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900A -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8900A KR20150058900A KR1020130142231A KR20130142231A KR20150058900A KR 20150058900 A KR20150058900 A KR 20150058900A KR 1020130142231 A KR1020130142231 A KR 1020130142231A KR 20130142231 A KR20130142231 A KR 20130142231A KR 20150058900 A KR20150058900 A KR 201500589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locking
- battery
- vehicle
- door
- r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송신기로부터의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에 응답하여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RKE(Remote Keyless Entry) 모듈과,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R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RKE 모듈 및 상기 제1 RKE 모듈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RKE 모듈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도어를 언락킹시키는 도어 언락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를 언락킹 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키 홀(key hole)을 통한 기계적인 키 조작에 따라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서 차량의 도어 락(lock) 또는 언락(unlock)하는 모듈이 구비된다.
최근 별도의 키 조작 없이, 차량으로부터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에 들어오면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는 리모트 키리스 엔트리(Remote Keyless Entry: RKE)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기존의 RKE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RKE 시스템은 12V 상당의 비상 RKE 배터리(50)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 배터리(10) 방전 시에 상기 비상 RKE 배터리(50)의 전원을 이용하여 임시로 RKE 시스템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10)가 방전된 상태에서 RKE 리모컨을 통한 도어 언락/락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운전자는 미리 소지하고 있던 비상 RKE 배터리(50)를 비상전원 단자(43)에 갖다 대어 이러한 비상 RKE 배터리(50)의 전원을 액츄에이터(20) 및 모터(41)에 공급하여 도어(40)를 언락/락 시킬 수 있다. 즉, 운전자가 비상전원단자(43)에 비상 RKE 배터리(50)를 갖다 대어, 비상 RKE 배터리(50)에 의한 비상전원이 RF수신부(30), 액츄에이터(20), 모터(41)에 공급되면, 상기 RF수신부(30)는 RKE 리모컨의 신호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0)는 모터(41)를 제어하여 도어의 언락/락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비상 RKE 전원부(60)는 비상 RKE배터리(50)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을 액츄에이터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액츄에이터(6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기존의 기존의 RKE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평상시, 차량 배터리로 동작되는 RKE 모듈, 예컨대, 도 1의 참조번호 20, 30, 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모듈과 차량 배터리(10)가 방전되는 상황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모듈 즉, 비상 RKE 배터리(50)와, 이 비상 RKE 배터리(50)와 연결되는 블록들(42, 43)로 이루어진 모듈이 분리된 구조가 아니다. 즉, 기존의 RKE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RKE 모듈과 상기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모듈이 공통 노드(CM)를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차량 배터리(10)와 비상 RKE 배터리(50)는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 배터리(10)는 단순히 RKE 모듈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내의 각종 제어 유닛(ECU)들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차량 배터리(10)가 방전된 비상 상황에서 상기 비상 RKE 배터리(50)를 이용하여 RKE 모듈을 동작시키면, 상기 RKE 모듈로 흐르는 전류 량보다 상기 차량 배터리(10)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차량 배터리(10) 쪽으로 흐르는 전류 량이 과다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상 RKE 배터리(50)에 의한 전류 공급에 따라 상기 차량 배터리(10)가 충전되면, 상기 차량 배터리는 상기 RKE 모듈 외에 각종 제어 유닛들을 웨이크업(wakeup)시키고,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이 동작되는 상황에서 추가 전류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결국, 기존의 RK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비상 RKE 배터리(50)가 설령 대용량의 휴대용 배터리일지라도 감당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상황에서 적은 용량의 배터리를 이용해 차량 도어를 원활하게 언락킹 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언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용 도어 언락 장치는,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송신기로부터의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에 응답하여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RKE(Remote Keyless Entry) 모듈과,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R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RKE 모듈 및 상기 제1 RKE 모듈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RKE 모듈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도어를 언락킹 시키는 도어 언락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용 도어 언락 장치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에 응답하여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자 제어 유닛과, 상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에 응답하여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자 제어 유닛과, 상기 제1 전자 제어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제어부 및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도어를 언락킹 하는 모터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배터리에 의해 일반 모드에서 동작하는 RKE 모듈 외에 상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휴대용 소형 배터리에 의해 비상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비상 RKE 모듈을 추가 설계함으로써, 차량 배터리 방전 시에도 포브(FOB)의 Mechanical Key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 도어의 언락킹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RKE 모듈과 상기 비상 RKE 모듈이 전기적으로 완벽하게 분리된 구조로 설계됨으로써, 상기 차량 배터리와 휴대용 소형 배터리가 병렬 연결 구조로 설계되어 상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 상기 휴대용 소형 배터리가 과도한 용량을 감당해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RKE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KE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RKE 모듈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가 형성된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언락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KE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RKE 모듈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가 형성된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언락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차량 배터리로 동작하는 RKE 모듈이 상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상기 차량 배터리와 별개인 외부 전원으로 동작하는 경우, 방전된 차량 배터리로 불필요 전류 소모 발생으로, 용량과 사이즈가 큰 외부전원이 요구된다. 결국 12V계의 차량 배터리 사용하는 현 추세에서는, 외부 배터리 또한 12V계의 전력을 제공해야 한다. 이는 휴대용 소형 배터리의 사용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소형 배터리의 사용을 가능케 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완벽하게 분리된 2개의 RKE 모듈이 제안된다. 2개의 RKE 모듈 중 하나의 RKE 모듈은 차량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고, 다른 하나의 RKE 모듈은 상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상황에서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용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개의 RKE 모듈은 전기적으로 완벽하게 분리된 구조로 설계됨으로써, 상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도 다른 RKE 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휴대용 배터리에서 소모되는 전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소형의 휴대용 배터리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KE 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KE 시스템은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송신 장치는 "포브 키"로 지칭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차량용 도어 언락 장치"로 지칭한다.
상기 포브 키(100)는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를 상기 차량용 도어 언락 장치(2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배터리(110), 버튼 입력부(120), 제어부(130) 및 RF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배터리(110)는 상기 제어부(140)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버튼 입력부(120)는 RKE lock, unlock, trunck, panic 등의 버튼 입력을 제공하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임의의 버튼 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버튼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버튼 입력부(120)로부터 버튼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버튼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unlock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가정한다. 상기 RF 송신부(130)는 unlock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차량용 도어 언락 장치(200)로 송신한다.
상기 차량용 도어 언락 장치(200)는 상기 포브 키(100)로부터의 상기 R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도어를 언락킹 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및 제2 RKE 모듈(210, 230), 차량 배터리(220), 휴대용 배터리(240) 및 도어 언락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RKE 모듈(210)은 상기 차량 배터리(220)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포브키(100)로부터의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에 응답하여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차량 배터리(220)는 상기 제1 RKE 모듈(210)을 동작(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 RKE 모듈(210)로 전원을 공급하며, 그 밖의 차량 내의 다수의 전자 제어 유닛(300: ECU1, ECU2, ... , ECUn)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12V계의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제2 RKE 모듈(230)은 상기 휴대용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안테나(Ant1)를 통해 상기 포브키(100)로부터의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RF 신호를 처리하여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2 RKE 모듈(230)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언락 장치와 같이, 차량 배터리와 휴대용 배터리의 병렬 연결로 인해, 상기 차량 배터리(220)가 방전된 경우 휴대용 배터리(240)에 의한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 RKE 모듈(210)과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RKE 모듈(210, 230) 간의 전기적 분리된다는 것은 상호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함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및 제2 RKE 모듈(210, 230)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제1 및 제2 RKE 모듈(210, 230)을 각각 칩 형태로 집적화하고, 이들 집적화된 칩들을 하나의 기판상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RKE 모듈(210, 230) 각각은 서로 다른 전원을 이용하도록 완벽히 분리되도록 상기 기판상의 회로 배선을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제1 RKE 모듈의 전자 제어 유닛을 연결하는 전원 라인과 상기 휴대용 배터리와 상기 제2 RKE 모듈의 전자 제어 유닛을 연결하는 제2 전원 라인은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RKE 모듈(210)이 오직 차량 배터리에 의해서만 동작하고, 제2 RKE 모듈(230)이 오직 휴대용 배터리(240)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배터리(240)는 상기 차량 배터리(220)가 방전된 경우, 상기 제2 RKE 모듈(230) 및 상기 도어 언락 구동부(25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휴대용 배터리(240)는 운전자가 소지 가능한 소형 배터리로서, 9V~12V, 200~800mA의 소형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가정용 현관 디지털 도어락에서 사용되는 소형 배터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언락 구동부(250)는 상기 제1 RKE 모듈(210)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RKE 모듈(230)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도어를 언락킹 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 언락 구동부(25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터 제어부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모터 제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RKE 모듈(210 또는 230) 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 구동력을 발생하고, 이 모터 구동력을 통해 차량 도어가 언락킹 된다.
이하, 상기 제1 RKE 모듈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2 RKE 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RKE 모듈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가 형성된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2 RKE 모듈(230)은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 비상 도어 언락 ECU(234) 및 RF 수신부(236)를 포함한다.
상기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는 휴대용 배터리의 출력 단자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로서, 표면에 어느 곳이라도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5)에서 차량 도어의 손잡이 주변에 형성된 키홀(key hole) 대신에, 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는 차량 외부로 노출되는 + 단자와 - 단자로 구성되며, 휴대용 배터리(240)의 출력 단자의 - 단자가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의 + 단자에, 상기 휴대용 배터리(240)의 출력 단자의 + 단자가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의 - 단자에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면, 휴대용 배터리(240)의 충전된 전원을 상기 비상 도어 언락 ECU(234)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배터리(220) 방전 시, 휴대용 배터리(240)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를 언락킹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RKE 모듈(230)이 동작하므로, 종래의 키 및 키홀이 필요 없게 되고, 종래 키홀 위치에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의 + 단자와 - 단자는 차량 외부 노출로 인해 먼지와 같은 불순물 등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출된 부위를 외부 불순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 도어 언락 ECU(234)는 상기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를 통해 상기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 활성화되어 동작을 시작하고, 포브키(100)로부터의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를 안테나(Ant2)를 거쳐 RF 수신부(236)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비상 도어 언락 ECU(234)는 수신된 RF 신호의 프레임(RKE Unlock Frame)을 해석하여 정당한 운전자에 의한 언락킹 지시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RF 신호의 프레임이 정당한 운전자에 의한 언락킹 지시로 확인되면, 차량 도어를 언락킹 하기 위한 언락킹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도어 언락 구동부(25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도어 언락 구동부(250)는 상기 언락킹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를 언락킹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차량 도어는 상기 비상 도어 언락 ECU(234)의 인증 과정을 통해서만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수행하므로, 사전에 상기 포브키(100)와 상기 비상 도어 언락 ECU(234) 간의 인증 처리를 위한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 예컨대, 상기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에 휴대용 배터리가 접촉되면, 상기 비상 도어 언락 ECU(234)가 활성화(activation)된다. 그러면, 운전자는 자신이 소지한 포브키(100)의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버튼 입력을 조작하여 RF 신호를 상기 비상 도어 언락 ECU(234)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비상 도어 언락 ECU(234)는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인증에서 사용하는 암호화 키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암호화 키 값을 저장한다. 추출된 암호화 키 값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로부터 휴대용 배터리(240)의 출력단자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포브키(100)와 상기 비상 도어 언락 ECU(234) 간의 인증 처리를 위한 사전 학습 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제1 RKE 모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RKE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즉, 제1 RKE 모듈(210)은 제2 RKE 모듈(230)의 ECU와 RF 수신부와 각각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RKE 모듈(210)은 차량 배터리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므로, 휴대용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제2 RKE 모듈(230)의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232)와 같은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제2 RKE 모듈(230)과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언락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10에서,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어, 제1 RKE 모듈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는 자신이 소지한 휴대용 배터리의 출력 단자를 차량측 도어의 손잡이 주변에 형성된 상기 입력 단자(232)에 접촉시킨다.
이어, S520에서, 상기 접촉에 따라 상기 휴대용 배터리의 전원이 제2 RKE 모듈에 공급됨으로써, 제2 RKE 모듈의 비상 도어 언락 ECU가 활성화된다. 이때, 제2 RKE 모듈은 오직 휴대용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서만 동작한다.
이어, S530에서, 비상 도어 언락 ECU가 활성화되면, 운전자의 포브키 조작에 따라 포브키로부터 차량 도어 언락킹을 위한 RF 데이터를 수신하고, S540에서, 수신한 RF 데이터의 프레임(RKE Unlock Frame)을 분석하여 정당한 운전자에 의한 언락킹 요청인지를 판단하는 인증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S540에서, 인증이 성공하면, S550에서 제2 RKE 모듈에 제어에 따라 도어 언락킹을 위한 모터를 구동하고, S560에서 이 모터 구동에 따라 차량 도어의 언락킹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차량 도어의 언락킹과 관련된 모든 절차를 완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송신기로부터의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에 응답하여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RKE(Remote Keyless Entry) 모듈;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R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RKE 모듈; 및
상기 제1 RKE 모듈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RKE 모듈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도어를 언락킹시키는 도어 언락 구동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RKE 모듈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RKE 모듈은,
하나의 기판상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칩 형태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배터리는,
9V계의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RKE 모듈은,
상기 차량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용 배터리의 단자와 연결되는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 및
상기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상기 R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언락킹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 도어 전자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배터리 입력 단자는,
상기 차량 차체의 도어 손잡이 주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RKE 모듈은,
상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비상 상황에서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에 응답하여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자 제어 유닛;
상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차량 도어의 언락킹을 지시하는 RF 신호에 응답하여 언락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자 제어 유닛;
상기 제1 ECU 또는 상기 제2 ECU로부터의 언락킹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제어부; 및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도어를 언락킹 하는 모터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제1 전자 제어 유닛을 연결하는 제1 전원 라인과, 상기 휴대용 배터리와 상기 제2 전자 제어 유닛을 연결하는 제2 전원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라인과 상기 제2 전원 라인은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2231A KR20150058900A (ko) | 2013-11-21 | 2013-11-21 |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2231A KR20150058900A (ko) | 2013-11-21 | 2013-11-21 |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8900A true KR20150058900A (ko) | 2015-05-29 |
Family
ID=5339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2231A KR20150058900A (ko) | 2013-11-21 | 2013-11-21 |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5890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0786A (ko) * | 2022-03-30 | 2023-10-10 | (주) 에이엘웍스 | 차량 스마트 잠금 해제 시스템 |
-
2013
- 2013-11-21 KR KR1020130142231A patent/KR201500589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0786A (ko) * | 2022-03-30 | 2023-10-10 | (주) 에이엘웍스 | 차량 스마트 잠금 해제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75267B2 (en) | Vehicle finder card with a thin film battery | |
CN106168087B (zh) | 用于车辆的替代性备用进入装置 | |
US20140316612A1 (en) | Vehicle access system | |
CN106907069B (zh) | 无钥匙车辆系统 | |
JP7472940B2 (ja) | 電池監視装置、電池ecu、及びサテライト | |
US9134956B2 (en) | In-vehicle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 |
US20140114503A1 (en) | Remote Function Fob for a Vehicle Passive Entry Passive Star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US20090160607A1 (en) | Vehicle key fob having a communications circuit | |
CN110473317A (zh) | 便携式锁 | |
US1019452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CN115476785A (zh) | 一种通过无线网络控制的车门系统 | |
JP2010112166A (ja) | 電子式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遠隔操作用携帯電子鍵 | |
CN111032449A (zh) | 用于车辆的访问设备 | |
CN218661689U (zh) | 一种通过无线网络控制的车门系统 | |
JP2014087198A (ja) | アンロック制御装置 | |
CN110525375B (zh) | 一种车辆及其解锁设备 | |
CN104114415B (zh) | 用于机动车的被动访问系统的可携带的识别传感器和节能地运行识别传感器的方法 | |
KR20150058900A (ko) | 차량용 도어 언락킹 장치 | |
CN113795407A (zh) | 用于电闩锁的备用能量供应和认证 | |
CN218661688U (zh) | 一种通过无线网络控制的车门系统 | |
CN114585543B (zh) | 用于运行用于车辆的进入系统的方法以及车辆 | |
KR20070054519A (ko) |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전자도어락 충전 시스템 | |
WO2021110861A1 (en) | Electronic lock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 mobile phone | |
GB2508496A (en) | PEPS fob having a low power consumption mode | |
JP5290735B2 (ja) | 電気自動車の充電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