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634A -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건설기계를 위한 캡 - Google Patents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건설기계를 위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634A
KR20140106634A KR1020147018049A KR20147018049A KR20140106634A KR 20140106634 A KR20140106634 A KR 20140106634A KR 1020147018049 A KR1020147018049 A KR 1020147018049A KR 20147018049 A KR20147018049 A KR 20147018049A KR 20140106634 A KR20140106634 A KR 20140106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iper
closing guard
fixed fram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108B1 (ko
Inventor
아츠시 가라미
도시마사 간다
겐타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0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6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including 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52Position of the wipers relative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는, 천장창(5a)을 갖는 캡(5)에 부착될 수 있다. 와이퍼 장치는 천장창(5a)의 표면(S)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퍼(13)와, 와이퍼(1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이퍼 구동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가드는, 캡(5)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1)에 지지된 개폐 가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가드부(12)는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와이퍼 장치는 고정 프레임(11) 상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를 천장창에 설치하기 위해서 캡에 새로운 가공이나 새로운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또한 와이퍼의 위치 조정이 용이한 와이퍼부 개폐 가드 및 그것을 구비한 캡 및 건설기계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건설기계를 위한 캡{WIPER DEVICE, OPEN/CLOSE GUARD HAVING WIPER DEVICE, AN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장창을 갖는 캡에 부착될 수 있는 와이퍼 장치, 그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그 개폐 가드를 갖춘 건설기계를 위한 캡에 관한 것이다.
캡의 전방창에 와이퍼 장치가 설치된 건설기계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67195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캡의 전방창에 와이퍼 장치가 설치된 유압 셔블이 제안되어 있다. 유압 셔블에서는, 작업 중에 작업기의 선단에 설치된 버킷이 캡의 상측까지 들어 올려진다. 이 상태에서의 작업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캡에 천장창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버킷으로부터 떨어지는 돌 등으로부터 천장창을 보호하기 위한 개폐 가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개폐 가드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 가드부를 구비한다. 고정 프레임은 캡에 부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개폐 가드부는, 버킷으로부터 떨어지는 돌 등을 통과시키지 않고, 또한 캡의 상측에서의 작업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메쉬형 부분을 갖는다. 고정 프레임이 캡에 부착되고, 개폐 가드부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메쉬형 부분은 천장창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개폐 가드가 천장창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천장창에는 상기 메쉬형 부분의 메쉬를 통과한 빗물 및 버킷으로부터 떨어지는 먼지 등이 부착된다. 그 때문에, 캡의 천장창에도 와이퍼 장치를 설치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건설기계가 아닌 차량의 와이퍼 장치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11-70856호 공보(특허문헌2)에 차량 루프의 와이퍼 장치가 언급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67195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허 공개 평 11-70856호 공보
캡의 천장창에 와이퍼 장치를 설치하는 구조로서는, 이하의 2개의 구조가 고려된다. 예를 들면, 제1 구조로서는, 캡의 내부에 와이퍼 모터가 설치되고, 와이퍼 모터의 출력축이 캡을 관통하여 캡의 외측에서 와이퍼에 접속된 구조가 고려된다. 단적으로 말하면, 일반차량의 윈드쉴드를 위한 와이퍼 장치와 유사한 구조이다. 한편, 천장창을 위한 와이퍼 장치는, 처음에 캡에 부착되지 않고, 나중에 부착되는 것이 많다. 그 때문, 이 제1 구조에서는, 와이퍼 모터의 출력축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캡에 추가 가공에 의해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2 구조로서는, 개폐 가능한 개폐 가드에 와이퍼 모터 및 와이퍼가 부착된 구조가 있다. 현재, 유통되어 있는 건설기계에 이용되는 구조이다. 이 제2 구조에서는, 개폐 가드를 개방하고 천장창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와이퍼 모터 및 와이퍼의 위치 조정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해당 위치 조정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와이퍼를 천장창에 설치하기 위해서 캡에 새로운 가공이나 새로운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또한 와이퍼의 위치 조정이 용이한 와이퍼 장치, 그 와이퍼 장치를 갖춘 개폐 가드 및 그것을 구비한 건설기계의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는, 천장창을 갖는 캡에 부착될 수 있고, 와이퍼 장치와 개폐 가드를 구비한다. 와이퍼 장치는, 천장창의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퍼와, 그 와이퍼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이퍼 구동부를 구비한다. 개폐 가드는, 캡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에 지지된 개폐 가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가드부는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와이퍼 구동부는 고정 프레임 상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에 따르면, 와이퍼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이퍼 구동부가 고정 프레임 상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 프레임은 개폐 가드부를 지지하기 위해서 캡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를 천장창에 설치하기 위해서 캡에 새로운 가공이나 새로운 부재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또한, 캡에 부착된 고정 프레임에 와이퍼 모터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창으로부터 떨어지지 상태로 와이퍼 구동부 및 와이퍼의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퍼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상기한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에 있어서는, 고정 프레임은, 개폐 가드부를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접속하는 개폐 가드 지지부와, 개폐 가드부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개폐 가드부를 고정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는 개폐 가드 고정부와, 개폐 가드 지지부의 부착부와 개폐 가드 고정부의 부착부를 갖고, 개폐 가드 지지부의 부착부로부터 개폐 가드 고정부의 부착부에 걸쳐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폐 가드 지지부와 개폐 가드 지지부와 연결부를 일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프레임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에 있어서는, 개폐 가드부는, 개폐 가드부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와이퍼 구동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 포위부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 프레임은, 와이퍼 구동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2 포위부를 포함하고 있다. 폐쇄 상태에서, 제1 포위부는 제2 포위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포위부 및 제2 포위부에 의해서, 와이퍼 구동부에 빗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드부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제1 포위부가 제2 포위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포위부의 표면에 부착된 빗물이 제2 포위부의 표면을 통해 와이퍼 구동부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에 있어서는, 와이퍼 구동부는 출력축을 포함하고 있다. 출력축의 상부가 출력축의 하부보다 천장창측에 위치하도록 출력축이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 모터의 출력축이 천장창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출력축에 와이퍼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퍼를 천장창에 대하여 비스듬히 압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퍼가 천장창을 누르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에 있어서는, 개폐 가드부는, 개폐 가드부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와이퍼 구동부의 상측에 배치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폐 가드부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개구부를 통하여 와이퍼 구동부를 시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 구동부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에 따르면, 상기한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퍼를 천장창에 설치하기 위해서 캡에 새로운 가공이나 새로운 부재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또한, 와이퍼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캡의 천장창을 위한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와, 와이퍼 구동부를 구비한다. 와이퍼는 천장창의 표면을 와이핑한다. 와이퍼 구동부는, 그 와이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와이퍼 구동부는, 서브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출력축과 와이퍼 모터를 구비한다. 출력축은 와이퍼에 연결된다. 와이퍼 모터는, 그 회전축을 회동시킨다. 서브어셈블리는, 캡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그 서브어셈블리는, 캡에 구비되는 천장창을 보호하기 위한 개폐 가드의 고정 프레임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가드는, 캡에 고정 부착된 고정 프레임과, 이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 가드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의 구동원을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를 캡 상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퍼 장치를 개장할 때에, 캡에 새로운 가공이나 새로운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천장창에 대한 위치조정이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퍼를 천장창에 설치하기 위해서 캡에 새로운 가공이나 새로운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또한 와이퍼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셔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캡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부착 개폐 가드가 캡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개폐 가드부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부착 개폐 가드가 캡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개폐 가드부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부착 개폐 가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VI-V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와이퍼 부착 개폐 가드가 캡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개폐 가드부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와이퍼 모터 주변의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IX-IX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변형예 2에 있어서의 와이퍼 부착 개폐 가드가 캡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건설기계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천장창을 갖는 캡을 갖춘 건설기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와,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벨트(2a)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기복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 작업기(4)는, 붐(4a), 아암(4b), 버킷(4c), 유압 실린더(4d) 등을 갖는다.
작업 차량 본체는 상기한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에 의해 주로 구성된다. 상부 선회체(3)는, 전방 좌측(차량 전측)에 캡(5)을 갖고, 후방측(차량 후측)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 룸(6)이나, 카운터웨이트(7)를 갖는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차량의 전후/좌우는, 캡(5) 내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캡(5)에는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가 부착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캡(5)은, 천장창(5a)과, 상부판(5b)과, 필라(5c; pillars)와, 전방창(5d)과, 도어(5e)와, 전방창용 와이퍼(5f)를 주로 갖는다. 캡(5)의 지붕 부분에는 천장창(5a)을 갖는 상부판(5b)이 배치되어 있다. 천장창(5a)은 캡(5)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필라(5c)는 캡(5)의 지붕 부분과 플로어 부분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플로어 부분에 대하여 지붕 부분을 지지하고 있다. 캡(5)의 전방측에는 필라(5c) 사이에서 전방창(5d)이 배치되어 있다. 캡(5)의 좌측에는 필라(5c)에서 도어(5e)가 배치되어 있다. 전방창용 와이퍼(5f)는 전방창(5d)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게 필라(5c)에 지지되어 있다.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는, 천장창(5a)을 덮도록 상부판(5b)에 부착되어 있다.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는 캡(5)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는 캡(5)의 지붕 부분으로부터 전면 부분의 상단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3∼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의 구성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는, 캡(5)에 부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는, 고정 프레임(11)과, 개폐 가드부(12)와, 와이퍼 장치(15)를 주로 구비한다. 와이퍼 장치(15)는, 와이퍼(13)와, 와이퍼 구동부(14)를 주로 구비한다. 와이퍼 구동부(14)는, 와이퍼 모터(14c)와, 출력축(14d)을 주로 구비한다.
고정 프레임(11)은 캡(5)에 부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고정 프레임(11)은, 개폐 가드 지지부(11a)와, 개폐 가드 고정부(11b)와, 연결부(11c)를 갖는다.
개폐 가드 지지부(11a)는 개폐 가드부(12)를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개폐 가드 지지부(11a)는 상부판(5b)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가드 지지부(11a)는 상부판(5b)의 우단에 배치되어 있다. 개폐 가드 지지부(11a)는 힌지부(11a1)를 갖는다. 힌지부(11a1)는 개폐 가드 지지부(11a)의 상단에서 개폐 가드부(12)에 접속되어 있다. 힌지부(11a1)에 의해서 개폐 가드 지지부(11a)와 개폐 가드부(12)는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개폐 가드 고정부(11b)는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개폐 가드부(12)를 고정 프레임(11)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개폐 가드 고정부(11b)는 상부판(5b)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가드 고정부(11b)는 상부판(5b)의 좌단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11c)는, 개폐 가드 지지부(11a)의 부착부와 개폐 가드 고정부(11b)의 부착부를 갖는다. 연결부(11c)는, 개폐 가드 지지부(11a)의 부착부로부터 개폐 가드 고정부(11b)의 부착부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11c)는 상부판(5b)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가드 지지부(11a)의 후단부에 연결부(11c)의 개폐 가드 지지부(11a)의 부착부가 접속되어 있고, 개폐 가드 고정부(11b)의 후단부에 연결부(11c)의 개폐 가드 고정부(11b)의 부착부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11c)는 천장창(5a)의 후방 단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11c)는 배치부(11c1)를 갖는다. 배치부(11c1)는 전방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개폐 가드부(12)는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개폐 가드부(12)는, 판형부(12a)와, 메쉬형 부분(12b)과, 개구부(12c)와, 덮개부(12d)와, 직사각형상 레그부(12e)와, 원주형 레그부(12f)와, 핸들(12g)을 갖는다. 판형부(12a)의 전방에 메쉬형 부분(12b)이 설치된다. 메쉬형 부분(12b)은 천장창(5a)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천장창(5a)의 표면(S)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c)는 판형부(12a)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c)를 덮도록 덮개부(12d)가 설치된다.
직사각형상 레그부(12e)는, 개폐 가드부(12)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상 레그부(12e)는,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개폐 가드 지지부(11a)의 상면에 접하는 저면부를 갖는다. 원주형 레그부(12f)는, 개폐 가드부(12)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핸들(12g)은 개폐 가드부(12)의 좌측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핸들(12g)을 잡아 개폐 가드부(12)를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다.
천장창(5a)의 표면(S)을 와이핑하기 와이퍼(13)는, 와이퍼 아암(13a)과, 와이퍼 블레이드(13b)를 갖는다. 와이퍼 아암(13a)의 선단에 와이퍼 블레이드(13b)가 접속되어 있다. 와이퍼(13)는, 도면 중 화살표 R 방향으로 와이퍼 아암(13a)이 회동함으로써, 도면 중 화살표 R 방향으로 와이퍼 블레이드(13b)가 천장창(5a)의 표면을 와이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와이퍼 구동부(14)는 와이퍼(1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와이퍼 구동부(14)는 캡(5) 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1)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퍼 구동부(14)는, 후술의 케이스(14a)에 부착되어 서브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이 서브어셈블리는, 연결부(11c)의 배치부(11c1)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 프레임(11)에 볼트 부재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와이퍼 구동부(14)는 개폐 가드부(12)의 판형부(12a)로 덮여 있다. 와이퍼 구동부(14)의 일부는, 판형부(12a)의 개구부(12c)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퍼 구동부(14)는, 그 외면에, 케이스(14a)와, 지지부(14b)를 갖는다. 지지부(14b)는 케이스(14a)의 좌측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4b)는,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개폐 가드부(12)의 원주형 레그부(12f)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개폐 가드부(12)는, 스크루 부재(21)에 의해서 개폐 가드 고정부(11b)에 고정되어 있고, 스크루 부재(22)에 의해서 지지부(14b)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폐 가드부(12)를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개구부(12c)는,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와이퍼 구동부(14)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퍼 구동부(14)의 위치를 개구부(12c)를 통하여 시인할 수 있다.
개폐 가드 지지부(11a)는, 스크루 부재(23) 및 스크루 부재(24)에 의해서 상부판(5b)에 고정되어 있다. 개폐 가드 고정부(11b)는 스크루 부재(24) 및 스크루 부재(25)에 의해서 상부판(5b)에 고정되어 있다.
주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와이퍼 구동부(14)는, 와이퍼 모터(14c)와, 출력축(14d)을 갖는다. 와이퍼 구동부(14)의 케이스(14a)의 내부 공간에 와이퍼 모터(14c)가 배치되어 있다. 와이퍼 모터(14c)에 출력축(14d)이 접속되어 있다. 출력축(14d)에 와이퍼 아암(13a)이 접속되어 있다. 출력축(14d)은, 링크 기구를 구비하여 와이퍼 모터(14c)의 출력축의 회전을 변환하여, 요동시킨다. 그 구동력에 의해서 출력축(14d)이 회동함으로써, 와이퍼 아암(13a) 및 와이퍼 블레이드(13b)가 회동한다.
출력축(14d)은, 출력축(14d)의 상부(14d1)가 출력축(14d)의 하부(14d2)보다 천장창(5a) 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다. 즉,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를 캡(5)에 부착한 상태에서, 출력축(14d)은 전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출력축(14d)에 접속된 와이퍼 아암(13a)은 천장창(5a)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퍼 아암(13a)에 접속된 와이퍼 블레이드(13b)는 천장창(5a)에 대하여 비스듬히 압박된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 1 및 2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7∼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 1에서는, 개폐 가드부(12)는, 제1 포위부(S1)를 갖는다. 고정 프레임(11)은 제2 포위부(S2)를 갖는다. 도 8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1 포위부(S1) 및 제2 포위부(S2)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 포위부(S1)는, 개폐 가드부(12)의 판형부(12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벽부(S1a)를 갖는다. 제2 포위부(S2)는 고정 프레임(11)의 배치부(11c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벽부(S2a)를 갖는다.
개폐 가드부(12)의 제1 포위부(S1)는,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와이퍼 구동부(14)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고정 프레임(11)의 제2 포위부(S2)는 와이퍼 구동부(14)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개폐 가드부(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포위부(S1)는 제2 포위부(S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포위부(S1)와 제2 포위부(S2)는 오버랩되어 있다. 즉, 제1 벽부(S1a)와 제2 벽부(S2a)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포위부(S1)와 제2 포위부(S2)는 그 선단부가 서로 오버랩되어 있다. 또, 제1 포위부(S1)는 제1 벽부(S1a)에 형성된 개구(OP)를 갖는다. 개구(OP)에는 와이퍼(13)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해서 설명한다. 다시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 2에서는, 와이퍼 구동부(14)는 개폐 가드 고정부(11b)에 부착되어 있다. 즉, 와이퍼 구동부(14)는 캡(5)의 지붕 부분에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기(4)는 캡(5)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퍼 모터(14c)는 캡(5)의 지붕 부분에서 작업기(4)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퍼 구동부(14)가 캡(5)의 지붕 부분에 있어서 작업기(4)측(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천장창(5a)으로부터 작업기(4)를 보았을 때에, 와이퍼 구동부(14)에 의해서 시계(視界)가 막힘으로써 작업기(4)를 보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 2에서는, 와이퍼 구동부(14)가 작업기(4)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퍼 구동부(14)에 의해서 시계가 막힘으로써 작업기(4)를 보기 어렵게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작업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에 따르면, 와이퍼(1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이퍼 구동부(14)가 고정 프레임(11) 상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 프레임(11)은 개폐 가드부(12)를 지지하기 위해서 캡(5)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13)를 캡(5)의 천장창(5a)에 설치하기 위해서 캡(5)에 새로운 가공이나 새로운 부재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또한, 캡(5)에 부착된 고정 프레임(11)에 와이퍼 구동부(14)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창(5a)에서 떠나지 않는 상태로 와이퍼 구동부(14) 및 와이퍼(13)의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퍼(13)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본 실시의 형태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에 있어서는, 개폐 가드 지지부(11a)와 개폐 가드 고정부(11b)가 연결부(11c)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폐 가드 지지부(11a)와 개폐 가드 고정부(11b)와 연결부(11c)를 일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프레임(11)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에 있어서는, 개폐 가드부(12)의 제1 포위부(S1) 및 고정 프레임(11)의 제2 포위부(S2)에 의해서, 와이퍼 구동부(14)에 빗물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제1 포위부(S1)가 제2 포위부(S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포위부(S1)의 표면에 부착된 빗물이 제2 포위부(S2)의 표면을 통해 와이퍼 구동부(14)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에 있어서는, 출력축(14d)의 상부(14d1)가 출력축(14d)의 하부보다 천장창(5a) 측에 위치하도록 출력축(14d)이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 구동부(14)의 출력축(14d)이 천장창(5a)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출력축(14d)에 와이퍼(13)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퍼(13)를 천장창(5a)에 대하여 비스듬히 압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퍼(13)가 천장창(5a)을 누르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에 있어서는, 개폐 가드부(12)는,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와이퍼 구동부(14)의 상측에 배치된 개구부(12c)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폐 가드부(12)가 고정 프레임(1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개구부(12c)를 통하여 와이퍼 모터(14c)를 시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 모터(14c)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캡(5)에 따르면, 상기한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10)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퍼(13)를 천장창(5a)에 설치하기 위해서 캡(5)에 새로운 가공이나 새로운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와이퍼(13)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본 실시의 형태의 와이퍼 장치(15)는, 와이퍼(13)의 구동원을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를 캡(5) 상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퍼 장치(15)를 개장할 때에, 캡(5)에 새로운 가공이나 새로운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서브어셈블리가 캡(5)에 구비되는 천장창을 보호하기 위한 개폐 가드의 고정 프레임(11) 상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천장창(5a)에 대한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이번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표시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천장창을 갖는 캡에 부착될 수 있는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이것을 구비한 캡 및 건설기계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유압 셔블, 2 하부 주행체, 2a 크롤러 벨트, 3 상부 선회체, 4 작업기, 4a 붐, 4b 아암, 4c 버킷, 4e 유압 실린더, 5 캡, 5a 천장창, 5b 상부판, 5c 필라, 5d 전방창, 5e 도어, 5f 전방창용 와이퍼, 6 엔진 룸, 7 카운터웨이트, 10 와이퍼 부착 개폐 가드, 11 고정 프레임, 11a 개폐 가드 지지부, 11b 개폐 가드 고정부, 11c 연결부, 12 개폐 가드부, 12a 판형부, 12b 메쉬형 부분, 12c 개구부, 13 와이퍼, 13a 와이퍼 아암, 13b 와이퍼 블레이드, 14 와이퍼 모터, 14a 케이스, 14b 지지부, 14c 모터 본체, 14d 출력축, 14d1 상부, 14d2 하부, 15 와이퍼 장치, S 표면, S1 제1 포위부, S2 제2 포위부.

Claims (7)

  1. 천장창을 갖는 캡에 부착될 수 있는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로서,
    상기 와이퍼 장치는 상기 천장창의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퍼와,
    상기 와이퍼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이퍼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 가드는,
    상기 캡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지지된 개폐 가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 가드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와이퍼 장치는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부착되어 있는 것인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개폐 가드부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접속하는 개폐 가드 지지부와,
    상기 개폐 가드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가드부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는 개폐 가드 고정부와,
    상기 개폐 가드 지지부의 부착부와 상기 개폐 가드 고정부의 부착부를 갖고, 상기 개폐 가드 지지부의 상기 부착부로부터 상기 개폐 가드 고정부의 상기 부착부에 걸쳐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가드부는, 상기 개폐 가드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모터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 포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와이퍼 구동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2 포위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포위부는 상기 제2 포위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구동부는 출력축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축의 상부가 상기 출력축의 하부보다 상기 천장창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력축이 경사져 있는 것인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가드부는, 상기 개폐 가드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구동부의 상측에 배치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가 부착된 건설기계용의 캡.
  7. 건설기계의 캡의 천장창을 위한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천장창의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퍼와,
    상기 와이퍼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이퍼 구동부로서, 상기 와이퍼에 연결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회동시키는 와이퍼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축과 상기 와이퍼 모터는 서브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캡 상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인 와이퍼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캡은 상기 천장창을 보호하기 위한 개폐 가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가드는, 상기 캡에 고정 부착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 가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인 와이퍼 장치.
KR1020147018049A 2012-07-23 2012-09-20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건설기계를 위한 캡 KR101637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2501A JP5393850B1 (ja) 2012-07-23 2012-07-23 ワイパ装置、ワイパ装置付開閉ガード、および建設機械のためのキャブ
JPJP-P-2012-162501 2012-07-23
PCT/JP2012/073974 WO2014016976A1 (ja) 2012-07-23 2012-09-20 ワイパ装置、ワイパ装置付開閉ガード、および建設機械のためのキャ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634A true KR20140106634A (ko) 2014-09-03
KR101637108B1 KR101637108B1 (ko) 2016-07-06

Family

ID=4999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049A KR101637108B1 (ko) 2012-07-23 2012-09-20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건설기계를 위한 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7986B2 (ko)
JP (1) JP5393850B1 (ko)
KR (1) KR101637108B1 (ko)
CN (1) CN103826940B (ko)
DE (1) DE112012003460B4 (ko)
WO (1) WO2014016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8183B2 (ja) * 2016-12-16 2019-05-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ヘッドガード
CN106828418B (zh) * 2016-12-27 2018-12-07 重庆洋迪机电有限公司 汽车天窗
CN107848579B (zh) * 2017-07-20 2018-12-2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CN107472202B (zh) * 2017-07-29 2022-09-13 新疆拓荒者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清洁器
CN107985036A (zh) * 2017-12-31 2018-05-04 重庆聚亨机械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驾驶室顶盖
JP7214519B2 (ja) * 2019-03-15 2023-01-30 株式会社クボタ フロントガード及び作業機
JP6911897B2 (ja) * 2019-09-26 2021-07-2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IT202000002671A1 (it) * 2020-02-11 2021-08-11 Cnh Ind Italia Spa Veicolo da lavoro provvisto con un assieme di pannello solare migliorato
US11285899B2 (en) * 2020-04-23 2022-03-29 Caterpillar Inc. Guard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689A (ja) * 1993-10-01 1995-04-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荷役車両の天窓ガード
JPH1170856A (ja) 1997-08-14 1999-03-16 Webasto Karosseriesyst Gmbh 開閉自在の車輛ルーフのワイパ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の取付方法
JP2003267195A (ja) 2002-03-19 2003-09-25 Komatsu Ltd 建設機械のワイパ駆動装置及びワイパ駆動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759U (ja) 1992-01-21 1993-08-03 油谷重工株式会社 破砕作業機械のキャブ天窓用散水装置
US5647086A (en) 1996-10-22 1997-07-15 Gold; Peter Spare wheel carrier-mounted rear window wiper
JP3859206B2 (ja) 2001-12-07 2006-12-20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ワイパ装置
KR100689292B1 (ko) * 2005-06-01 2007-03-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에 장착되는 운전자 보호구조물
JP4867651B2 (ja) 2006-12-27 2012-02-0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ビンヘッドガード装置
JP5155816B2 (ja) 2008-10-22 2013-03-06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モータおよびワイパ装置
JP5533905B2 (ja) 2012-02-01 2014-06-2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ビンガー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689A (ja) * 1993-10-01 1995-04-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荷役車両の天窓ガード
JPH1170856A (ja) 1997-08-14 1999-03-16 Webasto Karosseriesyst Gmbh 開閉自在の車輛ルーフのワイパ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の取付方法
JP2003267195A (ja) 2002-03-19 2003-09-25 Komatsu Ltd 建設機械のワイパ駆動装置及びワイパ駆動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6940A (zh) 2014-05-28
US9027986B2 (en) 2015-05-12
DE112012003460B4 (de) 2017-02-02
CN103826940B (zh) 2015-08-26
WO2014016976A1 (ja) 2014-01-30
DE112012003460T5 (de) 2014-05-22
US20140175834A1 (en) 2014-06-26
JP2014020171A (ja) 2014-02-03
JP5393850B1 (ja) 2014-01-22
KR101637108B1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108B1 (ko)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건설기계를 위한 캡
JP5591994B2 (ja) 建設機械
JP2001200552A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JP2014047462A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取付構造
KR101660658B1 (ko) 가드 부착형 작업 차량용 캡 및 유압 셔블
JP2007169917A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構造
JP5751429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ガード装置
JP2005232795A (ja) 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5054802B2 (ja) 建設機械
JP4883626B2 (ja) 車両
JP2001090110A (ja) 旋回作業機
JP5873778B2 (ja) 作業機械
JP4175995B2 (ja) 油圧ショベルの窓保護装置
JP4704853B2 (ja) 建設機械
JPH11336124A (ja) 建設機械
JP4783922B2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JP3626131B2 (ja) 小型旋回作業機のキャビン
JP2009202852A (ja) 車両用キャビンのドア開閉装置
JPH10168940A (ja) 運転室付き作業機
JP2000326876A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3650298B2 (ja) 作業機のキャビン構造
JP2005163533A (ja) 作業機械
JPH101975A (ja) 旋回作業機
JP2001081809A (ja) 旋回作業機
JP2004330806A (ja) 運転室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