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613A - 유리 파쇄 장치, 유리 처리 시스템, 및 유리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파쇄 장치, 유리 처리 시스템, 및 유리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613A
KR20220166613A KR1020210075578A KR20210075578A KR20220166613A KR 20220166613 A KR20220166613 A KR 20220166613A KR 1020210075578 A KR1020210075578 A KR 1020210075578A KR 20210075578 A KR20210075578 A KR 20210075578A KR 20220166613 A KR20220166613 A KR 20220166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oller
breaking
crush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가현
김준우
김의호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007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6613A/ko
Priority to CN202280047387.9A priority patent/CN117597196A/zh
Priority to EP22732794.7A priority patent/EP4351796A1/en
Priority to PCT/US2022/031010 priority patent/WO2022260863A1/en
Publication of KR2022016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286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35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8Severing cooled glass by fusing, i.e. by melting through the glass
    • C03B33/082Severing cooled glass by fusing, i.e. by melting through the glass using a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9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9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 C03B33/091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using at least one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bea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는, 유리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 조립체로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파쇄 핀을 포함하는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는 제2 브레이킹 롤러;를 포함하는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 파쇄 장치, 유리 처리 시스템, 및 유리 처리 방법{A GLASS BREAKING APPARATUS, A GLASS PROCESSING SYSTEM, AND A GLASS PROCESSING METHOD}
본 개시는 유리 롤을 형성하기 위한 유리 처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상기 유리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유리 파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유리는 굽힘 가능하고(bendable) 유연할(flexible) 수 있다. 이러한 굽힘 가능하고 유연한 유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건물 내부 및 외부 장식 자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유리는 롤로 감겨져 유리 롤의 형태로 저장 및 운반될 수 있다. 한편, 최종 소비자 용도에 따라 필요한 유리의 폭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폭을 갖는 유리 롤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고, 절단된 유리를 파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유리 롤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유리 롤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서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유리 파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로 유리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유리를 파쇄(break)하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breaking roller) 조립체로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파쇄 핀을 포함하는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는 제2 브레이킹 롤러;를 포함하는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리 파쇄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된 제1 컨베이어 롤러;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보다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에 가깝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된 제2 컨베이어 롤러;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를 감싸고, 상기 유리와 맞닿는 이송 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송 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송 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유리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파쇄 핀의 일 부분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오프닝을 갖는 제1 회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오프닝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파쇄 핀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결합 오프닝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부분; 상기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ed) 형상으로 제공되는 파쇄 부분; 및 상기 결합 부분 및 상기 파쇄 부분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파쇄 부분의 단면은, 삼각형, 사다리꼴, 반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상기 제1 회전 몸체는, 상기 결합 오프닝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과하는 체결 홈을 갖고, 상기 파쇄 핀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체결 홈과 중첩된 체결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파쇄 핀의 상기 체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체결 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 핀을 상기 제1 회전 몸체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상기 수용 홈을 갖는 제2 회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제2 회전 몸체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제2 회전 몸체의 상기 회전 축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1 기어;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된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유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유리 공급 장치; 상기 유리를 절단 유리 및 잔여 유리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유리 절단 장치; 유리 롤을 형성하도록 상기 잔여 유리를 감도록 구성된 유리 와인딩 장치; 및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유리 파쇄 장치로서, 상기 잔여 유리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파쇄 핀을 포함하는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는 제2 브레이킹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 공급 장치는, 초기 유리 롤로부터 상기 유리를 풀도록 구성된 유리 언와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 절단 장치는, 상기 유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 파쇄 장치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된 제1 컨베이어 롤러; 상게 제1 컨베이어 롤러보다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에 가깝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된 제2 컨베이어 롤러;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를 감싸고, 상기 잔여 유리와 맞닿는 이송 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송 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송 면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파쇄 핀의 일 부분을 끼움 결합 시키기 위한 결합 오프닝을 갖는 제1 회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오프닝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파쇄 핀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결합 오프닝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부분; 상기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공되는 파쇄 부분; 및 상기 결합 부분 및 상기 파쇄 부분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상기 제1 회전 몸체는, 상기 결합 오프닝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과하는 체결 홈을 갖고, 상기 파쇄 핀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체결 홈과 중첩된 체결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 파쇄 장치는, 상기 파쇄 핀의 상기 체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체결 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 핀을 상기 제1 회전 몸체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상기 수용 홈을 갖는 제2 회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제2 회전 몸체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단면의 지름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의 단면의 지름 각각은 30 밀리미터 내지 70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를 통해 잔여 유리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잔여 유리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 유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파쇄 핀을 갖는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잔여 유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는 제2 브레이킹 롤러 사이에 상기 잔여 유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잔여 유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파쇄 핀을 통해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초기 유리 롤로부터 유리를 푸는 단계; 상기 유리가 절단 유리 및 상기 잔여 유리로 분리되도록 상기 유리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 유리를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롤러 조립체는 제1 방향으로 유리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쇄 롤러 조립체를 이용한 유리 파쇄 공정에서, 유리는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고, 유리 파쇄 공정의 수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롤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레이킹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핀이 분리된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핀의 파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레이킹 롤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에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레이킹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를 이용한 유리 파쇄 공정의 단계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시스템의 유리 공급 장치, 유리 절단 장치, 및 유리 와인딩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시스템의 유리 파쇄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들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개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개념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 개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개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 개념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개시 개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등의 표현은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개시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glass breaking apparatus, 10)의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10)는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도 13, G)는 최종 소비자의 용도에 따라 필요한 폭으로 절단될 수 있다. 필요한 폭으로 절단된 절단 유리(도 13, G_r)는 롤로 감겨져 유리 롤의 형태로 저장 및 운반될 수 있고, 절단 공정 이후 남은 잔여 유리(도 13, G_b)는 파쇄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10)는 유리(G)의 절단 공정 이후 남은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에 첨부된 본 개시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잔여 유리(G_b)를 유리(G_b)로 지칭하도록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리(G_b)는 얇고 유연한(flexible) 유리일 수 있다. 또한, 유리(G_b)의 두께는 상기 유리(G_b)의 폭 및 상기 유리(G_b)의 제1 방향의 길이보다 매우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G_b)의 두께는 약 1 밀리미터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G_b)의 두께는 약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3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10)는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유리(G_b)를 파쇄(break)하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breaking roller) 조립체(200),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20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프레임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는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의 컨베이어 벨트(150)의 면들 중 유리(G_b)와 맞닿는 이송 면(150S)이 이동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는 제1 컨베이어 롤러(110), 제2 컨베이어 롤러(130), 컨베이어 벨트(150), 및 컨베이어 모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의 구성 요소들에 관련된 기술적 사상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받은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제1 방향으로 유리(G_b)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유리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유리 이송 장치, 및 상기 유리 이송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리의 상면을 찍어 상기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파쇄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의 파쇄 조립체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리의 상면을 찍어 상기 유리를 파쇄할 때, 상기 유리는 상기 파쇄 조립체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즉, 유리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 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를 이용한 유리 파쇄 공정의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제1 방향으로 유리(G_b)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쇄 롤러 조립체(200)를 이용한 유리 파쇄 공정에서, 유리(G_b)는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고, 유리 파쇄 공정의 수율이 증가할 수 있다.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파쇄 핀(breaking pin, 도 3, 215)을 포함하고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파쇄 핀(215)을 수용하는 수용 홈(도 9, 220G)을 갖고 상기 수용 홈(220G)이 상기 파쇄 핀(215)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브레이킹 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쇄 롤러 조립체(200)의 구성 요소들에 관련된 기술적 사상은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프레임들(300)은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 및 파쇄 롤러 조립체(200)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20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는 제1 방향으로 유리(G_b)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G)의 절단 공정 이후 남은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는 제1 컨베이어 롤러(110), 제2 컨베이어 롤러(130), 컨베이어 벨트(150), 및 컨베이어 모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롤러(110)는 복수의 프레임들(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 롤러(130)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110)보다 파쇄 롤러 조립체(200)에 가깝도록 복수의 프레임들(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제2 컨베이어 롤러(1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50)는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제2 컨베이어 롤러(130)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150)는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제2 컨베이어 롤러(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130)의 회전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50)는 유리(G_b)와 맞닿는 이송 면(150S)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이송 면(150S)은 컨베이어 벨트(150)의 상면일 수 있다.
컨베이어 모터(170)는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제2 컨베이어 롤러(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모터(170)는 회전할 수 있고, 기어(gear)의 조합을 통해 회전력을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제2 컨베이어 롤러(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롤러 조립체(200)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롤러 조립체(2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핀(215)이 분리된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핀(215)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핀(215)의 파쇄 부분(2155)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개시의 에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롤러 조립체(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받은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제1 방향으로 유리(G_b)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파쇄 핀(215)을 포함하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파쇄 핀(215)을 수용하는 수용 홈(220G)을 갖는 제2 브레이킹 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쇄 핀(215)을 포함하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레이킹 롤러(220)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최하부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최상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220)는 상호 맞물리면서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브레이킹 롤러(210)는 컨베이어 벨트(150)의 이송 면(150S)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브레이킹 롤러(220)는 컨베이어 벨트(150)의 이송 면(150S)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 벨트(150)의 이송 면(150S)의 레벨은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최하부의 레벨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최상부의 레벨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50)로부터 반출된 유리(G_b)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 사이로 진입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회전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파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유리 파쇄 장치(10)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와 연결되고 프레임(300)의 외측에 배치된 제1 기어(510), 제2 브레이킹 롤러(22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510)와 맞물리도록 프레임(300)의 외측에 배치된 제2 기어(530), 및 제1 기어(510) 및 제2 기어(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프레임(300)의 외측에 배치된 구동 기어(5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리 파쇄 장치(10)는 상기 구동 기어(55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 모터(57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쇄 롤러 모터(570)가 구동 기어(550)를 동작시킴에 따라, 제1 기어(510) 및 제2 기어(530)는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510) 및 제2 기어(53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는 회전하여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파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레이킹 롤러(2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레이킹 롤러(210)는 제1 회전 몸체(213) 및 파쇄 핀(2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회전 몸체(213)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몸체(213)는 상기 제1 회전 몸체(213)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쇄 핀(215)의 일 부분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오프닝(213_T)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몸체(213)는 결합 오프닝(213_T)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회전 몸체(213)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과하고, 상기 제1 회전 몸체(213)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체결 홈들(213_G)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쇄 핀(215)은 제1 회전 몸체(213)의 결합 오프닝(213O)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몸체(213)에 1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파쇄 핀(215)은 상기 파쇄 핀(215)의 체결 홀(도 6, 215H) 및 상기 제1 회전 몸체(213)의 체결 홈(213_G)을 통과는 체결 부재(도 8, 270)에 의해 제1 회전 몸체(213)에 2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체결 홈들(213_G)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파쇄 핀들(215) 사이의 이격 거리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파쇄 핀들(215)이 필요에 따라 제1 회전 몸체(213)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제공되는 파쇄 부분(도 6, 2155)을 포함하는 파쇄 핀들(215)이 필요에 따라 제1 회전 몸체(213)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몸체(213)를 회전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잘랐을 경우, 상기 제1 회전 몸체(213)의 단면의 지름은 약 30 밀리키터 내지 약 70밀리미터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파쇄 핀(215)은 결합 부분(2153), 파쇄 부분(2155), 및 연결 부분(2157)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쇄 핀(215)의 결합 부분(2153)은 제1 회전 몸체(213)의 결합 오프닝(213_T)에 끼움 결합되는 파쇄 핀(215)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쇄 핀(215)의 결합 부분(2153)의 단면의 형상은 제1 회전 몸체(213)의 결합 오프닝(213_T)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몸체(213)의 결합 오프닝(213_T)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상기 파쇄 핀(215)의 결합 부분(2153)의 단면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쇄 핀(215)의 결합 부분(2153)은 제1 회전 몸체(213)의 체결 홈(213_G)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된 체결 홀(215H)을 가질 수 있다. 파쇄 핀(215)의 체결 홀(215H) 및 제1 회전 몸체(213)의 체결 홈(213_G)은 체결 부재(27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쇄 핀(215)은 상기 체결 홀(215H) 및 상기 체결 홈(213_G)을 통과하는 체결 부재(270)에 의해 제1 회전 몸체(213)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쇄 핀(215)의 파쇄 부분(2155)은 유리 파쇄 공정에서 유리(G_b)와 맞닿고, 상기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파쇄 핀(215)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쇄 부분(2155)은 결합 부분(2153)의 상부에 있을 수 있다. 또한, 파쇄 부분(2155)은 결합 부분(2153)으로부터 멀어질수록(즉, 유리(G_b)와 가까워질수록) 수평 방향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ed) 형상일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파쇄 부분(2155)의 단면은 삼각형(2155a)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쇄 부분(2155)의 단면은 예각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7의 (b)를 참조하면 파쇄 부분(2155)의 단면은 윗변의 길이가 아랫 변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2155b)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7의 (c)를 참조하면 파쇄 부분(2155)의 단면은 반원(2155c) 형상일 수 있다. 다만, 파쇄 부분(2155)의 단면의 형상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2157)은 결합 부분(2153) 및 파쇄 부분(2155)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파쇄 핀(215)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분(2157)은 결합 부분(2153) 및 파쇄 부분(2155) 사이에 배치된 기둥(post)일 수 있다. 연결 부분(2157)은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연결 부분(2157)의 형상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리 파쇄 장치(10)는 파쇄 핀(215)을 제1 회전 몸체(213)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270)는 파쇄 핀(215)의 체결 홀(215H) 및 상기 제1 회전 몸체(213)의 체결 홈(213_G)을 통과하여, 파쇄 핀(215)을 제1 회전 몸체(2132)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쇄 핀(215)은 제1 회전 몸체(213)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되는 파쇄 부분(2155)을 갖는 파쇄 핀(215)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1 회전 몸체(21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파쇄 대상인 유리(G_d)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되는 파쇄 부분(2155)을 갖는 파쇄 핀들(215) 중 어느 하나의 파쇄 핀이 결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브레이킹 롤러(220)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브레이킹 롤러(220)는 제2 회전 몸체(223), 및 상기 제2 회전 몸체(223)의 일 부분에 제공되고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파쇄 핀(215)을 수용하는 수용 홈(220G)을 가질 수 있다.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는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수용 홈(220G)이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파쇄 핀(215)과 맞물리도록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수용 홈(220G)은 제2 회전 몸체(223)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파쇄 핀(215)이 제1 회전 몸체(213)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파쇄 핀(215)을 수용하는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수용 홈(220G)은 제2 회전 몸체(223)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수용 홈(220G)의 단면은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파쇄 핀(215)의 파쇄 부분(2155)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쇄 핀(215)의 파쇄 부분(2155)이 제1 회전 몸체(213)의 회전 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인 경우,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수용 홈(220G)은 제2 회전 몸체(223)의 회전 축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회전 몸체(223)를 회전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잘랐을 경우, 상기 제2 회전 몸체(223)의 단면의 지름은 약 30 밀리키터 내지 약 70밀리미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브레이킹 롤러(220)를 회전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했을 경우,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수용 홈(220G)의 단면은 역-삼각형, 역-사다리꼴, 및 역-반원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10)를 이용한 유리 파쇄 공정의 단계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10)를 이용한 유리 파쇄 공정은,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를 통해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받은 유리(G_b)를 파쇄 롤러 조립체(200)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리(G_b)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리(G_b)는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의 컨베이어 벨트(150)의 이송 면(150S)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유리(G_b)는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제2 컨베이어 롤러(130)의 회전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리(G_b)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브레이킹 롤러(210)가 컨베이어 벨트(150)의 이송 면(150S)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브레이킹 롤러(220)가 컨베이어 벨트(150)의 이송 면(150S)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어서, 유리(G_b)는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22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유리(G_b)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하면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상기 유리(G_b)는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회전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파쇄 롤러 조립체(200)가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상기 유리(G_b)를 파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파쇄 핀(215)이 제1 회전 몸체(213)의 회전을 통해 유리(G_b)와 컨택하는 경우, 상기 파쇄 핀(215)은 유리(G_b)를 파쇄시킬 수 있다.
파쇄 롤러 조립체(200)에 의해 파쇄된 파쇄 유리(G_c)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 사이를 통과하여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 낙하된 파쇄 유리(G_c)는 파쇄 롤러 조립체(200)의 하부에 배치된 용기(700)에 수용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의 파쇄 조립체는 유리의 이동 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리의 상면을 찍어 상기 유리를 파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리는 상기 파쇄 조립체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즉, 유리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 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를 이용한 유리 파쇄 공정의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10)의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제1 방향으로 유리(G_b)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 파쇄 공정에서, 유리(G_b)는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고, 유리 파쇄 공정의 수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시스템(1)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시스템(1)의 유리 공급 장치(20), 유리 절단 장치(30), 및 유리 와인딩 장치(4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시스템(1)의 유리 파쇄 장치(1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예 따른 유리 처리 시스템(1)은 유리 공급 장치(20), 유리 절단 장치(30), 유리 와인딩 장치(40), 및 유리 파쇄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시스템(1)은 유리(G)를 최종 소비자의 용도에 따라 필요한 폭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절단 유리(G_r)를 유리 롤의 형태로 만들고, 절단되고 남은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처리 시스템(1)은 초기 유리 롤(R0)을 풀어 유리(G)를 제공하고, 유리(G)를 최종 소비자의 용도에 따라 필요한 폭으로 절단하고, 절단 유리(G_r)를 감아 새로운 유리 롤(R1)을 형성하는 롤-투-롤(roll-to-roll) 공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유리 처리 시스템(1)은 절단되고 남은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G)는 얇고 유연할 수 있다. 또한, 유리(G)의 두께는 상기 유리(G)의 폭 및 상기 유리(G)의 제1 방향의 길이보다 매우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G)의 두께는 약 1 밀리미터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G)의 두께는 약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3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유리 공급 장치(20)는 유리(G)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공급 장치(20)는 초기 유리 롤(R0)을 풀어 판(plate) 형상의 유리(G)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리 공급 장치(20)는 초기 유리 롤(R0)로부터 유리(G)를 풀도록 구성된 유리 언와인더(unwind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유리 공급 장치(20)의 종류는 유리 언와인더에 제한되지 않는다.
초기 유리 롤(R0)로부터 풀려서 형성된 유리(G)의 가장자리는 크랙(crack)과 같음 초기 결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리(G)를 그대로 가공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상기 초기 결함으로부터 발생되는 추가적인 후속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 유리 롤(R0)로부터 풀린 유리(G)의 가장자리의 일 부분은 제거될 필요가 있다.
유리 절단 장치(30)는 초기 결함을 갖는 유리(G)의 가장자리의 일 부분을 제거하고, 최종 소비자의 용도에 따라 필요한 폭으로 상기 유리(G)를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리 절단 장치(30)는 유리(G)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리 절단 장치(30)는 유리(G)를 절단 유리(G_r) 및 잔여 유리(G_b)로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절단 장치(30)는 유리(G)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상기 유리(G)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는 CO2 레이저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리 절단 장치(30)는 레이저 광을 변형시키기 위한 광학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절단 장치(30)는 편광기, 빔 익스팬더(beam expander), 및 빔 쉐이핑(beam shaping)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절단 장치(30)는 거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절단 장치(30)는 레이저 광이 조사되어 가열된 유리(G)의 일 부분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장치는 예를 들어 유리(G)의 표면 상에 냉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제는 임의의 액체, 기체, 또는 이들의 조합, 예를 들어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절단 장치(30)를 통해 생성된 절단 유리(G_r)는 새로운 유리 롤(R1) 형성을 위해 유리 와인딩 장치(40)로 이동할 수 있고, 잔여 유리(G_b)는 파쇄를 위해 유리 파쇄 장치(10)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리 와인딩 장치(40)는 절단 유리(G_r)를 감아 새로운 유리 롤(R1)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와인딩 장치(40)는 절단 유리(G_r)를 감도록 구성된 유리 와인더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10)는 유리 절단 장치(30)에 의해 절단되고 남은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 파쇄 장치(10)에 관련된 기술적 사상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10)는 잔여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 조립체(200),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20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프레임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조립체(100)는 복수의 프레임들(300) 사이에 배치된 제1 컨베이어 롤러(110),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110)보다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200)에 가깝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300) 사이에 배치된 제2 컨베이어 롤러(130),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130)를 감싸고 상기 잔여 유리(G_b)와 맞닿는 이송 면(150S)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150),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모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잔여 유리(G_b)의 이송 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파쇄 핀(215)을 포함하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파쇄 핀(215)을 수용하는 수용 홈(220G)을 갖는 제2 브레이킹 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레이킹 롤러(210)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 오프닝(213_T)을 갖는 제1 회전 몸체(213), 및 상기 제1 회전 몸체(213)의 결합 오프닝(213_T)에 끼움 결합되고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파쇄 핀(2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레이킹 롤러(220)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파쇄 핀(215)을 수용하는 수용 홈(220G)을 갖는 제2 회전 몸체(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220G)은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잔여 유리(G_b)는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잔여 유리(G_b)는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를 통해 파쇄 롤러 조립체(20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잔여 유리(G_b)는 파쇄 롤러 조립체(200)의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잔여 유리(G_b)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하면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상기 잔여 유리(G_b)는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회전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파쇄 롤러 조립체(200)가 잔여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상기 잔여 유리(G_b)를 파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파쇄 핀(215)이 제1 회전 몸체(213)의 회전을 통해 잔여 유리(G_b)와 컨택하는 경우, 상기 파쇄 핀(215)은 잔여 유리(G_b)를 파쇄시킬 수 있다.
파쇄 롤러 조립체(200)에 의해 파쇄된 파쇄 유리(G_c)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 사이를 통과하여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파쇄 유리(G_c)는 파쇄 롤러 조립체(200)의 하부에 배치된 용기(70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방법(S100, S200)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방법(S100)은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를 통해 잔여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1100),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받은 잔여 유리(G_b)를 파쇄 롤러 조립체(200)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는 단계(S120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0 단계에서,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는 잔여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는 제1 컨베이어 롤러(110), 제2 컨베이어 롤러(130),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130)를 감싸는 컨베이어 벨트(150),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모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100 단계에서, 컨베이어 벨트(150)의 안착 면(150S) 상에 안착된 잔여 유리(G_b)는 제1 컨베이어 롤러(110) 및 제2 컨베이어 롤러(130)의 회전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S1200 단계에서,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받은 잔여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파쇄 핀(15)을 포함하고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파쇄 핀(215)을 수용하는 수용 홈(220G)을 갖고 상기 수용 홈(220G)이 상기 파쇄 핀(215)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브레이킹 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200 단계에서, 잔여 유리(G_b)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브레이킹 롤러(210)가 컨베이어 벨트(150)의 이송 면(150S)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브레이킹 롤러(220)가 컨베이어 벨트(150)의 이송 면(150S)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어서, 잔여 유리(G_b)는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22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S1200 단계에서, 잔여 유리(G_b)는 제1 브레이킹 롤러(210)의 하면 및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상기 잔여 유리(G_b)는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210)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220)의 회전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파쇄 롤러 조립체(200)가 잔여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파쇄 핀(215)을 통해 상기 잔여 유리(G_b)를 파쇄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방법(S200)은 초기 유리 롤(R0)로부터 유리(G)를 푸는 단계(S2100), 상기 유리(G)가 절단 유리(G_r) 및 잔여 유리(G_b)로 분리되도록 상기 유리(G)를 절단하는 단계(S2200), 절단 유리(G_r)를 감는 단계(S2300), 및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는 단계(S2400)를 포함할 수 있다.
S2100 단계에서, 유리 공급 장치(20)는 판 형상의 유리(G)를 제공하기 위해 초기 유리 롤(R0)을 풀 수 있다. 예를 들어, S2100 단계에서, 초기 유리 롤(R0)로부터 유리(G)를 풀도록 구성된 유리 언와인더가 사용될 수 있다.
S2200 단계에서, 유리 절단 장치(30)는 유리(G)가 절단 유리(G_r) 및 잔여 유리(G_b)로 분리되도록 상기 유리(G)를 절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리 절단 장치(30)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유리(G)를 절단 유리(G_r) 및 잔여 유리(G_b)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절단 유리(G_r)는 새로운 유리 롤(R1)을 형성하는 공정을 위한 유리일 수 있고, 상기 잔여 유리(G_b)는 파쇄 공정을 위한 유리일 수 있다.
S2300 단계에서, 유리 와인더는 절단 유리(G_r)를 감아 새로운 유리 롤(R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S2300 단계에서 제조된 유리 롤(R1)은 최종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S2400 단계에서, 파쇄 롤러 조립체(200)는 잔여 유리(G_b)를 파쇄할 수 있다. 파쇄 롤러 조립체(200)에 의해 파쇄된 잔여 유리(G_b)는 새로운 유리를 제조하는 공정 챔버의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2400 단계는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를 통해 잔여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받은 잔여 유리(G_b)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잔여 유리(G_b)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400 단계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S1200 단계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7)

  1. 유리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유리를 파쇄(break)하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breaking roller) 조립체로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파쇄 핀을 포함하는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는 제2 브레이킹 롤러;를 포함하는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
    를 포함하는 유리 파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프레임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된 제1 컨베이어 롤러;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보다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에 가깝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된 제2 컨베이어 롤러;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를 감싸고, 상기 유리와 맞닿는 이송 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송 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송 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유리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파쇄 핀의 일 부분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오프닝을 갖는 제1 회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오프닝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핀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결합 오프닝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부분;
    상기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ed) 형상으로 제공되는 파쇄 부분; 및
    상기 결합 부분 및 상기 파쇄 부분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부분의 단면은,
    삼각형, 사다리꼴, 반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상기 제1 회전 몸체는,
    상기 결합 오프닝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과하는 체결 홈을 갖고,
    상기 파쇄 핀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체결 홈과 중첩된 체결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핀의 상기 체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체결 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 핀을 상기 제1 회전 몸체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상기 수용 홈을 갖는 제2 회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제2 회전 몸체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제2 회전 몸체의 상기 회전 축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1 기어;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된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13. 유리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유리 공급 장치;
    상기 유리를 절단 유리 및 잔여 유리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유리 절단 장치;
    유리 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단 유리를 감도록 구성된 유리 와인딩 장치; 및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유리 파쇄 장치로서, 상기 잔여 유리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파쇄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파쇄 핀을 포함하는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는 제2 브레이킹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공급 장치는,
    초기 유리 롤로부터 상기 유리를 풀도록 구성된 유리 언와인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절단 장치는,
    상기 유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쇄 장치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및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프레임들;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된 제1 컨베이어 롤러;
    상게 제1 컨베이어 롤러보다 상기 파쇄 롤러 조립체에 가깝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된 제2 컨베이어 롤러;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를 감싸고, 상기 잔여 유리와 맞닿는 이송 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송 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송 면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파쇄 핀의 일 부분을 끼움 결합 시키기 위한 결합 오프닝을 갖는 제1 회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오프닝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핀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결합 오프닝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부분;
    상기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공되는 파쇄 부분; 및
    상기 결합 부분 및 상기 파쇄 부분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상기 제1 회전 몸체는,
    상기 결합 오프닝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과하는 체결 홈을 갖고,
    상기 파쇄 핀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체결 홈과 중첩된 체결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쇄 장치는,
    상기 파쇄 핀의 상기 체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회전 몸체의 상기 체결 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 핀을 상기 제1 회전 몸체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23.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는,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상기 수용 홈을 갖는 제2 회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제2 회전 몸체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2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의 단면의 지름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의 단면의 지름 각각은 30 밀리미터 내지 70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시스템.
  25.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를 통해 잔여 유리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잔여 유리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 유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도록 구성된 파쇄 핀을 갖는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잔여 유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 핀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는 제2 브레이킹 롤러 사이에 상기 잔여 유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브레이킹 롤러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잔여 유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파쇄 핀을 통해 상기 잔여 유리를 파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방법.
  27. 제25 항에 있어서,
    초기 유리 롤로부터 유리를 푸는 단계;
    상기 유리가 절단 유리 및 상기 잔여 유리로 분리되도록 상기 유리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 유리를 감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처리 방법.
KR1020210075578A 2021-06-10 2021-06-10 유리 파쇄 장치, 유리 처리 시스템, 및 유리 처리 방법 KR20220166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578A KR20220166613A (ko) 2021-06-10 2021-06-10 유리 파쇄 장치, 유리 처리 시스템, 및 유리 처리 방법
CN202280047387.9A CN117597196A (zh) 2021-06-10 2022-05-26 玻璃断裂设备、玻璃加工系统和玻璃加工方法
EP22732794.7A EP4351796A1 (en) 2021-06-10 2022-05-26 Glass breaking apparatus, glass processing system, and glass processing method
PCT/US2022/031010 WO2022260863A1 (en) 2021-06-10 2022-05-26 Glass breaking apparatus, glass processing system, and glass proces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578A KR20220166613A (ko) 2021-06-10 2021-06-10 유리 파쇄 장치, 유리 처리 시스템, 및 유리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613A true KR20220166613A (ko) 2022-12-19

Family

ID=8215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578A KR20220166613A (ko) 2021-06-10 2021-06-10 유리 파쇄 장치, 유리 처리 시스템, 및 유리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51796A1 (ko)
KR (1) KR20220166613A (ko)
CN (1) CN117597196A (ko)
WO (1) WO20222608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728B1 (ko) * 1994-12-30 1997-05-28 이동안 자동차용 안전유리 분쇄장치
JP3642733B2 (ja) * 2000-12-20 2005-04-2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をガラス片と中間膜片とに分離して回収する装置
CN101786033A (zh) * 2009-01-22 2010-07-2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绞碎机
KR101632521B1 (ko) * 2012-01-20 2016-06-21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절단 장치
EP3419921A1 (en) * 2016-02-25 2019-01-0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dge surface inspection of a moving glass w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97196A (zh) 2024-02-23
WO2022260863A1 (en) 2022-12-15
EP4351796A1 (en)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7302B (zh) Fragile material substrate segmentation device and segmentation method
EP1491309B1 (en) Parting method for fragile material substrate and parting device using the method
JP5452547B2 (ja) 脆性材料基板スクライブ用のカッターホイ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738709A1 (en) Separation method for composite material
EP2697056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 handling tab to continuous glass ribbons
CN104115209B (zh) 光学显示设备的生产系统以及光学显示设备的生产方法
KR101942108B1 (ko) 테이프 확장 장치
WO2013151075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WO2012070422A1 (ja) 帯状ガラスフィルム割断装置及び帯状ガラスフィルム割断方法
US10766804B2 (en) Glass film production method
JP5479424B2 (ja) 脆性材料用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これを用いた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装置及びスクライブ工具
CN103547962A (zh) 光学薄膜卷组以及光学薄膜卷组的制造方法
TW201806888A (zh) 玻璃薄膜的製造方法
JP2011144093A (ja) 板状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102822727A (zh) 基板输送机构以及偏振膜的贴合装置中的翻转机构
EP2147899A1 (en) Method for processing terminal in bonded substrate
TW201632359A (zh) 玻璃載體組件及用於處理撓性玻璃片的方法
KR20220166613A (ko) 유리 파쇄 장치, 유리 처리 시스템, 및 유리 처리 방법
US111178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band-shaped glass film
JP4744517B2 (ja) フィルム切断剥離用刃物およびフィルム切断剥離装置
US2020005509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eb
CN101236322A (zh) 电光装置的制造方法、电光装置的制造装置
JP2006100413A (ja) フィルム貼付方法およびフィルム貼付装置
CN102681242A (zh) 液晶显示面板的连续制造系统和方法、检查装置和方法
JP4879500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ガラス基板分解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