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982A -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 Google Patents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982A
KR20160105982A KR1020167023464A KR20167023464A KR20160105982A KR 20160105982 A KR20160105982 A KR 20160105982A KR 1020167023464 A KR1020167023464 A KR 1020167023464A KR 20167023464 A KR20167023464 A KR 20167023464A KR 20160105982 A KR20160105982 A KR 20160105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acia
extract
spp
composition ratio
intestinal flo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리코 오다
후미타카 우에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43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254594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9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7Celastraceae (Staff-tree or Bittersweet family), e.g. tripterygium or spindle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ulmon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안전하며 부작용이 적은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식품 또는 의약품을 제공. 당흡수 억제 물질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

Description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AGENT FOR REGULATING COMPOSITION RATIO OF INTESTINAL BACTERIAL FLORA}
본 발명은 당흡수 억제 물질을 함유하는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라, 사람에게 있어서 비만시에는 박테로이데테스문 (Bacteroidetes) 에 속하는 균의 구성 비율이 낮고, 피르미쿠테스문 (Firmicutes) 에 속하는 균의 구성 비율이 높은 상태로 되어 있고, 체중 감소에 따라 박테로이데테스문의 구성 비율이 높아지고, 반대로 피르미쿠테스문의 구성 비율이 저하되는 것이 밝혀졌다. 또, 마른 사람은 뚱뚱한 사람과 비교하여, 박테로이데테스문의 구성 비율이 높고, 피르미쿠테스문의 구성 비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장내 세균이 없는 2 군 마우스에게 비만 마우스의 장내 세균총과 통상 체중 마우스의 장내 세균총을 각각 이식한 바, 비만 마우스의 장내 세균이 이식된 군의 체중이 통상 체중 마우스의 장내 세균이 이식된 군의 체중을 우위로 웃돌고 있음도 명확히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참조).
요컨대, 장내 세균의 구성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체질 그 자체가 변화되어 컨디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피르미쿠테스문과 박테로이데테스문을 합치면 전체 장내 세균총의 90 % 부근까지 도달한다. 경구 물질에 의해, 그만큼 균에 대폭적인 변화를 주기는 곤란하다.
박테로이데테스를 증식시키는 방법으로는, 프락토 올리고당 (FOS) 을 섭취하는 방법에 관해서 보고가 있고, 어느 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비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프락토 올리고당 섭취에 의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다량 섭취가 필요하고, 식사나 기능성 식품을 통해서 섭취하는 데에는 신체적 부담이 있다. 또, 박테로이데테스문에 속하는 세균을 증식시킴과 함께, 피르미쿠테스문에 속하는 세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경구 물질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았다.
: Ley, RE., Turnbaugh, PJ., Klein, S., and Gordon, JI., Microbial ecology : human gut microbes associated with obesity. Nature, 444, 1022-3 (2006) : Turnbaugh, PJ., Ley, RE., Mahowald, MA., Magrini, V., Mardis, ER., and Gordon, JI., An obesity-associated gut microbiome with increased capacity for energy harvest. Nature, 444, 1027-31 (2006) : Nakanishi, Y., Murashima, K., Ohara, H., Suzuki, T., Hayashi, H., Sakamoto, M., Fukasawa, T., Kubota, H., Hosono, A., Kono, T., Kaminogawa, S., Benno, Y., Increase in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s of Bacteroidetes-derived 16S rRNA genes after administration of short-chain fructooligosaccharides. Appl. Environ. Microbiol., 72, 6271-6 (20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전하며 부작용이 적은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식품 또는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어떤 종류의 경구 물질이 박테로이데테스문 (Bacteroidetes) 의 세균을 증식시키고, 피르미쿠테스문 (Firmicutes) 의 세균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음을 비로소 밝혀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하기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당흡수 억제 물질을 적어도 1 종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2>
당흡수 억제 물질이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3>
당흡수 억제 물질이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 뽕잎, 김네마 및 이들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4>
당흡수 억제 물질이 10 ㎍/㎖ ∼ 10000 ㎍/㎖ 의 수크라아제의 50 % 저해 농도 (IC50 값)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5>
당흡수 억제 물질이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alacia reticulata), 살라시아 오브론가 (Salacia oblonga) 및 살라시아 키넨시스 (Salacia chinensis)로부터 선택되는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 및 이들의 추출물에 함유되는 성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6>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이 장내 세균총에 있어서의 박테로이데테스문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피르미쿠테스문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5>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7>
상기 <1> ∼ <6>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를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
본 발명에 의해, 장기 복용해도 안전하며 부작용이 적은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및 식품 또는 의약품이 제공된다. 이것을 복용함으로써, 장내 세균총 균형이 잡혀 마른 몸, 체질 개선, 알레르기 증상의 완화, 면역 지표의 향상 등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당흡수 억제 물질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장내에서 생식하는 균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박테로이데테스문 (Bacteroidetes) 의 세균을 증가시키고, 피르미쿠테스문 (Firmicutes) 의 세균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갖는 제이다.
<당흡수 억제 물질>
당흡수 억제 물질은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은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당대사를 저해하는 물질로서, 수크라아제 50 % 저해 농도 (IC50 값) 가 0.01 ㎍/㎖ ∼ 10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 8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 ∼ 600 ㎍/㎖ 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고, 10 ㎍/㎖ ∼ 45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저해 활성이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소화관으로부터의 포도당흡수 억제 작용이 충분히 얻어지고, 또한, 복부 팽만감이나 가스 발생이 억제된다.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의 수크라아제 50 % 저해 농도는 10 ㎍/㎖ ∼ 50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 ∼ 2000 ㎍/㎖ 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수크라아제 50 % 저해 농도 (IC50 값) 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실험법 1] 수크라아제 IC50 값의 측정
샘플 용액의 준비 : 튜브에 2 ㎎ 의 샘플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 을 칭량하여 넣고, 물 2 ㎖ 를 첨가하여 잘 현탁시켜, 1 ㎎/㎖ 농도의 샘플 용액을 제조한다. 이것을 각각 0, 50, 100, 250, 500 ㎍/㎖ 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다.
기질액의 준비 : 0.2 M 말레산 버퍼 (pH 6.0) 에 수크로오스 농도 100 mM 이 되도록 수크로오스를 용해시켜 이것을 기질액으로 한다.
조 (粗) 효소액의 준비 : 10 ㎖ 의 생리 식염수에 1 g 의 intestinal acetone powder rat (SIGMA 사 제조) 를 현탁시킨 후, 원심분리 (3,000 rpm, 4 ℃, 5 min) 하였다. 얻어진 상청을 분리하여 조효소액으로 한다.
전술한 각 농도의 샘플 용액 500 μL 에 대해, 기질액 400 μL 를 첨가하고 수욕 중 37 ℃ 에서 5 분간 예비 가온시켰다. 여기에 각각 조효소액을 100 μL 첨가하고 37 ℃ 에서 60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95 ℃ 에서 2 분간 가온시킴으로써 효소를 실활시켜 반응을 정지시켰다. 생성된 글루코오스 농도를 시판되는 키트 무타로타아제 글루코오스옥시다아제법 (글루코오스 CII 테스트 와코, 와코 쥰야쿠 공업 (주)) 을 사용하여 정량을 실시한다.
블랭크의 준비 : 전술한 각 농도의 샘플 용액 250 μL 에 대해, 기질액 200 μL, 조효소액 50 μL 를 첨가하고, 바로 95 ℃ 에서 2 분간 가온시킴으로써 효소를 열실활시켜 블랭크 데이터로 한다.
얻어진 값보다 검량선을 작성하여, 효소 활성을 50 % 저해시키는 농도 (IC50 값) 를 구한다.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에 함유되는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의 1 일당의 섭취량 또는 기준 섭취량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1 일 섭취량 중의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의 양으로서 예를 들어 IC50 값이 50 ㎍/㎖ 인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10 ∼ 600 ㎎ 이 바람직하고, 40 ∼ 450 ㎎ 이 더욱 바람직하고, 50 ∼ 350 ㎎ 이 특히 바람직하다.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에 함유되는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의 양은 상기 1 일당의 바람직한 양에서 적절히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일 섭취량이 3 정의 정제를 제조한 경우, 1 정당 1 일량의 1/3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을 바람직하게는 3 ∼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1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7 ∼ 117 ㎎ 함유한다.
또한, 하기 식 1 에서 구해진 값이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7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전체로서의 IC50 값은 식 2 에서 구해진 값으로서 0.1 ∼ 7.5 가 바람직하고, 0.15 ∼ 4.50 이 더욱 바람직하고, 0.3 ∼ 3.75 가 특히 바람직하다.
[식 1]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1 일 섭취량 중의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물질 (㎎)/IC50 값(㎍/㎖)
[식 2]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IC50 값(㎍/㎖)
당흡수 억제 물질은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 뽕잎, 김네마, 두충엽, 구아바, 루오부마, 발효시킨 검은콩 엑기스, 차잎, 당후박, 인진호, 진피, 오수유, 박하, 도라지, 구비자, 오미자 등 및 이들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 뽕잎, 김네마 및 이들의 추출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뽕잎의 추출물, 또는 김네마에 함유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의 분쇄물 또는 추출물>
당흡수 억제 물질은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은 통상적으로 분쇄물 또는 추출물로서 함유한다.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이란, 주로 스리랑카나 인도나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노박덩굴과의 식물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alacia reticulata), 살라시아 오브론가 (Salacia oblonga), 살라시아 프리노이데스 (Salacia prinoides), 살라시아 키넨시스 (Salacia chinensis), 살라시아 라티포리아 (Salacia latifolia), 살라시아 브르노니아나 (Salacia burunoniana), 살라시아 그란디후로라 (Salacia grandiflora), 살라시아 마크로스페르마 (Salacia macrosperma) 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식물이 사용되고,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alacia reticulata), 살라시아 오브론가 (Salacia oblonga), 살라시아 키넨시스 (Salacia chinensis)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식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의 분쇄물 또는 추출물이란, 뿌리, 줄기, 잎, 꽃, 과실 등 먹을 수 있는 부위의 분쇄물, 건조물, 추출물 또는 그 건조 분말 (엑기스 분말) 등을 의미한다. 1 종류 이상의 부위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뿌리, 줄기로부터 추출한 엑기스 분말이 사용된다.
그 엑기스 분말은 전술한 먹을 수 있는 부위 등으로부터 용매 추출에 의해 얻어진 것을 건조시킨 것이다. 추출 용매로서는,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을 비롯한 알코올류, 또는 물과 알코올류 또는 아세톤 등의 케톤류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물, 알코올, 함수 알코올을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로서 열수 또는 에탄올 또는 함수 에탄올을 사용한다. 상기 함수 알코올의 알코올 농도는 30 ∼ 90 질량%, 바람직하게는 40 ∼ 70 질량% 농도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건조 방법은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을 들 수 있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추가로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유산균, 미네랄 효모, 후라보노이드나 폴리페놀 등이나 면역 부활 작용을 갖는 경구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가 이들의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가 고체인 경우,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전체에 대해 0.1 질량% ∼ 3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 2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가 액체인 경우,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전체에 대해 0.001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질량% ∼ 5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피더스균 등의 유산균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 동물에 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고, 생체 소화관 내에서 유용한 작용을 발휘하는 균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숙주에 대해 무해하고, 위산이나 담즙산에 비교적 내성이 있어, 생체 장내에 정착성을 가지며 유산을 산생하고, 장내 세균총의 구성 비율을 조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용 유산균류로서는, 예를 들어 아시도필루스 유산간균 (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더스균 (Bifidobacterium longum 등), 페카리스균 (Streptococcus faecalis), 레우테리 유산간균 (Lactobacillus reuteri), 카세이 유산간균 (Lactobacillus casei), 플란타룸균 (Lactobacillus plantarum), 페르멘텀 유산간균 (Lactobacillus fermentum), 람노사스 유산간균 (Lactobacillus rhamnosus), 아길리스 유산간균 (Lactobacillus agilis), 가세리균 (Lactobacillus gasseri), 메센테리카스균 (Bacillus mesentericus), 부티르산균 (Clostridium butyricum) 또는 그들의 서브스피시즈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아시도필루스균 (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더스균 (Bifidobacterium longum 등), 페카리스균 (Streptococcus faecalis) 이며, 이들의 유산균류는 1 종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산균류는 생균이면 취득의 유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간편하게는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의 1 일당의 섭취량 또는 기준 섭취량을 설정하는 경우,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1 일량 중의 유산균류의 생균 수로 하여, 1000 만개 ∼ 1000 억개가 바람직하고, 5000 만개 ∼ 500 억개가 더욱 바람직하고, 1 억개 ∼ 100 억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미네랄 효모란, 미네랄을 함유하는 효모를 의미한다. 미네랄로서는, 나트륨 (Na), 칼륨 (K), 염소 (Cl), 칼슘 (Ca), 마그네슘 (Mg), 인 (P), 황 (S) 및 미량 원소로 불리는 철 (Fe), 아연 (Zn), 구리 (Cu), 망간 (Mn), 코발트 (Co), 크롬 (Cr), 요오드 (I), 몰리브덴 (Mo), 셀렌 (Se) 의 16 종 금속 원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네랄 효모로서는, 크롬을 함유하는 크롬 효모가 바람직하다. 효모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그 유연 (類緣) 종, 바람직하게는 빵 효모 또는 맥주 효모가 바람직하다.
크롬 효모의 크롬 함유량은 크롬 효모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 ∼ 1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 0.3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중의 크롬 효모 함유량은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질량부에 대해 0.5 ∼ 5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 ∼ 1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3 ∼ 5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1 일의 섭취량 또는 기준 섭취량을 설정하는 경우,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1 일량 중의 크롬 효모량으로 5 ∼ 500 ㎎ 이 바람직하고, 10 ∼ 100 ㎎ 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 50 ㎎ 이 특히 바람직하다.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1 일량 중의 크롬의 양으로는 20 ∼ 200 ㎍ 이 바람직하고, 40 ∼ 150 ㎍ 이 더욱 바람직하고, 60 ∼ 100 ㎍ 이 특히 바람직하다.
후라보노이드는 식물의 전체 기관에 존재하는 색소 성분의 총칭이며, 주로 과실이나 야채에 함유되고, 특히, 녹색잎이나 백색 야채, 감귤류의 껍질 속에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후라보노이드란, 식물에 넓게 함유되는 색소 성분의 총칭이며, 특히, 야채나 과실에 많이 함유되는 플라반 유도체를 의미한다.
후라보노이드로서는, 후라보놀류, 이스플라본류 및 카테킨류가 바람직하다. 후라보놀류는 폴리페놀류로서 알려져 있다.
후라보노이드는 체내에 섭취되는 물질이지만, 일반적으로 흡수되기 어렵다. 그러나, 후라보노이드는 소량이어도 유효하고, 강력한 항산화 물질이기 때문에, 발암 물질의 활성을 억제시키거나 혈행 촉진 작용이나 항혈전 작용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후라보노이드는 차, 포도, 양파 등의 각 유래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유래물이란, 생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추출에는, 예를 들어, 상기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조제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추출물의 형태도 상기와 동일한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추출 후의 여과액인 상태로 또는 농축 또는 희석된 상태 또는 그 건조 분말의 형태로, 또는 그들의 혼합물 중 어느 형태이어도 된다.
카테킨류를 함유하는 차 추출물은 동백과의 상록수인 차의 나무로부터 제조한다. 차의 나무는 인도나 스리랑카, 동남아시아에서 재배되고 있는 아사미카 (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 와 중국이나 일본에서 재배되고 있는 카멜리아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추출에는, 바람직하게는 물, 알코올, 함수 알코올을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로서 열수 또는 에탄올 또는 함수 에탄올을 사용한다. 상기 함수 알코올의 알코올 농도는 30 ∼ 90 질량%, 바람직하게는 40 ∼ 70 질량% 농도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건조 방법은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을 들 수 있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 추출물 중에는, 폴리페놀이나 카테킨류 등의 항산화 물질을 함유한다.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카테킨 갈레이트,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그 차 추출물을 0.1 ∼ 4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 3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 30 질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후라보노이드의 하나인 후라보놀류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동맥 경화의 억제나 혈류 개선 등의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 후라보놀류 중에서도, 폴리페놀의 하나인 레스베라트롤이 항산화 물질로서 주목받고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스틸벤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도의 과피에 많이 함유되어 있어, 그 때문에, 포도로 만들어진 적색 와인에도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 후라보놀류를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포도 엑기스 또는 포도주 농축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포도 추출물을 0.1 ∼ 3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10 질량% 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레스베라트롤은 지방을 연소시키는 기능이 있어, 혈관계의 질환인 동맥 경화 방지나, 항암 작용, 그리고, DNA의 세포 분열에 의한 단화 (短化) 를 방지하고, 칼로리 제한을 한 것과 동일한 세포 연명 효과가 있어, 생활 습관병 예방 소재로서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에 있어서의 레스베라트롤의 함유량은 0.0001 ∼ 5.0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01 ∼ 2.00 질량% 가 바람직하다.
또, 후라보놀류 중에서도, 폴리페놀인 케르세틴이 항산화 물질로서 주목받고 있다. 케르세틴은 플라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양파의 외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케르세틴은 비타민 C 의 흡수 서포트, 항산화 작용, 면역 작용 등의 생리 작용이 보고되어 있고, 또한, 지방 흡수 억제에 유효함을 알 수 있어, 생활 습관병 예방 소재로서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에 있어서의 케르세틴의 함유량은 0.001 ∼ 15 질량%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5 ∼ 1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0.1 ∼ 5.0 질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특히 카테킨을 1 ∼ 5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킨으로는, 녹차 유래의 것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리파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폴리페놀류를 2 ∼ 8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파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폴리페놀로서는, 우롱차 유래의 것, 포도 유래의 것, 사과 유래의 것, 리치 유래의 것, 소나무 껍데기 유래의 것, 감과 유래의 것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면역 부활 작용을 갖는 경구 물질은 장미꽃 엑기스나 연근 유래물 등 면역 기능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을 가리키고, 유래물이란, 생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추출에는, 예를 들어, 상기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조제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추출물의 형태도 상기와 동일한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추출 후의 여과액인 상태로 또는 농축 또는 희석된 상태 또는 그 건조 분말의 형태로, 또는 그들의 혼합물 중 어느 형태이어도 된다.
<사용 방법ㆍ제제>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를 대상으로 하여, 그 포유류에 경구적으로 투여된다. 여기서 장내란, 사람 소장, 사람 대장과 같이 박테로이데테스문이나 피르미쿠테스문,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ales 목) 등의 균이 상주하며 소화ㆍ흡수하는 소화기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식품 (음료를 포함함), 식품 재료, 의약부외품, 의약품, 의약품 재료, 의약부외품 재료이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경구 투여제로서 약학적 또는 식품 위생상 허용되는 각종 담체, 예를 들어 부형제, 활택제, 안정제, 분산제, 결합제, 희석제, 향미료, 감미료, 풍미제, 착색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의 형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정제, 환제, 과립제, 세립제, 저작제 (咀嚼劑), 캡슐제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에 충전된 것), 액제, 츄어블제,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식품의 형태이어도 된다.
이들 투여 형태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관용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 정제, 환제 및 과립제인 경우, 필요에 따라 관용적인 제피를 실시한 제형, 예를 들어 당의정, 젤라틴 피포제, 장용 피포제, 필름 코팅제 등으로 할 수도 있고, 또한 정제는 이중정 등의 다층 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에는, 상기 외에 비타민, 비타민 형상 물질, 단백질, 아미노산, 유지, 유기산, 탄수화물, 식물 유래 원료, 동물 유래 원료, 미생물, 식품용 첨가물, 의약품용 첨가물 등, 경구 섭취 가능한 성분을 적절히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의 섭취에 의해, 장내의 박테로이데테스문 세균이 증가되고, 피르미쿠테스문 세균이 감소됨으로써, 체중 감소가 기대된다. 또, 장내의 박테로이데테스문 세균의 증가에 의해, 파이어판에 있어서 장내의 박테로이데테스문 세균이 들어 감으로써, 면역 기능이 증진되어, 화분증이나 아토피 등의 알레르기 증상의 완화나 감기의 예방, 발암의 예방이 기대된다. (Tsuda, M., Hosono, A., Yanagibashi, T., Hachimura, S., Hirayama, K., Itoh, K., Takahashi, K., and Kaminogawa, S., Prior stimulation of antigen-presenting cells with Lactobacillus regulates excessive antigen-specific cytokine responses in vitro when compared with Bacteroides. Cytotechnology, 55, 89-101 (2007))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장기 복용해도 안전하며 부작용이 적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 reticulata) 와 살라시아 오브론가 (S. oblonga) 의 뿌리 및 줄기의 부분을 분쇄 후 등중량씩 혼합하고, 98 ℃ 의 열수 추출 공정을 거쳐 얻어진 액을 스프레이 건조시켜 살라시아 엑기스 분말 1 을 얻었다. 살라시아 엑기스 분말 1 의 수크라아제 IC50 값은 41(㎍/㎖) 이었다.
그 밖에, 김네마, 뽕의 잎 엑기스는 주식회사 크로스에서 입수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글루코오스, 라드 및 우롱차 중합 폴리페놀 (산토리 식품 주식회사 제조의 흑우롱차를 동결 건조시켜 우롱차 중합 폴리페놀을 추출한 것) 을 사용하였다. 또한, 김네마, 뽕의 잎 엑기스, 글루코오스, 라드 및 우롱차 중합 폴리페놀에 대해, 수크라아제 50 % 저해 농도 (IC50 값) 는 모두 800 ㎍/㎖ 이상이었다.
이들의 성분을 각각 주사용 물로 용해시켜 10 ㎎/㎖ 의 수용액으로 하여 투여하였다.
(실험예 1)
생후 8 주된 수컷 SD 래트를 7 마리씩 나누어, 이하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를 주사용 물에 용해시키고, 20 ㎎/㎏/day 가 되는 양을 위 존데를 사용하여 1 주일 섭취시키고, 섭취 직전 및 섭취 직후의 장내 세균총에 차지하는 박테로이데테스문 및 피르미쿠테스문에 속하는 세균의 비율을 각각 T-RFLP (Nagashima 법) 로 측정하였다. 단,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실시예 1 에 대해서는 절반량 (10 ㎎/㎏/day) 하였다.
장내 세균총에 차지하는 박테로이데테스문과 피르미쿠테스문의 비율 (총 균체 수를 100 % 로 한 비율) 을 표 1 에 나타낸다.
래트 장내 세균총 중의 박테로이데테스문, 피르미쿠테스문의 비율 변화
채취 전 채취 후
당흡수 억제
물질 등
박테로이데테스의 비율 [%] 피르미쿠테스의 비율 [%] 박테로이데테스/피르미쿠테스 박테로이데테스의 비율 [%] 피르미쿠테스의 비율 [%] 박테로이데테스/피르미쿠테스
실시예
1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 (절반량) 24.8±4.3 56.3±6.6 0.440 34.6±2.7 50.3±4.8 0.688
실시예
2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 25.1±8.0 58.4±5.4 0.430 40.1±4.3 46.9±7.6 0.855
실시예
3
뽕잎 26.3±6.3 55.9±2.5 0.470 34.2±4.9 51.1±6.0 0.669
실시예
4
김네마 25.5±2.2 58.2±3.0 0.438 31.7±5.1 52.4±4.3 0.605
비교예
1
글루코오스 25.6±9.6 56.7±7.8 0.451 24.9±6.7 61.2±6.5 0.407
비교예
2
라드 25.3±7.4 57.9±5.6 0.437 22.8±4.7 63.6±8.1 0.358
비교예
3
우롱차 중합
폴리페놀
25.0±6.8 55.2±4.2 0.453 21.9±5.6 62.9±1.3 0.348
실험예의 결과, 당흡수 억제 물질은, 다른 식품과 비교하여, 장내 세균총의 박테로이데테스문/피르미쿠테스문의 비율을 현저히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비특허문헌 3 에 따르면, 프락토 올리고당에 의해 박테로이데테스문에 속하는 세균을 증가시키는 증식 효과가 얻어지지만, 그 양은 본 발명과 비교하여 약 90 배량을 투여하였다. 그에 비해 본원 발명은 소량이어도 박테로이데테스문에 속하는 세균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얻어지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 피르미쿠테스문에 속하는 세균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식품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신규로 발견하였다.
또, 시험 기간 중,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체 래트군에 대해서, 간 기능, 신장 기능 등의 화학 검사값 및 해부 소견, 면역 조직 화학 검사 결과에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실험예 2)
고지방식 (HFD32, 일본 쿠레아) 을 주어 사육한 생후 8 주된 수컷 SD 래트를 7 마리씩 나누어, 이하의 당흡수 억제 물질 등을 40 ㎎/㎏/day (실시예 5 만 20 ㎎/㎏/day) 로 주사용 물에 용해시키고, 위 존데를 사용하여 30 일간 섭취시켜 체중 변화, 지방 중량, 혈청 중의 중성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에는 주사용 물만을 투여하였다. 각 당흡수 억제 물질 등에 대해서는, 실험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래트의 체중 변화, 지방 중량, 혈청 중의 중성 지방량
당흡수 억제
물질 등
체중 증가
[%]
지방 중량
[g/100g]
혈청 중의 중성
지방량 [㎎/100㎖]
비교예 4 비섭취시 143±2 3.68±0.22 163.5±4.1
비교예 5 글루코오스 146±5 3.91±0.30 168.6±8.2
비교예 6 프락토 올리고당 145±6 3.56±0.19 170.2±10.3
실시예 5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
(절반량)
137±3* 3.22±0.31* 119.6±8.0**
실시예 6 살라시아속에
속하는 식물
121±4** 2.69±0.14** 87.9±6.8**
실시예 7 뽕잎 140±1* 3.05±0.09* 102.1±2.7**
실시예 8 김네마 132±4** 2.96±0.27** 96.3±5.6**
(비섭취시와 비교하여 *P<0.05 **P<0.01
실험예의 결과, 당흡수 억제 물질은, 미사용 또는 다른 식품과 비교하여, 체중 증가를 억제시키고, 지방 중량 및 혈청 중의 중성 지방량을 현저히 저감시켜 몸이 마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6 의 프락토 올리고당에 대해서는, 박테로이데테스의 증식에 효과가 있다는 지견이 있었지만, 체중 증가, 지방 중량 및 혈청 중의 중성 지방량의 억제와 같은 몸이 마르는 효과는 얻을 수 없었다.
또, 시험 기간 중,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체 래트군에 대해, 그 밖의 생화학 검사값이나 해부 소견, 면역 조직 화학 검사로부터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는 복용함으로써 장내 세균총의 구성 비율, 구체적으로는 박테로이데테스문의 세균을 증식시키고, 피르미쿠테스문의 세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마른 몸, 체질 개선, 알레르기 증상의 완화, 면역 지표의 향상 등이 기대된다. 또한, 장기 복용해도 안전하며 부작용이 적어, 음료를 포함한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 실시 양태를 참조하며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부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9 년 4 월 22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일본 특허출원 2009-104316) 및 2009 년 5 월 12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일본 특허출원2009-115563) 에 근거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Claims (12)

  1.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중 증가 억제제로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에 의해 장내 세균총에 있어서의 박테로이데테스문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피르미쿠테스문의 비율을 감소시켜,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증가 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이,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alacia reticulata), 살라시아 오브론가 (Salacia oblonga) 및 살라시아 키넨시스 (Salacia chinensis)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추출물인, 체중 증가 억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이, 살라시아속 식물의 열수 추출물인, 체중 증가 억제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이,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alacia reticulata) 및 살라시아 오브론가 (Salacia oblonga) 의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이고, 10 ㎍/㎖ ∼ 10000 ㎍/㎖ 의 수크라아제의 50 % 저해 농도 활성을 나타내는, 체중 증가 억제제.
  5.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성 지방 저감제로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에 의해 장내 세균총에 있어서의 박테로이데테스문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피르미쿠테스문의 비율을 감소시켜,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 지방 저감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이,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alacia reticulata), 살라시아 오브론가 (Salacia oblonga) 및 살라시아 키넨시스 (Salacia chinensis)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추출물인, 중성 지방 저감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이, 살라시아속 식물의 열수 추출물인, 중성 지방 저감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이,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alacia reticulata) 및 살라시아 오브론가 (Salacia oblonga) 의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이고, 10 ㎍/㎖ ∼ 10000 ㎍/㎖ 의 수크라아제의 50 % 저해 농도 활성을 나타내는, 중성 지방 저감제.
  9.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신제로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에 의해 장내 세균총에 있어서의 박테로이데테스문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피르미쿠테스문의 비율을 감소시켜,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제 (瘦身劑).
  10. 제 9 항에 있어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이,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alacia reticulata), 살라시아 오브론가 (Salacia oblonga) 및 살라시아 키넨시스 (Salacia chinensis)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추출물인, 수신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이, 살라시아속 식물의 열수 추출물인, 수신제.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살라시아속 식물의 추출물이, 살라시아 레티큘라타 (Salacia reticulata) 및 살라시아 오브론가 (Salacia oblonga) 의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이고, 10 ㎍/㎖ ∼ 10000 ㎍/㎖ 의 수크라아제의 50 % 저해 농도 활성을 나타내는, 수신제.
KR1020167023464A 2009-04-22 2010-04-21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KR20160105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04316 2009-04-22
JP2009104316A JP2010254594A (ja) 2009-04-22 2009-04-22 腸内バクテロイデス増殖促進剤
JPJP-P-2009-115563 2009-05-12
JP2009115563 2009-05-12
PCT/JP2010/057092 WO2010123037A1 (ja) 2009-04-22 2010-04-21 腸内細菌叢構成比率調整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719A Division KR20120022795A (ko) 2009-04-22 2010-04-21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982A true KR20160105982A (ko) 2016-09-08

Family

ID=430111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719A KR20120022795A (ko) 2009-04-22 2010-04-21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KR1020167023464A KR20160105982A (ko) 2009-04-22 2010-04-21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719A KR20120022795A (ko) 2009-04-22 2010-04-21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34322A1 (ko)
EP (1) EP2422813A4 (ko)
KR (2) KR20120022795A (ko)
CN (2) CN102413840A (ko)
WO (1) WO2010123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3005B2 (ja) * 2010-02-25 2017-05-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一次胆汁酸及び二次胆汁酸生成調節剤
JP2016537385A (ja) * 2013-11-19 2016-12-01 オムニアクティブ ヘルス テクノロジーズ(カナダ)リミテッド サラシア組成物、それを投与することによる治療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23969B1 (ko) * 2014-03-21 2021-11-09 (주)아모레퍼시픽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MA41020A (fr) 2014-11-25 2017-10-03 Evelo Biosciences Inc Compositions probiotiques et prébiotiques, et leurs procédés d'utilisation pour la modulation du microbiome
JP6573639B2 (ja) * 2016-01-26 2019-09-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腸内細菌数抑制剤、食品、及び医薬品
JPWO2017188157A1 (ja) * 2016-04-26 2019-02-28 ティーエフケイ株式会社 腸内細菌叢構成比率調整剤、医薬品、飲食品及び腸内細菌叢構成比率の調整方法
AU2017319467B2 (en) 2016-09-02 2020-06-18 Fujifilm Corporation Livestock feed or livestock supplement, lactobacillus bacteria growth promoter, and lactobacillus bacteria growth promotion method
US10849938B2 (en) 2017-09-13 2020-12-01 ZBiotics Company Gene expression system for probiotic microorganisms
US20220031603A1 (en) * 2017-10-31 2022-02-03 Kbiolab Co., Ltd. Composition for improving microflora containing herbal medicine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001240B1 (ko) * 2017-10-31 2019-07-18 주식회사 케이바이오랩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WO2019181826A1 (ja) * 2018-03-23 2019-09-26 ティーエフケイ株式会社 化合物、腸内細菌叢構成比率調整剤、医薬品、飲食品、食品添加物、腸内細菌叢構成比率の調整方法及び化合物の製造方法
CN111743945A (zh) * 2019-03-28 2020-10-09 珠海岐微生物科技有限公司 陈皮在调节肠道微生物中的用途
CN110915887B (zh) * 2019-12-03 2021-09-14 华南农业大学 一种复合生物保鲜剂及其应用
WO2021239614A1 (en) * 2020-05-25 2021-12-02 Metaceutic Aps Nutraceutical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815A (ja) * 1997-10-29 1999-05-18 Crescendo Corporation:Kk ある種のオリゴ糖と微生物発酵茶の組合せによる健康維持
US6455573B1 (en) * 2000-01-07 2002-09-24 Simon Fraser University Glycosid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synthesizing same
JP3962532B2 (ja) * 2000-07-03 2007-08-22 有限会社 坂本薬草園 抗糖尿病剤
JP4728469B2 (ja) * 2000-07-06 2011-07-20 森下仁丹株式会社 抗酸化作用を有する肝保護剤
JP2003128571A (ja) * 2001-10-22 2003-05-08 Matsuura Yakugyo Kk 糖尿病医薬および健康食品
MXPA05006434A (es) * 2002-12-20 2005-08-19 Unilever Nv Composiciones alimenticias para la salud intestinal que comprende te negro.
US20060280776A1 (en) * 2003-09-02 2006-12-14 Masafumi Koide Diet food
JP4370309B2 (ja) * 2005-03-30 2009-11-25 哲 渡嘉敷 麦若葉ともろみ酢由来の健康補助食品
CN1742763A (zh) * 2005-06-30 2006-03-08 袁干军 五层龙提取物在制备保健品和药品中的应用
JP4391971B2 (ja) * 2005-07-27 2009-12-24 株式会社盛光 腸内環境改善作用を有する食品組成物
CN101028320B (zh) * 2006-12-05 2011-02-16 广州加德恩医药有限公司 一种具有降糖降脂作用的植物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7553502B2 (en) * 2007-03-07 2009-06-30 Indena S.P.A. Formulations of alpha-amylase inhibitors with alpha-glucosidase inhibitors useful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obesity
EP2030623A1 (en) * 2007-08-17 2009-03-04 Nestec S.A. Preventing and/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by modulating the amount of enterobacteria
JP5638180B2 (ja) * 2007-09-06 2014-1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サラシア属植物の抽出物とフラボノイドを含有する食品
JP2009104316A (ja) 2007-10-22 2009-05-14 Okuma Corp 回転構造物の位置制御方法
JP2009115563A (ja) 2007-11-05 2009-05-28 Fujitsu Microelectronics Ltd 半導体集積回路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Ley, RE., Turnbaugh, PJ., Klein, S., and Gordon, JI., Microbial ecology : human gut microbes associated with obesity. Nature, 444, 1022-3 (2006)
: Nakanishi, Y., Murashima, K., Ohara, H., Suzuki, T., Hayashi, H., Sakamoto, M., Fukasawa, T., Kubota, H., Hosono, A., Kono, T., Kaminogawa, S., Benno, Y., Increase in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s of Bacteroidetes-derived 16S rRNA genes after administration of short-chain fructooligosaccharides. Appl. Environ. Microbiol., 72, 6271-6 (2006)
: Turnbaugh, PJ., Ley, RE., Mahowald, MA., Magrini, V., Mardis, ER., and Gordon, JI., An obesity-associated gut microbiome with increased capacity for energy harvest. Nature, 444, 1027-31 (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3037A1 (ja) 2010-10-28
KR20120022795A (ko) 2012-03-12
CN106176883A (zh) 2016-12-07
US20120034322A1 (en) 2012-02-09
CN102413840A (zh) 2012-04-11
EP2422813A4 (en) 2014-07-23
EP2422813A1 (en)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5982A (ko) 장내 세균총 구성 비율 조정제
JP2015127340A (ja) 腸内細菌叢構成比率調整剤
Vargas et al. Health effects and probiotic and prebiotic potential of Kombucha: A bibliometric and systematic review
JP5638180B2 (ja) サラシア属植物の抽出物とフラボノイドを含有する食品
Majeed et al. Cranberry seed fibre: a promising prebiotic fibre and its fermentation by the probiotic Bacillus coagulans MTCC 5856
KR101930483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KR102132066B1 (ko) 차전차피와 흑생강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0378A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0035675A1 (en) Immunopotentiator or antiallergic agent
US20100261784A1 (en) Agent for reducing intestinal toxic bacterium and food or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the same
Liu et al. Tea phenolics as prebiotics
Jiang et al. A review on the gastrointestinal protective effects of tropical fruit polyphenols
KR10139432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cnu 9169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20190002036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CN105802876B (zh) 一种复合益生菌发酵苜蓿嫩芽粉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0254594A (ja) 腸内バクテロイデス増殖促進剤
KR20120137127A (ko)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86198A (ko) 발효 한약재와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고형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형차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3473B1 (ko)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102042151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48434B1 (ko)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40095132A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7192346A (ja) 機能性食品組成物
Bilan et al. Impacts on gut microbiota of rats with high-fat diet supplemented by herbs of Melissa officinalis, Lavandula angustifolia and Salvia officinal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