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026A - 상처 치료용 필름형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처 치료용 필름형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026A
KR20140102026A KR1020130015400A KR20130015400A KR20140102026A KR 20140102026 A KR20140102026 A KR 20140102026A KR 1020130015400 A KR1020130015400 A KR 1020130015400A KR 20130015400 A KR20130015400 A KR 20130015400A KR 20140102026 A KR20140102026 A KR 20140102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ilm
ac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789B1 (ko
Inventor
김순회
손미원
장선우
전준호
한상덕
최성락
김대환
손용성
권용삼
Original Assignee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789B1/ko
Priority to EP14751188.5A priority patent/EP2956126B1/en
Priority to US14/765,318 priority patent/US10278928B2/en
Priority to PCT/KR2014/001103 priority patent/WO2014126370A1/en
Priority to CN201480008377.XA priority patent/CN104994843B/zh
Priority to BR112015019430A priority patent/BR112015019430A8/pt
Publication of KR2014010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15Drug-containing film-forming compositions, e.g. spray-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61K31/56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 17 alpha, e.g. mestranol, norethandrol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3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having at least on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carbocyclic ring, e.g. streptomycin, gentamycin, amikacin, validamycin, fortimic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포함하며 상처 등에 적용시 표면에 필름이 형성되는 필름형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성 조성물은 상처에서 직접 필름을 형성하여 상처에의 밀착력을 높이고, 생성된 얇은 친수성 필름이 상처면을 보호하여 상처면의 감염을 방지하고, 상처치료에 유용한 생리학적 활성물질을 상처 면에 보존시켜 상처 치료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형성된 필름이 상처면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처 치료효과가 매우 뛰어날 뿐 아니라 옷이나 붕대 등에 묻지 않는 등 사용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고전적인 생리학적 활성물질 전달 수단인 겔 또는 연고 제형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처 치료용 필름형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Film-form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wound treatment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처에서 직접 필름을 형성하여 상처 치료를 빠르게 해주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처(wound)는 부상의 한 형태로서 피부가 찢어지거나 뚫리거나 잘리는 개방창(open wound), 둔탁한 힘에 의해 생기는 멍, 타박상 등의 폐쇄창(Closed wound)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상처 발생시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 데, 보통 상처가 경미한 경우 세척만으로도 자연적으로 치료가 되나, 심하며 개방창의 경우, 세척, 소독, 봉합, 드레싱의 치료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깨끗한 개방창의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 없지만 세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거나 감염된 상처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상처치유 과정은 혈관수축 및 지혈 연쇄반응에 따른 지혈과정, 여러 면역 관련 세포들이 활성화되는 염증단계, 손상된 혈관이 새로 생성되고 섬유아세포가 생성되는 증식단계와 배열이 틀어진 콜라겐 섬유들이 재배열되고 교차 결합되는 성숙 및 재배열 단계를 거친다. 상처가 최초 생성되면 혈액은 콜라겐 조직을 만나게 되면서 혈소판응집과 염증성 물질의 분비를 촉진한다. 피브린 및 피브로넥틴은 서로 교차결합하여 일종의 마개를 형성하여 더 이상의 혈액 손실을 막는다. 상처가 난 한시간 정도 이후에는 다형핵성 호중구(polymorphonuclear neutrophils)가 상처부위에 도착하며 2일 후에는 주된 세포가 된다. 이런 호중구들은 상처의 잔해나 박테리아를 먹어 치운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상처 치료에 아주 필수적인데, 대식세포는 상처 2일째의 주된 세포인 다형핵성 호중구를 대체한다. 이 대식세포의 주된 역할은 박테리아 또는 상처난 조직을 잡아먹는 것이며 프로테아제를 분비하여 손상된 조직을 제거한다. 이런 대식세포는 또한 상처후기의 증식단계에서 관여되는 성장 인자(Growth factor)들을 분비하여 상처치료가 다음단계로 가기를 도와준다. 상처 발생 후 2~3일 후에는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상처부위에 들어오며 증식기가 시작된다. 이 시기에 중요한 혈관신생은 상피세포가 상처부위로 이동할 때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함께 진행된다. 혈관신생과 동시적으로 섬유아세포는 상처부위에 축적되는데 상처 후 2~5일 사이 염증기가 끝나면서 증가하기 시작하며 상처 후 1~2주 사이에 최고량이 생긴다. 이런 섬유아세포의 주된 기능중의 하나는 콜라겐을 생성하는 것이지만, 콜라겐 분해효소 및 콜라겐을 분해하는 인자들을 생성하는 것도 그 기능 중 하나로서, 상처에서는 생성이 분해보다 빨리 일어나게 된다.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은 섬유아세포, 염증세포, 상피세포, 새로 생성된 혈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방창에서는 육아조직이 생기고 나서 상처의 경계면에 상피세포들이 이동하여 경계를 형성함으로서 재상피화가 일어난다. 수축(contraction)은 상처 치유과정 중 중요한 과정으로 섬유아세포가 근섬유아세포로 분화되면서 시작된다. 콜라겐의 생성과 분해가 동등해질 때부터 상처 복구의 성숙 및 재배열 단계가 시작되는데 성숙이 진행되면서 III형 콜라겐이 I형 콜라겐으로 대체되고, 섬유세포들은 재배열, 교차결합 되면서 조직의 장력(tension)이 강해진다. 이 과정은 상처에 따라 1년 또는 그 이상이 소요되기도 한다.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은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고 현재 여러 제품들이 시장에 판매되고 있다. 상처면을 소독할 때 쓰는 과산화수소수, 포비돈 요오드,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을 함유하는 소독용 제품, 거즈, 붕대 등의 지혈 등을 도와주고 상처면을 보호하여 2차 감염을 방지하는 드레싱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처 중 감염되거나 감염될 우려가 있는 상처에 사용하는 무피로신, 푸시드산 및 그의 염, 티로트리신 등의 항생물질을 함유하는 제품 또는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단독 또는 스테로이드, 항생물질과 복합된 제품이 통상적인 겔 이나 연고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후시딘®(Fucidin®) 연고, 티로서®(Tyrosur®)겔 및 복합마데카솔® 등이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겔 또는 연고 제형은 사용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처에 적용시 거즈나 옷 등의 외부 접촉에 의해 상처면에서의 제형이 오랫동안 존재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약물이 지속적으로 상처면과 접촉하기가 어려워 계속적인 약물 전달에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제거된 제형 부분으로 상처가 외부에 노출될 경우 재감염의 확률도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노출된 상처가 외부의 다른 물리적인 자극에 의하여 환자로 하여금 통증을 느끼게 하게 된다. 그러므로 많은 환자들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러한 통상적인 제형을 사용할 때에는 1회용 밴드 또는 거즈나 붕대를 병용사용하기도 하나, 매번 이런 드레싱들을 약물 적용시 마다 교체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많다. 또한, 특히 항생물질만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통상적인 제품들은 감염성 상처 부위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감염성 상처에서 감염 증상을 막기 위한 것일 뿐이며, 상처 자체의 치료를 빠르게 해주는 상처치료 촉진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제제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고, 보관 및 사용시에는 통상적인 겔의 형태이지만 환부에 적용하게 되면 필름형태가 되어 환부를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상처에 약물을 전달하며, 옷감이나 거즈 등에 의해 제형이 환부에서 제거되지 않는 상처 치료용 겔을 발명하게 되었다.
의약 성분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고 피부에 적용하면 필름을 형성되는 기술로써, 몇몇 제형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5193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4979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996-0009415호에는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친수성 점증제와 소수성폴리머로 옥틸아크릴아미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암모니오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아클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탄올과 같은 휘발성 용매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성물들은 소수성 폴리머의 비중이 높아 상처에 필름형성 후 삼출물에 의해 분리되고, 유기용매의 비중이 높아 상처면에 자극을 주게 되어 상처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79347호에서는 테르비나핀 또는 그의 염과 피부 도포 후 피막을 형성하는 트리메틸실옥시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조성물도 소수성 기제의 함량이 높고 유기용매가 많아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상처치료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48390호에는 상피세포성장인자를 포함하며 키토산, 글리세린 등을 포함한 상처치료용 서방성 필름제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상처면에 바로 필름을 생성하지 않아 상처와 제형과의 밀착성이 떨어져 약물전달 및 상처면 보호가 완전하지 못하다. 특히 피부 일부분이 박탈된 요철이 심한 상처의 경우 밀착성은 더욱 떨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27434호에서는 후시드산 나트륨과 에틸셀룰로오스, 콩기름과 에탄올을 함유하는, 약물의 서방출이 가능한 발수-필름 형성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기용매 함량이 높은 제제를 상처에 적용할 경우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상처 치유 속도도 감소시킨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0066024호에는 활성 물질로서 헤파린을 포함하고, 물과 화학적으로 변형된 수용성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상처치유 연고 조성물 및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40239호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수화겔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머의 함량이 높아 겔 내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을 형성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08192호, 제0644369호에는 키토산 등을 용해시켜 동결건조한 후 스폰지상을 만드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도 상처면에 바로 필름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처와의 밀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에 기술한 문제점들을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23653호, 제2012-0022930호에는 활성물질로서 푸시드산 및 설파다이아진과 키토산을 함유하고 1, 2차 유화제, 왁스물질, 산 및 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약용크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적당한 점도를 부여하기 위해서 파라핀, 세토스테아릴알콜 같은 비휘발성, 친유성, 반고상의 물질을 다량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개시된 조성물은 필름형성능력이 떨어지며, 형성된다 하더라도 기계적 외부자극에 의해 쉽게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항생제를 함유하는 통상적 제제들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예의 연구하던 중, 활성물질을 함유하며 저장기간에는 겔의 형태를 유지하다가 상처에 적용시 필름이 형성되는 제형을 발명하였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선행기술에 비하여 그 구성이 간단할 뿐 아니라 필름형성 효과가 우수하고, 기계적인 강도도 뛰어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상처부위에 적용시 상처면에 바로 필름을 생성하여 상처와의 뛰어난 밀착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상처가 치유된 정상조직에서는 쉽게 떨어지는 매우 뛰어난 성질을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활성물질을 함유하며, 종래의 상처 치료용 통상적 제제들(겔, 연고)의 단점을 극복하여, 적용 전에는 겔이지만 적용 후에는 상처면에 바로 필름이 형성되어 상처를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약물을 전달하며, 거즈나 붕대 등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제형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생물에 대한 재감염을 방지하여 상처 치유 효과를 높인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용 후 상처에 필름을 형성하며 상처치료 효과가 극대화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약리학적 활성물질, (b) 필름형성물질로써 키토산 또는 그의 염, 및 (c) 키토산을 용해하기 위한 용제를 함유하며, 상기 필름형성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 함유하고, 조성물 내 크림 베이스 성분은 상기 필름형성물질에 대하여 1:50 이하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피부에 적용시 필름을 형성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래의 키토산 함유 제형들은 키토산을 미량으로 함유하거나, 피부에 도포시 필름을 형성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키토산을 함유하거나, 또는 크림 베이스 등을 과량으로 함유하여 피부에 적용시 필름을 형성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키토산을 필름형성을 위하여 적정한 양으로, 즉,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적용시 적정한 강도, 바람직하게는 10N 이상의 강도를 갖는 필름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키토산에 의한 필름 형성을 방해하는 크림 베이스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지 않거나, 미량으로,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에 대하여 (키토산:크림 베이스 성분) 1:50 중량비 이하로 함유한다. 키토산에 대한 크림 베이스 성분의 비율이 1:50 을 넘게 되면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충분한 강도를 갖는 필름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키토산에 대하여 크림 베이스 성분을 일정 비율 이하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적용시 용제가 증발 또는 휘발하여 상처면에서 상처 치유에 유용한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크림 베이스 성분은 'Handbook of Phamaceutical Excipients, 6th edition, Pharmaceutical Press'에 잘 예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필름형성물질에 의한 필름 형성을 방해하는 크림 베이스 성분들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보통 크림 제형은 유상(oil phase)이 수(water) 중에 분산된 에멀젼 형태이며, 그 구성은 유상, 유화제, 수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크림 베이스 성분은 이들 중 유상과 유화제를 가리키며,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크림 베이스의 의미와 예들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크림 베이스 성분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적용시 키토산에 의한 필름 형성을 방해하며 일정량 이상으로 존재시 크림 타입의 제형을 형성하는 임의의 물질들을 모두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크림베이스 성분들은 예를 들어 팔미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세틸, 파라핀, 트리옥타노인, 콩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간유,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시메치콘,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폴리옥실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세토마크로골, 세탄올, 세스퀴올리인산소르비탄, 바세린, 백납, 황납, 미리스틸알코올,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모노올레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레시틴, 경화피마자유, 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라놀린, 올레일마크로골글리세리드 등을 포함하는 기제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필름형성 조성물은 이와 같은 크림 베이스 성분을 키토산에 의한 필름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비율로 함유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키토산을 함유하는 일반 제형들과 구별되는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성 조성물은 또한 산, 가소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착향제 또는 보습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첨가제들의 각각의 양 및 총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6 중량%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 형태로써, 본 발명은 (a) 약리학적 활성물질, (b) 필름형성물질로써 키토산 또는 그의 염, (c) 키토산을 용해하기 위한 용제 및 (d) 산, 가소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착향제, 안정화제, 소포제, 무통화제, 항산화제, 점착제, 겔화제, 유연제, 수렴제, 불투명화제, 보습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로 이루어진 상처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형태로써, 본 발명은 (a) 약리학적 활성물질로써 티로트리신, 퓨시드산 또는 그의 염, 황산네오마이신 또는 그의 염, 히드로코티손 및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b) 필름형성물질로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의 키토산 또는 그의 염 및 (c) 용제로써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조성물 내 크림 베이스 성분은 상기 필름형성물질에 대하여 1:50 이하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형태로써, 본 발명은 (a) 약리학적 활성물질로써 티로트리신, 퓨시드산 또는 그의 염, 황산네오마이신 또는 그의 염, 히드로코티손 및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로 함유하고, (b) 필름형성물질로써 키토산 또는 그의 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로 함유하고, (c) 용제로써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적정량, 바람직하게는 주성분 및 기타성분 이외에 잔량으로 함유하고, 조성물 내 크림 베이스 성분은 상기 필름형성물질에 대하여 1:50 이하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형태로써, 본 발명은 (a) 약리학적 활성물질로써 티로트리신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로 함유하고, (b) 필름형성물질로써 키토산 또는 그의 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로 함유하고, (c) 용제로써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적정량, 바람직하게는 주성분 및 기타성분 이외에 잔량으로 함유하고, (d) 산, 바람직하게는 락트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20 중량% 로 함유하고, (e) 점증제, 바람직하게는 폴록사머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며, 조성물 내 크림 베이스 성분은 상기 필름형성물질에 대하여 1:50 이하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처 또는 감염증 치료를 위한 상처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물질로서 적어도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상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약물로써,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다. 이러한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항생제, 상처치유촉진제, 소독제, 국소마취제 또는 소염제들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활성물질은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목사락탐, 피페라실린, 술베니실린, 탈암피실린 또는 그의 염 등과 같은 페니실린계 항생제, 세파드록실, 세파트리진, 세프라딘, 세파클러, 세포티암, 세푸록심, 세픽심, 세프트리악손, 세페핌, 세프피롬 또는 그의 염 등과 같은 세파로스포린계 항생제, 아즈스레오남, 메로페넴 또는 그의 염 등과 같은 베타락탐계 항생제, 아미카신, 아베카신, 이세파미신, 시소미신, 토브라마이신, 반코마이신 또는 그의 염 등과 같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아지스로마이신, 클라리스로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미데카마이신, 록시스로마이신, 스피라마이신 또는 그의 염 등과 같은 마크롤라이드 항생제, 시프로플록사신, 에녹사신, 가티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로메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또는 그의 염 등과 같은 퀴놀론계 항생제, 독시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또는 이의 염등돠 같은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또는 이와 다른 기전적 특징을 가지는 다른 모든 항균성 물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바시트리신, 클로록시레놀, 클린다마이신, 퓨사펀진, 겐타미신, 마페니드, 무피로신, 네오마이신, 니트로퓨라존,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레타파뮬린, 설파다이아진은, 티로트리신, 퓨시딘산, 티로트리신, 폴리믹신, 니스타틴, 무피로신 또는 이들의 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물질로써 상처초기에 살균 소독을 위한 살균제 또는 소독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루타릴콘센트레이트, 벤잘코늄, 벤제토늄, 클로로헥시딘, 크레졸, 에탄올, 이소프로필에탄올, 포비돈요오드, 질산은 또는 이들의 염 등, 상처소독작용이 알려진 모든 주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물질로써 상처 치료를 촉진하기 위한 활성물질(상처치유촉진제)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처치유촉진제에는 수용성 아줄렌, 폴리크레줄렌, 베카프레민,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덱스판테놀, 피부각질세포, 리소짐,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시드, 솔코세릴 120 농축물, 트라퍼민 또는 이들의 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물질로써 초기상처의 통증을 없애줄 목적으로 국소마취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벤조카인, 부피바카인, 레보부피바카인, 리도카인, 메피바카인, 프로카인, 로피마카인, 테트라카인, 프릴로카인 또는 이들의 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물질로써 상처부위의 염증을 없애줄 목적으로 알크로메타손, 암시놀로나이드, 베클로메타손, 부데소나이드, 클로베타솔, 데소나이드, 데속시메타손, 덱살틴엔케이, 덱사메타손, 디풀루코톨론, 플루오시놀론, 플루오시노나이드, 풀루티카손, 할시노나이드, 하이드로코티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카베이트, 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또는 이들의 염 등과 같은 소염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에 열거한 상처치유에 사용 가능한 물질 또는 물질계열 중 1종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할 수 있으나, 그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티로트리신, 퓨시드산 또는 그의 염, 황산네오마이신, 히드로코티손 및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 함유되는 활성물질의 양은 그 안전성 및 유효성이 밝혀진 농도 범위로, 각 성분의 시판되는 농도의 0.3 내지 2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관시에는 통상적인 형태, 예컨대, 겔 또는 졸 등의 형태로 존재하다가 인체에 적용시 상처부위에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필름형성물질로써 키토산을 포함한다.
키토산은 갑각류등에서 얻어진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서 수득가능하며 D-글루코사민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이 β-(1-4) 무작위로 결합되어 있는 선형의 다당체이다. 탈아세틸화한 정도에 따라 다당체의 성질이 바뀌는데 바람직한 탈아세틸화도는 80%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키토산은 필름형성물질의 역할 이외의 겔 제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사용시 흐르지 않고 피부에 적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한 점증제의 역할도 한다. 본 발명에서 첨가되는 키토산의 분자량은 저분자, 고분자 모두 상관없으며 저분자의 경우 추가되는 점증제를 함유하여 겔 제형을 유지하거나, 추가적인 점증제를 함유하지 않아도 묽은 형태로서 투여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키토산은 유리 염기 또는 염 형태이며, 염 형태일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산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토산은 당 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 키토산의 함량은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고 피부에 적용시 충분한 강도의 필름을 생성하기 위한 충분한 양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제제 중 0.3 중량%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이상이며 2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양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키토산을 용해하기 위한 산을 함유할 수 있다. 키토산을 용해하기 위한 산은 황산, 불화황산, 질산, 인산, 불화붕산, 붕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구연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 개미산, 글루콘산, 락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사과산, 아디프산, 말레인산, 숙신산, 주석산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양은 키토산의 양 대비 0.5 내지 2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락트산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키토산 및 활성물질을 녹이기 위한 용제를 함유한다. 용제는 피부에 적용전 유동적 형태로 제제를 유지하다가 상처에 적용후 휘발하여 상처면에 필름을 형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키토산을 용해하기 위한 용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이들은 활성물질을 조절하기 위한 적절한 양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용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증발 또는 휘발되어 피부 표면의 적용부위에 필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키토산 뿐 아니라 활성물질을 녹이기 위한 용제를 함유한다. 용제는 피부에 적용전 유동적 형태로 제제를 유지하다가 상처에 적용후 휘발하여 상처면에 필름을 형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용제는 이소프로필알콜, 에틸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상처면의 자극이 적은 이소프로필알콜, 에틸알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양은 활성물질을 일정농도로 하기까지의 적당한 양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함유되는 가소제는 본 발명의 구성물질 중 활성물질의 용해를 보조하여 제제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제제로부터의 활성물질의 침전을 방지한다. 또한, 상처면에 필름이 생성되고 난 후 필름의 강도를 부드럽게 하여 피부의 신축에 의한 필름 파괴 등을 방지하여 필름을 유지시켜 기능적, 미관적 우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소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라브라졸, 트랜스큐톨, 라브라팩, 플루롤 올레이크, 라우로글라이콜, 카프리올, 라브라필, 미글리올, 글리세린 등이 단독 또는 조합하여 함유될 수 있으며, 그 양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추가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점증물질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로거스트빈검, 아라비아검, 구아검, 카보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록사머 등이 단독 또는 조합하여 함유될 수 있으며, 그 양은 키토산의 부족한 점증역할을 대신할 수 있게 할 정도의 점도를 유지하는 0.2 내지 10%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활성물질이 난용성인 경우 활성물질의 제제 내 용해성을 개선시켜주어 침전을 방지한다. 또한 제제 내 다른 소수성 물질들의 혼화성을 증가시켜 안정한 제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특히 난용성 활성물질인 경우 상처 내로의 약물침투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항생물질인 티로트리신 같은 경우 물에 대한 용해도가 현저히 떨어져 수상이 많이 포함된 제제에서는 침전이 석출되지만 계면활성제인 폴록사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함유한 경우 용해상태를 잘 유지한다. 본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에틸렌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Solutol HS15), 폴리에톡시화피마자유 (Cremophor EL, Cremophor RH40, Cremophor RH60),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예컨대, 폴록사머 124, 폴록사머 188, 폴록사머 407), 스테아로일 마크로골-32 글리세라이드, 라우로일 마크로골-32 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글라이콜 모노카프릴레이트, 카프릴로카프로일 마크로골-8 글리세라이드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 도큐세이트,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등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위에서 기술한 목적에 충분한 양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정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보존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한 보존제에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4차 암모늄 화합물, 예컨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세트리마이드, 데퀄리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콜계 약제, 예를 들어 클로로부탄올, 페닐에틸 알콜 및 벤질 알콜; 파라벤, 예컨대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부틸파라벤; 항박테리아성 에스테르, 예를 들어 파라히드록시벤조산의 에스테르; 및 여타 항미생물제, 예컨대 클로르헥시딘, 클로로크레졸, 벤조산, 폴리믹신 및 페녹시에탄올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존제는 나트륨 벤조에이트, 페녹시에탄올, 벤질 알콜, 메틸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및 디아졸리디닐 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정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보통의 외용 약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존제, 착향제, 기제, 보습제, 안정화제, 소포제, 무통화제, 항산화제, 점착제, 겔화제, 유연제, 수렴제, 불투명화제 등이며 그 예는 'Handbook of Phamaceutical Excipients, 6th edition, Pharmaceutical Press'에 잘 예시되어 있다.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첨가성분들은 특별한 기술적 어려움 없이 인식하여 본 발명의 제형에 채택할 수 있으며, 외용 약학 제제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시 필름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것들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성분이 필름 형성을 방해하는 크림 베이스 성분에 상응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비율의 범위 내에서 그 함량이 적절히 조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사용 전에는 통상의 제형인 액제, 겔제 또는 연고제의 반고형제의 형태이지만 피부에 적용 후에는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활성물질의 제형 내 존재형태는 고형상태에서 미세한 입자를 유지하는 현탁액일 수 도 있고, 유상에 용해되어 미세한 입자를 유지하는 에멀젼 형태일수도 있다. 또한 활성물질 자체가 잘 용해되거나 또는 가용화된 경우 액상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관한 제형은 통상의 약제학적인 생산 방법, 예를 들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통상적인 형태에서 인체에 적용시 필름을 형성하여 상처면에서 제형의 물리적 접촉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며, 이로 인하여 2차적인 밴드나 거즈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사용회수도 줄일 수 있다.
둘째, 상처면에 필름을 직접 형성하여 상처와의 밀착력을 높이며, 특히 요철이 심한 상처의 경우, 그 밀착력이 증가된다.
셋째, 필름을 형성하여 지속적으로 약물을 상처면에 전달함으로써 상처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넷째, 상처면에 필름을 형성하여 외부 미생물 등의 감염으로부터 상처면을 보호할 수 있다.
다섯째, 칼로베인상처와 같은 절개된 상처 양단을 벌어지지 않게 하여 절개상처의 접착력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처면의 습윤한 환경에서만 부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상처 치유가 진행됨에 따라 치유부위에서 선택적으로 탈락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찰과상 동물모델에서 실시예 1, 13, 시판제제제인 티로서, 후시딘에 대한 상처 감소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화상 모델에서 실시예 1, 시판제제제인 티로서®, 후시딘®에 대한 상처 회복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티로트리신 및 물 함유 필름형성 겔제의 제조
하기 표1에 표시된 양과 같이 티로트리신,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염화 세틸피리디늄, 착향제를 넣고 Overhead mixer를 사용하여 완전히 용해하여 액 1을 제조하였다. 그와 별도로 Homo-Agi Mixer에 물을 넣은 후 키토산을 넣어 분산시킨 후, 추가로 락트산을 넣고 용해하였다. 용해된 액에 폴록사머407 (및 폴리소르베이트80)을 넣고 추가적으로 용해한 뒤, 티로트리신이 함유된 액 1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켜, 티로트리신이 함유된 필름형성 겔을 제조하였다.
아래 실시예들의 제제들을 피부에 적용시 모두 10~20분 후 투명한 필름이 형성되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실시예 7 내지 9: 다양한 키토산 농도의 티로트리신 및 물 함유 필름형성 겔제의 제조
하기 표2에 표시된 양과 같이 다양한 키토산 농도를 갖는 필름형성 겔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아래 실시예들의 제제들을 피부에 적용시 모두 10~20분 후에 투명한 필름이 형성되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실시예 10 : 티로트리신 및 물 함유 필름형성 액제의 제조
하기 표3에 표시된 양과 같이 티로트리신,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염화 세틸피리디늄, 착향제를 넣고 Overhead mixer를 사용하여 완전히 용해하여 액 1을 제조하였다. 그와 별도로 다른 Overhead mixer에 물, 키토산을 넣고 분산시킨 후, 추가로 락트산을 넣어 키토산을 용해하였다. 티로트리신이 함유된 액 1을 키토산 용해액에 넣어 완전히 용해시켜, 티로트리신이 함유된 필름형성 액을 제조하였다. 아래 실시예 10의 제제를 피부에 적용시 10~20분 후에 투명한 필름이 형성되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실시예 11 내지 14: 티로트리신 , 물 및 에탄올 함유 필름형성 겔제의 제조
하기 표4에 표시된 양과 같이 티로트리신, 1g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염화 세틸피리디늄 및 벤질알콜, 착향제를 넣고 Overhead mixer를 사용하여 완전히 용해하여 액 1을 제조하였다. 그와 별도로, 40g의 물에 Overhead mixer를 사용하여 키토산을 분산시킨 후, 락트산을 넣어 키토산을 용해하여 액 2를 제조하였다. Homo-Agi mixer에 45g의 에탄올을 넣고 히드록시 프로필셀룰로오스를 넣어 용해하였다. 액 1을 상기 Homo-Agi mixer에 넣고 교반한 뒤, 액2를 넣고 완전히 용해시켜 티로트리신이 함유된 필름형성 겔을 제조하였다. 아래 실시예들의 제제들을 피부에 적용시 모두 8~15분 후 투명한 필름이 형성되었다.
[표 4]
Figure pat00004
실시예 15 내지 16: 퓨시드산 나트륨 함유 필름형성 겔제의 제조
하기 표5에 표시된 양과 같이 퓨시드산나트륨 또는 퓨시드산나트륨+히드로코르티손, 20 g의 물, 폴리소르베이트80,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착향제를 넣고 Overhead mixer를 사용하여 완전히 용해 또는 분산하여 액 1을 제조하였다. 그와 별도로, Homo-Agi mixer에 나머지의 물을 넣고 키토산을 넣어 분산시킨 후. 락트산을 넣어 용해하였다. 여기에 폴록사머 407을 추가로 넣어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액 1을 상기 Homo-Agi mixer에 넣고 교반하여, 퓨시딘산 나트륨 등이 함유된 필름형성 겔을 제조하였다. 아래 실시예들의 제제들을 피부에 적용시 모두 10~20분 후에 투명한 필름이 형성되었다.
[표 5]
Figure pat00005
실시예 17 내지 20: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등 함유 필름형성 겔제의 제조
하기 표6에 표시된 양과 같이,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실시예 17),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및 황산네오마이신(실시예 18), 또는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황산네오마이신 및 히드로코르티손(실시예19)을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에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착향제, 폴리소르베이트80에 넣고 용해 또는 분산하였다. 여기에 염화 세틸피리디늄을 넣고, 가온하며 Homomixing하여 액1 을 제조하였다. 그와 별도로, Homo?gi mixer에 물을 넣은 후 키토산을 넣어 분산시켰다. 여기에 락트산을 넣어 용해한 후 액1을 넣고 교반하여 각 활성성분이 함유된 필름형성 제제를 제조하였다. 아래 실시예들의 제제들을 피부에 적용시 모두 10~20분 후에 필름이 형성되었다.
[표 6]
Figure pat00006
비교예 1: 키토산 함유 크림 제형의 제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2-0022930호의 실시예 1의 조성대로 키토산 0.25%가 함유된 은 설파다이아진이 첨가된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7
실험예 1 : 본 발명과 비교예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필름 강도 비교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7~9, 20의 제형과 상기 비교예 1의 크림 제형을 가지고, 각 0.5g을 취하여 가로 세로 1.5cm 로 PE 비닐백에 바른 후 37.5℃에서 건조하여 필름을 형성하였다.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UK)를 사용하여 필름의 파괴 강도를 측정하여 표7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필름은 필름 강도에 있어 비교예 1에 비하여 최소 10배 이상 현저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표 7]
Figure pat00008
실험예 2: 찰과상 모델에서의 본 발명 조성물과 시판제품의 상처 치유효과 비교
Streptozocin 40mg/kg을 정맥내 주입하여 당뇨를 유발한 SD Rat을 마취하고 40mm diameter로 찰과 상처를 유발하였다. 시험물질은 실시예 1 및 13의 제제와, 비교예로서 시판제품이며 통상적 제형인 티로서® 겔l (Engelhard社), 후시딘 연고(동화약품)을 사용하였다. 시험군을 무처치군, 실시예1 처치군, 실시예13 처치군, 티로서겔 처치군, 후시딘연고 처치군으로 하여 매일 1회씩 시험물질 0.5g을 처리하였다. 상처치유에 대한 평가는 상처치료 시작 2일째 원래 상처크기에서 상처크기가 얼마나 줄어드는가에 대한 Wound contraction ratio로 계산하였다((유발직후 상처크기 -각군 2 일째 상처크기)/유발직후 상처크기, %). 결과는 도1에 도시하였다. 도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찰과 상처에서 무처치군 및 티로서겔와 후시딘연고와 같은 통상의 상업적 제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P<0.05) 빠른 상처면적 감소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3: 화상모델에서의 본 발명 조성물과 시판제품의 상처치유효과 비교
SD Rat을 마취하고 등부분을 제모하였다. 80℃로 가열한 지름 1.5cm원통모양의 금속을10초간 접촉하여 화상을 유발하였다. 유발된 화상의 표피를 근막전까지 절제하였다. 시험물질은 실시예 1의 제제와 비교예로서 시판제품이며 통상적 제형인 티로서® 겔l (Engelhard社), 후시딘 연고(동화약품)을 사용하였다. 시험군을 무처치군, 실시예1 처치군, 티로서겔 처치군, 후시딘연고 처치군으로하여 매일 1회씩 시험물질 0.5g을 처리하였다. 상처치유에 대한 평가는 상처치료시작부터 1, 2, 4, 6일째 원래 상처크기에서 상처크기가 얼마나 회복되었는가에 대한 Wound Recovery(%)로 계산하였다(각 군1, 2, 4, 6일째 상처크기)/유발직후 상처크기, %). 결과는 도2에 도시하였다. 도2에서 확인되는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처치료 1, 2, 4 일 째, 화상상처에서 무처치군 및 티로서와 후시딘 같은 통상의 상업적 제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P<0.05) 빠른 상처면적 감소효과를 보였다.

Claims (19)

  1. (a) 약리학적 활성물질, (b) 필름형성물질로써 키토산 또는 그의 염, 및 (c) 키토산을 용해하기 위한 용제를 함유하며,
    상기 필름형성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 이상 함유하고,
    조성물 내 크림 베이스 성분은 상기 필름형성물질에 대하여 1:50 이하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피부에 적용시 필름을 형성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필름형성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크림 베이스 성분은 팔미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세틸, 파라핀, 트리옥타노인, 콩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간유,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시메치콘,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폴리옥실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세토마크로골, 세탄올, 세스퀴올리인산소르비탄, 바세린, 백납, 황납, 미리스틸알코올,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모노올레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레시틴, 경화피마자유, 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라놀린, 올레일마크로골글리세리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기제인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산, 가소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착향제 또는 보습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산은 락트산, 아세트산, 구연산, 아스코르브산, 클루콘산, 사과산, 아디프산, 말레인산, 숙신산, 주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키토산의 0.5 내지 2배의 양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가소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라브라졸, 트랜스큐톨, 라브라팩, 프루롤 올레이크, 라우로글라이콜, 카프리올, 라브라필, 미글리올,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점증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로거스트빈검, 아라비아검, 구아검, 카보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록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에틸렌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에톡시화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스테아로일 마크로골-32 글리세라이드, 라우로일 마크로골-32 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카프릴레이트, 카프필로카프로일 마크로골-8 글리세라이드,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 도큐세이트,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a) 약리학적 활성물질, (b) 필름형성물질로써 키토산 또는 그의 염, (c) 키토산을 용해하기 위한 용제 및 (d) 산, 가소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착향제, 안정화제, 소포제, 무통화제, 항산화제, 점착제, 겔화제, 유연제, 수렴제, 불투명화제, 보습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로 이루어진 상처치료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 함유하고, 상기 첨가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항생제, 상처치유 촉진제, 살균제 또는 소독제, 국소마취제 또는 소염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티로트리신, 퓨시드산 또는 그의 염, 황산네오마이신 또는 그의 염, 히드로코티손 및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토산을 용해하기 위한 용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겔제, 연고제 또는 액제인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6. (a) 약리학적 활성물질로써 티로트리신, 퓨시드산 또는 그의 염, 황산네오마이신 또는 그의 염, 히드로코티손 및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b) 필름형성물질로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의 키토산 또는 그의 염 및 (c) 용제로써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조성물 내 크림 베이스 성분은 상기 필름형성물질에 대하여 1:50 이하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d) 산 및 (e)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a)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함유하고, (b) 필름형성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 함유하고, (d) 산은 0.05 내지 20 중량% 함유하고, (e) 점증제는 0.2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a)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티로트리신이고, (b) 필름형성물질은 키토산이고, (c) 용제는 물이고, (d) 산은 락트산이고, (e) 점증제는 폴록사머인, 상처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30015400A 2013-02-13 2013-02-13 상처 치료용 필름형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5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00A KR101457789B1 (ko) 2013-02-13 2013-02-13 상처 치료용 필름형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14751188.5A EP2956126B1 (en) 2013-02-13 2014-02-11 Film-form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4/765,318 US10278928B2 (en) 2013-02-13 2014-02-11 Film-form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CT/KR2014/001103 WO2014126370A1 (en) 2013-02-13 2014-02-11 Film-form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201480008377.XA CN104994843B (zh) 2013-02-13 2014-02-11 用于创伤愈合的成膜药物组合物和用于制备其的方法
BR112015019430A BR112015019430A8 (pt) 2013-02-13 2014-02-11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para a cicatrização de ferimentos e uso das mesm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00A KR101457789B1 (ko) 2013-02-13 2013-02-13 상처 치료용 필름형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026A true KR20140102026A (ko) 2014-08-21
KR101457789B1 KR101457789B1 (ko) 2014-11-03

Family

ID=5135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400A KR101457789B1 (ko) 2013-02-13 2013-02-13 상처 치료용 필름형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78928B2 (ko)
EP (1) EP2956126B1 (ko)
KR (1) KR101457789B1 (ko)
CN (1) CN104994843B (ko)
BR (1) BR112015019430A8 (ko)
WO (1) WO2014126370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909A1 (ko) * 2016-04-07 2017-10-12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
KR20180076871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제네웰 실리콘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흉터 치료제
KR20190106127A (ko) * 2018-03-07 2019-09-18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피부 투과성이 향상된 후시딘산 함유 필름 형성 외용겔
KR20190126302A (ko) * 2017-01-13 2019-11-11 프리멕스 이에이치에프 키토산-함유 제제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CN111991612A (zh) * 2020-08-29 2020-11-27 山东百多安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镇痛、抗菌功能的液体敷料制备方法
KR20210111576A (ko) 2020-03-03 2021-09-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소 발생 상처 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364370A (zh) * 2019-10-24 2022-04-15 维沙加·瓦南加穆迪·苏卢尔 用于细菌感染和伤口愈合的含局部抗生素的药物组合物
CN115887747A (zh) * 2022-10-22 2023-04-04 湖南中腾湘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纳米孔隙柔性膜的液体创口保护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1956B2 (en) * 2013-06-03 2018-10-30 Tolmar, Inc. Corticosteroid compositions
US20150005391A1 (en) 2013-06-26 2015-01-01 COLE Research & Design, Inc. Method of reducing scarring
KR101538846B1 (ko) 2013-07-30 2015-07-22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신규한 바이페닐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EP3151667B1 (en) * 2014-06-03 2022-04-06 Stellenbosch University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microbial growth on a manufactured product
WO2016057831A1 (en) * 2014-10-10 2016-04-14 COLE Research & Design, Inc. Method of reducing scarring
CN108778113B (zh) 2015-09-18 2022-04-15 奥瑞斯健康公司 管状网络的导航
CN106619485A (zh) * 2015-11-02 2017-05-10 西安艾姆高分子材料有限公司 有机纳米级烧伤、烫伤、创伤快速修复膏
US10099995B2 (en) 2015-12-24 2018-10-16 Cole Research and Design, LLC Resveratrol esters
CN107519182A (zh) * 2016-06-20 2017-12-29 天津金耀集团有限公司 以丁酸氢化可的松为活性成分的皮肤药物组合物
CN106822988B (zh) * 2017-02-08 2019-12-31 中英阿诺康(宁夏)生物科技有限公司 海藻纤维功能性敷料及其应用、海藻纤维功能性敷料贴
CN108186711A (zh) * 2017-02-27 2018-06-22 彭伟东 促进伤口愈合的药物组合物
JP2020528404A (ja) * 2017-07-19 2020-09-24 ウニベルシダージ ダ ベイラ インテリオール 皮膚病変の治療における局所適用のための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得る方法ならびに適用方法
JP2020534267A (ja) * 2017-09-12 2020-11-26 シルパ メディケア リミテッドShilpa Medicare Limited 膝関節形成のためのトラネキサム酸噴霧
WO2019080983A1 (fr) * 2017-10-26 2019-05-02 Hassiba Laribi Habchi Nouvelle formulation a base de chitosan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CN108245709A (zh) * 2017-12-13 2018-07-06 上海昊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预防包膜挛缩的仿生型几丁糖填充剂及其制备方法
CN108126236B (zh) * 2017-12-20 2021-01-01 浙江科技学院 一种医药涂敷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0112590A1 (en) * 2018-11-27 2020-06-04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Solubilised centella asiatica extract
CN112121146B (zh) * 2019-06-25 2021-08-06 山东瑞安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皮肤创伤的外用凝胶剂及其制备方法
CN110898038A (zh) * 2019-12-13 2020-03-24 厦门肽王基因科技有限公司 一种鲨鱼肽凝胶涂膜剂及其制备方法
CN110974810B (zh) * 2019-12-24 2023-10-17 重庆铭仁堂怡和中医诊所有限公司 成膜型护创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437392A (zh) * 2020-04-22 2020-07-24 卢丽菊 一种生物医药创面消炎水
CN112402687A (zh) * 2020-11-26 2021-02-26 嘉应学院 一种广东紫珠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
CN113995736A (zh) * 2021-11-01 2022-02-01 浙江仲兴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创面愈合的三叶青喷雾膜剂及其制备方法
CN114668898A (zh) * 2022-03-25 2022-06-28 中山大学 脂肪乳在制备创伤修复材料中的应用
CN115025070B (zh) * 2022-05-30 2024-02-09 浙江大学 一种快速自成膜抗感染镇痛喷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40041901A1 (en) * 2022-08-02 2024-02-08 TF Holdings LLC Wound treatment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cannabinoid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9700A (en) * 1984-03-02 1987-04-21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Chitosan-glycerol-water gel
JPH0818983B2 (ja) 1987-12-08 1996-02-28 塩野義製薬株式会社 水虫治療剤
DE4429285C1 (de) 1994-08-18 1995-10-12 Siemens Ag Ansteuerschaltung für ein feldeffektgesteuertes Leistungs-Halbleiterbauelement
AUPO379596A0 (en) 1996-11-22 1996-12-19 Soltec Research Pty Ltd Percutaneous delivery system
EP1179352A1 (en) * 2000-08-08 2002-02-13 MONTERESEARCH S.r.l. Topical composition for covering a skin lesion
KR20020066024A (ko) 2001-02-08 2002-08-14 굿젠 주식회사 수용성 키토산과 헤파린으로 이루어진 상처 치유 촉진연고 조성물과 필름 및 제품
GB0126923D0 (en) * 2001-11-09 2002-01-02 Procter & Gamble Chitosan compositions
KR100440239B1 (ko) 2002-01-09 2004-07-15 한국원자력연구소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KR100608192B1 (ko) 2003-04-16 2006-08-02 주식회사 효성 창상 피복재 및 조직공학 구조체용 중화 키토산 스폰지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화 키토산 스폰지
KR20060015215A (ko) * 2004-08-13 2006-02-16 류 성 렬 Chitosan를 이용한 피부 화상-상처 치료제 개발
KR100644369B1 (ko) 2004-10-25 2006-11-10 한국화학연구원 피부드레싱용 키토산-젤라틴-알진 스폰지 및 이의 제조방법
BRPI0616765A2 (pt) 2005-09-29 2011-06-28 Novartis Ag composição antifúngica tópica adaptada para tratar uma infecção fúngica da pele, método para tratar uma infecção da pele por dermatófito, método para tratar infecção da pele e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farmacêutica tópica
KR100748390B1 (ko) * 2005-11-14 2007-08-10 주식회사 대웅 상피세포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상처치료용 서방성 필름 제형
KR100979347B1 (ko) 2009-03-25 2010-08-31 삼일제약주식회사 항진균 조성물
ES2404156T3 (es) * 2009-04-13 2013-05-24 Vanangamudi Subramaniam SULUR Una crema medicinal con ácido fusídico hecha utilizando fusidato de sodio e incorporando un biopolímero y el proceso para hacerla
KR20120022930A (ko) 2009-04-13 2012-03-12 술루르 수브라마니암 바난가무디 은 설파디아진 및 키토산을 사용하여 제조한 약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27434A (ko) 2009-09-10 2011-03-16 보람제약주식회사 약물의 서방출이 가능한 발수필름 형성용 조성물
KR20110074116A (ko) * 2009-12-24 2011-06-30 애경산업(주) 상처치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0174B1 (ko) 2010-04-23 2012-09-05 동아제약주식회사 신규한 벤즈아미드 유도체
SG190415A1 (en) 2010-11-24 2013-06-28 Dong A St Co Ltd Quinoline derivative compou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5599519B2 (ja) 2010-11-24 2014-10-01 ドン−ア エスティ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キノリン誘導体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薬学組成物
KR101341692B1 (ko) 2011-03-16 2013-12-20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341693B1 (ko) 2011-03-16 2013-12-16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CN103006923B (zh) * 2012-12-26 2014-05-14 杨桂香 一种中药液体创可贴及制备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909A1 (ko) * 2016-04-07 2017-10-12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
US10596224B2 (en) 2016-04-07 2020-03-24 Biosolutions Co., Ltd Method of treating a wound,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 composition including a substance P
KR20180076871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제네웰 실리콘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흉터 치료제
KR20190126302A (ko) * 2017-01-13 2019-11-11 프리멕스 이에이치에프 키토산-함유 제제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KR20190106127A (ko) * 2018-03-07 2019-09-18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피부 투과성이 향상된 후시딘산 함유 필름 형성 외용겔
CN114364370A (zh) * 2019-10-24 2022-04-15 维沙加·瓦南加穆迪·苏卢尔 用于细菌感染和伤口愈合的含局部抗生素的药物组合物
KR20210111576A (ko) 2020-03-03 2021-09-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소 발생 상처 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991612A (zh) * 2020-08-29 2020-11-27 山东百多安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镇痛、抗菌功能的液体敷料制备方法
CN115887747A (zh) * 2022-10-22 2023-04-04 湖南中腾湘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纳米孔隙柔性膜的液体创口保护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887747B (zh) * 2022-10-22 2024-02-20 湖南中腾湘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纳米孔隙柔性膜的液体创口保护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94843B (zh) 2020-07-07
WO2014126370A1 (en) 2014-08-21
CN104994843A (zh) 2015-10-21
US10278928B2 (en) 2019-05-07
EP2956126A1 (en) 2015-12-23
US20150374641A1 (en) 2015-12-31
EP2956126B1 (en) 2023-04-05
EP2956126A4 (en) 2016-08-24
KR101457789B1 (ko) 2014-11-03
BR112015019430A8 (pt) 2019-11-05
BR112015019430A2 (pt)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789B1 (ko) 상처 치료용 필름형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10226483B2 (en)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206947B2 (en)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20022930A (ko) 은 설파디아진 및 키토산을 사용하여 제조한 약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527734A (ja) 局所投与のための麻酔用組成物
KR20190126302A (ko) 키토산-함유 제제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MX2011009934A (es) Crema antibacteriana medicinal y proceso para hacerla.
US20090317474A1 (en) Use of polyethylene glycol in inflammation related topical disorders or diseases and wound healing
MX2011009935A (es) Crema medicinal para dermatitis del pañal y un proceso para hacerla.
KR20120023653A (ko) 푸시드산나트륨을 사용하고 생체중합체를 혼입한 약용 푸시드산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09250A (ko) 수성/비수성 약물전달에 적용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한 고분자 수성 혼합용액으로 만들어진 필름 형성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11058712B2 (en) Film for topical application in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 and method of obtaining and applying same
KR102221499B1 (ko) 위축성 피부 흉터를 치료하기 위한 프로스타글라딘 F2α 및 그 유사체
RU2603490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гнойно-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процессов мягких тканей и слизистых оболочек
RU2536266C2 (ru) Крем 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зготовленны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фрамицетина сульфата и хитозан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170071973A1 (en) Extended shelf life wound healing formulation
RU2349302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34;офломелид&#34; при гнойно-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ях
RU2559087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ожогов
KR20220129789A (ko) 시미푸긴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WO2021232157A1 (en)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2016133471A1 (en) A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mupirocin and dexpanthen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