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805A -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805A
KR20070062805A KR1020050122621A KR20050122621A KR20070062805A KR 20070062805 A KR20070062805 A KR 20070062805A KR 1020050122621 A KR1020050122621 A KR 1020050122621A KR 20050122621 A KR20050122621 A KR 20050122621A KR 20070062805 A KR20070062805 A KR 2007006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oven
plate
heating
high frequency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2805A/ko
Publication of KR2007006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용 찜요리기에 관한 것으로, 물이 수용되어 가열되는 접시의 측벽이 고주파가 투과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으로 투과된 고주파에 의해 상기 물이 가열됨과 더불어, 상기 접시의 밑면에 부착된 페라이트 가열판에 의해 상기 물이 2중으로 가열되면서 수증기가 찜요리기의 내부로 충진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수증기가 단시간에 다량으로 생성되어 상기 음식물 요리시간이 단축되고, 상기 수증기의 생성을 위한 전자렌지의 가열시간과 출력이 저감되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전자렌지, 찜요리기,

Description

전자렌지용 찜요리기{STEAMED DISH COOKING VESSEL FOR MICROWAVE OVEN}
도 1은 종래 찜요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용 찜요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찜요리기의 분리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찜요리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전자렌지 20 - 찜요리기
30 - 뚜껑 40 - 접시
41 - 측벽 42 - 바닥판
43 - 가열판
본 발명은 전자렌지용 요리그릇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렌지 내에서 가열되어 발생된 증기로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된 전자렌지용 찜요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캐비티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이 수용된 음식물 및 음료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상기 고주파로써 음식물 및 음료의 분자를 진동시킴으로 가열 요리하도록 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렌지는 음료를 끓이거나,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법으로만 요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전자렌지를 이용한 찜요리 등 보다 다양한 요리방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용기 내의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고, 이 수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찜요리 하도록 된 찜요리기의 개발이 있었으며, 이 종래의 찜요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수용되는 접시(400)와, 이 접시(40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음식물이 있는 공간 내에 수용하는 뚜껑(30)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뚜껑(30)은, 상기 접시(400)에 수용된 음식물의 외부를 덮어 막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접시(400)의 외주 상단면에 밀착되도록 그 하면이 개방된 반구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음식물에 전자렌지의 고주파가 전달되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자렌지의 고주파를 차단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었다.
상기 접시(400)는 상기 전자렌지의 캐비티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자렌지의 회전접시(400) 상에 올려지도록 원형판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찜요리에 사용되는 물이 수용되도록 하방향으로 함몰된 접시(400)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접시(400)는 후술하는 가열판(43)의 열이 상기 물에 전달되도록 금 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상기 접시(400)는 상기 접시(40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전자렌지의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 작용되는 가열판(43)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열판(43)은 상기 접시(400)의 바닥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접시(400)의 바닥면 형상에 따라 원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가열판(43)은, 전자렌지의 고주파를 흡수하여 자체 발열 작용되는 페라이트(ferrite)로 이루어지며, 상기 페라이트는 아철산니켈(NiFe2O4), 아철산망간(MnFe2O4), 희토류 원소인 이트륨을 포함하고 있는 석류석광물(Yttrium Iron Garnet; Y3Fe5O12), 자철석(자화석 ; 아철산철 ; Fe(Fe2O4)) 등이 사용되며, 페라이트는 이들 구성 원자의 자기모멘트가 서로 다른 두 방향 또는 세 방향으로 배열되어 한 방향으로 만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흡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찜요리기를 이용하여 찜요리를 하는 것은, 상기 찜요리기의 접시(400)에 물을 수용하고, 이 물에 닿지 않도록 그릴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상기 접시(400)에 수용하며, 상기 접시(400)에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접시(400)의 외주 상면에 접하도록 뚜껑(30)을 덮어 상기 찜요리기의 내부를 밀폐한다.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고 밀폐된 찜요리기는 상기 전자렌지의 회전접시(400) 올려놓고, 상기 전자렌지를 작동한다.
상기 전자렌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접시(400)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접 시(4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찜요리기 접시(400) 하단의 가열판(43)이 발열 작용된다.
이때, 상기 전자렌지의 캐비티 내부에 고주파발진기로부터 고주파가 발진되고, 이 발진된 고주파는 상기 캐비티의 내측 벽면 등에서 반사되면서 상기 찜요리기로 조사된다.
상기 찜요리기로 조사된 고주파는 상기 찜요리기의 금속재질 뚜껑(30)에 접함과 더불어, 상기 뚜껑(30)에서 반사되어 상기 찜요리기의 내부로 투과되지 않고, 상기 찜요리기의 접시(400)로 조사된 고주파는 상기 금속재질 접시(400)에 반사되어 상기 찜요리기의 내부로 고주파가 조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찜요리기의 바닥부로 조사된 고주파는 상기 접시(400)의 바닥외측면에 부착된 페라이트 재질의 가열판(43)으로 흡수되고, 이 페라이트 가열판(43)은 흡수된 전파로 인해 발열된다.
상기 가열판(43)이 발열됨과 더불어, 발열된 열이 상기 가열판(43)에 접합된 접시(400)의 바닥면으로 전달되고, 상기 접시(400)의 바닥면으로 전달된 열은 상기 접시(40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한다.
상기 접시(40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물의 표면에서 수증기가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접시(400)의 상부에 위치된 음식물로 이동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열한다.
또, 상기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음식물을 가열함과 더불어, 상기 뚜껑(30)과 접시(400)로 이루어진 소정 공간의 내부에 충진되면서 압력이 상승되어, 상기 고온 고압의 수증기가 상기 음식물의 내부로 침투되면서 상기 음식물의 찜요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찜요리기는 상기 가열판(43)의 전파흡수발열에 의해서만, 접시(400)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물의 가열시간이 오래 걸리고, 상기 가열판(43)은 상기 접시(400)의 바닥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한된 가열판(43)의 면적에 의한 가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비교적 작은 면적의 가열판(43)을 상기 물이 끓을 정도로 발열시키기 위해 상기 전자렌지의 고주파는 최대 출력으로 출력됨과 더불어 장시간 발진되어야 하므로, 상기 찜요리기를 이용한 찜요리의 에너지 효율은 실질적인 활용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전자렌지의 찜요리기에 수용된 물을 보다 적은 에너지로 적은 시간에 끓일 수 있도록 된 전자렌지용 찜요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렌지 찜요리기의 비교적 단순한 구조변경으로 물의 가열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전자렌지용 찜요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자렌지용 찜요리기는, 뚜껑과, 접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시는 측벽과, 바닥판과, 가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상기 접시의 상면 외주에 맞닿아 소정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접시의 형상에 따라 그 하면이 개방된 반구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외부에서 고주파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접시의 측벽은, 그 상면 외주에 상기 뚜껑의 하단이 접하도록 원형 링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 소정량의 물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격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자렌지의 고주파가 침투되도록 비교적 그 내부 구조가 성긴 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접시의 바닥판은 상기 측벽의 하단에 접합되어 상기 측벽의 하면을 밀폐하도록 원형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후술하는 가열판의 열이 전달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열판은 상기 바닥판의 밑면에 부착되도록 원형의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전자렌지의 고주파를 흡수하여 자체 발열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구조를 도시한 도 1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 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찜요리기(20)가 전자렌지(10)의 캐비티 내부에 수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찜요리기(20)의 각 구성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찜요리기(20)의 증기발생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렌지(10)의 고주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수증기로 찌는 찜요리가 가능한 전자렌지(10)용 찜요리기(20)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렌지(10)는 그 내부에 설치된 고주파발진기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그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캐비티 내부로 조사됨과 더불어 반사되면서,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분자를 진동 가열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찜요리기(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과 접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뚜껑(30)은, 후술하는 접시(40)의 외주 상면에 접해 상기 접시(40)와 소정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시(40)의 형상에 따라 그 하면이 개방된 반구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뚜껑(30)은, 상기 전자렌지(10)의 고주파발진기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차폐하도록 조밀한 조직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시(40)는 측벽(41)과, 바닥판(42)과, 가열판(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벽(41)은, 상기 뚜껑의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접시(40)와 뚜껑(30)이 밀폐되도록 상기 뚜껑(30)의 형상에 따라 원형의 링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원형의 격벽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측벽(41)은 상기 고주파발진기에서 발진되는 고주파가 투과되도록 내부 조직이 비교적 성긴 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열된 물과 가열된 음식물에서 전달되는 열에 견디도록 내열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판(42)은 상기 측벽(41)의 하면을 덮어 막도록 상기 원형 링형상의 측벽(41)에 따라 원형판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측벽(41)의 하단 또는 상기 측벽(41)의 하단 내측 벽면에 접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바닥판(42)은 후술하는 가열판(43)의 열 전도가 용이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판(43)은, 상기 고주파발진기에서 발진된 고주파를 흡수하여 자체 발열되는 페라이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42)의 밑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바닥판(42)과 동일한 원형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가열판(43)은 일방향으로 전자파를 흡수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를 흡수하는 면이 상기 바닥판(42)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바닥판(42)의 밑면에 부착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자렌지용 찜요리기의 찜요리작용을 설명한다.
전자렌지(10)용 찜요리기(20)의 접시(40)에 물을 수용하며, 이때 상기 접시 (40)의 측벽(41)이 소정높이를 갖는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물은 상기 접시(40)의 측벽(41)과 이 측벽(41)의 하면에 접합된 바닥판(42)으로 이루어진 함몰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접시(40)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접시(40)의 상단부에 음식물을 받쳐줄 그릴을 안착하고, 이 그릴의 상부에 찜요리될 음식물을 안착한다.
이때, 상기 물은 상기 그릴의 하부에 이르도록 충진되고, 상기 음식물은 상기 그릴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음식물이 상기 물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시(40)에 물과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접시(40)의 외주 상면에 그 하단이 접하도록 뚜껑(30)이 덮어진다.
여기서, 상기 뚜껑(30)의 하단과 상기 접시(40)의 측벽(41) 상단이 상호 밀착되면서 맞접합되어 상기 뚜껑(30)과 상기 접시(40)가 이루는 공간은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상기 찜요리기(20)에 물과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찜요리기(20)를 상기 전자렌지(10)의 캐비티 내부로 수납한다.
이때, 상기 전자렌지(10)의 캐비티 내부에 설치된 회전되는 회전접시 위에 상기 찜요리기(20)를 안착시켜 상기 고주파발진기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상기 찜요리기(20)의 전체면에 거쳐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찜요리기(20)를 상기 전자렌지(10)의 캐비티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 전면의 개구를 도어로써 폐쇄하여 상기 캐비티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 기 전자렌지(10)를 작동시킨다.
상기 전자렌지(10)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전자렌지(10)의 고주파발진기에서 고주파가 발진되고, 상기 고주파발진기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상기 캐비티의 내부 전체로 조사됨과 더불어 상기 캐비티의 내측벽(41)면에서 반사되어 사방으로 조사된다.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서 조사 및 반사되는 고주파가 상기 회전접시 상에서 회전되는 찜요리기(20)로 조사되고, 상기 찜요리기(20)로 조사된 고주파 중에서 상기 찜요리기(20)의 상부 뚜껑(30)으로 조사된 고주파는 상기 뚜껑(30)에서 차폐 및 난 반사된다.
상기 고주파 중에서 찜요리기(20)의 하부로 조사된 고주파는 상기 가열판(43)으로 조사되면서 상기 가열판(43)의 전자흡수작용에 의해 상기 가열판(43)으로 흡수된다.
상기 가열판(43)으로 전파가 흡수됨과 더불어, 상기 가열판(43)이 자체 발열 작용되고, 상기 가열판(43)이 발열되면서 상기 가열판(43)에 접한 바닥판(42)이 가열된다.
상기 바닥판(42)이 가열됨과 더불어, 상기 바닥판(42)의 상면에 접한 물이 가열되고, 상기 물이 소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물의 상부 표면에서 수증기가 발생된다.
또, 상기 찜요리기(20)의 하부로 조사된 고주파는 상기 접시(40)의 측벽(41)을 통해 상기 접시(40)의 내부로 조사되고, 상기 측벽(41)을 통해 접시(40)의 내부 로 조사된 고주파는 상기 접시(40)에 수용된 물분자를 진동시키면서 가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시(40)에 수용된 물은 상기 바닥판(42)과 측벽(41)으로 투과된 고주파에 의해 2중으로 가열되고, 이 2중으로 가열된 물은 보다 신속하게 끓어 그 표면에서 수증기가 발생된다.
상기 물의 표면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찜요리기(20)의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상승되고, 상기 수증기가 상승되면서 상기 음식물을 받치고 있는 그릴을 통해 상기 음식물로 이동된다.
상기 음식물로 이동된 수증기는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고, 상기 뚜껑(30)과 접시(40)가 외부로부터 밀폐됨에 따라 상기 찜요리기(20)의 내부에 상기 가열판(43)과 측벽(41)으로 관통된 고주파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가 충진된다.
상기 수증기가 상기 뚜껑(30)과 접시(40)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 충진되면서 상기 뚜껑(30)과 접시(40)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찜요리기(20)의 내부 공간에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충진되며, 이 충진된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상기 음식물의 내부로 침투되어 상기 음식물의 표면은 물론 내부를 가열 요리한다.
따라서, 전자렌지(10)의 찜요리기(20) 가열판(43)이 발열되면서 상기 찜요리기(20)의 하부 접시(4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함과 더불어, 상기 찜요리기(20)의 하부 측벽(41)을 통해 투과된 고주파가 상기 물을 2중으로 가열하여, 상기 물이 가열되는 속도가 빨라지고, 상기 물이 빨리 가열되면서 상기 물의 표면에서 신속하게 많은 양의 수증기가 발생되어 상기 뚜껑(30)과 접시(40)가 이루는 공간에 충진되면서 음식물을 찜요리하게 되므로, 상기 음식물의 찜요리시간이 감소되고, 상기 음식물을 짧은 시간동안 고온고압으로 가열하게 되므로 음식물 고유의 성분이 보다 적게 파괴되어 음식물 고유의 맛을 지키게되며, 상기 찜요리기(20)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자렌지(10)의 구동시간 및 출력이 감소되어 상기 전자렌지(10)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렌지의 찜요리기에 수용된 물이 가열판과 찜요리기의 하부로 투과된 고주파에 의해 2중으로 가열되어 상기 물의 신속한 가열과 이에 따른 음식물의 신속한 요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찜요리기의 물을 가열하는 전자렌지의 구동시간과 출력이 저감되어 상기 전자렌지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전기절감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찜요리기의 측벽구성을 변경하는 것으로 상기 찜요리기의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되어 상기 찜요리기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자렌지의 캐비티 내부에 수용됨과 더불어, 음식물을 덮어 상기 전자렌지의 고주파로부터 차폐하도록 그 하면이 개방된 함체형상의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단과 맞접해 밀착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원형의 격벽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주파가 투과되도록 형성된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면을 덮어 막도록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밑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주파를 흡수하여 자체 발열되는 가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고주파가 투과되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 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판은 고주파를 흡수하여 자체 발열되는 페라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KR1020050122621A 2005-12-13 2005-12-13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KR20070062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621A KR20070062805A (ko) 2005-12-13 2005-12-13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621A KR20070062805A (ko) 2005-12-13 2005-12-13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805A true KR20070062805A (ko) 2007-06-18

Family

ID=3836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621A KR20070062805A (ko) 2005-12-13 2005-12-13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28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1777B2 (en) 2011-06-24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y for microwave oven
US11546976B2 (en) 2012-08-29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1777B2 (en) 2011-06-24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y for microwave oven
US11546976B2 (en) 2012-08-29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9131B1 (en) Microwave cooking grill and steamer
RU2236162C1 (ru) Варочная емкость, используемая в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варианты)
CN102331008B (zh) 一种微波、蒸汽烹饪两用微波炉
CA1092660A (en) Cooking vessel for use in high frequency oven
JP2004085171A (ja) 電子レンジ
KR20070062805A (ko)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KR100756739B1 (ko) 전자렌지용 찜요리기
JP2004245426A (ja) 蒸し調理具
JP2013024539A (ja) 加熱調理器
CN204105714U (zh) 微波炉用蒸煮器皿组件
KR20170025601A (ko) 음식물 조리용 휴대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CN208228792U (zh) 烹饪器具
JPH02271808A (ja)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KR20110073659A (ko) 전자렌지용 밥솥
JP2012011078A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食器
JP3127985U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
KR102486358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KR20110058134A (ko) 전자레인지용 스팀용기
JP3796856B2 (ja) 高周波加熱装置
CN208046951U (zh) 低辐射的电磁烹饪器具
KR100777284B1 (ko) 전자레인지
KR200287895Y1 (ko) 증기배출구조를 갖는 전자레인지용 식품용기
KR200345664Y1 (ko) 전자레인지용 식품용기
JP3750652B2 (ja) 高周波加熱装置
KR20040107085A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