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567A -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567A
KR20130113567A KR1020120035807A KR20120035807A KR20130113567A KR 20130113567 A KR20130113567 A KR 20130113567A KR 1020120035807 A KR1020120035807 A KR 1020120035807A KR 20120035807 A KR20120035807 A KR 20120035807A KR 20130113567 A KR20130113567 A KR 20130113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pot
supply pipe
height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845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12003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8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냄비의 내부 바닥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찜, 구이, 면, 국 등을 조리할 때 하나의 조리기구로 냄비의 내부 높이에 따라 식재료의 상부로 열원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재료의 상,하부를 신속하게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는, 저면이 개방된 볼록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경사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상단과 연이어지게 수평으로 지지면이 형성되는 열원수집판과; 상기 열원수집판의 중앙 상면에 내부 둘레면에 너트부가 형성되고, 외부 둘레면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일체로 입설되는 나선식 열원공급관과;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의 볼트부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는 너트부가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폐쇄되게 형성된 내부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의 상단과 연이어지게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조절식 열원공급관;으로 이루어져 통상의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찜냄비, 직화냄비, 일반냄비 중 어느 하나의 냄비의 내부 바닥면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Height-adjustable multi-purpose cooking equipmen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냄비의 내부 바닥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찜, 구이, 면, 국 등을 조리할 때 하나의 조리기구로 냄비의 내부 높이에 따라 식재료의 상부로 열원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재료의 상,하부를 신속하게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냄비는 물을 끓이거나, 찌개, 국, 찜, 직화구이 등의 요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주방기구로 구리, 법랑,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유리 등으로 제작되며, 냄비의 모양과 종류도 여러 가지이다.
상기한 냄비 중 찜을 하는데 사용되는 찜냄비는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에 의해 냄비의 내부에 주입된 소량의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찜판 위에 올려놓은 빵, 옥수수, 고구마, 호박, 육류 등의 다양한 식재료를 밀폐된 내부 공간에서 익히거나 데우는데 사용되고 있다.
직화구이를 하는데 사용되는 직화냄비는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에 의해 냄비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를 통하여 직접 유입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냄비의 내부 바닥면이나 구이판 위에 올려놓은 빵, 옥수수, 고구마, 육류 등의 다양한 식재료를 밀폐된 내부 공간에서 굽거나 익히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찜냄비와 직화냄비에 대한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391164호(2005.07.20)의 찜 및 직화구이 겸용 냄비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970호(2005.01.12)의 직화냄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164호(2005.07.20)의 찜 및 직화구이 겸용 냄비에 대한 기술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10) 안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냄비(10)의 내부 바닥면 가장자리 물 저장부(11) 및 가장자리 물 저장부(11)와 연결된 중심부 쪽 물 저장부(11a)를 오목하게 절곡 형성하며, 냄비(10)의 바닥면에는 열기구로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바닥면보다 돌출시켜 물 넘침방지턱(13)을 구비한 위로 볼록하게 가공한 개구부(12)를 형성하며, 냄비(10) 외부에는 냄비(10) 내부의 물 저장부(11,11a)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 주입구(14)를 형성하며, 냄비(10) 내부에는 석쇠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찜 및 직화구이 겸용 냄비는 첫째, 구이를 하려면 냄비(10) 내부에 석쇠(20)를 설치하고 그 위에 굽고자하는 고구마 등 취사물을 얹은 후 뚜껑(30)을 덮고 밑에서 열기구에 의해 열을 가하게 되면 열기구에서 발산되는 열은 냄비(10)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직접 냄비(10)의 내부로 열기를 인입시켜 내부의 취사물이 익게 된다.
둘째, 찜을 하려면 냄비(10) 내부에 석쇠(2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찜을 하고자하는 만두, 호빵 등 취사물을 얹은 후 뚜껑(30)을 덮고 물 주입구(14)를 통하여 냄비(10) 안 물 저장부(11,11a)에 물을 가득 주입 후 열기구에 의해 열을 가하게 되면 열기구에서 발산되는 열은 냄비(10) 하부에 형성된 물 저장부(11,11a)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하여 내부의 음식물을 익게 하며 동시에 개구부(12)를 통해 직접 냄비(10)의 내부로 열을 가하게 되어 내부 냄새를 억제하면서 취사물이 익게 되는 것이나, 구이를 할 때 상기 열기구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석쇠(20) 위에 얹은 취사물의 하부 표면부터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상부로 이동되므로 석쇠(20)와 접해 있는 하부 면이 먼저 익게 되고 반대 부위인 상부 면를 익히기 위해서는 취사물의 하부 면이 깊숙이 타기 전에 반드시 취사물을 뒤집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찜을 할 때 열기구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냄비(10) 하부에 형성된 상기 물 저장부(11,11a)의 물을 가열하여 발생한 스팀이 석쇠(20) 위에 얹은 취사물의 하부 표면부터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상부로 이동되므로 석쇠(20)와 접해 있는 하부면은 취사물이 젖을 만큼 축축하게 되고, 반대 부위인 상부면에는 하부면과의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가 상부면에 떨어져서 식감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면을 신속하게 익히기 위해서는 취사물을 뒤집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취사물을 뒤집어 주어야 할 때 냄비(10)의 뚜껑(30)을 열어야 하므로 냄비(10)의 내부에서 발생한 스팀이나 냄비(10)의 내부로 인입된 열기가 갑자기 냄비(10)의 외부로 유출되어 조리시간을 지연시키고, 연료소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970호(2005.01.12)의 직화냄비에 대한 기술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냄비(10)의 바닥면에는 열기구(28)로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코닝가공을 한 개구부(17)를 냄비(10)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의 열로 형성하며, 냄비(10)의 내부에는 겅그레(2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겅그레(20) 위에 굽고자하는 고구마 또는 옥수수 등의 취사물(30)을 얹은 후 뚜껑(25)을 덮고 밑에서 열기구(28)에 의해 열을 가하게 되면 열기구(28)에서 발산되는 열기는 냄비(1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7)를 통해 직접 냄비(10)의 내부로 열기를 가하게 되어 내부의 취사물(30)이 익게 되는 것이나, 상기 열기구(28)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겅그레(20) 위에 얹은 취사물(30)의 하부 표면부터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상부로 이동되므로 겅그레(20)와 접해 있는 하부면이 먼저 익게 되고 반대 부위인 상부면을 익히기 위해서는 취사물(30)의 하부면이 깊숙이 타기 전에 반드시 취사물(30)을 뒤집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취사물(30)을 뒤집어 주어야 할 때 냄비(10)의 뚜껑(25)을 열어야 하므로 냄비(10)의 내부로 인입된 열기가 갑자기 냄비(10)의 외부로 유출되어 조리시간을 지연시키고, 연료소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찜냄비나 직화냄비를 제외한 일반냄비는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에 의해 냄비의 내부에 주입된 물이 끓으면서 물에 투입된 면류, 국거리, 채소류, 육류 등의 다양한 식재료를 밀폐된 내부 공간에서 끓이거나 삶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물에 식재료를 투입하면 물이 끓는 온도에 따른 밀도 차이와 식재료나 양념 등에서 나오는 단백질, 녹말 및 국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유기물질이 응고되어 떠오르는 거품 발생과 함께 물이 냄비의 외부로 넘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뚜껑을 열어 놓는다든가 찬물을 부어서 물의 넘침을 방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식재료 고유의 맛과 향, 영양소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식재료의 조리시간과 연료소비를 증가시키고, 아울러 냄비의 외부로 거품과 함께 물이 넘쳤을 때는 주방의 위생불량과 가스 및 전기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찜냄비, 직화냄비, 일반냄비 중 어느 하나의 냄비의 내부 바닥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찜, 구이, 면, 국 등을 조리할 때 하나의 조리기구로 냄비의 내부 높이에 따라 식재료의 상부로 고온의 수증기, 열기, 물 중 어느 하나의 열원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뚜껑을 열지 않고도 식재료의 상,하부를 신속하게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는, 저면이 개방된 볼록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경사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상단과 연이어지게 수평으로 지지면이 형성되는 열원수집판과; 상기 열원수집판의 중앙 상면에 내부 둘레면에 너트부가 형성되고, 외부 둘레면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일체로 입설되는 나선식 열원공급관과;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의 볼트부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는 너트부가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폐쇄되게 형성된 내부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의 상단과 연이어지게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조절식 열원공급관;으로 이루어져 통상의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찜냄비, 직화냄비, 일반냄비 중 어느 하나의 냄비의 내부 바닥면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식 열원공급관은 냄비의 내부 높이에 따라 식재료의 상방으로 상기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이 위치되도록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으로부터 회전시켜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원수집판은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에 의하면, 냄비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조리할 때 찜냄비에 설치할 경우 소량의 물을 신속히 끓임에 따라 고온의 수증기 발생을 보다 많이 빠르게 할 수 있고, 찜냄비의 열원수집공간부 내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수증기가 식재료의 상,하부로 동시에 많이 공급됨과 동시에 찜냄비 내부의 열대류와 나선식 열원공급관 및 조절식 열원공급관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복사에 의해 신속하게 식재료의 상,하부를 골고루 익게 할 수 있으며, 직화냄비에 설치할 경우 가열기구에 의해 직접 고온의 열기가 직화냄비의 열원수집공간부로 인입되어 식재료의 상,하부로 동시에 많이 공급됨과 동시에 직화냄비 내부의 열대류와 나선식 열원공급관 및 조절식 열원공급관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복사에 의해 신속하게 식재료의 상,하부를 골고루 익게 할 수 있고, 일반냄비에 설치할 경우 열원수집공간부 내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물이 끓이거나 삶고자 하는 식재료의 상,하부로 동시에 많이 공급됨과 동시에 일반냄비 내부의 열대류와 나선식 열원공급관 및 조절식 열원공급관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복사에 의해 신속하게 식재료의 상,하부를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는 하나의 조리기구로 냄비의 내부 높이에 따라 식재료의 상부로 회오리 형태로 회전되어 배출되는 고온의 수증기, 열기, 물 중 어느 하나의 열원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찜, 구이, 면, 국 등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냄비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식재료의 상,하부를 신속하게 골고루 익게 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를 조리할 때 뚜껑을 열고 뒤집거나 저어줄 필요가 없게 되어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종래의 기술보다 식재료 고유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맛과 향, 그리고 영양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식재료의 조리대상물에 따라 식재료의 상,하부로 고온의 수증기나 열기, 물 중 어느 하나의 열원이 동시에 많이 전달되므로 식재료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가열기구에 대한 연료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바쁜 현대인의 생활방식에 맞게 신속한 조리환경을 제공하고, 경제적 부담감을 덜어주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의 조절식 열원공급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찜냄비에 설치된 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직화냄비에 설치된 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반냄비에 설치된 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찜 및 직화구이 겸용 냄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직화냄비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의 조절식 열원공급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찜냄비에 설치된 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직화냄비에 설치된 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반냄비에 설치된 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면이 개방된 볼록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경사면(113)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배출공(11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3)의 상단과 연이어지게 수평으로 지지면(115)이 형성되는 열원수집판(110)과;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중앙 상면에 내부 둘레면에 너트부(121)가 형성되고, 외부 둘레면에 볼트부(122)가 형성되어 일체로 입설되는 나선식 열원공급관(120)과;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의 볼트부(122)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는 너트부(131)가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폐쇄되게 형성된 내부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131)의 상단과 연이어지게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이 관통 형성되는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으로 이루어져 통상의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찜냄비, 직화냄비, 일반냄비 중 어느 하나의 냄비의 내부 바닥면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은 냄비의 내부 높이에 따라 식재료의 상방으로 상기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이 위치되도록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으로부터 회전시켜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되며, 또한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용도 조리기구(10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나노세라믹액이 코팅되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나노세라믹코팅액은 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하는 특수코팅도료의 일종으로 금속재와 밀착성이 강력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내후성 및 내열성과 내식성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100)는 찜냄비(200), 직화냄비(300), 일반냄비(400) 중 어느 하나의 냄비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하여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260)에 의해 열원수집공간부(27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수증기, 열기, 물 중 어느 하나의 열원을 식재료(240)(340)(440)의 상,하부로 공급하여 뚜껑을 열지 않고도 식재료의 상,하부를 신속하게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찜냄비(200)는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260)에 의해 물(250)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빵, 옥수수, 고구마, 호박, 육류 등의 다양한 식재료를 밀폐된 내부 공간에서 익히거나 데우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손잡이(215)를 형성한 뚜껑(210)이 본체(220)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양측에 손잡이(225)가 형성된 본체(220)의 내부 바닥면에 찌고자 하는 식재료(240)가 본체(220)의 내부에 주입된 바닥의 물(250)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식재료 받침판(230)이 상기 본체(220)로부터 외부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식재료 받침판(230)은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시킨 판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철망과 같은 망부재, 석쇠 등 수증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찜냄비(200)에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100)를 설치할 때는 상기 식재료 받침판(230)을 설치하기 전에, 찜냄비(200)의 내부 높이에 따라 상기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을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으로부터 나사를 풀고 조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켜 식재료(240)의 상방으로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이 위치되도록 높이를 조절한 다음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바깥둘레 저면이 상기 찜냄비(200)의 본체(220)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올려지면 간편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용도 조리기구(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다용도 조리기구(100)의 조절식 열원공급관(130) 상부를 통하여 식재료 받침판(230)의 중심부를 삽입하여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지지면(115)에 올려놓으면 상기 식재료 받침판(230)이 상기 찜냄비(200)의 본체(220) 내부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견고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용도 조리기구(100)의 조절식 열원공급관(130) 상부를 통하여 식재료 받침판(230)을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지지면(115)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바깥둘레 저면이 상기 찜냄비(200)의 본체(220)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올려놓으면 간편하게 다용도 조리기구(10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재료 받침판(23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지지면(115)에 식재료 받침판(230)을 올려놓지 않고 식재료 받침판(230)의 하방으로 다리를 형성하여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경사면(113)에 식재료 받침판을 올려놓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화냄비(300)는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260)에 의해 본체(320)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330)를 통하여 직접 인입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빵, 옥수수, 고구마, 육류 등의 다양한 식재료(340)를 밀폐된 내부 공간에서 굽거나 익히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손잡이(215)를 형성한 뚜껑(210)이 본체(320)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양측 손잡이(225)가 형성된 본체(320)의 내부 바닥면에 가열기구(260)에 의해 직접 열기가 인입되는 다수의 개구부(33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식재료(340)를 올려놓기 위한 식재료 받침판(230)이 상기 본체(320)로부터 외부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식재료 받침판(230)은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시킨 판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철망과 같은 망부재, 석쇠 등 열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직화냄비(300)에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100)를 설치할 때는 상기 식재료 받침판(230)을 설치하기 전에, 직화냄비(300)의 내부 높이에 따라 상기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을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으로부터 나사를 풀고 조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켜 식재료(340)의 상방으로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이 위치되도록 높이를 조절한 다음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바깥둘레 저면이 상기 직화냄비(300)의 본체(320)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올려지면 간편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다용도 조리기구(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다용도 조리기구(100)의 조절식 열원공급관(130) 상부를 통하여 식재료 받침판(230)의 중심부를 삽입하여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지지면(115)에 올려놓으면 상기 식재료 받침판(230)이 상기 직화냄비(300)의 본체(320) 내부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견고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식재료 받침판(230)은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지지면(115)에 식재료 받침판(230)을 올려놓지 않고, 식재료 받침판(230)의 하방으로 다리를 형성하여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경사면(113)에 식재료 받침판을 올려놓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냄비(400)는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260)에 의해 물(250)에 투입된 면류, 국거리, 채소류, 육류 등의 다양한 식재료(440)를 밀폐된 내부 공간에서 끓이거나 삶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손잡이(215)를 형성한 뚜껑(210)이 본체(220)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220)의 양측에는 손잡이(2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일반냄비(400)에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100)를 설치할 때는 일반냄비(400)의 내부 높이에 따라 상기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을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으로부터 나사를 풀고 조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켜 물(250) 및 식재료(440)의 상부로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이 위치되도록 높이를 조절한 다음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바깥둘레 저면이 상기 일반냄비(400)의 본체(220)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올려지면 간편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경사면(113) 하단 바깥둘레면에 테두리부(111)가 상향 절곡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단부에 플랜지부(112)가 외향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두께를 0.5㎜ 이하의 박판으로 형성할 경우 외부 충격으로부터 휨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원수집판(110)에 내구성이 부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상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상면을 반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온의 수증기, 열기 및 물이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의 너트부(121)와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너트부(131)를 통해 상단부로 이동하였을 때 고온의 수증기, 열기 및 물에 대한 열원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나선형 배출공(132)을 통해 신속하게 열원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원수집판(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 형상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형상을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찜냄비(200), 직화냄비(300) 및 일반냄비(400)에 각각 대응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100)를 찜냄비(200)와 직화냄비(300) 및 일반냄비(400)에 설치할 경우의 작용효과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100)를 상기 찜냄비(200)에 설치할 경우, 본체(220) 내부의 밑바닥에 소량의 물(250)을 주입하고 식재료 받침판(230) 위에 찌고자 하는 빵, 만두, 고구마, 또는 옥수수 등의 식재료(240)를 올려놓은 후 뚜껑(210)을 덮고 찜냄비(200)의 밑에서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260)에 의해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가열기구(260)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기에 의해 본체(220)의 내부 바닥면과 열원수집판(110) 사이의 열원수집공간부(270) 내에 위치된 소량의 물을 신속히 끓이게 되면서 고온의 수증기 발생을 보다 많이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열원수집공간부(270)에서 발생된 고온의 수증기는 열원수집판(110)의 경사면(113)에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114)을 통해 배출되어 식재료(240)의 하부를 익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중앙 상면에 일체로 입설된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의 너트부(121)와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에 나사결합된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너트부(131)를 통해 고온의 수증기가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의 너트부(121)와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너트부(131)의 나선홈에 의해 회오리 형태로 회전되어 상부로 이동하면서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를 통해 회오리 형태로 회전하면서 신속하게 배출되어 뚜껑(210)에 의해 고온의 수증기가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하강하여 식재료(240)의 상부를 익히게 된다. 따라서, 뚜껑(210)을 열고 식재료(240)를 뒤집을 필요가 없으므로 찜냄비(200)의 열원수집공간부(270) 내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수증기 낭비 없이 상기 식재료(240)에는 상,하부로 고온의 수증기가 동시에 많이 공급됨과 동시에 찜냄비(200) 내부의 열대류와 나선식 열원공급관(120)과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복사에 의해 신속하게 식재료(240)의 상,하부가 골고루 익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100)를 상기 직화냄비(300)에 설치할 경우, 식재료 받침판(230) 위에 굽고자하는 고구마 또는 옥수수 등의 식재료(340)를 올려놓은 후 뚜껑(210)을 덮고 직화냄비(300)의 밑에서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260)에 의해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가열기구(260)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기는 직화냄비(300)의 본체(320)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330)를 통해 직접 직화냄비(300)의 본체(320)의 내부 바닥면과 열원수집판(110) 사이의 열원수집공간부(270)로 인입되고, 상기 열원수집공간부(270)에 인입된 고온의 열기는 열원수집판(110)의 경사면(113)에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114)을 통해 배출되어 식재료(340)의 하부를 익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중앙 상면에 일체로 입설된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의 너트부(121)와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에 나사결합된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너트부(131)를 통해 고온의 열기가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의 너트부(121)와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너트부(131)의 나선홈에 의해 회오리 형태로 회전되어 상부로 이동되면서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를 통해 회오리 형태로 회전하면서 신속하게 배출되어 뚜껑(210)에 의해 고온의 열기가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하강하여 식재료(340)의 상부를 익히게 된다. 따라서, 뚜껑(210)을 열고 식재료(340)를 뒤집을 필요가 없으므로 직화냄비(300)의 내부로 직접 인입되는 열기의 낭비 없이 상기 식재료(340)에는 상,하부로 고온의 열기가 동시에 많이 공급됨과 동시에 직화냄비(300) 내부의 열대류와 나선식 열원공급관(120)과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복사에 의해 신속하게 식재료(340)의 상,하부를 골고루 익게 하여 불에 직접 구운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100)를 상기 일반냄비(400)에 설치할 경우, 본체(220) 내부에 물(250)을 주입한 후 국거리, 면류, 육류, 채소류 등의 식재료(440)를 투입(이때, 물이 끓은 후 식재료(440)를 투입할 수도 있다.)한 다음 뚜껑(210)을 덮고 일반냄비(400)의 밑에서 가스레인지,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기구(260)에 의해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가열기구(260)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기에 의해 본체(220)의 내부 바닥면과 열원수집판(110) 사이의 열원수집공간부(270) 내에 위치된 물을 신속히 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열원수집공간부(270)에서 끓여진 고온의 물은 열원수집판(110)의 경사면(113)에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114)을 통해 배출되어 식재료(440)의 하부를 익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중앙 상면에 일체로 입설된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의 너트부(121)와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에 나사결합된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너트부(131)를 통해 고온의 물이 기화현상에 의해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의 너트부(121)와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너트부(131)의 나선홈에 의해 회오리 형태로 회전되어 상부로 이동되면서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를 통해 회오리 형태로 회전하면서 신속하게 배출되어 일반냄비(40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된 후 물(250)의 상부로 투입되어 식재료(440)의 상부를 익히게 된다. 이때, 물이 끓게 되면 액체의 기화현상에 따라 열을 가장 많이 받는 본체(220)의 내부 바닥면에서부터 물이 끓는 온도에 따른 밀도 차이와 식재료나 양념 등에서 나오는 단백질, 녹말 및 국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유기물질이 응고되어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물(250)의 외부로 표출되는 거품은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의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물에 의해 본체(220)에 내부에 주입된 물(250)의 끓는 온도와 밀도가 균일해지면서 거품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일반냄비(400)의 외부로 물(250)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210)을 열어놓는다든가 찬물을 부을 필요가 없고, 식재료(440)를 뒤집거나 저어줄 필요가 없으므로 일반냄비(400)의 열원수집공간부(270) 내에서 신속이 끓여지는 고온의 물 낭비 없이 상기 식재료(440)에는 상,하부로 고온의 물이 동시에 많이 공급됨과 동시에 일반냄비(400) 내부의 열대류와 나선식 열원공급관(120)과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복사에 의해 신속하게 식재료(440)의 상,하부가 골고루 익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찜냄비(200) 및 직화냄비(300), 일반냄비(400)와는 다른 구조의 조리도구인 통상의 찜기나 직화구이기 및 냄비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식 찜냄비, 적층식 직화냄비 등에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100)를 적용하여 식재료(240)(340)(440)의 상,하부를 골고루 익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다용도 조리기구 110 : 열원수집판
111 : 테두리부 112 : 플랜지부
113 : 경사면 114 : 배출공
115 : 지지면 120 : 나선식 열원공급관
121 : 너트부 122 : 볼트부
130 : 조절식 열원공급관 131 : 너트부
132 : 나선형 배출공 200 : 찜냄비
210 : 뚜껑 215 : 손잡이
220, 320 : 본체 225 : 손잡이
230 : 식재료 받침판 240, 340, 440 : 식재료
250 : 물 260 : 가열기구
270 : 열원수집공간부 300 : 직화냄비
330 : 개구부 400 : 일반냄비

Claims (3)

  1. 저면이 개방된 볼록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경사면(113)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배출공(11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3)의 상단과 연이어지게 수평으로 지지면(115)이 형성되는 열원수집판(110)과;
    상기 열원수집판(110)의 중앙 상면에 내부 둘레면에 너트부(121)가 형성되고, 외부 둘레면에 볼트부(122)가 형성되어 일체로 입설되는 나선식 열원공급관(120)과;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의 볼트부(122)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는 너트부(131)가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폐쇄되게 형성된 내부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131)의 상단과 연이어지게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이 관통 형성되는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으로 이루어져 통상의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찜냄비, 직화냄비, 일반냄비 중 어느 하나의 냄비의 내부 바닥면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식 열원공급관(130)은 냄비의 내부 높이에 따라 식재료의 상방으로 상기 다수의 나선형 배출공(132)이 위치되도록 상기 나선식 열원공급관(120)으로부터 회전시켜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집판(110)은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1020120035807A 2012-04-06 2012-04-06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10138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807A KR101381845B1 (ko) 2012-04-06 2012-04-06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807A KR101381845B1 (ko) 2012-04-06 2012-04-06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567A true KR20130113567A (ko) 2013-10-16
KR101381845B1 KR101381845B1 (ko) 2014-04-04

Family

ID=4963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807A KR101381845B1 (ko) 2012-04-06 2012-04-06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8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88B1 (ko) * 2014-06-17 2015-07-21 추일호 구이용 불판
CN109393961A (zh) * 2018-12-05 2019-03-01 庄腾飞 一种多功能升降火锅
CN109757968A (zh) * 2019-03-08 2019-05-17 成都马踏飞燕科技有限公司 一种无烟火锅装置
KR102178997B1 (ko) * 2019-06-28 2020-11-16 김미영 가열식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455B1 (ko) * 1999-09-06 2003-01-24 옥재섭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KR200361110Y1 (ko) * 2004-06-04 2004-09-07 천광식 다용도 조리기
KR100924424B1 (ko) * 2009-04-21 2009-10-29 이연옥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101045571B1 (ko) * 2009-07-07 2011-06-30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 조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88B1 (ko) * 2014-06-17 2015-07-21 추일호 구이용 불판
CN109393961A (zh) * 2018-12-05 2019-03-01 庄腾飞 一种多功能升降火锅
CN109757968A (zh) * 2019-03-08 2019-05-17 成都马踏飞燕科技有限公司 一种无烟火锅装置
KR102178997B1 (ko) * 2019-06-28 2020-11-16 김미영 가열식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845B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US20130298781A1 (en) Portable Passive Convection Cooking Oven
CN207544881U (zh) 家庭用电热锅
KR1013818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101350636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110001116U (ko)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KR20130002374A (ko) 중탕냄비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KR101404928B1 (ko) 다용도 냄비
JP2003153811A (ja) フライパン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20130016849A (ko) 배관이 구비된 다용도 조리기 세트
KR200369953Y1 (ko) 음식물의 조리용기
JP6748752B1 (ja) 輻射鍋
KR102317772B1 (ko)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JP3224257U (ja) 加熱調理器具の蓋体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CN213282599U (zh) 多功能蒸烤炊具
CN212234105U (zh) 一种双层蒸烤锅
JP2011115518A (ja) 分離操作式調理容器
KR200429806Y1 (ko) 구이 및 전골 요리 겸용 조리용 철판
CN201047610Y (zh) 多功能炖烤炉
KR200279277Y1 (ko) 개량된 찜기
CN207784972U (zh) 一种陶瓷烤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