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216A -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216A
KR20170012216A KR1020167030816A KR20167030816A KR20170012216A KR 20170012216 A KR20170012216 A KR 20170012216A KR 1020167030816 A KR1020167030816 A KR 1020167030816A KR 20167030816 A KR20167030816 A KR 20167030816A KR 20170012216 A KR20170012216 A KR 20170012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layer
stretching
solar cel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타로 나카츠지
마사히로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2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9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기 (1)∼(3)을 충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층(그 층을 P1층이라고 칭한다)을 적어도 한쪽의 표층에 갖는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1)P1층의 두께가 30㎛이상 250㎛이하인 것.
(2)P1층의 표면 거칠기(Ra)가 0.10㎛보다 크고 0.50㎛이하인 것.
(3)내구성 시험후의 P1층의 두께의 감소량이 15㎛이하이며, 신도 유지율이 40%이하인 것.
장기간 옥외에서 사용해도 필름 두께의 감소가 적고, 내습열성, 내후성, 전기절연성의 저하가 적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POLYESTER FILM FOR SOLAR CELL BACK SHEETS}
본 발명은 장기간 옥외에서 사용해도 필름 두께의 감소가 적고, 또한, 내습열성, 내후성, 전기 절연성의 저하의 적은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기계특성, 열특성, 전기특성, 표면특성, 및 내열성 등의 성질을 이용해서 자기기록매체용, 전기 절연용, 태양 전지용, 콘덴서용, 포장용 및 각종 공업용 재료 등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반영구적이며 무공해의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서 클린 에너지인 태양 전지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태양 전지는 발전 소자를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이후 EVA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 등의 투명한 밀봉재에 의해 밀봉한 것에 유리 등의 투명기판과, 태양 전지 백시트라고 불리는 수지 시트를 첩합하여 구성된다. 태양광은 투명기판을 통해서 태양 전지내에 도입된다. 태양 전지내에 도입된 태양광은 발전 소자에 의해 흡수되고, 흡수된 광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발전 소자에 접속한 리드선에 의해 인출되어 각종 전기기기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태양 전지 백시트는 태양 전지의 발전 소자를 비 등의 외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우수한 특성으로부터 태양 전지 백시트로서, 또는 백시트를 구성하는 일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태양 전지는 장기간 옥외에 놓여지는 점에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고온다습하에 장기간 놓여졌을 때에 기계특성의 저하가 적은 것(내습열성)이 요구된다. 또한 태양 전지는 태양광의 직사하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자외선 조사하에 장기간 놓여졌을 때에 기계특성의 저하가 적은 것(내후성)이 요구된다. 또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발전 소자와 외기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특성(전기 절연성)도 요구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여러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4).
일본 특허공개 2013-5139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142128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2/8488호 팜플렛 일본 특허공개 2012-204797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4의 방법에서는 내습열성, 내후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태양 전지는 옥외에 놓여지므로 태양 전지 백시트의 표면은 비바람, 흙먼지, 고엽 등 여러가지 것에 노출된다. 장기간 옥외에 있어서 비바람, 흙먼지, 고엽 등에 노출되면 태양 전지 백시트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은 조금씩 마모되어 필름 두께가 감소(막감소가 발생)한다. 상기 특허문헌 1∼4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확실히 내습열성, 내후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지만, 옥외에서 장기간 사용하면 막감소가 발생하여 내습열성, 내후성, 전기 절연성이 크게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장기간 옥외에서 사용해도 필름 두께의 감소가 적고(이후, 이 특성을 내막감소성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장기간 옥외에서 사용해도 내습열성, 내후성, 전기 절연성의 저하가 적은(이후, 이 특성을 내구성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다. 즉,
(a)하기 (1)∼(3)을 충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층(그 층을 P1층이라고 칭한다)을 적어도 한쪽의 표층에 갖고,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이 40%이상인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1)P1층의 두께가 30㎛이상 250㎛이하인 것.
(2)P1층의 표면 거칠기(Ra)가 0.10㎛보다 크고 0.50㎛이하인 것.
(3)내구성 시험후의 P1층의 두께의 감소량이 15㎛이하인 것.
<내구성 시험>
(i)온도 65℃, 상대습도 50% RH의 조건하에서 크세논 램프(스가 시켄키제, SC750)를 사용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P1층측의 면을 방사조도 180W/㎡로 102분간(t-1) 조사한다.
(ii) (i)의 후, 크세논 램프의 조사를 계속하면서 16℃±5℃의 물샤워를 P1층면에 2.1L±0.1mL/분의 양으로 18분간(t-2) 가한다.
또한, (t-1)+(t-2)=120분이 되도록 한다.
(iii) (i) (ii)를 1500회 반복한다.
(b)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a)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내구성 시험후의 부분 방전 전압 유지율이 90%이상인 (a) 또는 (b)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필름.
(d)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루틸형 산화티탄을 함유하고 있고, 루틸형 산화티탄의 함유량이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14∼20중량%인 (a)∼(c)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e)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이하, CHT 유닛이라고 칭한다)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고 있고, CHT 유닛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함유량이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14∼20중량%인 (a)∼(d)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f)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가 0.6∼1.0dl/g이며, 말단 카르복실기량이 5∼20당량/t인 (a)∼(e)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g)하기 (4)∼(6)을 충족시키는 (a)∼(f)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4)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5)상기 냉각 드럼의 온도가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70℃이상 Tg-30℃이하인 것.
(6)상기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체류시간)이 20초이상 120초이하인 것.
(h)하기 (4), (7)∼(10)을 충족시키는 (a)∼(f)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4)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7)(4)에 의해 얻어진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20℃, 연신 배율 2.0∼4.0배로 연신하여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8)(7)의 공정에서 얻어진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50℃, 연신 배율 3.0∼4.0배로 연신하여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9)(8)의 공정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05∼240℃에서 열처리하면서 폭 방향으로 0∼10% 이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10)상기 (7)에 있어서의 연신은 연신 롤 및 연신 닙롤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이며, 연신 롤과 연신 닙롤 사이의 닙압이 0.4∼1.0㎫인 것.
(i)하기 (4)∼(10)을 충족시키는 (a)∼(f)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4)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5)상기 냉각 드럼의 온도가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70℃이상 Tg-30℃이하인 것.
(6)상기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체류시간)이 20초이상 120초이하인 것.
(7)(4)에 의해 얻어진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20℃, 연신 배율 2.0∼4.0배로 연신하여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8)(7)의 공정에서 얻어진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50℃, 연신 배율 3.0∼4.0배로 연신하여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9)(8)의 공정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05∼240℃에서 열처리하면서 폭 방향으로 0∼10% 이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10)상기 (7)에 있어서의 연신은 연신 롤 및 연신 닙롤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이며, 연신 롤과 연신 닙롤 사이의 닙압이 0.4∼1.0㎫인 것.
(j)(a)∼(f)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태양 전지 백시트.
(k)(j)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를 사용한 태양 전지.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내막감소성, 내구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막감소성,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태양 전지 백시트를 구비한 태양 전지는 장기에 걸쳐 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내용년수를 길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이면 보호용 시트를 사용한 태양 전지의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P1층을 적어도 한쪽의 표층에 갖는다. P1층을 적어도 한쪽의 표층에 갖는다란 P1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어도 좋고, P1층/P2층이나 P1층/P2층/P1층이나 P1층/P2층/P3층과 같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P1층은 두께가 30㎛이상 250㎛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P1층의 두께가 30㎛ 미만이면, 내막감소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P1층이어도 자외선 조사하에 장기간, 비바람, 흙먼지, 고엽 등에 노출되는 상황하에서 사용하면 기계특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다. 또한 P1층의 두께가 30㎛ 미만이면 전기 절연성이 부족하게 되어 고전압하에서 사용했을 때에 절연파괴를 일으키는 일이 있어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P1층의 두께가 250㎛보다 두꺼우면 가공 적성이 나빠 P1층의 표면을 내막감소성, 내구성이 우수한 표면형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태양 전지 셀의 전체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일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P1층은 표면 거칠기(Ra)가 0.10㎛보다 크고 0.50㎛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P1층의 표면 거칠기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내막감소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 효과가 얻어지는 메커니즘은 어떠한 이론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지만,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추정하고 있다.
P1층의 표면 거칠기(Ra)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필름 표면이 물에 젖었을 경우의 물튐성이 양호하게 된다. 그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비바람에 노출된 후에도 필름 표면에 물이 존재하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필름 표면에 있어서 가수분해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P1층의 표면 거칠기(Ra)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필름 표면에서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필름 내부에 침입하는 자외선을 줄여서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 필름의 내막감소성은 초기 단계에서의 내막감소성과, 중장기 단계에서의 내막감소성의 2개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P1층의 표면 거칠기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초기단계의 내막감소성을 현격히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P1층의 표면 거칠기(Ra)가 0.10㎛이하이면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것에 의한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열화를 억제할 수 없으므로 비바람, 흙먼지에 의한 필름의 막감소 속도가 커진다. 또한 P1층의 표면 거칠기(Ra)가 0.50㎛보다 크면 물에 젖었을 때의 필름 표면의 물의 튐이 나쁘기 때문에 필름 표면에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없어 막감소 속도가 커진다. P1층의 표면 거칠기(Ra)는 0.20㎛이상 0.4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1층의 표면 거칠기(Ra)를 상기 범위라고 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후술하는 제조 방법이나 수지의 종류, 첨가량에 의해 얻을 수 있다.
P1층의 표면 거칠기(Ra)가 상기 범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어도 중장기간에 걸쳐 옥외에서 사용되면 조금씩이긴 하지만 막감소가 진행된다. 막감소는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진행되므로 필름의 표면 거칠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된다. 그 때문에 P1층의 표면 거칠기(Ra)가 상기 범위의 필름이어도 중장기간 옥외에서 사용되면 표면 거칠기는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높은 내막감소성을 유지할 수는 없다. 중장기 단계에서의 내막감소성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후술하는 수지나 첨가제를 함유시킴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P1층은 이하에 기재된 내구성 시험후의 P1층의 두께의 감소량이 15㎛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내구성 시험>
(i)온도 65℃, 상대습도 50% RH의 조건하에서 크세논 램프(스가 시켄키제, SC750)를 사용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P1층측의 면을 방사조도 180W/㎡로 102분간(t-1) 조사한다.
(ii) (i)의 후, 크세논 램프의 조사를 계속하면서 16℃±5℃의 물 샤워를 P1층면에 2.1L±0.1mL/분의 양으로 18분간(t-2) 가한다.
또, (t-1)+(t-2)=120분이 되도록 한다.
(iii) (i) (ii)를 1500회 반복한다.
내구성 시험은 장기간, 옥외에서 비바람, 흙먼지, 고엽 등에 노출되는 상황하에서 사용된다고 하는 태양 전지의 사용 형태를 상정한 가속시험이다. 내구성 시험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크세논 램프에 의한 자외선의 조사나 고온고습 조건하에 놓여짐으로써 열화해 간다. 그리고, 열화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물 샤워에 의해 유출되므로 막두께의 감소(막감소)가 발생한다. 내습열성, 내후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어도 이 막감소가 크면 옥외에서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에 그 성능은 저하되어 버린다. 내구성 시험에 의한 P1층의 막두께의 감소량이 15㎛를 초과하면, 옥외에서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에 내습열성, 내후성, 전기 절연성이 크게 저하되고, 또한 필름의 표면이 열화된 폴리에스테르로 덮여지므로 외관이 나빠진다. 또한, 필름 표면의 열화에 의해 발생한 필름 표면의 두께 편차나 갈라짐에 의해 필름 내부에 물이 더 침식하여 가수분해를 가속시키므로 가속도적으로 필름 특성을 저하시켜 버린다. P1층의 막두께의 감소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두께의 감소량은 적은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지만, 0.1㎛미만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며, 0.1㎛이상 10㎛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이 40%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이 40% 미만이면, 필름 표면에 갈라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필름 표면에 발생한 갈라짐 안에 물이 고임으로써 가수분해가 촉진되고, 그 후의 필름 특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은 60%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구성 시험후의 부분 방전 전압 유지율이 9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방전 전압 유지율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부분 방전 전압 유지율(%)=(내구성 시험후의 부분 방전 전압(V))/(내구성 시험전의 부분 방전 전압(V))×100
부분 방전 전압 유지율이 90%이상이면 장기간 옥외에 있어서도 전기 절연성이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옥외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절연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5%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부분 방전 전압(즉 내후성 시험전의 부분 방전 전압)이 1000V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1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된 구성성분으로 한다. 여기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된 구성성분으로 한다란 그 P1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50질량%를 초과해서 함유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유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이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라고 총칭한다)와 디올 성분의 중축합, 2) 1분자내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축합, 및 1) 2)의 조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합은 상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1)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바신산, 도데칸디온산, 다이머산, 에이코산디온산, 피멜산, 아젤라인산, 메틸말론산, 에틸말론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류, 아다만탄디카르복실산, 노르보르넨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데칼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8-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 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페닐엔단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페난트렌디카르복실산, 9,9'-비스(4-카르복시페닐)플루오렌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복수 종류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적어도 한쪽의 카르복시 말단에 l-랙티드, d-랙티드, 히드록시벤조산 등의 옥시산류 및 그 유도체나 그 옥시산류가 복수개 이어진 것 등을 축합시킨 디카르복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디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등의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스피로글리콜, 이소솔비드 등의 지환식 디올, 비스페놀A, 1,3-벤젠디메탄올, 1,4-벤센디메탄올,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등의 방향족 디올을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필요에 따라서 복수 종류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디올 성분의 적어도 한쪽의 히드록시 말단에 디올류를 축합시켜서 형성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2)에 있어서, 1분자내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서는 l-랙티드, d-랙티드, 히드록시벤조산 등의 옥시산, 및 그 유도체, 옥시산류의 올리고머, 디카르복실산의 한쪽의 카르복실기에 옥시산이 축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디올 성분은 상술한 것 중에서 1종류씩을 선택해서 공중합시켜도 좋고, 각각 복수종을 선택해서 공중합시켜도 좋다.
또한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단일종이어도 좋고, 2종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한 것이어도 좋다. 기계강도, 가공성의 관점으로부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1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지만, 고유점도는 0.60dl/g이상 1.00dl/g이하이며, 말단 카르복실기량은 20당량/톤이하인 것이 내습열성, 성형성, 내구성이 양호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고유점도는 0.65dl/g이상 0.80dl/g이하이면 내습열성, 필름 성형성, 내구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고유점도 IV가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고 있고, 또한, 말단 카르복실기량이 20당량/톤이하이면 내습열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P1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PET를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고, 또한, 고유점도와 말단 카르복실기량이 상기 범위를 충족시킴으로써 내구성, 내습열성, 성형성이 매우 우수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은 8000∼40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 평균 분자량이 9000∼3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20000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이란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P1층을 분리하고,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EIP)에 용해시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법(GPC)법으로 측정, 시차 굴절률계로 검출한 값으로부터 표준시료로서 분자량 기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5R:Mw55800)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하여 얻어진 값이다.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이 8000에 미치지 못한 경우, 내습열성이나 내열성 등의 시트의 장기내구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40000을 초과하면, 중합이 곤란하거나 중합할 수 있다해도 압출기에 의한 수지의 압출이 곤란해져 제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P1층은 1축, 또는 2축으로 배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1층이 1축 또는 2축으로 배향하고 있으면, 배향 결정화에 의해 내습열성이나 내열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산화티탄 입자를 함유하고 있고, 그 함유량이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14질량%이상 20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산화티탄 입자에 의한 자외선 흡수능과 광반사성을 살려서 장기에 걸쳐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한 열화를 저감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초기 단계 및 중장기 단계에서의 내막감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초기 단계에서의 내막감소성 향상 효과는 P1층의 표면 거칠기가 0.20㎛∼0.40㎛일 때에 특히 크게 얻어진다. 이 효과가 어떤 메커니즘에 유래하는지 명백하지는 않지만, 산화티탄을 일정량 함유하고 P1층의 표면 거칠기를 특정 범위로 하면, P1층의 표면에서 자외선이 효과적으로 반사되므로 자외선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부에까지 도달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상기 범위로 산화티탄 입자를 함유시키면, 본 발명의 필름을 탑재한 태양 전지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산화티탄 입자의 함유량이 14질량%미만에서는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20질량%보다 많으면 제막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른 층과 공압하여 적층할 때에 밀착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산화티탄은 우수한 내자외선성과 광반사성의 양립이라는 관점에서 루틸형 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상기 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입자를 벤트식 2축 혼련 압출기나 탠덤형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입자를 함유시킬 때에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열부하를 받으면,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적지 않게 열화한다. 그 때문에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포함되는 입자량보다 입자 함유량이 많은 고농도 마스터 펠릿을 제작하고, 그것을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해서 희석하여 소망의 입자 함유량으로 한 P1층을 제작하는 것이 내습열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1층에는 상기 산화티탄 입자나 카본 입자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내열 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유기계/무기계의 이활제, 유기계/무기계의 미립자, 충전제, 핵제, 염료, 분산제, 커플링제 등의 첨가제나, 기포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첨가제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필름의 내자외선성을 의해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전 방지제 등을 첨가해서 전기 절연성을 향상시키거나, 유기계/무기계의 미립자나 기포를 함유해서 광반사성을 발현시키거나, 착색하고 싶은 색의 재료를 첨가해서 의장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이하, CHT 유닛이라고도 칭한다)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고 있고, 그 함유량이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14질량%이상 20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내습열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초기 단계 및 중장기 단계에서의 내막감소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초기 단계에서의 내막감소성 향상 효과는 P1층의 표면 거칠기가 0.20㎛∼0.40㎛일 때에 특히 크게 얻어진다. 이 효과가 어떤 메커니즘에 유래하는 것인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점도특성이 크게 다른 CHT 유닛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중에 포함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열화한 폴리에스테르가 계 외로 유출되는 속도를 저감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추정하고 있다. CHT 유닛의 함유량이 14질량%미만에서는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20질량%보다 많으면 제막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한 CHT 유닛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한 첨가량으로 한다.
내습열성,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를 높게 하면, P1층 단막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막하고자 하면, 제막성, 가공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P1층 외에 기재층(P2층)을 갖는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2층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태양 전지 백시트에 사용할 때에는 P1층을 태양 전지 백시트의 표층(비바람에 노출되는 측)에 배치하도록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P2층과 P1층을 공압해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첩합법에 의해 제조하면, 부착시에 컬이 발생하거나, 첩합에 사용하는 접착제로부터 열화가 진행되는 일이 있다.
P2층은 P1층과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한다. P1층과 같은 조성이면 P1층과 동시에 제막(공압출)할 수 있고, P1층과의 밀착성도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P2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유점도는 0.50dl/g이상 0.80dl/g이하이며, 말단 카르복실기량은 5당량/톤이상 40당량/톤이하인 것이 제막성, 가공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고유점도는 0.55dl/g이상 0.75dl/g이하, 말단 카르복실기량은 10당량/톤이상 35당량/톤이하이면 내습열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P2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산화티탄 입자의 함유량이 P2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14질량%이하이면 제막성, 가공성이 양호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이상 14질량%이하이다.
또한 P2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CHT 유닛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1질량%이상 20중량%이하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P2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상기 수지로 함으로써 제막시에 P1층과의 밀착력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P2층의 두께는 30㎛이상 250㎛이하이면 제막성, 가공성이 양호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 총두께가 50㎛이상 10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총두께가 250㎛이상이면 부분 방전 전압이 높아지므로(전기 절연성이 양호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이상이다. 한편, 500㎛를 초과하면 제막성, 가공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상과 같이, 내구성, 내막감소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탑재한 태양 전지는 장기간 옥외에 두어도 출력이 저하하지 않는 태양 전지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예를 들면 이하 (A), (B), (C)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A)하기 (4)∼(6)을 충족시키는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4)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5)상기 냉각 드럼의 온도가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70℃이상∼Tg-30℃인 것.
(6)상기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체류시간)이 20초이상 120초이하인 것.
(B)하기 (4), (7)∼(10)을 충족시키는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4)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7) (4)에 의해 얻어진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20℃, 연신 배율 2.0∼4.0배로 연신하여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8) (7)의 공정에서 얻어진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50℃, 연신 배율 3.0∼4.0배로 연신하여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9) (8)의 공정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05∼240℃에서 열처리하면서 폭 방향으로 0∼10% 이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10)상기 (7)에 있어서의 연신은 연신 롤 및 연신 닙롤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이며, 연신 롤과 연신 닙롤 사이의 닙압이 0.4∼1.0㎫인 것.
(C)하기 (4)∼(10)을 충족시키는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4)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5)상기 냉각 드럼의 온도가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70℃이상 Tg-30℃이하인 것.
(6)상기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체류시간)이 20초이상 120초이하인 것.
(7) (4)에 의해 얻어진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20℃, 연신 배율 2.0∼4.0배로 연신하여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8) (7)의 공정에서 얻어진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50℃, 연신 배율 3.0∼4.0배로 연신하여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9) (8)의 공정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05∼240℃에서 열처리하면서 폭 방향으로 0∼10% 이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10)상기 (7)에 있어서의 연신은 연신 롤 및 연신 닙롤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이며, 연신 롤과 연신 닙롤 사이의 닙압이 0.4∼1.0㎫인 것.
우선, (A)에 따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P1층 외에 P2층을 포함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경우에는 P1층, P2층 각각의 원료를 2대의 압출기내에서 가열 용융하고, 합류시켜서 구금으로부터 냉각한 캐스트 드럼 상에 압출하여 미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용융 캐스트법, 공압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 드럼의 온도는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이후 Tg라고 칭한다) -70℃이상 Tg-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드럼의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결정화도를 적당한 범위로 유지한 채 길이 방향의 연신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P1층의 표면 거칠기를 용이하게 0.1㎛보다 크고 0.5㎛이하로 할 수 있다. 냉각 드럼의 온도를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70℃보다 낮게 하면, 폴리머의 냉각이 급격해지므로 열결정화가 크게 발생하고, 또한 열결정화의 편차가 커지므로 필름의 표면 거칠기를 0.1∼0.5㎛의 범위로 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길이 방향의 연신 이후에 필름 파열을 일으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냉각 드럼의 온도는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60℃이상 Tg-3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Tg-55℃이상 Tg-40℃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체류시간)은 20초이상 120초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충분히 토출한 폴리머를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중의 열결정화도의 편차를 적게 한 채 길이 방향의 연신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P1층의 표면 거칠기의 편차를 적게 하고, 또한 P1층의 표면 거칠기를 용이하게 0.10㎛보다 크고 0.50㎛이하로 할 수 있다.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체류시간)은 20초이상 60초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초이상 45초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0초보다 짧으면 폴리머의 냉각이 급격하게 되므로 열결정화가 크게 발생하고, 또한 열결정화의 편차가 커지므로 필름의 표면 거칠기를 0.1∼0.5㎛의 범위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길이 방향의 연신 이후에 필름 파열을 일으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후에 종래 공지의 연신,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B)에 따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은 후, 하기의 (7)∼(10)을 충족시키는 연신 공정, 열처리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7)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20℃, 연신 배율 2.0∼4.0배로 연신하여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8) (7)의 공정에서 얻어진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50℃, 연신 배율 3.0∼4.0배로 연신하여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9) (8)의 공정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05∼240℃에서 열처리하면서 폭 방향으로 0∼10% 이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10)상기 (7)에 있어서의 연신은 연신 롤 및 연신 닙롤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이며, 연신 롤과 연신 닙롤 사이의 닙압이 0.4∼1.0㎫인 것.
길이 방향의 연신은 연신 롤 및 연신 닙롤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며,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은 가열된 연신 롤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이며, 연신 롤과 연신 닙롤 사이의 닙압이 0.4∼1.0㎫이면 막파열 등의 발생을 억제하고, 생산성 좋고, P1층의 표면 거칠기를 용이하게 0.10㎛보다 크고 0.50㎛이하로 할 수 있다. 특히,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Ra)가 0.7∼1.2㎛이며, 연신 롤과 연신 닙롤 사이의 닙압이 0.5∼0.8㎫이면 생산성을 양호하게 유지한 채,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구성, 내막감소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폭 방향의 연신은 (7)의 공정에서 얻어진 필름을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도입하고, 70∼150℃의 온도로 가열된 분위기중에서 길이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폭 방향)으로 3∼4배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 폭 방향의 연신 온도, 연신 배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막파열 등의 발생을 억제하고, 생산성 좋고, P1층의 표면 거칠기를 0.1㎛보다 크고 0.50㎛이하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곱한 면적배율을 9∼15배로 하면 생산성을 양호하게 유지한 채,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구성, 내막감소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7)과 (8)의 공정 사이에 20∼50℃의 온도의 롤군으로 냉각하는 공정을 포함하면 생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8)의 공정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05∼240℃에서 열처리하면서 폭 방향으로 0∼10% 이완하는 공정을 포함하면, P1층에 형성된 표면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C)에 따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C)에 따른 방법은 (A)를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은 후, (B)를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연신,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C)를 만족시키는 제조 방법은 안정적으로, 또한, 생산성 좋게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막감소성,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태양 전지 백시트 용도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P1층, P2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경우에는 P1층을 태양 전지 백시트의 최외층(도 1의 부호 6측)이 되는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태양 전지 백시트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는 장기에 걸쳐 그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내용연수를 길게 할 수 있다.
〔특성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
(1)고유점도
오르토클로로페놀 100ml에 측정 시료(폴리에스테르 수지(원료)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용해시키고(용액농도 C(측정 시료 중량/용액체적)=1.2g/100ml), 그 용액의 25℃에서의 점도를 오스왈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마찬가지로 용매의 점도를 측정했다. 얻어진 용액점도, 용매점도를 이용하여 하기 식(I)에 의해, [η]을 산출하고, 얻어진 값을 갖고 고유점도(IV)로 했다.
ηsp/C=[η]+K [η]2·C ···(I)
(여기에서, ηsp=(용액점도/용매점도)-1, K는 하긴스 정수(0.343으로 한다)이다.)
또, 측정 시료를 용해시킨 용액에 무기입자 등의 불용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하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을 행했다.
i)오르토클로로페놀 100mL에 측정 시료를 용해시켜 용액농도가 1.2g/100mL보다 짙은 용액을 작성한다. 여기에서, 오르토클로로페놀에 제공한 측정 시료의 중량을 측정 시료 중량으로 한다.
ii)다음에 불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여과하고, 불용물의 중량 측정과, 여과후의 여과액의 체적측정을 행한다.
iii)여과후의 여과액에 오르토클로로페놀을 추가해서 (측정 시료 중량(g)-불용물의 중량(g))/(여과후의 여과액의 체적(mL)+추가한 오르토클로로페놀의 체적(mL))이 1.2g/100mL가 되도록 조정한다.
(예를 들면 측정 시료 중량 2.0g/용액체적 100mL의 농후 용액을 작성했을 때에 그 용액을 여과했을 때의 불용물의 중량이 0.2g, 여과후의 여과액의 체적이 99mL였던 경우에는 오르토클로로페놀을 51mL 추가하는 조정을 실시한다.((2.0g-0.2g)/(99mL+51mL)=1.2g/100mL))
iv) iii)에서 얻어진 용액을 이용하여 25℃에서의 점도를 오스왈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얻어진 용액점도, 용매점도를 이용하여 상기 식(C)에 의해 [η]을 산출하고, 얻어진 값을 갖고 고유점도(IV)로 한다.
(2)말단 카르복실기량
말단 카르복실기량에 대해서는 Maulice의 방법에 준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문헌 M. J. Maulice, F. Huizinga, Anal. Chim. Acta, 22 363(1960)) 측정 시료(폴리에스테르 수지(원료)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2g을 o-크레졸/클로로포름(중량비 7/3) 50mL에 온도 80℃에서 용해하고, 0.05N의 KOH/메탄올 용액에 의해 적정하고, 말단 카르복실기 농도를 측정하고, 당량/폴리에스테르 1t의 값으로 나타냈다. 또, 적정시의 지시약은 페놀 레드를 이용하여 황녹색으로부터 담홍색으로 변화된 시점을 적정의 종점으로 했다. 또, 측정 시료를 용해시킨 용액에 무기입자 등의 불용물이 있는 경우에는 용액을 여과해서 불용물의 중량측정을 행하고, 불용물의 중량을 측정 시료 중량으로부터 뺀 값을 측정 시료 중량으로 하는 보정을 실시했다.
(3)P1층, P2층의 두께
미크로톰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절삭한 소편(小片)을 작성하고, 그 단면을 전계방사 주사형 전자현미경 JSM-6700F(니폰 덴시(주) 제품)를 이용하여 1000∼5000배로 확대 관찰해서 촬영했다. 그 단면사진으로부터 P1층, P2층의 두께를 확대 배율로부터 역산해서 구했다. 또, 샘플수는 n=10으로 실시하고, 그 평균값으로 했다.
(4)표면 거칠기(Ra)
촉침법의 고선명 미세형상 측정기를 이용하여 JIS-B0601(1994년)에 준거하고, 하기 조건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거칠기(Ra)를 측정했다.
측정 장치:3차원 미세형상 측정기(고사카 켄큐죠제 형식 ET-4000A)
해석 기기:3차원 표면 거칠기 해석 시스템(고사카 켄큐죠제 형식 TDA-31)
촉침:선단 반경 0.5㎛R, 지름 2㎛, 다이아몬드제
침압:100μN
측정 방향·산출법:필름 길이 방향, 필름 폭 방향을 각각 10회 측정한다. 그 20회의 측정의 평균값을 표면 거칠기로 한다.
(5)산화티탄 함유량
ICP 발광 분석 장치(퍼킨엘머사제: OPTIMA 4300 DV)를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필름에 포함되는 티타늄 원소량을 구하고, 얻어진 티타늄 원소량으로부터 산화티탄 함유량을 환산했다. 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경우, (3)의 방법으로 필름 각 층의 두께를 확인한 후,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을 깎고, 각 층으로부터 측정 샘플을 채취하고, 각 층에 함유되는 산화티탄 함유량을 구했다.
i)채취한 샘플을 백금 도가니에 칭량하고, 황산을 첨가하고, 핫플레이트와 버너를 이용하여 탄화처리를 행한다.
ii) 또한 전기로에서 550℃, 2시간 가열을 행하고, 회화처리를 행한다.
iii)얻어진 회화물에 탄산나트륨-붕산의 혼합 융제를 첨가하고, 버너로 가열해서 융해 처리를 행하고, 방냉후 희질산과 과산화수소수를 첨가해서 용해시킨 것을 시료용액으로 하고, ICP 발광 분석 장치에 도입해서 티타늄 원소의 정량을 행한다.
(6)내습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측정편의 형상 10mm×200mm로 잘라낸 후, 고도 가속 수명 시험 장치 프레셔 쿠커(에스펙(주) 제)로 온도 125℃, 상대습도 100% RH의 조건하에서 48시간 처리를 행하고, 그 후에 ASTM-D882(1997)에 의거하여 파단신도를 측정했다. 또, 측정은 척간 50mm, 인장 속도 300mm/min, 측정 횟수 n=5로 하고, 또한 시트의 길이 방향, 폭 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습열시험후의 파단신도로 했다. 얻어진 습열시험후의 파단신도로부터 내습열성을 이하와 같이 판정했다.
습열시험후의 파단신도가 습열시험전의 파단신도의 40%이상인 경우:A
습열시험후의 파단신도가 습열시험전의 파단신도의 20%이상 40%미만인 경우:B
습열시험후의 파단신도가 습열시험전의 파단신도의 10%이상 20%미만인 경우:C
습열시험후의 파단신도가 습열시험전의 파단신도의 10%미만인 경우:D
내습열성은 A∼C가 양호하며, 그 중에서도 A가 가장 우수하다.
(7)부분 방전 전압
하기의 측정법에 의거하여 P1층을 위로 해서 부분방전을 측정하여 전기 절연성을 평가했다.
준거규격:IEC60664/A2: 2002 4. 1. 2. 4
부분 방전 시험기:기쿠스이 덴시고교사제, KPD2050
최대 인가 전압:1.6kV
최대 인가 전압 시간:5초
개시 전압 전하 한계값:1.0pC
소멸 전압 전하 한계값:1.0pC
시험 시간:22.0sec
측정 패턴:사다리꼴
(8)내구성 시험후의 특성
JISK7350-2(2008년)에 준해 이하의 조건으로 내구성 시험을 실시한다. 그 후에 각 특성을 측정했다.
<내구성 시험>
(i)온도 65℃, 상대습도 50% RH의 조건하에서 크세논 램프(스가 시켄키제, SC750)를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P1층측의 면을 방사조도 180W/㎡로 102분간(t-1) 조사한다.
(ii) (i)의 후, 크세논 램프의 조사를 계속하면서 16℃±5℃의 물 샤워를 P1층면에 2.1L±0.1mL/분의 양으로 18분간(t-2) 가한다.
또, (t-1)+(t-2)=120분이 되도록 한다.
(iii) (i) (ii)를 1500회 반복한다.
(8-1)내구성 시험후의 P1층의 두께의 감소량
내구성 시험후의 P1층의 두께를 (3)의 방법으로 측정한 후, 내구성 시험전의 P1층의 두께(㎛)-내구성 시험후의 P1층의 두께(㎛)를 내구성 시험후의 P1층의 두께의 감소량(㎛)으로서 구했다.
(8-2)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
내구성 시험전과 후의 파단신도를 ASTM-D882(1997)에 의거하여 측정했다. 또, 측정은 척간 50mm, 인장 속도 300mm/min, 측정 횟수 n=5로 하고, 또한 시트의 길이 방향, 폭 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각각의 파단신도로 했다. 내구성 시험후의 파단신도(%)/내구성 시험전의 파단신도(%)×100을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로서 구하고, 이하에 의해 평가했다.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이 60%이상인 경우:A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이 40%이상 60%미만인 경우:B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이 20%이상 40%미만인 경우:C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이 20%미만인 경우:D
평가 A∼B가 양호하다.
(8-3)내구성 시험후의 부분 방전 전압 유지율
내구성 시험후의 부분 방전 전압을 (7)의 방법으로 측정한 후, 내구성 시험후의 부분 방전 전압(V)/내구성 시험전의 부분 방전 전압(V)×100을 내구성 시험후의 부분 방전 전압 유지율(%)로서 구했다.
(9)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JIS K7121(1999)에 준해서 세이코 덴시고교(주)제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로봇 DSC-RDC220"을, 데이터 해석에는 디스크 세션 "SSC/5200"을 사용하고,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을 실시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미크로톰을 이용하여 P1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깎아내고 측정 시료에 제공한다. 얻어진 측정 시료 5mg을 샘플 팬에 칭량하고, 25℃로부터 300℃까지 20℃/분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고(1stRUN), 그 상태에서 5분간 유지하고, 이어서 25℃이하가 되도록 급랭한다. 바로 이어서, 다시 25℃로부터 20℃/분의 승온 속도로 300℃까지 승온을 행해서 측정을 행하고, 2nd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세로축을 열에너지, 가로축을 온도로 한다)를 얻는다. 상기 2nd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에 있어서 유리전이의 계단상의 변화 부분에 있어서 각 베이스라인의 연장된 직선으로부터 세로축 방향으로 등거리에 있는 직선과 유리전이의 계단상의 변화 부분의 곡선이 교차하는 점으로부터 유리전이온도(Tg)(℃)를 구한다. 2이상의 유리전이의 계단상의 변화 부분이 관측되는 경우에는 각각에 대해서 유리전이온도를 구하고, 이들의 온도를 평균한 값을 시료의 유리전이온도(Tg)(℃)로 한다.
(10)제막성
제막성은 제막할 때의 필름 파열의 빈도이며, 이하와 같이 판정했다.
필름 파열이 1회/1일이상:A
필름 파열이 1회/12시간이상 1일미만:B
필름 파열이 1회/5시간이상 12시간미만:C
필름 파열이 1회/5시간미만:D
제막성은 A가 양호하며, BCD의 순으로 나빠져 간다.
(11)태양 전지 패널의 출력 유지 특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P1층(표면 거칠기(Ra)가 0.10㎛보다 크고 0.50㎛이하인 필름면)의 반대측의 필름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주제 LX703VL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KR90(모두 다이니폰 잉크 가가쿠고교(주)제)을 중량비로 15:1로 혼합한 접착제(건조 중량 4g/㎡)를 도포했다. 이어서, 이것과, 가스 배리어 필름인 알루미나 투명 증착 필름(도레이 필름 가코우(주)제 배리어록스(등록상표), 12㎛ 두께)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고, 태양 전지용 백시트를 작성했다. 태양 전지용 백시트의 가스 배리어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측의 위에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시트, 태양 전지 셀, 및 광 투과성 유리판을 적층하고,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가열 압축함으로써 일체화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형성한다. 또한, 태양 전지 모듈을 인출하고, 태양 전지 패널용 라인의 패널 투입 공정에 공급하고, 프라이머 도포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늄 프레임과의 접착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계속해서 건조 공정에서 프라이머의 건조 시간으로서 약 1분간 방치한 후, 반출 공정으로부터 프레임용 라인측으로 반출된다. 한편 프레임용 라인측에서는 조립이 완료된 알루미늄 프레임을 투입한다. 알루미늄 프레임은 태양 전지 셀을 배치한 태양 전지 모듈의 수광면과 배설하는 면측을 지지하기 위한 돌기편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단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할 수 있는 형상이며, 또한 태양 전지 모듈의 수광면측을 개방 상태로 한 구조를 갖는다. 계속해서, 프라이머 도포가 완료된 태양 전지 모듈을 반송하고, 패널 첩합 공정에서 프라이머를 도포한 알루미늄 프레임과 태양 전지 모듈을 적재한다(태양 전지 패널 접착 공정). 마지막으로 필요에 따라서 몰 부착 공정에 있어서 몰을 부착하여 태양 전지 패널을 제작한다. 이상의 공정에서 얻어진 태양 전지 패널은 패널의 이면측이 태양 전지 백시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 태양 전지 백시트의 최표층에는 P1층이 위치하는 것이다. 제작한 태양 전지 패널의 이면에 파열이나 갈라짐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태양 전지 패널을 온도 85℃, 상대습도 85% RH의 조건하에서 3000시간 처리를 행하고, 이면의 외관과 출력 저하(JIS-C 8913(1998))를 하기로 평가했다.
파열, 갈라짐이 없고 출력이 저하되지 않는다(출력의 저하량이 초기 출력량에 대해서 10%미만);A
파열, 갈라짐이 약간 보여지며, 일부 출력이 저하된다(출력의 저하량이 초기 출력량에 대해서 10%이상 30%미만);B
파열, 갈라짐이 보여지며, 출력이 크게 저하(출력의 저하량이 초기 출력량에 대해서 30%이상 50%미만);C
파열, 갈라짐이 크고, 출력이 거의 없다(출력의 저하량이 초기 출력량에 대해서 50%이상 80%미만);D
파열, 갈라짐이 심하고, 출력하지 않는다(출력의 저하량이 초기 출력량에 대해서 80%이상);E
A∼C가 양호하며, 그 중에서도 A가 가장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원료)
<PET 원료 A>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100질량부,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100질량부를 사용하고, 촉매로서 아세트산 마그네슘, 3산화안티몬, 아인산을 이용하여 중축합반응을 행했다. 이어서, 얻어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160℃에서 6시간 건조, 결정화시킨 후, 220℃, 진공도 0.3Torr, 9시간의 고상중합을 행하고, 융점 255℃, 고유점도 0.80dl/g, 말단 카르복실기량 10당량/톤, Tg 80℃의 PET 원료 A를 얻었다.
<PET 원료 B>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100질량부,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100질량부를 사용하고, 촉매로서 아세트산 마그네슘, 3산화안티몬, 아인산을 이용하여 중축합 반응을 행했다. 이어서, 얻어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160℃에서 6시간 건조, 결정화시키고, 융점 255℃, 고유점도 0.65dl/g, 말단 카르복실기량 25당량/톤, Tg 80℃의 PET 원료 B를 얻었다.
<PET 원료 C(PET-A 베이스 산화티탄/CHT 마스터)>
상기에 의해 얻어진 PET 원료 A와, 평균 입자지름 210nm의 루틸형 산화티탄 입자와, 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각각 5중량%, 50중량%, 4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벤트한 290℃의 압출기내에서 용융 혼련하고, PET-A 베이스 산화티탄 마스터(PET 원료 C)를 제작했다. 단, 실시예 6에는 루틸형 산화티탄이 아닌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을 사용한 PET 원료 C를 사용했다.
<PET 원료 D(PET-A 베이스 산화티탄 마스터)>
상기에 의해 얻어진 PET 원료 A 100중량부와, 평균 입자지름 210nm의 루틸형 산화티탄 입자 100중량부를 벤트한 290℃의 압출기내에서 용융 혼련하고, PET-A 베이스 산화티탄 마스터(PET 원료 D)를 제작했다.
<PET 원료 E(PET-A 베이스 CHT 마스터)>
상기에 의해 얻어진 PET 원료 A 100중량부와, 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를 벤트한 290℃의 압출기내에서 용융 혼련하고, PET-A 베이스 CHT 마스터(PET 원료 E)를 제작했다.
(실시예 1∼14)
180℃에서 2시간 진공건조한 PET 원료 A∼E를 표에 기재된 비율(표중의 값은 원료 전체의 중량을 100중량%로 했을 때, 원료 전체에 대해서 각 원료가 차지하는 비율이다)로 조합해서 280℃의 압출기내에서 용융 혼련하고, T다이 구금에 도입했다.
이 때 실시예 1은 단층으로 토출하고, 그 이외는 원료를 2대의 압출기로 각각 따로 용융 혼련하고, 2대의 압출기로부터 피드 블록을 통해 T다이 구금에 도입해서 P1/P2의 적층 시트를 얻는다. 또 이 때, P1/P2의 적층비가 4/1이 되도록 2대의 압출기의 스크류 회전수를 조정했다.
이어서, T다이 구금으로부터 시트상으로 용융 압출해서 표면온도 18℃로 유지된 냉각 드럼 상에 정전인가법으로 밀착 냉각 고화시켜서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 때,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체류시간)이 30초간이 되도록 냉각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정해 둔다.
계속해서, 상기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80℃의 온도로 가열한 롤군으로 예열한 후, 88℃의 온도로 가열한 롤과 25℃의 온도로 조정한 롤간에서 3배의 속도차를 가함으로써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3배 연신한 후, 25℃의 온도의 롤군으로 냉각해서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표면 거칠기 1.0㎛의 연신 롤과 연신 닙롤을 사용하고, 닙압을 0.5㎫로 실시했다.
얻어진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내의 80℃의 온도의 예열 존으로 도입하고,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90℃로 유지된 가열 존에서 길이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폭 방향)으로 3.5배 연신했다. 또한 계속해서, 텐터내의 열처리 존에서 215℃에서 20초간의 열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215℃에서 7% 폭 방향으로 이완 처리를 행했다. 이어서 균일하게 서냉을 행하고, 전체 두께가 25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실시예 15∼18)
토출 속도, 드럼 속도를 변경해서 드럼에서의 체류시간을 각각 15, 20, 120.125초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실시예 19)
드럼의 온도를 1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실시예 20, 21, 22)
1축 연신시의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 연신 닙압을 각각 표에 기재한 대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실시예 23)
열처리 온도를 24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실시예 24, 25)
2축 연신후의 완화율을 3%, 1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실시예 26)
2축 연신후의 열처리 온도를 200℃로 하고, 완화율을 15%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실시예 27∼29)
필름의 두께를 표에 기재된 대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비교예 1∼6, 9, 10)
드럼의 온도, 체류시간, 길이 방향 연신시의 롤 표면 거칠기, 연신 닙압을 표의 조건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비교예 1∼6, 9, 10 중 어느 필름이나 내구성 시험에서의 필름의 두께 감소량이 크고, 또한 내구성 시험에 의해 특성의 열화가 컸다.
(비교예 7)
폴리에스테르 필름중에 산화티탄을 함유하지 않도록 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산화티탄을 넣지 않으면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이 크게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8)
필름의 두께를 표에 기재된 대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막감소성,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태양 전지 백시트를 구비한 태양 전지는 장기에 걸쳐 그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내용연수를 길게 할 수 있다.
1:백시트
2:밀봉재
3:발전 소자
4:투명기판
5:태양 전지 백시트의 밀봉재(2)측의 면
6:태양 전지 백시트의 밀봉재(2)와 반대측의 면

Claims (11)

  1. 하기 (1)∼(3)을 충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층(그 층을 P1층이라고 칭한다)을 적어도 한쪽의 표층에 갖고, 내구성 시험후의 신도 유지율이 40%이상인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1)P1층의 두께가 30㎛이상 250㎛이하인 것.
    (2)P1층의 표면 거칠기(Ra)가 0.10㎛보다 크고 0.50㎛이하인 것.
    (3)내구성 시험후의 P1층의 두께의 감소량이 15㎛이하인 것.
    <내구성 시험>
    (i)온도 65℃, 상대습도 50% RH의 조건하에서 크세논 램프(스가 시켄키제, SC750)를 사용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P1층측의 면을 방사조도 180W/㎡로 102분간(t-1) 조사한다.
    (ii) (i)의 후, 크세논 램프의 조사를 계속하면서 16℃±5℃의 물샤워를 P1층면에 2.1L±0.1mL/분의 양으로 18분간(t-2) 가한다.
    또한, (t-1)+(t-2)=120분이 되도록 한다.
    (iii) (i) (ii)를 1500회 반복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내구성 시험후의 부분 방전 전압 유지율이 90%이상인 태양 전지 백시트용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루틸형 산화티탄을 함유하고 있고, 루틸형 산화티탄의 함유량이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14∼20중량%인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이하, CHT 유닛이라고 칭한다)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고 있고, CHT 유닛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함유량이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14∼20중량%인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가 0.6∼1.0dl/g이며, 말단 카르복실기량이 5∼20당량/t인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4)∼(6)을 충족시키는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4)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5)상기 냉각 드럼의 온도가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70℃이상 Tg-30℃이하인 것.
    (6)상기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체류시간)이 20초이상 120초이하인 것.
  8. 제 1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4), (7)∼(10)을 충족시키는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4)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7)(4)에 의해 얻어진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20℃, 연신 배율 2.0∼4.0배로 연신하여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8)(7)의 공정에서 얻어진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50℃, 연신 배율 3.0∼4.0배로 연신하여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9)(8)의 공정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05∼240℃에서 열처리하면서 폭 방향으로 0∼10% 이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10)상기 (7)에 있어서의 연신은 연신 롤 및 연신 닙롤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이며, 연신 롤과 연신 닙롤 사이의 닙압이 0.4∼1.0㎫인 것.
  9. 제 1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4)∼(10)을 충족시키는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4)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하고,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해서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5)상기 냉각 드럼의 온도가 P1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70℃이상 Tg-30℃이하인 것.
    (6)상기 냉각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체류시간)이 20초이상 120초이하인 것.
    (7)(4)에 의해 얻어진 미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20℃, 연신 배율 2.0∼4.0배로 연신하여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8)(7)의 공정에서 얻어진 1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 온도 70∼150℃, 연신 배율 3.0∼4.0배로 연신하여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9)(8)의 공정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05∼240℃에서 열처리하면서 폭 방향으로 0∼10% 이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10)상기 (7)에 있어서의 연신은 연신 롤 및 연신 닙롤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연신 롤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이며, 연신 롤과 연신 닙롤 사이의 닙압이 0.4∼1.0㎫인 것.
  10. 제 1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태양 전지 백시트.
  11. 제 10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백시트를 사용한 태양 전지.
KR1020167030816A 2014-05-28 2015-04-17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70012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09871 2014-05-28
JPJP-P-2014-109871 2014-05-28
PCT/JP2015/061851 WO2015182282A1 (ja) 2014-05-28 2015-04-17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216A true KR20170012216A (ko) 2017-02-02

Family

ID=5469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816A KR20170012216A (ko) 2014-05-28 2015-04-17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5182282A1 (ko)
KR (1) KR20170012216A (ko)
CN (1) CN106463558B (ko)
TW (1) TW201544321A (ko)
WO (1) WO2015182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8952B2 (ja) * 2016-02-29 2021-06-02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保護用シート
KR102584924B1 (ko) * 2016-07-08 2023-10-0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백색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4688B1 (ko) * 2016-09-26 2023-06-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2128A (ja) 2010-01-05 2011-07-21 Toyobo Co Ltd 太陽電池用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2008488A1 (ja) 2010-07-14 2012-01-19 東洋紡績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封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204797A (ja) 2011-03-28 2012-10-22 Fujifilm Corp フィルム、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051395A (ja) 2011-08-03 2013-03-14 Toyo Ink Sc Holdings Co Ltd 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1464B2 (ja) * 2010-07-06 2012-02-22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保護膜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2765616A4 (en) * 2011-10-05 2015-05-27 Toray Advanced Film Co Ltd REAR PROTECTIVE FOIL FOR A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THEREWITH
JP5993613B2 (ja) * 2012-04-13 2016-09-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2128A (ja) 2010-01-05 2011-07-21 Toyobo Co Ltd 太陽電池用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2008488A1 (ja) 2010-07-14 2012-01-19 東洋紡績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封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204797A (ja) 2011-03-28 2012-10-22 Fujifilm Corp フィルム、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051395A (ja) 2011-08-03 2013-03-14 Toyo Ink Sc Holdings Co Ltd 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3558A (zh) 2017-02-22
TW201544321A (zh) 2015-12-01
JPWO2015182282A1 (ja) 2017-04-20
WO2015182282A1 (ja) 2015-12-03
CN106463558B (zh)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083B1 (ko) 태양 전지 이면 보호막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728944B2 (ja) 太陽電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
KR101700630B1 (ko) 태양전지 이면 봉지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727766B1 (ko)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565020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
KR101851961B1 (ko)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필름, 시트 형상 구조체, 전기절연 시트, 태양전지 백시트, 그리고 그것들의 제조방법
JP6743698B2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
KR20170012216A (ko) 태양 전지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TWI480310B (zh) A polyester film for protective film on the back of solar cell
JPWO2016052133A1 (ja) 積層体
JP2011192789A (ja) 太陽電池裏面保護フィルム
JP2018125525A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巻き取ってなる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5216213A (ja) 太陽電池裏面保護膜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太陽電池裏面保護膜
TW201817600A (zh) 積層體及使用其之太陽電池背面保護用片材、太陽電池模組
JP2017157730A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721243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88015A (ja) 太陽電池裏面保護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209568B2 (ja) 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070021A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98520A1 (ja) 太陽電池裏面保護用シート
JP2015134872A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202866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55692B2 (ja) 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178517A (ja) 太陽電池裏面保護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4192180A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