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376A -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376A
KR20140074376A KR1020147011961A KR20147011961A KR20140074376A KR 20140074376 A KR20140074376 A KR 20140074376A KR 1020147011961 A KR1020147011961 A KR 1020147011961A KR 20147011961 A KR20147011961 A KR 20147011961A KR 20140074376 A KR20140074376 A KR 20140074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solar cell
resin
ce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토시 오쿠야마
코우헤이 카토우
코우지 타니구치
스이온 한
마사요시 테라니시
Original Assignee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라미네이트 공정으로 가열 압착할 때에 광기전력 소자의 단부나, 배선 부재의 영향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가 얇게 변형됨으로써 광기전력 소자나 상기 배선 부재가 비치지 않는 정도의 내열성, 은폐성이 뛰어나고, 가공시의 변형이 작음으로써 내전압 특성이 뛰어나고, 자외선의 영향에 의한 열화의 정도가 작은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이고, A층/B층/C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과 플라스틱 필름과 자외선 흡수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고, A층이 폴리에틸렌계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B층이 백색 미립자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C층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BACK-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USING SAME}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내열성이 뛰어남으로써 열변형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내후성이 우수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면서부터 깨끗한 에너지원으로서의 태양전지가 주목받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모듈이 개발되고,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모듈은 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소자 또는 아모르포스 실리콘 태양전지 소자 등의 태양전지 소자를 사용하고, 표면 보호 시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등의 충전재 시트, 태양전지 소자, 충전재 시트, 및 이면 보호 시트층의 순으로 적층하고, 진공 흡인하고 가열 압착해서 일체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이면 보호 시트로서는 경량이고, 전기 특성,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기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고, 경량성과 방습성과 고내전압 특성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사용되게 되고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의 부재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특유의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다양한 제안이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특정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과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적층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에는 태양전지 모듈의 접착성 수지층으로서 사용되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이하 EVA라고 약칭한다) 시트와의 열접착성과, 모듈에의 성형시의 열과 압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내열성의 상반되는 특성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2에는 밀도 0.940~0.970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자외선 차단제나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처방에서는 EVA 시트와의 열접착성은 뛰어나지만 내열성은 불충분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열과 압력의 영향에 의해 필름이 변형됨으로써 필름이 부분적으로 얇아져 발전 소자나 배선이 비치거나, 내전압 특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태양전지의 전극의 땜납 돌기부에 의한 내관통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적층한 시트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지만, 단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공압출에 의해 적층한 것만으로는 적층한 계면에서 용이하게 박리되기 때문에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서 사용할 때의 제약이 크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로서 이면으로부터 받는 자외선의 영향에 의해 이면 보호 시트에 황변이나, 강도 저하, 균열 등의 열화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일본 특허공개 2011-5112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11-26108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223925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가열 압착할 때에 광기전력 소자의 단부나, 인접하는 광기전력 소자를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극(인터커넥터)이나 셀 스트링스를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버스바라고 칭해지는 집전 전극 등의 배선 부재의 영향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가 얇게 변형됨으로써 광기전력 소자나 상기 배선 부재가 비치는 경우가 없는 정도의 내열성, 은폐성이 뛰어나고, 이면에의 자외선의 영향에 의해 황변 등의 열화 정도가 작은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층/B층/C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과 플라스틱 필름과 자외선 흡수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필름으로서, A층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B층이 백색 미립자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C층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는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가열 압착할 때에 태양 발전 소자의 단부나, 인접하는 광기전력 소자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인터커넥터나 셀 스트링스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버스바라고 칭해지는 집전 전극 등의 배선 부재의 영향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가 얇게 변형됨으로써 태양 발전 소자나 인터커넥터, 버스바가 비치지 않는 정도의 내열성, 은폐성이 뛰어나고, 이면에의 자외선의 영향에 의해 황변 등의 열화의 정도가 작은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는 태양전지 모듈의 밀봉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EVA 등의 접착성 수지와의 열접착성이 뛰어나고, 또한 시트 내 층간 밀착력도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의 내열성 시험 방법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와 EVA의 접착 강도 측정 방법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함께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는 A층/B층/C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과 플라스틱 필름과 자외선 흡수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단층이어도 되고, 복수의 필름을 접합한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약칭한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하 PEN이라 약칭한다)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아크릴니트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계 수지 필름 등이다. 이것들 중에서, 기계적 강도나 내열성, 경제성의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장기간의 특성 유지가 요구되는 점에서 내가수분해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내가수분해성 PET 필름이라 약칭한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높은 내가수분해성이 얻어지는 이유에서 PEN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내후성의 점에서 불소계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불소계 수지 필름을 적층한 필름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내가수분해성 PET 필름이란 140℃ 고압 스팀 하에서 10시간 보관 후의 인장신도가 초기의 인장신도의 6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다.
140℃ 고압 스팀 하에서 10시간 보관 후의 인장신도가 초기 인장신도의 60% 이상을 유지하는 내가수분해성 PET 필름이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사용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후 시트의 내후성을 크게 향상시켜 태양전지 모듈로서의 10년 이상의 성능 보증에 기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내가수분해성 PET 필름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테레프탈산, 디올 성분에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고유점도[η]가 0.7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1.00인 PET의 2축 연신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서, 고유점도[η]는 o-클로로페놀을 용매로 해서 PET를 용해하고, 25℃의 온도에서 측정한 값이며, 상기 점도는 PET의 중합도에 비례한다.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PET의 중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고, 중합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감압 하 중합시에 에틸렌글리콜을 제거하면서 중합 시간을 길게 취해 중합을 진행시키는 방법, 일단 상술한 중합을 행한 PET 수지를 결정화 처리를 행한 후에 감압 하 고온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중합도를 더욱 높이는 소위 고상중합이라고 칭해지는 방법이 있고, 이들 방법에 의해 고유점도[η]를 원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이 고유점도가 0.70 이상일 경우에는 내가수분해성, 내열성을 부여하는 것이 용이해져 이면 보호 시트, 나아가서는 태양전지 모듈의 내가수분해 성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치가 1.20 이하일 경우에는 용융 점도가 낮아져 용융 압출 성형이 용이해져 필름의 제막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 PET 수지는 호모PET 수지이어도 되고, 공중합 성분이 포함되어도 되고,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PET 수지 중에는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양에서 적당한 첨가제, 예를 들면 내열안정제, 내산화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내후안정제, 유기의 이활제, 유기계 미립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핵제, 염료, 분산제, 커플링제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PET 수지로부터 2축 연신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는 PET 수지를 필요에 따라서 건조하고, 공지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슬릿 형상의 다이로부터 시트를 압출하고, 금속 드럼에 밀착시켜 상기 PET 수지의 유리전이점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해서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동시 2축 연신법이나 축차 2축 연신법 등의 주지의 방법에 의해 2축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조건으로서는 연신 온도는 상기 PET 수지의 유리전이점(Tg) 이상 Tg+100℃ 이하의 임의의 조건을 선택할 수 있고, 통상은 80~170℃의 온도 범위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필름의 물성과 생산성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배율은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모두 1.6~5.0, 바람직하게는 1.7~4.5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속도는 1000~20000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후에 필름의 열처리를 행하지만,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텐터에 후속하는 열처리실에서 연속적으로 열처리하거나, 별도의 오븐에서 가열하거나, 가열롤으로도 열처리할 수 있다. 열처리 조건은 온도가 120~245℃, 시간이 1~60초의 범위가 통상 사용된다. 열처리시에 폭 방향, 길이 방향으로 열치수 안정성을 좋게 할 목적으로 릴렉스 처리가 행하여져도 좋다.
140℃ 고압 스팀 하에서 10시간 보관 후의 인장신도가 60% 이상을 유지하는 PET 필름으로서는, JIS C2151(1996)에 의해 필름의 파단신도를 측정했을 때 140℃ 고압 스팀 조건하에서 스팀 처리 전과 비교하여 50% 신도 저하 시간이 내가수분해성을 갖지 않는 필름의 2배 이상이 되는 PET 필름이 시판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레이(주)제의 「루미러」(등록상표) X10S 등이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PEN 필름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올 성분에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중합된 수지를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공지의 방법으로 2축 연신한 필름이다.
이들 내가수분해성 PET 필름, 또는 PEN 필름의 두께는 38~300㎛가 바람직하고, 필름의 탄력, 내전압성,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의 비용면 및 태양전지 모듈 제조시의 가공 적성에서 50~25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난연 규격인 UL746A에 있어서의 HAI(고전류 아크·이그니션) 시험을 패스하기 위해서는 내가수분해성 PET, 또는 PEN 필름의 두께는 200~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불소계 수지 필름은 불소계 수지를 용융하고, 구금으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압출해서 회전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시켜 목적으로 하는 두께의 불소계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불소계 수지로서는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FEP), 또는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소 수지 중 특히 폴리불화비닐,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FEP),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가 필름으로 하기 위한 용융 압출 성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불소계 수지 필름은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화염 처리, 화학 처리 등에 의해 표면을 활성화 처리함으로써 적층된 후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필름은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불소계 수지 필름을 적층한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은 A층/B층/C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A층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A층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것들의 혼합 수지를 들 수 있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란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고(이하 LLDPE라고 약칭한다), 탄소원자수 4~20, 바람직하게는 4~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부텐-1, 펜텐-1, 4-메틸-1-펜텐, 헥센-1, 헵텐-1, 옥텐-1, 노넨-1, 데센-1 등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부텐-1, 헥센-1, 옥텐-1 등이 중합 생산성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층의 LLDPE의 융점은 110~1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이 130℃ 이하임으로써 EVA와의 열접착성이 뛰어나고, 110℃ 이상으로 함으로써 EVA와 열압착했을 때에 시트의 두께가 저감되지 않고, 내전압 특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LDPE의 밀도에 대해서는 0.9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94g/㎤보다 밀도가 높아지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의 분산성이 저하하여 금속 롤이나 고무 롤과의 찰과에 있어서 수지가 탈락하기 쉬워 백분 발생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0.94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LLDPE 중의 α-올레핀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1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몰%이다. α-올레핀 함량을 0.5~10몰%로 조정함으로써 LLDPE의 밀도를 0.90g/㎤ 이상 0.94g/㎤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층의 LLDPE의 190℃의 용융 지수(이하, MFR이라 약칭한다)는 바람직하게는 0.5~10.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g/10분이다. MFR이 0.5g/10분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름 제막시에 다른 층과의 적층 편차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MFR이 10.0g/10분보다 작으면 캐스트 시의 핸들링성 불량이나 결정화도 증대에 의한 취화가 생기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층에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하, LDPE라 약칭한다)을 사용했을 경우에 그 밀도는 0.90~0.93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를 0.90g/㎤ 이상으로 함으로써 뛰어난 필름의 슬라이딩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가공시의 필름 취급성이 좋아지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0.93g/㎤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현시키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층에 밀도가 0.94~0.97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이하, HDPE라 약칭한다)을 사용한 경우에는 필름의 탄력, 및 내컬(curl resistance)에 뛰어난 반면, 가공시의 롤 마찰에 의해 HDPE가 탈락해 백분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필름 오염이나 흠집을 내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고, LLDPE나 LDPE와 비교해 융점이 높은 만큼 EVA와의 열접착을 행할 때의 가열 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여 열접착의 조건에 따라서는 EVA와의 밀착 강도가 낮아질 염려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층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혼합할 필요가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내열성이 향상되고, B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층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500중량부보다 적으면 EVA와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성 및 B층간의 밀착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50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내열성이란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서 사용했을 때에 가공 공정에서 실시하는 130~170℃의 라미네이트에 견딜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과 같이 버스바 등의 배선을 장착한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수지가 상기 라미네이트시의 열과 압력에 의해 변형하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A층/B층/C층의 전체 두께에 대해서 초기의 두께를 80% 이상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면 보호 시트의 두께는 내전압 특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기 ?문에 초기의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내전압 특성을 확보를 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등의 배선 부재가 비치지 않아 의장성이 우수한 태양전지 모듈로 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호모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에틸렌 함유량은 1~15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유량이 1몰%를 초과할 경우에는 LLDPE 또는 LDPE, 또는 이것들의 혼합 수지에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금속 롤이나 고무 롤과의 찰과에 있어서 수지가 탈락하기 어려워 백분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EVA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15몰%보다 적으면 EVA와 열압착시켰을 때에 시트 두께가 저감되지 않아 버스바 등의 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230℃에서의 MFR은 1.0~15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MFR이 1.0g/10분보다 큰 경우에는 제막 공정에 있어서 구금의 토출폭보다 필름폭이 저하(넥다운)되기 어려워 필름의 안정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MFR이 15g/10분보다 작은 경우에는 결정화 속도가 저하되어 필름이 물러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은 140℃~170℃의 범위인 것이 내열성을 비롯해 슬라이딩성이나 필름의 핸들링성, 내컬성, EVA와의 열접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융점을 140℃ 이상으로 함으로써 A층은 내열성이 뛰어나고,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서 EVA와 열압착시켰을 때의 시트 두께의 저하가 억제되어 내전압 특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융점을 170℃ 이하로 함으로써 EVA와의 뛰어난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층의 표면 평균 거칠기Ra로서는 0.10~0.30㎛인 것이 가공시의 필름의 핸들링 기능을 만족시키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층에는 필름의 취급성, 슬라이딩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평균 입자지름 1~5㎛의 무기 또는 유기입자를 A층의 수지 성분에 대하여 0.1~10중량% 첨가해도 좋다.
또한, A층 수지 성분에 대하여 유기 화합물의 활제를 0.1~10중량% 첨가할 수 있다. 유기 화합물의 활제로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 스테아르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B층은 백색 미립자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이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호모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 또는 이들 수지와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지고,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수지 성분 전체의 30중량% 미만인 것이 내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에틸렌 함유량은 15몰% 이하인 것이 내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230℃에서의 MFR은 1.0~15g/10분의 범위인 것이 A층 및 후기하는 C층과의 공압출시의 적층성에서 바람직하다. MFR이 1.0g/10분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막 공정에 있어서 구금으로부터 용융 압출된 필름이 넥다운하기 어려워 필름의 폭 방향의 평면성이 악화되지 않는 등 안정 제막이 용이해진다. 또한, MFR이 15g/10분보다 작은 경우에는 결정화 속도가 저하되고, 필름이 물러지기 어렵다.
본 발명의 B층에서 사용되는 백색 미립자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탈크, 카올린클레이, 산화티탄, 황산바륨 등의 무기계의 미립자인 것이 내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산화티탄 입자가 가장 바람직하며, 결정형으로서 루틸형, 아나타제형, 브루카이트형 등이 알려져 있지만, 뛰어난 백색도와 내후성 및 광반사성 등의 특성으로부터 루틸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산화티탄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촉매 작용에 의해 수지를 열화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광촉매 작용을 억제할 목적에서 표면 피복제에 의해 산화티탄 입자가 표면 피복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피복제의 조성은 한정되지 않지만, 산화규소나 알루미나, 또는 산화아연 등의 무기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피복제에 의한 피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으로 표면 피복된 산화티탄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탄 입자의 안정화의 목적에서 예를 들면 힌다드 아민계 등의 광안정제를 수지 중에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색 미립자의 평균 입자지름은 0.2~0.7㎛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시광의 반사율을 높이는 목적에 있어서는 0.25~0.3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층의 백색 미립자의 첨가량은 그 비중에 따라 좌우되지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5~50중량%의 범위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10~30중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량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5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백색화와 광반사 효과가 얻어지고, 버스바 등의 배선 재료의 비침이 없어 의장성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50중량%보다 적으면 제막시에 백색 미립자가 응집하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C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B층과 마찬가지로 호모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70중량% 이상 함유되는 것이 내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내열성을 비롯해 슬라이딩성이나 필름의 핸들링성, 내흠집성, 내컬성의 점에서 블록 공중합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은 150℃~170℃의 범위인 것이 내열성을 비롯해 슬라이딩성이나 필름의 핸들링성, 내흠집성, 내컬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융점을 150℃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열성이 뛰어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서 EVA와 열압착시켰을 때의 온도와 압력에 의해 시트의 두께가 저감하지 않아, 버스바 등의 은폐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융점이 170℃ 이하인 것을 선택함으로써 B층과의 결정화도의 차가 작아 필름의 컬을 억제할 수 있어 권취성이 향상되고, 타기재와의 접착성도 향상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230℃에서의 MFR은 1.0~15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MFR이 1.0g/10분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막 공정에 있어서 넥다운하기 어려워 필름의 안정 제막이 용이해진다. 또한, MFR이 15g/10분보다 작음으로써 결정화 속도가 저하하고, 물러지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두께는 사용되는 태양전지의 구조에 의해 변경되지만 10~2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한 20~200㎛의 범위가 필름 제조면이나, 타기재와의 라미네이트 가공성에서 바람직하다. 250㎛ 이하로 함으로써 경제성이 뛰어나고, 취급성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중요한 목적인 배선 부재의 영향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가 얇게 변형됨으로써 태양 발전 소자나 인터커넥터, 버스바가 비치지 않는 정도의 내열성, 은폐성이 우수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하기 위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두께는 50~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0~2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은 A층/B층/C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적층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100%로 해서 A층, C층이 각각 5~20%, B층이 90~6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A층/B층/C층으로 함으로써 백색 미립자를 함유하는 B층을 A층, 및 C층에 의해 끼움으로써 제조시의 구금에 있어서의 입자를 대량으로 포함하는 수지 분해물의 부착을 억제하여 분해물이 탈락하는 것에 의한 공정 오염이나, 필름의 흠집과 같은 품질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융점 110℃~130℃ 범위의 LLDPE 100중량부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50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 혼합물을 사용한다.
B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융점이 140℃~170℃ 범위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백색 미립자로서 평균 입자지름이 0.3㎛인 루틸형의 산화티탄 5~50중량%와, 산화방지제로서 "SumilizerGP"를 0.05~0.35중량%의 범위에서 혼합한 수지 혼합물을 사용한다.
C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융점이 150~170℃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수지를 각각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각각 220~280℃의 범위에서 용융한다. 그리고 폴리머관의 도중에 설치한 필터를 통과시켜서 이물이나, 조대 무기입자 등을 제거한 후, 멀티·매니폴드형의 T다이 또는 T다이 상부에 설치한 피드 블록에서 A층/B층/C층형의 3종 3층 적층을 행해 T다이로부터 회전 금속 롤 상으로 C층측을 금속 롤면측으로 해서 토출해서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때, 회전 금속 롤은 표면 온도가 20~60℃로 제어하는 것이 C층의 금속 롤에의 점착을 일으키지 않고, 결정성을 높이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 폴리머를 금속 롤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비금속 롤측으로부터 에어를 분사하는 방법이나, 닙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층은 아크릴계 수지 등의 바인더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이나, 아크릴계 수지 등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지만, 아크릴계 수지 등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기재인 플라스틱 필름에의 밀착성이나, 자외선 흡수층 자체의 내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와 공중합시키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아크릴 수지와 공중합시키는 광안정화제로서는 힌다드 아민계 등의 광안정화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층에 백색 안료를 첨가하는 것은 자외선 흡수층의 수지의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고, 범용성, 가격, 발색 성능, 또한 내자외선성의 관점에서 백색 안료로서는 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층의 두께는 0.2~5㎛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특히 바람직하게는 1~3㎛이다. 자외선 흡수층의 두께를 0.2㎛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도공시에는 시싱이나 막파손과 같은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아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 쉽고, 기재 플라스틱 필름에 대한 밀착력, 무엇보다 자외선 컷 성능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자외선 흡수층의 두께는 5㎛ 이하에서 자외선 컷 성능은 충분히 발현되고, 이 이상 두껍게 해도 도공 방식에 제약이 발생하는 점, 생산 비용이 높아지는 점 등이 염려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층은 수지 기재를 보호하는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필름의 최외층에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접합에 사용하는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소시아네이트 가교형 접착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내후성이 뛰어나 시간 경과에 대하여 접착력의 저하가 적은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하기 위해서는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착제에 사용하는 용제로서는 에스테르류, 케톤류, 지방족류, 방향족류 등의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용제가 바람직하다. 에스테르류로서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아세트산 부틸 등을 들 수 있다. 케톤류로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으로서는 n-헵탄,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류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 용해도, 도공 적성의 관점에서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메틸에틸케톤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층의 두께는 0.1~10㎛가 바람직하고, 비용면 및 접착성의 점에서 2~6㎛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에 그라비어·롤 코팅법, 롤 코팅법, 리버스 코팅법, 키스 코팅법, 기타 등의 코팅법, 또는 인쇄법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도공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플라스틱 필름 또는 적층체를 적층할 수 있다. 이때, 플라스틱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전에 플라스틱 필름은 접착제를 도공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그라비어·롤 코팅법, 롤 코팅법, 리버스 코팅법, 키스 코팅법, 기타 등의 코팅법, 또는 인쇄법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도포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흡수층(17)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16)의 접착제(15) 도공면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11)의 C층(14)측의 면을 접합한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10)를 제작한 일례의 개략 측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낸다.
플라스틱 필름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밀착 강도는 2N/15㎜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들 필름간의 밀착 강도가 2N/15㎜ 이상이면 적층한 필름의 층간 강도가 충분히 얻어져 태양전지 모듈 가공시 또는 촉진 시험 등에 의한 층간 박리가 일어나기 어렵고, 6N/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를 사용해서 태양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한 일례의 개략 측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의 두께는 200~4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두께를 200㎛ 이상으로 함으로써 높은 부분 방전 전압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핸들링시의 접힘 결함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한편, 두께를 400㎛ 이하로 함으로써 필요 충분한 강성이나 내전압 특성을 유지하면서 롤에 권취할 때의 롤당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350㎛의 범위이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1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11)면이 접착성 수지층2(23)와 마주 보는 방향에서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10)/접착성 수지층2(23)/배선을 설치한 광기전력 소자로서의 태양 발전 소자(25)/접착 수지층1(22)/태양전지 모듈용 표면 보호 시트(24)를 이 순서로 적층하고, 또한 필요하면 각 층 사이에 기타 소재를 임의로 적층하고, 이어서 이것들을 진공 흡인 등에 의해 일체화해서 가열 압착하는 라미네이션법 등의 통상의 성형법을 이용하여 상기 각 층을 일체 성형체로 해서 가열 압착 성형하고, 프레임을 장착해서 태양전지 모듈을 제조한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표면 보호 시트(24)는 태양광의 투과성, 절연성, 내후성, 내열성, 내광성, 내수성, 방습성, 방오성 등 물리적 또는 화학적 강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보호 시트로서는 유리판 등 폴리아미드계 수지(각종의 나일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기타 등의 각종 수지 필름 내지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성 수지층1(22)로서는 내후성, 내열성,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충전제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이오노머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산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기타 등의 수지의 1종 내지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광기전력 소자로서의 태양 발전 소자(25)는 종래부터 공지의 것, 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형 태양 발전 소자, 다결정 실리콘형 태양 발전 소자 등의 결정 실리콘 태양 발전 소자, 싱글 접합형 또는 탠덤 구조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아모르포스 실리콘 태양 발전 소자, 갈륨비소(GaAs)나 인듐인(InP) 등의 III-V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 발전 소자, 카드뮴텔루륨(CdTe)이나 구리인듐셀레나이드(CuInSe2) 등의 II-Ⅵ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 발전 소자, 유기 태양 발전 소자, 기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박막 다결정성 실리콘 태양 발전 소자, 박막 미결정성 실리콘 태양 발전 소자, 박막 결정 실리콘 태양 발전 소자와 아모르포스 실리콘 태양 발전 소자의 하이브리드 소자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광기전력 소자 아래에 적층하는 접착성 수지층2(23)는 접착성 수지층1(22)과 동일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성 수지층2(23)는 이면 보호 시트와의 밀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접착성 수지층은 광기전력 소자로서의 태양 발전 소자의 이면의 평활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 열가소성을 갖는 점, 그리고 광기전력 소자로서의 태양 발전 소자의 보호라고 하는 점에서 내스크래치성, 충격 흡수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전지 모듈의 프레임체로서는 알루미늄형 재료가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특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를 행했다.
[밀도 측정 방법]
밀도는 (ASTM) D1505으로 측정했다.
[MFR의 측정 방법]
LLDPE, LDPE의 용융 지수(MFR)는 ASTM D1238에 따라 190℃, 2.16kg 하중에서, 또한 호모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MFR은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했다.
[융점 측정]
사용하는 수지의 융점은 시차주사 열량계(시마즈세이사쿠쇼제, DSC-60)를 사용하여 20℃에서부터 10℃/분의 속도로 승온시키고, 300℃까지 가열했을 때의 융해 피크가 가장 높은 피크 온도를 융점으로 했다.
[반사율]
태양전지 모듈 이면 보호 시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면에 대해서 분광 광도계(히타치세이사쿠쇼제 U-3410)에 φ60 적분구(히타치세이사쿠쇼제, 130-0632) 및 10도 경사 스페이서를 장착한 상태에서 560㎚의 절대 반사율을 3회 측정한 평균값을 구해서 반사율로 했다.
[내열성 시험: 인터커넥터의 비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1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11)면이 EVA 시트2(33)와 마주 보는 방향에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10)/EVA 시트2(33)[산빅(주)제, PV-45FR000 두께 450㎛)/인터커넥터(35)(2㎜ 폭×두께 0.6㎜)/EVA 시트1(32)(두께 450㎛)/유리판(34)을 이 순서로 적층하고, (주)NPC제,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LM-50X50-S)에 설치 후, 진공 시간 5분, 제어 시간 1분, 프레스 시간 9분, 온도 142℃의 조건에서 가열 압착했다. 압착 후에 실온 냉각하여 유사 모듈을 제작했다.
상기 방법으로 각 수준 10매 제작하고,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측에서부터 육안으로 관찰했다. 비침의 판정으로서 하기의 기준에 따라 4 이상의 것을 합격으로 했다.
5: 10매 모두에서 인터커넥터의 비침이 없다.
4: 10매 중 1매에서 인터커넥터의 비침이 약간 있고, 나머지는 비침이 없다.
3: 10매 중 2매 이상에서 인터커넥터의 비침이 약간 있지만, 명확한 비침은 없다.
2: 10매 중 1매에서 인터커넥터의 명확한 비침이 있다.
1: 10매 중 2매 이상에서 인터커넥터의 명확한 비침이 있다.
[내열성 시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두께 관찰]
내열성 시험 후의 유사 모듈에 칼로 슬릿을 넣고, 인터커넥터 부분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의 절단면을 편광현미경[(주)니콘제 ECLIPSE(이클립스) E400POL]으로 200배의 배율로 관찰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 전체의 두께 변화를 하기의 기준에 따라 「+」이상을 합격으로 판정했다.
++: 두께 변화가 -5% 미만
+: 두께 변화가 -5% 이상 -20% 미만
-: 두께 변화가 -20% 이상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와 EVA의 접착 강도 측정]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1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11)면이 EVA 시트2(43)와 이형 필름(45)을 마주보는 방향에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10)/이형 필름(45)/EVA 시트2(43)/EVA 시트1(42)/유리판(44)을 이 순서로 적층하고, (주)NPC제,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LM-50×50-S)에 설치 후에 진공시간 5분, 제어 시간 1분, 프레스 시간 9분, 온도 142℃의 조건에서 가열 압착했다. 압착 후에 실온 냉각하여 유사 모듈을 제작했다. 상기 유사 모듈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와 EVA의 접착 강도를 하기와 같이 측정했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측으로부터 10㎜ 폭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EVA층 사이에서 박리하고, 실온 조건 하에서 (주)ORIENTEC제 텐실론 PTM-50을 사용하여 박리 각도 180°, 박리 스피드 100㎜/min으로 박리해 접착 강도를 평가하고, 하기의 기준에 따라 「+」 이상을 합격으로 판정했다.
++: 박리 강도가 50N/10㎜ 이상
+: 박리 강도가 50N/10㎜ 미만, 40N/10㎜ 이상
-: 박리 강도가 40N/10㎜ 미만, 20N/10㎜ 이상
--: 박리 강도가 20N/10㎜ 미만.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자외선성 평가]
이와사키덴키사제 아이슈퍼 UV 테스터 SUV-W151을 사용하여 63℃×30%RH 분위기에서 자외선 강도 160mW/㎠로 24시간 자외선 조사(자외선 조사 적산량 206kWh/㎡)를 행했다. 그 전후의 표색계 b*값의 측정을 행했다. b*값의 차가 6 미만일 경우를 「++」로 합격, 30 미만 6 이상일 경우를 「+」로 합격, 30 이상을 「-」로 불합격으로 판정했다.
[산화티탄 마스터배치A의 제조 방법]
융점 162℃, 밀도 0.900g/㎤의 호모폴리프로필렌 40중량%와, 규소, 알루미늄, 아연 등의 1종 또는 복수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산화물로 표면 처리된 평균 입자지름 200㎚의 루틸형 산화티탄[사카이카가쿠코교(주)제 FTR-700] 60중량%를 2축 압출기로 240℃에서 용융 혼련한 후, 스트랜드 커팅하여 산화티탄 마스터배치A를 제조했다.
[산화티탄 마스터배치B의 제조 방법]
융점 122℃, 밀도 0.922g/㎤, MFR 7g/10분의 LLDPE 40중량%와, 규소, 알루미늄, 아연, 지르코늄 등의 1종 또는 복수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산화물로 표면 처리된 평균 입자지름 200㎚의 루틸형 산화티탄[사카이카가쿠코교(주)제 FTR-700] 60중량%를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용융 혼련한 후, 스트랜드 커팅하여 산화티탄 마스터배치B를 제조했다.
(실시예 1)
A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융점 127℃, 밀도 0.940g/㎤, MFR 5.0g/10분의 LLDPE 80중량부에 대하여 융점 112℃, 밀도 0.912g/㎤, MFR 4.0g/10분의 LDPE를 20중량부(폴리에틸렌계 수지 합계 100중량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융점 150℃, 밀도 0.900g/㎤, MFR 7g/10분의 에틸렌 함유량 4몰%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이하, EPC라 약칭한다) 10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B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융점 160℃, 밀도 0.900g/㎤, MFR 7g/10분의 호모폴리프로필렌(이하, H-PP라 약칭한다)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티탄 마스터배치A 3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착색화제인 산화티탄의 첨가량은 13.8중량%이다.
C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융점 160℃, 밀도 0.900g/㎤, MFR 4.0g/10분, 에틸렌 함유량 7몰%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이하, B-PP라 약칭한다)를 사용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각각 260℃에서 용융해서 A층/B층/C층형의 멀티·매니폴드형의 T다이로 인도하고, 30℃로 유지된 캐스팅 드럼 상으로 압출하고, 비(非)드럼면측에서부터 25℃의 냉풍을 분사해서 냉각 고화하여 각 층의 두께 구성 비율이 A층/B층/C층=10%/80%/10%인 필름 두께 15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얻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C층측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함으로써 C층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mN/m으로 해서 권취했다.
(주)니혼쇼쿠바이제의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HALS)가 아크릴폴리올 수지에 가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제인 "할스하이브리드" 폴리머(등록상표) BK1(고형분 농도: 40중량%, 아크릴 수지)에 백색 미립자, 가소제 및 용제를 일괄 혼합하고, 비드밀기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고형분 농도가 50중량%인 수지층 형성용 주제 도료를 얻었다.
이어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얻은 수지층 형성용 도료에 누레이트형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인 스미화바이엘우레탄(주)제 「데스모듀어」(등록상표) N3300(고형분 농도: 100중량%)을 주제 도료와의 중량비가 33/8의 비가 되도록 미리 계산한 양 배합하고, 또한 고형분 농도 20중량%(수지 고형분 농도)의 도료가 되도록 미리 산출한 희석제: 아세트산 n-프로필을 칭량하고, 15분간 교반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20중량%(수지 고형분 농도)의 자외선 흡수층 형성용 도료를 얻었다.
또한, 상기 조정에 사용한 백색 미립자로서는 산화티탄 입자[테이카(주)제 JR-709]를 사용하고, 가소제로서는 DIC(주)제 에폭시계 가소제("에포사이저" W-121)를 사용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내가수분해성 2축 연신 PET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상표) X10S(125㎛)]을 준비했다. 이 기재 필름의 한쪽의 면에 드라이 라미네이터[오카자키키카이코교(주)제-색인쇄가 있는 드라이 라미네이터 OG/DL-130TA-AF)]를 이용하여 상기 자외선 흡수층 형성용 도료를 도포하고, 150℃에서 30초간 건조하고, 건조 후 도포량이 4.0g/㎡가 되도록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터에 의해 상기 「루미러」(등록상표) X10S의 미코팅면에 이소시아네이트 가교형 접착제[다이니폰잉크카가쿠코교(주)제, LX-903/KL-75=8/1]를 고형분 도포 두께 5㎛로 도포, 건조하고, 상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C층측과 60N/㎝의 닙압으로 라미네이트를 실시했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두께는 285㎛이었다.
적층한 필름은 온도 40℃에서 72시간 에이징을 실시하여 접착제층의 경화 반응을 촉진해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A층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LDPE를 단독으로 사용하고, 상기 LDPE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EPC 15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B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융점 160℃, 밀도 0.900g/㎤, MFR 4g/10분, 에틸렌 함유량 7몰%의 B-PP 100중량부에 대하여 융점 150℃, 밀도 0.900g/㎤, MFR 7g/10분, 에틸렌 함유량 4몰%의 EPC 100중량부, 및 산화티탄 마스터배치A 2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백색 미립자인 산화티탄의 첨가량은 5.5중량%이다.
C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B-PP 100중량부에 대하여 융점 162℃, 밀도 0.900g/㎤, MFR 7g/10분의 H-PP를 100중량부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내열성 시험에서 필름의 박막화는 문제없었다. 산화티탄의 첨가량이 적기 때문에 원래 인터커넥터가 비치기 쉬운 것이었지만, 실용 레벨이었다.
(실시예 3)
A층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LLDPE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융점 160℃, 밀도 0.900g/㎤, MFR 4g/10분, 에틸렌 함유량 7몰%의 B-PP 20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B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2에서 사용한 EPC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티탄 마스터배치A 30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백색 미립자인 산화티탄의 첨가량은 45.0중량%이다.
C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2에서 사용한 H-PP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융점 150℃, 밀도 0.900g/㎤, MFR 7g/10분, 에틸렌 함유량 4몰%의 EPC 10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각각 260℃에서 용융해서 A층/B층/C층형의 멀티·매니폴드형의 T다이에 인도하고, 30℃로 유지된 캐스팅 드럼 상으로 압출하고, 비드럼면측으로부터 25℃의 냉풍을 분사하여 냉각 고화하여 각 층의 두께 구성 비율이 A층/B층/C층=10% /70% /20%인 필름 두께 15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를 얻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A층, C층에 사용하는 수지는 실시예 1과 같게 했다.
B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2에서 사용한 B-PP의 대신에 융점 112℃, 밀도 0.912g/㎤, MFR 4.0g/10분의 LDPE를 4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게 했다. 백색 미립자인 산화티탄의 첨가량은 7.5중량%이고,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은 수지 성분 전체의 27중량%이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A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EPC를 6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수지를 사용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사용한 두께 10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두께는 235㎛이었다.
(실시예 6)
A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EPC를 40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수지를 사용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사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자외선 흡수층 형성용 도료를 도포한 2축 연신 PET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상표) S10(125㎛)]의 미코팅면과 라미네이트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내자외선성 평가에 있어서 약간의 황변이 보이지만 실용 레벨이었다.
(실시예 7)
A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EPC를 60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수지를 사용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층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첨가량이 많기 때문에 EVA와의 밀착력이 약간 낮아졌지만 실용 레벨이었다.
(실시예 8)
A층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 융점 134℃, 밀도 0.952g/㎤의 HDPE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EPC 10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수지를 사용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층의 HDPE의 융점이 높기 때문에 EVA와의 밀착 강도가 약간 낮아졌지만 실용 레벨이었다.
(실시예 9)
B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4에서 사용한 EPC를 60중량부, 동 LDPE를 40중량부, 산화티탄 마스터배치A를 2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과 같게 했다. B층 중의 폴리에틸렌 농도는 37중량%가 되고, 폴리에틸렌의 농도가 비교적 큰 것으로 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B층 중의 폴리에틸렌 농도가 크기 때문에 내열 시험에서 약간 B층의 박막화, 비침의 발생이 보였지만 실용 레벨이었다.
(실시예 10)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테이진듀퐁필름(주)제 PEN 필름 "테오넥스" Q51(125㎛)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불소계 수지 필름[도레이필름카코우(주)제 FEP 이접착 필름 「토요플론」(등록상표) FL(100㎛)]을 사용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불소계 수지 필름의 편면에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과 적층하여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를 제작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내가수분해성 2축 연신 PET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상표) X10(125㎛)]과 불소계 수지 필름[도레이필름카코우(주)제 ETFE 이접착 필름 「토요플론」(등록상표) EL(100㎛)]을 접합한 것을 사용하고, ETFE측에 자외선 흡수층을 적층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다층 적층 필름과 부착해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같은 A층/B층/C층의 폴리올레핀 원료를 사용하고, B층의 산화티탄 마스터배치A의 배합량을 50중량부로 늘리고, 압출량을 감소시켜서 두께 5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제작했다. B층의 산화티탄의 첨가량은 20.0중량%이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250㎛의 내가수분해성 2축 연신 PET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상표) X10]을 사용하고, 상기 5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과 적층해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두께는 310㎛이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두께가 50㎛로 얇기 때문에 비침이 보였지만 실용 레벨이고, 내가수분해성 2축 연신 PET 필름의 두께가 250㎛로 두껍기 때문에 UL746A 규격에 의거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같은 A층/B층/C층의 폴리올레핀 원료를 사용하고, 압출량을 감소시켜서 125㎛의 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제작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125㎛의 내가수분해성 2축 연신 PET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상표) X10]을 사용하고, 상기 125㎛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과 적층해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두께는 260㎛이었다. 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두께가 125㎛로 얇기 때문에 비침의 발생이 보였지만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을 100㎛의 내가수분해성 2축 연신 PET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상표) X1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두께는 260㎛이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해서 압출량을 증대시켜서 175㎛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을 제작했다. 플라스틱 필름을 75㎛의 내가수분해성 2축 연신 PET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상표) X10]으로 하고, 상기 175㎛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과 적층해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두께는 260㎛이었다.
(비교예 1)
플라스틱 필름의 내가수분해성 2축 연신 PET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상표) X10S (125㎛)]에 자외선 흡수층을 적층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 수지 다층 필름과 적층해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내자외선성 평가에 의한 b*값의 차가 크게 증대해 실용에 견디지 못하는 것이었다.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두께는 280㎛이었다.
(비교예 2)
A층, C층에 사용하는 수지는 실시예 1과 같게 했다.
B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융점 112℃, 밀도 0.912g/㎤, MFR 4.0g/10분의 LDPE를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티탄 마스터배치B 3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백색 미립자인 산화티탄의 첨가량은 13.8중량%이고,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은 수지 성분 전체의 100중량%이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내열성 시험의 결과, 5매의 유사 모듈에 인터커넥터의 비침이 발생했다. 또한, 인터커넥터가 비친 부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 두께는 50% 이상 감소하고 있었다.
(비교예 3)
A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LLDPE 단독으로 한 것 이외에는 B층, C층 수지 포함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를 제작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내열성 시험의 결과, 인터커넥터의 비침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 두께는 20% 이상 감소하고 있었다.
(비교예 4)
A층, B층에 사용하는 수지는 실시예 1과 같게 했다.
C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융점 127℃, 밀도 0.940g/㎤, MFR 5.0g/10분, 에틸렌 함유량 5몰%의 LLDPE를 단독으로 사용했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A층, B층, C층의 각 층 각각의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로 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내열성 시험의 결과, 인터커넥터의 비침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 두께는 20% 이상 감소하고 있었다.
(비교예 5)
A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EPC 단독으로 한 것 이외에는 B층, C층 수지 포함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를 제작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EVA와의 밀착성이 불충분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10: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11: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
12: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A층
13: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B층
14: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의 C층
15: 접착제층
16: 플라스틱 필름
17: 자외선 흡수층
22: 접착성 수지층1
23: 접착성 수지층2
24: 태양전지 모듈용 표면 보호 시트
25: 광기전력 소자
32, 42: EVA 시트1
33, 43: EVA 시트2
35: 인터커넥터
34, 44: 유리판
45: 이형 필름

Claims (7)

  1. A층/B층/C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층 필름과 플라스틱 필름과 자외선 흡수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필름으로서, A층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B층이 백색 미립자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C층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내가수분해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은 불소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내가수분해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불소계 수지 필름을 적층한 필름이고, 자외선 흡수층은 불소계 수지 필름측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의 두께는 250~350㎛이며, 폴리올레핀 수지계 다층 필름의 두께는 13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의 두께는 250~350㎛이고,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20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20147011961A 2011-10-05 2012-09-21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KR20140074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0663 2011-10-05
JPJP-P-2011-220663 2011-10-05
PCT/JP2012/074199 WO2013051403A1 (ja) 2011-10-05 2012-09-21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376A true KR20140074376A (ko) 2014-06-17

Family

ID=4804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961A KR20140074376A (ko) 2011-10-05 2012-09-21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18616A1 (ko)
EP (1) EP2765616A4 (ko)
JP (1) JP6015449B2 (ko)
KR (1) KR20140074376A (ko)
CN (1) CN103958192B (ko)
TW (1) TW201321187A (ko)
WO (1) WO20130514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083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태양 전지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9292A (ko) * 2015-07-16 2017-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3824A4 (en) * 2010-05-20 2015-08-19 Toray Advanced Film Co Ltd REVERSE PROTECTIVE FOIL FOR SOLAR CELL MODULES
KR101487257B1 (ko) * 2013-07-11 2015-0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JP6331074B2 (ja) * 2014-03-07 2018-05-30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6292441B2 (ja) * 2014-03-07 2018-03-14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6292442B2 (ja) * 2014-03-12 2018-03-14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15191944A (ja) * 2014-03-27 2015-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裏面保護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92107A (ja) * 2014-03-28 2015-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5168174A1 (en) * 2014-04-28 2015-11-05 Madico, Inc. Protective sheet for a photovoltaic module
WO2015182282A1 (ja) * 2014-05-28 2015-12-03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7122713A1 (ja) * 2016-01-13 2017-07-20 三井化学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
JP7066965B2 (ja) * 2016-06-02 2022-05-16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
CN106784135A (zh) * 2016-11-30 2017-05-31 安徽振兴光伏新能源有限公司 Eva剥离强度测试方法
JP2019050346A (ja) * 2017-09-07 2019-03-28 ダイヤプラスフィ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用多層フィルム、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21099569A1 (en) * 2019-11-22 2021-05-27 Dsm Advanced Solar B.V. Photovoltaic module backsheet comprising polyolefin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1085A (ja) 1998-03-10 1999-09-2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
JP4184675B2 (ja) * 2002-02-18 2008-1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ル用裏面保護シ−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太陽電池モジュ−ル
JP2004223925A (ja) 2003-01-23 2004-08-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積層シート、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06098473A1 (ja) * 2005-03-18 2006-09-21 Kyocera Corporation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アレイ
JP2007150084A (ja) * 2005-11-29 2007-06-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積層体、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001056A2 (en) * 2006-03-28 2008-12-10 Toray Advanced Film Co., Ltd. Backside protective sheet for solar battery module
EP2226357B1 (en) * 2007-12-27 2018-02-28 Mitsui Chemicals, Inc.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US20100043871A1 (en) * 2008-04-14 2010-02-25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Thermal Conducting Materials for Solar Panel Components
JPWO2010005029A1 (ja) * 2008-07-11 2012-01-05 三菱樹脂株式会社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WO2010053936A1 (en) * 2008-11-06 2010-05-14 Dow Globaltechnologies Inc. Co-extruded, multilayered polyolefin-based backsheet for electronic device modules
ES2531104T3 (es) * 2009-07-23 2015-03-10 Renolit Belgium Nv Módulos fotovoltaicos con lámina de respaldo basada en polipropileno
JP5424169B2 (ja) * 2009-08-31 2014-02-26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多層フィルム
EP2573824A4 (en) * 2010-05-20 2015-08-19 Toray Advanced Film Co Ltd REVERSE PROTECTIVE FOIL FOR SOLAR CELL MODULES
TWI527705B (zh) * 2010-08-31 2016-04-01 東麗薄膜先端加工股份有限公司 太陽能電池模組用背面保護片及使用其之太陽能電池模組
WO2012043248A1 (ja) * 2010-09-29 2012-04-05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多層フィルム
US20140124017A1 (en) * 2011-01-31 2014-05-08 Mitsubishi Plastics, Inc. Surface protective material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produced us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083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태양 전지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9292A (ko) * 2015-07-16 2017-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5616A1 (en) 2014-08-13
CN103958192B (zh) 2016-06-29
WO2013051403A1 (ja) 2013-04-11
JP6015449B2 (ja) 2016-10-26
US20140318616A1 (en) 2014-10-30
CN103958192A (zh) 2014-07-30
JPWO2013051403A1 (ja) 2015-03-30
EP2765616A4 (en) 2015-05-27
TW201321187A (zh) 201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544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I511883B (zh) 太陽能電池模組用背面保護片
TWI527705B (zh) 太陽能電池模組用背面保護片及使用其之太陽能電池模組
JP5989427B2 (ja)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
JP5732402B2 (ja) 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多層フィルム
EP2743081A1 (en) Laminated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30143583A (ko) 태양 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 전지 모듈
KR20140015359A (ko) 태양 전지용 보호 시트와 그 제조 방법, 태양 전지용 백 시트 부재, 태양 전지용 백 시트 및 태양 전지 모듈
JP201519533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リワーク方法
JP5551973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TW201504048A (zh) 太陽電池用背板及太陽電池模組
WO2016031340A1 (ja)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201511310A (zh) 太陽能電池模組用背面保護片
JP2011139036A (ja) 太陽電池用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シート
JP201811699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
JP2015185687A (ja)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92107A (ja)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412066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04200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ポリマー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414325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
JP5303624B2 (ja)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089976A (ja)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812094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
JP201713513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
KR20180011973A (ko) 태양전지용 백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