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127A -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127A
KR20120137127A KR1020110056467A KR20110056467A KR20120137127A KR 20120137127 A KR20120137127 A KR 20120137127A KR 1020110056467 A KR1020110056467 A KR 1020110056467A KR 20110056467 A KR20110056467 A KR 20110056467A KR 20120137127 A KR20120137127 A KR 20120137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ctic acid
acid bacteria
lactobacillus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0138B1 (ko
Inventor
여현주
유세진
곽일영
서대방
정진오
이범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5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13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tea)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장(腸)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한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차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ea extract and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하는 차는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 속에 존재하는 산화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수분을 제거한 것이다. 기원전부터 음용하기 시작한 차에는 폴리페놀, 카페인, 아미노산, 단백질, 사포닌, 비타민,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암 효과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에 속하며, 섭취시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이 효과적으로 작용 하기 위해서는 위산과 답즙산에 저항성을 가져 소장까지 도달함으로써 장내에 증식하고 정착할 수 있어야 하며, 장관 내에서 유용한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무독성 및 비-병원성이어야 한다. 현재 건강 기능 식품에서 허용하는 유산균은 총 19종이며, 이를 보다 세분화하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11종, 락토코커스(Lactococcus) 1종,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2종,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1종,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4종으로 나눌 수 있다. 장내 유익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 배변 활동 원활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108 내지 1010 CFU/g의 유산균을 섭취하여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장(腸)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효과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tea)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장(腸)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차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차(tea)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과 동시에 장관 면역 세포 및 대식 세포를 활성화하여 장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 제조 방법은 유산균 및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한 번에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카테킨 및 유산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대장암 세포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카테킨 및 유산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장관 면역 세포 활성화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카테킨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대식 세포 활성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차 추출물(tea extract)"은 넓게는 차 잎에서 비롯된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구체적으로는 가공 전 혹은 가공 후 차 잎을 추출한 액, 차 잎을 증열한 후 냉수나 이온수를 가하여 추출한 액, 차 잎을 추출한 액을 농축시킨 액, 차 잎을 추출한 액을 가공한 고형 제제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차 잎"은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품질 또는 종류를 구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수확 시기에 따른 봄차, 여름차, 가을차의 싹이나 잎을 모두 포함하며, 용도에 따라 차광막을 씌워 엽록소 양을 증가시킨 옥로차의 싹이나 잎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유산균"은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락트산(lactic acid)을 생성하는 세균을 총칭한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류코노스톡(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균을 포함한다.
항암 효과 및 면역력 강화와 같은 차(tea)의 유익한 효과는 그에 포함된 카테킨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차는 차 중량 대비 13 내지 30 중량% 정도의 카테킨을 포함한다. 차에 포함된 카테킨으로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에피갈로카테킨(EGC),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에피카테킨(EC) 및 그 구조 이성질체인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갈로카테킨(GC), 카테킨 갈레이트(CG), 카테킨(C)의 8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가 전체 중량 대비 9 내지 13 중량%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한다. 차를 물로 추출한 차 추출물은 그 추출 수율이 15 내지 25% 정도이며, 그에 포함된 카테킨의 50% 이상이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또는 에피갈로카테킨이다.
살아있는 유산균, 즉 생균인 유산균은 일반적인 공기의 상온 조건 하에서는 활성이 억제되므로 그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냉동 또는 진공 포장되어 유통 및 보관되어야 한다. 또한 유산균은 위산과 답즙산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위를 통과하고 나면 활성이 억제되므로 코팅하거나 캡슐화 하여 장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사균(死菌)인 유산균도 장관 면역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장내 환경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다. 사균인 유산균은 생균에 비해 유통 기한이 길고 그 보관이 용이하므로 산업적으로 가치가 높다.
지금까지 건강에 유익한 카테킨을 포함한 차 및 유산균 각각의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진 바 있으나, 차 추출물의 존재 하에서 활발하게 증식하는 유산균 및 차 추출물과 유산균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를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tea)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장(腸)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차 추출물과 유산균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한 조성물에 비해 장관 면역 세포 및 대식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월등히 뛰어나므로 장 면역 기능을 증진시켜, 장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대장암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대장암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차 추출물은 카테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카테킨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카테킨, 갈로카테킨 갈레이트, 갈로카테킨, 카테킨 갈레이트 및 카테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테킨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및 에피카테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차 추출물은 차 추출물 중량 대비 5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10 내지 40 중량%의 카테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중량%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 중량% 내지 70 중량%의 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이 차 추출물을 상기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장 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 및 유산균을 함께 포함함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유산균은 사균(死菌)일 수 있다. 사균은 냉동 또는 진공 포장하여 보관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그 유통 및 보관이 생균에 비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처리 비용도 보다 저렴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생균인 유산균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사균인 유산균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생균인 유산균에 초음파를 처리하거나 생균인 유산균을 분쇄하여 사균인 유산균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아종 락티스(Lactobacillus ssp .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seudoesenteroides), 류코노스톡 시트륨(Leuconostoc citreum),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 pentosaceu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커스 써머필러스(Streptococcusthermophilus) 및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sp . lactis)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기탁번호가 KCCM11179P 또는 KCCM11181P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2종은 각각 2011년 2011년 3월 28일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에 미생물 기탁번호 KCCM11179P 및 KCCM11181P로 기탁되었다.
기탁기관명 :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수탁번호 : KCCM11179P
수탁일자 : 20110328
기탁기관명 :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수탁번호 : KCCM11181P
수탁일자 : 20110328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유산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g 당 105 내지 1013 CFU, 구체적으로 106 내지 1010 CFU의 유산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이 유산균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장 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 및 차 추출물을 함께 포함함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장의 면역력 약화, 암세포 증식, 장 내 유해 세균의 과다 증식 또는 장 내 유익균의 증식 저하에 기인한 질환을 예로 들 수 있는 장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대장암, 장염, 장 궤양, 과민성 대장 증후군, 설사 및 변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환제, 연질 및 경질 캅셀제, 과립제, 드링크제, 캐러멜, 다이어트바, 티백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차 추출물의 경우 0.1mg/일 내지 10,000m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일 내지 5000 mg/일이 될 수 있으며, 유산균의 경우 105 내지 1013 CFU/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106 내지 1010 CFU/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 활성제, 부형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연질 및 경질 캅셀제, 산제, 세립제, 분제, 액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결합제(예: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를 함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또는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의 적용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차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차 잎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후 물 또는 에탄올을 예로 들 수 있는 알코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 추출물과 유산균을 별도로 준비하는 방법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차 추출물의 제조
차 잎을 정제수로 추출하고 주정으로 정제한 후, 농축 및 건조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 한다. 제조된 차 추출물은 차 추출물 전체 중량 대비 27.0 내지 41.0 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및 에피카테킨과 5 중량% 이하의 카페인을 포함한다.
[실시예 2] 유산균의 준비
유산균은 -80℃ 스톡(Stock)의 MRS 아가 플레이트(agar plate)에서 계대후 24시간 배양한다. 배양한 단일 콜로니를 MRS 브로스(broth)에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다. 배양한 콜로니 100㎕를 다시 MRS 브로스에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한다. 이후 5000 rpm에서 5분간 셀 다운(cell down) 하여 3차 증류수로 세 번 세척한다. 4℃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ion)하여 분쇄한 유산균을 준비한다.
[실시예 3] 유산균 및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차 잎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후 이를 물로 추출하고 정제하여 유산균 및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험예 1] 유산균에 따른 차 추출물의 발효 정도 평가
50ml 코니칼 튜브(conical tube)에 차 잎을 절반 정도 차게 넣는다. 차 잎: 포도당 용액이 6 : 4의 비율이 되도록 멸균한 2% 포도당 용액을 튜브에 첨가한다. 실시예 2에서 준비한 유산균을 g당 107~108 정도 되도록 튜브에 접종한다. 튜브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37℃ 인큐베이터에 넣고 정치 배양한다. 24시간 배양 후 증류수로 10배 희석하여 pH를 측정한다. 총 12종의 유산균에 대해 상기와 같이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no 입수 경로 종속명 pH no 입수 경로 종속명 pH
1 기탁번호 KCCM11179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4.61 2 기탁번호 KCCM11181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4.72
3 CTCbio에서 입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4.16 4 CTCbio에서 입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5.57
5 CTCbio에서 입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5.48 6 CTCbio에서 입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5.50
7 CTCbio에서 입수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 5.35 8 CTCbio에서 입수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5.53
9 CTCbio에서 입수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5.48 10 CTCbio에서 입수 스트렙토코커스 써머필러스 5.53
11 CTCbio에서 입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5.27 12 CTCbio에서 입수 락토바실러스 아종 락티스 5.62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로 차 잎을 발효시키는 경우 pH가 낮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산균들이 차 잎과 함께 증식되어 락트산이 생산되었고 유산균에 의해 차 잎이 발효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를 기초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로 차 잎을 발효시킨 후 추출하면 유산균과 카테킨을 모두 포함하는 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대장암 세포 증식 억제 평가
(1) 대장암 세포 배양
인간 대장암 HT-29 세포주(KCLB 30038)를 한국 셀라인 뱅크(Korean Cell Line Bank)(KCLB)에서 구입하였다. HT-29 대장암 세포를 1X105 cell/mL의 농도가 되도록 조절한 후 48-웰 플레이트에 200㎕씩 분주하고, 약 48시간 주기로 배양액을 교체하면서 5% CO2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이 때 배지는 10% FBS가 포함되고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RPMI1640 배지를 사용하였다.
(2) 대장암 세포 증식 억제 평가
1 ppm 농도의 카테킨, 1 ppm 농도의 카테킨과 실시예 2와 같이 준비한 107, 106 및 105 CFU/500㎕ 농도의 유산균을 상기 배양하여 준비한 인간 대장암 세포에 처리한 다음 다시 72시간 동안 5% CO2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1((주)아모레퍼시픽에서 입수, 기탁번호: KCCM11179P)(이하, "LP 1"이라 한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2((주)아모레퍼시픽에서 입수, 기탁번호: KCCM11181P)(이하, "LP 2"라 한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3(㈜CTCbio에서 입수)(이하, "LP 3"이라 한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 paracasei)(㈜CTCbio에서 입수),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L. acidophilus)(㈜CTCbio에서 입수)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 rhamnosus)(㈜CTCbio 에서 입수)를 이용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포를 두 번 세척하였다. 각 웰에 100㎕씩의 MTT 용액을 첨가하고 4시간 배양한 후 MTT 희석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각 웰에 100㎕씩의 DMSO를 첨가하고 15-20분간 쉐이커로 조심스럽게 흔들어 준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결과
MTT(3-[4,5-dimethylthiazol-2-y1]-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는 살아 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산화-환원 효소의 작용에 의해 환원되어 보라색의 불용성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한다. 따라서 MTT의 발색 정도를 흡광도로 측정함으로써 살아 있는 세포 수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계측한 세포 수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시험 결과는 유산균의 농도를 105 CFU/500㎕로 한 것이다.
유산균만을 처리한 경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1(LP 1)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가 유의적으로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왼쪽 그래프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1(LP 1)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가 각각 대장암 세포 증식을 33%와 23% 가량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유산균과 카테킨을 함께 처리한 경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가 가장 유의적으로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단독으로 처리할 때에 비해 19% 정도 더 대장암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산균과 카테킨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대장암 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장관 면역 활성도 평가
6 내지 7주령의 C3H/HeJ계 암컷 마우스를 1주일 정도 주위 환경에 적응시킨 다음, 건강 상태가 양호한 마우스를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한다. 실험 동물을 경추 탈골로 희생시킨 후, 무균적으로 소장을 적출하고, 소장에서 페이에르 판(Peyer's patch)만을 분리한다. 페이에르 판을 RPMI 1640 배지(medium)(Lonza)로 세척하고, 100mm Desh를 이용하여 두 번 분쇄하여, 면역 세포들을 추출한다. 배양액에 추출된 장관 면역 세포는 300 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한다. 장관 면역 세포는 10% FBS-RPMI 1640에 5X106 cells/ml가 되도록 현탁하고, 96-웰 플레이트에 90㎕씩 분주한다.
1 ppm 농도의 카테킨, 1 ppm 농도의 카테킨과 실시예 2와 같이 준비한 107, 106 및 105 CFU/500㎕ 농도의 유산균을 10㎕씩 세포에 처리하며, 임파구의 증진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LPS를 10ug/ml의 농도로 처리한다. 상기 유산균으로는 실험예 2에서 사용한 LP 1, LP 2, LP 3,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사용한다. 처리한 세포를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배양한다. 장관 면역 세포의 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세포 배양 종료 3시간 전에 CCK-8(Cell counting kit-8) 시스템(Dojindo, 일본) 10㎕를 처리한 후,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계속 배양한다. 세포 활성화 값은 450nm에서 OD(optical density)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카테킨은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control) 대비 장관 면역 활성을 103% 더 증가시켰다. 카테킨과 유산균을 함께 처리한 경우, 음성 대조군(control)과 대비할 때, 유산균이 각각 LP 1인 경우 103%, LP 2인 경우 73%, LP 3인 경우 100%,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인 경우 186%,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인 경우 46% 정도 장관 면역 활성을 더 증가시켰다. 한편,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10 ㎍/ml 농도의 LPS는 장관 면역 활성을 음성 대조군 대비 179% 더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유산균과 카테킨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장관 면역 활성을 더욱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와 카테킨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 유의적으로 장관 면역 활성이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양성 대조군인 LPS를 처리한 경우보다 훨씬 효과가 우수하였다. 즉, 유산균과 카테킨을 포함하는 차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장관 면역 활성 증가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대식 세포 활성도 평가
마우스 대식 세포주(Raw 264.7)를 1X103 cells/웰이 되도록 멸균 글라스-슬라이드 챔버(sterile glass-slide chamber)에 넣고 48시간 동안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다. 배양 후, 실험예 3과 같이 준비한 유산균 및 카테킨 시료를 대식 세포에 처리하고 48시간 배양 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포르말린에서 고정시킨 후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대식 세포의 모양 및 크기를 확인한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와 카테킨을 함께 처리한 경우의 대식 세포 활성화 정도를 음성 대조군(control)과 대비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의 경우, 대식 세포는 둥근 원형을 유지하며 표면이 펼쳐지지 않는다. 하지만,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와 카테킨을 함께 처리한 경우, 대식 세포는 활성화 되어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와 유사한 모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유산균과 카테킨을 포함하는 차 추출물은 대식 세포를 활성화 하며,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내지 3] 환제
구성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차 추출물(mg) 100 2000 10000
유산균(cfu) 1013 1013 106
식이섬유(mg) 1000 1000 3000
스테비오사이드(mg) 10 100 300
올리고당(mg) 3000 3000 3000
구연산(mg) 100 300 500
자몽향(mg) 80 160 300
파안애플 추출물(mg) 500 800 1500
아라비아검(mg) 300 100 50
[제형예 4] 건강 음료
차 추출물................1000 ㎎
유산균...................1000 mg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다.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한 후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형예 5] 산제
차 추출물.........................100 mg
유산균............................100 mg
유당..............................100 mg
탈크...............................10 mg
유지.................................5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CCM11179P 20110328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CCM11181P 20110328

Claims (12)

  1. 차(tea)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장(腸)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차 추출물은 카테킨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카테킨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및 에피카테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유산균은 사균(死菌)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중량% 내지 90 중량%의 차 추출물 및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 질환은 대장암, 장염, 장 궤양, 과민성 대장 증후군, 설사 및 변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장(腸) 면역 기능을 증진시키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대식 세포를 활성화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차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10056467A 2011-06-10 2011-06-10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1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467A KR101810138B1 (ko) 2011-06-10 2011-06-10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467A KR101810138B1 (ko) 2011-06-10 2011-06-10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127A true KR20120137127A (ko) 2012-12-20
KR101810138B1 KR101810138B1 (ko) 2017-12-19

Family

ID=4790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467A KR101810138B1 (ko) 2011-06-10 2011-06-10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1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5824A (zh) * 2019-04-15 2019-06-07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有利于肠道生态健康的芝士奶盖茶及其制备方法
WO2020012505A1 (en) * 2018-07-13 2020-01-16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Synbio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capacity during aging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230005707A (ko) * 2021-07-01 2023-01-10 농업회사법인 발효담다(주)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20B1 (ko) * 2018-05-09 2020-12-07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그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5712B2 (ja) 2001-03-15 2009-07-29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茶残渣サイレージおよびその調製貯蔵方法
JP5601753B2 (ja) 2007-06-18 2014-10-08 アサヒ飲料株式会社 茶入り発酵飲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2505A1 (en) * 2018-07-13 2020-01-16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Synbio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capacity during aging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GB2590272A (en) * 2018-07-13 2021-06-23 Council Scient Ind Res Synbio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capacity during aging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GB2590272B (en) * 2018-07-13 2022-08-31 Council Scient Ind Res Synbio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capacity during aging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09845824A (zh) * 2019-04-15 2019-06-07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有利于肠道生态健康的芝士奶盖茶及其制备方法
KR20230005707A (ko) * 2021-07-01 2023-01-10 농업회사법인 발효담다(주)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138B1 (ko)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219B2 (en)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17 for suppressing the growth of antibiotics-resistant pathogenic microorganism or enteropathogenic microorganism
KR101452234B1 (ko) 장수마을 성인으로부터 분리한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신규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WO2021177526A1 (ko) 안전성 및 장부착능이 우수한 모유유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m1071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46896A (ko) 대사질환 또는 염증질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920 및 이의 용도
KR101868517B1 (ko) 다양한 생리활성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119
KR20150110378A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105982A (ko)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KR101956867B1 (ko)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KR20190068078A (ko)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285425A (ja) 腸内細菌叢構成比率調整剤
CN107530387B (zh) 含有双歧杆菌和十字花科蔬菜的经口组合物
KR10139432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cnu 9169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20190002036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KR101810138B1 (ko)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258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88770B1 (ko) 한국 장수마을의 장수인에게서 개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036
KR20120039381A (ko) 장내 항염증 효과를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833832B1 (ko) 질염 예방 및 치료용 특정 유산균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34432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해 제조한 브로컬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대장염 예방, 치료 또는 개선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20200081878A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연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김치
KR102465484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0899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0628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8004089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