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444A -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444A
KR20140015444A KR1020137026303A KR20137026303A KR20140015444A KR 20140015444 A KR20140015444 A KR 20140015444A KR 1020137026303 A KR1020137026303 A KR 1020137026303A KR 20137026303 A KR20137026303 A KR 20137026303A KR 20140015444 A KR20140015444 A KR 2014001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movable body
cam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729B1 (ko
Inventor
노리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1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실시형태에 관계된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설치되는 수납체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쪽 측에 설치된 기체와, 상기 수납체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며, 상기 기체에 대해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경로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접촉체와, 상기 접촉체를 부세하는 부세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ASSIST DEVICE FOR MOVABLE BODY}
본 발명은, 각종 가동체의 동작을 보조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 문 등의 가동체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해, 부세 기능을 이용해서 강제 이동을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에서는, 문틀 측에는 수납체가 설치되고, 미닫이 문 측에는 수납체에 결합 가능한 접촉체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체는 대기위치와 인입위치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부세기구로서의 인장 코일 스프링에 연결되어 있다. 접촉체는 예를 들면 선단에 수지제 결합부를 갖고, 이 결합부가 수납체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닫이 문이 닫혀 있지 않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접촉체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가장 길게 한 상태로 대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개방 위치로부터 조작자가 미닫이 문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면, 그 도중에서 접촉체가 수납체에 충돌하여, 수납체를 포착한다. 동시에, 대기위치에서의 유지가 풀려, 접촉체가 수납체를 포착한 채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인장되어 인입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 때문에, 이 이동 치수 부분만큼 미닫이 문이 강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닫이 문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접촉체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폐쇄 위치로부터 조작자가 미닫이 문을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면, 인장 코일 스프링을 인장하면서 미닫이 문이 이동한다. 소정 위치에 이르면, 접촉체가 수납체를 개방하고, 다시 대기위치에 유지된다.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는, 접촉체가 수납체에 결합하지 않은 채 접촉체가 인입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기구로서, 접촉체에 경사진 가이드면을 형성하여, 수납체와의 접촉에 의해 수납체로부터 퇴피하는 아래쪽 방면으로 압력을 작용시켜 회동함으로써 수납체와 접촉체를 결합시키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어시스트 장치에서는, 접촉체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수납체에 재결합하도록 소정 형상으로 구성되며, 접촉체를 수용한 틀체가 아래쪽 방면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틀체의 변형을 허용하는 간격을 두고 있다.
일본 특개 2006-169723호 공보
상술한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기술은 축을 고정한 채 접촉체를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부품 변형을 수반함과 아울러, 복잡한 치수 설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오동작 상태로부터의 복귀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부품 파손을 회피할 수 있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된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설치되는 수납체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쪽 측에 설치된 기체와, 상기 수납체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기체에 대해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경로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접촉체와, 상기 접촉체를 부세하는 부세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동작 상태로부터의 복귀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부품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 문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동(同) 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 문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관계된 스트라이커의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동 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유닛의 평면도.
도 7 <a>, <b>, <c>, <d>은, 동 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장치의 정상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 <a>, <b>, <c>, <d>은, 동 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장치의 오작동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제2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동 어시스트 장치의 측면도.
도 11 <a>, <b>은, 동 어시스트 장치의 정상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 <a>, <b>, <c>는, 동 어시스트 장치의 오작동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된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1)에 대해, 도 1 내지 도 8 <d>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 중, 화살표 X, Y, Z는 각각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X축은 슬라이드 방향을, Y축은 폭 방향을, Z축은 상하 방향을, 각각 따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 설명을 위해, 적당한 구성을 확대, 축소 또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시스트 장치(1)는, 가동체 및 지지체 중 한쪽에 설치되는 수납체로서의 스트라이커(10)와, 가동체 및 지지체 중 다른쪽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유닛(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지지체는 문틀(F), 가동체는 미닫이 문(M)이며, 가동체로서의 미닫이 문(M)에 어시스트 유닛(20)이 설치되고, 지지체로서의 문틀(F)에 스트라이커(10)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틀(F)은, 상측 틀(F1), 좌측 틀(F2), 우측 틀(F3), 및 하측 틀을 구비하고 있다. 상측 틀(F1)에는 슬라이드 방향을 따르는 미닫이 홈(F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미닫이 홈(F4)에 미닫이 문(M)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받아들여져 있다.
미닫이 문(M)의 상단부에는,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어시스트 유닛(20)을 받아들이는 홈(M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1매의 미닫이 문(M)에 주목하여, 좌측을 문 앞쪽, 우측을 문 뒤쪽이라 한다. 미닫이 문(M)의 문 앞쪽인 좌단부(左端部)에는 손잡이(M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 문(M)이 좌측 틀(F2)에 접하고 있지 않은 개방 상태를 제1상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 앞쪽이 이동종료위치로 완전히 이동되어 좌측 틀(F2)에 접촉한 폐쇄 상태를 제2상태라 한다.
어시스트 장치(1)는, 문틀(F)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0)와, 미닫이 문(M)에 설치된 어시스트 유닛(20)을 구비한다.
어시스트 유닛(20)은, 미닫이 문(M)의 상단부의 홈(M1)에 설치된 기체(基體)로서의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슬라이드 방향 한쪽 측(도 1 중 좌측)의 단부에 받아들여지는 대기위치와 인입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접촉체로서의 래치(22)와, 래치(22)를 하우징(21)에 대해 슬라이드 방향 다른쪽 측(도 1 중 우측)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기구(23)와, 래치(22)에 연결되어 래치(22)의 슬라이드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해서 완충하는 제동기구(24)를 구비하고 있다.
문틀(F) 상단의 미닫이 홈(F4)에는, 좌단(左端)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스트라이커(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는, 상측 틀(F1)에 장착되는 판상(板狀)의 장착부재(11)와, Y축에 직교하는 면을 이루며 상측 틀(F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돌기부(12)를 갖고서 구성되어 있다. 미닫이 문(M)의 이동에 의해, 결합돌기부(12)가 미닫이 문(M) 상부의 홈(M1)을 통해 래치(22)에 결합하여 어시스트 유닛(20) 안으로 들어가거나, 혹은 어시스트 유닛(20)으로부터 나와 해방되도록 되어 있다. 결합돌기부(12)의 단면(端面)은 피압압부(被押壓部)(32c)를 누르는 압압면(12a)을 형성하며, 결합돌기부(12)의 X방향 일단 측에는 위쪽을 향해 오목한 제1결합오목부(12b)(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부(12)의 단부에는 Y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돌기(12c)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2c)의 안쪽(裏側)에서 Y방향 양단이 위쪽을 향해 오목한 삼각형 모양의 제2결합오목부(12d)(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오목부(12d)는 제1결합오목부(12b)보다 슬라이드 방향 타단 측(도 5 중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정상시에 있어서의 제1동작과 제2동작시에, 래치(22)의 후크부(32f)가 제1결합오목부(12b)에 진입하여, 결합돌기부(12)가 캐처(32)에 포착된다. 또, 오작동 복귀시에 있어서의 제3동작시에는 래치(22)의 Y방향 양쪽의 한 쌍의 얇은 판상의 후크부(32f)가 제2결합오목부(12d)에 진입하여, 결합돌기(12c)가 캐처(32)에 포착된다. 이들의 결합에 의해, 스트라이커(10)가 래치(22)에 결합하여,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도 3,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은, 상면 개구(開口)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가늘고 긴 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21)의 후방 부분은, Z방향 중앙에 칸막이판(25)이 설치되어, 상측의 상부실(25a), 하측의 하부실(25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실(25a)의 일단 측은 개방되며, 상부실(25a)을 끼운 측벽(21a, 21a) 사이에 래치 베이스(31)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서는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하우징(21)의 일부를 잘라내어 단면(斷面)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21)의 측벽(21a, 21a) 일단 측에는 슬릿(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27)은, X축을 따라 대기위치(제1위치)와 인입위치(제2위치)에 걸쳐 뻗은 주(主) 가이드로(路)(27a)와, 주가이드로(27a)의 전단부(前端部) 대기위치로부터 만곡하여 아래쪽으로 뻗은 대기로(27b)와, 주가이드로(27a)의 후방 부분의 인입위치로부터 분기하여 아래쪽 및 앞쪽을 향해 원호(圓弧) 모양으로 만곡하여 뻗은 퇴피로(退避路)(27c)를 연속해서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퇴피로(27c)는 퇴피동작시에 제2축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 모양을 형성한다.
이 슬릿(27)에는, 래치(22)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2축부(32d)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슬릿(27)에 있어서의 제2축부(32d)보다 후방 위치에는, 제1축부(32b)가 회전 가능하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슬릿(27)의 주가이드로(27a)에는 래치 베이스(31)의 돌기부(31a)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하우징(21)의 하부실(25b)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단부를 하우징(21)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1b)는, 예를 들면, 측벽(21a, 21a) 사이에 놓인 축 모양 부재로서, 이 연결부(21b)에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타단측이 장착된다.
도 3,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22)는, 래치 베이스(31)와, 래치 베이스(3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캠부(32)를 구비하며, 하우징(21) 내의 측벽(21a, 21a)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래치 베이스(31)는 X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31a)를 갖고 있다. 돌기부(31a)의 슬릿(27)에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21)의 상부실(25a)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21a, 21a) 사이에 래치 베이스(3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된다. 래치 베이스(31)의 선단부에는 퇴피로(27c)를 따르는 원호 모양의 홈(31b)을 갖는 지지편(31c)이 설치되어 있다.
캠부(32)는, Y방향을 따르는 축심(C1)을 가짐과 아울러 Y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1축부(32b)를 갖고 있다. 이 제1축부(32b)가 슬릿(27) 및 홈(31b)에 삽입통과되어 회전 가능하면서 슬릿(27) 내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캠부(32)는, 제1축부(32b)를 중심으로 제1회동방향(R1) 및 그 반대인 제2회동방향(R2)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캠부(32)는, 그 외주부(外周部)에서 시계방향으로 차례대로, 캐처(32a)와, 피압압부(32c)와, 피부세부(被付勢部)(32e)와, 한 쌍의 제2축부(32d)를 갖고서 구성되어 있다.
캐처(32a)는 캠부(32)의 선단측에 설치되며, R1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후크부(32f)를 갖고 있다. 후크부(32f)는 Y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삼각형으로 된 판상부재를 갖고 있다.
피압압부(32c)는 캠부(32)의 상부에서 위쪽으로 돌출형성되며, 가동체의 이동에 의해 스트라이커(10)의 접촉면(12a)이 이 접촉해서 인입방향으로 눌러진다.
한 쌍의 제2축부(32d)는, 캐처(32a)에 형성되어 Y방향을 따르는 축심(C2)을 가짐과 아울러 Y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슬릿(27) 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피부세부(32e)는, 캠부(32)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2축부(32d)보다 뒤쪽이면서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이 피부세부(32e)는 하우징(21)의 하부에 배치되며,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일단(41a)이 연결되어 있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피부세부(32e)가 항상 인입방향으로 인장된다.
부세기구(23)는, 제1부세수단으로서의 인장 코일 스프링(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하우징(21)의 하부에서, 축방향이 슬라이드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일단은 래치(22) 하부의 피부세부(32e)에 연결되며, 타단은 하우징(21)의 연결부(21b)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대기 상태에 있는 래치(22)를 인입방향으로 부세함으로써 대기로(27b)에 걸어 유지시키는 기능과, 주가이드로(27a)에 있는 래치(22)를 인입방향으로 부세하여 강제 이동시키는 기능과, 래치(22)를 R2방향으로 부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동기구(24)는, 하우징(21)의 상부실(25a) 내에 설치된 피스톤 댐퍼(50)를 가지고서 구성된다. 피스톤 댐퍼(50)는, 내부에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51)와, 실린더(51) 내에서 래치(22)의 슬라이드축(X) 상을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52)를 갖고 있다.
피스톤 로드(52)의 단부는 하우징(21)에 고정되며, 피스톤에 대향(對向)하는 실린더(51)의 외측 단부가 래치(22)의 후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동기구(24)는, 실린더(51) 내에 넣어진 피스톤의 동작에 실린더(51) 내의 유체의 유체 대향을 작용시킴으로써, 실린더(51) 혹은 피스톤 로드(52)의 압입 및 인장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해서 래치(22)의 하우징(21)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을 제동한다. 또한, 실린더(51)에 봉입되는 유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 유체가 이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체를 이용해도 좋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장치(1)의 동작에 대해, 도 7 <a>, <b>, <c>, <d> 및 도 8 <a>, <b>, <c>,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7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 문(M)이 스트라이커(10)에 도달해 있지 않은 제1상태에서는, 래치(22)의 제2축부(32d)가 대기로(27b)에 걸려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인장됨으로써 유지되고, 래치(22)가 하우징(21) 단부의 대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제1상태로부터 제2상태로 하는 제1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상태로부터 조작자가 미닫이 문(M)을 좌측의 도어 스토퍼(F1)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 문(M)이 제1 소정 위치에 이르면,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에 접촉한다. 그리하면, 스트라이커(10)가 피압압부(32c)를 뒤쪽으로 압입함으로써, 제1축부(32b)를 중심으로 하여 캠부(32)가 R1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해, 도 7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부(32) 선단의 후크부(32f)가 스트라이커(10)에 결합하여, 래치(22)에 스트라이커(10)가 포착된다. 또한, 캠부(32)가 R1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아래쪽의 제2축부(32d)가 위쪽으로 이동해서 주가이드로(27a)에 들어가는 위치에 이르러, 대기로(27b)에의 유지가 해제됨과 아울러, 주가이드로(27a)의 중심선인 슬라이드축(X)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도 7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1) 및 미닫이 문(M)에 대해 오른쪽으로 래치(22)가 상대(相對) 이동하여 인입위치까지 상대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지지체(F) 및 스트라이커(10)에 대해 미닫이 문(M) 및 하우징(21)이 슬라이드 방향 일단 측으로 상대적으로 강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동기구(24)에 의해 저항력이 부여되어, 완충하면서 천천히 자동적으로 미닫이 문(M)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7 <d>에 나타내는 제2상태로부터 제1상태로 하는 제2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2동작에서는 상기 제1동작과 반대로, 도 7 <d>, <c>, <b>, <a>의 순서로 동작한다. 미닫이 문(M)이 좌측의 종료위치로 완전히 이동한 제2상태로부터 미닫이 문(M)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를 포착한 채 미닫이 문(M) 및 하우징(21)에 대해 일단 측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미닫이 문(M)이 우측으로 이동한다(도 7 <c>). 이때, 래치(22)의 후단은 피스톤 댐퍼(50)의 피스톤 로드(52)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을 이동시키면서 실린더(51) 내의 유체 저항력을 받는다.
소정 위치에 이르면, 도 7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압압부(32c)로부터 스트라이커(10)가 떨어져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제1축부(32b)를 중심으로 하여 캠부(32)가 R2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해 후크부(32f)가 결합오목부(13c)로부터 빠져나와 스트라이커(10)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동시에, 제2축부(32d)는 주가이드로(27a)의 전단의 대기위치에 이르러, 제2축부(32d)가 아래쪽의 대기로(27b)에 들어감과 아울러,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다시 대기위치에 유지되는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후, 미닫이 문(M)의 이동은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부세력으로부터 해방된다. 그리하여, 스트라이커(10)가 해방되어, 도 7 <a>의 제1상태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제3동작으로서, 예를 들면 오작동 등에 의해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에 결합하지 않은 채 인입위치로 이동해 버린 제3상태로부터의 복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래치(22)가 인입위치에 있는 제3상태로부터, 미닫이 문(M)이 지지체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8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32b)의 일부(여기서는 후크부(32f))가 스트라이커(10)에 접촉하여, 뒤쪽으로 압입된다. 이 압입에 의해, 캠부(32)는, 제2축부(32d)를 중심으로 하여, 제1축부(32b)가 퇴피로(27c)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도 R1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요동하다. 이 요동에 의해, 캐처(32a)의 후크부(32f) 상단이 제2상태보다 아래쪽으로 퇴피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가 후크부(32f)를 타고넘기 가능하게 되어, X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치(22)에 결합 가능한 위치까지 인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8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의 돌기부(12c)가 후크부(32f)를 타고넘으면,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캠부(32)가 R2방향으로 회동해서, 후크부(32f)가 결합오목부(12d)에 삽입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와 래치(22)가 결합한다. 이 결합 상태에서, 미닫이 문(M)을 제2방향(이동종료위치로부터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8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가 래치(22)에 포착된 상태로, 주가이드로(27a)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하여 소정 위치에 이르면, 접촉체와 상기 수납체와의 결합이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체가 대기위치에 유지되는 상기 제1상태로 복귀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오동작 상태로부터의 복귀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부품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래치(22)를 이동 중심선인 슬라이드축(X)으로부터 퇴피시키면서 요동(搖動)함으로써, 제3상태로부터 제1상태에의 복귀가 가능해진다. 또, 래치(2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요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높이 치수의 허용범위가 커져, 치수 설정이 용이하다. 또, 이 퇴피에 의해 스트라이커(10)와 래치(22)가 충돌을 막아 파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자동 복귀시에 부품을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탄성 수지 피로 등에 의한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래치(22)를 2축 구조로 하여 하나의 슬릿(27) 내를 이동할 뿐인 단순한 구성으로, 복수의 다른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대기 상태에 있는 래치(22)를 인입방향으로 부세함으로써, 대기로(27b)에 걸어 유지시키는 기능과, 주가이드로(27a)에 있는 래치(22)를 인입방향으로 부세하여 강제 이동시키는 기능과, 래치(22)를 R2방향으로 부세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 단순한 구성으로 복수의 다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이하, 제2실시형태에 관계된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2)에 대해, 도 9 내지 도 12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어시스트 장치(2)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캠(132), 가이드부재(140) 및 스트라이커(1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어시스트 장치(2)를 일부 잘라내어 단면(斷面)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 <a>, <b>은 정상시의 동작, 도 12 <a>, <b>, <c>는 오작동 복귀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어시스트 장치(2)의 스트라이커(110)는 판상 부재를 절곡(折曲) 형성한 구조로 했다. 어시스트 장치(2)에서는, 캠(132)에 가이드 결합부(132e)를 설치하고, 인장 코일 스프링(41)과 캠(132) 사이에 가이드부재(140)를 개재시켜 연결하며,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동작을 규제하도록 구성했다. 이 외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관계된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1)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공통된 설명을 생략한다.
스트라이커(110)는, 1매의 판상 금속판을 판금 가공 등에 의해 절곡하여 성형되며, 상측 틀(F1)에 장착되는 판상의 장착부재(111)와, 상측 틀(F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돌기부(11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재(111)는, 한 쌍의 평판 상의 베이스(111a)와, 베이스(111a)에 형성되어, 상측 틀(F1)에 나무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111a)를 상측 틀(F1)에 고정하는 구멍부(111b)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돌기부(112)는, Y방향으로부터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위쪽이 개구하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부(112)는, 한쪽 베이스(111a)와 연속하는 판상의 제1결합부(113)와, 다른쪽 베이스(111a)와 연속하는 판상의 제2결합부(114)와,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14)를 연속시키는 연결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제1결합부(113)는, 결합돌기(12)의 미닫이 문(M)의 이동종료위치 측(제1방향 측)에 배치되며, 제2결합부(114)는, 다른쪽 측(제2방향 측)에 배치된다. 제1결합부(113)의 이동종료위치 측의 면(面)은 정상시에 래치(22)의 후크부(132f)와 결합하는 제1결합면(113a)을 형성한다. 제2결합부(114)의 이동종료위치 측의 단면은 오작동 복귀시에 후크부(132f)와 결합하는 제2결합면(114a)을 형성한다. 또, 제2결합부(114)의 제2결합면(114a)과는 반대 측인 제2방향 측의 면은 피압압부(132c)를 누르는 압압면(114b)을 형성한다.
연결부(115)는, 제1결합부(113)의 하단과 제2결합부(114)의 하단 사이에 걸쳐지는 판상 부재로서, 그 Y방향 폭이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14)의 Y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오작동 복귀시에는 이 연결부(115)의 Y방향의 양 옆의 공간에, 후술하는 래치(22)의 한 쌍의 후크부(132f)가 진입 가능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어시스트 장치(2)의 래치(22)는, 래치 베이스(31)와, 래치 베이스(3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캠부(132)를 구비하며, 하우징(21) 내의 측벽(21a, 21a)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부(132)는 레일 부재(140)를 통해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연결되어 있다.
캠부(132)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관계된 캠(32)과 마찬가지로, Y방향을 따르는 축심(C1)을 가짐과 아울러, Y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1축부(132b)를 갖고 있다.
제1축부(132b)는 슬릿(27) 및 홈(31b)에 삽입통과되어 회전 가능하면서 슬릿(27) 내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오작동 복귀시에는, 제1축부(132b)가 퇴피로(27c)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캠부(132)가 제2축부(32d)를 중심으로 하여 R1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요동하다.
캠부(132)는, 제1축부(132b)를 중심으로 제1회동방향(R1) 및 그 반대인 제2회동방향(R2)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캠부(132)는, 그 외주부에서 시계 방향으로 차례대로, 캐처(132a)와, 피압압부(132c)와, 피부세부(132e)와, 한 쌍의 제2축부(132d)를 갖고서 구성되어 있다.
캐처(132a)는 캠(132)의 선단 측에 설치되며, R1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후크부(132f)를 갖고 있다. 후크부(132f)는 Y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회동방향(R1)으로 돌출하는 삼각형으로 된 판상 부재를 갖고 있다.
피압압부(132c)는 캠부(132)의 상부에서 위쪽으로 돌출형성되며, 가동체의 이동에 의해 스트라이커(110)의 압압면(114b)에 접촉하여 인입방향으로 압압된다.
한 쌍의 제2축부(132d)는, 캐처(132a)에 형성되어 Y방향을 따르는 축심(C2)을 가짐과 아울러 Y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슬릿(27) 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해 있다.
피부세부(132e)는, 보조 이동체로서의 가이드부재(140)를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항상 인입위치 측으로 부세되어 있다. 피부세부(132e)는, 캠(132)의 제2축부(132d)보다 뒤쪽 위치로부터 R1방향으로 아래쪽이면서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편(片)(132h)을 갖고서 구성된다. 이들 가이드편(132h) 사이에 가이드부재(140)의 가이드레일(141)이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편(132h)의 선단부(132i)가 가이드부재(140)의 결합벽(141)과 접촉하며, 래치(22)의 동작에 따라 가이드부재(140)의 전후 위치를 규제한다.
가이드부재(140)는 하우징(21) 내의 측벽(21a, 21a) 사이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40)의 하부에는 X방향을 따라 뻗은 가이드레일(142)이 입설(立設)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42)은 가이드부재(140)의 Y방향 중앙 위치에 형성되며, 앞 부분에서 앞쪽 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져 있다. 가이드레일(142)이 가이드편(132h) 사이에 유지되어 가이드부재(140)와 캠(132)이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해 있다. 가이드레일(142)의 전단에는 ZY평면을 형성하는 결합벽(141)이 입설 형성되어 있다. 양 결합벽(141)은 가이드레일(142)의 Y방향 양측에 형성되며, 양 가이드편(132h)의 선단부(132i)에 접촉해 있다.
가이드부재(140)의 타단 측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일단(41a)이 고정되어 연결되는 연결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43)는 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단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수용부(143a)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가이드부재(140)가 항상 인입방향으로 인장되며, 선단부(132i)와 결합벽(141)이 항상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캠(132)의 R1 및 R2방향의 회동 동작 및 직선 동작에 따라 피부세부(132e)의 선단부(132i)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선단부(132i)에 밀려 가이드부재(14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선단부(132i)의 전후 및 상하 이동은 가이드부재(140)의 전후 방향(X방향)만의 이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1)의 하부에서, 축방향이 슬라이드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일단은 래치(22) 하부의 가이드부재(140)에 고정되며, 타단은 하우징(21)의 연결부(21b)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가이드부재(140)를 개재하여 대기 상태에 있는 래치(22)를 인입방향으로 부세함으로써 대기로(27b)에 걸어 유지시키는 기능과, 주가이드로(27a)에 있는 래치(22)를 인입방향으로 부세하여 강제 이동시키는 기능과, 래치(22)를 R2방향으로 부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어시스트 장치(2)의 동작에 대해 도 11 <a>, <b> 및 도 12 <a>, <b>,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상태로부터 제2상태로 하는 제1동작에 대해 도 11 <a>, <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a>에 나타내는 제1상태로부터 조작자가 미닫이 문(M)을 좌측의 이동종료위치인 도어 스토퍼(F1)를 향해 제1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닫이 문(M)이 제1 소정 위치에 이르면, 래치(22)가 스트라이커(110)에 접촉한다. 그리하면, 도 11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0)가 피압압부(132c)를 뒤쪽으로 압입함으로써, 제1축부(132b)를 중심으로 하여 캠부(132)가 R1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해 캠부(132) 선단의 후크부(132f)가 스트라이커(110)에 결합하며, 래치(22)에 스트라이커(110)가 포착됨과 동시에, 아래쪽의 제2축부(132d)가 위쪽으로 이동해서 주가이드로(27a)에 들어가는 위치에 이르고, 대기로(27b)에의 유지가 해제됨과 아울러, 주가이드로(27a)의 중심선인 슬라이드축(X)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1) 및 미닫이 문(M)에 대해 오른쪽으로 래치(22)가 상대 이동하여 인입위치까지 상대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지지체(F) 및 스트라이커(110)에 대해 미닫이 문(M) 및 하우징(21)이 슬라이드 방향 일단 측으로 상대적으로 강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캠부(132)의 R1방향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선단부(132i)는 하우징(21)에 대해 앞쪽이면서 아래쪽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부재(140)는 결합벽(141)에 접촉한 채 선단부(132i)가 결합벽(141)에 대해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결합벽(141)을 앞쪽으로 압압하게 된다. 그리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부재(140)는 인장 코일 스프링(41)을 펴면서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타단 측은 슬라이드 방향 전후로 이동하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Z방향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상태로부터 제1상태로 하는 제2동작에서는 상기 제1동작과 반대로, 도 11 <b>, <a>의 순서로 동작한다.
도 12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작동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제3동작시에는, 도 12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0)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래치(22)가 인입위치에 있는 제3상태로부터, 미닫이 문(M)이 지지체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캠(132b)의 일부(여기서는 후크부(132f))가 스트라이커(110)에 접촉하여, 뒤쪽으로 압압된다. 이 압압에 의해, 도 12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부(132)는, 제2축부(132d)를 중심으로 하여, 제1축부(132b)가 홈부(31b) 및 퇴피로(127c)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도 R1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요동하다.
이 요동에 의해, 캐처(132a)의 후크부(132f)의 상단이 제2상태보다 아래쪽으로 퇴피함으로써, 스트라이커(110)가 후크부(132f)를 타고넘기 가능하게 되며, X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치(22)에 결합 가능한 위치까지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캠(132)의 제1축부(132b)가 퇴피로(127c)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도 R1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요동하면, 선단부(132i)는 하우징(21)에 대해 앞쪽이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선단부(132i)가 결합벽(141)에 접촉한 채 결합벽(141)에 대해 Z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결합벽(141)을 슬라이드 방향 앞쪽으로 압압하게 된다. 그리하여 가이드부재(140)는 인장 코일 스프링(41)을 펴면서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단부(41a)는 슬라이드 방향 전후로 이동하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Z방향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스트라이커(110)의 제2결합부(114)가 후크부(132f)를 타고넘으면, 상기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캠부(132)가 R2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12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132f)가 연결부(115)의 양 옆으로 진입해서 제2결합면(114a)과 간섭함으로써 스트라이커(110)와 래치(22)가 결합한다. 이 결합 상태에서 미닫이 문(M)을 제2방향(이동종료위치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트라이커(110)가 래치(22)에 포착된 상태로, 주가이드로(27a)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하여 소정 위치에 이르면, 스트라이커(110)와 래치(22)의 결합이 해제됨과 아울러, 래치(22)가 대기위치에 유지되는 제1상태로 복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관계된 어시스트 장치(2)에서는,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슬라이드 방향을 따르는 신축 운동만으로 변환함으로써,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가동범위를 규제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인장 코일 스프링(41)을 래치(22)에 직접 연결하는 경우에는 래치(22)의 회동에 수반하여 Z방향으로 변위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래치(22)의 회동 동작을, 가이드부재(140)의 결합벽(141)에 접촉시켜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변위를 슬라이드 방향(X방향)만으로 하여, Z방향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21)에 있어서의 인장 코일 스프링(41)을 수용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억제하여, 어시스트 장치(2)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 각부(各部)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재질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체로서의 미닫이 문(M) 측에 어시스트 유닛(20)을 구비하고, 지지체로서의 문틀(F) 측에 스트라이커(10)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동체 측에 스트라이커(10)를, 지지체 측에 어시스트 유닛(20)을, 각각 설치해도 좋다. 상기 제1실시형태와 제2실시형태는 다른 구조의 스트라이커(10, 110)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조합을 변경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체가 미닫이 문(M)인 경우에 대해 예시했지만, 매달기 문, 승강식 슬라이드 도어 등, 다른 가동체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상시용과 오작동 복귀시용으로 개별 결합오목부(12b, 12d)를 형성하여, 후크부(32f)가 다른 위치에 결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정상시용과 오작동 복귀시용으로 같은 위치에 결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퇴피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퇴피하여 재결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매의 미닫이 문(M)에 주목하여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같은 미닫이 문(M) 및 어시스트 유닛(20)이 2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요건 중 일부를 생략해도 본 발명을 실현 가능하다.
2011년 3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055898호 및 2011년 10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238531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설치되는 수납체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쪽 측에 설치된 기체(基體)와, 상기 수납체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기체에 대해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경로로부터 퇴피(退避)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된 접촉체와, 상기 접촉체를 부세(付勢)하는 부세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는,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에 이르러 형성된 주(主)가이드로(路)와, 상기 주가이드로의 상기 제2위치로부터 구부러지는 퇴피로(退避路)를 연속해서 갖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체는 상기 슬릿에 결합하는 제1축부 및 제2축부를 갖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1회동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수납체와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1회동 방향과 반대인 제2회 동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결합을 해제 가능하고, 상기 이동경로로부터 퇴피할 때에는 상기 주가이드로에 있는 상기 제2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부가 상기 퇴피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를 더 구비하며,
    제1동작에서는, 상기 접촉체가 상기 제1위치에 유지된 제1상태로부터, 상기 가동체가 상기 지지체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위치에서의 유지가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체와 상기 수납체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부세기구에 의해 상기 접촉체가 제2방향으로 부세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체가 상기 지지체에 대해 강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접촉체와 상기 수납체가 결합 상태로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는 제2상태가 되며,
    제2동작에서는, 상기 접촉체와 상기 수납체가 결합 상태로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는 제2상태로부터, 상기 가동체가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촉체 및 상기 수납체가 제1위치를 향해 이동해서 소정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접촉체와 상기 수납체의 결합이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체가 상기 제1위치에 유지되는 상기 제1상태가 되고,
    제3동작에서는, 상기 접촉체와 상기 수납체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체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제3상태로부터, 상기 가동체가 상기 지지체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접촉체가 일시적으로 상기 이동경로로부터 퇴피하면서, 상기 수납체가 상기 접촉체와 결합 가능한 위치까지 제2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상기 접촉체와 결합하고, 결합 상태로 상기 가동체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촉체 및 상기 수납체가 제1위치를 향해 이동해서 소정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접촉체와 상기 수납체의 결합이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체가 상기 제1위치에 유지되는 상기 제1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주가이드로의 상기 제1위치로부터 구부러지는 대기로(待機路)를 일체로 갖고,
    상기 접촉체는, 상기 슬릿 내를 이동 가능한 제1축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캠부를 구비하며, 상기 캠부는, 상기 가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납체에 접촉하여 압압되는 피압압부(被押壓部)와, 상기 회동에 의해 상기 수납체에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한 캐처와, 상기 슬릿 내를 이동 가능한 제2축부와, 상기 부세기구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인장되는 피부세부(被付勢部)를 갖고,
    상기 제1동작에서는, 상기 가동체의 상기 제1방향에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피압압부가 수납체에 압압되어 상기 캠부가 제1회동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캐처로 상기 수납체를 포착함과 동시에, 상기 제2축부가 상기 대기로로부터 상기 주가이드로로 이동하고, 상기 제2동작에서는, 상기 가동체의 상기 제2방향에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피압압부가 수납체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캠부가 상기 제2회동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캐처로 상기 수납체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제2축부가 상기 주가이드로로부터 상기 대기로로 이동하며,
    상기 제3동작에서는, 상기 가동체의 상기 제1방향에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피압압부가 수납체에 압압됨으로써, 상기 캠부가 상기 제2축부를 중심으로 일시적으로 상기 제1회동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축부가 상기 퇴피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는, 상기 제1 및 제2동작에서 상기 캐처가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3동작에서 상기 캐처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보다 선단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기구는, 그 일단이 상기 접촉체에 연결되며, 그 타단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가동체 및 지지체 중 다른쪽 측에 연결된 인장 코일 스프링을 갖고,
    상기 대기 상태에 있는 상기 접촉체를 상기 제2방향으로 부세함으로써 상기 대기로에 걸어 유지시키는 기능과,
    상기 주가이드로에 있는 상기 접촉체를 상기 제2방향으로 부세하여 이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접촉체를 제2회동 방향으로 부세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구는, 그 한쪽이 상기 접촉체에 연결되며, 다른쪽이 상기 기체 또는 상기 가동체 및 지지체 중 다른쪽 측에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를 갖는 피스톤 댐퍼로서, 상기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 로드의 압입 및 인장 동작에 대해 실린더 내의 유체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상기 피부세부와 상기 부세기구는, 상기 부세기구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부재를 통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기구는, 그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되며, 그 타단이 상기 기체 또는 상기 가동체 및 지지체 중 다른쪽 측에 연결된 인장 코일 스프링을 갖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피부세부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부세기구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부세되어, 상기 캠의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기체 또는 상기 가동체 및 지지체 중 다른쪽 측에 대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피부세부와 접촉 결합하는 결합벽과, 상기 부세기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기 결합벽을 따라 상기 피부세부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결합벽을 압압함으로써, 상기 캠의 회동에 수반하는 상기 피부세부의 변위를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부세기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피부세부와 결합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함과 아울러, 전단부(前端部)에 상기 결합벽이 설치되며,
    상기 피부세부는 상기 캠의 상기 제2축체보다 후방 위치로부터 상기 제1회동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편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편의 선단부가 상기 결합벽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부세기구에 의해 상기 캠의 상기 피부세부가 제1방향으로 부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KR1020137026303A 2011-03-14 2012-03-13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KR101933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5898 2011-03-14
JPJP-P-2011-055898 2011-03-14
JPJP-P-2011-238531 2011-10-31
JP2011238531A JP5907693B2 (ja) 2011-03-14 2011-10-31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PCT/JP2012/056457 WO2012124707A1 (ja) 2011-03-14 2012-03-13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444A true KR20140015444A (ko) 2014-02-06
KR101933729B1 KR101933729B1 (ko) 2018-12-28

Family

ID=4683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303A KR101933729B1 (ko) 2011-03-14 2012-03-13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33475A1 (ko)
EP (1) EP2687663A4 (ko)
JP (1) JP5907693B2 (ko)
KR (1) KR101933729B1 (ko)
CN (1) CN103518029B (ko)
WO (1) WO2012124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6885B2 (ja) * 2011-03-14 2015-07-08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及びハウジング
JP5764375B2 (ja) * 2011-04-19 2015-08-19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可動装置
PL2980344T3 (pl) * 2013-04-15 2017-10-31 Zhongshan Opike Hardware Product Co Ltd Amortyzujące, zapobiegające podskakiwaniu urządzenie górnego koła z podwójną rurą
JP6441128B2 (ja) * 2014-03-11 2018-12-19 株式会社小林製作所 受け部材構造、およびこれを含む引戸
JP5638717B1 (ja) * 2014-06-12 2014-12-10 家研販売株式会社 トリガ装置
DE102014118665A1 (de) * 2014-12-15 2016-06-16 Hautau Gmbh Einzugsvorrichtung für ein Schiebefenster oder eine Schiebetür
CN104727680B (zh) * 2015-04-09 2017-01-25 伍志勇 用于滑动门的弹性摆动滚轮机构
US10724285B2 (en) * 2015-06-19 2020-07-28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Dampening translator for sliding building closure
SE539266C2 (en) * 2015-10-15 2017-06-07 Elfa Int Ab Sliding by arrangement
JP6951189B2 (ja) * 2017-10-16 2021-10-20 磯川産業株式会社 引き戸の制動装置
WO2019195150A1 (en) * 2018-04-02 2019-10-10 Safran Cabin Inc. Soft self-close door damper
US20200355004A1 (en) * 2019-05-06 2020-11-12 Schlage Lock Company Llc Sliding door systems
EP3786407B1 (en) * 2019-06-24 2021-06-30 Foshan Ideal Co., Ltd. Bidirectional damper and shower door assembly
JP7315414B2 (ja) * 2019-08-28 2023-07-26 株式会社マキタ 携帯用加工機の案内定規
CN113188864B (zh) * 2021-04-23 2022-05-24 贵州大学 一种用于制作裂隙岩石试件的切割装置及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6037A (en) * 1958-04-04 1960-02-23 Lawrence Brothers Latch mechanism
US3065985A (en) * 1961-05-25 1962-11-27 Ekco Products Company Latch unit
US3140889A (en) * 1963-01-21 1964-07-14 Murray A Sanders Latch for slidable closures
JP3929163B2 (ja) * 1997-12-11 2007-06-13 株式会社西製作所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US6651765B1 (en) * 2002-05-02 2003-11-25 Steven M. Weinzierl Snowmobile with a supercharged engine
US7028370B2 (en) * 2003-03-31 2006-04-18 Thk Co., Ltd. Retracting apparatus, drawer apparatus and sliding door apparatus
JP3930459B2 (ja) * 2003-06-30 2007-06-13 株式会社シモダイラ 引戸の戸閉装置
JP4472444B2 (ja) * 2004-06-30 2010-06-02 株式会社ニフコ 開閉動作体の停止位置における引き込み係止機構
JP4446824B2 (ja) * 2004-07-21 2010-04-07 株式会社ニフコ スライド補助装置
JP4690026B2 (ja) * 2004-12-13 2011-06-01 株式会社小林製作所 移動体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JP4751607B2 (ja) * 2004-12-20 2011-08-17 株式会社ニフコ 自走往動させる機構、引き戸機構、および、引き出し機構
JP4313764B2 (ja) * 2005-01-24 2009-08-12 トステム株式会社 引戸の引き込み装置
DE202005004336U1 (de) * 2005-03-17 2005-06-23 Hettich-Heinze Gmbh & Co. Kg Selbsteinzugsvorrichtung für bewegliche Möbelteile
KR101323551B1 (ko) * 2006-04-20 2013-10-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및 슬라이딩 도어
JP5019898B2 (ja) 2007-02-07 2012-09-05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両方向引き込みユニット
JP5046837B2 (ja) 2007-10-02 2012-10-10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US20110041284A1 (en) * 2008-01-17 2011-02-24 Nifco Inc. Retraction mechanism
US8060983B2 (en) * 2008-09-25 2011-11-22 Bortoluzzi Mobili S.R.L. Device for cushioning an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of sliding shutters
JP2010112012A (ja) * 2008-11-04 2010-05-20 Nifco Inc 可動体の往動機構
EP2397636A1 (en) * 2009-02-16 2011-12-21 Nifco INC. Latch apparatus
JP2011006872A (ja) * 2009-06-24 2011-01-13 Nifco Inc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CN201560664U (zh) * 2009-10-28 2010-08-25 许姜德 一种缓冲器
CN201598924U (zh) * 2010-01-19 2010-10-06 上海贝思特门机有限公司 一种紧凑型厅门装置
JP5746885B2 (ja) * 2011-03-14 2015-07-08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及びハウジング
JP5764375B2 (ja) * 2011-04-19 2015-08-19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可動装置
AU2012202848B2 (en) * 2011-05-18 2016-06-16 Jacou Industry Zhongshan Limited Privacy Latch
US8402606B1 (en) * 2011-10-18 2013-03-26 Patrick Tsai Door closer with buffer mechanism for a sliding door
CA2799761C (en) * 2012-12-20 2019-06-11 Fleurco Products Inc. Sliding door stopp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7663A1 (en) 2014-01-22
EP2687663A4 (en) 2014-10-29
JP5907693B2 (ja) 2016-04-26
JP2012207517A (ja) 2012-10-25
US20140033475A1 (en) 2014-02-06
CN103518029B (zh) 2016-01-20
CN103518029A (zh) 2014-01-15
KR101933729B1 (ko) 2018-12-28
WO2012124707A1 (ja)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5444A (ko)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KR101924243B1 (ko) 키퍼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KR101593321B1 (ko) 로크 기구
EP2014856A1 (en) Self-propelled forward movement mechanism of movable body, sliding door, and spacer device
WO2011152232A1 (ja) 移動補助装置
KR101183710B1 (ko)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WO2013042559A1 (ja) ロック装置
KR20130014557A (ko)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KR20140027243A (ko) 가동체의 가동장치
JP5726556B2 (ja) 開閉体閉止装置
CN107847049B (zh) 用于可动家具部件的推出装置
KR102012983B1 (ko) 개폐체 완충 장치
WO2010092697A1 (ja) 移動体の移動装置
KR101973230B1 (ko)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WO2013047518A1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WO2013008793A1 (ja) ラッチ装置
US20220161731A1 (en) Locking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JP2007098522A (ja) 支持器具
JP2012193490A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KR20140027089A (ko)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KR101592311B1 (ko) 냉장고
KR20140004763A (ko)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KR200451275Y1 (ko) 차량용 트레이
JP5054658B2 (ja) ドア引き込み装置
JP5909409B2 (ja) 位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