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388A -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388A
KR20130060388A KR1020110126413A KR20110126413A KR20130060388A KR 20130060388 A KR20130060388 A KR 20130060388A KR 1020110126413 A KR1020110126413 A KR 1020110126413A KR 20110126413 A KR20110126413 A KR 20110126413A KR 20130060388 A KR20130060388 A KR 20130060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honggyeongcheon
extract
fermented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112B1 (ko
Inventor
홍희도
이영철
김영찬
김경탁
최상윤
이영경
조장원
노정해
이옥환
윤보라
성수경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112B1/ko
Priority to CN201210232700.4A priority patent/CN103127202B/zh
Publication of KR2013006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High-energy foods and drinks, sports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를 위하여, 홍경천 추출물에 홍삼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홍경천과 홍삼을 혼합하여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부터 제조된 홍경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Preparation method for fermented rhodiola rosea using red ginseng and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and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comprising the fermented rhodiola rosea}
본 발명은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의 의약 및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홍경천(rhodiola rosea)은 유럽과 아시아의 고산지대에 널리 분포되어 서식하는 식물로서, 신경계통의 자극, 우울증의 감소, 작업능력의 향상, 피로회복, 고산병의 예방 등에 유효한 전통약물로 동유럽과 아시아에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특히, 백두산 해발 1,800m~2,300m사이의 이끼 긴 원시림 속 자작나무숲과 협곡의 바위틈에서 많이 자라고 있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일교차가 크고 건조하며 산소가 희박하고 자외선이 강한 고산지대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특수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고산경천 또는 고산홍경천 등의 별명으로도 불린다.
홍경천의 주요성분은 Salidroside, Tyrosol 및 배당체를 비롯하여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플라본류 화합물, 아미노산, 무시원소, 미량의 정유 등을 포함한다. 홍경천의 현대적 연구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일부 인삼을 능가하는 약리작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삼이 가진 부작용이 전혀 없는 새로운 약물이라는 것이 증명되어 최근 국내외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홍경천의 주요 효능으로는 원기 회복, 장수, 근무력증 예방, 피로회복 등에 유효하다는 보고가 있다. 홍경천의 효과는 최근에 많은 관심 속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특히 홍경천 술, 구보약, 캡슐, 차, 껌, 사탕 등 30여 가지의 다양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의 소재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어 제품 개발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439209호는 제1원료로서의 홍경천과, 제2원료로서 더부살이풀, 사상자 및, 토사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며, 상기한 제1원료는 10~95중량%와 상기한 제2원료는 5~90중량%로 구성되는 스테미너 증진용 천연차에 관한 것이고, 한국등록특허 제0204166호는 두충, 가시오가피, 대추, 구기자, 감초와, 홍삼 또는 홍경천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스트레스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모두 홍경천 추출물 자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이고, 홍경천 발효물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고, 더 나아가 홍경천이 단독으로는 발효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홍경천의 항피로 또는 운동능력 향상과 관련된 활성을 증진시키고, 인체에 흡수되기에 유리한 살리드로사이드의 비배당체로의 생물전환을 위하여 홍경천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연구하던 중, 단독으로 발효가 거의 진행되지 않는 홍경천에 홍삼을 첨가할 경우 발효가 진행되면서 항피로 또는 운동능력이 우수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단독으로 발효가 어려운 홍경천의 발효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항피로 또는 운동능력 향상과 관련된 활성을 우수하고 인체에 흡수되기에 유리한 살리드로사이드의 비배당체 함량이 높은 홍경천 발효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를 위하여, 홍경천 추출물에 홍삼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홍경천과 홍삼을 혼합하여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서 고형분 기준으로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비율 또는 홍경천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비율은 60 : 40 내지 10 :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서 홍경천의 고형분 함량은 0.1 내지 0.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및 페디오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KCTC 2182], 비피도박테리움 롱검[ATCC 15707],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비스[ATCC 15700]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KCCM 11088P]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25 내지 40 ℃에서 24 내지 96 시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피로 및 운동장애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독으로 발효가 어려운 홍경천의 발효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제조된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발효물은 항피로 또는 운동능력 향상과 관련된 활성을 우수하고 인체에 흡수되기에 유리한 살리드로사이드의 비배당체 함량이 높기 때문에 새로운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의 유효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홍경천의 사진이다.
도 2a, 2b, 2c 및 2d는 각각 실험예 1에서 홍경천 추출물 고형분 함량이 0.5 중량%, 1 중량%, 3 중량% 및 5 중량% 일 때의 유산균의 종류 및 배양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3b 및 3c는 실험예 3에서 비교예 5(●), 실시예 3(▼), 실시예 4(▽) 및 비교예 6(○)의 배양시간에 따른 pH, 산도 및 생균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및 4b는 실험예 4에서 제조예 3-2와 실시예 3의 총 당 및 산성당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및 단백질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a, 5b 및 5c는 실험예 4에서 살리드로사이드 및 그 비배당체 표준품의 HPLC 크로마토그램, 제조예 3-2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실시예 3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험예 5에서 비교예 5, 실시예 3, 홍삼 발효물 및 비타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a, 7b 및 7c는 실험예 6에서 근육세포의 H2O2에 의한 산화적 손상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근육세포의 현미경 사진과 세포 생존능을 나타낸 MTT실험결과의 그래프로서, 각각 도 7a는 제조예 3-1의 결과, 도 7b는 비교예 5의 결과, 도 7c는 실시예 3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8b, 8c 및 8d는 실험예 7에서 Cu/Zn-SOD, GPx 및 전사인자 myo D의 유전자 발현을 semi-quantitative RT-PCR로 분석한 결과로, 도 8a는 RT-PCR 산물을 전기영동한 후 DNA band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8b는 Myo D의 유전자 발현, 도 8c는 Cu/Zn-SOD의 유전자 발현, 도 8d는 GPx의 유전자 발현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를 위하여, 홍경천 추출물에 홍삼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홍경천과 홍삼을 혼합하여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서 고형분 기준으로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비율 또는 홍경천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비율은 60 : 40 내지 10 : 90, 바람직하게는 55 : 45 내지 50 : 50이다. 홍경천 또는 홍경천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유산균의 증식이 억제되어 살리드로사이드의 생물전환이 억제되고, 항산화 효과, 근육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운동능력 향상 효과를 원하는 수준으로 달성할 수 없다. 홍경천 또는 홍경천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유산균 발효 및 살리드로사이드의 생물전환은 잘 이루어지지만, 홍경천 유래 유효성분 함량이 감소되어 역시 항산화 효과, 근육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운동능력 향상 효과를 원하는 수준으로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상기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서 홍경천의 고형분 함량은 0.1 내지 0.8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 중량%로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홍삼이 과량 첨가되더라도 유산균의 증식 및 발효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홍경천 유래 유효성분 함량이 감소되어 역시 항산화 효과, 근육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운동능력 향상 효과를 원하는 수준으로 달성할 수 없고, 제조 수율이 낮아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에는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및 페디오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비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국식품연구원에서 보관중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KCTC 2182], 비피도박테리움 롱검[ATCC 15707],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비스[ATCC 15700]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KCCM 11088P]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KCTC 2182], 비피도박테리움 롱검[ATCC 15707]이다.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의 발효시키는 단계는 25 내지 40 ℃에서 24 내지 96 시간 수행된다.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근육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활성을 가지므로,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홍경천 발효물은 예를 들어, 0.001 m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mg/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mg/kg 이상,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0 mg/k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g/kg 이상 포함된다. 홍경천 발효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홍경천 발효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피로 및 운동장애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학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홍경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홍경천 발효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으로서 홍경천 발효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홍경천 단독 발효물의 제조
가. 재료
주원료인 홍경천(Rhodiola rosea, 도 1)은 2010년 중국에서 구입하였으며, 미분쇄하여 분쇄기(CyclotecTM 1093, FOSS Co., Denmark)로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홍삼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홍삼분말(NH 한삼인, 6년근)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표 1과 같이 한국식품연구원에 보관중인 Lactobacillus, Pediococcus Bifidobacterium 속의 유산균 10종을 이용하였다. 균주는 멸균된 50% 글리세롤에 배양액을 현탁하여 -70 ℃ deep freezer에 장기보관 하였다.
구분 균주명 사용배지
L1 Lactobacillus acidophillus 128 MRS
L2 Lactobacillus plantarum 144 MRS
L3 Lactobacillus fermentum 164 MRS
L4 Lactobacillus curvatus 166 MRS
L5 Lactobacillus gasseri 3162 MRS
L6 Lactobacillus gasseri 3163 MRS
L7 Lactobacillus acidophillus K-59 MRS
B1 Bifidobacterium longum RCM / GAM
B2 Bifidobacterium breve RCM / GAM
P0 Pediococcus pentosaceus MRS
나. 홍경천 추출물의 제조
홍경천 추출물은 환류추출기에 홍경천과 증류수를 함께 넣은 뒤 90 ℃,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나온 추출액을 4 ℃로 조절된 원심분리기(Mega 17R, Hanil Science Indusrrial Co. Ltd., Korea)에서 분리하였다. 분리한 상등액은 여과지(Watman No. 2)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홍경천 추출물로 이용하였다.
다. 홍경천 단독 발효물의 제조
홍경천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이 0.5, 1, 3 및 5 중량%가 되도록 희석한 후 희석한 홍경천 추출물을 121 ℃, 1.5기압, 15분간 멸균하였다.
상기 표 1의 유산균을 각각 MRS broth와 GAM broth를 이용하여 20시간, 37 ℃에서 정치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유산균을 배양액 1 중량%(106 CFU/㎖)를 상기 홍경천 추출물에 각각 접종하여 37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홍경천 단독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홍경천 단독 발효물의 발효특성 확인
제조예 1의 홍경천 추출물 단독 발효물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접종 후 24 및 48시간째에 발효물의 pH 및 생균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생균수는 생균수는 시료 1ml를 멸균 생리식염수 9ml에 희석하고 잘 섞은 후 단계별로 희석한 다음 0.1ml을 취하여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은 MRS agar에 도말하고, Bifidobacterium속은 5%의 horse blood를 함유한 BL agar에 도말하여 anaerobic jar (BBL Gas Pak Anaerobic System)를 이용하여 최대한 혐기적인 상태로 보관하여 37 ℃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측하고, 그 평균 집락 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배양액 당 colony를 산출하였다.
가. 홍경천 추출물 고형분 함량 및 유산균 종류에 따른 pH 변화
홍경천 추출물 고형분 함량이 0.5 중량%, 1 중량%, 3 중량% 및 5 중량% 일 때의 유산균의 종류 및 배양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도 2a, 2b, 2c 및 2d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2a에서 홍경천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이 0.5 중량%일 때 초기 pH는 6.25이었으며, 48시간 후 최종 pH 값은 5.25 내지 5.50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b에서 홍경천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이 1 중량%일 때 초기 pH는 6.21이었으며, 48시간 후 최종 pH 값은 5.61 내지 5.70으로 0.5 중량%보다는 다소 적은 폭이지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 2c 및 2d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홍경천 농도가 3 중량% 및 5 중량%로 높아지게 되면, 초기 pH 6.15 및 6.13에서 48시간 후에는 5.95 내지 6.00, 6.04 내지 6.11로 유산균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발효 전과 후의 pH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홍경천 3 중량% 이상에서는 배양시간의 증가에도 pH의 감소가 이루어지지 않고, 1 중량% 이하에서도 통상의 유산균 배양에서 관찰되는 pH의 감소는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유산균별로 pH의 변화를 비교하면 Lactobacillus acidophillus 128(L1), Bifidiobacterium longum(B1), Bifidiobacterium breve(B2), Pediococcus pentosaceus(P0)의 pH가 다른 유산균주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고, 홍경천 발효물 제조에 적합한 균주로 선정하였다.
나. 홍경천 추출물 고형분 함량 및 유산균 종류에 따른 생균수 변화
유산균 10종 중 pH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던 유산균 4종(L. acidophillus 128, B. longum , B. breve , P. pentosaceus)을 다시 전 배양하고 균주의 성장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형분 함량 0.5 중량% 및 1 중량%의 홍경천 추출물에 유산균을 각각 1 중량%씩 접종하고 37 ℃에서 24 시간 발효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생균수( CFU / ml )
발효 전 발효 후(0.5 중량%) 발효 후(1 중량%)
L1 7.10*106 6.10*103 2.25*102
B1 2.10*106 2.59*103 1.32*102
B2 1.64*106 4.40*102 1.95*10
P0 1.50*106 2.01*102 1.29*1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홍경천 추출물을 L. acidophillus 128을 이용하여 배양한 결과 최초 접종 시 7.10*106 CFU/㎖에서 0.5 중량%에서는 1.2*103 CFU/㎖, 1 중량%에서는 1.3*102 CFU/㎖로 생균수가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는 다른 미생물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균수가 약간 높지만, 홍경천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생균수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B. longum을 이용하여 배양한 결과 최초 생균수는 2.10*106 CFU/㎖로 0.5 중량%에서는 2.59*103 CFU/㎖, 1 중량%에서는 1.32*102 CFU/㎖였다.
B. breve을 이용하여 배양한 결과 생균수는 최초 접종 시 1.64*106 CFU/㎖에서 0.5 중량%에서는 4.40*102 CFU/㎖, 1 중량%에서는 8.95*10 CFU/㎖로 생균수가 점차 감소하였다.
P. pentosaceus을 이용하여 발효한 결과 생균수는 1.50*106 CFU/㎖에서 0.5중량%에서는 2.01*102 CFU/㎖, 1 중량%에서는 1.29*10 CFU/㎖로 모든 유산균이 홍경천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경천과 홍삼의 유산균 발효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제조예 1의 홍경천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여 상기 각각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37 ℃에서 24 시간 발효했을 때의 pH와 생균수의 변화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pH 생균수( CFU / ml )
발효 전 발효 후 발효 전 발효 후
L1 6.22 4.02 7.10*106 7.50*108
B1 6.22 3.62 2.10*106 8.95*108
B2 6.22 3.92 1.64*106 2.88*108
P0 6.22 3.89 1.50*106 3.20*108
상기 표 3의 결과에 따르면 0.5 중량%의 홍삼 추출물에서 각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37 ℃에서 24 시간 발효했을 때, pH는 4.2 미만으로 약 2 이상 현저히 감소하며, 유산균의 생균수는 오히려 2로그 사이클로 증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홍삼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와 비교할 때, 홍경천 추출물의 발효는 홍경천의 항균작용으로 인하여 유산균의 생육이 크게 저해되고, 이로 인하여 유산균 또는 유산균에서 분비되는 효소에 의한 홍경천의 유용성분의 생물전환 효과가 홍경천 단독 발효에서는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다만,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나머지 미생물에 비해 24시간 배양에 따른 잔존 생균수가 높은 Lactobacillus acidophillus 128과 Bifidibacterium longum을 선택하여 다음 실험에 이용하였다.
제조예 2: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제조
가.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 제조
제조예 1의 고형분 함량 0.5 중량%인 홍경천 추출물과, 제조예 1의 홍경천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한 고형분 함량 0.5 중량%의 홍삼 추출물을 아래 표 4의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홍경천 : 홍삼 (중량비)
2-1 100 : 0
2-2 90 : 10
2-3 80 : 20
2-4 70 : 30
2-5 60 : 40
2-6 50 : 50
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1의 나.에서 홍경천 추출물에서 생육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L. acidophillus 128 및 B. longum을 이용하여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2-1 내지 2-6의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의 최적 조건을 검토하고자 홍삼 첨가 비율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활성화시킨 후 1 중량%를 접종하였다. 이를 37 ℃에서 72시간 발효시켜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및 2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혼합비율에 따른 발효특성
가. 홍경천 및 홍삼 혼합비율 및 유산균 종류에 따른 pH 및 산도 변화
제조예 2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 acidophillus 128 접종 후 24, 48 및 72시간째에 발효물의 pH 변화를 확인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혼합
추출물
pH
0 hr 24 hr 48 hr 72 hr
비교예1 2-1 6.22±0.04 6.04±0.03 5.86±0.01 5.72±0.02
비교예2 2-2 6.22±0.04 5.81±0.02 5.68±0.03 5.64±0.05
비교예3 2-3 6.22±0.04 5.90±0.02 5.75±0.02 5.69±0.01
비교예4 2-4 6.22±0.04 5.89±0.04 5.73±0.02 5.64±0.02
실시예1 2-5 6.22±0.04 5.31±0.06 5.16±0.02 5.12±0.01
실시예2 2-6 6.22±0.04 4.34±0.01 4.15±0.02 4.05±0.02
B. longum 접종 후 24, 48 및 72시간째에 발효물의 pH 변화를 확인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혼합
추출물
pH
0 hr 24 hr 48 hr 72 hr
비교예1 2-1 6.22±0.04 6.06±0.04 5.88±0.03 5.77±0.05
비교예2 2-2 6.22±0.04 5.89±0.01 5.79±0.05 5.72±0.06
비교예3 2-3 6.22±0.04 5.81±0.02 5.68±0.03 5.67±0.03
비교예4 2-4 6.22±0.04 5.87±0.02 5.74±0.04 5.64±0.02
실시예1 2-5 6.22±0.04 5.27±0.03 5.18±0.02 5.14±0.02
실시예2 2-6 6.22±0.04 4.45±0.04 4.20±0.06 4.07±0.03
L. acidophillus 128 접종 후 24, 48 및 72시간째에 발효물의 산도 변화를 확인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혼합
추출물
산도(%)
0 hr 24 hr 48 hr 72 hr
비교예1 2-1 0.022±0.001 0.036±0.001 0.038±0.001 0.040±0.000
비교예2 2-2 0.022±0.001 0.039±0.001 0.043±0.001 0.048±0.004
비교예3 2-3 0.022±0.001 0.034±0.001 0.037±0.001 0.038±0.000
비교예4 2-4 0.022±0.001 0.030±0.001 0.038±0.002 0.041±0.001
실시예1 2-5 0.022±0.001 0.051±0.001 0.056±0.001 0.057±0.002
실시예2 2-6 0.022±0.001 0.068±0.002 0.072±0.001 0.073±0.002
B. longum 접종 후 24, 48 및 72시간째에 발효물의 산도 변화를 확인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혼합
추출물
산도(%)
0 hr 24 hr 48 hr 72 hr
비교예1 2-1 0.022±0.001 0.035±0.002 0.038±0.001 0.040±0.000
비교예2 2-2 0.022±0.001 0.036±0.001 0.037±0.001 0.039±0.001
비교예3 2-3 0.022±0.001 0.038±0.002 0.041±0.001 0.048±0.003
비교예4 2-4 0.022±0.001 0.048±0.003 0.051±0.006 0.051±0.006
실시예1 2-5 0.022±0.001 0.052±0.000 0.057±0.001 0.057±0.001
실시예2 2-6 0.022±0.001 0.065±0.003 0.069±0.001 0.071±0.001
발효 24시간 후의 비교예 1(홍경천 단독 발효)과 비교예 2 내지 4의 홍삼 10, 20, 30 중량% 첨가군의 pH는 비교예 1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는데 홍삼 40 중량% 첨가군인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의 pH보다 1.0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홍삼 50 주량% 첨가군인 실시예 2에서는 4.34, 4.45로 pH값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발효가 끝나는 72시간까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교예 2 내지 4 및 실시예 1 및 2의 pH를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볼 때 유산균 2종 모두에서 홍삼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pH값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균주들 간에 차이는 없었지만 L. acidophillus 128이 B. longum보다 발효가 더 잘 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유산균 발효 과정 중 pH 감소 현상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citric acid 등 유기산들의 증가에 의한 것이며, 홍경천을 단독으로 발효시킨 대조구에 비해 홍삼 첨가구의 pH가 다소 낮은 현상은 홍삼이 유산균의 발효를 촉진한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결과로부터 홍경천의 발효를 위하여 홍삼의 함량을 높일수록 발효가 잘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다만 홍경천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려면 홍경천 및 홍삼의 최적 혼합 비율은 50 : 50 중량비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제조예 3: 홍경천 및 홍삼 고형분 함량에 따른 병행 발효물의 제조
가.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 제조
제조예 1에서 홍경천과 홍삼의 최적 혼합비율로 판단되는 50 : 50 중량비로 고정하고, 다만 홍경천과 홍삼 혼합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을 0.5 중량%인 것(제조예 3-2), 0.8 중량%인 것(제조예 3-3), 1 중량%인 것(제조예 3-4)을 각각 제조하고, 홍삼을 혼합하지 않고 홍경천 추출물만으로 0.5 중량%인 것(제조예 3-1)로 각각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1의 나.에서 홍경천 추출물에서 생육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L. acidophillus 128 을 이용하여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3-1, 3-2, 3-3 및 3-4의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유산균을 활성화시킨 후 1 중량%를 접종하였다. 이들 각각의 추출물을 37 ℃에서 72시간 발효시켜 비교예 5, 실시예 3 및 4, 및 비교예 6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고형분 함량에 따른 발효특성
홍경천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비율을 50 : 50 중량비로 고정하고, 홍경천 추출물 및/또는 홍삼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배양시간에 따른 pH, 산도 및 생균수를 측정하여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내었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는 대조군으로 고형분 함량 0.5 중량%의 홍경천 추출물을 단독 발효시킨 비교예 5의 발효물이고, ▼는 고형분 함량 0.5 중량%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추출물로 병행 발효한 실시예 3의 발효물이며, ▽는 고형분 함량 0.8 중량%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추출물로 병행 발효한 실시예 4의 발효물이고, ○는 고형분 함량 1 중량%의 홍경천과 홍삼 추출물로 병행 발효한 비교예 6의 발효물이다.
비교예 5의 홍경천 단독 발효물에서는 홍경천의 고형분 함량이 0.5 중량%로 낮음에도, 초기 pH 6.20에서 24시간 후 5.31, 48시간 후 5.28, 72시간 후 5.23로 실시예 3 및 4에 비해서 높고, 산도 역시 초기 0.021%에서 보다도 높은 값으로, 발효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산도는 0.022%에서 24시간 후 0.040%로 증가하였으나, 48시간 후 72시간 후 0.044%, 0.045%로 24시간 이후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홍경천 추출물에 홍삼 추출물을 혼합하더라도 고형분 함량이 1 중량%인 홍경천과 홍삼 혼합 추출물에서는 유산균의 증식, pH의 감소 및 산도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아, 홍경천의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홍경천 및 홍삼 병행 발효 전후의 당, 단백질 및 비배당체 비교
제조예 3-2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추출물과 이를 발효시킨 실시예 3의 총 당함량, 산성당 함량, 홍경천의 지표물질인 살리드로사이드의 비배당체로 전환여부를 확인하였다.
총당 함량은 phenol-sulfuric acid법으로 측정하였고, 산성당 함량은 carbazole-sulfuric acid법으로 측정하였며, 단백질 함량 측정은 Lowry method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살리드로사이드(S) 및 살리드로사이드 비배당체(SH)를 메탄올에 용해하여 표준품으로 삼고, ODS-C18 컬럼에 25℃, 유속 1 ml/min, 메탄올과 증류수를 15 : 8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이용하여 HPLC로 측정하였다.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효 전의 총 당 함량 76.6 %에서 발효 후 51.5 %로 25.1 % 감소하였고, 산성 다당체의 함량은 발효 전 27.4 %에서 발효 후 25.6 %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 함량이 모두 감소하는 것은 미생물이 당을 분해하여 증식하거나 혹은 다른 물질을 생산하는데 당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발효 후의 당 함량이 감소한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효 후에는 홍경천 발효물의 단백질 함량이 32.92%에서 36.37%로 증가하였다.
홍경천의 경우 주요성분 지표성분으로 살리드로시드(Salidroside) 및 배당체인 티로솔(Tyrosol)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신경계통의 자극, 우울증 감소, 피로회복, 고산병 예방 등에 효능을 나타내며 인삼과 같이 어댑토겐(adaptogen)의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5a는 Standard는 1mg/ml로 메탄올에 용해시킨 살리드로사이드(S) 및 살리드로사이드 비배당체(SH) 표준품이며, 도 5b는 발효 전의 홍경천과 홍삼 추출물이며, 도 5 c는 발효시킨 홍경천과 홍삼 발효물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발효 전에는 250 % 수준의 salidroside와 일부 salidroside aglycone이 검출된 반면 발효 후의 홍경천과 홍삼 발효물에서는 salidroside가 거의 대부분 유산균발효에 의해 비배당체로 전환된 salidroside aglycone 만이 검출되었다. 일반적으로 유산균 등을 활용한 천연소재의 발효시 배당체 형태의 지표성분을 비배당체 형태로 전환시켜 체내 흡수율과 기능성을 증진시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이러한 결과는 홍경천 기능성 성분의 기능성과 흡수율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 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험예 5: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예 5의 홍경천 단독 발효물, 실시예 3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 대조군으로 0.5 중량%의 홍삼 추출물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시킨 홍삼 발효물, 다른 대조군으로 비타민 C를 1 mg/ml 사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의 홍경천 단독 발효물은 71% 정도의 라디칼 소거능을 보인 반면 실시예 3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경우 87%로 약 18.4% 정도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홍경천과 함게 병행 발효에 사용한 홍삼 추출물의 경우 단독발효했을 경우에 50% 정도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어 홍경천 및 홍삼병행 발효능의 라디컬 소거능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6: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근육세포 보호 효과
운동 중에는 에너지 요구량이 증가됨으로써 조직에 안정시보다 수십 배 증가된 산소공급이 요구되며 이렇게 산소요구량이 증가되면 미토콘드리아 대사가 비례적으로 증가되어 산소의 유리기와 활성산소의 생성도 증가된다. 증가된 산소의 유리기와 활성산소는 생체 내 여러 가지 분자를 산화시키며,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O2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산소분자의 양이 한정된 cytochrome oxidase에 의해 제어되지 못함으로써 불완전한 활성산소가 증가하게 되어 결국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운동능력의 저하, 만성 피로 등이 발생한다.
제조예 3-1의 홍경천 추출물, 비교예 5의 홍경천 단독 발효물 및 실시예 3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근육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C2C12 근육세포 분화과정 중, 홍경천 발효 추출물에 의한 세포의 손상 정도를 관찰하였다. 마우스 유래 C2C12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CL-173, Manassas, VA, USA)으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C2C12 근육세포는 실험목적에 따라 60 mm petridish에 각각 1*106의 seeding한 후, FBS(10%) 및 P/S(1%)를 함유한 고농도 포도당 DMEM (89%)에서 80% confluence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HS (2%)로 근육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근육세포 분화(day 0)시 DMEM에 H2O2 1 mM과 시료를 각각 100, 250 및 500 ㎍/mL로 처리하여 H2O2에 의한 산화적 손상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근육세포의 분화는 2일마다 지속적으로 2% HS가 함유된 배지에 H2O2와 각각의 시료를 처리한 후, 5일 동안 분화시키면서 현미경을 통해 morphology를 관찰하였다.
C2C12에 대한 시료의 세포 생존능 평가는 MTT (thiazoly blue tetrazolium bromi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C2C12 세포는 실험전날 1*106 cell 농도로 96-well plate에 seeding하고 시료 100, 250 및 500 ㎍/mL를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4 ℃에 보관중인 MTT를 5 mg/mL의 농도로 PBS에 녹인 다음 syringe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pipet을 이용하여 96-well medium 부피의 20% 되는 양 만큼 취하여 각각의 well에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plate를 바닥에 붙인 상태로 전후좌우로 가볍게 흔들면서 혼합하였다. CO2 incubator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SO로 용출시키고 CO2 incubator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30분 후 용출된 용액을 새 96-well plate로 옮겨 ELISA를 이용하여 550 nm 흡광도 값에서 650 nm의 흡광도 값을 뺀 결과 값으로 세포 생존능을 계산하였다.
제조예 3-1의 발효하지 않은 홍경천 추출물(NFR; non-fermented rhodiola extract)에서는 100, 250 및 500 ㎍/mL의 농도에서 모두 산화적 손상에 의한 억제효능은 나타나지 않았다(도 7a).
또한, 제조예 3-1을 발효시킨 비교예 5의 홍경천 단독 발효물(FR: fermented rhodiola)에서도 100, 250 및 500 ㎍/mL의 농도에서 모두 H2O2만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서 낮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도 7b).
그러나 실시예 3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MFR: mixed fermented rhodiola extract)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H2O2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고, 특히 500 ㎍/mL의 농도에서는 H2O2만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세포 생존율이 증진되고, H2O2로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과 유사한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c). 즉 H2O2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세포의 cell viability는 79.7%(대조군 100% 기준)인 반면,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은 혼합 발효 추출물에서는 100, 250 및 500 ㎍/mL의 농도에서 각각 87.6, 87.7 및 98.9%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이는 항산화제로 알려진 N-acetyl cystein(NAC) 1 mM를 처리한 근육세포의 생존율 87.0 %보다 높은 산화적 손상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NAC 처리군의 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이들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은 근육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내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변화를 증가시켜 세포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ices)을 감소시킬 것으로 추측되었다.
실험예 7: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근육세포 분화관련 유전자에 대한 영향
C2C12 세포내 산화적 손상 억제효과에 대한 작용기전을 알아보고자, Cu/Zn-SOD (copper/zinc superoxide dismutase), GPx (gluthathione peroxidase)와 같은 항산화효소 및 근육세포 분화와 연관된 전사인자인 myo D의 유전자 발현을 semi-quantitative RT-PCR로 분석하였다.
도 8a는 RT-PCR 산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5 ㎕를 취하여 1.5% 한천(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한 후, EtBr (ethidiumbromide)로 염색하여 자외선투시기(transilluminator)를 이용하여 증폭된 DNA band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a의 결과는 DNA band는 image J program을 이용하여 band intensity로 수치화하여 Myo D의 유전자 발현은 도 8b에, Cu/Zn-SOD는 도 8c에, GPx는 도 8d에 각각 나타내었다.
H2O2에 의해 산화적 손상이 유도된 근육세포의 Myo D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홍경천 추출물 및 홍경천 단독 발효물을 처리한 근육세포의 myo D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감소치를 보였다. 하지만,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을 처리한 근육세포의 경우 Myo D의 유전자 발현은 H2O2에 의해 산화적 손상이 유도된 근육세포에서 Myo D 유전자 발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효소 중 Cu/Zn-SOD 및 GPx의 유전자 발현도 H2O2에 의해 산화적 손상이 유도된 근육세포보다 큰 증가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은 홍경천 추출물 및 홍경천 단독 발효물에 비해 산화적 손상에 대한 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을 처리한 근육세포 내 항산화효소의 발현 조절을 통한 산화적 손상 억제효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8: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운동능력 향상 효과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이 운동능력 향상에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Treadmill을 이용하여 유산소성 운동부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350 g 내외의 ICR 마우스 수컷을 중앙실험동물로부터 분양받아 1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3oC, 습도 50% 였고 실험기간 중 음수 및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시켰으며 체중은 1주일에 1회 측정하였다.
운동시험에 적응을 위한 예비운동 실험으로 1일차 5 m/분의 속도로 5분간, 2일차 10 m/분 속도로 10분간, 3일차 15 m/분 속도로 15분간, 4-5일차 20 m/분 속도로 20분간 운동을 시키면서 운동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개체는 탈락시켰다. 예비운동을 거쳐 선정된 동물을 대조군(Control), 제조예 3-1의 홍경천 추출물 섭취군(NFR), 실시예 3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 저농도 섭취군(FRPM(L)) 및 실시예 3의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 고농도 섭취군(FRPM(H))의 4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각 군당 6마리로 구성하였다. 6일차부터 2주간 오전에 증류수, 증류수에 녹인 홍경천 추출물 시료와 홍경천 발효물 시료를 200mg/kg 농도로 경구투여한 후 오후에 20m/분의 속도로 20분간 운동을 시켰다. 마지막 날 운동 직후 안와채혈 하고 2000g/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70 ℃에 보관하였다가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군의 투여 전후의 체중 변화를 표 9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각 군 사이에 체중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Groups Bodyweight(g)
Before administration After administration
FRPM(L) 25.44±1.99 38.00±3.83
FRPM(H) 24.44±2.61 37.88±2.73
NFR 25.25±1.44 36.31±4.77
Control group 25.00±1.58 37.25±3.00
강제수영 운동능력 평가를 위한 홍경천 추출물과 홍경천 발효물, 홍경천-홍삼병행 발효물을 고농도와 저농도로 투여전후의 실험동물의 강제수영시간을 비교해 본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Groups Doses(g/kg/d) Swimming time (min)
FRPM(L) 0.450 154.74±54.08
FRPM(H) 0.900 175.69±79.51
NFR 0.330 126.49±37.77
control group 0.000 132.35±59.24
상기 표 10에 따르면 홍경천과 홍삼 혼합 발효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저농도에서는 16.9%, 고농도에서는 32.0% 정도 강제수영 시간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홍경천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강제수영 시간을 전혀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3의 홍경천 발효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3의 홍경천 발효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3의 홍경천 발효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3의 홍경천 발효물 분말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실시예 3의 홍경천 발효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3의 홍경천 발효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1.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를 위하여, 홍경천 추출물에 홍삼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홍경천과 홍삼을 혼합하여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서 고형분 기준으로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비율 또는 홍경천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비율은 60 : 40 내지 10 :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서 홍경천의 고형분 함량은 0.1 내지 0.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및 페디오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KCTC 2182], 비피도박테리움 롱검[ATCC 15707],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비스[ATCC 15700]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KCCM 11088P]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25 내지 40 ℃에서 24 내지 96 시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7.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8. 홍경천과 홍삼의 혼합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피로 및 운동장애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20110126413A 2011-11-30 2011-11-30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KR10138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413A KR101381112B1 (ko) 2011-11-30 2011-11-30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CN201210232700.4A CN103127202B (zh) 2011-11-30 2012-07-05 利用红参的红景天发酵物的制造方法及含有该发酵物的改善疲劳和提高运动能力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413A KR101381112B1 (ko) 2011-11-30 2011-11-30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388A true KR20130060388A (ko) 2013-06-10
KR101381112B1 KR101381112B1 (ko) 2014-04-14

Family

ID=4848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413A KR101381112B1 (ko) 2011-11-30 2011-11-30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1112B1 (ko)
CN (1) CN10312720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978B1 (ko) * 2011-11-30 2014-01-16 한국식품연구원 흡착제를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CN104856037A (zh) * 2015-06-05 2015-08-26 威海环翠楼红参科技有限公司 一种新资源食品高丽红参破壁粉制剂的制备方法
KR101596728B1 (ko) * 2015-08-11 2016-03-07 김현성 아연/홍삼, 옥타코사놀 및 비타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4746A (ko) * 2019-02-27 2020-09-04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0425B (zh) * 2014-01-06 2015-02-04 威海环翠楼红参科技有限公司 一种高丽红参罗汉果汤的制备方法
CN103749827B (zh) * 2014-01-06 2015-06-17 威海环翠楼红参科技有限公司 一种高丽红参无花果茶的制备方法
CN103719499B (zh) * 2014-01-06 2015-03-18 威海环翠楼红参科技有限公司 一种高丽红参茶的制备方法
CN103689742B (zh) * 2014-01-07 2015-03-18 威海环翠楼红参科技有限公司 一种高丽红参无花果饮料的制备方法
CN103689744B (zh) * 2014-01-07 2014-12-03 威海环翠楼红参科技有限公司 一种高丽红参龙眼饮料的制备工艺
CN104770512A (zh) * 2014-01-11 2015-07-15 山东大学(威海) 一种西洋红参茶的制备方法
CN104783243A (zh) * 2014-01-20 2015-07-22 山东大学(威海) 一种西洋红参桑椹汤的制备方法
CN104257545B (zh) * 2014-09-18 2016-08-24 北京工商大学 一种红景天发酵原浆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4489651A (zh) * 2014-11-27 2015-04-08 杨宪铭 一种以红景天、银杏叶和西洋参为活性成份的保健食品
CN105861600A (zh) * 2016-04-13 2016-08-17 河南省商业科学研究所有限责任公司 一种有效促进睡眠、提高免疫力的红景天提取物的制备方法
CN105996025A (zh) * 2016-05-10 2016-10-12 天津膳方缘科技有限公司 一种红景天发酵液的制备方法
CN106265846A (zh) * 2016-09-18 2017-01-04 天津北洋百川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红景天抗氧化能力的发酵方法
WO2018100776A1 (ja) * 2016-11-29 2018-06-07 森永乳業株式会社 アグリコン産生促進剤
KR102527252B1 (ko) 2017-12-28 2023-04-28 한국식품연구원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CN108271984B (zh) * 2018-01-02 2021-05-11 中国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红景天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056338B1 (ko) * 2019-08-09 2019-12-16 주식회사 에브릿 홍삼 진세노사이드와 미생물 마늘발효에서 유래된 글루타치온 성분이 함유된 혈행개선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CN112970850A (zh) * 2021-04-10 2021-06-18 吉林大学 一种冻干型红参红枣酸奶粉及其制备方法
KR102659899B1 (ko) 2023-06-26 2024-04-23 주식회사 건배 밀크씨슬추출물 및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166B1 (ko) 1996-07-26 1999-06-15 윤재승 항스트레스 조성물
KR100884707B1 (ko) 2007-02-08 2009-02-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
WO2009080407A1 (de) * 2007-12-20 2009-07-02 Abb Research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rotierenden elektrischen maschine
KR20100016966A (ko) * 2008-08-05 2010-02-16 (주)한중보건연구원 불로장생초
CN102238878B (zh) * 2008-09-10 2013-05-15 北京阳光天网科技有限公司 发酵人参以及其制造方法
CN101386870B (zh) * 2008-10-24 2010-12-15 四川大学 用微生物混合菌株制备红景天液态转化发酵物的方法
CN101804086A (zh) * 2010-04-21 2010-08-18 许兰 发酵红参制品的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978B1 (ko) * 2011-11-30 2014-01-16 한국식품연구원 흡착제를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CN104856037A (zh) * 2015-06-05 2015-08-26 威海环翠楼红参科技有限公司 一种新资源食品高丽红参破壁粉制剂的制备方法
KR101596728B1 (ko) * 2015-08-11 2016-03-07 김현성 아연/홍삼, 옥타코사놀 및 비타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4746A (ko) * 2019-02-27 2020-09-04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27202A (zh) 2013-06-05
CN103127202B (zh) 2016-04-20
KR101381112B1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112B1 (ko)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KR102132862B1 (ko) 굴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물을 포함하는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1425466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122439B1 (ko) 간 보호 활성을 갖는 발효홍삼농축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2307A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20130066823A (ko) 고온고압처리 후 감압 건조를 통한 신규 홍삼의 제조방법
KR101348978B1 (ko) 흡착제를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909999B1 (ko) 신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7127A (ko)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67886B1 (ko) 참바늘버섯을 이용한 당뇨성 이상지질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48593A (ko) 인삼 사포닌의 장내 세균 대사 억제용 조성물
KR101482044B1 (ko) 하수오 및 생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3473B1 (ko)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102042151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20107254A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5724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10118748A (ko) 한대리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17834B1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의 사균체 및 포도씨 분말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US20200157031A1 (en) Novel compound hexadecaphlorethol isolated from ishige okamurae and use thereof
KR102079794B1 (ko)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