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246A - Gastrodia elata cultivation box - Google Patents
Gastrodia elata cultivation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0246A KR20140110246A KR1020130024250A KR20130024250A KR20140110246A KR 20140110246 A KR20140110246 A KR 20140110246A KR 1020130024250 A KR1020130024250 A KR 1020130024250A KR 20130024250 A KR20130024250 A KR 20130024250A KR 20140110246 A KR20140110246 A KR 201401102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ume
- cultivation
- mixture
- combination
- medi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지(露地)에서만 재배되던 천마를 년 중 대량생산이 가능한 온도 및 습도 제어가 가능한 실내 다단 시설에서 천마의 실내 다단 시설재배에 적합한 최적의 배지조합이 조성된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ivating container having a combination of culture media suitable for cultivating indoor facilities of a chewing gu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ivating container which is cultivated only in the open field and which can be ma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ivation container in which an optimal combination of media suitable for indoor multi-stage facility cultivation is provided.
천마(天麻, Gastrodiae rhizoma)는 뽕나무버섯과 편리공생(片利共生)하는 난초과(Orchidaceae)식물에 속하는 식물로서, 약재로 사용하는 것은 천마(Gastrodia elata BLUME)의 구근이다. 원명은 적전(赤箭)이며 우리나라와 중국 및 일본에서 널리 쓰이는 상용약재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천마가 중품(中品)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약성이 평무독(平無毒)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Gamma (Gastrodiae rhizoma) is a plant belonging to the Orchidaceae plant, which is a mushroom mushroom and convenient symbiosis. It is a bulb of Gastrodia elata BLUME which is used as a medicinal herb. It is known as one of the commercial medicines widely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Divine Materia Medica there is a class of medicinal herbs that are known as medicinal herbs.
천마의 임상적 효능들은 본초강목, 동의보감을 비롯한 여러 본초문헌들에 널리 기록되어 있는데, 주로 고혈압, 두통, 마비, 신경성질환, 당뇨병 등의 성인병과 스트레스, 피로 등의 증상에 대하여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linical efficacy of Chunma is widely recorded in various herbals such as herbaceous gangmok, Dongbokgam, and it is known to be efficacious against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headache, paralysis, neurological diseases, diabetes, and stress and fatigue have.
이와 같은 천마는 야생에서 생장하였으나 1990년대 중반에 인공재배기술이 개발되어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천마의 생장 환경이 20~25℃ 온도와 적당한 습도가 있는 지역이어야 함으로 고랭지 및 산간지방에서 재배하고 있다. These species were grown in the wild, but artificial cultivation techniques were developed in the mid-1990s to increase production, and cultivated in highlands and mountainous areas, with the growth environment of chamai being 20-25 ℃ temperature and moderate humidity.
종래 천마의 인공 재배 방법을 도 1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흙을 파낸 자리에 대략 30~40㎝ 정도 길이로 절단된 참나무 원목(W)을 세로로 뉘인 뒤, 참나무 원목(W) 사이에 대략 1~2㎝ 정도 두께의 원판형 버섯종균(G)을 완전히 밀착시켜 붙인다. 그리고 계속해서, 흙을 절반정도 채워 메우고 버섯종균(G)의 접종 부위마다 종마(S; 천마종자)를 올려놓는다. 그 다음, 정리된 이랑 위에 볏짚이나 낙엽 등을 대략 10㎝ 이상의 두께로 덮고 잘 고른 후, 배수구를 만들어 강우(降雨) 시 물이 고이지 않도록 잘 마무리한다. 이렇게 식재된 종마(S)는 엽록소가 거의 없고 실뿌리도 없어 자가 영양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성장하는 버섯종균(G)에 기생하여 자라게 된다. 1, an oak timber W cut to a length of about 30 to 40 cm is vertically laid on a soil digging site, and then an oak wood timber (G) of about 2 cm in thickness is adhered completely. Then, fill the soil with about half, and put stallion (S) on each inoculation site of mushroom seedling (G). Next, wrap the rice straw or fallen leaves over the organized ridges to a thickness of about 10cm or more, select well, and make a drainage hole so that the water does not accumulate during rainfall. The stallion (S) cultivated in this way grows parasitically on the growing mushroom germ (G) because it has little chlorophyll and does not have any silt roots.
그런데, 전술한 방법에 의해 노지(露地)에서 재배되는 천마는 고소득 특작물이지만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여 계절의 날씨에 따라 수확량의 변화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노지(露地)에서 재배되는 천마는 생육온도 범위가 20~25℃인데, 이때 수분이 적으며 생육이 정지되거나 건조되며, 또한 습도 및 생육온도가 높아지면 종마(S)와 버섯종균(G)의 성장이 정지되거나 사멸된다.However, the chimma grown in the open fiel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a high-income special product, but is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yield varies greatly depending on seasonal weather. In other words, when the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20 ~ 25 ℃, the stomach (S) and the mushroom seedlings (G) grow at a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when the growth is stopped or dried, Growth is stopped or killed.
또한 천마의 노지재배는 초기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생육기간이 2~3년 이기 때문에 재배기간 동안 단 한번이라도 날씨 변동이 심할 경우 천마 농사를 실패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st of initial cultivation of Chunma is high, it takes 2-3 years for growing. Therefore, if the weather fluctuates even once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the farmer fails to cultivate the farms.
이와 같이 재배가 까다로운 천마는 한약재로 판매처가 한정되었다가 최근 천마의 기능성 물질과 약리효과 물질이 구명됨으로써, 한액재 이외 기능성 식품, 음료 등으로 개발되어 그 수요가 증가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정적이지 못하는 천마생산 기반은 천마를 원료로 하는 천마 가공 2차 산업 활성화에도 걸림 돌이 되고 있다.As such, cultivated horse chestnuts are limited to herbal medicines, but recently, functional materials and pharmacological effect substances of chunmatsu have been discovered. Therefore, the demand for them is being developed as functional foods, beverages and the like. In this situation, the unstable production base of Chunma is becoming a stumbling block to the activation of the secondary industry of Chunma processing with Chunma.
따라서 천마재배 농가의 안정적 소득증대와 천마 2차 가공 산업의 발전을 위한 안정적 천마공급을 위해서 온도와 습도 제어가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실내 다단식 천마 시설재배시스템이 필요하고, 연중 대량생산을 위한 실내 다단식 천마 시설재배를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최적의 천마 배지조합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table income of Chunmoo growers and to supply stable Chunma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processing industry of Chunma, indoor multistage chunma facility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nd mass production is needed, In order to cultivate multistage chunme hosiery, optimum combination of chimaer media is required.
이러한 재래식 노지재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0686693 호(등록일자: 2007년 09월 28일)”를 들 수 있는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0686693 호”에서는 천마를 실내에서 재배할 수 있게 하는 “천마 재배를 위한 재배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cultivation such as "Korean Patent No. 0686693 (Registration Date: September 28, 2007)",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Korean Patent No. 0686693 Quot ;, a " cultivation vessel for cultivating a horse root " is disclosed, which allows a horse to be cultivated indoors.
그런데, 전술한 등록특허에서는 재배용기에 천마종자와 단순히 흙과 모래가 적량의 비율로 혼합된 재배용 토양만을 채워 천마를 재배하기 때문에 실내시설 재배에서 요구되는 천마종자 및 버섯종균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영양공급 체계를 위한 최적의 배지조합을 고려하지 않았고, 또한 천마가 생장하는데 필요한 한 적정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배지조성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천마의 생장 특성상 시설 재배시 배수구조가 중요 한데 이러한 구조를 제시하지 않는 등 천마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제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 only the cultivating soil mixed with the proper amount of the soil and the sand is mixed with the cultivated container, and the cultivated soil is cultivated. Therefore, the nutrient supply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seeds and mushroom seeds The system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optimal combination of media and also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medium composition which can control the appropriate humidity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horsetail, and the drainage structure is important in the cultivation of the horsetai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mbination of media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of ginseng plants is not suggested.
본 발명은 노지(露地)에서만 재배되던 천마를 온도 및 습도 제어가 가능한 실내에서 다단으로 재배할 수 있게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최적의 배지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천마의 안정적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아울러 안정적으로 천마 대량생산 기반이 구축됨으로써 천마 2차 가공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mal combination of media suitable for cultivation of indoor facilities of a horse chestnut so that the horse cultivated in the open field can be cultivated in a multi-stage in a room capabl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thereby enabling stable mass production of horse chestnut, Which is capable of contributing to stable income growth of the horse meat processing industry, and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processing industry of chunma by stably establishing a mass production basis of horse chestnu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는, 상부 및 하부가 열리고 내부에는 종마의 식생에 필요한 식생공간부가 제공되는 용기본체; 및 용기본체에 담겨지고 종마가 식재되는 배지조합;를 포함할 수 있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ltivation vessel having a culture combination suitable for indoor facility cultivation of a chimney,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provided therein with vegetation spaces necessary for vegetation of stallions; And a combination of media in which the stall is planted and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구체적으로 용기본체의 열린 하부는 철망에 의해 마감되며, 철망의 상부에는 미세그물망이 배치되어 배지조합을 지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pen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is closed by a wire mesh, and a fine mesh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wire mesh to support the combination of media.
구체적으로 배지조합는, 식생공간부의 바닥에서 적층되는 배수층; 배수층의 상부에 적층되고 참나무 원목 및 버섯종균과 함께 종마가 식재되는 영양공급층; 및 영양공급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천마성장에 적합한 복토층의 저중량 배지층 조성과 배지 내 적정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mbination of mediums includes a drainage layer laminated at the bottom of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A nutrient supply layer stacked on top of the drainage layer and planted with oak logs and mushroom species; And a protective layer that is laminated on top of the nutrient supply layer and adjusts the composition of the low-weight medium layer of the ground layer suitable for the growth of the chick horse, and the appropriate humidity and temperature in the medium.
구체적으로 배수층은, 5체적%~15체적%의 기공형성재와, 85체적%~95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150~200㎜의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ainage layer may be formed of a mixture of 5% by volume to 15% by volume of the pore-forming material and 85% by volume to 95% by volume of the soil, and the drainage layer may be provided at a height of 150 to 200 mm.
더 구체적으로 기공형성재는, 톱밥, 또는 짚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거나, 또는 톱밥, 짚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ore former may be provided either as sawdust or straw, or may be provided as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sawdust and straw.
구체적으로 영양공급층은, 25체적%~35체적%의 영양공급재와 65체적%~75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참나무 원목에 놓인 종마를 덮을 수 있는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nutrient supply layer can be provided at a height sufficient to cover a stallion placed on an oak timber, as well as a mixture of 25% by volume to 35% by volume nutrient supply material and 65% by volume to 75% by volume of sandpaper.
더 구체적으로 영양공급재는, 부엽토, 또는 미강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거나, 또는 부엽토, 미강의 혼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nutrient supply material may be provided either as a leaf mallow or a rice bran, or may be provided as a mixture of humus and rice bran.
구체적으로 보호층은, 65체적%~75체적%의 저중량 배지재와, 15체적%~25체적%의 습도조절재, 및 10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150~200㎜의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tective layer is made of a mixture of a low-weight medium of 65% by volume to 75% by volume, a moisture control material of 15% by volume to 25% by volume, and a soil of 10% by volume and a height of 150-200 mm Can be provided.
더 구체적으로 저중량배지재는, 톱밥, 또는 톱밥과 짚의 혼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ow-weight medium can be provided by sawdust or a mixture of sawdust and straw.
더 구체적으로 습도조절재는, 펄라이트(perlite), 또는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중 어느 하나, 또는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의 혼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humidity control material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perlite or vermiculite, or a mixture of perlite and vermiculi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천마 실내 재배에 적합한 최적의 배지조합을 제공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대량의 천마 생산이 가능하고, 그로 인하여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증대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대량 천마 생산기반 구축은 천마 2차 가공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optimal combination of media suitable for indoor cultivation of Gunma can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stably produce a large amount of horse chestnut, thereby assuring a stable income increase of farmers, It has the advantage of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processing industry of Gunma.
도 1은 종래 노지에서의 천마 인공 재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마의 실내 다단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를 가지는 재배용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본체에 종마가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artificial cultivation of a horse chamois in a conventional ar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ltivating container having a culture medium suitable for indoor multi-stage facility cultivation of a chewing g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all is planted in the container body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마의 실내 다단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를 가지는 재배용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천마의 실내 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를 가지는 재배용기(100)는, 종마(S)와 버섯종균(G) 식생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본체(110), 및 용기본체(110)에 담겨지고 종마(S), 버섯종균(G) 및 참나무 원목(W)이 식재되는 배지조합(120)을 포함 한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ltivating container having a culture medium suitable for indoor multi-stage cultivation of a chewing g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ivating
먼저, 용기본체(110)는 상부 및 하부가 열리고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을 가진다. 용기본체(110)의 열린 하부는 통상의 철망(112)에 의해 마감되며, 철망(112)의 상부에는 미세그물망(114)이 배치된다. Firs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한편, 용기본체(110)의 빈 내부에는 식생공간부(116)가 제공된다. 식생공간부(116)는 종마(S), 버섯종균(G) 및 참나무 원목(W)이 식재되는 배지조합(120)이 담기는데, 식생공간부(116)에 담긴 배지조합(120)은 미세그물망(114) 및 철망(112)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식생공간부(116)의 배지조합(120)으로 공급된 수분은 미세그물망(114) 및 철망(112)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The
미세그물망(114)은 통상의 나일론으로 제작되면서 통상의 곡물건조망과 같은 작은 메쉬 단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철망(112)은 배지조합(120)을 지지함과 아울러 미세그물망(114)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을 정도의 메쉬단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도 2에서는 사각함체 형상을 가지는 용기본체(110)가 도시되어 있지만, 용기본체(110)의 형상을 사각함체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부가 열리고 식생공간부(116)를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 즉 원통형상, 또는 사각을 제외한 다각함체 형상으로도 제작이 가능함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110)는 일반수지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한편, 배지조합(120)는 식생공간부(116)의 바닥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적층되는 배수층(122), 영양공급층(124), 및 보호층(126)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배수층(122)은 배지조합(120) 내로 공급된 수분을 원활하게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층(122)은 5체적%~15체적%의 기공형성재와, 85체적%~95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배수층(122)은 10체적%의 기공형성재와, 90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The
여기서, 배수층(122)을 형성하는 사양토에 기공형성재가 5체적% 이하로 혼합되면, 사양토가 시간이 지날수록 수분의 공급과 증발에 의해 굳어져 배수층(122) 내에 기공의 형성이 어려워 배지조합(120) 내 수분의 배수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며, 사양토에 기공형성재가 15체적% 이상으로 혼합되면, 과다한 기공 형성으로 인해 배지조합(120) 내로 공급된 수분이 빠른 시간 내에 배수되기 때문 배지조합(120) 내 습도 조절이 어렵게 된다. When the pore forming material is mixed in not more than 5% by volume in the waterproof layer forming the
그리고, 배수층(122)은 식생공간부(116)의 바닥, 즉 미세그물망(114)에서부터 150~200㎜의 높이로 제공된다. 여기서 배수층(122)의 높이가 150㎜ 미만으로 제공되거나 배수층(122)의 높이가 200㎜를 초과하게 되면, 배수 시간이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빨라 배지(120) 습도 조절이 어렵게 된다. The
한편, 기공형성재로는 톱밥, 또는 짚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거나, 또는 톱밥, 짚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수층(122)의 상부에는 영양공급층(124)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ore forming material may be provided either as sawdust or straw, or may be provided as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sawdust and straw. A
영양공급층(124)은 식재되는 종마(S), 및 버섯종균(G)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배수층(122)의 상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영양공급층(124)에는 참나무 원목(W)과 함께 버섯종균(G) 및 종마(S)가 식재된다. The
다시 말해서 영양공급층(124)에는 참나무 원목(W)들이 놓여지고 참나무 원목(W)들 사이로는 버섯종균(G)이 배치된다. 그리고 버섯종균(G)에 인접한 참나무 원목(W)에는 종마(S)가 놓여진 상태로 영양공급층(124) 내에 식재된다. In other words, the oak wood (W) is placed in the nutrient supply layer (124) and the mushroom seed (G) is placed in the oak wood (W). The oak logs (W) adjacent to the mushroom species (G) are planted in the nutrient supply layer (124) with the stallion (S) placed thereon.
이렇게 종마(S)가 식재된 영양공급층(124)은 25체적%~35체적% 영양공급재와 65체적%~75체적%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영양공급층(124)은 3O체적%의 영양공급재와 70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The
여기서, 영양공급층(124)을 형성하는 사양토에 영양공급재가 25체적% 이하로 혼합되면, 종마(S) 및 버섯종균(G)에 대한 영양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며, 사양토에 영양공급재가 35체적% 이상으로 혼합되면, 과잉영양이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영양공급재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Here, when the nutrient supply material is mixed with the
그리고 영양공급층(124)은 참나무 원목(W)에 놓인 종마(S)를 덮을 수 있는 높이로 제공된다. And the
한편, 영양공급재료는 부엽토, 또는 미강(쌀겨),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거나, 또는 부엽토, 미강의 혼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utritional supply material may be provided either as a curd or rice bran (rice bran), or may be provided as a mixture of curd and rice bran.
한편, 보호층(126)은 천마성장에 적합한 저중량의 복토층 역할과 배지조합(120) 내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영양공급층(124)의 상부에 제공된다. 보호층(126)은 65체적%~75체적%의 저중량배지재와, 15체적%~25체적%의 증발억제재, 및 10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저중량배지재와, 15체적%~25체적%의 습도조절재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저중량배지재는 천마성장에 적합하도록 무게가 적는 재료인 동시에 어느 정도 기공이 있어 적절한 공기 출입이 재료로 톱밥, 또는 짚 중 어느 하나, 또는 톱밥과 짚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습도조절재는 배지조합(120) 내로 급수할 때 발생하는 과도한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서서히 방출하여 천마성장에 적합한 습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습도조절재로는 펄라이트(perlite), 또는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중 어느 하나, 또는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low-weight culture medium is a material which is weight-reduced so as to be suitable for growth of chymos, and also has a certain degree of pores so that proper air outflow is made of either sawdust or straw, or a mixture of sawdust and straw. In addition, the humidity control material absorbs excessive moisture generated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여기서 보호층(126)을 형성하는 사양토에 저중량배지재 및 수분조절재가 65체적% 및 15체적% 이하로 혼합되면, 배지조합(120)이 쉽게 건조되어 종마(S) 및 버섯종균(G)이 사멸되는 원인이 되고, 사양토에 저중량배지재 및 수분조절재 75체적% 및 25체적% 이상으로 혼합되면, 배지조합(120) 내 수분이 과다하여 종마(S) 및 버섯종균(G)이 부패되는 원인이 된다. The
그리고 보호층(126)은 영양공급층(124)의 상부에서 100~150㎜의 높이로 제공된다. And the
여기서 보호층(126)의 높이가 100㎜ 이하로 제공되면, 배지조합(120) 내 수분이 빠르게 증발할 수 있고 종마(S) 및 버섯종균(G)이 외부 온도변화에 바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보호층(122)의 높이가 150㎜ 이상으로 제공되면, 배지(120) 내 습도가 너무 높게 유지되고, 보호층 두께가 커서 무게가 무거워지면 천마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If the height of the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마의 실내 다단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를 가지는 재배용기(100)를 이용하여 천마를 재배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ultivating a horse chimney using a
우선, 식생공간부(116)의 하부, 즉 용기본체(110)의 하부를 마감하는 철망(112)의 상부에 미세그물망(114)을 적층시킨다. 식생공간부(116)의 하부에 미세그물망(114)이 적층되면, 식생공간부(116)의 내부, 즉 미세그물망(114)의 상부에 배지조합(120)를 담는데, 우선 미세그물망(114)의 상부에 배수층(122)을 적층 형성한다. 그리고 배수층(122)의 상부에 영양공급층(124)을 조금 적층시킨 상태 하에서 미리 준비된 일정길이의 참나무 원목(W)들을 길이방향으로 내려놓은 후, 참나무 원목(W)들 사이로는 버섯종균(G)이 배치한다. 그리고 버섯종균(G)에 인접한 참나무 원목(W)의 방사상 상부에 종마(S)를 올려놓는다. 이렇게 참나무 원목(W), 버섯종균(G), 및 종마(S)가 식생공간부(116)의 내부에 놓여지면, 종마(S)를 덮을 때 까지 영양공급층(124)을 채워 넣는다. 즉 참나무 원목(W), 버섯종균(G), 및 종마(S)는 영양공급층(124) 내에 식재된다. First,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식생공간부(116)에 영양공급층(124)이 채워지면, 영양공급층(124)의 상부에 보호층(126)을 적층 형성하여 재배용기(100)에 종마(S)의 식재를 완료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와 같이 종마(S)의 식재가 완료되면, 재배용기(100)들을 종마(S) 생육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는, 즉 온도 및 습도 제어가 가능한 온실, 또는 비닐하우스, 또는 단열압축 판넬 구조물로 축조된 재배사(도시되지 않음; 이하" 재배사"라 한다) 등의 내부로 옮겨 종마(S)를 재배하게 된다. When planting of the stallion S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한편, 재배사의 내부로 옮겨진 재배용기(100)들은 재배사의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 상에 다단, 예를 들면 3단 이상으로 적층되며, 적층된 재배용기(100) 내의 버섯종균(G)은 참나무 원목(W)과 영양공급층(124)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성장하게 되는데, 이때 종마(S)는 성장하는 버섯종균(G)에 기생하여 자라게 된다. 그리고 재배 시작일로부터 대략 2년 후 천마를 수확하게 된다. The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120)으로 조성된 재배용기(100)는 천마 실내 재배에 적합한 최적의 배지조합(120)을 제공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천마의 재배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천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증대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대량 천마 생산기반은 천마 2차 가공 산업에 안정적으로 천마를 공급할 수 있어 천마 2차 가공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은 천마의 실내 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100 : 천마의 실내 재배에 적합한 배지를 가지는 재배용기
110 : 용기본체 112 : 철망
114 : 미세그물망 116 : 식생공간부
120 : 배지조합 122 : 배수층
124 : 영양공급층 126 : 보호층100: Cultivation vessel having medium suitable for indoor cultivation of horse
110: container body 112: wire mesh
114: fine mesh 116: vegetation space
120: Badge combination 122: Drainage layer
124: nutrient supply layer 126: protective layer
Claims (10)
상기 용기본체에 담겨지고 상기 종마가 식재되는 배지조합;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
A container body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provided therein with vegetation spaces necessary for the vegetation of the stallion; And
And a combination of media in which the stall is planted, wherein the stall is planted in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본체의 열린 하부는 철망에 의해 마감되며,
상기 철망의 상부에는 미세그물망이 배치되어 상기 배지조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is closed by a wire mesh,
Wherein a mesh network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net to support the combination of media.
상기 배지조합은,
상기 식생공간부의 바닥에서 적층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적층되고 참나무 원목 및 버섯종균과 함께 상기 종마가 식재되는 영양공급층; 및
상기 영양공급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배지 내 습도를 조절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A drainage layer laminated at the bottom of the vegetation space;
A nutrient supply layer stacked on top of the drainage layer and planted with the oak timber and mushroom species; And
And a protective layer laminated on top of the nutrient supply layer to adjust the humidity in the medium.
상기 배수층은,
5체적%~15체적%의 기공형성재와, 85체적%~95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150~200㎜의 높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rainag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xture of 5% by volume to 15% by volume of a pore forming material and 85% by volume to 95% by volume of a sandy soil and a height of 150-200 mm. Lt; / RTI >
상기 기공형성재는,
톱밥 또는 짚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거나, 또는 톱밥, 짚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po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any one of sawdust or straw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sawdust and straw.
상기 영양공급층은,
25체적%~35체적%의 영양공급재와 65체적%~75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참나무 원목에 놓인 상기 종마를 덮을 수 있는 높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utrient supply layer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xture of 25% by volume to 35% by volume of nutrient material and 65% by volume to 75% by volume of a sandy soil and a height sufficient to cover the stall placed on the oak timber A growing container having a combination of media suitable for cultivation.
상기 영양공급재는,
부엽토, 또는 미강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거나, 또는 부엽토, 미강의 혼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nutrient replenishing material,
Wherein the cultivation vessel is provided with any one of green, blue, green, and blue rice or a mixture of humus and rice bran.
상기 보호층은,
65체적%~75체적%의 저중량배지재와, 15체적%~25체적%의 수분조절재 및 10체적%의 사양토의 혼합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100~150㎜의 높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By weight of a medium weight medium content of from 65% by volume to 75% by volume, a moisture control material of from 15% by volume to 25% by volume, and a soil of 10% by volume, and a height of 100 to 150 mm. A cultivating container having a combination of media suitable for indoor facility cultivation.
상기 저중량배지재는,
톱밥, 또는 짚 중 어느 하나, 또는 톱밥과 짚의 혼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low-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by mixing either sawdust or straw, or a mixture of sawdust and straw.
상기 수분조절재는,
펄라이트(perlite), 또는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중 어느 하나, 또는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의 혼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의 실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배지조합을 가지는 재배용기.The method of claim 8,
The moisture control material may compri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a mixture of either perlite or vermiculite or a mixture of perlite and vermiculi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4250A KR101486249B1 (en) | 2013-03-07 | 2013-03-07 | Gastrodia elata cultivation mediu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4250A KR101486249B1 (en) | 2013-03-07 | 2013-03-07 | Gastrodia elata cultivation mediu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0246A true KR20140110246A (en) | 2014-09-17 |
KR101486249B1 KR101486249B1 (en) | 2015-01-27 |
Family
ID=5175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24250A KR101486249B1 (en) | 2013-03-07 | 2013-03-07 | Gastrodia elata cultivation mediu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6249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41970A (en) * | 2014-12-18 | 2015-04-29 | 李志芳 | Outdoor tall gastrodia tuber cultivating method in northern area |
CN104855133A (en) * | 2015-06-19 | 2015-08-26 | 习水县龙洋生态食品开发有限公司 | Rizoma gastrodiae planting and cultivating method |
CN105900693A (en) * | 2016-06-06 | 2016-08-31 | 李文恒 | Field grifola basket culture device and method |
CN107124995A (en) * | 2017-05-27 | 2017-09-05 | 贵州省德均农特产品开发有限公司 | A kind of implantation methods of rhizoma Gastrodiae |
CN109739276A (en) * | 2018-12-04 | 2019-05-10 | 河南高通物联网有限公司 | A kind of agricultural Internet of things system |
CN110495325A (en) * | 2019-08-23 | 2019-11-26 | 湖北民族大学 | A kind of made from Chinese yam bulbil young plant seedling device for raising seedlings |
US20210400865A1 (en) * | 2018-11-07 | 2021-12-30 | Gtx Turf Farms Lp | A seedmat for growing plant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7641A (en) * | 1998-10-16 | 1999-01-25 | 이영태 | Chunma Artificial Cultivation |
KR100686693B1 (en) * | 2005-03-25 | 2007-02-26 | 고려천마영농조합법인 | Cultivation container for cultivating gastrodia elata |
JP3135429U (en) * | 2007-07-05 | 2007-09-13 | 和男 黒田 | Natural selection cultivation container |
JP3180251U (en) * | 2012-08-10 | 2012-12-13 | 和彦 高坂 | Natural selection cultivation container |
-
2013
- 2013-03-07 KR KR20130024250A patent/KR101486249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41970A (en) * | 2014-12-18 | 2015-04-29 | 李志芳 | Outdoor tall gastrodia tuber cultivating method in northern area |
CN104855133A (en) * | 2015-06-19 | 2015-08-26 | 习水县龙洋生态食品开发有限公司 | Rizoma gastrodiae planting and cultivating method |
CN105900693A (en) * | 2016-06-06 | 2016-08-31 | 李文恒 | Field grifola basket culture device and method |
CN105900693B (en) * | 2016-06-06 | 2022-02-18 | 陵川县森源中药材开发有限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grifola in field in basket |
CN107124995A (en) * | 2017-05-27 | 2017-09-05 | 贵州省德均农特产品开发有限公司 | A kind of implantation methods of rhizoma Gastrodiae |
US20210400865A1 (en) * | 2018-11-07 | 2021-12-30 | Gtx Turf Farms Lp | A seedmat for growing plants |
CN109739276A (en) * | 2018-12-04 | 2019-05-10 | 河南高通物联网有限公司 | A kind of agricultural Internet of things system |
CN109739276B (en) * | 2018-12-04 | 2020-09-01 | 宁德市乌岩农业有限公司 | Agricultural Internet of things system |
CN110495325A (en) * | 2019-08-23 | 2019-11-26 | 湖北民族大学 | A kind of made from Chinese yam bulbil young plant seedling device for raising seedling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6249B1 (en) | 2015-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6249B1 (en) | Gastrodia elata cultivation medium | |
CN104641872A (en) | Cucumber cultivation method | |
CN104272937A (en) | Cultivation method for camphor trees | |
CN105475076B (en) | A kind of ligustrum lucidum ait cottage breeding method | |
CN107182686A (en) | A kind of yield-increasing cultivation method of peach | |
CN106831140A (en) | A kind of reusable fruit and vegetable seedling medium | |
CN104920078A (en) | Method for quickly rearing macadamia nut grafted seedlings through plantlets | |
CN102349430B (en) | Method for breeding seedlings of grapes by using containers | |
CN104737772A (en) | Domestication cultivation method for eleutherococcus senticosus | |
CN1522561A (en) | Potted loquat and its cultivation method | |
CN103766118B (en) | A kind of red C.-glauca seed storage and seedling-cultivating method | |
KR101836799B1 (en) | Culturing method of ginseng sprout | |
KR20160136196A (en) | Growing method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as an alternative crop of hot pepper cultivated in rural, mountainous and remote areas near rivers or lakes | |
CN104335796A (en) | Potting method for integrating medicinal and ornamental functions of Chinese wistaria | |
CN103548543B (en) | Culture method for cuttage of melia azedarach seedlings | |
CN109892228A (en) | A kind of outside sprout-cultivating-bottle method of Chinese catalpa tissue-cultured seedling | |
CN110338048A (en) | A kind of soilless culture method of cherry and tomato | |
CN104521476A (en) | Planting method of strawberry bonsai | |
CN104938196A (en) | Large stropharia rugosannulata same-field continuous planting method | |
CN109601358A (en) | A kind of plantation bed cultivation method of dendrobium candidum | |
CN1169419C (en) | Artificial culture method for breeding snow lotus in hothouse | |
CN114946434A (en) | Grafting seedling method for tomato seedlings without cotyledon on rootstocks | |
CN107333560A (en) | A kind of potted plant efficient implantation methods of rhizoma Gastrodiae | |
KR20110045226A (en) | Year Round Production Of the Gastrodia elata | |
JP3142952U (en) | flower p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