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228A - 솔레노이드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228A
KR20140029228A KR1020130100898A KR20130100898A KR20140029228A KR 20140029228 A KR20140029228 A KR 20140029228A KR 1020130100898 A KR1020130100898 A KR 1020130100898A KR 20130100898 A KR20130100898 A KR 20130100898A KR 20140029228 A KR20140029228 A KR 2014002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yoke
solenoid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329B1 (ko
Inventor
마사히로 도미타
게이타 오카다
준이치 나카히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하마나코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하마나코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4002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가 코일, 가공 후의 단자, 및 요크를 포함한다. 가공 후의 단자는 내부 연결 파트 및 외부 연결 파트를 포함한다. 내부 연결 파트가, 코일이 해당 도전체로부터 형성되는 도전체에 또는 코일에 연결되는 도전체에 도전적으로-접합된다. 외부 연결 파트는 대응파트 단자에 피팅되고 연결된다. 요크는 코일과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가공 후의 단자는 요크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다. 외부 연결 파트는 내부 연결 파트와 일체로 구성된다. 가공 후의 단자는, 요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코일의 중앙 축의 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의 내부 연결 파트와 외부 연결 파트 사이의 중간 파트에 벤딩 또는 트위스팅을 인가함으로써 형성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SOLENOID}
본 개시는 대응파트 단자의 탭 단자(수형 단자)에 대해서 피팅되고 연결되는 튜닝 포크(tuning fork) 단자(암형 단자)를 가지는 단자를 구비한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가동형(movable) 본체를 구동하는 전자기 액추에이터를 위해서 이용되는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제어 밸브의 밸빙 요소인 스풀 밸브(J1)를, 슬리브(J2)의 스풀 폴(J3)을 통해서 조정 스크류(J4)를 향해서(스풀 홀(J3)의 개구부를 향해서) 변위시키기 위한 전자기 액추에이터(이하에서, 솔레노이드로 지칭한다)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한국 특허출원공개 10-2009-0084753 참조). 이러한 솔레노이드에 대해서, 플런저(101), 코일 내측 둘레 측부(side) 고정형 코어(원통형 고정자 코어들(102, 103), 자기 저항 파트(104)), 코일 외측 둘레 측부 고정형 코어(바닥부를 가지는 원통형 요크(105)), 코일(106), 제1 및 제2 단자들(107, 108), 및 단자 홀더(109)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한국 특허출원 공개 10-2009-0084753 참조).
제1 단자(107)는, 코일(106) 내로 형성된 전기 도전체(도전 와이어)에 도전-접합된 내부 접합 파트를 가지는 코일 측부 상의 코일 단자로서 이용된다. 제2 단자(108)는, 대응파트 단자의 탭 단자에 대해서 피팅되고 연결되는 튜닝 포크 단자, 및 예를 들어, 용접 또는 클림핑에 의해서 단자(107)에 대해서 도전-접합되는 중간 접합 파트를 가지는 외측 측부 코일 단자로서 이용된다.
통상적인 기술에서의 문제에 관한 요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통상적인 솔레노이드에서, 코일 단자들은, 도전(conduction) 접합 수단(예를 들어, 용접 또는 클림핑)에 의해서 통합된 제1 단자(107) 및 제2 단자(108)로 이루어진 2개의 분할된 구조물들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단자(107)와 제2 단자(108) 사이의 내부 연결 파트의 통전(energization)(도전)에 있어서의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되지 않는다.
삽입 홀(113)이 요크(105)의 바닥부 벽 부분(111)의 외측 표면(요크 상부 표면(112))을 통해서 형성된다. 단자 홀더(109)가 요크 상부 표면(112)에 대해서 스냅-핏식으로 접합되고, 그에 따라 단자 홀더(109)로부터 요크를 향해서 돌출한 탄성적인 접합 피스(114)의 단부 파트(스냅 피팅 멈춤쇠(pawl) 부분(115))가 요크(105)의 바닥부 벽 부분(111)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된 결합 파트(116) 상에 후킹된다(hooked).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홀더(109)를 요크(105)에 고정하는 방법이 스냅-핏 접합이기 때문에, 백래시(backlash)가 스냅-핏 접합된 부분에서 필연적으로 유발된다. 스냅-핏 접합의 이러한 백래시로 인해서, 제1 단자(107)와 제2 단자(108) 사이의 내부 연결 부분의 위치 시프트(shift), 및 제2 단자(108)와 대응파트 단자 사이의 외부 연결 부분의 위치 시프트가 유발된다. 결과적으로, 내부 연결 파트와 외부 연결 파트에서의 통전(도전)의 신뢰성을 보장하기가 더욱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한다. 그에 따라, 본 개시의 목적은 단자의 내부 연결 파트와 외부 연결 파트에서의 통전(도전)의 신뢰성을 용이하게 보장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코일, 가공 후의(after-formation) 단자, 및 요크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가 제공된다. 가공 후의 단자는 내부 연결 파트 및 외부 연결 파트를 포함한다. 내부 연결 파트는, 코일이 형성되는 도전체에 또는 코일에 연결되는 도전체에 도전적으로-접합된다. 외부 연결 파트는 대응파트 단자에 피팅되고 연결된다. 요크는 바닥부를 가지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코일과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가공 후의 단자는 요크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다. 외부 연결 파트는 내부 연결 파트와 일체로 구성된다. 가공 후의 단자는, 요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코일의 중앙 축의 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에 대한 벤딩 또는 트위스팅의 인가의 결과로서 얻어진다. 가공 후의 단자는 가공 전의 단자의 내부 연결 파트와 외부 연결 파트 사이의 중간 파트에 대한 벤딩 또는 트위스팅의 인가를 통해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전술한 및 기타의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1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홀더가 제1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의 요크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의 홀더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제1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제1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의 주요 특징부(feature)를 도시한 평면도.
도 4c는 도 4b의 IVC-IV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요크 상부 표면 내로 통합된 보스(boss)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요크 상부 표면 내로 통합된 보스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6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7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8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8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8d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벤딩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선형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이전에 제시된 전자기 스풀 제어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5b는 본 개시가 적용되는 제1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자동차와 같은 차량 내에 배치된 자동 트랜스미션의 트랜스미션 제어를 위해서 이용된다. 자동 트랜스미션의 하우징은 자동 트랜스미션 케이스(트랜스미션 케이스) 및 오일 팬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된다. 펌프, 터빈, 고정자 및 기타 등등으로 구성된 토크 변환기 및 이러한 토크 변환기의 터빈에 연결된 다중-스테이지 기어 타입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이 자동 트랜스미션 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은, 유압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오일 압력에 따라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마찰 결합 요소들(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을 포함한다. 자동 트랜스미션에서, 시프트 범위가 마찰 결합 요소들의 결합 및 분리의 조합에 따라서 스위칭된다. 따라서, 자동 트랜스미션의 트랜스미션 제어가 실행된다.
자동 트랜스미션을 위한 유압 제어 시스템은 오일을 압력-공급하기 위해서 오일 팬 내의 오일을 끌어들이는 오일 펌프, 오일 통로들을 포함하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오일 통로와 함께 유압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밸브 본체에 부착된 전자기 유압 제어 밸브들, 및 예를 들어, 구동장치(driver)에 의해서 요구되는 시프트 조건을 실현하기 위해서 전자기 유압 제어 밸브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TCU)을 포함한다. 오일 펌프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또는 전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유압 발생 수단이다. 오일 공급 유동 통로(오일 통로)가 이러한 오일 펌프의 배출 측부에 연결된다.
전자기 유압 제어 밸브들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유압 제어 밸브(전자기 스풀 제어 밸브: 이하에서 전자기 밸브라고 지칭한다)는, 압력을 출력하기 위해서 자동 트랜스미션을 위해서 이용되는 동작 오일(오일)의 오일 압력을 조절(regulate)하기 위한 스풀 밸브(스풀 제어 밸브), 및 이러한 스풀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기 액추에이터인 선형 솔레노이드(LS)로 이루어진다. 스풀 밸브는 밸브 본체의 리세스형(recessed) 파트 내로 피팅된 원통형 슬리브, (슬라이딩식으로) 왕복할 수 있도록 이러한 슬리브의 스풀 홀 내에서 지지되는 스풀, 및 상기 선형 솔레노이드 측부(디폴트 위치 측부)를 향해서 이러한 스풀을 가압(urge)하기 위한 복귀 스프링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슬리브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소통시키고 그리고 스풀 홀의 축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하는 포트들을 포함한다. 포트들은, 오일 공급 유동 통로의 하류 단부에 연결되고 오일 펌프로부터의 오일이 내부로 압력-공급되는 입력 포트, 스풀 밸브에서 조절되는 출력 압력이 출력되는 출력 포트, 상기 스풀을 피드 백하기 위해서 이러한 출력 포트와 소통하는 피드백 포트, 및 저압 측부(예를 들어, 오일 팬) 내로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포트를 포함한다.
스풀은 스풀 밸브(밸브 메인 본체)의 밸빙 요소를 구성하고, 그리고 슬라이딩식으로 왕복가능하도록 슬리브의 스풀 홀 내에 피팅되고 지지된다. 이러한 스풀은 스풀 홀의 내측부로부터 선형 솔레노이드(LS)의 내측부가지 연장하는 샤프트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 표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샤프트의 다른 축방향 단부 면은 플런저(S1)의 접촉 파트와 접촉된다. 따라서, 스풀의 축방향을 따른 플런저(S1)의 변위의 결과로서, 스풀의 축방향을 따라서 샤프트를 통해서 스풀을 구동시키도록 스풀 밸브가 구성된다.
선형 솔레노이드(LS)는, 스풀과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비-자기 재료로 제조된 샤프트를 통해서 스풀에 연결되는 자기 재료로 제조된 플런저(가동형 코어)(S1), 통전 시에 주위에서 자기 플럭스를 생성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이하에서, 코일이라 칭한다)(SC), 상기 코일(SC)로부터 외부로 잡아 당겨진(pulled out)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파트를 매립 및 고정하기 위해서 합성 수지로 제조된 코일 리본(이하에서, 리본(2)이라 칭한다), 상기 코일(SC)의 방사상 내측으로 자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코일 내부 둘레 측부 고정형 코어(원통형 고정자 코어(S2), 자기 저항 파트), 상기 코일(SC)의 방사상 외측으로 자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코일 외부 둘레 측부 고정형 코어(바닥부를 가지는 원통형 요크(S3)), 그리고 상기 코일(SC)과 외부 코어(외부 전력 및 외부 제어 회로: TCU) 사이의 연결을 만들기 위한 외부 연결 커넥터를 포함한다.
외부 연결 커넥터는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의 외측 표면(이하에서, 요크 상부 표면(5)으로 칭한다)으로부터 요크(S3)의 외측부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배열된(셋팅된) 코일 단자들(커넥터 단자들: 가공 전의 단자들(BT), 가공 중의 단자들(MT), 가공 후의 단자들(AT))의 쌍, 가공 후의 단자(AT)를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단자 홀더(이하에서, 홀더(6)로 칭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6)를 요크 상부 표면(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환형 클립(이하에서, 클립들(7)로 칭한다)을 포함한다. 클립들(7)에서, 보스 피팅 홀들(10)이 제공되고, 그러한 보스 피팅 홀들을 통해서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의 삽입 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피팅 보스들(9)이 그들의 축 방향들(피팅 방향들)을 따라서 통과되고 그리고 그러한 보스 피팅 홀들 내에서 피팅 보스들(9)이 각각 피팅된다. 환형 웨이브형 와셔와 같은 홀더 고정 도구(tool)가 클립(7) 대신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자들(BT, MT, AT)의 쌍이 요크(S3)의 요크 상부 표면(5)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셋팅된) 튜닝 포크 파트들의 중앙 축들을 가지는 튜닝 포크 타입 평행 단자이다. 가공 후의 단자(AT)는 프레싱 장치 등에 의해서 도전성 성질을 가지는 금속제의 얇은 플레이트(금속 재료)의 펀칭 가공에 의해서 얻어진다. 가공 후의 단자(AT)는, 펀칭 프로세스와 동시에 벤딩되는 예비 벤트 파트들(벤딩 가공 전의 예비적인 벤트 파트)(11), 및 펀칭 가공 이후에 벤딩되는 벤트 파트들(12, 13)을 포함한다. 가공 후의 단자(AT)에서, 네모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내부 연결 파트(내부 도전체 연결 단자: 이하에서 연결 단자(14)라 칭한다),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외부 연결 파트(외부 도전체 연결 단자: 이하에서 튜닝 포크 단자(15)로 칭한다), 및 네모 형상들(막대 샤프트 형상들)의 단면을 가지는 연결 파트들(21, 22)이 일체로 제공된다. 외부 연결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들이 추후에 설명될 것이다.
플런저(S1)는 코일(SC)의 통전 시에 형성되는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자기 성분이고, 그리고 자체의 축방향을 따라서 고정자 코어(S2) 내에서 슬라이딩식으로 왕복할 수 있는 가동형 코어(이동 코어)이다. 이러한 플런저(S1)는 코일(SC)의 통전 시에 여기되는(자화되는) 자기 금속(철과 같은 강자성 재료)으로 제조된 원통 형상의 자기 가동형 본체이다. 샤프트는, 스풀과 플런저(S1)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서 자체의 축방향을 따라서 플런저(S1)의 하나의 단부 표면과 접촉하는 연결 파트이다.
코일(SC)은 전력의 공급시에(통전 시에) 플런저(S1)를 끌어 당기는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한 자기 플럭스 생성 수단(자기력 생성 수단)이다. 코일(SC)의 통전 시에, 자기 회로가 형성되고, 그러한 자기 회로를 따라서 자기 플럭스들이 플런저(S1), 고정자 코어(S2), 및 요크(S3)를 통해서 집중적으로 통과된다. 코일(SC)은, 자기력에 의해서 슬리브 및 스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일 측부(전방 측부)를 향해서 스풀, 샤프트, 및 플런저(S1)를 구동한다. 코일(SC)은, 절연 성질들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보빈(2) 주위로 복수 회(times) 권선된 절연 코팅 층을 가지는 도전성 와이어를 가지는 솔레노이드 코일이다. 코일(SC)은 보빈(2) 상으로 권선된 코일 파트, 및 이러한 코일 파트의 권선-시작 단부 부분 및 권선-단부 단부 부분으로부터 잡아 당겨진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을 포함한다.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은, 보빈(2) 상에 즉, 플랜지형 파트들의 쌍 사이에 그리고 원통형 파트의 외측 둘레 주위로 권선된 코일(SC) 내로 형성되고, 그리고 외부 연결 커넥터의 단자(외부 연결 단자)(AT)를 통해서 외부 회로(외부 전력 및 외부 회로: TCU)에 연결된 도전체(전기 도전)이다. 이러한 코일 리드 와이어(1)의 중간 파트는, 상기 보빈(2)의 외부(요크(S3)의 외부)로 가져갈 수 있도록, 보빈(2)의 하나의 플랜지형 파트(2a) 및 상기 하나의 플랜지형 파트(2a)에 연결된 보스 파트(2b) 내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서 삽입된다.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은 보스 파트(2b)의 슬릿을 통해서 삽입되도록 보빈(2)의 하나의 플랜지형 파트(2a)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 부분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돌출 부분들은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을 통해서 형성된 삽입 홀(8)을 통해서 요크(S3)의 외부로 취해진다.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 및 보빈(2)의 보스 파트(2b)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돌출 부분은 가공 전의 단자들(BT)의 연결 단자들(14) 주위로 나선형으로 바인딩된 바인딩 파트, 및 가공 전의 단자들(BT)의 각각의 연결 단자(14)에 용융-접합된 리드 와이어 단자 파트를 포함한다.
보빈(2)은 절연 성질들을 가지는 합성 수지(몰드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절연 코팅 층을 가지는 도전 와이어가 이러한 보빈(2)의 플랜지형 파트들의 쌍 사이에서 그리고 보빈(2)의 원통형 파트의 외측 둘레 주위로 복수 회 권선된다. 코일 리드 와이어(1)의 중간 파트를 유도하기 위한 리드 와이어 홀더로서 기능하는 보스 파트(2b)가 보빈(2)의 하나의 플랜지형 파트(2a)에 대해서 제공된다. 코일(SC)을 수용하기 위한 코일 수용 공간이 플랜지형 파트들의 쌍 사이에 그리고 원통형 파트의 외측 둘레 주위로 형성된다.
프레싱 장치 등에 의한 자기 스틸 플레이트의 인발 가공을 통해서, 개방된 원통형 파트의 하나의 단부 측부(스풀 밸브 측부) 및 원형 플레이트를 가지는 바닥부 벽 부분(4)에 의해서 폐쇄된 원통형 파트의 다른 단부 측부(홀더 측부)를 가지는 바닥부를 가지는 원통형 형상으로 요크(S3)가 형성된다. 코일(SC), 플런저(S1), 및 고정자 코어(S2)와 함께, 이러한 요크(S3)가 자기 회로를 구성한다. 요크(S3)가 코일의 원주방향을 따라 코일(SC)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요크(S3) 내부에서, 요크(S3) 이외의 선형 솔레노이드 성분 파트들(예를 들어, 코일(SC), 보빈(2), 샤프트, 플런저(S1), 및 고정자 코어(S2))을 수용하는 솔레노이드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요크(S3)의 원통형 파트의 일 단부 측부 상의 원통형 개구부가 슬리브의 환형 플랜지에 클립핑-접합된다. 원호 형상을 가지는 삽입 홀(8)이 요크(S3)의 원통형 파트의 타 단부 측부 상에서 바닥부 벽 부분(4)을 위해서 제공되고, 상기 삽입 홀(8)을 통해서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제1 돌출 부분들이 삽입된다. 바닥부 벽 부분(4)의 내부 표면(요크 바닥부 면)과 외부 표면(요크 상부 표면(5) 사이의 소통을 위해서, 이러한 삽입 홀(8)은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라인 방향과 동일한 방향(바닥부 벽 부분(4)의 두께 방향)으로 바닥부 벽 부분(4)을 통과한다.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을 따라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하는 피팅 보스들(9)이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피팅 보스들(9)은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 상에 형성된다. 피팅 보스들(9)은, 예를 들어,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그리고 요크 상부 표면(5)에 대한 홀더(6)의 부착 방향을 따라서 배열하기 위한 압출 가공에 의해서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과 일체로 형성된다. 피팅 보스들(9)은 요크(S3)와 상이한 성분(금속 제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을 통해서 형성된 억지 끼워맞춤식-피팅(press-fitting) 홀들(4a)내로 억지 끼워맞춤-피팅되는 T-형상 단면의 피팅 핀(9a)이 피팅 보스들(9)을 위해서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5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외부 연결 커넥터에 관한 상세한 내용들을 설명할 것이다. 외부 연결 커넥터는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 및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공 후의 단자(AT), 대응파트 커넥터에 대한 피팅 방향(커넥터 연결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난(angulate) 원통형 홀더(6), 및 상기 피팅 보스들(9) 주위로 억지 끼워맞춤-피팅되는 클립들(7)을 포함한다. 가공 후의 단자(AT)는 구리 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 도전체 플레이트이고, 그 전방 표면(및 후방 표면)이 주석으로 도금된다. 가공 전의 단자(BT)는 펀칭 가공 후의 몰드 수지 재료에 의한 삽입을 통해서 보빈(2) 내측[보빈(2)의 보스 파트(2b) 내]에 고정되는(매립되는 그리고 유지되는) 근위(proximal) 단부 파트를 포함한다.
보빈(2)의 보스 파트(2b)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을 통해서 형성된 삽입 홀(8)을 통해서 요크(S3)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결 단자들(14)이 각각 가공 후의 단자(AT)의 기저 단부 측부들 상에 제공된다. 연결 단자(14)는 코일 리드 와이어(1)를 바인딩하기 위한 리드 와이어 바인딩 파트(31), 이러한 리드 와이어 바인딩 파트(31)로부터 연장된 네모 형상 단면을 가지는 접촉 파트(편평한 표면 파트)(32), 및 이러한 접촉 파트(32)로 접히도록 벤딩되는 접혀진 피스(33)를 포함한다.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바인딩된 파트들을 나선형으로 바인딩하기 위한 나선형 유도 홈들이 리드 와이어 바인딩 파트들(31)을 위해서 제공된다.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각각의 리드 와이어 단자 파트들이 용융-접합에 의해서 연결 단자들(14)에 도전적으로 접합된다(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응파트 커넥터에 의해서 수용되고 유지되는 대응파트 단자의 탭 단자(수형 단자)에 각각 피팅되고 연결되는 튜닝 포크 단자들(15)이 가공 후의 단자(AT)의 원위 단부 측부들을 위해서 각각 제공된다. 튜닝 포크 단자(15)는 함께 접촉하도록 대응파트 단자의 탭 단자를 클램핑하기 위한 아암(arm)-형상의 샌드위칭 피스들(41, 42)을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암형 단자)이다. 샌드위칭 피스들(41, 42) 사이에서, 이러한 튜닝 포크 단자(15)는 슬롯(43)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 내로 대응파트 단자의 탭 단자가 그 개방 측부로부터 후방 측부를 향해서 삽입된다. 튜닝 포크 단자(15)의 근위 단부 파트(베이스 파트)(44)가 이러한 슬롯(43)의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된다.
도 1a에 도시된 벤딩 가공 이전의 단자(BT)에서, 튜닝 포크 단자(15)의 슬롯 개방 측부가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으로 지향된다. 그에 따라, 슬롯(43)의 개구부가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으로 개방된다. 도 1c에 도시된 벤딩 가공 이후의 단자(AT)에 대해서, 튜닝 포크 단자(15)의 슬롯 개구부 측부가 대응파트 단자의 탭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즉,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에 대해서 수직한 솔레노이드(코일) 중앙 축 수직 방향(B)으로 지향된다. 따라서, 슬롯(43)의 개구부가 솔레노이드(코일) 중앙 축 수직 방향(B)으로 개방된다.
가공 후의 단자(AT)는 예비적인 벤트 파트(11) 및 벤트 파트들(12, 13)을 포함한다. 예비적인 벤트 파트(11)는, 단자(MT, AT)의 벤딩 가공 이전에(예를 들어, 펀칭 가공과 동시에) 연결 파트들(21, 22) 상에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벤딩 가공이 미리 실시되는 벤트 파트이다. 벤트 파트(12)는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벤딩 가공이 가공 전의 단자(BT)의 각각의 연결 파트(22) 상에서 실시되는 제1 벤트 파트이다. 벤트 파트(13)는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벤딩 가공이 가공 중의 단자(MT)의 연결 파트들(21, 22) 상에서 실시되는 제2 벤트 파트이다.
단자들(BT, MT, AT)의 각각에 대해서, 연결 단자(14) 및 튜닝 포크 단자(15)를 통합시키기 위한 연결 파트들(21, 22)은,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15)의 근위 단부 파트(44) 사이의 중간 파트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가공 후의 단자(AT)가 그 근위 단부 측부로부터 원위 단부 측부까지 하나의 금속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 파트(21)와 연결 파트(22) 사이에서, 펀칭 가공과 동시에 미리 벤딩된 또는 펀칭 가공 이후에 벤딩된 벤딩 축(예비적인 벤트 파트(11))이 제공되며, 그에 따라 단자가 펀칭 가공 후에 원형의 원호-형 삽입 홀(8)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벤딩 축은 도 1a 내지 1c의 연결 파트(21)-측부 상의 연결 파트(22)의 파트의 상부 측부 표면(전방 표면, 내부 표면) 상에서 두께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플레이트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연결 파트(22)는, 벤딩 가공 이전에 연결 단자(14)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 단자(14)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파트(21)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연결 파트(22)에 대해서, 튜닝 포크 단자(15)의 근위 단부 파트(44)가 제1 벤딩 가공의 시간에 연결 파트(22)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로 벤딩되는 벤딩 축(벤트 파트(12))가 제공된다. 이러한 벤딩 축은 도 1a 내지 1c의 근위 단부 파트(44) 상의 연결 파트(22)의 파트의 상부 측부 표면(전방 표면, 내부 표면) 상에서 두께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플레이트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파트(21)에 대해서, 튜닝 포크 단자(15) 및 연결 파트들(21, 22)이 제2 벤딩 가공의 시간에 연결 단자(14)의 단부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예를 들어, 직각)로 벤딩되는 벤딩 축(벤트 파트(13))가 제공된다. 이러한 벤딩 축은 도 1a 내지 1c의 근위 단부 측부 상의(연결 단자(14)-측부 상의) 연결 파트(22)의 파트의 상부 측부 표면(전방 표면, 내부 표면) 상에서 두께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플레이트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절연 성질들을 가지는 몰드 수지 재료(합성 수지)로 일체로 몰딩함으로써, 홀더(6)가 구성된다. 이러한 홀더(6)는 단자들(AT)의 벤딩 가공 후에 요크 상부 표면(5) 상에서 고정(셋팅)된다. 홀더(6)는, 대응파트 커넥터가 피팅되는 모난 원통형 커넥터 케이스(51)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홀더(6)는, 가공 후의 단자들(AT)의 튜닝 포크 단자들(15)을 각각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한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단자 수용 홀들)(52)의 쌍, 및 대응파트 단자들의 쌍의 탭 단자들을 각각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한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단자 수용 홀들)(53)의 쌍을 내부에 포함한다.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2)의 쌍 및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3)의 쌍이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제공된다.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2)은 그들의 일 단부 측부들에서 개방되고, 그리고 요크 상부 표면(5)에 대한 홀더(6)의 부착 시에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2) 내로 각각 가공 후의 단자들(AT)의 튜닝 포크 단자들(15)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들(튜닝 포크 단자 삽입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부에 대해서,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52)의 미리 결정된 위치 내로 튜닝 포크 단자(15)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홈(54)이 제공된다. 홈(54)의 개구부 측부로부터 후방 측부(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52)-측부)를 향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기 시작하는 개방 면적(area)을 가지는 테이퍼 유도 표면이 이러한 유도 홈(54)에 제공된다.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3)은 그들의 일 단부 측부들 상에서 개방되고, 그리고 커넥터 케이스(51)에 대한 대응파트 커넥터의 피팅시에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3) 내로 각각 대응파트 단자들의 탭 단자들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들(탭 단자 삽입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부에 대해서,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53)의 미리 결정된 위치 내로 탭 단자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홈(55)이 제공된다. 홈(54)의 개방 측부로부터 후방 측부(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53)-측부)를 향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기 시작하는 개구부 면적을 가지는 테이퍼 유도 표면이 이러한 유도 홈(55)에 제공된다.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2)의 쌍 사이에서 케이스(51)를 분할하는 구획 벽(56)이 커넥터 케이스(51) 내에 제공된다.
홀더(6)(모난 원통형 단부 부분(57))의 요크(S3)-측부 개방 단부에서, 홀더(6)의 측벽들의 외부 표면들로부터 요크 상부 표면(5)의 표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플랜지들(60)의 쌍이 제공된다. 요크 상부 표면(5)과 접촉하는 장착 안착부들(seats)이 모난 원통형 단부 부분들(55)과 플랜지들(60)에 대해서 제공된다. 요크(S3)의 피팅 보스들(9)이 삽입되는 보스 삽입 홀들(61)이 플랜지들(60)에 대해서 각각 제공된다. 클립들(7)은 요크(S3)의 피팅 보스들(9) 주위로 피팅된 보스 피팅 홀들(10), 및 이러한 보스 피팅 홀들(1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슬릿들을 각각 포함한다. 클립들(7)의 피팅 보스들(9) 내로의 억지 끼워맞춤-피팅을 통해서, 이러한 클립들(7)은 홀더(6)를 요크(S3)의 요크 상부 표면(5) 상에 고정한다.
이하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착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의 요크 상부 표면(5) 상에 외부 연결 커넥터를 부착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할 것이다.
우선, 보빈(2)의 보스 파트(2b) 내의 가공 전의 단자(BT)의 근위 단부 파트의 삽입-몰딩에 의해서, 단자(BT)의 근위 단부 파트가 보빈(2)에 대해서 고정된다. 다음에,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바인딩된 파트들이 단자들(BT)의 연결 단자들(14)의 리드 와이어 바인딩 파트들(31) 주위로 나선형으로 바인딩된다. 이어서,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각각의 리드 와이어 단자 파트들 및 단자들(BT)의 연결 단자들(14)이 함께 용융-접합된다.
용융-접합은 이하의 과정들을 포함하는 단자 연결 방법이다: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각각의 리드 와이어 단자 파트가 단자(BT)의 근위 단부 측부의 접촉 파트와 접혀진 피스(33) 사이에 삽입되고; 이어서 접혀진 피스(33)가 그 피스(33)를 벤딩시키기 위한 펀치 등에 의해서 소성적으로-변형되며, 그에 따라 접혀진 피스(33)가 U-형상으로 접히고; 다음에, 용융 전극들의 쌍은 두께 방향을 따라서 단자(14)의 양 측부들로부터 상기 접혀진 피스(33) 및 접촉 파트(32)를 포함하는 전체 연결 단자(14)와 접촉하게 되고; 가압된 단자(14)를 이용한 용융 전극들의 통전을 통해서,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각각의 리드 와이어 단자 파트 상의 절연 코팅 층이 제거되고(용융 제거); 그리고 결과적으로,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리드 와이어 단자 파트들과 단자들(BT)의 연결 단자들(14) 사이의 도전 상태(전기 연결)가 얻어진다.
이어서, 코일(SC), 및 보빈(2) 등이 요크(S3)의 내부 공간(솔레노이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다음에, 코일 리드 와이어들(1)의 쌍의 각각의 리드 와이어 단자 파트들이 삽입 홀(8)을 통해서 요크 상부 표면(5)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어서,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으로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들(BT)이 제1 벤딩 가공 장치의 다이와 펀치 사이에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셋팅되고, 그리고 벤딩 로드(load)가 펀치에 의해서 단자들(BT)의 각각의 연결 파트(22)의 벤딩 축(벤딩된 파트(12))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튜닝 포크 단자(15)의 근위 단부 파트(44)가 가공 전의 단자들(BT)의 각각의 연결 파트(22)의 벤딩 축(벤딩된 파트(12))에서 연결 파트(22)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로 벤딩된다. 결과적으로, 가공-중의 단자들(MT)이 생성(형성)된다(제1 벤딩 가공 프로세스: 제1 벤딩 프로세스).
다음으로, 상기 제1 벤딩 가공 후에, 가공-중의 단자들(MT)이 제2 벤딩 가공 장치의 다이 및 펀치 사이에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셋팅되고, 그리고 벤딩 로드가 펀치의 단자들(MT)의 각각의 연결 파트(22)의 벤딩 축(벤딩된 파트(12))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튜닝 포크 단자(15) 및 연결 파트들(21, 22)이 가공-중의 단자들(MT)의 각각의 연결 파트(21)의 벤딩 축(벤딩된 파트(13))에서 연결 단자(14)의 단부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예를 들어, 직각)로 벤딩된다. 결과적으로, 가공 후의 단자들(AT)이 생성(형성)된다(제2 벤딩 가공 프로세스: 제2 벤딩 프로세스). 전술한 2-회의(two-time) 벤딩을 통해서, 단자들(BT) 내에서, 튜닝 포크 단자들(15)의 슬롯 개구부 측부들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가공에 앞서서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지향되고; 그리고 튜닝 포크 단자들(15)의 슬롯 개구부 측부들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가공 후에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에 대해서 수직인 중앙 축 수직 방향(B)을 따라서 지향될 수 있다.
이어서, 홀더(6)의 플랜지들(60)을 통해서 형성된 보스 삽입 홀들(61)은, 홀더(6)를 요크 상부 표면(5) 상에 부착하기 위해서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과 통합되는 피팅 보스들(9)의 쌍 주위로 각각 피팅된다. 이에 이어서, 홀더(6)의 플랜지들(60)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한 피팅 보스들(9) 주위로 클립들(7)을 억지 끼워맞춤-피팅함으로써, 홀더(6)가 요크 상부 표면(5) 상에 고정된다.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한, 단자들(AT), 특히 튜닝 포크 단자들(15)이 홀더(6)의 유도 홈들(54)을 통해서 단자 조용 리세스형 파트들(52) 내에서 각각 수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6)를 요크 상부 표면(5)에 부착하는 시간에, 가공 후의 단자들(AT)의 튜닝 포크 단자들(15)이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2)에 대해서 약간의 범위로 위치적으로 시프트되는 경우에도, 홀더(6)의 유도 홈들(54)에 대해서 제공된 테이퍼 유도 표면들에 의해서 튜닝 포크 단자들(15)이 각각 유도 홈들(54)의 중앙 파트들 내로 유도된다. 따라서, 각각의 튜닝 포크 단자(15)가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52)의 중앙 파트(적절한 위치)로 유도된다. 결과적으로, 대응파트 단자들의 탭 단자들과 가공 후의 단자들(AT)의 튜닝 포크 단자들(15) 사이의 각각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 실시예의 효과들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기적 유압 제어 밸브 내의 선형 솔레노이드(LS)를 위한 단자 구조에서, 연결 단자(14) 및 튜닝 포크 단자(15)가 일체성 성분으로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15)가 일체가 되는 단자(AT)가 채용된다.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벤딩 가공은, 코일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외측을 향해서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한 가공 전의 단자(BT)의 튜닝 포크 단자(15)와 연결 단자(14) 사이의 중간 파트(벤딩된 파트들(12, 13)) 상에서 실시된다.
구체적으로, 코일 중앙 축 방향(A)을 따라 외부로 향하는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들(BT)에서, 2-회의 벤딩 가공이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15) 사이의 중간 파트(벤딩된 파트(12, 13))에서 실시된다. 따라서,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와 연결 단자(14)가 일체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솔레노이드에서 요구되는 제1 단자(107)와 제2 단자(108) 사이의 연결 구조(또는 연결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와 연결 단자(14) 사이의 내부 도전 파트(내부 연결 파트)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솔레노이드에서와 같은 제1 단자(107)와 제2 단자(108)를 도전적으로-접합하는 연결 동작(예를 들어, 용접 동작 또는 클림핑 동작)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생산성이 개선되어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테이퍼 유도 표면들을 가지는 유도 홈들(54)은, 단자들(AT)의 쌍의 벤딩 가공 후에 요크 상부 표면(5)에 고정되는 홀더(6)의 개구부들(튜닝 포크 단자 삽입 개구부들)을 위해서 각각 제공된다. 따라서,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의 위치 시프트가 유도 홈들(54)에 의해서 흡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가 용이하게 배치될(positioned) 수 있다. 유도 홈들(54)의 진입부(entry) 크기를 최적의 값들로 셋팅함으로써,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가 지정 위치로 유도될 수 있고, 그러한 지정 위치에서 단자(15)가 대응파트 단자의 탭 단자에 대해서 신뢰가능하게 전기적으로-연결될 수 있다.
피팅 보스들(9)은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그리고 홀더(6)의 부착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피팅 보스들(9)로 각각 피팅되는 보스 삽입 홀들(61)이 홀더(6)의 플랜지들(60)에 대해서 각각 제공된다. 따라서, 홀더(6)는 위치 시프트 없이 요크 상부 표면(5)으로 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홀더(6) 내에 수용되고 유지되는 튜닝 포크 단자(15)가 지정 위치에 대해서 시프트된 위치의 양이 작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와 대응파트 단자의 탭 단자 사이의 도전적 접합 파트(외부 연결 파트)에서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초과의 피팅 보스들(9)을 제공함으로써, 요크 상부 표면(5)(편평한 표면) 상의 회전 방향을 따른 홀더(6)의 변위가 제한되며, 그에 따라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2)에 대한 튜닝 포크 단자들(15)의 위치들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피팅 보스들(9)의 돌출 높이를 증대시킴으로써, 홀더(6)를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클립(7)의 삽입 및 홀더(6)의 부착 확인이 용이해질 수 있다.
피팅 보스들(9) 각각을 홀더(6)의 플랜지들(60)의 삽입 홀들(61)을 통해서 피팅함으로써, 튜닝 포크 단자들(15) 및 홀더(6)가 요크 상부 표면(5)에 대해서 배치된다. 이어서, 홀더(6)가 클립들(7)에 의해서 요크 상부 표면(5)에 고정된다. 요크 상부 표면(5) 상의 피팅 보스들(9) 및 홀더(6)의 삽입 홀들(61) 사이의 위치적 관계의 조정을 통해서, 단자 수용 리세스형 파트들(52)에 대한 튜닝 포크 단자들(15)의 위치들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들(15)과 대응파트 단자의 탭 단자 사이의 도전적 접합 파트(외부 연결 파트)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요크(S3)의 요크 상부 표면(5)과 통합된 피팅 보스들(9)에 대한 체결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7)의 삽입 로드는, 체결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서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보스 자체가 압축되고 연장될 때, 압축 로드에 대해서 충분히 작다. 그에 따라, 요크 상부 표면(5)의 편평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런저(S1), 고정자 코어(S2), 및 요크(S3)와 같은 성분들 사이의 자기장 라인들의 전달 및 수용이 높은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통상적인 선형 솔레노이드에서, 삽입 홀(113)이 요크(105)의 상부 표면을 통해서 형성되고, 그리고 단자 홀더(109)가 요크(105)의 바닥부 벽 부분에 스냅-핏 접합되며, 그에 따라 단자 홀더(109)로부터 돌출하는 탄성 결합 피스(114)가 삽입 홀(113)에 대해서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이물질들이 요크(105)의 삽입 홀(113)을 통해서 요크(105)의 내부 공간인 솔레노이드 수용 공간 내로, 특히 플런저(101)와 고정자 코어들(102, 103) 내로 유입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물질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형 솔레노이드의 슬라이딩 간극 내로 유입된다면, 플런저(101)의 슬라이딩에서의 결함(예를 들어, 고착 또는 록킹(lock))이 유발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에서, 스냅-핏 접합을 위한 삽입 홀(113)이 요크(S3)의 바닥부 벽 부분(4)을 통해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요크(S3)의 내부 공간(솔레노이드 수용 공간)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자 코어(S2) 내에서 슬라이딩식으로 지지되는 플런저(S1)의 슬라이딩의 결함(예를 들어, 고착 또는 록킹))이 유발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선형 솔레노이드에서, 단자 홀더(109)를 요크(105)에 고정하는 방법은 스냅-핏 접합이다. 따라서, 탄성 결합 피스(114)의 단부 파트(스냅 피팅 멈춤쇠 파트(115))이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사공간; dead space)이 요크(105)의 바닥부 벽 부분(111)과 코일 보빈(117)의 플랜지형 파트 사이에서 요구된다. 따라서, 선형 솔레노이드 내에서의 동작 공간의 감소로 인한 성능 저하 우려가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에서, 홀더(6)를 요크(S3)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스냅-핏 접합이 채용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요크 상부 표면(5) 상에서 홀더(6)를 고정하는 방법에서, 홀더(6)의 보스 삽입 홀들(61)이 요크(S3)의 피팅 보스들(9) 주위로 각각 피팅되고, 그리고 클립들(7)이 홀더(6)의 플랜지들(60)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피팅 보스들(9) 주위로 각각 억지 끼워맞춤-피팅되고 고정된다. 따라서, 홀더(6)가 요크 상부 표면(5) 상에서 배치 및 고정되어, 요크(S3) 내부의 사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배제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의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개시가 적용되는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 구조(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대응 구성 또는 기능을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들(15) 사이의 중간 파트(연결 파트(23, 24)에서, 본 실시예의 가공 후의 단자(AT)가 벤딩된 파트(66) 및 트위스트된 파트(67)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된 파트(66) 상에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벤딩 가공이 실시되고 그리고 상기 트위스트된 파트(67)에 대해서는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트위스트가 주어진다.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의 요크 상부 표면(5) 상에 외부 연결 커넥터를 부착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할 것이다. 첫 번째로,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BT)(도 6a 참조)가 벤딩 가공 장치의 다이 및 펀치 사이에 셋팅되고, 그리고 벤딩 로드가 펀치에 의해서 단자들(BT)의 각각의 연결 파트들(23)의 벤딩 축(벤딩된 파트(66))로 인가된다. 따라서, 가공 전의 단자(BT)의 각각의 연결 파트(23, 24)의 벤딩 축(벤딩된 파트(66))에서, 튜닝 포크 단자(15)의 근위 단부 파트(44)가 연결 파트(23)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로 벤딩된다. 결과적으로, 가공-중의 단자(MT)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형성)된다(벤딩 가공 프로세스: 벤딩 프로세스).
전술한 가공 후에, 연결 파트(24)가 트위스트 가공 장치의 지그(jig)에 의해서 클램핑된 상태에서 가공-중의 단자(MT)의 각각의 연결 파트(24)를 트위스팅함으로써, 트위스팅 로드가 단자들(MT)의 각각의 연결 파트(24)의 트위스트된 축(트위스트된 파트(67))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가공-중의 단자들(MT)의 각각의 연결 파트(24)의 트위스트된 축(트위스트된 파트(67))에서, 튜닝 포크 단자(15)가 미리 결정된 트위스팅 각도로 연결 파트(24)에 대해서 트위스트된다. 결과적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후의 단자들(AT)이 생성(형성)된다(트위스팅 프로세스). 전술한 벤딩 및 트위스팅을 통해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이전에 가공 전의 단자(BT)의 튜닝 포크 단자(15)의 슬롯 개구부 측부가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지향되나; 가공 후에,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의 슬롯 개구부 측부가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에 대해서 수직인 중앙 축 수직 방향(B)을 따라서 지향될 수 있다.
코일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외부를 향해서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BT)에서, 벤딩 가공이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15) 사이의 중간 파트 상에서 한 차례 실시되고, 이어서, 트위스트가 추가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가공 후의 단자(AT)에서,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15)가 통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단자(107)와 제2 단자(108) 사이의 연결 구조(또는 연결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와 연결 단자(14) 사이의 내부 도전 파트(내부 연결 파트)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에 대한 단자 구조가 제1 실시예에 대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생성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의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개시가 적용되는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 구조(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대응 구성 또는 기능을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15) 사이의 중간 파트(연결 파트들(23, 24))에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벤딩 가공이 실시되는 제1 및 제2 벤딩된 파트들(71, 72)을 본 실시예의 가공 후의 단자(AT)가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의 요크 상부 표면(5) 상에 외부 연결 커넥터를 부착하기 위한 공정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고, 그에 따라 그 설명을 이하에서 생략할 것이다. 전술한 2-회의 벤딩 가공을 통해서, 가공 전에 그리고 가공 중에, 가공 전의 단자(BT) 및 가공-중의 단자(MT)의 튜닝 포크 단자(15)의 슬롯 개구부 측부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으로 지향되나; 가공 후에,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의 슬롯 개구부 측부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에 대해서 수직한 솔레노이드(코일) 중앙 축 수직 방향(B)으로 지향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공 후의 단자(AT)는 벤딩되고 트위스트된(bent twisted) 파트(74)를 포함하고, 그러한 벤딩되고 트위스트된 파트(74)에 대해서는,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15) 사이의 중간 파트(연결 파트(73)에서의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벤딩 가공과 동시에,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트위스트가 주어진다. 벤딩 가공과 동시에, 도 7c에 도시된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와 연결 단자(14) 사이의 중간 파트(연결 파트(73))에 대해서 트위스트가 주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에 대한 단자 구조는 제1 및 제2 실시예들과 유사한 효과를 생성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의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8a 내지 8d는 본 개시가 적용되는 선형 솔레노이드의 단자 구조(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대응 구성 또는 기능을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공 후의 단자(AT)는,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15) 사이의 중간 파트(연결 파트들(23, 24))에서, 벤딩된 파트(75) 및 트위스트된 파트(76)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된 파트(75) 상에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벤딩 가공이 실시되고 그리고 상기 트위스트된 파트(76)에 대해서는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트위스트가 주어진다. 외부 연결 커넥터를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의 요크 상부 표면(5) 상에 부착하기 위한 공정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하고, 그에 따라 그에 관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공 후의 단자(AT)는, 연결 단자(14)와 튜닝 포크 단자(15) 사이의 중간 파트(연결 파트들(23, 24))에서, 트위스트된 파트(77) 및 벤딩된 파트(78)를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된 파트(77)에 대해서는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트위스트가 부여되고 그리고 상기 벤딩된 파트(78) 상에서는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의 벤딩 가공이 실시된다.
이하에서는, 외부 연결 커넥터를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의 요크 상부 표면(5) 상에 부착하는 공정을 설명할 것이다. 첫 번째로, 단자(BT)가 트위스트 가공 장치의 지그에 의해서 클램핑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을 따라 요크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BT)를 트위스팅함으로써, 트위스팅 로드가 가공-중의 단자(MT)의 각각의 연결 파트(24)의 트위스트된 축(트위스트된 파트(77))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가공-중의 단자들(MT)의 각각의 연결 파트(24)의 트위스트된 축(트위스트된 파트(77))에서 튜닝 포크 단자(15)를 연결 파트(24)에 대해서 트위스팅함으로써, 가공-중의 단자들(MT)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형성)된다(트위스팅 프로세스).
다음으로, 전술한 가공 후에, 가공-중의 단자(MT)가 벤딩 가공 장치의 다이와 펀치 사이에 셋팅되고, 그리고 벤딩 로드가 펀치에 의해서 단자들(BT)의 각각의 연결 파트(23)의 벤딩 축(벤딩된 파트(78))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튜닝 포크 단자(15)의 근위 단부 파트(44)가, 가공 전의 단자들(BT)의 각각의 연결 파트(23, 24)의 벤딩 축(벤딩된 파트(78))에서, 연결 파트(23)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벤딩 각도로 벤딩된다. 결과적으로, 가공 후의 단자들(AT)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형성)된다(벤딩 가공 프로세스: 벤딩 프로세스).
전술한 트위스팅 및 벤딩을 통해서, 가공 전의 단자(BT) 및 가공-중의 단자(MT)의 튜닝 포크 단자(15)의 슬롯 개구부 측부가, 도 8a 및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전에 또는 가공 중에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으로 지향되나; 가공 후에, 가공 후의 단자(AT)의 튜닝 포크 단자(15)의 슬롯 개구부 측부는, 도 8b 및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에 대해서 수직한 솔레노이드(코일) 중앙 축 수직 방향(B)을 지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LS)에 대한 단자 구조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과 유사한 효과를 생성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변형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의 솔레노이드가 선형 솔레노이드(LS)(전자기적 액추에이터)에 적용되고, 그러한 선형 솔레노이드(LS)는 자동차의 자동 트랜스미션의 유압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유압 제어 시스템으로 통합되는 스풀 밸브를 구동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솔레노이드는 전기 모터(모터), 발전기(교류 발전기), 전자기적 스위치, 점화 코일, 또는 변압기와 같은 코일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코일에 연결된 도전체가 모터의 회전자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류기(commutator)와 가압 접촉하는 브러시일 수 있을 것이다. 도전체는 교류 발전기의 회전자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전기 링(collector ring)(슬립 링)과 가압 접촉되는 브러시일 수 있을 것이다. 브러시에 대해서 도전적으로-접합된 내부 연결 파트와 대응파트 단자에 피팅되고 연결된 외부 연결 커넥터를 일체화함으로써 얻어진 브러시 단자가 가공 후의 단자를 위해서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의 솔레노이드는 선형 솔레노이드(LS)에 적용되고, 그러한 선형 솔레노이드(LS)는 자동차의 자동 트랜스미션의 유압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유압 제어 시스템으로 통합되는 스풀 밸브를 구동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솔레노이드는 유체 압력 제어, 유동 제어, 또는 유동 통로 스위칭 제어를 위해서 이용되는 스풀 밸브를 구동하는 선형 솔레노이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솔레노이드는, 엔진의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의 개방 및 폐쇄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해서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VVT)에서 이용되는 전자기적 오일 통로 제어 밸브(OCV)의 밸빙 요소인 스풀 밸브를 구동하는 선형 솔레노이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풀 밸브 대신에, 본 개시는 볼 밸브, 또는 포핏 밸브와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밸브를 구동하는 선형 솔레노이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구조는 샤프트 및 플런저(S1)의 일체형 구성을 가지는 가동형 코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샤프트는 자기적 재료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대응파트 단자의 삽입 방향은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에 대해서 수직한 코일 중앙 축 수직 방향(B)으로 셋팅된다. 그러나, 대응파트 단자의 삽입 방향이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과 상이한 방향으로, 또는 솔레노이드(코일)의 중앙 축 방향(A)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예를 들어, 85 도 내지 105 도) 내의 상이한 각도로 셋팅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솔레노이드(LS)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서,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가 일체형 성분에 의해서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가 통합된다. 요크(S3)의 상부 표면(5)으로부터 코일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외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BT)의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 사이의 중간 파트(21 내지 24, 73)에 대해서 벤딩 및 트위스팅을 인가한 결과로서,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가 통합된다. 따라서, 2개의 성분들(제1 및 제2 단자들(107, 108))이 함께 접합되는 통상적인 솔레노이드에서와 달리, 단자(AT)의 내부 연결 파트(14) 및 외부 연결 파트(15)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솔레노이드에서와 같은 제1 단자(107) 및 제2 단자(108)의 도전-접합의 동작이 불필요해진다.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개선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7 양태에서, 2-회의 벤딩 가공은, 요크(S3)의 상부 표면(5)으로부터 코일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외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BT)의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 사이의 중간 파트(21 내지 24) 상에서 실시된다. 따라서, 내부 연결 파트(14) 및 외부 연결 파트(15)가 통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솔레노이드에서 필요로 하는, 제1 단자(107)와 제2 단자(108) 사이의 연결 구조(또는 연결 동작)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AT)의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8 양태에서, 요크(S3)의 상부 표면(5)으로부터 코일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외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BT)의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 사이의 중간 파트(23, 24)에 대해서, 벤딩 가공이 한 차례 실시되고 이어서, 트위스트가 추가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내부 연결 파트(14) 및 외부 연결 파트(15)가 통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솔레노이드에서 필요로 하는, 제1 단자(107)와 제2 단자(108) 사이의 연결 구조(또는 연결 동작)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AT)의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9 양태에서, 요크(S3)의 상부 표면(5)으로부터 코일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외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BT)의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 사이의 중간 파트(23, 24)에 대해서, 트위스트가 적용되고 이어서 벤딩 가공이 한 차례 실시된다. 따라서, 내부 연결 파트(14) 및 외부 연결 파트(15)가 통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솔레노이드에서 필요로 하는, 제1 단자(107)와 제2 단자(108) 사이의 연결 구조(또는 연결 동작)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AT)의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0 양태에서, 요크(S3)의 상부 표면(5)으로부터 코일 중앙 축 방향(A)을 따라서 외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BT)의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 사이의 중간 파트(73)에 대해서, 벤딩 가공과 동시에 트위스트가 적용된다. 따라서, 내부 연결 파트(14) 및 외부 연결 파트(15)가 통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솔레노이드에서 필요로 하는, 제1 단자(107)와 제2 단자(108) 사이의 연결 구조(또는 연결 동작)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AT)의 내부 연결 파트(14)와 외부 연결 파트(15)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1 및 제12 양태들에서, 테이퍼 유도 표면을 가지는 유도 홈(54)이 요크(S3)의 상부 표면(5) 상에 부착된 홀더(6)의 개구부(수용 홀(52) 내로 외부 연결 단자(AT)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개구부)를 위해서 제공된다. 따라서, 가공 후의 단자(AT)의 외부 연결 파트(15)의 위치 시프트가 유도 홈(54)에 의해서 흡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공 후의 단자(AT)의 외부 연결 파트(1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3 양태에서, 보스들(9, 9a)이 요크(S3)의 상부 표면(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그리고 홀더(6)의 부착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보스들(9, 9a)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 홀들(61)이 홀더(6)에 대해서 제공된다. 따라서, 홀더(6)가 위치 시프트 없이 요크(S3)의 상부 표면(5)에 대해서 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홀더(6) 내에 수용되고 유지되는 외부 연결 파트들(15)을 위한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시프트의 양이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자(AT)의 외부 연결 파트(15)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4 양태에서, 보스들(9, 9a)을 홀더(6)의 삽입 홀들(61)을 통해서 각각 피팅함으로써(통과시킴으로써), 외부 연결 파트들(15) 및 홀더(6)가 요크(S3)의 요크 상부 표면(5)에 대해서 배치된다. 그 후에, 환형 클립들(7)(또는 환형 파형 와셔 등)에 의해서 홀더(6)가 요크(S3)의 요크 상부 표면(5)에 대해서 고정된다. 요크(S3)의 상부 표면(5) 상의 보스들(9, 9a)과 홀더(6)의 삽입 홀들(61) 사이의 위치적 관계의 조정을 통해서, 외부 연결 파트들(15)의 위치들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AT)의 외부 연결 파트(15)에서의 통전(도전) 신뢰성이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였지만, 그러한 개시 내용은 실시예들 및 구성들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변형예 및 균등한 장비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추가적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만을, 보다 많은 또는 보다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조합들 및 구성들, 다른 조합들 및 구성들이 또한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4)

  1. 솔레노이드이며,
    코일과,
    코일이 형성되는 도전체에 또는 코일에 연결되는 도전체에 도전적으로-접합되는 내부 연결 파트, 및
    대응파트 단자에 피팅되고 연결되는 외부 연결 파트를 포함하는 가공 후의 단자와,
    바닥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코일과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 후의 단자는 상기 요크의 상부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연결 파트는 상기 내부 연결 파트와 일체로 구성되과,
    상기 가공 후의 단자는, 상기 요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코일의 중앙 축의 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공 전의 단자에 대한 벤딩 또는 트위스팅의 인가의 결과로서 얻어지고,
    상기 가공 후의 단자는 상기 가공 전의 단자의 내부 연결 파트와 외부 연결 파트 사이의 중간 파트에 대한 벤딩 또는 트위스팅의 인가를 통해서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를 펀칭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재료에 대해서 필수적인 벤딩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공 전의 단자가 제공되는, 솔레노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파트가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의 개구부 측부로부터 후방 측부 내로 대응파트 단자가 삽입되는, 솔레노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전의 단자의 외부 연결 파트의 슬롯의 개구부측이 상기 코일의 중앙 축 방향을 따라서 지향되는, 솔레노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후의 단자의 외부 연결 파트의 슬롯의 개구부측이 상기 대응파트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지향되는, 솔레노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파트 단자의 삽입 방향이 상기 코일의 중앙 축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 또는 상기 코일의 중앙 축의 방향에 수직인 코일 중앙 축 수직 방향인, 솔레노이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후의 단자는 상기 내부 연결 파트와 상기 외부 연결 파트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제1 벤딩된 파트 및 제2 벤딩된 파트를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각도의 벤딩 가공이 상기 제1 벤딩된 파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벤딩된 파트 상에서 실시되고,
    상기 제2 벤딩된 파트가 상기 제1 벤딩된 파트의 내부 연결 파트측에 위치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의 벤딩 가공이 상기 제2 벤딩된 파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벤딩된 파트 상에서 실시되는, 솔레노이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후의 단자는 상기 내부 연결 파트와 상기 외부 연결 파트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벤딩된 파트 및 트위스트된 파트를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각도의 벤딩된 가공이 상기 벤딩된 파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벤딩된 파트 상에서 실시되고,
    미리 결정된 각도의 트위스트가 상기 벤딩 가공 후에 상기 트위스트된 파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트위스트된 파트로 주어지는, 솔레노이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후의 단자는 상기 내부 연결 파트와 상기 외부 연결 파트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트위스트된 파트 및 벤딩된 파트를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각도의 트위스트가 상기 트위스트된 파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트위스트 파트 상에서 실시되고,
    미리 결정된 각도의 벤딩 가공이 상기 트위스트 후에 상기 벤딩된 파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벤딩된 파트 상에서 실시되는, 솔레노이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후의 단자는 상기 내부 연결 파트와 상기 외부 연결 파트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벤딩되고 트위스트된 파트를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각도의 벤딩 및 트위스팅이 상기 벤딩되고 트위스트된 파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벤딩되고 트위스트된 파트 상에서 동시에 실시되는, 솔레노이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후의 단자를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요크의 상부 표면 상에 부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외부 연결 파트를 수용하는 수용 홀, 및
    상기 외부 연결 파트를 상기 수용 홀 내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유도 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홈이 테이퍼 유도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 유도 표면의 개구부 면적이 상기 개구부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솔레노이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그리고 상기 홀더의 부착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도록 제공된 복수의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복수의 보스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홀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스에 각각 피팅되는 복수의 피팅 홀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요크의 상부 표면 상에서 홀더를 고정하는 복수의 클립을 더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KR20130100898A 2012-08-28 2013-08-26 솔레노이드 KR101509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7249 2012-08-28
JP2012187249A JP5951412B2 (ja) 2012-08-28 2012-08-28 ソレノイ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228A true KR20140029228A (ko) 2014-03-10
KR101509329B1 KR101509329B1 (ko) 2015-04-07

Family

ID=5018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898A KR101509329B1 (ko) 2012-08-28 2013-08-26 솔레노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84524B2 (ko)
JP (1) JP5951412B2 (ko)
KR (1) KR101509329B1 (ko)
CN (1) CN1036808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649A (ko) * 2014-05-13 2015-11-2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견고하게 결합되는 컨텍가이드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4618B2 (ja) * 2012-09-14 2016-06-1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5920376B2 (ja) * 2014-02-21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ソレノイド
JP6405873B2 (ja) 2014-10-15 2018-10-1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磁性部品の端子台、およびこの端子台を成形する金型装置
JP2016109191A (ja) * 2014-12-05 2016-06-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流体装置
DE102015120984A1 (de) * 2015-07-03 2017-01-05 Hilite Germany Gmbh Hydraulikventil, insbesondere hydraulisches Getriebeventil
JP6477410B2 (ja) * 2015-10-19 2019-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油圧制御用電磁弁
DE102015222190B4 (de) * 2015-11-11 2019-03-2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Steckverbinder und Motor- oder Ventilabdeckungselement umfassend einen Steckverbinder
JP6271611B2 (ja) * 2016-02-01 2018-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スバー端子、バスバー端子接続構造及びバスバー端子接続方法
EP3261102A1 (en) 2016-06-23 2017-12-27 Rain Bird Corporation Universal solenoid
US10980120B2 (en) 2017-06-15 2021-04-13 Rain Bird Corporation Compact printed circuit board
JP2019079641A (ja) * 2017-10-23 2019-05-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
DE102019203898A1 (de) * 2018-04-04 2019-10-10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US11503782B2 (en) 2018-04-11 2022-11-22 Rain Bird Corporation Smart drip irrigation emitter
DE102018208608A1 (de) * 2018-05-30 2019-12-05 Robert Bosch Gmbh Anordnung und Ventil
CN110581005B (zh) * 2018-06-11 2022-07-19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磁线圈
US11307115B2 (en) * 2019-03-10 2022-04-19 Automatic Switch Company Valve test connection
US11721465B2 (en) 2020-04-24 2023-08-08 Rain Bird Corporation Solenoid apparatus and methods of assembly
KR102487597B1 (ko) * 2020-11-06 2023-01-13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7009A (ja) * 1982-02-25 1983-09-01 Fuji Electric Co Ltd 電磁石用励磁コイルの端子接続装置
JPS61124775U (ko) * 1985-01-25 1986-08-06
US5195232A (en) 1990-01-03 1993-03-23 Integrated Power Components Inc. Method of mak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s
JP2500227Y2 (ja) * 1990-08-30 1996-06-05 株式会社ニフコ 隠しクリップ
JP2001006808A (ja) * 1999-06-22 2001-01-12 Aisin Aw Co Ltd 端子自動接続装置
DE10038091B4 (de) * 2000-08-04 2009-01-15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eine schlupfgeregelt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US6633216B2 (en) * 2001-01-12 2003-10-14 Kelsey-Hayes Company Self-locating coil assembly
JP4042948B2 (ja) * 2001-04-06 2008-02-06 株式会社ケーヒン 電磁装置
JP4016752B2 (ja) * 2002-07-17 2007-12-05 Nok株式会社 ソレノイド
JP4214964B2 (ja) * 2003-08-18 2009-01-2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
JP4303637B2 (ja) * 2004-03-12 2009-07-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4306604B2 (ja) * 2004-12-20 2009-08-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JP4569371B2 (ja) * 2005-04-28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ニアソレノイド
JP2007134553A (ja) * 2005-11-11 2007-05-31 Ckd Corp 制御機器のアクチュエータ
JP2007173436A (ja) * 2005-12-21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石装置、及びその電磁石装置を備えた電磁リレー装置
JP2008061429A (ja) * 2006-08-31 2008-03-13 Mitsuba Corp 電動モータの給電装置および電動モータ並びに給電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回路装置
WO2009044676A1 (ja) 2007-10-02 2009-04-09 Sht Corporation Limited コイ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556537B2 (en) * 2007-11-15 2009-07-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olenoid and connector assembly
DE102007058243A1 (de) * 2007-12-04 2009-06-10 Robert Bosch Gmbh Anschlusselement und zugehöriges Fluidbaugruppe
KR100923436B1 (ko) 2008-02-01 2009-10-27 주식회사 유니크 자동변속기 직접 변속제어용 고유량 제어를 위한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JP2009266947A (ja) * 2008-04-23 2009-11-12 Nidec Tosok Corp 端子部構造
JP2012156188A (ja) * 2011-01-24 2012-08-16 Saginomiya Seisakusho Inc コイルおよびコイルを用いた電磁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649A (ko) * 2014-05-13 2015-11-2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견고하게 결합되는 컨텍가이드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43915A (ja) 2014-03-13
CN103680807B (zh) 2016-10-26
CN103680807A (zh) 2014-03-26
KR101509329B1 (ko) 2015-04-07
US9184524B2 (en) 2015-11-10
JP5951412B2 (ja) 2016-07-13
US20140065895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329B1 (ko) 솔레노이드
US8264312B2 (en) Linear solenoid
KR101602599B1 (ko) 솔레노이드
JP4329250B2 (ja)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US8350652B2 (en) Electromagnetic actuating unit for a hydraulic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the assembly thereof
US8143984B2 (en) Linear solenoid
JP4931983B2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US8446239B2 (en) Electromagnetic switch
JPS6357974A (ja) 電磁式流体制御弁およびその寸法規制方法
JP6115434B2 (ja) 電磁弁
JP5594184B2 (ja) 電磁スイッチ装置
EP2568481B1 (en) Electromagnetic driv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204574A (ja) リニアソレノイド
JP6477410B2 (ja) 油圧制御用電磁弁
US6634381B2 (en) Solenoid valve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210278008A1 (en) Solenoid
JP2005533217A (ja) 燃料噴射器用の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固定子
CN206290806U (zh) 电磁阀装置
WO2014132522A1 (ja) エンジン始動装置
CN210531674U (zh) 滑阀和滑阀装置
US11783979B2 (en) Solenoid
JP3624557B2 (ja) 電磁弁の端子構造
US20210005369A1 (en) Solenoid
JP5446846B2 (ja) 電磁弁
JP2001143925A (ja) 電磁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