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399A - 팽창 밸브 및 방진 스프링 - Google Patents

팽창 밸브 및 방진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399A
KR20130120399A KR1020130044624A KR20130044624A KR20130120399A KR 20130120399 A KR20130120399 A KR 20130120399A KR 1020130044624 A KR1020130044624 A KR 1020130044624A KR 20130044624 A KR20130044624 A KR 20130044624A KR 20130120399 A KR20130120399 A KR 20130120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ain body
valve
refrigerant
expans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087B1 (ko
Inventor
료스케 사타케
타케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ublication of KR2013012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25B41/3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via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32Belleville-type springs
    • F16F1/324Belleville-type springs characterised by having tongues or arms directed in a generally radial direction, i.e. diaphragm-type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8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 F25B2341/0683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the sensor is disposed in the suction line and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r the pressure of the suction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과제>
팽창 밸브의 작동부의 방진에 적합한 방진 스프링을 그 기능을 확보하면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일 양태의 팽창 밸브는, 구동부의 구동력을 밸브체에 전달하는 샤프트(33)와, 보디와 샤프트(33)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샤프트(33)를 부세하여 접동 저항을 공급하는 방진 스프링(50)을 구비한다. 방진 스프링(50)은, 샤프트(33)를 안쪽에 삽통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본체(52)와, 본체(52)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52)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부(54)와, 스프링부(54)의 샤프트(33)와의 대향면으로 돌설된 팽출부(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삽통되는 샤프트(33)에 팽출부(56)가 맞닿는 것에 의해, 스프링부(54)가 본체(52)에 따른 위치 또는 본체(52)의 외측으로 휘어지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샤프트(33)에 접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팽창 밸브 및 방진 스프링{EXPANSION VALVE AND VIBRATION ISOLATION SPRING}
본 발명은 팽창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팽창 밸브의 작동부의 방진에 적합한 방진 스프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에는, 일반적으로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기액으로 분리하는 리시버, 분리된 액 냉매를 수축 팽창시켜서 안개 상태로 하여 송출하는 팽창 밸브, 그 안개 상태의 냉매를 증발시켜서, 그 증발 잠열에 의해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가 마련되어 있다.
팽창 밸브로서는, 증발기에서 도출된 냉매가 소정의 과열도를 갖도록 증발기의 출구측의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여 밸브부를 개폐하고, 증발기로 송출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온도식 팽창 밸브가 사용된다. 팽창 밸브의 보디에는, 리시버에서 증발기로 향하는 냉매를 통과시키는 제 1의 통로와, 증발기에서 되돌아온 냉매를 통과시켜서, 압축기로 도출하는 제 2의 통로가 형성된다. 제 1의 통로의 중간부에는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그 밸브 구멍에 착탈하여 증발기로 향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체가 배설되어 있다. 보디의 단부에는 제 2의 통로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여 밸브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파워 요소가 마련된다. 파워 요소의 구동력은, 길이가 긴 형상의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밸브체로 전달된다. 샤프트는, 제 2의 통로를 횡단하여 제 1의 통로에 달하도록 연재(연장되어 존재)하지만, 보디에서 제 1의 통로와 제 2의 통로를 구획하는 구획부에 마련된 삽통 구멍에 접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팽창 밸브에 있어서는, 고온 냉매가 도입되는 밸브부의 상류측에 의해 압력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서, 그것을 방치하면 밸브체가 진동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에 대응하는 측에서 스프링에 의한 부세력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밸브체가 그 압력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하고, 밸브체의 구동을 안정시키는 방법을 얻을 수 있는 것도 많다. 예컨대, 지지 링의 환상부의 복수 개소로부터 내측으로 판상체를 잘라내어 방진 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 스프링용의 선재를 구부러뜨려서 방진 스프링을 형성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특개 2004-293779호 공보(도 2) 특개평 8-145505호 공보(도 6)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지 링은, 환상부에서 판상체를 내측으로 잘라내고 스프링부로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샤프트에 대해서 환상부를 크게 하지 않을 수 없다. 즉, 방진 스프링 전체가 커지고, 스페이스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진 스프링은, 선재를 구부러뜨려서 형성되기 때문에, 강성이 작고, 샤프트의 축선 방향으로 휘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샤프트에 충분한 접동 하중을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팽창 밸브의 작동부의 방진에 적합한 방진 스프링을, 그 기능을 확보하면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팽창 밸브는, 냉동 사이클의 상류측에서 도입되는 냉매를 보디 내의 밸브부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수축 팽창시켜서 하류측으로 도출하는 팽창 밸브에서, 보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일단측으로 냉매의 도입 포트가 마련되는 한편, 타단측으로 냉매의 도출 포트가 마련된 냉매 통로와, 냉매 통로의 중간부에 마련된 밸브 구멍과, 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밸브부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밸브체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보디에 지지되고 구동부의 구동력을 밸브체로 전달하는 작동 로드와, 보디와 작동 로드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작동 로드를 부세하여 접동 저항을 공급하는 방진 스프링을 구비한다. 방진 스프링은, 작동 로드를 안쪽으로 삽통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부와, 스프링부의 작동 로드와의 대향면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당접부를 포함하고, 삽통되는 작동 로드에 당접부가 맞닿는 것에 의해, 스프링부가 본체에 따른 위치 또는 본체의 외측으로 휘어지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작동 로드에 접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방진 스프링에 의해 작동 로드에 알맞는 접동 저항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그 작동 로드에 연결되는 밸브체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스프링부는, 방진 스프링의 원통 형상의 본체를 구성하는 측벽의 일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폭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충분한 강성과 알맞는 탄성을 가가질 수 있고, 작동 로드에 대해 충분한 접동 하중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작동 로드를 삽통시켰을 때, 스프링부가 본체에 따른 위치 또는 본체의 다소 외측으로 휘어지는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본체를 필요 충분한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방진 스프링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방진 스프링이다. 이 방진 스프링은, 원통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부와, 스프링부에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당접부를 구비한다. 무부하 상태에서 스프링부가 본체에 따른 위치 또는 본체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한편, 당접부의 선단면이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당해 방진 스프링의 스프링부가 원통 형상의 본체를 구성하는 측벽의 일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폭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충분한 강성과 알맞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안쪽으로 삽통되는 부재에 대해 충분한 접동 하중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무부하 상태에서 스프링부가 본체에 따른 위치 또는 본체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한편, 당접부의 선단면이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쪽으로 부재를 삽통시켰을 때, 스프링부가 본체에 따른 위치 또는 본체의 다소 외측으로 휘어지는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본체를 필요 충분한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방진 스프링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팽창 밸브의 작동부의 방진에 적합한 방진 스프링을 그 기능을 확보하면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시의 상태를 기준으로 각 구조의 위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서, 대략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히 생략할 수 있다.
[제 1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팽창 밸브를 자동차용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적용되는 온도식 팽창 밸브로서 구체화하고 있다. 이 냉동 사이클에는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기액으로 분리하는 리시버, 분리된 액 냉매를 수축 팽창시켜서 안개 상태로 하여 송출하는 팽창 밸브, 그 안개 상태의 냉매를 증발시켜서 그 증발 잠열에 의해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마련되어 있지만, 팽창 밸브 이외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팽창 밸브의 단면도이다.
팽창 밸브(1)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소재를 압출 성형해서 얻은 부재에 소정의 절삭 가공을 시행하여 형성된 보디(2)를 포함한다. 이 보디(2)는 각주 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냉매의 수축 팽창을 행하는 밸브부가 마련되어 있다. 보디(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감온부로서 기능하는 파워 요소(3)가 마련되어 있다.
보디(2)의 측부에는, 리시버측(응축기측)에서 고온·고압의 액 냉매를 도입하는 도입 포트(6), 팽창 밸브(1)에 의해 수축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증발기를 향해서 도출하는 도출 포트(7), 증발기에 의해 증발된 냉매를 도입하는 도입 포트(8), 팽창 밸브(1)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기측으로 도출하는 도출 포트(9)가 마련되어 있다. 도입 포트(6)와 도출 포트(9)와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 설치용의 스터드 볼트를 식설(植設) 가능하게 하기 위한 나사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팽창 밸브(1)에 있어서는, 도입 포트(6), 도출 포트(7) 및 이들을 연결하는 냉매 통로에 의해 제 1의 통로(13)가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통로(13)는, 그 중간부에 밸브부가 마련되어 있고, 도입 포트(6)에서 도입된 냉매를 그 밸브부에 의해 수축 팽창시켜서 안개 상태으로 하고, 도출 포트(7)에서 증발기를 향해 도출한다. 한편, 도입 포트(8), 도출 포트(9) 및 이들을 연결하는 냉매 통로에 의해 제 2의 통로(14)("되돌림 통로"에 해당한다)가 구성되어 있다. 제 2의 통로(14)는, 스트레이트로 연장되어 있고, 도입 포트(8)에서 냉매를 도입하여 도출 포트(9)에서 압축기를 향해 도출한다.
즉, 보디(2)에서 제 1의 통로(13)의 중간부에는 밸브 구멍(16)이 마련되고, 그 밸브 구멍(16)의 도입 포트(6)측의 개구 단연에 의해 밸브 시트(17)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17)에 도입 포트(6)측에서 대향하도록 밸브체(18)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18)는, 밸브 시트(17)에 착탈하여 밸브부를 개폐하는 공 형상의 볼 밸브체와, 볼 밸브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밸브체 받침을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디(2)의 하단부에는, 제 1의 통로(13)에 직교하도록 내외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19)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반부에 의해 밸브체(18)를 수용하는 밸브실(40)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실(40)은, 그 상단부에 의해 밸브 구멍(16)에 연통하고, 측부에 의해 작은 구멍(42)을 통해 도입 포트(6)로 연통하고 있고, 제 1의 통로(1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작은 구멍(42)은, 제 1의 통로(13)의 통로 단면이 국부적으로 협소화되어 형성되고, 밸브실(40)에 개구하고 있다.
연통 구멍(19)의 하반부에는, 그 연통 구멍(19)을 외부에서 밀봉하도록 조정 나사(20)("조정 부재"에 해당한다)가 나착(螺着)되어 있다. 밸브체(18)(정확하게는 밸브체 받침)와 조정 나사(20)와의 사이에는, 밸브체(18)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23)이 개재되어 있다. 조정 나사(20)의 보디(2)로 나입(螺入)량을 조정함으로써, 스프링(23)의 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 나사(20)와 보디(2)와의 사이에는,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0링(24)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보디(2)의 상단부에는, 제 2의 통로(14)에 직교하도록 내외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2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통 구멍(25)을 밀봉하도록 파워 요소(3)("감온부"에 해당한다)가 나착되어 있다. 파워 요소(3)는, 상부 하우징(26)과 하부 하우징(27)과의 사이에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28)을 끼우도록 개재하고, 그 하부 하우징(27)측에 디스크(29)를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6)과 다이어프램(28)으로 둘러싸인 밀폐 공간에는 감온용의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파워 요소(3)와 보디(2)와의 사이에는,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0링(30)이 개재되어 있다. 제 2의 통로(14)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 및 온도는, 연통 구멍(25)과 디스크(29)에 마련된 홈부를 통해 다이어프램(28)의 하면으로 전달된다.
보디(2)의 중앙부에는, 제 1의 통로(13)와 제 2의 통로(14)를 연결하는 계단식 구멍(34)이 마련되어 있고, 이 계단식 구멍(34)의 소경부(44)에는 길이가 긴 형상의 샤프트(33) ("작동 로드"로서 기능한다)가 접동할 수 있게 삽통되어 있다. 샤프트(33)는 디스크(29)와 밸브체(18)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다이어프램(28)의 변위에 의한 구동력이, 디스크(29) 및 샤프트(33)를 통해 밸브체(18)로 전달되고, 밸브부가 개폐된다.
샤프트(33)의 상반부는 제 2의 통로(14)를 횡단하고, 하반부가 계단식 구멍(34)의 소경부(44)로 접동할 수 있게 관통하고 있다. 계단식 구멍(34)의 대경부(46)("구멍부"에 대응한다)에는, 샤프트(33)에 축선 방향과 직각 방향의 부세력 즉, 가로 하중(접동 하중)을 부여하기 위한 방진 스프링(50)이 배설되어 있다. 샤프트(33)가 그 방진 스프링(50)의 가로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 냉매 압력의 변동에 의한 샤프트(33)나 밸브체(18)의 진동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방진 스프링(50)의 구조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팽창 밸브(1)는, 증발기에서 도입 포트(8)를 통해 되돌아온 냉매의 압력 및 온도를 파워 요소(3)가 감지하고, 그 다이어프램(28)이 변위한다. 이 다이어프램(28)의 변위가 구동력이 되고, 디스트(29) 및 샤프트(33)를 통해 밸브체(18)로 전달되어 밸브부를 개폐시킨다. 또한, 리시버에서 공급된 액 냉매는, 도입 포트(6)에서 도입되고, 밸브부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수축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안개 상태의 냉매가 된다. 그 냉매는 도출 포트(7)에서 증발기를 향해 도출된다.
다음으로, 방진 스프링(50)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방진 스프링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는 방진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C)는 방진 스프링이 계단식 구멍에 삽통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D)는 방진 스프링의 무부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E)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F)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C)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방진 스프링(50)은, 평탄한 측벽을 갖는 단면 삼각형 형상의 원통 형상의 본체(52)와, 그 3개의 측벽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부(54)를 포함한다. 스프링부(54)는 본체(52)의 각 측벽을 U자 형상으로 뚫은 잔여 부분에 의해 구성되고, 그 기단부가 본체(52)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되고, 선단부가 측벽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스프링부(54)의 선단부에는, 그 내측을 향해 반구 형상의 팽출부(56)("당접부"에 대응한다)가 돌출되어 마련돼있다.
방진 스프링(50)은, 띠 형상의 판재를 연재 방향을 따라 3개소에서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그 측벽에는 그 판재의 양단이 대향하는 틈이 존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시와 같이, 그 판재의 일단부(58)를 볼록 형상으로 하고, 타단부(60)를 그 상보 형상인 오목 형상으로 함으로써, 양단부가 폭 방향으로 오버랩하도록 단차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그 양단부의 빈틈에 기타 부재가 끼기 어렵게 되어 있다. 즉, 방진 스프링(50)이 그 유통 과정에서 단품이 아닌 복수로 정리해서 포장되는 것을 상정하고, 그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도 복수의 방진 스프링(50)이 서로 얽히지 않도록 하고, 처리하는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다.
방진 스프링(50)은, 탄성도가 높은 금속, 예컨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판재를, 그 연재 방향에 따라 3개소에서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판재에 프레스 가공을 시행하는 것에 의해 양단의 요철 형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3개의 측벽에 대응하는 부분에 3개의 스프링부(54)를 형성한다. 이때, 프레스 가공에 의해 각 스프링부(54)에 팽출부(56)가 성형된다. 그리고 이른바 포밍 가공에 의해, 그 판재를 인접하는 스프링부(54)의 사이에 의해 구부러뜨리는 것에 의해 삼각 원통 형상으로 성형한다.
방진 스프링(50)은, 대경부(46)에 삽입되기 전의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는, 도 2(D)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판재의 양단부가 위치하는 각부가 다소 외측으로 위치하는 비정삼각형 형상으로 된다. 또, 각 스프링부(54)는, 본체(52)의 측벽에 따른 상태가 된다. 방진 패널(50)을 대경부(46)에 삽입할 때에는, 그 양단부에 근접하도록 부하를 걸고(도면 중 화살표 참조), 단면 정삼각형 형상에 가까운 상태로 한 후 삽입한다. 방진 스프링(50)은, 무부하 상태에서 탄성 변형한 상태로 대경부(46)에 삽입되기 때문에, 그 부하를 해소했을 때의 탄성반력에 의해 대경부(46)(즉, 보디(2))에 제대로 고정된다(도 2(C) 참조).
또한, 방진 스프링(50)이 대경부(46)에 삽입될 때에는, 3개의 스프링부(54)가 샤프트(33)를 향한 가로 하중을 생성한다. 즉, 도 2(C)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가령 방진 스프링(50)을 대경부(46)에 삽입한 상태에서 3개의 스프링부(54)가 측벽과 동일면에 배치하는 상태를 상정한 경우, 3개의 팽출부(56)의 선단을 통한 내접원의 직경이 샤프트(33)의 직경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E) 및 (F)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방진 스프링(50)에 샤프트(33)를 삽통한 상태에는, 팽창부(56)가 샤프트(33)에 맞닿는 것에 의해 스프링부(54)가 본체(52)의 외측으로 휘어지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샤프트(33)에 적절한 정도의 접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스프링부(54)는, 이와 같이 샤프트(33)를 방진 스프링(50)에 삽통해도 본체(52)와 대경부(4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사용해서 본체(52)의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샤프트(33)에 적절한 정도의 접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그 형상, 크기 및 탄성도가 선정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샤프트(33)를 삽통함으로써, 스프링부(54)가 반지름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지만, 그 때 스프링부(54)를 어느 정도 소성 변형시키면, 스프링부(54)의 샤프트(33)로 압압력(팽출부(56)와 샤프트(33)와의 접동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즉, 스프링부(54)를 탄성 범위로 사용해도 좋고, 소성 범위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시와 같이 방진 스프링(50)이 대경부(46)에 삽입되면, 샤프트(33)에 대해 3개의 팽출부(56)가 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샤프트(33)가 다소 기우는 일이 있다고 해도, 팽출부(56)와 샤프트(33)와의 점 접촉의 상태가 언제나 확보되고, 방진 스프링에 의한 원활한 지지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팽창 밸브(1)에서, 방진 스프링(50)에 의해 샤프트(33)에 적절한 정도인 접동 저항을 공급할 수 있고, 그 결과, 냉매의 압력 변동에 따른 샤프트(33)나 밸브체(18)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특히 그 방진 스프링(50)에 샤프트(33)를 삽통시켰을 때, 스프링부(54)가 본체(52)의 다소 외측으로 휘어지는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본체(52)를 필요 충분한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방진 스프링(50)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팽창 밸브는, 방진 스프링에서 스프링부 주변의 구조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방진 스프링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는 방진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C)는 방진 스프링이 계단식 구멍에 삽통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D)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E)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A)~(C)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250)은, 3개의 스프링부(54) 중 하나가 본체(252)의 일단부(258)의 볼록 형상을 형성한다. 본체(252)의 타단부(260)는 제 1 실시형태의 타단부(60)보다도 큰 오목 형상이 되고, 그것에 의해 양단부가 폭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단차 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체(252)를 제 1 실시형태의 본체(52)와 비교하여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팽창 밸브는, 방진 스프링에서 스프링부 주변의 구조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제 1,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방진 스프링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는 방진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C)는 방진 스프링이 계단식 구멍에 삽통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D)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E)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350)은, 제 2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250)에서 본체(252)의 하부를 제거한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체(352)의 타단부(360)가 L자 형상의 오목부가 되고, 그 부분만큼 본체(352)의 폭이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본체(352)의 일단부(358)와 타단부(360)가 폭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단차 형상이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체(352)의 폭(높이)을 작게 할 수 있고, 방진 스프링(350)을 전체로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팽창 밸브는, 방진 스프링에서 스프링부 주변의 구조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제 1~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5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A)는 방진 스프링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는 방진 스프링의 정면도이다.(C)는 방진 스프링이 계단식 구멍에 삽통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D)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E)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450)은, 제 2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250)과는 달리, 스프링부(454)의 기단부(본체(452)와의 연설부)에 작은 폭의 잘록한 부(456)가 마련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샤프트(33)로 부하하는 하중을 제 2 실시형태의 경우보다도 작게 하고, 샤프트(33)에 의해 적절한 정도인 접동 하중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부(454)에서 그 연재 방향으로 직각 방향의 판 폭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샤프트(33)에 부여하는 부세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팽창 밸브는, 방진 스프링에서 스프링 주변의 구조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제 1~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6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방진 스프링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는 방진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C)는 방진 스프링이 계단식 구멍에 삽통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D)는 (B)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550)은, 단부 원통 형상의 본체(552)를 포함한다. 본체(552)의 일단측과 타단측에는 대경의 고정부(560, 562)가 각각 마련되고, 그들 사이에 소경의 지지부(564)가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564)의 주방향에 따른 3개소에 스프링부(554)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부(554)의 선단 근방에는, 반경 방향 내를 향해 만곡하는 팽출부(55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프링부(554)의 선단부는 물결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무부하 상태에서 팽출부(556)가 내측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그 선단연은 지지부(564)의 측벽에 따르도록 위치한다.
방진 스프링(550)은, 유리 섬유 강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수지 스프링이다. 또한, 변형예에서, 기타 수지재를 사용해서 사출 성형해도 좋고, 제 1~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금속의 판재를 성형해도 좋다. 본체(552)의 측벽의 1개소에는 폭 방향의 틈(566)이 존재한다. 방진 스프링(50)은, 대경부(46)에 삽입되기 전의 무부하 상태에서는, 틈(566)이 다소 열린 상태가 된다. 각 스프링(554)은, 본체(552)의 측벽에 따른 상태가 된다. 방진 스프링(550)을 대경부(46)에 삽입할 때에는, 그 틈(566)의 간격을 작게 하도록 부하를 걸어서 삽입한다. 방진 스프링(550)은, 무부하 상태에서 탄성 변형한 상태로 대경부(46)에 삽입되기 때문에, 그 부하를 해소했을 때의 탄성반력에 의해 대경부(46)(즉, 보디(2))에 제대로 고정된다.
한편, 방진 스프링(550)이 대경부(46)에 삽입될 때에는, 3개의 스프링부(554)가 샤프트(33)를 향한 가로 하중을 생성한다. 즉, 방진 스프링(550)에 샤프트(33)를 삽통한 상태에서는, 팽출부(556)가 샤프트(33)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부(554)가 지지부(564)의 외측으로 휘어지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샤프트(33)에 적당한 정도인 접동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부(554)는 이와 같이 샤프트(33)를 방진 스프링(550)에 삽통해도, 지지부(564)와 대경부(4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사용해서 본체(552)의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샤프트(33)에 적절한 정도인 접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그 형상, 크기 및 탄성도가 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550)은, 그 본체(552)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560, 562)의 외주면과 대경부(46)의 내주면이 면접촉 상태가 되고, 보디(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제 6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팽창 밸브는, 방진 스프링에서 스프링부 주변의 구조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제 1~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7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방진 스프링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는 방진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C)는 방진 스프링이 계단식 구멍에 삽통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D)는 방진 스프링의 무부하 상태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E)는 방진 스프링의 무부하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F)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C)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650)은, 3개의 스프링부(54) 중 하나가 본체(652)의 일단부(658)가 되고, 볼록 형상을 갖는다. 본체(652)의 타단부(660)에는 장방형 형상의 개구부(662)가 마련되고, 그 선단부가 본체(652)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 굴곡부를 입구로서 일단부(658)가 삽입되고, 그에 의해 양단부가 폭 방향으로 오버랩한다. 도 7(D) 및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부하 상태에서는 본체(652)의 양단이 외측으로 다소 휘어지는 모양이 되지만, 각 선단부의 오버랩은 확보된다.
본 실시형태에는, 타단부(660)의 선단(664)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652)의 양단부의 빈틈에 기타 부재를 끼우기 어렵다. 즉, 방진 스프링(650)이 유통 과정에서 복수로 정리해서 포장되는 상황에서, 얽힘 방지 효과가 다른 실시형태보다도 높아진다.
[제 7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팽창 밸브는, 방진 스프링에서 스프링부 주변의 구조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제 1~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8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방진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방진 스프링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는 방진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C)는 방진 스프링이 계단식 구멍에 삽통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D)는 방진 스프링의 무부하 상태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E)는 방진 스프링의 무부하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F)는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의 방진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E)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750)은, 본체(752)의 타단부(760)의 구성이 다소 다른 이외에는, 제 6 실시형태의 방진 스프링(650)과 동일하다. 즉, 도 8(E)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타단부(760)의 선단이 일부 개방되어 절단면(764)으로 되어 있다. 단, 그 절단면(764)의 폭은, 본체(752)의 일단부(658)인 스프링부(54)의 폭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무부하 상태에서는 양단부가 감합하면, 그 절단면(764)은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는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본체의 양단의 오버랩부를 측방에서 보면(정면시), 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의해 본체 폭 방향에 빈틈이 없는 부분이 형성된다(도 8(B)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얽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타단부(760)의 절단면(764)(절흠부)는, 방진 스프링(750)의 성형시에 팽출부(56)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띠 형상의 판재를 연재 방향을 따라 3개소에서 굽힘 가공하여 본체(752)를 성형할 때, 그 판재의 양단부에 가까운 2개소(절단면(764)에 가까운 개소와 절단면(764)과 계합(係合)하는 스프링부(54)에 가까운 개소)를 먼저 구부리고, 최후에 그들 중간 개소를 구부리는 공정을 상정한다. 그 중간 개소를 구부리는 공정에 있어서, 팽출부(56)의 선단 부근의 부분이 절단면(764)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타단부(76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절단면(764)의 폭을 설정해도 좋다. 절단면(764)의 폭은, 스프링부(54)의 폭보다도 작게, 본체(752)를 성형할 때에 팽출부(56)에 간섭하지 않은 정도의 크기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연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를 조합시켜도 좋고,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상기 제 1~제 4 실시형태에는, 팽출부(56)의 형상으로서 반구 형상의 것을 나타냈지만, 예컨대 아치 형상으로 하는 등, 내측으로 돌출하여 샤프트(33)에 적절한 정도인 접동력을 부여 가능한 것이라면,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제 4 실시형태에는, 방진 스프링의 본체를 단면 삼각형 형상으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단면 사각형 형상 그 외의 다각형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방진 스프링을 단부 원통 형상으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단면 다각형 형상으로 해도 좋다. 단, 포밍 가공에 있어서는, 단면 다각형 형상으로 하는 편이 원통 형상으로 하는 것보다도 가공이 용이하게 되는 만큼, 가공 코스트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진술하지 않았지만, 방진 스프링의 대경부(46)와 접촉하는 부분에 외향으로 돌출하여 대경부(46)에 걸리는 계지부를 형성해도 좋다. 예컨대, 방진 스프링의 본체의 상단연 또는 하단연을 부분적으로 베어내어 바깥쪽으로 구부러뜨리는 것에 의해 계지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방진 스프링을 대경부(46)에 삽입하면, 그 계지부가 대경부(46)의 내벽에 걸리는 모양이 되고, 방진 스프링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부(454)의 기단부의 폭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샤프트(33)에 부여하는 부세력을 조정하는 예를 나타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스프링부의 소정 개소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 스프링부의 판 폭을 실질적으로 작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샤프트(33)에 부여하는 부세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본체에 대해서도 그 연재 방향의 소정 개소에서 판 폭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보디(2)의 반력을 조정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방진 스프링의 무부하 상태에서 스프링부가 본체의 측벽에 따라서,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 스프링부가 본체의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구성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방진 스프링의 무부하 상태에서 스프링부가 본체의 내측으로 연재하고,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 스프링부가 본체에 따른 위치에 휘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는, 방진 스프링의 무부하 상태에서 스프링부가 본체의 내측에 연재하고, 샤프트가 삽통되었을 때 스프링부가 본체의 바깥쪽으로 휘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팽출부는 본체의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단,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스프링부가 본체의 측벽에 따른 구성으로 하는 편이, 가공 코스트의 점에서는 유리해진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띠 형상의 판재에 대해 프레스 가공에 의해 단부의 요철 형상이나 스프링부의 형상을 뚫고, 그것을 외형 형상에 따라 구부러뜨리는 것만으로 좋고, 스프링부를 내측 또는 외측에 적정량으로 잘라내는(구부러뜨리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그 잘라내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만큼 가공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도 1에 나와 있는 계단식 구멍(34)과 샤프트(33)와의 사이에 0링 등의 실 부재를 마련하고, 제 1의 통로(13)에서 제 2의 통로(14)로의 냉매의 누설을 방지 또는 억제하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계단식 구멍(34)의 대경부(46)의 깊이를 크게 하고, 대경부(46)의 저부측으로 0링을 배치하고, 그 상방에 방진 스프링을 배치해도 좋다. 그 경우에, 방진 스프링을 그 젖힌 부분의 저면에 의해 상방에서 0링을 계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팽창 밸브는, 냉매로서 대체 프론(HFC-134a) 등 사용하는 냉동 사이클에 적합하게 적용되지만, 본 발명의 팽창 밸브는, 이산화탄소와 같이 작동 압력이 높은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 사이클에 적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냉동 사이클에 응축기 대신에 가스 쿨러 등의 외부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그때, 파워 요소(3)를 구성하는 다이어프램의 강도를 보충하기 위해, 예컨대,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을 포개서 배치해도 좋다. 또는, 다이어프램으로 치환하여 접시 스프링등을 배치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는, 팽창 밸브를 온도식 팽창 밸브로서 구성한 예를 들었지만, 온도를 감지하지 않은 팽창 밸브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부로서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전자식 팽창 밸브로서 구성해도 좋다. 또는, 구성부로서 스테핑 모터 등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동 팽창 밸브로서 구성해도 좋다.
1: 팽창 밸브
2: 보디
3: 파워 요소
16: 밸브 구멍
17: 밸브 시트
18: 밸브체
33: 샤프트
34: 계단식 구멍
44: 소경부
46: 대경부
52: 본체
54: 스프링부
56: 팽출부
252, 352, 452: 본체
454: 스프링부
552: 본체
554: 스프링부
556: 팽출부
560: 고정부
564: 지지부

Claims (10)

  1. 냉동 사이클의 상류측에서 도입되는 냉매를, 보디 내의 밸브부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수축 팽창시켜, 하류측으로 도출하는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보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일단측으로 냉매의 도입 포트가 마련되는 한편, 타단측으로 냉매의 도출 포트가 마련된 냉매 통로;
    상기 냉매 통로의 중간부에 마련된 밸브 구멍;
    상기 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상기 밸브부를 개폐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보디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작동 로드; 및
    상기 보디와 상기 작동 로드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작동 로드를 부세하여 접동 저항을 공급하는 방진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 스프링은,
    상기 작동 로드를 안쪽으로 삽통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렌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상기 작동 로드와의 대향면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당접부를 포함하고, 삽통되는 작동 로드에 상기 당접부가 당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본체에 따라 위치 또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휘어지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상기 작동 로드에 접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스프링은, 상기 본체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디에 설치되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상기 보디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복수의 측벽을 갖는 다각형상의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부가 복수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 로드와 복수 개소에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스프링은, 상기 보디에 상기 작동 로드와 동심 형상으로 형성된 구멍부에 탄성적으로 삽통되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상기 보디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본체와 상기 구멍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휘어지며,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상기 작동 로드에 접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스프링은,
    상기 본체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상대적으로 대경인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설(連設)된 상대적으로 소경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보디에 상기 작동 로드와 동심 형상으로 형성된 구멍부에 삽통되고, 그 탄성반력에 의해 상기 보디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에 상기 스프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본체와 상기 구멍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이용해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휘어지며, 그 탄성 반력에 의해 상기 작동 로드에 접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부에서 그 연재(延在) 방향으로 직각 방향의 판 폭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 로드에 부여하는 부세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탄성을 갖는 판재를 그 연재 방향에 따라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그 판재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폭 방향으로 오버랩하도록 단차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스프링은, 수지재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를 통과하여 수축 팽창된 냉매를 상기 도출 포트에서 도출하여 증발기로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에서 되돌아온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밸브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온도식 팽창 밸브로서 구성되고,
    상기 냉매 통로와는 별도로 상기 보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되돌아온 냉매를 통과시키는 되돌림 통로;
    상기 구동부로서 마련되고, 상기 되돌림 통로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그 구동력을 상기 작동 로드를 통해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여 상기 밸브부의 개도를 변화시키고,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파워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0. 원통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에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당접부를 포함하고,
    무부하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본체에 따른 위치 또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당접부의 선단면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스프링.
KR1020130044624A 2012-04-25 2013-04-23 팽창 밸브 및 방진 스프링 KR102045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0226 2012-04-25
JPJP-P-2012-100226 2012-04-25
JPJP-P-2013-032425 2013-02-21
JP2013032425A JP5974326B2 (ja) 2012-04-25 2013-02-21 膨張弁および防振ば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399A true KR20130120399A (ko) 2013-11-04
KR102045087B1 KR102045087B1 (ko) 2019-11-14

Family

ID=4809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624A KR102045087B1 (ko) 2012-04-25 2013-04-23 팽창 밸브 및 방진 스프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02601B2 (ko)
EP (1) EP2667118B1 (ko)
JP (1) JP5974326B2 (ko)
KR (1) KR102045087B1 (ko)
CN (1) CN1033755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620A (ko) * 2022-09-23 2024-04-01 추창종 축을 이용한 동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킨 밸브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3543B2 (ja) * 2013-02-01 2016-12-27 株式会社不二工機 温度式膨張弁
JP6142181B2 (ja) * 2013-03-12 2017-06-07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および防振ばね
JP6182363B2 (ja) * 2013-06-07 2017-08-16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KR101617826B1 (ko) * 2014-09-04 2016-05-04 학교법인 두원학원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팽창밸브 구조
JP6435486B2 (ja) 2014-09-24 2018-12-12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制御弁
JP6368895B2 (ja) * 2014-10-01 2018-08-08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制御弁
JP6402314B2 (ja) * 2014-12-02 2018-10-10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JP6446636B2 (ja) * 2015-02-06 2019-01-0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およびその配管取付構造
EP3059445B1 (en) * 2015-02-23 2020-06-24 TGK CO., Ltd.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16223751A (ja) 2015-06-04 2016-12-28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DE112016002623B4 (de) * 2015-06-09 2019-12-24 Denso Corporation Druckreduzierventil
JP6569061B2 (ja) 2015-08-19 2019-09-04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制御弁
US10190807B2 (en) * 2015-12-21 2019-01-29 Tgk Co., Ltd. Expansion valve
JP6667753B2 (ja) * 2016-03-23 2020-03-18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CN106679246A (zh) * 2016-07-08 2017-05-17 浙江新劲空调设备有限公司 新型减振降噪膨胀阀
JP6697976B2 (ja) * 2016-08-09 2020-05-27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JP2018115799A (ja) 2017-01-18 2018-07-26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JP6789555B2 (ja) * 2017-07-12 2020-11-25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CN110966426B (zh) * 2018-09-30 2022-08-26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膨胀阀
CN110966413B (zh) * 2018-09-30 2022-04-05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膨胀阀
JP7362993B2 (ja) * 2019-09-06 2023-10-18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CN113623901A (zh) * 2020-05-09 2021-11-09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节流装置及空调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505A (ja) 1994-11-25 1996-06-07 Tgk Co Ltd 膨張弁
JP2004162807A (ja) * 2002-11-13 2004-06-10 Fujikin Inc リード型電磁駆動弁
JP2004293779A (ja) 2003-03-12 2004-10-21 Fuji Koki Corp 膨張弁
JP2005098423A (ja) * 2003-09-25 2005-04-14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2143A (en) * 1960-09-15 1963-01-08 Tescom Corp Check valve
US4542852A (en) * 1984-03-05 1985-09-24 The Singer Company Vibration damping device for thermostatic expansion valves
FI881255A (fi) 1987-03-17 1988-09-18 Procter & Gamble Blekningskompositioner.
JPH0725499Y2 (ja) * 1990-08-30 1995-06-07 三輪精機株式会社 チェック弁
CN100582534C (zh) * 2006-07-07 2010-01-20 浙江三花汽车控制系统有限公司 热力膨胀阀
US8267329B2 (en) * 2007-01-26 2012-09-18 Fujikoki Corporation Expansion valve with noise reduction means
JP5136109B2 (ja) * 2008-02-18 2013-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膨張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505A (ja) 1994-11-25 1996-06-07 Tgk Co Ltd 膨張弁
JP2004162807A (ja) * 2002-11-13 2004-06-10 Fujikin Inc リード型電磁駆動弁
JP2004293779A (ja) 2003-03-12 2004-10-21 Fuji Koki Corp 膨張弁
JP2005098423A (ja) * 2003-09-25 2005-04-14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磁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620A (ko) * 2022-09-23 2024-04-01 추창종 축을 이용한 동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킨 밸브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7118A2 (en) 2013-11-27
EP2667118B1 (en) 2020-04-01
JP2013242129A (ja) 2013-12-05
CN103375597B (zh) 2017-04-26
EP2667118A3 (en) 2013-12-18
US20130283836A1 (en) 2013-10-31
US9702601B2 (en) 2017-07-11
KR102045087B1 (ko) 2019-11-14
CN103375597A (zh) 2013-10-30
JP5974326B2 (ja)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087B1 (ko) 팽창 밸브 및 방진 스프링
JP5906371B2 (ja) 膨張弁および防振ばね
JP6368895B2 (ja) 制御弁
JP5786225B2 (ja) 膨張弁
US11168930B2 (en) Expansion valve
US5642858A (en) Thermal expansion valve
US10883484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JP6053543B2 (ja) 温度式膨張弁
JP6040374B2 (ja) 複合弁
EP3421906A1 (en) Expansion valve
JP6007369B2 (ja) 制御弁
JP6435486B2 (ja) 制御弁
US11092366B2 (en) Expansion valve
KR102079208B1 (ko) 팽창 밸브
KR20130014652A (ko) 차량용 에어컨 체크밸브
CN109210208B (zh) 膨胀阀
JP5501104B2 (ja) 膨張弁
JP2014066376A (ja) 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