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274A -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274A
KR20140037274A KR1020147004280A KR20147004280A KR20140037274A KR 20140037274 A KR20140037274 A KR 20140037274A KR 1020147004280 A KR1020147004280 A KR 1020147004280A KR 20147004280 A KR20147004280 A KR 20147004280A KR 20140037274 A KR20140037274 A KR 2014003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hole
fit terminal
connector housing
rea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츠로 스즈키
야스하루 콘도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입 단자는 압입 단자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접속부; 압입 단자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회로 기판의 쓰루홀에 삽입 및 고정되는 후방 다리부; 및 전기 접속부와 후방 다리부 사이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후방 다리부는 단면 원형을 가진 라운드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 다리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보다 작은 단면 직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구조{PRESS-FIT TERMINAL FOR BOARD CONNECTOR AND FIXING STRUCTURE OF PRESS-FIT TERMINAL TO CONNECTOR HOUSING}
본 발명은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에 형성된 압입 구멍에 단자를 압입하여 고정한 기판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의 경우, 수지로된 커넥터 하우징에서 그 후방벽의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압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 압입 구멍에 핀형상 메일 단자가 압입되고, 그에 따라서 상대 커넥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방단의 전기 접촉부를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후드부 내에 위치시키고,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후방단의 후방 다리부를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압입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판 커넥터에 사용되는 압입 단자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전방단의 전기 접속부로부터 후방단의 후방 다리부까지에 이르는 압입 단자의 전체부분이 단면 사각형을 가진 사각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JP-A-2006-100231
각 단자의 후방 다리부가 회로 기판에 납땜될 때, 후방 다리부는 종종 쓰루홀(through hole)에 삽입되어 납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방 다리부가 쓰루홀에 삽입되어 납땜 될 때, 후방 다리부의 단면이 사각형이면, 단면의 대각선 길이가 최대 치수가 되기 때문에, 쓰루홀의 직경을 대각선의 길이에 대응시키도록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쓰루홀의 직경이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쓰루홀의 피치가 커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회로의 집적화 또는 회로 기판의 소형화에 장애가 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단자를 압입 할 때, 압입 구멍에 후방 다리부가 먼저 삽입되면, 후방 다리부는 압입 구멍의 내벽과 마찰하여 단자 표면 상의 도금이 박리될 가능성이 있고 그에 따라서 후방 다리부가 납땜될 때 납땜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종래 기술의 환경을 고려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입 작업 중에 후방 다리부의 도금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방 다리부를 납땜하기 위한 쓰루홀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어 회로를 집적화하고 회로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는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음 구성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1)베이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로서, 상기 압입 단자는: 압입 단자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접속부; 압입 단자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회로 기판의 쓰루홀에 삽입 및 고정되는 후방 다리부; 및 상기 전기 접속부와 상기 후방 다리부 사이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까지의 범위는 단면 사각형을 가진 사각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다리부는 단면 원형을 가진 라운드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2)상기 구성(1)에 따른 압입 단자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다리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보다 작은 단면 직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3)상기 구성(1) 또는 구성(2)에 따른 압입 단자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압입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압입될 때 상기 압입 단자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압입 단자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압입 단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입 단자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4)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 구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를 관통하는 압입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압입 단자는: 압입 단자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접속부; 압입 단자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회로 기판의 쓰루홀에 삽입 및 고정되는 후방 다리부; 및 상기 전기 접속부와 상기 후방 다리부 사이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다리부는 압입 구멍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압입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고, 상기 압입 단자의 전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까지의 범위는 단면 사각형을 가진 사각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다리부는 단면 원형을 가진 라운드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구조.
(5)상기 구성(4)에 따른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다리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보다 작은 단면 직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구조.
(6)상기 구성(4) 또는 구성(5)에 따른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압입 단자가 상기 압입 구멍에 압입될 때 상기 압입 단자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압입 단자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입 구멍의 전방측의 결합벽과 접촉하는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압입 단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입 단자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입 단자가 상기 압입 구멍을 관통한 이후 상기 압입 구멍의 후방측의 결합벽과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다리부가 압입 구멍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으로 삽입될 때 상기 압입 단자는 상기 스토퍼 돌기 및 상기 결합 돌기에 의해 고정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구조.
상기 구성(1)에 따른 압입 단자의 경우, 회로 기판의 쓰루홀에 삽입될 후방 다리부가 단면 사각형을 구비한 사각 핀의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지 않고 단면 원형을 구비한 라운드 핀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쓰루홀의 직경은 동일 단면적을 가진 사각 핀 형상 후방 다리부가 삽입되는 쓰루홀의 직경보다 작게 제조될 수 있다. 즉, 사각 핀의 경우에, 사각형 단면의 대각선의 길이가 최대 치수가 되기 때문에, 쓰루홀의 직경는 대각선의 길이를 충족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라운드 핀의 경우, 최대 치수(직경)가 동일한 단면적에서도 대각선의 길이 보다 작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라운드 핀이 삽입되는 쓰루홀의 직경은 사각 핀이 삽입되는 쓰루홀의 직경 보다 작게 제조될 수 있다. 그 결과, 쓰루홀의 피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회로 기판의 회로 집적화 또는 회로 기판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2)에 따른 압입 단자의 경우, 회로 기판에 고정 또는 납땜되는 후방 다리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보다 직경이 작은 단면 원형으로된 라운드 핀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가 후방 다리부로부터 먼저 압입 구멍으로 압입되면, 후방 다리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고 압입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라운드 핀 형상 후방 다리부의 표면 도금이 압입 구멍의 내벽과 마찰하여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금 박리로 인해 기판이 노출되어 후방 다리부의 납땜 실패가 발생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3)에 따른 압입 단자의 경우, 압입 단자가 후방 다리부로부터 먼저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삽입되므로, 스토퍼 돌기에 의해 압입 단자의 삽입 위치가 규제된 상태에서 압입 단자를 기설정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압입 단자가 이탈하는 것을 결합 돌기에 의해 방지한다.
상기 구성(4)에 따른 압입 단자의 경우, 회로 기판의 쓰루홀에 삽입되는 후방 다리부가 단면 사각형을 가진 사각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면 원형을 가진 라운드 핀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쓰루홀의 직경이 동일한 단면적을 가진 사각 핀 형상 후방 다리부가 삽입되는 쓰루홀의 직경 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사각 핀의 경우, 사각형 단면의 대각선의 길이가 최대 치수이고, 쓰루홀의 직경은 대각선의 길이를 충족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라운드 핀의 경우, 동일한 단면적에서도 최대 치수(직경)가 대각선의 길이 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라운드 핀이 삽입되는 쓰루홀의 직경은 사각 핀이 삽입되는 쓰루홀의 직경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쓰루홀의 피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회로 기판의 회로 집적화 및 회로 기판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5)에 따른 압입 단자의 고정 구조의 경우,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후방 다리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서 그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 보다 직경이 작은 단면 원형으로된 라운드 핀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가 후방 다리부로부터 먼저 압입 구멍으로 압입되면, 후방 다리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고 압입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라운드 핀 형상 후방 다리부의 표면 도금이 압입 구멍의 내벽과 마찰하여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금 박리로 인해 기판이 노출되어 후방 다리부의 납땜 실패가 발생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6)에 따른 압입 단자의 고정 구조의 경우, 압입 단자는 압입 구멍의 전방측 결합벽 및 후방측 결합벽과 각각 결합하는 스토퍼 돌기와 결합 돌기를 결합부로서 포함하기 때문에, 압입 단자가 후방 다리부로부터 먼저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으로 삽입되면, 압입 단자의 삽입 위치가 스토퍼 돌기에 의해 규제된 상태에서 압입 단자가 기설정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고, 압입 단자가 이탈하는 것을 결합 돌기에 의해 방지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후방 다리부가 커넥터 하우징에 압입될 때 후방 다리부의 도금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방 다리부를 납땜하기 위한 쓰루홀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어 회로 기판의 집적화와 기판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벽부의 일부만을 도시함)에 형성된 압입 구멍에 압입 단자가 압입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압입 단자의 후방 다리부와 압입 구멍 사이의 치수 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압입 구멍의 전방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압입 단자의 후방 다리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삽입되기 시작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입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회로 기판의 쓰루홀에 압입 단자의 후방 다리부가 삽입될 때 후방 다리부의 단면 형태와 쓰루홀의 직경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단면 원형을 가진 라운드 핀으로 후방 다리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단면 사각형을 가진 사각 핀으로 후방 다리부가 형성된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벽부의 일부만을 도시함)에 형성된 압입 구멍에 압입 단자가 압입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압입 단자의 후방 다리부와 압입 구멍 사이의 치수 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압입 구멍의 전방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압입 단자의 후방 다리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삽입되기 시작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입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입 단자(10)는 전체적으로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부재(구리, 또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로 이루어지고, 종방향으로 전방부에서 상대 커넥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접속부(11)와, 후방부에서 회로 기판의 쓰루홀에 삽입되어 납땜되는(고정되는) 후방 다리부(15)와, 수지로 된 커넥터 하우징(1)의 벽부(1A)를 관통하는 압입 구멍(20)에 압입되는 한편 전기 접속부(11)와 후방 다리부(15) 사이의 중간부에서 커넥터 하우징(1)의 벽부(1A)와 결합되는 결합부(14)를 포함한다. 전기 접속부(11)의 접촉 도전성 또는 후방 다리부(15)의 납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압입 단자의 전체 부분의 표면이 주석 등으로 도금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입 단자(10)는 압입 구멍(20)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커넥터 하우징(1)의 압입 구멍(20)에 후방 다리부(15)를 삽입하여 결합부(14)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에 고정되는 베이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이다. 전기 접속부(11)로부터 압입 단자의 결합부(14)까지의 범위는 단면 사각형으로 두께 H의 사각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방 다리부(15)는 라운드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라운드 핀은 단면 원형이고 직경(d)은 커넥터 하우징(1)의 압입 구멍(20)에서 그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H1)보다 작다. 여기서, "H1 > d"로 표현되는 관계식이 성립된다.
또한, 압입 단자(10)의 경우, 결합부(14)는 압입 구멍(20)의 전방측에 있는 결합벽(22a)에 대해 접촉하는 스토퍼 돌기(12)를 포함하여 압입 구멍(20)에 단자(10)가 압입될 때 단자(10)의 삽입 위치를 규제한다. 결합부는 추가로 결합 돌기(13)를 포함하며, 이 결합 돌기(13)는 압입 구멍(20)을 통과한 이후 압입 구멍(20)의 후방측에 있는 결합벽(23a)과 결합하여 단자(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토퍼 돌기(12) 및 결합 돌기(13)는 각각 단면 사각형을 가진 결합부(14)의 좌우 측면 양쪽에서 돌출한다.
커넥터 하우징(1)의 압입 구멍(20)은 커넥터 하우징(1)의 감합 후드부(미도시)의 후방단에 있는 벽부(1A)에 배치되며, 단면 사각형을 가진 쓰루홀로서 기능한다. 압입 구멍(20)의 전방측에는 스토퍼 돌기(12)가 감합되는 오목부(22)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압입부(23)가 형성되며, 압입부(23)의 단면 치수는 압입 단자(10)의 결합부(14)의 단면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압입부(23)의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H1)는 압입 단자(10)의 두께 방향에 대응하는 상부와 하부 내벽면들 사이의 치수이다. 또한, 오목부(22)와 압입부(23) 사이의 구간(24)은 압입 단자(10)의 결합부(14)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결합부(14)의 단면 치수보다 다소 여유있는 치수로 설정된 경사 구간으로 되어 있다. 경사 구간의 경사는 특히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2)의 저벽이 스토퍼 돌기(12)가 접촉하는 전방측의 결합벽(22a)이 되고, 압입부(23)의 출구 주변벽이 스토퍼 돌기(13)가 결합되는 후방측의 결합벽(23a)이 된다.
압입 단자(10)를 커넥터 하우징(1)의 압입 구멍(20)에 장착할 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 핀 형상으로 형성된 후방 다리부(15)를 압입 구멍(20)의 전방측으로부터 압입 구멍(20) 내로 삽입한다. 후방 다리부(15)를 압입 구멍(20)에 삽입할 때, 그 후방 다리부(15)의 직경(d)은 압입 구멍(20)의 대향 내멱면 사이의 치수(H1)보다 작아지게 되므로(최소한 작아지도록 설계됨), 후방 다리부(15)는 압입 구멍(20)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고 압입 구멍(20)에 삽입될 수 있다.
후방 다리부(15)가 압입 구멍(20)을 통과함에 따라서, 압입 단자(10)의 결합 돌기(13)가 압입 구멍(20)의 압입부(23)에 도달한다. 그 좌우의 결합 돌기(13)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치수는 압입부(23)의 좌우측 사이의 폭치수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결합 돌기(13)가 압입부(23)의 내벽을 마찰하면서 압입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3)가 압입부(23)를 관통할 때, 결합 돌기(13)는 압입 구멍(20)의 후방측 결합벽(23a)과 결합하여 압입 단자(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스토퍼 돌기(12)는 오목부(22)의 저벽으로서의 전방측의 결합벽(22a)에 접촉하여 압입 단자(10)의 삽입 위치를 규제한다. 이후, 압입 단자(10)는 스토퍼 돌기(12)와 결합 돌기(13)에 의해 고정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1)과 결합하며, 그 결과, 도 3에 도시한 압입 단자(10)의 고정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압입 단자(10)가 압입 구멍(20)에 장착될 때, 압입 단자(10)의 후방 다리부(15)가 커넥터 하우징(1)의 압입 구멍(20) 내벽과 접촉하지 않고 압입 구멍(20)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라운드 핀 형상 후방 다리부(15)의 표면에 형성된 도금이 압입 구멍(20)의 내벽과 마찰하여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금 박리로 인해 기판이 노출되어 후방 다리부(15)가 회로 기판에 납땜될 때 납땜 불량이 발생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30)의 쓰루홀(35)에 삽입되는 후방 다리부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사각형을 가진 사각 핀 형상 후방 다리부(15B)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원형을 가진 라운드 핀 형상 후방 다리부(15)로 형성되기 때문에, 쓰루홀(35)의 직경(D)이 동일한 단면적을 가진 사각 핀 형상 후방 다리부(15B)가 삽입되는 쓰루홀(35B)의 직경 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사각 핀의 경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의 대각선 길이(dB)가 최대 치수이기 때문에, 쓰루홀(35B)의 직경(DB)은 대각선의 길이(dB)를 충족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라운드 핀의 경우, 최대 치수(직경 d)가 동일한 단면적에서도 대각선의 길이(dB)보다 작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라운드 핀이 삽입되는 쓰루홀(35)의 직경(D)은 사각 핀이 삽입되는 쓰루홀(35B)의 직경(DB)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쓰루홀(35)의 피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회로 기판(30)의 회로 집적화 및 회로 기판(30)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직선형태를 유지하는 라운드 핀 형상 후방 다리부(15)를 회로 기판에 납땜할 수도 있다. 그러나, 후방 다리부(15)가 압입 구멍(20)에 압입된 이후, 도 3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때로는 후방 다리부를 90°로 굴곡하고 이후 그 단부가 회로 기판(30)의 쓰루홀(35)에 납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변형 및 개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의 재료, 형태, 치수, 개수, 배열 위치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한정을 두지 않는다.
본 출원은 2011. 08. 29. 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186285호를 기초로하는 우선권 주장 출원으로서 그 전체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입 동작 중에 후방 다리부의 도금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방 다리부를 납땜하기 위한 쓰루홀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어 회로를 집적화하고 회로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다.
1. 커넥터 하우징
1A. 벽부
10. 압입 단자
11. 전기 접속부
12. 스토퍼 돌기
13. 결합 돌기
14. 결합부
15. 후방 다리부
20. 압입 구멍
2a. 전방측 결합벽
23a. 후방측 결합벽
30. 회로 기판
35. 쓰루홀
d. 후방 다리부의 직경
H1. 압입 구멍의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

Claims (6)

  1. 베이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로서, 상기 압입 단자는:
    압입 단자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접속부;
    압입 단자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회로 기판의 쓰루홀에 삽입 및 고정되는 후방 다리부; 및
    상기 전기 접속부와 상기 후방 다리부 사이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까지의 범위는 단면 사각형을 가진 사각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다리부는 단면 원형을 가진 라운드 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다리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 보다 작은 단면 직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압입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압입될 때 상기 압입 단자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압입 단자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압입 단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입 단자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4.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 구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를 관통하는 압입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압입 단자는:
    압입 단자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접속부;
    압입 단자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회로 기판의 쓰루홀에 삽입 및 고정되는 후방 다리부; 및
    상기 전기 접속부와 상기 후방 다리부 사이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다리부는 압입 구멍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압입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고,
    상기 압입 단자의 전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까지의 범위는 단면 사각형을 가진 사각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다리부는 단면 원형을 가진 라운드 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다리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대향 내벽면들 사이의 최소 치수보다 작은 단면 직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구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압입 단자가 상기 압입 구멍에 압입될 때 상기 압입 단자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압입 단자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입 구멍의 전방측의 결합벽과 접촉하는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압입 단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입 단자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입 단자가 상기 압입 구멍을 관통한 이후 상기 압입 구멍의 후방측의 결합벽과 결합되는 결합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다리부가 압입 구멍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으로 삽입될 때 상기 압입 단자는 상기 스토퍼 돌기 및 상기 결합 돌기에 의해 고정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구조.
KR1020147004280A 2011-08-29 2012-08-22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구조 KR20140037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6285A JP5795907B2 (ja) 2011-08-29 2011-08-29 基板コネクタ用の圧入端子およびその圧入端子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に対する固定構造
JPJP-P-2011-186285 2011-08-29
PCT/JP2012/071741 WO2013031784A2 (en) 2011-08-29 2012-08-22 Press-fit terminal for board connector and fixing structure of press-fit terminal to connector hou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274A true KR20140037274A (ko) 2014-03-26

Family

ID=4688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280A KR20140037274A (ko) 2011-08-29 2012-08-22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79173A1 (ko)
EP (1) EP2751878A2 (ko)
JP (1) JP5795907B2 (ko)
KR (1) KR20140037274A (ko)
CN (1) CN103782452A (ko)
WO (1) WO201303178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746A (ko) * 2019-09-24 2021-04-01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9354B2 (en) * 2014-02-26 2016-08-16 Samtec, Inc. Electrical contacts, fusible members, and methods of attaching electrical contacts to substrates
JP6600261B2 (ja) * 2016-02-10 2019-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
EP3595417A4 (en) * 2017-03-06 2020-03-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UNIT WITH INLET STRUCTURE
JP2019040830A (ja) * 2017-08-29 2019-03-1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CN109586070A (zh) * 2017-09-29 2019-04-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线材端子、端子组件及线材端子的制造方法
EP3627978A1 (en) * 2018-09-19 2020-03-25 Infineon Technologies AG Power semiconductor module arrangement and housing for a power semiconductor arrangement
JP2020123513A (ja) * 2019-01-31 2020-08-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及び、端子付き基板
EP3968466A1 (en) * 2020-09-14 2022-03-16 IXYS Semiconductor GmbH Electrical contact for semiconductor package
CN112164910A (zh) * 2020-09-16 2021-01-01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预装有焊接结构的圆杆引脚型接触件及其连接器
CN113634841B (zh) * 2021-09-13 2023-01-06 安徽瑞迪微电子有限公司 方针端子焊接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5047A (en) * 1974-12-19 1977-07-12 Elfab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S5825091A (ja) * 1981-08-07 1983-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ルホ−ル位置ずれ補正用端子
US4746301A (en) * 1986-10-29 1988-05-24 Key Edward H S-shaped compliant pin
JPH05121142A (ja) * 1991-10-31 1993-05-18 Yazaki Corp 基板用端子の製造方法
US5199908A (en) * 1992-07-16 1993-04-0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US5624282A (en) * 1994-09-30 1997-04-29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1023716A (ja) * 1999-07-13 2001-01-2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CN2462575Y (zh) * 2000-12-31 2001-11-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零插入力连接器端子
JP3866928B2 (ja) * 2001-03-28 2007-01-10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と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体の接続構造および補機モジュール
JP2004362814A (ja) * 2003-06-02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JP2006100231A (ja) * 2004-09-29 2006-04-13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4846431B2 (ja) * 2006-04-28 2011-12-28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4899889B2 (ja) * 2007-01-24 2012-03-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24247B2 (ja) * 2007-07-04 2012-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043676A (ja) * 2007-08-10 2009-02-26 Tyco Electronics Amp Kk 圧入端子、端子圧入構造、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5115149B2 (ja) * 2007-11-02 2013-0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91510B2 (ja) * 2008-01-07 2010-12-01 株式会社デンソー コネクタ及び電子制御装置
JP5224067B2 (ja) * 2009-11-11 2013-07-03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端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基板用コネクタ
JP2011186285A (ja) 2010-03-10 2011-09-2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746A (ko) * 2019-09-24 2021-04-01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95907B2 (ja) 2015-10-14
JP2013048060A (ja) 2013-03-07
CN103782452A (zh) 2014-05-07
WO2013031784A2 (en) 2013-03-07
WO2013031784A3 (en) 2013-04-25
US20140179173A1 (en) 2014-06-26
EP2751878A2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7274A (ko)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구조
US7540764B2 (en) Connector
US7074079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reinforcing tab
JP5119005B2 (ja)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6823195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1040224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04047323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5285654A (ja) コネクタ固定部材と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23041890A (ja) コネクタ
JP4916031B2 (ja) 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US7510406B2 (en) Retaining device for retaining electrical connector on peripheral electronic apparatus
TW200836428A (en) Micro USB case
US11394143B2 (en) Connector
TW202112005A (zh) 安全、堅固且緊密之連接器
JP6053146B2 (ja) コネクタ
JP2004164932A (ja) コネクタ
KR20130033432A (ko) 회로 보드에 장착된 구성품에 대한 고정 부품
JP2010176958A (ja) 電気コネクタ
JP6440345B2 (ja) コネクタ
JP2006019228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8171627A (ja) 雌型端子金具
JPH11135176A (ja)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6095412B2 (ja) コネクタ
JPH11265752A (ja) ソケットコンタクト
CN111755884B (zh) 印刷电路板用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