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691B1 -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691B1
KR102424691B1 KR1020150160682A KR20150160682A KR102424691B1 KR 102424691 B1 KR102424691 B1 KR 102424691B1 KR 1020150160682 A KR1020150160682 A KR 1020150160682A KR 20150160682 A KR20150160682 A KR 20150160682A KR 102424691 B1 KR102424691 B1 KR 10242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time
heating unit
unit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065A (ko
Inventor
임규식
신현식
정진호
장홍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691B1/ko
Priority to PCT/KR2016/013145 priority patent/WO2017086678A1/ko
Priority to EP16866630.3A priority patent/EP3361162A4/en
Priority to US15/776,758 priority patent/US11140754B2/en
Priority to CN201680066912.6A priority patent/CN108291723A/zh
Publication of KR20170057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4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6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the refrigerating air being used for conv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91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 H05B6/6494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for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는 시머조리 기능에 적합한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시머조리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조리용기가 수용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용기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1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1시간이 경과하면 제2시간 동안 턴 오프시키는 과정을 조리시간 동안 반복하는 조리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COC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조리실 내부로 공급하여 조리대상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최근의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고주파 가열장치 이외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장치, 대류열을 공급하는 컨벡션장치 등을 구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대상을 가열하고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는 다양한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대상에 따라 자동으로 조리대상을 조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데우거나, 그릴장치를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굽거나, 컨벡션장치를 이용하여 조리대상을 익히는 기능은 제공하고 있다.
다만, 죽, 찌개, 스프, 국, 조림, 탕처럼 냄비나 솥과 같은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조리방식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시머조리 기능에 적합한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시머조리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조리용기가 수용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용기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1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1시간이 경과하면 제2시간 동안 턴 오프시키는 과정을 조리시간 동안 반복하는 조리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도록 마련된 시머조리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시머조리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1오브젝트를 상기 조리시간 동안 표시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보온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2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오브젝트 및 제2오브젝트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와 관련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리시간의 경과를 알리는 제1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보온시간의 경과를 알리는 제2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운드 및 제2사운드는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신호음 또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조리과정의 수행 중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출력파워보다 낮은 출력파워로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4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4시간이 경과하면 제5시간 동안 턴 오프시키는 과정을 보온시간 동안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그릴 가열부를 제6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6시간이 경과하면 제7시간 동안 턴 오프시키는 과정을 보온시간 동안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주파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본체를 가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페라이트-고무(ferrite-rubber)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은 고주파가 투과할 수 있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조리용기가 수용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용기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1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1시간이 경과하면 제2시간 동안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턴 오프시키고; 조리시간 동안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리장치는 조리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서 시머조리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1오브젝트를 상기 조리시간 동안 표시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보온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2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장치는 조리와 관련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조리시간의 경과를 알리는 제1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보온시간의 경과를 알리는 제2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보온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조리과정의 수행 중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출력파워보다 낮은 출력파워로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4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4시간이 경과하면 제5시간 동안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턴 오프시키고; 보온시간 동안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장치는 상기 조리용기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그릴 가열부를 제6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6시간이 경과하면 제7시간 동안 상기 그릴 가열부를 턴 오프시키고; 보온시간 동안 상기 그릴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시머나 솥을 이용한 요리를 전자레인지와 같은 고주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도1a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 1a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냉각팬, 고주파 가열부 등이 포함된 전장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 및 도 3c는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냉각팬, 고주파 가열부, 그릴 가열부, 컨벡션 가열부 등이 포함된 전장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e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를 통한 조리 시 고주파의 이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시머조리 기능의 수행을 위한 고주파 가열부의 동작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9a는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시머조리 기능의 수행을 위한 고주파 가열부 및 그릴 가열부의 동작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시머조리 기능의 수행을 위한 고주파 가열부 및 컨벡션 가열부의 동작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모든 조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조리장치로는 전자레인지, 전자오븐, 복합오븐 등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인 전자레인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a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랙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도 1a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냉각팬, 고주파 가열부 등이 포함된 전장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및 도 3c는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냉각팬, 고주파 가열부, 그릴 가열부, 컨벡션 가열부 등이 포함된 전장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a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조리장치(3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01), 하우징(301)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할 조리대상을 수용하는 조리실(305), 하우징(301)의 전면에 마련되어 조리실(305)을 개폐하는 도어(303), 조리실(305)의 우측에 마련되어 고주파 가열부(320) 등이 설치되는 전장실(307) 및 사용자로부터 조리장치(300)의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 패널(310)을 포함한다.
하우징(301)과 조리실(305) 사이에는 조리실(305)을 감싸도록 단열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재는 조리실(305)을 외부와 단열시킨다.
도 1a 내지 도 3a에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가 조리실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100)는 냄비나 솥을 이용한 죽, 찌개, 스프, 국, 조림, 탕 등의 시머조리(simmer cooking)에 사용될 수 있다. 조리용기(100)와 이를 이용한 조리장치(300)의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어(303)는 그 일측이 힌지(hinge, 303a)를 통하여 하우징(30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어(303)가 닫히면 도어(303)는 힌지(303a)의 반대측에 마련된 래치(latch, 303b)를 통하여 하우징에 고정된다.
도어(303)는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03a)를 통하여 하우징(301)의 전면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어(303)의 부착위치는 하측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303)는 힌지(303a)를 통하여 하우징(301)의 전면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조리장치(300)는 조리실(305) 내부에서 조리대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turntable)(304)과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하이 랙(high rack)(102a) 또는 로우 랙(low rack)(10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조리용기는 턴테이블 또는 랙 위에 놓여져 조리장치에 수용될 수 있다.
조리실(305) 우측에 마련된 전장실(307)은 조리실(305) 내부로 고주파(microwave)를 방사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고주파 가열부(320)와, 고주파 가열부(320)를 구동하기 위해 마련된 고압트랜스(360)와, 고압콘덴서(370)와, 고압다이오드(380)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외기를 흡입하여 전장실(307) 내부의 부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340)과, 냉각팬(340)에 의해 유입된 외기를 조리실(305)로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350)를 포함한다.
고압트랜스(High Voltage Trans)(360)는 상용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2000V 정도의 고전압을 출력한다. 고압트랜스(360)에서 출력된 고전압은 고압콘덴서(370)와 고압다이오드(380)에 의해 배압되어 4000V 정도로 유지된다. 고압콘덴서(370)와 고압다이오드(380)에 의해 배압된 전압은 마그네트론에 공급된다. 마그네트론은 2.45GHz 주파수의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조리실(305) 내부의 우측 벽면을 통해 고주파를 조리실(305) 내부로 방사한다. 고주파 가열부(320)에 의하여 방사된 고주파는 조리실(305)에 위치한 조리대상을 투과하여 조리대상의 내부까지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주파 가열부(320)는 최대 출력 파워의 고주파만을 출력하는 고정출력 고주파 가열부를 채용할 수 있다. 고정출력 고주파 가열부는 고주파를 방사하는 시간과 고주파를 방사하지 않는 시간의 비율을 통하여 다양한 파워의 고주파를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출력이 900W인 경우, 20초간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고 10초간 고주파 가열부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평균적으로 600W의 고주파를 방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주파 가열부(320)는 구동회로로서 인버터(inverter)를 채용하여 직접 다양한 파워의 고주파를 방사하는 가변출력 고주파 가열부를 채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장치(300)는 조리실(305)에 위치하는 조리대상에 복사열을 제공하는 그릴 가열부(330)와 열풍을 생성하여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컨벡션 가열부(3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릴 가열부(330)는 조리실(305) 상측에 마련되며,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히터(331)와 방사된 복사열을 조리실(305) 내부로 집중시키는 반사판(3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릴히터(331)는 강한 복사열을 방출하는 할로겐 램프, 전기적 저항을 통하여 줄 열을 방출하는 열선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릴히터(331)에 의하여 방사된 복사열은 조리실(305) 내부로 직접 복사되거나 반사판(333)에 반사된 후 조리실(305) 내부로 복사되어 조리실(305)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대상을 복사 가열한다.
그릴 가열부(330)에 의하여 제공되는 복사열은 구이 조리를 한 것과 같이 조리대상의 겉면을 단단하게 할 수 있다.
컨벡션 가열부(140)는 조리실(105)의 좌측 벽면 외측에 마련되며, 조리대상을 가열하기 위한 열풍을 생성하는 컨벡션 히터(341), 컨벡션 히터(341) 주위의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105) 내부로 공급하는 컨벡션 순환팬(343), 컨벡션 순환팬(34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컨벡션 구동모터(345)를 포함한다.
컨벡션 순환팬(343)은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조리실(105)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그 반경 방향으로 송풍시킨다. 컨벡션 히터(141)는 컨벡션 순환팬(143)을 감싸듯이 컨벡션 순환팬(143)의 외곽을 따라 마련되어 컨벡션 순환팬(143)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이와 같은 컨벡션 히터(141)는 전기적 저항에 의하여 줄 열(Joule`s Heats)을 생성하는 열선을 채용할 수 있다.
컨벡션 순환팬(143)은 조리실(105)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고, 컨벡션 히터(141)는 컨벡션 순환팬(143)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고, 컨벡션 히터(141)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는 조리실(105)로 제공된다.
한편, 냉각팬(340)은 외부의 공기를 전장실(307) 및 조리실(305)로 유입시킨다. 조리장치(300)의 후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이 유입홀에 냉각팬(340)이 마련된다.
조리장치(300)가 작동할 때, 고주파 가열부(320)나 고압트랜스(36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장실(307)의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냉각팬(340)은 외부의 공기를 전장실(307)로 유입시켜 전장실(307)의 온도를 낮춘다.
가이드 덕트(350)는 냉각팬(340)에 의해 전장실(307)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조리실(305)로의 유입을 안내한다. 조리실(305)의 우측면에는 냉각팬(34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302)이 형성된다. 가이드 덕트(350)는 조리실(305) 우측면에 형성된 홀(302)에 설치된다. 가이드 덕트(35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홀(302)을 통해 조리실(305)로 이동한다.
가이드 덕트(350)에는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댐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댐퍼는 가이드 덕트(350)의 공기 유입구를 개방하여 공기가 가이드 덕트(350)로 진입하도록 하거나 공기 유입구를 폐쇄하여 가이드 덕트(350)로의 공기 유입을 막는다.
컨트롤 패널(310)은 하우징(301)의 전면 우측에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310)은 사용자로부터 조리장치(300)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1) 및 조리장치(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13)를 포함한다.
입력부(311)는 컨트롤 패널(310)의 하측에 마련되며, 사용자로부터 조리의 개시, 조리시간, 조리의 취소 및 일시중지 등의 다양한 동작 명력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311)는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다이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11)는 스팀조리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스팀조리 버튼(311a), 시머조리 명령을 입력받는 시머조리버튼(311b), 고주파 가열, 그릴 가열, 컨벡션 가열 중에서 가열 방식을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들(311c), 조리시간 내지 조리대상의 중량 등을 입력하는 다이얼(311d), 조리장치(300)의 가동 중지 명령을 입력하는 취소 버튼(311e) 및 조리장치(300)의 가동 명령을 입력하는 선택/동작 버튼(311f)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를 통하여 사용자가 해당 버튼의 기능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311)는 문자뿐만 아니라, 버튼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고안된 도형이나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가 버튼의 기능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313)는 컨트롤 패널(3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조리장치(300)의 출력, 조리시간 등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3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300)는 입력부(311)와 표시부(31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311)와 표시부(313)가 일체로 마련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 있다.
시머조리버튼을 통한 명령이 입력되면, 다양한 시머요리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미리 저장된 시머요리들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르스치(Borsch), 크림 펌프킨 스프(Cream Pumpkin soup), 크림 머쉬룸 스프(Cream Mushroom soup)와 같이 끓이는 조리과정이 필요한 시머요리들이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시머요리 중 원하는 시머요리를 선택하여 각 시머요리에 적합하게 설정된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시머요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100)는 조리 대상을 담을 수 있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를 덮도록 마련되는 뚜껑(140)과, 용기본체의 저면에 부착되는 발열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용기본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121)를 포함한다.
발열체는 페라이트-고무(ferrite-rubber) 복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페라이트-고무 복합체는 고주파 가열부(320)에서 방사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하고, 발열체가 부착된 상기 용기본체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용기본체는 발열체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조리대상에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는 시머조리에 적합하게 그 높이가 60mm 이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열체는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것처럼, 그 저면에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심원 형상은 일 예일 뿐, 발열체 저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돌출부에 의해 발열체와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면 사이에는 돌출부의 높이만큼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용기가 전술한 턴 테이블이나 랙에 놓여질 경우, 금속재질의 용기본체에서 반사된 고주파가 도 5e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부에 의해 턴테이블 또는 랙과 발열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발열체로 흡수되어, 발열체가 보다 집중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뚜껑은 고주파가 뚜껑을 투과하여 조리대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고주파가 통과할 수 있는 유리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는 시머조리 명령에 따른 조리 시, 발열체에 의해 용기 바닥의 온도를 대략 200도 정도의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을 투과한 고주파에 의해 조리 대상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고주파를 반사하므로, 도 5e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본체에서 반사된 고주파들이 발열체로 흡수되거나 뚜껑을 투과하여 조리 대상을 가열시킬 수 있다. 즉, 고주파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조리대상이 저면과 상면에서 집중적으로 가열되므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기존의 냄비나 솥을 이용하여 끓이는 조리방법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스팀조리를 위한 트레이(121)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상기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스팀조리 또한 수행할 수 있다. 트레이(121)는 미리 정해진 형태와 크기를 갖고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팀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는, 트레이의 장착 시 트레이가 용기 바닥과 일정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트레이의 저면에 마련된 지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20)에 수용된 물이 고주파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하면 스팀홀을 통과하여 스팀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냄비나 솥을 이용한 조리 시, 일반적으로 조리 전에 조리 재료를 볶는 과정을 거치는데,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용기 바닥면을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용기본체(110)에 조리 대상을 담고, 뚜껑(140)을 닫은 조리용기(100)를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300)의 조리실(305)에 넣은 다음, 조리장치(300)가 제공하는 시머조리기능을 선택하여 시머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310)의 시머조리버튼(311b)을 누름으로써 시머조리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300)는 사용자가 전술한 조리용기(100)를 이용하여 시머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컨트롤 패널(310)에 별도의 시머조리버튼(311b)을 구비한다. 이하 시머조리버튼(311b)을 통한 시머조리명령의 입력 시, 조리용기(100)를 이용한 최적의 시머조리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조리장치(300)의 제어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냄비조리 기능의 수행을 위한 고주파 가열부의 동작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리장치(300)는 시머조리버튼(311b)을 포함하고 시머조리버튼(311b)의 조작에 의한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1)와, 조리실(305)로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320)와, 조리장치(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13)와, 조리시간의 경과 등과 같은 조리장치(300)의 동작상태를 사운드로 알려 주는 스피커(380)와, 입력부(311)를 통해 입력되는 시머조리명령에 대응하여 표시부(313), 고주파 가열부(320) 또는 스피커(38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시머조리기능에 대응하는 동작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400)의 동작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동작데이터를 제어부(400)에 제공하는 저장부(43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311)의 시머조리버튼(311b)을 누름으로써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를 가동한다. 시머조리는 고주파 가열부 뿐만 아니라 그릴 가열부 또는 컨벡션 가열부에 의해서도 가능하나, 가장 짧은 시간에 조리대상을 원하는 수준으로 가열할 수 있는 고주파 가열부를 이용하여 시머조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하 고주파 가열부에 의한 시머조리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가 사전에 미리 정해진 파워(예를 들면, 600W)의 고주파를 방사하도록 고주파 가열부(320)를 가동한다. 고주파 가열부(320)가 조리실(305)에 위치한 조리용기(100)로 고주파를 방사하면, 고주파를 흡수한 발열체와 조리용기의 뚜껑을 투과한 고주파는 조리용기(100)의 본체(110)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여 시머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시머조리기능의 실행 시, 고주파 가열부(32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 온(turn on)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시머조리명령에 대응하여 시머조리기능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가 표시부(313)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표시부(313)는 시머조리 중임을 알리는 제1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제1오브젝트는 시머조리 중임을 알리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시머조리 중임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오브젝트는 전술한 텍스트나 아이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시머조리 중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313)에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3)는 전술한 텍스트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오브젝트를 조리시간(Tc) 동안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시머조리명령에 대응하여 시머조리기능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제1시작사운드가 스피커(380)로부터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시머조리기능의 수행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부(313)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스피커(380)로부터 시머조리기능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스피커(3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 온된 후, 제1시간(T1)이 경과하면 고주파 가열부(320)를 턴 오프(turn off)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제1시간 동안 고주파 가열부(320)를 동작시키고, 제1시간이 지나면 미리 정해진 제2시간 동안 고주파 가열부(3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1시간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대상이 시머요리에 적합한 온도의 도달과 유지에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시간은 시머요리에 적합한 온도의 유지에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고, 러시아의 보르스치(borsch)라는 시머요리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조리시간(Tc)인 48분동안 고주파 가열부를 800W의 출력파워로 동작시키되, 제1시간인 18초동안 고주파 가열부를 턴 온시키고, 제2시간인 12초동안 고주파 가열부를 턴 오프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시머요리가 선택되면, 미리 저장된 다른 출력파워, 조리시간, 제1시간 및 제2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400)는 시머조리명령에 따른 조리시간(Tc) 동안, 전술한 고주파 가열부(320)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시머조리가 수행되는 동안, 조리용기는 전술한 것처럼, 발열체에 의해 바닥면이 시머요리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되고, 뚜껑을 투과한 고주파에 의해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머조리명령에 따른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제1오브젝트를 점멸한 후 표시부(313)에 표시하지 않거나, 스피커(380)를 통해 조리과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사운드를 출력한다. 제1사운드는 제1시작사운드와 다른 신호음 또는 사람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술한 표시부(313)나 스피커(380)를 통해 시머조리의 완료를 인식하고, 조리용기를 꺼내기 위해, 도어(303)를 개방하면, 제어부(400)는 도어(303)의 개방을 감지하여 별도의 보온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머조리를 종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조리시간이 경과하고, 미리 정해진 제3시간(T3) 내에 도어(303)가 개방되면, 별도의 보온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머조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제3시간 내에 도어(303)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400)는 별도의 보온명령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아도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온과정을 수행한다. 조리장치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조리과정에 자동적으로 보온과정이 수반될 경우, 보온과정 중에 조리대상에 포함된 수분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조리대상이 건조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보온기능은 일반 조리과정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머조리는 조리 대상에 수분이 충분하므로 전술한 것처럼, 제3시간 동안 도어 개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자동 보온기능이 실행되어도 조리대상이 건조해지는 문제없이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보온과정 중에, 조리과정 중의 고주파 가열부(320)의 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고주파 가열부(320)가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리과정은 조리대상의 가열이 중요한 반면, 보온과정은 조리대상의 온도 유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제어부(400)는 제3시간 내에 도어(303)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고주파 가열부(320)를 다시 턴 온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제3시간 내에 도어(303)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보온과정의 시작을 알리는 제2오브젝트가 표시부(313)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표시부(313)는 보온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2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제2오브젝트는 보온 중임을 알리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보온 중임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오브젝트는 전술한 텍스트나 아이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보온과정이 수행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313)에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3)는 전술한 텍스트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2오브젝트를 보온시간(Tm) 동안 표시한다. 전술한 제1오브젝트 및 제2오브젝트는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보온과정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제2시작사운드가 스피커(380)로부터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보온기능의 수행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부(313)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스피커(380)로부터 보온기능의 시작을 알리는 제2시작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스피커(3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3시간은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 온된 후, 제4시간(T4)이 경과하면 고주파 가열부(320)를 턴 오프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제4시간 동안 고주파 가열부(320)를 동작시키고, 제4시간이 지나면 미리 정해진 제5시간(T5) 동안 고주파 가열부(3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4시간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제5시간 또한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조리 시간 동안에는 조리대상의 가열이 중요하므로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온되는 제1시간이 턴오프되는 제2시간보다 길지만, 보온 시간 동안에는 미리 정해진 온도로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온되는 제4시간이 턴오프되는 제5시간보다 짧게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400)는 보온시간(Tm) 동안, 전술한 고주파 가열부(320)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제2오브젝트를 점멸한 후 표시부(313)에 표시하지 않거나, 스피커(380)를 통해 보온과정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제2사운드를 출력한다. 제2사운드는 제2시작사운드와 다른 신호음 또는 사람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추후 별도로 보온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전술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적으로 보온과정을 수행하여, 조리대상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한다.
도 8은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9a는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시머조리 기능의 수행을 위한 고주파 가열부(320) 및 그릴 가열부(330)의 동작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시머조리 기능의 수행을 위한 고주파 가열부(320) 및 컨벡션 가열부(342)의 동작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리장치(300)는 시머조리버튼(311b)을 포함하고 시머조리버튼(311b)의 조작에 의한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1)와, 조리실(305)로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320)와, 조리실로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 가열부(330)와, 열풍을 생성하여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컨벡션 가열부(342)와, 조리장치(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13)와, 조리시간의 경과 등과 같은 조리장치(300)의 동작상태를 사운드로 알려 주는 스피커(380)와, 입력부(311)를 통해 입력되는 시머조리명령에 대응하여 표시부(313), 고주파 가열부(320), 그릴 가열부(330), 컨벡션 가열부(342) 또는 스피커(38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시머조리기능에 대응하는 동작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400)의 동작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동작데이터를 제어부(400)에 제공하는 저장부(43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311)의 시머조리버튼(311b)을 누름으로써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를 가동한다.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가 사전에 미리 정해진 파워(예를 들면, 600W)의 고주파를 방사하도록 고주파 가열부(320)를 가동한다. 고주파 가열부(320)가 조리실(305)에 위치한 조리용기(100)로 고주파를 방사하면, 고주파를 흡수한 발열체와 조리용기의 뚜껑을 투과한 고주파는 조리용기(100)의 본체(110)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여 시머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3시간 전까지의 고주파 가열부의 동작은 도 7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어부(400)는 제3시간 내에 도어(303)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그릴 가열부(330)를 턴 온시킨다. 또는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컨벡션 가열부(342)를 턴 온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제3시간 내에 도어(303)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보온과정의 시작을 알리는 제2오브젝트가 표시부(313)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표시부(313)는 보온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2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제2오브젝트는 보온 중임을 알리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보온 중임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오브젝트는 전술한 텍스트나 아이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보온과정이 수행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313)에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3)는 전술한 텍스트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2오브젝트를 보온시간(Tm) 동안 표시한다. 전술한 제1오브젝트 및 제2오브젝트는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보온과정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제2시작사운드가 스피커(380)로부터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보온기능의 수행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부(313)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스피커(380)로부터 보온기능의 시작을 알리는 제2시작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스피커(3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3시간은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그릴 가열부(330)가 턴 온된 후, 제6시간(T6)이 경과하면 그릴 가열부(330)를 턴 오프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제6시간 동안 그릴 가열부(330)를 동작시키고, 제6시간이 지나면 미리 정해진 제7시간(T7) 동안 그릴 가열부(33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6시간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제7시간 또한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조리 시간 동안에는 조리대상의 가열이 중요하므로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온되는 제1시간이 턴오프되는 제2시간보다 길지만, 보온 시간 동안에는 미리 정해진 온도로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릴 가열부(330)가 턴온되는 제6시간이 턴오프되는 제7시간보다 짧게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컨벡션 가열부(342)가 턴 온된 후, 제8시간(T8)이 경과하면 컨벡션 가열부(342)를 턴 오프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제8시간 동안 컨벡션 가열부(342)를 동작시키고, 제8시간이 지나면 미리 정해진 제9시간(T9) 동안 컨벡션 가열부(34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8시간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제9시간 또한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조리 시간 동안에는 조리대상의 가열이 중요하므로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온되는 제1시간이 턴오프되는 제2시간보다 길지만, 보온 시간 동안에는 미리 정해진 온도로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컨벡션 가열부(342)가 턴온되는 제8시간이 턴오프되는 제9시간보다 짧게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400)는 보온시간(Tm) 동안, 전술한 그릴 가열부(330)의 턴 온과 턴 오프 또는 컨벡션 가열부(342)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400)는 전술한 제2오브젝트를 점멸한 후 표시부(313)에 표시하지 않거나, 스피커(380)를 통해 보온과정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제2사운드를 출력한다. 제2사운드는 제2시작사운드와 다른 신호음 또는 사람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추후 별도로 보온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전술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적으로 보온과정을 수행하여, 조리대상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한다.
도 10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머조리명령이 수신되면(700),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를 턴 온시키고(710), 제1시간이 경과하면(720), 고주파 가열부(320)를 제2시간 동안 턴 오프시킨다(730).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를 턴 온시킨다.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 온된 후, 제1시간(T1)이 경과하면 고주파 가열부(320)를 턴 오프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제1시간 동안 고주파 가열부(320)를 동작시키고, 제1시간이 지나면 미리 정해진 제2시간 동안 고주파 가열부(3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1시간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대상이 시머요리에 적합한 온도의 도달과 유지에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시간은 시머요리에 적합한 온도의 유지에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400)는 시머조리명령에 따른 조리시간(Tc) 동안, 전술한 고주파 가열부(320)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시머조리가 수행되는 동안, 조리용기는 전술한 것처럼, 발열체에 의해 바닥면이 시머요리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되고, 뚜껑을 투과한 고주파에 의해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740), 제3시간 내에 도어(303)가 개방되지 않으면(750), 고주파 가열부(320)를 턴 온시키고(760), 제4시간이 경과하면(770), 고주파 가열부(320)를 제5시간 동안 턴 오프시킨다(780). 그리고 제어부(400)는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보온과정을 종료한다(790).
시머조리명령에 따른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꺼내기 위해, 도어(303)를 개방하면, 제어부(400)는 도어(303)의 개방을 감지하여 별도의 보온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머조리를 종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조리시간이 경과하고, 미리 정해진 제3시간(T3) 내에 도어(303)가 개방되면, 별도의 보온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머조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제3시간 내에 도어(303)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400)는 별도의 보온명령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아도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온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400)는 제3시간 내에 도어(303)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고주파 가열부(320)를 다시 턴 온시킨다. 제3시간은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 온된 후, 제4시간(T4)이 경과하면 고주파 가열부(320)를 턴 오프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제4시간 동안 고주파 가열부(320)를 동작시키고, 제4시간이 지나면 미리 정해진 제5시간(T5) 동안 고주파 가열부(3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4시간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제5시간 또한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조리 시간 동안에는 조리대상의 가열이 중요하므로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온되는 제1시간이 턴오프되는 제2시간보다 길지만, 보온 시간 동안에는 미리 정해진 온도로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온되는 제4시간이 턴오프되는 제5시간보다 짧게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400)는 보온시간(Tm) 동안, 전술한 고주파 가열부(320)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400)는 보온과정을 종료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추후 별도로 보온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전술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적으로 보온과정을 수행하여, 조리대상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한다.
도 11은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머조리명령이 수신되면(800),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를 턴 온시키고(810), 제1시간이 경과하면(820), 고주파 가열부(320)를 제2시간 동안 턴 오프시킨다(830). 800~830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10의 700~730단계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어부(400)는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840), 제3시간 내에 도어(303)가 개방되지 않으면(850), 그릴 가열부(330)를 턴 온시키고(860), 제6시간이 경과하면(870), 그릴 가열부(330)를 제7시간 동안 턴 오프시킨다(880). 그리고 제어부(400)는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보온과정을 종료한다(890).
시머조리명령에 따른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꺼내기 위해, 도어(303)를 개방하면, 제어부(400)는 도어(303)의 개방을 감지하여 별도의 보온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머조리를 종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조리시간이 경과하고, 미리 정해진 제3시간(T3) 내에 도어(303)가 개방되면, 별도의 보온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머조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제3시간 내에 도어(303)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400)는 별도의 보온명령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아도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온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400)는 제3시간 내에 도어(303)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그릴 가열부(330)를 다시 턴 온시킨다. 제3시간은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그릴 가열부(330)가 턴 온된 후, 제6시간(T6)이 경과하면 그릴 가열부(330)를 턴 오프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제6시간 동안 그릴 가열부(330)를 동작시키고, 제6시간이 지나면 미리 정해진 제7시간(T7) 동안 그릴 가열부(33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6시간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제7시간 또한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조리 시간 동안에는 조리대상의 가열이 중요하므로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온되는 제1시간이 턴오프되는 제2시간보다 길지만, 보온 시간 동안에는 미리 정해진 온도로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릴 가열부(330)가 턴온되는 제6시간이 턴오프되는 제7시간보다 짧게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400)는 보온시간(Tm) 동안, 전술한 그릴 가열부(330)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400)는 보온과정을 종료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추후 별도로 보온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전술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적으로 보온과정을 수행하여, 조리대상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한다.
도 12는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시머조리명령이 수신되면(900), 제어부(400)는 고주파 가열부(320)를 턴 온시키고(910), 제1시간이 경과하면(920), 고주파 가열부(320)를 제2시간 동안 턴 오프시킨다(930). 제어부(400)는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940), 제3시간 내에 도어(303)가 개방되지 않으면(950), 컨벡션 가열부(342)를 턴 온시키고(960), 제8시간이 경과하면(970), 컨벡션 가열부(342)를 제9시간 동안 턴 오프시킨다(980). 그리고 제어부(400)는 보온시간이 경과하면(990) 보온과정을 종료한다. 900~930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10의 700~730단계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시머조리명령에 따른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꺼내기 위해, 도어(303)를 개방하면, 제어부(400)는 도어(303)의 개방을 감지하여 별도의 보온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머조리를 종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조리시간이 경과하고, 미리 정해진 제3시간(T3) 내에 도어(303)가 개방되면, 별도의 보온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머조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제3시간 내에 도어(303)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400)는 별도의 보온명령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아도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온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400)는 제3시간 내에 도어(303)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컨벡션 가열부(342)를 턴 온시킨다. 제3시간은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컨벡션 가열부(342)가 턴 온된 후, 제8시간(T8)이 경과하면 컨벡션 가열부(342)를 턴 오프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제8시간 동안 컨벡션 가열부(342)를 동작시키고, 제8시간이 지나면 미리 정해진 제9시간(T9) 동안 컨벡션 가열부(34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8시간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제9시간 또한 조리대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조리 시간 동안에는 조리대상의 가열이 중요하므로 고주파 가열부(320)가 턴온되는 제1시간이 턴오프되는 제2시간보다 길지만, 보온 시간 동안에는 미리 정해진 온도로 조리대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컨벡션 가열부(342)가 턴온되는 제8시간이 턴오프되는 제9시간보다 짧게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400)는 보온시간(Tm) 동안, 전술한 그릴 가열부(330)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400)는 보온과정을 종료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추후 별도로 보온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전술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적으로 보온과정을 수행하여, 조리대상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될 것이다.
100: 조리용기
300: 조리장치
305: 조리실
310: 컨트롤 패널
320: 고주파 가열부
330: 그릴 가열부
400: 제어부

Claims (21)

  1. 조리실;
    상기 조리실에 수용되고,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부착되고 고주파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본체를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상기 조리용기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1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1시간이 경과하면 제2시간 동안 턴 오프시키는 과정을 조리시간 동안 반복하는 조리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그릴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보온과정에서 상기 그릴 가열부가 턴 온 되는 시간은 턴 오프 되는 시간보다 짧은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도록 마련된 시머조리버튼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조리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시머조리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1오브젝트를 상기 조리시간 동안 표시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보온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2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조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브젝트 및 제2오브젝트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조리와 관련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리시간의 경과를 알리는 제1사운드를 출력하고,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보온시간의 경과를 알리는 제2사운드를 출력하는 조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운드 및 제2사운드는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신호음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조리과정의 수행 중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출력파워보다 낮은 출력파워로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구동시키는 조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4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4시간이 경과하면 제5시간 동안 턴 오프시키는 과정을 보온시간 동안 반복하는 조리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컨벡션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보온시간 동안 반복하고,
    상기 보온과정에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가 턴 온 되는 시간은 턴 오프 되는 시간보다 짧은 조리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상기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페라이트-고무(ferrite-rubber)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고주파가 투과할 수 있는 유리로 형성되는 조리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조리용기가 수용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용기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조리용기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1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1시간이 경과하면 제2시간 동안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턴 오프시키고;
    조리시간 동안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그릴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 수행하는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온과정에서 상기 그릴 가열부가 턴 온 되는 시간은 턴 오프 되는 시간보다 짧은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는 조리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서 시머조리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1오브젝트를 상기 조리시간 동안 표시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보온과정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제2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는 조리와 관련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조리시간의 경과를 알리는 제1사운드를 출력하고;
    보온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보온시간의 경과를 알리는 제2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보온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조리과정의 수행 중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출력파워보다 낮은 출력파워로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4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4시간이 경과하면 제5시간 동안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턴 오프시키고;
    보온시간 동안 상기 고주파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는 상기 조리용기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보온시간 동안 상기 컨벡션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온과정에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가 턴 온 되는 시간은 턴 오프 되는 시간보다 짧은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조리실;
    상기 조리실에 수용되고,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부착되고 고주파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본체를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 가열부;
    상기 조리용기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
    시머조리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머조리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고주파 가열부를 제1시간 동안 턴 온시키고, 제1시간이 경과하면 제2시간 동안 턴 오프시키는 과정을 조리시간 동안 반복하는 조리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조리시간이 경과한 후 제3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보온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컨벡션 가열부의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보온과정에서 상기 컨벡션 가열부가 턴 온 되는 시간은 턴 오프 되는 시간보다 짧은 조리장치.
KR1020150160682A 2015-11-16 2015-11-1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2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82A KR102424691B1 (ko) 2015-11-16 2015-11-1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6/013145 WO2017086678A1 (ko) 2015-11-16 2016-11-15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6866630.3A EP3361162A4 (en) 2015-11-16 2016-11-15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5/776,758 US11140754B2 (en) 2015-11-16 2016-11-15 Cooking apparatus
CN201680066912.6A CN108291723A (zh) 2015-11-16 2016-11-15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82A KR102424691B1 (ko) 2015-11-16 2015-11-1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65A KR20170057065A (ko) 2017-05-24
KR102424691B1 true KR102424691B1 (ko) 2022-07-26

Family

ID=5871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682A KR102424691B1 (ko) 2015-11-16 2015-11-16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40754B2 (ko)
EP (1) EP3361162A4 (ko)
KR (1) KR102424691B1 (ko)
CN (1) CN108291723A (ko)
WO (1) WO2017086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0684B (zh) * 2018-09-03 2022-05-1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WO2020133251A1 (en) * 2018-12-28 2020-07-02 Whirlpool Corporation Transparent lcd solution for microwave oven
CN110989407A (zh) * 2019-11-29 2020-04-1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3406A1 (en) * 2010-11-03 2015-11-05 Jong Peter Park Multi-purpose microwave cookwa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8325B1 (en) * 1981-05-13 1986-1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ating device
US4613739A (en) * 1983-07-25 1986-09-23 Whirlpool Corporation Microcomputer control for microwave oven
KR0149870B1 (ko) * 1992-08-06 1999-03-20 강진구 전자레인지의 자동보온방법
TW310917U (en) * 1995-07-25 1997-07-11 Sanyo Electric Co Cooker
JPH10151068A (ja) 1996-11-26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レンジ調理器
FR2758685B1 (fr) 1997-01-20 1999-03-05 Moulinex Sa Procede de commande de la duree de rechauffage et/ou de cuisson dans un four et four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KR100205928B1 (ko) 1997-05-29 1999-07-01 전주범 전자렌지의 조리별 자동보온및 조리종료 경보방법
KR100247970B1 (ko) * 1997-07-15 2000-03-15 윤종용 문서 영상의 방향 교정방법
KR19990010215U (ko) 1997-08-28 1999-03-15 윤종용 보온기능을 갖는 전자레인지
JP3921036B2 (ja) * 2000-06-15 2007-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システムおよび電子レンジ
KR100507039B1 (ko) 2002-11-14 2005-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심머요리 제어방법
KR20040048032A (ko) 2002-12-02 2004-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방법
CN1891115A (zh) 2005-07-01 2007-01-10 湛江鸿智电器有限公司 营养温控慢炖锅及其精确自动控温方法
US9574777B2 (en) * 2010-09-03 2017-02-21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KR20140030023A (ko) 2012-08-29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3406A1 (en) * 2010-11-03 2015-11-05 Jong Peter Park Multi-purpose microwave cook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1162A4 (en) 2018-11-21
US11140754B2 (en) 2021-10-05
WO2017086678A1 (ko) 2017-05-26
EP3361162A1 (en) 2018-08-15
CN108291723A (zh) 2018-07-17
KR20170057065A (ko) 2017-05-24
US20180352615A1 (en)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3096B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14530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6399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474495B1 (ko) 복합형 전자레인지
JP6872690B2 (ja) 加熱調理器
JP6846623B2 (ja) 加熱調理器
KR102424691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144970A5 (ko)
JP5334938B2 (ja) 加熱調理器
JP2009129844A5 (ko)
JP6530348B2 (ja) 加熱調理器
JP2010002170A (ja) 加熱調理器
JP2017003264A (ja) 加熱調理器
JP5492646B2 (ja) 高周波加熱調理器
JP2015203542A (ja) 加熱調理器
KR101901937B1 (ko) 조리장치
JP2022116650A (ja) 加熱調理器
KR101074629B1 (ko) 전자레인지의 그릴히터 장치 및 그릴히터의 제어방법
KR20150140137A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090568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JP2015023902A (ja) 高周波加熱装置用調理器具とこの調理器具を備えた高周波加熱装置
JP2013143251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