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069A - 터치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069A
KR20160026069A KR1020140113887A KR20140113887A KR20160026069A KR 20160026069 A KR20160026069 A KR 20160026069A KR 1020140113887 A KR1020140113887 A KR 1020140113887A KR 20140113887 A KR20140113887 A KR 20140113887A KR 20160026069 A KR20160026069 A KR 20160026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electrode
electrode pattern
base substrate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유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6069A/ko
Publication of KR2016002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제1 전극패턴은 길이 방향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일면이 서로 포개져서 폴더 되도록 폴더영역이 형성된 제1 베이스기판; 상기 제1 베이스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전극패턴에 각각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2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센서 모듈{Touch Sensor Modu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센서(Touch Sensor)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터치센서는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또한, 터치센서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센서는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센서와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2793호에서는 터치센서가 폴더(접히)는 구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KR 10-20120072793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터치센서의 폴더시 곡률 반경을 최소화하고, 폴더 시에 전극패턴의 단선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터치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윈도우기판과 윈도우기판이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전극패턴이 형성되며, 전극패턴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분할되어 포개지도록 폴더영역이 형성된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폴더영역 내부에 관통홈을 형성하여 폴더시 곡률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결합 단면도,
도2 는 도 1에 대한 터치센서 모듈의 폴더 사시도,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제1 베이스기판,
도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제2 베이스기판,
도5 는 도 2에 대한 터치센서 모듈의 평면도,
도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연성케이블 평면도,
도7 은 도 6에 대한 연성케이블의 측면도,
도8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결합 단면도,
도9 는 도 8에 대한 터치센서 모듈의 폴더 사시도,
도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헤어핀 구조에 대한 예시도, 및
도11 은 도 10에 대한 A-A 단면도이다.
.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
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결합 단면도, 도2 는 도 1에 대한 터치센서 모듈의 폴더 사시도,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제1 베이스기판, 도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제2 베이스기판, 도5 는 도 2에 대한 터치센서 모듈의 평면도, 도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연성케이블 평면도, 도7 은 도 6에 대한 연성케이블의 측면도, 도8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결합 단면도, 도9 는 도 8에 대한 터치센서 모듈의 폴더 사시도, 도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헤어핀 구조에 대한 예시도, 및 도11 은 도 10에 대한 A-A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 ‘터치’ 용어는 접촉 수용면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접촉 수용 면으로부터 입력수단이 상당한 거리만큼 근접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윈도우기판; 상기 윈도우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전극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패턴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분할되어 포개지도록 폴더영역이 형성된 베이스기판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터치센서 모듈은, 터치센서(100)는, 저항막방식이나 정전용량방식 기타 다양한 터치센서(100)가 적용될 수 있으며, 터치센서(100)의 형태 및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1)에서는 제1 베이스기판(110)과 제2 베이스기판(112)에 각각 전극패턴(120,130)이 형성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100)를 하나의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윈도우기판(500)은 베이스기판(110,112)과 접착한다. 윈도우기판(500)은 베이스기판(110,112)과 결합하여 폴더(접고, 펼치다) 한다. 윈도우기판(500)은 터치 지점의 위치 검출을 위한 전극패턴(120,130)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윈도우기판(500)은 전극패턴(120,13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화상표시장치(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윈도우기판(500)은 전극패턴(120,130)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윈도우기판(500)은 폴더영역(536)을 기준으로 폴더 되도록 형성된다. 윈도우기판(500)은 폴더가 가능한 연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윈도우기판(500)이 강선을 갖는 경우 연성 재질로 폴더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윈도우기판(500)은 플렉서블 소재인 를 사용할 경우 오목한 홈이 뒷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윈도우기판(500)은 터치센서(100) 최 외곽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소정강도 이상의 강화유리 등을 사용함으로써 터치센서(100)을 보호하는 보호층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전술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윈도우기판(500)은 투명도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기판(110,112)은 전극패턴(120,130) 및 전극배선(150,160)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한다. 베이스기판(110,112)은 윈도우기판(500)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 베이스기판(110)과 제1 베이스기판(110)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2 베이스기판(112)을 포함한다. 제2 베이스기판(112)은 제1 베이스기판(110)의 구조 및 재질의 동일한 부분은 생략한다.
베이스기판(110,112)은 액티브영역(530)과 베젤영역(510)으로 구획된다. 액티브영역(530)은 입력수단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전극패턴(120,13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기판(110)의 중심에 형성된다. 액티브영역(530)은 제1영역(532)과 제2 영역(534)이 서로 구획되어 형성된다(도 1 내지 4를 참조). 이때,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은 서로 이격 되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이 이격된 거리에는 폴더 가능한 폴더영역(536)이 형성된다. 즉,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은 폴더시 서로 포개(겹쳐)지도록 형성된다(도 2를 참조).
베이스기판(110,112)는 폴더시에 폴더 응력을 줄여주는 폴더홈(180)과 폴더홈(18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90)가 형성된다.
연결부(190)는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을 연결해준다. 연결부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결하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90)는 베젤영역(510) 영역에 형성된다. 연결부(190)는 후술할 폴더 홈(180)이 형성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된다. 즉, 연결부(190)는 폴더 홈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다. 베이스기판의 베젤영역(510)에 형성된다. 연결부(190)는 주름형태, 곡선형태, 반원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부(190)는 윈도우기판(500)과 밀착 또는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90)는 윈도우기판(500)과 이격시에는 헤어핀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헤어핀 방식의 연결부(190)는 윈도우기판(500)에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연결부(190)는 폴더시에 윈도우기판(500)의 곡률 반격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90)은 윈도우기판(500)과 연성케이블(300)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90)는 폴더 홈의 상단과 하단중 하나가 윈도우기판(500)과 연성케이블(300) 사이에 형성된다(도 10을 참조). 이때, 연결부(190)는 윈도우기판(500)과 연성케이블(300)에 각각 이격되도록 형성된다(도 11을 참조). 연결부(190)의 표면에는 주름 및 요철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잇다. 연결부(190)은 후술할 폴더영역(536)내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연결부(190)은 폴더 시에 응력을 줄이기 위함이다.
폴더영역(536)은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이 서로 겹치고 펼쳐지도록 형성된다(도 1 내지 4를 참조). 즉, 폴더영역(536)은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이 일정한 곡률을 갖고 서로 폴더(접고, 펼치다) 하도록 한다. 폴더영역(536)은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 사이에 형성된다.
폴더영역(536)은 후술할 제1 분할 전극패턴(122)과 제2 분할 전극패턴(124) 사이에 형성된다. 폴더영역(536)에는 배선이 지나가지 않는다. 즉, 폴더영역(536)은 전극배선(150,160)이 가로질러 전극패드(140,142)에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는, 폴더영역(536)은 폴더시 전극배선(150,160)이 단선 되는 것을 방지한다.
폴더영역(536)은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 사이를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폴더홈(180)이 형성된다. 폴더홈(180)은 폴더시 발생하는 굽힘 응력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폴더홈(180)은 폴더시 베이스기판(100)의 외측에 형성된 인장 응력과 내측에 형성된 압축 응력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폴더홈(180)은 반원, 곡률 홈 및 직사각형 형태의 다양한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폴더홈(180)은 폴더시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을 작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폴더홈(180)은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관통 홈이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폴더홈(180)은 장홀 형태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폴더홈(180)은 폴더시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을 제거하여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도 2 내지 5를 참조).
폴더홈(180)은 베젤영역(510)에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제1 전극패턴(120)과 제2 전극패턴(130)의 얼라인 공정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폴더홈(180)이 관통되어 베젤영역(510)까지 연장되면 제1 베이스기판(110)은 두개로 분리된다. 그러면, 제1 전극패턴과 제2 전극패턴의 신호를 서로 동일하게 맞추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제1 영역(532)은 후술할 제1 전극패턴(120)이 분할된 제1 분할 전극패턴(122)이 형성된다. 제2 영역(534)은 제1 전극패턴(120)이 분할된 제2 분할 전극패턴(124)이 형성된다.
제 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에 형성된 제1 분할 전극패턴(122)과 제2 분할 전극패턴(124)의 전극배선(15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의 전극배선(150)은 폴더영역(536)을 기준으로 양쪽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는, 전극배선(150,160)은 폴더로 인한 단선 및 손실을 막기 위함이다.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은 각각 화상표시부(디스플레이장치)가 부착된다.
베젤영역(510)은 전극패턴(120,13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극배선(150,16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액티브영역(530)의 테두리에 구비된다. 이때, 베이스기판(110)은 전극패턴(120,130)과 전극배선(150,16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화상표시장치(미도시)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술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베이스기판(110)의 재질은 윈도우기판(500)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극패턴(120,130)은 입력수단이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서 터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베이스기판(110)에 형성된다. 전극패턴(120,130)은 도금 공정이나 스퍼터(Sputter)를 이용한 증착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극패턴(120,130)은 은염(銀鹽) 유제층을 노광/현상하여 형성된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도성을 갖는 금속으로 메쉬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전극패턴(120,130)은 마름모형 패턴, 사각형 패턴, 삼각형 패턴, 원형 패턴 등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베이스기판(110)의 X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패턴을 제1 전극패턴(120)으로 명명하고, 제2 베이스기판(112)의 Y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패턴을 제2 전극패턴(130)으로 명명한다.
제1 전극패턴(120)과 제2 전극패턴(130)이 교차하여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전극패턴(120)은 제1 분할 전극패턴(122)과 제2 분할 전극패턴(12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도 3을 참조). 제1 전극패턴(120)은 길이 방향으로 제1 분할 전극패턴(122)과 제2 분할 전극패턴(124)이 형성된다. 제1 전극패턴(120)을 부착하지 않고 분할함으로써, 별도의 얼라인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정효율은 상승하고 얼라인으로 인한 손실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제2 전극패턴(130)은 제1 분할 전극패턴(122)과 제2 분할 전극패턴(124)에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극패턴(120,130)은 일 방향의 바패턴과 직교하는 바패턴을 베이스기판(110)에 형성한다. 전극패턴(120,130)은 베이스기판(110)의 양면에 전극패턴(120,130)을 형성하여 뮤추얼(Mutual type)방식의 터치센서로 터치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기판(110)은 일면상에 절연소재인 브릿지를 이용하여 다이아몬드 등의 패턴을 서로 직교하도록 교차 배열함으로써, 베이스기판(110)의 일면에 전극패턴(120)을 형성하여 터치센서 모듈(1)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전극패턴(120,130)은 베이스기판(110)의 양면에 전극패턴(120,130)이 형성될수도 있다(도 8을 참조). 베이스기판(110)의 상면에는 제1 전극패턴(120)이 형성되고, 베이스기판(110)의 하면에는 제2 전극패턴(130)이 형성된다.
전극배선(150,160)은 전술한 전극패턴(120,130)과 연성케이블(300)을 전기적 신호로 연결한다. 전극배선(150,160)은 제1 전극패턴(120)에서 연장되는 제1 전극배선(150)과 제2 전극패턴(130)에서 연장되는 제2 전극배선(160)을 포함한다.
전극배선(150,160)은 실크스크린법, 그리비아인쇄법 또는 잉크젯 인쇄법 등 다양한 인쇄방법에 의해 베이스기판(110)상에 형성될 수 있다(도1 및 2를 참조). 전극배선(150,160)의 소재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배선(150,160)은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은 페이스트(AG paste) 또는 유기은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전도성 고분자, 카본블랙(CNT 포함), ITO와 같은 금속산화물이나 금속류 등 저저항(低抵抗)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배선(150,160)은 폴더영역을 가로질러 연결되지 않는다. 즉, 전극배선(150,160)은 폴더 영역을 지나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전극배선(150,160)은 폴더시 전기적 단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전극배선(150,160)은 폴더영역을 지나가지 않으면서 폴더 시에 전기적 단선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터치센서 모듈(1) 방식에 따라 전극패턴(120)의 일단에만 전극배선(150)이 연결된다. 전극배선(150,160)의 말단부위는 연성케이블(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140,142)가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전극배선(150,160)의 일부위로 전극패드(140,142)를 형성하고 연성케이블(300)이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극패드(140,142)는 전극배선(150,160)에 연결되어 베이스기판(110)에 형성된다(도3 및 5를 참조). 전극패드(140,142)는 폴더영역(536)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는, 전극패드(140,142)와 전극배선(150,160)을 폴더 시에 단선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극패드(140,142)는 연성케이블(300)과 베이스기판(110)의 액티브 영역, 즉,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전극패드(140,142)는 베이스기판(110)의 일측 끝단부에 위치하여 전극배선(150,160)과 연결된다. 전극패드(140,142)는 제1 전극배선(150)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1 전극패드(140)와 제2 전극배선(160)과 전기적으로 통전 되는 제2 전극패드(142)를 포함한다.
전극패드(140,142)는 후술할 도전성접착층(미도시)과 접하여 연성케이블(300)로 전기를 통전 하도록 형성된다. 전극패드(140,142)는 도전성접착층과 연성케이블(300)이 가압되어 결합 된다. 이때, 전극패드(140)는 베이스기판(110)의 적층방향으로 도전성접착층과 결합한다. 전극패드(140)는 도전성볼과 접하는 접촉면이 형성된다. 접촉면은 도전성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극패드(140,142)는 베이스기판(110)의 일측 끝단부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때, 전극패드(140)는 인접한 전극패드간의 전기적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전극패드(140,142)는 전극배선(150,160)이 폴더영역(536)을 지나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전극패드(140,142)는 폴더영역(536)의 양측에 형성된다. 즉, 전극패드(140,142) 폴더영역(536)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다.
접착층(400)은 윈도우기판(500)과 베이스기판(110)을 접착한다. 접착층(400)은 광학투명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양면접착테이프(Double Adhesive Tape, DAT), OCR (Optical Clear Resin)재질 및 액상접착제를 사용한다. 접착층(400)은 윈도우기판(500)과 제1 베이스기판(110)을 접착한다. 접착층(400)은 제1 베이스기판(110)과 제2 베이스기판(112)을 접착한다. 또한, 접착층(400)은 제2 베이스기판(112)에 화상표시장치(미표시) 및 디스플레이 장치(미표시)를 접하도록 형성된다.
도전성접착층(미도시)은 전극패드(140,142)의 표면에 접하여 형성된다. 도전성접착층은 전극패드(140,142)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전성접착층은 전극패드(140,142)에 가압으로 결합 또는 접착한다. 도전성접착층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방성 전도성 접착제(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ACA) 등과 같은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케이블(300)은 전극패드(140,142)에 대응하여 결합 된다. 연성케이블(300)은 도전성접착층을 접하는 단자부(310,330)를 포함한다. 연성케이블(300)은 전극패드(140,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극패턴(120,130)과 제어부(미도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도 5 내지 9를 참조). 단자부(310,330)는 도전성볼과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부(310,330)는 다수개의 전극패드(140,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단자부(310,330)은 전극패드(140,142)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즉, 단자부(310,330)는 제1 전극패드에서 전기적 신호를 통전하는 제1 단자부(310)와 제2 전극패드에서 전기적 신호를 통전하는 제2 단자부(330)을 포함한다. 제1 단자부(310)와 제2 단자부(330)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 7에 C 및 도 9를 참조).
연성케이블(300)은 폴더영역(536)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에 홈이 형성된다(도 5 내지 7을 참조). 즉, 제1 영역(532)과 제2 영역(534)이 포개지도록 하는 선의 연장선을 의미한다.
연성케이블(300)에 형성된 홈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반원 형상, 직사각형상, 타원형 형상, V자형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홈은 연성케이블(3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홈은 연성케이블(300)을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연성케이블(300)에 형성된 홈은 주름, 요철 및 헤어핀 구조로 폴더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홈은 연성케이블(300)에 형성된 전극 배선에 손상이 가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된다. 연성케이블(300)의 홈은 베이스기판(110,112)의 폴더 시에 동일한 위치에서 폴더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터치센서 모듈 100: 터치센서
110: 제1 베이스기판 112: 제2 베이스기판
120: 제1 전극패턴 130: 제2 전극패턴
140: 제1 전극패드 142: 제2 전극패드
150: 제1 전극배선 160: 제2 전극배선
180: 폴더 홈 190: 연결부
300: 연성케이블 310: 제1 단자부
330: 제2 단자부 400: 접착층
500: 윈도우기판 510: 베젤영역
530: 액티브영역 532: 제1 영역
534: 제2 영역 536: 폴더 영역

Claims (25)

  1. 일 방향으로 폴더 가능한 윈도우기판;
    상기 윈도우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전극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패턴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분할되어 포개지도록 폴더영역이 형성된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은
    상기 베이스기판의 상면에 제1 전극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패턴은 길이방향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판의 하면은 제2 전극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패턴은 상기 제1 전극패턴과 교차하면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더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폴더영역은 적어도 1개 이상의 폴더 홈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를 따라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는,
    상기 제1 전극패턴이 분할된 제1 분할전극패턴과 제2 분할전극패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폴더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분할전극패턴과 제2 분할전극패턴에서 연장된 제1 전극배선은 각각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더 홈은 사용자가 터치시에 터치를 인식하는 상기 제2 전극패턴의 길이까지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판의 상면은 상기 제1 전극패턴에서 연장되어 제1 전극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기판의 하면은 제2 전극패턴에서 연장되어 제2 전극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패드가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제2 전극패드에 각각 대응하여 단자부를 구비하는 연성케이블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성케이블은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제2 전극패드가 체결시에,
    상기 폴더영역 가상의 연장선상에 홈이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판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결하는 띠 형태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폴더 홈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기판의 베젤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윈도우기판과 연성케이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윈도우기판과 연성케이블에 각각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배선과 제2 전극배선은 각각 폴더영역을 가로질러 지나가지 않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3. 일 방향으로 폴더 가능한 윈도우기판;
    상기 윈도우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제1 전극패턴은 길이 방향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일면이 서로 포개져서 폴더 되도록 폴더영역이 형성된 제1 베이스기판;
    상기 제1 베이스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전극패턴에 각각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2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폴더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폴더영역은 적어도 1개 이상의 폴더 홈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를 따라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폴더 홈은 사용자가 터치시에 터치를 인식하는 영역에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기판의 일면은 상기 제1 전극패턴에서 연장되어 제1 전극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기판의 타면은 제2 전극패턴에서 연장되어 제2 전극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패드가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배선과 제2 전극배선은 각각 폴더영역을 가로질러 지나가지 않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는,
    상기 제1 전극패턴이 분할된 제1 분할전극패턴과 제2 분할전극패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폴더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분할전극패턴과 제2 분할전극패턴에서 연장되는 제1 전극배선은 각각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제2 전극패드에 대응하여 단자부를 구비하는 연성케이블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연성케이블은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제2 전극패드에 체결시에,
    상기 폴더영역 가상의 연장선상에 홈이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제2 전극패드에 각각 대응하여 단자부를 구비하는 연성케이블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연성케이블은 상기 제1 전극패드와 제2 전극패드가 체결시에,
    상기 폴더영역 가상의 연장선상에 홈이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기판과 제2 베이스기판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각각 연결하는 띠 형태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폴더 홈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기판과 제2 베이스기판의 베젤영역에 각각 위치되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윈도우기판과 연성케이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윈도우기판과 연성케이블에 각각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KR1020140113887A 2014-08-29 2014-08-29 터치센서 모듈 KR20160026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87A KR20160026069A (ko) 2014-08-29 2014-08-29 터치센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87A KR20160026069A (ko) 2014-08-29 2014-08-29 터치센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069A true KR20160026069A (ko) 2016-03-09

Family

ID=5553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887A KR20160026069A (ko) 2014-08-29 2014-08-29 터치센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60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1441A1 (zh) * 2016-12-26 2018-07-0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触摸构件以及显示设备
CN114051604A (zh) * 2019-08-07 2022-02-1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摸传感器
US11599228B2 (en) 2020-05-27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ensor for an active p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793A (ko) 2010-12-24 2012-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793A (ko) 2010-12-24 2012-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1441A1 (zh) * 2016-12-26 2018-07-0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触摸构件以及显示设备
US10845906B2 (en) 2016-12-26 2020-11-24 Yungu (Gu'an) Technology Co., Ltd. Touch member and display
CN114051604A (zh) * 2019-08-07 2022-02-1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摸传感器
CN114051604B (zh) * 2019-08-07 2024-04-3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摸传感器
US11599228B2 (en) 2020-05-27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ensor for an active p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6307B2 (en) Touch panel
US20130021268A1 (en) Touch panel
US20140333555A1 (en) Touch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120162099A1 (en) Touch screen
US8956181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substrate and FPCB for touch panel
JP5645511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のタッチパネルを用いる電子装置
US20130277094A1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WO2016039047A1 (ja) 積層構造体、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18900A (ko) 적층 구조체 및 터치 패널 모듈
US8896571B2 (en) Touch panel
US20140048315A1 (en) Touch panel
KR20140026129A (ko)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TWI630517B (zh) 觸控視窗以及包含其之觸控裝置
US20130342476A1 (en) Touch panel
US20120001863A1 (en) Touch panel
US20150082897A1 (en) Touch sensor module
KR20160070591A (ko) 터치센서
KR20160026069A (ko) 터치센서 모듈
US20150277604A1 (en) Touch sensor module
KR20150090697A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한 터치센서모듈
KR20160012000A (ko)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US20150123934A1 (en) Touch sensor module
US20150042605A1 (en) Touch sensor module
JP2015103242A (ja) 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21832A (ko) 터치센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