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513A - 개폐체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513A
KR20160143513A KR1020160058829A KR20160058829A KR20160143513A KR 20160143513 A KR20160143513 A KR 20160143513A KR 1020160058829 A KR1020160058829 A KR 1020160058829A KR 20160058829 A KR20160058829 A KR 20160058829A KR 20160143513 A KR20160143513 A KR 20160143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od
closing
switch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철
Original Assignee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락스(주 ) filed Critical 파이오락스(주 )
Publication of KR20160143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55Torsion springs of bar type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본 잠금 장치(10)는 잠금부와 로드(30)와 제 1 가압 수단과, 로드(30)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작 수단과, 조작 수단으로 로드(30)를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로드(30)를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고, 개폐체(6)를 닫으면 로드 유지를 해제하고 잠금부에 결합하는 유지 수단을 갖고, 유지 수단은 개폐체 주변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가압 수단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스위치 부재(50)와, 스위치 부재(50)에 연동하여 로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60)로 구성되고, 스위치 부재(50) 및 스토퍼 부재(60)는 로드(30)에 대해 개폐체(6)의 내면(6a)을 따라 병렬로 배치된다.

Description

개폐체의 잠금 장치{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를 닫힌 상태로 잠그기 위한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등의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뚜껑 등의 개폐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개구부 및 개폐체와의 사이에는 개폐체를 닫을 때 잠금과 동시에 개폐체를 열 때에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 장치로, 예를 들어, 개폐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개폐체의 가장자리에서 출몰 가능하게 된 로드와, 로드를 돌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로드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인입 가능하게 하는 조작 부재와, 개구부측에 설치되어, 개폐체를 닫을 때 로드가 삽입되는 잠금부를 갖추고, 로드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고, 개폐체를 닫을 때에는, 로드의 테이퍼부가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닿아, 개폐체 내로 일단 인입시켜, 로드가 잠금부에 이르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개폐체를 닫을 때, 로드 선단부가 개구부의 주변에 접촉하기 때문에 뚜껑을 닫기 어렵고 충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아래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을 닫을 때, 로드 선단을 인입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잠금 장치를 개발했다. 즉, 이 특허 문헌 1의 도 20 ~ 22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개폐체에 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체에 잠금부가 형성되고, 가압 수단에 의해 로드 선단부가 잠금부 측을 향해 가압된 구조를 전제로 개폐체의 내면측과 로드 사이에 레버가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한편 로드의 선단 측에 양측으로 돌기부를 마련한 틀 형상의 판형부가 연장된 잠금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수단에 의해 로드가 밀려나온 상태에서는, 레버의 기단부가 로드 판형부의 돌기부와 결합되지 않고, 한편,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로드가 인입되면 레버가 회전하여 그 기단부가 로드 판형부의 돌기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로드 선단부가 인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WO2013/12910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잠금 장치에서는, 리드의 내면 측과 로드 사이에 레버를 요동 가능하게 배치해야 하므로, 리드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를 잠금부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개폐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잠금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에 마련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잠금부에 착탈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수단과, 상기 제 1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제 1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개폐체를 닫으면 상기 로드의 유지를 해제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개폐체의 주변부에서 출몰 가능하게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어, 제 2 가압 수단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스위치 부재와, 상기 스위치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로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로드의 이동 궤적에 침입하여 상기 로드가 상기 제 1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아 오는 것을 규제하고, 상기 개폐체를 열면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제 2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체의 주변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개폐체를 닫으면,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제 2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개폐체의 주변부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위치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로드의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 부재 및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로드에 대해 상기 개폐체의 내면을 따라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개폐체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하고, 이 개폐체의 주변부에서 출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폐체를 닫을 때,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주변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입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에 한 쌍의 잠금부가 한 쌍 설치된 동시에, 상기 개폐체에 상기 한 쌍의 잠금부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로드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폐체는,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에 회전축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부재 및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로드보다 상기 개폐체의 회전 축 가까이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스위치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에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 부재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부재가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수단에 의해 로드를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개폐체를 열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유지 수단이, 로드가 제 1 가압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아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유지 수단을 구성하는 스위치 부재 및 스토퍼 부재는 로드에 대해 개폐체의 내면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잠금 장치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일한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유지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동일한 유지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동일한 잠금 장치에서, 개폐체의 내면측의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동일한 잠금 장치에 의해, 개폐체가 닫힌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동일한 잠금 장치에 의해, 개폐체가 열린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동일한 잠금 장치에 의해, 개폐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로드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b)는 유지 수단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c)은 스위치 부재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9는 동일한 잠금 장치에 의해, 개폐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로드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b)는 유지 수단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c)은 스위치 부재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10은 동일한 잠금 장치에 의해, 개폐체를 닫으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로드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b)는 유지 수단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c)는 스위치 부재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과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10)(이하 '잠금 장치(10)')은 차량의 계기판에 설치된 글로브 박스 등의 고정체(1)의 개구부(3)에, 회전축(8)(도 4 참조)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6)를 개폐 잠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는 예를 들어, 계기판의 개구부에 상자형상의 글로브 박스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에 적용하거나(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글로브 박스가 "개폐체'를 이룸) 혹은, 계기판의 개구부에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구조(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리드가 "개폐체'를 이룸)에 적용해도 좋고, 고정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각종 개폐체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고정체(1)에는 그 양측벽(2,2) 상부에 사각 구멍 형상의 잠금부(4)가 마련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2)의 상기 잠금부(4)보다 아래쪽에는, 후술하는 스위치 부재(50)(도 3 참조)가 맞닿는, 개구부 내측 방향을 향해 계단형상으로 돌출된 스위치 당접부(5)가 마련된다. 또한, 잠금부(4)는 구멍 형상이 아니더라도, 후술하는 로드(30,31)(도 1 참조)가 결합 가능한 형상, 예를 들면, 오목부나, 돌기, 틀 형상 등이어도 좋고 특별한 한정은 없다.
한편, 도 5 및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체(6)의 내면(6a) 측에는, 고정체(1)의 개구부(3)에 삽입되는 가로로 긴 상자 형상의 박스(7)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내부에 도 3과 같이, 후술하는 케이스 부재(40)와 스위치 부재(50), 스토퍼 부재(60) 등이 배치되는 동시에, 한 쌍의 로드(30,3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 5 및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7)의 양측벽에는 로드(30,31)를 슬라이드 지지하는 로드 지지공(7a)이 형성된다. 또한, 박스(7)의 측벽 내측에는, 로드(30,31)를 지지하는 로드 지지벽(6b)이 세워 설치된다. 또한,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7)의 적어도 한 측벽이며, 상기 로드 지지공(7a)보다 아래쪽에 스위치 부재(50)를 슬라이드 지지하는 스위치 지지공(7b)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잠금 장치(10)는 개폐체(6)에 장착되는 장착베이스(11)와, 이 장착베이스(1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체(20)와, 상기 개폐체(6)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베이스(11)에 장착된 조작 부재(25)와, 상기 회전체(20)에 설치되어, 잠금부(4,4)에 연결분리되는 한 쌍의 로드(30,31)와, 로드(30,31)의 축 방향 선단 측의 결합부(33,33)를 잠금부(4,4)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28)(본 발명의 "제 1 가압 수단 "을 이룸)을 구비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베이스(11)에는 그 양측부의 소정개소에, 돌출편을 통해 설치축(12,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조작 부재(25)의 양측에 설치공(26,26)에 삽입되어 장착베이스(11)에 대해 조작 부재(25)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2 참조).
또한, 장착베이스(11)의 상기 설치축(12,12) 사이에는 장공(13)이 장착베이스(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13)에 대해 조작 부재(25)의 회전 단부 측에 돌출된 가압 돌기(27)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장착베이스(11)의 소정 위치로부터는 지지축(14)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것이 회전체(20)의 중앙에 설치한 지지공(21)에 삽입되어, 회전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회전체(20)는 상기 지지공(21)의 주변으로부터 관부(22)가 돌출되어 그 외주에 토션 스프링(28)이 장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28)은 그 일단(28a)이 장착베이스(11)의 돌기(15)에 걸리게 되고, 타단(28b)이 회전체(20)의 외주에 걸리게 되어, 회전체(20)를 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가압한다.
또한, 회전체(20)의 장착베이스(11) 측의 면에는, 상기 장공(13) 내에 배치되는 받침부(23)가 돌출 설치된다. 따라서 조작 부재(25)를 장착베이스(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가압 돌기(27)가 상기 받침부(23)를 가압하여 토션 스프링(28)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체(20)를 회전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체(20)의 둘레 방향에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는 결합 돌기(24,24)가 돌출되어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로드(30,31)는, 로드(30) 쪽이 로드(31)보다 짧게 형성된 대략 사각 막대 형상을 이룬다. 각 로드(30,31)의 축 방향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면을 마련한 결합부(33,3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33,33)가 상기 잠금부(4,4)에 걸림 및 이탈되게 된다. 또한, 결합부(33)는 예를 들어, 로드(30,31)의 축 방향 중간을 분기시켜 그 선단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각 로드(30,31)의 기단부(35)는 회전체(20) 측이 개구된 홈형상을 이루고, 회전체(20)의 결합 돌기(24,24)를 결합하는 것으로, 회전체(20)의 원주 방향 대향 위치에 로드(30,31)의 기단부(35,35)가 피봇(pivot)된다. 또한, 회전체(20)가 토션 스프링(28)으로 회전 가압되기 때문에, 이 회전체(20)에 연결된 로드(30,31)의 결합 부(33,33)가 잠금부(4,4)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도 6 참조).
그리고, 로드(30,31)는, 그 기단부(35)가 회전체(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체(20)를 통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일측의 로드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하여, 타측의 잠금편이 슬라이드 동작한다. 따라서, 상술 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5)를 장착베이스(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션 스프링(28)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체(20)를 회전시키면, 한 쌍의 로드(30,31)의 결합부(33,33)가 한 쌍의 잠금부(4,4)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상기 조작 부재(25)가 본 발명의 "작업수단"을 이룬다.
또한, 로드(30,31)의 결합부(33,33)의 가압 구조로는 예를 들어, 인장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로드(30,31)의 일측 또는 양측을 슬라이드 가압하도록 해도 좋아 특별한 한정은 없다. 이 경우 인장 스프링이 본 발명의 "제 1 가압 수단 "을 이룬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0)의 축 방향 선단보다, 다소 기단부 쪽의 위치에서 기둥부(37)가 돌출한다. 이 기둥부(37)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 양측으로서, 상기 결합부(33) 쪽의 위치에는 유지 돌기부(38,38)가 소정 높이로 돌출한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유지 돌기부(38,38)에는 후술하는 스토퍼 부재(60)의 유지조(66,66)가 맞닿는다.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는 조작 수단(조작 부재; 25)에 의해 로드(30)를 잠금부(4)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제 1 가압 수단(토션 스프링; 2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로드(30)을 잠금부(4)에 결합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개폐체(6)를 닫으면, 로드(30)의 유지를 해제하여, 로드(30)를 잠금부(4)에 결합하는 유지 수단을 갖는다.
도 3, 4, 6 등과 같이, 이 유지 수단은 개폐체(6)의 주변부에서 출몰 가능하게 개폐체(6)에 장착되고, 제 2 가압 수단(여기에서는 코일 스프링; 59)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스위치 부재(50)와, 상기 스위치 부재(50)에 연동하여, 로드(30)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60)로 구성된다. 또한 이 스위치 부재(50)와 스토퍼 부재(60)는 케이스 부재(40)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로드(30) 측에 유지 수단을 마련했지만, 한 쌍의 로드(30,31)는 회전체(20)를 통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30)를 잠금부(4)에 결합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면, 로드(31)도 반대편 잠금부(4)에 결합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고, 로드(30)의 유지가 해제되면, 로드(31)의 유지도 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로드(31) 측에, 로드(30) 측에 설치한 유지 수단과 같은 유지 수단을 마련해도 좋다.
이어 유지 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 부재(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 부재(40)는 일단 측이 폐쇄되고 타단 측이 개구된 대략 관형상을 이룬 본체(41)를 갖는다. 이 본체(41)는 원주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둥근 형상의 양측 부(41a, 41a)와, 이 양측부(41a, 41a)에 직교하는 원주 방향의 대향 위치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평탄부(41b,41b)를 갖는다.
또한, 본체(41)의 양측부(41a,41a)의 개구부 측에는, 스위치 부재(50)의 계지조(57,5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도 8(c) 및 도 9(c) 참조), 계지홈(43,43)이 본체(41)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본체(41)의 로드(30)측에 위치하는 일단의 평탄부(41b)에는 스토퍼 부재(60)의 한 쌍의 결합편(63,63)이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44)이 본체(41)의 타단 개구부 측면으로부터 일단 측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41)의 일측 평탄부(41b)의 개구부 측으로서, 상기 스토퍼 삽입홈(44)의 주변부 양측에는, 스토퍼 부재(60)를 회전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회동지지 편(45,45)이 세워 설치된다. 각 회동 지지편(45)은 본체(41)의 일단측이 낮고, 타단측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그 바깥 둘레를 따라, 원호 형상의 회전 가이드 홈(45a)이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 가이드 홈(45a)에는 스토퍼 부재(60)의 후술하는 회전지지 돌기부(62)가 삽입되어(도 4 참조), 스토퍼 부재(60)의 회동 가이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체(41)의 다른 평탄부(41b)로부터는, 부착부(47)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부착부(47)를 통해 개폐체(6)에 케이스 부재(40)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40)의 형상은 스위치 부재(50) 및 스토퍼 부재(60)를 연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 부재(40) 없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스위치 부재(50)와 스토퍼 부재(60)를 개폐체에 지지편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폐체(6)의 주변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개폐체(6)에 장착되며, 제 2 가압 수단인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스위치 부재(5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스위치 부재(50)는 케이스 부재(40)의 본체(41) 내에 제 2 가압 수단을 이루는 코일 스프링(59)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부재(4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고, 스토퍼 부재(60)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부(51)와, 이 기부(51)의 일단부 측에 연결되고, 일 측면에 테이퍼면(53a)을 마련한 선단부(53)를 갖는다.
상기 기부(51)는 길이 방향 양측이 연결된 한 쌍의 측벽(54,54)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공극(55)과, 한 쌍의 측벽(54,54)의 길이 방향의 소정 개소(여기에서는 거의 중앙)에 연결된 연결부(56)를 갖는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측벽(54)의 선단부(53) 측의 단부에는, 'コ' 자형상의 슬릿(57a)을 통해 휨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외면에 테이퍼면(57b)을 마련한 계지조(57)가 각각 설치되며, 이러한 계지조(57,57)가, 케이스 부재(40)의 한 쌍의 계지홈(43,4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기부(51)와 케이스 부재(40)의 본체(41) 사이에, 코일 스프링(59)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스위치 부재(50)의 선단부(53)가 케이스 부재(40)의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상기 계지홈(57,57)가 케이스 부재(40)의 한 쌍의 계지구(43,43)의 주변부에 계지되어, 케이스 부재(40)에 대해 스위치 부재(50)의 빠짐 방지가 유지된다.
또한, 기부(51)의 공극(55)에는, 스토퍼 부재(60)의 한 쌍의 결합편(63,63)이 삽입되며, 이러한 결합편(63,63)에 의해 상기 연결부(56)가 사이에 끼워지고, 스위치 부재(50)에 대해 스토퍼 부재(60)가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부재(50)는 개폐체(6)에 장착된 케이스 부재(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개폐체(6)의 내면(6a)에 따라 슬라이드하여 케이스 부재(40)의 개구부 및 개폐체(6)의 주변부으로부터 출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도 8(c) 및 도 9(c) 참조) 개폐체(6)를 닫을 때, 고정체(1)의 개구부 주변에 설치 한 스위치 당접부(5)에 슬라이딩하여 인입되도록 구성된다(도 10 (c) 참조).
또한, 스위치 부재(50)의 형상은 개폐체의 주변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드하고, 또한, 스토퍼 부재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위치 부재(50)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수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59)뿐만 아니라 인장 스프링 등 이어도 좋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치 부재(50)에 연동하여, 로드(30)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토퍼 부재(60)는 케이스 부재(40)의 회동 지지편(45,45)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부(61)를 갖는다. 또한,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이 회동부(61)의 양측에는 원호 형상의 회동지지 돌기부(62,62)가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이들 회동지지 돌기부(62,62)가 회동 지지편(45)의 회동 가이드 홈(45a)에 삽입되어 스토퍼 부재(6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4 참조).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61)의 하면(케이스 부재; 40 측의 외면)으로부터는,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결합편(63,63)이 연장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편(63,63)이 케이스 부재(40)의 스토퍼 삽입홈(44)에 삽입되는 동시에, 스위치 부재(50)의 공극(55)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56)를 사이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스토퍼 부재(60)가 스위치 부재(50)에 연동 가능하게 맞물려있다. 그리고 도 8(b), 도 9(b),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50)의 슬라이드에 연동하여 스토퍼 부재(60)가 회전 가이드 홈(45a)에 삽입된 회동 지지 돌기부(62)를 가이드로하여 회전하도록 된다. 또한 스토퍼 부재(60)는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가압된 스위치 부재(50)에 의해 도 8(b)의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동 가압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61)의 원주 방향 기단부로서, 그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는, 한 쌍의 유지편(65,65)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한 쌍의 결합편(63,63)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설치된다. 이 한 쌍의 유지편(65,65)의 간격은 상기 로드(30)의 기둥부(37)에 마련한 유지 돌기부(38,38)의 최대 돌출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 결과, 유지 돌기부(38,38) 외부에 한 쌍의 결합편(63,63)이 배치되어 스토퍼 부재(60)의 회동시에,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38)와는 간섭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유지편(65,65)의 연장 돌출 방향 선단부로서, 그 내부 주변부로부터는 한 쌍의 유지조(66,66)가 외측으로(회동 부 ; 61의 원주 방향 기단부에서 떨어진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유지조(66)의 밑면(회전부(61) 측의 면)에는 테이퍼면(66a)이 형성된다. 이 유지조(66)는 로드(30)가 잠금부(4)에 결합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의 내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한편, 로드(30)가 잠금부(4)에 결합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조(66)의 기단부가,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의 로드 선단 측의 외면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 스토퍼 부재(60)는 한 쌍의 결합편(63,63)으로 스위치 부재(50)의 연결부(56)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스위치 부재(50)와 연동 가능하게 맞물려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토퍼 부재는 스위치 부재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로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스위치 부재(50) 및 스토퍼 부재(60)는 로드(30)에 대해 개폐체(6)의 내면(6a)을 따라 병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 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50) 및 스토퍼 부재(60)는 케이스 부재(40)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케이스 부재(40)가 개폐체(6)의 내면(6a)으로부터 돌출 한 장착 벽부(6c)에 설치됨으로써, 스위치 부재(50) 및 스토퍼 부재(60)가 개폐체(6)의 내면(6a)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부재(50) 및 스토퍼 부재(60)는 로드(30,31)보다 개폐체(6)의 회전축(8) 가까이에 배치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는 조작 수단(조작 부재; 25)에 의해 로드(30)를 잠금부(4)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도 9(a) 참조), 스토퍼 부재(60)가 로드(30)의 이동 궤적에 침입하여 로드(30)가 제 1 가압 수단(토션 스프링; 28)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4)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아오는 것을 규제하고(도 9 (b) 참조), 개폐체(6)가 열리면 스위치 부재(50)가 제 2 가압 수단(코일 스프링; 59)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체(6)의 주변부로부터 돌출(도 9 (c) 참조)하고, 개폐체(6)를 닫으면, 스위치 부재(50)가 제 2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개폐체(6)의 주변부로부터 인입되어(도 10 (c) 참조), 스토퍼 부재(60)가 스위치 부재(50)에 연동하여(도 10 (b) 참조), 로드(30)의 잠금부(4)에 결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도 10 (a) 참조).
이에 대해 상술하면,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체(1)의 개구부(3)에 대해 개폐체(6)를 닫은 상태, 즉 토션 스프링(28)에 의해 로드(30)의 결합부(33)가 잠금부(4)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는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60)의 유지조(66)가,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의 로드 측 내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위치 부재(50)의 선단부(53)가 고정체(1)의 측벽(2)의 스위치 당접부(5)에 가압되고, 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개폐체(6)의 주변부 및 케이스 부재(40)의 개구로부터 다소 인입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8 (c) 참조).
상기 상태에서 조작 부재(25)를 통해, 회전체(20)을 토션 스프링(28)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시키면, 로드(30)의 결합부(33)가 잠금부(4)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가 유지조(66)의 테이퍼면(66a)을 가압하여 스토퍼 부재(60)를 그 회동 가압력에 대항하여 도 8 (b)의 화살표 B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유지 돌기부(38)가 유지조(66)를 타고넘으면, 스토퍼 부재(60)가 회동 가압력 방향(도 8 (b)의 화살표 B 참조)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유지조(66)가, 로드(30) 이동 궤적, 여기에서는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의 이동 궤적 (도 9 (b)의 화살표 C 참조)에 침입하는 동시에, 이 유지조(66)의 기단부가 토션 스프링(28)에 의해 가압된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의 로드 선단 측의 외면에 결합되고(도 9 (b) 참조), 로드(30)의 결합부(33)가 잠금부(4)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아오는 것을 규제한다(도 9 (a) 참조). 개폐체(6)가 열리면 스위치 부재(50)는 그 선단부(53)가, 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 부재(40)의 개구부 및 개폐체(6)의 주변부로부터 최대한 돌출한다(도 9 (c) 참조 ).
이와 같이, 로드(30)가 유지된 상태에서, 고정체(1)의 개구부(3)에 대해 개폐체(6)을 닫으면, 도 10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50)의 선단부(53)가, 고정체(1)의 측벽(2)의 스위치 당접부(5)에 접촉하여 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개폐체(6) 주변부 및 케이스 부재(40)의 개구부로부터 인입되는 동시에, 이 스위치 부재(50)에 연동하여 도 10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60)가 회동 가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지조(66)와 유지 돌기부(38)의 결합이 해제되므로(도 10 (b)의 화살표 참조), 토션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30)의 결합부(33)가 잠금부(4)에 결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도 10 (a) 참조).
또한, 본 발명에서 "유지 수단"으로는,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로드를 슬라이드 시키면, 개폐체가 열리지 않아도, 로드를 임시 유지 가능한 구조로 해도 좋고, 혹은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로드를 슬라이드시키고 개폐체가 열린 후, 로드를 임시 유지 가능한 구조로 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 부재(60)를 케이스 부재(4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스토퍼 부재(60)를 케이스 부재(40)에 회전지지시키고, 스위치 부재(50)와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위치 부재 또는 스토퍼 부재의 일측에 랙 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피니언 기어를 장착하여, 이른바 랙 피니언 구조에서 스위치 부재에 연동하여 스토퍼 부재를 연동시키거나, 또한 스위치 부재 또는 스토퍼 부재의 일측에 캠면을 마련하고, 타측에 캠면에 의해 가압되는 캠 가압면을 마련하여, 이른바 캠 구조에 의해 스위치 부재에 연동하여 스토퍼 부재를 연동시켜도 좋고, 로드가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었을 때, 스토퍼 부재가 로드의 이동 궤적에 동작하여 로드의 되돌아옴을 규제하고, 개폐체를 닫아 스위치 부재가 인입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이 스토퍼 부재가 연동하여, 로드의 이동을 허용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잠금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고정체(1)의 개구부(3)를 닫기 위해, 개폐체(6)를 누르면, 로드(30,31)의 결합부(33)의 테이퍼면이 고정체(1)의 양측 벽(2,2)의 내면에 가압되고, 토션 스프링(2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한 쌍의 로드(30,31)가 개폐체(6)의 안쪽으로 끌려 간다. 그리고 각 결합부(33,33)가 잠금부(4,4)에 이르면 토션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가압된 회전체(20)를 통해 로드(30,31)의 결합부(33,33)가 잠금부(4,4)를 향해 밀려나서, 각 결합부(33,33)가 잠금부(4,4)에 각각 결합하여, 고정체(1)의 개구부(3)를 개폐체(6)로 닫은 상태로 잠글 수 있다(도 6 및 도 8 (a) 참조).
상기 상태에서는,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60)의 유지조(66)가,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의 이동 궤적에 침입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도 8 (c)에 나타낸 같이 스위치 부재(50)의 선단부(53)가 고정체(1)의 측벽(2)의 스위치 당접부(5)에 탄성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된다.
그리고, 고정체(1)의 개구부(3)로부터 개폐체(6)를 열 경우에는, 조작 부재(25)를 조작하여 토션 스프링(2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로드(30,31)의 결합부(33,33)를 잠금부(4,4)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가 유지조(66)를 눌러서 스토퍼 부재(60)를 회동 가압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유지 돌기부(38)가 유지조(66)를 타고 넘으면, 스토퍼 부재(60)가 회동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유지조(66)가 로드(30)의 유지 돌기부(38)의 이동 궤적(도 9 (b)의 화살표 C 참조)에 침입하기 때문에, 유지조(66)의 기단부가 유지 돌기부(38)의 로드 선단 측의 외면에 결합하게되고(도 9 (b) 참조), 로드(30)의 결합부(33)가 잠금부(4)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아오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도 9 (a) 참조). 또한 회전체(20)를 통해 로드(31)의 결합부(33)도 잠금부(4)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아오는 것이 규제된다. 이렇게 한 쌍의 로드(30,31)의 결합부(33,33) 및 잠금부(4,4)와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고정체(1)의 개구부(3)로부터 개폐체(6)을 이동시켜, 고정체(1)의 개구부(3)를 열 수 있다.
또한, 개폐체(6)를 열어, 로드(30,31)가 인입 규제된 상태에서 다시 개폐체 (6)를 닫아야 하여, 고정체(1)의 개구부(3)를 향해 개폐체(6)를 밀면, 도 10 (c)와 같이, 스위치 부재(50)의 선단부(53)가 고정체(1)의 측벽(2)의 스위치 당접부(5)에 접촉하고, 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개폐체(6)의 주변부 및 케이스 부재(40)의 개구부로부터 인입됨과 동시에, 이에 연동하여, 도 10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60)가 회동 가압력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지조(66)와 유지 돌기부(38)와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로드(30,31)가 다시 토션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그 결합부(33,33)가 잠금부(4,4)에 맞물려 고정체(1)의 개구부(3)를 닫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도 6 및 도 10 (a) 참조).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에서는 도 4와 같이, 스위치 부재(50) 및 스토퍼 부재(60)는 로드(30)에 대해 개폐체(6)의 내면(6a)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며, 개폐체(6)의 내면의 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로드(30,31) 및, 스위치 부재(50), 스토퍼 부재(6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체(6)의 박형화를 도모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c)와 도 9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50)는 개폐체(6)의 내면(6a)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개폐체(6)의 주변부로부터 출몰하도록 배치된 동시에, 도 10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체(6)를 닫을 때, 고정체(1)의 개구부 주변의 스위치 당접부(5)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인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위치 부재(50)의 슬라이드 동작이, 상기 특허 문헌 1의 잠금 장치의 레버처럼, 개폐체의 표면 수직 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조가 되지 않기 때문에 개폐체(6)를 더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스위치 부재(50) 및 스토퍼 부재(60)는로드(30,31)보다 개폐체(6)의 회전축(8)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30,31)을 개폐체(6)의 회전축(8)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체(6)을 닫은 상태에서 단단히 잠글 수 있는 동시에 스토퍼 부재(60)에 의한 로드(30)의 인입 유지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40)에 스위치 부재(5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스토퍼 부재(60)가 스위치 부재(50)에 대해 연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스위치 부재(50) 및 스토퍼 부재(60)로 구성된 유지 수단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스 부재(40)를 통해 개폐체(6)에 쉽게 유지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조작 수단을 이루는 조작 부재(25)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했지만, 예를 들어, 장착베이스(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레버 형상으로 하여 회전체(20)를 회전시키거나, 회전체(20)를 직접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 형상으로 하거나 혹은 장착베이스(11)에 대해 누름 가능한 버튼 형상으로 하여, 회전체(20)를 회전시켜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로드(30,31)를 갖는 소위 사이드 잠금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로드를 1개로 하거나, 3개 이상으로하거나 해도 좋고, 특별히 한정은 없다. 또한 한 쌍의 로드를 슬라이드 동작시키는 구조로서는, 회전체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피니언 기어를 채용함과 동시에, 한 쌍의 로드에 랙 홈을 각각 형성하고, 이 랙 홈에 상기 피니언 기어에 기어 연결하고, 하나의 로드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피니언 기어를 통해 다른 로드를 슬라이드 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 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고정체
3 개구부
4 잠금부
6 개폐체
6a 내면
8 회전축
10 개폐체의 잠금 장치(잠금 장치)
20 회전체
28 토션 스프링(제 1 가압 수단)
31 로드
33 결합부
38 유지 돌기부
40 케이스 부재
50 스위치 부재
53 선단부
59 코일 스프링(제 2 가압 수단)
60 스토퍼 부재
66 유지조

Claims (5)

  1.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에 마련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잠금부에 착탈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수단과,
    상기 제 1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제 1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개폐체를 닫으면 상기 로드의 유지를 해제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개폐체의 주변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고, 제 2 가압 수단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스위치 부재와, 상기 스위치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로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로드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로드의 이동 궤적에 침입하여 상기 로드가 상기 제 1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아 오는 것을 규제하고, 상기 개폐체를 열면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제 2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체의 주변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개폐체를 닫으면,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제 2 가압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개폐체의 주변부로부터 인입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위치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로드의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 부재 및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로드에 대해 상기 개폐체의 내면을 따라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개폐체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하고, 이 개폐체의 주변부로부터 출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폐체를 닫을 때,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주변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입되도록 구성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에 한 쌍의 잠금부가 한 쌍 설치된 동시에, 상기 개폐체에 상기 한 쌍의 잠금부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로드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폐체는,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에 회전축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부재 및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로드보다 상기 개폐체의 회전 축 가까이에 배치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스위치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에 대해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 부재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부재가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스위치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에 대해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 부재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부재가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20160058829A 2015-06-04 2016-05-13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20160143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4010A JP2017002470A (ja) 2015-06-04 2015-06-04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JP-P-2015-114010 2015-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513A true KR20160143513A (ko) 2016-12-14

Family

ID=5757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829A KR20160143513A (ko) 2015-06-04 2016-05-13 개폐체의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7002470A (ko)
KR (1) KR201601435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4848A3 (en) * 2018-04-03 2022-06-08 Southco, Inc. Vehicle glove box la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4848A3 (en) * 2018-04-03 2022-06-08 Southco, Inc. Vehicle glove box latch
US11814881B2 (en) 2018-04-03 2023-11-14 Southco, Inc. Vehicle glove box l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02470A (ja)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531B1 (ko) 개폐부재의 잠금장치
JP5828888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JP5544333B2 (ja) リッド開閉装置
JP4927026B2 (ja) リッド開閉装置
JP5367281B2 (ja) 開閉ロック装置
JP5698387B2 (ja) ロック装置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JP6031523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102132133B1 (ko) 로크장치
WO2017195557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2009180028A (ja) 開閉ロック装置
KR20160143513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CN113039337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JP4467471B2 (ja) 収納具
JP4553786B2 (ja) リッド開閉装置
TWI461595B (zh) 鎖裝置及拉門框
JP4748715B2 (ja) 引戸などの錠装置
KR10192471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JP5991804B2 (ja) ヒンジ構造
JP4475461B2 (ja) 引戸用引手及び引戸
JP2004290232A (ja) 遊技機の施錠装置
JP4587874B2 (ja) 引戸錠
JP5107739B2 (ja) 錠装置
JP2004324249A (ja) 平面ハンド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