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852A -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852A
KR20150104852A KR1020140026736A KR20140026736A KR20150104852A KR 20150104852 A KR20150104852 A KR 20150104852A KR 1020140026736 A KR1020140026736 A KR 1020140026736A KR 20140026736 A KR20140026736 A KR 20140026736A KR 20150104852 A KR20150104852 A KR 20150104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wiring
disposed
touch window
p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953B1 (ko
Inventor
이재홍
신준식
양준혁
구찬규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953B1/ko
Priority to US14/636,290 priority patent/US20150253903A1/en
Priority to CN201510101114.XA priority patent/CN104898909A/zh
Publication of KR2015010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전극; 상기 감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및 상기 배선의 끝단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배선의 표면 거칠기와 서로 다르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윈도우;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전극; 상기 감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및 상기 배선의 끝단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배선의 표면 거칠기와 서로 다르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본 기재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터치 디바이스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대표적으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전극 간 연결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소형 모델에 있어서는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 이러한 터치 패널에는 전기적 신호를 구동하는 회로 기판이 포함되는데, 회로 기판과 배선의 패드부 접합 시, 별도의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본딩 공정을 진행한다.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전극; 상기 감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및 상기 배선의 끝단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배선의 표면 거칠기와 서로 다르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윈도우;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전극; 상기 감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및 상기 배선의 끝단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배선의 표면 거칠기와 서로 다르다.
실시예에서는 배선의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과의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드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합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정확한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터치 윈도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 별도의 접착물질을 생략하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Ⅱ-Ⅱ’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Ⅲ-Ⅲ’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Ⅳ-Ⅳ’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적용되는 터치 디바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극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유효 영역(UA)에는 전극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배선(300)에 연결되는 외부 회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윈도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100)은 이 위에 형성되는 전극부(200), 배선(300) 및 회로 기판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은 일례로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인쇄층이 배치된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1도 인쇄, 2도 인쇄 또는 3도 인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원하는 외관에 따라 블랙잉크 또는 화이트 잉크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이후에 설명하는 배선(300) 등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인쇄층 상에는 원하는 로고 등을 구현하기 위해 패턴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극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전극부(200)가 바(bar)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200)는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전극부(200)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200)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부(200)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부(200)의 두 종류의 전극부(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0)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극부(200)는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메쉬 형상은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랜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무아레 현상이란, 주기적인 줄무늬가 겹쳐져서 생기는 무늬로, 이웃한 줄무늬들이 겹쳐지면서 줄무늬의 굵기가 굵어져 다른 줄무늬에 비해 도드라져 보이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도성 패턴 형상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부(200)는 전도성 패턴 개구부(OA) 및 전도성 패턴 선부(L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LA)의 선폭이 0.1 ㎛ 내지 10 ㎛ 가 될 수 있다. 선폭이 0.1 ㎛ 이하인 전도성 패턴 선부(LA)는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할 수 있다. 선폭이 10 ㎛ 이하일 경우, 전극부(200)의 패턴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LA)의 선폭은 1 ㎛ 내지 10 ㎛ 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도성 패턴이 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전도성 패턴 개구부(OA)는 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도성 패턴 개구부(OA)는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성 패턴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전도성 패턴 내에서 전도성 패턴 개구부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200)은 다양한 형상의 전도성 패턴 개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0)가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효 영역(AA) 상에서 상기 전극부(200)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부(200)가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0)가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0)가 전도성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터치 윈도우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극부(200)는 메쉬 형상이 아닌 다른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전극부(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300)의 일단은 상기 전극부(20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부(200) 및 상기 배선(300) 사이에 배선패드(350)가 배치된다. 상기 배선패드(350)는 상기 전극부(200)와 상기 배선(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배선패드(350)는 상기 배선(3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300)의 끝단에는 패드부(400)가 위치한다. 상기 배선(300)과 상기 패드부(4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부(400)는 인쇄회로기판(500)과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의 어느 일면에는 접속 단자가 위치하고, 상기 패드부(400)는 상기 접속 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400)는 상기 접속 단자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회로기판(500)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00)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이 배치되는 영역을 본딩부(BA)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본딩부(BA)에 상기 패드부(400)가 배치된다. 상기 본딩부(BA) 상에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이 배치되어 본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패드부(400)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배선(300)의 표면 거칠기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드부(400)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배선(300)의 표면 거칠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패드부(400) 상면의 조도는 상기 배선(300) 상면의 조도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선(300)의 상면 및 상기 패드부(400)의 상면은 서로 다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드부(400)는 미세패턴(40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패턴(400a)은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패턴(400a)의 선폭(t)은 상기 패드부(400)의 선폭(T)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패드부(4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00)과의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드부(4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의 접합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에 정확한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터치 윈도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4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00) 사이 별도의 접착물질을 생략하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편의상 상기 배선(300)과 상기 기판(100)의 두께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제품에서는 이보다 더 많은 차이가 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본딩부(BA)는 제1 패턴(411), 제2 패턴(412) 및 전도층(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턴(411)은 레진층(4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패턴(412)은 상기 레진층(4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패턴(412)은 상기 제1 패턴(41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 패턴(412)의 선폭은 상기 제1 패턴(411)의 선폭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패턴(411) 및 상기 제2 패턴(412) 상에 전극물질을 증착하고, 에칭 시 상기 제1 패턴(411) 및 상기 제2 패턴(412)의 구조와 상기 전극물질과의 접합면적 차이에 따라 에칭 면적의 차이가 발생한다. 즉, 상기 제1 패턴(411) 및 상기 전극물질과의 접합면적이 상기 제2 패턴(412) 및 상기 전극물질과의 접합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 패턴(411) 상에 형성되는 전극물질의 에칭이 적게 일어난다. 즉, 동일한 에칭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패턴(411) 상에 형성된 전극물질은 남게되고, 상기 제2 패턴(412) 상에 형성된 전극물질은 에칭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패턴(411) 상에만 전극층(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패드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411) 및 상기 제2 패턴(412)은 수지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층(420)은 상기 제1 패턴(411)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패턴(411) 및 상기 전도층(420)은 상기 패드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411) 및 상기 제2 패턴(412)은 임프린팅(imprinting)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공정으로 상기 패드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1 패턴(411) 상에 배치되는 제3 패턴(413)을 포함한다. 상기 제3 패턴(413)의 단면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413)의 선폭(T2)은 상기 제2 패턴(412)의 선폭(T1)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413)의 선폭(T2)은 상기 패드부(400)의 선폭(T3)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패턴(413)의 선폭(T2)은 상기 패드부(400)의 선폭(T3)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전도층(420)은 상기 제3 패턴(4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420)은 높이(H1, H2)가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도층(420)은 상기 제3 패턴(413)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므로, 높이(H1, H2)가 높거나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1 패턴(411) 상에 배치되는 제3 패턴(41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턴(413)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413) 상에 전도층(4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1 패턴(411) 상에 배치되는 제3 패턴(41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턴(413)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413) 상에 전도층(4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1 패턴(411) 상에 제3 패턴(41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턴(413)에 인접하여 제4 패턴(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413)은 양각일 수 있고, 상기 제4 패턴(414)은 음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패턴(414) 내에 전도층(42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도층(420)은 상기 제3 패턴(413)이 아닌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부(400)를 상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전도층(420)이 줄무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3 패턴(413)을 포함하고, 상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3 패턴(413)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413)은 양각일 수 있다. 이때, 전도층(420)은 상기 제3 패턴(41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층(420)의 높이가 상기 제3 패턴(413)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양각의 제3 패턴(413) 및 음각의 제4 패턴(414)을 포함하고, 전도층(420)이 상기 제3 패턴(413) 상에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앞서 설명한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일례로 이동식 단말기를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식 단말기(2000)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일례로, 이동식 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한 터치 윈도우는 이동식 단말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노트북,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의 PND(Personal Navigation Display)뿐만 아니라, 계기판(dashboard) 등에 적용되어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전극;
    상기 감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및
    상기 배선의 끝단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배선의 표면 거칠기와 서로 다른 터치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배선의 표면 거칠기보다 더 큰 터치 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 표면의 조도는 상기 배선 표면의 조도보다 더 큰 터치 윈도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의 상면 및 상기 패드부의 상면은 서로 다른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상면은 미세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접합되는 본딩부가 정의되고,
    상기 본딩부는 제1 패턴;
    상기 제1 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전도층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3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턴의 선폭은 상기 제2 패턴의 선폭보다 큰 터치 윈도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의 선폭은 상기 패드부의 선폭보다 작은 터치 윈도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의 선폭은 상기 패드부의 선폭의 1/2보다 작은 터치 윈도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서로 높이가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 상에 전도층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돌기 형상인 터치 윈도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에 인접하여 음각의 제4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제4 패턴 내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4. 터치 윈도우;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전극;
    상기 감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및
    상기 배선의 끝단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배선의 표면 거칠기와 서로 다른 터치 디바이스.
KR1020140026736A 2014-03-06 2014-03-06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102212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36A KR102212953B1 (ko) 2014-03-06 2014-03-06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US14/636,290 US20150253903A1 (en) 2014-03-06 2015-03-03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510101114.XA CN104898909A (zh) 2014-03-06 2015-03-06 触摸窗和包括该触摸窗的触摸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36A KR102212953B1 (ko) 2014-03-06 2014-03-06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52A true KR20150104852A (ko) 2015-09-16
KR102212953B1 KR102212953B1 (ko) 2021-02-08

Family

ID=5401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736A KR102212953B1 (ko) 2014-03-06 2014-03-06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53903A1 (ko)
KR (1) KR102212953B1 (ko)
CN (1) CN1048989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9116B (zh) * 2015-07-11 2023-07-14 宸新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221731B (zh) * 2018-03-02 2023-03-28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的直接图案化方法及其触控面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770A (ko) * 2008-04-18 2009-10-22 (주)멜파스 전극 일체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4349A (ko) * 2010-03-16 2011-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US20130069898A1 (en) * 2010-03-25 2013-03-21 Tmay Co., Ltd. Pad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JP2013190795A (ja) * 2005-04-28 2013-09-2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パネル、モジュール、電子機器
KR20140000084A (ko) * 2012-06-22 2014-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527A (ja) * 1994-07-04 1996-02-02 Whitaker Corp:The 基板用コネクタ
JP3998014B2 (ja) * 2004-09-29 2007-10-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790998B1 (ko) * 2006-10-02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셀프 얼라인 더블 패터닝법을 사용한 패드 패턴 형성 방법 및 셀프 얼라인 더블 패터닝법을 사용한 콘택홀 형성방법
KR101386574B1 (ko) * 2008-04-23 2014-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TWI403790B (zh) * 2009-10-19 2013-08-01 Au Optronics Corp 觸控基板以及觸控顯示面板
JP5359812B2 (ja) * 2009-11-24 2013-12-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3477307B (zh) * 2011-04-06 2016-05-18 夏普株式会社 配线连接结构、端子部、视差屏障基板以及触摸面板
KR101373044B1 (ko) * 2012-04-19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941255B1 (ko) * 2012-07-30 2019-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0795A (ja) * 2005-04-28 2013-09-2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パネル、モジュール、電子機器
KR20090110770A (ko) * 2008-04-18 2009-10-22 (주)멜파스 전극 일체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4349A (ko) * 2010-03-16 2011-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US20130069898A1 (en) * 2010-03-25 2013-03-21 Tmay Co., Ltd. Pad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KR20140000084A (ko) * 2012-06-22 2014-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953B1 (ko) 2021-02-08
US20150253903A1 (en) 2015-09-10
CN104898909A (zh)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911B1 (ko) 터치 패널
KR101797651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KR20150044774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518629B2 (ja) 入力装置
KR102191575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811217B2 (en) Touch panel
KR20150009316A (ko) 터치 윈도우
KR20150103977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2553B1 (ko) 터치 패널
KR102098385B1 (ko) 터치 패널
KR102212953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20140039914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3288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7797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9503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KR102187648B1 (ko) 터치 패널
KR102008792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7470B1 (ko) 터치 윈도우
KR102085876B1 (ko)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212879B1 (ko) 터치 패널
KR102187659B1 (ko) 터치 패널
KR20140046943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7838B1 (ko) 터치 패널
KR20150084542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