 박막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된다. 터치감지유닛(TS)은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금속층, 예컨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동일한 층구조를 갖거나, 다른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감지유닛(TS)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에는 데이터 라인들(DL) 중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연결된 i번째 화소(PXi)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1 트랜지스터(T1)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2 트랜지스터(T2), 제6 트랜지스터(T6)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i번째 화소(PXi)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는 화소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구동회로는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T1~T7) 및 하나의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T1~T7) 및 하나의 커패시터(Cst)를 포함하는 화소 구동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화소(PXi)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로써 제1 트랜지스터(T1,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T2,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하면 충분하고, 화소 구동회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와 직접 접촉하거나, 다른 트랜지스터, 일 예로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어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번째 화소(PXi)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i-1번째 게이트 신호(Si-1), i번째 게이트 신호(Si), i+1번째 게이트 신호(Si+1), 데이터 신호(Di), 및 i번째 발광 제어 신호(E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 트랜지스터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3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3~T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접속된 입력 전극, i번째 게이트 라인(SLi)에 접속된 제어 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극에 접속된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i번째 게이트 라인(SLi)에 인가된 게이트 신호(Si, 이하 i번째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되고,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Dk)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제공한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SUB)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배치된다. 트랜지스터들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제1 트랜지스터(T1)의 구성이 설명되고, 제2 및 제6 트랜지스터들(T2, T6)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베이스 기판(SUB)의 상면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정의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입력 전극(DE1), 제1 출력 전극(SE1), 제1 제어 전극(GE1), 및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SUB)의 상면에 버퍼층(BFL)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 기판(SUB)과 도전성 패턴들 또는 반도체 패턴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버퍼층(BFL)은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이 베이스 기판(SUB)의 상면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버퍼층(BFL)과 배리어층은 선택적으로 배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이 배치된다.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아연 산화물(ZnO), 인듐-아연 산화물(IZn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을 커버하는 제1 절연층(10)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0) 상에 제1 제어 전극(GE1)이 배치되고, 제1 절연층(10) 상에 제1 제어 전극(GE1)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20)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20)은 평탄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 및 제2 절연층(20)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물질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컨택홀(CH1) 및 제2 컨택홀(CH2)이 제1 및 제2 절연층들(10, 20)에 정의된다. 제1 컨택홀(CH1) 및 제2 컨택홀(CH2) 각각은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20)을 관통한다.
제1 입력 전극(DE1)과 제1 출력 전극(SE1)은 제2 절연층(20) 상에 배치된다. 제1 입력 전극(DE1)과 제1 출력 전극(SE1)은 제1 컨택홀(CH1) 및 제2 컨택홀(CH2)을 통해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접속된다.
제2 절연층(20) 상에 제1 입력 전극(DE1)과 제1 출력 전극(SE1)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30)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30)은 평탄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절연층(30)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절연층(30)은 입력 전극들 및 출력 전극들을 커버할 수 있다.
도 4c는 제2 트랜지스터(T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제6 트랜지스터(T6)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6 트랜지스터(T6)의 구조는 변형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의 입력 전극(DE6)은 제3 절연층(30) 상에서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극(SE2)에 연결된다.
제3 절연층(30) 상에 화소정의막(PDL)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배치된다. 제3 절연층(30) 상에 애노드(AE)가 배치된다. 애노드(AE)는 제3 절연층(30)을 관통하는 제7 컨택홀(CH7)을 통해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6 출력 전극(SE6)에 연결된다. 화소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애노드(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화소(PX)는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평면상에서 화소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영역은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애노드(AE)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그러나, 발광영역(PXA)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광영역(PXA)은 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면 충분하다. 발광영역(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애노드(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공 제어층(HCL)과 같은 공통층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유기발광층(EML)이 배치된다. 유기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유기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캐소드(CE)가 배치된다. 캐소드(CE)는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캐소드(CE) 상에 박막 봉지층(TFE)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TFE)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교번하게 적층된 복수 개의 무기층들과 복수 개의 유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유기발광층(EM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유기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기발광층(EML)은 백색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층(EML)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은 캐소드(CE)를 직접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소드(CE)를 커버하는 캡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박막 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의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박막 봉지층들(TFE1, TFE2, TFE3)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1)은 n개의 무기층들(IOL1 내지 IOLn)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1)은 n-1개의 유기층들(OL1 내지 OLn-1)을 포함하고, n-1개의 유기층들(OL1 내지 OLn-1)은 n개의 무기층들(IOL1 내지 IOLn)과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n-1개의 유기층들(OL1 내지 OLn-1)은 평균적으로 n개의 무기층들(IOL1 내지 IOLn)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n개의 무기층들(IOL1 내지 IOLn) 각각은 1개의 물질을 포함하는 단층이거나, 각각이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복층을 가질 수 있다. n-1개의 유기층들(OL1 내지 OLn-1) 각각은 유기 모노머들을 증착 또는 프린팅 또는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모노머들은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들(TFE2, TFE3) 각각에 포함된 무기층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무기물질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박막 봉지층들(TFE2, TFE3) 각각에 포함된 유기층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유기물질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2)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층(IOL1), 제1 유기층(OL1), 제2 무기층(IOL2), 제2 유기층(OL2), 및 제3 무기층(IO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IOL1)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층(S1)과 제2 서브층(S2)은 서로 다른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3)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층(IOL10), 제1 유기층(OL1) 및 제2 무기층(IOL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IOL10)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층(S10)과 제2 서브층(S20)은 서로 다른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층(IOL20)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무기층(IOL20)은 서로 다른 증착 환경에서 증착된 제1 서브층(S100)과 제2 서브층(S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층(S100)은 저전원 조건에서 증착되고 제2 서브층(S200)은 고전원 조건에서 증착될 수 있다. 제1 서브층(S100)과 제2 서브층(S200)은 동일한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b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터치감지유닛(TS)은 제1 도전층(TS-CL1), 제1 절연층(TS-IL1, 이하 제1 터치 절연층), 제2 도전층(TS-CL2), 및 제2 절연층(TS-IL2, 이하 제2 터치 절연층)을 포함한다. 제1 도전층(TS-CL1)은 박막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된다. .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도전층(TS-CL1)과 박막 봉지층(TFE) 사이에는 또 다른 무기층(예컨대 버퍼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들과 금속층들 중 적어도 2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복수 개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T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T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터치센서들 및 터치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물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 각각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 각각은 무기층 및 유기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무기층 및 유기층은 화학 기상 증착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을 절연시키면 충분하고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의 형상에 따라 제1 터치 절연층(TS-IL1)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박막 봉지층(TFE)을 전체적으로 커버하거나, 복수 개의 절연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절연 패턴들은 후술하는 제1 연결부들(CP1) 또는 제2 연결부들(CP2)에 중첩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르면, 2층형 터치감지유닛(TS)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단층형 터치감지유닛은 도전층 및 도전층을 커버하는 절연층을 포함한다. 도전층은 터치센서들 및 터치센서들에 연결된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단층형 터치감지유닛은 셀프 캡 방식으로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b 내지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TS)이 도시된다.
먼저,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감지유닛(TS)은 복수의 제1 터치센서들, 복수의 제2 터치센서들, 복수의 접속전극들, 복수의 터치신호배선들, 제1 패드부(PD1), 및 제2 패드부(PD2)를 포함한다.
제1 터치센서들 및 제2 터치센서들은 표시영역(DA)에 배치된다. 복수의 터치신호배선들, 제1 패드부(PD1), 및 제2 패드부(PD2)는 주변영역(NDA)에 배치된다. 접속전극들은 표시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속전극들은 주변영역(ND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터치센서들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센서들 각각은 복수의 제1 센서부들(SP1) 및 제1 센서부들(SP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들(C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들(SP1) 및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복수 개의 메쉬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부들(SP1) 및 제1 연결부들(CP1)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된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제1 센서부들(SP1)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터치센서들 중 주변영역(NDA)에 가장 인접한 첫 번째 제1 터치센서와 마지막 번째 제1 터치센서(이하, n번째 제1 터치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첫 번째 제1 터치센서 및 n번째 제1 터치센서는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하며 주변 영역(NDA)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다.
특히, 첫 번째 제1 터치센서 및 n번째 제1 터치센서에 포함된 제1 센서부들은 두 번째 제1 터치센서 내지 n-1번째 제1 터치센서에 포함된 제1 센서부들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첫 번째 제1 터치센서 및 n번째 제1 터치센서에 포함된 제1 센서부들은 두 번째 제1 터치센서 내지 n-1번째 제1 터치센서에 포함된 제1 센서부들의 일 부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터치센서들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터치센서들 각각은 복수의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센서부들(SP2)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복수 개의 메쉬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연결부들(CP2)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제2 센서부들(SP2)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터치센서들 중 주변영역(NDA)에 가장 인접한 첫 번째 제2 터치센서와 마지막 번째 제2 터치센서(이하, m번째 제2 터치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m은 자연수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첫 번째 제2 터치센서 및 m번째 제2 터치센서는 제1 방향(DR1)에서 서로 마주하며 주변 영역(NDA)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다.
특히, 첫 번째 제2 터치센서 및 m번째 제2 터치센서에 포함된 제2 센서부들은 두 번째 제2 터치센서 내지 m-1번째 제2 터치센서에 포함된 제2 센서부들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첫 번째 제2 터치센서 및 m번째 제2 터치센서에 포함된 제2 센서부들은 두 번째 제2 터치센서 내지 m-1번째 제2 터치센서에 포함된 제2 센서부들의 일 부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센서들에 포함된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터치센서들에 포함된 제2 센서부들(SP2)은 정전결합된다. 제1 센서부들(SP1)에 터치감지신호들이 인가됨에 따라,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 사이에 커패시터들이 형성된다.
복수의 접속전극들은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 및 제2 접속전극들(TSL2a~TSL2e)을 포함한다.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되며, 제1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된다. 자세하게, 첫 번째 접속전극(TSL1a)은 제1 터치센서들 중 첫 번째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두 번째 접속전극(TSL1b)은 제1 터치센서들 중 두 번째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세 번째 접속전극(TSL1c)은 제1 터치센서들 중 세 번째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네 번째 접속전극(TSL1d)은 제1 터치센서들 중 네 번째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이처럼,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은 제1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되어, 제1 터치센서들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접속전극들(TSL2a~TSL2e)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되며, 제2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된다. 자세하게, 첫 번째 접속전극(TSL2a)은 제2 터치센서들 중 첫 번째 제2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두 번째 접속전극(TSL2b)은 제2 터치센서들 중 두 번째 제2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세 번째 접속전극(TSL2c)은 제2 터치센서들 중 세 번째 제2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네 번째 접속전극(TSL2d)은 제2 터치센서들 중 네 번째 제2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다섯 번째 접속전극(TSL2e)은 제2 터치센서들 중 다섯 번째 제2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제2 접속전극들(TSL2a~TSL2e)은 제2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되어, 제2 터치센서들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 중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c)은 평면영역(NBA)에 배치되고, 네 번째 제1 접속전극(TSL1d)은 밴딩영역(BA)에 배치된다. 일 예로서, 네 번째 제1 접속전극(TSL1d)이 밴딩영역(BA)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나, 밴딩영역(BA)에 하나 이상의 접속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르면, 하나의 접속전극이 밴딩영역(BA)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 각각은 밴딩축(BX)에 수직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밴딩축(BX)을 기준으로 제2 방향(DR2)을 따라 밴딩된다. 그 결과,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 중 밴딩영역(BA)에 배치된 네 번째 제1 접속전극(TSL1d)의 양단에 가해지는 응력이 제일 클 수 있다. 따라서, 네 번째 제1 접속전극(TSL1d)에 크랙(crack)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네 번째 제1 접속전극(TSL1d)의 양측 엣지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엣지부분은 밴딩축(BX)과 경사진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네 번째 제1 접속전극(TSL1d)의 어느 하나의 엣지부분이 밴딩축(BX)과 경사짐에 따라, 네 번째 제1 접속전극(TSL1d)의 양단에 가해지는 응력이 작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 및 제2 접속전극들(TSL2a~TSL2e)각각은 센터부분 및 양측 엣지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 중 밴딩영역(BA)에 배치된 접속전극의 양측 엣지부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밴딩축(BX)과 경사진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신호배선들은 제1 터치신호배선들(SPL1a~SPL1d) 및 제2 터치신호배선들(SPL2a~SPL2e)을 포함한다. 제1 터치신호배선들(SPL1a~SPL1d)의 일단들은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과 각각 연결된다. 제1 터치신호배선들(SPL1a~SPL1d)의 끝단들은 제1 패드부(PD1)에 포함된 패드들에 각각 연결된다. 제1 터치신호배선들(SPL1a~SPL1d)은 제1 패드부(PD1)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제1 접속전극들(TSL1a~TSL1d)에 전달한다.
제2 터치신호배선들(SPL2a~SPL2e)의 일단들은 제2 접속전극들(TSL2a~TSL2e)과 각각 연결된다. 제2 터치신호배선들(SPL2a~SPL2e)의 끝단들은 제1 패드부(PD1)에 포함된 패드들에 각각 연결된다. 제2 터치신호배선들(SPL2a~SPL1e)은 제2 패드부(PD2)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제2 접속전극들(TSL2a~TSL1e)에 전달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예로서, 제1 터치신호배선들(SPL1a~SPL1d) 및 제2 터치신호배선들(SP2a~SP2e)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센서부들(SP1), 제1 연결부들(CP1), 및 제1 터치신호배선들(SPL1a~SPL1d), 제2 센서부들(SP2), 제2 연결부들(CP2), 및 제2 터치신호배선들(SPL2a~SPL2e) 중 일부는 도 6a에 도시된 제1 도전층(TS-CL1)을 패터닝하여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도 6a에 도시된 제2 도전층(TS-CL2)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도전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도 6a에 도시된 제1 터치 절연층(TS-IL1)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6c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TS)을 설명한다.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 상에 제1 도전패턴들이 배치된다. 제1 도전패턴들은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들(CP2)이 박막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된다. 표시영역(DA)을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TFE)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 상에 제2 연결부들(CP2)을 커버하는 제1 터치 절연층(TS-IL1)이 배치된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에는 제2 연결부들(CP2)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콘택홀들(CH)이 정의된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콘택홀들(C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제2 도전패턴들이 배치된다. 제2 도전패턴들은 제1 센서부들(SP1), 제1 연결부들(CP1), 및 제1 터치신호배선들(SPL1a~SPL1d), 제2 터치 센서부들(SP2) 및 제2 터치신호배선들(SPL2a~SPL2e)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제2 도전패턴들을 커버하는 제2 터치 절연층(TS-IL2)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2 도전패턴들이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6e에 도시된 A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7a에 도시된 센서패턴의 확대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6e에 도시된 B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d는 도 7c에 도시된 AX1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e는 도 7c에 도시된 AX2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f 및 도 7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6e에 도시된 B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도 6b에 도시된 제1 터치센서들 및 제2 터치센서들 각각은 복수의 메쉬 개구부들(TS-OP)을 정의하는 복수의 메쉬선들(SPt)을 포함한다. 메쉬선들(SPt)은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한다. 메쉬선들(SPt) 각각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제5 방향(DR5)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제1 연장부들(SPt1-A)과 제5 방향(DR5)과 교차하는 제6 방향(DR6)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제2 연장부들(SPt1-B)을 포함한다. 제1 연장부들(SPt-A)은 서로 대향하며, 제2 연장부들(SPt-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부들(SPt-B)은 서로 대향하며, 제1 연장부들(SPt-A)에 연결될 수 있다. 메쉬선의 선폭은 수 마이크로일 수 있다.
한편, 메쉬 개구부들(TS-OP)이 발광영역들(PXA)에 일대일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메쉬 개구부(TS-OP)는 두 개 이상의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쉬 개구부들(TS-OP)은 제1 면적의 제1 메쉬 개구부들(TS-OP1) 및 제1 면적과 다른 제2 면적의 제2 메쉬 개구부들(TS-OP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영역들(PXA)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발광영역들(PXA) 중 제1 광을 제공하는 발광영역들(PXA)과 제2 광을 제공하는 발광영역들(PXA)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발광영역들(PXA) 중 제1 광을 제공하는 발광영역들(PXA), 제2 광을 제공하는 발광영역들(PXA), 및 제3 광을 제공하는 발광영역들(PXA)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광영역들(PXA)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또한 메쉬 개구부들(TS-OP)의 크기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의 메쉬선들(SPt) 중 어느 하나의 메쉬선이 도시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쉬선(SPt)은 제1 연장부들(SPt-A)에 대응하는 제1 메쉬선(ML1) 및 제2 메쉬선(ML2)을 포함한다. 메쉬선(SPt)은 제2 연장부들(SPt-B)에 대응하는 제3 메쉬선(ML3) 및 제4 메쉬선(ML4)을 포함한다.
제1 메쉬선(ML1)의 일단은 제3 메쉬선(ML3)의 일단과 연결되며, 끝단은 제4 메쉬선(ML4)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메쉬선(ML2)의 일단은 제3 메쉬선(ML3)의 끝단과 연결되며, 끝단은 제4 메쉬선(ML4)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쉬선(SPt)의 내측선(IML)은 밴딩축(BX)과 경사질 수 있다. 여기서, 내측선(IML)은 터치 개구부(TS-OP)를 정의하는 메쉬선(SPt)의 내측 테두리일 수 있다. 즉, 내측선(IML)이 밴딩축(BX)과 경사짐에 따라, 메쉬선(SPt)의 전반적인 형상이 밴딩축(BX)에 경사질 수 있다. 그 결과, 밴딩영역(BA)에서 메쉬선(SPt)에 가해지는 응력의 세기가 줄어들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전극이 도시된다. 도 7c에 도시된 접속전극은 도 6b에 도시된 네 번째 접속전극(TSL1d)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네 번째 접속전극(TSL1d)는 접속전극(TSL1d)으로 설명된다.
접속전극(TSL1d)은 센터부분(TAa), 제1 엣지부분(TAb), 및 제2 엣지부분(TAc)을 포함한다. 센터부분(TAa)은 제1 터치센서들 중 밴딩영역(BA)에 배치된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접촉된다. 제1 엣지부분(TAb)은 센터부분(TAa)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엣지부분(TAc)은 센터부분(TAa)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엣지부분(TAb)은 밴딩축(BX)과 수직한 제1 엣지(Ed1a) 및 밴딩축(BX)과 경사진 제2 엣지(Ed1b)를 포함한다. 즉, 제1 엣지(Ed1a)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하며 제1 터치센서들 중 밴딩영역(BX)에 배치된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제2 엣지(Ed1b)는 제1 엣지(Ed1a) 및 센터부분(TAa)에 연결된다.
도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엣지부분(TAc)은 밴딩축(BX)과 수직한 제3 엣지(Ed2a) 및 밴딩축(BX)과 경사진 제4 엣지(Ed2b)를 포함한다. 즉, 제3 엣지(Ed2a)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하며 제1 터치센서들 중 밴딩영역(BX)에 배치된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된다. 제4 엣지(Ed2b)는 제3 엣지(Ed2a) 및 센터부분(TAa)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엣지부분(TAb) 및 제2 엣지부분(TAc)은 밴딩축(BX)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엣지부분(TAb) 및 제2 엣지부분(TAc)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접속전극의 제1 엣지부분은 평면영역(NBA)에 배치되고, 접속전극의 제2 엣지부분은 밴딩영역(B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평면영역(NBA)에 배치된 제1 엣지부분과 밴딩영역(BA)에 배치된 제2 엣지부분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밴딩축(BX)을 기준으로 제2 엣지(Ed1b)의 기울기는 도 7b에 도시된 제3 메쉬선(ML3)의 기울기와 동일할 수 있다. 밴딩축(BX)을 기준으로 제4 엣지부분(Ed2b)의 기울기는 도 7b에 도시된 제2 메쉬선(ML2)의 기울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전극의 양측 엣지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엣지부분이 설명된다.
제3 엣지(Ed2c)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하며 제4 엣지(Ed2d) 및 센터부분(TAa)에 연결된다. 제4 엣지(Ed2d)는 밴딩축(BX)과 경사지며 제3 엣지(Ed2c) 및 센터부분(TAa)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3 엣지(Ed2c) 및 제4 엣지(Ed2d) 각각은 제1 터치센서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제3 엣지(Ed2c)의 일단은 제4 엣지(Ed2d)의 일단에 연결되며, 끝단은 센터부분(TAa)에 연결된다. 제4 엣지(Ed2d)의 일단은 센터부분(TAb)과 연결되며, 끝단은 제3 엣지(Ed2c)에 연결된다.
도 7g 및 도 7i를 참조하면, 도 7c에 도시된 접속전극(TSL1d)과 다른 접속전극이 도시된다. 도 7g 및 도 7i에 도시된 접속전극(TSL1d)은 도 7c에 도시된 접속전극(TSL1d)과 비교하여, 제1 엣지부분(TAb) 및 제2 엣지부분(TAc)의 형상이 다를 뿐 나머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g 및 도 7i를 통해 제1 엣지부분 및 제2 엣지부분의 형상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먼저, 도 7f를 참조하면, 접속전극(TSL1d)은 센터부분(TA2a), 제1 엣지부분(TA2b), 및 제2 엣지부분(TA2c)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엣지부분(TA2b)은 제5 엣지(Ed3a) 및 제6 엣지(Ed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엣지부분(TA2c)은 제7 엣지(Ed4a) 및 제8 엣지(Ed4b)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5 엣지(Ed3a) 및 제6 엣지(Ed3b) 각각은 밴딩축(BX)과 경사질 수 있다. 즉, 제5 엣지(Ed3a)의 일단은 제6 엣지(Ed3b)의 일단과 연결되고, 끝단은 센터부분(TA2a)에 연결된다. 제6 엣지(Ed3b)의 일단은 제5 엣지(Ed3a)의 일단에 연결되고, 끝단은 센터부분(TA2a)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5 엣지(Ed3a)의 일단 및 제6 엣지(Ed3b)의 일단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5 엣지(Ed3a) 및 제6 엣지(Ed3b) 각각은 제1 터치센서의 끝단과 이격되어 밴딩축(BX)에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제7 엣지(Ed4a) 및 제8 엣지(Ed4b) 각각도 밴딩축(BX)과 경사질 수 있다. 즉, 제7 엣지(Ed4a)의 일단은 제8 엣지(Ed4b)의 일단과 연결되고, 끝단은 센터부분(TA2a)에 연결된다. 제8 엣지(Ed4b)의 일단은 제7 엣지(Ed4a)의 일단에 연결되고, 끝단은 센터부분(TA2a)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7 엣지(Ed4a)의 일단 및 제8 엣지(Ed4b)의 일단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7 엣지(Ed4a) 및 제8 엣지(Ed4b) 각각은 제1 터치센서의 끝단과 이격되어 밴딩축(BX)에 경사질 수 있다.
도 7i를 참조하면, 접속전극(TSL1d)은 센터부분(TA3a), 제1 엣지부분(TA3b), 및 제2 엣지부분(TA3c)을 포함한다.
제1 엣지부분(TA3b)은 제9 엣지(Ed5a), 제10 엣지(Ed5b), 및 제11 엣지(Ed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엣지(Ed5c)는 제9 엣지(Ed5a) 및 제10 엣지(Ed5b)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9 엣지(Ed5a), 제10 엣지(Ed5b)는 밴딩축(BX)과 경사질 수 있으며, 제11 엣지(Ed5c)는 밴딩축(BX)과 평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1 엣지(Ed5c)는 밴딩축(BX)과 경사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9 내지 제11 엣지들(Ed5a~Ed5c)은 밴딩축(BX)과 수직하는 부분이 없음에 따라, 밴딩영역(BA)에서 제9 내지 제11 엣지들(Ed5a~Ed5c)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엣지부분(TA3c)은 제12 엣지(Ed6a), 제13 엣지(Ed6b), 및 제14 엣지(Ed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4 엣지(Ed6c)는 제12 엣지(Ed6a) 및 제13 엣지(Ed6b)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2 엣지(Ed6a), 제13 엣지(Ed6b)는 밴딩축(BX)과 경사질 수 있으며, 제14 엣지(Ed6c)는 밴딩축(BX)과 평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4 엣지(Ed6c)는 밴딩축(BX)과 경사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2 내지 제14 엣지들(Ed6a~Ed6c)은 밴딩축(BX)과 수직하는 부분이 없음에 따라, 밴딩영역(BA)에서 제12 내지 제14 엣지들(Ed6a~Ed6c)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밴딩영역(BA)에 배치된 접속전극의 엣지부분들은 밴딩축(BX)과 경사진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전극의 엣지부분들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되며, 표시장치(DD)의 밴딩에 따른 접속전극의 양단에서의 크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c 내지 도 7i를 통해 접속전극의 엣지부분들의 형상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접속전극 엣지부분들의 형상은 밴딩영역(BX)에서 밴딩축(BX)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접속전극의 엣지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엣지부분은 도 7d에 도시된 엣지부분으로 구현되며, 다른 하나의 엣지부분은 도 7f에 도시된 엣지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접속전극의 엣지부분들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8a에 도시된 CC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터치감지유닛(TS2)은 도 6b에 도시된 터치감지유닛(TS1)과 비교하여, 터치신호배선들의 구조가 변경되었을 뿐,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터치신호배선들(SPL1a~SPL1d) 및 제2 터치신호배선들(SPL2a~SPL2e) 중 밴딩영역(BA)에 배치된 터치신호배선들의 일 부분은 밴딩축(BX)과 경사질 수 있다.
자세하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영역(NBA)에는 밴딩축(BX)과 수직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신호배선들이 배치된다. 이 경우, 평면영역(NBA)이 밴딩되지 않음에 따라, 터치신호배선에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밴딩영역(BA)에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터치신호배선들이 배치될 경우, 터치신호배선들에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첫 번째 제1 터치신호배선(SPL1a)과 제2 터치신호배선들이 밴딩영역(BA)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신호배선들이 밴딩영역(BA)에 배치되는 구조는 접속전극들의 연결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신호배선들 중 밴딩영역(BA)에 배치된 터치신호배선은 밴딩축(BX)과 경사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평면영역(NBA)에 배치된 첫 번째 제1 터치신호배선(SPL1a) 부분이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다. 이 경우, 제1 터치신호배선(SPL1a)에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밴딩영역(BA)에 배치된 첫 번째 제1 터치신호배선(SPL1a)의 부분은 밴딩축(BX)과 경사지어, 제1 접속전극들 중 밴딩영역(BA)에 배치된 접속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밴딩영역(BA)에 배치된 첫 번째 제1 터치신호배선(SPL1a)의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신호배선들 중 밴딩영역(BA)에 배치된 터치신호배선은 밴딩축(BX)과 경사진 경사부분(CV) 및 밴딩축(BX)과 평행한 평행부분(PV)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터치신호배선들은 밴딩영역(BA)에서 밴딩축(BX)과 경사지거나 평행함에 따라, 터치신호배선들에 가해지는 응력의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터치감지유닛(TS3)은 도 6b도시된 터치감지유닛(TS)과 비교하여, 터치신호배선들 및 접속전극들의 구조가 달라졌을 뿐,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터치센서들의 일단들 및 끝단들 각각에 복수의 접속전극들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제1 터치센서들의 일단들에 제1 접속전극들(TSL1)이 각각 연결되고, 끝단들에 제2 접속전극들(TSL2)이 각각 연결된다. 제2 터치센서들의 일단들에 제3 접속전극들(TSL3)이 각각 연결되고, 끝단들에 제4 접속전극들(TSL4)이 각각 연결된다.
제1 접속전극들(TSL1) 및 제2 접속전극들(TSL2)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3 접속전극들(TSL3) 및 제4 접속전극들(TSL4)은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한편, 제1 터치신호배선들은 제1 패드부(PDs1) 및 제1 접속전극들(TSL1)과 연결되어, 제1 패드부(PDs1)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제1 접속전극들(TSL1)에 전달한다. 제2 터치신호배선들은 제2 패드부(PDs2) 및 제2 접속전극들(TSL2)과 연결되어, 제2 패드부(PDs2)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제2 접속전극들(TSL2)에 전달한다. 제3 터치신호배선들은 제3 패드부(PDs3) 및 제3 접속전극들(TSL3)과 연결되어, 제3 패드부(PDs3)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제3 접속전극들(TSL3)에 전달한다. 제4 터치신호배선들은 제4 패드부(PDs4) 및 제4 접속전극들(TSL4)과 연결되어, 제4 패드부(PDs4)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제4 접속전극들(TSL4)에 전달한다.
도 8b를 통해 상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밴딩영역(BA)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 터치신호배선들은 밴딩축(BX)과 경사진 경사부분(CV) 및 밴딩축(BX)과 평행한 평행부분(PV)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DP: 표시패널
TS: 터치감지유닛
SP1: 제1 센서부
SP2: 제2 센서부
SPL: 터치신호배선

Claims (20)

  1.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에 인접한 제1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평면영역 및 제2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에 인접한 제2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밴딩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감지유닛은,
    상기 밴딩영역의 밴딩축에 평행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메쉬 형상의 복수의 제1 터치센서들;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는 메쉬 형상의 복수의 제2 터치센서들;
    상기 제1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된 제1 접속전극들;
    상기 제2 터치센서들의 끝단들에 각각 연결된 제2 접속전극들; 및
    상기 제1 접속전극들 및 상기 제2 접속전극들에 연결된 복수의 터치신호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전극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전극은 센터부분 및 양측 엣지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 엣지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엣지부분은 제1 엣지 및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제2 엣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1 터치센서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엣지는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된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엣지부분들 중 다른 하나의 엣지부분은 제3 엣지 및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제4 엣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1 터치센서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엣지는 상기 제3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된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4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엣지는 상기 제3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엣지 및 상기 제4 엣지 각각은 상기 제1 터치센서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2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엣지는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 각각은 상기 제1 터치센서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제1 터치센서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엣지부분들은 상기 밴딩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는 상기 밴딩축과 경사지며,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 각각은 상기 센터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터치센서들로부터 이격된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의 일단 및 끝단은 상기 센터부분 및 상기 제2 엣지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엣지의 일단 및 끝단은 상기 센터부분 및 상기 제1 엣지의 끝단에 연결된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가 상기 밴딩축과 이루는 경사는 상기 제2 엣지가 상기 밴딩축과 이루는 경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부분은 상기 제1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를 연결하는 제3 엣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제1 엣지의 일단 및 상기 제2 엣지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센서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나열된 제1 센서부들 및 인접한 상기 제1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들 중 상기 제2 주변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 첫 번째 제1 센서부 및 마지막 번째 제1 센서부는 나머지 제1 센서부들의 일 부분의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센서들 및 상기 제2 터치센서들 각각은 복수의 메쉬 개구부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메쉬선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개구부들은 제1 면적의 제1 메쉬 개구부들 및 상기 제1 면적과 다른 제2 면적의 제2 메쉬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선들 각각의 내측선은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배선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터치신호배선은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경사부분 및 상기 밴딩축과 평행한 평행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된 발광소자층; 및
    상기 발광소자층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감지유닛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전극들 중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전극은 센터부분 및 양측 엣지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 엣지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엣지부분은 제3 엣지 및 상기 밴딩축과 경사진 제4 엣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097484A 2016-07-29 2016-07-29 표시장치 KR101904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84A KR101904969B1 (ko) 2016-07-29 2016-07-29 표시장치
US15/653,202 US10409433B2 (en) 2016-07-29 2017-07-18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signal line connected to mesh-shaped touch sensors from fracturing in a bending area
EP19179106.0A EP3557392A1 (en) 2016-07-29 2017-07-20 Display device
EP17182444.4A EP3276469B1 (en) 2016-07-29 2017-07-20 Display device
EP20167162.5A EP3693838B1 (en) 2016-07-29 2017-07-20 Display device
CN201811382072.1A CN109271063B (zh) 2016-07-29 2017-07-24 显示装置
CN201710604998.XA CN107665910B (zh) 2016-07-29 2017-07-24 显示装置
CN201910916438.7A CN110676295B (zh) 2016-07-29 2017-07-24 显示装置
TW110143606A TWI807499B (zh) 2016-07-29 2017-07-28 顯示裝置
TW106125549A TWI686646B (zh) 2016-07-29 2017-07-28 顯示裝置
TW109102648A TWI750570B (zh) 2016-07-29 2017-07-28 顯示裝置
US16/544,041 US11036340B2 (en) 2016-07-29 2019-08-19 Display device
US17/343,664 US11347341B2 (en) 2016-07-29 2021-06-09 Display device
US17/827,787 US11614818B2 (en) 2016-07-29 2022-05-30 Display device
US18/126,931 US20230236689A1 (en) 2016-07-29 2023-03-2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84A KR101904969B1 (ko) 2016-07-29 2016-07-29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835A Division KR102017767B1 (ko) 2018-09-28 2018-09-28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390A KR20180014390A (ko) 2018-02-08
KR101904969B1 true KR101904969B1 (ko) 2018-10-10

Family

ID=5938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484A KR101904969B1 (ko) 2016-07-29 2016-07-2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10409433B2 (ko)
EP (3) EP3276469B1 (ko)
KR (1) KR101904969B1 (ko)
CN (3) CN109271063B (ko)
TW (3) TWI7505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5839B2 (en) * 2016-12-02 2020-11-03 Innolux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KR20180070309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22285B1 (ko) * 2018-03-05 2023-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4258B1 (ko) * 2018-03-06 2022-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598122B (zh) 2018-04-28 2021-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8845691B (zh) * 2018-05-24 2021-10-26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双轴曲面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CN108984033B (zh) * 2018-07-13 2021-04-23 成都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模组、触控显示装置及制备方法
KR102608599B1 (ko) * 2018-08-16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테스트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427303B1 (ko) 2018-09-10 2022-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073955B2 (en) 2018-09-12 2021-07-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414056B1 (ko) * 2018-09-19 2022-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057872A (ko) * 2018-11-16 2020-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91793B1 (ko) * 2018-12-06 202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2268B1 (ko) * 2019-01-02 2023-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50881B1 (ko) * 2019-03-21 2020-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및 이를 형성하는 노광 마스크
CN111722743A (zh) * 2019-03-22 2020-09-29 英属维尔京群岛商天材创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20200126467A (ko) *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131691A (ko) 2019-05-14 2020-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20200145922A (ko) * 2019-06-20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703969B (zh) * 2019-09-19 2021-06-11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显示区域调节方法及相关装置
CN112987957A (zh)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2987956A (zh)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11495648B2 (en) * 2020-03-27 2022-11-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Pixel structure and foldable display panel
CN111584557B (zh) * 2020-05-07 2022-09-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10405688A1 (en) * 2020-06-25 2021-12-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Molded Display Mounting Structures
US20230089665A1 (en) * 2021-08-30 2023-03-23 Fujifilm Corporation Touch sensor film
KR20230084389A (ko) * 2021-12-03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6146A (ja) * 2014-10-08 2016-05-12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7259B2 (ja) * 2003-02-10 2008-12-17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蒸着マスク
US9069418B2 (en) * 2008-06-06 2015-06-30 Apple Inc. High resistivity metal fan out
TWI403937B (zh) * 2010-06-03 2013-08-0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器及其觸控顯示基板
US9491852B2 (en) * 2010-10-15 2016-11-08 Apple Inc. Trace border routing
US9400576B2 (en) 2011-07-19 2016-07-26 Apple Inc. Touch sensor arrangement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KR20130027747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JP2013149232A (ja) * 2011-12-22 2013-08-01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US8893565B2 (en) * 2012-07-13 2014-11-2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sensing
JP5347096B1 (ja) 2012-09-13 2013-11-20 株式会社ワンダーフューチャ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タッチパネルと表示装置を具備する入出力一体型装置
TW201413514A (zh) * 2012-09-24 2014-04-01 Wintek Corp 觸控面板
KR102097150B1 (ko) 2013-02-01 2020-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05027043B (zh) * 2013-03-28 2018-02-16 株式会社藤仓 接触式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102053258B1 (ko) 2013-07-16 2019-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2187923B1 (ko) * 2013-07-16 202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US9483132B2 (en) 2013-09-11 2016-11-01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2015090814A (ja) * 2013-11-06 2015-05-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4808824A (zh) 2014-01-24 2015-07-29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板
KR102275876B1 (ko) * 2014-04-01 2021-07-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CN105282025A (zh) * 2014-07-11 2016-01-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端到端路由的方法及装置
TWI537792B (zh) * 2014-07-17 2016-06-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觸控結構
TWI526909B (zh) 2014-07-31 2016-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容式觸控面板及觸控顯示面板
JP2016038915A (ja) * 2014-08-06 2016-03-22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感知構造およびその印刷方法
JP6220985B2 (ja) 2014-09-11 2017-10-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構造体、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55115B1 (ko) 2014-09-29 2017-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오프셋 인쇄용 클리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121043B2 (en) * 2014-11-18 2018-11-06 Sunasic Technologies, Inc.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with image sensor mounted thereon
US9773853B2 (en) * 2015-01-09 2017-09-26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bent substrate
KR102312260B1 (ko) 2015-01-09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03214B1 (ko) * 2015-01-16 2021-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3489B1 (ko) * 2015-01-21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763616B1 (ko) 2015-07-29 2017-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201084A (zh) * 2016-07-11 2016-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6146A (ja) * 2014-10-08 2016-05-12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09433B2 (en) 2019-09-10
US20180031880A1 (en) 2018-02-01
TWI686646B (zh) 2020-03-01
US11614818B2 (en) 2023-03-28
EP3276469B1 (en) 2019-07-17
CN109271063B (zh) 2020-01-14
CN110676295B (zh) 2023-05-02
EP3693838A1 (en) 2020-08-12
CN107665910A (zh) 2018-02-06
US20190369778A1 (en) 2019-12-05
US20230236689A1 (en) 2023-07-27
US20220291770A1 (en) 2022-09-15
US11036340B2 (en) 2021-06-15
EP3276469A1 (en) 2018-01-31
KR20180014390A (ko) 2018-02-08
TW202036111A (zh) 2020-10-01
TW201807472A (zh) 2018-03-01
US20210303094A1 (en) 2021-09-30
EP3693838B1 (en) 2022-10-26
CN110676295A (zh) 2020-01-10
CN109271063A (zh) 2019-01-25
US11347341B2 (en) 2022-05-31
TWI750570B (zh) 2021-12-21
TW202215214A (zh) 2022-04-16
CN107665910B (zh) 2022-02-11
EP3557392A1 (en) 2019-10-23
TWI807499B (zh) 202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969B1 (ko) 표시장치
KR102601207B1 (ko) 표시장치
KR101929452B1 (ko) 표시 장치
KR102581460B1 (ko) 표시 장치
KR102017767B1 (ko) 표시장치
KR102319542B1 (ko) 표시장치
KR102151017B1 (ko) 표시장치
KR102658896B1 (ko) 표시장치
KR102480860B1 (ko) 표시장치
KR20240054944A (ko) 표시장치
KR2022008132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