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029A -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029A
KR20140030029A KR1020130056086A KR20130056086A KR20140030029A KR 20140030029 A KR20140030029 A KR 20140030029A KR 1020130056086 A KR1020130056086 A KR 1020130056086A KR 20130056086 A KR20130056086 A KR 20130056086A KR 20140030029 A KR20140030029 A KR 20140030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igh frequency
heating unit
convection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530B1 (ko
Inventor
임규식
구선희
백창민
조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0354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3002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to KR102013000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023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086A priority patent/KR101814530B1/ko
Priority to AU2013219189A priority patent/AU2013219189B2/en
Priority to IN2762MU2013 priority patent/IN2013MU02762A/en
Priority to US14/010,898 priority patent/US9035224B2/en
Priority to EP16153527.3A priority patent/EP3041315B1/en
Priority to PL13181967T priority patent/PL2704526T5/pl
Priority to EP16153528.1A priority patent/EP3041316A1/en
Priority to EP13181967.4A priority patent/EP2704526B2/en
Priority to HUE13181967A priority patent/HUE029426T2/en
Priority to RU2013140078/07A priority patent/RU2565046C2/ru
Priority to CN201310385080.2A priority patent/CN103672993B/zh
Priority to CN201711421283.7A priority patent/CN108158425B/zh
Publication of KR2014003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029A/ko
Priority to US14/691,179 priority patent/US9433233B2/en
Priority to US15/239,342 priority patent/US11546976B2/en
Publication of KR10181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7/968,489 priority patent/US2023003896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23L3/01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using microwaves or di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23L5/12Processes other than deep-frying or float-frying using cooking oil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7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in a gaseous atmosphere with forced air or gas circulation, in vacuum or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4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05B6/6485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further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91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 H05B6/6494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for coo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조리대상이 위치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대상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상기 조리대상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 상기 조리대상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 사용자의 튀김 조리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튀김 조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제1예비 조리를 수행하고,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조리장치는 조리대상을 기름에 담그지 않고 조리장치의 마이크로파, 복사열, 대류열을 이용하여 튀김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COC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 가열, 컨벡션 가열 및 그릴 가열을 이용하여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조리실 내부로 공급하여 조리대상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최근의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고주파 가열장치 이외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장치, 대류열을 공급하는 컨벡션장치 등을 구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대상을 가열하고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는 다양한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대상에 따라 자동으로 조리대상을 조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데우거나, 그릴장치를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굽거나, 컨벡션장치를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익히는 기능은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구이 등과 같은 조리 방식과 같이 열에너지를 조리대상에 직접 공급하는 조리 방법과 달리 튀김 조리는 기름에 열에너지를 공급하고 가열된 기름을 통하여 조리대상을 조리하므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튀김 조리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장치의 기능을 이용하여 튀김을 조리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조리실, 상기 조리실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튀김조리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그릴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고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를 수행하고,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지 않은 채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와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는 상기 사용자의 튀김조리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그릴 가열부과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고,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하는 것은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의 턴온 및 턴오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조리 명령을 입력받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조리대상 및 조리대상의 중량을 입력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은 상기 조리대상 및 상기 중량에 따라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출력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출력 파워에 따라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은 상기 조리대상 및 상기 중량에 따라 상기 조리실의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상기 결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여 상기 고주파 가열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 수행 시간은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 수행 시간보다 긴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여 상기 고주파 가열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 수행 시간은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 수행 시간보다 더 긴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조리 명령은 상기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에 마련된 단일의 버튼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른 조리장치는 조리실, 조리실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 상기 고주파에 의하여 가열되어 발열하는 크러스티(crusty) 용기, 사용자로부터 튀김 조리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튀김조리 명령이 입력되면,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그릴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고,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에서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지 않은 채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장치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에서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그릴 가열부과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고,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하기 위하여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의 턴온 및 턴오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러스티 용기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플레이트, 상기 고주파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은 페라이트-고무(ferrite-rubber) 복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경우, 조리대상이 위치하는 하이 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경우, 조리대상이 위치하는 로우 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조리실, 상기 조리실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튀김조리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를 수행하고, 상기 고주파 가열의 가동 없이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와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는 상기 사용자의 튀김조리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고,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의 수행 시간은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의 수행 시간보다 긴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조리 명령은 상기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에 마련된 단일의 버튼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대상을 기름에 담그지 않고 조리장치의 마이크로파, 복사열, 대류열을 이용하여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추가적인 구성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에 포함된 고주파 가열부 및 그릴 가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에 포함된 컨벡션 가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컨벡션 가열부에 의한 조리실 내부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 및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추가적인 구성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에 포함된 고주파 가열부 및 그릴 가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에 포함된 컨벡션 가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컨벡션 가열부에 의한 조리실 내부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가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식품군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가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일 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4는 조리대상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가 조리를 수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16 내지 도 24에 도시된 조리방법을 요약한 도표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추가적인 구성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을 참조하면, 조리장치(1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 본체(101)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할 조리대상을 수용하는 조리실(105), 본체(101)의 전면에 마련되어 조리실(105)을 개폐하는 도어(103) 및 조리실(105)의 우측에 마련되어 후술할 고주파 가열부(120) 등이 설치되는 전장실(107), 조리대상이 위치하는 크러스티(crusty) 용기(109)를 포함한다.
조리실(105)의 내부 후면에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1)와 조리실(105) 사이에는 조리실(105)을 감싸도록 단열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조리실(105)을 외부와 단열시킨다.
도어(103)는 그 일측이 힌지(hinge, 103a)를 통하여 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도어(103)가 닫히면 도어(103)는 힌지의 반대측에 마련된 래치(latch, 103b)를 통하여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3)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도어(103)를 열고 다른 한손으로 조리실(105) 내부의 조리대상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힌지(103a)를 통하여 본체(101)의 전면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조리실(105) 내부에는 조리대상이 위치하는 크러스티(crusty) 용기(109)을 포함할 수 있다.
크러스티 용기(109)는 조리실(105)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후술할 고주파 가열부(120)에서 방사되는 고주파에 의하여 가열되는 발열체(예를 들어, 페라이트-고무(Ferrite-Rubber) 복합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러스티 용기(109)는 발열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을 조리대상에 전달하기 하기 위하여 열전도도가 좋은 금속 플레이트(plate)를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발열체로써 페라이트-고무 복합체를 채용하는 경우, 페라이트-고무 복합체는 전기적 절연체로서 금속 플레이트에 고주파에 의하여 금속 재질의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크러스티 용기(109)는 고주파 가열부(120)에 의하여 방사되는 고주파에 의하여 가열되어 조리대상의 하부를 직접 가열한다.
또한, 조리장치(100)는 조리실(105) 내부에서 조리대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turntable)(104), 2이상의 조리대상을 동시에 조리하기 위한 하이 렉(high rack)(102a) 및 로우 렉(low rack)(10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에 마련된 컨트롤 패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체(101)의 전면 우측에는 사용자로부터 조리장치(100)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1) 및 조리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110)이 마련된다.
입력부(111)는 컨트롤 패널(110)의 하측에 마련되며, 사용자로부터 조리의 개시, 조리시간, 조리의 취소 및 일시중지 등의 다양한 동작 명력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111)는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다이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1)는 튀김 조리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튀김 조리 버튼(111a), 해동 명령을 입력받는 해동 버튼(111b), 고주파 가열, 그릴 가열, 컨벡션 가열 중에서 가열 방식을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들(111c), 조리시간 내지 조리대상의 중량 등을 입력하는 가감 다이얼(111d), 조리장치(100)의 가동 중지 명령을 입력하는 취소 버튼(111e) 및 조리장치(100)의 가동 명령을 입력하는 선택/동작 버튼(111f)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를 통하여 사용자가 해당 버튼의 기능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13)는 컨트롤 패널(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조리장치(100)의 출력, 조리시간 등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는 입력부(111)와 표시부(11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111)와 표시부(113)가 일체로 마련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고주파 가열부 및 그릴 가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에 포함된 컨벡션 가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컨벡션 가열부에 의한 조리실 내부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리장치(100)는 조리실(105) 내부로 고주파(microwave)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120), 조리실(105)에 위치하는 조리대상에 복사열을 제공하는 그릴 가열부(130), 조리실(105)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140)를 포함한다.
고주파 가열부(120)는 조리실(105) 우측의 전장실(107)에 마련되고, 조리실(105) 내부로 방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121) 및 마그네트론(121)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 트랜스(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주파 가열부(120)는 조리실(105) 내부의 우측 벽면을 통하여 2.45GHz 주파수의 고주파를 조리실(105) 내부로 방사하여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대상을 가열한다. 고주파 가열부(120)에 의하여 방사된 고주파는 조리실(105)에 위치한 조리대상을 투과하여 조리대상의 내부까지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주파 가열부(120)는 최대 출력 파워의 고주파만을 출력하는 고정출력 고주파 가열부를 채용할 수 있다. 고정출력 고주파 가열부는 고주파를 방사하는 시간과 고주파를 방사하지 않는 시간의 비율을 통하여 다양한 파워의 고주파를 방사할 수 있다.(예를 들어, 최대 출력이 900W인 경우, 고주파 가동부는 20초간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고 10초간 고주파 가열부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평균적으로 600W의 고주파를 방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주파 가열부(120)는 구동회로로서 인버터(inverter)를 채용하여 직접 다양한 파워의 고주파를 방사하는 가변출력 고주파 가열부를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릴 가열부(130)는 조리실(105) 상측에 마련되며,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히터(131)와 방사된 복사열을 조리실(105) 내부로 집중시키는 반사판(13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그릴히터(131)는 강한 복사열을 방출하는 할로겐 램프, 전기적 저항을 통하여 줄 열을 방출하는 열선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릴히터(131)에 의하여 방사된 복사열은 조리실(105) 내부로 직접 복사되거나 반사판(133)에 반사된 후 조리실(105) 내부로 복사되어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대상을 복사 가열한다.
컨벡션 가열부(140)는 조리실(105)의 좌측 벽면 외측에 마련되며, 조리대상을 가열하기 위한 열풍을 생성하는 컨벡션 히터(141), 컨벡션 히터(141) 주위의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105) 내부로 공급하는 컨벡션 순환팬(143), 컨벡션 순환팬(14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컨벡션 구동모터(145)를 포함한다.
조리실(105)의 좌측 벽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움푹 패인 순환팬 수용실(105a)이 마련되며, 순환팬 수용실(105a)의 내면에는 컨벡션 히터(141) 및 컨벡션 순환팬(143)이 마련되고 순환팬 수용실(105a)의 외면에는 컨벡션 구동모터(145)가 마련된다.
컨벡션 순환팬(143)은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조리실(105) 내부의 공기를 순환팬 수용실(105a)로 흡입하고, 그 반경 방향으로 송풍시킨다. 컨벡션 히터(141)는 컨벡션 순환팬(143)을 감싸듯이 컨벡션 순환팬(143)의 외곽을 따라 마련되어 컨벡션 순환팬(143)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이와 같은 컨벡션 히터(141)는 전기적 저항에 의하여 줄 열(Joule`s Heats)을 생성하는 열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순환팬 수용실(105a)과 조리실(105) 사이에는 순환팬 수용실(105a)과 조리실(105)을 구획하는 팬 커버(147)가 설치되며, 팬 커버(147)의 중앙 부분에는 조리실(105) 내부의 공기가 순환팬 수용실(105a)로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공(149a)이 마련되고, 팬 커버(147)의 외곽 부분에는 순환팬 수용실(105a)에서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105)로 토출되는 복수의 유출공(149b)이 마련된다.
컨벡션 순환팬(143)은 조리실(105) 내부의 공기를 유입공(149a)를 통하여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고, 컨벡션 히터(141)는 컨벡션 순환팬(143)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고, 컨벡션 히터(141)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는 유출공(149b)을 통하여 조리실(105)로 제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컨벡션 히터(141)에 의하여 가열된 열풍은 컨벡션 순환팬(143)에 의하여 조리실(105) 내부로 공급되고, 조리실(105)로 공급된 공기는 조리실(105)의 상하면 및 전후면을 따라 조리실(105)의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조리실(105)의 우측 벽면에 도달한 공기는 조리실(105)의 우측 벽면을 따라 조리실(105) 우측 벽면의 중앙부로 집중되고 조리실(105)의 중앙을 따라 다시 좌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컨벡션 히터(141)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컨벡션 순환팬(143)에 의하여 조리실(105) 내부를 순환하여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대상을 가열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 및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추가적인 구성부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리장치(3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01), 본체(301)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할 조리대상을 수용하는 조리실(305), 본체(301)의 전면에 마련되어 조리실(305)을 개폐하는 도어(303) 및 조리실(305)의 우측에 마련되어 후술할 고주파 가열부(320) 등이 설치되는 전장실(107), 조리대상이 위치하는 크러스티(crusty) 용기(309)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300)의 본체(301), 조리실(305), 전장실(307), 크러스티 용기(309)의 기능 및 구성은 도 1과 함께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의 본체(101), 조리실(105), 전장실(107), 크러스티 용기(109)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어(303)는 그 일측이 힌지(hinge, 303a)를 통하여 본체(30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도어(303)가 닫히면 도어(303)는 힌지의 반대측에 마련된 래치(latch, 303b)를 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도어(303)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리된 조리대상을 인출할 때 양손을 이용하여 조리실(305) 내부의 조리대상을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힌지(303a)를 통하여 본체(301)의 전면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조리장치(300)는 조리실(305) 내부에서 조리대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turntable)(304), 2이상의 조리대상을 동시에 조리하기 위한 하이 렉(high rack)(302a) 및 로우 렉(low rack)(30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3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체(301)의 전면 우측에는 사용자로부터 조리장치(300)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1) 및 조리장치(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13)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310)이 마련된다.
입력부(311)는 튀김 조리 버튼(311a), 해동 버튼(311b), 기능선택버튼들(311c), 가감다이얼(311d), 취소 버튼(311e), 선택/동작 버튼(311f)를 포함하며, 각각의 버튼(311a~311f)의 기능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111)의 버튼(111a~111f)과 동일하다.
또한, 입력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버튼(311a~f)의 기능을 연상시키는 도형을 통하여 사용자가 해당 버튼의 기능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313)의 구성 및 기능은 도 2와 함께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에 포함된 표시부(11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300)에 포함된 고주파 가열부(120) 및 그릴 가열부(13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300)에 포함된 컨벡션 가열부(34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컨벡션 가열부(340)에 의한 조리실(305) 내부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조리장치(300)는 조리실(305) 내부로 고주파(microwave)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320), 조리실(305)에 위치하는 조리대상에 복사열을 제공하는 그릴 가열부(330), 조리실(305)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340)를 포함한다.
고주파 가열부(320)는 조리실(305) 우측의 전정실(307)에 마련되며, 마그네트론(321) 및 고압 트랜스(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주파 가열부(320)는 조리실(305) 내부의 우측 벽면을 통하여 2.45GHz 주파수의 고주파를 조리실(305) 내부로 방사하여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대상을 가열한다.
이와 같은 고주파 가열부(320)는 최대 출력 파워의 고주파만을 출력하는 고정출력 고주파 가열부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주파 가열부(320)는 다양한 파워의 고주파를 방사하는 가변출력 고주파 가열부를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릴 가열부(330)는 조리실(305) 상측 벽면 내측에 마련되며,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 히터(331)를 포함한다. 그릴히터(331)에 의하여 방사된 복사열은 조리실(305)에 마련된 조리대상으로 직접 복사되거나 조리실(305)의 상측 내벽에 반사된 후 조리대상으로 복사된다.
컨벡션 가열부(340)는 조리실(305)의 후방 벽면 외측에 마련되며, 조리대상을 가열하기 위한 열풍을 생성하는 컨벡션 히터(341), 컨벡션 히터(341) 주위의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305) 내부로 공급하는 컨벡션 순환팬(343), 컨벡션 순환팬(34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컨벡션 구동모터(345)를 포함한다.
조리실(305)의 후방 벽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움푹 패인 순환팬 수용실(305a)이 마련되며, 순환팬 수용실(305a)의 내면에는 컨벡션 히터(341) 및 컨벡션 순환팬(343)이 마련되고 순환팬 수용실(305a)의 외면에는 컨벡션 구동모터(345)가 마련된다.
컨벡션 히터(341), 컨벡션 순환팬(343), 컨벡션 구동모터(345)의 기능 및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에 포함된 컨벡션 히터(141), 컨벡션 순환팬(143), 컨벡션 구동모터(145)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컨벡션 히터(341)에 의하여 가열된 열풍은 컨벡션 순환팬(343)에 의하여 조리실(305)로 공급되고, 조리실(305)로 공급된 공기는 조리실(305)의 상하면 및 좌우면을 따라 조리실(305)의 전방으로 이송된다. 조리실(305)의 전방 에 마련된 도어(305)에 도달한 열풍은 도어(305)을 따라 도어(305)의 중앙부로 집중되고 조리실(305)의 중앙을 따라 다시 후방으로 이송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조리장치(100, 300)는 열풍, 복사열 또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조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온도센서(410), 입력부(111, 311), 표시부(113, 313), 고주파 가열부(120, 320), 그릴 가열부(130, 330), 컨벡션 가열부(140, 340), 제어부(420) 및 저장부(43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입력부(111, 311), 표시부(113, 313), 고주파 가열부(120, 320), 그릴 가열부(130, 330),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설명은 생략한다.
온도센서(410)는 조리실(105, 305)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410)에 제공하며,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er)를 채용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온도센서(410)의 감지결과와 입력부(111, 311)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라 고주파 가열부(120, 320), 그릴 가열부(130, 330) 및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리대상을 가열한다.
저장부(430)는 상술한 튀김 조리에 대응하는 동작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09)의 동작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동작 데이터를 제어부(430)에 제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가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건강 튀김 조리 버튼(111a, 311a)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튀김 조리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사용자로부터 튀김 조리 명령이 입력되면(S210의 '예'), 조리장치(100, 300)는 가감다이얼(111d, 311d)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부(113, 313)를 통하여 해당 튀김 조리의 조리대상 즉 식품의 종류를 표시한다(S212). 예를 들어, 튀김버튼을 통하여 튀김 조리 명령이 입력된 경우 표시부(113, 313)는 포테이토 칩, 치킨 너겟, 냉동 핫도그, 고구마 스틱 등의 조리대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조리장치(100, 300)는 표시부(113, 313)에 표시되는 조리대상을 변경하면서, 선택/동작버튼(111f, 311f)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4). 다시 말해, 사용자는 가감다이얼(111d, 311d)을 통하여 표시부(113, 313)에 표시되는 조리대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원하는 조리대상이 표시부(113, 313)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선택/동작버튼(111f, 311f)을 통하여 조리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조리대상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조리장치(100, 300)는 가감다이얼(111d, 311d)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리대상의 중량을 표시할 수 있다(S216). 이와 함께, 조리장치(100)는 표시부(113, 313)에 표시되는 중량을 변경하면서 선택/동작버튼(111f)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8). 다시 말해, 사용자는 가감다이얼(111d, 311d)을 통하여 표시부(113, 313)에 표시되는 조리대상의 중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원하는 중량이 표시부(113, 313)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선택/동작버튼(111f, 311f)을 통하여 조리대상의 중량을 선택할 수 있다.
조리대상의 중량이 입력되면 조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튀김 조리, 조리대상 및 조리대상의 중량에 대응되는 동작 데이터에 따라 튀김 조리를 수행한다(S2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가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리장치(100, 300)는 고주파 가열, 그릴 가열, 컨벡션 가열 및 슬림 프라이 (slip fry mode or healthy fry mode)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고주파 가열이란 주파 가열부(120, 320)에서 방사되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조리장치(100, 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입력부(111, 311)를 통하여 고주파 가열명령을 입력하면 고주파 가열부(120, 320)는 조리실(105, 305)에 마련된 조리대상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파워(예를 들어, 600W)의 고주파를 방사한다.
사전에 정해진 고주파의 출력(예를 들어 600W)이 고주파 가열부(120, 320)의 최대 출력(예를 들어 900W)보다 작은 경우, 고주파 가열부(120, 320)는 턴온과 턴오프를 반복하여 사전에 정해진 파워의 고주파를 방사한다. 예를 들어 고주파 가열부(120, 320)의 최대 출력 파워가 900W인 경우, 600W의 고주파를 방사하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부(120, 320)는 20초간 턴온하고 10초간 턴오프한다.
그릴 가열이란 그릴 가열부(130, 330)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11, 311)를 통하여 그릴 가열명령을 입력하면 그릴 가열부(130, 330)는 조리대상에 복사열을 방사한다. 구체적으로,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소정의 설정온도(예를 들어, 180℃)에 도달할 때까지 그릴 가열부(130, 330)를 가동하고, 과열 방지를 위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소정의 설정온도(예를 들어, 180℃)를 초과하면 그릴 가열부(130, 330)의 가동을 중지한다. 이후,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180℃) 미만이 되면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를 다시 가동한다.
그릴 가열에 의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대상을 가열함과 함께 조리대상의 겉면을 단단하게 하고 튀김 조리를 한 것과 같이 조리대상 겉면의 색을 노릇노릇하게 한다.
컨벡션 가열이란 컨벡션 가열부(140, 340)에 의하여 공급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컨벡션 가열명령을 입력하면 컨벡션 가열부(140, 340)는 조리실(105, 305)에 열풍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예를 들어, 200℃)에 도달할 때까지는 지속적으로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하고,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를 초과하면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가동을 중지한다. 이후,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 미만이 되면 조리장치(100, 300)는 컨벡션 가열부(140, 340)을 다시 가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실(105, 305)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목표온도는 자동조리의 경우 사전에 저장부(430)에 저장된 목표온도를 이용할 수 있고, 수동조리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1, 311)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컨벡션 가열에 의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대상을 가열함과 함께 조리대상 겉면의 수분을 증발시켜 튀김 조리를 한 것과 같이 조리대상의 겉면에 바삭한 질감을 생성할 수 있다.
슬림 프라이 가열은 튀김 조리를 위한 별도의 가열방식으로 그릴 가열부(130, 330)에서 방사되는 복사열과 컨벡션 가열부(140, 340)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함께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함으로서 조리 대상을 슬림 프라이 가열한다.
컨벡션 가열부(140, 340)과 그릴 가열부(130, 330)를 함께 가동함으로써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릴 가열에 의하여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된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을 갖도록 할 수 있고, 컨벡션 가열에 의하여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대상의 측면을 충분히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대상 겉면의 수분을 증발시켜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조리장치(100, 3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그릴 가열부(130, 330)에 의한 복사열과 컨벡션 가열부(140, 340)에 의한 열풍을 통하여 조리대상을 가열한다.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를 유지하도록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를 초과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턴온과 턴오프를 반복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턴온과 턴오프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 미만이 되면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온하고,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를 초과하면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오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 미만이 되면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가동을 개시하고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를 초과하면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가동을 중지하되, 컨벡션 가열부(140, 340)가 가동되는 동안에 그릴 가열부(130, 330)는 턴온과 턴오프를 반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 미만이 되면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가동을 개시하고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목표온도를 초과하면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가동을 중지하되,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가동이 개시될 때 그릴 가열부(130, 330)를 함께 가동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가 되면 그릴 가열부(130, 330)의 가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가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리장치(100, 300)는 자동 조리로서 튀김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튀김 조리는 조리대상의 내부를 조리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와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같은 질감 및 색감을 갖도록 하기 위한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고주파 가열만 수행하거나,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함께 수행하거나, 고주파 가열과 그릴 가열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장치(100, 300)는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거나, 고주파 가열부(120, 32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을 가동하거나, 고주파 가열부(120, 320)와 그릴 가열부(130, 330)를 가동하여 조리대상의 외부와 함께 조리대상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장치(100, 300)는 고주파 가열부(120, 320)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대상의 내부를 가열하고, 그릴 가열부(130, 330)에 의한 복사열 또는 컨벡션 가열부(140, 340)에 의한 열풍을 이용하여 조리대상의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릴 가열부(130, 330) 또는 컨벡션 가열부(140, 340)와 함께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함으로서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대상의 내부까지 충분히 조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릴 가열부(130, 330) 또는 컨벡션 가열부(140, 340)만을 가동하는 것에 비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하는 컨벡션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질감을 갖도록 하거나,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및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내부 조리 스테이지와 튀김 조리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순서는 정해진 바가 없다. 즉, 조리장치(100, 300)는 튀김 조리 스테이지를 수행하여 조리대상의 겉면을 바삭바삭하게 한 후 내부 조리 스테이지를 수행하여 조리대상의 내부를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장치(100, 300)는 내부 조리 스테이지를 수행하여 조리대상의 내부를 조리한 후 튀김 조리 스테이지를 수행하여 조리대상의 겉면을 바삭바삭하게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조리장치(100, 300)는 제1 내부 조리 스테이지, 튀김 조리 스테이지, 제2 내부 조리 스테이지의 순서로 튀김 조리를 수행하거나 제1 튀김 조리 스테이즈, 내부 조리 스테이지, 제2 튀김 조리 스테이지의 순서로 튀김 조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튀김 조리 스테이지를 가장 마지막에 수행하는 경우 튀김 조리된 조리 대상의 바삭한 질감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으므로 조리장치(100, 300)가 튀김 조리 스테이지를 튀김 조리의 가장 마지막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튀김 조리 명령을 입력한 경우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가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조리장치(100, 300)가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앞서 조리대상을 몇 개의 식품군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식품군에 따른 조리장치(100, 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가공된 식품은 제1 식품군으로 정의한다. 가동된 식품이란 이미 1차 조리 과정을 마친 식품으로 냉동 핫도그, 냉동 치킨 너겟, 냉동 포테이토 칩, 냉동 크로켓, 냉동 스프링 롤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식품군은 가공되지 않은 식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드럼 스틱, 생감자 칩, 생감자 웨지 내지 생고구마 스틱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1조리시간, 제2조리시간 및 제3조리시간은 조리대상 및 조리대상의 중량에 따라 다른 값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품군의 제1조리시간, 제2 식품군의 제1조리시간 및 제3 식품군의 제1조리시간은 서로 다른 값을 갖을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식품군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가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일 예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튀김 조리 버튼(111a, 311a)을 통하여 튀김 조리 명령을 입력하고 조리대상 및 조리대상의 중량을 선택한 후 선택/동작 버튼(111f, 311f)을 통하여 동작 명령을 입력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이하에서 설명할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가 제1 식품군에 대하여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 14를 참조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제1 조리시간 동안 고주파 가열부(120, 32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여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제1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컨벡션 가열부(140, 340)의 가동은 유지한 채 고주파 가열부(120, 320)의 가동을 중지하여 제2 조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컨벡션 가열을 수행한다.
제1 조리시간 동안에는 컨벡션 가열부(140, 340)와 함께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함으로써 조리 장치(100, 300)는 컨벡션 가열을 통하여 조리대상의 겉면에 바삭한 질감이 생기도록 하고 고주파 가열을 통하여 조리대상의 내부까지 충분히 조리되도록 한다.
제1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고주파 가열부(120, 320)의 가동을 중지하고, 제2 조리시간까지 컨벡션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대상의 겉면에 더욱 바삭한 질감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일부 조리대상의 경우에는 고주파 가열을 통하여 조리 대상의 내부를 가열하는 동작 없이 컨벡션 가열만을 수행하여 조리 대상을 조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께가 비교적 얇은 조리 대상 또는 조리대상의 내부가 사전에 완전히 조리된 조리 대상은 고주파 가열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컨벡셕 가열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가 제2식품군에 대하여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 15 참조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제1조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고주파 가열부(120, 320)와 그릴 가열부(130, 330)를 동시에 가동하여 고주파 가열과 그릴 가열을 동시에 수행한다.
가공된 조리 대상의 경우 가공 과정에서 조리 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같은 색감을 갖게 되어 조리 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같은 질감을 갖도록 컨벡션 가열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만, 가공되지 않은 조리 대상의 경우 조리 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같은 색감 및 질감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리 장치(100, 300)는 제1 조리시간 동안 그릴 가열을 수행하고, 가공되지 않는 조리 대상의 내부까지 가열하기 위하여 조리 장치(100, 300)는 제1 조리시간 동안 고주파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이후 제1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고주파 가열부(120, 320)의 가동은 유지한 채 그릴 가열부(130, 330)의 가동을 중지하고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한다. 이후 제2조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고주파 가열부(120, 32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여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대상의 내부를 가열함과 함께 조리대상의 겉면에 바삭한 질감을 구현한다.
제2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조리장치(100, 300)는 고주파 가열부(120, 320)의 가동을 중지하고, 제3조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통하여 조리대상을 컨벡션 가열함으로써 조리대상의 겉면에 더욱 바삭한 질감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가 구체적인 조리대상에 대하여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다른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4는 조리대상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가 튀김 조리를 수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4에 도시된 튀김 조리 과정을 참조하면, 전체 튀김 조리 과정은 제1 스테이지, 제2 스테이지 및 제3 스테이지로 구분될 수 있다.
2개의 스테이지에 의하여 튀김 조리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제1 스테이지에서는 조리장치(100, 300)가 고주파 가열과 그릴 가열 또는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대상의 외부 및 내부를 가열하고, 제2 스테이지에서는 조리장치(100, 300)가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된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3개의 스테이지에 의하여 튀김 조리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에서는 고주파 가열과 그릴 가열,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각각 수행함으로써 조리대상의 외부 및 내부를 가열하고, 제2스테이지에서는 조리장치(100, 300)가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된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스테이지 사이에는 조리대상이 균일하게 조리되도록 사용자에게 조리대상을 뒤집을 것을 경고할 수 있으며, 각 스테이지의 지속시간은 조리대상 및 조리대상의 중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4에 도시된 막대 그래프 내부의 숫자는 고주파 가열시 고주파 가열부(120, 320)의 출력 또는 컨벡션 가열시 조리실(105, 305)의 목표온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6의 제1스테이지의 고주파 가열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내부의 "600W"는 고주파 가열부(120, 320)가 600W의 파워로 동작함을 의미하고, 제1스테이지의 컨벡션 가열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내부의 "200℃"는 컨벡션 가열에 의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200℃를 유지함을 의미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냉동 포테이토 칩(frozen oven chips)를 튀김 조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동 포테이토 칩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305)에는 턴테이블(104, 304)이 위치되고, 턴테이블(104, 304) 위에는 로우 렉(102, 302)이 위치한다. 또한, 로우 렉(102, 302) 위에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가 위치되고, 냉동 포테이토 칩은 크러스티 용기(109, 309) 위에 위치됨으로써 냉동 포테이토 칩의 저면이 크러스티 용기(109, 309)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포테이토 칩이 300g 내지 350g인 경우 4분, 냉동 포테이토 칩이 450g 내지 500g인 경우 6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냉동 포테이토 칩의 내부 및 외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60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200℃의 목표온도로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장치(100, 300)는 컨벡션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대상의 외부를 가열함과 함께 고주파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대상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벡션 가열을 수행하는 것과 함께 고주파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컨벡션 가열만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제1 스테이지가 종료되면 조리장치(100, 300)는 냉동 포테이토 칩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조리실(105, 305)의 냉동 포테이토 칩을 뒤집어 줄 것을 경고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포테이토 칩이 300g 내지 350g인 경우 22분, 냉동 포테이토 칩이 450g 내지 500g인 경우 23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200℃의 목표온도로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제1스테이지에서 수행한 컨벡션 가열에 의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이미 200℃에 도달하였을 것이므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포테이토 칩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컨벡션 가열과 함께 그릴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조리된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시한 색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릴 가열과 함께 컨벡션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대상의 전면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냉동 프론(frozen prawns)를 튀김 조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동 프론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305)에는 턴테이블(104, 304)이 위치되고, 턴테이블(104, 304) 위에는 로우 렉(102, 302)이 위치한다. 또한, 로우 렉(102, 302) 위에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가 위치되고, 냉동 프론은 크러스티 용기(109, 309) 위에 위치됨으로써 냉동 프론의 저면이 크러스티 용기(109, 309)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프론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12분, 냉동 프론이 300g 내지 350g인 경우 15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200℃를 목표 온도로 하여 그릴 가열부(130, 330) 및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할 수 있다. 냉동 프론의 튀김 조리의 경우, 사전에 조리실(105, 305)를 가열하는 컨벡션 가열 내지 그릴 가열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조리장치(100, 300)는 조리실(105, 305) 내부의 온도가 목표온도인 200℃에 도달할 때까지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고, 조리실(105, 305) 내부의 온도가 목표온도인 200℃에 도달하면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신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조리된 프론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시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냉동 치킨 너겟(frozen chicken nuggets)을 튀김 조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동 치킨 너겟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305)에는 턴테이블(104, 304)이 위치되고, 턴테이블(104, 304) 위에는 로우 렉(102, 302)이 위치한다. 또한, 로우 렉(102, 302) 위에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가 위치되고, 냉동 치킨 너겟은 크러스티 용기(109, 309) 위에 위치됨으로써 냉동 치킨 너겟의 저면이 크러스티 용기(109, 309)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치킨 너겟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5분, 냉동 치킨 너겟이 350g 내지 400g인 경우 6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냉동 치킨 너겟의 내부 및 외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45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200℃의 목표온도로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할 수 있다.
제1스테이지가 종료되면 조리장치(100, 300)는 냉동 치킨 너겟이 균일하게 조리되도록 사용자에게 조리실(105, 305)의 냉동 치킨 너겟을 뒤집을 것을 경고한다.
제2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치킨 너겟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2분, 냉동 치킨 너겟이 350g 내지 400g인 경우 3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치킨 너겟의 내부 및 외부를 충분히 가열하여 위하여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수행한다.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45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200℃의 목표온도로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할 수 있다.
제3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치킨 너겟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5분, 냉동 치킨 너겟이 350g 내지 400g인 경우 5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구체적으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200℃의 목표온도로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제1스테이지 내지 제2스테이지에서 수행한 컨벡션 가열에 의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이미 200℃에 도달하였을 것이므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조리된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냉동 크로켓(frozen potato croquettes)를 튀김 조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동 크로켓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305)에는 턴테이블(104, 304)이 위치되고, 턴테이블(104, 304) 위에는 로우 렉(102, 302)이 위치한다. 또한, 로우 렉(102, 302) 위에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가 위치되고, 냉동 크로켓은 크러스티 용기(109, 309) 위에 위치됨으로써 냉동 크로켓의 저면이 크러스티 용기(109, 309)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크로켓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4분, 냉동 크로켓이 300g 내지 350g인 경우 5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냉동 크로켓의 내부 및 외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60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200℃의 목표온도로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할 수 있다.
제2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크로켓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12분, 냉동 크로켓이 300g 내지 350g인 경우 14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200℃의 목표온도로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제1스테이지에서 수행한 컨벡션 가열에 의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이미 200℃에 도달하였을 것이므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크로켓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냉동 스프링 롤(frozen spring rolls)를 튀김 조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동 스프링 롤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305)에는 턴테이블(104, 304)이 위치되고, 턴테이블(104, 304) 위에는 로우 렉(102, 302)이 위치한다. 또한, 로우 렉(102, 302) 위에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가 위치되고, 냉동 스프링 롤은 크러스티 용기(109, 309) 위에 위치됨으로써 냉동 스프링 롤의 저면이 크러스티 용기(109, 309)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스프링 롤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3분, 냉동 스프링 롤이 350g 내지 400g인 경우 5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냉동 스프링 롤의 내부 및 외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45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200℃의 목표온도로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할 수 있다.
제2스테이지(예를 들어, 냉동 스프링 롤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5분, 냉동 스프링 롤이 350g 내지 400g인 경우 7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200℃의 목표온도로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제1스테이지에서 수행한 컨벡션 가열에 의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이미 200℃에 도달하였을 것이므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스프링 롤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프렌치 프라이(homemade french fries)를 튀김 조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렌치 프라이가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305)에는 턴테이블(104, 304)이 위치되고, 턴테이블(104, 304) 위에는 로우 렉(102, 302)이 위치한다. 또한, 로우 렉(102, 302) 위에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가 위치되고, 프렌치 프라이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 위에 위치됨으로써 프렌치 프라이의 저면이 크러스티 용기(109, 309)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스테이지(예를 들어, 프렌치 프라이가 300g 내지 350g인 경우 8분, 프렌치 프라이가 450g 내지 500g인 경우 14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프렌치 프라이의 내부 및 외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60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200℃의 목표온도로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가 종료되면 조리장치(100, 300)는 프렌치 프라이가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조리실(105, 305)의 프렌치 프라이를 뒤집어 줄 것을 경고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예를 들어, 프렌치 프라이가 300g 내지 350g인 경우 18분, 프렌치 프라이가 450g 내지 500g인 경우 20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200℃의 목표온도로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제1스테이지에서 수행한 컨벡션 가열에 의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이미 200℃에 도달하였을 것이므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프렌치 프라이가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포테이토 웨지(potato wedges)를 튀김 조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테이토 웨지가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305)에는 턴테이블(104, 304)이 위치되고, 그릴 가열부(130, 330)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에 의하여 충분히 조리되도록 턴테이블(104, 304) 위에는 하이 렉(102, 302)이 위치한다. 또한, 하이 렉(102, 302) 위에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가 위치되고, 포테이토 웨지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 위에 위치됨으로써 포테이토 웨지의 저면이 크러스티 용기(109, 309)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스테이지(예를 들어, 포테이토 웨지가 200g 내지 250g인 경우 10분, 포테이토 웨지가 300g 내지 350g인 경우 12분, 포테이토 웨지가 400g 내지 450g인 경우 14분)에서 포테이토 웨지의 내부 및 외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과 그릴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포테이토 웨지는 사전에 조리되지 않은 식품이므로 컨벡션 가열을 통하여 기름에 튀긴 포테이토 웨지와 유시한 색감을 갖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포테이토 웨지의 경우 조리장치(100, 300)는 제1스테이지에서 고주파 가열과 함께 그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30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그릴 가열부(130, 330)를 가동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예를 들어, 포테이토 웨지가 200g 내지 250g인 경우 5분, 포테이토 웨지가 300g 내지 350g인 경우 5분, 포테이토 웨지가 400g 내지 450g인 경우 5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200℃의 목표온도로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에서 수행한 그릴 가열에 의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이미 200℃에 도달하였을 것이므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포테이토 칩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드럼스틱(drumsticks)을 튀김 조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드럼스틱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305)에는 턴테이블(104, 304)이 위치되고, 그릴 가열부(130, 330)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에 의하여 드럼스틱이 충분히 조리되도록 턴테이블(104, 304) 위에는 하이 렉(102, 302)이 위치한다. 또한, 드럼스틱으로부터 기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이 렉(102, 302) 위에 위치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스테이지(예를 들어, 드럼스틱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10분, 드럼 스틱이 300g 내지 350g인 경우 11분, 드럼스틱이 400g 내지 450g인 경우 13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드럼스틱의 내부 및 외부를 익히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과 그릴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드럼스틱은 사전에 조리되지 않은 식품이므로 컨벡션 가열을 통하여 기름에 튀긴 드림스틱과 유시한 색감을 갖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드럼스틱의 경우 조리장치(100, 300)는 제1스테이지에서 고주파 가열과 함께 그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30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그릴 가열부(130, 330)를 가동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가 종료되면 조리장치(100, 300)는 드럼 스틱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조리실(105, 305)의 드럼 스틱을 뒤집어 줄 것을 경고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스틱은 기름 제거를 위하여 크러스티 용기(109, 309)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드럼스틱의 저면이 충분히 가열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드럼 스틱을 뒤집어 줄 것을 경고함과 함께 조리를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테이지(예를 들어, 드럼 스틱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7분, 드럼 스틱이 300g 내지 350g인 경우 8분, 드럼 스틱이 400g 내지 450g인 경우 9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드럼 스틱의 내부 및 외부를 충분히 익히기 위하여 동안 고주파 가열과 컨벡션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30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200℃의 목표온도로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가동할 수 있다.
제3 스테이지(예를 들어, 드럼 스틱이 200g 내지 250g인 경우 7분, 드럼 스틱이 300g 내지 350g인 경우 7분, 드럼 스틱이 400g 내지 450g인 경우 8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200℃의 목표온도로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 내지 제2 스테이지에서 수행한 컨벡션 가열 및 그릴 가열에 의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이미 200℃에 도달하였을 것이므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조리된 조리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애플 하프(apple halves)를 튀김 조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애플 하프가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305)에는 턴테이블(104, 304)이 위치되고, 턴테이블(104, 304) 위에는 로우 렉(102, 302)이 위치한다. 또한, 로우 렉(102, 302) 위에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가 위치되고, 애플 하프는 크러스티 용기(109, 309) 위에 위치됨으로써 애플 하프의 저면이 크러스티 용기(109, 309)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스테이지(예를 들어, 사과가 300g 내지 350g인 경우 6분, 사과가 400g 내지 450g인 경우 9분)에서 사과의 내부 및 외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과 그릴 가열을 함께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180W의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120, 320)를 가동하고 그릴 가열부(140, 340)를 가동할 수 있다.
제2스테이지(예를 들어, 사과가 300g 내지 350g인 경우 4분, 사과가 400g 내지 450g인 경우 3분)에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00, 300)는 180℃의 목표온도로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제1스테이지에서 수행한 그릴 가열에 의하여 조리실(105, 305)의 온도가 이미 180℃에 도달하였을 것이므로 조리장치(100, 300)는 그릴 가열부(130, 330)와 컨벡션 가열부(140, 340)를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애플 하프가 기름에 튀겨진 것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도 25는 도 16 내지 도 24에 도시된 조리방법을 요약한 도표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슬림 프라이 조리모드는 마지막 스테이지에서 컨벡션 가열부(140, 340)와 그릴 가열부(130, 330)를 동시에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조리 대상이 기름에 튀겨진 조리 대상과 유사한 색감,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될 것이다.
100, 300: 조리장치 105, 305: 조리실
110, 310: 컨트롤 패널 120, 320: 고주파 가열부
130, 330: 그릴 가열부 140, 340: 컨벡션 가열부
109, 309: 크러스티 용기 410: 온도감지부
420: 제어부 430: 저장부

Claims (24)

  1. 조리실, 상기 조리실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튀김조리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그릴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고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를 수행하고;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지 않은 채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와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는 상기 사용자의 튀김조리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그릴 가열부과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고;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하는 것은,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의 턴온 및 턴오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조리 명령을 입력받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조리대상 및 조리대상의 중량을 입력받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은,
    상기 조리대상 및 상기 중량에 따라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출력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출력 파워에 따라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은,
    상기 조리대상 및 상기 중량에 따라 상기 조리실의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상기 결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여 상기 고주파 가열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 수행 시간은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 수행 시간보다 긴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여 상기 고주파 가열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 수행 시간은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 수행 시간보다 더 긴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조리 명령은 상기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에 마련된 단일의 버튼을 통하여 입력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조리실;
    조리실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
    상기 고주파에 의하여 가열되어 발열하는 크러스티(crusty) 용기;
    사용자로부터 튀김 조리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튀김조리 명령이 입력되면,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그릴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고,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에서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지 않은 채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에서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그릴 가열부과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고,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하는 것인 조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하기 위하여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컨벡션 가열부의 턴온 및 턴오프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인 조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인 조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것인 조리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스티 용기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플레이트;
    상기 고주파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은 페라이트-고무(ferrite-rubber) 복합체인 것인 조리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그릴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경우, 조리대상이 위치하는 하이 렉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에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경우, 조리대상이 위치하는 로우 렉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21. 조리실, 상기 조리실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상기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튀김조리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는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를 수행하고;
    상기 고주파 가열의 가동 없이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가동하는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와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는 상기 사용자의 튀김조리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고;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컨벡션 가열부를 간헐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프라이 스테이지의 수행 시간은 상기 고주파 가열 스테이지의 수행 시간보다 긴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조리 명령은 상기 조리 장치의 컨트롤 패널에 마련된 단일의 버튼을 통하여 입력되는 것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56086A 2012-08-29 2013-05-1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1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967A KR20140030023A (ko) 2012-08-29 2013-01-2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30056086A KR101814530B1 (ko) 2012-08-29 2013-05-1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13219189A AU2013219189B2 (en) 2012-08-29 2013-08-21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2762MU2013 IN2013MU02762A (ko) 2012-08-29 2013-08-23
US14/010,898 US9035224B2 (en) 2012-08-29 2013-08-27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181967.4A EP2704526B2 (en) 2012-08-29 2013-08-28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L13181967T PL2704526T5 (pl) 2012-08-29 2013-08-28 Urządzenie do gotowania i sposób jego sterowania
EP16153528.1A EP3041316A1 (en) 2012-08-29 2013-08-28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153527.3A EP3041315B1 (en) 2012-08-29 2013-08-28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HUE13181967A HUE029426T2 (en) 2012-08-29 2013-08-28 Cooking equipment and control procedure for this
RU2013140078/07A RU2565046C2 (ru) 2012-08-29 2013-08-28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CN201711421283.7A CN108158425B (zh) 2012-08-29 2013-08-29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CN201310385080.2A CN103672993B (zh) 2012-08-29 2013-08-29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US14/691,179 US9433233B2 (en) 2012-08-29 2015-04-20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239,342 US11546976B2 (en) 2012-08-29 2016-08-17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968,489 US20230038969A1 (en) 2012-08-29 2022-10-18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5286 2012-08-29
KR1020120095286 2012-08-29
KR1020130008967A KR20140030023A (ko) 2012-08-29 2013-01-2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30008967 2013-01-26
KR1020130056086A KR101814530B1 (ko) 2012-08-29 2013-05-1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611A Division KR101901937B1 (ko) 2012-08-29 2017-12-27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029A true KR20140030029A (ko) 2014-03-11
KR101814530B1 KR101814530B1 (ko) 2018-01-12

Family

ID=490354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967A KR20140030023A (ko) 2012-08-29 2013-01-2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30056086A KR101814530B1 (ko) 2012-08-29 2013-05-1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967A KR20140030023A (ko) 2012-08-29 2013-01-2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9035224B2 (ko)
EP (3) EP3041316A1 (ko)
KR (2) KR20140030023A (ko)
CN (2) CN108158425B (ko)
AU (1) AU2013219189B2 (ko)
HU (1) HUE029426T2 (ko)
IN (1) IN2013MU02762A (ko)
PL (1) PL2704526T5 (ko)
RU (1) RU2565046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15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5630B (zh) * 2014-11-21 2019-04-16 上海松下微波炉有限公司 双动力烧烤微波炉及其烹饪方法
KR101646399B1 (ko) * 2014-12-05 2016-08-0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US10251223B2 (en) * 2015-05-20 2019-04-02 Illinois Tool Works Inc.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able heat zones in an oven
KR102424691B1 (ko) * 2015-11-16 202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332676A1 (en) * 2016-05-23 2017-11-23 Innit International S.C.A. Dynamic Power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Temperature Control For Conditioners
WO2018056977A1 (en) 2016-09-22 2018-03-2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 electromagnetic energy delivery
US11051371B2 (en) 2016-10-19 2021-06-2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magnetic cooking using closed loop control
US11041629B2 (en) 2016-10-19 2021-06-22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ood preparation utilizing a multi-layer model
EP3530074A4 (en) 2016-10-19 2020-05-27 Whirlpool Corporation MODULATION OF THE COOKING TIME OF FOOD
CN109417840B (zh) 2016-11-18 2022-04-08 惠而浦有限公司 具有多个馈送端口的微波炉的波导的rf功率控制系统及其方法
CN106724742A (zh) * 2016-12-08 2017-05-3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电烹饪器具的控制方法和电烹饪器具
US11202348B2 (en) 2016-12-22 2021-12-1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magnetic cooking using non-centered loads management through spectromodal axis rotation
US11197355B2 (en) 2016-12-22 2021-12-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magnetic cooking using non-centered loads
WO2018125136A1 (en) 2016-12-29 2018-07-05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ing distribution in a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EP3563633B1 (en) 2016-12-29 2021-11-17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oking level of food load
US11503679B2 (en) 2016-12-29 2022-11-15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ith automatic popcorn popping feat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in the electromagnetic device
EP3563636B1 (en) 2016-12-29 2021-10-13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for a cooking device
EP3563635B1 (en) 2016-12-29 2022-09-28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ith automatic liquid he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in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EP3563629B1 (en) 2016-12-29 2022-11-30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frequency response of a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EP3563631B1 (en) 2016-12-29 2022-07-27 Whirlpool Corporation Detecting changes in food load characteristics using q-factor
EP3563628B1 (en) 2016-12-29 2021-08-25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hanges in food load characteristics using coefficient of variation of efficiency
US11917743B2 (en) 2016-12-29 2024-02-27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ith automatic melt oper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in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O2018125151A1 (en) 2016-12-29 2018-07-05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ith automatic anti-splatter oper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in the electromagnetic device
WO2018125146A1 (en) 2016-12-29 2018-07-05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with automatic boiling dete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in the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US10721948B1 (en) 2017-02-08 2020-07-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ir sous-vide
JP6867194B2 (ja) * 2017-03-06 2021-04-28 大阪瓦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20190327795A1 (en) * 2018-04-24 2019-10-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appliance with direct temperature measurement and related methods
US11632828B2 (en) 2019-08-13 2023-04-1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ing appliance operable in a crisp reheat cycle
EP3804585B1 (en) 2019-10-10 2022-12-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operating a cooking oven
US11696373B2 (en) * 2020-03-31 2023-07-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Turntable positioning for cooking appliance meal cook cycle
US11910512B2 (en) * 2020-03-31 2024-02-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Turntable oscillation during cooking appliance meal cook cycle
CN114794899A (zh) * 2021-01-29 2022-07-29 广东名健电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烤炉
CN114739085A (zh) * 2022-04-18 2022-07-12 安徽省万爱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解冻功能的冰箱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9656A (en) * 1969-07-24 1971-03-09 Bowmar Tic Inc Automatic cooking cycle control system for microwave ovens
US3824365A (en) * 1972-12-07 1974-07-16 Litton Systems Inc Microwave oven control system
AU534381B2 (en) * 1979-09-14 1984-01-26 K.K. Toshiba Microwave oven
US4396817A (en) 1980-03-31 1983-08-02 Litton Systems, Inc. Method of browning food in a microwave oven
EP0078325B1 (en) * 1981-05-13 1986-1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ating device
CA1289627C (en) 1985-02-15 1991-09-24 Masanobu Fujii Infrared ray and microwave heating appliance
EP0233838A3 (en) 1986-02-04 1990-01-31 Incyte Pharmaceuticals, Inc. Neurite-promoting factor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FR2660053B1 (fr) * 1990-03-22 1993-04-23 Moulinex Sa Procede de cuisson pour un four a chauffage combine par convection, gril et micro-ondes.
SE467336B (sv) 1990-09-28 1992-06-29 Whirlpool Int Mikrovaagsugn med bryningsmedel, brynplatta foer anvaendning i en mikrovaagsugn
JP2853558B2 (ja) 1994-04-04 1999-02-03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JP3260058B2 (ja) 1995-05-26 2002-02-25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KR100200780B1 (ko) * 1996-02-23 1999-06-15 윤종용 전자렌지의 히터구동 제어장치
KR100218958B1 (ko) * 1996-02-23 1999-09-01 윤종용 전자렌지의 트레이 구동 제어방법
KR100215036B1 (ko) 1996-06-26 1999-08-16 윤종용 전자 렌지의 해동 장치 및 그 해동 방법
JP2002147769A (ja) * 2000-11-06 2002-05-22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US6987252B2 (en) * 2001-01-11 2006-01-17 General Electric Company Speedcooking oven including convection/bake mode and microwave heating
EP1329163A1 (fr) * 2002-01-18 2003-07-23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Elaboration de produits ayant un aspect roti
US9351495B2 (en) 2002-07-05 2016-05-31 Turbochef Technologies, Inc. Air fryer
DE602004001073T2 (de) * 2003-03-12 2007-06-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Hochfrequenzheizapparat versehen mit Dampferzeugungsfunktion
US6815644B1 (en) * 2003-03-17 2004-11-09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rack cooking in speedcook ovens
US7946224B2 (en) * 2003-07-07 2011-05-24 Turbochef Technologies, Inc. Griddle
CN1626903A (zh) * 2003-12-12 2005-06-1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的保温控制装置及其方法
JP2005207657A (ja) * 2004-01-22 200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装置
US7009147B1 (en) * 2005-01-12 2006-03-07 Maytag Corporation Operational modes for a cooking appliance employing combination cooking technology
CN1888552A (zh) * 2005-06-27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对流式微波炉
JP4512524B2 (ja) * 2005-06-28 2010-07-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EP1781070A3 (en) * 2005-10-26 2007-12-19 Whirlpool Corporation Accessory for domestic microwave ovens
US8173942B2 (en) * 2005-10-31 2012-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Self-cleaning over the range oven
KR20070062805A (ko) 2005-12-13 2007-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GB2439520B (en) 2006-06-22 2011-05-11 Panasonic Mfg Uk Ltd Rack Assembly
JP4934519B2 (ja) 2007-06-20 2012-05-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方法
US9006619B2 (en) * 2007-10-09 2015-04-14 Acp, In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combination heating system
JP5131969B2 (ja) * 2007-12-19 2013-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20100193507A1 (en) * 2009-01-30 2010-08-05 General Electric Company Speedcooking oven
JP2011102661A (ja) 2009-11-10 2011-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CN102125070A (zh) * 2010-01-15 2011-07-20 昆山好烤克食品机械有限公司 烘烤工艺及其烘烤机
KR101474495B1 (ko) * 2010-11-22 2014-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합형 전자레인지
CH704191A2 (de) * 2012-04-18 2012-05-31 V Zug Ag Gargerät und Verfahren zum Garen von Gargu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15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WO2017123001A1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530B1 (ko) 2018-01-12
EP3041316A1 (en) 2016-07-06
RU2565046C2 (ru) 2015-10-20
US9433233B2 (en) 2016-09-06
KR20140030023A (ko) 2014-03-11
US20160360578A1 (en) 2016-12-08
IN2013MU02762A (ko) 2015-07-03
US20150230502A1 (en) 2015-08-20
CN103672993B (zh) 2018-01-26
EP3041315B1 (en) 2022-10-12
US20140061189A1 (en) 2014-03-06
PL2704526T3 (pl) 2016-10-31
EP2704526B2 (en) 2019-05-01
CN108158425B (zh) 2020-12-25
RU2013140078A (ru) 2015-03-10
EP2704526B1 (en) 2016-03-30
AU2013219189B2 (en) 2017-06-22
US9035224B2 (en) 2015-05-19
EP3041315A1 (en) 2016-07-06
CN103672993A (zh) 2014-03-26
CN108158425A (zh) 2018-06-15
AU2013219189A1 (en) 2014-03-20
HUE029426T2 (en) 2017-03-28
US11546976B2 (en) 2023-01-03
EP2704526A1 (en) 2014-03-05
PL2704526T5 (pl) 2019-11-29
US20230038969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8969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823096B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CA2459604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peedcooking oven
KR101120397B1 (ko) 가열조리기와 비타민 c를 증가시키는 조리 방법
JP5355735B2 (ja) 加熱調理器及び調理方法
KR101901937B1 (ko) 조리장치
JP6641560B2 (ja) 加熱調理器
JP2023016049A (ja) 加熱調理器
KR20170057065A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7203561A (ja) 加熱調理器
JP6724274B2 (ja) 加熱調理器
JP5025308B2 (ja) 加熱調理器及びビタミンcを増加させる調理方法
JP2009085517A (ja) 加熱調理器
JP2023085502A (ja) オーブンレンジ
JP2022084280A (ja) 加熱調理器
KR20050081663A (ko) 조리용 오븐의 온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