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243B1 - 키퍼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키퍼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243B1
KR101924243B1 KR1020137024890A KR20137024890A KR101924243B1 KR 101924243 B1 KR101924243 B1 KR 101924243B1 KR 1020137024890 A KR1020137024890 A KR 1020137024890A KR 20137024890 A KR20137024890 A KR 20137024890A KR 101924243 B1 KR101924243 B1 KR 101924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upport
engaging
shaf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446A (ko
Inventor
노리오 사이토
토모하루 이즈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0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퍼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한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에 요동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다른 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 쪽 측에 설치된 맞닿음체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결합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키퍼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KEEPER, AND MOBILE BODY ASSIST DEVICE PROVIDED WITH KEEPER}
본 발명은 키퍼(keeper)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可動體)의 어시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문 등의 가동체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해, 밀어붙임기구나 제동기구를 이용하여 강제 이동이나 완충을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문틀 측에는, 키퍼가 설치되어 미닫이문 측에는, 키퍼에 결합 가능한 맞닿음체가 설치되어 있다. 미닫이문이 닫혀지지 않는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맞닿음체와 키퍼는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있다. 이 열림 위치로부터 조작자가 미닫이문을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면, 그 도중에 맞닿음체가 키퍼에 부딪쳐 키퍼에 결합된다. 이 결합 상태에서 맞닿음체가 이동됨과 함께, 이 이동 치수만큼 미닫이문이 강제적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키퍼와 맞닿음체와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키퍼로서 볼트에 의해 틀에 장착되는 본체와, 본체에 형성된 수납부와, 수납부에 설치되는 키퍼로서의 후크체(hook body)를 갖고, 후크체의 높이 조정을 행하는 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이 후크체는 핀을 지점으로 하여 본체에 축지지되어 회동(回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3929163호 공보
상술한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구조에서는, 외력을 받은 경우에 축이나 나사에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기능 결여, 파손, 파괴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 조정 가능하고, 또한 외력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키퍼 및 그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퍼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한쪽의 단부(端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에 요동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피(被)지지부와, 다른 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 쪽 측에 설치된 맞닿음체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결합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는 상술한 키퍼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 쪽 측에 설치된 기체와, 상기 키퍼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기체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인입(引入) 위치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맞닿음체와, 상기 맞닿음체를 인입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기구와, 상기 맞닿음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조정 가능하고, 또한 외력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문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측면도.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사시도.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하면도.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높이 조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1) 및 스트라이커(striker)(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 중 화살표 X, Y, Z는 각각 서로 직교하는 3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X축은 슬라이드 방향(제1 방향)을, Y축은 폭방향(제3 방향)을, Z축은 상하 방향(제2 방향)을, 각각 따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 설명을 위해, 적당히 구성을 확대, 축소 또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라이커(10)는 예를 들면 가동체의 동작을 보조하는 어시스트 장치(1)에 이용된다. 어시스트 장치(1)는 가동체 및 지지체 중 한쪽에 설치되는 키퍼로서의 스트라이커(10)와, 가동체 및 지지체 중 다른 쪽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유닛(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지지체는 문틀(F), 가동체는 미닫이문(M)이고, 가동체로서의 미닫이문(M)에 어시스트 유닛(20)이 설치되며, 지지체로서의 문틀(F)에 스트라이커(10)가 설치된다.
어시스트 유닛(20)은 미닫이문(M)의 상부의 홈(M1)에 설치된 기체로서의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슬라이드 방향 한쪽측(도 1 중 좌측)의 단부에 수용되는 대기 위치와 인입 위치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맞닿음체로서의 래치(latch)(22)와, 래치(22)를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 다른 쪽 측(도 1 중 우측)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기구(23)와, 래치(22)에 연결되어 래치(22)의 슬라이드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여 완충하는 제동기구(24)를 구비하고 있다.
문틀(F)의 상단에는, 미닫이문 홈(F4)이 형성되고, 이 미닫이문 홈(F4)에 미닫이문(M)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미닫이문 홈(F4)에는, 좌단(左端)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스트라이커(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는 상틀(F1)에 장착되는 고정편(11)과, 고정편(11)에 회동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는 결합편(12)과, 조정기구(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고정편(11)은 Z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을 이루어 문틀(F)의 미닫이문 홈(F4)에 장착되는 판형상의 장착부(11a)와, Y축에 직교하는 면을 이루어 장착부(11a)로부터 하부에 돌출하는 판형상의 지지부(11b)를 갖고, 예를 들면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11b)의 X방향 일단측에는, 타단 방향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1c)는 X방향 일단측에 개구됨과 함께 원호형상의 곡면을 갖고 있고, 이 오목부(11c)에 피지지부로서의 요동축(12c)이 끼워 맞쳐져 지지된다.
지지부(11b)의 X방향 중앙 부분에는, 조정기구(13)로서, 볼트(15)가 나사 결합되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부(11d)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편(12)은 지지부(11b)의 외주를 둘러싸는 리브(rib)부(12a)와, 리브부(12a)의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결합부(12b)를 갖고, 예를 들면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리브부(12a)는 지지부(11b)보다 X방향 및 Y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고, 래치(22) 등의 부품과의 충돌 시에 압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리브부(12a)는 X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Z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브부(12a)의 Y방향 중앙에는, Z방향으로 관통됨과 함께 X방향을 따라 뻗는 슬릿(12d)(구멍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2d)에 지지부(11b) 및 볼트(15)가 삽입 통과된다.
리브부(12a)의 X방향 일단부는 Y방향을 따르는 원주형상을 이룸과 함께 오목부(11c)에 결합되는 요동축(12c)을 형성하고 있다. 요동축(12c)이 오목부(11c)에 끼워 맞춰 배치되고, 일단측으로 약간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트라이커(10)와 어시스트 유닛(20)과의 상대 이동에 의해, 래치(22) 등의 부품이 충돌하여 일단측에 압압하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Y방향 및 X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부(12a)로 압력을 받고, 또한 요동축(12c)이 약간 일단측으로 퇴피하도록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부품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결합부(12b)는 리브부(12a)의 선단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12b)는 미닫이문(M)의 이동에 의해, 미닫이문(M)의 상부의 홈(M1)를 통하여 래치(22)에 포착되어 어시스트 유닛(20) 내로 들어가고, 또는 어시스트 유닛(20)으로부터 나와 해방되도록 되어 있다.
조정기구(13)는 앞서 설명한 너트부(11d)와, 리브부(12a)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받이부재(14)와, 기단(基端)의 머리부(15b)가 받이부재(14)에 유지됨과 함께 선단의 수나사부(15a)가 너트부(11d)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받이부재(14)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에 의해 결합편(12)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리브부(12a)의 슬릿(12d)의 X방향 중앙 부분의 하측에 장착된다. 즉, 받이부재(14)는 리브부(12a)를 사이에 두고 너트부(11d)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볼트(15)는 리브부(12a)의 슬릿(12d)을 통하여 너트부(11d)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5a)와, 받이부재(14)에 지지되는 머리부(15b)와, 삽입틈새(14b)에 배치되는 플랜지(16)를 갖는다.
받이부재(14)에는, 볼트(15)의 수나사부(15a)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통과구멍(14a)과, 볼트(15)에 설치된 플랜지(16)가 삽입되는 슬릿형상의 삽입틈새(14b)와, 볼트(15)의 머리부(15b)가 배치되는 슬릿형상의 홈부(14c)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구멍(14a)은 Z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Z방향 일단측이 너트부(11d)에 연통되며, 타단측은 삽입틈새(14b)에 연통되어 있다.
삽입틈새(14b)는 Y방향 일단측에 개구되는 반원형상의 공극(空隙)을 형성하고, 삽입통과구멍(14a)에 연통된다. 이 삽입틈새(14b)에 Y방향으로 플랜지(16)가 삽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홈부(14c)는 받이부재(14)의 하면에 형성되고, 삽입틈새(14b)에 연통됨과 함께 Y방향 일단측에 개구되어 있다. 홈부(14c)는 X방향에 있어서 삽입틈새(14b)보다 좁은 슬릿형상을 이루며, 이 홈부(14c)에 볼트(15)의 머리부(15b)가 배치된다. 홈부(14c)의 개구를 통하여 하측으로부터 볼트(15)를 돌리는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정기구(13)에 의해, 결합편(12)의 X방향 중앙 부분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다. 즉, 너트부(11d)와 볼트(15)의 머리부(15b) 사이에 결합편(12)의 리브부(12a)가 협지되어, 볼트(15)의 나사 체결에 의해 받이부재(14)에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15)를 조이거나 풀거나 하여 연결상태를 조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플랜지부(16)의 이동에 따라 받이부재(14)가 이동하고, 너트부(11d)와 받이부재(14)의 거리가 변화되어, 리브부(12a)의 중앙 부분이 상하로 이동한다. 이 때, 요동축(12c)을 중심으로 결합편(12)이 회동함으로써 리브부(12a)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2b)의 상하 위치가 변화된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은 상면 개구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좁고 기다란 상자 형상을 이루며, 한쌍의 측벽(21a, 21a)을 갖고 있다. 이 한쌍의 측벽(21a, 21a) 사이에 래치 베이스(22a)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1)의 하부에는, 밀어붙임기구(23)로서 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41)이 설치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일단이 래치(22)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21)에 고정되어, 래치(22)를 하우징(21)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 타단측으로 밀어붙인다.
래치(22)는 하우징(21)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된 래치 베이스(22a)와, 래치 베이스(22a)의 선단에 연결됨과 함께 Y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캐쳐(catcher)(22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캐쳐(22b)는 R1, R2 방향의 회동에 의해, 스트라이커(10)의 결합부(12b)를 포착하고, 혹은 개방한다.
제동기구(24)는 하우징(21) 내에 설치된 피스톤 댐퍼(50)를 갖고 구성된다. 피스톤 댐퍼(50)는, 내부에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51)와, 실린더(51)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52)를 갖고 있다. 제동기구(24)는 실린더(51) 내에 수납된 피스톤의 동작에 실린더(51) 내의 유체의 유체 대향을 작용시킴으로써, 실린더(51) 혹은 피스톤 로드(52)의 압입 및 인장 동작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여 래치(22)의 하우징(21)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을 제동한다. 또한 실린더(51)에 봉입되는 유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 유체가 이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체를 이용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시스트 장치(1)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M)이 스트라이커(10)에 도달하지 않은 제1 상태에서는, 래치(22)는 하우징(21)의 단부의 대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제1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미닫이문(M)을 도어 스토퍼측의 틀(F2)을 향하여 슬라이드 방향 한쪽(도 1 중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미닫이문(M)이 소정 위치에 이르면,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에 맞닿고, 캐쳐가 R1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트라이커(10)의 결합부(12b)를 포착함으로써, 래치(22)와 스트라이커(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하우징(21) 및 미닫이문(M)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 다른 쪽(도 1 중 오른쪽)으로 래치(22)가 상대 이동된다. 이 이동에 따라 지지체(F) 및 스트라이커(10)에 대하여 미닫이문(M) 및 하우징(21)이 슬라이드 방향 한쪽(도 1 중 왼쪽)으로 상대적으로 강제 이동된다. 이때 제동기구(24)에 의해 저항력이 부여되어, 완충하면서 천천히 자동적으로 미닫이문(M)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미닫이문(M)이 도어 스토퍼로 완전히 이동한 제2 상태로부터 미닫이문(M)을 슬라이드 방향 다른 쪽(도 1 중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를 포착한 채로 미닫이문(M) 및 하우징(21)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 한쪽(도 1 중 왼쪽)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미닫이문(M)이 슬라이드 방향 다른 쪽(도 1 중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소정 위치에 이르면, 캐쳐(22b)가 R2 방향으로 회동하여, 래치(22)와 스트라이커(10)와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래치(22)는 다시 하우징(21)의 단부의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 이 후의 미닫이문(M)의 이동은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밀어붙이는 힘으로부터 개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1)에서는, 조정기구(13)의 조작으로서 볼트(15)를 돌림으로써 용이하게 스트라이커(1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다. 이 때문에, 설치 시의 치수 편차나 설치 후의 온도, 습도, 경년(經年) 변화, 진동, 지진에 의한 치수의 변화에 추종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어시스트 장치(1)의 치수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호차(戶車)로 미닫이문(M)과 문틀(F)의 높이를 조정한 경우에 어시스트 장치를 동작할 수 있는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일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1)에 의하면, 허용 높이를 벗어난 경우에서도 스트라이커(10)의 높이 조정에 의해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어시스트 장치(1)가 동작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라이커(10)의 결합편(12)과 고정편(11)을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고, 결합편(12)의 요동축(12c)을 고정편(11)의 일단측에 개구되는 오목부(11c)에 끼워 맞춰 유지한 구성에 의해, 결합편(12)이 요동 가능하고, 또한 X방향의 충격의 전달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미닫이문(M)측에 설치된 래치(22) 등의 부품이 결합편(12)과 충돌한 경우에, 고정편(11)이나 요동축(12c)에 외력이 영향을 주는 것을 회피하여, 부품의 파손이나 기능 결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b)의 둘레를 둘러싸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돌출함과 함께 X방향으로 길고 Z방향으로 두껍게 구성된 리브부(12a)를 설치함으로써, 미닫이문(M)의 조작에 의해 미닫이문(M)측에 설치된 래치(22) 등의 부품과 충돌하는 경우에도, 리브부(12a)로 압력을 받을 수 있어, 고정편(11)이나 조정기구(13)에의 외력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방향 중앙 부분에 결합편(12)을 사이에 두고 고정편(11)과 연결하는 조정기구(13)를 설치하고, 이 조정기구(13)의 연결 상태를 조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결합편(12)에 대한 충격이 볼트(15)나 고정편(11)에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정기구(13) 등의 기능 결여, 파손,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따른 스트라이커(11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c)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스트라이커(110)는 고정편(111)과 결합편(112)의 지지 구조를 변형하여 조립 공정을 변경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기능적인 특징, 어시스트 유닛(20)의 구성, 어시스트 장치(1)의 동작 등에 대하여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0)는 상틀(F1)에 장착되는 고정편(111)과, 고정편(111)에 회동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는 결합편(112)과, 결합편(112)을 고정편(111)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정기구(1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고정편(111)은 Z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을 이루어 문틀(F)의 미닫이문 홈(F4)에 장착되는 판형상의 장착부(111a)와, 장착부(111a)의 일단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결합편(112)을 축지지하는 지지부(111b)와, 장착부(111a)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판형상의 결합판(111c)을 갖고, 예를 들면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111a)에는, 미닫이문 홈(F4)에 고정되는 장착구가 삽입되는 고정용구멍(111e)이나, 조정기구(113)로서의 볼트(15)의 선단이 삽입되는 나사구멍(111f)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11a)의 선단측에는, 결합편(112)의 돌기(112k)가 들어가는 오목부(111k)가 형성된다. 장착부(111a)의 선단에는, 결합부(12b)의 위쪽에 형성된 핀구멍(112l)에 삽입되는 핀(111l)(도 7(a)∼(d)에 도시함)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111b)는 평면에서 보아 ㄷ자형으로 구성되며, 대향하는 한쌍의 지지편(111g)을 갖고 있다. 한쌍의 지지편(111g)에는, Y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축체(111h)가 형성되어 있다. 축체(111h)는 Y방향을 따르는 요동 축심(c1)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한쌍의 지지편(111g) 사이에 결합편(112)의 축지부(112a)가 배치되고, 축체(111h)가 축오목부(112e)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결합편(112)이 고정편(11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7(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판(111c)은 X방향을 따라 뻗고, 결합편(112)의 슬릿(112d) 내에 수납되어 위치 결정된다. 결합판(111c)은 중앙 부분에 있어 Y방향의 폭이 크게 구성되어 조정기구(113)의 일부로서의 너트(16)를 수용하는 너트 장착부(111i)(너트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판(111c)에는, 너트 장착부(111i)에 연통됨과 함께 볼트(115)의 나사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111j)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편(112)은 X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에 축지부(112a), 중앙에 받이부(112b), 타단측에 결합부(112c)를 갖고, 예를 들면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편(112)의 Y방향 중앙 부분에는, X방향을 따르는 슬릿(12d)이 형성되어 있다.
축지부(112a)는 한쌍의 지지편(111g) 사이보다 작고, 한쌍의 축체(111h)의 선단끼리의 사이보다 큰 폭치수를 갖고, Y방향 양측면에 축오목부(112e)가 형성되어 있다. 축오목부(112e)는 Y방향을 따르는 요동 축심(c1)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 축오목부(112e)에 축체(111h)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축지부(112a)가 한쌍의 지지편(111g) 사이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중앙의 받이부(112b)에는, 볼트(115)를 수용함과 함께 볼트(115)의 머리부(115a)에 장착된 플랜지(117)를 받치는 볼트 장착부(112g)(볼트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 장착부(112g)는 슬릿(12d)에 연통되어, 너트 장착부(111i)와 볼트구멍(111j)으로 연통되어 있다. 볼트 장착부(112g)의 아래쪽은 개구되고, 이 개구(112h)를 통하여 하측으로부터 볼트(15)를 돌리는 조정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볼트 장착부(112g)의 측방에는, 플랜지(117)가 출입 가능한 치수를 갖는 플랜지 개구(112i)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112b)의 위쪽에는, 오목부(111k)에 들어가는 돌기(112k)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12b)의 위쪽에는, 핀구멍(112l)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12c)는 선단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112c)는 미닫이문(M)의 이동에 의해, 미닫이문(M)의 상부의 홈(M1)을 통해 래치(22)에 포착되어 어시스트 유닛(20) 내에 들어가고 또는 어시스트 유닛(20)으로부터 나와 해방되도록 되어 있다. 결합부(112c)는 결합판(111d)의 선단측 및 양 측방을 둘러싸고 있어, 래치(22) 등의 부품과의 충돌 시에 압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슬릿(112d)의 선단측의 단부는 원호형상의 곡면(112f)을 형성하고, 이 슬릿(12d)에 지지부(111b) 및 볼트(115)가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조정기구(113)는 볼트 장착부(112g)에 유지되는 볼트(115)와, 너트 장착부(111i)에 배치되는 너트(116)과 볼트(115)의 머리부(115b)에 장착되는 플랜지(117)를 갖고 있다. 플랜지(117)가 받이부(112b)에 유지되고, 선단의 수나사부(115a)가 슬릿(112d)을 통하여 너트(116)에 나사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정기구(113)에 의해 , 결합편(112)의 X방향 중앙 부분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다. 즉, 너트(116)와 플랜지(117) 사이에 결합편(112)이 협지되고, 볼트(115)의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편(112)이 아래쪽으로부터 고정편(111)에 대하여 지지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라이커(110)의 조립공정에 대하여, 도 7(a)∼(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의 분해 상태에 있어서, 결합편(112)의 볼트 장착부(112g)에 플랜지 개구(112i)로부터 플랜지(117)를 설치하고, 개구(112h)로부터 볼트(115)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한편, 고정편(111)의 너트 장착부(111i)에 너트(116)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편(112)과 고정편(111)과의 위치를 맞추고, 볼트(115)를 너트(116)에 나사 결합하여 임시고정을 행한다. 이 때, 슬릿(112d) 내에 결합판(111b)이 삽입되도록 위치 맞춤을 한다. 이 때, 결합편(112)과 고정편(111)을 평행하게 배치시킨 채로 임시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지부(112a)를 한쌍의 지지편(111g) 사이에 밀어넣어, 축오목부(112e)에 축체(111h)를 끼워 맞춘다. 이 때, 수지제의 지지부(111b)에 대하여 지지편(111g) 사이가 일시적으로 넓어지도록 탄성변형함으로써 원터치(one-touch)로의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결합편(112)이 고정편(111)에 대하여 회동 조절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15)를 조이거나 풀거나 하여 연결상태를 조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너트부(115)와 플랜지(117)의 거리가 변화하고, 결합편(112)의 중앙 부분이 고정편(111)의 너트 장착부(111i)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이 때, 요동 축심(c1)을 중심으로 결합편(112)이 회동함으로써 결합부(112c)의 상하 위치가 변화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축지부(12a)를 지지부(111b)에 끼워 맞추는 구성으로 하고, 먼저 조정기구(113)의 나사 결합에 의해 중앙 부분을 임시고정한 후에 단부의 축부분을 원터치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편(111)과 결합편(112)의 자세를 볼트(115)와 너트(116)의 축을 맞추면서 임시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편(111)과 결합편(112)의 반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부품수가 적고 조립 공정도 단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각 부(部)의 구체적 구성이나 재질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체 측에 어시스트 유닛(20)을 구비하고, 지지체 측에 스트라이커(10)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동체 측에 스트라이커(10)를, 지지체 측에 어시스트 유닛(20)을, 각각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체가 미닫이문(M)인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매달기 문, 승강식의 슬라이드 도어 등, 다른 가동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요건 중 일부를 생략해도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2011년 3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055895호 및 2011년 12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280404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開示)로서 도입한 것이다.

Claims (8)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한쪽의 단부(端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에 요동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피(被)지지부와, 다른 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의 선단측 및 양 측방을 둘러싸며,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 쪽 측에 설치된 맞닿음체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결합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기구,
    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기구는, 볼트와, 상기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에, 상기 너트를 지지하는 너트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에, 상기 볼트를 지지하는 볼트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퍼.
  2.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한쪽의 단부(端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에 요동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피(被)지지부와, 다른 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 쪽 측에 설치된 맞닿음체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결합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기구,
    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편 및 상기 결합편의 한쪽에 있어서, 단부에 축체(軸體)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 및 상기 결합편의 다른 쪽에 있어서, 단부에 상기 축체를 수용하는 축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축체가 상기 축오목부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 상기 결합편을 조합하고,
    상기 조정기구를 임시고정하여 상기 고정편에 상기 결합편을 지지한 후에,
    상기 축체를 상기 축오목부에 끼워 맞춰 상기 고정편에 상기 결합편을 축지지시킴으로써, 상기 결합편을 상기 고정편에 요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퍼.
  4. 제2항에 기재된 키퍼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 쪽 측에 설치된 기체(基體)와,
    상기 키퍼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기체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인입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맞닿음체와,
    상기 맞닿음체를 인입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기구와,
    상기 맞닿음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7024890A 2011-03-14 2012-03-13 키퍼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KR101924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5895 2011-03-14
JPJP-P-2011-055895 2011-03-14
JP2011280404A JP5923298B2 (ja) 2011-03-14 2011-12-21 当受体及び当受体を備える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JP-P-2011-280404 2011-12-21
PCT/JP2012/056460 WO2012124708A1 (ja) 2011-03-14 2012-03-13 当受体及び当受体を備える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446A KR20140007446A (ko) 2014-01-17
KR101924243B1 true KR101924243B1 (ko) 2018-11-30

Family

ID=4683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890A KR101924243B1 (ko) 2011-03-14 2012-03-13 키퍼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23298B2 (ko)
KR (1) KR101924243B1 (ko)
CN (1) CN103534430B (ko)
WO (1) WO20121247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311B1 (ko) 2021-01-19 2021-09-10 표기조 도어 캐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8914A (zh) * 2015-05-21 2015-08-05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一种可调移门阻尼器
KR20160148854A (ko) * 2015-06-17 2016-12-27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약속 정보를 기초로 한 모임 장소 추천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5133983B (zh) * 2015-09-30 2017-05-17 伍志勇 用于家具滑动门的可调节拨动机构
SE539266C2 (en) * 2015-10-15 2017-06-07 Elfa Int Ab Sliding by arrangement
JP6963449B2 (ja) * 2017-09-15 2021-11-10 磯川産業株式会社 引き戸の制動装置
JP6951188B2 (ja) * 2017-10-16 2021-10-20 磯川産業株式会社 引き戸の制動装置
KR102071568B1 (ko) 2018-04-19 2020-01-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시설의 해체 방법
JP7114494B2 (ja) * 2019-01-10 2022-08-08 リョービ株式会社 引戸の引き込み装置の作動ユニット
JP7086033B2 (ja) * 2019-05-29 2022-06-17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012A (ja) 2008-11-04 2010-05-20 Nifco Inc 可動体の往動機構
JP2010121359A (ja) 2008-11-19 2010-06-03 Ryobi Ltd 開扉アシス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6037A (en) * 1958-04-04 1960-02-23 Lawrence Brothers Latch mechanism
JP3929163B2 (ja) * 1997-12-11 2007-06-13 株式会社西製作所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US6651765B1 (en) * 2002-05-02 2003-11-25 Steven M. Weinzierl Snowmobile with a supercharged engine
JP3930459B2 (ja) * 2003-06-30 2007-06-13 株式会社シモダイラ 引戸の戸閉装置
JP4690026B2 (ja) * 2004-12-13 2011-06-01 株式会社小林製作所 移動体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JP4313764B2 (ja) * 2005-01-24 2009-08-12 トステム株式会社 引戸の引き込み装置
DE202005004336U1 (de) * 2005-03-17 2005-06-23 Hettich-Heinze Gmbh & Co. Kg Selbsteinzugsvorrichtung für bewegliche Möbelteile
CN201056923Y (zh) * 2007-06-29 2008-05-07 郭丰勤 三维调节铰链
CN201560664U (zh) * 2009-10-28 2010-08-25 许姜德 一种缓冲器
CN201598924U (zh) * 2010-01-19 2010-10-06 上海贝思特门机有限公司 一种紧凑型厅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012A (ja) 2008-11-04 2010-05-20 Nifco Inc 可動体の往動機構
JP2010121359A (ja) 2008-11-19 2010-06-03 Ryobi Ltd 開扉アシス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311B1 (ko) 2021-01-19 2021-09-10 표기조 도어 캐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34430B (zh) 2015-08-19
KR20140007446A (ko) 2014-01-17
CN103534430A (zh) 2014-01-22
WO2012124708A1 (ja) 2012-09-20
JP2012207518A (ja) 2012-10-25
JP5923298B2 (ja)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243B1 (ko) 키퍼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KR101933729B1 (ko)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US8584402B2 (en)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US8739468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8960387B2 (en) Damper position adjusting device
WO2013042559A1 (ja) ロック装置
US10240377B2 (en) Hinge device and hinge device base
KR101839176B1 (ko)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및 하우징
US20120019012A1 (en) Latch device
CN112292501A (zh) 用于家具产品的铰链
CN108425579B (zh) 具有用于直线缓冲器的闭锁元件的家具铰链
US20220333409A1 (en) Transverse concealed latch system
JP2010024744A (ja) 戸閉装置
US11111711B2 (en) Simply fitted furniture hinge
JP4852569B2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US7490874B2 (en) Lock device for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EP2570578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WO2013047518A1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2010255299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CN109905992B (zh) 一种机箱及其锁扣结构
JP4806795B2 (ja) ロック装置、什器
JP6839000B2 (ja) ロック装置及び保管庫
JP4787975B2 (ja) ロック装置、什器
JP3180897U (ja) 戸当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