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599B1 - 솔레노이드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599B1
KR101602599B1 KR1020150022274A KR20150022274A KR101602599B1 KR 101602599 B1 KR101602599 B1 KR 101602599B1 KR 1020150022274 A KR1020150022274 A KR 1020150022274A KR 20150022274 A KR20150022274 A KR 20150022274A KR 101602599 B1 KR101602599 B1 KR 10160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holder
terminal
clip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436A (ko
Inventor
게이타 오카다
마사히로 도미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5009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Abstract

요크(5)의 외부면(11a)에 설치된 홀더(7)의 클립 설치 시트(68)는 리세스 경사면(69)의 반경방향 내측 섹션의 리세스 양이 리세스 경사면(69)의 반경방향 외측 섹션의 리세스 양보다 큰 방식으로 경사지는 리세스 경사면(69)을 포함한다. 클립(8)은 요크(5)의 외부면(11a)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에 압입되는 결합 구멍(72) 및,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74)를 포함한다. 클립(8)은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클립(8)의 반경방향 외측 영역에 배치되는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를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리세스 경사면(69)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SOLENOID}
본 발명은 외부 정합 단자에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KR20090084753A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작동기(이후 솔레노이드로 지칭됨)(200)를 갖는 스풀 제어 밸브를 개시한다. 솔레노이드(200)는 리턴 스프링(12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스풀 제어 밸브의 밸브 요소인 스풀 밸브(101)를 슬리브(102)의 스풀 구멍(103)의 조정 나사(104)를 향해(즉, 스풀 구멍(103)의 개구를 향해) 구동시킨다.
솔레노이드(200)는 코일(106), 고정자 코어(반경방향 내측 고정 코어)(107), 요크(반경방향 외측 고정 코어)(108) 및 플런저(109)를 포함한다. 코일(106)은 합성 수지 재료로 제조된 보빈(105) 주위에 권취된다. 고정자 코어(107)는 원통형 관 형태로 구성되고 코일(106)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요크(108)는 원통형 관형 컵으로 구성되고 코일(106)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플런저(109)는 고정자 코어(107)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솔레노이드(200)는 두 개의 제1 단자(111), 두 개의 제2 단자(112) 및 홀더(113)를 포함한다. 제1 단자(111) 및 제2 단자(112)는 코일(106)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홀더(113)는 외부 정합 커넥터가 끼워지는 커넥터 케이스의 기능을 갖는다.
각각의 제1 단자(111)는 코일 단자(코일 측 단자)로서 사용되고 내부 연결부 및 제1 중간 연결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단자(111)의 내부 연결부는 코일(106)을 형성하는 대응 전도체(도선)에 접합된다. 각각의 제1 단자(111)의 제1 중간 연결부는 제2 단자(112) 중 대응하는 제2 단자에 접합되어 전기접속된다.
각각의 제2 단자(112)는 외부측 코일 단자로 사용되고 외부 연결부(튜닝 포크 단자부) 및 제2 중간 연결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단자(112)의 외부 연결부는 외부 정합 커넥터의 두 개의 외부 정합 단자 중 대응하는 하나의 외부 연결부(탭 단자부)에 끼워진다. 각각의 제2 단자(112)의 제2 중간 연결부는 대응하는 제1 단자(111)의 제1 중간 연결부에 예컨대, 용접 또는 크림핑에 의해 접합되어 전기접속된다.
솔레노이드(200)에서, 홀더(113)가 요크(108)의 저부(114)의 외부면에 스냅 결합되도록, 요크(108)의 저부(114)에 형성된 관통 구멍(115)을 통해 홀더(113)로부터 돌출하는 탄성 결합편(116)의 말단부(스냅 결합 갈고리부)(117)는 요크(108)의 저부(114)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부(118)에 스냅 결합된다. 요크(108)의 저부(114)의 외부면에 대한 홀더(113)의 고정 방법이 스냅 결합이기 때문에, 저부(114)의 결합부(118)와 탄성 결합편(116)의 스냅 결합 갈고리부(117) 사이의 스냅 결합 연결부에서 래틀링(rattling)이 발생할 것이다. 스냅 결합 연결부에서 래틀링의 발생시, 각각의 제1 단자(111)의 제1 중간 연결부와 대응하는 제2 단자(112)의 제2 중간 연결부 사이에서 위치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위치 편차는 각각의 제2 단자(112)의 외부 연결부와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의 외주 연결부 사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중간 연결부에서의 전기 접속에 요구되는 신뢰성 및 외부 연결부에서의 전기 접속에 요구되는 신뢰성의 달성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단점의 견지에서, 제1 및 제2 단자의 제1 및 제2 중간 연결부에서의 전기 접속에 요구되는 신뢰성 및 제2 단자 및 외부 정합 단자의 외부 연결부에서의 전기 접속에 요구되는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 14 내지 도 15b에 도시된 선형 솔레노이드(비교예)를 이미 제안하였고 시험하였다.
도 14 내지 도 15b에 도시된 비교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에서, 각각이 단자에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 내부 연결부 및 외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단자가 종래 솔레노이드의 제1 및 제2 단자를 대체하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단자와 대응하는 제2 단자 사이의 연결 구조부 및 각각의 제2 단자와 대응하는 제2 단자 사이의 연결을 위한 연결 작동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에서, 상술한 단자를 수용하고 보유하는 단자 홀더(이후 홀더로 지칭됨)(121)를 요크(108)의 저부(114)의 외부면(홀더 설치 시트면)(119)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비교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에서, 내외측 연통 구멍이 원통형 관형 컵 형태로 구성된 요크(108)의 저부(114)에 형성된다. 또한, 단자는 저부(114)의 내외측 연통 구멍을 통해 내측으로부터 요크(108)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두 개의 위치결정 돌기(122)가 요크(108)의 저부(114)의 홀더 설치 시트면(119)으로부터 요크(108)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끼움 구멍(124)이 홀더(121)의 두 개의 플랜지(123)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홀더 설치 시트면(119)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홀더(121)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위치결정 돌기(122)가 끼움 구멍(124)에 각각 끼워진다. 이후, 탄성 변형 가능한 박판 금속으로 제조된 클립(125)의 결합 구멍(126)이 위치 설정 돌기(122)의 각각으로 압입된다.
구체적으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기(122)에 클립(125)을 압입할 때, 플랜지(123) 및 위치설정 돌기(122) 모두에 클립(125)을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압입 하중이 클립(125)에 인가된다. 클립(125)을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기(122)에 압입한 이후, 홀더(121)의 요크 접촉면(127)은 클립(125)의 탄성 복원력의 사용을 통해 요크(108)의 저부(114)를 향해 가압되어, 홀더(121)의 요크 접촉면(127)은 요크(108)의 저부(114)의 홀더 설치 시트면(119)과 유체-기밀식으로 접촉한다.
비교예의 선형 솔레노이드는 이물체 침입 제한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홀더(121)의 요크 접촉면(127)은 요크(108)의 저부(114)의 외부면과 유체-기밀식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저부(114)의 내외측 연통 구멍을 통해 요크(108)의 내측으로 전도성 이물질(특히 오염 입자)과 같은 이물체가 침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링된 두 개의 안내면(132)이 두 개의 단자 삽입 구멍(131)의 각각에 형성되고, 외부 정합 단자의 탭 단자부가 삽입 구멍을 통해 홀더(121)의 단자 수용 챔버로 삽입된다. 따라서, 외부 정합 커넥터를 홀더(121)에 끼울 때, 외부 정합 단자의 탭 단자부가 개별적으로 단자 수용 챔버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의 경우, 클립(125)을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기(122)에 압입한 이후 클립(125)은 다시 스프링백 될 수 있어, 클립(125)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1)의 대응하는 플랜지(123)의 설치 시트면으로부터 멀리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플랜지(123)와 클립(125)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홀더(121)의 요크 접촉면(127)과 요크(108)의 저부(114)의 외부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이물질 침입 제한 기능이 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해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크의 외측으로부터 요크의 저부의 내외측 연통 구멍을 통해 요크의 내측으로의 이물체의 침입을 제한하기 위해 클립의 압입 이후 홀더로부터의 클립의 상승을 제한함으로써 홀더의 요크 접촉면의 유체-기밀 접촉을 요크의 저부의 외부면에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크, 내외측 연통 구멍, 위치설정 돌기, 복수의 단자, 홀더 및 클립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가 제공된다. 요크는 컵 형태로 구성되고 코일과 협력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내외측 연통 구멍은 요크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연통하도록 요크의 저부를 통해 연장한다. 위치설정 돌기는 내외측 연통 구멍과 상이한 저부의 외부면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단자는 요크의 내측으로부터 요크의 외측으로 내외측 연통 구멍을 통해 돌출하여 코일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류를 전달하는 외부 정합 커넥터의 복수의 외부 정합 단자와 연결된다. 홀더는 저부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내외측 연통 구멍을 폐쇄한다. 홀더는 단자 수용 공간 및 끼움 구멍을 포함한다. 단자 수용 공간은 복수의 단자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해 홀더의 내측에 형성된다. 위치설정 돌기는 끼움 구멍에 끼워진다. 끼움 구멍은 단자 수용 공간의 외부측에 위치된다. 클립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홀더를 저부의 외부면에 고정한다. 클립은 결합 구멍 및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를 포함한다. 결합 구멍은 위치설정 돌기의 외주연면에 압입된다.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는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위치설정 돌기의 외주연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홀더는 요크 접촉면 및 클립 설치 시트를 포함한다. 요크 접촉면은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복수의 단자를 둘러싼다. 요크 접촉면은 저부의 외부면과 접촉한다. 클립 설치 시트는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끼움 구멍의 주연 모서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한다. 클립 설치 시트는 루프 형태로 구성되는 리세스 경사면을 포함하고, 리세스 경사면은 리세스 경사면의 반경방향 내측 섹션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리세스 경사면의 반경방향 외측 섹션의 리세스의 양보다 리레스 경사면의 반경방향 내측 섹션의 리세스 양이 더 큰 방식으로 경사진다. 클립은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클립의 반경방향 외측 영역에 위치된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를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는 리세스 경사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본원에 도시된 도면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특정 방식으로 제한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클립의 압입시 클립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클립의 압입 이후 클립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홀더의 설치 이전 제1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의 주요 특징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홀더의 설치 이전 제1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의 주요 특징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요크의 저부에 통합된 위치설정 돌기의 특정 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요크의 저부에 통합된 위치설정 돌기의 다른 특정 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홀더의 요크 접촉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단자의 평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단자의 평면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9a는 제1 실시예에 따라 홀더에 설치된 단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IXB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요크에 대한 홀더의 조립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요크에 대한 홀더의 조립 공정의 다른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홀더의 요크 접촉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종래 솔레노이드 스풀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비교예의 선형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a는 비교예에서 클립의 압입시 클립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클립의 압입 이후 클립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a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100)을 포함한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선형 솔레노이드(솔레노이드 스풀 제어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도 지칭됨)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에 설치된다.
유압 제어 기기가 예컨대, 차량(예컨대, 자동차)에 설치된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작동에 사용된다. 유압 제어 기기는 오일 펌프(미도시), 밸브 본체(미도시), 복수의 선형 솔레노이드 및 제어 유닛(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TCU"로 축약된 변속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오일 펌프는 오일 팬으로부터 오일을 견인하고 견인된 오일을 펌핑한다. 밸브 본체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한다.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 본체에 설치되고 밸브 본체의 유로와 협력하여 유압 회로를 형성한다. 제어 유닛은 차량 운전자에 의해 요청되는 요청 변속 상태를 시행하기 위해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력을 제어한다.
자동 변속기의 하우징은 자동 변속기 케이스(변속기 케이스) 및 오일 팬에 의해 형성된다.
토크 컨버터 및 변속 기구가 자동 변속기 케이스에 수용된다. 토크 컨버터는 펌프, 터빈 및 고정자를 포함한다. 변속 기구는 다단식 기어 타입이고,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 연결된다. 변속 기구는 복수의 마찰 결합 요소(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마찰 결합 요소는 유압 제어 기기로부터 공급된 유압에 응답하여 서로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된다.
마찰 결합 요소 중 대응하는 마찰 결합 요소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의 조합에 따라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범위가 변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작동이 실행된다.
오일 펌프는 유압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자동 변속기에서 사용된 오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인 오일 팬으로부터 오일을 견인하도록 엔진의 크랭크축(또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오일 공급 유로(유로)는 오일 펌프의 출구에 연결되고, 선형 솔레노이드가 밸브 오일 공급 유로의 하류 단부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풀 밸브(이후 스풀 제어 밸브로 지칭됨) 및 선형 솔레노이드(100)를 포함한다. 스풀 제어 밸브는 압력 유체인 오일의 유압을 조정한다. 선형 솔레노이드(100)는 스풀 제어 밸브의 밸브 요소(이후 스풀로 지칭되는 밸브 스풀)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이다.
스풀 제어 밸브는 밸브 슬리브(이후 슬리브로 지칭됨), 스풀, 리턴 스프링 및 조정 나사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원통형 관 형태로 구성되고 밸브 본체의 밸브 삽입 홈(리세스)으로 끼워진다. 스풀은 스풀의 왕복 운동(활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슬리브의 스풀 구멍(이후 안내 구멍으로 지칭됨)에 수용된다. 리턴 스프링은 스풀을 솔레노이드측(기부 단부측, 디폴트 위치측)을 향해 가압한다. 조정 나사는 리턴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을 조정한다.
스풀은 안내 구멍의 내측으로부터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축(2)의 일단부면과 접촉한다. 축(2)의 다른 단부면은 플런저(후술됨)(29)의 접촉부와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풀 제어 밸브는 플런저(29)의 축방향으로 플런저(29)를 이동시킴으로써 축(2)을 통해 스풀을 구동시킨다.
안내 구멍은 슬리브의 내측에 형성되고 축방향에서 선형으로 연장한다. 안내 구멍은 스풀이 활주하는 활주 구멍(내측 구멍)이다.
오일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복수의 오일 공급 및 배출 포트는 슬리브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연통하도록 슬리브에 형성된다. 이들 오일 공급 및 배출 포트는 안내 구멍의 축방향과 수직하는 반경방향에서 안내 구멍의 내측과 슬리브의 외주면(외측) 사이에서 연통한다.
오일 공급 및 배출 포트는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드레인 포트(배출 포트)를 포함한다.
입력 포트는 오일 펌프로부터 제1 유로를 통해 안내 구멍의 내측으로 오일의 입력압이 입력되는 포트(오일 공급 포트)이다.
출력 포트는 오일의 입력압을 미리 정해진 출력압으로 조정한 후 안내 구멍의 내측으로부터 제2 유로를 통해 클러치(또는 브레이크)의 유압 서보 기구로 미리 정해진 오일의 출력압이 출력되는 포트이다.
드레인 포트는 입력 포트 또는 출구 포트로부터 안내 구멍의 내측으로 공급된 오일이 안내 구멍의 내측으로부터 제3 유로를 통해 오일 팬으로 출력되는 포트이다.
상술한 포트 이외에, 오일 공급 및 배출 포트는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오일의 출력압의 변화를 제한하기 위한 피드백(F/B) 포트를 더 포함한다. 피드백 포트는 출력 포트와 연통되는 제4 유로(피드백 유로)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노멀 오픈 타입의 솔레노이드 스풀 밸브(솔레노이드 밸브)이다. 구체적으로,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솔레노이드 코일(이후 코일로 지칭됨)(1)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는 서로 연통되고 출력 포트 및 드레인 포트는 서로 연통해제된다. 또한, 코일(1)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연결부의 단면적은 계단식으로 또는 선형 방식으로 감소되고, 출력 포트와 드레인 포트 사이의 연결부의 단면적은 계단식으로 또는 선형 방식으로 증가된다.
선형 솔레노이드(100)는 비자성 재료로 제조된 축(2)을 통해 스풀의 축방향의 일측(도 2의 좌측)을 향해 스풀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코일(1) 외에, 선형 솔레노이드(100)는 코일 보빈(이후 보빈으로 지칭됨)(3), 두 개의 코일 리드선(4), 플런저(이동 가능 코어)(29), 고정자 코어(반경방향 내측 고정 코어)(130), 요크(반경방향 외측 고정 코어)(5) 및 커넥터(40)(후술되는 두 개의 단자(6), 홀더(7) 및 두 개의 클립(8)을 포함함)를 포함한다. 커넥터(40)는 외부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코일(1)은 코일부(1a) 및 두 개의 코일 리드선(4)을 포함한다. 코일부(1a)는 보빈(3)의 외주연면에 권취되고 원통형 관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내부 전도체부로서 각각 기능하는 코일 리드선(4)은 코일부(1a)의 두 개의 코일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후술되는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요크(5)로부터 외부로 당겨진다. 코일 리드선(4)은 단자(6)에 개별적으로 전기접속된다. 단자(6)는 외부 정합 커넥터(90)에 의해 개별적으로 보유되는 두 개의 외부 정합 단자(9)에 끼워지고 전기접속 되도록 구성된다.
요크(5)는 원통형 관형 컵으로 구성되고 코일(1)과 협력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요크(5)는 반경방향 외측 고정 코어를 형성한다. 요크(5)는 저부(11)를 포함하고, 저부는 축(2)의 중앙축과 일치하는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중앙축의 방향(이후 솔레노이드 축방향으로 지칭됨)에서 측정된 미리 정해진 판 두께(벽 두께)를 갖는다.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은 홀더 설치 시트면(12)을 포함하고, 클립(고정 클립)(8)의 탄성력(탄성 회복력)이 홀더(7)에 대항하여 작용되는 상태로 홀더(단자 홀더)(7)가 홀더 설치 시트면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은 요크 접촉면(67)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홀더 설치 시트면(12)과 긴밀하게 접촉한다. 또한, 내외측 연통 구멍(13)이 요크(5)의 저부(11)에 형성되고 내외측 연통 구멍(13)은 요크(5)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연통하도록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중앙축의 방향과 평행한 저부(11)의 두께 방향(판 두께 방향)으로 저부(11)를 통해 연장한다.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위치설정 돌기(14)가 저부(11)의 외부면(11a)(더 구체적으로, 홀더 설치 시트면(12))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각 단자(6)는 기부 단부(21), 내부 연결부(내부 전도부)(22), 튜닝 포크 단자부(제1 외부 단자부 또는 외부 연결부)(23) 및 중간 연결부(24)를 포함한다. 기부 단부(21)는 단자(6)의 기부 단부측에 위치되고 성형 수지부(성형 부재로 기능함)(15),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되며 보빈(3)과 일체로 성형되는 성형 수지부(15)의 보빈 돌기(또는 돌기로 단순히 지칭됨)(16)의 두 개의 단자 돌기부(16a) 중 대응하는 하나에 단단히 매설된다. 코일 리드선(4) 중 대응하는 하나가 내부 연결부(22)에 연결되어 코일 리드선(4)과 내부 연결부(22) 사이에 전기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후 포크 단자부로도 지칭되는 튜닝 포크 단자부(U-형상 단자부로도 지칭됨)(23)는 기부 단부(21)와 대향된 단자(6)의 대향측(말단 단부측)에 제공된다. 중간 연결부(24)는 내부 연결부(22)와 포크 단자부(23) 사이에 연결된다.
포크 단자부(23)는 외부 정합 단자(9) 중 대응하는 하나의 탭 단자부(제2 단자부)(25)에 끼워진다.
각 단자(6)의 중간 연결부(24)는 평면부(26)를 포함한다.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공장 출하시 코일(1)과 단자(6)의 전기 전도성 상태를 시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도성 점검 장치(시험기)의 두 개의 외부 시험 접촉부(30)(도 7 참조)는 각각 단자(6)의 평면부(26)와 접촉 가능하다. 평면부(26)는 본 발명의 단자(6)의 전극부로 기능한다. 각각의 평면부(26)는 후술하는 두 개의 제1 단자 수용 챔버(51) 중 대응하는 하나와 두 개의 제2 단자 수용 챔버(52) 중 대응하는 하나의 내측에 위치된다.
코일(1)은 코일(1)에 전력 공급시, 축(2) 및 플런저(이동 가능 코어)(29)를 슬리브의 축방향(솔레노이드 축방향)의 일측(도 2의 좌측)을 향해 구동시키는 자기력을 생성한다.
코일(1)은 유전체인 합성 수지(성형 수지 재료)로 제조된 보빈(3) 주위에 유전체 필름이 피복된 전도성 와이어를 여러회 권취하여 형성된 솔레노이드 코일이다. 코일(1)은 보빈(3)의 외주연면 주위로 권취되고 원통형 관 형태로 구성된 코일부(1a)와, 코일부(1a)의 코일 단부(권취 개시 단부 및 권취 말단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요크(5)로부터 외부로 당겨진 코일 리드선(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100)에서, 코일(1)의 통전시(전류 온), 스풀, 축(2) 및 플런저(29)는 초기 위치(디폴트 위치)로부터 솔레노이드 축방향의 일측(말단 단부측)을 향해 이동된다. 코일(1)의 비통전시(전류 오프), 스풀, 축(2) 및 플런저(29)는 리턴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디폴트 위치로 복귀된다.
축(2)은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슬리브의 중앙축을 따라 위치된다. 축(2)은 축방향(솔레노이드 축방향)의 일측을 향해 작용되는 플런저(29)의 구동력을 스풀로 전달한다. 또한, 축(2)은 스풀에 작용된 리턴 스프링의 가압력을 플런저(29)로 전달한다.
보빈(3)은 성형 수지부(15)를 포함한다. 성형 수지부(15)는 코일 리드선(4) 각각의 중간부를 안내하는 리드선 홀더로 기능한다. 성형 수지부(15)는 또한 단자(6)의 기부 단부(21)가 단단히 매설되는 단자 홀더로 기능한다. 아치형으로 구성된 보빈 돌기(단자 지지부)(16)는 성형 수지부(15)의 말단 단부측 섹션에 일체로 형성되고, 보빈 돌기(16)는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저부(11)의 외부면(11a)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유전체 필름이 피복된 전도성 와이어는 두 개의 플랜지(18) 사이에 위치된 보빈(3)의 원통형 관형부(17)의 외주연면 주위로 여러 번 권취된다. 원통형 관 형태로 구성된 코일 수용 공간은 코일(1)의 코일부(1a)를 수용하도록 플랜지(18)들 사이에서 원통형 관형부(17)의 외주연면을 따라 형성된다. 성형 수지부(15)는 플랜지(18) 중 하나(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플랜지(18))와 일체로 형성된다. 슬릿은 코일 리드선(4)의 중간부를 수용하기 위해 성형 수지부(15)와 플랜지(18)중 하나에 형성된다.
코일 리드선(4)은 보빈(3) 주위로 권취되는, 즉 플랜지(18)들 사이에서 원통형 관형부(17)의 외주연면 주위로 권취되는 코일(1)을 형성하는 전도체(전기 전도체)이다. 코일 리드선(4)의 각각은 단자(6) 중 대응하는 하나의 포크 단자부(23)를 통해 외부 전력원 및 외부 제어 회로(예컨대, TCU)와 같은 외부 회로(들)에 연결된다.
코일 리드선(4)의 각각의 중간부는 보빈(3)의 슬릿을 통해 성형 수지부(15)의 외측(요크(5)의 외측)으로 당겨진다.
코일 리드선(4)의 각각은 보빈(3)의 플랜지(18)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고 성형 수지부(15)의 슬릿을 통해 연장하는 제1 돌기를 포함한다. 코일 리드선(4)의 제1 돌기는 요크(5)의 저부(11)에 형성되고 아치 형태로 구성된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요크(5)의 외측으로 당겨진다. 요크(5)의 저부(11) 및 보빈(3)의 성형 수지부(15)의 외부면로부터 돌출하는 코일 리드선(4)의 제1 돌기 각각은 바인딩부 및 리드선 단자 단부를 포함한다. 제1 돌기의 바인딩부는 대응하는 단자(6)의 내부 연결부(22)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제1 돌기의 리드선 단자 단부는 용융 공정의 용융에 의해 내부 연결부(22)에 접합된다.
플런저(이동 가능 코어)(29)는 코일(1)의 전력공급시 여기되는 자기 금속(예컨대, 철 등의 강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플런저(29)는 플런저(29)가 솔레노이드 축 방향에서 활주 가능하고 왕복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자 코어(130)(후술되는 고정자 코어부(31), 고정자 코어부(32) 및 자기 저항부(33)를 포함함)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플런저(29)는 코일(1)의 전력공급시 코일(1)의 자기력에 의해 솔레노이드 축방향의 일측을 향해 자기적으로 유인되는 이동 가능 코어(이동 코어)이다. 플런저(29)는 스풀로 전달된 리턴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원통형 관형 컵 형태로 구성된 요크(5)의 저부(11)를 향해 스풀 및 축(2)과 함께 가압된다.
또한, 활주면은 고정자 코어(130)의 내부 주연면과 직접 활주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플런저(29)의 외주연면에 형성된다.
플런저(29)는 플런저(29)가 솔레노이드 축방향에서 활주 가능하고 왕복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자 코어(130)의 내측(플런저 챔버)에 수용된다. 플런저 챔버는 솔레노이드 축방향에서 각각 전방측 및 후방측에 위치되는 플런저(29)의 플런저 전방 공간(34) 및 플런저 후방 공간(35)을 포함한다.
플런저 전방 공간(34) 및 플런저 후방 공간(35)은 각각 제1 가변 체적부 및 제2 가변 체적부로 기능한다. 제1 가변 체적부(즉, 플런저 전방 공간(34))의 체적 및 제2 가변 체적부(즉, 플런저 후방 공간(35))의 체적은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작동 중 변한다. 플런저 전방 공간(34) 및 플런저 후방 공간(35)은 축방향에서 플런저(29)를 통해 연장하는 플런저 호흡 구멍(36)을 통해 각각 연통한다.
플런저(29)의 전방 단부면과 후방 단부면 사이에서 연통하는 플런저 호흡 구멍(36)은 플런저 챔버에서 플런저(29)의 변위시 플런저 전방 공간(34) 및 플런저 후방 공간(35)에서의 오일의 유동을 보장하도록 플런저(29)를 통해 선형으로 연장한다.
고정자 코어(130)는 고정자 코어부(전방측 고정자 코어부)(31), 고정자 코어부(후방측 고정자 코어부)(32) 및 자기 저항부(33)를 포함한다. 고정자 코어부(31)는 솔레노이드 축방향에서 전방 단부측(일측)을 향해 플런저(29)를 자기적으로 유인한다. 고정자 코어부(32)는 플런저(29)의 외주연면에 대해 자속을 수용하고 제공한다. 자기 저항부(33)는 고정자 코어부(31)와 고정자 코어부(32) 사이의 자속 흐름을 감소시킨다. 고정자 코어부(31), 고정자 코어부(32) 및 자기 저항부(33)는 일편의 구성요소로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고정자 코어부(31), 고정자 코어부(32) 및 자기 저항부(33)는 별도로 형성되고 함께 연결될 수 있다.
고정자 코어부(31), 고정자 코어부(32) 및 자기 저항부(33)는 코일(1)의 전력공급시 자화되는 자기 금속(철과 같은 강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고정자 코어부(31) 및 고정자 코어부(32)는 코일(1), 요크(5), 플런저(29) 및 링 코어(37)와 협력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고정자 코어부(31)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된 환형 플랜지(미도시)는 코일(1)의 일 단부측을 덮은 고정자 코어로 기능한다.
또한, 선형 솔레노이드(100)는 링 코어(코일(1)의 축방향의 일 단부측으로부터 대향된 코일(1)의 다른 단부를 덮는 고정 코어의 일부)(37) 및 파형 와셔(38)를 포함한다. 링 코어(37)는 자성 재료로 제조되고, 요크(5)의 저부(11)와 코일(1) 사이에 위치된다. 파형 와셔(38)는 링 코어(37)를 저부(11)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력을 작용한다.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이들 구성요소(즉, 플런저(29), 고정자 코어부(31), 고정자 코어부(32), 자기 저항부(33), 링 코어(37) 및 파형 와셔(38))는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외부 쉘부를 형성하는 요크(5)의 내측에 수용된다.
반경방향 외측 고정 코어는 코일(1)의 전력공급시 자화되는 자성 재료(예컨대, 철과 같은 강자성 재료)로 제조되는 요크(5)에 의해 형성된다. 요크(5)는 예컨대 프레스 기계를 사용하여 자성 강판의 인발 공정을 통해 원통형 관형 컵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요크(5)의 원통형 관형부의 일 단부측(스풀 제어 밸브측)은 개방되고, 요크(5)의 원통형 관형부의 다른 단부측(홀더측)은 원형 디스크 판 형태로 구성된 저부(11)에 의해 폐쇄된다.
요크(5)는 코일(1), 플런저(29), 고정자 코어부(31), 고정자 코어부(32) 및 링 코어(37)와 협력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요크(5)는 원통형 관 형태로 구성되고 코일(1)의 외주연면을 덮은 원통형 주연벽 판을 포함한다. 요크(5)에서, 원통형 주연벽 판의 일단부측(스풀 제어 밸브측)이 개방되고, 축방향에서 일반부측에 대향하는 원통형 주연벽 판의 다른 단부측은 원형 디스크 판 형태로 구성되는 저부(저부 판)(11)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홀더 설치 시트면(12)은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다. 홀더(7)는 홀더(7)의 요크 접촉면(후술됨)(67)이 홀더 설치 시트면(12)과 요크 접촉면(67) 사이에 틈을 형성하지 않고 홀더 설치 시트면(12)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상태에서 홀더 설치 시트면(12)에 설치된다. 홀더 설치 시트면(12)은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 상에서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요크(5)는 요크(5)가 코일(1)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솔레노이드 수용 공간은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구성요소(예컨대, 코일(1), 보빈(3), 플런저(29), 고정자 코어부(31), 고정자 코어부(32), 자기 저항부(33) 및 링 코어(37))를 수용하도록 요크(5)의 내측에 형성된다.
요크(5)의 원통형 관형부의 원통형 관형 개방부는 슬리브의 환형 플랜지(미도시)에 대항하여 단단히 크림핑된다.
요크(5)의 원통형 관형부의 다른 단부측에 위치된 요크(5)의 저부(11)는 아치형으로 구성되고 단자 수용 구멍으로 기능하는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포함하고, 내외측 연통 구멍을 통해 코일 리드선(4)의 제1 돌기 및 단자(6)의 기부 단부(21)가 수용된다.
내외측 연통 구멍(13)은 요크(5)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연통하도록 솔레노이드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저부(11)의 판 두께 방향)에서 요크(5)의 저부(11)를 통해 연장하는 관통 홀이다. 내외측 연통 구멍(13)은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과 외부면(11b) 사이에서 연통한다.
위치설정 돌기(14)는 요크(5)의 저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으로부터 돌출하고, 각각의 위치설정 돌기(14)는 내외측 연통 구멍(13)과 상이한 저부(11)의 외부면(11a)의 대응부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위치설정 돌기(14)는 서로 평행하고 제1 단자 수용 챔버(본 발명의 제1 수용 리세스로 기능함)(51) 및 제2 단자 수용 챔버(본 발명의 제2 수용 리세스로 기능함)(52)의 일측 및 다른 측에 각각 위치된다. 또한, 위치설정 돌기(14)는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축방향에서 선형으로 외향 연장한다. 위치설정 돌기(14)는 요크(5)의 저부(11)와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위치설정 돌기(14)는 요크(5)의 저부(11)로부터 별개로 형성될 수 있고, 요크(5)의 저부(11)에 단단히 설치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돌기(14)가 홀더(7)의 설치 방향(솔레노이드 축방향)에서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으로부터 저부(11)의 외부면(11a)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 돌기(14)는 예컨대, 압출 공정에 의해 요크(5)의 저부(11)와 일체로 그리고 시임없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위치설정 돌기(14)를 요크(5)의 저부(11)와 일체로 그리고 시임없이 형성하는 대신, 위치설정 돌기(14)는 요크(5)의 저부(11)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위치설정 돌기(14)는 T형 단면 을 갖고 요크(5)의 저부(11)에 형성된 대응 압입 구멍(11c)으로 압입되는 끼움 핀(14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40)는 외부 전력 공급원 및/또는 외부 제어 회로(예컨대, TCU)와 같은 외부 회로(들)로의 코일(1)의 전기접속을 형성한다.
커넥터(40)는 단자(6), 단자 홀더(이후 홀더로 지칭됨)(7) 및 고정 클립(이후 클립으로 지칭됨)(8)을 포함한다. 단자(6)는 단자(6)가 요크(5)의 내측으로부터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요크(5)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정된다. 홀더(7)는 홀더(7)가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폐쇄하도록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에 설치된다. 또한, 홀더(7)(더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는 홀더(7)의 내측(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자 수용 공간(150)을 포함한다. 단자 수용 공간(150)은 각각 단자(6)를 수용하는 두 개의 챔버 섹션(제1 및 제2 챔버 섹션(151a, 151b))을 포함한다. 각각의 챔버 섹션(151a, 151b)은 제1 단자 수용 챔버(51) 중 대응하는 하나 및 제2 단자 수용 챔버(52) 중 대응하는 하나를 포함한다. 각각의 챔버 섹션(151a, 151b)의 제1 단자 수용 챔버(51)는 대응하는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를 수용하고 보유한다. 또한, 각각의 챔버 섹션(151a, 151b)의 제2 단자 수용 챔버(52)는 외부 정합 커넥터(90)가 커넥터(40)에 연결될 때 외부 정합 단자(9)의 대응하는 하나의 탭 단자부(25)를 수용하고 보유한다. 클립(8)은 홀더(7)를 저부(11)의 외부면(11a)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각각의 단자(6)는 예컨대 구리 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고 그 표면에 주석 도금 또는 구리 도금된 금속 전도체 판이다.
단자(6)는 코일(1)의 코일 리드선(4)을 외부 정합 단자(9)에 전기 접속하는 코일 단자(커넥터 단자)이다.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에서, 단자(6)는 포크 단자부(23)의 중앙 축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도록 설정된다.
각각의 단자(6)는 예컨대 프레스 기계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금속 박판(금속 재료)의 스탬핑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단자(6)는 스탬핑 공정과 동시에 실행되는 굽힘 공정에서 절곡되는 사전-절곡부 및 펀칭 공정 이후 절곡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포함한다.
각 단자(6)는 내부 연결부(22), 포크 단자부(23) 및 중간 연결부(24)를 포함한다. 내부 연결부(22)의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내부 연결부(22)는 직사각형 로드 형태를 갖는다. 포크 단자부(23)는 평판 형태로 구성된다. 중간 연결부(24)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중간 연결부(24)는 직사각형 로드 형태를 갖는다. 또한, 각 단자(6)는 단자(6)의 스탬핑 공정 이후 보빈(3)에 성형 수지 재료(성형 수지부(15))로 인서트 성형되는 기부 단부(21)를 포함한다.
각 단자(6)는 보빈(3)의 성형 수지부(15)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요크(5)의 저부(11)에 형성된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요크(5)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내부 연결부(22)를 포함한다. 내부 연결부(22)는 리드선 바인딩부를 포함한다. 코일 리드선(4)은 단자(6)의 내부 연결부(22)에 각각 결속, 즉 리드선 바인딩부 주위에 권취된다.
코일 리드선(4)의 리드선 단자 단부는 용융 공정을 통해 각각 단자(6)의 내부 연결부(22)에 접합되고 내부 연결부에 전기접속된다.
나선형으로 구성된 가이드 홈은 각 단자(6)의 내부 연결부(22)의 리드선 바인딩부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코일 리드선(4)의 바인딩부는 가이드 홈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각 단자(6)는 내부 연결부(22)와 포크 단말부(23)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기 위해 내부 연결부(22)의 말단 단부와 포크 단자부(23)의 기부 단부 부분(44) 사이에 있는 단자(6)의 중간부에 중간 연결부(2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각 단자(6)는 단자(6)의 기부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까지 하나의 금속 재료로부터 단일편 요소로 일체로 형성된다.
중간 연결부(24)는 평면부(접촉 접합부)(26)를 포함한다. 평면부(26)의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평면부(26)는 내부 연결부(22)의 리드선 결속부로부터 연장한다.
포크 단자부(23)는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수형 단자부)(25)와의 연결을 위해 각 단자(6)의 말단 단부측에 형성된다.
포크 단자부(23)는 각각이 아암 형태로 구성되는 두 개의 클램핑 부분(41, 42)을 포함한 커넥터 단말부(암형 단말부)이다. 클램핑 부분(41, 42)은 클램핑 부분(41, 42) 사이에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클램핑하도록 서로 협력한다. 포크 단자부(23)는 클램핑 부분(41, 42) 사이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수용하는 슬롯(43)을 포함하고, 탭 단자부는 개구측으로부터 슬롯(43)의 깊이측으로 슬롯(43) 내로 삽입된다. 슬롯(43)의 깊이측에, 평면부(26)에 연결된 포크 단자부(23)의 기저 단부 부분(루트부)(44)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단자부(23)의 슬롯(43) 개구측은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커넥터 끼움 방향 또는 커넥터 연결 방향으로도 지칭됨)의 삽입 방향측으로 지향, 즉, 솔레노이드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향된다.
홀더(7)는 유전체인 성형 수지 재료(합성 수지)로부터 일체로 성형된다. 홀더(7)는 고정, 즉 단자(6)의 굽힘 공정 이후 저부(11)의 외부면(11a)에 세팅된다.
홀더(7)는 커넥터 케이스(또는 단순히 커넥터 케이스로 지칭됨)(46), 두 개의 플랜지(47), 복수의 보강 리브(48) 및 두 개의 끼움 구멍(49)을 포함한다. 커넥터 케이스(46)는 직사각형 관 형태로 구성되고, 외부 정합 커넥터(90)는 커넥터 케이스(46)에 끼워진다. 플랜지(47)는 커넥터 케이스(46)의 외부면(46a)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더 구체적으로, 플랜지(47) 각각은 커넥터 케이스(46)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단자 삽입 구멍(제1 개구로도 지칭됨)(53) 중 대응하는 하나에 인접한 커넥터 케이스(46)의 외주연벽의 외부면의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외향 돌출하고, 플랜지(47)는 저부(11)의 외부면(11a)의 평면을 따라 외향 돌출한다. 보강 리브(48)는 커넥터 케이스(46)의 외부면(46a)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더 구체적으로, 보강 리브(48) 각각은 커넥터 케이스(46)의 외주연벽의 외부면과 플랜지(47)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단부면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두 개의 제1 단자 삽입 구멍(53) 중 대응하는 하나에 인접한 커넥터 케이스(46)의 외주연벽의 외주면의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끼움 구멍(49) 각각은 플랜지(47)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해 연장하고, 위치설정 돌기(14) 중 대응하는 하나의 외주연면에 끼워진다.
단자 수용 공간(150)의 제1 단자 수용 챔버(제1 단자 수용 구멍 또는 제1 수용 리세스)(51) 및 제2 단자 수용 챔버(제2 단자 수용 구멍 또는 제2 수용 리세스)(52)는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1 단자 수용 챔버(51)는 각각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를 수용하고 보유한다. 제2 단자 수용 챔버(52)는 각각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수용하고 보유한다. 제1 단자 수용 챔버(51) 각각은 제2 단자 수용 챔버(52) 중 대응하는 하나와 직각으로 교차한다.
챔버 섹션(151a, 151b) 각각의 제1 단자 수용 챔버(51)는 일단부측에서 개방되는 제1 단자 삽입 구멍(포크 단자부 삽입 구멍)(53)을 포함한다. 각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는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을 통해 챔버 섹션(151a, 151b) 중 대응하는 하나의 제1 단자 수용 챔버(51)로 삽입된다.
제1 단자 삽입 구멍(53) 각각은 본 발명의 제1 개구로 기능한다. 각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은, 대응하는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를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챔버(51)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챔버(51)의 내측(즉, 대응하는 챔버 섹션(151a, 151b)의 내측)을 향해 테이퍼링되고 서로에 대해 대향되는 두 개의 테이퍼링된 안내면(한 쌍의 테이퍼링된 안내면)(54)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각 제1 단자 삽입 구멍(53)에서, 테이퍼링된 안내면(54)은 V-형상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대향되고, 안내면(54)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단면적(즉,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의 개구의 단면적)은 안내면(54)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외부 개방 단부로부터 안내면(54)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깊이측을 향해 점차 감소되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삽입 경로는 안내면(54)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저부에 형성되어 삽입 경로를 통한 포크 단자부(23)의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대향되는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의 두개의 측면 각각에 제공되는 테이퍼링된 안내면(들)(54)의 개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각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은 하나 이상의 쌍의 테이퍼링된 안내면(54)을 가질 수 있다.
각 챔버 섹션(151a, 151b)의 제2 단자 수용 개구(52)는 일 단부측에서 개방되는 제2 단자 삽입 구멍(이후 탭 단자부 삽입 개구 또는 제2 개구로도 지칭됨)(55)을 포함한다.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는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을 통해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 챔버(52) 내로 삽입된다.
제2 단자 삽입 구멍(55) 각각은 본 발명의 제2 개구로 기능한다. 각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은,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제2 단자 수용 챔버(52)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 챔버(52)의 내측(즉, 대응하는 챔버 섹션(151a, 151b)의 내측)을 향해 테이퍼링되고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테이퍼링된 안내면(한 쌍의 테이퍼링된 안내면(56))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각 제2 단자 삽입 구멍(55)에서, 테이퍼링된 안내면(56)은 V-형상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대향되고, 안내면(56)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단면적(즉,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의 개구의 단면적)은 안내면(56)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외부 개방 단부로부터 안내면(56)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깊이측을 향해 점차 감소되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삽입 경로는 안내면(56)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단부에 형성되어 삽입 경로를 통한 탭 단자부(25)의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대향되는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의 두 개의 측면 각각에 제공되는 테이퍼링된 안내면(들)(56)의 개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즉, 각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은 하나 이상의 쌍의 테이퍼링된 안내면(56)을 가질 수 있다.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단자(6) 및 코일(1)의 전기 전도성 상태는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조립 완료 이후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공장 출하 이전에 점검된다. 전도성 점검시, 전도성 점검 장치(시험기)의 두 개의 외부 시험 접촉부(30)(도 7 참조)가 단자(6)의 평면부(전극부)(26)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전기 전도성, 접촉 저항 및/또는 단자(6) 사이 전압의 존재를 점검한다.
각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은 접촉 삽입 구멍으로 기능하고, 대응하는 단자(6)의 평면부(26)에 대해 외부 시험 접촉부(30)의 면 접촉 또는 선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대응하는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에 대해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의 끼움 방향으로 대응하는 외부 시험 접촉부(30)가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 외측(대응하는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의 전방측)으로부터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 챔버(52)로 접촉 삽입 구멍을 통해 삽입된다.
보빈 돌기(16)는 보빈(3)의 성형 수지부(15)의 말단 단부측에 형성된다. 보빈 돌출부(16)는 아치형(부분적 원형 링 형태)로 구성된다. 보빈 돌기(16)는 미리 정해진 돌출양 만큼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요크(5)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미리 정해진 돌출양만큼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을 통해 제1 단자 수용 챔버(51)로 돌출한다. 두 개의 끼움 돌기(돌기들)(61, 62)는 단자 돌기부(16a) 사이에 위치된 보빈 돌기(16)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커넥터 케이스(46)의 분할 벽(63)은 끼움 돌기(61, 62) 사이에 보유된다.
분할 벽(63)의 판 두께(벽 두께)는 끼움 돌기(61, 62) 각각의 판 두께보다 두껍다.
분할 벽(63)은 챔버 섹션(151a, 151b) 사이를 분할(즉, 제1 단자 수용 챔버(51) 사이를 분할하고 제2 단자 수용 챔버(52) 사이를 분할)하도록 커넥터 케이스(46)에 형성된다. 분할 벽(63)은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천장면으로부터 커넥터 케이스(46)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커넥터 케이스(46)의 단자 수용 공간(150)을 두 개의 부분, 즉 챔버 섹션(151a, 151b)으로 분할한다. 끼움 돌기(65)는 분할 벽(63)의 요크(5)측 단부에 형성된다. 끼움 돌기(65)는 보빈 돌기(16)의 끼움 홈(끼움 리세스로도 지칭됨)(64)으로 끼워진다.
끼움 홈(64)은, 끼움 돌기(65)에 대응되고 끼움 돌기(61, 62) 사이에 위치되는 보빈(16)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다. 끼움 홈(64)은 끼움 홈(64)과 끼움 돌기(65) 사이에 미로(메이즈)(70)의 구조를 갖는다. 끼움 홈(64)은 미리 정해진 양만큼 끼움 돌기(61, 62)의 돌출 단부면으로부터 리세스된다. 끼움 홈(64)은 끼움 돌기(65)를 끼움 홈(64)으로 삽입하여 형성되는 U-형상(또는 W-형상) 형태의 미로(메이즈)(70)의 구조를 갖는다.
두 개의 릿지(보강부)(66)는 커넥터 케이스(46)의 내측에 커넥터 케이스(46)와 일체로 형성된다. 릿지(66) 각각은 단자(6) 중 대응하는 하나의 포크 단자부(23)의 외부 주연 모서리부(측부면)와 접촉하고, 외부 정합 커넥터(90)를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에 끼울 때에 또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로 끼울 때에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에 인가되는 하중을 수용한다. 릿지(66)는 제2 단부 수용 챔버(52)를 형성하는 커넥터(46)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이다.
또한, 커넥터 케이스(46)의 요크(5)측 개방 단부 부분에서, 플랜지(47) 각각은 커넥터 케이스(46)의 외주연벽의 외부면의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기부(11)의 외부면(11a)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외향 돌출한다. 요크 접촉면(67)은 루프(즉, 단자 수용 공간(150)을 둘러싸는 루프)의 형태를 갖는다. 요크 접촉면(67)은, 요크 접촉면(67)이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과 면접촉을 형성하고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에 대향되는 플랜지(47)의 단부면 및 커넥터 케이스(46)의 단부면에 형성된다.
환형 형태(루프 형태)로 구성되는 클립 설치 시트(68)가, 위치설정 돌기(14)의 축방향에서 요크(5)와 대향되는 일측 상에서 플랜지(47) 각각에 형성된다. 클립 설치 시트(68)는 클립 설치 시트(68)의 내주연 모서리부(끼움 구멍(49)의 주연 모서리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한다.
클립 설치 시트(68)는, 클립 설치 시트(68)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환형 형태(루프 형태), 더 구체적으로 역전된 원형 원뿔대 형태로 구성되는 리세스 경사면(69)을 포함한다. 리세스 경사면(69)은 테이퍼링된, 즉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기(14)의 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된 리세스 경사면(69)의 반경방향 내측 섹션(클립 설치 시트(68)의 반경방향 내측 섹션)의 리세스 양이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기(14)의 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된 리세스 경사면(69)의 반경방향 외측 섹션(클립 설치 시트(68)의 반경방향 내측 섹션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클립 설치 시트(68)의 반경방향 외측 섹션)의 리세스 양보다 큰 방식으로 경사진, 오목한 테이퍼링면 (설치 시트면)이다.
플랜지(47) 각각은 위치설정 돌기(14) 중 대응하는 하나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한다. 플랜지(47) 각각은 끼움 구멍(49)을 갖는다.
보강 리브(48)는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에 대해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의 래핑을 제한한다.
플랜지(47)의 끼움 구멍(49)은 커넥터 케이스(46)의 단자 수용 공간(150)(즉, 제1 단자 수용 챔버(51) 및 제2 단자 수용 챔버(52))의 외측에 위치된다. 끼움 구멍(49) 각각은 원형 구멍이고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기(14)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다. 또한, 끼움 구멍(49)은 위치설정 돌기(14)의 축에 평행한 클립 설치 시트(68)의 두께 방향에서 클립 설치 시트(68)의 중앙부를 통해 연장한다.
클립(8) 각각은 리프(leaf) 스프링의 형태와 같이 판 형태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탄성체)이다. 클립(8)은 예컨대, 스테인리스 강 또는 스프링 강으로 제조된 금속 박판(탄성 재료인 금속 재료)의 프레스 가공 공정(예컨대, 스탬핑 공정, 벤딩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클립(8) 각각은 환형 형태(루프 형태)로 구성되는 굴곡부(71)를 포함한다. 굴곡부(71)는 클립(8)의 스탬핑 공정과 동시에 실행되는 벤딩 공정에서 굴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굴곡부(71)는 클립(8)의 스탬핑 공정 이후 실행되는 벤딩 공정에서 굴곡될 수 있다. 굴곡부(71)는 클립 설치 시트(68)를 향해 리세스되는 리세스 굴곡부이다. 굴곡부(71)는 클립(8)을 위치설정 돌기(14)로 압입하는 도중에 그리고 클립(8)을 위치설정 돌기(14)로 압입한 이후 클립 설치 시트(68)와 접촉하지 않는다.
결합 구멍(72)이 각 클립(8)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클립(8)의 결합 구멍(72)은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에 압입된다. 클립(8) 각각은, 원형 원뿔대 형태로 구성되고 클립(8)의 굴곡부(71)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 즉 클립(8)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를 포함한다.
클립(8)의 결합 구멍(72)은 위치설정 돌기(14)에 클립(8)을 설치하기 이전 상태에서 위치설정 돌기(14)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결합 구멍(72)은 위치설정 돌기(14)의 축에 평행한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클립(8)의 중앙부)의 두께 방향에서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중앙부(클립(8)의 중앙부)를 통해 연장한다.
클립(8)에서,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는 결합 구멍(72)의 주연 모서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한다. 원형 원뿔면이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외부면 및 내부면 각각에 형성된다.
복수개(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슬릿(73a)(도 6 참조)이 각 슬립(8)의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에 형성된다. 슬릿(73a) 각각은 결합 구멍(72)의 주연 모서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한다.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는 슬릿(73a)에 의해 복수개(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탄성 결합편(73b)으로 분할된다.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 구멍(72)은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탄성의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또는 단순히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로 지칭됨)(74)가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내부 주연부(결합 구멍(72)의 주연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탄성의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74)는 환형 형태(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탄성의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74)는 모서리부에 형성되고, 모서리부에서 결합 구멍(72)의 구멍 벽면이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외부면과 교차한다. 구체적으로, 탄성의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74)가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내부 주연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클립(8) 각각은, 역전된 원형 원뿔대 형태로 구성되고 클립(8)의 굴곡부(71)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 즉 클립(8)의 반경방향 외측 영역에 위치되는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를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는 클립(8)의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원형 원뿔면은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외부면과 내부면 각각에 형성된다.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단순히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로도 지칭됨)(76)는 환형 형태(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는 굴곡부(71)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클립(8)의 반경방향 외측 영역으로 기능함)의 외주연부(외주연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홀더(7)의 클립 설치 시트(68)의 리세스 경사면(69)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외주연면이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외부면과 교차하는 모서리부이다. 구체적으로,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외주연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환형 형태(루프 형태)로 구성되는 홀더 가압부(단순히 가압부로도 지칭됨)이고, 리세스 경사면(69)과 접촉하여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가 클립 설치 시트(68)와 접촉할 때 요크(5)의 저부(11)에 대항하여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작용한다.
이에 따라, 클립(8) 각각의 결합 구멍(72)은 홀더(7)의 끼움 구멍(49)을 위치설정 돌기(14)로 끼운 이후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에 압입된다. 따라서,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말단 단부측에 위치된 결합 구멍(72)의 직경이 확대되고,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 및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가 압입 하중의 적용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도 1a의 화살표 참조). 그 결과,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이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서 요크(5)의 기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에 대항하여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8)의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에 대항하여 압입 하중을 인가할 때, 즉, 클립(8)을 위치설정 돌기(14)로 압입할 때,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는 역전된 원형 원뿔대 형태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8)의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에 대항하여 압입 하중의 인가가 완료된 이후, 즉, 위치설정 돌기(14)에 클립(8)을 압입 종료한 이후,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는 요크(5)의 기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에 대체로 평행한 원형 환형판 형태가 된다. 즉,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는 압입 하중으로부터 해제되고 도 1b에 지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굴곡되어,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평면은 대체로 위치설정 돌기(14)의 축에 수직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조립 방법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에 홀더(7)를 고정하는 절차가 설명될 것이다.
선형 솔레노이드(100)의 요크(5)의 기부(11)와 일체로 형성된 위치 설정 돌기(14)에 클립(8)을 압입하기 전에, 홀더(7)의 플랜지(47)의 끼움 구멍(49)이 각각 위치설정 돌기(14)의 말단 단부 부분과 정렬되고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을 따라서 위치설정 돌기(14)의 기부 단부측을 향해 가압된다. 즉, 플랜지(47) 각각의 끼움 구멍(49)은 커넥터 케이스(46)의 그리고 플랜지(47)의 요크 접촉부(67)가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과 접촉할 때까지 위치설정 돌기(14)의 기부 단부측을 향해 가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더(7)의 끼움 구멍(49)은 위치설정 돌기(14)에 끼워진다.
이 때, 위치설정 돌기(14)는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의 미리 정해진 위치인 홀더 설치 시트면(12)에 형성되기 때문에, 커넥터 케이스(46) 및 플랜지(47)를 포함하는 홀더(7)는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일시적으로 설치된다(제1 조립 공정).
다음으로, 클립(8)의 결합 구멍(72)이 위치설정 돌기(14)의 말단 단부에 정렬된 상태에서 압입 하중이 클립(8)에 인가되도록 각각의 클립(8)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클립(8)의 결합 구멍(72)은, 홀더(7)의 플랜지(47)의 클립 설치 시트(68)의 리세스 경사면(69)으로 돌출하는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에 압입된다. 이때, 클립(8) 각각의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반경방향 내측부(말단 단부 부분)는 위치설정 돌기(14) 중 대응하는 하나의 외주연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 결합 구멍(72)은 클립(8)을 위치설정 돌기(14)에 설치하기 전 상태에서 위치설정 돌기(14)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기 때문에, 클립(8)을 위치설정 돌기(14)에 설치할 때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내경이 증가되는 방식으로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가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에 압입된다.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에 대항하여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을 가압하는 탄성력은,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탄성 변형에 응답하여 클립(8)의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에서 증가된다. 탄성력은 압입 하중의 인가 방향에 평행한 방향(도 1a의 화살표 참조), 즉, 요크(5)의 홀더 설치 시트면(12) 및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에 수직인 수직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은 클립(8)의 탄성력에 의해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이에 따라,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은 요크 접촉면(67)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면(12)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홀더(7)가 요크(5)의 저부(11)에 고정된다. 즉, 홀더(7)는, 클립(8)의 탄성력의 사용을 통해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에 조립된다(최종 설치 공정).
이 때,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으로부터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요크(5)의 외측으로 단자(6)가 돌출하는 상태에서 보빈(3)의 성형 수지부(15)에 의해 보유되는 각 단자(6), 특히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는 대응하는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의 테이퍼링된 안내면(54)에 의해 대응하는 챔버 섹션(151a, 151b)의 제1 단자 수용 챔버(51)로 안내된다.
홀더(7)를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에 조립할 때,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의 위치가 제1 단자 수용 챔버(51)에 대해 벗어나는 경우에도, 포크 단자부(23)는 테이퍼링된 안내면(54)에 의해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의 테이퍼링된 안내면(54) 사이의 중앙부로 안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는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챔버(51)의 중앙부(적절한 위치, 즉, 정해진 위치)로 안내되어,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와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 사이의 연결이 안정화된다.
이제, 제1 실시예의 장점이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선형 솔레노이드(100)에서, 홀더(7)는 플랜지(47)를 각각 위치 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에 끼움으로써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의 미리 정해지 위치에 일시적으로 설치되고, 플랜지 각각은 커넥터 케이스(46)에 형성된 대응하는 제1 단자 삽입 구멍(53)에 인접한 위치에서 커넥터 케이스(46)의 외주연벽의 외부면의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한다.
홀더(7)는 요크 접촉면(67)을 갖고, 요크 접촉면은, 클립(8)을 위치설정 돌기(14)에 압입할 때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과 면 접촉을 형성한다. 요크 접촉면(67)은, 홀더(7)의 제1 단자 수용 챔버(51)에 수용되어 보유되는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를 둘러싸는 루프(링)의 형태로 구성된다.
홀더(7)에서, 클립 설치 시트(68)는,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기(14)에 끼워지는 끼움 구멍(49)의 주연 모서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 연장하는 각 플랜지(47)에 형성된다. 리세스 경사면(69)이 각 플랜지(47)의 클립 설치 시트(68)에 형성된다. 리세스 경사면(69)은 환형 형태(역전된 원형 원뿔대 형태)로 구성되고, 리세스 경사면(69)의 반경방향 내부측 섹션의 리세스 양이 리세스 경사면(69)의 반경방향 외측 섹션의 리세스 양보다 큰 방식으로 경사진다.
클립(8)은 홀더(7)를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에 고정하도록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에 각각 끼워진다. 이 때, 클립(8)은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이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에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위치설정 돌기(14)에 각각 설치된다.
클립(8) 각각에서,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는 굴곡부(71)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는 굴곡부(71)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환형 형태로 구성되고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의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74)는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내주연부에 형성된다(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는 굴곡부(71)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 클립(8)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으로 기능함). 또한, 클립 설치 시트(68)의 리세스 경사면(69)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외주연부에 형성된다.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을 요크(5)의 저부(11)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가압력을 작용시키도록 클립 설치 시트(68)의 리세스 경사면(69)과 접촉하는 홀더 가압부(또는 단순히 가압부로 지칭됨)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클립(8)을 위치설정 돌기(14)에 압입할 때 반경방향 내부측 클립부(73)만이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 중심으로 크게 굴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스프링백의 발생이 방지 또는 제한된다. 따라서, 홀더(7)의 클립 설치 시트(68)로부터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의 상승의 발생이 방지 또는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7)의 요크 설치면(67)은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간극(틈)을 형성하지 않고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과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와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예컨대, 단자 수용 공간(150))으로 이물체의 침입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요크(5)의 외측으로부터 이러한 공간으로 이물체 침입의 발생 및 이러한 공간으로부터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요크(5)의 내측으로 이물체 침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요크(5)의 내측으로 이물체의 침입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환형 형태로 구성되는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가 클립(8)의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에 형성된다.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클립 설치 시트(68)의 리세스 경사면(69)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에 대항하여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에 따라,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은,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틈을 형성하지 않고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과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7)와 요크(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물체의 침입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48)가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에 형성된다. 보강 리브(48)는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에 대해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의 래핑을 제한한다. 보강 리브(48)는 커넥터 케이스(46)의 외부면(46a)으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각 보강 리브(48)는 커넥터 케이스(46)의 외부면(46a)과, 커넥터 케이스(46)의 외부면(46a)으로부터 외향 돌출하고 클립 설치 시트(68)를 포함하는 대응 플랜지(47) 사이에 연결되는 삼각형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과 홀더(7)의 요트 접촉면(67) 사이의 접촉 긴밀도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은,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과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 사이에 틈을 형성하지 않고 요크 접촉면(67)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시트면(12)과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요크(5)의 저부(11)와 홀더(7)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물체의 침입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한 요크(5)의 내측으로의 이물체 침입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홀더(7)는 제1 단자 삽입 구멍(53) 및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을 포함한다.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에 홀더(7)를 조립할 때, 단자(6)의 포트 단자부(23)는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을 통해 제1 단자 수용 챔버(51)로 각각 삽입된다. 단자(6)의 포트 단자부(23)에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끼울 때, 탭 단자부(25)는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을 통해 제2 단자 수용 챔버(52)로 각각 삽입된다.
테이퍼링된 안내면(54)이 각 제1 단자 삽입 구멍(53)에 형성되어 대응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를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챔버(51)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안내한다.
이에 따라, 요크(5)에 홀더(7)를 조립하는 공정에서, 홀더(7)의 제1 단자 수용 챔버(51)로 포크 단자부(23)를 삽입할 때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와 홀더(7)의 제1 단자 삽입 구멍(53) 사이에 위치 편차가 발생할 때에도,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는, 포크 단자부(23)가 홀더(7)의 요크 접촉면(시일면)(67)과 접촉하는 위치 이외에 포크 단자부(23)가 홀더(7)의 테이퍼링된 안내면(들)(54)과 접촉하는 대응 위치로 안내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크 단자부(23)가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에 접촉하여 발생되는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 상의 손상(예컨대, 스크래치)의 발생이 제거 또는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과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 사이에 요구되는 유체-긴밀도(평탄도 및/또는 평활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링된 안내면(54)을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각 제1 단자 삽입 구멍(53)으로 제공하여 포크 단자부(23)를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챔버(51)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용이하게 안내(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요크(5)에 홀더(7)를 조립할 때, 홀더(7)의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챔버(51)로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의 삽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링된 안내면(56)을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각 제2 단자 삽입 구멍(55)에 제공하여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 챔버(52)의 미리 정해진 위치(즉, 대응하는 포크 단자부(23)의 슬롯(43))에 용이하게 안내(삽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 정합 커넥터(90)를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에 끼울 때 또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로 끼울 때, 대응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의 슬롯(43)으로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의 삽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성형 수지부(15)(예컨대, 보빈 돌출부(16), 즉, 보빈(3)과 일체인 단자 지지부)가 제공된다. 코일(1)의 코일 리드선(4)의 부분 및 단자(6)의 기부 단부(21)이 성형 수지부(15)에 매설되어 성형 수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성형 수지부(15)는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으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홀더(7) 및 성형 수지부(15)는 유전체인 합성 수지로 제조된다. 분할 벽(63)이 홀더(7) 및 성형 수지부(15)에 제공되어 챔버 섹션(151a, 151b) 사이를 분할한다(즉, 제1 단자 수용 챔버(51) 사이를 분할하고, 제2 단자 수용 챔버(52) 사이를 분할한다).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100)에서, 끼움 돌기(61, 62), 분할 벽(63), 끼움 홈(64) 및 끼움 돌기(65)는 보빈 돌기(16) 및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에 제공되어 챔버 섹션(151a, 151b) 사이를 분할하고(즉, 제1 단자 수용 챔버(51) 사이를 분할하고, 제2 단자 수용 챔버(52) 사이를 분할함),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내측(제1 단자 수용 챔버(51) 및 제2 단자 수용 챔버(52))으로 전기 전도성 이물체가 침입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와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 사이의 전기적 연결부에서 휘스커(whisker)(즉, 도금된 금속 표면의 표면 상의 결정 성장 공정을 통해 생성된 작은 금속 헤어부 또는 텐드릴(tendril))의 생성을 제한한다.
예컨대, U-형상으로 구성된 미로(메이즈)(70)의 구조는 보빈(3)의 보빈 돌기(16)에 형성된 끼움 홈(64)과 끼움 돌기(65) 사이에 형성되고, 끼움 돌기는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분할 벽(63)의 요크(5)측 단부에 형성된다. 미로(70)는 끼움 돌기(65)를 끼움 홈(64)에 삽입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끼움 홈(64)과 끼움 돌기(65) 사이에 형성된 미로(70)로 전기 전도성 이물체의 침입이 어려워지고, 미로(70)를 통한 전기 전도성 이물체의 통과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인접한 포크 단자부(23) 사이 또는 인접한 탭 단자부(25) 사이를 가교연결하는 전기적 도전성 이물체에 의해 발생되는 인접한 포크 단자부(23) 사이의 회로 단락 또는 인접한 탭 단자부(25) 사이의 회로 단락 가능성을 제거 또는 제한할 수 있다.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는 탭 단자부(25)를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로 끼울 때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포크 단자부(23)에 대한 탭 단자부(25)의 설치부 및 분리부 개수에 대한 제한이 있다. 따라서,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공장 출하 도중 전도성 점검을 실행할 때, 차량에 설치된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실행되는 전도성 점검과 유사한 전도성 점검을 실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에 전도성 점검기(시험기)의 외부 시험 접촉부를 접촉함으로써 전도성 점검을 실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전에 제안된 일부 커넥터 제품은 두 개의 접촉 삽입 구멍(관통 구멍)이 커넥터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단자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예에서, 전도성 점검 장치(시험기)의 외부 시험 접촉부는 전도성 점검을 실행하기 위해 접촉 삽입 구멍으로 삽입되어 외부 시험 접촉부가 단자의 처리 접촉부(예컨대, 중간 연결부)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도성 점검을 실행할 때 단자를 통한 전기 전도성은 용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선형 솔레노이드(100)에서, 이물체의 침입을 제한하기 위해, 개구(접촉 삽입 구멍)는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측면에 형성되지 않아서, 중간 연결부(24)의 노출이 제한된다. 따라서, 전도성 점검을 실행할 때 단자를 통한 전기 전도성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홀더(7)에서, 전용 접촉 삽입 구멍이 커넥터 케이스(46)의 측면에 형성되지 않고,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이 접촉 삽입 구멍으로 사용되고, 접촉 삽입 구멍을 통해 전도성 점검 장치(시험기)의 외부 시험 접촉부(30)가 커넥터 케이스(46)의 외측으로부터 단자(6)의 평면부(26)로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에 설치된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실행되는 전도성 점검과 상이한 전도성 점검이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공장 출하시 실행될 수 있다. 즉, 전도성 점검이 용이하다. 그 결과,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도성 상태가 이물체의 침입을 제한하는 장점을 악화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점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체의 침입으로 발생되는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능 장애가 유리하게 제한될 수 있다.
릿지(66)가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내면에 형성된다. 릿지(66) 각각은 단자(6) 중 대응하는 하나의 포크 단자부(23)에 접촉하고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에 외부 정합 단자(90)를 끼울 때 또는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에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끼울 때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에 인가되는 하중(압입 하중, 가압 하중)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에 외부 정합 단자(90)를 끼울 때 또는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에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끼울 때, 홀더(7)의 릿지(66)는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의 기부 단부 부분(44)과 접촉하여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에 인가되는 끼움 하중을 홀더(7)의 릿지(66)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의 기능 장애 또는 손상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와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 사이의 연결(끼움 연결)은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와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확대를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물체가 이 간극으로 침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100)는 벤딩 공정을 통해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와 내부 연결부(22) 사이에 위치된 중간 연결부(24)에 평면부(26)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크 단자부(23)는 벤딩 공정을 통해 단자(6)의 바람직한 위치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는 요크(5), 홀더(7) 및 외부 정합 단자(9)에 의해 형성(동봉)된 공간에 전체로 제공된다.
도 14 내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선형 솔레노이드에서, 플랜지(123)와 클립(125)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 및/또는 엔진의 진동이 요크(108)에 전달될 때, 각 위치 설정 돌기(122)의 외주연면과 플랜지(123)의 끼움 구멍(124)의 구멍 벽 표면이 반복적으로 서로에 대해 활주되어 마찰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위치설정 돌기(122)의 단면적 변화(감소) 및/또는 끼움 구멍(124)의 구멍 형상 변화(증가)가 발생되어 요크(108)의 저부(114)의 외부면(예컨대, 홀더 설치 시트면(119))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해 홀더(121)의 위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위치설정 돌기(122)의 마모 및/또는 끼움 구멍(124)의 마모로 인해, 홀더(121)의 설치에 대한 신뢰도가 악화될 수 있고, 단자의 포크 단자부에서의 전기 전도성의 신뢰도가 악화될 수 있다.
상기 단점의 관점에서,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100)에서, 상술한 구조는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의 마모 및/또는 플랜지(47)의 끼움 구멍(49)의 구멍 벽면의 마모에 의해 발생되는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홀더(7)의 설치에 대한 신뢰도 악화 및 각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와 대응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 사이의 전기 전도성의 신뢰도 악화를 제한하도록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환형 형태(역전된 원형 원뿔대 형태)로 구성된 리세스 경사면(69)은 홀더(7)의 각 플랜지(47)의 클립 설치 시트(68)에 형성되고, 환형 형태로 구성되고 대응하는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의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74)는 각 클립(8)의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내주연부에 형성된다. 또한, 클립 설치 시트(68)의 리세스 경사면(69)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각 클립(8)의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외주연부에 형성된다.
또한, 각 클립(8)의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요크(5)의 저부(11)의 홀더 설치 시트면(12)에 대항하여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을 가압하는 홀더 가압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립(8)을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에 압입한 후 홀더(7)의 클립 설치 시트(68)로부터 클립(8)의 탄성의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의 상승이 유리하게 방지 또는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100)에서,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의 마모 및/또는 플랜지(47)의 끼움 구멍(49)의 구멍 벽면의 마모에 의해 발생되는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홀더(7)의 설치에 대한 신뢰도의 악화 및 각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와 대응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 사이의 전기 전도성 신뢰도 악화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솔레노이드를 갖는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다.
이후 설명에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 번호로 지시되고 단순성을 위해 추가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솔레노이드 스풀 제어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풀 제어 밸브 및 선형 솔레노이드(100)를 포함한다. 선형 솔레노이드(100)는 코일(1), 보빈(3), 코일 리드선(4), 요크(5), 커넥터(두 개의 단자(6), 홀더(7) 및 두 개의 클립(8))(40), 플런저(29) 및 고정자 코어(130)(고정자 코어(31), 고정자 코어부(32) 및 자기 저항부(33)를 포함함)를 포함한다.
홀더(7)는 커넥터 케이스(46), 두 개의 플랜지(47) 및 보강 리브(48)를 포함한다.
각각이 제1 단자 수용 챔버(51) 및 제2 단자 수용 챔버(52)를 포함하는 챔버 섹션(151a, 151b)은 홀더(7)의 커넥터 케이스(46)의 내측에 형성된다.
두 개의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은 요크(5) 측에 위치되는 커넥터 케이스(46)의 요크(5)측 단부면(요크 접촉면(67))에 개방된다.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홀더 설치 시트면(12))에 홀더(7)를 설치할 때, 각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는 대응하는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을 통해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챔버(51)로 삽입된다. 각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은, 대응 단자(6)의 포크 단자부(23)를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챔버(51)로 안내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챔버(51)의 내측(즉, 대응하는 챔버 섹션(151a, 151b)의 내측)을 향해 테이퍼링되고 서로 대향된 두 개의 테이퍼링된 안내면(테이퍼링된 한 쌍의 안내면)(5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 제1 단자 삽입 구멍(53)에서, 테이퍼링된 안내면(54)은 V-형상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대향되고, 안내면(54)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단면적(즉, 제1 단자 삽입 구멍(53)의 개구의 단면적)은 안내면(54)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외부 개구로부터 안내면(54)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깊이측을 향해 점차 감소되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삽입 경로는 삽입 경로를 통해 포크 단자부(23)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안내면(54)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저부에 형성된다.
두 개의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은 커넥터 케이스(46)의 측면(전방 측면)에 형성된다. 각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는 대응하는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을 통해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 챔버(52)로 삽입된다. 안내 홈(60)은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 챔버(52)의 미리 정해지 위치로 안내하도록 각 제2 단자 삽입 구멍(55)에 형성된다. 안내 홈(60)은,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를 제2 단자 수용 챔버(52)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안내하도록 서로 대향되고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 챔버(52)의 내측(즉, 대응하는 챔버 섹션(151a, 151b))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테이퍼링된 두 개의 안내면(테이퍼링된 한 쌍의 안내면)(56a)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각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의 안내 홈(60)에서, 테이퍼링된 안내면(56a)은 V-형상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향되고, 안내면(56a)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단면적(즉, 제2 단자 삽입 구멍(55)의 안내 홈(60)의 개구의 단면적)은 안내면(56a)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외부 개구로부터 안내면(56a)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깊이 측을 향해 점차 감소되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삽입 경로는 삽입 경로를 통해 탭 단자부(25)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안내면(56a) 사이에 형성된 개구의 저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 실시예의 장점과 유사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제,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는 유압 제어 기기에 설치된 스풀 제어 밸브를 구동하는 선형 솔레노이드(솔레노이드 작동기)로 적용되고, 유압 제어 기기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작동을 실행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는 전기 모터, 파워 제너레이터(교류 발전기), 솔레노이드 스위치, 또는 예컨대 점화 코일 또는 변압기의 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코일에 연결되는 전도체는 전기 모터의 회전자 코일에 전기 접속되는 정류자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브러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일에 연결되는 전도체는 교류 발전기의 회전자 코일에 전기 접속되는 슬립 링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브러시일 수 있다.
또한, 단자 각각은 대응하는 브러시에 전기 접속된 내부 연결부 및, 대응하는 외부 정합 단자에 끼워지고 이에 전기 접속된 외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브러시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는 유압 제어 장치에 설치된 스풀 제어 밸브를 구동시키는 선형 솔레노이드에 적용되고, 유압 제어 장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작동을 실행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는 유압 제어 작동, 유량 제어 작동 또는 유로 변경 작동에 사용되는 스풀 제어 밸브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선형 솔레노이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는 내연 기관의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의 개방 타이밍 및 폐쇄 타이밍을 변경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VVT) 시스템에 사용된 오일 제어 밸브(OCV)의 밸브 요소인 스풀 밸브를 구동하는 선형 솔레노이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풀 제어 밸브 대신, 볼 밸브 또는 포핏 밸브와 같은 다른 유형의 밸브를 구동하는 선형 솔레노이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는 일체로 형성된 플런저 및 축을 갖는 이동 가능 코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축은 자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노멀 오픈(N/O) 유형의 솔레노이드 스풀 제어 밸브(솔레노이드 밸브)가 본 발명의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로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선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노멀 클로즈(N/C) 밸브 유형의 솔레노이드 스풀 제어 밸브(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고, 이러한 밸브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력 공급 중단시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를 연통해제하고 출력 포트와 드레인 포트 사이를 연통하고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력 공급 증가시 계단형 또는 선형 방식으로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연통 경로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고 계단형 또는 선형 방식으로 출구 포트와 드레인 포트 사이의 연통 경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 외부 정합 단자의 삽입 방향은 솔레노이드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외부 정합 단자의 삽입 방향은 솔레노이드 축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또는 솔레노이드 축방향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 범위(예컨대, 85 내지 105도) 내에 있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 장점 및 변형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발생할 것이다. 넓은 관점에서 본원에 특정 세부 사항, 대표적 기기 및 예시적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솔레노이드이며,
    컵 형태로 구성되고 코일(1)과 협력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요크(5),
    요크(5)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연통하도록 요크(5)의 저부(11)를 통해 연장하는 내외측 연통 구멍(13),
    내외측 연통 구멍(13)과 상이한, 저부(11)의 외부면(11a)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위치설정 돌기(14),
    코일(1)을 활성화시키도록 전류를 전달하는 외부 정합 커넥터(90)의 복수의 외부 정합 단자(9)와 연결되도록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요크(5)의 내측으로부터 요크(5)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단자(6),
    저부(11)의 외부면(11a)에 설치되고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폐쇄하는 홀더(7)로서, 홀더(7)는 복수의 단자(6)를 수용하고 보유하도록 홀더(7)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자 수용 공간(150) 및 위치설정 돌기(14)가 끼워지는 끼움 구멍(49)을 포함하고, 끼움 구멍(49)이 단자 수용 공간(150)의 외측에 배치되는, 홀더(7), 및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저부(11)의 외부면(11a)에 홀더(7)를 고정하는 클립(8)을 포함하고,
    클립(8)은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에 압입되는 결합 구멍(72), 및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위치설정 돌기(14)의 외주연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74)를 포함하고,
    홀더(7)는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복수의 단자(6)를 둘러싸는 요크 접촉면(67)으로서, 요크 접촉면(67)은 저부(11)의 외부면(11a)과 접촉하는, 요크 접촉면, 및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끼움 구멍(49)의 주연 모서리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클립 설치 시트(68)를 포함하고,
    클립 설치 시트(68)는 루프 형태로 구성되는 리세스 경사면(69)을 포함하고, 리세스 경사면은 리세스 경사면(69)의 반경방향 내측 섹션의 리세스 양이 리세스 경사면(69)의 반경방향 내측 섹션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리세스 경사면(69)의 반경방향 외측 섹션의 리세스 양보다 큰 방식으로 경사지고,
    클립(8)은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를 포함하고,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클립(8)의 반경방향 외측 영역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리세스 경사면(69)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솔레노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가 클립 설치 시트(68)와 접촉할 때,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요크(5)의 저부(11)에 대항하여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작용하도록 리세스 경사면(69)과 접촉하는 가압부인, 솔레노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홀더(7)는
    관 형태로 구성되는 케이스(46)로서, 케이스(46)의 내측에 단자 수용 공간(150)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46)의 외부면(46a)으로부터 외향 돌출하고 저부(11)의 외부면(11a)에 대해 요크 접촉면(67)의 래핑(warping)을 제한하는 리브(48)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6)는 두 개의 단자를 포함하고,
    복수의 외부 정합 단자(9)는 두 개의 외부 정합 단자를 포함하고,
    두 개의 단자 각각은 두 개의 내부 전도체부(4) 중 대응하는 하나와 두 개의 외부 정합 단자(9) 중 대응하는 하나 사이에서 연결되는 제1 외부 단자부(23)를 포함하고, 두 개의 내부 전도체부(4) 각각은 코일(1)의 대응 부분을 형성하거나 코일(1)에 연결되고,
    두 개의 외부 정합 단자(9) 각각은 두 개의 단자 중 대응하는 하나의 제1 외부 단자부(23)와 결합가능한 탭 단자부(25)를 포함하고,
    홀더(7)의 단자 수용 공간(150)은 두 개의 챔버 섹션(151a, 151b)을 포함하고, 챔버 섹션 각각은 두 개의 단자 중 대응하는 하나의 제1 외부 단자부(23) 및 두 개의 외부 정합 단자 중 대응하는 하나의 탭 단자부(25)를 수용하고 보유하는, 솔레노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홀더(7)는
    요크(5)에 홀더(7)를 설치할 때 두 개의 단자의 제1 외부 단자부(23)가 통과하여 두 개의 챔버 섹션(151a, 151b)으로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제1 개구(53), 및
    홀더(7)에 외부 정합 커넥터(90)를 끼울 때 또는 두 개의 단자(6)에 두 개의 외부 정합 단자(9)를 끼울 때 두 개의 정합 단자(9)의 탭 단자부(25)가 통과하여 두 개의 챔버 섹션(151a, 151b)으로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제2 개구(55)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개구(53) 및 각각의 제2 개구(55) 중 적어도 하나는 두 개의 단자의 제1 외부 단자부(23) 및 두 개의 외부 정합 단자의 탭 단자부(25) 중 대응하는 하나를 두 개의 챔버 섹션(151a, 151b) 중 대응하는 하나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안내하도록 테이퍼링된 적어도 한 쌍의 안내면(54, 56, 56a)을 포함하고, 이 안내면은 서로에 대해 대향되고 두 개의 챔버 섹션(151a, 151b) 중 대응하는 하나의 내측을 향해 테이퍼링되고,
    각각의 제1 개구(53) 및 각각의 제2 개구(55) 중 적어도 하나는 테이퍼링된 적어도 한 쌍의 안내면(54, 56, 56a)에 의해 두 개의 챔버 섹션(151a, 151b) 중 대응하는 하나의 깊이 측을 향해 점차 감소되는 단면적을 갖는, 솔레노이드.
  7. 제5항에 있어서,
    요크(5)의 저부(11)의 외표면(11a)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성형 부재(15)를 더 포함하고,
    성형 부재는
    두 개의 내부 전도체부(4) 각각의 일부로서, 내부 전도체부 각각은 코일(1)의 대응 부분을 형성하거나 코일(1)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내부 전도체부 각각의 일부 및
    두 개의 단자의 기부 단부 부분(21)
    을 보유하고,
    성형 부재(15)는, 요크(5)로부터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통해 외향 돌출하고 두 개의 제1 개구(53)를 통해 두 개의 챔버 섹션(151a, 151b)으로 삽입되는 돌기(16)를 포함하고,
    홀더(7)는
    두 개의 챔버 섹션(151a, 151b) 사이에서 분할되는 분할벽(63), 및
    요크(5)가 배치되는 측면에 위치된, 분할벽(63)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 돌기(65)를 포함하고,
    돌기(16)는 끼움 리세스(64)의 내부면과 끼움 돌기(65) 사이에 미로(70)를 형성하도록 끼움 돌기(6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끼움 리세스(64)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8. 제4항에 있어서,
    두 개의 단자 각각은 전극부(26)를 포함하고,
    두 개의 단자의 전극부(26)는 각각 두 개의 챔버 섹션(151a, 151b)에 수용되고,
    코일(1) 및 두 개의 단자의 전기 전도성 상태를 시험하는데 사용되는 두 개의 외부 시험 접촉부(30)는 두 개의 단자의 전극부(26)와 각각 접촉가능하고,
    두 개의 제2 개구(55)는 각각 두 개의 접촉 삽입 구멍으로 기능하고, 접촉 삽입 구멍을 통해 두 개의 외부 시험 접촉부(30)가 홀더(7)의 외측으로부터 두 개의 전극부(26)를 향해 삽입 가능한, 솔레노이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7)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66)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66)는 복수의 단자(6)와 접촉하고, 홀더(7)에 외부 정합 커넥터(90)를 끼울 때 또는 복수의 단자(6)에 복수의 외부 정합 단자(9)를 끼울 때 복수의 단자(6)에 인가된 하중을 수용하는, 솔레노이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크(5)는 홀더 설치 시트면(12)을 포함하고, 홀더(7)의 요크 접촉면(67)이 홀더 설치면(12)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상태로 홀더(7)가 홀더 설치 시트면에 설치되고,
    홀더 설치 시트면(12)은 요크(5)의 저부(11)의 외부면(11a) 상의 내외측 연통 구멍(13)을 둘러싸는, 솔레노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위치설정 돌기(14)는 저부(11)의 외부면(11a) 또는 홀더 설치 시트면(12)로부터 요크(5)의 외측으로 선형으로 연장하는, 솔레노이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끼움 구멍(49)은 위치설정 돌기(14)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고,
    끼움 구멍(49)은 위치설정 돌기(14)의 축에 평행한 클립 설치 시트(68)의 두께 방향으로 클립 설치 시트(68)의 중앙부를 통해 연장하는, 솔레노이드.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립(8)을 위치설정 돌기(14)에 설치하기 전 상태에서 결합 구멍(72)은 위치설정 돌기(14)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결합 구멍(72)은 위치설정 돌기(14)의 축과 평행한 클립(8)의 두께 방향에서 클립(8)의 중앙부를 통해 연장하는, 솔레노이드.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립(8)은, 클립(8)의 결합 구멍(72)의 주연 모서리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확개된 원형 원뿔대 형태로 구성된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를 포함하고,
    반경방향 내측 결합부(74)는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내주연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15. 제14항에 있어서,
    클립(8)은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를 포함하고,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는 역전된 원형 원뿔대 형태로 구성되고 반경방향 내측 클립부(73)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반경방향 외측 결합부(76)는 반경방향 외측 클립부(75)의 외주연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KR1020150022274A 2014-02-21 2015-02-13 솔레노이드 KR101602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1519 2014-02-21
JP2014031519A JP5920376B2 (ja) 2014-02-21 2014-02-21 ソレノイ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436A KR20150099436A (ko) 2015-08-31
KR101602599B1 true KR101602599B1 (ko) 2016-03-10

Family

ID=5388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274A KR101602599B1 (ko) 2014-02-21 2015-02-13 솔레노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43853B2 (ko)
JP (1) JP5920376B2 (ko)
KR (1) KR101602599B1 (ko)
CN (1) CN104867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7410B2 (ja) * 2015-10-19 2019-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油圧制御用電磁弁
JP6601171B2 (ja) * 2015-11-11 2019-11-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バルブ及びソレノイドバルブの製造方法
JP6668726B2 (ja) * 2015-12-10 2020-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
CN105405643B (zh) * 2015-12-15 2019-07-26 重庆五福科技有限公司 一种点火线圈绕线工装
EP3261102A1 (en) 2016-06-23 2017-12-27 Rain Bird Corporation Universal solenoid
US10980120B2 (en) 2017-06-15 2021-04-13 Rain Bird Corporation Compact printed circuit board
CN107642618A (zh) * 2017-11-06 2018-01-30 深圳市雷拓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控制清洗水管通断水的控制开关
US11149775B2 (en) * 2017-11-22 2021-10-19 Penn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rp. Easily removeable push-on spring nut
JP7004215B2 (ja) * 2018-03-30 2022-01-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付き機器
US11503782B2 (en) 2018-04-11 2022-11-22 Rain Bird Corporation Smart drip irrigation emitter
DE102018208608A1 (de) * 2018-05-30 2019-12-05 Robert Bosch Gmbh Anordnung und Ventil
JP6919639B2 (ja) * 2018-10-02 2021-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ソレノイド
DE102018217424A1 (de) * 2018-10-11 2020-04-16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e Betätigungseinrichtung
JP7262253B2 (ja) * 2019-03-13 2023-04-21 日本精機株式会社 電子部品モジュール、電子部品モジュールと筐体と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制御装置
US11450461B2 (en) * 2019-03-22 2022-09-20 Cyntec Co., Ltd. Electronic device
US11721465B2 (en) 2020-04-24 2023-08-08 Rain Bird Corporation Solenoid apparatus and methods of assembly
CN112117114B (zh) * 2020-09-26 2022-02-15 百胜电气有限公司 一种变压器箱体边缘孔定位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0428A (en) 1985-03-11 1986-09-09 Borg-Warner Automotive, Inc. Hermetically sealed electromagnetic solenoid valve
KR100195353B1 (ko) 1995-03-31 1999-06-15 모리 치사토 전자밸브의 필터부착구조
JP2002305109A (ja) 2001-04-06 2002-10-18 Keihin Corp 電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7681U (ja) * 1982-10-27 1984-05-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バルブ
JPS59103973U (ja) * 1982-12-28 1984-07-12 エスエムシ−株式会社 電磁弁の配線接続装置
JPH0418221Y2 (ko) * 1987-08-26 1992-04-23
JP2500227Y2 (ja) * 1990-08-30 1996-06-05 株式会社ニフコ 隠しクリップ
JP3151226B2 (ja) * 1991-03-20 2001-04-03 松下電工株式会社 ハーネスプラグ
JP2001006808A (ja) * 1999-06-22 2001-01-12 Aisin Aw Co Ltd 端子自動接続装置
DE10038091B4 (de) * 2000-08-04 2009-01-15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eine schlupfgeregelt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US6633216B2 (en) * 2001-01-12 2003-10-14 Kelsey-Hayes Company Self-locating coil assembly
US6598852B2 (en) * 2001-04-06 2003-07-29 Keihin Corporation Solenoid valve
JP4214964B2 (ja) * 2003-08-18 2009-01-2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
JP4303637B2 (ja) * 2004-03-12 2009-07-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4452535B2 (ja) * 2004-03-26 2010-04-21 株式会社ケーヒン 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5282632A (ja) * 2004-03-29 2005-10-13 Keihin Corp 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
JP4120615B2 (ja) * 2004-04-28 2008-07-1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
JP4569371B2 (ja) * 2005-04-28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ニアソレノイド
JP4747987B2 (ja) * 2006-08-03 2011-08-17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US7556537B2 (en) * 2007-11-15 2009-07-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olenoid and connector assembly
JP5125441B2 (ja) * 2007-11-21 2013-01-2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リニアソレノイド装置および電磁弁
DE102007058243A1 (de) * 2007-12-04 2009-06-10 Robert Bosch Gmbh Anschlusselement und zugehöriges Fluidbaugruppe
KR100923436B1 (ko) 2008-02-01 2009-10-27 주식회사 유니크 자동변속기 직접 변속제어용 고유량 제어를 위한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US20120213580A1 (en) * 2009-10-29 2012-08-23 Yachiyo Industry Co., Ltd.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and push nut
JP6094059B2 (ja) * 2012-05-31 2017-03-15 株式会社不二越 比例電磁弁
DE102013214646A1 (de) * 2012-07-30 2014-05-15 Denso Corporation Linearsolenoid
JP5951412B2 (ja) * 2012-08-28 2016-07-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ソレノイ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0428A (en) 1985-03-11 1986-09-09 Borg-Warner Automotive, Inc. Hermetically sealed electromagnetic solenoid valve
KR100195353B1 (ko) 1995-03-31 1999-06-15 모리 치사토 전자밸브의 필터부착구조
JP2002305109A (ja) 2001-04-06 2002-10-18 Keihin Corp 電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44113A1 (en) 2015-08-27
JP2015156458A (ja) 2015-08-27
KR20150099436A (ko) 2015-08-31
CN104867646A (zh) 2015-08-26
JP5920376B2 (ja) 2016-05-18
US9343853B2 (en) 2016-05-17
CN104867646B (zh) 201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599B1 (ko) 솔레노이드
US9184524B2 (en) Solenoid
US10876648B2 (en) Solenoid valve with armature stop
US8264312B2 (en) Linear solenoid
US6501359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US8143984B2 (en) Linear solenoid
US8456262B2 (en) Electromagnetic solenoid
US20090032753A1 (en) Linear solenoid
CN109313973B (zh) 具有一体式极片的电磁致动器
JP4911221B2 (ja) 車両用ターミナル付きリニアソレノイド
US20080230452A1 (en) Spool valve
CN110383401B (zh) 线圈组装体和制动控制装置
JP2012204574A (ja) リニアソレノイド
JP6477410B2 (ja) 油圧制御用電磁弁
US20210278008A1 (en) Solenoid
JP2002181222A (ja) 電磁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49007A (ja) 電磁弁
JP7152227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14055597A (ja) 制御弁
US11908620B2 (en) Solenoid
US20210005369A1 (en) Soleno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