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084A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084A
KR20140000084A KR1020120067458A KR20120067458A KR20140000084A KR 20140000084 A KR20140000084 A KR 20140000084A KR 1020120067458 A KR1020120067458 A KR 1020120067458A KR 20120067458 A KR20120067458 A KR 20120067458A KR 20140000084 A KR20140000084 A KR 20140000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connecting portion
connection
touch panel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김연수
송하윤
박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084A/ko
Priority to JP2012179253A priority patent/JP2014006861A/ja
Priority to US13/591,998 priority patent/US20130342476A1/en
Publication of KR2014000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어레이가 형성된 투명기판과, 상기 배선어레이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접속부와, 회로단자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 그리고 상기 회로단자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에 접합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 중 어느 하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홈부가 형성되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배선어레이와 연성회로기판의 얼라인이 용이하면서 접속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screen)이 개발되었다.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터치패널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패널과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이다.
종래 터치패널의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144152호에 개시된 터치패널을 들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 개시된 터치패널은 투명기판에 전극패턴이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기판은 전극패턴에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극패턴에서 연장되는 배선이 형성된다.
배선의 말단은 투명기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며, 연성회로기판은 투명기판의 가장자리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면서 배선의 말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연성회로기판은 배선과 접속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밀한 얼라인(align) 공정을 수반하여 배선과 접속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 터치패널의 배선과 연성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연성회로기판의 단부가 투명기판의 가장자리에 접착되면서 배선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연성회로기판과 배선 간 정밀한 얼라인이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연성회로기판이 배선에 맞춰 배열된 경우에도, 연성회로기판은 투명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가압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 가압 과정에서 연성회로기판의 단부가 움직이면서 제 위치를 이탈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연성회로기판과 배선의 접속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연성회로기판과 배선의 얼라인 공정이 용이한 터치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성회로기판과 배선 간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배선어레이가 형성된 투명기판; 상기 배선어레이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접속부; 회로단자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 및 상기 회로단자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에 접합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 중 어느 하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길이 전체에서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의 길이 전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다수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홈부가 다수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기 홈부는 폭 방향 단면이 'V'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폭 방향 단면이 삼각형 형상 또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길이와 폭이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상기 투명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투명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안내부(案內部);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가 서로 접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명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폭 방향 양측은 상기 안내부의 일면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기 안내부는 일면에 테이퍼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배선어레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회로단자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또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ACA)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에 서로 대응하는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배선어레이와 연성회로기판의 상호 배열이 용이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돌출부와 홈부가 다수로 형성되면서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각 일면이 서로 대응하는 요철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얼라인 작업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상호 접합을 위한 제 위치로 배열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각 일면이 단순한 평면이 아닌 요철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상호 접합되었을 때 접속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접합되기 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접합되기 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은, 배선어레이(120)가 형성된 투명기판(100)과, 상기 배선어레이(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접속부(300)와, 회로단자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200) 및 상기 회로단자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300)에 접합되는 제2 접속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속부(300) 및 상기 제2 접속부(400) 중 어느 하나는 돌출부(41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홈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300)와 상기 제2 접속부(400)는 상기 돌출부(411)가 상기 홈부(311)에 삽입되어 상호 접합된다.
투명기판(100)은 전극(110)과 배선어레이(120)가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투명기판(100)은 전극(110) 및 배선어레이(1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화상표시장치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술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투명기판(1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110)은 사용자의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미도시)에서 터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극(110)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배선어레이(120)에 포함되는 배선(121)을 통해 컨트롤러(미도시)로 전달된다.
배선어레이(120)는 전극(11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배선(1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선(121)은 전기전도도가 높고 가공이 용이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은 예컨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배선(121)의 일단부는 전극(110)에 연결되며, 배선(121)의 타단부는 비활성 영역인 투명기판(100) 일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배선어레이(120)가 다수의 배선(121)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배선(121)의 타단부는 배선어레이(120)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200)의 폭을 고려하여 투명기판(100)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수의 배선(121)의 타단부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면서 형성되는 배선어레이(120)의 타단부는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200)(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배선어레이(120) 및 연성회로기판(20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를 포함한다.
제1 접속부(300)는 배선어레이(12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제1 접속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어레이(120)가 다수의 배선(121)을 포함하는 경우에 다수의 배선(121)에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 접속부(3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 접속부(310)는 배선(121)과 상이한 선폭이나 형상을 가지면서 배선(121)의 단부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접속부(300)는 배선(121)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단위 접속부(310)는 배선(121)의 단부 자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수의 제1 단위 접속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여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제2 접속부(400)는 연성회로기판(200)의 일면에 형성된 회로단자(미도시)에서 형성된다.
회로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12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회로단자에서 형성되는 제2 접속부(400) 또한 제1 접속부(300)와 마찬가지로 다수로 된 제2 단위 접속부(4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위 접속부(410)는 회로단자에서 회로단자와 상이한 형상을 가지면서 별도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속부(400)는 회로단자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회로단자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단위 접속부(410)는 회로단자 자체일 수도 있다.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 중 어느 하나는 돌출부(4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홈부(311)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일 예로서 제2 접속부(400)에 돌출부(411)가 형성되고, 제1 접속부(300)에 홈부(311)가 형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시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300)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면서 형성된다. 제2 접속부(400) 또한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면서 형성된다. 이때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가 각각 투명기판(100)과 연성회로기판(200)에서 차지하는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 간 접합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는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 간 접합 면적이 최대가 될수록 배선어레이(120)와 연성회로기판(200) 간 접속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제2 접속부(400)에 형성되는 돌출부(411)는 제2 접속부(400)의 길이를 따라 제2 접속부(400)의 길이 전체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속부(300)에 형성되는 홈부(311) 또한 제1 접속부(300)의 길이를 따라 제2 접속부(400)의 길이 전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 간 접합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돌출부(411)는 제2 접속부(4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속부(400)를 구성하는 제2 단위 접속부(410)가 다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단위 접속부(410)마다 하나의 돌출부(411)가 형성되면서 돌출부(411)는 다수의 돌출부(4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다수의 돌출부(411)는 다수의 제2 단위 접속부(410)의 집합체로 된 제2 접속부(40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다수의 돌출부(411)가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2 접속부(400)의 일면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제2 접속부(40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면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홈부(311) 또한 마찬가지다. 홈부(311)는 제1 접속부(3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300)를 구성하는 제1 단위 접속부(310)가 다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단위 접속부(310)마다 하나의 홈부(311)가 형성되면서 홈부(311)는 다수의 홈부(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다수의 홈부(311)는 다수의 단위 접속부의 집합체로 된 제1 접속부(30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다수의 홈부(311)가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1 접속부(300)의 일면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제1 접속부(30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면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311)는 폭 방향 단면이 'V'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411)는 폭 방향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홈부(311)에 돌출부(411)가 삽입되었을 때 홈부(311) 면에 대향하는 돌출부(411) 면의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돌출부(411)의 면이 홈부(311) 면에 전체적으로 대향하게 하기 위해서는 홈부(311) 면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각도와 이와 대향하는 돌출부(411)를 형성하는 경사면의 각도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돌출부(411)와 홈부(311)는 상술한 형상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의 각 일면에 상기한 요철면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배선(121) 어레이에 포함되는 배선(121)은 투명기판(100)에 도금이나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배선(121)이 은염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노광/현상 처리를 거쳐 투명기판(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배선(1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부 자체가 곧 제1 단위 접속부(310)가 될 수 있으며, 제1 접속부(300)는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다수의 제1 단위 접속부(3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1 접속부(300)은 형성하고자 하는 요철면에 대응하는 요철면을 갖는 가압체(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접속부(300)의 일면이 물리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선(121)이 은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배선(121)은 노광/현상 처리 과정에서 건조될 때 수축되는 변형이 이루어지는데, 이 변형 과정에서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일측에 요철면이 형성된 별도의 틀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틀은 틀에 형성된 요철면이 제1 접속부(300)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예컨대 투명기판(100)상에 얼라인될 수 있으며, 은염으로 된 배선(121)의 제1 접속부(300)는 상기한 수축과정에서 틀에 형성된 요철면에 대응하는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200)에 형성되는 제2 접속부(400) 또한, 제2 접속부(400)의 일면을 요철면이 형성된 별도의 가압체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11)가 형성된 제2 접속부(400)의 면이 홈부(311)가 형성된 제1 접속부(300)의 면에 일치하여 접촉되면서 서로 접합된다. 이때,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가 서로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350)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접착층(350)은 예컨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또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AC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는 상기한 접착층(350)이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에 개재된 상태에서 연성회로기판(200)의 타면이 가압되면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접속부(300)의 일면과 제2 접속부(400)의 일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요철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착층(350)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는 더욱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의 돌출부(411)와 비교하여 그 구체적인 형상에 있어서 다른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의 돌출부(412)는 폭 방향의 단면이 등변(等邊)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412)는 단면이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돌출부(412)의 선단부가 평면을 이루게 된다.
홈부(311)는 미세한 폭과 깊이를 갖게 되는데, 돌출부(412)가 제1 실시예처럼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돌출부(411)는 홈부(311)에 홈부(311)의 깊이만큼 최대한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412)가 돌출부(412)의 높이만큼 홈부(311)에 최대한 깊이 삽입되기 위해서는 돌출부(412)의 높이가 감소될 필요가 있다. 돌출부(412)의 높이가 감소되도록 하기 위해서 돌출부(412)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돌출부(411, 도 3 참조)의 선단부가 절개된 것처럼, 돌출부(412)의 선단부가 평면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부(412)는 단면이 등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에서, 상기 투명기판(100)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200)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투명기판(100)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제1 접속부(300) 또는 상기 제2 접속부(400)의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안내부(案內部)를 더 포함한다.
안내부는 상호 접합되는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가 폭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안내부는 투명기판(100) 및 연성회로기판(200)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된다. 도 5a는 연성회로기판(200)에서 안내부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는 투명기판(100)에서 안내부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내부(510)는 연성회로기판(200)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부(510)는 제2 접속부(400)의 폭 방향 양측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안내부(510)는 돌출되는 높이가 제2 접속부(4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안내부(510)는 안내부(510)의 단부 일면(510a)이 제2 접속부(400)의 폭 방향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411)의 경사면(411a)을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안내부(510)의 단부 일면(510a)과 경사면(411a) 사이에 틈(401)이 형성된다.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는 서로 접합되는 과정에서 제1 접속부(300)의 폭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홈부(311)의 외곽 쪽 일측(311a)이 안내부(510)의 일면(510a)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일측(311a)이 상기한 일면(510a)을 경계로 폭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는 폭 방향으로 어긋남이 없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도 5b는, 안내부(520)가 투명기판(100)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된 예를 제시한다. 그리고 안내부(520)는 제1 접속부(300)의 폭 방향 양측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안내부(520)는 돌출되는 높이가 제1 접속부(3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부(520)의 단부는 제1 접속부(300)의 폭 방향 양단에 형성된 홈부(311)보다 더 높게 형성되면서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는 서로 접합되는 과정에서 제2 접속부(400)의 폭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411)의 외곽 쪽 일측(411a)이 안내부(500)의 단부 일면(520a)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상기한 일측(411a)이 상기한 일면(520a)을 경계로 폭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는 폭 방향으로 어긋남이 없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안내부(510,52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단부의 일면(510a,520a)에 돌출부(411)의 일측(411a) 또는 홈부(311)의 일측(311a)이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테이퍼면(512,5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2,3)은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에 서로 대응하는 돌출부(411,412)와 홈부(311)가 형성됨으로써 배선어레이(120)와 연성회로기판(200)의 상호 배열이 용이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돌출부(411,412)와 홈부(311)가 다수로 형성되면서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의 각 일면이 서로 대응하는 요철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얼라인 작업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상호 접합을 위한 제 위치로 배열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의 각 일면이 단순한 평면이 아닌 요철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접속부(300)와 제2 접속부(400)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상호 접합되었을 때 접속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2,3; 터치패널 100; 투명기판
110; 전극 120; 배선어레이
121; 배선 200; 연성회로기판
300; 제1 접속부 310; 제1 단위 접속부
311; 홈부 400; 제2 접속부
410; 제2 단위 접속부 411,412; 돌출부
510,520; 안내부 512,522;테이퍼면

Claims (10)

  1. 배선어레이가 형성된 투명기판;
    상기 배선어레이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접속부;
    회로단자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 및
    상기 회로단자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에 접합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 중 어느 하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길이 전체에서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의 길이 전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다수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홈부가 다수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폭 방향 단면이 'V'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폭 방향 단면이 삼각형 형상 또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길이와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투명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안내부(案內部);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가 서로 접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명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폭 방향 양측은 상기 안내부의 일면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일면에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배선어레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회로단자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또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ACA)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1020120067458A 2012-06-22 2012-06-22 터치패널 KR20140000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58A KR20140000084A (ko) 2012-06-22 2012-06-22 터치패널
JP2012179253A JP2014006861A (ja) 2012-06-22 2012-08-13 タッチパネル
US13/591,998 US20130342476A1 (en) 2012-06-22 2012-08-22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58A KR20140000084A (ko) 2012-06-22 2012-06-22 터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84A true KR20140000084A (ko) 2014-01-02

Family

ID=4977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458A KR20140000084A (ko) 2012-06-22 2012-06-22 터치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342476A1 (ko)
JP (1) JP2014006861A (ko)
KR (1) KR201400000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852A (ko) * 2014-03-06 2015-09-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20160080249A (ko) * 2014-12-29 2016-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14663B2 (en) 2020-02-24 2023-03-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430B1 (ko) * 2014-06-19 2021-06-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파워 코일 패턴이 형성된 터치 팬을 이용한 터치 패널
CN108563363B (zh) 2018-04-27 2020-0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模组、显示装置及透明光学胶层结构
CN108877501A (zh) * 2018-07-02 2018-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4828410A (zh) * 2022-04-26 2022-07-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邦定结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527A (ja) * 1994-07-04 1996-02-02 Whitaker Corp:The 基板用コネクタ
JP3356581B2 (ja) * 1995-05-12 2002-1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回路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61849A (ja) * 1997-03-19 1998-09-29 Fujitsu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接続プリント基板構造
JP3613098B2 (ja) * 1998-12-21 2005-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基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833425B2 (ja) * 1999-10-27 2006-10-11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どうしの接続方法およびプリント基板
JP3697173B2 (ja) * 2000-05-25 2005-09-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253808B2 (en) * 2002-11-18 2007-08-07 Lg.Philips Lcd Co., Ltd. Touch screen syste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04081858A1 (ja) * 2003-03-10 2004-09-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メモリーカード用アダプタ
JP3909771B2 (ja) * 2004-04-28 2007-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79118B2 (ja) * 2004-05-11 2008-04-23 オムロン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
JP4345598B2 (ja) * 2004-07-15 2009-10-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路基板の接続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6156943A (ja) * 2004-09-28 2006-06-15 Seiko Epson Corp 配線パターンの形成方法、配線パターンおよび電子機器
US7768785B2 (en) * 2004-09-29 2010-08-03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Memory module assembly including heat-sink plates with heat-exchange fins attached to integrated circuits by adhesive
JP4664657B2 (ja) * 2004-11-30 2011-04-06 株式会社東芝 回路基板
CN101238244B (zh) * 2005-01-24 2011-03-30 株式会社昭和 采用阳极电解氧化处理的结晶性氧化钛被膜的制造方法
JP2006319050A (ja) * 2005-05-11 2006-11-24 Toshiba Corp 配線板、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US8061104B2 (en) * 2005-05-20 2011-11-22 Valinge Innovation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KR20070021677A (ko) * 2005-08-19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그 연결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8078628A (ja) * 2006-08-25 2008-04-03 Canon Inc 電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94496B2 (ja) * 2007-03-14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KR20080086245A (ko) * 2007-03-22 2008-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00023541A (ko) * 2008-08-22 201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542883B1 (ko) * 2008-09-24 2015-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밸런스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TWI415222B (zh) * 2009-04-06 2013-11-11 Canon Kk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084899B1 (ko) * 2010-03-26 2011-11-1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의 fpcb 접속구조
JP5551012B2 (ja) * 2010-07-29 2014-07-1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配線体接続構造体
KR101860858B1 (ko) * 2011-03-02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pcb 조립체 및 그것을 채용한 평판 표시 장치
JP5721588B2 (ja) * 2011-08-23 2015-05-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5798495B2 (ja) * 2012-01-13 2015-10-21 住友理工株式会社 配線体接続構造体
TWI504933B (zh) * 2012-06-13 2015-10-21 Innolux Corp 可切換式二維/三維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852A (ko) * 2014-03-06 2015-09-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20160080249A (ko) * 2014-12-29 2016-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14663B2 (en) 2020-02-24 2023-03-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06861A (ja) 2014-01-16
US20130342476A1 (en)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6062B2 (en)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55510B1 (ko) 터치패널
KR20140000084A (ko) 터치패널
KR101156866B1 (ko) 터치패널
US8956181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substrate and FPCB for touch panel
JP2013025783A (ja) タッチパネル
US20130277094A1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71863A (ko) 터치패널
US20140048315A1 (en) Touch panel
KR20140026129A (ko)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JP2010033310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20110107590A (ko) 터치패널
US20130161081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touch panel
KR20120089108A (ko) 터치패널
CN109074194B (zh) 传感器单元和具备该传感器单元的输入装置
KR20140021948A (ko) 터치패널
US8780067B1 (en) Bridging structure for signal transmission of touch panel
KR20150112233A (ko) 터치센서 모듈
US20150042605A1 (en) Touch sensor module
US20150123934A1 (en) Touch sensor module
KR20150021832A (ko) 터치센서 모듈
KR20160026069A (ko) 터치센서 모듈
KR102175544B1 (ko) 터치패널
KR20120039854A (ko) 터치패널
KR20140127640A (ko) 터치패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