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238B1 -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238B1
KR102334238B1 KR1020130148704A KR20130148704A KR102334238B1 KR 102334238 B1 KR102334238 B1 KR 102334238B1 KR 1020130148704 A KR1020130148704 A KR 1020130148704A KR 20130148704 A KR20130148704 A KR 20130148704A KR 102334238 B1 KR102334238 B1 KR 102334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vement distance
display area
electronic devi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838A (ko
Inventor
송원선
황종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2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영역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센싱장치와; 상기 터치영역 중 외곽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인지 상기 특정 동작 실행과 무관한 비의도적 터치인지 판단하는 터치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판단부는,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터치 시간과 터치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조건 인자로 하여 상기 의도적 터치인지 비의도적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터치 타입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Touch typ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타입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곽 영역의 터치에 대한 오인식(misrecognition)을 해소할 수 있는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 디스플레이(display)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적인 사용을 위해 터치 센싱(touch sensing) 기술이 적용된 터치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타입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특정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터치 인식이 요구된다.
한편, 최근에는, 디자인 차별화 등의 측면에서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의 적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손으로 잡고 사용함에 있어, 손이 터치 센싱에 대한 액티브 영역(active region)의 외곽 영역인 에지(edge) 영역을 침범하여 의도치 않게 터치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에지 그립(edge grip)을 위한 손 동작이 실제 터치(real touch) 동작으로 오인식(misrecognition)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해당 기기에 대한 사용자 불편감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방안으로서, 선행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8063호에 제안된 방안이 사용될 수 있다. 해당 문헌에 따르면, 터치에 대한 패치(patch) 신호의 밀도(density)와 패치의 장단축 반경을 터치 인식 인자로 하고, 해당 인자의 임계값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통해 터치 인식을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경우는 터치 노드(node) 수와 라벨링(labeling)된 영역의 크기로 터치 인식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에지 그립 상태가 실제 터치와 동일한 조건에 부합하게 되면, 에지 그립과 실제 터치를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선행 문헌에 개시된 방안을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실제 터치를 의도하지 않은 에지 그립 등이 실제 터치로 오인식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터치 영역의 외곽 영역에 대한 의도치 않은 터치를 실제 터치로 오인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에 과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시영역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센싱장치와; 상기 터치영역 중 외곽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인지 상기 특정 동작 실행과 무관한 비의도적 터치인지 판단하는 터치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판단부는,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터치 시간과 터치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조건 인자로 하여 상기 의도적 터치인지 비의도적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터치 타입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판단부는,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의도적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터치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터치 정보를 전달받아 대응되는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판단부는, 상기 터치센싱장치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터치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터치 센싱을 실행하고,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ff인 경우, 상기 외곽 영역에 대한 초기 터치시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을 on으로 설정한 후 상기 터치 센싱을 재차 실행하고,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n인 경우, 상기 터치 시간 및 터치 이동거리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게 되면 상기 비의도적 터치로 판단하여 상기 터치 센싱을 재차 실행하고,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n인 경우, 상기 터치 시간과 터치 이동거리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지 않게 되면 상기 의도적 터치로 판단하여 상기 터치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을 off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터치 타입 전자기기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표시영역은 상기 외곽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터치판단부에서, 터치 센싱을 실행하여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센싱장치로부터 터치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터치판단부에서, 상기 터치영역 중 외곽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에 대해,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터치 시간과 터치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조건 인자로 하여,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인지 상기 특정 동작 실행과 무관한 비의도적 터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타입 전자기기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판단부는,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의도적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터치 정보를 발생시키고, 제어부에서 상기 발생된 터치 정보를 전달받아 대응되는 특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판단부에서,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ff인 경우, 상기 외곽 영역에 대한 초기 터치시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을 on으로 설정한 후 상기 터치 센싱을 재차 실행하고,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n인 경우, 상기 터치 시간 및 터치 이동거리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게 되면 상기 비의도적 터치로 판단하여 상기 터치 센싱을 재차 실행하고,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n인 경우, 상기 터치 시간과 터치 이동거리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지 않게 되면 상기 의도적 터치로 판단하여 상기 터치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을 off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터치 타입 전자기기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표시영역은 상기 외곽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기기 사용 양태를 기초로 터치 시간과 터치 이동거리를 터치 판단 조건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곽 영역에서의 터치가 실제 터치 즉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인지, 아니면 특정 동작 실행과 무관한 비의도적 터치인지 여부를 손쉽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기 그립과 같이 외곽 영역에서의 비의도적 터치를 실제 터치로 오인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타입 전자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타입 전자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로 볼 수 없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로 보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곽 영역에서의 실제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타입 전자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타입 전자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타입 전자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타입 전자기기는 터치 기능을 갖춘 모든 형태의 전자기기로서,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타입 전자기기로서 터치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타입 전자기기(100)는, 표시장치(200)와 터치센싱장치(300)와 이들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회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200)로서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터치센싱장치(30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에 해당된다. 터치센싱장치(300)에 대해, 사용자는 손이나 터치용 펜(pen)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터치를 하게 되고, 이와 같은 터치에 따라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터치센싱장치(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센싱장치(300)는 표시장치(200)와 별개로 제조되어, 표시장치(200)의 상면 상에 애드온(add-on)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표시장치(200) 제조시에 함께 제조되어, 인셀(in-cell) 방식이나 온셀(on-cell)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센싱장치(300)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액티브 영역인 터치 영역(TR)이 정의된다. 이와 같은 터치 영역(TR)은, 표시장치(200)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인 표시영역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영역(TR)은 제1터치 영역(TR1)과 제1터치 영역(TR1) 외곽에 위치하는 제2터치 영역(T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터치 영역(TR1)은 사용자의 전자기기(100) 사용에 있어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실제 터치 즉 의도적 터치가 대부분 발생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2터치 영역(TR2)은 제1터치 영역(TR1)의 주변에 위치하는 외곽 영역으로서, 사용자의 전자기기(100) 사용에 있어 특정 동작 실행 보다는 기기 그립(grip) 등에 따른 터치 즉 비의도적 터치 등이 주로 발생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한편, 제2터치 영역(TR2)은 제1터치 영역(TR1)을 둘러싸는 형태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터치 영역(TR1)의 외측 중 일부, 예를 들면, 상하좌우 외측 중 일부에만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2터치 영역(TR1, TR2)은, 기기의 베젤 폭, 기기의 크기, 기기의 사용 상태 등에 따라 그 폭 및/또는 위치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베젤 폭이 큰 경우에는 기기 그립을 위한 제2터치 영역(TR2)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베젤 폭이 작아짐에 따라 제2터치 영역(TR2)의 폭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기기가 가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가로 상태의 양측 외곽에만 제2터치 영역(TR2)이 설정될 수 있고, 세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세로 상태의 양측 외곽에만 제2터치 영역(TR2)이 설정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동회로부(400)는 제어부(410)와 터치판단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터치 타입 전자기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200)의 표시 동작과 터치센싱장치(300)의 터치 센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판단부(420)의 터치 판단 결과에 따른 관련 동작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판단부(420)는 터치센싱장치(300)로부터 독출된 터치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터치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판단부(420)는, 터치 영역(TR) 중 제2터치 영역(TR2) 즉 외곽 영역(TR2)에서 실제 터치 즉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아니면 기기 그립 등을 위한 터치 즉 특정 동작 실행과 무관한 비의도적 터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터치판단부(420)는 외곽 영역(TR2)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제2터치 영역(TR2)에 대한 터치가 발생한 경우에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설정된 조건은, 터치시의 이동거리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해당 조건을 위한 인자로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동거리와 시간 모두가 조건을 위한 인자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및 5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로 볼 수 없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로 보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터치에 따른 특정 동작 실행을 의도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짧은 시간 동안 터치하거나 터치시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될 것이다. 반면에, 사용자가 터치에 따른 특정 동작 실행을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 예를 들면 기기 그립을 염두에 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긴 시간 동안 터치하게 되고 터치시의 이동거리는 상당히 짧게 될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기기 사용 양태를 고려하여, 터치시의 임계 시간(Tt)과 임계 이동거리(Td)를 설정하게 되면, 특정 동작 실행을 의도적 터치와 이를 의도하지 않은 비의도적 터치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을 반영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시의 임계 시간(Tt)과 임계 이동거리(Td)를 설정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F)이 외곽 영역(TR2)를 계속해서 잡고 있는 경우에, 이는 터치시의 시간(t)이 임계 시간 초과이고 터치시의 이동거리(d)가 임계 이동거리(Td) 미만인 경우에 해당된다. 즉, 이는 t > Tt이고 d < Td인 경우에 해당되어, 특정 동작 실행을 의도하지 않은 비의도적 터치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른 경우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손(F)의 터치시 시간(t)이 임계 시간(Tt) 이상이거나 터치 이동거리(d)가 임계 이동거리(Td) 이상인 경우에는, 이는 t ≤ Tt이거나 d ≥ Td인 경우에 해당되어, 특정 동작 실행을 의도한 의도적 터치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기기 사용 양태를 터치 판단 조건으로 설정함으로써, 외곽 영역(TR2)에서의 터치가 실제 터치 즉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인지, 아니면 특정 동작 실행과 무관한 비의도적 터치인지 여부를 손쉽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곽 영역에서의 실제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 과정이 실행되어, 터치센싱장치(300)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터치 센싱 데이터가 독출되고, 이와 같이 출력된 터치 센싱 데이터는 터치판단부(420)에 입력된다 (S11). 이와 같은 과정을 터치 센싱 과정이라고 칭한다.
다음으로, 이전 프레임에서의 외곽 터치 플래그(flag; F) 값을 참조하여 (ST12), 플래그 값에 따라 다음 단계가 결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 인자인 플래그(F)는 현재 프레임 전에 외곽 영역(TR2)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플래그(F)의 값이 온(on)이면 현재 프레임 전에 외곽 영역(TR2)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플래그(F)의 값이 온(off)이면 현재 프레임 전에 외곽 영역(TR2)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F = off이면(즉, 이전 프레임에서 외곽 영역(TR2)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외곽 영역(TR2)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S13).
여기서, 입력된 터치 센싱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산출된 터치 위치가 외곽 영역(TR2)에 존재하게 되면, 플래그 값을 on으로 설정하게 되며 (S14), 재차 S11 단계로 돌아가 터치 센싱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플래그 갑이 off에서 on으로 변경시의 외곽 영역(TR2)의 터치는, 외곽 영역(TR2)에 대한 초기 터치에 해당된다. 그리고, S14 단계에서는 초기 터치 위치 등의 터치 정보는 취소(cancel)될 수 있다.
한편, S12 단계에서 F = on이면(즉, 이전 프레임에서 외곽 영역(TR2)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였으면), 실제 터치 여부 즉 의도적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실행된다 (S15).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터치 시간(t)과 터치 이동거리(d)가 설정된 임계값 조건을 충족하는지 즉 t > Tt 및 d < Td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터치 시간(t) 및 터치 이동거리(d)는, 초기 터치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된다.
전술한 설정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되면(즉, t > Tt이고 d < Td이면), 외곽 영역(TR2)에는 기기 그립과 같은 비의도적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터치에 따른 특정 동작은 실행되지 않게 되며, 재차 S11 단계로 돌아가 터치 센싱 과정이 실행된다.
한편, 이와 달리,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즉, t ≤ Tt이거나 d ≥ Td이면), 외곽 영역(TR2)에는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외곽 영역(TR2)에서의 의도적 터치와 관련된 터치 정보로서, 예를 들면 취소된 초기 터치 위치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복원되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플래그 값은 on에서 off로 변환된다 (S16).
여기서, 의도적 터치와 관련된 터치 정보는 제어부(410)에 전달되고, 제어부(410)는 이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특정 동작이 실행되도록 전자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200)의 표시영역이 전자기기(100)의 전면부에 구성되고, 이에 따라 터치센싱장치(300)의 터치영역(TR)이 전자기기(100)의 전면부에 구성된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의 표시영역(DR)이 전자기기(100)의 측면부(SP)에도 구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터치센싱장치의 터치영역(TR)이 전자기기(100)의 측면부(SP)에 구성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의 측면부(SP)에 구성된 표시영역 즉 측면 표시영역(DR2)은 전면부에 구성된 전면 표시영역(DR1)과 독립적으로 표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메세지, 배터리 용량 등을 표시하거나, 전원이나 볼륨 등의 물리적 버튼을 대신하여 가상 버튼이 구성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 표시영역(DR2)은, 전자기기(100)의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측면 표시영역(DR2)은 전면 표시영역(DR1)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다른 예로서 측면 표시영역(DR2)은 전면 표시영역(DR1)과 구분되어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100)의 측면부(SP)는 기기 그립시 사용자의 손이 직접적으로 터치되는 부분에 해당되므로, 측면 표시영역(DR2)에 대해서는 전면 표시영역(DR1)에 비해 보다 더 정확한 터치 인식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러한바, 측면 표시영역(DR2)에 대응되는 터치영역(TR)을 외곽 영역(TR2)으로 구성함으로써, 측면 표시영역(DR2)에서의 터치 오인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기 사용 양태를 기초로 터치 시간과 터치 이동거리를 터치 판단 조건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곽 영역에서의 터치가 실제 터치 즉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인지, 아니면 특정 동작 실행과 무관한 비의도적 터치인지 여부를 손쉽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기 그립과 같이 외곽 영역에서의 비의도적 터치를 실제 터치로 오인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00: 터치 타입 전자기기 200: 표시장치
300: 터치센싱장치 400: 구동회로부
410: 제어부 420: 터치판단부

Claims (10)

  1. 터치 타입 전자기기에 있어서,
    표시영역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센싱장치와;
    상기 터치영역 중 외곽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인지 상기 특정 동작 실행과 무관한 비의도적 터치인지 판단하는 터치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판단부는,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터치 시간과 터치 이동거리를 조건 인자로 하여 상기 의도적 터치인지 비의도적 터치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터치 시간이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터치 이동거리가 설정된 임계 이동거리 미만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터치가 상기 비의도적인 터치로 판단되고,
    상기 터치판단부는,
    상기 터치센싱장치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터치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터치 센싱을 실행하고,
    이전 프레임의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터치발생에 대응되는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ff인 경우,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초기 터치 시 현재 프레임의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을 on으로 설정하고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상기 초기 터치에 대응되는 터치 정보를 취소한 후 상기 터치 센싱을 재차 실행하고,
    이전 프레임의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n인 경우, 상기 터치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고 동시에 상기 터치 이동거리가 상기 임계 이동거리 미만이면 상기 초기 터치를 상기 비의도적 터치로 판단하여 상기 터치 센싱을 재차 실행하고,
    이전 프레임의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n인 경우, 상기 터치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 이하이거나 상기 터치 이동거리가 상기 임계 이동거리 이상이면 상기 초기 터치를 상기 의도적 터치로 판단하여 상기 터치 정보를 복원하여 발생시키고, 현재 프레임의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을 off로 설정하고,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터치 타입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구성된 전면 표시영역과, 상기 터치 타입 전자기기의 측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 표시영역과 독립적으로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표시영역은 상기 의도적 터치인지 상기 비의도적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상기 외곽영역에 포함되는
    터치 타입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판단부는,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의도적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터치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터치 정보를 전달받아 대응되는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터치 타입 전자기기.
  3. 삭제
  4. 삭제
  5. 터치 타입 전자기기 구동방법에 있어서,
    터치판단부에서, 터치 센싱을 실행하여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센싱장치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터치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터치판단부에서, 상기 터치영역 중 외곽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에 대해,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터치 시간과 터치 이동거리를 조건 인자로 하여,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의도적 터치인지 상기 특정 동작 실행과 무관한 비의도적 터치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시간이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터치 이동거리가 설정된 임계 이동거리 미만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터치가 상기 비의도적인 터치로 판단되고,
    상기 터치판단부에서,
    이전 프레임의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터치발생에 대응되는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ff인 경우,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초기 터치시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을 on으로 설정하고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상기 초기 터치에 대응되는 터치 정보를 취소한 후 상기 터치 센싱을 재차 실행하고,
    이전 프레임의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n인 경우, 상기 터치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고 동시에 상기 터치 이동거리가 상기 임계 이동거리 미만이면 상기 초기 터치를 상기 비의도적 터치로 판단하여 상기 터치 센싱을 재차 실행하고,
    이전 프레임의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이 on인 경우, 상기 터치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 이하이거나 상기 터치 이동거리가 상기 임계 이동거리 이상이면 상기 초기 터치를 상기 의도적 터치로 판단하여 상기 터치 정보를 복원하여 발생시키고, 현재 프레임의 상기 외곽 터치 플래그 값을 off로 설정하고,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터치 타입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구성된 전면 표시영역과, 상기 터치 타입 전자기기의 측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 표시영역과 독립적으로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표시영역은 상기 의도적 터치인지 상기 비의도적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상기 외곽영역에 포함되는
    터치 타입 전자기기 구동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판단부는, 상기 외곽영역에 대한 의도적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터치 정보를 발생시키고,
    제어부에서 상기 발생된 터치 정보를 전달받아 대응되는 특정 동작을 실행하는
    터치 타입 전자기기 구동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148704A 2013-12-02 2013-12-02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KR102334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704A KR102334238B1 (ko) 2013-12-02 2013-12-02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704A KR102334238B1 (ko) 2013-12-02 2013-12-02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838A KR20150063838A (ko) 2015-06-10
KR102334238B1 true KR102334238B1 (ko) 2021-12-01

Family

ID=5350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704A KR102334238B1 (ko) 2013-12-02 2013-12-02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2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4679A1 (en) * 2008-01-04 2009-07-09 Wayne Carl Westerma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2088B2 (en) * 2011-03-31 2015-09-01 Nissha Printing Co., Ltd. Capacitance type touch screen
KR101403025B1 (ko) * 2012-02-29 2014-06-11 주식회사 팬택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KR20130099745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팬택 터치 단말기의 입력 신호 구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4679A1 (en) * 2008-01-04 2009-07-09 Wayne Carl Westerma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838A (ko)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109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nging display brightness based on acceleration and distance
US9916046B2 (en) Controlling movement of displayed objects based on user operation
KR101978687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145568B1 (ko) 동작 명령 안내 기능을 가지는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8991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locked state and unlocked state
US201102673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pad of electronic device
US11003328B2 (en)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JP614450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20130305181A1 (en) Input device
CN110874117B (zh) 手持装置的操作方法、手持装置以及计算机可读取记录介质
US9355805B2 (en) Input device
US20140292697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ouble-sided touch screens,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5733634B2 (ja) 電源管理装置、電源管理方法、及び電源管理プログラム
US2013032132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5904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CN102768597A (zh) 一种操作电子设备的方法及装置
EP2818984B1 (en) Touch pane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KR2011004111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34238B1 (ko)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JP2015069540A (ja) 情報機器端末および情報機器端末のデータ保存方法
JP6149555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JP6095527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6367110B2 (ja) 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5805473B2 (ja) 操作装置
KR101777565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