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010A - 패브릭 및 섬유 제품 - Google Patents

패브릭 및 섬유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010A
KR20140028010A KR1020137030742A KR20137030742A KR20140028010A KR 20140028010 A KR20140028010 A KR 20140028010A KR 1020137030742 A KR1020137030742 A KR 1020137030742A KR 20137030742 A KR20137030742 A KR 20137030742A KR 20140028010 A KR20140028010 A KR 20140028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luorine
group
containing polym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469B1 (ko
Inventor
료 야수미츠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08F220/24Esters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perhaloalkyl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6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5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 D06M15/356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containing nitrog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08Fabric composed of a fiber or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262Coating or impregnation is oil repellent but not oil or stain release
    • Y10T442/227Fluorocarbon conta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으로서,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이 우수한 패브릭, 및 상기 패브릭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은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에, 특정한 불소 함유 고분자를 필요에 따라서 제4급 암모늄염과 함께 부착시킴으로써, JISL1018A법(적하법)에 의한 흡수성을 60초 이하, 또한 AATCC118-1992에 의한 발유성을 4급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패브릭 및 섬유 제품{FABRIC AND TEXTILE PRODUCT}
본 발명은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으로서,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이 우수한 패브릭, 및 상기 패브릭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제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은 유니폼, 백의, 어패럴 등의 각종 의료(依料)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의료의 용도에 있어서, 방오 기술로서, 종래 패브릭에 오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나 부착된 오염을 세탁에 의해 제거하기 쉽게 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패브릭을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을 SR(soil release) 처리제로 피복하여 친수성을 부여하는 SR 처리 방법에서는 섬유의 표면이 친수성이 되어, 세탁에 의해서 오염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섬유에 SR 처리를 실시한 경우, 섬유에 오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섬유의 표면을 발유제로 피복하는 SG(soil guard) 처리 방법에서는 섬유의 표면에 발유성이 부여되어, 섬유에 오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섬유에 SG 처리를 실시한 경우, 오염이 부착되기 어려워지지만, 섬유 표면이 발수성이 되기 때문에 섬유의 흡수력이 저하되어, 세탁을 행하더라도 그의 오염이 떨어지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지 등의 오일 오염에 의해 오염은 잡균의 번식을 초래하여, 냄새나 변색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친수기를 갖는 불소계의 SR제와 친수기를 갖지 않는 불소계의 SG제를 병용하는 SG/SR 처리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섬유에 SG/SR 처리를 실시한 경우, SR제에 의해서 섬유에 친수성이 부여되고, SG제에 의해서 섬유에 발유성이 부여되어, 친수성과 발유성은 이율 배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SG 효과와 SR 효과가 서로 감쇄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의료 용도 등에서는 착용 쾌적성을 높이기 위해 패브릭의 흡수성을 높이는 것도 요구되고 있지만, 흡수성과 발유성은 이율 배반적인 성질이기 때문에, 양쪽의 성질을 겸비한 패브릭은 지금까지 그다지 제안되어 있지 않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불소계 화합물에 생활 환경,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이 있는 화합물,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옥탄산("PFOA"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PFOS"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어, 그의 삭감이 과제가 되고 있다.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가능한 한 함유량이 적은 불소계 발수제를 사용한 섬유 제품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551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29637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의 목적은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으로서,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이 우수하고,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환경 문제도 배려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도 우수한 패브릭, 및 상기 패브릭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에 특정한 불소계 고분자를 부여함으로써,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으로서,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이 우수하고, 추가로 환경 문제도 배려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도 우수한 패브릭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또한 예의 검토를 거듭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으로서, 상기 패브릭에 불소 함유 고분자가 부착되어 있고, JIS L 1018A법(적하법)에 의한 흡수성이 60초 이하, 또한 AATCC118-1992에 의한 발유성이 4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이 제공된다.
그 때, 다이어페이스트법(일본 화학 섬유 협회 규격 JCFA TM-104)에 의한 오염의 세탁 제거성(방오 SR성)이 3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계 고분자에 있어서, 퍼플루오로옥탄산 또는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농도가 5 n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가 제4급 암모늄염과 함께 패브릭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가 패브릭에 포함되는 유기 섬유의 단섬유에 피막형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가 멜라민 결합제 수지와 함께 패브릭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가
(a) 일반식 (I):
Figure pct00001
[식 중, X는 수소 원자, 메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염소 원자임),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고, Y는 -O- 또는 -NH-이고, Z는 직접 결합, -S- 또는 -SO2-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12의 플루오로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10, n은 0 내지 10, p는 0 또는 1임]
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단량체 및
(b) 일반식 (II):
Figure pct00002
[식 중, X'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은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q는 1 내지 50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불소 함유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JIS L1902 균액 흡수법(공시균: 황색 포도상구균)에서 정균 활성치가 2.2 이상 또는 살균 활성치가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섬유에 있어서, 단섬유 섬도가 4.0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섬유가 가연 권축 가공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패브릭이 밀도가 40 코스/2.54 cm 이상이고 30 웨일(wale)/2.54 cm 이상의 편물, 또는 밀도가 경위 40개/2.54 cm 이상의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패브릭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으로서,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이 우수하고, 추가로 환경 문제도 배려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도 우수한 패브릭, 및 상기 패브릭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제품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패브릭은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으로서, 상기 패브릭에 불소 함유 고분자가 부착되어 있고, JIS L1018 A법(적하법)에 의한 흡수성이 60초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초)이고, AATCC118-1992에 의한 발유성이 4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급)이다. 흡수성이 60초보다도 큰 경우에는 착용 쾌적성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오염의 세탁 제거성도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AATCC118-1992에 의한 발유성이 4급 미만인 경우, 섬유에 오염이 부착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흡수성 및 발유성은 패브릭에 후술하는 것과 같은 불소 함유 고분자를 부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 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아크릴니트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섬유 등의 재생 섬유, 면 섬유, 울 섬유, 비단 섬유 등의 천연 섬유, 이들을 복합한 것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그리콜 성분으로 제조된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주로 테레프탈산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그리콜 성분으로서는 주로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및 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알킬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 이외에 제3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3 성분으로서는 양이온 염료 가염성 음이온 성분, 예를 들면 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박산; 및 알킬렌글리콜 이외의 글리콜 화합물,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술폰의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재료 리사이클 또는 케미컬 리사이클된 폴리에스테르나, 바이오매스 즉 생물 유래의 물질을 원재료로서 얻어진 단량체 성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스테레오콤플렉스폴리락트산일 수도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0097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126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특정한 인 화합물 및 티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섬유의 형상으로서는 단섬유일 수도 있고 장섬유(멀티필라멘트)일 수도 있지만,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장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의 가연 권축 가공이 실시된 가연 권축 가공사나 2종 이상의 구성사조를 공기 혼섬 가공이나 복합 가연 가공시킨 복합사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유기 섬유가 가연 권축 가공사이면, 패브릭의 흡수성이 추가로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그 때, 멀티필라멘트의 단섬유 섬도, 총섬도, 단사수는 단섬유 섬도 0.0001 내지 10.0 dtex, 총섬도 20 내지 500 dtex, 단사수 10 내지 200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패브릭의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단사 섬유 섬도가 4.0 dtex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2.0 dtex)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섬유에 있어서, 단사 섬유의 단면 형상에는 제한은 없고, 통상의 원형 단면 이외에 삼각, 편평, 일본 특허 공개 제2004-52167호 공보에 기재된 잘록한 부편평(付扁平), 십자 형태, 육(六)모양 형태, 또는 중공 형태 등의 이형 단면 형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패브릭에 있어서, 1종류의 섬유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예를 들면 면 섬유, 나일론 섬유, 레이온 섬유 등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병용하여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브릭에 있어서, 패브릭의 조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직물 조직, 편물 조직, 부직포 조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편 조직으로서는 평편, 고무편, 양면편, 펄(pearl)편, 턱(tuck)편, 부편(浮編), 편반편, 레이스편, 첨모편 등이 예시되고, 세로편 조직으로서는 싱글 덴비편, 싱글 아틀라스편, 더블 코드편, 하프편, 하프 베이스편, 새틴편, 하프 트리코트편, 이모편, 자카드편 등이 예시되고, 직물 조직으로서는 평직, 능직, 주자직 등의 삼원 조직, 변화 조직, 세로 이중직, 가로 이중직 등의 편 이중 조직, 세로 빌로드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층수도 단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다층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직물이나 편물은 통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브릭에 있어서, 패브릭이 밀도가 40 코스/2.54 cm 이상이고 30 웨일/2.54 cm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 코스/2.54 cm이고 30 내지 200 웨일/2.54 cm)의 편물, 또는 밀도가 경위 40개/2.54 cm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경위도 50 내지 200개/2.54 cm)의 직물이면, 흡수성이나 발유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브릭에는 통상의 염색 가공, 감량 가공, 기모 가공, 발수 가공, 캘린더 가공, 엠보싱 가공, 축열 가공, 흡한 가공, 마이너스 이온 가공 등의 후 가공제를,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패브릭에 부착시키는 불소 함유 고분자로서는 퍼플루오로옥탄산(PFOA) 및/또는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PFOS)의 농도가 5 ng/g 이하인 불소계 고분자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PFOA 또는 PFOS의 양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계(LC-MS)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PFOA 또는 PFOS 중 어느 하나만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그의 함유량이 5 ng/g 이하이고, PFOA 및 PFOS의 양쪽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의 합계 함유량이 5 ng/g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흡수성 및 발유성이 우수하고, 더구나 PFOA 또는 PFOS의 농도가 5 ng/g 이하의 불소 함유 고분자로서는 국제 공개 WO2009/123051호 공보에 기재된 것 등이 바람직하다.
즉,
(a) 일반식 (I):
Figure pct00003
[식 중, X는 수소 원자, 메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염소 원자임),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고, Y는 -O- 또는 -NH-이고, Z는 직접 결합, -S- 또는 -SO2-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12의 플루오로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10, n은 0 내지 10, p는 0 또는 1임]
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단량체
(b) 일반식 (II):
Figure pct00004
[식 중, X'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은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q는 1 내지 50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불소 함유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불소 함유 고분자는 우수한 발유성과 흡수성을 갖고 있고, 패브릭에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및 흡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불소 함유 단량체 (a)는 일반식 (I):
Figure pct00005
[식 중, X는 수소 원자, 메틸기, 탄소수 1 내지 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임),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고, Y는 -O- 또는 -NH-이고, Z는 직접 결합, -S- 또는 -SO2-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12의 플루오로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10, n은 0 내지 10, p는 0 또는 1임]
로 표시되는 것이다. 일반식 (I)에 있어서, p가 0인 것이 바람직하다.
X의 바람직한 예는 수소 원자이다.
불소 함유 단량체 (a)에 있어서, Rf기는 일반적으로는 퍼플루오로알킬기 및/또는 부분적으로 불소화된 플루오로알킬기이다. Rf기는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f기의 탄소수는 탄소수 1 내지 12(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이다. Rf기의 예는 -CF3, -CF2CF3, -CF2CF2CF3, -CF(CF3)2, -CF2CF2CF2CF3, -CF2CF(CF3)2, -C(CF3)3, -(CF2)4CF3, -(CF2)2CF(CF3)2, -CF2C(CF3)3, -CF(CF3)CF2CF2CF3, -(CF2)5CF3 등이다.
m은 1 내지 10, 예를 들면 2 내지 5, n은 0 내지 10, 예를 들면 1 내지 6,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이다.
불소 함유 단량체 (a)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불소 함유 단량체 (a)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것이 예시된다.
Figure pct00006
[상기 일반식 중, X는 수소 원자, 메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염소 원자임),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고, Rf는 1 내지 6의 플루오로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10, n은 0 내지 10임]
불소 함유 단량체 (a)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상기 일반식 중, Rf는 1 내지 6의 플루오로알킬기임]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b)는 비불소 단량체이고, 일반식 (II):
(b) 일반식 (II):
Figure pct00011
[식 중, X'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은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q는 1 내지 50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화합물(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b)에 있어서, q가 1 내지 30, 예를 들면 2 내지 10, 특히 2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II)에 있어서, R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특히 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II) 중의 R은 2종 이상의 알킬렌의 조합일 수도 있다. 그 경우, 적어도 R의 하나는 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R의 조합으로서는 에틸렌기/프로필렌기의 조합, 에틸렌기/부틸렌기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b)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b)의 구체예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00012
상기 불소계 고분자는 (c)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교성 단량체 (c)는 적어도 2개의 반응성기 및/또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고,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일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 (c)는 적어도 2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또는 적어도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및 적어도 1개의 반응성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반응성기의 예는 히드록실기, 에폭시기, 클로로메틸기, 블록드(blocked)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복실기 등이다.
가교성 단량체 (c)가 비불소 가교성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성 단량체 (c)가 일반식 (III):
Figure pct00013
[식 중, 각각의 X''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은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q는 1 내지 50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화합물(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R''의 탄소수는 2 내지 10, 예를 들면 2 내지 6, 특히 2 내지 4이다. R''은 에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III)로 표시되는 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4
가교성 단량체 (c)의 다른 예로서는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교성 단량체 (c)의 또 다른 예로서는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에틸케토옥심 등의 블록화제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블록된 이들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가교성 단량체 (c)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고분자는 (d) 비가교성 단량체를 함유할 수도 있다. 비가교성 단량체 (d)는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b) 이외의 단량체, 일반적으로 비불소 단량체이다. 비가교성 단량체 (d)는 불소를 함유하지 않고,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가교성 단량체 (d)는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비닐성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가교성 단량체는 일반적으로,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비가교성 단량체 (d)로서는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말레산 유도체, 염화비닐과 같은 할로겐화 비닐, 에틸렌, 염화비닐리덴과 같은 할로겐화 비닐리덴, 비닐알킬에테르, 스티렌,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피롤리돈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가교성 단량체 (d)는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일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30, 예를 들면 6 내지 30, 예시하면 10 내지 3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가교성 단량체는 일반식:
CH2=CA1COOA2
[식 중, A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A2는 CnH2n +1(n=1 내지 30)로 표시되는 알킬기임]
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류일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는 불소 함유 단량체 (a) 100 중량부를 함유한다. 불소 함유 단량체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b)의 양은 10 내지 400 중량부, 예를 들면 25 내지 150 중량부, 특히 100 내지 43 중량부이고,
가교성 단량체 (c)의 양은 30 중량부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20 중량부, 특히 0.5 내지 10 중량부이고,
비가교성 단량체 (d)의 양은 20 중량부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15 중량부, 특히 0.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500000일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한 값이다.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의 중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괴상 중합, 용액 중합, 유화 중합, 방사선 중합 등의 다양한 중합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는 유기 용제를 이용한 용액 중합이나, 물 또는 유기 용제와 물을 병용하는 유화 중합이 선정된다. 중합 후에 물로 희석하거나, 유화제를 가하여 물에 유화함으로써 처리액에 제조된다.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를 패브릭에 부여하기 전의 불소 함유 고분자의 성상으로서는 중합(예를 들면, 용액 중합 또는 유화 중합) 후, 탈용제하고 나서 물을 가하여, 중합체를 물에 분산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로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유화 중합이나 중합 후, 유화제를 가하여 물에 유화하는 경우의 유화제로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의 일반적인 각종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면 과산화물, 아조 화합물 또는 과황산계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수용성 및/또는 지용성이다.
지용성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2,2'-아조비스(2-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일퍼옥시드, 디-제3급-부틸퍼옥시드, 라우릴퍼옥시드, 쿠멘히드로퍼옥시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피발산t-부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딘2염산염,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아미딘)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황산염수화물,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염산염, 과황산칼륨, 과황산바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40℃ 이상인 유기 과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가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는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에서 이용된다.
또한, 분자량 조절을 목적으로서, 연쇄 이동제, 예를 들면 머캅토기 함유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의 구체예로서 2-머캅토에탄올, 티오프로피온산, 알킬머캅탄 등을 들 수 있다. 머캅토기 함유 화합물은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 0.0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에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용액 중합으로는 단량체를 유기 용제에 용해시켜, 질소 치환 후,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예를 들면 4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 내지 10시간, 가열 교반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중합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지용성 중합 개시제일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단량체에 불활성으로 이들을 용해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아세톤, 클로로포름, HCHC225, 이소프로필알코올, 펜탄, 헥산, 헵탄, 옥탄,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석유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는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0 중량부, 예를 들면 50 내지 10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이용된다.
유화 중합으로는 단량체를 유화제 등의 존재하, 수중에 유화시켜, 질소 치환 후,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40 내지 80℃의 범위에서 1 내지 10시간, 교반하여 중합시키는 방법이 채용된다. 중합 개시제는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히드로과산화물, 3-카르복시프로피오닐과산화물, 과산화아세틸, 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딘-이염산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과산화나트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수용성의 것이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일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라우릴퍼옥시드, 쿠멘히드로퍼옥시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등의 지용성의 것이 이용된다. 중합 개시제는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이용된다.
방치 안정성이 우수한 중합체 수 분산액을 얻기 위해서는 고압 균질기나 초음파 균질기와 같은 강력한 파쇄 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는 유화 장치를 이용하여, 단량체를 수중에 미립자화하고, 지용성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화제로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의 각종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고,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이용된다. 음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및/또는 양이온성의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가 완전히 상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들 단량체에 충분히 상용시키는 것과 같은 상용화제, 예를 들면 수용성 유기 용제나 저분자량의 단량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 유화성 및 공중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성 유기 용제로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에틸,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등을 들 수 있고,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 예를 들면 10 내지 40 중량부의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저분자량의 단량체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단량체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 예를 들면 10 내지 40 중량부의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를 포함하는 처리액은 용액, 에멀션 또는 에어졸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액은 불소 함유 고분자 및 매체(예를 들면, 유기 용매 및 물 등의 액상 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처리액에 있어서, 불소 함유 고분자의 농도는, 예를 들면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액에 제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게 함으로써 불소 함유 고분자를 제4급 암모늄염과 함께 패브릭에 부착시키면, 제4급 암모늄염의 이온 효과에 의해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의 양이온성이 높아진다. 그 결과, 패브릭을 구성하는 유기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경우, 음이온성에 대전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불소 함유 고분자가 부착되기 쉬워지고,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및 흡수성이 더욱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제4급 암모늄염은 통상 항균성을 갖기 때문에, 항균성이 패브릭에 부가된다.
이러한 제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하기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Figure pct00015
또한, 상기 처리액에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불소 함유 고분자를 결합제 수지와 함께 패브릭에 부착시키면, 불소 함유 고분자가 섬유에 견고하게 부착됨으로써,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 항균성 등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그 때, 이용하는 결합제 수지로서는 멜라민 결합제 수지가 바람직하다. 결합제 수지로서 멜라민 결합제 수지를 이용하면 멜라민 결합제 수지의 용해 매개 변수 SP치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가깝기 때문에, 패브릭을 구성하는 유기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경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단섬유에 불소 함유 고분자가 피막형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그 결과,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 항균성 등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패브릭의 소프트성도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합제 수지로서 실리콘 결합제 수지를 이용한 경우, 실리콘 결합제 수지가 소수성이기 때문에 패브릭의 흡수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결합제 수지로서 이소시아네이트 결합제 수지를 이용한 경우,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 항균성 등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한, 시안 가스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또한, 결합제 수지로서 아크릴 결합제 수지를 이용한 경우, 아크릴 결합제 수지는 가교성이 없기 때문에,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 항균성 등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처리액을 패브릭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종래 기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통상, 처리액을 유기 용제 또는 물에 분산하여 희석하여, 침지 도포, 스프레이 도포, 거품 도포 등과 같은 기지의 방법에 의해, 피처리물의 표면에 부착시켜, 건조하는 방법이 채용된다(표면 처리). 불소 함유 고분자는 표면 처리의 경우에, 패브릭의 중량에 대한 불소 함유 고분자의 비율이 0.01 내지 3.0 중량%(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패브릭은 흡수성이 60초 이하이기 때문에, 착용 쾌적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오염의 세탁 제거성도 우수하다. 또한 동시에 AATCC118-1992에 의한 발유성이 4급 이상으로 발유성도 우수하다. 그 때, 다이어페이스트법(일본 화학 섬유 협회 규격 JCFA TM-104)에 의한 오염의 세탁 제거성(방오 SR성)이 3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퍼플루오로옥탄산 및/또는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농도가 5 ng/g 이하의 불소 함유 고분자가 패브릭에 부착되어 있으면, 환경 문제를 배려한 것이 된다.
또한, 불소 함유 고분자를 제4급 암모늄염과 함께 패브릭에 부착시킨 경우에는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및 흡수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패브릭에 항균성도 부가된다. 그 때, JIS L 1902 균액 흡수법(공시균: 황색 포도상구균)에서, 정균 활성치가 2.2 이상 또는 살균 활성치가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섬유 제품은 상기 패브릭을 포함하는 섬유 제품이다. 이러한 섬유 제품은 상기 패브릭을 포함하기 때문에,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이 우수하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불소 함유 고분자를 제4급 암모늄염과 함께 패브릭에 부착시킨 경우에는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및 흡수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항균성도 우수하다. 이러한 섬유 제품에는 셔츠, 유니폼, 식품 공장용 백의 유니폼, 사무실 유니폼, 화장품 판매원용 유니폼, 어패럴 의료, 스포츠 의료, 신사 의료, 부인 의료, 학생복 등의 의료나, 커튼, 베개 커버, 카시트 등이 포함된다. 물론, 본 발명의 섬유 제품이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PFOA 또는 PFOS의 양
다음 조건으로 측정하여, ng/g로 표시하였다.
시료: 패브릭의 경우에는 10 g을 메탄올 용액 중에서 상온에서 5시간 침지 추출하였다
장치: LC-MS/MS 탠덤형 질량 분석계 TSQ-7000(사모일렉트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LC-10Avp(시마즈 세이사꾸쇼)
칼럼: 캡셀팩(Capcellpak) C8 100 mm×2 mmi.d.(5 ㎛)
이동층: A; 0.5 mmol/L 아세트산암모늄
B; 아세토니트릴
유속: 0.2 mL/min, 시료 주입량: 3 μL
CP 온도: 220℃, 이온화 전압: 4.5 kv, 이온 멀티: 1300 v
이온화법: ESI-네가티브(Negative)
(2) 항균성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에 대해서, JIS L 1902 균액 흡수법(공시균: 황색 포도상구균)에 의해 정균 활성치 및 살균 활성치를 측정하였다. 정균 활성치로서는 2.2 이상을 합격(○)으로 하고, 2.2 미만을 불합격(×)으로 하였다. 또한, 살균 활성치로서는 0 이상을 합격(○)으로 하고, 0 미만을 불합격(×)으로 하였다.
(3) 발유성
AATCC118-1992에 의해 발유성을 측정하였다. 4급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4) 흡수성
JIS L 1018A법(적하법)에 의한 흡수성을 측정하였다. 60초 이하를 합격으로 하였다.
(5) 오염의 세탁 제거성
다이어페이스트법(일본 화학 섬유 협회 규격 JCFA TM-104)에 따라서 오염의 세탁 제거성(방오 SR성)을 평가하였다. 즉, 수평으로 깔은 여과지 위에 시험편(상기 L-0천 또는 상기 L-20천)을 펼쳐, 이것에 하기의 오염 성분을 0.1 mL 부착시켜,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였다.
(오염 성분)
카본 블랙 0.167 질량부
유동 파라핀 0.625 질량부
우지 경화유 0.208 질량부
모터 오일(셀(Shell) 제조) 100 질량부
다음으로, 이 시험편을 2조식 전기 세탁기를 이용하여 15분간 세탁(욕비 1:30, 액체 온도 40℃, 온수 30L에 대한 세제 어택(상품명, 카오(주) 제조)의 양 25 g)을 넣고, 헹궈, 탈수를 행한 후, 바람에 말렸다. 건조한 시험편에 잔존하는 기미의 상태를 오염용 그레이 스케일(JIS L 0805:2005)에 의해 판정하였다.
[실시예 1]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불소 함유 단량체 CH2=CHC(=O)O-CH2CH2C6F13을 18.6 g, 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CH2=CHC(=O)O-(CH2CH2O)n-H(브렘머(BLEMMER) AE90, 니찌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n의 평균값은 2, 이하 AE90(b)라고 적음)를 11.4 g, 2-머캅토에탄올을 0.3 g과 메틸에틸케톤(이하, MEK라고 적음)을 45 g 투입하여, 30분간 질소 버블링하였다. 질소 기류하에서 내온을 50-65℃로 승온 후, 퍼부틸 PV(이하, PV라고 적음)를 0.4 g 첨가하고, 60 내지 65℃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약 70℃에서 MEK를 증류 제거하고, 담황색 중합체 잔사를 얻은 후, 물을 122.4 g 첨가하여, 내온을 약 80℃에서 1시간 이상 유지한 후, 냉각하여 불소계 화합물의 고형분 농도가 약 20 중량%의 수 분산액을 조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수 분산액 5 중량%(처리액 중량 대비), 멜라민 결합제 수지 0.5 중량%(처리액 중량 대비)와 촉매 0.1 중량%(처리액 중량 대비), 이온 교환수 94.4 중량%(처리액 중량 대비)로 구성되는 처리액을 얻었다.
한편, 경사로서 총 섬도 330 dtex/96 fil의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연 권축 가공사, 위사로서 총 섬도 370 dtex(16번수)의 면 방적사를 이용하여, 능직물(직물지의 경사 밀도 100개/2.54 cm, 직물지의 위사 밀도 50개/2.54 cm)을 직성(織成)하였다. 그 후, 80℃에서 정련 후, 130℃ 30분간 통상의 염색 가공을 실시하고, 건조를 행하여, 패브릭을 얻었다. 또한, 상기 패브릭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연 권축 가공사의 함유량은 70 중량%였다.
이어서, 상기 패브릭을 상기 처리액에 함침시켜, 조임율 100%가 되도록 조인 후, 130℃에서 5분 건조하고, 추가로 180℃에서 1분 건조하였다. 상기 패브릭에 대한 불소 함유 고분자의 비율은 1 중량%였다.
얻어진 패브릭에 있어서, 초기(세탁 전)의 흡수성(JIS L-1096 A법)은 25초이고, 오염의 세탁 제거성은 3-4급이고, 발유성(AATCC 118-1992)은 5급으로 양호하였다. 또한, 불소 함유 화합물의 퍼플루오로옥탄산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합계량은 5 ng/g 미만이었다. 또한, 정균 활성치는 0.2, 살균 활성치가 -2.0이고, 항균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얻어진 패브릭의 표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불소 함유 화합물이 패브릭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섬유에 피막형으로 부착되어 있었다.
이어서, 상기 패브릭을 이용하여 유니폼을 만들어 사용한 바, 흡수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발유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처리액에 하기의 4급 암모늄염 0.1% 병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Figure pct00016
얻어진 패브릭에 있어서, 초기(세탁 전)의 흡수성(JIS L-1096 A법)은 8초이고, 오염의 세탁 제거성은 4-5급이고, 발유성(AATCC 118-1992)은 6급으로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불소 함유 화합물의 퍼플루오로옥탄산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합계량은 5 ng/g 미만이었다. 또한, 정균 활성치는 4.1, 살균 활성치가 1.2이고, 우수한 항균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얻어진 패브릭의 표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불소 함유 화합물이 패브릭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섬유에 피막형으로 부착되어 있었다.
이어서, 상기 패브릭을 이용하여 유니폼을 만들어 사용한 바, 흡수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발유성, 항균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처리액에 하기의 4급 암모늄염 0.1% 병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Figure pct00017
얻어진 패브릭에 있어서, 초기(세탁 전)의 흡수성(JIS L-1096 A법)은 8초이고, 오염의 세탁 제거성은 4-5급이고, 발유성(AATCC 118-1992)은 6급으로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불소 함유 화합물의 퍼플루오로옥탄산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합계량은 5 ng/g 미만이었다. 또한, 정균 활성치는 4.2, 살균 활성치가 1.15이고, 우수한 항균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얻어진 패브릭의 표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불소 함유 화합물이 패브릭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섬유에 피막형으로 부착되어 있었다.
이어서, 상기 패브릭을 이용하여 유니폼을 만들어 사용한 바, 흡수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발유성, 항균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처리액에 포함되는 불소 함유 화합물로서 불소계 발수 가공제(닛카 가가꾸 NDN-7E, 고형분 농도 20 중량%)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상기 패브릭에 대한 불소 함유 고분자의 비율은 1 중량%였다.
얻어진 패브릭에 있어서, 초기(세탁 전)의 흡수성(JIS L-1096 A법)은 380초이고, 오염의 세탁 제거성은 1-2급이고, 발유성(AATCC 118-1992)은 8급으로, 발유성(AATCC 118-1992)은 우수하지만, 흡수성과 오염의 세탁 제거성은 나쁜 것이었다. 또한, 퍼플루오로옥탄산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합계량은 15 ng/g이었다. 또한, 정균 활성치는 0.1, 살균 활성치가 -2.2이고, 항균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으로서, 발유성, 오염의 세탁 제거성, 흡수성이 우수하고, 추가로 환경 문제에도 배려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도 우수한 패브릭, 및 상기 패브릭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제품이 얻어지고, 그의 공업적 가치는 매우 크다.

Claims (13)

  1.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패브릭으로서, 상기 패브릭에 불소 함유 고분자가 부착되어 있고, JIS L1018A법 적하법에 의한 흡수성이 60초 이하, 또한 AATCC118-1992에 의한 발유성이 4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
  2. 제1항에 있어서, 일본 화학 섬유 협회 규격 JCFA TM-104 다이어페이스트법에 의한 오염의 세탁 제거성이 3급 이상인 패브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에 있어서 퍼플루오로옥탄산 또는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농도가 5 ng/g 이하인 패브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가 제4급 암모늄염과 함께 패브릭에 부착되어 있는 패브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가 패브릭에 포함되는 유기 섬유의 단섬유에 피막형으로 부착되어 있는 패브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가 멜라민 결합제 수지와 함께 패브릭에 부착되어 있는 패브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고분자가
    (a) 일반식 (I):
    Figure pct00018

    [식 중, X는 수소 원자, 메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염소 원자임),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고, Y는 -O- 또는 -NH-이고, Z는 직접 결합, -S- 또는 -SO2-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12의 플루오로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10, n은 0 내지 10, p는 0 또는 1임]
    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단량체

    (b) 일반식 (II):
    Figure pct00019

    [식 중, X'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은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q는 1 내지 50의 정수임]
    로 표시되는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불소 함유 고분자인 패브릭.
  8. 제1항에 있어서, JIS L1902 균액 흡수법(공시균: 황색 포도상구균)으로 정균 활성치가 2.2 이상 또는 살균 활성치가 0 이상인 패브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패브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섬유에 있어서 단섬유 섬도가 4.0 dtex 이하인 패브릭.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섬유가 가연 권축 가공사인 패브릭.
  12. 제1항에 있어서, 패브릭이 밀도가 40 코스/2.54 cm 이상이고 30 웨일(wale)/2.54 cm 이상의 편물, 또는 밀도가 경위 40개/2.54 cm 이상의 직물인 패브릭.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패브릭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제품.
KR1020137030742A 2011-04-25 2012-04-18 패브릭 및 섬유 제품 KR101830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7358 2011-04-25
JPJP-P-2011-097358 2011-04-25
PCT/JP2012/060451 WO2012147582A1 (ja) 2011-04-25 2012-04-18 布帛および繊維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010A true KR20140028010A (ko) 2014-03-07
KR101830469B1 KR101830469B1 (ko) 2018-02-20

Family

ID=4707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742A KR101830469B1 (ko) 2011-04-25 2012-04-18 패브릭 및 섬유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25847B2 (ko)
EP (1) EP2703557B1 (ko)
JP (1) JP5890400B2 (ko)
KR (1) KR101830469B1 (ko)
CN (1) CN103620108B (ko)
ES (1) ES2617214T3 (ko)
TW (1) TWI583846B (ko)
WO (1) WO2012147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3853B2 (ja) * 2013-03-29 2018-01-24 東レ株式会社 繊維構造物
WO2015018449A1 (en) * 2013-08-08 2015-02-12 Baldus Ausrüstungsgesellschaft Mbh Spacer fabric treated with c6 based perfluoroalkyl polym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US9702064B2 (en) * 2015-09-25 2017-07-11 Welspun India Limited Woven fabric with bulky continuous filaments yarn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EP3147396B1 (en) * 2015-09-25 2022-08-03 Welspun India Limited Woven fabric with bulky continuous filaments yarn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JP6589560B2 (ja) * 2015-10-30 2019-10-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保存安定性に優れた撥水撥油剤
JP6334597B2 (ja) * 2016-04-28 2018-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79814B2 (en) 2017-03-31 2022-03-22 Daikin Industries, Ltd. Production method for fluoropolymer, surfactant for polymerization, and use of surfactant
JPWO2019073898A1 (ja) * 2017-10-11 2020-09-17 東レ株式会社 防汚性繊維構造物
JP6712977B2 (ja) * 2017-10-17 2020-06-24 Tbカワシマ株式会社 防汚性繊維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835387B (zh) * 2019-10-31 2021-12-07 桐乡市钜成涂装科技有限公司 一种含硅的织物用无氟疏水易去污剂水溶性共聚物及其共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8066A (en) * 1974-04-18 1976-07-06 Ciba-Geigy Corporation Oil and water repellent textile composition containing a fluorochemical polyurethane resin and a quaternary ammonium salt
JPS6088178A (ja) 1983-10-14 1985-05-17 旭硝子株式会社 撥水撥油性繊維の製造法
US5143991A (en) * 1989-06-21 1992-09-01 Daikin Industries, Ltd. Copolymer desoiling agent
JP2926770B2 (ja) * 1989-06-21 1999-07-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新規共重合体
JP2983306B2 (ja) 1991-01-16 1999-11-29 帝人株式会社 抗菌防臭性繊維の製造方法
JPH0533270A (ja) * 1991-07-29 1993-02-09 Toyobo Co Ltd カーペツト
JPH0559669A (ja) 1991-08-29 1993-03-09 Teijin Ltd 防汚撥水性布帛の製造方法
JPH0681271A (ja) 1992-09-02 1994-03-22 Unitika Ltd 撥水撥油性布帛の製造方法
JP3800670B2 (ja) 1996-04-30 2006-07-26 東洋紡績株式会社 耐墨汁汚れ性合成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38375A (ja) * 2000-05-16 2002-02-06 Toyobo Co Ltd 吸放湿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01568A (ja) 2000-10-26 2002-07-19 Toray Ind Inc 繊維構造物
JP2003041485A (ja) 2001-04-25 2003-02-13 Daikin Ind Ltd 繊維製品の撥水撥油処理
JP2004052167A (ja) 2002-07-22 2004-02-19 Teijin Fibers Ltd 吸汗性とドレープ性を有する嵩高編物
JP2004211268A (ja) 2003-01-09 2004-07-29 Teijin Fibers Ltd ポリエステル織物
JP2004270097A (ja) 2003-03-11 2004-09-30 Teijin Fibers Ltd ポリエステル織物
JP4241171B2 (ja) 2003-05-02 2009-03-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冷却系装置
JP4630955B2 (ja) * 2004-05-19 2011-02-09 大原パラヂウム化学株式会社 親水・撥油加工剤で処理する繊維布帛の加工方法
TWI272331B (en) 2004-05-31 2007-02-01 Guo-Shian Huang Chemical agent for forming water-repellant and oil-repellant film on a woven fabric, method for preparing the chemical agent and finishing process for applying the chemical agent in woven fabric
JP2006152508A (ja) 2004-12-01 2006-06-15 Nisshinbo Ind Inc 防汚性繊維構造物及びその加工方法
JP2006200082A (ja) 2005-01-21 2006-08-03 Teijin Fibers Ltd 機能性繊維構造体
JP4007994B2 (ja) * 2005-03-10 2007-11-14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繊維製品
CN101326321A (zh) * 2005-12-12 2008-12-17 美利肯公司 防污和去污织物整理剂
JP2007270374A (ja) * 2006-03-31 2007-10-18 Komatsu Seiren Co Ltd 撥水撥油性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63474A (ja) 2006-12-27 2008-07-17 Toray Ind Inc 繊維構造物
TW200839058A (en) 2007-03-29 2008-10-01 Everest Textile Co Ltd Dirt-removal processing agent of textile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5556179B2 (ja) * 2007-12-27 2014-07-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重合体および防汚剤
EP2270058B1 (en) 2008-03-31 2015-08-19 Daikin Industries, Ltd.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paper processing agent, and coating film-forming agent for cosmetic preparation
JP2010150693A (ja) 2008-12-25 2010-07-08 Toray Ind Inc 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5143A (ja) 2009-04-27 2010-11-11 Teijin Fibers Ltd 防汚性ポリエステル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JP5480930B2 (ja) 2011-03-31 2014-04-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共重合体を含有する組成物
JP6632798B2 (ja) * 2014-12-02 2020-01-22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防汚性ポリエステル布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20108B (zh) 2016-01-13
EP2703557A4 (en) 2014-12-03
JPWO2012147582A1 (ja) 2014-07-28
CN103620108A (zh) 2014-03-05
ES2617214T3 (es) 2017-06-15
JP5890400B2 (ja) 2016-03-22
KR101830469B1 (ko) 2018-02-20
TW201305409A (zh) 2013-02-01
TWI583846B (zh) 2017-05-21
US20140038483A1 (en) 2014-02-06
US9725847B2 (en) 2017-08-08
EP2703557A1 (en) 2014-03-05
EP2703557B1 (en) 2016-12-21
WO2012147582A1 (ja)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8010A (ko) 패브릭 및 섬유 제품
JPWO2011048888A1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布帛および繊維製品およびポリエステル成形品
JP5432841B2 (ja) 作業服用織編物
JP4630955B2 (ja) 親水・撥油加工剤で処理する繊維布帛の加工方法
Audenaert et al. Fluorochemical textile repellents—synthesis and applications: A 3M perspective
AU2004208136A1 (en) Fluorochemical-containing textile finishes that exhibit wash-durable soil release and moisture wicking properties
ES2943580T3 (es) Estructura de fibra resistente a las manchas
CN102465403A (zh) 共聚型氟系防污易去污整理液的新整理工艺
Pavlidou et al. Soil repellency and stain resistance through hydrophobic and oleophobic treatments
JP2008274492A (ja) 車両内装用布帛およびカーシート用表皮材
JP6632798B2 (ja) 防汚性ポリエステル布帛
WO2001032975A1 (fr) Fibres en polyester a fonctionnalite conferee, structure etablie a partir de ces fibres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JP6503439B1 (ja) 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72525A (ja) 撥水性布帛
JP6214945B2 (ja) 撥水性花粉付着防止布帛
JP2010265560A (ja) 吸水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2013155459A (ja) カーテン
Pavlidou et al. * Materials Industrial Research and Technology Center, Athens, Greece,† University of Beira Interior, Covilha, Portugal
JP2010275666A (ja) 凸部を有する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2016069767A (ja) 撥水撥油性布帛
JP6454500B2 (ja) ワイピングクロス、およびワイピングクロスの製造方法
JP2002309486A (ja) 機能付与された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20501A (ja) 保温肌着
JP2007247090A (ja) 繊維構造物
JP2006070378A (ja) ニット生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