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832A - 전기적 구성 요소와 인쇄 회로 기판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장치, 시스템 및 시스템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적 구성 요소와 인쇄 회로 기판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장치, 시스템 및 시스템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832A
KR20130132832A KR1020137013945A KR20137013945A KR20130132832A KR 20130132832 A KR20130132832 A KR 20130132832A KR 1020137013945 A KR1020137013945 A KR 1020137013945A KR 20137013945 A KR20137013945 A KR 20137013945A KR 20130132832 A KR20130132832 A KR 2013013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ion device
flexible electrical
flexible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0501B1 (ko
Inventor
파스칼 모둑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3013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53Swit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09Reinforced areas, e.g. for a specific part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구성 요소와 인쇄 회로 기판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을 포함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 1 접촉 영역과, 주 연장 방향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제 2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보강기를 포함하거나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지지 요소와 조합되고, 전기적 구성 요소는 제 1 접촉 영역을 통해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적 구성 요소와 인쇄 회로 기판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장치, 시스템 및 시스템 장착 방법 {FLEXIBLE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LECTRIC COMPONEN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TOGETHER,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SYSTEM}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전기적 구성 요소와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특히, 자동차용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면 가요성 케이블(FFC)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에 의해 주 인쇄 회로 기판(mother printed circuit board)에 전기적 구성 요소를 접속하는 것은 이제 일상적 관례이다. 이러한 전기적 구성 요소는 예로서 스위치, 버튼 또는 제어 스테이션일 수 있으며, 이들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사용자, 특히, 운전자가 접근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가요성 전기적 접속의 일상적 해결책에서는 전기적 구성 요소가 주 인쇄 회로 기판의 보조 인쇄 회로 기판(satellite printed circuit board)에 접촉 및 부착되고, 보조 인쇄 회로 기판을 주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평면 가요성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가 두 단부에서 커넥터에 의해 주 인쇄 회로 기판 및 보조 인쇄 회로 기판 양자 모두와 각각 접속된다.
상술한 해결책은 만족스럽지만, 그와 연계된 비용 때문에 많은 비용이 든다. 본질적으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주 및 보조 인쇄 회로 기판)과, 평면 가요성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를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주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하고 그 단부들 중 나머지에서 보조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두 개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들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비용은 높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 특히, 상술한 단점들을 경감시키는 것이며, 본 발명은 필요한 요소와 연계된 비용을 최소치로 감소시키고, 또한,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을 장착하는 공정과 연계된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한편으로는 전기적 구성 요소와 다른 한편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와,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과,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을 장착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다른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한편으로는 전기적 구성 요소와 다른 편의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가요성 전기적 접속을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이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을 포함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 1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이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제 2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이 전기적 구성 요소는 제 1 접촉 영역에 의해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와 직접적으로 전기 접촉하도록 설계되며,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보강 요소를 포함하거나,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지지 요소와 연계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이러한 일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서 보조 인쇄 회로 기판이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여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보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계된 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와 보조 인쇄 회로 기판을 장착 및 조립하는 것과 연계된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시스템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는 경우에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와 보조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게 되는 제 2 접속 요소를 위한 비용만큼 시스템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실시예의 일부에 따라,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가 보강 요소를 포함하거나, 실시예의 다른 일부에 따라,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가 어떠한 보강 요소도 포함하지 않지만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가 지지 요소와 접속되고, 지지 요소가 전기적 구성 요소와의 접촉을 안전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제 1 접촉 영역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개선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가 평면 가요성 케이블(FFC)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라는 사실에 있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편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과 다른 편의 스위치 같은 전기적 구성 요소 사이의 접속을 특히, 평면 가요성 케이블(FFC)에 의해 매우 경제적 방식으로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에 의해 적응적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리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보강 요소가 플라스틱 재료의 용접에 의해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에 부착된다는 사실에 있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에 대한 보강 요소의 부착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매우 경제적 방식으로,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으로 안정적이고 내구성있는 방식으로 전기적 구성 요소를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예로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제조 또는 조립 동안, 즉, 평면 가요성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의 제조 동안 보강 요소가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여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보강 요소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를 갖는 단일 부재로 설계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보강 요소 및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일체형 또는 적어도 부분적 일체형 제조에 의해 더 더욱 경제적으로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여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한편으로는 제 1 접촉 영역과 다른 한편으로는 보강 요소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대향 측부들 상에 제공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전도성 금속 트랙에 대해 제 1 접촉 영역의 다른 측부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보강 요소를 통해 큰 수준의 안정성을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단부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접속 장치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제 1 접촉 영역을 부착하도록 설계된 체결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보강 요소와, 이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일 단부는 지지 요소, 예로서, 차량의 내부의 구성 요소의 일부 또는 박스의 일부에 간단히 부착 또는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체결 요소는 보강 요소를 클립핑하기 위한 요소 또는 구멍 또는 리세스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체결 요소가 배치되는 체결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체결 영역에서, 보강 요소는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하여, 및/또는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주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제 1 접촉 영역을 초과해 돌출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전기적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그 단부들 중 하나가 다른 위치들에, 그러나, 특히, 차량 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를 적응시키는 것이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 인쇄 회로 기판,
- 전기적 구성 요소, 및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한편으로는 전기적 구성 요소와 다른 편의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제공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을 포함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 1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제 2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제 2 접촉 영역은 접속 요소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전기적 구성 요소는 제 1 접촉 영역을 통해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설계되고,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보강 요소를 포함하거나,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가 지지 요소와 연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은 인쇄 회로 기판(즉, 종래 기술에 따른 주 인쇄 회로 기판), 전기적 구성 요소, 특히, 스위치, 및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 구성 요소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모든 양호한 실시예는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에 관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을 장착하는 방법에도 관련하며,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은
- 인쇄 회로 기판,
- 전기적 구성 요소, 및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를 포함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한편으로는 전기적 구성 요소와 다른 한편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제공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을 포함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 1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주 연장 방향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제 2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보강 요소를 포함하거나,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지지 요소와 연계되고,
상기 장착 방법은
- 접속 요소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제 2 접촉 영역이 접속되게 되는 단계와,
- 제 1 접촉 영역을 통해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전기적 구성 요소가 배치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을 장착하는 방법을 통해, 간단하고 효율적 방식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 구성 요소를 접속하는 이러한 시스템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리하다.
특히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개략적 도면을 참조로 설명되고 비제한적 예로서 주어진 양호한 실시예에 관련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을 더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특히 평면 가요성 케이블(FFC)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개략적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제 4, 제 5 및 제 6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절연되어 있는 다수의 전도성 트랙(4)을 포함하는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전기적 구성 요소(11), 예로서, 스위치를 인쇄 회로 기판(12)에 접속한다. 전기적 구성 요소(11)는 도 3에만 도시되어 있지만, 역시 도 1 및 도 2에도 설치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 전기적 구성 요소(11) 및 인쇄 회로 기판(12)의 조립체는 인쇄 회로 기판의 시스템(1)이라고도 지칭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제 1 접촉 영역(3) 및 제 2 접촉 영역(3')을 포함한다. 제 1 접촉 영역(3)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일 단부[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으로]에 형성된다. 제 2 접촉 영역(3')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다른 단부(주 연장 방향으로)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기적 구성 요소(11)는 제 3 접촉 영역(3)을 통해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즉,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전도성 트랙(4)의 적어도 일부에서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전기적 구성 요소(11)와의 접촉을 위해 보조 인쇄 회로 기판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전기적 구성 요소(11)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와 직접적으로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접촉 영역(3) 및 제 2 접촉 영역(3')에서, 전도성 트랙(4)의 절연이 제거된다. 제 2 접촉 영역(3')은 본 발명에 따라서 특히 인쇄 회로 기판(12)과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 사이에 전도성을 제공하기 위해 접속 요소(5) 내로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접속 요소(5)는 종래의 커넥터, 특히, 저 삽입력(LIF) 또는 제로 삽입력(ZIF) 커넥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또한 제 2 접촉 영역(3')에 다른 보강 요소(6")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보강 요소(6")는 도 3,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부분에 따라서(특히, 도 1 내지 도 9 및 도 11 참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보강 요소(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부분에 따라서(특히, 도 10 및 도 12 참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보강 요소(6)를 포함하지 않지만,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지지 요소(6')와 연계되고, 지지 요소는 전기적 구성 요소(11)와의 접촉이 안전한 방식으로 가능해지도록 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제 1 접촉 영역(3)에 부여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가 보강 요소(6)를 포함할 때, 보강 요소는 제 1 접촉 영역(3)에 위치되거나 제 1 접촉 영역(3)의 위치[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으로]에 위치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보강 요소(6)가 제 1 접촉 영역(3)의 단부에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이 보강 요소(6)는 제 1 접촉 영역(3)의 단부에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와 단일 부재로 이루어진다. 보강 요소(6)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에 접속될 때, 이들 두 요소는 용접 또는 접합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된다. 보강 요소(6)는 예로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보강 요소(6)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전도성 트랙(4)에 대하여 제 1 접촉 영역(3)에 대향한 측부 상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접촉 영역(3)의 단부에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체결 요소(8)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접촉 영역(3)의 단부에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체결 영역(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 요소(8)가 특히 체결 영역(7) 내에 위치된다.
예로서, 보강 요소(6)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하여(도 2 참조) 및/또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도 1 참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초과하여 돌출하도록 체결 영역(7)이 설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변형이 가능하다.
- 도 4의 실시예에 따라서, 체결 영역(7)은 보강 요소(6)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초과하여 돌출하도록 설계되고, 리세스(8)(구멍 형태)가 체결 요소(8)로서 제공된다.
- 도 5의 실시예에 따라서, 체결 영역(7)은 보강 요소(6)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초과하여 돌출하도록 설계되고, 리세스(8)는 체결 요소(8)로서 제공된다.
- 도 6의 실시예에 따라서, 체결 영역(7)은 보강 요소(6)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초과하여 돌출하도록 설계되고, 리세스(8)(구멍 형태)가 체결 요소(8)로서 제공된다.
- 도 7의 실시예에 따라서, 체결 영역(7)은 보강 요소(6)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초과하여 돌출하도록 설계되고, 리세스(8)가 체결 요소(8)로서 제공된다.
- 도 8의 실시예에 따라서, 체결 영역(7)은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초과하여 돌출하고, 핀(8)이 체결 요소(8)로서 제공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의 전도성 트랙(4)의 극성은 특히 교번적 방식으로 설계된다.
전기적 구성 요소(11)는 제 1 접촉 영역(3)을 통해 직접적 방식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에 접속된다. 전기적 구성 요소(11)가 스위치인 경우, 스위치(11)의 접촉 요소(9)는 사용자가 스위치(11)가압할 때 접촉 요소(9)가 이동되고 제 1 접촉 영역(3) 내의 상이한 전도성 트랙과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 요소(9)가 제 1 접촉 영역(3)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스위치(11)가 개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1)는 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접촉 요소(9)와 연계된 에지 요소(10)를 포함한다. 특히, 에지 요소(10)는 가요성 재료, 특히, 고무 또는 고무에 비견할만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그리고,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의) 도면에서, 스위치(11)[그리고, 접촉 요소(9)]는 그 개방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며, 즉, 접촉 요소(9)는 제 1 접촉 영역(3)의 표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스위치(11)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접촉 요소는 전도성 트랙(4)의 적어도 두 개의 트랙이 접촉되도록 제 1 접촉 영역(3)의 표면에 접근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길이[그리고, 전도성 트랙(4)의 폭 및 수]는 스위치(11) 또는 전기적 구성 요소(11)가 또한 인쇄 회로 기판(12)으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차량의 요건에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제 4, 제 5 및 제 6 실시예(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됨)에 따라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접촉 영역(3)의 부착 또는 안정성의 요건을 충족시키 위한 폭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으로] 전기적 구성 요소(1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보다 큰 수의 전도성 트랙(4)을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초과하여 보강 요소(6)가 돌출하지 않고 (예로서,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그 제 1 접촉 영역(3)에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폭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및 제 5 실시예(도 9 및 도 11)는 이러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제 5 실시예에서(도 11),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폭은 그 제 1 접촉 영역(3) 이후 감소되며, 즉, 이 폭은 특히 제 2 접촉 영역(3')을 향해 감소된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및 제 6 실시예에 따라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보강 요소(6)를 포함하지 않지만,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지지 요소(6')와 연계되며, 지지 요소는 전기적 구성 요소(11)와의 접촉이 안전한 방식으로 가능해지기에 충분한 강성을 제 1 접촉 영역(3) 상에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6')는 예로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가 부착되는 접촉부이다. 전기적 구성 요소가 그 제 1 접촉 영역(3)에서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 상에 배치될 때[예로서, 접촉 요소(9)],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지지 요소(6')에 의해 보유된다.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 및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1)은, 차량의 공조를 제어하기 위한 요소 및/또는 후방 승객을 위해 설치된 비디오 스크린의 작동 같은 다른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특히 조합 기구(combination instrument)에서 요구되는, 특히 공용 스위치 같은 전기적 구성 요소(11)와 인쇄 회로 기판(12)(즉, 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비교적 큰 거리가 주어지는 모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1: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 2: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3: 제 1 접촉 영역 3': 제 2 접촉 영역
4: 전도성 트랙 5: 접속 요소
6: 보강 요소 7: 체결 영역
8: 체결 요소 9: 접촉 요소
10: 에지 요소 11: 전기적 구성 요소
12: 인쇄 회로 기판

Claims (10)

  1. 한편으로는 전기적 구성 요소(11)와, 다른 한편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12) 사이의 가요성 전기적 접속을 위한 장치(2)로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주 연장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주 연장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 1 접촉 영역(3)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주 연장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제 2 접촉 영역(3')을 포함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에 있어서,
    -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보강 요소(6)를 포함하고, 또는
    -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지지 요소(6')와 연계되며,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1)는 상기 제 1 접촉 영역(3)에 의해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평면 가요성 케이블(FFC)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6)는 플라스틱 재료의 용접에 의해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6)는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와 단일 부재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 영역(3) 및 상기 보강 요소(6)는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대향 측부들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상기 제 1 접촉 영역(3)을 체결하도록 설계된 체결 요소(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상기 체결 요소(8)가 위치되는 체결 영역(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영역(7)에서, 상기 보강 요소(6)는
    -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하여, 및/또는
    -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주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초과하여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
  9.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1)으로서,
    - 인쇄 회로 기판(12),
    - 전기적 구성 요소(11) 및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한편으로는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1)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주 연장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주 연장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 1 접촉 영역(3)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주 연장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제 2 접촉 영역(3')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촉 영역(3')은 접속 요소(5)에 의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에 접속되는,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1)에 있어서,
    -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보강 요소(6)를 포함하고, 또는
    -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지지 요소(6')와 연계되며,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1)는 상기 제 1 접촉 영역(3)을 통해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
  10.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1)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1)은
    - 인쇄 회로 기판(12),
    - 전기적 구성 요소(11), 및
    -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한편으로는 전기적 구성 요소(11)와 다른 한편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12)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주 연장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주 연장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 1 접촉 영역(3)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주 연장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제 2 접촉 영역(3')을 포함하며,
    -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는 보강 요소(6)를 포함하고, 또는
    -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는 지지 요소(6')와 연계되고,
    상기 장착 방법은
    - 접속 요소(5)에 의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에 상기 제 2 접촉 영역(3')이 접속되게 되는 단계와,
    - 상기 제 1 접촉 영역(3)을 통해 상기 가요성 전기적 접속 장치(2)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1)가 배치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시스템 장착 방법.
KR1020137013945A 2010-11-06 2011-09-29 전기적 구성 요소와 인쇄 회로 기판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연성 장치, 시스템 및 시스템 장착 방법 KR101910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50700.8 2010-11-06
DE102010050700 2010-11-06
FR11/01109 2011-04-11
FR1101109A FR2967308A1 (fr) 2010-11-06 2011-04-11 Dispositif de raccordement electrique flexible entre un composant electrique et une carte imprimee, systeme, et procede de montage d'un systeme.
PCT/EP2011/004870 WO2012059159A1 (fr) 2010-11-06 2011-09-29 Dispositif de raccordement electrique flexible entre un composant electrique et une carte imprimee, systeme, et procede de montage d'un syste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832A true KR20130132832A (ko) 2013-12-05
KR101910501B1 KR101910501B1 (ko) 2018-10-22

Family

ID=4479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945A KR101910501B1 (ko) 2010-11-06 2011-09-29 전기적 구성 요소와 인쇄 회로 기판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연성 장치, 시스템 및 시스템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3428B2 (ko)
EP (1) EP2636100A1 (ko)
JP (2) JP2013544029A (ko)
KR (1) KR101910501B1 (ko)
CN (1) CN103270651B (ko)
FR (1) FR2967308A1 (ko)
WO (1) WO2012059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2233B (zh) * 2013-10-10 2018-06-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扁平线缆组件及其组装方法
CN103607842A (zh) * 2013-11-27 2014-02-26 苏州东威科技有限公司 一种ffc连接线总成
DE102016215330A1 (de) * 2016-08-17 2018-02-22 Vaillant Gmbh Elektronische Regelung mit Bedienknöpfen
KR102059612B1 (ko) * 2016-08-24 2019-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내에서 공간을 적게 점유하는 상호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7326494B2 (ja) * 2019-10-11 2023-08-15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スバープレート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電子デバイス
FR3131175A1 (fr) * 2021-12-21 2023-06-23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Dispositif électronique, boîtier associé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dispositif électroniqu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9576A (ko) * 1973-10-24 1975-06-10
JPS5524710B2 (ko) * 1974-04-01 1980-07-01
US4127740A (en) * 1977-08-17 1978-11-28 Sheldahl, Inc. Routing arrangement for ground conductors in printed circuit structures
JPS5524351A (en) * 1978-08-09 1980-02-21 Alps Electric Co Ltd Pushhbutton switch
JPS5553500A (en) * 1978-10-13 1980-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moun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DE2901416A1 (de) 1979-01-15 1980-07-24 Vdo Schindling Anordnung zum elektrischen verbinden einer vielzahl von anschluessen
US4251683A (en) * 1979-04-23 1981-02-17 Oak Industries, Inc. Interconnect tail for a membrane switch
JPS56114573U (ko) * 1980-02-05 1981-09-03
JPS58106969U (ja) * 1982-01-18 1983-07-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板付き可撓性印刷配線板
DE8317500U1 (de) * 1983-06-15 1986-10-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nordnung zum Verbinden von Schaltungsplatinen
US4623768A (en) * 1985-07-29 1986-11-18 W. H. Brady Co. Foldable membrane switch with fold remote from contact-carrying panels
US4716500A (en) * 1985-10-18 1987-12-29 Tektronix, Inc. Probe cable assembly
US5214571A (en) * 1986-12-10 1993-05-25 Miraco, Inc. Multilayer printed circuit and associated multilayer material
JPS63158711A (ja) 1986-12-22 1988-07-01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端子構造
JPH0760926B2 (ja) * 1988-09-14 1995-06-28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体
JPH0627982Y2 (ja) * 1988-09-30 1994-07-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リジッドフレックス配線板
US5224023A (en) * 1992-02-10 1993-06-29 Smith Gary W Foldable electronic assembly module
JPH0837351A (ja) * 1994-07-21 1996-02-06 Amp Japan Ltd フレキシブル回路板ハーネス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フレキシブル回路板
JPH08335761A (ja) * 1995-06-06 1996-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配線基板への装着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光式スイッチユニット
JPH10173305A (ja) * 1996-12-06 1998-06-26 Fujikura Ltd 自動車用部品実装プリント配線板
US6536871B1 (en) * 1997-11-05 2003-03-25 Hewlett-Packard Company Reliable flex circuit interconnect on inkjet print cartridge
JP2001024362A (ja) * 1999-07-07 2001-01-26 Sony Corp 印刷配線フィルム
US6497035B1 (en) 1999-12-06 2002-12-24 Hr Textron, Inc. Hall position sensor
US6300739B1 (en) * 1999-12-06 2001-10-09 Hr Textron Inc. Low cost limited angle torque DC brushless servomo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DE10063876B4 (de) * 2000-12-21 2009-02-2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us einer Vielzahl von Leuchtdioden bestehende Lichtquelle
JP2002237343A (ja) * 2001-02-09 2002-08-23 Hitachi Cable Ltd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7446261B2 (en) * 2001-09-06 2008-11-04 Finisar Corporation Flexible circuit boards with tooling cutouts for optoelectronic modules
US7439449B1 (en) * 2002-02-14 2008-10-21 Finisar Corporation Flexible circuit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vity with optical subassembly
JP2004055997A (ja) * 2002-07-23 2004-02-19 Seiko Epson Corp 電気的接続構造およ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4336628B2 (ja) * 2004-06-30 2009-09-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JP2006196831A (ja) * 2005-01-17 2006-07-27 Fujikura Ltd 基板製造方法
JP4841272B2 (ja) * 2006-03-14 2011-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および配線回路基板の接続構造
JP2007311548A (ja) * 2006-05-18 2007-11-29 Canon Inc 回路基板の接続構造
US20110255250A1 (en) * 2010-04-19 2011-10-20 Richard Hung Minh Dinh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for electronic devices
US8508947B2 (en) * 2010-10-01 2013-08-13 Intel Corporation Flex cab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40140018A1 (en) * 2012-11-20 2014-05-22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Protection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70651B (zh) 2016-11-09
US9373428B2 (en) 2016-06-21
EP2636100A1 (fr) 2013-09-11
JP2013544029A (ja) 2013-12-09
JP2018037664A (ja) 2018-03-08
US20130284483A1 (en) 2013-10-31
CN103270651A (zh) 2013-08-28
WO2012059159A1 (fr) 2012-05-10
KR101910501B1 (ko) 2018-10-22
FR2967308A1 (fr)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501B1 (ko) 전기적 구성 요소와 인쇄 회로 기판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연성 장치, 시스템 및 시스템 장착 방법
KR101290130B1 (ko) 커넥터 및 접속 대상물
CA2761025C (en) Bracket structure in electrical junction box
US9472938B2 (en) Busbar coupling device assembly
JP5514262B2 (ja) アンテナ給電装置
JP4254600B2 (ja) 電気接続箱
US10396504B2 (en) Plug connection with a shield support and a wall bushing
JP2007005142A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4311334B2 (ja) 電気接続箱
CN102474029B (zh) 柔性集中配线连接器
US20170085019A1 (en) Connector
JP2006245143A (ja) 電子機器
CN108688589B (zh) 车辆布线部件
KR101956750B1 (ko) 전자 제어 장치
JP2011192507A (ja) スイッチ装置
JP6293634B2 (ja) コネクタ
JPH0632709Y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取付構造
JP6350876B2 (ja) コネクタ
JP5177867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KR200481119Y1 (ko) 접지터미널
JP2006205979A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のハーネスモジュール構造
JP5531565B2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
JPH043430Y2 (ko)
WO2015086197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an improved bearing for a connecting unit, camera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4170254B2 (ja) 待受けコネクタ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