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707A -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707A
KR20230005707A KR1020210086767A KR20210086767A KR20230005707A KR 20230005707 A KR20230005707 A KR 20230005707A KR 1020210086767 A KR1020210086767 A KR 1020210086767A KR 20210086767 A KR20210086767 A KR 20210086767A KR 20230005707 A KR20230005707 A KR 2023000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llia
petals
mixture
weight ratio
p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469B1 (ko
Inventor
김하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발효담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발효담다(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발효담다(주)
Priority to KR102021008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4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21Streptococcus, lactococcus
    • A23Y2220/00
    • A23Y2240/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나무의 꽃잎을 따서 꽃술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유산균과 설탕, 소금을 중량비로 55:35:9:1로 혼합하여 원적외선발효기에 넣고 34℃의 온도로 6개월 이상 발효시켜 액상의 동백꽃잎식초원액을 얻는 단계와, 다시 동백나무의 꽃잎과 설탕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뒤 상기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이는 단계와, 상기 끓여진 혼합물에서 고상을 걸러내어 액상만을 추출하여 동백꽃잎액상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동백꽃잎액상추출물과 유산균, 전 단계에서 얻어진 동백꽃잎식초원액을 중량비로 70:20:10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꽃술을 제거한 동백꽃잎을 발효와 조리를 통해 음료로 만들어 동백꽃잎이 갖는 인체유용성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rewing vinegar using camellia petals}
본 발명은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꽃술을 제거한 동백꽃잎을 발효와 조리를 통해 음료로 만들어 동백꽃잎이 갖는 인체유용성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료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백꽃은 차나무과에 속하며 높이가 7M에 달하는 상록소교목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의 꽃으로서 말린 것은 한약명으로 산다화, 또는 홍다화라고도 한다. 동백나무는 우리나라의 울릉도, 제주도 및 남부 지방의 바닷가나 섬에서 자라며 개화기는 12월~5월이고 결실기는 9월~10월이다. 약재로 쓰이는 말린 동백꽃은 유연하고 좋은 향기가 나는데, 색이 붉고 곰팡이가 피지 않았으며 꽃봉오리가 크고 아직 피지 않은 것이 제일 높은 등급을 갖는다. 산다화의 맛과 성질은 달고 약간 매우며 서늘하다.
또한 동백꽃의 성분으로는 대표적으로 류코안토시아닌(leucoanthocyanin)과 안토시아닌(anthocyanin)을 들 수 있다(동양의학대백과, 경희대학교 출판국,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p540-541). 또한, 카멜린(camellin) B, 플라바놀(flavanol)로서 쿼세틴(quercetin), 캠페롤(kaemferol), 섹스안굴라레틴(sexangularetin) 및 페놀 화합물로서 ρ-하이드록시벤조산(ρ-hydroxybenzoic acid),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 갈산(gallic acid) 등과 그 밖에 스테롤(sterols), 28-노르-올레이넨 트리테르펜(28-nor-oleanene triterpenes) 등이 함유되어 있다(Chem. Pham. Bull. 37(11) 3174-3176(1989), Chem. Pham. Bull. 44(10) 1899-1907(1996), YAKUGAKU ZASSHI, 104(2) 157-161(1984)). 동백나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내 자생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에 대한 논문(Korean J. Plant. Res. 17(3) 314-322(2004))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101709호에는 동백나무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미백, 보습, 탄력 등의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2-371092호에는 동백꽃추출물의 위장점막 보호제로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소55-099180호에는 동백꽃의 발효에 의한 차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5-111758호에는 동백꽃으로부터의 유사 쵸콜렛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양혈, 지혈, 산어혈에 효과가 있고, 임상응용 및 용법으로는 토혈, 육혈, 붕루, 적리, 장풍하혈 등에 효과가 있는 동백꽃잎을 음료로써 일상적으로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6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꽃술을 제거한 동백꽃잎을 발효와 조리를 통해 음료로 만들어 동백꽃잎이 갖는 인체유용성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백꽃잎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은, 동백나무의 꽃잎을 따서 꽃술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유산균과 설탕, 소금을 중량비로 55:35:9:1로 혼합하여 원적외선발효기에 넣고 34℃의 온도로 6개월 이상 발효시켜 액상의 동백꽃잎식초원액을 얻는 단계와, 다시 동백나무의 꽃잎과 설탕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뒤 상기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이는 단계와, 상기 끓여진 혼합물에서 고상을 걸러내어 액상만을 추출하여 동백꽃잎액상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동백꽃잎액상추출물과 유산균, 전 단계에서 얻어진 동백꽃잎식초원액을 중량비로 70:20:10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꽃술을 제거한 동백꽃잎을 발효와 조리를 통해 음료로 만들어 동백꽃잎이 갖는 인체유용성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공정을 보인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은 동백나무의 꽃잎을 따서 꽃술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유산균과 설탕, 소금을 중량비로 55:35:9:1로 혼합하여 원적외선발효기에 넣고 34℃의 온도로 6개월 이상 발효시켜 액상의 동백꽃잎식초원액을 얻는 단계와, 다시 동백나무의 꽃잎과 설탕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뒤 상기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이는 단계와, 상기 끓여진 혼합물에서 고상을 걸러내어 액상만을 추출하여 동백꽃잎액상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동백꽃잎액상추출물과 유산균, 전 단계에서 얻어진 동백꽃잎식초원액을 중량비로 70:20:10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동백꽃은 인체 유용성분으로 류코안토시아닌(leucoanthocyanin)과 안토시아닌(anthocyanin)을 들 수 있고, 카멜린(camellin) B, 플라바놀(flavanol), 쿼세틴(quercetin), 캠페롤(kaemferol), 섹스안굴라레틴(sexangularetin) 및 페놀 화합물로서 ρ-하이드록시벤조산(ρhydroxybenzoic acid),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 갈산(gallic acid) 등과 그 밖에 스테롤(sterols), 28-노르-올레이넨 트리테르펜(28-nor-oleanene triterpenes) 등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동백꽃잎을 활용하여 음료로써 섭취할 수 있다면 상기한 인체유용성분들을 섭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백나무의 꽃잎을 따서 꽃술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유산균과 설탕, 소금을 중량비로 55:35:9:1로 혼합하여 원적외선발효기에 넣고 34℃의 온도로 6개월 이상 발효시켜 액상의 동백꽃잎식초원액을 얻는 단계에서 동백나무는 전남 강진에서 400년 이상 된 재래종 동백나무의 꽃잎을 채취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icillus sp.) 균, 스트렙토코커스 속 (Streptococcuus sp.) 균, 락토코커스 속 (Lactococcus sp.) 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일례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 KCCM32820),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 KCCM12452),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Lactococcus lactissubsp. Lactis : KCCM4010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 KCCM11322),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아종 불가리커스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 KCCM35463),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 KCCM40017), 락토바실러스 아키도필루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등록특허 10-1166045KCCM40265),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카세이 (Lactobacillus casei subsp. casei : KCCM35465), 락토바실러스 켈로비오수스 (Lactobacillus cellobiosus : KCCM4098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키 아종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 KCCM11357),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Lactobacillus helveticus : KCCM40989),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아종 파라카세이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paracasei : KCCM41276),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Lactobacillus rhamnosus : KCCM32405)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토유산균은 발효시 이취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계에서 설탕과 소금은 유산균의 먹이로써 필요한 요소이다.
또 본 발명은 동백나무의 꽃잎과 설탕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뒤 상기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이고, 상기 끓여진 혼합물에서 고상을 걸러내어 액상만을 추출하여 동백꽃잎액상추출물을 얻게 되는데, 상기 단계에서 혼합물에서 고상을 걸러내고 액상만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공지의 여과장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발효된 동백꽃잎식초원액과 동백꽃잎액상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동백꽃잎의 인체유용성분들이 충분히 함유된 음료원액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원액에 음용자의 취향에 맞춰 생수 등으로 희석하여 음용함으로써 동백꽃잎의 인체유용성분들을 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1)

  1. 동백나무의 꽃잎을 따서 꽃술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유산균과 설탕, 소금을 중량비로 55:35:9:1로 혼합하여 원적외선발효기에 넣고 34℃의 온도로 6개월 이상 발효시켜 액상의 동백꽃잎식초원액을 얻는 단계와,
    다시 동백나무의 꽃잎과 설탕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뒤 상기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이는 단계와,
    상기 끓여진 혼합물에서 고상을 걸러내어 액상만을 추출하여 동백꽃잎액상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동백꽃잎액상추출물과 유산균, 전 단계에서 얻어진 동백꽃잎식초원액을 중량비로 70:20:10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KR1020210086767A 2021-07-01 2021-07-01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KR10264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767A KR102649469B1 (ko) 2021-07-01 2021-07-01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767A KR102649469B1 (ko) 2021-07-01 2021-07-01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707A true KR20230005707A (ko) 2023-01-10
KR102649469B1 KR102649469B1 (ko) 2024-03-20

Family

ID=8489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767A KR102649469B1 (ko) 2021-07-01 2021-07-01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4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127A (ko) * 2011-06-10 2012-12-20 (주)아모레퍼시픽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37859A (ko) * 2016-10-05 2018-04-13 박미경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127A (ko) * 2011-06-10 2012-12-20 (주)아모레퍼시픽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37859A (ko) * 2016-10-05 2018-04-13 박미경 꽃 추출물, 약용작물 추출액, 및 과일청을 이용한 꽃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구석구석에 게재된 '동백꽃, 도라지꽃으로 만든 건강한 생초, 발효담다'(2021.06.17.),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rem_detail_print.do?cotid=0e422245-f20e-418f-9a11-1cf939c5809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469B1 (ko)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0534B (zh) 一种桑红茶的制备方法
CN102429058B (zh) 一种牡丹红茶及其制作方法
CN104643086A (zh) 玫瑰酵素的制备方法
CN105230843A (zh) 黄芩混合茶及其制备方法
KR101187227B1 (ko) 유산균과 효모의 복발효법을 이용한 미나리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7197974A (zh) 一种柠檬红茶的制备方法
CN106957783B (zh) 一种亳菊酒及其制作方法
KR10181014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k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라타 발효 추출물
CN109527143A (zh) 一种万应茶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500970A (zh) 一种山茱萸酒的制备方法
CN107853423A (zh) 一种木瓜白茶饮料
KR101199875B1 (ko) 곰보배추 건청국장 청국장환 및 그 제조방법
CN107593990A (zh) 一种辣木红茶的制备方法
KR20130001842A (ko)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2649469B1 (ko) 동백꽃잎을 이용한 음료제조방법
CN110839724A (zh) 一种三宝茶及其制备方法
KR10194240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CN107751436B (zh) 一种越南抱茎茶发酵茶及其制备方法
CN110050919A (zh) 一种核桃粕黄精混合发酵饮品的制备方法
CN108977312A (zh) 一种酒曲及其在树莓酒发酵上的应用
CN110699265B (zh) 一种冠突散囊菌发酵制作枸杞叶茶的方法及专用菌株
KR102187029B1 (ko) 발효 꽃차 조성물
KR101326102B1 (ko) 홍국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259267A (zh) 一种大米乳酸发酵保健饮品
CN107319071A (zh) 一种桑叶茶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