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719A -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719A
KR20140093719A KR1020147016604A KR20147016604A KR20140093719A KR 20140093719 A KR20140093719 A KR 20140093719A KR 1020147016604 A KR1020147016604 A KR 1020147016604A KR 20147016604 A KR20147016604 A KR 20147016604A KR 20140093719 A KR20140093719 A KR 20140093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acer
opening
mounting wal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345B1 (ko
Inventor
미키 스즈키
타카시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Abstract

제1커넥터는 장착 벽의 개구를 통해 제2커넥터와 액밀하게 결합된다. 제1커넥터는 개구 내에 결합되는 원통형 스페이서와, 지지부 및 하우징 바디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지지부는, 제1 및 제2커넥터의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놓일 수 있는 한편, 장착 벽의 제1면에 장착된다. 하우징 바디는 클리어런스를 갖고 개구에 삽입되는 선단을 갖는다. 제1링-형상 밀봉 부재는 개구와 스페이서 사이에 개재되고, 제2링-형상 밀봉 부재는 커넥터 결합 방향에서 스페이서와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제3링-형상 밀봉 부재는 제2커넥터와 선단 사이에 개재된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WATERPROOF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패널의 표면 상의 전자 부품 및 패널의 후측의 와이어 하니스를 커넥터에 용이하게 접속하는 커넥터 접속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접속 구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이 커넥터 접속 구조에서, 패널(장착 벽)(501)의 표면(503)에 장착된 전자 부품(505)의 커넥터(507)는 패널 홀(개구)(511)를 통해 패널 후측의 하니스용 커넥터(509)에 접속된다. 암형 단자(501)에 수용된 하니스용 커넥터(509)는 스프링부(515)를 통해 브라켓부(513)에 유동가능하게(floatably) 지지된다. 브라켓부(513)는 패널의 후측에 고정된다.
수형 탭 단자(508)를 갖는 커넥터(507)가 커넥터(509)에 접속되는 경우, 하니스용 커넥터(509)는 패널(501)의 후측에 먼저 조립된다. 즉, 브라켓부(513)는 패널의 후측 상의 스테이(stay, 516)에 클램프(517)에 의해 고정된다. 하니스용 커넥터(509)는 스프링부(515)에 의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에서 유동가능하다. 그 후, 전자 부품(505)이 패널(501)의 표면(503)에 장착된다. 전자 부품(505)과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507)는, 전자 부품(505)이 장착될 때 하니스용 커넥터(509) 내로 결합된다. 여기서, 하니스용 커넥터(509)의 스프링부(515)는 전자 부품(505)의 장착 치수 오차를 흡수하는 정렬 동작에 의해 부드럽게 접속될 수 있다.
물이 분사되는 영역(525) 내에 장착된 전자 부품(505)의 커넥터(507)는 그 선단에서 링 형태의 패킹(519)을 패널(501)의 표면(503)에 접촉시킬 수 있어, 물 등이 커넥터(507) 및 하니스용 커넥터(509) 내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커넥터 접속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가 커넥터들을 각각 손으로 더듬어 찾고 접속해야하는 장소에서도 커넥터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물 등이 커넥터(507) 및 하니스용 커넥터(509)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06-45282호
그러나, 장착 벽이 있는 패널(501)과 커넥터(507)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 또는 커넥터(507)가 패널(501)과 평행하게 삽입 및 장착되어 삽입 방향이 커넥터 결합 방향과 수직하는 구조에서는, 링 형태의 패킹(519)을 패널(501)의 표면(503)에 접촉시킬 수 없다. 이 경우, 링 형태의 패킹(519)을 생략하는 대신에, 하니스용 커넥터(509)의 외주(521)와 커넥터(507)의 내주(523) 사이에 O 링이 제공되어, 물 등이 커넥터(507) 및 하니스용 커넥터(509)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링 형태의 패킹(519)이 생략되는 경우, 패널 홀(511)이 수분이 분사되는 영역(525)에 노출된다. 따라서, 물 등이 패널 홀(511)을 통과하여, 물 등이 패널의 뒤(장착 벽의 뒤)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결합시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에 야기되는 결합 방향의 중심 편차에 따라 정렬 이동할 수 있는 한편, 물 등이 장착 벽의 개구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얻어진다.
(1)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로,
개구를 갖는 장착 벽의 제1면에 장착되고 개구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1커넥터; 및
제1면에 대향하는 장착 벽의 제2면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제1커넥터는 장착 벽의 개구를 통해 제2커넥터와 액밀하게(fluid-tightly) 결합되고,
제1커넥터는,
장착 벽의 개구 내로 결합되는 원통형 스페이서; 및
지지부와 하우징 바디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지지부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한편, 장착 벽의 제1면에 장착되고,
하우징 바디는 지지부에 유지되도록 제공되고, 하우징 바디의 선단은 스페이서의 내주와 하우징의 외주 사이에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갖는 개구에 삽입되고,
제1링-형상의 밀봉 부재가 개구의 내주와 스페이서의 외주 사이에 개재되고,
제2링-형상의 밀봉 부재가 커넥터 결합 방향에서 스페이서와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제3링-형상의 밀봉 부재가 제2커넥터와 선단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1)을 갖는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에 따르면, 커넥터 결합에서 장착 벽과 제2커넥터 사이에 결합 방향으로 중심 편차 또는 장착 치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제1커넥터가 장착 벽의 개구 내로 삽입될 때, 그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제1커넥터의 하우징 바디의 선단이 개구 내로 삽입된 후 스페이서가 개구 내로 삽입된다. 개구 내에 삽입된 선단은 장착 벽에 대해 위치적으로 변이된 제2커넥터 내로 결합된다. 이 때, 스페이서가 반경 방향(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개구에 대해 이동되지 않더라도, 하우징의 하우징 바디는 반경 방향에서 스페이서의 내주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스페이서에 대한 하우징의 이동에 기인한 정렬 동작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매칭될 결합 중심과 단단히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장착 벽의 개구의 내주와 스페이서의 외주 사이의 공간이 제1링-형상의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고, 커넥터 결합 방향에서 하우징의 지지부와 스페이서 사이의 공간이 제2링-형상의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며, 제2커넥터와 하우징 바디의 선단 사이의 공간이 제3링-형상의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장착 벽의 개구를 통한 일 표면측과 타 표면측 사이에 액밀하게 결합 및 접속된다. 그 결과, 물 등이 장착 벽의 개구 내로 유도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결합 방향에서 스페이서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 메커니즘이 스페이서의 내주와 하우징 바디의 외주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구성(2)를 갖는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에 따르면, 제1커넥터의 하우징과 스페이서를 조립할 수 있고,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에 결합 및 접속할 때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링-형상의 밀봉 부재는 제2커넥터의 내주와 하우징 바디의 외주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구성(3)을 갖는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에 따르면, 장착 벽과 제2커넥터 사이의 장착 치수 오차에 따라 야기되는 결합 방향의 편차에 관계없이,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내부로 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에 따르면, 커넥터를 결합할 때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에 발생하는 결합 방향의 중심 편차에 따라 정렬 이동이 가능한 한편, 장착 벽의 개구로부터 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해 더욱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갖는 방수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2커넥터를 장착 벽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장착 벽을 갖는 차량 부재와 제2커넥터를 갖는 분리 부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5b는 제2커넥터를 갖는 분리 부재가 장착 벽을 갖는 차량 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제1커넥터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A-A를 따라 자른 분해단면도이다.
도 8a는 제1커넥터가 위치 편차가 없는 제2커넥터와 결합하기 직전의 방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지지부가 고정된 후의 방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제1커넥터가 위치 편차가 있는 제2커넥터와 결합하기 직전의 방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지지부가 고정된 후의 방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9b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의 커넥터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갖는 방수 커넥터(11)는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5)를 포함한다.
제1커넥터(13)는 개구(17)(도 4 참조)를 갖는 장착 벽(19)의 제1면인 차량 부재(43)의 장착 벽(19)의 앞면(21)에, 개구(17)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된다. 제2커넥터(15)는 장착 벽(19)의 제2면인 차량 부재(43)의 장착 벽(19)의 뒷면(23)에서 분리 부재(46)에 의해 지지된다. 방수 커넥터(11)에서,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5)는 장착 벽(19)의 개구(17)를 통해 액밀하게(fluid-tightly) 결합 및 접속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5)의 결합 측이 앞쪽으로 설명되고, 그에 대항하는 측이 뒤쪽으로 언급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제1커넥터(13)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하우징(25),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스페이서(27), 칼라(collars, 29), 제1링-형상의 밀봉 부재(31), 제2링-형상의 밀봉 부재(33), 제3링-형상의 밀봉 부재(35) 및 전선(109)의 단부와 접속되는 암형 단자(37)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제2커넥터(15)는 장착 벽(19)의 뒷면(23)의 일측(도 4의 아래측)에 배열된다. 제2커넥터(15)는 타원기둥 형상을 갖는 포켓부(39)에 수형 단자(41)를 수용한다. 제2커넥터(15)는 단자 포켓으로도 불릴 수 있다. 포켓부(39)는 후술하는 분리 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장착 벽(19)은 차량 부재(43)의 하우징 벽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차량 부재(43)는 개구(17)의 중심축에 수직인 개구(45)로 형성된다. 제2커넥터(15)를 갖는 분리 부재(46)는 개구(45)로부터 차량 부재(43) 내에 삽입되고 고정 스크류(47)에 의해 고정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부재(46)는 고정 스크류(47)에 의해 차량 부재(43)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제2커넥터(15)는 장착 벽(19)의 개구(17)에 상응하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치한다. 개구(17)에 대하여 제2커넥터(15)를 위치시킬 때, 치수 오차 또는 부재들의 장착 오차에 의해 편차가 야기될 수 있다. 편차는 분리 부재(46)의 장착 방향(도 5에서 앞-뒤 방향)에서의 편차(XY 방향에서의 편차)와 제2커넥터(15)의 결합 방향(도 5에서 위-아래 방향)에서의 편차(Z방향에서의 편차)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 부재(43)에서 분리 부재(46)의 외측은 물이 분사되는 영역(49)이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하우징(25)은 장착 벽(19)의 앞면(21)에 장착된 지지부(51)와 지지부(51)에 유지되도록 제공된 하우징 바디(53)를 포함한다. 지지부(51)와 하우징 바디(53)는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2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T-형상의 부분을 갖는다.
지지부(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마름모 플랜지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다. 지지부(51)의 양단에는 볼트 삽입 홀(55)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 홀(55)은 고정 볼트(57)의 샤프트 직경보다 충분히 크도록 형성된다(도 1 참조). 따라서, 지지부(51)는,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59)을 따라 놓일 수 있는 한편, 장착 벽(19)의 앞면(21)상에 장착된다.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칼라(29)는 볼트 삽입 홀(55) 내에 삽입되고, 고정 볼트(57)는 칼라(29) 내에 삽입된다. 고정 볼트(57)는 칼라(29) 내로 삽입되고 장착 벽(19)의 암형 스크류 홀(61)과 스크류-결합되어, 볼트 헤드부(63)가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지지부(51)를 칼라(29)를 거쳐 장착 벽(19)의 앞면(21)에 고정한다. 즉, 하우징(25)의 지지부(51)는 고정 볼트(57)에 의해 장착 벽(19)의 앞면(21)에 고정된다.
지지부(51)에는 플랜지부(67)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 링 그루브(65)가 형성된다. 원형 링 그루브(65)는 하우징 바디(53)의 기초부를 둘러싼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링 그루브(65)는 타원형의 형태를 갖는다. 후술할 스페이서(27)의 뒤에 형성된 플랜지부(67)는 원형 링 그루브(65)에 수용된다. 원형 링 그루브(65)의 그루브 바닥(69)은 편평하여, 원형 링 그루브(65)와 플랜지부(67) 사이에 장착된 제2링-형상 밀봉 부재에 액밀하게 접촉된다. 원형 링 그루브(65)의 내경은 플랜지부(67)의 외경보다 크다. 즉, 원형 링 그루브(65)는, 플랜지부(67)가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5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플랜지부(67)를 수용한다. 하우징 바디(53)는 지지부(51)의 원형 링 그루브(65)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다.
하우징 바디(53)는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원통형 스페이서(27)는 그 외측에서 하우징 바디(53)에 삽입된다. 하우징 바디(53)의 외경은 스페이서(27)의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하우징 바디(53)는, 스페이서(27)의 내주(71)와 하우징 바디(53)의 외주(83) 사이에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갖고, 스페이서(27) 내로 삽입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스페이서(27)는 장착 벽(19)의 개구(17) 내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 바디(53)는 스페이서(27) 내로 삽입된다. 원통형 밀봉 그루브(77)는 스페이서(27)의 외주(75) 상에 제공되고, O 링과 같은 제1링-형상 밀봉 부재(31)는 원통형 밀봉 그루브(77) 내에 장착된다. 스페이서(27)가 개구(17) 내에 삽입되면, 스페이서(27)는 스페이서(27)의 외주(75)와 개구(17)의 내주(79) 사이를 밀봉한다.
반경 방향에서 외주(75)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67)가 스페이서(27)의 뒤에 형성된다. 플랜지부(67)는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플랜지부(67)는 개구(17)의 내경보다 큰 외경(장축 및 단축)을 갖고 원형 링 그루브(65)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장축 및 단축)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플랜지부(67)는 안쪽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59)을 따라 원형 링 그루브(65)에 수용된다. 환상(annular) 그루브(81)는 플랜지부(67)의 후단면 상에 플랜지부(67)와 동심으로 형성된다. 플랜지부(67)의 후단면은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59)이 된다. 제2링-형상 밀봉 부재(33)는 링 형상 그루브(81) 내에 장착된다. 링 형상 그루브(81)에 수용되는 제2링-형상 밀봉 부재(33)의 일부는 두께 방향(도 7의 위-아래 방향)에서 환상 그루브(81)로부터 돌출한다. 돌출부는 원형 링 그루브(65)의 그루브 바닥(69)에 의해 눌리고 부서지는 크러싱 마진(crushing margin)이 된다.
스페이서(27)가 커넥터 결합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 메커니즘(85)이 스페이서(27)의 내주(71)와 하우징 바디(53)의 외주(83) 사이에 제공된다. 고정 메커니즘(85)은 스페이서(27)의 내주(71)에 장착된 복수의 탄성 고정 피스(91)와 하우징 바디(53)의 외주(83)(도 3 참조)에 형성된 하우징 고정부(95)를 포함한다. 동일한 형상을 갖는 탄성 고정 피스들(91)이 스페이서(27)의 내주(71)의 원주 상에 배열된다. 탄성 고정 피스(91)의 기단(base end)은 스페이서(27)의 내주(71)에 접속되어, 그 선단이 스페이서(27)의 중심축선을 따라 앞으로 돌출하는 자유단(free end)이 된다. 탄성 고정 피스(91)의 자유단은 반경 방향에서 내외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자유단에는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돌출하는 선단 계지 클로(leading end retaining claw, 93)가 형성된다.
선단 계지 클로(93)는 하우징 바디(53)의 외주(83)(도 3 참조)에 형성된 하우징 고정부(95)를 고정한다. 선단 계지 클로(93)의 선단측은 수직면(97)이 되고, 그 후단측은 하우징 고정부(85)로부터 뒤쪽으로 이반하는 경사면(99)이 된다. 경사면(99)은 하우징(25)이 스페이서(27)의 뒤에서 삽입될 때 선단(113)에 의해 탄성 고정 피스(91)를 확대하기 위한 면이다.
따라서, 제1커넥터(13)의 스페이서(27)와 하우징(25)을 먼저 조립할 수 있고 제1커넥터(13)를 제2커넥터(15)에 결합 및 접속할 때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53)가 형성되어, 클리어런스(Cxy)가, 하우징 바디(53)가 개구(17)에 삽입된 스페이서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페이서(27)의 내주(71)와 하우징 바디(53)의 외주(83)사이의 XY 방향(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59)을 따르는 방향)에서 형성된다. 클리어런스(Cxy)에 의해, 제1커넥터(13)의 하우징(25)이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59)을 따라 스페이서(27)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방수 커넥터(11)가 구성된다.
전방 밀봉 그루브(101)는 이 실시예의 하우징 바디(53)의 외주(83) 상에 형성된다. 제3링-형상 밀봉 부재(35)는 전방 밀봉 그루브(101) 내에 장착된다. O링과 같은 제3링-형상 밀봉 부재(35)는 제2커넥터(15)의 내주(103)(도 4 참조)와 하우징 바디(53)의 외주(83) 사이에 개재되어, 그 사이를 액밀하게 밀봉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 챔버(105)가 하우징(25)에 형성된다. 수형 단자(41)와 접촉하는 암형 단자(37)(도 3 참조)는 단자 수용 챔버(105)에 수용된다. 암형 단자(37)는 단자 수용 챔버(105)에 제공된 랜스(lance, 107)에 의해 이탈하는 것이 규제된다. 전선(109)의 일단은 암형 단자(37)에 크림핑(crimping)되고, 전선(109)의 타단은 단자 수용 챔버(105)의 뒤에서 바깥으로 연장된다. 전선(109)과 단자 수용 챔버(105)는 방수 플러그(111)(도 3 참조)에 의해 그 사이가 액밀하게 밀봉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의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갖는 방수 커넥터(1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를 결합할 때 장착 벽(19)과 제2커넥터(15) 사이에 장착 치수 오차나 결합 방향에서의 중심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이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11)의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5)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중심을 매칭시켜 확실히 커넥터 접속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커넥터(13)가 장착 벽(19)의 개구(17) 내에 삽입될 때,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제1커넥터(13)의 하우징 바디(53)의 선단(113)이 개구(17) 내에 삽입된 후, 스페이서(27)가 개구(17) 내에 삽입된다. 먼저 개구(17)를 관통한 선단(113)이 장착 벽(19)과 위치적으로 어긋나있는 제2커넥터(15) 내에 결합된다.
이 때, 비록 스페이서(27)가 개구(17)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으나, 하우징(25)의 하우징 바디(53)는 스페이서(27)의 내주(7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페이서(27)에 대한 하우징(25)의 이동에 따른 정렬 동작에 의해,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5)는 결합 중심을 매칭시켜 확실히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15)가 장착 벽(19)에 대해 도 9a의 오른쪽 방향으로 위치가 변이된 경우, 스페이서(27) 내로 삽입된 제1커넥터(13)의 하우징 바디(53)가 제2커넥터(15)와 결합할 때, 제1커넥터(13)는 도 9a의 오른쪽 방향에서 스페이서(27)의 내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스크류 홀(61)이 칼라(29)의 왼쪽 방향에서 동심으로 배열된다. 즉, 제1커넥터(13)의 하우징(25)은 스페이서(27)의 내부에서 전후좌우의 가동 범위(클리어런스(Cxy)) 내에서 중심 변이를 정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5)가 결합된 후,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볼트(57)는 칼라(29) 내로 삽입되고 암형 스크류 홀(61)와 스크류 결합되어, 제1커넥터(13)가 장착 벽(19)에 고정된다.
또한, 장착 벽(19)의 개구(17)의 내주(79)와 스페이서(27)의 외주(75) 사이의 공간은 제1링-형상 밀봉 부재(31)에 의해 밀봉되고, 스페이서(27)와 하우징(25)의 지지부(51) 사이의 공간은 제2링-형상 밀봉 부재(33)에 의해 밀봉되고, 제2커넥터(15)의 내주(103)와 하우징 바디(53)의 외주(83) 사이의 공간은 제3링-형상 밀봉 부재(35)에 의해 밀봉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5)는 장착 벽(19)의 개구(17)를 통해 장착 벽의 앞면(21)의 측과 장착 벽(19)의 뒷면(23) 측 사이에서 액밀하게 결합 및 접속된다. 그 결과, 장착 벽(19)과 제2커넥터(15) 사이의 장착 치수 오차에 의해 일어나는 커넥터 결합 방향의 변이나, 분리 부재(46) 등의 장착 방향의 변이에 관계 없이, 장착 벽(19)의 개구(17)로부터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갖는 방수 커넥터(11)에 따르면, 커넥터가 결합할 때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에 야기되는 편차에 의해, 커넥터 결합 방향의 위치적 편차에 따른 이동 및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59)을 따른 결합 방향의 중심 편차에 따른 정렬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물이 장착 벽의 뒤쪽에서 침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는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형 및 개선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별적인 구성요소의 재료, 형상, 크기, 숫자, 정렬 위치 등은 임의적인 것으로 상기 개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고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011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282275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결합할 때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에 야기되는 결합 방향의 중심 편차에 따른 정렬 이동을 할 수 있는 한편, 물이 장착 벽의 개구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얻을 수 있다.
11: 방수 커넥터
13: 제1커넥터
15: 제2커넥터
17: 개구
19: 장착 벽
21: 앞면(제1면)
23: 뒷면(제2면)
25: 하우징
27: 스페이서
31: 제1링-형상 밀봉 부재
33: 제2링-형상 밀봉 부재
35: 제3링-형상 밀봉 부재
51: 지지부
53: 하우징 바디
59: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
71: 내주
75: 외주
79: 내주
83: 외주
85: 고정 메커니즘
103: 내주
113: 바디의 선단

Claims (3)

  1. 개구를 갖는 장착 벽의 제1면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장착 벽의 제2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장착 벽의 개구를 통해 상기 제2커넥터와 액밀하게(fluid-tightly) 결합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장착 벽의 개구 내에 결합되는 원통형 스페이서; 및
    지지부와 하우징 바디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커넥터 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장착 벽의 제1면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지지부에 유지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의 선단은 상기 스페이서의 내주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 사이에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갖고 개구 내에 삽입되고,
    제1링-형상 밀봉 부재가 상기 개구의 내주와 상기 스페이서의 외주 사이에 개재되고,
    제2링-형상 밀봉 부재가 커넥터 결합 방향에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제3링-형상 밀봉 부재가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선단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커넥터 결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고정 메커니즘이 상기 스페이서의 내주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주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형상 밀봉 부재는 상기 제2커넥터의 내주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주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
KR1020147016604A 2011-12-22 2012-12-21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 KR101669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2275A JP5801705B2 (ja) 2011-12-22 2011-12-22 防水コネクタ接続構造
JPJP-P-2011-282275 2011-12-22
PCT/JP2012/084251 WO2013094774A1 (en) 2011-12-22 2012-12-21 Waterproof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719A true KR20140093719A (ko) 2014-07-28
KR101669345B1 KR101669345B1 (ko) 2016-10-25

Family

ID=4756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604A KR101669345B1 (ko) 2011-12-22 2012-12-21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81609B2 (ko)
JP (1) JP5801705B2 (ko)
KR (1) KR101669345B1 (ko)
CN (1) CN104011946B (ko)
DE (1) DE112012005398B4 (ko)
WO (1) WO2013094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4410B2 (ja) * 2013-10-03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858183A3 (en) 2013-10-03 2015-06-17 Yasaki Corporation Connector joining structure
JP2015072797A (ja) * 2013-10-03 2015-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48598B2 (ja) 2013-10-28 2017-06-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3494B2 (ja) * 2014-05-22 2018-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225712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電子機器の防水接続器具及び電子機器
DE102014012739B4 (de) * 2014-08-27 2018-10-11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Verbinderelement und Verwendung
JP6456213B2 (ja) * 2015-03-27 2019-01-23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組込方法
US9270052B1 (en) * 2015-03-31 2016-02-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ass-through connector system
US9337577B1 (en) * 2015-03-31 2016-05-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loatable connector
US20170149166A1 (en) * 2015-11-25 2017-05-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7208193A (ja) * 2016-05-17 2017-11-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6593651B2 (ja) * 2016-05-23 2019-10-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633072B1 (ko) * 2016-09-20 2024-02-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용 부시
JP2019178696A (ja) * 2018-03-30 2019-10-17 矢崎総業株式会社 Oリング、oリング係止構造、端子台及び車載機器
CN108631096B (zh) * 2018-04-24 2021-07-02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包的浮动对插件
CN108493672A (zh) * 2018-05-03 2018-09-04 江苏和飞航天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高防水连接器及其生产工艺
JP7019147B2 (ja) * 2018-05-09 2022-02-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及び機器ケースの防水構造
JP6744370B2 (ja) * 2018-08-10 2020-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実装型コネクタ
CN109326473B (zh) * 2018-11-10 2024-01-05 江苏昊嘉不锈钢标准件有限公司 一种双固定机械面板按键结构
US10923863B2 (en) * 2018-12-04 2021-02-16 J.S.T. Corporation High voltag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JP7094643B2 (ja) * 2020-01-15 2022-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80294B2 (ja) * 2021-01-12 2023-05-23 矢崎総業株式会社 樹脂成形体
JP2023087858A (ja) * 2021-12-14 2023-06-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3374U (ja) * 1984-04-05 1985-10-3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試験装置の接続具
JPH0645282A (ja) 1992-03-05 1994-02-18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575647Y2 (ja) * 1992-11-25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
DE29808527U1 (de) * 1998-05-12 1999-09-23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29808526U1 (de) * 1998-05-12 1999-09-23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2002313453A (ja) * 2001-04-18 2002-10-25 Yazaki Corp 機器直付け用シールドコネクタ
DE102004055874A1 (de) 2004-11-19 2006-05-24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zwei Steckverbinderteilen und einer abgedichteten Verriegelungsmutter
JP4747753B2 (ja) * 2005-09-14 2011-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1764879B1 (en) * 2005-09-14 2008-12-3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08041600A (ja) * 2006-08-10 2008-02-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EP2413435B1 (en) * 2009-03-25 2018-05-16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5303378B2 (ja) * 2009-06-26 2013-10-02 矢崎総業株式会社 待ち受けコネクタ
JP5399800B2 (ja) * 2009-07-17 2014-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構造
JP5272945B2 (ja) * 2009-07-27 2013-08-28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US8147272B2 (en) * 2010-02-04 2012-04-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ader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5398B4 (de) 2020-02-06
US20140302711A1 (en) 2014-10-09
US9281609B2 (en) 2016-03-08
JP2013131474A (ja) 2013-07-04
WO2013094774A1 (en) 2013-06-27
JP5801705B2 (ja) 2015-10-28
CN104011946A (zh) 2014-08-27
CN104011946B (zh) 2016-12-21
DE112012005398T5 (de) 2014-09-04
KR101669345B1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345B1 (ko) 방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
US9948025B2 (en) Connector
JP4941745B2 (ja) コネクタ
US9893462B2 (en) Connector
US9865964B2 (en) Connector with improve vibration attenuation performance of wires
US9923298B2 (en) Connector with circumferentially spaced resilient positioning members extending resiliently between inner and outer housings
JP4276668B2 (ja) コネクタ接続構造
US9929506B2 (en) Connector
WO2011096135A1 (ja) 防水型シールドコネクタ
JP5897900B2 (ja) 防水コネクタ接続構造
CN102781189A (zh) 用于车载电气装置的密封盖和制造方法
US20160197440A1 (en) Connector
JP2015103378A (ja) 車両側コネクタ
JP6409717B2 (ja) コネクタ
JP5703982B2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6329021B2 (ja) 中継用コネクタユニット
JP2014060021A (ja) コネクタ
US20230033701A1 (en) Connector
US20240136758A1 (en) Connector
JP6029016B2 (ja) 防水コネクタ
JP2009238407A (ja) コネクタ
JP4367313B2 (ja) コネクタ
CN117937145A (en) Connector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s
JP2023069862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US20120218730A1 (en) Sea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