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961A - 유리판의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961A
KR20140113961A KR1020147020108A KR20147020108A KR20140113961A KR 20140113961 A KR20140113961 A KR 20140113961A KR 1020147020108 A KR1020147020108 A KR 1020147020108A KR 20147020108 A KR20147020108 A KR 20147020108A KR 20140113961 A KR20140113961 A KR 2014011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roller
glass plate
projection
cut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521B1 (ko
Inventor
아키히로 바바
아키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35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17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using moving tools
    • B28D5/0029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using moving tools rot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 C03B23/0254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in a continuous way, e.g. gravity roll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05Details of cutting or scoring means, e.g. t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유리판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롤러 표면에 제1 돌기를 구비한 절단용 롤러를 회전시켜서,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직교하는 절단선의 하방의 상기 유리판의 하부면을 상기 제1 돌기에 의해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유리판을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하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이며, 상기 절단용 롤러의 상기 제1 돌기의 회전 방향 상류측 표면에 제2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판의 절단 장치{DEVICE FOR CUTTING GLASS SUBSTRATES}
본 발명은 유리판의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절단선(절선, 또는 스크라이브 라인이라고도 함)이 가공된 띠 형상 유리판(유리 리본이라고도 함)을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면서,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하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가 특허문헌 1,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절단 장치는 절단용 롤러로서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의 브레이커 롤을 구비하고, 특허문헌 2의 절단 장치는 절단용 롤러로서 가압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절단용 롤러를 회전시켜서, 띠 형상 유리판을 반송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밀어 올리거나, 하방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상기 절단선에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켜서 띠 형상 유리판을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한다.
상기 절단 장치 및 절단선 가공 장치는 플로트법 등에 의한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해 연속해서 제조된 서냉 후의 띠 형상 유리판을, 그대로 반송시키면서 상기 절단선 가공 장치의 커터에 의해 절단선을 가공한다. 절단선의 가공 방향은, 띠 형상 유리판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이다. 절단선의 가공 후, 상기 절단 장치에 의해 띠 형상 유리판을 절단한다. 이에 의해, 띠 형상 유리판으로부터 소정 크기의 직사각 형상 유리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판으로서는, 건축용, 자동차용 등에 사용되는 두께 수㎜ 이상의 것, FPD(Flat Panel Display) 등에 사용되는 두께 1㎜ 이하의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2 외에, 도 10에 도시하는 절단 장치(1)가 사용되고 있다.
도 10은 절단 장치(1)의 측면도이며, 절단용 롤러(4)가 띠 형상 유리판(7)을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절단 장치(1)는 복수개의 롤러(2, 2…, 3, 3…)를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에 절단용 롤러(4)가 구비되어서 구성된다. 절단용 롤러(4)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롤러 표면에 단면이 직사각 형상인 돌기(5)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5)는 절단용 롤러(4)의 회전축(6)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절단용 롤러(4)는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반송 중인 띠 형상 유리판(7)의 절단선(8)이 절단용 롤러(4)에 도달하는 타이밍에서 회전 구동되고, 도달한 절단선(8)의 하방의 하부면을 돌기(5)가 밀어 올림으로써 띠 형상 유리판(7)을 절단선(8)을 따라서 절단한다.
일본 특허 제259605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9-262520호 공보
도 10에 도시한 종래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1)에서, 절단되기 직전의 띠 형상 유리판(7)은 절단선(8)의 하방의 하부면이 돌기(5)에 의해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절단선(8)의 근방부가 상방으로 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띠 형상 유리판(7)이 절단선(8)을 따라서 절단되면, 그 직후에, 도 11과 같이 띠 형상 유리판(7)의 반송 방향 전단부(7A)가 상기 상방으로의 휨의 반동, 즉 스프링백의 작용에 의해 급격하게 하방으로 휘면서 낙하된다. 이로 인해, 절단용 롤러(4)의 롤러 표면(4A)이나 롤러 표면(4A)과 돌기(5)의 경계 코너부(4B)에 띠 형상 유리판(7)의 반송 방향 전단부(7A)가 충돌해서 파손(절결)된다고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띠 형상 유리판(7)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져, 특히 두께 0.7㎜ 이하의 띠 형상 유리판(7)에서는 현저하게 발생하였다. 즉, 띠 형상 유리판(7)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띠 형상 유리판(7)은 휘기 쉽고, 또한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리판을 절단한 직후에 발생하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단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컨베이어에 의해 유리판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롤러 표면에 제1 돌기를 구비한 절단용 롤러를 회전시켜서,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직교하는 절단선의 하방의 상기 유리판의 하부면을 상기 제1 돌기에 의해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유리판을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하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이며,
상기 절단용 롤러의 상기 제1 돌기의 회전 방향 상류측 표면에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있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판의 절단선의 하방의 하부면이 절단용 롤러의 제1 돌기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그 후, 유리판이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되면,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단부는 절단용 롤러의 제1 돌기의 회전 방향 상류측 표면에 형성된 제2 돌기에 접촉하여, 롤러 표면에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 상태에서 절단용 롤러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유리판을 절단한 직후에 발생하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단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에서, 상기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2 돌기의 높이는, 상기 회전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1 돌기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 돌기의 높이와 제1 돌기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제1 돌기의 상면 에지 중 회전 방향 상류측의 에지가 유리판의 절단선의 하방의 하부면을 밀어 올릴 수 있으므로, 유리판을 절단선을 따라서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의 높이 및 제1 돌기의 높이는 각각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심으로부터 제2 돌기의 상면까지의 길이이며,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심으로부터 제1 돌기의 상면까지의 길이이다.
본 발명의 제2 돌기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단부가 롤러 표면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면 된다. 즉,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단부가 절단용 롤러를 통과할 때에 절단용 롤러의 롤러 표면에 낙하시키지 않는 기능을 가지면 된다. 예를 들어, 제2 돌기는 절단용 롤러의 제1 돌기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제1 돌기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볼록부이어도 좋다. 또한, 제2 돌기의 형상은 상기 볼록부로 한정되지 않고, 측단면 부채 형상 부재이어도 좋다.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측단면 부채 형상 부재는 일체물이어도 좋고,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부재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에서, 상기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2 돌기의 높이와, 상기 회전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1 돌기의 높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돌기의 원주 속도는 절단 전의 상기 유리판의 반송 속도와 동일 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판의 절단선의 하방의 하부면이 절단용 롤러의 제1 돌기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그 후, 유리판이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되면,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단부는 제1 돌기의 높이와 동등한 제2 돌기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단부가 절단용 롤러의 롤러 표면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휨이 억제된 상태에서 절단용 롤러를 통과하고, 절단용 롤러의 하류측에 설치된 롤러로 원활하게 전달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 돌기의 높이를 제1 돌기의 높이보다 낮게, 또는 제2 돌기의 높이와 제1 돌기의 높이를 동등하게 하고, 또한 절단용 롤러의 제2 돌기의 원주 속도를 절단 전의 유리판의 반송 속도와 동일 속도로 설정함으로써, 절단용 롤러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지 않고, 유리판의 반송 속도와 제2 돌기의 원주 속도의 차에 기인하는 접촉 흠집을 방지하면서 유리판을 반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동일 속도란, 제2 돌기의 원주 속도와 절단 전의 유리판의 반송 속도의 차가 5% 이내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 돌기의 높이 및 제1 돌기의 높이는 각각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심으로부터 제2 돌기의 상면까지의 길이이며,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심으로부터 제1 돌기의 상면까지의 길이이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에서,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제2 돌기를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함으로써,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단부의 전체 영역이 롤러 표면에 낙하하지 않는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2 돌기는 일체물이어도 좋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부재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에서, 상기 유리판의 두께는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휘기 쉽고 강도가 낮은 0.7㎜ 이하의 유리판을 절단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는 특히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에서, 상기 절단용 롤러의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롤러는 상기 절단용 롤러의 상기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롤러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소정 시간 증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에 의하면, 유리판을 절단한 직후에 발생하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단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판의 절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유리판의 절단 장치의 절단용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a의 절단용 롤러가 띠 형상 유리판을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a는 절단용 롤러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절단용 롤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절단용 롤러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절단용 롤러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절단용 롤러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단용 롤러가 띠 형상 유리판을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에 의한 유리판의 반송 문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a는 절단용 롤러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b는 도 13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c는 도 13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d는 도 13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절단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10)의 상면도이며, 도 2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10)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는, 절단 대상인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을 화살표 A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10)는 절단 대상인 유리판으로서, 휘기 쉽고 강도가 낮은 두께 0.7㎜ 이하의 띠 형상 유리판(12)을 예시하는데, 띠 형상 유리판(12)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휘기 쉽고 강도가 낮은 0.7㎜ 이하의 띠 형상 유리판(12)을 절단하는 경우에, 실시 형태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10)는 특히 효과를 발휘한다.
도 2와 같이 유리판의 절단 장치(10)는 띠 형상 유리판(12)을 절단선(14)을 따라서 절단하는 절단용 롤러(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절단용 롤러(16)를 사이에 두고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하방에는 복수개의 롤러(18, 18…)를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 하방에는 복수개의 롤러(20, 20…)를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롤러(18, 20)는 상면 레벨이 동일 높이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유리판(12)을 절단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절단용 롤러(16)의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 상방에는 가압 롤러(22)가 배치되고,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 상방에는 가압 롤러(24)가 배치된다. 가압 롤러(22, 24)는 절단용 롤러(16)에 대하여 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 롤러(22)는 롤러(18)와 함께 띠 형상 유리판(12)을 상하로 사이에 끼워 넣어서 유지하고, 가압 롤러(24)는 롤러(20)와 함께 절단 직전의 띠 형상 유리판(12) 및 절단 직후의 직사각 형상 유리판(26)을 상하로 사이에 끼워 넣어서 유지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절단용 롤러(16)의 배치 위치를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롤러(18, 20)는 생략하였다. 또한, 도 1과 같이 가압 롤러(22, 24)는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대(도 1에서는 5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유리판(12)은 그 상면에 절단선(14)이 가공되어 있으며, 이 절단선(14)의 가공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가압 롤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띠 형상 유리판(12) 및 직사각 형상 유리판(26)을 상처입히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절단용 롤러(16)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절단용 롤러(16)의 측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는 절단용 롤러(16)의 회전 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내고 있다.
절단용 롤러(16)는 롤러 표면(16A)에 측단면 직사각 형상의 돌기(제1 돌기)(28)가 구비되어 있다. 이 돌기(28)는 절단용 롤러(16)의 회전축(17)과 평행하면서, 또한 절단용 롤러(16)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절단용 롤러(16)는 반송 중인 띠 형상 유리판(12)의 절단선(14)이 절단용 롤러(16)에 도달하는 타이밍에서 회전 구동되고, 도달한 절단선(14)의 하방의 띠 형상 유리판(12)의 하부면을 돌기(28)가 도 4와 같이 밀어 올림으로써 띠 형상 유리판(12)을 절단선(14)을 따라서 절단한다. 제1 돌기(28)의 형상은 측단면 직사각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측단면 만곡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1 돌기(28)의 재질로서는 철, 강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경질 부재이며, 절단용 롤러(16)에 대하여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 예를 들어 감합 형태, 접착 형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띠 형상 유리판(12)이 롤러(18, 18…)에 의해 절단용 롤러(16)를 향해서 반송되고, 그리고 절단선(14)이 절단용 롤러(16)의 앞에 도달하면, 절단용 롤러(16)가 회전을 개시한다. 절단용 롤러(16)의 회전 개시의 지시는 절단용 롤러(16)의 돌기(28)와 절단선(14)의 위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한 방법, 예를 들어 유리판에 접촉하면서 유리판의 반송량을 계측하는 카운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부여한다. 또한, 절단용 롤러(16)의 원주 속도를 롤러(18)의 원주 속도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용 롤러(16)가 회전하면, 돌기(28)에 의해 띠 형상 유리판(12)의 절단선(14)의 하방의 띠 형상 유리판(12)의 하부면이 상측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나가, 띠 형상 유리판(12)의 절단선(14)의 근방부에 굽힘 모멘트가 발생한다. 그리고, 돌기(28)에 의한 띠 형상 유리판(12)의 밀어 올려지는 양이 증가함에 따라, 띠 형상 유리판(12)의 표면에는 인장 응력이 증대되어 간다. 그리고, 절단선(14) 아래의 균열이 갖는 파괴 응력점에 대응하는 인장 응력으로 되면, 그 균열이 성장해서 띠 형상 유리판(12)이 절단선(14)을 따라서 절단되어, 소정의 길이의 직사각 형상 유리판(26)이 띠 형상 유리판(12)으로부터 분리된다. 절단용 롤러(16)는 절단 완료 후도 회전을 더 계속하여, 다음 편평한 롤러 표면(16A)이 띠 형상 유리판(12)의 하부면에 도달했을 때에 회전이 정지되고, 다음 절단선(14)이 도래할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띠 형상 유리판(12)으로부터 직사각 형상 유리판(26)이 분리되면, 절단용 롤러(16)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도 1의 롤러(20, 20…)는 롤러(18)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소정 시간 증속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계속해서 분리된 직사각 형상 유리판(26, 26…)은 소정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에서, 롤러(20, 20…)의 하류측의 판 채취부(도시하지 않음)를 향해서 반송되고, 직사각 형상 유리판(26)끼리의 접촉 및 직사각 형상 유리판(26)과 띠 형상 유리판(12)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시간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이 벌어지는 상태로 할 수 있는 시간이면 된다.
그런데,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용 롤러(16)의 돌기(28)의 회전 방향 상류측 표면에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가 롤러 표면(16A)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제2 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4에 기초하여 절단용 롤러(16)의 작용을 설명한다.
화살표 A 방향으로 반송 중인 띠 형상 유리판(12)의 절단선(14)의 하방의 하부면이,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는 절단용 롤러(16)의 돌기(28)에 의해 밀어 올려져, 띠 형상 유리판(12)이 절단선(14)을 따라서 절단된다. 절단된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는 절단용 롤러(16)의 돌기(28)의 회전 방향 상류측 표면에 형성된 돌기(30)에 접촉하여, 롤러 표면(16A)에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 상태에서 절단용 롤러(16)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실시 형태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10)에 의하면, 띠 형상 유리판(12)을 절단한 직후에 발생하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30)는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28)의 상면(28A)으로부터 롤러 표면(16A)을 향해서 원호 형상의 곡면(30A)을 갖는 측단면 부채 형상 부재이다.
돌기(30)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가 롤러 표면(16A)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면 좋고, 도 3a, 도 3b에 도시한 측단면 부채 형상의 돌기(3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반송 방향 상류측의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가 절단용 롤러(16)를 통과할 때에 절단용 롤러(16)의 롤러 표면(16A)에 낙하시키지 않는 기능을 가지면 된다.
이하, 절단용 롤러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5a는 절단용 롤러(34)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34)의 측면도이다.
절단용 롤러(34)의 롤러 표면(34A)에 형성된 돌기(제2 돌기)(36)의 측면 형상은 도 3b에 도시한 돌기(30)와 동일 형상인데, 도 3a의 돌기(30)는 기둥 형상의 일체물인데 반해, 도 5a에 도시하는 돌기(36)는 측단면 부채 형상의 소편(38, 38…)을 절단용 롤러(34)의 회전축(35)과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구성된 것이다.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절단용 롤러(34)도 도 3a, 도 3b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16)와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또한, 절단용 롤러(34)의 돌기(36)는 돌기(28)보다 높이가 낮다. 즉, 절단용 롤러(34)의 회전축심(35A)으로부터의 돌기(36)의 높이 H1이, 회전축심(35A)으로부터의 돌기(28)의 높이 H2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36)의 높이 H1과 돌기(28)의 높이 H2를 설정함으로써, 돌기(28)의 상면 에지 중 회전 방향 상류측의 에지(28B)가 띠 형상 유리판(12)의 절단선(14)(도 1 참조)의 하방의 하부면을 밀어 올릴 수 있으므로, 띠 형상 유리판(12)을 절단선(14)을 따라서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 6a는 절단용 롤러(40)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40)의 측면도이다.
절단용 롤러(40)의 롤러 표면(40A)에는 돌기(제2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42)는 절단용 롤러(40)의 돌기(28)의 회전 방향 상류측 표면이며 돌기(28)의 근방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절단용 롤러(40)의 회전축(4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28)에 대한 돌기(42)의 간격은 띠 형상 유리판(12)(도 1 등 참조)의 반송 속도와 절단용 롤러(40)의 원주 속도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며,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가 롤러 표면(40A)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돌기(28)와 돌기(42)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돌기(42)를 돌기(28)에 접해서 형성해도 좋다.
도 6a, 도 6b에 도시하는 절단용 롤러(40)도 도 3a, 도 3b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16)와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또한, 절단용 롤러(40)의 돌기(42)는 돌기(28)보다 높이가 낮다. 즉, 절단용 롤러(40)의 회전축심(41A)으로부터의 돌기(42)의 높이 H1이, 회전축심(41A)으로부터의 돌기(28)의 높이 H2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42)의 높이 H1과 돌기(28)의 높이 H2를 설정함으로써, 돌기(28)의 상면 에지 중 회전 방향 상류측의 에지(28B)가 띠 형상 유리판(12)의 절단선(14)(도 1 참조)의 하방의 하부면을 밀어 올릴 수 있으므로, 띠 형상 유리판(12)을 절단선(14)을 따라서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는 도 3a, 도 3b에서 도시한 절단용 롤러(16) 및 도 5a, 도 5b에서 도시한 절단용 롤러(3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도 7a는 절단용 롤러(44)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44)의 측면도이다.
절단용 롤러(44)의 롤러 표면(44A)에 형성된 돌기(제2 돌기)(46)의 측면 형상은 도 6b에 도시한 돌기(42)와 동일 형상인데, 도 6a의 돌기(42)는 기둥 형상의 일체물인데 반해, 도 7a에 도시하는 돌기(46)는 볼록 형상의 소편(48, 48…)을 절단용 롤러(44)의 회전축(45)과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구성된 것이다.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절단용 롤러(34)도 도 3a, 도 3b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16)와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도 8a는 절단용 롤러(50)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50)의 측면도이다.
절단용 롤러(50)의 롤러 표면(50A)에 형성된 돌기(52, 52)는 돌기(28)보다 높이가 낮은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돌기(52, 52)는 절단용 롤러(50)의 돌기(28)의 회전 방향 상류측 표면이며 돌기(28)의 근방에 형성되고, 절단용 롤러(50)의 회전축(5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8a, 도 8b에 도시하는 절단용 롤러(34)도 도 3a, 도 3b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16)와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또한, 돌기(52, 52)는 한 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도 9a는 절단용 롤러(56)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56)의 측면도이다.
절단용 롤러(56)의 롤러 표면(56A)에 형성된 돌기(제2 돌기)(58)는 돌기(28)보다 높이가 낮고, 돌기(28)에 연속한 기둥 형상물이며, 그 상면(58A)은 절단용 롤러(56)의 회전축(57)의 회전축심(57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28)의 상면(28A)도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절단용 롤러(34)도 도 3a, 도 3b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16)와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5 변형예도 일례이며, 본 발명의 제2 돌기는 상기 실시 형태, 제1 내지 제5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송 방향 상류측의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가, 절단용 롤러의 롤러 표면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면 된다.
그런데, 도 10에 도시한 종래의 유리판의 절단 장치(1)에서, 절단되기 직전의 띠 형상 유리판(7)은 절단선(8)의 하방의 하부면이 돌기(5)에 의해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절단선(8)의 근방부가 상방으로 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띠 형상 유리판(7)이 절단선(8)을 따라서 절단되면, 도 12와 같이 띠 형상 유리판(7)의 반송 방향 전단부(7A)가 하방으로 휘면서 진행되어 간다. 절단용 롤러(4)의 회동 동작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절단용 롤러(4)를 사이에 둔 전후의 롤러(2A)와 롤러(3A)의 간격은 다른 롤러(2, 3)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된다. 이 때문에 절단용 롤러(4)로 절단된 띠 형상 유리판(7)의 반송 방향 전단부(7A)는 다른 롤러(3, 3)를 통과할 때보다 하방의 휨이 커진다. 이 현상에 의해, 띠 형상 유리판(7)은 절단용 롤러(4)의 롤러 표면에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띠 형상 유리판(7)에 흠집이 발생하거나, 띠 형상 유리판(7)의 반송 방향 전단부(7A)가 롤러(3A)의 롤러 표면에 충돌함으로써, 띠 형상 유리판(7)에 파손(절결)이 발생하거나, 띠 형상 유리판(7)의 반송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도 13a, 도 13b에는 상기 문제를 해소하는 절단용 롤러(60)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3a는 절단용 롤러(60)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3b는 도 13a에 도시한 절단용 롤러(60)의 측면도이다.
절단용 롤러(60)는 절단용 롤러(60)의 롤러 표면(60A)에 형성된 돌기(제2 돌기)(62)의 회전축심(61A)으로부터의 높이 H1이, 회전축심(61A)으로부터의 돌기(28)의 높이 H2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돌기(62)는 도 13a,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28)의 상면(28A)으로부터 높이 H1을 반경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곡면(62A)을 갖는 측단면 부채 형상 부재이다. 또한, 돌기(62)는 도 13a와 같이 일체물이어도 좋고,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단면 부채 형상의 소편을 절단용 롤러(60)의 회전축(61)과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절단용 롤러(60)의 작용을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띠 형상 유리판(12)의 절단선(14)의 하방의 하부면이 절단용 롤러(60)의 돌기(28)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그 후,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유리판(12)이 절단선(14)을 따라서 절단되면, 도 14b와 같이 반송 방향 상류측의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는 돌기(28)의 높이 H2와 동등한 높이 H1의 돌기(62)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절단용 롤러(60)에 의하면,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가 절단용 롤러(60)의 롤러 표면(60A)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도 14c, 도 14d와 같이, 돌기(62)에 의해 반송 방향 전단부(12A)의 휨이 억제된 상태에서 절단용 롤러(60)를 통과하고, 절단용 롤러(60)의 하류측에 설치된 롤러(20, 20…)로 원활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절단용 롤러(60)에 의하면, 띠 형상 유리판(12)을 절단한 직후에 발생하는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띠 형상 유리판(12)을 절단용 롤러(60)로부터 하류측으로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돌기(62)의 높이 H1과 돌기(28)의 높이 H2를 동등하게 하고, 또한 절단용 롤러(60)의 돌기(62)의 원주 속도를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속도와 동일 속도로 설정함으로써, 절단용 롤러(6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지 않고,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속도와 돌기(62)의 원주 속도의 차에 기인하는 접촉 흠집을 방지하면서 띠 형상 유리판(12)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절단용 롤러(60)의 돌기(62)의 원주 속도는 도 14d의 대기 위치로부터 도 14c의 위치까지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속도와 동일 속도로 설정되고, 도 14c의 위치로부터 도 14d의 대기 위치까지는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속도보다 고속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돌기를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함으로써, 반송 방향 상류측의 띠 형상 유리판(12)의 반송 방향 전단부(12A)의 전체 영역이 롤러 표면에 낙하하지 않는다.
또한, 제2 돌기의 재질로서는 고무, 우레탄, 발포 스티롤 등, 금속을 제외하는 연질 부재이며, 절단용 롤러(16)에 대하여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 예를 들어 감합 형태, 접착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절단 대상인 유리판은 띠 형상 유리판(12)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송하면서 절단용 롤러에 의해 절단되는 직사각 형상 유리판이면 좋고, 그 형상은 어떤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수정이나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2년 1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2-010152 및 2012년2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2-043644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0… 유리판의 절단 장치
12… 띠 형상 유리판
12A… 반송 방향 전단부
14… 절단선
16… 절단용 롤러
16A… 롤러 표면
17… 회전축
18… 롤러
20… 롤러
22… 가압 롤러
24… 가압 롤러
26… 직사각 형상 유리판
28… 돌기
30… 돌기
34… 절단용 롤러
36… 돌기
38… 소편
40… 절단용 롤러
41… 회전축
42… 돌기
44… 절단용 롤러
45… 회전축
46… 돌기
48… 소편
50… 절단용 롤러
51… 회전축
52… 돌기
56… 절단용 롤러
57… 회전축
58… 돌기
60… 절단용 롤러
61… 회전축
62… 돌기

Claims (7)

  1. 컨베이어에 의해 유리판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롤러 표면에 제1 돌기를 구비한 절단용 롤러를 회전시켜서,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직교하는 절단선의 하방의 상기 유리판의 하부면을 상기 제1 돌기에 의해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유리판을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하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이며,
    상기 절단용 롤러의 상기 제1 돌기의 회전 방향 상류측 표면에 제2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2 돌기의 높이는, 상기 회전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1 돌기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2 돌기의 높이와, 상기 회전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1 돌기의 높이가 동등한 유리판의 절단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의 원주 속도는 절단 전의 상기 유리판의 반송 속도와 동일 속도인 유리판의 절단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절단용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의 두께는 0.7㎜ 이하인 유리판의 절단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롤러의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롤러는, 상기 절단용 롤러의 상기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롤러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소정 시간 증속하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
KR1020147020108A 2012-01-20 2012-12-27 유리판의 절단 장치 KR101632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0152 2012-01-20
JP2012010152 2012-01-20
JPJP-P-2012-043644 2012-02-29
JP2012043644 2012-02-29
PCT/JP2012/084003 WO2013108568A1 (ja) 2012-01-20 2012-12-27 ガラス板の切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961A true KR20140113961A (ko) 2014-09-25
KR101632521B1 KR101632521B1 (ko) 2016-06-21

Family

ID=4879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108A KR101632521B1 (ko) 2012-01-20 2012-12-27 유리판의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5605726B2 (ko)
KR (1) KR101632521B1 (ko)
CN (2) CN104080747B (ko)
TW (1) TWI506000B (ko)
WO (1) WO2013108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6857B2 (en) * 2012-11-15 2015-09-08 Corning Incorporated Separation apparatuses for separating sheets of brittle material and methods for separating sheets of brittle material
JP6213188B2 (ja) * 2013-11-27 2017-10-18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切断装置、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US10494289B2 (en) * 2015-01-29 2019-12-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respective sections from a glass web
KR20180075707A (ko) 2015-11-25 2018-07-0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웹의 분리 방법들
JP6838373B2 (ja) * 2016-12-02 2021-03-0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の折割装置
CN110678423B (zh) 2017-03-22 2022-05-13 康宁股份有限公司 分离玻璃板条的方法
FR3066488B1 (fr) * 2017-05-19 2022-03-04 Saint Gobain Procede de rompage d'une feuille de verre
JP7070236B2 (ja) * 2018-08-21 2022-05-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管状ガラス切断装置及び管状ガラス切断方法
WO2020086274A1 (en) * 2018-10-25 2020-04-30 Corning Incorporated Scrim glass management
KR20220166613A (ko) * 2021-06-10 2022-12-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파쇄 장치, 유리 처리 시스템, 및 유리 처리 방법
CN114195374B (zh) * 2021-11-16 2024-04-23 兆虹精密(北京)科技有限公司 超薄玻璃的切断装置
WO2024070013A1 (ja) * 2022-09-29 2024-04-04 吉野石膏株式会社 切断装置、板状体の製造装置、石膏板製造装置、石膏板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054B2 (ja) 1988-03-31 1997-04-02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切断方法
JP2009262520A (ja) 2008-04-28 2009-11-12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脆性材料ブレーク装置及び脆性材料ブレーク方法
KR20110125977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글래스 패널 절단용 브레이킹 롤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0354Y2 (ko) * 1971-07-07 1975-09-05
JPS4869811A (ko) * 1971-12-24 1973-09-21
SU513016A1 (ru) * 1973-01-02 1976-05-05 Салаватский завод технического стекл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ломки бортов листового стекла
JPS57109918A (en) * 1980-12-26 1982-07-08 Toshiba Corp Cutting device of glass substrate
JPS6054482A (ja) * 1983-09-05 1985-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基板の折割装置
JP2640848B2 (ja) * 1988-12-26 1997-08-13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切断端材処理装置及び版材切断装置
JP2007076953A (ja) * 2005-09-14 2007-03-29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切断装置
KR100596130B1 (ko) * 2006-02-06 2006-07-0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용 기판 절단장치
DE102007043567B3 (de) * 2007-09-13 2008-10-02 Grenzebach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ennen von Glasplatten
CN202021392U (zh) * 2011-01-13 2011-11-02 上海向隆电子科技有限公司 切割工具及其切割工具模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054B2 (ja) 1988-03-31 1997-04-02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切断方法
JP2009262520A (ja) 2008-04-28 2009-11-12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脆性材料ブレーク装置及び脆性材料ブレーク方法
KR20110125977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글래스 패널 절단용 브레이킹 롤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108568A1 (ja) 2015-05-11
CN104080747A (zh) 2014-10-01
JP2014240354A (ja) 2014-12-25
JP5720915B2 (ja) 2015-05-20
KR101632521B1 (ko) 2016-06-21
WO2013108568A1 (ja) 2013-07-25
JP5605726B2 (ja) 2014-10-15
CN104080747B (zh) 2016-05-18
CN105776836B (zh) 2018-04-24
CN105776836A (zh) 2016-07-20
TWI506000B (zh) 2015-11-01
TW201335086A (zh) 201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521B1 (ko) 유리판의 절단 장치
KR102184301B1 (ko) 유리 필름 리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 리본 제조 장치
JP6738557B2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TWI694975B (zh) 貼合基板之分斷裝置
EP2900609B1 (en) Methods of processing a continuous glass ribbon
KR102237439B1 (ko) 유리판의 절단 장치, 유리판의 절단 방법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
TWI754750B (zh) 玻璃間隔紙、玻璃板捆包體、玻璃間隔紙積層方法及玻璃間隔紙積層裝置
JP2015174694A (ja) ガラスフィルム及びガラスロール
EP2918558A1 (en) Initial crack formation device, and formation method
CN110023255B (zh) 玻璃板的制造方法及玻璃板的折断装置
JP5012923B2 (ja) 板ガラスの切線加工装置及び切線加工方法
JP6032428B2 (ja) ガラスフィルム切断装置及びガラスフィルム切断方法
TWI591030B (zh) Substrate breaking device
WO2017095859A1 (en) Glass web separating devices and methods
JP7336071B2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9957187B2 (en) Brittle plate processing method and brittle plate processing apparatus
JP2011026137A (ja) ブレイクバー及びブレイク方法
CN102815499A (zh) 输送带装置
JP5480315B2 (ja) ウエブ切断方法、及びウエブ切断装置
WO2011064931A1 (ja) ガラス板の廃棄装置
KR102221540B1 (ko) 유리 필름 리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 리본 제조 장치
CN107922238B (zh) 利用辊的非金属材料的切割装置及切割方法
JP2006341351A (ja) 帯状金属板のせん断装置
WO2018180378A1 (ja) 帯状金属材、スリット方法並びに帯状材の蛇行測定方法
JP2019141998A (ja) 帯状金属材、スリット方法並びに帯状材の蛇行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