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691A -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691A
KR20200131691A KR1020190056608A KR20190056608A KR20200131691A KR 20200131691 A KR20200131691 A KR 20200131691A KR 1020190056608 A KR1020190056608 A KR 1020190056608A KR 20190056608 A KR20190056608 A KR 20190056608A KR 20200131691 A KR20200131691 A KR 2020013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osed
electrode
lin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민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691A/ko
Priority to US16/715,714 priority patent/US11079885B2/en
Priority to DE102019134653.3A priority patent/DE102019134653A1/de
Priority to GB2109708.4A priority patent/GB2594643B/en
Priority to GB1918610.5A priority patent/GB2583995B/en
Priority to TW110104527A priority patent/TWI750028B/zh
Priority to TW108146966A priority patent/TWI721722B/zh
Priority to TW110142255A priority patent/TWI774611B/zh
Priority to CN201911337317.3A priority patent/CN111949154A/zh
Publication of KR2020013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691A/ko
Priority to US17/361,168 priority patent/US11592944B2/en
Priority to US18/163,166 priority patent/US1190748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베젤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를 봉지하는 봉지 유닛 상에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이 메쉬 형태로 배치되며, 다수의 터치 라인 중 일부는 상부 베젤 영역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접속됨으로써 좌우 베젤 영역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본 명세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젤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센서는 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즉, 터치 센서는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센서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터치 센서가 표시 장치 상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 전극의 수가 증가할수록, 터치 전극과 터치 구동 IC를 연결하는 터치 라인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터치 라인이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 즉 베젤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베젤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를 봉지하는 봉지 유닛 상에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이 메쉬 형태로 배치되며, 다수의 터치 라인 중 일부는 상부 베젤 영역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접속됨으로써 좌우 베젤 영역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터치 라인 중 일부가 상부 베젤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좌우 베젤 영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터치 전극 각각을 동일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터치 전극들의 면적 편차로 인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이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며,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 각각의 일부가 지그재그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을 이루므로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치 전극들 사이, 터치 라인들 사이,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 사이에 더미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터치 전극들 사이에 최대 2개의 터치 라인이 배치되므로, 데드존(dead zone)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전극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라인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제1 영역(A1)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제2 영역(A2)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제3 영역(A3)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에 도시된 제1 영역(B1)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이 적용된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이 적용된 발광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베젤 영역에 배치되는 터치 라인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터치 표시 장치는 다수개의 터치 전극들(150)과, 다수개의 터치 전극들(150) 각각과 접속되는 터치 라인들(160)을 구비한다.
다수개의 터치 전극들(150) 각각은 그 터치 전극들(150) 자체에 형성된 정전 용량을 포함하므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 용량(Self-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로 이용된다. 이러한 터치 전극(150)을 이용하는 자기 용량 센싱 방법은 터치 라인(160)을 통해 공급되는 구동 신호가 터치 전극(150)에 인가되면, 전하(Q)가 터치 센서에 축적되다. 이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전도성 물체가 터치 전극(150)에 접촉되면, 자기 용량 센서에 추가로 기생 용량이 연결되어 커패시턴스 값이 변한다. 따라서, 손가락이 터치된 터치 센서와 그렇지 않은 터치 센서 간에 커패시턴스(Capaciance) 값이 달라져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터치 전극들(150)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분할되어 봉지 유닛(140) 상에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터치 전극들(150) 각각은 사용자의 터치 면적을 고려하여 다수개의 서브 화소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1개의 터치 전극(150)은 1개의 서브 화소보다 수배에서 수백배 큰 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터치 전극들(150) 각각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터치 전극들(150) 간의 터치 감도의 편차가 최소화되므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전극들(150) 사이에는 최대 1개의 터치 라인(160)이 배치된다. 터치 라인(160)은 액티브 영역(AA)에서 터치 전극(150)과 접속되어 하부 베젤 영역(DB)에 배치되는 터치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다.
이 때, 다수개의 터치 라인(16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라인(160)은 좌/우 베젤 영역(LB,RB) 뿐만 아니라 상부 베젤 영역(UB)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좌우 베젤 영역(LB,RB)을 줄일 수 있어 네로우(Narrow)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 6개의 터치 전극이, 세로 방향으로 7개의 터치 전극이 배치되는 비교예에서는 액티브 영역에서 수평 방향으로만 신장되는 터치 라인이 배치된다. 이 경우, 첫번째 행의 6개의 터치 전극 각각과 접속된 터치 라인이 하부베젤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연결되고, 나머지 36개의 터치 전극과 각각과 접속된 터치 라인은 18개씩 좌/우 베젤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연결된다.
반면에, 가로 방향으로 6개의 터치 전극이, 세로 방향으로 7개의 터치 전극이 배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전극들(150)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신장부(1601) 및 수직 신장부(16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는 터치 라인(16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4행(가운데 행)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3 및 제5 행의 제3 및 제4 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T33,T34,T53,T54)과 접속되는 터치 라인들(160)은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는 수평 신장부(1601) 및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수직 신장부(1602)를 가진다. 제2 및 제4 행의 제2 내지 제5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T22,T23,T24,T25,T52,T53,T54,T55)과 접속되는 터치 라인들(160)은 수직 신장부(1602)를 가진다. 그리고, 나머지 터치 전극들과 접속되는 터치 라인들(160)은 수평 신장부(1601)를 가진다. 한편, 터치 라인들(160)의 수직 신장부(1602)는 터치 전극들 사이에 1개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행의 6개의 터치 전극(T11 내지 T16) 각각과 접속된 6개의 터치 라인(160)과, 제2 행의 터치 전극들(T21 내지 T26)과 접속된 터치 라인들(160) 중 수직 신장부(1602)를 가지는 4개의 터치 라인들(160)이 하부 베젤(DB)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연결된다. 그리고, 나머지 32개의 터치 전극(150)과 각각과 접속된 터치 라인(160)은 16개씩 좌/우 베젤(LB,RB)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연결된다. 이 때, 제 6행 및 제7 행의 터치 전극들 중 제2 내지 제5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T62,T63,T64,T65,T72,T73,T74,T75)과 접속되는 터치 라인들(160)은 상부 베젤(UB)과, 좌/우 베젤(LB,RB)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좌/우 베젤 영역(LB,RB)을 경유하는 터치 라인들(160)의 개수를 비교예에 비해 줄일 수 있어 좌/우 베젤 영역(LB,RB)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라인(160)은 수직 신장부(1602)을 구비함으로써 비교예에 비해 터치 라인(160)의 수평 신장부(1601)의 영역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터치 라인(160)과,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는 스캔 라인의 중첩 영역을 줄일 수 있어 스캔 라인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의해 터치 라인(160)을 통해 전송되는 터치 신호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전극(150) 및 터치 라인(160)은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 상에 직접 형성된다. 예를 들어, 터치 전극(150) 및 터치 라인(1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1)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봉지하는 봉지 유닛(140) 상에 직접 형성된다.
봉지 유닛(140) 상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150)은 Ta, Ti, Cu, Mo와 같은 내식성 및 내산성이 강하고 전도성이 좋은 불투명 금속을 이용하여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거나, ITO, IZO, IGZO 또는 ZnO계의 투명 도전막 및 불투명 금속을 이용하여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불투명 금속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15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비중첩되고, 발광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는 뱅크(128)와 중첩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150)은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터치 전극(152,154)을 구비한다. 제1 터치 전극(152)은 수평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캔 라인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터치 전극(154)은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데이터 라인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터치 전극(152,154)을 가지는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150)은 적색(R)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는 제1 전극 개구부(156a)와, 청색(B)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는 제2 전극 개구부(156b)와, 녹색(G)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는 제3 전극 개구부(156c)를 마련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1 내지 제3 전극 개구부(156a,156c,156b)는 각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전극 개구부(156a,156c,156b)는 각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대응되도록 서로 같은 면적으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가 다른 면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SP)가 펜타일(Pentile)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청색(B)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는 제2 전극 개구부(156b)는 녹색(G)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는 제3 전극 개구부(156c)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고, 제3 전극 개구부(156c)는 적색(R)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는 제1 전극 개구부(156a)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전극 개구부(156a,156b,156c)를 마련하는 제1 터치 전극(15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반면에, 제2 개구부(156b)를 마련하는 제2 터치 전극(154)의 길이는 제3 전극 개구부(156c)를 마련하는 제2 터치 전극(154)의 길이보다 길고, 제3 개구부(156c)를 마련하는 제2 터치 전극(154)의 길이는 제1 전극 개구부(156a)를 마련하는 제2 터치 전극(154)의 길이보다 길다.
이러한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150)은 투명 도전막보다 전도성이 좋아 터치 전극(150)을 저저항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전극(150) 자체의 저항과 커패시턴스 감소되어 RC 시정수가 감소되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150)들을 이루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152,154)은 뱅크(128)보다 작은 선폭으로 뱅크(128)와 중첩되므로, 터치 전극(150)에 의해 개구율 및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전극들(150)과 접속되는 터치 라인(1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 유닛(140)의 측면을 따라서 신장되어 하부 베젤 영역에서 터치 패드(170)로 접속된다. 터치 라인(160)은 봉지 유닛(140)에 의해 노출된 기판(111) 또는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드(170)와 접속된다. 이 터치 패드(170)들 사이에 표시 패드(180)들이 배치되거나, 표시 패드들(180) 사이에 터치 패드들(170)이 배치된다. 이러한 터치 패드(170)는 화소 구동 회로의 스캔 라인 및 데이터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표시 패드(180)와 동일한 평면 상에 동일한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이 경우, 터치 패드(170) 및 표시 패드(180)의 최상부면의 높이가 동일해져 터치 패드(170) 및 표시 패드(180) 각각과 접속되는 신호 전송 필름(도시하지 않음)과의 접촉력이 향상된다.
액티브 영역(AA)에서 터치 라인(160)에 포함되는 수평 신장부(1601) 및 수직 신장부(1602) 각각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비중첩되고 뱅크(128)와 중첩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평 및 수직 신장부(1601,1602)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터치 라인(162,164)을 구비한다. 제1 터치 라인(162)은 수평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캔 라인 및 제1 터치 전극(152)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터치 라인(164)은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데이터 라인 및 제2 터치 전극(154)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메쉬 형태의 터치 라인(150)은 제1 및 제2 터치 라인(162,164)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내지 제3 라인 개구부(166a,166b,166c)을 마련하도록 형성된다. 제1 라인 개구부(166a)는 터치 전극들(150) 사이에 배치되는 적색(R)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며, 제2 라인 개구부(166b)는 청색(B)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며, 제3 라인 개구부(166c)는 터치 전극들(150) 사이에 배치되는 녹색(G)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3 라인 개구부(166a,166c,166c)는 각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라인 개구부(166a,166c,166c)는 터치 전극들(150)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제1 내지 제3 전극 개구부(156a,156b,156c)와 동일 크기 및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메쉬 형태의 터치 라인에 포함되는 수평 및 수직 신장부(1601,602) 각각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경로(P1,P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터치 라인(160)의 다중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가 단선되더라도 나머지 경로를 통해 터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라인(160)에 포함된 수직 신장부(160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청색(B) 서브 화소들(SP)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162,164)과, 그 청색(B) 서브 화소들(SP)과 인접한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들(SP)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162,164)이 연결됨으로써 2중 경로(P1,P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터치 라인(160)에 포함된 수평 신장부(160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B) 서브 화소들(SP)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터치 라인들(162)과,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들(SP)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터치 라인들(162)이 제2 터치라인(164)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2중 경로(P1,P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수평 신장부(1601)의 일부는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하고, 수평 신장부(1601)의 일부는 계단 형상을 형성한다.
터치 라인(160)에 포함된 수직 신장부(1602) 및 수평 신장부(1601)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신장부(1603)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 신장부(1603)의 적어도 일부는 계단 형상을 형성한다. 청색(B) 서브 화소들(SP)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신장부(1602)의 제1 터치 라인들(162)과,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SP)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신장부(1602)의 제1 터치 라인들(162)이, 제2 터치 라인들(164)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계단 형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그재그 형상 및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라인(160)과 마주보는 터치 전극(150)도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 및 계단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 전극(150)과 터치 라인(160) 사이, 터치 전극들(150) 사이 및 터치 라인들(160) 사이에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패턴(190)이 배치된다. 더미 패턴(190)은 액티브 영역(AA)에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비중첩되고 뱅크(128)와 중첩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더미 패턴(190)은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더미 패턴(192,194)을 구비한다. 제1 더미 패턴(192)은 스캔 라인, 제1 터치 전극(152) 및 제1 터치 라인(162)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터치 라인(164)은 데이터 라인, 제2 터치 전극(154) 및 제2 터치 라인(164)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메쉬 형태의 더미 패턴(190)은 각 서브 화소의 발광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내지 제3 더미 개구부(196a,196b,196c)을 마련하도록 형성된다. 제1 더미 개구부(196a)는 적색(R)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며, 제2 더미 개구부(196b)는 청색(B)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며, 제3 더미 개구부(196c)는 녹색(G)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을 개구한다.
이러한 더미 패턴(190)은 지그재그 형상 또는/및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라인(160)과 마주보므로, 더미 패턴(190)의 일부는 지그재그 형상 및 계단 형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더미 패턴(190)은 터치 전극(150) 및 터치 라인(160)과 함께 메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전극(150) 및 터치 라인(160) 등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패턴(190)은 외부로부터 구동 신호 또는 전압 등이 인가되지 않는 플로팅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더미 패턴(190)은 터치 전극(150)과 터치 라인(160)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 터치 전극들(150)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 터치 라인들(160)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더미 패턴(190)은 그 더미 패턴(190)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 전극(150) 및 터치 라인(160)과 동일 평면 상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전성 이물 등에 의해 터치 전극(150)과 터치 라인(160) 간의 단락, 터치 전극들(150) 간의 단락 및 터치 라인들(160) 간의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터치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표시 장치와 대비하여 터치 라인들(160)이 상부 및 하부 베젤 영역(UB,D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만 신장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터치 전극들(150) 사이에는 최대 2개의 터치 라인(160)이 배치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터치 라인(16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라인(160)은 좌/우 베젤 영역(LB,RB) 뿐만 아니라 상부 베젤 영역(UB)을 경유하여 터치 구동 회로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좌우 베젤 영역(LB,RB)을 줄일 수 있어 네로우(Narrow)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 6개의 터치 전극이, 세로 방향으로 7개의 터치 전극이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터치 라인(16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첫번째(제1) 행, 첫번째(제1) 열 및 마지막(제6)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T11 내지 T16, T11 내지 T71, T16 내지 T76)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전극들과 접속되는 터치 라인들(160)은 터치 전극들(150)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 때, 터치 전극들(150) 사이에는 최대 2개의 터치 라인(160)이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행의 6개의 터치 전극(T11 내지 T16) 각각과 접속된 6개의 터치 라인(160)과, 제2 및 제3 행의 터치 전극들 중 제2 내지 제5 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 각각과 접속되는 8개의 터치 라인(160)과, 제4 행의 터치 전극들 중 제3 및 제4 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 각각과 접속되는 2개의 터치 라인(160)은 하부 베젤(DB)을 경유하여 터치 패드(170)와 연결된다. 그리고, 나머지 26개의 터치 전극(150)과 각각과 접속된 터치 라인(160)은 13개씩 좌/우 베젤(LB,RB)을 경유하여 터치 패드(170)와 연결된다. 이 때, 제 5행 내지 제7 행의 터치 전극들 중 제2 내지 제5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T52,T53,T54,T55,T62,T63,T64,T65,T72,T73,T74,T75)과, 제4 행의 터치 전극들 중 제2 및 제5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T42,T45) 각각과 접속되는 터치 라인들(160)은 상부 베젤(UB)과, 좌/우 베젤(LB,RB)을 경유하여 터치 패드(17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좌/우 베젤 영역(LB,RB)을 경유하는 터치 라인들(160)의 개수를 비교예에 비해 줄일 수 있어 좌/우 베젤 영역(LB,RB)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라인(160)은 액티브 영역(AA)에서 수직 방향으로만 신장되므로,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는 스캔 라인과 터치 라인의 중첩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라인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의해 터치 라인(160)을 통해 전송되는 터치 신호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라인(160), 터치 전극(150) 및 더미 패턴(190) 각각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비중첩되고, 발광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는 뱅크(128)와 중첩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터치 라인(160), 터치 전극(150) 및 더미 패턴(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부(158,168,198)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서는 터치 라인(160), 터치 전극(150) 및 더미 패턴(190) 각각이 가지부(158,168,198)를 구비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터치 라인(160)은 청색(B) 서브 화소를 노출시키는 라인 개구부(166)를 마련하도록 청색(B) 서브 화소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터치 라인(162,164)을 구비한다. 또한, 터치 라인(160)은 제2 터치 라인(164)으로부터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 사이의 뱅크(128) 상으로 연장되는 라인 가지부(168)를 구비한다. 라인 가지부(168)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가지부(158) 및 더미 가지부(1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좌우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가지부(158) 및 더미 가지부(1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하로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라인 가지부(168)는 제1 터치 라인(162)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게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터치 전극(150)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 각각을 노출시키는 제1 내지 제3 전극 개구부(156a,156b,156c)를 마련하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152,154)을 구비한다. 또한, 터치 전극(150)은 제2 터치 전극(154)으로부터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 사이의 뱅크(128) 상으로 연장되는 전극 가지부(158)를 구비한다. 전극 가지부(158)의 길이는 제1 터치 라인(162)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게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더미 패턴(190)은 청색(B) 서브 화소를 노출시키는 더미 개구부(196)를 마련하도록 청색(B) 서브 화소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더미 패턴(192,194)을 구비한다. 또한, 더미 패턴(190)은 제2 더미 패턴(194)으로부터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 사이의 뱅크(128) 상으로 연장되는 더미 가지부(198)를 구비한다. 더미 가지부(198)의 길이는 제1 더미 패턴(192)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게 형성된다.
도 6c에서는 터치 라인(160)을 제외한 터치 전극(150) 및 더미 패턴(190)이 가지부(158,198)를 구비한다. 도 6c에 도시된 터치 라인(160)은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를 노출시키는 라인 개구부(166a,166c)를 마련하도록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터치 라인(162,164)을 구비한다. 터치 전극(150)은 제2 터치 전극(154)으로부터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 사이의 뱅크(128) 상으로 연장되는 전극 가지부(158)를 구비한다. 전극 가지부(158)의 길이는 제1 터치 전극(152)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게 형성된다. 도 6c에 도시된 더미 패턴(190)은 제2 더미 패턴(194)으로부터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 사이의 뱅크(128) 상으로 연장되는 더미 가지부(198)를 구비한다. 더미 가지부(198)의 길이는 제1 더미 패턴(192)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게 형성된다.
도 6d에서는 터치 라인(160) 및 더미 패턴(190)을 제외한 터치 전극(150)이 가지부(158)를 구비한다. 도 6d에 도시된 더미 패턴(190)은 더미 개구부를 가지지 않도록 제2 더미 패턴(194)의 양측에 제1 더미 패턴이 배치된다. 이 경우, 더미 패턴(190)은 한 방향의 라인 경로를 가진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터치 라인(160) 및 터치 전극(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메쉬 구조의 직선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 때, 더미 패턴(190)은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형태가 아닌 다수개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터치 라인(160), 터치 전극(150) 및 더미 패턴(19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120) 상부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표시 장치는 기판(111)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발광 소자(120)와, 발광 소자(120) 상에 배치된 봉지 유닛(140)과, 봉지 유닛(140) 상에 배치된 터치 전극(150)을 구비한다.
기판(111)은 폴딩(folding) 또는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기판(111)은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AR(polyarylate), PSF(polysulfone), COC(ciclic-olefin copolymer)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기판 상에는 화소 구동 회로에 포함되는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130)가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버퍼막(112)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층(134)과, 게이트 절연막(102)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층(134)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132)과, 층간 절연막(114) 상에 형성되어 반도체층(134)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138)을 구비한다. 여기서, 반도체층(134)은 비정질 반도체 물질, 다결정 반도체 물질 및 산화물 반도체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발광 소자(120)는 애노드 전극(122)과, 애노드 전극(122)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스택(124)과, 발광 스택(124) 위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126)을 구비한다.
애노드 전극(122)은 보호막(108) 및 화소 평탄화층(118)을 관통하는 화소 컨택홀(116)을 통해 노출된 박막트랜지스터(130)의 드레인 전극(13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스택(124)은 뱅크(128)에 의해 마련된 발광 영역의 애노드 전극(122) 상에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스택(124)은 애노드 전극(122) 상에 정공 관련층, 유기 발광층, 전자 관련층 순으로 또는 역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외에도 발광 스택(124)은 전하 생성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및 제2 발광 스택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발광 스택 중 어느 하나의 유기 발광층은 청색광을 생성하고, 제1 및 제2 발광 스택 중 나머지 하나의 유기 발광층은 노란색-녹색광을 생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발광 스택을 통해 백색광이 생성된다. 이 발광 스택(124)에서 생성된 백색광은 발광 스택(124)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에 입사되므로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별도의 컬러 필터 없이 각 발광 스택(124)에서 각 서브 화소에 해당하는 컬러광을 생성하여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적색 서브 화소의 발광 스택(124)은 적색광을, 녹색 서브 화소의 발광 스택(124)은 녹색광을, 청색 서브 화소의 발광 스택(124)은 청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캐소드 전극(126)은 발광 스택(124)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122)과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저전압 공급 라인과 접속된다.
봉지 유닛(140)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에 취약한 발광 소자(120)로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봉지 유닛(140)은 적어도 1층의 무기 봉지층(142)과, 적어도 1층의 유기 봉지층(144)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무기 봉지층(142), 유기 봉지층(144) 및 제2 무기 봉지층(14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봉지 유닛(140)의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무기 봉지층(142)은 캐소드 전극(126)이 형성된 기판(111) 상에 형성된다. 제2 무기 봉지층(146)은 유기 봉지층(144)이 형성된 기판(111) 상에 형성되며, 제1 무기 봉지층(142)과 함께 유기 봉지층(144)의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무기 봉지층(142,146)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발광 스택(124)으로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차단한다. 이 제1 및 제2 무기 봉지층(142,146)은 질화실리콘(SiNx), 산화 실리콘(SiOx), 산화질화실리콘(SiON) 또는 산화 알루미늄(Al2O3)과 같은 저온 증착이 가능한 무기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무기 봉지층(142,146)은 저온 분위기에서 증착되므로, 제1 및 제2 무기 봉지층(142,146)의 증착 공정시 고온 분위기에 취약한 발광 스택(12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기 봉지층(144)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휘어짐에 따른 각 층들 간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역할을 하며, 평탄화 성능을 강화한다. 이 유기 봉지층(144)은 제1 무기 봉지층(142)이 형성된 기판(111) 상에 PCL,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또는 실리콘옥시카본(SiOC)과 같은 비감광성 유기 절연 재질 또는 포토아크릴과 같은 감광성 유기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기 봉지층(144)은 비액티브 영역을 제외한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댐(186)은 유기 봉지층(144)이 비액티브 영역(NA)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보호막(108) 상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댐(186)은 평탄화층(108) 및 뱅크(1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댐(186)이 다수개인 경우, 액티브 영역(AA)과 가장 인접한 댐(186)은 평탄화층(108) 및 뱅크(128) 중 어느 하나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로 형성되고, 나머지 댐(186)은 평탄화층(108) 및 뱅크(128) 각각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이 경우, 액티브 영역(AA)과 가장 인접한 댐(186)은 나머지 댐(186)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 봉지층(144)은 액티브 영역(AA)과 가장 인접한 댐(186)의 상부면의 일부 상에 배치되므로, 유기 봉지층(144)은 평탄화층(108) 및 뱅크(128) 각각과, 댐(186)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게 된다.
이와 같은, 봉지 유닛(140)의 액티브 영역(AA) 상부에는 터치 전극(150), 터치 라인(160) 및 더미 패턴(190)이 배치된다. 이 때, 터치 전극(150)과, 캐소드 전극(128) 사이의 기생커패시터의 용량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봉지 유닛(140)과 터치 전극(150) 사이에 무기 또는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터치 버퍼막(148)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라인은 터치 버퍼막(148)의 측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터치 전극(150), 터치 라인(160) 및 더미 패턴(190)은 액티브 영역(AA)의 동일 평면 상에서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터치 전극(150), 터치 라인(160) 및 더미 패턴(190)은 절연막 구비없이 싱글 레이어(Single Layer)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터치 전극(150), 터치 라인(160) 및 더미 패턴(190)은 1회의 마스크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터치 전극(150), 터치 라인(160) 및 더미 패턴(190)을 가지는 터치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해줄 수 있다.
터치 전극(150), 터치 라인(160) 및 더미 패턴(190) 각각 상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매트릭스(BM)가 배치되고, 블랙매트릭스(BM) 사이에는 컬러 필터(CF)가 배치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BM)는 외부광 반사에 의해 터치 전극(150), 터치 라인(160) 및 더미 패턴(190)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컬러 필터(CF)는 외부광 반사에 의해 캐소드 전극(126)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외에도, 블랙매트릭스(BM) 및 컬러 필터(CF)는 터치 전극(150)과 봉지 유닛(140)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 전극(150)과, 캐소드 전극(128) 사이의 기생 커패시터의 용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라인(160)과 접속되는 터치 패드(170)는 터치 보호막(188)에 의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터치 패드(170)는 터치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실장된 신호 전송 필름과 접속된다.
터치 패드(170)는 하부 베젤 영역(DB)의 패드 영역(PA)에 배치된다. 이 터치 패드(170)는 터치 패드 하부 전극(172)과, 그 터치 패드 하부 전극(172)과 접촉하는 터치 패드 상부 전극(174)을 구비한다. 터치 패드 하부 전극(172)은 게이트 전극(132) 및 드레인 전극(1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 평면 상에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하부 전극(172)은 드레인 전극(138)과 동일 재질로 동일 평면인 층간 절연막(114) 상에 배치된다. 터치 패드 상부 전극(174)은 터치 전극(152)과 동일 평면 상에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이 터치 패드 상부 전극(174)은 보호막(108) 및 터치 버퍼막(148)을 관통하는 터치 패드 컨택홀(176)을 통해 노출된 터치 패드 하부 전극(17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터치 패드(170)와 함께 기판(111)을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벤딩 영역(BA)은 하부 베젤 영역(DB)에 배치된다. 벤딩 영역(BA)은 터치 패드(170) 및 표시 패드(180)와 같이 표시 기능을 하지 않는 영역을 액티브 영역(AA)의 배면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벤딩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전체 화면에서 액티브 영역(AA)이 차지하는 면적이 최대화되고 비액티브 영역에 해당하는 면적이 최소화된다.
이러한 벤딩 영역(BA)에는 그 벤딩 영역을 가로지르는 벤딩 신호 라인(184)이 배치되며, 벤딩 영역(BA)이 쉽게 벤딩되도록 크랙 방지층(178)이 배치된다. 크랙 방지층(178)은 무기 절연막보다 변형률이 크며 내충격성이 강한 유기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크랙 방지층(178)은 평탄화층(118) 및 뱅크(1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형성시 함께 형성되므로, 크랙 방지층(178)은 평탄화층(118) 및 뱅크(1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 재질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 유기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크랙 방지층(178)은 무기 절연물질보다 변형률이 높아 기판(111)이 벤딩되면서 발생되는 벤딩 스트레스를 완화시킨다. 이에 따라, 크랙 방지층(178)은 벤딩 영역(BA)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액티브 영역(AA)으로 크랙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크랙 방지층(178)과 중첩되는 영역에서는 유기 절연 재질에 비해 경도가 높아 벤딩 스트레스에 쉽게 크랙이 발생되는 무기 절연막들이 제거된다. 예를 들어, 크랙 방지층(178) 상부에 배치되는 무기 봉지층(142) 및 터치 버퍼막(148)과, 크랙 방지층(178) 하부에 배치되는 멀티 버퍼막(112), 게이트 절연막(102) 및 층간 절연막(114)이 제거된다.
이러한 벤딩 영역(BA)에 배치되는 벤딩 신호 라인(184)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16,138)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져 터치 라인(160)과 터치 패드 상부 전극(174)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벤딩 신호 라인(184)은 보호막(108) 및 터치 버퍼막(148)을 관통하는 제1 벤딩 컨택홀(182a)에 의해 노출되어 터치 라인(1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보호막(108) 및 터치 버퍼막(148)을 관통하는 제2 벤딩 컨택홀(182b)에 의해 노출되어 터치 패드 상부 전극(17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외에도 벤딩 신호 라인(184)없이 터치 라인(160)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170) 쪽으로 신장되어 터치 패드(170)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터치 라인(160)은 액티브 영역(AA)뿐만 아니라 베젤 영역에서도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9b에 도시된 터치 라인(160)은 액티브 영역(AA)에서만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9a에 도시된 터치 라인(160)은 액티브 영역(AA)에서 터치 패드 사이의 하부 베젤 영역(DB)에서 터치 라인(160)은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터치 라인(160)은 하부 베젤 영역(DB)에서 다중 경로(P1,P2)를 가지므로, 터치 라인(160)의 다중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가 단선되더라도 나머지 경로를 통해 터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20 : 발광 소자 130: 박막트랜지스터
140 : 봉지 유닛 150 : 터치 전극
160 : 터치 라인 170 : 터치 패드
190 : 더미 패턴

Claims (17)

  1.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베젤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베젤 영역을 가지는 기판과;
    상기 액티브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 유닛과;
    상기 봉지 유닛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터치 전극과;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 각각과 접속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상부 베젤 영역을 경유하는 터치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 전극 및 상기 터치 라인은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치 라인은 수평 신장부 및 수직 신장부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터치 라인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젤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치 라인은 다중 경로를 통해 터치 신호를 전송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들 사이에 배치되는 뱅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터치 라인은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영역을 개구하는 다수의 개구부를 마련하는 제1 및 제2 터치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터치 라인은 상기 뱅크와 중첩되어 상기 메쉬 형태를 이루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 및 상기 터치 라인 각각의 일부는 지그재그 형태 또는 계단 형태를 이루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들 사이, 상기 터치 라인들 사이, 상기 터치 전극 및 상기 터치 라인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 터치 라인 및 더미 패턴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동일 재질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들 사이에 배치되는 뱅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뱅크와 중첩되며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지그재그 형태 또는 계단 형태를 이루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젤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 라인과 접속되는 터치 패드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라인은 상기 봉지 유닛의 측면을 경유하여 상기 터치 패드와 접속되는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과 상기 터치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라인은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유닛과 상기 터치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버퍼막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라인은 상기 터치 버퍼막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 상에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블랙매트릭스들 사이에 배치되는 컬러필터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유닛과 상기 터치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와;
    상기 컬러 필터들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056608A 2019-05-14 2019-05-14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20200131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08A KR20200131691A (ko) 2019-05-14 2019-05-14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US16/715,714 US11079885B2 (en) 2019-05-14 2019-12-16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DE102019134653.3A DE102019134653A1 (de) 2019-05-14 2019-12-17 Anzeigevorrichtung mit Berührungssensor
GB2109708.4A GB2594643B (en) 2019-05-14 2019-12-17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GB1918610.5A GB2583995B (en) 2019-05-14 2019-12-17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TW110104527A TWI750028B (zh) 2019-05-14 2019-12-20 具有觸控感測器的顯示裝置
TW108146966A TWI721722B (zh) 2019-05-14 2019-12-20 具有觸控感測器的顯示裝置
TW110142255A TWI774611B (zh) 2019-05-14 2019-12-20 具有觸控感測器的顯示裝置
CN201911337317.3A CN111949154A (zh) 2019-05-14 2019-12-23 具有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US17/361,168 US11592944B2 (en) 2019-05-14 2021-06-28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US18/163,166 US11907485B2 (en) 2019-05-14 2023-02-01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08A KR20200131691A (ko) 2019-05-14 2019-05-14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91A true KR20200131691A (ko) 2020-11-24

Family

ID=7301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608A KR20200131691A (ko) 2019-05-14 2019-05-14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079885B2 (ko)
KR (1) KR20200131691A (ko)
CN (1) CN111949154A (ko)
DE (1) DE102019134653A1 (ko)
GB (2) GB2594643B (ko)
TW (3) TWI7217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589A (ko) 2019-03-04 2020-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10004006A (ko) * 2019-07-02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557635B2 (en) * 2019-12-10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CN112987956A (zh) *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EP4236658A3 (en) * 2020-01-20 2023-10-1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20220010638A (ko) * 2020-07-16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2363636B (zh) * 2020-10-27 2024-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设备
CN112667106A (zh) * 2020-12-31 2021-04-1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13268176A (zh) * 2021-05-20 2021-08-1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自容式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604548B2 (en) * 2021-05-28 2023-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citive sensor mesh with discontinuities
CN113296635B (zh) * 2021-05-31 2022-07-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776560B (zh) * 2021-06-23 2022-09-01 矽響先創科技股份有限公司 整合觸控元件的顯示裝置
KR20230102376A (ko) *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35213A (ko) * 2022-03-15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168B1 (ko) * 2011-12-08 2019-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내로우 베젤 타입 액정표시장치
TWM448733U (zh) 2012-06-21 2013-03-11 Eturbotouch Technology Inc 多功能單基材的觸控面板
TW201510794A (zh) 2013-09-06 2015-03-16 Wintek Corp 觸控面板及其裝飾面板
CN106537303A (zh) 2014-07-11 2017-03-22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窗
CN204288192U (zh) 2014-12-23 2015-04-22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屏
CN104898913B (zh) 2015-06-29 2018-05-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互电容触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101904969B1 (ko) 2016-07-29 2018-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992916B1 (ko) * 2016-09-30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9025A (ko)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349699B1 (ko) 2017-05-31 2022-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CN107357475B (zh) 2017-06-27 2020-12-2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面板和显示装置
KR102380046B1 (ko) * 2017-09-22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656410A (zh) 2018-12-14 2019-04-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窄边框触摸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49154A (zh) 2020-11-17
DE102019134653A1 (de) 2020-11-19
US11592944B2 (en) 2023-02-28
GB2594643A (en) 2021-11-03
GB201918610D0 (en) 2020-01-29
GB2583995B (en) 2021-08-18
GB2583995A (en) 2020-11-18
US11079885B2 (en) 2021-08-03
TW202134845A (zh) 2021-09-16
TWI721722B (zh) 2021-03-11
US11907485B2 (en) 2024-02-20
US20230176698A1 (en) 2023-06-08
TW202042038A (zh) 2020-11-16
TWI774611B (zh) 2022-08-11
US20210326001A1 (en) 2021-10-21
US20200363905A1 (en) 2020-11-19
TWI750028B (zh) 2021-12-11
GB202109708D0 (en) 2021-08-18
GB2594643B (en) 2022-06-01
TW202209079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4611B (zh) 具有觸控感測器的顯示裝置
US11610946B2 (en) Display device
CN110400823B (zh) 具有触摸传感器的有机发光显示设备
US11195888B2 (en) Display device
US11625115B2 (en) Touch display device
KR20200008276A (ko)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CN110737353B (zh) 具有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US11360594B2 (en) Touch display device
KR20210085912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39897A (ko) 표시 장치
KR102603603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11599217B2 (en) Touch display device
KR20210004427A (ko) 터치 표시 장치
KR20210086143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1277A (ko) 표시 장치
CN113126830B (en) Touch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