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089A -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 Google Patents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089A
KR20140027089A KR1020137018021A KR20137018021A KR20140027089A KR 20140027089 A KR20140027089 A KR 20140027089A KR 1020137018021 A KR1020137018021 A KR 1020137018021A KR 20137018021 A KR20137018021 A KR 20137018021A KR 20140027089 A KR20140027089 A KR 20140027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mber
slider
movable body
groov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665B1 (ko
Inventor
아키히코 탄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2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수용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걸쳐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피수용부재의 포착부와, 제어핀을 갖고 있고, 제1 위치에서 포착부에 의한 피수용부재의 포착 또는 포착된 피수용부재의 해방이 이루어져, 이 포착 상태로부터의 제2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가동체의 어시스트를 이룬다. 수용부재의 측방에는, 제어핀에 대한 안내홈을 구비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는 수용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인다. 안내홈은 상기 밀어붙임 끝측을 굴곡 또는 만곡 외측으로 하는 코너부를 갖는다. 수용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제어핀은 안내홈의 코너부를 낀 일방측에 있어서, 수용부재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이 상기 밀어붙임에 대항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ASSISTING MECHANISM FOR MOVEABLE BODY}
본 발명은 기준 위치로부터 전개 가능하게 본체에 왕복동(往復動) 가능하게 조합된 가동체(可動體)가 전개 위치로부터 이 기준 위치를 향하여 소정 위치까지 왕동(往動)조작될 때 작동하여, 이 가동체의 기준 위치로의 왕동을 어시스트(assist), 즉 보조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문의 닫힘을 어시스트하는 기구로서, 닫힘 조작에 의해 소정 위치에 문이 이르렀을 때에 문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striker)를 포착(捕捉)하여 거기에서 밀어붙임수단의 밀어붙임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동(回動)하는 캐처(catcher)를 갖고, 이 캐쳐에 의해 문을 닫힘 위치까지 인입(引入)하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캐쳐의 강제적인 회동은 이 캐쳐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진 슬라이더의 맞닿음부를 캐쳐의 피(被)맞닿음부에 압착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10-95979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주된 문제점은 보다 간단하고 조립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 이러한 종류의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를 본체에 기준 위치와 전개 위치에 걸쳐 왕복동 가능하게 조합된 가동체 및 이 본체의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피(被)수용부재와, 이들의 다른 쪽에 구비되어 가동체를 기준 위치를 향하여 왕동 조작하였을 때에 소정 위치에서 이 피수용부재를 포착하여 가동체의 이 왕동을 어시스트하는 수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어시스트 기구로서,
수용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걸쳐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이 회동 중심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피수용부재의 포착부와, 제어핀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 포착부에 의한 피수용부재의 포착 또는 포착된 피수용부재의 해방이 이루어지고, 이 포착 상태로부터 제2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어시스트를 이루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재의 측방에는, 이 수용부재에 대해 근접 격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제어핀에 대한 안내홈을 구비한 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있고,
슬라이더는 밀어붙임수단에 의해 수용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안내홈은 상기 밀어붙임 끝측을 굴곡 또는 만곡 외측으로 하는 코너부(corner potion)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제어핀은 안내홈의 코너부를 낀 일방측에 있어서, 수용부재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이 상기 밀어붙임에 대항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슬라이더는 수용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지만, 수용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제어핀은 안내홈의 코너부를 낀 일방측에 위치되므로, 수용부재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은 상기 밀어붙임에 대항하는 것으로 되고, 따라서 수용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가동체의 왕동에 의해 수용부재가 피수용부재를 포착하여 제2 위치를 향하여 회동하면 제어핀이 안내홈의 코너부를 타고 넘어설 때까지는 슬라이더는 상기 밀어붙임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어핀이 안내홈의 코너부를 타고 넘어서면 제어핀은 이 코너부보다 상기 밀어붙임의 밀어붙임 후방측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슬라이더는 상기 밀어붙임의 밀어붙임 끝으로 이동되어 수용부재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은 이 밀어붙임에 의해 조성(助成)된다. 이에 의해, 수용부재를 통하여 가동체의 기준 위치로의 왕동이 어시스트된다. 상기 수용부재와 슬라이더는 상기 제어핀을 안내홈에 수납하는 것만으로 적절하게 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그 부품수도 최소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홈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수용부재의 각 위치에서의 회동 속도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그 회동 중심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제어핀과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연계(連係)핀을 갖고 있음과 함께,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수용부재가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이 수용부재에 대해 근접 격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추가 슬라이더를 갖고 있고,
이 추가 슬라이더에 연계핀에 대한 연계홈이 구비되어, 추가 슬라이더는 수용부재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에 의해 수용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과 함께, 제동수단에 의해 이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수용부재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 즉 이 수용부재에 왕동을 어시스트 받은 가동체의 이 왕동에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와 추가 슬라이더는 상기 연계핀을 연계홈에 수납하는 것만으로 적절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홈의 코너부를 낀 타방측이 수용부재의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슬라이더를 통한 밀어붙임수단의 밀어붙임에 의한 수용부재의 회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홈 부분을 구비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형적으로는 가동체가 기준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서, 가동체에 대한 상기 어시스트를 약화시켜, 예를 들면 가동체로서의 문이 큰 소리를 내며 닫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계홈이 수용부재의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사이에서, 추가 슬라이더를 통한 제동수단에 의한 수용부재의 회동에 대한 저항의 부여를 변화 또는 해제시키는 홈 부분을 구비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동체가 기준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서, 가동체에 대한 상기 제동력을 영으로 혹은 증감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의 포착부를 핀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시키고,
피수용부재는 가동체를 기준 위치를 향하여 왕동 조작하였을 때에 소정 위치에서 수용부재를 후크(hook) 내측에 들어가게 하는 후크 형상부를 갖는 것으로 함과 함께,
이 후크 형상부의 후크단(端)의 외측에 피수용부재를 포착시키지 않고 수용부재가 제2 위치로 회동하여 버린 상태(오동작 상태)로부터 가동체를 왕동 조작하였을 때에 기준 위치에서 상기 포착부의 수납 오목부분을 형성시키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두면, 상기 오동작 상태일 때에 가동체를 기준 위치까지 왕동 회동시켜도 수용부재 및 피수용부재에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조립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가동체의 기준 위치로의 왕동을 어시스트하는 기구를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기구를 문에 이용한 예를 비스듬하게 아래쪽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기구를 문에 이용한 예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수용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수용부재를 구성하는 상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유닛에 포함되는 슬라이더 및 추가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수용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저면 구성도이다.
도 9는 수용부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약간 회동한 위치에서 피수용부재를 포착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수용부재가 제2 위치에 있고, 문이 닫힌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저면 구성도이다.
이하, 도 1∼도 10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기구는, 기준 위치로부터 전개 가능하게 본체에 왕복동 가능하게 조합된 가동체(D)가, 전개 위치로부터 이 기준 위치를 향하여 소정 위치까지 왕동 조작되었을 때에 작동하여, 이 가동체(D)의 기준 위치로의 왕동을 어시스트, 즉 보조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이러한 어시스트 기구는, 전형적으로는 주택의 문이나 자동차의 도어, 각종의 기기나 집기의 문이나 덮개 등, 각종 가동체(D)의 상기 왕동의 어시스트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어시스트 기구는 이러한 문 등이 전개 위치, 전형적으로는 열림 위치로부터, 기준 위치, 전형적으로는 닫힘 위치를 향하여, 소정 위치까지 왕동 회동되었을 때에 작동하여, 이러한 문 등을 기준 위치로 인입(引入)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어시스트 기구는 수용부재(1)와 피수용부재(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피수용부재(7)는 상기 본체(F) 및 가동체(D)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고, 수용부재(1)는 이들 중 다른 쪽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부재(1)는 가동체(D)를 기준 위치를 향하여 왕동 조작하였을 때에 소정 위치에서 이 피수용부재(7)를 포착하여 가동체(D)의 이 왕동을 어시스트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동체(D)로서의 문(Da)에 피수용부재(7)를 구비하게 함과 함께, 본체(F)로서의 문틀(Fa)에 수용부재(1)를 구비하게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피수용부재(7)는 문(Da)의 힌지측(Db)에 있어서, 문(Da)의 상단면(Dc)에서 위쪽으로 개방된 음각(Dd)에, 피수용부재(7)의 상면을 이 문(Da)의 상단면(Dc)과 대략 같은 면으로 하도록 하여 수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피수용부재(7)는 가동체(D)를 기준 위치(도시한 예에서는 닫힘 위치)를 향하여 왕동 조작하였을 때에 소정 위치에서 수용부재(1)를 후크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는 후크 형상부(70)를 갖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음각(Dd)에 수납되어 고정되는 반상체(盤狀體)(71)의 상면부에 홈 형상의 오목부분(72)을 각설(刻設)시킴으로써, 이러한 후크 형상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분(72)은 문(Da)의 힌지측(Db)에 홈 안쪽끝(73a)을 위치시켜 문(Da)의 좌우 방향으로 뻗는 직선홈부(73)와, 이 직선홈부(73)에 연통함과 함께 문(Da)을 닫힘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킬 때에 전방에 위치되는 문(Da)의 일면(De)측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된 도입홈부(74)를 갖고 있다. 직선홈부(73)와 도입홈부(74)의 연통 개소(個所)에 후크단의 문(Da)의 자유단(自由端)(Df)측을 향한 후크 형상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홈부(74)는 직선홈부(73)의 상기 후크 형상부(70)에 대향하는 측의 홈벽(73b)에 연속하는 홈벽(74a)을 그 도입개구를 향함에 따라 문(Da)의 자유단(Df)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안내면(74b)으로 하고 있다. 또한, 문(Da)의 상기 일면측에는 도입홈부(74)의 상기 도입개구에 연통된 절결부(Dg)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재(1)의 후술하는 포착부(10)는 축선을 상하로 따르게 함과 함께, 그 하단(下端)(10a)을 문(Da)의 상단면(Dc)보다 아래쪽에서 피수용부재(7)의 도입홈부(74) 및 직선홈부(73)의 홈 바닥보다 위쪽에 위치시킨 축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문(Da)을 닫힘 위치를 향하여 왕동 회동시키면 소정 위치에서 후술하는 제1 위치에 있는 수용부재(1)의 포착부(10)가 피수용부재(7)의 상기 도입홈부(74) 내에 들어간다. 들어간 포착부(10)는 상기 안내면(74b)에 맞닿고, 이 안내면(74b)의 경사에 의해 수용부재(1)는 제2 위치를 향한 정회전을 시작하고, 이 회동에 의해 포착부(10)는 직선홈부(73)로 들어간다(도 8∼9). 이에 의해 수용부재(1)에 의한 피수용부재(7)의 포착이 이루어진다. 이 포착 상태로부터 후술하는 슬라이더(3)를 통한 밀어붙임수단(4)의 밀어붙임에 의해 수용부재(1)는 수직축(11)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제2 위치까지 회동되고, 이 회동에 의해 문(Da)은 닫힘 위치까지 인입된다(도 10). 닫힘 위치에 있는 문(Da)을 열림 위치를 향하여 복동(復動) 조작하면, 피수용부재(7)를 포착하는 수용부재(1)는 제1 위치까지 역회전되어 제1 위치에 이르면 상기 직선홈부(73)로부터 포착부(10)를 빠져나가게 한다. 이에 의해 수용부재(1)로부터 피수용부재(7)는 해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피수용부재(7)의 후크 형상부(70)의 후크단의 외측에, 피수용부재(7)를 포착하지 않고 수용부재(1)가 제2 위치로 회동하여 버린 상태(오동작 상태)로부터 가동체(D)를 왕동 조작하였을 때에 기준 위치에서 상기 포착부(10)의 수납 오목부분(75)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후크 형상부(70)에서의 후크단은 피수용부재(7)를 구성하는 상기 반상체(71)의 외측 가장자리(外緣)(71a)보다 안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이 외측 가장자리(71a)와 후크단 사이에 상기 오목부분(7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오동작 상태일 때에 가동체(D)로서의 문(Da)을 기준 위치로서의 닫힘 위치까지 왕동 회동시켜도 수용부재(1) 및 피수용부재(7)에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수용부재(1)는 문틀(Fa) 상부(Fb)의 문(Da)의 힌지측(Db)에 있어서, 문버팀쇠부(Fc)의 바로 앞에 형성된 하면 개방의 음각(Fd) 내에, 수직축(11)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수용부재(1)는 문틀(Fa)의 좌우 방향으로 긴 하면 개방의 케이스(2) 내에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2) 내에는, 슬라이더(3)와 그 밀어붙임수단(4) 및 추가 슬라이더(5)와 그 제동수단(6)이 더 수납되어 있다. 수용부재(1)는 케이스(2)의 중앙에 배치되고, 이 수용부재(1)와 케이스(2)에서의 문(Da)의 힌지측(Db)에 위치되는 단부(端部)(20)와의 사이에 슬라이더(3)가 배치되고, 이 수용부재(1)와 케이스(2)에서의 문(Da)의 자유단(Df)측에 위치되는 단부(21)와의 사이에 추가 슬라이더(5)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2)는 그 하측을 문틀(Fa)의 상부(Fb)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키지 않도록, 상기 음각(Dd)에 수납되어 있다. 수용부재(1)의 포착부(10)는 그 하단(10a)을 이 케이스(2)의 하부로부터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2) 내에 수용부재(1) 등을 수납하여 구성되는 유닛은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더(3) 및 추가 슬라이더(5)를 이동시키고, 또한 이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밀어붙임수단(4)으로 되는 압축 코일스프링(4')의 중심축 및 상기 제동수단(6)으로 되는 피스톤 댐퍼(60)의 중심축을 배치시키는 레이아웃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문틀(Fa)의 상부(Fb)에 지장없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부재(1)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걸쳐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이 회동 중심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각각 서로 거리를 두고, 피수용부재(7)의 포착부(10)와, 제어핀(12)과, 연계핀(13)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 포착부(10)에 의한 피수용부재(7)의 포착 또는 포착된 피수용부재(7)의 해방이 이루어져, 이 포착 상태로부터의 제2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어시스트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수용부재(1)는 케이스(2)의 천정판에 고정된 수직축(11)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포착부(10), 제어핀(12) 및 연계핀(13)은 모두 축선을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구비되어 있다. 수직축(11)으로부터의 거리는, 포착부(10)가 가장 크고, 제어핀(12)과 수직축(11) 사이의 거리는 연계핀(13)과 수직축(11) 사이의 거리와 대략 같아지도록 되어 있다.
포착부(10)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 케이스(2)에서의 상기 문(Da)의 일면(De)에 마주하는 측의 측연(側緣)보다 전방에 위치하고(도 8), 상기 제2 위치에서 케이스(2)의 하방에 위치한다(도 10).
제어핀(12) 및 연계핀(13)은 모두 케이스(2)의 천정판(23)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항시 케이스(2) 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핀(12)은 문(Da)의 힌지측(Db)에 위치되고, 이보다 연계핀(13)은 항상 문(Da)의 자유단(Df)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수용부재(1)는 도 5에서 부호 14로 표시되는 하부부재와, 부호 15로 표시되는 상부부재를 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하부부재(14)는 부채 형상부(14a)와 이 부채 형상부(14a)의 주요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아암부(14b)를 갖고 있고, 아암부(14b)의 선단에 포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부재(15)는 하면에 하부부재(14)의 부채 형상부(14a)가 장착되는 부채 형상을 이룸과 함께, 그 주요 위치에 수직축(11)이 통과되는 축구멍(15a)을 갖고, 또한 상면에 상기 제어핀(12) 및 연계핀(13)을 돌출 형상으로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3)는 수용부재(1)에 대해 근접 격리되는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2) 내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함께, 이러한 슬라이더(3)에는 제어핀(12)에 대한 안내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더(3)는 밀어붙임수단(4)에 의해 수용부재(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슬라이더(3)는 케이스(2)에서의 상기 문(Da)의 일면(De)에 마주하는 측의 측연에 형성된 전방측 기립부(24)와, 이에 대향하는 후방측 기립부(25)와의 사이에 틈새가 적게 수납되는 폭을 구비한 반상(盤狀)을 이루는 주체부(主體部)(31)를 갖고, 양쪽 기립부(24, 25)로 안내되어 케이스(2)의 길이 방향, 즉 문틀(Fa)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주체부(31)에서의 케이스(2)의 중앙측으로 향해진 측부에는, 수용부재(1)의 상부부재(15)의 상면과 케이스(2)의 천정판(23)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두께의 귀형상부(耳部)(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30)은 이 귀형상부(3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어핀(12)이 아래쪽으로부터 이 안내홈(30)으로 들어가 수용부재(1)와 슬라이더(3)의 조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체부(31)에서의 케이스(2)에서의 문(Da)의 힌지측(Db)에 위치되는 단부(20)측으로 향해진 측부에는,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로드(rod)(33)의 일단이 일체로 연접(連接)되어 있다. 케이스(2)에서의 문(Da)의 힌지측(Db)에 위치되는 단부(20)측에는 도면부호 26으로 표시되는 끝단 부재가 고정됨과 함께, 이 끝단 부재(26)에 형성된 관통구멍(26a)에 상기 로드(33)가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로드(33)에는 주체부(31)와 끝단 부재(26)와의 사이에서 압축 코일스프링(4')이 감겨져 장착되어 있고, 이 압축 코일스프링(4')에 의해 슬라이더(3)는 수용부재(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져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압축 코일스프링(4')이 상기 밀어붙임수단(4)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더(3)에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안내홈(30)은 상기 밀어붙임의 밀어붙임 끝측을 굴곡 또는 만곡 외측으로 하는 코너부(corner portion)(30a)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재(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제어핀(12)은 안내홈(30)의 코너부(30a)를 낀 일방측, 도시한 예에서는 안내홈(30)의 전단(前端)(30b)측에 있고, 수용부재(1)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이 상기 밀어붙임에 대항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안내홈(30)은 상기 수직축(11)을 중심으로 한 가상 원의 원호를 따르는 것처럼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안내홈(30)의 전단(30b)은 후단(後端)(30c)보다 케이스(2)에서의 문(Da)의 힌지측(Db)에 위치되는 단부(20)측, 즉, 상기 밀어붙임의 밀어붙임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다. 안내홈(30)의 전후 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상기 코너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3)는 수용부재(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지지만, 수용부재(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제어핀(12)은 안내홈(30)의 코너부(30a)를 낀 일방측에 위치되므로, 수용부재(1)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은 상기 밀어붙임에 대항하는 것으로 되고, 따라서 수용부재(1)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가동체(D)의 왕동에 의해 수용부재(1)가 피수용부재(7)를 포착하여 제2 위치를 향하여 회동하면 제어핀(12)이 안내홈(30)의 코너부(30a)를 타고 넘어설 때까지는 슬라이더(3)는 상기 밀어붙임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어핀(12)이 안내홈(30)의 코너부(30a)를 타고 넘어서면 제어핀(12)은 이 코너부(30a)보다도 상기 밀어붙임의 밀어붙임 후방측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슬라이더(3)는 상기 밀어붙임의 밀어붙임 끝으로 이동되어 수용부재(1)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은 이 밀어붙임에 의해 조성(助成)된다. 이에 의해, 수용부재(1)를 통하여 가동체(D)의 기준 위치로의 왕동이 어시스트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내홈(30)의 코너부(30a)를 낀 타방측은 수용부재(1)의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슬라이더(3)를 통하여 밀어붙임수단(4)의 밀어붙임에 의한 수용부재(1)의 회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홈 부분(30d)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안내홈(30)의 후단측은 코너부(30a)보다 약간 상기 밀어붙임 끝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핀(12)이 안내홈(30)의 후단(30c)측에 이르면 이 제어핀(12)에 의해 슬라이더(3)는 다시 상기 밀어붙임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약간 압입(押入)되고, 수용부재(1)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의 상기 밀어붙임에 의한 조성(助成)이 줄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체(D)가 기준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있어서, 가동체(D)에 대한 상기 어시스트를 약하게 하여, 예를 들면 이러한 가동체(D)로서의 문(Da)이 큰 소리를 내며 닫히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추가 슬라이더(5)는 수용부재(1)에 대해 근접 격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2) 내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함께, 이러한 추가 슬라이더(5)에는 연계핀(13)에 대한 연계홈(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계핀(13)과 연계홈(50)에 의해, 추가 슬라이더(5)는 수용부재(1)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에 의해 수용부재(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과 함께, 제동수단(6)에 의해 이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추가 슬라이더(5)는 케이스(2)에서의 상기 전방측 기립부(24)와 후방측 기립부(25) 사이에 틈새가 적게 수납되는 폭을 구비한 반상을 이루는 주체부(主體部)(51)를 갖고, 양쪽 기립부(24, 25)에 안내되어 케이스(2)의 길이 방향, 즉 문틀(Fa)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주체부(51)에서의 케이스(2)의 중앙측으로 향해진 측부에는, 수용부재(1)의 상부부재(15)의 상면과 케이스(2)의 천정판(23)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두께의 귀형상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계홈(50)은 이 귀형상부(5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연계핀(13)을 아래쪽으로부터 이 연계홈(50)으로 들어가게 하여 수용부재(1)와 추가 슬라이더(5)와의 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주체부(51)에는, 실린더(61)와 도시하지 않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접속된 피스톤 로드(6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소위, 피스톤 댐퍼(60)가 조합되어 있다. 이러한 피스톤 댐퍼(60)는 케이스(2)의 길이 방향, 즉 문틀(Fa)의 좌우 방향으로 피스톤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음과 함께, 실린더(61)의 안쪽을 향한 피스톤의 이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키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피스톤 댐퍼(60)의 실린더(61)를 수납하여 유지하는 유지공간(51a)이 추가 슬라이더(5)의 주체부(51)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공간(51a)은 케이스(2)에서의 문(Da)의 자유단(Df)측에 위치되는 단부(21)측으로 향해진 주체부(51)의 측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거기에서 이러한 단부(21)를 향하여 피스톤 로드(62)가 돌출되어 있다. 케이스(2)에서의 문(Da)의 자유단(Df)측에 위치되는 단부(21)측에는 도면부호 27로 표시되는 끝단 부재가 고정됨과 함께, 이 끝단 부재(27)에 피스톤 로드(62)의 돌출단(突出端)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추가 슬라이더(5)를 수용부재(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스톤 로드(62)를 통하여 피스톤이 실린더(61) 내에 압입되고 이 추가 슬라이더(5)의 이동에 피스톤 댐퍼(60)의 저항력이 작용된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피스톤 댐퍼(60)가 상기 제동수단(6)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추가 슬라이더(5)에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계홈(50)도, 상기 수직축(11)을 중심으로 한 가상 원의 원호를 따르는 것처럼은 형성되지 않았다. 또, 연계홈(50)은 상기 슬라이더(3)측을 굴곡 외측으로 하도록 그 전단(50a)측에서 굴곡되어 있다.
수용부재(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연계핀(13)은 연계홈(50)의 후단(50b)에 위치된다(도 4, 도 8). 수용부재(1)가 제2 위치를 향하여 회동하면 연계핀(13)에 눌려져 추가 슬라이더(5)는 수용부재(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수용부재(1)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 즉 이 수용부재(1)에 왕동을 어시스트 받은 가동체(D)의 이 왕동에 이러한 제동수단(6)의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계홈(50)에, 수용부재(1)의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추가 슬라이더(5)를 통한 제동수단(6)에 의한 수용부재(1)의 회동에 대한 저항의 부여를 변화 또는 해제시키는 홈 부분(50c)을 구비하게 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연계홈(50)의 상기 굴곡 부분(50d)과 전단(50a)과의 사이는 이 전단(50a)에 근접함에 따라 케이스(2)에서의 문(Da)의 자유단(Df)측에 위치되는 단부(21)에 근접하도록 케이스(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수용부재(1)가 제2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있어서 연계핀(13)이 이 연계홈(50)의 굴곡 부분(50d)과 전단(50a) 사이로 들어가도록 하여 두면, 이 때에 추가 슬라이더(5)를 수용부재(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거나, 또는 그 이동량을 줄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면, 가동체(D)가 기준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있어서, 가동체(D)에 대한 상기 제동력을 영으로 하고 또는 감소시켜, 예를 들면, 이러한 가동체(D)로서의 문(Da)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래치(door latch)를 구성하는 래치 볼트를 문틀(Fa)측에 구비하는 이 래치 볼트의 받침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필요한 속도로 왕동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기준 위치에 있는 가동체(D)를 전개 위치로 복동(復動)시키면, 피수용부재(7)를 포착하여 제2 위치에 있는 수용부재(1)는 제1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고, 이 회동에 의해 이동되는 제어핀(12)에 의한 슬라이더(3)는 수용부재(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단 이동된 후에 이 제어핀(12)이 안내홈(30)의 코너부(30a)로부터 전단측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상기 밀어붙임에 의해 수용부재(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용부재(1)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가 다시 유지된다. 또한, 이러한 수용부재(1)의 회동에 의해 이동되는 연계핀(13)에 의해 추가 슬라이더(5)는 수용부재(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린더(61) 내에서 피스톤 로드(62)는 압입(押入) 전의 위치까지 인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기구는, 상기 수용부재(1)와 슬라이더(3)는 상기 제어핀(12)를 안내홈(30)에 수납하는 것만으로 적절하게 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그 부품수도 최소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홈(3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수용부재(1)의 각 위치에서의 회동 속도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케이스(2)의 개방된 하부는 적절한 커버로 덮여 치장된다.
2011년 1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003078호의 명세서, 특허청 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開示)로서 도입한다.

Claims (5)

  1. 본체에 기준 위치와 전개 위치에 걸쳐 왕복동 가능하게 조합된 가동체 및 이 본체의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피(被)수용부재와, 이들의 다른 쪽에 구비되어 가동체를 기준 위치를 향하여 왕동(往動) 조작하였을 때에 소정 위치에서 이 피수용부재를 포착하여 가동체의 이 왕동을 어시스트(assist)하는 수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어시스트 기구로서,
    수용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걸쳐 일정 각도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이 회동 중심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피수용부재의 포착부와, 제어핀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 포착부에 의한 피수용부재의 포착 또는 포착된 피수용부재의 해방이 이루어지고, 이 포착 상태로부터 제2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어시스트를 이루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재의 측방에는, 이 수용부재에 대해 근접 격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제어핀에 대한 안내홈을 구비한 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있고,
    슬라이더는 밀어붙임수단에 의해, 수용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안내홈은 상기 밀어붙임 끝측을 굴곡 또는 만곡 외측으로 하는 코너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제어핀은 안내홈의 코너부를 낀 일방측에 있어서, 수용부재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이 상기 밀어붙임에 대항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부재는 그 회동 중심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제어핀과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연계(連係)핀을 갖고 있음과 함께,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수용부재를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이 수용부재에 대해 근접 격리되는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추가 슬라이더를 갖고 있고,
    이 추가 슬라이더에 연계핀에 대한 연계홈이 구비되어, 추가 슬라이더는 수용부재의 제2 위치를 향한 회동에 의해 수용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과 함께, 제동수단에 의해 이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안내홈의 코너부를 낀 타방측은 수용부재의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슬라이더를 통한 밀어붙임수단의 밀어붙임에 의한 수용부재의 회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홈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연계홈은 수용부재의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사이에서, 추가 슬라이더를 통한 제동수단에 의한 수용부재의 회동에 대한 저항의 부여를 변화 또는 해제시키는 홈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부재의 포착부는 핀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피수용부재는 가동체를 기준 위치를 향하여 왕동 조작하였을 때에 소정 위치에서 수용부재를 후크 내측에 들어가게 하는 후크 형상부를 갖고 있음과 함께,
    이 후크 형상부의 후크단(端)의 외측에 피수용부재를 포착시키지 않고 수용부재가 제2 위치로 회동하여 버린 상태로부터 가동체를 왕동 조작하였을 때에 기준 위치에서 상기 포착부의 수납 오목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KR1020137018021A 2011-01-11 2012-01-10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KR102046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03078 2011-01-11
JP2011003078A JP2012144885A (ja) 2011-01-11 2011-01-11 可動体のアシスト機構
PCT/JP2012/050287 WO2012096262A1 (ja) 2011-01-11 2012-01-10 可動体のアシスト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089A true KR20140027089A (ko) 2014-03-06
KR102046665B1 KR102046665B1 (ko) 2019-12-02

Family

ID=4650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021A KR102046665B1 (ko) 2011-01-11 2012-01-10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144885A (ko)
KR (1) KR102046665B1 (ko)
CN (1) CN103314172A (ko)
WO (1) WO2012096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6091B (zh) * 2014-01-27 2017-06-06 株式会社利富高 转动辅助机构
CN109763733B (zh) 2018-12-29 2020-07-14 广东炬森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开门器
IT202100013733A1 (it) * 2021-05-26 2022-11-26 Salice Arturo Spa Dispositivo di decelerazione per mobil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5979A (ja) 2008-10-20 2010-04-30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機構
KR20100088070A (ko) * 2009-01-29 2010-08-0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회동체의 왕동기구
JP2010236186A (ja) * 2009-03-30 2010-10-21 Kuriki Manufacture Co Ltd ドアクローザ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0504B (de) * 2000-01-14 2003-05-26 Blum Gmbh Julius Schliess- und/oder einzu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JP4477957B2 (ja) * 2004-07-16 2010-06-09 株式会社ニフコ 開閉動作体の停止位置における引き込み係止機構
WO2008069248A1 (ja) * 2006-12-08 2008-06-12 Nifco Inc. 引き込み機構及び取り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5979A (ja) 2008-10-20 2010-04-30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機構
KR20100088070A (ko) * 2009-01-29 2010-08-0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회동체의 왕동기구
JP2010236186A (ja) * 2009-03-30 2010-10-21 Kuriki Manufacture Co Ltd ドアクローザ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14172A (zh) 2013-09-18
WO2012096262A1 (ja) 2012-07-19
JP2012144885A (ja) 2012-08-02
KR102046665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7923B2 (ja) 可動体のアシスト機構
KR101233874B1 (ko) 회동체의 왕동기구
US20100229341A1 (en) Assist device for movable body
KR102046665B1 (ko)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CN110607961B (zh) 用于车辆的可伸缩外侧门把手组件
KR20140108557A (ko)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EP3130730B1 (en) Safety catch release mechanism
JP2009203651A (ja) 開き戸のソフトクローズ機構
KR200468244Y1 (ko) 도난방지 기능이 강화된 창문용 잠금장치
JP3987996B2 (ja) 引き戸のローラーラッチ機構
JP2013231278A (ja) 可動体のアシスト機構
KR101081259B1 (ko) 래치기구
JP4951582B2 (ja) ラッチ装置
JP2010126920A (ja) ドア引き込み装置
CN111042673B (zh) 用于车辆的可伸缩外侧门把手组件
WO2013162001A1 (ja) 扉のアシスト機構
JP2012251367A (ja) 回転体アシスト装置
JP5139875B2 (ja) ラッチ機構
JP5054658B2 (ja) ドア引き込み装置
KR101028283B1 (ko) 래치장치
EP3004762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ndle mechanism
KR101028272B1 (ko) 래치장치
JP2013231279A (ja) 扉のアシスト機構
JP2009197485A (ja) ラッチ装置
JP2014101653A (ja) 可動体保持装置、及び、ドア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6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18

Effective date: 201910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