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237A -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237A
KR20130114237A KR1020137020776A KR20137020776A KR20130114237A KR 20130114237 A KR20130114237 A KR 20130114237A KR 1020137020776 A KR1020137020776 A KR 1020137020776A KR 20137020776 A KR20137020776 A KR 20137020776A KR 20130114237 A KR20130114237 A KR 20130114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turntab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i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679B1 (ko
Inventor
마코토 다치바나
지로 아가와
모리히로 이마무라
다츠야 우에다
요시노리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1Tyre supporting devices, e.g.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unbalance
    • G01M1/16Determining un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간소하고 공간 절약의 구성이면서, 복수의 림 적재부를 갖는 턴테이블을 지장 없이 회전시킬 수 있고, 양호하게 턴테이블에 세트한 복수의 림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턴테이블(55)이 지지부에 대해 회전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림 조립체가 배치되는 복수의 림 적재부(56)가 턴테이블(55)에 회전축 주위에 복수 설치되고, 판독부가 턴테이블(55)의 하방에서 지지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판독부는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림 적재부(56)에 적재된 림 조립체의 림 식별 정보를 턴테이블(55)을 통해 판독한다. 이에 의해, 턴테이블(55)의 회전을 저해하는 일 없이 림 조립체의 식별 정보를 양호하게 판독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RIM REPLACEMENT DEVICE FOR TIRE TESTING MACHINE}
본 발명은 타이어의 불균일성을 계측하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나,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하는 타이어 밸런스 측정 장치 등의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 림을 교환하기 위한 림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1월 1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0429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타이어의 불균일성을 계측하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나,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하는 타이어 밸런스 측정 장치 등의 타이어 시험기에서는, 타이어 폭 방향에서 분할된 시험용 림 조립체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림 조립체를 상부 림과 하부 림으로서 조립한 상태에서 타이어를 끼워 넣어 측정을 행하고 있다.
측정 대상의 타이어는 그 직경이나 폭이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따라서, 시험용 림 조립체도, 타이어의 비드 직경이나 비드 폭에 따른 종류마다 교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때, 복수의 림 조립체를 림 교환 장치에 세트하여,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림 조립체도 교환함으로써, 시험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림 교환 장치의 특정한 테이블 상에 적재된 림 조립체의 사이즈 및 종류의 식별은 림 교환 장치의 오퍼레이터에 의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림이나 타이어를 식별하는 수단으로서는, 림이나 타이어에, 트랜스폰더나, ROM 또는 RAM 형식의 메모리 소자 등의 전자 라벨을 설치하여 식별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17483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표 제2004-504977호 공보
림 교환 장치에서는 복수의 치수가 다른 림 조립체가 턴테이블 상에 적재된다. 그리고, 이 턴테이블이 회전함으로써, 측정 대상이 되는 타이어에 대응하는 림 조립체가 선택된다. 이 경우, 전자 라벨과 같은 배선 구조를 필요로 하는 식별 방식을 턴테이블 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턴테이블이 회전 가능하게, 이 배선을 가이드하거나, 턴테이블의 회전을 배선에 지장이 없는 범위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배선 구조를 필요로 하는 식별 방식을 턴테이블 상에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실현이 곤란하다. 또한, 턴테이블의 회전 범위의 외측에서 측방으로부터 턴테이블 상의 림 조립체를 식별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턴테이블의 측방에 식별 방식을 설치하면, 림을 반송하는 수단이나, 다른 장치에 지장이 생긴다.
본 발명은 간소한 구조를 갖고, 또한 설치에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를 제공한다. 이 림 교환 장치는 턴테이블 상의 복수의 림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고, 또한 이 턴테이블을 지장 없이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이하, 본 발명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또는 본 발명의 림 교환 장치라고 칭함)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대해 회전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에 회전축 주위에 복수 설치되어 림 조립체가 배치되는 복수의 림 적재부와, 상기 턴테이블의 하방에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독부는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상기 림 적재부에 적재된 림 조립체의 림 식별 정보를 상기 턴테이블을 통해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상기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형태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따르면, 턴테이블이 지지부에 대해 회전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림 조립체가 배치되는 복수의 림 적재부가 턴테이블에 회전축 주위에 복수 설치되고, 판독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하방에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판독부는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상기 림 적재부에 적재된 림 조립체의 림 식별 정보를 상기 턴테이블을 통해 판독한다. 이에 의해, 턴테이블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저해하는 일 없이 림 조립체의 식별 정보를 양호하게 판독할 수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또는 상기 림 적재부의 어느 한쪽에 지지되어 상하로 진퇴 가능하고, 상기 림 적재부에 적재되는 림 조립체에, 대응하여 상기 림 식별 정보로서 형성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패턴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됨으로써 하방으로 변위되는 복수의 검출 핀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복수의 검출 핀마다 대응하여 배치되고, 하방으로 변위된 상기 검출 핀을 검출하는 복수의 근접 센서를 갖는 림 교환 장치.
상기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형태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따르면, 상하로 진퇴 가능하고, 림 적재부에 적재되는 림 조립체에, 대응하여 림 식별 정보로서 형성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패턴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됨으로써 하방으로 변위되는 복수의 검출 핀이 턴테이블 또는 림 적재부의 어느 한쪽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검출 핀마다 대응하여 배치된 판독부는 하방으로 변위된 검출 핀을 검출하는 복수의 근접 센서를 갖는다. 이에 의해, 근접 센서는 검출 핀의 하단부를 검출함으로써 림 식별 종류를 판독할 수 있다.
(3) 상기 (2)에 기재된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핀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림 교환 장치.
이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림 교환 장치에 따르면, 예기치 않게 하단부를 검출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전기적인 근접 센서를 턴테이블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인 턴테이블의 하방에 배치해도, 턴테이블 및 림 조립체에는 전기적인 배선을 불필요로 한 기계적인 기구만으로 림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4) 상기 (1)에 기재된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및 상기 림 적재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림 적재부에 적재되는 림 조립체에, 대응하여 상기 림 식별 정보로서 형성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패턴을 검출하는 복수의 근접 센서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이 상기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형태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관통 구멍이 턴테이블 및 림 적재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근접 센서는 림 적재부에 적재되는 림 조립체에, 대응하여 림 식별 정보로서 형성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패턴을 이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검출한다.
따라서, 전기적인 근접 센서를 턴테이블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인 턴테이블의 하방에 배치해도, 턴테이블 및 림 조립체에는 전기적인 배선을 불필요로 한 단순한 관통 구멍만으로 림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5) 상기 (1)에 기재된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및 상기 림 적재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에 대향하여 상기 림 조립체에 설치되어, 상기 림 식별 정보로서 종류에 따라서 인쇄된 바코드 정보를,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이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형태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따르면, 관통 구멍이 턴테이블 및 상기 림 적재부에 형성되고, 관통 구멍에 대향하여 림 조립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림 식별 정보로서 종류에 따라서 인쇄된 바코드 정보를, 관통 구멍을 통해 정보를 바코드 리더로 판독한다.
따라서, 전기적인 바코드 리더를 턴테이블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인 턴테이블의 하방에 배치해도, 턴테이블 및 림 조립체에는 전기적인 배선을 불필요로 한 단순한 바코드 정보만으로 림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는 간소한 구조를 갖고, 또한 설치에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림 교환 장치는 턴테이블 상의 복수의 림 조립체를 식별할 수 있고, 또한 이 턴테이블을 지장 없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림 교환 장치를 탑재한 타이어 시험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에 적용되는 림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도 4b의 A-A선을 따르는 하부 림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에 적용되는 림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하부 림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변형예 1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변형예 2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있어서의 적합한 구체예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다양한 한정을 부여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기재가 없는 한, 이들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는 적절하게, 기존의 구성 요소 등과의 치환이 가능하고, 또한 다른 기존의 구성 요소와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배리에이션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기재를 갖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림 교환 장치를 탑재한 타이어 시험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에 적용되는 림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4b의 A-A선을 따르는 하부 림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하부 림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변형예 1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교환 장치의 변형예 2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타이어 시험기(10)는 타이어의 불균일성을 계측하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11)와, 이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11)에 대해 상부 림(12)과 하부 림(13)의 조합에 의한 림 조립체(14)를 교환하는 림 교환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11)는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하는 타이어 밸런스 측정 장치여도 된다.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11)는 가대(15)와, 가대(15)에 설치된 측정부(20)와, 가대(15)에 설치된 상부 림 지지부(30)와, 가대(15)에 설치된 하부 림 지지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측정부(20)는 가대(15)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21)과, 가이드 레일(21)에 설치된 휠 지지부(22)와, 휠 지지부(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 형상의 로드 휠(23)과, 휠 지지부(22)를 가이드 레일(21)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24)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림 지지부(30)는 가대(15)로부터 상승하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에 고정된 승강 레일(32)과, 승강 레일(32)과 평행하게 프레임(31)에 지지된 볼 나사(33)와, 승강 레일(32)에 지지되어 볼 나사(33)에 진퇴 구동되는 상부 림 엘리베이터(34)와, 상부 림 엘리베이터(34)에 설치된 상부 림 척(35)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림 지지부(40)는 가대(15)에 설치된 회전 받침대(41)와, 회전 받침대(41)에 설치된 하부 림 스핀들(42)을 구비하고 있다.
림 교환 장치(50)는 가대(51)와, 가대(51)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52)과, 가이드 레일(52)에 안내되는 지지부(53)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53)에 설치된 선회축(54)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축(54)에 기단부가 지지되고 선회축(54)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십자 형상인 턴테이블(55)과, 턴테이블(55)의 각 선단측에 설치되고 림 조립체(14)가 배치되는 복수의 림 적재부(56)와, 하부 림(13)을 위치 결정 상태에서 지지한 림 적재부(56)에 지지된 상부 림 홀더(57)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55)의 하방에서 지지부(53)에 설치된 판독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53)는 가이드 레일(52)을 따라서 가대(51)에 슬라이드 변위(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되어,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11)에 대해 접근하거나, 이격된다. 림 조립체(14)는 지지부(53)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11)에 접근하고 있을 때에 교환된다.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11)에 림 조립체(14)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지부(53)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11)에 접근했을 때에, 엘리베이터(34)가 하강하여, 상부 림 척(35)이 상부 림 홀더(57)를 척한다(파지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4)가 일단 인상되고, 상부 림(12)과 하부 림(13)이 분리된다. 그 후, 피시험 대상의 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엘리베이터(34)를 하강시킴으로써 타이어를 림 조립체(14)에 끼워 넣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림(13)의 플랜지부(13a)에는 림 조립체(14)의 종류에 따른 조합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에 의한 림 식별 정보부(13b)와, 이 림 식별 정보부(13b)와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13c)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림 식별 정보부(13b)는 4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이 4개소에 배치된 림 식별 정보부(13b)는 특정한 구멍 직경을 갖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상태, 또는 이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4개소에 배치된 림 식별 정보부(13a)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형성 또는 비형성의 조합 패턴에 의해, 림 조립체(14)에 대해 4비트의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이 4개의 림 식별부(13b)를 갖는 림 조립체(14)는 16가지의 관통 구멍의 형성 비형성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림 식별 정보부(13b)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비형성이라 함은, 관통 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 또는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 매립한 것(재질은 상관없음)의 어떤 것이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합으로서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것을 포함시킨 조합으로 설명한다.
판독부(6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53)에 브래킷(61) 및 스테이(62)를 통해 설치된 4개의 근접 센서(6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독부(60)는 턴테이블(55) 중 1개소를 소정의 판독 위치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근접 센서(63)는 림 적재부(56)에 위치 결정 상태로 지지된 하부 림(13)의 림 식별 정보부(13b)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림 적재부(56)에는 림 식별 정보부(13b)에 대향하도록 관통 구멍(56a)과, 하부 림(13)을 위치 결정하기 위해 위치 결정용 오목부(13c)와 결합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5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턴테이블(55)에는 림 적재부(56)의 관통 구멍(56a)과 연통하여, 턴테이블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고 있는, 턴테이블 관통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턴테이블(55)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 적재부(56)의 관통 구멍(56a)을 관통하여 상면으로부터 상단부가 돌출 가능하고 또한 턴테이블(55)의 저면으로부터 하단부가 돌출 가능한 복수의 검출 핀(64)과, 검출 핀(64)을 선단 돌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65)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림 적재부(56)에 림 조립체(14)를 세트하면, 림 식별 정보부(13b)로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검출 핀(64)의 상단부가 림 조립체(14)의 관통 구멍의 하방으로 개방되는 부분에 수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한편, 림 식별 정보부(13b)로서의 관통 구멍의 비형성의 장소에서는, 검출 핀(64)의 상단부가 림 조립체(14)의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어, 스프링(65)의 가압에 저항하고, 검출 핀(64)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다. 이와 같이 대향하는 림 식별 정보부(13b)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형성 또는 비형성에 대응하여, 검출 핀(64)의 하단부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는 양은 변화된다.
근접 센서(63)는 그 감도를 바로 근처로 함으로써, 상단부가 하부 림(13)의 저면[플랜지부(13a)의 저면]으로 밀리고, 하단부가 턴테이블(55)의 하방으로 진출한 검출 핀(64)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지지부(53)에 설치되어 지지부(53)의 슬라이드나 선회축(54)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근접 센서(63)의 검출 정보가 입력된다. 이 제어 회로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 정보에 기초하여 근접 센서(63)의 검출 정보의 조합에 의해 림 조립체(14)의 종류를 특정한다. 또한, 이 특정 정보는 타이어 선택 정보와의 조합에 의해, 타이어 시험 시에 이용되어, 턴테이블(55)의 회전 위치가 제어된다.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에 따르면, 턴테이블(55)이 지지부(53)에 대해 회전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림 조립체(14)가 배치되는 복수의 림 적재부(56)가 턴테이블(55)에 회전축 주위에 복수 설치되고, 판독부(60)가 턴테이블(55)의 하방에서 지지부(53)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판독부(60)는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림 적재부(56)에 적재된 림 조립체(14)의 림 식별 정보를 턴테이블(55)을 통해 판독한다. 이에 의해, 턴테이블(55)의 회전을 저해하는 일 없이 림 조립체(14)의 식별 정보를 양호하게 판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는 턴테이블(55)에 지지되어 상하로 진퇴 가능하고, 림 적재부(56)에 적재되는 림 조립체(14)에, 대응하여 림 식별 정보로서 형성되는 관통 구멍의 형성, 비형성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됨으로써 하방으로 변위되는 검출 핀(64)과, 복수의 검출 핀(64)마다 대응하여 배치되어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검출 핀(64)을 검출하는 복수의 근접 센서(63)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복수의 근접 센서(63)에 의한 검출 핀(64) 하단부의 검출 또는 비검출 패턴으로부터, 림 조립체(14)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형성 비형성 패턴이 해독된다. 그 결과, 림 조립체(14)의 종류가 특정된다.
따라서, 전기적인 근접 센서(63)를 턴테이블(55)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인 턴테이블(55)의 하방에 배치해도, 턴테이블(55) 및 림 조립체(14)에는 전기적인 배선을 불필요로 한 기계적인 기구만으로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림 조립체(14)에는 검출 핀(64)과 대응하여 림 식별 정보로서 관통 구멍의 형성 또는 비형성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원 발명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검출 핀(64)을 압박하지 않고 수용 가능하게,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 부분과 같이 오목부가 형성 또는 비형성된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면, 관통하는 구멍이 아니어도 되고, 적어도 검출 핀(64)의 상단부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 또는 비형성된 조합이면 된다.
또한, 오목부 대신에 볼록부의 형성 또는 비형성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볼록부의 돌출량만큼 검출 핀(64)이 하방으로 진출하게 되고, 이를 판독부(60)를 구성하는 근접 센서(63)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이들 림 식별 정보부는 림 조립체(14)에 1개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검출 핀(64)은 상단부, 하단부 모두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림 조립체의 림 식별 정보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되면 반드시 상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또한 선택적으로 압박되어 하방으로 진출한 것을 판독부(60)에서 검출 가능하면 하단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필요도 없다.
또한, 근접 센서(63)로서는, 비접촉식이고 소정의 거리보다도 가까우면 검출하는 센서로 한정되지 않고, 접촉식의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판독부(60)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턴테이블(55) 중 1개소를 소정의 판독 위치로 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소에서 설치되어, 각 개소를 판독 위치로 하여 림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핀(64)을 사용한 것을 개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55) 및 림 적재부(56)의 양쪽에 연통하도록 관통 구멍(55a, 56a)을 형성하여, 광전 등의 광학식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센서 등, 관통 구멍(55a, 56a)을 통해 검출 가능한 센서에 의해 림 식별 정보부(13b)를 직접 검출[림 적재부(56)의 저면을 검출]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전기적인 근접 센서(63)를 턴테이블(55)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인 턴테이블(55)의 하방에 배치해도, 턴테이블(55) 및 림 조립체(14)에는 전기적인 배선을 불필요로 한 단순한 관통 구멍(55a, 56a)만으로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림 식별 정보로서는, 관통하는 구멍으로 한정되지 않고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근접 센서(63)에 의해 비검출로 되면 되고, 또한 볼록의 형성, 비형성의 패턴으로 하여, 볼록한 부분만 근접 센서(63)로 검출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55) 및 림 적재부(56)에 형성된, 예를 들어 하나의 관통 구멍(55a, 56a)으로 하는 동시에, 관통 구멍(55a, 56a)에 대향하는 림 조립체(14)의 저면에 종류에 따른 바코드 정보를 인쇄한 바코드 라벨(66)을 림 식별 정보부로 하고, 그 바코드 정보를 바코드 리더(67)로 판독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전기적인 바코드 리더(67)를 턴테이블(55)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인 턴테이블(55)의 하방에 배치해도, 턴테이블(55) 및 림 조립체(14)에는 전기적인 배선을 불필요로 한 단순한 바코드 정보만으로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림 교환 장치의 테이블 상에 놓인 림 조립체의 종류를, 소형이고 간소한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타이어 시험을 할 수 있다.
10 : 타이어 시험기
11 :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
12 : 상부 림
13 : 하부 림
13b : 림 식별 정보부
14 : 림 조립체
50 : 림 교환 장치
51 : 가대
53 : 지지부
54 : 선회축
55 : 턴테이블
56 : 림 적재부
60 : 판독부
63 : 근접 센서
64 : 검출 핀

Claims (5)

  1.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대해 회전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에 회전축 주위에 복수 설치되어 림 조립체가 배치되는 복수의 림 적재부와,
    상기 턴테이블의 하방에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독부는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상기 림 적재부에 적재된 림 조립체의 림 식별 정보를 상기 턴테이블을 통해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또는 상기 림 적재부의 어느 한쪽에 지지되어 상하로 진퇴 가능하고, 상기 림 적재부에 적재되는 림 조립체에, 대응하여 상기 림 식별 정보로서 형성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패턴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됨으로써 하방으로 변위되는 복수의 검출 핀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복수의 검출 핀마다 대응하여 배치되고, 하방으로 변위된 상기 검출 핀을 검출하는 복수의 근접 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핀을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및 상기 림 적재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림 적재부에 적재되는 림 조립체에, 대응하여 상기 림 식별 정보로서 형성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패턴을 검출하는 복수의 근접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및 상기 림 적재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에 대향하여 상기 림 조립체에 설치되어, 상기 림 식별 정보로서 종류에 따라서 인쇄된 바코드 정보를,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KR1020137020776A 2012-01-12 2012-10-10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KR101474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4298 2012-01-12
JP2012004298A JP5863467B2 (ja) 2012-01-12 2012-01-12 タイヤ試験機のリム交換装置
PCT/JP2012/076207 WO2013105318A1 (ja) 2012-01-12 2012-10-10 タイヤ試験機のリム交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237A true KR20130114237A (ko) 2013-10-16
KR101474679B1 KR101474679B1 (ko) 2014-12-17

Family

ID=4878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776A KR101474679B1 (ko) 2012-01-12 2012-10-10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4767B2 (ko)
JP (1) JP5863467B2 (ko)
KR (1) KR101474679B1 (ko)
CN (1) CN103348231B (ko)
TW (1) TWI521193B (ko)
WO (1) WO2013105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0804B2 (en) * 2012-03-26 2017-04-04 Snap-On Equipment Srl A Unico Socio Automatic anti-slipping system and automatic anti-slipping method
JP6153497B2 (ja) * 2014-06-16 2017-06-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
JP6449672B2 (ja) * 2015-02-19 2019-01-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のリム交換方法
DE112015007230B4 (de) 2015-12-24 2022-01-0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Reifenprüfmaschine und reifeninspektionsverfahren mit reifenprüfmaschine
CN111727363B (zh) 2018-02-21 2022-04-19 三菱重工机械系统株式会社 轮辋更换装置、轮胎试验装置及轮辋更换方法
JP2019174442A (ja) * 2018-03-26 2019-10-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
WO2019187812A1 (ja) * 2018-03-26 2019-10-0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
JP2019174450A (ja) * 2018-03-29 2019-10-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におけるリムサイズの管理方法
WO2019188110A1 (ja) * 2018-03-29 2019-10-0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におけるリムサイズの管理方法
CN110031150A (zh) * 2019-05-27 2019-07-19 软控股份有限公司 一种轮胎平衡试验机的换轮辋装置
CN110609532A (zh) * 2019-09-30 2019-12-24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转盘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742A (ja) 1989-04-14 1991-02-28 Kobe Steel Ltd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のリム交換装置
JP2661753B2 (ja) 1989-08-30 1997-10-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
JPH03110138A (ja) 1989-09-25 1991-05-10 Kobe Steel Ltd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におけるリムチエンジャ装置
JPH03231834A (ja) 1990-02-07 1991-10-15 Kobe Steel Ltd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のリム交換装置
JP3077116B2 (ja) * 1991-08-10 2000-08-14 旭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US6237402B1 (en) * 1996-04-15 2001-05-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and rim assembly centering method
JP3633122B2 (ja) * 1996-07-30 2005-03-30 日立工機株式会社 遠心機
JP3672135B2 (ja) 1996-08-09 2005-07-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測定におけるリム交換装置
KR100326008B1 (ko) * 1999-10-15 2002-02-27 조충환 타이어의 바코드 인식방법 및 그 장치
US6584835B2 (en) * 2000-02-11 2003-07-01 Mts Systems Corporation Spindle assembly for a tire or wheel testing machine
JP2001241945A (ja) * 2000-02-28 2001-09-07 Bridgestone Corp タイヤの状態検出装置、移動体制御装置、及びタイヤの状態検出方法
FR2812393A1 (fr) 2000-07-31 2002-02-01 Michelin Soc Tech Metho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compatibilite des composants d'un ensemble roulant
DE10196674B3 (de) * 2000-11-13 2010-06-02 Bridgestone/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Nashville Radbaugruppenidentifizierungsvorrichtung
DE60235578D1 (de) * 2001-12-04 2010-04-15 Bridgestone Corp Verfahren zur reifenuntersuchung
US6696970B2 (en) * 2001-12-20 2004-02-24 Xerox Corporation Retractable pin array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50285440A1 (en) * 2004-06-23 2005-12-29 Bal Pushpinder S Wheel traceability system
JP2006105773A (ja) * 2004-10-05 2006-04-20 Bridgestone Corp タイヤユニフォーミティの測定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90075B2 (en) * 2005-12-27 2010-09-07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Multi harmonic tire uniformity correction
CN201465421U (zh) * 2009-05-05 2010-05-12 周华林 一种轮胎用标签、标签粘贴模具及带有该标签的轮胎
JP5366701B2 (ja) * 2009-08-19 2013-12-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のリム交換方法および装置
JP5313943B2 (ja) * 2010-02-25 2013-10-09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試験機のリム交換装置及びリム交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679B1 (ko) 2014-12-17
JP2013142674A (ja) 2013-07-22
CN103348231A (zh) 2013-10-09
US20140054365A1 (en) 2014-02-27
WO2013105318A1 (ja) 2013-07-18
TW201337234A (zh) 2013-09-16
CN103348231B (zh) 2016-04-20
US9194767B2 (en) 2015-11-24
TWI521193B (zh) 2016-02-11
JP5863467B2 (ja)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4237A (ko) 타이어 시험기의 림 교환 장치
US7610690B2 (en) Measurement stand for holding a measuring instrument
CN112729418B (zh) 一种高精密检测设备
CN110641159A (zh) 一种制动盘用自动打标检测机器人及其打标与检测方法
US8632291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tyred wheels on a tyre changer machine
US20180017432A1 (en) Balance having a load chang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balance
CN211028580U (zh) 一种电机壳偏摆跳动检测打码机构
JP2006284273A (ja) ウェーハ厚さ測定装置
CN215725863U (zh) 零件平面度检具
KR20030028184A (ko) 코일의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CN216956107U (zh) 一种磁感芯片测试设备
CN210774660U (zh) 检测机构
CN114295916B (zh) 一种器件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N215435526U (zh) 一种烫印机
CN219715086U (zh) 一种板材强度检测试验台
JP5139479B2 (ja) タイヤのマーキング装置
CN219766075U (zh) 一种pcb板加工用检测装置
CN112743318B (zh) 枢转件组装装置
CN209640349U (zh) 一种胶体金卡识别装置
CN215944057U (zh) 一种自动打标装置
CN216956252U (zh) 一种双工位转盘检测设备
CN220650019U (zh) 一种全自动按键信号测试机
CN219077666U (zh) 一种检测设备及生产系统
CN212133600U (zh) 一种刹车片零部件中的钢背厚度检测装置
CN213714278U (zh) 同轴度检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