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724A - 너클 및 부싱 조립체 - Google Patents

너클 및 부싱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724A
KR20130058724A KR1020137002438A KR20137002438A KR20130058724A KR 20130058724 A KR20130058724 A KR 20130058724A KR 1020137002438 A KR1020137002438 A KR 1020137002438A KR 20137002438 A KR20137002438 A KR 20137002438A KR 20130058724 A KR20130058724 A KR 20130058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knuckle
manufacturing
passage
passag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686B1 (ko
Inventor
미쉘 앤 달시-샤르마
Original Assignee
다이버서파이드 머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버서파이드 머신 인크 filed Critical 다이버서파이드 머신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05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3/00Producing bushes fo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60G3/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60G3/06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3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sleeve of elastic material, e.g. having indentations or made of materials of different hard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7/00Use of natural rubber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19/00Use of rubber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07/00 - B29K2011/00,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4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50Constructional features of wheel supports or knuckles, e.g. steering knuckles, spindle attach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2Vehicular structural membe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Elastic joining of parts
    • Y10T29/49872Confining elastic part in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15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 Y10T29/49917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by necking in cup or tube wall
    • Y10T29/49918At cup or tube end

Abstract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서스펜션 커플링(5)으로서, 서스펜션 커플링(5)은 너클 및 부싱 조립체(10)를 포함하되, 너클 부재는 성형된 내측 금속 부재(17)와 각 단부에 연장 부재(19)를 구비하는 성형된 외측 엘라스토머 부재(16)를 구비하는 2편형 부싱 부재(15)를 수납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주조 알루미늄 부분인 서스펜션 커플링이 개시된다. 부싱 부재(15)는 너클 부재(12)에 억지끼움되고, 반경(R) 및 축방향(A)으로 보다 높은 강성을 나타내고 비틀림(T) 및 원추(C) 방향으로는 낮은 강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너클 및 부싱 조립체{KNUCKLE AND BUSHING ASSEMBLY}
본 PCT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 것으로, 발명의 명칭이 너클 및 부싱 조립체인 2010년 6월 30일 출원된 다시-샤르마(Darcey-Sharma)의 미국 가특허출원 제61/360,214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서스펜션에 사용하기 위한 클레비스(clevis) 너클과 같은 서스펜션 구성요소에 사용되는 일체형 부싱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개시는 차량의 서스펜션의 너클에 사용되는 것으로, 개선된 성능, 비용 및 여타의 특성을 갖는 일체형 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으로, 차량은 다양한 지형을 통과하는 동안 차량의 상하 요동, 좌우 요동 및 편요를 처리하고 다양한 운전 조건 하에서 서스펜션 구성요소의 가속 및 감속을 감쇠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승차감 제공을 위한 서스펜션 시스템을 구비한다. 서스펜션 시스템의 일부로서,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를 다른 서스펜션 구성요소와 결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구조적 부착 구성요소(예컨대 클레비스와 핀)를 사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런 서스펜션 시스템은 너클 부재를 구비한 서스펜션 구성요소와 부착 구성요소(예컨대 클레비스 부재)를 구비한 서스펜션 구성요소 간의 커플링에 강성과 감쇠를 제공하기 위한 부싱의 수납 통로를 내부에 구비하는 너클 부재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구성요소의 커플링은 통상적으로 핀, 볼트 또는 부싱 부재에 대한 커플링을 위한 여타의 커플링 부재를 사용하다. 일반적으로, 핀, 볼트 또는 여타의 부재는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로부터 너클 부재의 통로에 배치되는 부싱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부싱의 홀에 배치된다. 스톡 부재와 너클 부재 사이에 있는 부싱은 서스펜션 구성요소 간의 하중 전달을 감쇠하기 위해 비교적 매우 높은 성능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 많은 용례의 경우에, (예컨대 서스펜션 구성요소에 적절한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비교적 낮은 비틀림 및 원추 강성을 갖는 반면, (예컨대 부싱 부재가 서스펜션 구성요소 간에 하중을 더 양호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비교적 높은 반경 및 축 강성을 갖는 너클-부싱 배열체를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복잡하고/하거나 값비싼 구조를 취하지 않고 이런 특성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향상된 특성을 가지면서 바람직하게는 구성요소의 수가 적고,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며, 다른 특성 또한 향상된 서스펜션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은 오랜 과제였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에 사용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이 개시된다. 서스펜션 시스템은 부싱을 수납하기 위한 제1 통로를 구비하는 너클 부재를 갖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포함하되, 부싱은 너클 부재의 제1 통로 내부에 배치되고 제1 통로와의 억지끼움부를 갖는다. 부싱의 중심부에는 부싱의 제1 단부에서 부싱의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통로가 구비된다. (서스펜션 구성요소의 부착을 위해 적절한 커플링 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부싱의 통로는 너클 부재의 제1 통로의 중심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축을 한정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부싱 부재는 형상화된(shaped) 외주를 갖는 제1 내측 부재를 구비하고 중심 배치된 통로를 포함한다. 부싱 부재는 환형 성형(formed) 형상을 갖는 제2 외측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싱 부재는 강화된 축방향 강성을 제공하기 위한 한 쌍의 축방향 이격 이어(ear)를 포함하며, 각각의 이어는 부싱 부재에 향상된 비틀림 및 원추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어의 각 측면에 한 쌍의 리세스 또는 골(valley)을 구비한다. 이어와 골은 외측 부재 둘레에서 환형으로 연장된다. 외측 부재는 또한 부싱 부재에 반경방향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어들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 중심부를 구비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너클 부재는 해당 너클 부재 내에 통로를 추가로 한정하고 처음에는 연장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연장 부재를 구비하되, 제1 연장 부재는 너클 부재의 제1 통로의 중심축과 일반적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부싱 부재는 너클 부재의 제1 통로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부싱 부재는 통로 내부에 억지끼움되고 통로의 제2 단부에 의해 너클 부재의 통로 내부에 수납된다. 이때 제1 연장 부재는 (예컨대 절곡, 절첩 또는 다른 변형에 의해) 연장 위치에서 형성 위치로 변형되며, 그 결과 변형된 너클 부재의 제1 연장 부재는 (예컨대 봉쇄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너클 부재의 제1 통로 내부에 부싱 부재를 고정하도록 부싱 부재의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너클 부재의 통로의 제2 단부는 처음에는 (변형에 앞서 제1 연장 부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방향일 수 있는) 통로의 중심축과 일반적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부재를 구비한다. 너클 부재의 제1 및 제2 연장 부재가 너클 부재의 제1 통로 내부에 부싱 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2 연장 부재는 해당 제2 연장 부재가 부싱 부재의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제2 또는 성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너클 부재는 금속재(예컨대 알루미늄계 합금과 같은 주조 알루미늄 함유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 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모재 금속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부싱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성형 주연면(peripheral surface)을 갖는 환형 형상의 엘라스토머체일 수 있다. 부싱 부재의 성형 주연면은 부싱 부재의 중심부에 일반적으로 축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보다 자세하게는 너클 부재의 통로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중심부로부터 멀리 오프셋되는, 일반적으로 환형이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이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싱 부재는 너클 부재의 제1 통로 내로 가압되어 제1 통로를 한정하는 내벽에 억지끼움되도록 치수와 형상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부싱 부재는 형상화된 엘라스토머체의 적어도 중심부가 압축되어(예컨대 반경방향으로 압축되어) 로딩되도록 치수가 설정될 수 있다. 부싱 부재는 외부가 엘라스토머 재료, 특히 천연고무를 포함하거나, 천연고무로 구성되거나, 천연고무로 기본적으로 구성되는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2편형 성형체(two-piece molded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부싱 부재는 해당 부싱 부재의 내벽부와 형상이 일반적으로 상보적인 형상화된 외면과 관통공을 갖는 내측 또는 코어 부재인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예컨대 내벽부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과 같이, 제2 부분의 형상화된 표면은 곡면형 또는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인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제1 및 제2 형상화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싱 부재의 코어의 제1 및 제2 단부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중심부에 보다 가까운 소부분 또는 소폭부를 구비하되, 핀에 보다 견고한 베어링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부싱 부재의 단부를 향해 직경이 일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내측 부재 둘레에 위치하는 외측 부재의 형상화된 엘라스토머체는 부싱 부재가 너클 부재의 통로에 억지끼움될 때 부싱 부재의 중심부에서의 단면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약 4 mm 미만일 수 있고, 중심부에서의 단면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약 2 mm와 3 mm 사이일 수 있다. 또한, 내측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그 표면적이 클레비스 핀과 같은 서스펜션 구성요소에 의해 파지되기에 충분한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한다. 내측 부재는 제1 및 제2 단부 쪽의 직경이 더 크고 축방향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다가 다시 직경이 커지는 가변 직경의 환형 형상을 가진다. 이 구성으로 인해 내측 부재의 단부 표면적은 더 커지는 반면, 내측 부재의 두께는 감소하여 부싱 부재의 원추 가요성이 향상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부싱 부재의 제1 또는 외측 부재는 부싱 부재의 제2 또는 금속 코어 위에 사출 성형되는 성형체이다. 코어는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에 부싱 부재를 커플링하기 위한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싱 부재의 외측 부재는 환형 형상 외측 부재를 일반적으로 경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어 구조물은 너클 부재에 대한 부싱 부재의 축력 또는 이동에 반응하여 강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중에는 부싱 부재 재료가 이어 구조물 주위에 비틀림 및 원추 방향으로 존재하지 않는 때문에, 외측 부재는 부싱 부재가 너클 부재에 대해 더 자유롭게 비틀림 및 원추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골을 형성하기 위해 이어의 각 측면에 두께 저감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 구조물은 작동 중에 부싱 부재에 인가되는 축력에 반응하여 강성화될 수 있으며, 부싱 부재의 반경방향 강성은 부싱 부재가 너클 부재에 억지끼움됨으로써 향상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너클 및 부싱 조립체는 너클 부재의 통로의 내면과 상보적인 일반적으로 환형인 외면을 갖는 부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싱 부재의 외면은 부싱 부재가 통로에 억지끼움되도록 너클 부재의 통로의 내면의 직경보다 약간 큰 일반적으로 비압축성 직경을 가진다. 너클 부재의 통로의 내면과 부싱 부재의 외면은 각각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경 또는 곡면형 표면을 가질 수 있거나 각각 반경이 상이한 복수의 표면(예컨대 반경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너클 부재의 통로의 내면과 부싱 부재의 외면은 각각 실질적으로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일반적으로 선형인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너클 부재의 통로의 내면과 부싱 부재의 외면은 각각 실질적으로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일반적으로 비선형 또는 곡선형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너클 및 부싱 조립체는 너클 부재의 통로에 압축 로딩되는 엘라스토머체를 위해 일반적으로 환형 중간부 또는 중심부를 가질 수 있다. 일단 부싱 부재가 너클 부재의 통로에 억지끼움되어 너클 및 부싱 조립체가 형성되면, 너클 부재의 외측 엘라스토머 부재의 중심부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의 작동 중에 약 1 mm 초과 약 4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반경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부싱 부재의 환형 외측 엘라스토머 부재의 반경 단면은 약 2 mm 내지 3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너클 및 부싱 조립체는 각각 부싱 부재를 일반적으로 경계 한정하는 한 쌍의 이어가 부싱의 외부에 구비된 너클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이어는 이어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윤곽 형성 리세스 영역을 한정하는 윤곽 형성 외면을 가진다.
너클 및 부싱 조립체는 클레비스, 제어 아암, 핀, 킹핀, 안정화 바, 쇽업소버 또는 부싱을 활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서스펜션 부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서스펜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관통 연장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너클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통로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통로를 추가로 한정하는 제1 연장 부재를 구비하는 너클 부재가 제조된다. 이와 동시에 또는 다른 시점에, 관통 연장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부싱이 제조되며, 부싱은 해당 부싱의 외면에 복수의 환형 저감부가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부싱은 너클 부재의 통로 내부에 배치되어 너클 부재의 통로 내에서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부싱은 너클 부재에 커플링되는 서스펜션 부재에 향상된 반경방향 및 축방향 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제1 연장 부재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연장 부재는 너클 부재 내의 통로의 중심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 오프셋되게 연장되고 너클 부재의 통로 내부에 부싱을 커플링하고 수납할 수 있도록 부싱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된다. 너클 부재는 통로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제2 연장 부재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너클 부재에 부싱 부재를 견고히 커플링하기 위해 제2 연장 부재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 부재는 처음의 주조 구조물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부싱 부재는 2편형 구성으로 제조되되, 내측 부재는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공법에 의해 금속재, 바람직하게는 강재로 제조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측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구형 형상인 중심부와 중심 관통공을 갖춘 원추형 형상의 단부를 구비하는 냉간 성형 부재이다. 내측 부재는 성형기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측 부재는 내측 부재 상에 오버몰딩되고 특정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내측 금속 부재에 대한 외측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착을 촉진하기 위해, 내측 부재는 먼저 인산계 프라이머(primer) 코팅과 같은 적절한 접착 촉진제(예컨대 접착제, 프라이머 또는 둘 모두)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예컨대 코팅)된다. 주조된 후에 너클 부재는 제1 통로를 생성하기 위해 기계 가공될 수 있다.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너클 부재의 통로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를 형성하기에 앞서 예컨대 너클 부재의 통로 내부에 부싱을 억지끼움함으로써 부싱을 반경방향 압축하여 조립 및 배치하고 통로에 부싱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구성요소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너클 및 부싱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제조 단계를 상세히 도시하는 너클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제조 단계를 상세히 도시하는 너클 부재에 배치된 부싱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서스펜션 시스템은 다양한 운전 조건 하에서 서스펜션 구성요소의 가속 및 감속을 감쇠하거나 처리하여 차량의 상하 요동, 좌우 요동, 편요를 처리함으로써 차량에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서스펜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제어 아암, 핀, 킹핀, 스트럿, 스프링, 쇽업소버, 조향 구성요소, 차륜 조립체 구성요소, 장착 하드웨어 및/또는 다른 공지된 서스펜션과 같은 복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구성요소는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커플링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특정한 한 유형의 커플링에서는 클레비스와 클레비스 핀이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를 다른 서스펜션 구성요소에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는 클레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서스펜션 구성요소는 클레비스의 각각의 아암 또는 갈래(prong)의 홀에 배치되는 클레비스 핀을 사용하여 클레비스에 커플링될 수 있는 너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클레비스 핀은 볼트와 유사한 클레비스 핀의 나사산 단부에 대해 너트와 같이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클레비스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유형의 서스펜션 커플링에서, 너클 부재는 클레비스 핀의 주요부를 수납하여 너클 부재에 클레비스를 커플링하기 위한 통로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스펜션 커플링(5)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클 보스에 배치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너클 및 부싱 조립체(10)는 너클 부재(12)와 부싱 부재(또는 허브)(15)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커플링(5)은 도 2의 방향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반경방향(R) 및 축방향(A) 강성과 비교적 낮은 비틀림(T) 및 원추(C) 강성을 나타내는 커플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데, 비록 도 2에는 그렇게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좌표의 원점은 본 명세서에서는 마치 너클 서스펜션 구성요소(5)의 물리적 중심에 위치하는 것처럼 언급되고 사용된다. 서스펜션 커플링(5)은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를 다른 서스펜션 구성요소에 커플링하고 이들 간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구성된다. 서스펜션 커플링(5)은 해당 서스펜션 커플링(5)의 서스펜션 구성요소 간에 비교적 경미한 상대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이동이 일어난다면 이는 대개 탄성 변형의 결과일 것이다. 클레비스(미도시)는 클레비스를 구비하는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에 인가되는 힘을 클레비스 핀과 너클 부재(12)에 연이어 직접 전달하기 위해 클레비스 핀(미도시)에 의해 너클 부재(12)에 커플링된다. 따라서 서스펜션 커플링(5)의 구성요소 간에 전달되는 힘은 필연적으로 부싱 부재(15)를 통해 전달된다. 부싱 부재(15)는 향상된 축방향 및 반경방향 강성과, 향상된 비틀림 및 원추 가요성 특성을 서스펜션 커플링(5)에 제공하는 동시에 여타의 향상된 특성을 나타내며 비용이 더 저렴하다.
너클 부재(12)는 일반적으로 곡면형 구조이지만 서스펜션 커플링(5)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너클 부재(12)는 제1 단부 또는 측면(22)과 제2 단부 또는 측면(23) 사이에 연장되는 통로(또는 보어)(21)를 한정하는 벽을 가진다. 너클 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주조 매개변수와 생산 기술을 사용하여 주조 알루미늄 금속편으로서 생산될 수 있다. 너클 부재(12)의 통로(21) 한정 벽은 일반적으로 곡면형이고 제1 단부(22)에서 제2 단부(23)까지 연장되며 불변 반경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통로(21) 한정 벽은 제1 단부(22)에서 제2 단부(23)까지 일반적으로 비선형 또는 만곡 형상의 단면(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되, 통로(21)의 반경(및 직경)은 제1 단부(22)와 제2 단부(23)에서 최소이고 중심부(24)에서는 보다 클 수 있다. 대안으로서 통로(21) 한정 벽은 제1 단부(22)에서 중심부(24)까지 반경이 일정하게 변화할 수 있거나(미도시), 0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율을 가질 수도 있다. 통로(21) 한정 벽은 너클 부재(12)를 제조하는 주조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거나 그 후에 형성될 수 있다. 통로(21) 한정 벽은 정밀 연삭이나 밀링, 또는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다른 기계가공, 절삭 또는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너클 부재(12)와 통로 한정 벽(21)은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21)의 제1 단부(22)에 배치되는 제1 연장 부재(26)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너클 부재(12)와 통로(21) 한정 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21)의 제2 단부(23)에 배치되는 제2 연장 부재(27)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연장 부재(26, 27)는 너클 부재(12)와 일체일 수 있고 너클 부재(12)의 통로(21)를 추가로 한정한다. 연장 부재(26, 27)는 너클 부재(12)의 주조 성형의 일부로서 생성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부재(26, 27)가 너클 부재(12)의 통로(21)의 중심축(Z)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정렬되는(또는 해당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위치에 형성된다. 연장 부재(26, 27)는 부싱 부재(15)가 통로(21)에 배치된 후에 해당 연장 부재(26, 27)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기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예컨대 너클 부재의 모재가 압연, 권축, 또는 냉간 성형되거나 아니면 여타의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두께(28)를 가진다. 제2 위치에서, 연장 부재(26, 27)는 통로(21)의 중심축(Z)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정렬되고 통로(21) 내부에 부싱 부재(15)를 고정한다. 제2 위치에서, 연장 부재(26, 27)는 통로(21)의 제1 및 제2 단부(22, 2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물론 예컨대 냉간 성형, 압연 또는 제1 및 제2 연장 부재(26, 27)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소성 변형하고 통로(21) 내부에 부싱 부재(15)를 고정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다른 공법과 같은 것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공법이 제1 위치(도 3, 도 4)에서 제2 위치(도 2)까지 연장 부분(26, 27)을 형성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연장 부재(26, 27)는 둘 다 제1 위치로 주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연장 부재(26, 27) 중 오직 하나만이 제2 위치로 이동될 필요가 있도록 연장 부재(26, 27) 중 하나는 제1 위치에 다른 하나는 제2 위치에 있도록 너클 부재(12)를 주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싱 부재(15)는 일반적으로 곡면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싱 부재(15)는 도 2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외측 부재(16)와 제2 또는 내측 부재(17)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부재(16)는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너클 부재(12)의 통로(21) 내의 내측 부재(17)를 지지한다. 부싱 부재(15)는 서스펜션 구성요소 간의 힘과 모멘트를 수용 및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너클 부재(12)의 통로(21) 한정 벽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서스펜션 구성요소의 힘과 이동에 반응하여 통로(21) 내부에서 약간의 이동을 할 수 있다. 외측 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고무나 천연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외측 부재(16)의 엘라스토머 재료는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싱 부재(15)가 통로(21)에 배치될 때 우수한 축방향(A) 및 반경방향(R) 강성을 나타내도록 선택된다. 부싱 부재(15)는 성형되거나 형상화된 외면을 갖는 외측 부재(16)를 포함하고 부싱 부재(12)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성형부를 포함한다. 외측 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환형인 성형 부재이고 한 쌍의 연장부 또는 이어(18, 19)를 포함하되, 하나의 이어는 외측 부재(16)의 각 단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이어(18, 19)는 외측 엘라스토머 부재(16)에 대해 일반적으로 부채꼴 외면 구조물을 한정할 수 있다. 각각의 이어(18, 19)는 너클 부재(12) 내부의 부싱 부재(15)의 성능이 발휘되도록 너클 부재(12)의 통로(21) 한정 벽과의 결합을 위한 소정 두께와 길이를 갖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방사상 외향 연장되는 외측 부재(16)의 일부이다. 각각의 이어(18, 19)는 해당 이어(18, 19)의 재료가 부싱 부재(15)의 축방향 강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통로(21) 내부에 그리고 그 단부에 대해 압축될 수 있도록 두께가 감소한 외측 부분(16)인 적어도 하나의 골형상(valley-like) 리세스(20)에 의해 각 측면에서 한정된다. 이어(18, 19)는 작동 중에 압축될 때 축방향(A) 및 부분적으로는 반경방향(R)으로 통로(21) 내부의 부싱 부재(15)에 상당한 축방향 강성을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이어(18, 19)의 각 측면의 리세스(20)는 원추(C) 및 비틀림(T) 방향으로 부싱 부재(15) 보다 낮은 강성 및 이에 따른 보다 큰 가요성을 제공한다.
힘이 부싱 부재(15)를 통해 너클 부재(12)에 전달될 때, 외측 부재(16)의 플랜지(F)에 의해 추가로 한정되고 내측 부재(17)를 따라 연장되는 이어(18, 19)의 각 측면 상의 리세스(20)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 이어(18, 19) 중 하나 이상은 일반적으로 너클 부재(12)의 통로(21) 내부의 위치를 중심으로 변형될 것이다. 이어(18)와 플랜지(F)의 공동 작용은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5)에 추가적인 축방향 강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리세스(20)의 존재로 인해, 동일하지만 리세스가 없는 구조에 비해 원추(C) 및 비틀림(T) 방향으로 부싱 부재(15)의 강성이 일반적으로 저감되기가 용이해진다. 이런 방식으로, 경합 설계 장력이 의외로 아주 간단한 설계 해법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부싱 부재(15)의 내측 부재(17)는 부싱 부재(15)에 특정한 성능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형상체(shaped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부재(17)는 클레비스 핀(미도시)에 커플링되어 차량 서스펜션과 결부된 비교적 높은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비교적 강도가 높은 냉간성형 강과 같은 금속 또는 강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다른 재료가 내측 부재(17)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내측 부재(17)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곡면형 또는 구형 외주(33)를 갖는 중심부(32)를 포함한다. 외주(33)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질 수 있지만 부싱 부재(15)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가변적인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내측 부재(17)는 해당 내측 부재(17)의 중심축 또는 축방향 축(I)을 따라 일반적으로 대향하는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단부(34, 35)를 추가로 포함한다. 내측 부재(17)의 제1 및 제2 단부(34, 35)는 일반적으로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되, 실질적 원추형 형상의 소단부는 중심부(32)의 외주(33)와 병합되며 제1 및 제2 단부(34, 35)의 타측 대단부는 너클 부재(12)의 제1 및 제2 단부(22, 23)와 정렬되게 연장된다. 제1 및 제2 단부(34, 35)는 중심축(I)에 수직하게 절취할 때 일반적으로 곡면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런 곡면형 단면은 소정 반경 또는 직경을 가지게 된다. 제1 및 제2 단부(34, 35)를 따라 취한 단면의 반경은 중심부(32)에서 제1 및 제2 단부까지 일정한 비율, 가변적인 비율, 또는 0의 비율로 변동될 수 있다.
내측 부재(17)는 제1 및 제2 단부(34, 35)와 중심부(32)를 통해 중심축(I)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 보어 또는 여타의 관통공(37)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37)은 처음에 내측 부재(17)를 제조할 때 내측 부재(17)에 형성될 수 있거나, 관통공(37)은 내측 부재(17)가 제조된 후에 내측 부재(17)를 통해 천공되거나 기계가공될 수 있다. 일단 내측 부재(17)가 제조되면, 외측 부재(16)가 내측 부재(17) 상에 성형될 수 있다. 내측 부재(17)가 성형기에 배치되기에 앞서 그리고 외측 부재(16)가 그 위에 성형되기에 앞서, 칼륨계 코팅과 같은 접착 촉진제가 내측 금속 부재(17)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 촉진제는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부싱 부재(15)에 인가되는 힘이 내측 부재(17)와 외측 부재(16) 간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내측 부재(17)의 금속에 대한 외측 부재(16)의 엘라스토머 재료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내측 부재(17)는 (선택적 접착 촉진제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주형 공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주형이 폐쇄된 후에는 외측 부재(16)의 재료가 (예컨대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여타의 방식으로) 주형 공동에 도입되어 내측 부재 주변부를 형성하고 리세스(20)에 의해 각 측면에 한정되는 이어(18, 19)를 구비한 외측 부재를 제조하는 주형 공동을 충전할 수 있다. 부싱 부재의 외측 부재(16)가 통로(21) 내부에 압축 또는 억지끼움될 수 있으면서 통로(21) 한정 벽의 제1 및 제2 연장부(26, 27)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제1 위치에 여전히 머무르도록, 부싱 부재(15)는 너클 부재(12)의 통로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제조될 수 있다. 부싱 부재(15)가 통로(21) 내부에 배치되어 정렬되고, 이어서 통로(21) 한정 벽의 제1 및 제2 연장부(26, 27)가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21) 내부에 부싱 부재(15)를 고정하기 위해 제2 위치로 변형된다. 통로(21) 한정 벽의 제1 및 제2 단부(26, 27) 중 하나만이 제1 위치에 있고 통로(21) 한정 벽의 제1 및 제2 단부(26, 27) 중 다른 하나는 제2 위치에 있는 너클 부재(12)를 제조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대안예에서, 부싱 부재(15)는 개방 위치에 있는 통로(21) 한정 벽의 제1 및 제2 연장부(26, 27) 중 하나에 삽입 또는 억지끼움될 수 있고, 이어서 통로(21) 내부에 정렬되어 제2 위치에 있는 통로(21) 한정 벽의 제1 및 제2 연장부(26, 27)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통로(2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위치에 있는 통로(21) 한정 벽의 제1 및 제2 단부(26, 27) 중 오직 하나만이 너클 부재(12)의 통로(21)에 부싱 부재(15)를 고정시키기 위해 변형되면 된다.
부싱 부재(15)가 비교적 낮은 비틀림(T) 강성, 낮은 원추(C) 강성 및 비교적 높은 축방향 강성을 나타내는 것에 더하여, 부싱 부재가 너클 부재(12)의 통로(21)에 설치될 때 비교적 높은 반경방향(R) 강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부싱 부재(15)의 중심부(33)의 형상과 치수를 설정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일단 부싱 부재(15)가 너클 부재(12)의 통로(21) 내부에 배치되어 정렬된 후 고정되면, 부싱 부재(15)의 외측 부재(16)는 너클 부재(12)의 중심부(24)와 정렬되는 내측 부재(17)의 중심부(33) 영역에서 소정 두께(D)를 가질 수 있는데, 해당 두께는 너클 부재(15)가 통로(21) 내부에 배치된 후에는 대략 2 mm 내지 3 mm 사이의 범위일 수 있고, 두께(D)는 차량의 서스펜션 커플링(5)에서 일체형 너클 부싱 조립체(10)가 작동하는 동안에도 대략 2 mm 내지 3 mm 사이의 범위를 유지한다.
서스펜션 조립체(5)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형 너클 부싱 조립체(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자체 내 연장 통로(21)를 구비하는 너클 부재(12)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너클 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주조 공법과 알루미늄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너클 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너클 부재(12)의 통로(21)의 측면(22)에 배치되는 제1 연장 부재(26)를 구비하여 주조된다. 통로(21)는 해당 통로(21)의 제2 측면(23)에 배치되는 제2 연장 부재(27)를 추가로 한정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장 부재(26, 27)는 처음에는 통로(21)의 축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연장 부재(26, 27) 중 하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연장 부재(26, 27) 중 다른 하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방법의 일부로서, 부싱 부재(15)는 관통 연장되는 통로(37)와, 부싱 부재(15)의 외측 부재(16)의 외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환형 저감부 또는 리세스(20)를 구비하여 제조된다. 부싱 부재(15)는 단부(22)를 통해 통로(21)에 부싱 부재(15)를 억지끼움함으로써 너클 부재(12)의 통로(21) 내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부싱 부재(15)가 너클 부재(12) 내부에 배치된 후에, 제1 연장 부재(26)는 해당 제1 연장 부재(26)를 압연 또는 성형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통로의 벽이 부싱 부재(15)를 수납하기 위한 비교적 평활한 마감면을 갖도록 너클 부재의 통로(21)를 기계 가공할 수 있다.
부싱 부재(15)의 제조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 형상을 갖는 내측 금속 부재(17)가 가장 먼저 제조된다. 내측 부재(17)는 바람직하게는 언급된 바와 같은 형상과 세부 양식을 갖는 금속 부분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냉간 성형 공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통로(37)는 예컨대 내측 부재(17)의 축방향 중심을 따라 이루어지는 천공과 같이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제조 공법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일단 내측 금속 부재(17)가 제조되면, 내측 금속 부재는 예컨대 내측 부재(17)의 표면을 제공하고 금속에 대한 엘라스토머 재료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산계 프라이머 코팅을 도포함으로써 외측 엘라스토머 재료 부재(16)를 수납할 준비를 갖출 수 있다. 물론 내측 금속 부재(17)에 대한 외측 엘라스토머 부재(16)의 접착을 촉진하기 위해, 예컨대 블라스팅 또는 블라스트 코팅과 같은 공법을 포함하는,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재료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단 내측 부재(17)가 준비되면, 내측 부재는 이어(18, 19) 및 리세스(20) 성형용 형상을 포함하는 외측 부재(16) 성형용 형상을 갖는 주형에 배치될 수 있다. 일단 내측 부재(17)가 주형에 배치되어 자리를 잡고 나면, 내측 부재(17) 상에 외측 부재(16)를 형성하기 위해 엘라스토머 재료가 주형에 도입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재료는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엘라스토머 재료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내측 부재(17) 상에 오버몰딩되기에 적절하고 부싱 부재(15)의 외측 부재(16)로서 기능하기에 적절한 합성재, 고무 및 천연고무재를 포함하는 재료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주형은 사출 성형기(미도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외측 부재(16)를 형성하기 위해 엘라스토머재가 주형 내로 주입될 수 있거나, 공지되어 있거나 적절한 임의의 다른 성형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일단 외측 부재(16)가 형성되어 충분히 경화되면, 부싱 부재(15)가 성형되어 주형에서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임의의 수치는 임의의 낮은 값과 임의의 높은 값 사이의 값이 적어도 두 개의 단위 정수로 구분된다고 가정할 때 하나의 단위 정수의 증가에 의한 낮은 값에서 높은 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예로서, 구성요소의 수량 또는 예컨대 온도, 압력, 시간 등과 같은 공정 변수의 값이 예컨대 1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이라면, 15 내지 85, 22 내지 68, 43 내지 51, 30 내지 32 등과 값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열거되어 있다는 의미가 된다. 1 미만의 값의 경우에는, 하나의 단위 정수는 당연히 0.0001, 0.001, 0.01 또는 0.1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의도된 바의 예에 지나지 않으며, 열거된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모든 가능한 수치 조합이 유사한 방식으로 본 출원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범위는 양 끝점과 해당 끝점 사이의 모든 수를 포함한다. 범위와 관련하여 "약" 또는 "대략"을 사용하는 것은 범위의 양쪽 끝에 적용된다. 따라서 "약 20 내지 30"은 적어도 명시된 끝값을 포함하여 "약 20 내지 약 30"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특허출원과 공개를 포함하는 일체의 논문 및 참조문헌의 개시는 그 전체 내용이 원용되어 있다. 조합을 설명하는 용어 "기본적으로 구성되는"은 명시된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 이외에도, 해당 조합의 기초 및 신규 특성을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조합을 설명하는 용어 "포함하는"은 해당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로 구성되거나 기본적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고려한다.
복수의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는 하나의 일체형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하나의 일체형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는 분리된 복수의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로 분할될 수도 있다.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를 설명하는 "관사(a, an)"의 개시는 추가적인 요소, 성분, 구성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았다.
물론 상기 설명은 예로서 제시된 것으로 제한적이지 않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설명을 통해 제시된 예 이외의 많은 실시예와 많은 적용례를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을 참조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와 더불어 이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가 미치는 전 범위의 균등예를 참조하여 한정되어야 한다. 특허출원과 공개를 포함하는 일체의 논문 및 참조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 내용이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요지의 어떤 양태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빠져있다 하더라도 이는 이런 발명요지의 포기는 아니며, 본 발명자가 이런 발명요지가 개시된 신규한 발명요지의 일부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간주되어서도 안된다.

Claims (33)

  1.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이며,
    너클 부재로서, 제1 단부가 너클 부재의 제1 측면에 배치되고 제2 단부가 너클 부재의 제2 측면에 배치된 제1 통로를 구비하되, 제1 통로는 통로의 중심축을 한정하는 축방향 연장부를 갖는, 너클 부재와,
    너클 부재의 제1 통로 내에 배치되고 너클 부재의 제1 통로와의 억지끼움부를 갖는 부싱을 포함하되,
    부싱은 부싱의 제1 단부에서 부싱의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부싱 통로를 구비하고, 부싱 통로는 너클 부재의 제1 통로의 축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축을 한정하고, 부싱은 부싱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환형 저감부를 구비하며,
    너클 부재는 통로의 중심축과 정렬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부재 및 통로의 중심축과 정렬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부재를 구비하되, 제1 연장 부재는 부싱의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고 제2 연장 부재는 부싱의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됨으로써, 너클 부재의 제1 및 제2 연장 부재는 너클 부재의 제1 통로 내부에 부싱을 고정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부싱은 형상화된 엘라스토머체를 포함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부싱은 성형된 고무체를 포함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부싱은 성형된 천연고무체를 포함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부싱은 작동 중에 부싱에 인가되는 축, 원추, 비틀림 힘에 반응하여 제1, 제2 및 제3 방향으로 편향되는 일반적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이어 및 리세스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이어 구조물은 부싱의 축방향 강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리세스는 부싱 부재의 원추 강성과 비틀림 강성을 실질적으로 저감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부싱은 너클 부재의 제1 통로의 직경보다 큰 비압축성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환형인 중간부를 포함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환형 중간부는 너클 부재의 통로에 압축되어 로딩될 때 약 3 mm 이하의 반경방향 단면 두께를 가지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너클 부재의 제1 통로는 너클 부재의 제1 및 제2 측면 각각에 근접한 영역에 원호형부를 포함하는 내벽을 가지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10. 제5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이어 구조물은 부싱을 일반적으로 경계 한정하는 한 쌍의 이어를 포함하되, 각각의 이어는 이어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윤곽 형성 리세스 영역을 한정하는 윤곽 형성 외면을 가지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11. 제5항 내지 제10항에 있어서, 억지끼움부는 연장 부재와 접촉하는 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에 있어서, 클레비스, 제어 아암, 핀, 킹핀 및 서스펜션 부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너클 및 부싱 조립체.
  13. 차량의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이며,
    관통 연장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서스펜션 부재에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너클 부재와,
    관통 연장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너클 부재의 통로 내에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부싱을 포함하되,
    부싱은 부싱의 통로 내부에 배치될 서스펜션 부재에 향상된 반경방향, 비틀림 및 원추형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부싱의 외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환형 저감부를 구비하며,
    너클 부재는 너클 부재의 통로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제1 성형 연장 부재와, 너클 부재의 통로의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성형 연장 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성형 연장 부재는 너클 부재의 통로 내부에 부싱을 고정하기 위한 것인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
  14. 차량의 서스펜션 조립체에 사용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관통 연장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너클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너클 부재는 서스펜션 부재에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너클 부재는 너클 부재의 통로의 제1 단부에 배치되고 통로를 추가로 한정하는 제1 연장 부재와, 너클 부재의 통로의 제2 단부에 배치되고 통로를 추가로 한정하는 제2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너클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부싱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관통 연장되는 통로 및 부싱의 외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환형 저감부를 구비하는, 부싱을 제조하는 단계와,
    너클 부재의 통로 내에 축방향으로 정렬되게 부싱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부싱은 부싱의 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서스펜션 부재에 반경방향, 비틀림 및 원추형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부싱을 배치하는 단계와,
    통로의 중심축과 정렬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부싱의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도록 제1 연장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너클 부재의 통로 내부에 부싱을 고정하기 위해, 통로의 중심축과 정렬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부싱의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도록 제2 연장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너클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너클 부재를 주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제14항 및 제15항에 있어서, 너클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연장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 제1 통로에 적어도 하나의 원호형 벽을 기계 가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에 있어서, 부싱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소정 형상을 갖는 내측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내측 부재를 주형에 배치하는 단계와, 내측 부재 상에 외측 부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외측 부재는 낮은 비틀림 및 원추 강성을 나타내면서 높은 반경방향 및 축방향 강성을 나타내도록 통로 내부의 부싱 부재에 의해 나타나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에 있어서, 부싱을 배치하는 단계는 너클 부재의 통로 내부에 부싱을 반경방향으로 압축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9. 제17항 내지 18항에 있어서, 내측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강재로부터 내측 부재를 냉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내측 부재는 곡면형 중심부와 중심부로부터 대향하는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에 있어서, 내측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내측 부재의 두 단부가 절두원추형 형상을 갖되 각 단부 중 소폭부는 중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각 단부 중 대폭부는 내측 부재의 중심부에서 멀리 배치되도록 내측 부재의 두 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1. 제14항 내지 제20항에 있어서, 부싱을 제조하는 단계는 내측 부재 상에 오버몰딩되는 것으로, 합성재, 고무, 천연고무재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엘라스토머재로부터 외측 부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2.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너클 및 부싱 조립체.
  23.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성형된 부싱 구성요소.
  24.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부싱 구성요소와의 조립을 위해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너클 보스를 포함하는 너클.
  25.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적어도 너클 및 부싱 조립체,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성형된 부싱 구성요소 및/또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너클 보스를 포함하는 너클을 포함하는 차량 서스펜션.
  26.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너클 및 부싱 조립체,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성형된 부싱 구성요소, 또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너클 보스를 포함하는 너클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7. 차량의 서스펜션 조립체에 사용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관통 연장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너클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너클 부재는 서스펜션 부재에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너클 부재는 너클 부재의 통로의 제1 단부에 배치되고 통로를 추가로 한정하는 제1 연장 부재와, 너클 부재의 통로의 제2 단부에 배치되고 통로를 추가로 한정하는 제2 연장 부재를 포함하되, 제2 연장 부재는 너클 부재가 제조될 때 통로의 제2 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너클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부싱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관통 연장되는 통로 및 부싱의 외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환형 저감부를 구비하는, 부싱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1 단부를 통해 통로에 부싱을 억지끼움함으로써 너클 부재의 통로 내에 축방향으로 정렬되게 부싱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부싱은 부싱의 통로 내부에 배치되는 서스펜션 부재에 반경방향, 비틀림 및 원추형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부싱을 배치하는 단계와,
    너클 부재의 통로 내부에 부싱을 고정하기 위해, 통로의 축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부싱의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제1 연장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너클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너클 부재를 주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9. 제27항 내지 제28항에 있어서, 너클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 연장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 너클 부재의 제1 통로의 적어도 하나의 벽을 기계 가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0. 제27항 내지 제29항에 있어서, 부싱을 제조하는 단계는 소정 형상을 갖는 내측 금속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내측 부재를 주형에 배치하는 단계와, 내측 부재 상에 외측 엘라스토머 부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외측 부재는 통로 내부의 부싱 부재에 의해 나타나는 축방향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장 부재와, 너클 부재 내부의 부싱의 비틀림 및 원추 강성을 낮추기 위한 복수의 두께 저감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내측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강재로부터 내측 부재를 냉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내측 부재는 곡면형 중심부와 중심부로부터 대향하는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단부를 구비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내측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내측 부재가 절두원추형 형상을 갖되 각 단부 중 소부분은 중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각 단부 중 대부분은 내측 부재의 중심부에서 멀리 배치되도록 내측 부재의 두 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3. 제30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부싱을 제조하는 단계는 합성재, 고무 및 천연고무재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엘라스토머재로 외측 부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외측 부재는 내측 부재 상에 오버몰딩되는
    일체형 너클 및 부싱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37002438A 2010-06-30 2010-12-30 너클 및 부싱 조립체 KR101730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021410P 2010-06-30 2010-06-30
US61/360,214 2010-06-30
PCT/US2010/062568 WO2012002991A1 (en) 2010-06-30 2010-12-30 Knuckle and bushing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724A true KR20130058724A (ko) 2013-06-04
KR101730686B1 KR101730686B1 (ko) 2017-04-26

Family

ID=4373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438A KR101730686B1 (ko) 2010-06-30 2010-12-30 너클 및 부싱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8444158B2 (ko)
EP (1) EP2588331B1 (ko)
JP (2) JP5745625B2 (ko)
KR (1) KR101730686B1 (ko)
CN (2) CN103221239B (ko)
CA (1) CA2807725C (ko)
ES (1) ES2681691T3 (ko)
HK (1) HK1186710A1 (ko)
MX (2) MX362959B (ko)
WO (1) WO2012002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1239B (zh) * 2010-06-30 2015-09-16 机器多元化公司 关节接头和套筒组件
JP6190638B2 (ja) * 2013-06-27 2017-08-30 住友理工株式会社 防振ブッシュおよび防振ブッシュの製造方法
WO2015045041A1 (ja) 2013-09-25 2015-04-02 住友理工株式会社 筒型防振装置
CN106032830B (zh) * 2015-03-10 2018-09-04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开孔式球铰类橡胶弹性元件
CN106032832A (zh) * 2015-03-10 2016-10-19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球铰类橡胶弹性元件
DE102016210072B4 (de) 2016-06-08 2023-1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aufhängung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10073A1 (de) 2016-06-08 2017-1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aufhängung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16103190U1 (de) 2016-06-08 2016-07-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aufhängung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CN107813668A (zh) * 2016-09-14 2018-03-20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臂衬套组件
JP6783135B2 (ja) * 2016-12-21 2020-11-11 住友理工株式会社 筒形防振装置
DE102017100169B4 (de) * 2017-01-05 2020-09-1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Radlenker für die Aufnahme eines Lagers in einem Fahrzeug
US10807141B2 (en) * 2017-01-06 2020-10-20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Redraw sleeve
DE102017111667B4 (de) 2017-05-29 2021-06-10 Vibracoustic Gmbh Lagerbuchse
DE102017214190A1 (de) 2017-08-15 2019-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geranordnung für einen Kraftwagen
CN108909755B (zh) * 2018-07-23 2020-03-10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球面牵引橡胶关节及其制作方法
CN110370870A (zh) * 2018-09-12 2019-10-25 天津京东深拓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摆动减震装置、减震轮组和车
CN109532916B (zh) * 2018-11-01 2020-12-15 株洲时代瑞唯减振装备有限公司 轨道车辆用转臂节点及其设计方法
CN109968934A (zh) * 2019-04-01 2019-07-05 天津众恒汽车减震器有限公司 一种减震器衬套
CN110159685A (zh) * 2019-06-13 2019-08-23 成都望锦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复合衬套结构及装配方法
KR20210010205A (ko) 2019-07-19 2021-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튜닝 자유도 개선형 부시 및 현가 시스템
US11719278B2 (en) * 2020-12-21 2023-08-08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Preloaded elastomeric bushing
CN113389833B (zh) * 2021-07-13 2022-07-29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杆端球铰及其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7964A (en) 1963-04-26 1964-09-08 Gen Tire & Rubber Co Closed end-variable spring rate bushing
US3408124A (en) * 1966-04-18 1968-10-29 James O. Melton Idler arm construction
US4202564A (en) 1978-09-07 1980-05-13 Motor Wheel Corporation Tandem axle suspension system
US4316643A (en) 1980-03-25 1982-02-23 The General Tire & Rubber Co. Vehicle suspension bushing
CA1149832A (en) * 1980-03-26 1983-07-12 Wallace G. Chalmers Spigot joint
DE3346665A1 (de) 1983-12-23 1985-07-04 Lemförder Metallwaren AG, 2844 Lemförde Elastisches lager mit zwangsfuehrung
GB2155989B (en) * 1984-03-21 1987-02-11 Quinton Hazell Holdings Ltd A ball joint
DE3419967C2 (de) * 1984-05-29 1986-07-10 Boge Gmbh, 5208 Eitorf Elastisches Gelenk, Kupplung oder dergleichen
DE3933163A1 (de) * 1988-10-27 1990-05-03 Toyoda Gosei Kk Zylindrische daempfungsbuchse
DE3905686C1 (ko) 1989-02-24 1990-06-07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De
JPH0312029A (ja) 1989-06-08 1991-01-21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H0312029U (ko) * 1989-06-14 1991-02-07
DE4140854C2 (de) 1990-12-13 1995-12-07 Tokai Rubber Ind Ltd Zylindrische, elastische Lagerung mit einer Fluidfüllung
EP0503213A1 (en) * 1991-03-08 1992-09-16 The Pullman Company Improved rubber-metal bushing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4302725A (ja) * 1991-03-29 1992-10-26 Kinugawa Rubber Ind Co Ltd 円筒型防振装置
US5186485A (en) 1991-04-01 1993-02-16 Paccar, Inc. Vehicle suspension
FR2679613A1 (fr) 1991-07-22 1993-01-29 Caoutchouc Manuf Plastique Articulation elastique a pouvoir de filtrage eleve et jeu axial controle par butees incorporees et ses applications.
FR2695972B1 (fr) * 1992-09-21 1994-11-18 Hutchinson Dispositif d'articulation élastique, en particulier pour triangle de suspension avant de véhicule.
US5865429A (en) 1994-05-18 1999-02-02 Caoutchouc Manufacture Et Plastiques Elastic support including at least two cylindrical sleeves with folds
US5577854A (en) * 1995-05-15 1996-11-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ngle shear joint
US5820115A (en) * 1995-06-13 1998-10-13 Btr Antivibration Systems, Inc. Film slipper bushing assembly
US5988614A (en) * 1997-09-25 1999-11-23 Atro Engineered Sytems, Inc. Bushing for heavy vehicles
JP4052705B2 (ja) * 1998-01-14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液体封入ブッシュ
US6131930A (en) * 1998-06-11 2000-10-17 Watson & Chalin Manufacturing, Inc. Axle alignment system
JP2002081479A (ja) * 2000-09-08 2002-03-22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ブッシュ
US6446993B1 (en) 2000-10-18 2002-09-1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Control arm bushing
JP2002213511A (ja) * 2001-01-19 2002-07-31 Tokai Rubber Ind Ltd 圧入組付ブッシュおよびその組付方法
JP4111380B2 (ja) * 2002-09-02 2008-07-02 丸五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ブッシュ
JP2004150537A (ja) 2002-10-30 2004-05-27 Tokai Rubber Ind Ltd 縦置式のサスペンションゴムブッシュ
JP2004270832A (ja) * 2003-03-10 2004-09-30 Advics:Kk サスペンション用防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サスペンション機構
DE10315645B4 (de) * 2003-04-04 2005-07-14 Zf Boge Elastmetall Gmbh Hydraulisch dämpfendes Gummibuchsenlager für vertikale Montage
JP4569963B2 (ja) * 2003-07-03 2010-10-27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4046094B2 (ja) * 2004-03-19 2008-02-1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トルクロッド
DE102004019917A1 (de) * 2004-04-21 2005-11-17 Zf Friedrichshafen Ag Lager für ein Kraftfahrzeug
JP2006144972A (ja) * 2004-11-22 2006-06-08 Tokai Rubber Ind Ltd 防振ブッシュ組付構造
US7438493B2 (en) * 2005-11-03 2008-10-21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Cross axis ball and socket joint with sealing ring for cross axis sleeve ends
US20070144839A1 (en) * 2005-12-14 2007-06-28 Seksaria Dinesh C Integrated brake, suspension and wheel system
DE102006006929A1 (de) * 2006-02-14 2007-08-16 Muhr Und Bender Kg Koppelstange für eine Stabilisatoranordnung
JP3951274B1 (ja) * 2006-02-20 2007-08-0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ブッシュの製造方法
JP2007232189A (ja) * 2006-03-03 2007-09-13 Tokai Rubber Ind Ltd 防振ブッシュ
US20070209648A1 (en) * 2006-03-10 2007-09-13 Martin Engineering Company Air cannon for removal of flowable material from a material handling system
DE102006021011B4 (de) 2006-05-04 2021-05-12 Boge Elastmetall Gmbh Buchsenlager mit axialseitig profiliertem Lagerkörper
JP4740818B2 (ja) * 2006-10-12 2011-08-0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ブッシュを備えたリンク部材
CN103221239B (zh) * 2010-06-30 2015-09-16 机器多元化公司 关节接头和套筒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86710A1 (en) 2014-03-21
JP2015180565A (ja) 2015-10-15
MX343159B (es) 2016-10-26
MX362959B (es) 2019-02-22
CN103221239A (zh) 2013-07-24
WO2012002991A1 (en) 2012-01-05
JP5745625B2 (ja) 2015-07-08
US8444158B2 (en) 2013-05-21
CN103221239B (zh) 2015-09-16
JP2013531581A (ja) 2013-08-08
US9102211B2 (en) 2015-08-11
CA2807725C (en) 2019-01-08
US20150298517A1 (en) 2015-10-22
ES2681691T3 (es) 2018-09-14
KR101730686B1 (ko) 2017-04-26
JP6189894B2 (ja) 2017-08-30
US20130232765A1 (en) 2013-09-12
EP2588331B1 (en) 2018-05-16
US20120001398A1 (en) 2012-01-05
MX2013000183A (es) 2013-03-07
EP2588331A1 (en) 2013-05-08
CA2807725A1 (en) 2012-01-05
CN105179542A (zh)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8724A (ko) 너클 및 부싱 조립체
WO2018079244A1 (ja) 防振ブッシュ
EP2244896B1 (en) Vehicle stabilizer
US20050254888A1 (en) Torque ro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30197343A1 (en) Variable rate gripped bushing system
CN111002775B (zh) 衬套以及车辆用悬架装置
US20130187320A1 (en) Shock absorption mount having a housing with a contoured inner surface
JP4395760B2 (ja) 防振ブッシュ
US11473646B2 (en) Bushing and vehicle suspension device
US10914355B2 (en) Bushings for damping vibrations in a vehicle
EP3297860B1 (en) Link assembly for longitudinal arm vehicle suspension
JP2007071395A (ja) ブッシュ
JP2008019928A (ja) 防振ブッシュ、及び、この防振ブッシュを備えたマルチリンク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6200643A (ja) 防振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4833908B2 (ja) 防振ブッシュ
CN204472473U (zh) 一种汽车控制臂衬套
EP3670940B1 (en) Hybrid suspension arm including a ball joint
JP5309056B2 (ja) 緩衝装置
JP2000291708A (ja) 防振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