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68B1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68B1
KR102572268B1 KR1020190000236A KR20190000236A KR102572268B1 KR 102572268 B1 KR102572268 B1 KR 102572268B1 KR 1020190000236 A KR1020190000236 A KR 1020190000236A KR 20190000236 A KR20190000236 A KR 20190000236A KR 102572268 B1 KR102572268 B1 KR 10257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ea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expos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480A (ko
Inventor
안성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68B1/ko
Priority to US16/517,937 priority patent/US11029732B2/en
Priority to EP20150049.3A priority patent/EP3677988B1/en
Priority to CN202010000550.9A priority patent/CN111462623B/zh
Publication of KR2020008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타단은 플로팅 상태(floating state)로써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넓어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좁아진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매체인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플렉서블 표시 패널(flexible display panel)이 개발됨에 따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 롤러블(rollable), 및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들은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표시 패널을 롤링/언롤링(rolling/unrolloing) 하거나 폴딩/언폴딩(folding/unfolding)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파지 상태에 따라 표시 장치의 동작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표시 장치와 사용자가 충돌할 수 있고, 이로써 표시 장치가 사용자의 손을 벗어나 낙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파지 상태를 고려하여 표시 패널의 외부 노출면의 확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타단은 플로팅 상태(floating state)로써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넓어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좁아진다.
상기 표시 패널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2 영역으로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에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2 영역으로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터치 입력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외부 노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지문 인식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은 미리 결정된 지문 패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 중 미리 결정된 복수의 영역들에 미리 결정된 순서대로 발생하는 터치 입력들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고, 상기 근접 센서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고, 상기 근접 센서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표시 패널의 외부 노출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플로팅 상태인 상기 표시 패널의 타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가이드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넓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제2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에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를 조건으로 수행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에 근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2 영역으로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에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2 영역으로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터치 입력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외부 노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지문 인식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은 미리 결정된 지문 패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 중 미리 결정된 복수의 영역들에 미리 결정된 순서대로 발생하는 터치 입력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사용자의 파지 상태를 고려하여 표시 패널의 외부 노출면의 확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의 표시 장치를 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표시 장치의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의 표시 장치를 II-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의 표시 장치를 III-I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파지하는 방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예시적인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1 프레임에 근접 센서가 위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2 프레임에 근접 센서가 위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의 표시 장치를 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표시 장치의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의 표시 장치를 II-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의 표시 장치를 III-I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프레임(FR1), 제2 프레임(FR2), 및 표시 패널(DP)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은 서로 반대 방향이고,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4 방향(DR4)은 제3 방향(DR3)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flexible), 롤러블(roll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한 기판에 화소들(pixels)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은 고분자 유기물, 유리 섬유 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퀀텀 닷(quantum dot) 표시 장치, 그 밖의 자발광 표시 장치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터치 센싱부를 자체적으로 포함하거나, 별도의 터치 패널과 결합됨으로써,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면(DF) 및 배면(BF)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DF) 중 제1 프레임(FR1) 및 제2 프레임(FR2)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부분이 외부 노출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서 외부 노출면의 면적은 제1 방향(DR1)의 길이(L1)에 제3 방향(DR3)의 길이를 곱한 값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계산 방법은 표시 패널(DP)이 직사각형인 경우를 가정한 경우이며, 표시 패널(DP)이 스마트 워치 등에 사용되는 원형 디스플레이인 경우 다른 계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FR1)은 표시 패널(DP)의 일단(1E)이 고정된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프레임(FR1)은 경질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FR1)은 표시 패널(DP)의 배면(BF)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프레임(FR2)은 제1 프레임(FR1)을 기준으로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FR1)과 연결된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FR2)과 제1 프레임(FR1)은 가이드 레일(guide rail) 등으로 연결됨으로써, 제2 프레임(FR2)이 제1 프레임(FR1)으로부터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슬라이드(slide)될 수 있다. 제2 프레임(FR2)은 경질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FR2)은 제1 서브 프레임(FR2_s1) 및 제2 서브 프레임(FR2_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FR2_s1)은 표시 패널(DP)의 표시면(DF)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FR2_s2)은 표시 패널(DP)의 배면(BF)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프레임(FR1)은 내부에 모터(motor) 등의 동력 생산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제2 프레임(FR2)을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프레임(FR1)은 표시 패널(DP)뿐만 아니라, AP(application processor), 배터리, 통신 모듈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FR2)은 전자 장치들을 내부에 포함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만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FR1) 내부에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제2 프레임(FR2)을 이동시킴에 있어서, 부하가 작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FR2)이 내부에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의 타단(2E)은 플로팅 상태(floating state)로써 제2 프레임(FR2)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가능하다. 표시 패널(DP)의 타단(2E)이 플로팅 상태라는 것은 표시 패널(DP)의 타단(2E)이 어느 프레임에도 고정되지 않은 상태라는 의미일 수 있다. 즉, 표시 패널(DP)의 타단(2E)은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타단(2E)은 제1 서브 프레임(FR2_s1) 및 제2 서브 프레임(FR2_s2)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제2 프레임(FR2)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는 경우 표시 패널(DP)의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커지고, 제2 프레임(FR2)이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하는 경우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FR2)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함으로써, 표시 패널(DP)의 외부 노출면의 제1 방향(DR1)의 길이(L2)가 도 1의 길이(L1)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DP)의 제3 방향(DR3)의 길이는 도 1 및 도 3에서 동일하므로, 표시 장치(10)가 도 1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로 변경된 경우 표시 패널(DP)의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넓어졌다고 표현할 수 있다. 반대로, 표시 패널(DP)이 도 3의 상태에서 도 1의 상태로 변경된 경우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좁아졌다고 표현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도 3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변경된 경우, 즉 제2 프레임(FR2)이 제1 방향(DR1)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표시 패널(DP)의 외부 노출면의 제1 방향(DR1)의 길이(L3)가 더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길이(L3)는 제2 서브 프레임(FR2_s2)의 제1 방향(DR1)의 길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길이(L3)는 제1 프레임(FR1)의 제1 방향(DR1)의 길이(L4)보다 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파지하는 방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UH)이 표시 장치(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DR2)에서 표시 장치(10)를 파지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프레임(FR2)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UH)이 표시 장치(10)를 기준으로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를 파지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프레임(FR2)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면 제2 프레임(FR2)과 사용자의 손(UH)이 충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가 사용자의 손(UH)을 벗어나 낙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표시 패널(DP)을 터치하거나 표시 장치(10)의 특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2 프레임(FR2)이 이동되는 경우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예시적인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9 내지 도 13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사용자가 인지하고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제2 프레임(FR2)을 이동시키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9 내지 도 13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써, 당업자는 본 발명을 참조하여 다양한 패턴들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미리 결정된 패턴은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A1a)으로부터 외부 노출면의 제2 영역(A2a)으로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이고, 제2 영역(A2a)은 제1 영역(A1a)으로부터 제1 방향(DR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방향(DR1)으로의 드래그(drag)는 제2 프레임(FR2)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과 대응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미리 결정된 패턴은,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A1b)에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제1 영역(A1b)으로부터 외부 노출면의 제2 영역(A2b)로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이고, 제2 영역(A2b)은 제1 영역(A1b)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R1)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의 미리 결정된 패턴은 도 9와 유사하지만, 제1 영역(A1b)에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요구되므로, 사용자의 실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미리 결정된 패턴은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A1c)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터치 입력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일 수 있다. 제1 영역(A1c)은 외부 노출면 중 임의의 영역일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터치 입력들에 대한 동일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영역(A1c)을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3 회 노크(knock)하는 경우, 제2 프레임(FR2)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1 회 노크는 일반적인 터치 입력일 수 있고, 2회 노크는 사용자가 파지를 달리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3회 이상의 노크를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의 실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외부 노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지문 인식 영역(A1d)을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패턴은 지문 인식 영역(A1d)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으로써, 터치 입력은 미리 결정된 지문 패턴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특정한 위치에 특정한 손가락의 지문 영역의 접촉이 요구되므로,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미리 결정된 패턴(PT)은 외부 노출면 중 미리 결정된 복수의 영역들(PD)에 미리 결정된 순서대로 발생하는 터치 입력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패턴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잠금 해제 패턴일 수 있다.
도 14는 제1 프레임에 근접 센서가 위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제1 프레임(FR1')의 제2 방향(DR2)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FR1')은 근접 센서를 위한 센서 홀(SH1)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기존의 상용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전자기파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 등이 센서 홀(SH1)을 가리는 경우, 근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패널(DP)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고, 근접 센서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2 프레임(FR2)은 제1 프레임(FR1')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14의 실시예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는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표시 장치(10')로부터 제2 방향(DR2)에서 표시 장치(10')를 파지하는 경우이므로, 제2 프레임(FR2)이 이동하더라도 사용자의 손(UH)과 충돌할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
반면에, 근접 센서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표시 패널(DP)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더라도, 제2 프레임(FR2)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14의 실시예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표시 장치(10')로부터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를 파지하는 경우이므로, 제2 프레임(FR2)이 이동한다면 사용자의 손과 충돌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 내지 도 13에서 설명된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보완하여 표시 장치(10')의 안전한 구동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5는 제2 프레임에 근접 센서가 위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제2 프레임(FR2")의 제1 방향(DR1)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FR2")은 근접 센서를 위한 센서 홀(SH2)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기존의 상용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전자기파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 등이 센서 홀(SH2)을 가리는 경우, 근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패널(DP)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고, 근접 센서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제2 프레임(FR2")은 제1 프레임(FR1)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15의 실시예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표시 장치(10")로부터 제2 방향(DR2)에서 표시 장치(10")를 파지하는 경우이므로, 제2 프레임(FR2")이 이동하더라도 사용자의 손과 충돌할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
반면에, 근접 센서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 패널(DP)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더라도, 제2 프레임(FR2")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15의 실시예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는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표시 장치(10")로부터 제1 방향(DR1)에서 표시 장치(10")를 파지하는 경우이므로, 제2 프레임(FR2")이 이동한다면 사용자의 손과 충돌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 내지 도 13에서 설명된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보완하여 표시 장치(10")의 안전한 구동이 보장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표시 장치
FR1: 제1 프레임
FR2: 제2 프레임
DP: 표시 패널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타단은 플로팅 상태(floating state)로써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넓어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좁아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2 영역으로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에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2 영역으로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터치 입력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인,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외부 노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지문 인식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은 미리 결정된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 중 미리 결정된 복수의 영역들에 미리 결정된 순서대로 발생하는 터치 입력들인,
    표시 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고, 상기 근접 센서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타단은 플로팅 상태(floating state)로써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넓어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좁아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고, 상기 근접 센서에서 근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내부에 동력 생산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표시 패널의 외부 노출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플로팅 상태인 상기 표시 패널의 타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가이드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넓어지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제2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에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를 조건으로 수행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삭제
  16. 표시 패널의 외부 노출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플로팅 상태인 상기 표시 패널의 타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가이드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외부 노출면의 면적이 넓어지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근접 센서에 근접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조건으로 수행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에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2 영역으로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의 제1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터치 입력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외부 노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지문 인식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은 미리 결정된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기 외부 노출면 중 미리 결정된 복수의 영역들에 미리 결정된 순서대로 발생하는 터치 입력들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90000236A 2019-01-02 2019-01-0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7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36A KR102572268B1 (ko) 2019-01-02 2019-01-0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6/517,937 US11029732B2 (en) 2019-01-02 2019-07-22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0150049.3A EP3677988B1 (en) 2019-01-02 2020-01-02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2010000550.9A CN111462623B (zh) 2019-01-02 2020-01-02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36A KR102572268B1 (ko) 2019-01-02 2019-01-0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480A KR20200084480A (ko) 2020-07-13
KR102572268B1 true KR102572268B1 (ko) 2023-08-30

Family

ID=6910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236A KR102572268B1 (ko) 2019-01-02 2019-01-0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29732B2 (ko)
EP (1) EP3677988B1 (ko)
KR (1) KR102572268B1 (ko)
CN (1) CN1114626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WO2021100932A1 (ko) 2019-11-22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41160A1 (ko) * 2020-01-0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4751A (ko) * 2020-07-29 202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56042B1 (ko) * 2020-10-13 2021-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을 유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20147178A1 (en) * 2020-11-06 202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102880A1 (en) 2020-11-16 2022-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2668A1 (en) * 2010-02-12 2013-09-26 Yi-Chuan Cheng Cellular with an extension display
WO2017086689A1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70886B1 (en) * 2006-01-06 2015-06-03 Unified Innovative Technology, LLC Mobile terminal device, display method,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10123058A (ko) 2010-05-06 2011-11-14 (주)센트로닉스 입출식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28216A (ko) 2012-08-27 2014-03-10 최성림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KR102080741B1 (ko) * 2012-08-29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448755B2 (en) * 2013-12-28 2016-09-20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eterogeneous display screens
CN103716428B (zh) * 2013-12-30 2016-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便携式显示装置
KR102116107B1 (ko) * 2013-12-30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606654B2 (en) * 2015-04-29 2017-03-28 Yongqiang Li Activated display
KR102508833B1 (ko) * 2015-08-05 2023-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JP2017058972A (ja) * 2015-09-16 2017-03-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そ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102500060B1 (ko) 2015-11-1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79462B1 (ko) * 2015-12-07 2022-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847103B (zh) 2016-12-28 2019-05-3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2534579B1 (ko) * 2016-06-17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4969B1 (ko) * 2016-07-29 2018-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007435B1 (ko) * 2016-08-02 2019-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27801B1 (ko) * 2016-10-10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CN108255331B (zh) * 2016-12-29 2024-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触摸屏及制作方法、显示屏及制作方法以及显示设备
CN106778183A (zh) * 2017-01-24 2017-05-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指纹识别的方法及移动终端
CN108537013A (zh) * 2017-12-29 2018-09-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锁屏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8897486B (zh) * 2018-06-28 2021-04-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2668A1 (en) * 2010-02-12 2013-09-26 Yi-Chuan Cheng Cellular with an extension display
WO2017086689A1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09923A1 (en) 2020-07-02
CN111462623A (zh) 2020-07-28
US11029732B2 (en) 2021-06-08
EP3677988B1 (en) 2024-02-21
CN111462623B (zh) 2023-09-29
EP3677988A1 (en) 2020-07-08
KR20200084480A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26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01312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ordinate detecting method
JP6161078B2 (ja) 表示領域エッジでのユーザ入力の検知
EP2835725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ordinate detecting method
EP2439620B1 (en) Touch-sensitive display with depression detection and method
JP5542224B1 (ja) 電子機器および座標検出方法
US10139922B2 (en) Spring configuration for touch-sensitive input device
CN104340132A (zh) 输入装置
US11150749B2 (en) Control module for stylus with whiteboard-style erasure
KR20120050169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247663B1 (ko)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5971608B1 (ja) 電子機器および座標検出方法
US20200293151A1 (en) Input device, op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308901B1 (ko) 투명전도성필름이 구비된 대시보드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77406B1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및 윈도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404987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80068033A (ko)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334238B1 (ko)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JP5653558B2 (ja) 電子機器及び座標検出方法
JP5615455B2 (ja) 電子機器及び座標検出方法
JP6136630B2 (ja) 移動先判定装置、移動先判定方法、及び移動先判定プログラム
KR101786567B1 (ko) 광 터치 스크린용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동작 방법
WO2016209028A1 (ko) 필압 인식 터치펜 장치
JP2017167606A (ja) タッチパネル用透明基板
KR20140107761A (ko)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