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746A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746A
KR20210035746A KR1020200119060A KR20200119060A KR20210035746A KR 20210035746 A KR20210035746 A KR 20210035746A KR 1020200119060 A KR1020200119060 A KR 1020200119060A KR 20200119060 A KR20200119060 A KR 20200119060A KR 20210035746 A KR20210035746 A KR 20210035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onnector
terminal
dielectric
male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553B1 (ko
Inventor
신야 마사다
사키 가츠모토
치카 가도노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20)은, 동축 케이블(Cb)의 단말에 구성된 플러그(10)와 접속할 수 있다. 리셉터클(20)은, 메탈 쉘(2), 제2 유전체통(4), 및 제2 중심 컨택트(6)를 구비한다. 메탈 쉘(2)은, 외부 도체(Wb)에 접속된 플러그의 쉘(1)과 접속할 수 있는 원통부(2c)를 가진다. 제2 유전체통(4)은, 메탈 쉘(2)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중심 컨택트(6)의 일단부측은, 암 단자(5t)와 접속 가능한 수 단자(6t)를 가진다. 제2 중심 컨택트(6)의 타단부측은, 제2 유전체통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중심 컨택트는, 수 단자(6t)의 기단부에서, 수 단자(6t)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숄더부(6s)를 가진다. 수 단자(6t)가 플러그의 암 단자(5t)와 접속된 상태에서는, 숄더부(6s)는, 플러그의 제1 유전체통(3)의 지지 구멍(3h)의 내부에 진입한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同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동축 케이블의 단말에 구성된 동축 커넥터로서, 상대측 동축 커넥터의 암(female) 단자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수(male) 단자를 가지는 중심 컨택트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에 실장할 수 있는 다심(多芯) 동축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단말에 구성된 다심 동축 커넥터(플러그 커넥터)가 착탈 가능한 동축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의한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해제 가능한 완전 락(lock)을 행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 제2019-385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의한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의 외측 단자(22)로 둘러싸진 암 단자로서의 중심 단자(21)에, 리셉터클 커넥터에서의 수 단자로서의 선단이 두꺼운 모양의 중심 접촉부(54)가 삽입됨으로써, 암 단자와 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암 단자의 외경에 비해서 수 단자의 외경이 작고, 또한, 선단부에 비해서 수 단자의 기단부의 외경이 축소된 모양으로 되어 있으므로, 신호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整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상대측 중심 컨택트의 암 단자와 접속하는 수 단자를 선단부에 마련한 중심 컨택트를 가지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대측 중심 컨택트의 암 단자와 접속하는 수 단자의 구조를 고안하는 것에 착안하였다. 수 단자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숄더부를 형성하고, 암 단자를 둘러싸는 유전체의 내부에 숄더부의 선단부측을 진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본 발명자들은 생각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이하와 같은 새로운 동축 커넥터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1)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는, 중심 도체, 상기 중심 도체를 포위하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를 덮는 외부 도체 및 상기 외부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 시스(sheathe)를 가지는 동축 케이블의 단말에 구성된 상대측 동축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측 동축 커넥터는, 개구된 일단부에, 상기 동축 커넥터를 도입할 수 있고, 타단부가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된 원통 모양의 쉘과, 중심부에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을 향하여 관통된 지지 구멍을 가지고, 상기 쉘의 내부에 유지된 제1 유전체통과, 상기 제1 유전체통의 지지 구멍의 내부에 지지되고, 일단부측에 암 단자를 가지며, 타단부측을 상기 중심 도체에 접속한 접속 단자를 가지는, 통 모양의 제1 중심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동축 커넥터는, 일방의 단부에 상기 쉘과 접속할 수 있는 원통부가 마련된 메탈 쉘과, 상기 메탈 쉘의 내부에 지지되고, 일단면이 상기 제1 유전체통의 일단면과 근접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유전체통과, 상기 암 단자의 내부에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암 단자와 접속 가능한 수 단자를 일단부측에 가지며, 타단부측을 상기 제2 유전체통의 내부에 지지한 제2 중심 컨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중심 컨택트는, 상기 수 단자의 기단부에서 상기 수 단자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숄더부를 가지고, 상기 암 단자와 상기 수 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적어도 상기 숄더부의 일부가, 상기 제1 유전체통의 지지 구멍의 내부에 진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 상기 수 단자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핀 컨택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숄더부는,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 컨택트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숄더부는, 상기 제1 중심 컨택트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 폭을 가져도 된다.
(4) 상기 숄더부는, 상기 제1 중심 컨택트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1 유전체통의 내경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된 폭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에서, 상대측의 제1 중심 컨택트와 접속 가능한 제2 중심 컨택트는, 수 단자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숄더부를 수 단자의 기단부에 가진다. 암 단자와 수 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숄더부는, 상대측의 제1 유전체통의 지지 구멍의 내부에 진입한 상태가 되므로,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의 (A)는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가 상대측 동축 커넥터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가 상대측 동축 커넥터와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2의 (A)는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가 상대측 동축 커넥터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가 상대측 동축 커넥터와 접속되기 전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분해 조립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상대측 동축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4의 (A)는 사시도, 도 4의 (B)는 사시 분해 조립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가 상대측 동축 커넥터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A)는 상대측 동축 커넥터의 동축 케이블의 단말(절단면)측으로부터 동축 방향으로 본 상태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C-C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5의 (C)는 도 5의 (A)의 D-D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5의 (D)는 도 5의 (B)에 있어서의 접속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6의 (A)는 정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L-L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6의 (C)는 도 6의 (A)의 J-J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6의 (D)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하는 상대측 동축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7의 (A)는 정면도, 도 7의 (B)는 도 7의 (A)의 G-G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7의 (C)는 도 7의 (A)의 H-H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7의 (D)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상대측 동축 커넥터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상대측 동축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의 (A), 도 1의 (B) 또는 도 2의 (A), 도 2의 (B) 및 도 4의 (A),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대측 동축 커넥터(이하, '플러그'라고 함)(10)는, 동축 케이블(Cb)의 단말에 구성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Cb)은, 중심 도체(Wc), 중심 도체(Wc)를 포위하는 유전체(Di), 유전체(Di)를 덮는 외부 도체(Wb) 및 외부 도체(Wb)를 피복하는 절연 시스(Wi)를 가지고 있다.
플러그(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이하, '리셉터클'이라고 함)(20)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리셉터클(20)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플러그(10)는, 원통 모양의 쉘(1), 제1 유전체통(3) 및 통 모양의 제1 중심 컨택트(5)를 구비하고 있다. 쉘(1)의 개구된 일단부는, 리셉터클(20)에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쉘(1)의 타단부는, 압착 슬리브(7)의 압착을 통해서 외부 도체(Wb)에 접속되어 있다.
쉘(1)의 내부에 제1 유전체통(3)이 유지되어 있다. 제1 유전체통(3)은, 그 중심부에 지지 구멍(3h)을 가지고 있다. 지지 구멍(3h)은, 제1 유전체통(3)의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을 향하여 관통되어 있다. 제1 유전체통(3)은, 쉘(1)의 일단면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도 4의 (A), 도 4의 (B) 또는 도 5의 (A) 내지 도 5의 (D) 및 도 7의 (A) 내지 도 7의 (D)를 참조하면, 제1 중심 컨택트(5)는, 제1 유전체통(3)의 지지 구멍(3h)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중심 컨택트(5)에서, 일단부측은 암 단자(5t), 타단부측은 접속 단자(5c)이다. 접속 단자(5c)는 압착 단자로 구성되고, 중심 도체(Wc)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중심 컨택트(5)의 암 단자(5t)는, 리셉터클(20)의 수 단자(6t)와 접속할 수 있다(도 5의 (C) 또는 도 5의 (D)참조).
도 4의 (B) 또는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1 중심 컨택트(5)의 암 단자(5t)는, 슬릿(5s)에 의해 분할된 접촉 스프링(Eo)을 가지고 있다. 접촉 스프링(Eo)에 의한, 암 단자(5t)의 삽입구의 내벽은, 팽출(膨出)되어 있다(도 5의 (D)참조). 여기에서는, 분할된 접촉 스프링(Eo)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팽출된 내벽을 가지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또는 도 4의 (A), 도 4의 (B) 및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제1 중심 컨택트(5)는, 그 축방향의 외경(D)의 변동을 억제하는 구성을 가진다. 리셉터클(20)의 수 단자(6t)와의 접촉시에서도, 제1 중심 컨택트(5)는, 접속 단자(5c)를 제외하고, 암 단자(5t)를 포함하여 대략 동일한 외경(D)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중심 컨택트(5)는, 그 축방향의 외경(D)의 변동을 억제한다.
[동축 커넥터의 구성]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의 (A) 내지 도 5의 (D) 또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이하, '리셉터클'이라고 함)(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리셉터클(20)은, 메탈 쉘(2), 제2 유전체통(4) 및 제2 중심 컨택트(6)를 구비하고 있다.
메탈 쉘(2)은, 직방체(直方體) 모양의 본체(2b)와 원통부(2c)로 구성되어 있다. 메탈 쉘(2)의 중심부에는, 지지 구멍(2h)이 마련되고, 원통부(2c)의 선단면으로부터 본체(2b)의 저면을 향해서 관통되어 있다.
메탈 쉘(2)의 지지 구멍(2h)의 내부에는, 제2 유전체통(4)이 지지되어 있다. 제2 유전체통(4)의 중심부에는, 제2 중심 컨택트(6)가 유지되어 있다. 제2 중심 컨택트(6)의 일단부측에는 수 단자(6t)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중심 컨택트(6)의 타단부측은, 예를 들면, 제2 유전체통(4)의 중심부에 압입되어 있다. 수 단자(6t)는, 제2 유전체통(4)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중심 컨택트(6)에서, 수 단자(6t)의 기단부에는, 숄더부(6s)가 형성되어 있다. 숄더부(6s)는, 수 단자(6t)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외형을 가진다. 제2 중심 컨택트(6)는, 수 단자(6t) 및 숄더부(6s)의 기단부를 제2 유전체통(4)의 단면(端面)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제2 유전체통(4)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중심 컨택트(6)가 부착된 제2 유전체통(4)은, 본체(2b)의 저면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메탈 쉘(2)의 내부에 제2 유전체통(4)이 유지된 상태에서는, 수 단자(6t)는, 원통부(2c)의 내부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도 6의 (B), 도 6의 (C)참조).
도 1의 (A), 도 1의 (B) 또는 도 2의 (A), 도 2의 (B), 도 3 또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D) 및 도 5의 (A) 내지 도 5의 (D)를 참조하면, 플러그(10)를 리셉터클(20)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플러그(10)의 선단부측이 원통부(2c)의 내부에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수 단자(6t)는, 암 단자(5t)의 내부에 접촉 스프링(Eo)을 사이에 두고 진입할 수 있고, 암 단자(5t)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원통부(2c)의 내부에 쉘(1)의 일단부가 진입함으로써, 메탈 쉘(2)과 쉘(1)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암 단자(5t)와 수 단자(6t)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숄더부(6s)는, 제1 유전체통(3)의 지지 구멍(3h)의 내부에 진입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의 (A), 도 1의 (B) 또는 도 2의 (A), 도 2의 (B) 및 도 4의 (A), 도 4의 (B), 도 3 또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D) 및 도 5의 (A) 내지 5의 (D)를 참조하여, 플러그(10)의 구성을 설명한다. 플러그(10)는, 압착 슬리브(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쉘(1)의 타단부는, 유전체(Di)와 외부 도체(Wb)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압착 슬리브(7)가 절연 시스(Wi)를 개재시켜 동축 케이블(Cb)의 단말에 압착되면, 쉘(1)의 타단부가 외부 도체(Wb)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압착 슬리브(7)가 절연 시스(Wi)를 개재시켜 동축 케이블(Cb)의 단말에 압착되는 것에 의해, 동축 케이블(Cb)의 단말에 플러그(10)가 고정된다.
(제1 중심 컨택트의 구성)
다음으로, 도 4의 (A), 도 4의 (B) 또는 도 5의 (A) 내지 도 5의 (D) 및 도 7의 (A) 내지 도 7의 (D)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관련하는 제1 중심 컨택트(5)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중심 컨택트(5)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성형함으로써, 원통 모양 컨택트를 얻을 수 있다.
제1 중심 컨택트(5)의 암 단자(5t)에서의 삽입구의 접촉 스프링(Eo)은, 외주로부터 내주(內周)로 되접혀져 있다. 이것에 의해, 상대측의 수 단자(6t)와 접촉시에, 암 단자(5t)의 외경(D)는, 제1 중심 컨택트(5)의 외경(D)에 대략 수렴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중심 컨택트(5)는, 금속판을 원통 모양으로 성형한 원통 모양 컨택트를 개시하였지만, 암 단자(5t)의 접촉 스프링(Eo)의 삽입구의 내주가 팽출된 스크류 머신·컨택트(금속봉으로부터 절삭 가공된 컨택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의한 암 단자(5t)는, 절반으로 분할된 접촉 스프링(Eo)을 개시하였지만, 접촉 스프링(Eo)은, 그 외경(D)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절반보다 많게 분할되어도 괜찮고, 예를 들면 3 분할, 혹은 십자 모양의 슬릿을 마련하여, 4 분할되어도 괜찮다.
(제2 중심 컨택트의 구성)
다음으로, 도 3 또는 도 5의 (A) 내지 도 5의 (D) 및 도 6의 (A) 내지 도 6의 (D)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의한 제2 중심 컨택트(6)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 중심 컨택트(6)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타발 가공함으로써, 판 모양의 제2 중심 컨택트(6)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수 단자(6t)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핀 컨택트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핀 컨택트의 기단부의 숄더부(6s)는,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핀 컨택트의 외경보다 폭이 넓다. 숄더부(6s)의 직사각형 판 모양의 두께는, 수 단자(6t)의 핀 컨택트의 지름과 동일하게 되어 있거나, 혹은, 핀 컨택트의 가공의 영향 등으로 핀 컨택트의 지름보다 크게 되어 있다. 수 단자(6t)와 숄더부(6s)를 포함하는 제2 중심 컨택트(6)의 타단부측은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수 단자(6t)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수 단자(6t)는,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도 괜찮다.
또한, 도 5의 (D)를 참조하면, 숄더부(6s)는, 제1 중심 컨택트(5)의 외경과 동일한 사이즈(대략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 폭을 가진다. 혹은, 숄더부(6s)는, 제1 중심 컨택트(5)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제1 유전체통(3)의 내경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 폭을 가진다.
[동축 커넥터의 작용]
다음으로, 도 1의 (A), 도 1의 (B)~도 7의 (A) 내지 도 7의 (D)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2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리셉터클(20)은, 상대측의 쉘(1)과 접속할 수 있는 원통부(2c)를 가지는 메탈 쉘(2), 메탈 쉘(2)의 내부에 지지된 제2 유전체통(4), 및 상대측의 쉘(1)의 암 단자(5t)와 접속 가능한 수 단자(6t)를 일단부측에 가지는 제2 중심 컨택트(6)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중심 컨택트(6)는, 수 단자(6t)의 기단부에서 암 단자(5t)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숄더부(6s)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암 단자(5t)와 수 단자(6t)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숄더부(6s)는, 상대측의 제1 유전체통(3)의 지지 구멍(3h)의 내부에 진입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20)에 있어서, 제2 중심 컨택트(6)는, 수 단자(6t)의 기단부에서, 수 단자(6t)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숄더부(6s)를 가지고, 암 단자(5t)와 수 단자(6t)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숄더부(6s)는, 상대측의 제1 유전체통(3)의 지지 구멍(3h)의 내부에 진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압 정재파비(VSWR :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선의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상대측 동축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프린트 기판용 동축 커넥터를 개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심 동축 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1 : 쉘 2 : 메탈 쉘
2c : 원통부 2h : 지지 구멍
3 : 제1 유전체통 3h : 지지 구멍
4 : 제2 유전체통 5 : 제1 중심 컨택트
5c : 접속 단자 5t : 암 단자
6 : 제2 중심 컨택트 6t : 수 단자
6s : 숄더부 10 : 플러그(상대측 동축 커넥터)
20 : 리셉터클(동축 커넥터) Cb : 동축 케이블
D : 외경 Di : 유전체
Wb : 외부 도체 Wc : 중심 도체
Wi : 절연 시스

Claims (4)

  1. 중심 도체, 상기 중심 도체를 포위하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를 덮는 외부 도체, 및 상기 외부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 시스를 가지는 동축 케이블의 단말에 구성된 상대측 동축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측 동축 커넥터는,
    개구된 일단부에 상기 동축 커넥터를 도입할 수 있고, 타단부가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된 원통 모양의 쉘과,
    중심부에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을 향하여 관통된 지지 구멍을 가지고, 상기 쉘의 내부에 유지된 제1 유전체통과,
    상기 제1 유전체통의 지지 구멍의 내부에 지지되고, 일단부측에 암 단자를 가지고, 타단부측을 상기 중심 도체에 접속한 접속 단자를 가지는, 통 모양의 제1 중심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동축 커넥터는,
    일방의 단부에 상기 쉘과 접속할 수 있는 원통부가 마련된 메탈 쉘과,
    상기 메탈 쉘의 내부에 지지되고, 일단면이 상기 제1 유전체통의 일단면과 근접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유전체통과,
    상기 암 단자의 내부에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암 단자와 접속 가능한 수 단자를 일단부측에 가지며, 타단부측을 상기 제2 유전체통의 내부에 지지한 제2 중심 컨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중심 컨택트는, 상기 수 단자의 기단부에서 상기 수 단자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숄더부를 가지고,
    상기 암 단자와 상기 수 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적어도 상기 숄더부의 일부가, 상기 제1 유전체통의 지지 구멍의 내부에 진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 단자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핀 컨택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숄더부는,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 컨택트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동축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제1 중심 컨택트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 폭을 가지는 동축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 상기 제1 중심 컨택트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1 유전체통의 내경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된 폭을 가지는 동축 커넥터.
KR1020200119060A 2019-09-24 2020-09-16 동축 커넥터 KR102406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73254 2019-09-24
JP2019173254A JP7357912B2 (ja) 2019-09-24 2019-09-24 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46A true KR20210035746A (ko) 2021-04-01
KR102406553B1 KR102406553B1 (ko) 2022-06-08

Family

ID=7515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060A KR102406553B1 (ko) 2019-09-24 2020-09-16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57912B2 (ko)
KR (1) KR102406553B1 (ko)
CN (1) CN112636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99967C (en) 2015-09-30 2020-01-07 Nippon Soda Co., Ltd. Agrochemical compos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274A (ko) * 2011-08-29 2014-03-26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구조
JP2018063892A (ja) * 2016-10-14 2018-04-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019003856A (ja) 2017-06-16 2019-0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9018B (en) * 1983-04-29 1986-10-08 Amp Inc Coaxial plug and jack connectors
US6468100B1 (en) * 2001-05-24 2002-10-22 Tektronix, Inc. BMA interconnect adapter
JP2003297493A (ja) * 2002-04-05 2003-10-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同軸コネクタ
JP2004139797A (ja) * 2002-10-16 2004-05-1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メス型シールドコネクタ
CN101330181B (zh) * 2008-07-22 2010-07-14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射频同轴连接器
US9142895B2 (en) * 2014-02-17 2015-09-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2018063893A (ja) 2016-10-14 2018-04-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274A (ko) * 2011-08-29 2014-03-26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커넥터용 압입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단자의 고정구조
JP2018063892A (ja) * 2016-10-14 2018-04-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019003856A (ja) 2017-06-16 2019-0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57912B2 (ja) 2023-10-10
CN112636115A (zh) 2021-04-09
JP2021051871A (ja) 2021-04-01
CN112636115B (zh) 2023-03-21
KR102406553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707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shield
US9941608B2 (en) Plug connector arrangement with compensation sleeve
US8007325B2 (en) Cable connecting apparatus
US5261839A (e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JP2002260792A (ja) 差込みコネクタ
JP7032798B2 (ja) 同軸コネクタ
US3828303A (en) Coaxial connector
KR20210035746A (ko) 동축 커넥터
JP3138156U (ja) Rf通信用マイクロ波コネクタのソケット
JP2018063893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419512B2 (ja) スリーブを用いた同軸ケーブルとシールド端子の接続構造
CN107959199B (zh) 同轴连接器的安装构造
KR100637306B1 (ko)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동축 커넥터
CN107959146B (zh) 同轴连接器
CN112636091B (zh) 同轴连接器
JP2019012635A (ja) コネクタ
WO2021029198A1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6992978B2 (ja) 同軸コネクタ
KR100799973B1 (ko) 통신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JP2009238465A (ja) シールド電線付きコネクタ
JPWO2019123809A1 (ja) 治具
JP4225942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20220091882A (ko) Rf 커넥터용 임피던스 매칭장치
CN101090186A (zh) 同轴电缆连接器
JP2020077483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