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471A - 차량 접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기 - Google Patents

차량 접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471A
KR20150000471A KR20147021795A KR20147021795A KR20150000471A KR 20150000471 A KR20150000471 A KR 20150000471A KR 20147021795 A KR20147021795 A KR 20147021795A KR 20147021795 A KR20147021795 A KR 20147021795A KR 20150000471 A KR20150000471 A KR 20150000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latch
power supply
r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챨스 브루스 반터
제프리 스토크스
마커스 메리데스
로버트 빙글
Original Assignee
아닥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마커스 메리데스
제프리 스토크스
로버트 빙글
챨스 브루스 반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닥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마커스 메리데스, 제프리 스토크스, 로버트 빙글, 챨스 브루스 반터 filed Critical 아닥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0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6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powe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3Power supply in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G07C9/006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switch-buttons
    • G07C9/00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switch-buttons actuated in a predetermined sequ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07C2009/00642Power supply for the lock by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주 배터리가 차량의 파워 도어 로크/랫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을 때 차량에 접근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배치되고 차량의 파워 랫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을 받으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승차 인증 장치; 및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파워 랫치 및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에 작동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는 랫치 제어기를 포함한다. 랫치 제어기는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여,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파워 랫치를 잠금해제 상태에 둘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접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기{VEHICLE ACCESS SYSTEM AND CONTROLLER THEREFOR}
본 출원은 2012년 1월 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 61/583, 343 호와 관계 있고 그로부터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가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 전체는 본원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파워 랫치(power latch)를 갖는 도어를 갖는 차량을 위한 접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 배터리가 충분히 소진되어 차량의 다른 전기 작동 시스템이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는 통상적으로 도어의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사이에 수용되는 도어 랫치 기구를 포함한다. 이 랫치 기구는 도어를 닫을 때는 도어 프레임에 제공되어 있는 요소들과 협력하여 도어를 랫칭시키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릴리즈 핸들과 협력하여 도어를 랫칭해제시켜 도어가 손으로 열릴 수 있게 된다.
역사적으로, 차량 랫치 기구는 전적으로 기계식이었는데, 각 도어의 릴리즈 핸들이 그 랫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 특히 자동차의 기계식 시스템은 점차적으로 전기기계식 시스템으로 대체되거나 이 전기기계식 시스템이 부가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차적으로 차량에는 전자식 랫치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 전자식 랫치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의 릴리즈 핸들을 조작하면, 몸체 제어 모듈에 의해 전기기계식 랫치 기구가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릴리즈 핸들과 도어 랫치 기구 사이에 있는 순수히 기계식인 링크가 없어지게 된다.
현재의 차량 승차 시스템은 차량의 주 배터리의 고장으로 인해 파워 로크/랫치가 고장난 차량에 대한 안전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키이 조작식 기계적 백업 시스템을 이용한다. 전자 로크/랫치 및 기계적 백업 둘다를 사용하는 그러한 종래의 파워 로크/랫치 시스템의 일 예가 도 1 에 나타나 있다. 주 전자 로크/랫치 시스템의 경우, 차량의 주 배터리(1)가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승차 제어 모듈(2)(몸체 제어 모듈 또는 차량 승차를 책임지는 다른 제어기와 같은) 및 원격 송신기(5)(일반적으로 차량의 키이 포브(fob)에 포함되며 그래서 보통 "키이 포브 리모트"라고 함) 챌린지 신호를 보내기 위한 안테나(3)(일반적으로 외부 릴리즈 핸들(4)에 위치됨)에 전력을 공급한다. 종래에 따르면, 안테나(3)가 챌린지 신호(6)를 키이 포브 리모트(50)에 보낸 후에, 승차 제어 모듈(2)은 키이 포브 리모트(5)로부터 인증 신호(7)를 받게 된다. 그 신호(7)가 승차 제어 모듈(2)에 의해 인증되면, 그 승차 제어 모듈은 이전에 잠금되어 있던 차량을 "잠금 해제" 상태로 두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다음에 릴리즈 핸들(4)이 작동되면 차량의 도어의 랫칭 해제가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에 릴리즈 핸들(4)이 작동되면, (점선(8)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차 제어 모듈(2)이 (점선(8)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기계 모터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 모터는 기계식 도어 랫치(10)를 해제시킨다. 대안적으로, 다른 종래의 설계에 따르면, 신호(7)가 인증되면, 승차 제어 모듈(2)은 도어 랫치 액츄에이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이 액츄에이터는 릴리즈 핸들(4)과 도어 랫치(10)를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차량의 잠금 해제 상태를 규정하게 된다.
주 배터리(1)가 고장난 경우, 잠금해제/랫칭 해제 기구(11)를 포함하는 기계식 보조 시스템(예컨대, 설명한 바와 같은 키이 로크 실린더)이 (실선(12)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랫치(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차량 탑승을 허용해 준다. 이들 기계식 백업 장치가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차량이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점점더 얇아지고 또한 더 많은 부품들이 내장되며 그래서 설계 제약이 증가하게 되는 도어에서 공간과 깊이가 요구된다. 예컨대, 종래의 기계식 로크는 45 mm의 최소 깊이를 필요로 하는데, 이런 깊이는 창문 유리와 트랙 기구를 갖는 일반적인 도어에서는 확보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들 기계식 백업 장치들이 차량의 다른 곳에 배치되는 경우, 그러한 배치는 차량 작동자에게 불편한 경향이 있어, 주 배터리의 고장시 차량을 여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재된 전원, 이 주 배터리에 의해 전력 공급을 받는 파워 랫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및 이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열기 위한 사용자 조작가능한 릴리즈 핸들을 갖는 종류의 차량을 위한 접근 시스템 및 이러한 접근 시스템의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제어기가 개시되는 바, 상기 접근 시스템은 차량의 주 배터리가 상기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을 때 차량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준다. 상기 접근 시스템은 적어도,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배치되고 상기 파워 랫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b) 차량에 제공되고,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을 받으며, 상기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 및
(c) 상기 차량에 위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랫치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랫치 제어기는 상기 파워 랫치 및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에 작동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으며, 상기 랫치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게 된다.
상기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랫치 제어기는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게 되며, 상기 잠금해제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에 작동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로부터 작동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승차 인증 장치는 키이 패드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은 상기 키이 패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키이에 대응하는 숫자 및/또는 문자의 열이고,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의 인증은 미리 정해진 패스코드에 따라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키이 패드는 상기 릴리즈 핸들 또는 차량 도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상기 랫치 제어기 및 전력 공급부는 차량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단일체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또한 차량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탑재된 전원을 통한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관리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이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배치되고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랫치 제어기, 전력 관리 제어기 및 전력 공급부 모두는 차량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단일체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가 재충전가능한 경우에, 본 발명은, 차량에 위치되며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전력 관리 제어기를 통해 재충전형 배터리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외부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전력 전달 수단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외부 전력 공급부는 유도를 통해 상기 전력 전달 수단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접근 시스템이 포함되는 차량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탑재된 전원은 차량의 주 배터리와는 별개인 12 볼트 DC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별개의 12 볼트 DC 전원을 통한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제어한다. 그러한 12 볼트 DC 전원은 에컨대 차량의 점화 시스템을 위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이 랫치 폴폴(latch pawl) 및 랫치 폴 스위치를 갖는 파워 랫치를 포함하는 종류이면,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랫치 폴 스위치에 작동 연결되는 랫치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랫치 폴 스위치는 상기 랫치 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랫치 제어기에 전달한다.
차량이 도어 아자르(ajar) 스위치를 포함하는 종류이면,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도어 아자르 스위치에 작동 연결되는 랫치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아자르 스위치는 차량 도어가 열려 있는지 또는 닫혀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랫치 제어기에 전달한다.
차량이 차량의 주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승차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종류이면, 상기 접근 시스템은, 랫치 제어기를 통해 상기 파워 랫치 및 승차 인증 장치에 작동 연결되는 승차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차 제어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으며, 승차 제어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며 또한 랫치 제어기를 통해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며,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승차 제어 모듈에 작동 연결되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승차 제어 모듈을 통해,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는데 충분한 전력을 차량의 주 배터리가 언제 공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차량의 주 배터리가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는데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가 판단하면,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상기 승차 제어 모듈만이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게 되고 또한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게 된다.
본 개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시스템의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장치도 포함하는데, 이 장치는,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위치되고 상기 파워 랫치와 승차 인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그들에 작동 연결될 수 있는 전력 공급부; 및 (b) 상기 차량에 위치가능하고 상기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랫치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랫치 제어기는 파워 로크 및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에 작동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으며, 상기 랫치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게 된다. 상기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랫치 제어기는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게 되며, 상기 잠금해제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에 작동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로부터 작동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특징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접근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접근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로, 이 장치는 도시를 위해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나타나 있다.
도 3b 는 도 3a 의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c 는 도 3a 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d 는 도 3a 의 장치의 내부에 들어 있는 여러 구성품의 사시도이다.
도 3e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사시도로, 이 장치는 도시를 위해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나타나 있다.
도 4 는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접근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 및 7 은 도 5 와 관련하여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외부 전원 연결 위치 및 직접적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8 및 9 는 도 5 와 관련하여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의 파워 로크 시스템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자동차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력 공급부와 조합된 예시적인 접근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 은 도 5 와 관련하여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예시적인 여러 차량 위치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반드시 축척에 맞게 그려져 있는 것은 아님)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재된 전원, 이 주 배터리에 의해 전력 공급을 받는 파워 랫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및 이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열기 위한 사용자 조작가능한 릴리즈 핸들을 갖는 종류의 차량을 위한 접근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접근 시스템은 차량의 주 배터리가 상기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을 때 차량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며, 상기 접근 시스템은,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배치되고 상기 파워 랫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b)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을 받기 위해 차량에 제공되며, 상기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 및
(c) 상기 차량에 위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랫치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랫치 제어기는 상기 파워 랫치 및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에 작동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으며, 상기 랫치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게 된다. 상기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랫치 제어기는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게 되며, 상기 잠금해제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에 작동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로부터 작동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또한 차량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탑재된 전원을 통한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관리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이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배치되고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이 개시의 이점으로서,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가능한 것이 아니라 소진시 교체가능한 일회 충전형 전력 공급부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파워 랫치"는, 전기적으로, 기계적으로 그리고/또는 전기기계적으로 도어의 릴리즈 핸들의 "하류"에 있고 또한 릴리즈 핸들의 사용자 조작과 함께 도어를 열게 되는, 차량의 동력식 도어 랫치 시스템의 필수적인 구성품을 말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파워 랫치"는 예컨대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차량의 도어 랫치 및 도어 랫치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도어 랫치 액츄에이터는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릴리즈 핸들과 도어 랫치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또 다른 "파워 랫치"는 예컨대, 사용자가 릴리즈 핸들을 조작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기계식 도어 랫치를 랫칭해제하는 전기기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관련하여, 릴리즈 핸들은 예컨대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사용자가 릴리즈 핸들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건드리고 있는 때를 검출하는 용량성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의 "파워 랫치"는, 사용자가 릴리즈 핸들을 건드려 그 핸들을 조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기계식 도어 랫치를 랫칭해제하는 전기기계 모터를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사용자 조작"은, 차량의 "파워 랫치"를 통해 릴리즈 핸들이 잠금해제된 차량 도어의 열림을 일어나게 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측의 그러한 행위(들)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핸들을 움직이는(예컨대, 회전시키거나 잡아 당기는) 것을 엄격하게 생각하거나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은 릴리즈 핸들이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전기기계적으로 차량의 '파워 랫치"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상관 없이 어떤 종류의 릴리즈 핸들과도 조합되어 작동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용어 "잠금된" 및 "잠금해제된"은, 릴리즈 핸들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차량 도어의 열림을 허용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품들이 도어의 릴리즈 핸들과 결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는 차량 파워 랫치의 상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 차량의 도어는 열릴 수 있고, 잠금된 상태에 있는 차량의 도어는 열릴 수 없다.
요컨대,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은, 차량의 다른 전기 작동식 시스템이 작동을 못할 정도로 차량의 주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를 포함하여, 차량 도어들 중의 하나 이상이 잠금해제되어 열릴 수 있게(또한 그 반대로 폐쇄되어 잠금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2 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차량 도어 또는 선택적으로는 여기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릴리즈 핸들(110)에 배치되는 전력 공급부(100)의 제공으로 이루어지며, 이 전력 공급부(100)는 전력 관리 제어기(120) 및 랫치 제어기(140)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한 직접 또는 전력 관리 제어기(120)를 통해, 차량 파워 랫치(130)(도 2 에 일 예시적인 차량 랫치로서 간단하게 나타나 있음) 및 미리 정해진 접근 코드의 형태로 된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차량을 잠금해제/잠금시키기 위해 릴리즈 핸들(110)에 제공되어 있는 키이 패드(150)의 형태로 되어 있는 승차 인증 장치에도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차량이 잠금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잠금 상태 표시기(160)(도어에 위치되는 LED 라이트와 같은)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전력 관리 제어기와 잠금 상태 표시기 사이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이 잠금 상태인지 잠금해제 상태인지에 따라 시각적 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랫치 제어기(140)가 도어 아자르(ajar) 스위치(165)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점선(161)으로 나타나 있는 통신선을 통해).
선택적으로, 차량이 도어 아자르 스위치(165)를 포함하는 종류이면, 랫치 제어기(140)는 도어 아자르 스위치(165)에 작동 연결될 수 있고(점선(166)으로 나타나 있는 통신선을 통해). 그 도어 아자르 스위치는 차량 도어가 열려 있는지 닫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랫치 제어기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한 도어 아자르 스위치가 전력을 필요로 하면, 그 전력은 전력 공급부(1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전력 관리 제어기와 도어 아자르 스위치 사이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차량이 랫치(130)가 랫치 폴을 포함하고 랫치 폴 스위치(170)가 제공되어 있는 종류이면, 랫치 제어기(140)는 랫치 폴 스위치(170)에 작동 연결될수 있고(점선(171)으로 나타나 있는 통신선을 통해), 랫치 폴 스위치는 랫치 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랫치 제어기(14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한 폴 스위치가 전력을 필요로 하면, 그 전력은 전력 공급부(1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전력 관리 제어기와 랫치 폴 스위치 사이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접근 시스템의 이들 및 다른 구성 요소들을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력 공급부 및 전력 관리 제어기
계속 도 2 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부(100)는 종래의 제품을 포함하여 어떤 적절한 전력 공급부라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전력 공급부(100)는 비제한적인 예로 하나 이상의 재충전식 배터리(예컨대, 리튬 이온 배터리, 니켈-금속 수소화물 배터리 등)와 같은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이다. 하지만 전력 공급부(100)는 여기서 설명하는 목적에 적합하다면 어떤 종래의 재충전식 배터리(들)라도 될 수 있다고 할 때, 선택된 배터리(들)는 바람직하게는(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재충전이 필요하기 전에 본 발명의 차량 접근 시스템을 복수 회 작동시킬 수 있을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전력 공급부(100)는 통상적으로 자동차 및 다른 차량에서 사용되는 12 V 보다 높은 전압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그래서 선택적으로 파워 랫치(130)의 더욱 효율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전력 공급부(100)는 비용 및 전원의 크기를 줄이고 중량 등을 절감하기 위해 12 V 보다 낮은 전압에서 작동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당업자라면 전력 공급부(100)에 필요한 최소 전압은 차량의 파워 랫치(예컨대, 비제한적으로 그의 건기기계 모터 부품과 같은)를 작동시키기 위해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시스템의 전력 요건에 의해 결정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를 여기서 예시하였지만, 전력 공급부(100)는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통상적인 일회 충전 배터리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그러한 실시 형태에서, 필요한 경우 전력 공급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부(100)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전력 공급부(100)는 비배타적으로 또한 차량의 주 배터리와는 독립적으로, 파워 랫치(130), 랫치 제어기(140), 전력 관리 제어기(120), 승차 인증 장치(예컨대, 키이 패드(150)) 및 선택적으로는 잠금 상태 표시기(160), 도어 아자르 스위치(165) 및/또는 폴 스위치(170) 각각에 작동 전력을 제공한다. 종래에 따르면, 적어도 전력 공급부(100), 파워 랫치(130), 랫치 제어기(140) 및 전력 관리 제어기(120)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도어(D) 및/또는 릴리즈 핸들(110)에 위치된다.
전력 관리 제어기(120)는 전력 공급부(100)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전력 공급부(100)가 재충전가능한 경우에는, 재충전이 필요한 때(즉, 전력 공급부(100)의 충전 상태가 접근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문턱값 아래로 떨어지는 때)를 결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부(100)의 전력은 전력 관리 제어기(120)를 통해 접근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게 전달된다. 물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력 공급부(100)는 대안적으로 그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다양한 접근 시스템 구성 요소들에게 더욱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부(100)를 재충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도 2 에서 "내부 전원"(190)으로 예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이 없는 차량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전원(들)이 전력 관리 제어기(120)를 통해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전력 관리 제어기와 전원 사이의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전원(190)이 차량의 주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면, 이는 더 바람직하게는 비제한적인 예로 차량의 점화 시스템 전원(통상적으로 12 V DC 전원)과 같은 보조 전원이다. 이렇게 해서,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접근 시스템은 차량의 주 배터리를 소진시키지 않을 것이다.
전력 공급부(100)의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실시 형태(도 2)에서 전력 관리 제어기(120)가 작동하여 내부 전원(190)으로부터 전력을 끌어 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전력 관리 제어기(120)는 예컨대 차량 작동 중과 같은 최적의 시기에만 내부 전원(190)으로부터 전력을 끌어 오도록 프로그램된다. 이를 위해, 전력 관리 제어기(120)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이 이미 있는 적절한 제어기 또는 다른 컴퓨터(즉, 본 발명이 없는 차량의 일 부분을 포함함)를 통해 차량과 통신하여 전력 공급부(100)를 재충전하기 위한 최적의 시기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전력 관리 제어기(120)는 차량의 승차 제어 모듈(180)(점선(121)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에 작동 연결되어, 차량의 접근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승차 제어 모듈이 언제 충분히 전력 공급을 받는지를 결정하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의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이 경우,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승차 제어 모듈(180)의 작동을 연기시키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음).
선택적으로, 전력 관리 제어기(120)는,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의 작동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수단으로서, 예컨대 차량의 점화 피드에의 연결부를 통해 승차 제어 모듈(180)과는 독립적으로 차량의 내부 전원(190)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랫치 제어기
전력 공급부(100)에 의해 전력 공급을 받는(전력 관리 제어기(12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랫치 제어기(140)는 차량에 위치되고, 파워 랫치(130) 및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예컨대, 키이 패드(150))에 작동 연결된다. 랫치 제어기(140)는 하나 이상의 입력(예컨대, 키이 패드를 통한 미리 정해진 패스코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승차 인증 장치(150)로부터 정보를 받으며(점선(151)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게 된다. 승차 인증 장치(150)로부터 받은 정보가 인증되면, 랫치 제어기(140)는 파워 랫치(130)를 작동시켜(통신선(141)을 통해) 그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 중의 하나에 두게 된다(따라서,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하면,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음).
그러므로 사실, 사용자가 문을 열 수 있도록 차량의 주 배터리가 차량의 접근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면, 랫치 제어기(140)가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고 또한 그러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파워 랫치(130)를 잠금해제 상태 또는 잠금 상태에 두게 된다(도어의 초기 상태에 따라). 그러한 경우, 랫치 제어기(140)는 차량의 승차 제어 모듈(예컨대, 몸체 제어 모듈)로서 기능하게 된다(비록 차량 도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잠궈지거나 잠금해제되고 그리고 열리거나 닫히게 하는 것을 제한된 정도로 하더라도). 따라서, 차량의 승차 제어 모듈 처럼 랫치 제어기(140)는 차량의 주 배터리가 고장났거나 소진되어 승차 제어 모듈(180)이 불충분한 전력을 공급받을 때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패스코드에 대응하는 키이 패드 입력을 확인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랫치 제어기(140)에 전달되고 그로부터 주어지는 정보는 파워 랫치(130)가 허가되지 않은 사람에 의해 무효로 되지 않도록 어떤 통상적인 방식으로 보안 유지된다(예컨대, 암호화되어 있음).
후술하는 바를 포함하여,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랫치 제어기(140)는 전력 관리 제어기(120) 및 전력 공급부(100)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고, 이는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인쇄 회로 기판(PCB)에 통합된다. 대안적으로, 다른 곳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랫치 제어기(140)는 전력 관리 제어기(120) 및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100)와는 별개의 것일 수 있다.
계속 도 2 를 참조하면, 랫치 제어기(140)는, 승차 인증 장치(예컨대, 키이 패드(150))의 작동으로 확립되는 차량의 잠금 상태(즉, 잠금된 또는 잠금해제된)에 관한 정보 및 선택적으로 예컨대 잠금 상태 표시기(160), 도어 아자르 센서(165) 및/또는 랫치 폴 위치 센서(170)로부터 주어지는 신호 입력(점선(161, 166, 171)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전달하기 위해 차량의 승차 제어 모듈(180)(점선(142)으로 표시되어 있음)에 작동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차 제어 모듈(180)이 충분히 전력 공급을 받아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은 차량 도어들 중 하나 이상의 잠금/잠금해제 및 열림/닫힘 조건에 관한 필요한 차량 상태 정보를 승차 제어 모듈(18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함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이 없을 때 승차 제어 모듈(180)은 통상적인 차량에서 그러한 입력을 받게 될 것이므로, 차량의 주 배터리가 충분히 전력 공급을 받아 차량의 접근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을 용이하게 할 때 본질적으로 차량의 정상적인 작동에 분명하도록 접근 시스템은 차량의 기존 전자 장비에 통합됨을 본 개시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a ∼ 3e 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력 공급부(100), 전력 관리 제어기(120) 및 랫치 제어기(140) 각각은 차량의 도어(D) 내부에(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트림이 가해지기 전의 내부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하우징(200)은 기부(201), 덮개부(202) 및 정면부(203)를 포함한다. 도 3c 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시일링 가스켓(205)이 적어도 정면부(203)와 하우징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210)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이들 와이어는 전력 공급부(100), 전력 관리 제어기(120) 및 랫치 제어기(140)와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차량 부품 사이의 전력 공급 및 신호 전달 중의 하나 이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기 통신을 제공한다. 선텍적으로, 이들 와이어(210)는, 차량에 제공되어 있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차량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대응 커넥터에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이팅 커넥터(미도시)에서 끝난다.
전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의도적으로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과 통합되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은 기존의 자동차에 접근 시스템이 결합되는 경우 차량의 기존 전기 시스템에 대한 최소한의 수정을 생각하고 있다.
전력 공급부(100), 전력 관리 제어기(120) 및 랫치 제어기(140)는 이들이 결합될 차량과 관련된 설계 제약에 응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필요한 경우에 분리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하우징(200)에 포함되는 단일 모듈로 각각의 구성품을 제공하면 접근 시스템이 OEM 차량에 결합될 때 암시되는 되는 것과 같은 대량 생산 환경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설치가 간단하게 됨을 이해할 것이다.
다음 도 4 를 참조하면, 여기 다른 곳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력 공급부(100), 전력 관리 제어기(120) 및 랫치 제어기(140)를 내장하는 하우징(200')의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대안적인 실시 형태(나타나 있는 바를 제외하고는 위에서 처음 설명한 실시 형태처럼 작동함)에 따르면, 하우징(200')은 차량이 도어에서 다른 곳에 배치되지 않고 차량의 릴리즈 핸들 어셈블리(미도시)와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차량의 릴리즈 핸들과 서로 연결되는 시일링된 커넥터(230') 및 나타나 있는 핀형 커넥터와 같은 시일링된 도어 하니스 커넥터(231')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하우징(200') 내부에 들어 있는 다양한 구성품들은, 여기 다른 곳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접근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다른 구성품에 전기적으로(전력 및 신호 연통) 결합된다. 전력 공급부(100), 전력 관리 제어기(120) 및 랫치 제어기(140)가 이렇게 배치됨으로써, 접근 시스템의 이들 구성품과 그에 연결되는 다양한 요소들 간의 더 짧은 전력 연결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 5 ∼ 10 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부(100)는 외부 전원(점선으로 나타나 있음)에 의해 전력 관리 제어기(120)를 통해 선택적으로 재충전될 수 있다. 외부 전원(300)은 일반적으로, 전력 관리 제어기(120)를 통해 전력 공급부(100)를 재충전하기에 충분한 전력 전달 수단(305)에 연결될 수 있는(점선(301)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원을 포함한다. 외부 전원(300)은 예컨대 저 전원(예컨대, 12V, 9V 또는 5V DC)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전원은 비제한적인 예로, 다른 차량의 12V 전원(예컨대, 담배 라이터와 같은), 휴대 전화기,랩탑 컴퓨터 또는 통상적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원(300)이 통상적인 제품의 외부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전력 전달 수단(305)은 외부 장치에 적합한 상호 접속부(공지되어 있는 플러그/소켓 조합, 적절한 접촉자(예컨대, 외부 전원은 단순하게 통상적인 배터리임) 등과 같은)를 포함할 것이다. 다른 한편, 외부 전원(300)이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되도록 특별히 설계된 장치이면, 전력 전달 수단(305)은 전력 전달 수단(305)에 있는 대응적으로 고유하게 형성된 소켓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플러그를 포함할 것이다.
전력 전달 수단(305)은 가장 본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는데, 이는 차량에 있는 외부 위치로부터 사용자에게 접근가능하며, 이를 통해 외부 전력 공급부(300)로부터 전력이 전력 관리 제어기(120)에 전달되어 전력 공급부(100)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한다.
전력 전달 수단(305)의 외부 접근가능 부분은 USB 포트, "담배 라이터 플러그"형 소켓, 특별하게 구성된 소켓 등과 같은 물리적인 소켓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외부 전력 공급부(300)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력 전달 수단(300)은 외부 전원(300)으로부터 전력을 전력 관리 제어기(120)를 통해 무선으로 전달하는 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전기역학적 유도와 같은 유도식 전력 전달을 행하는 여러 다른 수단을 포함하여,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여러 다른 통상적인 수단이 있다. 전기역학적 유도에서, 일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되고, 이 자기장은 원거리의 이차 코일에 무선으로 작용하여 상호 유도로 알려져 있는 과정을 통해 전류가 유도하게 된다. 전술한 바에 따라, 전기역학적 유도이든 다른 유도식 전력 전달이든, 외부 전원(300)은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품을 구성하게 되고, 전력 전달 수단(305)은 전류가 유도되는 부품을 구성하게 될 것이며, 그 전류는 전력 공급부(10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외부 전원은 차량의 키이 포브 리모트(375, 375')와 조합될 수 있고, 전력 전달 수단과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도 8 참조) 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도 9 참조).
예컨대 도 8 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격 접근 장치(예컨대, 키이 포브 리모트)(375')는, 키이 포브에 배치되고 키이 포브의 수형부(376')에 제공되어 있는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배터리 형태의 외부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수형부(376')는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호 덮개(306') 아래에 있는 릴리즈 핸들(110')의 기부에 배치되는 전력 전달 수단(305')의 암형 소켓부(307')의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상호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격 접근 장치(예컨대, 키이 포브 리모트)(375")는, 자기장을 통해 전력 전달 수단(305")(예컨대, 도어 핸들(110")에 배치됨)의 이차 코일에서 전류의 발생을 유도하기 위한 배터리 전력 공급식 일차 코일의 형태로 되어 있는 외부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 전달 수단(305")을 통한 전력 공급부로의 전력 전달은,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단순히 원격 접근 장치(375")를 전력 전달 수단(305")에 가까이 유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도 10 을 참조하면, 외부 접근가능한 전력 전달 수단(305)의 배치를 위한 가능한 위치들이 나타나 있는 대표적인 차량(V)이 도시되어 있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가능한 위치는 차량 지붕(305a), 차량 안테나 덮개(305b), 차량 몸체 쉘(305c), 리프 스크린(305d), 후드(305e) 펜더(305f), 벤트(305g), 몸체 트림 요소(305h), 휠 웰(305i), 범퍼(305j) 및/또는 그릴(305k)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전력 전달 수단(305)을 위한 가능한 위치는 상기 나타나 있는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떤 주어진 차량도 나타나 있는 위치 및 다른 위치에 있는 하나이상의 전력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달 수단을 위한 또 다른 예시적인 위치는 사이드 미러 또는 도 6 ∼ 9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 핸들 또는 그에 가까운 곳을 포함한다.
도 6, 7 및 8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전달 수단을 위한 각각의 소켓에는, 전력 전달 수단(305)의 소켓부에 부스러기, 얼음 또는 다른 장애물이 없게 하기 위해 또한 사용 중이 아닐 때는 심미적으로 더욱 보기 좋은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한 플러그 또는 선회가능한 덮개(306, 306')가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플러그, 덮개 등이 도 10 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를 포함하여 차량 주위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소켓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외부 전력 공급부(300)가 종래 제품의 외부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외부 전력 공급부는 외부 장치에 적합한 상호 접속부를 통해 전력 전달 수단(305)에 연결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도 6 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전력 공급부는 담배 라이터(미도시)와 같은 차량의 12 V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력 공급부는 충전 차량에 있는 12 V 전력 공급 포트와 호환가능한 통상적인 구성의 플러그(351)를 일 단부에서 갖는 케이블(350)을 통해 전력 전달 수단(전체적으로 "305"로 표시되어 있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 케이블(350)의 다른 단부는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전달 수단(305)에 수용되는 유사한 플러그(352)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케이블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적절한 상호 접속 장치는 USB 케이블, 미니-USB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히려, 전력 전달 수단을 외부 전력 공급부(300)에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 또는 다른 장치는 예컨대 도 7 의 실시 형태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알려져 있는 어떤 플러그/소켓 조합이라도 될 수 있으며, 케이블(350)은 전력 전달 수단(305)에 수용되는 통상적인 구성의 12 V 플러그(352)를 일 단부에서 포함하고, 또한 충전 차량의 담배 라이터가 아닌 외부 전원과 상호 접속되는 다른 구성의 플러그(351')를 반대쪽 단부에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부 전력 공급부(300)가 단순히 통상적인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전력 전달 수단과의 상호 접속은 배터리의 접촉자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적절한 접촉자를 전력 전달 수단에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승차 인증 장치
대표도인 도 2 를 다시 참조하면, 승차 인증 장치(예컨대, 키이 패드(150))는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인증하기 위해 차량에 배치되며, 그 장치는 전력 공급부(10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키이 패드와 전력 관리 제어기(120)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랫치 제어기(140)에 의해 국부적으로 인증되는 인증 정보를 랫치 제어기(140)에 제공하기 위해 이 랫치 제어기(140)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점선(151)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키이 패드(150)는 차량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권한을 확립하기 위한 소정의 접근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접근가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통상적인 구성으로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키이 패드는 적어도 운전자의 도어 상에 또는 그 근처에 또는 운전자의 도어 근처에 있는 B-필라 상에 배치된다. 특히 접근 시스템이 차량의 핸들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는 경우, 키이 패드는 선택적으로 랫치 제어기, 전력 관리 제어기 및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동일 유닛의 일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여기서 예시된 바와 같이, 키이 패드는 접근 시스템의 별도의 구성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과 일체화되는 차량의 일 구성품일 수 있다.
키이 패드(150) 또는 다른 승차 인증 수단의 인증 정보가 인증되면, 랫치 제어기(140)는 파워 랫치(130)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어, 차량 도어가 잠궈지거나 또는 그 후에 릴리즈 핸들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열릴 수 있다.
예시적인 작동
본 발명의 작동시, 전력 관리 제어기(120)는 전력 공급부(100)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충전 상태가 소정의 문턱값 아래로 떨어지면, 차량의 내부 전원(190)(예컨대, 차량 점화 스위치 또는 차량의 주 배터리)을 통한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100)의 재충전이 전력 관리 제어기(12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전력 공급부(100)는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접근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항상 충분한 충전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전력 공급부(100)로부터 전력을 끌어오는 본 발명 시스템의 전력 관리 제어기(120), 랫치 제어기(140) 및 다른 구성 요소는 긴 비활성 기간 동안에는 "대기" 또는 저 전력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전력 공급부(100)의 충전은 재충전이 필요하기 전까지 긴 시간 동안 보존될 수 있다. 그러나, 재충전형 전원(100)이 소진되고(적어도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을 정도로) 또한 차량의 내부 전원(190)이 전력 공급부(100)를 재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없는 경우(예컨대, 차량의 내부 전원(190)이 "다 된(dead)" 경우), 접근 시스템은, 전력 공급부(100)가 외부 전원(300)을 통해 재충전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력 전달 수단(305) 및/또는 랫치에 연결되고 순수하게 기계적인 이중 안전 장치로 작동하는 키이 잠금 실린더 또는 다른 순수한 기계적 수단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이 전기기계식 승차 수단으로서 차량에의 접근을 제공하는 단지 키이 패드만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키이 패드를 조작하여 차량을 "잠금해제" 상태에 두고 이어서 릴리즈 핸들을 조작하여 랫치 제어기를 통해 랫치를 작동시키면,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는 한 차량에 승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의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전력 관리 제어기를 통해 차량의 몸체 제어 모듈에 전달된다.
이제 도 11 의 작동 흐름도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접근 시스템의 작동을 더 잘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수동식 원격 접근 시스템을 포함하는 종류이고, 사용자의 키이 포브 리모트의 신호가 인증되면 차량의 파워 랫치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물론 차량의 주 배터리가 그러한 접근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품을 작동시킬 수 없을 정도로 소진되어 있지 않다는 조건하에서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이점으로서, 본 발명의 접근 시스템은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능동 원격 승차 시스템, 키이 패드 중재식 원격 접근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통상적인 접근 시스템에도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정상적인 경우(즉, 주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키이 포브 리모트에 대응하는 차량에 접근함에 따라(단계 400), 차량의 접근 시스템은 챌린지 신호를 전달하고, 이 신호에 의해 키이 포브 리모트는 그에 응답하여 인증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인증 신호가 차량의 승차 제어기(도 11 에서 "ECM"으로 표시되어 있음)에 의해 인증되며, 그리고 인증되면(단계 401), 차량의 파워 랫치가 잠금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초기 상태가 "잠금" 상태라고 가정하면). 앞의 단계들은 충분히 빠르게 일어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 도어 릴리즈 핸들을 조작하기에 충분히 가까이 있으면(단계 402), 사용자는 파워 랫치를 작동시켜 차량 도어를 랫칭해제시켜 열 수 있다(단계 403).
한편, 차량이 이미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릴리즈 핸들을 조작하면(단계 402), 중간 인증 단계 없이, 파워 랫치가 작동하여 차량 도어를 랫칭해제시켜 열게 된다(단계 403).
물론, 차량의 주 배터리가 다 되었으면, 사용자는 상기 챌린지 및 응답 단계들이 일어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모를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릴리즈 핸들을 조작할 때(단계 402), 그 사용자는 도어를 랫칭해제시키거나 열 수 없을 것이다.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암시와 같은 다른 신호가 본 발명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도 있겠지만,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자는 그가 차량 도어를 열 수 없다는 데서 이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주 배터리가 고장난 것으로 나타나면(단순히 사용자가 도어를 열 수 없든 또는 다른 식으로), 사용자는 키이 패드를 사용하여(단계 404) 접근 코드를 입력하게 되며, 이 코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랫치 제어기에 의해 인증된다. 접근 코드가 인증되면(단계 405), 랫치 제어기는 차량의 파워 랫치를 잠금해제 상태로 두고(단계 405), 따라서 다음에 사용자가 릴리즈 핸들을 조작하면(단계 402), 도어가 랫칭해제되어 열릴 수 있다(단계 403).
다른 한편, 차량이 이미 잠금해제 상태에 있고 주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릴리즈 핸들을 조작하면(단계 402), 중간 인증 단계(단계 405) 없이, 파워 랫치가 작동되어 차량 도어가 랫칭해제되어 열리게 되는데(단계 403),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랫치 제어기는 파워 랫치의 잠금/잠금해제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받아 저장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여기 다른 곳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에는 접근 시스템이 기능하지 않는 종래의 전력 공급을 받는 어떤 접근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접근 시스템은 비제한적인 예로 수동 및 능동식 리모트 승차 시스템 및 키이 패드 승차 시스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으면 차량의 접근 시스템(들)이 사용자의 관점에서 정상적인 것으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해주면서, 주 배터리가 차량의 접근 시스템(들)의 작동을 가능케 할 수 없을 정도로 소진된 경우에 차량에 접근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의 기존의 전기 시스템과 완전하게 통합된다.
본 개시의 많은 수정예 및 변경예(이들 모두는 본 개시의 이점을 얻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가 상기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본 개시는 특별히 설명된 것과는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Claims (28)

  1. 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재된 전원, 이 주 배터리에 의해 전력 공급을 받는 파워 랫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및 이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열기 위한 사용자 조작가능한 릴리즈 핸들을 갖는 종류의 차량을 위한 접근 시스템으로서, 이 접근 시스템은 차량의 주 배터리가 상기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을 때 차량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며, 상기 접근 시스템은,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배치되고 상기 파워 랫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b) 차량에 제공되며, 그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을 받으며, 상기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 및
    (c) 상기 차량에 위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랫치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랫치 제어기는 상기 파워 랫치 및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에 작동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으며, 상기 랫치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게 되며,
    상기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랫치 제어기는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게 되며, 상기 잠금해제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에 작동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로부터 작동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접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인증 장치는 키이 패드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은 상기 키이 패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키이에 대응하는 숫자 및/또는 문자의 열이고,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의 인증은 미리 정해진 패스코드에 따라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차량 접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패드는 상기 릴리즈 핸들 또는 차량 도어에 제공되는 차량 접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랫치 제어기 및 전력 공급부는 차량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단일체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차량 접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또한 차량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탑재된 전원을 통한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관리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이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배치되고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차량 접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랫치 제어기, 전력 관리 제어기 및 전력 공급부 모두는 차량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단일체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차량 접근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차량에 위치되며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전력 관리 제어기를 통해 재충전형 배터리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접근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전력 전달 수단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차량 접근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력 공급부는 유도(induction)를 통해 상기 전력 전달 수단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차량 접근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탑재된 전원은 차량의 주 배터리와는 별개인 12 볼트 DC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별개의 12 볼트 DC 전원을 통한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제어하는 차량 접근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2 볼트 DC 전원은 차량의 점화 시스템을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차량 접근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랫치 폴(latch pawl) 및 랫치 폴 스위치를 갖는 파워 랫치를 포함하는 종류이고,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랫치 폴 스위치에 작동 연결되는 랫치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랫치 폴 스위치는 상기 랫치 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랫치 제어기에 전달하는 차량 접근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도어 아자르(ajar) 스위치를 포함하는 종류이며,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도어 아자르 스위치에 작동 연결되는 랫치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아자르 스위치는 차량 도어가 열려 있는지 또는 닫혀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랫치 제어기에 전달하는 차량 접근 시스템.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차량의 주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승차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종류이고,
    상기 접근 시스템은, 랫치 제어기를 통해 상기 파워 랫치 및 승차 인증 장치에 작동 연결되는 승차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차 제어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으며, 승차 제어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며 또한 랫치 제어기를 통해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며,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승차 제어 모듈에 작동 연결되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승차 제어 모듈을 통해,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는데 충분한 전력을 차량의 주 배터리가 언제 공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차량의 주 배터리가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는데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가 판단하면,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상기 승차 제어 모듈만이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게 되고 또한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게 되는 차량 접근 시스템.
  15. 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재된 전원, 이 주 배터리에 의해 전력 공급을 받는 파워 랫치와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열기 위한 사용자 조작가능한 릴리즈 핸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및 차량에 제공되며 그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을 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를 갖는 종류의 차량을 위한 장치로서, 이 장치는 차량의 주 배터리가 상기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을 때 차량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며, 상기 장치는,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위치가능하고 상기 파워 랫치와 승차 인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그들에 작동 연결될 수 있는 전력 공급부; 및
    (b) 상기 차량에 위치가능하고 상기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랫치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랫치 제어기는 파워 로크 및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에 작동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으며, 상기 랫치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게 되며,
    상기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랫치 제어기는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게 되며, 상기 잠금해제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에 작동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 상태는 파워 랫치가 상기 릴리즈 핸들로부터 작동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인증 장치는 키이 패드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은 상기 키이 패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키이에 대응하는 숫자 및/또는 문자의 열이고,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의 인증은 미리 정해진 패스코드에 따라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차량용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패드는 상기 릴리즈 핸들 또는 차량 도어에 제공되는 차량용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랫치 제어기 및 전력 공급부는 차량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단일체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차량용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또한 차량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탑재된 전원을 통한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관리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이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릴리즈 핸들에 배치되고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차량용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랫치 제어기, 전력 관리 제어기 및 전력 공급부 모두는 차량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단일체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차량용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차량에 위치되며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전력 관리 제어기를 통해 재충전형 배터리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전력 전달 수단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차량용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력 공급부는 유도를 통해 상기 전력 전달 수단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차량용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탑재된 전원은 차량의 주 배터리와는 별개인 12 볼트 DC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별개의 12 볼트 DC 전원을 통한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제어하는 차량용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12 볼트 DC 전원은 차량의 점화 시스템을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장치.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랫치 폴(latch pawl) 및 랫치 폴 스위치를 갖는 파워 랫치를 포함하는 종류이고, 상기 장치는 상기 랫치 폴 스위치에 작동 연결가능한 랫치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랫치 폴 스위치는 상기 랫치 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랫치 제어기에 전달하는 차량용 장치.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도어 아자르(ajar) 스위치를 포함하는 종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도어 아자르 스위치에 작동 연결가능한 랫치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아자르 스위치는 차량 도어가 열려 있는지 또는 닫혀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랫치 제어기에 전달하는 차량용 장치.
  2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차량의 주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승차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종류이고,
    상기 장치는, 랫치 제어기를 통해 상기 파워 랫치 및 승차 인증 장치에 작동 연결가능한 승차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차 제어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으며, 승차 제어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며 또한 랫치 제어기를 통해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며,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승차 제어 모듈에 작동 연결가능하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승차 제어 모듈을 통해,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는데 충분한 전력을 차량의 주 배터리가 언제 공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차량의 주 배터리가 파워 랫치를 작동시키는데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가 판단하면, 상기 접근 시스템은 상기 재충전형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상기 승차 제어 모듈만이 적어도 하나의 승차 인증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에의 사용자 접근을 인증하게 되고 또한 파워 랫치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두게 되는 장치.
















KR20147021795A 2012-01-05 2013-01-07 차량 접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기 KR20150000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3343P 2012-01-05 2012-01-05
US61/583,343 2012-01-05
PCT/US2013/020509 WO2013103953A1 (en) 2012-01-05 2013-01-07 Vehicle access system and controller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71A true KR20150000471A (ko) 2015-01-02

Family

ID=48745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1795A KR20150000471A (ko) 2012-01-05 2013-01-07 차량 접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기
KR1020147021794A KR20140144174A (ko) 2012-01-05 2013-01-07 차량 접근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794A KR20140144174A (ko) 2012-01-05 2013-01-07 차량 접근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40316612A1 (ko)
KR (2) KR20150000471A (ko)
CN (2) CN104245443B (ko)
DE (2) DE112013000504T5 (ko)
WO (2) WO2013103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0882B2 (en) 2009-03-12 2016-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niversal global latch system
US9551166B2 (en) 2011-11-02 2017-0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interior door release system
JP5664562B2 (ja) * 2012-01-17 2015-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中継装置
US9441403B2 (en) * 2013-05-15 2016-09-13 Trimark Corporation Power locking door handles with integrated keypad
US9416565B2 (en) 2013-11-21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ezo based energy harvesting for e-latch systems
DE102014002379A1 (de) * 2014-02-20 2015-08-20 Kiekert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Betätigungsein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Kraftfahrzeuges
US9903142B2 (en) 2014-05-13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and powered latch system
US10119308B2 (en) 2014-05-13 2018-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latch system for vehicle doors and control system therefor
US10323442B2 (en) 2014-05-13 2019-06-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safe door unlatching operations
US10273725B2 (en) 2014-05-13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stomer coaching method for location of E-latch backup handles
US10047548B2 (en) * 2014-06-17 2018-08-14 Magna Closures Inc. Latch assembly for latch operation of closure panels for vehicles
US9909344B2 (en) 2014-08-26 2018-03-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less vehicle door latch system with powered backup unlock feature
US20160130843A1 (en) * 2014-11-12 2016-05-12 Adac Plastics, Inc. Low voltage backup assembly for electronic latch
FR3032472B1 (fr) * 2015-02-11 2017-02-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ignee de portiere ou de coffre
US9518408B1 (en) 2015-05-21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lternate backup entry for vehicles
DE102016010244A1 (de) 2015-08-31 2017-03-02 Marquardt Gmbh Schließ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10294699B2 (en) 2015-09-29 2019-05-21 Faraday&Future Inc. Electric door release system
US9725069B2 (en) 2015-10-12 2017-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less vehicle systems
US10151132B2 (en) * 2016-02-29 2018-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 Management for vehicle door system
US10253527B2 (en) 2016-06-10 2019-04-09 Steelcase Inc. Smart locker
US10227810B2 (en) 2016-08-03 2019-03-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iority driven power side door open/close operations
US10087671B2 (en) 2016-08-04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driven door presenter for vehicle doors
US10329823B2 (en) 2016-08-24 2019-06-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pinch control system for powered vehicle doors
TWI590562B (zh) * 2016-09-10 2017-07-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能夠提升電能供應穩定性的儲能裝置及其電源管理方法
US10458171B2 (en) 2016-09-19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pinch logic for door opening actuator
US10385594B2 (en) * 2017-03-06 2019-08-20 Trimark Corporation Power locking door handle with capacitive sensing
US10604970B2 (en) 2017-05-04 2020-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to detect end-of-life in latches
US10312721B2 (en) * 2017-06-06 2019-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unlock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DE102017211418B3 (de) 2017-07-05 2018-11-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DE102017214079A1 (de) * 2017-08-11 2019-02-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Zugangsanordnung für ein Fahrzeug
DE102017214109A1 (de) * 2017-08-11 2019-02-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obiler Identifikationsgeber
DE102017214105B4 (de) 2017-08-11 2024-05-08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Zugangsanordnung für ein Fahrzeug
DE102017214099A1 (de) * 2017-08-11 2019-02-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obiler Identifikationsgeber
EP3441267B1 (de) * 2017-08-11 2020-06-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Zugangsanordnung für ein fahrzeug
DE102017125719A1 (de) * 2017-11-03 2019-05-09 Kiekert Ag Not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Teil eines Fahrzeugs
FR3074945B1 (fr) * 2017-12-12 2019-11-01 Aksor Borne metier automatique securisee
DE102018100551A1 (de) * 2018-01-11 2019-07-11 Kiekert Ag Kraftfahrzeugschließeinrichtung
FR3077597B1 (fr) * 2018-02-05 2022-08-05 Psa Automobiles Sa Vehicule presentant une serrure electrique connectee a une batterie secondaire de secours permettant une reconnaissance d’identifiant
FR3078093B1 (fr) * 2018-02-22 2022-04-29 Psa Automobiles Sa Ouverture d’urgence de serrures electriques de vehicule automobile accidente
DE102018106410A1 (de) * 2018-03-19 2019-09-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teuer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18106657A1 (de) * 2018-03-21 2019-09-26 Kiekert Ag Türgriffmodul
US11342767B2 (en) * 2018-03-21 2022-05-24 Volvo Truck Corporation Multi-voltage charging terminal access port
EP3552892B1 (en) 2018-04-13 2020-11-25 Volvo Car Corporation Arrangement for unlocking a vehicle, method and a vehicle
US10907386B2 (en) 2018-06-07 2021-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door pushbutton releases
FR3082808B1 (fr) * 2018-06-21 2022-02-11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interface pour l’alimentation electrique d’une serrure electrique de vehicule par un equipement mobile
US11542731B2 (en) * 2018-07-03 2023-01-03 Magna Closures Inc. Smart handle assembly with force-based sensor and backup energy source
DE102018120447A1 (de) * 2018-08-22 2020-02-27 Kiekert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schlosses
DE102018007130A1 (de) * 2018-09-10 2020-03-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ießsystem mit einem Kommunikationsmodul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Kraftfahrzeugschließsystems
DE102018124331A1 (de) * 2018-10-02 2020-04-02 Kiekert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Teil eines Fahrzeugs
JP2020072483A (ja) 2018-10-29 2020-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携帯デバイス
DE102018128905A1 (de) * 2018-11-16 2020-05-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Zugriffssteuereinrichtung für eine Notbetätig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DE102018128875A1 (de) * 2018-11-16 2020-05-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US11319733B2 (en) * 2019-02-06 2022-05-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nic door latching system for preventing lock-out during an electrical power loss
DE102019207755A1 (de) * 2019-05-27 2020-12-03 Vitesco Technologies GmbH Entriegelungssystem und Schlossanordnung mit einem derartigen Entriegelungssystem
CN110395202A (zh) * 2019-08-14 2019-11-01 锐库(上海)机电科技有限公司 具有双向供电功能的电源转换模块
DE102019006415B3 (de) * 2019-09-11 2020-07-02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xternen elektrischen Energieversorgung entriegelungsrelevanter Vorrichtungen eines Fahrzeuges
US11739569B2 (en) * 2019-10-10 2023-08-29 Magna Closures Inc. System to isolate two motor driving circuits driving a single motor and method for isolation
CN111161450A (zh) * 2019-12-11 2020-05-15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基于esam加密认证的电力智能锁具装置
DE102019134815A1 (de) * 2019-12-17 2021-06-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Zugangssystems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US11161476B2 (en) * 2020-03-18 2021-11-02 GM Cruise Holdings, LLC Automatic disabling of autonomous vehicles systems
DE102020113069A1 (de) 2020-05-14 2021-11-18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
DE102020123596A1 (de) * 2020-09-10 2022-03-10 Kiekert Aktiengesellschaft Aufstell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türelement
JP2022075135A (ja) * 2020-11-06 2022-05-18 株式会社アイシン センサモジュール
US11396274B1 (en) * 2021-03-02 2022-07-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ircuit for externally powering authentication and hood unlocking systems in vehicles without door key cylinder
US11814009B2 (en) * 2021-03-25 2023-11-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ti-theft vehicle immobilizer using batteries
US20220364387A1 (en) * 2021-05-17 2022-11-17 Knoll, Inc. Storage apparatus
DE102021115087A1 (de) 2021-06-11 2022-12-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Zugangs zu einem Fahrzeug
AU2022380584A1 (en) * 2021-11-05 2024-04-04 Masonite Corporation Door assembly with rechargeable electrical power supply for integrated electric devices and methods thereof
US11745676B2 (en) 2022-01-10 2023-09-05 Kiekert Ag Motor vehicle locking device
DE102022103754A1 (de) * 2022-02-17 2023-08-17 Lufthansa Technik Aktiengesellschaft Zugangskontrollvorrichtung, Zugangskontrollsystem, Türabschnitt mit Zugangskontroll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Öffnen einer Tür
TR2022008026A2 (tr) * 2022-05-17 2022-06-21 Istanbul Elektronik Anahtar Ve Guevenlik Sistemleri Sanayi Ticaret Ltd Sirketi Aci̇l durum araç kapisi açma si̇stemi̇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7468A1 (de) * 1987-11-05 1989-05-24 Kiekert Gmbh Co Kg Tuerverschlusssystem fuer ein kraftfahrzeug
US6786070B1 (en) * 1999-03-05 2004-09-07 Sirattec Security Corporation Latch apparatus and method
JP4599534B2 (ja) * 1999-10-04 2010-12-15 シーメンス ヴィディーオー オートモティヴ コーポレイション 車両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1186489A3 (en) * 2000-09-08 2003-11-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n-vehicle security system
US6854870B2 (en) * 2001-06-30 2005-02-15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handle assembly
FR2835866B1 (fr) * 2002-02-12 2004-08-2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Systeme de decondamnation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JP3571705B2 (ja) * 2002-04-01 2004-09-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2004187096A (ja) * 2002-12-04 2004-07-02 Toshiba Corp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およびキーレスエントリ方法
DE20303301U1 (de) * 2003-02-28 2003-07-17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Stromversorgung von elektronischen Systemen, die sowohl induktiv als auch aus einer wiederaufladbaren Batterie gespeist werden
CN201083044Y (zh) * 2007-09-11 2008-07-09 上海天智电业发展有限公司 钥匙供电的智能卡锁
DE102008005059A1 (de) * 2008-01-18 2009-07-23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m Ansteuern eines Aktuators
US20090243791A1 (en) * 2008-03-28 2009-10-01 Partin Dale L Mini fob with improved human machine interface
JP5313701B2 (ja) * 2009-01-13 2013-10-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及びロッキングシステム
FR2945162A1 (fr) * 2009-04-30 2010-11-05 Pascal Metivier Systeme d'alimentation externe d'une serrure comportant des moyens de communication sans contact de type nfc
US8534101B2 (en) * 2010-02-22 2013-09-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nic unlatch system for vehicle door
JP5486398B2 (ja) * 2010-05-12 2014-05-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US20130082639A1 (en) * 2011-10-04 2013-04-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 system having a primary energy source and a redundant rechargeable energy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1451A3 (en) 2014-10-16
WO2013103953A1 (en) 2013-07-11
CN104395153A (zh) 2015-03-04
US20140347163A1 (en) 2014-11-27
DE112013000504T5 (de) 2014-10-02
KR20140144174A (ko) 2014-12-18
WO2014081451A9 (en) 2014-07-17
DE112013000497T5 (de) 2014-12-24
US20140316612A1 (en) 2014-10-23
WO2014081451A2 (en) 2014-05-30
DE112013000497T8 (de) 2015-01-15
CN104245443B (zh) 2016-08-24
CN104245443A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471A (ko) 차량 접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기
CN106168087B (zh) 用于车辆的替代性备用进入装置
US10526821B2 (en) Keyless vehicle door latch system with powered backup unlock feature
CN102162321B (zh) 用于车门的电子解闩系统
JP4558723B2 (ja) 自動車のための電子的に作動可能なロック装置
WO2014156639A1 (ja) 充電ケーブルロック装置及び制御装置
CN108474223B (zh) 机动车辆用门锁装置
TWI816788B (zh) 便攜式鎖及其解鎖的方法
JP2012080646A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JP2010264847A (ja) 電動車両
US10759291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unlocking a charging plug inserted in a vehicle charging socket
CN103871130A (zh) 锁闭装置、控制装置及电子钥匙系统
CN114450198A (zh) 用于车辆的与解锁相关的装置的外部供电的方法和装置
JP2017025481A (ja) 人動作検出装置、車両用開閉体作動システム
US20230331080A1 (en) Ope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element
JP2013009460A (ja) 充電リッド制御装置
KR20150015051A (ko) 비상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CN114585543B (zh) 用于运行用于车辆的进入系统的方法以及车辆
US11383674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security method
JP6582284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3043025A (zh) 具有独立的电子装置的、用于机动车的安全系统的装置
WO2023150424A1 (en) Charging security device for electric work vehicles
KR20150058900A (ko)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