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216A -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216A
KR20140028216A KR1020120093956A KR20120093956A KR20140028216A KR 20140028216 A KR20140028216 A KR 20140028216A KR 1020120093956 A KR1020120093956 A KR 1020120093956A KR 20120093956 A KR20120093956 A KR 20120093956A KR 20140028216 A KR20140028216 A KR 2014002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smart phone
smartphone
displa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림
Original Assignee
최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림 filed Critical 최성림
Priority to KR102012009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216A/ko
Publication of KR2014002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91Constructional arrangement for sub-divid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68Signs, boards or panels with tensioned or flexible display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스마트폰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1입구;와,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스마트폰에 형성된 제1입구에 노출되게 위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입구를 통해서 스마트폰 외부로 유출되면 길게 펼쳐지고, 상기 제1입구를 통해서 스마트폰 내부로 유입되면 말려 보관되도록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외부로 유출되어 펼쳐지도록 유도하거나, 외부로 펼쳐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내부로 유입되어 안정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공급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에 충분한 크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말아 보관하고, 필요시에 간편히 유출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 충분한 크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영상의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되며, 동시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쉽게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간편히 내장 보관되는 구조로 인해, 제품의 휴대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사용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Scroll the display to be installed on smartphones}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충분한 크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말아 보관하고, 필요시에 간편히 유출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 충분한 크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영상의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되며, 동시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쉽게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의 기술 수준이 점차 PC 수준으로 향상되어 스마트폰에 수많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휴대가 용이하게 제작되는 스마트폰의 특성상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스마트폰은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로 인해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터치하여 제어명령을 전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더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마트폰에 충분한 크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말아 보관하고, 필요시에 간편히 유출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 충분한 크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영상의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되며, 동시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쉽게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간편히 내장 보관되는 구조로 인해, 제품의 휴대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사용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1입구;와,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스마트폰에 형성된 제1입구에 노출되게 위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입구를 통해서 스마트폰 외부로 유출되면 길게 펼쳐지고, 상기 제1입구를 통해서 스마트폰 내부로 유입되면 말려 보관되도록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외부로 유출되어 펼쳐지도록 유도하거나, 외부로 펼쳐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내부로 유입되어 안정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수단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소형모터와, 상기 제1입구의 반대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경유하는 회전 롤러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의 제1입구로 안정적으로 유출되거나 유입되도록 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소형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안내수단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은 권취 롤러와, 일단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권취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소형 모터의 축 상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권취 롤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권취 롤러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공급수단을 내부에 내장하되, 일 측에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이 유통되는 제2입구가 형성되는 설치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의 제1입구로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지지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용이하게 파지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유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충분한 크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말아 보관하고, 필요시에 간편히 유출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 충분한 크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영상의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되며, 동시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쉽게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간편히 내장 보관되는 구조로 인해, 제품의 휴대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사용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의 요부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100)는 제1입구(10)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와, 공급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구(10)는 스마트폰(1)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입구(10)를 통해서 후설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용이하게 외부로 유출되거나 유입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Flexible Display)는 스마트폰(1)에 내장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스마트폰(1)에 형성된 제1입구(10)에 노출되게 위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입구(10)를 통해서 스마트폰(1) 외부로 유출되면 길게 펼쳐지고, 상기 제1입구(10)를 통해서 스마트폰(1) 내부로 유입되면 말려 보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는 후설될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 형상으로 말아 보관함으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축소하되 최대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양호한 보관을 유도한다.
이때,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를 용이하게 유출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일단에는 용이한 파지를 위한 손잡이(60)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100)의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20)는 스마트폰(1)에 내장되는 통상의 배터리(미도시)를 통해서 작동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를 가지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30)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스마트폰 외부로 유출되어 펼쳐지도록 유도하거나, 외부로 펼쳐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스마트폰(1) 내부로 유입되어 안정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소형모터(31)와, 상기 제1입구(10)의 반대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경유하는 회전 롤러(32)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스마트폰(1)의 제1입구(10)로 안정적으로 유출되거나 유입되도록 하는 안내수단(33)과, 상기 소형모터(31)의 회전력을 상기 안내수단(33)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수단(33)은 권취 롤러(33a)와, 일단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권취 롤러(33a)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 롤러(33a)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연결부재(33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수단(34)은 상기 소형 모터(31)의 축(31a) 상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34a)와, 상기 권취 롤러(33a)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34a)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어(34a)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권취 롤러(33a)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기어(3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1)에 내장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60)를 파지하여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상기 회전 롤러(32)를 경유하여 상기 스마트폰(1)의 제1입구(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를 사용자는 평평하게 펼쳐 간편히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 롤러(33a)에 감겨진 상기 연결부재(33b)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함께 이송되면서 상기 권취 롤러(33a)에서 자연적으로 풀어진다.
그런 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사용이 완료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를 스마트폰(1) 내부로 복귀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형모터(31)를 작동시켜 상기 권취 롤러(33a)가 회전되게 하고, 상기 권취 롤러(33a)가 회전되면 풀어진 상기 연결부재(33b)의 끝단이 상기 권취 롤러(33a)에 감김으로 상기 연결부재(33b)와 연결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점차 이송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소형모터(31)의 작동명령은 상기 소형모터(3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앱 프로그램을 스마트폰(1)에 설치하여, 스마트폰(1)의 액정(1a)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간편히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100)는 스마트폰(1) 내부에 충분한 크기의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를 말아 보관하고, 필요시에 간편히 유출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 충분한 크기의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영상의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되며, 동시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 화면을 통해 쉽게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1)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간편히 내장 보관되는 구조로 인해, 제품의 휴대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사용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와 공급수단(30)을 내부에 내장하되, 일 측에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일단이 유통되는 제2입구(41)가 형성되는 설치케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설치케이스(40)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 및 공급수단(30)의 구성을 안정적으로 내장함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100) 설치시 간편히 상기 설치케이스(40)를 스마트폰(1)의 내부에 내장하는 방법으로 간편히 설치 완료할 수 있어 제작의 편의성 및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케이스(40) 내부에 설치되어, 스마트폰(1)의 제1입구(10)로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지지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가이드(5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도 4a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상기 회전 롤러(32)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내가이드(50)를 통해서 안전하게 지지 안내되도록 유도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쳐짐 없이 평평하게 수평이 유지되면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가이드(50)를 통해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100)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스마트폰(1)에 내장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를 사용이 요구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폰(1)의 일 측에 노출된 손잡이(60)를 파지한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당겨 스마트폰(1)의 제1입구(10)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는 평평하게 펼친 상태로 간편히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는 회전 롤러(32) 및 안내가이드(50)를 경유하면서 평평하게 유지된 상태로 유출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3b)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와 함께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권취 롤러(33a)에서 자연적으로 풀어진다.
그런 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사용이 완료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를 스마트폰(1) 내부로 복귀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모터(31)를 작동시켜 상기 권취 롤러(33a)를 회전시키고, 상기 권취 롤러(33a)가 회전되면 풀어진 상기 연결부재(33b)의 끝단이 상기 권취 롤러(33a)에 감김으로 상기 연결부재(33b)와 연결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자연적으로 점차 이송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복귀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는 상기 회전 롤러(32) 및 안전가이드(50)를 경유하여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복귀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스마트폰 1a. 액정
10. 제1입구 2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0. 공급수단 31. 소형모터
31a. 축 32. 회전 롤러
33. 안내수단 33a. 권취 롤러
33b. 연결부재 34. 전달수단
34a. 제1기어 34b. 제2기어
40. 설치케이스 41. 제2입구
50. 안내가이드 60. 손잡이
100.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Claims (7)

  1. 스마트폰(1)에 있어서,
    스마트폰(1)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1입구(10);
    스마트폰(1)에 내장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스마트폰(1)에 형성된 제1입구(10)에 노출되게 위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입구(10)를 통해서 스마트폰(1) 외부로 유출되면 길게 펼쳐지고, 상기 제1입구(10)를 통해서 스마트폰(1) 내부로 유입되면 말려 보관되도록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Flexible Display);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스마트폰 외부로 유출되어 펼쳐지도록 유도하거나, 외부로 펼쳐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스마트폰(1) 내부로 유입되어 안정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3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소형모터(31)와,
    상기 제1입구(10)의 반대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경유하는 회전 롤러(32)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스마트폰(1)의 제1입구(10)로 안정적으로 유출되거나 유입되도록 하는 안내수단(33)과,
    상기 소형모터(31)의 회전력을 상기 안내수단(33)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33)은,
    권취 롤러(33a)와,
    일단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권취 롤러(33a)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 롤러(33a)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연결부재(3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34)은,
    상기 소형 모터(31)의 축(31a) 상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34a)와,
    상기 권취 롤러(33a)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34a)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어(34a)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권취 롤러(33a)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기어(34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와 공급수단(30)을 내부에 내장하되, 일 측에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일단이 유통되는 제2입구(41)가 형성되는 설치케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케이스(40) 내부에 설치되어, 스마트폰(1)의 제1입구(10)로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지지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가이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용이하게 파지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를 유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KR1020120093956A 2012-08-27 2012-08-27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KR20140028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956A KR20140028216A (ko) 2012-08-27 2012-08-27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956A KR20140028216A (ko) 2012-08-27 2012-08-27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16A true KR20140028216A (ko) 2014-03-10

Family

ID=5064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956A KR20140028216A (ko) 2012-08-27 2012-08-27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8216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9616A (zh) * 2013-07-02 2013-11-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能改变显示区域的屏幕、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
CN104410731A (zh) * 2014-10-17 2015-03-11 周士志 一种多功能卷轴式通讯器
CN104461127A (zh) * 2014-11-12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工作方法
CN105489628A (zh) * 2014-10-06 2016-04-1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160059372A (ko) * 2014-11-18 2016-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30318B2 (en) 2014-10-22 2017-08-08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N107665633A (zh) * 2016-07-27 2018-02-06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9900977B2 (en) 2014-12-03 2018-02-20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US10146260B2 (en) 2015-01-12 2018-12-04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CN111462621A (zh) * 2019-01-03 2020-07-28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滑动显示装置
CN111462630A (zh) * 2020-04-17 2020-07-28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US11029732B2 (en) 2019-01-02 2021-06-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9616A (zh) * 2013-07-02 2013-11-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能改变显示区域的屏幕、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
CN105489628B (zh) * 2014-10-06 2020-12-29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5489628A (zh) * 2014-10-06 2016-04-1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9560750B2 (en) 2014-10-06 2017-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4410731A (zh) * 2014-10-17 2015-03-11 周士志 一种多功能卷轴式通讯器
US9730318B2 (en) 2014-10-22 2017-08-08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N104461127A (zh) * 2014-11-12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工作方法
CN104461127B (zh) * 2014-11-12 2017-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工作方法
KR20160059372A (ko) * 2014-11-18 2016-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00977B2 (en) 2014-12-03 2018-02-20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US10146260B2 (en) 2015-01-12 2018-12-04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CN107665633A (zh) * 2016-07-27 2018-02-06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7665633B (zh) * 2016-07-27 2021-08-17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029732B2 (en) 2019-01-02 2021-06-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743428B2 (en) 2019-01-03 2020-08-11 Samsung Display Co., Ltd. Slidable display device
CN111462621A (zh) * 2019-01-03 2020-07-28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滑动显示装置
CN111462630A (zh) * 2020-04-17 2020-07-28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11462630B (zh) * 2020-04-17 2021-12-1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8216A (ko)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CN105741683B (zh) 可卷曲显示装置
US95374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ate switching method based on electronic device
WO2009140095A3 (en) Pushing a user interface to a remote device
WO2007133923A3 (en) Interactive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s
WO2012157890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of peripher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CN209461081U (zh) 柔性显示装置
CN202186262U (zh) 一种遮阳装置及包括该遮阳装置的液晶显示器
US20100271338A1 (en) Input apparatus with flexible input panel
CN205812264U (zh) 一种家用投影机器人
EP4220610A1 (en) Display device
CN205210532U (zh) 智能手表表带
CN204302879U (zh) 一种电子设备
CN203395620U (zh) 可摄像手电筒
CN202864594U (zh) 一种网线卷线装置
CN204271391U (zh) 一种充电式集线器
CN102041963A (zh) 一种控制用于显示屏的卷帘的方法和装置
CN208819388U (zh) 一种外国文学教学辅助用具
CN205847511U (zh) 一种收线耳机
CN205647649U (zh) 一种支架手机壳
CN103956810A (zh) 手摇充电器
US20180188828A1 (en)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JP2018132417A (ja) ナビゲーション起動装置、ナビゲーション起動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起動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起動プログラム
CN203299699U (zh) 多功能笔记本电脑
CN207802086U (zh) 一种带支架的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