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380A -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380A
KR20140115380A KR1020147025143A KR20147025143A KR20140115380A KR 20140115380 A KR20140115380 A KR 20140115380A KR 1020147025143 A KR1020147025143 A KR 1020147025143A KR 20147025143 A KR20147025143 A KR 20147025143A KR 20140115380 A KR20140115380 A KR 2014011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methylene copolymer
weight
parts
copolymer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5398B1 (ko
Inventor
아키라 오카무라
사토시 나가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9/00Adhesives based on polyacetal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9J159/04Copolyoxymeth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only
    • C08G65/06Cyclic ethers having no atom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 C08G65/08Saturated oxiranes
    • C08G65/10Saturated oxiran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4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5/2645Metals or compounds thereof, e.g. salts
    • C08G65/2654Aluminium or boron;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8L59/04Copolyoxymethyle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가교성 화합물의 배합량이 0.001~0.05중량부인 고강도, 고탄성률의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이다. 또, 본 발명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연신 재료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신 재료를 2차 가공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조체 및 상기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접착층으로서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구조체이다. 또, 본 발명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접착층으로서 이용하고, 물 또는 용매에 의해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을 제거하는 구조체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OXYM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 FOR STRETCHING MATERIAL, STRETCHING MATERIAL, STRUCTUR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강도, 고탄성률의 연신체에 적합한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6/66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검토, 제품화가 진행되고 있다. 옥시메틸렌 중합체의 연신화에 대해서는 역사가 오래되고, 예를 들면 Clark 등의 초연신 섬유의 검토 등을 들 수 있다 (비특허문헌 1 참조). 옥시메틸렌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결정화도가 높아 강성 (剛性), 강도, 내약품성, 내크리프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주로 사출 성형용 재료로서 자동차, 전기 기기의 기구 부품 등의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옥시메틸렌 중합체의 극한적 이론 강도는 매우 높아 연신에 의한 배향 결정화에 의해 고강도, 고탄성률체가 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그러나, 옥시메틸렌 중합체는 결정화도가 높은데다 DSC로 관측되는 융점 피크는 매우 샤프하고, 융점과 결정 연화 온도가 가까워 연신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결정화 속도가 빠른 것도 연신 가공의 면에서 큰 제약을 주고 있었다.
또, 근래 옥시메틸렌 중합체 및 공중합체로서의 내약품성, 내마모성 등에 주목해, 종래의 사출 성형, 압출 성형에 머물지 않고, 연신 재료로서 섬유 및 그것으로부터 얻어지는 구조체의 새로운 용도 개척이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방사, 연신 가공에 의한 섬유화 기술의 향상에 머물지 않고, 2차 가공을 위한 기술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방사, 연신 가공을 위해서 특정한 옥시메틸렌 중합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이것은 결정화 속도가 늦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섬유 및 그 제조 방법이지만,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에 첨가되는 첨가제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 산화 방지제나 열안정제의 기재가 있는 것만으로, 그 종류나 양에 대해서, 나아가서는 그 영향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일본 특개 2003-089925호 공보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Oct., 1974, Vol. 14, No. 10, p.682-686
본 발명은 연신 가공성이 양호한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에 가교 구조를 생성하는 화합물 (이하, 「가교성 화합물」이라 함)을 소정량 배합하면, 연신 가공성이 양호한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나아가서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첨가함으로써 연신 가공성 및 2차 가공성이 매우 뛰어난 재료가 되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가교성 화합물의 배합량이 0.001~0.05중량부인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이다.
또, 본 발명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해서 얻어지는 연신 재료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신 재료를 2차 가공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조체 및 상기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접착층으로서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구조체이다.
또, 본 발명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접착층으로서 이용하고, 물 또는 용매에 의해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을 제거하는 구조체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신 가공성이 양호한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가교성 화합물이 0.001~0.05중량부 배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첨가·배합되는 가교성 화합물은 열안정제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이와 같은 가교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1~5.0중량부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연신 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특히 가교성 화합물인 아민 치환 트리아진 화합물을 포름알데히드 혹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의 분자 말단과 결합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그 적절한 배합량을 검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즉, 얻어지는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이 가공 조건에 있어서 충분한 열안정성을 가지고, 또한 연신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그 배합량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교성 화합물의 배합량을 상기와 같은 범위로 하여 연신 가공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있다. 가교성 화합물의 배합량이 0.001중량부 미만에서는, 연신시에 열안정성이 저하해 가공성이 저하해 버린다. 또, 0.05중량부를 넘으면, 연신 가공시에 연신 얼룩이 발생해 가공성이 저하해 버린다. 가교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0.002~0.04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0.0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가교성 화합물로는 멜라민, 멜라민 수지, 메틸올멜라민, 벤조구아나민, 시아노구아니딘, N,N-디아릴멜라민, CTU 구아나민 (3,9-비스[2-(3,5-디아미노-2,4,6-트리아자페닐)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CMTU 구아나민 (3,9-비스[1-(3,5-디아미노-2,4,6-트리아자페닐)메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의 아민 치환 트리아진 화합물이나 폴리아미드류, 요소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우레탄류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멜라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로는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또한 트리옥산과 이 트리옥산 100중량부에 대해 0.5~50.0중량부의 1종 이상의 코모노머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공중합물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 (1) 중,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킬기를 가지는 유기기, 페닐기, 페닐기를 가지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m은 1~6의 정수를 나타낸다. 알킬기로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에 이용되는 코모노머로는 종래 알려진 환상 에테르나 환상 포르말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3-디옥소란 및 그 유도체, 1,3-디옥세판 및 그 유도체, 1,3,5-트리옥세판 및 그 유도체, 1,3,6-트리옥소칸 및 그 유도체, 및 단관능 글리시딜 에테르가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로는 알킬기, 알킬렌기, 알케닐기 및 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이상으로 이루어진 지방족계 분기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기 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가공성이 뛰어난 연신 재료로 할 수 있다.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에 분기 구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단관능 및/또는 다관능 글리시딜 에테르계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공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글리시딜 에테르계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글리시딜에테르계 화합물이나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이 분기를 가지는 것 및 그것들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혼합물이 예시되고, 특히 n-부틸글리시딜에테르가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 사용량으로는, 트리옥산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1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0.5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001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분기 구조를 도입한 효과가 발휘되기 쉬워진다. 10중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중합 반응의 활성이 저하해 과잉의 촉매의 첨가가 필요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의 열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식 (2) 중, R3은 탄소수 1~30의 알킬렌기, n는 0~20의 정수를 나타내고, R4는 탄소수 1~30의 알킬기, 탄소수 2~20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폴리알킬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글리콜로는 여러 가지 성상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온에서 액상 또는 왁스상 (蠟狀)의 성상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알킬렌글리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디옥소란의 단독 및 공중합체; 그것들을 디이소시아네이트로 반응, 결합시킨 화합물; 나아가서는 말단을 에스테르, 에테르로 변성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온에서 액상의 성상을 나타낸다」란 99℃에서 점도가 15cSt 이하의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 「상온에서 왁스상의 성상을 나타낸다」란 99℃에서 점도가 15~50cSt의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용제 핸드북 코단샤 사이언티픽 p.791)
특히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이고, 더욱 적합하게는 200~2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다. 분자량이 200 이상이면, 양호한 성형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의 제조시에서의 기산 손실 (dispersion loss)이나, 가공시의 블리드를 억제할 수 있다. 분자량이 2000 이하이면, 연신성의 향상 효과를 발휘하면서 2차 가공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2차 가공이란, 이 조성물은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첨가에 의해 융점 강하가 일어나 모재로서 통상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등을 이용하면, 적당한 융점 차이를 갖게 함으로써 양호한 열접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융점 차이를 크게 할수록 열접착시의 온도가 모재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모재에서의 예상 이상의 열수축이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폴리알킬렌글리콜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5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2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1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01중량부 이상이면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첨가 효과가 발휘되기 쉬워지고, 50중량부 이하이면 가공시의 블리드를 억제할 수 있다.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첨가 방법으로는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안정화 처리하여 얻을 때에 첨가해도 되고, 일단 얻어진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에 콤파운드로 첨가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연신 가공시에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가소화할 때에 동시에 첨가해 용융 혼합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그 제조 단계에서 종래 알려진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입체 장해성 페놀이 예시되고, 일반 시판의 페놀계 항산화제로서 구체적으로는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6-t-부틸-4-메틸페놀),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벤젠프로피온산 1,6-헥산디일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특히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가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첨가량으로는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5.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2.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2~1.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입체 장해성 페놀의 배합량이 0.01중량부 이상임으로써, 가공시의 분해에 의해 수지의 분자량 저하나 분해 가스의 혼입에 의해 가공성이 저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5.0중량부 이하임으로써, 블리드가 많아져 가공품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이란, 주로 상기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가지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본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의 첨가제나 충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결정핵제, 산화 방지제 (기술한 산화 방지제를 제외함), 가소제, 광택 제거제, 발포제, 윤활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본 발명에 관한 가교성 화합물을 제외함), 냄새 제거제, 난연제, 접동제, 향료,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충전제로는 유리 섬유,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 티탄산칼륨 휘스커 (whisker)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안료, 염료를 가해 원하는 색목(色目)으로 완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종 모노머, 커플링제, 말단 처리제, 그 밖의 수지, 목분, 전분 등을 가해 변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연신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조성물 형태로는 필름, 시트, 섬유, 멀티필라멘트, 모노필라멘트, 로프, 망, 직물, 편물, 부직포, 필터, 나아가서는 그것들을 2차 가공한 재료가 예시되지만, 그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구조체는 본 발명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구성 재료로서, 또는 부재끼리를 접착하는 접착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성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그대로 이용해도 되고, 추가로 가공을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같은 접착 작업을 반복하여, 혹은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재료가 다층으로 구성되는 구조체로 할 수도 있다.
또, 한번 접착시킨 구조체를 새롭게 형상이 다른 별도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재료와 접착시켜 더욱 고도의 구조체를 형성해 갈 수 있다.
더욱이, 폴리알킬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접착층으로서 이용하고, 물 또는 용매에 의해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을 제거해 구조체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
트리옥산 (「TOX」라고도 함) 100중량부에 대해서 하기 표 1의 배합량의 1,3-디옥소란, 촉매 (3불화붕소 디에틸에테레이트의 벤젠 용액: 0.62mol/kg-벤젠), 분자량 조정제 (메틸알의 벤젠 용액: 25중량%)를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온도를 65℃로 설정한 재킷을 가지는 셀프클리닝형 패들을 가지는 2축 니더 중에서 중합기 내의 체재 시간이 15분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중합을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는 촉매량은 0.04mmol/mol-TOX로 하고, 분자량 조정제는 0.17wt% (TOX에 대해서)로 했다.
실시예 6에서는 촉매량은 0.03mmol/mol-TOX로 하고, 분자량 조정제는 0.2wt% (TOX에 대해서)로 했다.
실시예 7 및 비교예 4에서는 촉매량은 0.06mmol/mol-TOX로 하고, 분자량 조정제는 0.1wt%로 했다.
생성된 중합물에 대해서 트리페닐포스핀의 벤젠 용액 (25중량%)을 첨가한 3불화붕소디에틸에테레이트 1mol에 대해서 2mol이 되도록 첨가하고, 촉매를 실활 (失活) 후 분쇄하여 입상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얻었다.
다음에, 이 입상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산화 방지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0.3중량부 및 마찬가지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대로, 열안정제로서의 멜라민과 폴리에틸렌글리콜 (PEG20000)을 첨가해 균일하게 혼합한 후, 벤트 부착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160Torr의 감압하, 200℃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릿화해,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관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연신 시험)
상기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실린더 설정 온도 220℃의 단축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구경 (口徑) 0.6㎜, 24hole의 방사용 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섬유를 방사하고, 인취 롤러에서 약 200m/min으로 권취했다. 이것을 연속적으로 130℃로 가열한 연신 롤러에 도입하여 연신 처리를 실시했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신 롤러 회전수를 변화시켜, 인취 롤러와 연신 롤러의 회전수의 비를 연신 배율로 하고, 섬유가 끊어져 운전이 곤란해지는 연신 배율을 최대 연신 배율로 했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 연신 후의 구조체에 대해서, SEM (키엔스(주)제 VE-9800)를 이용하여, 200배의 배율 조건으로 표면 관찰을 실시해서 「연신 얼룩」의 유무를 확인했다. 또한, 코브상의 미연신 개소가 남아 있는 상태를 연신 얼룩 있음으로 하고, 없는 경우를 「양호」라고 했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03

< 실시예 8~13 및 비교예 5~7>
하기 표 2에 기재된 배합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8~13 및 비교예 5~7에 관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했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연신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실시예 14~17>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A)로서 172℃에 융점을 나타내는 A40: 미츠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회사제 (MI(멜트 인덱스) = 50g/10min)를,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B)로서 하기 표 2에 기재된 실시예 8~11의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해 2성분계의 다층 섬유 (각각의 단면이 반원상)를 기술한 연신 시험과 같은 방법으로 용융 방사해 필라멘트를 제작했다.
얻어진 필라멘트를 10㎝ 길이로 절단한 것을 철판 위에 교차하여 배치하고, 또 하나의 철판으로 사이에 끼웠다. 이것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온도로 미리 가열한 유압식 핫 프레스 장치에 의해 30분간 가열하고, 가압 조건하에서 열접착 처리를 실시했다. 처리 후, 필라멘트 사이가 교차한 개소의 접착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고, 나아가서는 필라멘트 처리 후의 길이를 측정해 처리 전후에서의 열수축률을 측정했다. 또, 핫 프레스 후의 필라멘트 전체의 용융 상태도 눈으로 확인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 비교예 8~11>
비교예 8, 9는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B)로서 비교예 5에 기재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했다. 비교예 10, 11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B)로서 비교예 6에 기재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했다. 상기 이외에 관해서는 실시예 14~17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04

[표 3]
Figure pat00005

Claims (13)

  1.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가교성 화합물의 배합량이 0.001~0.05중량부인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화합물이 멜라민인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알킬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이 상기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50중량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이 상온에서 액상 또는 왁스상 (蠟狀)인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이 폴리에틸렌글리콜인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옥시메틸렌 공중합체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또한 트리옥산과 이 트리옥산 100중량부에 대해 0.5~50.0중량부의 1종 이상의 코모노머의 공중합물인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Figure pat00006

    (식중,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킬기를 가지는 유기기, 페닐기, 페닐기를 가지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m은 1~6의 정수를 나타낸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모노머가 1,3-디옥소란 및 그 유도체, 1,3-디옥세판 및 그 유도체, 1,3,5-트리옥세판 및 그 유도체, 1,3,6-트리옥소칸 및 그 유도체, 및 단관능 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가 알킬기, 알킬렌기, 알케닐기 및 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지방족계의 분기 구조를 가지는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해 얻어지는 연신 재료.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연신 재료를 2차 가공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조체.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접착층으로서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구조체.
  13.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접착층으로서 이용하고, 물 또는 용매에 의해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을 제거하는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147025143A 2006-12-04 2007-12-03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5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7657 2006-12-04
JP2006327656 2006-12-04
JPJP-P-2006-327656 2006-12-04
JPJP-P-2006-327657 2006-12-04
PCT/JP2007/073345 WO2008069184A1 (ja) 2006-12-04 2007-12-03 延伸材料用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延伸材料、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958A Division KR101456310B1 (ko) 2006-12-04 2007-12-03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380A true KR20140115380A (ko) 2014-09-30
KR101535398B1 KR101535398B1 (ko) 2015-07-08

Family

ID=394920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143A KR101535398B1 (ko) 2006-12-04 2007-12-03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97010958A KR101456310B1 (ko) 2006-12-04 2007-12-03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958A KR101456310B1 (ko) 2006-12-04 2007-12-03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78627B2 (ko)
EP (1) EP2093253B1 (ko)
JP (1) JPWO2008069184A1 (ko)
KR (2) KR101535398B1 (ko)
CN (1) CN103642169B (ko)
WO (1) WO2008069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0530B2 (ja) * 2011-05-25 2015-08-26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重合体ペレット、ポリオキシメチレン重合体ペレットの製造方法、及びポリオキシメチレン重合体ペレットの品質評価方法
WO2014050448A1 (ja) 2012-09-26 2014-04-0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延伸繊維
WO2014100657A2 (en) * 2012-12-20 2014-06-26 Ticona Llc Monofilament fibers made from a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CN109280321B (zh) * 2018-08-07 2020-01-21 唐山开滦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聚甲醛薄膜及其制备方法
US20210388534A1 (en) * 2019-11-29 2021-12-1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acetal fiber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aterial for draw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7490A1 (de) * 1979-11-24 1981-06-04 Hoechst Ag, 6000 Frankfurt Polyoxymethylenfibri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731397A (en) * 1985-09-20 1988-03-15 Celanese Corporation Thermal stabilization of acetal polymers
JP3164696B2 (ja) * 1993-06-22 2001-05-0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H07179720A (ja) * 1993-12-22 1995-07-18 Polyplastics Co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H07278407A (ja) * 1994-04-06 1995-10-24 Polyplastics Co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3246862B2 (ja) * 1996-03-11 2002-01-15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安定化法
JPH11209450A (ja) * 1998-01-29 1999-08-03 Toray Ind Inc オキシメチレンコポリマの製造方法
EP0957128B1 (en) * 1998-05-14 2002-10-0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JP3530956B2 (ja) * 1999-07-06 2004-05-24 福井漁網株式会社 複合強化原糸を用いた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構造体
DE19943178A1 (de) * 1999-09-09 2001-03-15 Ticona Gmbh Polyoxymethylen mit verbesserter Stabilität gegen Säuren und seine Verwendung
JP2001158850A (ja) * 1999-12-02 2001-06-12 Polyplastics Co 分岐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DE10061767B4 (de) * 1999-12-17 2009-10-15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acetalharzzusammensetzung
KR100446313B1 (ko) * 2001-06-20 2004-08-30 장홍근 열가소성 수지계 적층물, 그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4907023B2 (ja) 2001-09-18 2012-03-2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繊維の製造方法
US20030105199A1 (en) * 2001-11-16 2003-06-0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4302394B2 (ja) * 2002-12-02 2009-07-2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延伸体の製造方法
JP2005232404A (ja) * 2004-02-23 2005-09-02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2005272707A (ja) * 2004-03-25 2005-10-06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EP1876193B1 (en) * 2005-04-12 2013-12-2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polyoxymethylene co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78627B2 (en) 2012-05-15
KR20090086230A (ko) 2009-08-11
WO2008069184A1 (ja) 2008-06-12
EP2093253B1 (en) 2017-02-08
JPWO2008069184A1 (ja) 2010-03-18
EP2093253A1 (en) 2009-08-26
EP2093253A4 (en) 2011-09-21
CN103642169A (zh) 2014-03-19
KR101456310B1 (ko) 2014-11-03
CN103642169B (zh) 2017-01-11
US20100015458A1 (en) 2010-01-21
KR101535398B1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7911B2 (ja) 樹脂組成物
KR101677301B1 (ko)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KR101494019B1 (ko) 정전기 소산성 폴리아세탈 조성물
KR101535398B1 (ko)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JPS62288649A (ja) ポリアセタ−ルの安定化組成物
CN106795359A (zh) 聚甲醛组合物、 用于制造的方法和由其制备的制品
JP5261933B2 (ja) オキシメチレン複合繊維
KR100601770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EP2902535B1 (en) Multifilament of a polyacetal stretched fiber
JP2014138876A (ja) ポリアセタール含有ブラシ
JP4468086B2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複合繊維
US20080161488A1 (en) Polyoxymethylene blends
JP5612431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52968B1 (ko) 고온 분체 도장용 폴리페닐렌 설파이드/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JP5239158B2 (ja)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延伸材料
EP3653767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acetal fiber
CA2293005A1 (en)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olding characteristics
JPH0368656A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組成物
JPS62263249A (ja) 改良した加水分解安定性を有するポリアセタ−ル組成物
KR102494183B1 (ko) 폴리아세탈 섬유의 제조 방법
JP6965877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350101A (zh) 热塑性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包覆型生物降解树脂制品
KR100769859B1 (ko) 용융장력이 우수한 고온 분체 도장용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수지 조성물
JPH048752A (ja) アクリ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