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243A - 가동체의 가동장치 - Google Patents

가동체의 가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243A
KR20140027243A KR1020137029674A KR20137029674A KR20140027243A KR 20140027243 A KR20140027243 A KR 20140027243A KR 1020137029674 A KR1020137029674 A KR 1020137029674A KR 20137029674 A KR20137029674 A KR 20137029674A KR 20140027243 A KR20140027243 A KR 20140027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upling portion
movable body
strik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245B1 (ko
Inventor
노리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0416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2724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27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1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 E05Y2201/412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Abstract

가동체의 가동장치는 지지체 및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동체의 한쪽에 고정되어, 지지체 및 가동체의 한쪽으로부터 서로 이간되어 돌출하는 복수의 결합부를 갖는 맞닿음 받침체와, 지지체 및 가동체의 다른 쪽에 설치된 기체와, 가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가동체가 그 이동 종료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결합부의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맞닿음체와, 기체 및 맞닿음체 사이에 밀어붙임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밀어붙임에 의한 기체 또는 맞닿음체의 이동을 규제하고, 맞닿음체가 복수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기체 또는 맞닿음체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 가능한 밀어붙임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동체의 가동장치{MOVING DEVICE FOR MOVING MOVABLE BODY}
본 발명은 가동체(可動體)의 동작을 보조하는 가동체의 가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틀 등의 지지체를 가동하는 미닫이문 등의 가동체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해, 소위 클로저(closer) 등이라고 불리워지며, 밀어붙임기구(付勢機構)를 이용하여 가동체를 강제 이동시키는 가동체의 가동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가동체의 가동장치는 지지체측 또는 가동체측의 한쪽에, 소위 스트라이커(striker)이라고 불리는 맞닿음 받침체(contacting/receiving body)가 설치되고, 다른 쪽에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되어, 맞닿음 받침체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맞닿음체(contacting body)가 설치된다. 맞닿음체는 가동체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체 또는 가동체의 다른 쪽에 연장하여 설치 고정된 기체(基體)에 그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인장 코일 스프링 등의 밀어붙임부재(付勢部材)를 통하여 기체와 연결된다.
이러한 가동체의 가동장치는 가동체가 그 이동 종료 위치 이외에 있을 때, 맞닿음체가 인장 코일 스프링을 가장 잡아 늘인 상태로 유지된다. 그 위치로부터 조작자가 가동체를 이동 종료 위치로 향하여 이동시키면, 맞닿음체는 이동 도중에 맞닿음 받침체에 부딪혀, 맞닿음 받침체와 결합된다. 동시에, 맞닿음체의 유지가 해제되어, 맞닿음체가 맞닿음 받침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인장되어 기체에 대하여 이동한다.
맞닿음 받침체 및 기체는 지지체 및 가동체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맞닿음 받침체와 결합된 상태의 맞닿음체가 기체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가동체가 지지체에 대하여 이동 종료 위치로 향하여 강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동체가 이동 종료 위치에 있을 때, 맞닿음체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서, 또한 맞닿음 받침체와 결합된 상태로 된다. 이 닫힘 위치로부터 조작자가 가동체를 열림 위치로 향하여 이동시키면, 인장 코일 스프링을 인장하면서 가동체가 이동한다. 소정 위치에 이르면 맞닿음체와 맞닿음 받침체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다시 맞닿음체가 인장 코일 용수철을 가장 잡아 늘인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가동체의 가동장치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가동체의 이동 종료 위치 이외에 위치되는 경우이라도, 맞닿음체가 맞닿음 받침체에 결합되지 않은 채로 인장 코일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되는 오작동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오작동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기구로서, 맞닿음체에 비스듬하게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맞닿음 받침체와의 맞닿음에 의해 맞닿음 받침체로부터 퇴피하는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작용시켜 회동(回動)함으로써 맞닿음 받침체와 맞닿음체를 결합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가동장치에서는, 맞닿음체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맞닿음 받침체에 재결합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맞닿음체를 수용한 하우징이 아래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하우징의 변형을 허용하는 틈새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맞닿음 받침체는 원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부가 맞닿음 받침체에 결합되는 위치가 한 개소(箇所)밖에 없고, 이 때문에, 맞닿음체에 결합부와는 별도로, 오작동시만 대응하는 걸림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걸림부는 맞닿음 받침체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걸림부가 탄성변형됨으로써,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6-169723호 공보
상술한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술한 기술은 축을 고정한 채로 맞닿음체를 회동시키는 구성이며, 부품의 변형을 동반함과 함께 복잡한 치수 설정이 필요하다. 또한, 걸림부는 탄성변형 가능한 구성일 필요가 있고,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그 수지 재료의 탄성력에 의해 맞닿음 받침체와 걸림부가 자동 해제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수지 재료는 피로나 경년(經年) 변화를 고려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수지 재료 등의 높은 탄성력을 갖는 재료가 아니어도 자동 복귀가 가능한 가동부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결합부와는 별도로, 오작동시에만 대응하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맞닿음체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고, 가동장치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등의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 재료에 관계없이, 단순한 구성으로 오작동시에 자동 복귀 가능한 맞닿음체 및 맞닿음 받침체를 갖는 가동체의 가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동체의 한쪽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체 및 상기 가동체의 한쪽으로부터 서로 이간되어 돌출하는 복수의 결합부를 갖는 맞닿음 받침체와, 상기 지지체 및 상기 가동체의 다른 쪽에 설치된 기체와, 상기 기체에 상기 가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동체가 그 이동 종료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맞닿음체와, 상기 기체 및 상기 맞닿음체 사이에 밀어붙임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밀어붙임에 의한 상기 기체 또는 기맞닿음체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맞닿음체가 상기 복수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체 또는 상기 맞닿음체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 가능한 밀어붙임기구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가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재료에 관계없이, 단순한 구성으로 오작동시에 자동 복귀 가능한 맞닿음체 및 맞닿음 받침체를 갖는 가동체의 가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 및 가동체에 이용되는 가동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상기 가동장치에 의한 가동체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상기 가동장치의 구성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가동장치의 구성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상기 동가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6은 상기 가동장치의 정상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상기 가동장치의 오작동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에 이용되는 맞닿음 받침체 및 맞닿음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에 이용되는 맞닿음 받침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에 이용되는 맞닿음 받침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에 이용되는 맞닿음 받침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체(110)의 가동장치(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100) 및 가동체(110)에 설치되는 가동장치(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가동장치(1)에 의한 가동체(110)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가동장치(1)의 구성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가동장치(1)의 구성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가동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6은 가동장치(1)의 정상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가동장치(1)의 오작동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7 중, 화살표 X, Y, Z는 각각 서로 직교하는 3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X방향은 가동체(110)의 슬라이드 방향을, Y방향은 가동체(110)의 두께 방향을, Z방향은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장치(1)는 지지체(100) 및 가동체(110)에 설치되어, 가동체(110)의 이동의 보조를 행하는, 소위 클로저이다. 가동장치(1)는 지지체(100) 및 가동체(110)의 한쪽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0)와, 지지체(100) 및 가동체(110)의 다른 쪽에 설치된 어시스트 유닛(assist unit)(2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트라이커(10)가 지지체(100)에, 어시스트 유닛(20)이 가동체(11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지지체(100)는 문틀, 가동체(110)는 미닫이문이다. 이하, 지지체(100)을 문틀(100)로 하고, 가동체(110)를 미닫이문(110)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틀(100)은 상틀(101), 좌틀(102), 우틀(103), 및 하틀을 구비하고 있다. 상틀(101)에는, 미닫이문(110)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르는 미닫이문 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미닫이문 홈(104)에 미닫이문(11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미닫이문(110)의 상단부에는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어시스트 유닛(20)을 수납하는 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1개의 미닫이문(110)에 주목하고, 좌측이 문앞측, 우측이 문끝측으로 하고, 미닫이문(110)이 좌틀(102)과 맞닿는 위치를, 미닫이문(110)의 이동 종료 위치로 한다. 미닫이문(110)의 문앞측인 좌단부(左端部)에는, 손잡이(1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110)이 이동 종료 위치에 이르지 않는(이동 종료 위치 이외에 위치하는) 열림 상태를 제1 상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앞측의 이동 종료 위치로 이동하여 좌틀(102)에 맞닿은 닫힘 상태를 제2 상태로 한다.
스트라이커(10)는 맞닿음 받침체이다. 도 1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는 상틀(101)의 미닫이문 홈(104)이며, 미닫이문(110)의 문앞측의 이동 종료 위치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스트라이커(10)는 상틀(101)에 장착되는 판형상(板狀)의 장착부재(11)와, 장착부재(11)로부터 Y방향 및 Z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X방향으로 이간되는 2개의 다른 면형상을 이루며, 상틀(10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기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라이커(10)는 장착부재(11) 및 결합 돌기부(12)가 1개의 판형상의 금속판을 판금가공 등에 의해 곡절(曲折)되어 성형된다.
장착부재(11)는 한쌍의 평판형상의 베이스(base)(11a)와, 베이스(11a)에 설치되어, 상틀(101)에 나사못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11a)를 상틀(101)에 고정하는 구멍부(11b)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돌기부(12)는 한쌍의 베이스(11a) 사이를 걸치도록, 베이스(11a)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돌기부(12)는 Y방향으로부터의 측면에서 보아 위쪽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端部)가 베이스(11a)에 접속된다. 결합 돌기부(12)는 미닫이문(110)의 이동에 따라, 미닫이문(110)의 홈(111) 위를 통과하여 어시스트 유닛(20)의 일부에 결합되어 어시스트 유닛(20) 내로 들어가고, 또는 어시스트 유닛(20)의 일부로부터 해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부(12)는 한쪽의 베이스(11a)와 연속하는 판형상(면형상)의 제1 결합부(13)와, 다른 쪽의 베이스(11a)와 연속하는 판형상(면형상)의 제2 결합부(14)와,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를 연속시키는 연결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결합부(13)는 한쌍의 베이스(11a) 중, 미닫이문(110)의 이동 종료 위치측의 베이스(11a)에 연속하여 상틀(101)의 미닫이문 홈(104)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Y방향 및 Z방향을 따른 면이다. 제1 결합부(13)는 어시스트 유닛(20)의 일부와 결합된다.
제2 결합부(14)는 다른 쪽의 베이스(11a)에 연속하여 미닫이문 홈(104)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Y방향 및 Z방향을 따른, 제1 결합부(13)와 대략 동일 형상의 면이다. 제2 결합부(14)는 어시스트 유닛(20)의 일부와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결합부(14)는 한쪽의 주면(主面)인 제1 결합부(13)와 대향하는 측의 주면이 후술하는 래치(latch)(22)의 후크부(hook)(32f)와 맞닿아 결합되는 결합면을 형성하고, 그 다른 쪽의 주면이 후술하는 피압압부(被押壓部)(32c)를 압압하는 압압면을 형성한다. 제2 결합부(14)는 제1 결합부(13)보다, 슬라이드 방향으로서, 미닫이문(110)의 이동 종료 위치(좌틀(102))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다.
연결부(15)는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를 연속시킴과 함께, 그 Y방향의 폭이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의 Y방향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15)는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의 하단(下端)으로서,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의 Y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연결부(15)는 후술하는 래치(22)의 후크부(32f)를 통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어시스트 유닛(20)은 미닫이문(110)의 상단부의 홈(111)에 설치된다. 어시스트 유닛(20)은 하우징(21)과, 래치(22)와, 밀어붙임기구(23)와, 제동기구(24)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1)은 수지 재료로 형성된, 미닫이문(110)의 홈(111)에 고정되는 기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은 그 한쪽측(도 1 내지 도 5 중 좌측)의 상면이 개구되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좁고 기다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한쪽측이란, 미닫이문(110)의 이동 종료 위치(좌틀(102))측을 나타낸다.
하우징(21)은 Y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된 한쌍의 측벽(21a, 21a)를 갖고, 그 한쪽측에 있어서는, Z방향으로 개방되고, 또한 그 다른 쪽측(도 1 내지 도 5 중, 우측)에 Z방향 중앙에 칸막이판(25)이 설치되고, 위쪽의 상부실(25a), 아래쪽의 하부실(25b)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21)은 상부실(25a)의 한쪽측은 개방되고, 측벽(21a, 21a) 사이에 래치(22)를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측벽(21a, 21a)은 그들 한쪽측에, 서로 대향하는 같은 형상의 슬릿(slit)(27)을 갖고 있다. 슬릿(27)은 X축을 따라 뻗는 주(主)가이드로(27a)와, 주가이드로(27a)의 이동 종료 위치측의 단부(일단부)로부터 만곡되어 아래쪽으로 뻗는 대기로(待機路)(27b)와, 주가이드로(27a)의 타단부측의 중도부(中途部)로부터 분기되어 아래쪽 및 한쪽측을 향하여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뻗는 퇴피로(27c)로를 갖고 있다. 슬릿(27)은 주가이드로(27a), 대기로(27b) 및 퇴피로(27c)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슬릿(27)의 일단측은,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대기 상태의 경우에 래치(22)가 위치하는 대기 위치(제1 위치)이다. 또한, 슬릿(27)의 타단측은, 래치(22)와 스트라이커(10)가 결합되고, 미닫이문(110)을 이동시킨 경우에 래치(22)가 위치하는 인입 위치(제2 위치)이다. 또한, 후술하는 오작동시에 있어서는, 래치(22)는 스트라이커(10)와 결합되어 있지 않아도, 인입 위치에 위치된다.
하우징(21)의 하부실(25b)에는, 밀어붙임기구(23)의 일부를 하우징(21)에 고정하는 연결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1b)는 예를 들면 측벽(21a, 21a) 사이에 걸쳐진 축형상 부재이다.
래치(22)는 스트라이커(10)와 맞닿는 맞닿음체이다. 래치(22)는 하우징(21)의 측벽(21a, 21a) 사이의 슬라이드 방향의 한쪽측(도 1 중 좌측)의 단부에 수납됨과 함께, 대기 위치와 인입 위치 사이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21)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22)는 래치 베이스(31)와, 래치 베이스(31)의 선단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캠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래치 베이스(31)는 그 측면으로 X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된 돌기부(31a)를 갖고 있다. 돌기부(31a)는 슬릿(27)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래치 베이스(31)는, 돌기부(31a)가 슬릿(27)에 삽입됨으로써, 슬릿(27)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쌍의 측벽(21a, 21a) 사이에 유지된다. 래치 베이스(31)는 그 선단부에, 퇴피로(27c)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개구되는 홈(31b)을 갖는 지지편(31c)이 설치되고 있다.
캠부(32)는, 그 축심(軸心)이 Y방향을 따라 배치된 Y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제1 축부(32b)를 갖고 있다. 이 제1 축부(32b)는 슬릿(27) 및 홈(31b)에 삽입 통과된다. 캠부(32)는 슬릿(27) 및 홈(31b)에 삽입된 제1 축부(32b)에 의해, 슬릿(27) 내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제1 축부(32b)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부(32)의 회동에 있어서, 제1 축부(32b)를 중심으로 캠부(32)의 선단이 위쪽으로 회동하는 방향을 제1 회동방향(R1)으로 하고, 캠부(32)의 선단이 아래쪽으로 회동하는 방향을 제2 회동방향(R2)으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캠부(32)는 그 외주부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하는 측면에서 보아 그 선단 위쪽으로부터 시계 둘레로 순번대로, 캐쳐(catcher)(32a)와, 피압압부(32c)와, 피밀어붙임부(32e)와, 한쌍의 제2 축부(32d)를 구비하고 있다.
캐쳐(32a)는 캠부(32)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캠부(32)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후크부(32f)를 갖고 있다. 후크부(32f)는 Y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삼각형의 판형상 부재를 갖고 있다.
피압압부(32c)는 캠부(32)의 상부에 있어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미닫이문(110)의 이동에 따라 스트라이커(10)의 제2 결합부(14)에 맞닿아 인입 방향으로 압압된다. 또한, 피압압부(32c)와 후크부(32f)와의 간격은 결합 돌기부(12)를 포착 가능하게 되도록,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의 폭과 대략 동등 또는 그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제2 축부(32d)는 캐쳐(32a)에 Y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Y방향을 따르는 축심을 갖는다. 제2 축부(32d)는 슬릿(27)에 삽입 통과되어 슬릿(27) 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피밀어붙임부(32e)는 캠부(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 축부(32d)보다 X방향으로 피압압부(32c)측으로서, 또한 제2 축부(32d)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다. 이 피밀어붙임부(32e)는 하우징(21)의 하부에 배치되어, 밀어붙임기구(23)의 후술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일단(41a)이 연결된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피밀어붙임부(32e)가 항시 인입 방향으로 인장된다.
밀어붙임기구(23)는 래치(22)를 하우징(21)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의 다른 쪽측으로 밀어붙임과 함께, 그 밀어붙임에 의한 래치(22)의 이동을 규제한다. 밀어붙임기구(23)는 밀어붙임 수단인 인장 코일 스프링(41)과,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밀어붙임에 의한 캠부(32)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축부(32d) 및 슬릿(27)에 의해 구성된다.
즉, 밀어붙임기구(23)는 캠부(32)에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밀어붙임을 행함과 함께, 대기로(27b)에 제2 축부(32d)가 위치됨으로써, 캠부(32)의 이동을 규제하고, 또한 캠부(32)가 제1 결합부(13)와 결합되어 캠부(32)가 회동함으로써, 제2 축부(32d)가 주가이드로(27a)에 위치되어, 캠부(32)의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하우징(21)의 하부에 있어서, 그 축심 방향이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일단은 래치(22)의 하부의 피밀어붙임부(32e)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21)의 연결부(21b)에 연결된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대기 상태에 있는 래치(22)를 인입 방향으로 밀어붙임으로써 대기로(27b)에 걸쳐져 유지시키는 기능과 주가이드로(27a)에 있는 래치(22)를 인입 방향으로 부세 해 강제 이동시키는 기능과, 래치(22)를 제2 회동방향(R2)으로 밀어붙이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동기구(24)는 래치(22)에 연결되어, 래치(22)의 슬라이드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여 간섭한다. 제동기구(24)는 하우징(21)의 상부실(25a) 내에 설치된 피스톤 댐퍼(50)이다. 피스톤 댐퍼(50)는, 내부에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51)와, 실린더(51) 내에서 X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52)를 갖고 있다.
피스톤 로드(52)의 단부는 하우징(21)에 고정되어, 피스톤에 대향하는 실린더(51)의 외측 단부가 래치(22)의 후단에 접속된다.
제동기구(24)는 실린더(51) 내에 수납된 피스톤의 동작에 실린더(51) 내의 유체의 유체 대향을 작용시킴으로써, 실린더(51) 또는 피스톤 로드(52)의 압입 및 인장 동작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여 래치(22)의 하우징(21)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을 제동한다. 또한 실린더(51)는 봉입되는 유체로서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 유체가 이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체를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동장치(1)에 의하면, 정상시에 있어서 미닫이문(110)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이행한 경우에 스트라이커(10)와 어시스트 유닛(20)이 결합되는 제1 동작과, 미닫이문(110)이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이행한 경우에 스트라이커(10)와 어시스트 유닛(20)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2 동작 시에, 래치(22)의 후크부(32f)가 제1 결합부(13)에 진입 또는 이탈되고, 결합 돌기부(12)가 캐쳐(32a)에 결합되어 포착 또는 결합이 해제되어 해방된다.
또한, 오작동 복귀시에 있어서 미닫이문(110)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이행한 경우에 스트라이커(10)와 어시스트 유닛(20)이 결합되는 제3 동작 시에는 래치(22)의 한쌍의 판형상의 후크부(32f)가 연결부(15)를 통과하여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 사이로 진입된다. 이에 의해, 제2 결합부(14)의 한쪽의 주면과 맞닿아, 제2 결합부(14)가 캐쳐(32a)에 포착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스트라이커(10)가 래치(22)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장치(1)의 제1 동작 및 제2 동작에 대하여 도 1, 도 2 및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6(ST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110)이 이동 종료 위치 이외에 위치되고, 미닫이문(110)이 스트라이커(10)에 도달하지 않은 제1 상태에서는, 래치(22)의 제2 축부(32d)가 대기로(27b)에 걸리고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인장됨으로써 유지되고, 래치(22)가 하우징(21)의 일단측의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하는 제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1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미닫이문(110)을 좌틀(102)(이동 종료 위치)로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도 6(ST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110)이 제1 소정 위치에 이르면,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에 맞닿는다.
구체적으로는, 래치(22)는, 제2 축부(32d)가 대기로(27b)에 위치되기 때문에, 캠부(32)가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있고, 후크부(32f)는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후크부(32f)를 통과한 스트라이커(10)의 제2 결합부(14)의 다른 쪽의 주면이 피압압부(32c)를 압압함으로써, 캠부(32)는 제1 축부(32b)를 중심으로 제1 회동방향(R1)으로 회동된다.
이 회동에 의해, 도 6(ST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부(32)의 선단의 후크부(32f)가 스트라이커(10)에 결합되고, 래치(22)에 스트라이커(10)가 포착된다. 또한, 캠부(32)가 제1 회동방향(R1)으로 회동되면, 아래쪽의 제2 축부(32d)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주가이드로(27a)로 들어가는 위치에 이르러, 대기로(27b)에의 유지가 해제됨과 함께, 주가이드로(27a)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6(ST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22)는 하우징(21)의 다른 쪽측으로 이동되어, 인입 위치까지 상대 이동된다. 바꿔말하면, 래치(22)는 스트라이커(10)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미닫이문(110) 및 하우징(21)은 문틀(100) 및 스트라이커(10)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의 한쪽측(이동 종료 위치)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강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동기구(24)에 의해 저항력이 부여되어 완충 되면서 천천히 자동적으로 미닫이문(110)이 닫힘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6(ST4)에 도시하는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하는 제2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동작에서는, 상기 제1 동작과 반대로 도 6(ST4), (ST3), (ST2), (ST1)의 순서로 동작한다.
미닫이문(110)이 좌측의 종료 위치로 완전히 이동된 제2 상태로부터 미닫이문(11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를 포착한 채로 미닫이문(110) 및 하우징(21)에 대하여 한쪽측으로 상대 이동되면서, 미닫이문(110)이 다른 쪽측(도 1 내지 도 5 중, 우측)으로 이동된다(도 6(ST3)). 이 때, 래치(22)는 피스톤 댐퍼(50)의 피스톤 로드(52)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을 이동시키면서 실린더(51) 내의 유체의 저항력을 받는다.
소정 위치에 이르면, 도 6(ST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압압부(32c)로부터 스트라이커(10)가 떨어져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축부(32d)를 중심으로 캠부(32)가 제2 회동방향(R2)으로 회동된다. 이 회동에 의해 후크부(32f)가 제1 결합부(13)로부터 이간되어, 스트라이커(10)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동시에, 제2 축부(32d)는 주가이드로(27a)의 일단측의 대기 위치에 이르러, 제2 축부(32d)가 대기로(27b)에 들어감과 함께,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다시 대기 위치에 유지되는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 후, 미닫이문(110)의 이동은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밀어붙이는 힘으로부터 개방됨과 함께, 스트라이커(10)가 해방되어, 도 6(ST1)의 제1 상태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제3 동작으로서, 예를 들면 오작동 등에 의해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에 결합되지 않는 채로 인입 위치로 이동되어 버린 제3 상태로부터의 복귀 동작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ST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로 래치(22)가 인입 위치에 있는 제3 상태로부터, 미닫이문(110)이 문틀(100)에 대하여 이동 종료 위치로 향하여 이동되면, 도 7(ST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부(32)의 일부(여기에서는, 후크부(32f))가 스트라이커(10)에 맞닿아, 후방으로 압압된다. 이 압압에 의해, 캠부(32)는 제2 축부(32d)를 중심으로서 제1 축부(32b)가 퇴피로(27c)를 따라 아래쪽로 이동하면서 제1 회동방향(R1)으로 회동하면서 요동한다.
이 요동에 의해, 캐쳐(32a)의 후크부(32f)의 상단이 제2 상태보다 아래쪽으로 퇴피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의 제2 결합부(14)는 후크부(32f)를 타고 넘기 가능하게 되고,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치(22)에 결합 가능한 위치까지 인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7(ST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의 제2 결합부(14)가 후크부(32f)를 타고 넘으면,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캠부(32)가 제2 회동방향(R2)으로 회동하여, 후크부(32f)가 연결부(15)를 삽입 통과하여,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와 래치(22)가 결합된다.
이 결합 상태에서 미닫이문(110)을 이동 종료 위치측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 도 7(ST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가 래치(22)에 포착된 상태로, 주가이드로(27a)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소정 위치에 이르면, 맞닿음체와 상기 맞닿음 받침체와의 결합이 해제됨과 함께 상기 맞닿음체가 대기 위치에 유지되는 상기 제1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동장치(1)에 의하면, 오동작 상태로부터의 복귀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부품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가동장치(1)는 자동 복귀 시에 부품을 탄성변형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스트라이커(10)를 금속재료에 의해 판금가공 등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 복귀가 가능함과 함께, 높은 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스트라이커(1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스트라이커(10)는 금속재료의 판재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베이스(11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면인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를 형성한다. 또한,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 사이를 연속하는 연결부(15)의 폭을, 캠부(32)의 후크부(32f)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그 Y방향의 폭을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보다 짧은 폭으로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3 동작에 있어서, 제2 결합부(14)가 후크부(32f)를 타고 넘은 경우에, 후크부(32f)가 연결부(15)를 통과하여 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 후크부(32f)가 제2 결합부(14)의 한쪽측의 주면과 맞닿음으로써,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스트라이커(10)는 오작동 상태로부터의 자동 복귀가 가능하여도, 베이스(11a, 11a)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결합부(13, 14)를 갖고, 이들 사이에 후크부(32f)가 삽입 통과 가능하면 좋다.
또한, 슬릿(27)을 따라 캠부(32)가 이동됨으로써, 스트라이커(10)가 래치(22)에 좁아지는 구성이며, 이 때문에, 스트라이커(10) 및 캠부(32)에 높은 탄성력이 요구되지 않아, 금속재료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트라이커(10)는 금속재료에 의해 베이스(11a, 11a)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결합부(13, 14)를 곡절 등의 가공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한 단순한 구성으로 좋다. 즉, 스트라이커(10)는 판금가공 등에 의해 1개 판(一枚板)을 가공하면 좋고, 용이하게 성형 가능하고, 제조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금속재료 등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강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피로 등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체(110)의 가동장치(1)에 의하면, 맞닿음 받침체(10) 및 맞닿음체(22)가 수지 재료 등의 높은 탄성력을 갖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단순한 구성으로 오작동시에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는, 스트라이커(10)의 연결부(15)는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의 하단에, 이들 폭보다 짧은 폭으로,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의 대략 중앙에 배치하고, 래치(22)는 그 후크부(32f)가 캠부(32)의 Y방향의 양단측에 형성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트라이커(10A) 및 캠부(32A)의 구성,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트라이커(10B)의 구성,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트라이커(10C)의 구성, 및,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트라이커(10D)의 구성을, 도 8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1)의 스트라이커(10A) 및 캠부(32A)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트라이커(10A) 및 캠부(32A) 중,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라이커(10) 및 캠부(32)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1)의 스트라이커(10A) 및 캠부(32A)는 가동장치(1)에 이용되며, 스트라이커(10A)는 상술한 스트라이커(10)와 마찬가지로, 미닫이문 홈(104)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캠부(32A)는 상술한 캠부(32)와 마찬가지로 어시스트 유닛(20)의 래치(22)에 이용된다.
스트라이커(10A)는 장착부재(11)와, 장착부재(11)로부터 Z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X방향으로 이간되는 2개의 다른 면을 이루며, 상틀(10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기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돌기부(12A)는 제1 결합부(13)와 제2 결합부(14)와 연결부(15A)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15A)는 그 Y방향의 폭이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의 Y방향의 폭보다 하나의 후크부(32f)의 Y방향의 폭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5A)는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 사이로서, Y방향의 어느쪽 일단측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즉, 연결부(15A)는 후술하는 캠부(32A)의 후크부(32f)와 대향하는 부위에 위치되지 않도록, Y방향의 후크부(32f)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일단측에 배치된다.
캐쳐(32a)는 캠부(32)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캠부(32A)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하나의 후크부(32f)를 갖고 있다. 후크부(32f)는 Y방향의 어느쪽 일단측에 설치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스트라이커(10A) 및 캠부(32A)에 있어서는, 후크부(32f)는 Y방향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스트라이커(10A) 및 캠부(32A)를 갖는 가동장치(1)에 의하면, 캠부(32A)는 후크부(32f)를 1개만 갖는 구성으로 하고, 스트라이커(10A)의 연결부(15A)를 1개의 후크부(32f)를 통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어도, 상술한 및 스트라이커(10) 및 캠부(32)를 갖는 가동장치(1)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크부(32f)를 통과시키는 위치는 일단측이 아니라, 중앙측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1)에 이용되는 스트라이커(10B)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1)의 스트라이커(10B)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트라이커(10B) 중,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장치(1)의 스트라이커(10)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장치(1)는 스트라이커(10B)와, 어시스트 유닛(20)을 구비하고 있다. 스트라이커(10B)는 장착부재(11)와, 장착부재(11)로부터 Z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X방향으로 이간되는 2개의 다른 면을 이루어, 상틀(10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기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돌기부(12B)는 제1 결합부(13B)와, 제2 결합부(14B)와, 연결부(15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결합부(13B)는 금속의 판재를, 베이스(11a)로부터 돌출한 일부(중도부)에 있어서 둘로 접음으로써 형성되며, 베이스(11a)로부터 면형상으로 돌출된다. 제2 결합부(14B)는 금속의 판재를, 베이스(11a)로부터 돌출하는 일부(중도부)에 있어서 둘로 접음으로써 형성되는 베이스(11a)로부터 돌출하는 면이다. 연결부(15B)는 베이스(11a)와 면위치로 되도록, 제1 결합부(13B) 및 제2 결합부(14B)로부터 곡절되어, 제1 결합부(13B) 및 제2 결합부(14B)를 연속시킨다.
즉, 스트라이커(10B)는 제1 결합부(13B) 및 제2 결합부(14B)가 베이스(11a)로부터 각각 돌출함과 함께, 베이스(11a)측에서 제1 결합부(13B) 및 제2 결합부(14B)를 연속시킴으로써, 제1 결합부(13B) 및 제2 결합부(14B)의 선단측이 후크부(32f)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개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라이커(10B)를 갖는 가동장치(1)에 의하면, 상술한 스트라이커(10)를 갖는 가동장치(1)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 말하자면, 스트라이커(10B)는 연결부(15B)가 베이스(11a)와 면위치에 배치되므로, 제1 결합부(13B) 및 제2 결합부(14B) 사이로의 맞닿음체의 삽입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한쌍의 후크부(32f)를 갖는 캠부(32)이어도, 후크부(32f)를 1개 갖고 있는 캠부(32A)이어도 좋고, 또 다른 형상, 예를 들면, 후크와 캠부(32)가 동일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1)의 스트라이커(10C)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은 제3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1)에 이용되는 스트라이커(10C)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트라이커(10C) 중,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장치(1)의 스트라이커(10)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장치(1)는 스트라이커(10C)와 어시스트 유닛(20)을 구비하고 있다. 스트라이커(10C)는 장착부재(11)와, 장착부재(11)로부터 Z방향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틀(10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기부(12C)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돌기부(12C)는 제1 결합부(13C)와, 제2 결합부(14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결합부(13C)는 금속의 판재를, 베이스(11a)로부터 돌출하는 일부(중도부)에 있어서 V자 형상으로 둘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제2 결합부(14C)는 금속의 판재를 베이스(11a)로부터 돌출하는 일부(중도부)에 있어서 V자 형상으로 둘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돌기부(12C)는 Y방향으로부터 측면에서 보아 W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부(13C) 및 제2 결합부(14C)가 그 아래쪽에서 후크부(32f)가 삽입 통과 가능하게 개구(이간)된다. 또한, 제1 결합부(13C)의 둘로 접기로 되어 제2 결합부(14C)와 연속하는 부위가 연결부로 된다. 또한, 연결부는 제1 결합부(13C) 및 제2 결합부(14C)의 선단보다 베이스(11a)측에 위치되고, 후크부(32f)가 삽입 통과 가능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라이커(10C)를 갖는 가동장치(1)에 의하면, 상술한 스트라이커(10B)를 갖는 가동장치(1)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1)의 스트라이커(10D)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은 제4 변형예에 따른 가동장치(1)에 이용되는 스트라이커(10D)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트라이커(10D) 중,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장치(1)의 스트라이커(10)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장치(1)는 스트라이커(10D)와 어시스트 유닛(20)을 구비하고 있다. 스트라이커(10D)는 장착부재(11)와, 장착부재(11)로부터 Z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X방향으로 이간되는 2개의 다른 면을 이루며, 상틀(10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기부(12D)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돌기부(12D)는 제1 결합부(13D)와, 제2 결합부(14D)와, 연결부(15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결합부(13D) 및 제2 결합부(14D)는 금속의 판재를, 곡절함으로써 형성되고, 베이스(11a)로부터 면형상으로 돌출한다. 연결부(15D)는 Y방향 및 Z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되고, 제1 결합부(13D) 및 제2 결합부(14D)의 한쪽의 측단부를 연속한다. 이 연결부(15D)는 제1 결합부(13D) 및 제2 결합부(14D)로부터 곡절되어 제1 결합부(13D) 및 제2 결합부(14D)를 연속시킨다.
즉, 스트라이커(10D)는 1개의 오목 형상의 판재를 곡절하여, 연결부(15D)와 연속하는 제1 결합부(13D) 및 제2 결합부(14B)가 형성됨과 함께, 그 제1 결합부(13D) 및 제2 결합부(14B)의 일부를 곡절하여, 장착부재(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트라이커(10D)는, 제1 결합부(13D) 및 제2 결합부(14D) 사이가 후크부(32f)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개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라이커(10D)를 갖는 가동장치(1)에 의하면, 상술한 스트라이커(10)를 갖는 가동장치(1)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 말하자면, 스트라이커(10D)는, 연결부(15D)가 제1 결합부(13D) 및 제2 결합부(14D)의 측가장자리부를 연속하도록 X방향 및 Z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되는 구성이며, 제1 결합부(13D) 및 제2 결합부(14D) 사이로의 맞닿음체의 삽입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한쌍의 후크부(32f)를 갖는 캠부(32)이어도, 후크부(32f)를 1개갖고 있는 캠부(32A)이어도 좋고, 또 다른 형상, 예를 들면, 후크부와 캠부(32)가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스트라이커는 상술한 스트라이커(10, 10A, 10B, 10C, 10D) 이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장착부재(11)는 1개의 베이스로 하고, 그 중도부로부터 제1 결합부(13) 및 제2 결합부(14)가 돌출하며, 그들 돌출하는 선단 사이가 개구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이외,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 가능하다.
2011년 4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093253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開示)로서 도입한다.

Claims (5)

  1.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동체의 한쪽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체 및 상기 가동체의 한쪽으로부터 서로 이간되어 돌출하는 복수의 결합부를 갖는 맞닿음 받침체와,
    상기 지지체 및 상기 가동체의 다른 쪽에 설치된 기체(基體)와,
    상기 기체에 상기 가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동체가 그 이동 종료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맞닿음체와,
    상기 기체 및 상기 맞닿음체 사이에 밀어붙임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밀어붙임에 의한 상기 기체 또는 상기 맞닿음체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맞닿음체가 상기 복수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체 또는 상기 맞닿음체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 가능한 밀어붙임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가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받침체는,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가동체에 고정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맞닿음체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가동체의 이동 방향으로 이간되어 돌출되고, 상기 맞닿음체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속하는 연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가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가동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베이스를 갖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돌출하는 선단(先端)을 연결함과 함께, 그 일부가 상기 맞닿음체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가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가동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베이스를 갖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에 각각 돌출됨과 함께, 그 중도부에서 되접어져, 그 일부가 상기 맞닿음체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선단보다 상기 베이스측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가동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는 1개의 금속재료를 곡절(曲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가동장치.
KR1020137029674A 2011-04-19 2012-04-18 가동체의 가동장치 KR101924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3253 2011-04-19
JP2011093253A JP5764375B2 (ja) 2011-04-19 2011-04-19 可動体の可動装置
PCT/JP2012/060489 WO2012144529A1 (ja) 2011-04-19 2012-04-18 可動体の可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243A true KR20140027243A (ko) 2014-03-06
KR101924245B1 KR101924245B1 (ko) 2018-11-30

Family

ID=4704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674A KR101924245B1 (ko) 2011-04-19 2012-04-18 가동체의 가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31139B2 (ko)
EP (1) EP2700779A4 (ko)
JP (1) JP5764375B2 (ko)
KR (1) KR101924245B1 (ko)
CN (1) CN103620144B (ko)
WO (1) WO2012144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7693B2 (ja) * 2011-03-14 2016-04-26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US9447617B2 (en) * 2011-07-22 2016-09-20 Overhead Door Corporation Sliding door panel hold open assembly
US20180016832A1 (en) * 2015-09-21 2018-01-18 Oscar RODRIGUEZ RODRIGUEZ Soft-close system for sliding doors
WO2017123908A1 (en) * 2016-01-14 2017-07-20 Pemko Manufacturing Company, Inc. Soft-stop device and system
US10415293B2 (en) 2016-07-01 2019-09-17 ASSA ABLOY Accessories and Door Controls Group, Inc. Apparatus for minimizing closing force of a door
US10433702B2 (en) * 2017-07-18 2019-10-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amped closure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DE102018219571A1 (de) * 2018-11-15 2020-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ließ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US20200355004A1 (en) * 2019-05-06 2020-11-12 Schlage Lock Company Llc Sliding doo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0026B2 (ja) * 2004-12-13 2011-06-01 株式会社小林製作所 移動体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JP4751607B2 (ja) * 2004-12-20 2011-08-17 株式会社ニフコ 自走往動させる機構、引き戸機構、および、引き出し機構
TWM287625U (en) * 2005-11-07 2006-02-21 Nan Juen Int Co Ltd Automatic retracting mechanism for sliding rail of drawer
KR101323551B1 (ko) * 2006-04-20 2013-10-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및 슬라이딩 도어
JP4970117B2 (ja) * 2006-11-30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自走往動機構
JP2008285933A (ja) * 2007-05-18 2008-11-27 Atom Livin Tech Co Ltd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JP5046837B2 (ja) * 2007-10-02 2012-10-10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KR101209406B1 (ko) * 2008-01-17 2012-12-0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인입기구
JP2010112012A (ja) * 2008-11-04 2010-05-20 Nifco Inc 可動体の往動機構
ITRN20090003U1 (it) 2009-03-27 2010-09-28 Koblenz Spa Porta scorrevole a scomparsa.
JP2011021414A (ja) 2009-07-17 2011-02-03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5907693B2 (ja) * 2011-03-14 2016-04-26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5746885B2 (ja) * 2011-03-14 2015-07-08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及びハウジ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20144A (zh) 2014-03-05
KR101924245B1 (ko) 2018-11-30
EP2700779A1 (en) 2014-02-26
CN103620144B (zh) 2016-01-20
WO2012144529A1 (ja) 2012-10-26
EP2700779A4 (en) 2014-11-05
JP2012225044A (ja) 2012-11-15
US20140059801A1 (en) 2014-03-06
JP5764375B2 (ja) 2015-08-19
US8931139B2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243A (ko) 가동체의 가동장치
JP5627055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JP5363189B2 (ja) ガイドレール装置
KR20140015444A (ko)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JP4662293B2 (ja) コネクタ
EP3396090B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ITMI20100611A1 (it)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il fissaggio di un pannello ad un elemento di arredo
JP5926949B2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WO2013047518A1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US20220161731A1 (en) Locking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WO2017154307A1 (ja) シートロック装置
JP4553786B2 (ja) リッド開閉装置
JP2012193490A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4518900B2 (ja) リッド開閉装置
US11964631B2 (en) Damper device
EP3483370B1 (en) Hand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andle device
JP7191480B2 (ja) 留め具
KR20160143513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JP2013130015A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5909409B2 (ja) 位置調整装置
JP2003164352A (ja)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および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の引き抜き工具
JP2010105573A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2003027807A (ja) ラッチ装置
JP2013249642A (ja) 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