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710B1 -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 Google Patents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3710B1 KR101183710B1 KR1020100067282A KR20100067282A KR101183710B1 KR 101183710 B1 KR101183710 B1 KR 101183710B1 KR 1020100067282 A KR1020100067282 A KR 1020100067282A KR 20100067282 A KR20100067282 A KR 20100067282A KR 101183710 B1 KR101183710 B1 KR 1011837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ement
- latch
- latch body
- forced
- movable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829 Device dislo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05—Combinations of elements forming a uni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3—Multiple fun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에 있어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이동종료위치에 이르른 가동체의 복동조작을 가능한 한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강제이동기구(1)는 대기위치에 있는 래치체(10)에 이동종료위치로 향한 탄지력를 작용시키는 제 1 탄지체(11)를 구비하고 있다. 대기위치에 유지된 래치체(10)에 소정위치에서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고, 이 포착을 계기로 한 상기 유지의 해제에 의한 이동종료위치로의 래치체(10)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가동체(M)가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한다. 제동기구(2)는 강제이동기구(1)를 구성하는 래치체(10)에 대한 맞닿음부(20)를 구비하며, 래치체(10)의 이동종료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에 저항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맞닿음부(20)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탄지체(21)를 구비하고
2개의 강제이동기구(1,1)를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측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2개의 강제이동기구(1,1)의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 사이에, 일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맞닿음부(20)를 맞닿게 하고 또한 타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상기 맞닿음부(20)에 대향하는 대향부(22)를 맞닿게 또는 접속시키도록 제동기구(2)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맞닿음부(20)와 대향부(22)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제동기구(2)의 유체저항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동기구(2)의 저항 발생체(23)를 피스톤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실린더(230a)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230)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댐퍼(23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측에 대향하는 실린더(230a)의 외측단부에 맞닿음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해결수단) 강제이동기구(1)는 대기위치에 있는 래치체(10)에 이동종료위치로 향한 탄지력를 작용시키는 제 1 탄지체(11)를 구비하고 있다. 대기위치에 유지된 래치체(10)에 소정위치에서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고, 이 포착을 계기로 한 상기 유지의 해제에 의한 이동종료위치로의 래치체(10)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가동체(M)가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한다. 제동기구(2)는 강제이동기구(1)를 구성하는 래치체(10)에 대한 맞닿음부(20)를 구비하며, 래치체(10)의 이동종료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에 저항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맞닿음부(20)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탄지체(21)를 구비하고
2개의 강제이동기구(1,1)를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측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2개의 강제이동기구(1,1)의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 사이에, 일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맞닿음부(20)를 맞닿게 하고 또한 타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상기 맞닿음부(20)에 대향하는 대향부(22)를 맞닿게 또는 접속시키도록 제동기구(2)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맞닿음부(20)와 대향부(22)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제동기구(2)의 유체저항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동기구(2)의 저항 발생체(23)를 피스톤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실린더(230a)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230)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댐퍼(23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측에 대향하는 실린더(230a)의 외측단부에 맞닿음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가동체를 그 소정위치에서 이동종료위치까지 강제적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 강제적인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피스톤 댐퍼를 이용한 미닫이문의 동작 보조 및 완충기구(어시스트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상기 기구에 있어서는 문틀의 상부의 좌우에 각각 구비된 맞받이체에 대한 맞닿음체가 피스톤 로드의 선단과 실린더의 후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 맞닿음체의 간격을 항시 좁히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미닫이문이 문틀의 좌측으로도 우측으로도 완전히 닫혀지지 않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양 맞닿음체는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을 가장 인장시킨 상태에서 유지체에 의해서 자력(磁力)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중간 위치에서 미닫이문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그 도중에서 맞닿음체가 맞받이체에 맞닿아서 이것에 흡착되며, 유지체에 의한 유지가 해제된다. 상기 유지가 해제되면, 좌측의 맞닿음체가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우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이 이동 치수만큼 미닫이문은 좌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 피스톤 댐퍼의 피스톤이 압입되기 때문에, 이 이동에는 피스톤 댐퍼 내의 유체저항에 의거하는 제동력이 작용한다. 좌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미닫이문을 개방조작하면, 맞받이체에 흡착되어 있는 맞닿음체가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을 인장시키면서 좌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유지체에 다시 흡착 유지됨과 동시에 맞받이체의 흡착 포착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미닫이문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중간 위치에서 미닫이문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우측의 맞닿음체, 맞받이체, 유지체를 통해서 상기 미닫이문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동작 보조 및 완충기구에 있어서는 문틀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완전히 닫혀진 미닫이문을 개방할 때에는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을 인장시킴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 댐퍼 내의 유체저항을 받으면서 이것을 구성하는 피스톤을 인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인장 코일 스프링의 저항은 일정하지만 유체저항은 피스톤의 속도, 즉 미닫이문을 개방하는 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기 때문에, 종래의 동작 보조 및 완충기구는 그 구조상 미닫이문의 개방에 대해서 그 부드러운 개방조작을 방해하도록 기능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에 있어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이동종료위치에 이르른 가동체의 복동(復動)조작을 가능한 한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는 지지체(F) 및 상기 지지체(F)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체(M)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체(F) 및 상기 가동체(M) 중 타측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체(S)를 가동체(M)가 소정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포착하고서 상기 가동체(M)를 이동종료위치까지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강제이동기구(1)와 제동기구(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강제이동기구(1)는 장치 본체(3)에 대기위치와 이동종료위치에 걸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체(10)와, 대기위치에 있는 래치체(10)에 이동종료위치로 향한 탄지력을 작용시키는 제 1 탄지체(11)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기위치에 유지된 래치체(10)에 상기 소정위치에서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고, 이 포착을 계기로 한 상기 유지의 해제에 의한 이동종료위치로의 래치체(10)의 이동 또는 상대이동에 의해서 가동체(M)가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하고, 가동체(M)의 복동시에는 상기 소정위치에서 래치체(10)가 스트라이커체(S)를 해방시킴과 아울러 대기위치에 다시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동기구(2)는 강제이동기구(1)를 구성하는 래치체(10)에 대한 맞닿음부(20)를 구비하며, 래치체(10)의 이동종료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에 저항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맞닿음부(20)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탄지체(21)를 구비하고,
2개의 강제이동기구(1,1)를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측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2개의 강제이동기구(1,1)의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 사이에, 일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맞닿음부(20)를 맞닿게 하고 또한 타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상기 맞닿음부(20)에 대향하는 대향부(22)를 맞닿게 또는 접속시키도록 제동기구(2)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맞닿음부(20)와 대향부(22)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제동기구(2)의 유체저항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동기구(2)의 저항 발생체(23)를 피스톤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실린더(230a)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230)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댐퍼(23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측에 대향하는 실린더(230a)의 외측단부에 맞닿음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강제이동기구(1)와 제동기구(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강제이동기구(1)는 장치 본체(3)에 대기위치와 이동종료위치에 걸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체(10)와, 대기위치에 있는 래치체(10)에 이동종료위치로 향한 탄지력을 작용시키는 제 1 탄지체(11)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기위치에 유지된 래치체(10)에 상기 소정위치에서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고, 이 포착을 계기로 한 상기 유지의 해제에 의한 이동종료위치로의 래치체(10)의 이동 또는 상대이동에 의해서 가동체(M)가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하고, 가동체(M)의 복동시에는 상기 소정위치에서 래치체(10)가 스트라이커체(S)를 해방시킴과 아울러 대기위치에 다시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동기구(2)는 강제이동기구(1)를 구성하는 래치체(10)에 대한 맞닿음부(20)를 구비하며, 래치체(10)의 이동종료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에 저항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맞닿음부(20)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탄지체(21)를 구비하고,
2개의 강제이동기구(1,1)를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측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2개의 강제이동기구(1,1)의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 사이에, 일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맞닿음부(20)를 맞닿게 하고 또한 타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상기 맞닿음부(20)에 대향하는 대향부(22)를 맞닿게 또는 접속시키도록 제동기구(2)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맞닿음부(20)와 대향부(22)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제동기구(2)의 유체저항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동기구(2)의 저항 발생체(23)를 피스톤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실린더(230a)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230)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댐퍼(23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측에 대향하는 실린더(230a)의 외측단부에 맞닿음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가동체가 소정위치에서 이동종료위치로 향해서 강제적으로 이동될 때,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한 래치체는 제 1 탄지체의 탄지에 의해서 이동종료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맞닿음부가 후퇴하기 때문에, 가동체의 상기 강제적인 이동에는 제동기구의 유체저항이 제동력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맞닿음부가 후퇴할 때에는, 제 2 탄지체가 상기 맞닿음부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제 2 탄지체(21)의 탄지력도 가동체(M)의 강제적인 이동에 대한 제동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이동종료위치에 있는 가동체는 제 1 탄지체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복동시킬 필요가 있지만, 상기 가동체의 복동시에는 제 2 탄지체의 탄지에 의해서 래치체가 대기위치로 향해서 이동한 만큼 맞닿음부가 전진하기 때문에, 가동체의 상기 복동조작에는 제동기구의 유체저항이 작용하는 일이 없다.
상기 강제이동기구를 2개 구비하되, 상기 2개의 강제이동기구를 각각의 래치체의 후단측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2개의 강제이동기구의 각각의 래치체의 후단 사이에, 일측의 강제이동기구의 래치체의 후단에 맞닿음부를 맞닿게 하고 또한 타측의 강제이동기구의 래치체의 후단에 상기 맞닿음부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맞닿게 또는 접속시키도록 제동기구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맞닿음부와 대향부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상기 맞닿음부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제동기구의 유체저항이 작용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가동체를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에도 또는 이것과는 반대인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에도 소정위치에서 이동종료위치까지는 상기 유체저항을 통해서 제 1 탄지체의 탄지에 의한 강제적인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제동기구에 있어서의 저항 발생체를 피스톤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실린더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댐퍼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의 돌출단부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돌출단부측에 대향하는 실린더의 외측단부에 맞닿음부를 형성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 경우, 제 2 탄지체를, 실린더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폐색단부와 피스톤과의 사이에 또는 실린더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의 돌출단부에 접속된 래치체와의 사이에 개재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강제이동기구를 구성하는 래치체가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한 후의 이동종료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이동 또한 가동체의 이동에 상기 댐퍼의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제 2 탄지체를 상기한 바와 같이 개재시킨 경우, 가동체의 복동시에는 상기 제 2 탄지체에 의해서 피스톤을 후퇴 전의 위치로 복귀시켜서, 대기위치에 다시 유지된 래치체의 후단에 제동기구의 맞닿음부를 다시 맞닿게 또는 근접시킬 수 있다.
상기 제동기구에 있어서의 저항 발생체를 로터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스테이터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로 한 경우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에 의하면, 가동체의 왕동시에는 소정위치에서 상기 가동체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동종료위치에서의 가동체의 복동조작에는 제동기구가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복동을 가능한 한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어시스트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가동체)이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어시스트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가동체)이 도 1의 상태에서 우측의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어시스트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가동체)이 도 1의 상태에서 좌측의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어시스트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어시스트장치의 종단면도(좌우 래치체는 모두 대기위치에 있음)
도 6은 어시스트장치의 일부 파단 평면도(좌우 래치체는 모두 대기위치에 있음)
도 7은 래치체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8은 스트라이커체와 래치체의 사시도
도 9는 장치 본체의 좌단의 요부 사시도
도 10은 어시스트장치의 좌단의 횡단면도(래치체는 대기위치에 있음)
도 11은 어시스트장치의 좌단의 횡단면도(래치체는 이동종료위치로 향한 상대적인 이동과정에 있음)
도 12는 도 1~도 11에 나타내는 어시스트장치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변경예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2는 어시스트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가동체)이 도 1의 상태에서 우측의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어시스트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가동체)이 도 1의 상태에서 좌측의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어시스트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어시스트장치의 종단면도(좌우 래치체는 모두 대기위치에 있음)
도 6은 어시스트장치의 일부 파단 평면도(좌우 래치체는 모두 대기위치에 있음)
도 7은 래치체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8은 스트라이커체와 래치체의 사시도
도 9는 장치 본체의 좌단의 요부 사시도
도 10은 어시스트장치의 좌단의 횡단면도(래치체는 대기위치에 있음)
도 11은 어시스트장치의 좌단의 횡단면도(래치체는 이동종료위치로 향한 상대적인 이동과정에 있음)
도 12는 도 1~도 11에 나타내는 어시스트장치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변경예의 일부 파단 사시도
이하 도 1~도 12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동체(M)의 어시스트장치(A)는 각종 가동체(M)를 그 소정위치에서 이동종료위치까지 강제적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 강제적인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어시스트장치(A)는 강제이동기구(1)와 제동기구(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어시스트장치(A)는 상기 가동체(M)측에 또는 이 가동체(M)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F)측에 구비하여 사용된다. 가동체(M) 및 지지체(F) 중 어시스트장치(A)를 구비하지 않은 측에는 스트라이커체(S)가 구비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어시스트장치(A)는 상면이 개구된 길고 좁은 케이스형상을 이루는 장치 본체(3)에 강제이동기구(1)와 제동기구(2)를 수납하여 구성하고 있다. 장치 본체(3)의 길이방향은 가동체(M)의 슬라이드 이동방향(x)과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시스트장치(A)에 의해서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문(Ma)의 이동을 보조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문(Ma)의 상단부에 어시스트장치(A)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미닫이문(Ma)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체(F)로서의 문틀(Fa)의 상부 미닫이문 홈(Fb) 내에 상기 스트라이커체(S)를 구비하고 있다.
강제이동기구(1)는 장치 본체(3)에 대기위치와 이동종료위치에 걸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체(10)와, 대기위치에 있는 래치체(10)에 이동종료위치로 향한 탄지력을 작용시키는 제 1 탄지체(1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대기위치에 유지된 래치체(10)에 상기 소정위치에서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고, 이 포착을 계기로 한 상기 유지의 해제에 의한 이동종료위치로의 래치체(10)의 제 1 탄지체(11)에 의한 상대이동에 의해서 가동체(M)가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가동체(M)의 복동시에는 상기 소정위치에서 래치체(10)가 스트라이커체(S)를 해방시킴과 아울러 대기위치에 다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문(Ma)의 상단부에 이 상단부의 전 길이에 걸쳐서 홈(M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홈(Mb)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상기 장치 본체(3)를 수납함에 의해서 상기 미닫이문(Ma)의 좌우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어시스트장치(A)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강제이동기구(1,1)와 1개의 제동기구(2)에 의해서 어시스트장치(A)를 구성하고 있다. 제동기구(2)는 2개의 강제이동기구(1,1) 사이에{도시한 예에서는 좌우 강제이동기구(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2개의 강제이동기구(1,1)는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스트라이커체(S)는 상기 상부 미닫이문 홈(Fb) 내에 상기 문틀(Fa)의 좌우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되어 있다. 문틀(Fa)의 좌우방향의 치수는 미닫이문(Ma)의 대략 2배의 치수로 되어 있다. 미닫이문(Ma)의 우단과 문틀(Fa)의 우측 기둥(Fc)의 사이와 미닫이문(Ma)의 좌단과 문틀(Fa)의 좌측 기둥(Fc)의 사이에 같은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중립위치에 미닫이문(Ma)이 있는 상태}에서는 미닫이문(Ma)이 좌우 스트라이커체(S)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좌우 강제이동기구(1,1)의 각각의 래치체(10,10)는 모두 대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다(도 1). 스트라이커체(S)는 미닫이문(Ma)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홈(Mb)을 통해서 어시스트장치(A) 내에 끼워지고, 또 상기 홈(Mb)을 통해서 미닫이문(Ma)에서 빠지도록 되어 있다.
우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는 대기위치에서 장치 본체(3)의 우단에 유지됨과 아울러, 미닫이문(Ma)이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소정위치에서 우측의 스트라이커체(S)를 포착하고, 이것을 계기로 하여 이동종료위치로 상대이동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미닫이문(Ma)의 우단을 문틀(Fa)의 우측 기둥(Fc)에 맞닿게 하는 이동종료위치까지 미닫이문(Ma)의 우측으로의 강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상기 우측의 이동종료위치에서 미닫이문(Ma)을 복동시키면, 즉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 1 탄지체(11)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면서 우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가 대기위치를 향해서 상대이동하게 되며, 상기 소정위치에서 우측의 스트라이커체(S)를 해방시킴과 아울러 장치 본체(3)의 우단에 다시 유지되게 된다. 그 동안 좌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는 대기위치에서 장치 본체(3)의 좌단에 계속 유지되어 있다.
또, 좌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는 대기위치에서 장치 본체(3)의 좌단에 유지됨과 아울러, 미닫이문(Ma)이 좌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소정위치에서 좌측의 스트라이커체(S)를 포착하고, 이것을 계기로 하여 이동종료위치로 상대이동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미닫이문(Ma)의 좌단을 문틀(Fa)의 좌측 기둥(Fc)에 맞닿게 하는 이동종료위치까지 미닫이문(Ma)의 좌측으로의 강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도 1 및 도 3).
상기 좌측의 이동종료위치에서 미닫이문(Ma)을 복동시키면, 즉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 1 탄지체(11)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면서 좌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가 대기위치를 향해서 상대이동하게 되며, 상기 소정위치에서 좌측의 스트라이커체(S)를 해방시킴과 아울러 장치 본체(3)의 좌단에 다시 유지되게 된다. 그 동안 우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는 대기위치에서 장치 본체(3)의 우단에 계속 유지되어 있다.
한편, 제동기구(2)는 강제이동기구(1)를 구성하는 래치체(10)와 맞닿는 맞닿음부(20)를 구비하며, 래치체(10)의 이동종료위치로의 이동에 수반되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에 저항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제동기구(2)는 상기 맞닿음부(20)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탄지체(2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개의 강제이동기구(1,1)의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 사이에, 일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도시한 예에서는 우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맞닿음부(20)가 맞닿도록 또한 타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도시한 예에서는 좌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상기 맞닿음부(20)에 대향하는 대향부(22)가 접속되도록, 제동기구(2)를 개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맞닿음부(20)와 대향부(22)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제동기구(2)의 유체저항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대적인 후퇴"란, 맞닿음부(20)는 움직이지 않고 이 맞닿음부(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대향부(22)가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체(M)로서 미닫이문(Ma)을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에도 또는 이것과는 반대인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에도 소정위치에서 이동종료위치까지는 상기 유체저항을 통해서 제 1 탄지체(11)의 탄지에 의한 강제적인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동체(M)가 소정위치에서 이동종료위치로 향해서 강제적으로 이동될 때, 스트라이커체(S)를 포착한 래치체(10)는 제 1 탄지체(11)의 탄지에 의해서 이동종료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맞닿음부(20)가 후퇴하기 때문에, 가동체(M)의 상기 강제적인 이동에는 제동기구(2)의 유체저항이 제동력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맞닿음부(20)가 후퇴할 때에는, 제 2 탄지체(21)가 상기 맞닿음부(20)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제 2 탄지체(21)의 탄지력도 가동체(M)의 강제적인 이동에 대한 제동력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이동종료위치에 있는 가동체(M)는 제 1 탄지체(11)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는 크기의 힘으로 복동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우측 또는 좌측 기둥(Fc)에 우단 또는 좌단이 맞닿아 있는 미닫이문(Ma)은 제 1 탄지체(11)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는 크기의 힘을 작용시키지 않으면 개방시킬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가동체(M)의 복동시에 제 2 탄지체(21)의 탄지에 의해서 래치체(10)가 대기위치로 향해서 이동한 만큼 맞닿음부(20)를 전진시키기 때문에, 이 맞닿음부(20)의 전진에 의해서 가동체(M)의 복동조작에는 제동기구(2)의 유체저항이 작용하는 일이 없다.
도시한 예와는 달리, 지지체(F)로서의 문틀(Fa)측에 어시스트장치(A)를 설치할 경우에는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문(Ma)의 상단부의 좌우에 스트라이커체(S)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미닫이문(Ma)을 우측으로 완전히 닫을 때에는 미닫이문(Ma)의 좌측의 스트라이커체(S)를 어시스트장치(A)의 좌측의 래치체(10)가 소정위치에서 포착하고, 상기 래치체(10)의 우측으로의 제 1 탄지체(11)에 의한 탄지 이동에 의해서 미닫이문(Ma)이 우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미닫이문(Ma)을 좌측으로 완전히 닫을 때에는 미닫이문(Ma)의 우측의 스트라이커체(S)를 어시스트장치(A)의 우측의 래치체(10)가 소정위치에서 포착하고, 상기 래치체(10)의 좌측으로의 제 1 탄지체(11)에 의한 탄지 이동에 의해서 미닫이문(Ma)이 좌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강제이동기구(1)를 구성하는 래치체(10)는 래치 베이스(101)와 캐쳐(102)와 플런저(103)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와 좌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에 좌측의 래치체(10)만을 나타내고, 우측의 래치체(1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장치 본체(3)는 그 상하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형성된 칸막이부(30)에 의해서, 상기 칸막이부(30)를 저면으로 하는 상부실(上部室)(31)과 상기 칸막이부(30)를 상면으로 하는 하부실(32)로 구분되어 있다. 상부실(31)의 좌우 양단은 각각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체(S)가 미닫이문(Ma)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홈(Mb)을 통해서 상기 소정위치에서 상부실(31) 내에 끼워져서 대기위치에 있는 래치체(10){구체적으로는 상기 캐쳐(102)}에 포착되도록 되어 있다. 래치 베이스(101)는 상기 장치 본체(3)의 상부실(31)을 형성하는 1쌍의 측벽(33,33){래치체(1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측벽(33)} 사이에 틈새 적게 수납되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또, 래치 베이스(101)는 그 길이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 선단측{우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에서는 장치 본체(3)의 우단에 위치하는 측, 좌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에서는 장치 본체(3)의 좌단에 위치하는 측}을 캐쳐(102) 및 플런저(103)의 조립부(101a)로 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부(30)에는 래치체(10)의 이동 중심선(y)을 따르는 분할홈(3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래치 베이스(101)에는 상기 분할홈(30a)을 통해서 하부실(32) 내에 끼워지는 부착부(101b)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우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를 구성하는 래치 베이스(101)의 부착부(101b)와 좌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를 구성하는 래치 베이스(101)의 부착부(101b)를 하부실(32) 내에 수납된 인장 코일 스프링(110)을 통해서 연계시키고 있다(도 5).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110)에 의해서, 우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는 스트라이커체(S)의 포착을 계기로 하여 대기위치에서의 유지가 해제되면 좌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또 좌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는 스트라이커체(S)의 포착을 계기로 하여 대기위치에서 유지가 해제되면 우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110)이 상기 제 1 탄지체(11)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캐쳐(102)는 래치 베이스(101)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1쌍의 협지편(102a,102a)으로 구성되어 있다. 1쌍의 협지편(102a,102a)은 각각 래치체(1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즉, 가동체(M)의 슬라이드 이동방향(x)}으로 긴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그 길이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어서의 세로방향의 축(102b)을 통해서 래치 베이스(101)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한편, 플런저(103)는 1쌍의 협지편(102a,102a)의 사이에서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조립부(101a)에 지지되어 있다. 플런저(103)는 그 전단(103b)과 후단의 사이에, 상기 1쌍의 협지편(102a,102a)에 있어서의 회동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개소에 형성된 피걸림부(102c)에 걸리는 걸림부(103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03)는 상기 조립부(101a)에 수납된 압축 코일 스프링(104)에 의해서 항시 전방으로 향한 탄지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플런저(103)에 있어서의 걸림부(103a)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개소{전단(103b)}는 1쌍의 협지편(102a,102a)에 있어서의 회동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1쌍의 협지편(102a,102a)의 전단부의 사이에 항시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도 10 및 도 11).
장치 본체(3)의 좌우 양 단부에는 각각 상부실(31)의 1쌍의 측벽(33,33)에 1쌍의 협지편(102a,102a)의 전단부가 끼워지는 창구멍(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장치 본체(3)의 좌우 양 단부에 있어서는 각각 상기 분할홈(30a)이 광폭으로 된 광폭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광폭부(30b)에 의해서 래치체(1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걸어맞춤부(30c)가 상기 래치체(10)의 이동 중심선(y)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래치체(10)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104)에 의해서 항시 전방으로 탄지되는 플런저(103)의 걸림부(103a)가 피걸림부(102c)를 후방에서 누름으로써, 캐쳐(102)를 구성하는 1쌍의 협지편(102a,102a)은 그 전단부가 창구멍(34)에 끼워지도록 그 전단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1쌍의 협지편(102a,102a)간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고, 또한 그 후단부가 그 후단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1쌍의 협지편(102a,102a)간의 간격이 점차 좁혀지는 자세로 유지된다(도 10). 또, 이 상태에서는 1쌍의 협지편(102a,102a)의 전단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02e)가 상기 걸어맞춤부(30c)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 1 탄지체(11)의 탄지에 의해서 이것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래치체(10)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래치체(10)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문(Ma)을 상기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즉 미닫이문(Ma)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어시스트장치(A)의 우측에 있어서 대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래치체(10)에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게 되거나, 또는 미닫이문(Ma)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어시스트장치(A)의 좌측에 있어서 대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래치체(10)에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게 되면, 캐쳐(102)를 구성하는 1쌍의 협지편(102a,102a) 사이로 판형상을 이루는 스트라이커체(S)가 끼워져 들어가서 플런저(103)의 전단(103b)을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도 8 및 도 11). 그리고, 상기 압압에 의해서 플런저(103)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04)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면서 후퇴함과 아울러, 이와 같이 후퇴하는 플런저(103)의 걸림부(103a)에 의해서 1쌍의 협지편(102a,102a)의 후단부측이 눌려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1쌍의 협지편(102a,102a)은 그 전단부측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도 10 및 도 11).
도시한 예에서는, 1쌍의 협지편(102a,102a)의 전단의 내측에는 후크부(102d)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스트라이커체(S)에는 상기 후크부(102d)가 끼워져 걸리는 구멍부(S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1쌍의 협지편(102a,102a)의 전단부측이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1쌍의 협지편(102a,102a)의 전단부측 사이에 끼워진 스트라이커체(S)의 구멍부(Sa)에 협지편(102a)의 후크부(102d)가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소정위치에서 래치체(10)에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와 같이 래치체(10)에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면, 1쌍의 협지편(102a,102a)의 전단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02e,102e)가 각각 래치체(10)의 이동 중심선(y)상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피걸어맞춤부(102e)는 상기 분할홈(30a)에 끼워지는 위치에 이르도록 되어 있다(도 11). 이것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부(30c)와 피걸어맞춤부(102e)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즉 대기위치에 있어서의 래치체(10)의 유지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걸어맞춤부(102e)가 상기 분할홈(30a)에 끼워지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상기 제 1 탄지체(11)의 탄지에 의해서 래치체(10)가 이동종료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1쌍의 협지편(102a,102a)은 장치 본체(3)의 상부실(31)의 1쌍의 측벽(33,33) 사이에 끼워져서 그 전단부측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1쌍의 협지편(102a,102a)은 그 이동치수만큼 미닫이문(Ma)이 왕동되어 이동종료위치에 이르도록 되어 있다.
이동종료위치에 이르른 미닫이문(Ma)을 복동시키면, 스트라이커체(S)를 포착하고 있는 래치체(10)가 제 1 탄지체(11)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면서 대기위치로 향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복동에 의해서 미닫이문(Ma)이 소정위치에 다시 이르면, 스트라이커체(S)가 1쌍의 협지편(102a,102a) 사이에서 빠져 나가는 방향으로의 힘의 작용을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04)의 탄지에 의한 플런저(103)의 전진이 허용되게 되며, 캐쳐(102)를 구성하는 1쌍의 협지편(102a,102a)이 상기 플런저(103)의 전진에 의해서 그 전단부가 창구멍(34)에 끼워지도록 그 전단부측이 개방됨으로써 스트라이커체(S)가 해방됨과 아울러, 상기 피걸어맞춤부(102e)가 상기 걸어맞춤부(30c)에 다시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대기위치에 유지된다(도 11 및 도 10).
도 1~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동기구(2)에 있어서의 저항 발생체(23)를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실린더(230a)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230)로 하고 있다. 상기 댐퍼(230)는 피스톤 댐퍼 등으로 불리운다. 상기 유체로서는 전형적으로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가 사용되지만, 이것을 기체로 하여도 괜찮다. 상기 피스톤은 래치체(10)의 이동 중심선(y)상을 왕복운동하도록 실린더(230a)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에는 피스톤 로드(230b)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댐퍼(23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측에 대향하는 실린더(230a)의 외측단부가 2개의 강제이동기구(1,1) 중 일측의 래치체(10){도 5에서는 우측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대한 맞닿음부(20)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가 2개의 강제이동기구(1,1) 중 타측의 래치체(10){도 5에서는 좌측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접속된 대향부(22)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강제이동기구(1,1) 중 일측의 래치체(10)가 스트라이커체(S)를 포착한 후의 이동종료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이동 또한 가동체(M)의 이동에 상기 댐퍼(230)의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제 2 탄지체(21)를 실린더(230a)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30a)와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에 접속된 래치체(10)와의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제 2 탄지체(21)는 그 일단을 실린더(230a)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측의 외측단부에 맞닿게 하고, 또한 내측에 피스톤 로드(230b)를 통해서 타단을 도 5에 있어서의 좌측에 위치하는 래치체(10)의 래치 베이스(101)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형성된 단차부(101c)에 맞닿게 한 압축 코일 스프링(21A)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시한 예에서는, 가동체(M)의 복동시에는 상기 제 2 탄지체(21)에 의해서 피스톤을 후퇴 전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대기위치에 다시 유지된 래치체(10)의 후단(100)에 제동기구(2)의 맞닿음부(20)를 다시 맞닿게 또는 근접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와는 별도로, 상기 제 2 탄지체(21)는 실린더(230a)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30a)의 폐색단부와 피스톤과의 사이에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2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동기구(2)에 있어서의 저항 발생체(23)를 도시하지 않은 로터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스테이터(231a)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231)로 하고 있다. 상기 댐퍼(231)는 회전식 덤퍼 등으로 불리운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동기구(2)는, 전단(前端)을 2개의 강제이동기구(1,1) 중 일측의 래치체(10){도 12에서는 우측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대한 맞닿음부(20)로 한 길고 좁은 제 1 부재(24)와, 전단을 2개의 강제이동기구(1,1) 중 타측의 래치체(10){도 12에서는 좌측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접속된 대향부(22)로 한 제 2 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24,25)는 래치체(10)의 이동 중심선(y)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장치 본체(3) 내에 수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부재(24)의 후단(24a)과 2개의 강제이동기구(1,1) 중 타측의 래치체(10)의 후단(100)과의 사이에 상기 제 2 탄지체(21)가 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21A)이 개재되어 있다. 또, 제 2 부재(25)의 후단에는 로터의 회전축이 상기 이동 중심선(y)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댐퍼(231)의 스테이터(231a)가 고정되어 있다. 로터의 외단에는 피니언(231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1 부재(24)의 전단과 후단(24a)의 사이에는 상기 피니언(231b)이 맞물리는 래크(24b)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강제이동기구(1,1) 중 일측의 래치체(10){도 12에서는 우측의 래치체(10)}가 이동종료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는, 대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타측의 래치체(10){도 12에서는 좌측의 래치체(10)}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일측의 래치체(10)의 도 1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의 상대적인 이동, 즉 가동체(M)의 도 12에 있어서의 우측으로의 왕동에 댐퍼(231)의 제동력이 작용한다.
이동종료위치에 있는 가동체(M)를 도 1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향해서 복동시키면, 제 1 탄지체(11)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면서 일측의 래치체(10)가 도 12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제 2 탄지체(21)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1 부재(24)도 도 12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의 도 12에 있어서의 우측의 래치체(10)의 동작과 방향을 반대로 하는 같은 동작을, 2개의 강제이동기구(1,1) 중 타측의 래치체(10){도 12에서는 좌측의 래치체(10)}가 가동체(M)의 도 1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의 왕동시 및 이동종료위치에서의 복동시에 하게 된다.
1 - 강제이동기구 10 - 래치체
11 - 제 1 탄지체 S - 스트라이커체
M - 가동체 2 - 제동기구
20 - 맞닿음부 21 - 제 2 탄지체
11 - 제 1 탄지체 S - 스트라이커체
M - 가동체 2 - 제동기구
20 - 맞닿음부 21 - 제 2 탄지체
Claims (5)
- 지지체(F) 및 상기 지지체(F)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체(M)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체(F) 및 상기 가동체(M) 중 타측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체(S)를 가동체(M)가 소정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포착하고서 상기 가동체(M)를 이동종료위치까지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강제이동기구(1)와 제동기구(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강제이동기구(1)는 장치 본체(3)에 대기위치와 이동종료위치에 걸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체(10)와, 대기위치에 있는 래치체(10)에 이동종료위치로 향한 탄지력을 작용시키는 제 1 탄지체(11)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기위치에 유지된 래치체(10)에 상기 소정위치에서 스트라이커체(S)가 포착되고, 이 포착을 계기로 한 상기 유지의 해제에 의한 이동종료위치로의 래치체(10)의 이동 또는 상대이동에 의해서 가동체(M)가 이동종료위치까지 이동하고, 가동체(M)의 복동시에는 상기 소정위치에서 래치체(10)가 스트라이커체(S)를 해방시킴과 아울러 대기위치에 다시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동기구(2)는 강제이동기구(1)를 구성하는 래치체(10)에 대한 맞닿음부(20)를 구비하며, 래치체(10)의 이동종료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에 저항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맞닿음부(20)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탄지체(21)를 구비하고,
2개의 강제이동기구(1,1)를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측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2개의 강제이동기구(1,1)의 각각의 래치체(10,10)의 후단(100,100) 사이에, 일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맞닿음부(20)를 맞닿게 하고 또한 타측의 강제이동기구(1)의 래치체(10)의 후단(100)에 상기 맞닿음부(20)에 대향하는 대향부(22)를 맞닿게 또는 접속시키도록 제동기구(2)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맞닿음부(20)와 대향부(22)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상기 맞닿음부(20)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제동기구(2)의 유체저항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동기구(2)의 저항 발생체(23)를 피스톤의 후퇴 또는 상대적인 후퇴에 실린더(230a)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230)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댐퍼(23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측에 대향하는 실린더(230a)의 외측단부에 맞닿음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지체(21)를, 실린더(230a)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30a)의 폐색단부와 피스톤과의 사이에 또는 실린더(230a)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30a)와 피스톤 로드(230b)의 돌출단부에 접속된 래치체(10)와의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구(2)에 있어서의 저항 발생체(23)를 로터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스테이터(231a) 내의 유체의 유체저항을 작용시키는 댐퍼(231)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168474A JP2011021414A (ja) | 2009-07-17 | 2009-07-17 |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
JPJP-P-2009-168474 | 2009-07-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7955A KR20110007955A (ko) | 2011-01-25 |
KR101183710B1 true KR101183710B1 (ko) | 2012-09-17 |
Family
ID=4344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7282A KR101183710B1 (ko) | 2009-07-17 | 2010-07-13 |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455571A4 (ko) |
JP (1) | JP2011021414A (ko) |
KR (1) | KR101183710B1 (ko) |
CN (1) | CN102472073B (ko) |
WO (1) | WO201100773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401569B1 (it) * | 2010-08-04 | 2013-07-26 | Cinetto F Lli Srl | Dispositivo di frenata del movimento di apertura e chiusura di una parte scorrevole di un mobile o serramento. |
JP5764375B2 (ja) | 2011-04-19 | 2015-08-19 | 株式会社ニフコ | 可動体の可動装置 |
JP5926949B2 (ja) * | 2011-12-21 | 2016-05-25 | 株式会社ニフコ |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
ITTV20130072A1 (it) * | 2013-05-09 | 2014-11-10 | Bortoluzzi Sistemi Spa | Dispositivo di smorzamento o richiamo per ante scorrevoli |
JP5918308B2 (ja) * | 2014-06-20 | 2016-05-18 |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 開閉体緩衝装置 |
ITMI20140344U1 (it) | 2014-11-11 | 2016-05-11 | Bortoluzzi Sistemi Spa | Dispositivo di smorzamento o richiamo per ante scorrevoli |
ITMI20140345U1 (it) | 2014-11-11 | 2016-05-11 | Bortoluzzi Sistemi Spa | Dispositivo di smorzamento o richiamo per ante scorrevoli o per cassetti |
ITMI20140368U1 (it) | 2014-11-24 | 2016-05-24 | Bortoluzzi Sistemi Spa | Dispositivo di smorzamento o richiamo per ante scorrevoli o per cassetti |
ES2871134T3 (es) * | 2016-01-29 | 2021-10-28 | Foshan Ideal Co Ltd | Estructura de apertura/cierre de la puerta del cuarto de ducha de posicionamiento suave, amortiguado y completamente oculto |
JP7079928B2 (ja) * | 2018-03-27 | 2022-06-03 | マツ六株式会社 | 戸体移動装置 |
IT202100016376A1 (it) * | 2021-06-22 | 2022-12-22 | Metalglas Bonomi S R L | Sistema a pannelli mobili con dispositivo di bloccaggio e ammortizzazion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48553A (ja) * | 2005-06-15 | 2006-12-28 | Tostem Corp | 引戸の引き込み装置 |
JP2009127293A (ja) * | 2007-11-22 | 2009-06-11 | Shimodaira:Kk |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133229B1 (es) * | 1996-12-24 | 2000-04-16 | Talgo Patentes | Rodadura monoeje con ruedas independientes desplazables para vagones articulados de transporte de automoviles. |
CN1153194C (zh) * | 2002-01-29 | 2004-06-09 | 清华大学 | 一种带有磁性辅助支撑的物镜驱动装置 |
US6848759B2 (en) * | 2002-04-03 | 2005-02-01 | Illinois Tool Works Inc. | Self-closing slide mechanism with damping |
DE202004016396U1 (de) * | 2004-10-21 | 2005-01-05 | Julius Blum Gmbh | Dämpferanordnung |
JP2006299578A (ja) * | 2005-04-19 | 2006-11-02 | Meiko:Kk | 引戸又は引出しの引込み装置 |
JP2007092386A (ja) * | 2005-09-28 | 2007-04-12 | Shimodaira:Kk |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
JP5421538B2 (ja) | 2008-01-10 | 2014-02-19 | 株式会社日本テクナート | 絶縁耐電圧試験方法及び装置 |
-
2009
- 2009-07-17 JP JP2009168474A patent/JP2011021414A/ja active Pending
-
2010
- 2010-07-09 WO PCT/JP2010/061714 patent/WO201100773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7-09 CN CN201080032208.1A patent/CN10247207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7-09 EP EP10799793.4A patent/EP245557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7-13 KR KR1020100067282A patent/KR1011837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48553A (ja) * | 2005-06-15 | 2006-12-28 | Tostem Corp | 引戸の引き込み装置 |
JP2009127293A (ja) * | 2007-11-22 | 2009-06-11 | Shimodaira:Kk |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55571A4 (en) | 2014-11-19 |
WO2011007735A1 (ja) | 2011-01-20 |
EP2455571A1 (en) | 2012-05-23 |
KR20110007955A (ko) | 2011-01-25 |
CN102472073A (zh) | 2012-05-23 |
CN102472073B (zh) | 2014-06-25 |
JP2011021414A (ja) | 2011-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3710B1 (ko) |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 |
JP6644757B2 (ja) |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 |
JP4751607B2 (ja) | 自走往動させる機構、引き戸機構、および、引き出し機構 | |
WO2010047299A1 (ja) | 可動体のアシスト機構 | |
JP5165769B2 (ja) | ラッチ装置 | |
KR101933729B1 (ko) |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 |
US20130145580A1 (en) | Damping device for furniture parts | |
KR101453700B1 (ko) | 인입 장치 | |
KR101233874B1 (ko) | 회동체의 왕동기구 | |
JP5209768B2 (ja) | スライドドアの衝撃吸収用ダンパ | |
RU2516158C2 (ru) | Открывающее и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направляющей для выдвигания и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выдвигания | |
JP6516822B2 (ja) |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 |
KR20170142168A (ko) | 이동식 가구 부품용 이젝션 장치 | |
US20190008276A1 (en) | Furniture drive | |
KR101973230B1 (ko) |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 |
WO2010092697A1 (ja) | 移動体の移動装置 | |
WO2012098954A1 (ja) |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 |
JP2013130016A (ja) |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 |
KR101092781B1 (ko) | 래치장치 | |
JP5307769B2 (ja) | 自走往動させる機構 | |
JP5743563B2 (ja) | 可動体の往動機構 | |
JP6455883B2 (ja) | 開閉体緩衝装置 | |
KR101081173B1 (ko) | 래치장치 | |
JP2014004330A (ja) | 引出しキャビネット | |
JP2013241793A (ja) | 調整機構及びアシス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