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420A - 다층 구조 편지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 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420A
KR20130054420A KR20137009006A KR20137009006A KR20130054420A KR 20130054420 A KR20130054420 A KR 20130054420A KR 20137009006 A KR20137009006 A KR 20137009006A KR 20137009006 A KR20137009006 A KR 20137009006A KR 20130054420 A KR20130054420 A KR 20130054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cellulose
feeling
fib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0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699B1 (ko
Inventor
쥰코 데구치
쇼이치 아키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10B2201/28Cellulose esters or ethers, e.g. cellulose acetat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편지는, 불감증설시나 소량의 발한시에 무더움이 없고 쾌적하며, 또한 운동 등에 의해 다량으로 발한한 경우라도 땀에 의한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젖은 느낌, 차가운 느낌을 느끼기 어렵고, 매끄러움이 양호하며, 또한 마모성도 우수한 편지로서, 셀룰로오스계 장섬유 5~25 중량% 및 합성 섬유 75~95 중량%를 적어도 포함하는 편지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 A에 있어서, 상기 편지의 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편지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의 출현 부분의 면적이 0.2~15%이며, 그리고 상기 표면 A의 200 g/㎡ 수분 부여시의 접촉 냉감성이 180~330 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층 구조 편지{MULTILAYERED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다층 구조 편지(knitted fabric)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흡습성이 우수하고, 착용시의 쾌적성이 우수하여, 운동 등에 의해 땀이 배어나왔을 때에 무더운 느낌을 느끼기 어렵고, 발한시에 꽤 대량으로 발한한 경우라도, 땀에 의한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젖은 느낌, 차가운 느낌을 느끼기 어렵고, 촉감이나 외관이 양호한 다층 구조 편지 및 이 편지를 이용한 섬유 제품, 예컨대 인너웨어, 스포츠웨어, 침구 등에 관한 것이다.
면, 큐프라 등의 셀룰로오스계 소재는 흡습성, 흡수성이 우수하여, 의복으로서 이용한 경우, 일반적으로 땀을 흘리고 있지 않은 상태(불감증설(不感蒸泄)시)나 소량의 발한시에는 매우 쾌적하다. 그러나, 여름철이나 운동할 때에 발한량이 약 100 g/㎡를 넘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계 소재는 빨아들인 땀을 보유하여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소위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운동 후의 차가운 느낌을 생기게 하기 쉽다. 특히, 발한량이 약 200 g/㎡를 넘는 경우에는 이러한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은 심각하여, 착용자가 매우 불쾌하게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에 따른 불쾌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땀을 의복의 피부 측에서 겉쪽으로 이행시켜, 피부 측에 수분을 잔류시키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 포백(布帛)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그 대부분은 피부 측에 소수성 섬유를 이용함에 의한 것으로, 사용하는 실의 단사 섬도나 단면 형상을 편지 겉쪽과 안쪽에서 다르게 한 포백 등이 각종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이하의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는, 편지 겉쪽에 흡수 능력이 우수한 섬유, 편지 안쪽(피부쪽)에 흡수 능력이 떨어지는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편지 안쪽에 수분을 잔류시키지 않는 구조로 하여,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을 억제하는 편지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편지 안쪽(피부쪽)에 흡수 능력이 떨어지는 섬유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땀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흡수 능력이 우수한 섬유로서 면 등 단섬유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빨아들인 땀을 확산시킬 능력도 떨어지므로, 끈적거림 저감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흡수 능력이 높은 섬유로서 셀룰로오스 필라멘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확산 능력은 우수하지만, 편지 안쪽(피부쪽)에 소수 섬유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땀을 빨아들이는 능력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3에는, 편지 안쪽(피부쪽)에 요철을 형성하여, 그 볼록부에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섬유, 오목부에 레이온 필라멘트 섬유를 배치하는 편지도 개시되어 있지만, 피부에 접하는 볼록부가 소수성 섬유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편지와 마찬가지로 땀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편지 안쪽(피부쪽)에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 편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편지를 사용하고, 편지 안쪽(피부쪽)의 코스 밀도를 편지 겉쪽의 것보다도 크게 하여, 편지 안쪽(피부쪽)에 요철을 부여함으로써, 피부의 보송보송한 느낌을 갖는 편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편지는 고밀도이며 또한 친수성 섬유의 혼율(混率)이 25~75%로 매우 높기 때문에, 피부 측에 수분이 유지되어, 요철이 있더라도 끈적거리는 느낌이 커서 의료 용도로서의 피부 드라이성은 불충분하다.
이와 같이, 불감증설시나 소량 발한시로부터 대량 발한에 이르기까지 무더운 느낌,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을 억제할 수 있는 쾌적한 편지를 제공할 필요성이 아직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8165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2564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0-13100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2004-190151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불감증설시나 소량의 발한시에 무더움이 없고 쾌적하며, 또한 운동 등에 의해 다량으로 발한한 경우라도 땀에 의한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젖은 느낌, 차가운 느낌을 느끼기 어렵고, 매끄러움이 양호하며, 또한 마모성도 우수한 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하고 실험을 거듭한 결과, 편지의 안쪽(피부면)의 표면 근방에 셀룰로오스계 장섬유를 특정량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1] 셀룰로오스계 장섬유 5~25 중량% 및 합성 섬유 75~95 중량%를 적어도 포함하는 편지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 A에 있어서, 상기 편지의 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편지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의 출현 부분의 면적이 0.2~15%이고, 그리고 그 표면 A의 200 g/㎡ 수분 부여시의 접촉 냉감성(冷感性)이 180~330 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지.
[2] 두께가 0.5~1.2 mm인 상기 [1]에 기재한 편지.
[3] 상기 표면 A에 깊이 0.13~0.50 mm의 요철을 갖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편지.
[4] 상기 표면 A와 반대측의 표면 B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상기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지.
[5] 상기 편지 전체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혼율을 X, 그리고 상기 편지의 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 내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비율을 Y라고 할 때, X>Y 인 상기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지.
[6] 상기 셀룰로오스계 장섬유가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장섬유와의 복합사인 상기 [1]~[5]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지.
[7] 상기 [1]~[6]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표면 A가 착용시에 피부면에 위치하는 섬유 제품.
본 발명의 편지는, 불감증설시나 소량의 발한시에 무더움이 없고 쾌적하며, 또한 운동 등에 의해 다량으로 발한한 경우라도 땀에 의한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젖은 느낌, 차가운 느낌을 느끼기 어렵고, 매끄러움이 양호하며, 또한 마모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인너웨어, 스포츠웨어, 침구용 편지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지 조직도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지 조직도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편지 조직도의 일례이다.
도 4는 종래의 편지 조직도의 일례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지는, 셀룰로오스계 장섬유 5~25 중량% 및 합성 섬유 75~95 중량%를 적어도 포함하는 편지이다. 즉, 본 발명의 편지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장섬유는 편지 전체의 5~25 중량%,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룰로오스계 장섬유란, 레이온, 큐프라, 아세테이트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장섬유, 견 등의 천연 셀룰로오스 장섬유 등이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면이나 재생 셀룰로오스 단섬유 등의 셀룰로오스 단섬유에 비해서 보풀이 적고, 실 표면이 매끈하기 때문에 수분 확산 능력이 높다. 그 중에서도 재생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바람직하며, 재생 셀룰로오스 장섬유 중 레이온 장섬유, 큐프라 장섬유는 원료인 면에 비해 섬유의 수분율도 커서 흡습 효과가 크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큐프라 장섬유는 레이온 장섬유에 비해서 섬유 1 가닥의 표면 형상도 매끈하고, 섬도도 가늘기 때문에, 편지에 이용했을 때에 매우 부드럽고, 촉감이 좋아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를 편지 속에 효과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흡습성과 끈적거림 저감 효과가 우수하여, 불감증설시나 소량부터 다량의 발한시에도 무더움이나 끈적거림이 없고, 착용했을 때에 쾌적한 편지로 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편지 전체에 대한 함유량이 5%보다 작은 경우에는 흡습성이 작고, 불감증설시나 소량 발한시의 기체의 땀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뒤떨어지며, 또한 셀룰로오스 장섬유에 의한 흡수·이수성(移水性)도 불충분하게 되어, 땀을 흘렸을 때의 끈적거림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편지는 착용시의 쾌적성이 뒤떨어진다. 한편,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상기 함유량이 25%를 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발한시의 끈적거림이나 발한 후의 차가운 느낌이 커지기 때문에, 편지는 착용시의 쾌적성이 뒤떨어진다.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의 섬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 22~약 84데시텍스(dtex)가 바람직하고, 약 33~약 56dtex가 보다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의 단사 섬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 0.5~약 2dtex가 촉감이나 매끄러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장섬유를 편지에 함유시킬 때에, 폴리에스테르계나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의 장섬유나 단섬유와 교편(交編)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셀룰로오스계 장섬유가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장섬유 등의 합성 섬유, 특히 합섬 장섬유와의 복합사로서 편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땀 처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복합할 때에는 촉감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합섬 장섬유의 섬도가 약 22~약 84dtex, 단사 섬도가 약 0.5~약 2dtex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와 복합하는 합섬 장섬유와의 섬도의 비는 1:3~2:1이 바람직하다. 합섬 장섬유는 땀을 흘렸을 때의 확산에 의한 땀 처리의 관점에서 이형 단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W형 단면 섬유는 이형이며 편평하기 때문에, 모관 작용에 의한 땀 처리와 부드러움 양쪽을 만족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장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와 합섬 장섬유와의 복합사는 다른 섬유와 교편되어 편지에 배치된다. 교편 상대의 실은 합섬의 장섬유,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장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섬도가 약 16~약 170dtex, 단사 섬도가 약 0.5~약 2dtex인 멀티필라멘트사가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섬유를 적절하게 교편하여, 편지에 스트레치성을 부여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멀티필라멘트사에는, 이산화티탄 등의 광택 제거제, 인산 등의 안정제, 히드록시벤조페논 유도체 등의 자외선흡수제, 탈크 등의 결정화 핵제, 에어로질 등의 이활제(易滑劑), 힌더드 페놀 유도체 등의 항산화제, 난연제, 제전제, 안료, 형광증백제, 적외선흡수제, 소포제 등이 함유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편지에 사용하는 소재는 권축(捲縮)을 갖고 있더라도 좋으며, 촉감의 관점에서, 권축 신장률은 0~150%가 바람직하다. 한편, 가연사의 권축 신장률은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한 것이다.
권축사의 상단을 고정하고, 하단에 1.77×10-3 cN/dt의 하중을 걸어, 30초 후의 길이(A)를 측정한다. 이어서, 1.77×10-3 cN/dt의 하중을 떼어내고, 0.088 cN/dt의 하중을 걸어, 30초 후의 길이(B)를 측정하여, 하기 식 (1):
권축 신장률(%)={(B-A)/A}×100 (1)
에 의해 권축 신장률을 구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편지는, 셀룰로오스계 장섬유 5~25 중량% 및 합성 섬유 75~95 중량%를 적어도 포함하는 편지이다. 즉, 본 발명의 편지에는 상기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와 합성 섬유 이외의 섬유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단, 상기 합성 섬유는 편지 전체의 75~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95 중량% 포함된다.
본 발명의 편지는 한쪽의 표면 A에 있어서, 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의 출현 부분의 면적이 편지 전체의 면적에 대하여 0.2~15%, 바람직하게는 0.5~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이란 표면 A에 있어서의 최외층을 의미하고, 이 층이 피부의 땀에 직접 닿아 땀을 흡수한다. 이 층에 소량의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배치되고, 편지의 내부층에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많이 배치되는 경사 배치 구조로 함으로써, 편지 피부면에 합성 섬유 100%가 위치하고 있는 종래의 편지에 비해 땀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경사 배치되어 있는 셀룰로오스 장섬유에 의해 편지 내부층에 강하게 흡인하고, 또한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확산성에 의해, 땀을 체류시키지 않고서 편지 안으로 널리 확산시킨다. 이와 같이, 피부의 땀은 신속하고 또한 다량으로 편지 내에 받아들여져, 착용시의 끈적거림을 비약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장섬유는 물의 확산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내부층에서 물의 확산이 일어나기 쉽고, 확산된 땀은 피부 측보다 습도가 낮은 겉쪽으로 방산된다.
편지의 최외층으로부터 내부층으로 셀룰로오스 장섬유를 경사 배치하기 위해서는 편물 전체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혼율은 X(중량%), 최외층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비율을 Y(면적%)로 하면, X>Y인 것이 바람직하고, (2/3)·X>Y라면 보다 바람직하고, (1/2)·X>Y라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출현율이 편지 전체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혼율보다 낮아지는 것을,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경사 배치되어 있다고 표현한다.
또한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비중은 약 1.5이며, 합성 섬유의 비중은 통상 그보다 작은(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약 1.4, 폴리우레탄 섬유는 약 1.2,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약 1.1인) 것을 고려한, 최외층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량 비율 Yw(중량%)와 X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X>Yw인 것이 바람직하고, (2/3)·X>Yw라면 더욱 바람직하고, (1/2)·X>Yw라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Yw는 하기 식 (2)로 구해진다:
Yw=Y·D1/{X·D1+(100-X)·D2} (2)
{식에서, D1은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비중이며, 그리고, D2는 셀룰로오스 장섬유 이외의 섬유의 평균 비중이다}.
본 발명의 편지는 피부에 닿는 표면 A에 셀룰로오스계 장섬유가 소량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촉감도 우수하다. 또한 흡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무더운 느낌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지의 끈적거림 저감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표면 A에 요철을 부여한 편조직으로 하면 좋다. 볼록부와 오목부의 높이의 차는 약 0.13~약 0.5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는 표면 A에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시료 중 임의의 1 cm×1 cm 범위를 측정했을 때에 어떤 범위에도 상기 범위의 볼록부가 10개 이상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록부 면적이 표면 면적의 10~7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편조직을 강구하여, 태크 조직이나 드롭 스티치 조직을 넣는 방법, 볼록부에서 실을 겹치는 방법, 실 섬도를 바꾸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편지의 표면에 요철을 붙임으로써 접촉 냉온감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 면을 피부면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땀을 흘렸을 때의 끈적거림을 더욱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볼록부와 오목부의 높이의 차가 약 0.13 mm 미만이면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요철이 없는 것과 다름없으므로 요철이 있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편지의 끈적거리는 느낌의 한층 더한 저감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볼록부와 오목부의 높이의 차가 약 0.13 mm 이상이라면, 편지의 요철을 갖는 측을 피부면으로 하여 착용했을 때의 피부와 편지의 접촉 면적이 적어져, 편지가 수분을 빨아들였을 때에 끈적거리는 느낌의 저감 효과가 크다. 한편, 볼록부와 오목부의 높이의 차가 약 0.50 mm를 넘으면 생지(生地)로서 두께가 큰 것으로 되어, 요철에 의한 빳빳한 느낌이 커지는 것 외에, 공기층을 보유하므로 무더움 등의 착용감을 손상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볼록부와 오목부의 높이의 차가 0.13 mm를 넘으면, 상술한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0.13 mm 이하인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즉 이 경우에, 표면 A에 대해서, 깊이가 0.13 mm 이하인 영역(이하, 표면 A에 있어서의 최외층으로 함)과, 깊이가 0.13 mm를 넘는 영역(이하, 표면 A에 있어서의 내층으로 함)으로 나눌 수 있다. 표면 A에 있어서의 최외층에서의 편지 볼록부의 점유 면적이 표면 A의 전체 면적의 1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와 오목부의 높이의 차는 편지의 단면사진을 전자현미경 등으로 촬영하여 5곳에서 측정하여 평균한다. 볼록부와 오목부의 차는 약 0.17~약 0.45 mm라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지의 표면 A를 착용자의 피부 측이 되도록 섬유 제품에 배치함으로써, 상기한 본 발명의 편지가 발휘하는 효과가 적합하게 발현된다.
본 발명의 편지는 표면 A의 200 g/㎡ 수분 부여시의 접촉 냉감성이 약 180~약 330 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접촉 냉감성(이하, 접촉 냉감치라고도 함)은 바람직하게는 약 180~280 W/㎡·℃,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80~약 260 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80~약 240 W/㎡·℃이다.
접촉 냉감성의 측정에는 카토테크사 제조의 서모라보 II를 사용한다. 이 장치는 가온된 열판을 시료 위에 놓았을 때의 열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측정에 사용하는 시료를 20℃, 65% RH(상대 습도)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습도 조절한 후, 8 cm×8 cm로 샘플링하고, 편지 표면 A를 위로 하여 놓은 편지 샘플에, 20℃, 65% RH 환경 하에서 30℃로 가온된 열판을 얹은 순간의 최대 열이동량을 측정한다.
200 g/㎡의 수분을 부여했을 때의 수분은 꽤 땀을 흘리는 운동을 했을 때에 포백이 빨아들이는 땀의 수분량을 상정한 조건이다.
측정시의 수분의 부여 방법은, 시료의 표면 A 측에 분무로, 8 cm×8 cm로 샘플링된 시료의 중량이 +1.28 g이 되도록 수분을 부여하면 된다. 이 때의 분무기 안의 수온은 20℃이다.
편지에 수분이 남아 있으면, 물의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열판으로부터 열을 다량으로 빼앗아, 접촉 냉감성이 커진다. 즉, 접촉 냉감성이 큰 시료는 끈적거리는 느낌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약 330 W/㎡·℃를 넘으면 끈적거리는 느낌이 매우 커 바람직하지 못하고, 한편 약 180 W/㎡·℃ 미만은 끈적거리는 느낌이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접촉 냉감성을 약 180 W/㎡·℃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요철을 현저히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촉감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종래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편지는 통상 약 330 W/㎡·℃를 크게 넘지만, 본 발명에서는, 편지에 셀룰로오스 장섬유를 경사 배치하여,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흡수, 확산 능력을 살림으로써, 다량의 수분이 부여된 상태라도 끈적거림이 개량된 편지로 된다.
본 발명의 편지의 두께는 약 0.5~약 1.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지의 두께는 Peacock사 제조의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φ 3.0 cm의 측정부를 5 g의 하중으로 편지에 접촉시켜, 3곳에서 측정하여 평균한다. 두께가 약 0.5 mm보다 작은 경우에는 땀 처리성이 부족하여, 쾌적감을 얻기 어렵고, 한편, 두께가 약 1.2 mm를 넘는 경우에는 생지의 뻣뻣함이 커져 촉감을 손상시킨다. 본 발명의 편지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약 1.0 mm이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흡수, 확산성에 의해, 피부의 땀을 신속히 빨아올리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100%로 겉과 안의 밀도차나 섬도차에 의해 끈적거림 저감을 겨냥한 편지와 비교하여 보다 얇은 편지라도 같은 정도의 효과를 발휘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편지에 있어서 표면 A와 반대인 표면 B는 주로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지의 표면에 셀룰로오스계 장섬유가 배치되면 착용시의 섬유 제품 표면 측이 마찰로 실 끊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다른 교편 또는 복합섬유와 색차나 광택차가 생기기 쉬워 외관을 손상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표면 B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의 출현 부분의 면적은 편지 전체의 면적에 대하여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며, 상술한, 표면 A의 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의 출현 부분의 면적 비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B가 합성 섬유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지는 경편(經編)이라도 위편(緯編)이라도 좋으며, 표리 2층과 그 사이에 내층을 갖는 3층 이상의 층 구조가 바람직하지만, 편조직 상의 제약에 의해, 각 층의 경계가 불명료하더라도 상관없고, 기능적으로 3층과 동등한 기능을 하는 편지라면 그래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편지를 제작하기 위한 편기로서는 횡편기나 더블 환편기, 트리코트 편기, 랏셀 편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3층 이상의 층을 갖는 다층 편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더블 환편기가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편기의 편게이지로서는 약 10~약 40 GG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지를 제작하기 위한 편조직으로서는, 더블 환편지의 경우, 헤링본, 블리스터, 와플, 딤플메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지 안쪽에 요철을 얻을 수 있는 태크 뜨기를 사용한 조직이 바람직하다. 경편에서는, 예컨대 3장 바디로 미들에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배치하여, 요철을 발현하는 조직으로 하면 원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편지 표리의 코스 방향의 루프수는 편성상 문제가 없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편지의 끈적거림 저감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3층 구조 편지의 표면 A의 최외층에 소량의 셀룰로오스 장섬유를, 표면 A의 내층에 최외층보다 다량의 셀룰로오스 장섬유를 배치시키고, 표면 B는 합성 섬유를 배치시키는 경사 배치 구조가 유효하다. 이 경우, 예컨대 급사(給絲)하는 구수(口數)나 실 섬도를 바꿈으로써 교편 상대의 실과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공급량을 컨트롤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경사를 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층 구조 편지에서 표면 A를 셀룰로오스 장섬유나 그 복합사와 합성 섬유의 플레이팅편(plating stitch)으로 하여, 셀룰로오스 장섬유를 편지 표면 A의 내층 측에 주로 배치시킴으로써, 명확한 3층 구조가 아니라도 본 발명의 구성을 만족하는 방법도 적합하게 이용된다. 표면 A에 셀룰로오스 장섬유나 그 복합사와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그 실 섬도를 변경하여, 합성 섬유의 실을 굵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내부에 셀룰로오스 장섬유를 배치시키는 방법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면 A에 있어서의 합성 섬유의 섬도를 셀룰로오스 장섬유 또는 그 복합사의 섬도의 1.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지의 단위 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 50~약 300 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약 250 g/㎡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지에는 흡수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지는, 표면 B의 편밀도를 표면 A의 편밀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을 발현시켜 표면 A 측으로부터 표면 B 측으로 수분을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이러한 수분 이동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편지 표면 A를, 의류의 피부면으로 하여 착용하면, 다량 발한했을 때라도 피부면에 수분이 남기 어려워, 착용시의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을 더욱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지는 다이얼 측과 실린더 측에서 다른 게이지를 갖는 이종 게이지 편기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모세관 현상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편지 표면 B의 웰 방향의 루프수를 편지 표면 A 측의 웰 방향의 루프수의 약 1.1배~약 4.5배로 하는 것이 좋다. 표면의 웰 방향의 루프수는, 폭 2.54 cm(1 인치)당 메쉬 루프의 수를 덴시미터나 리넨 테스터 등으로 측정한다. 여기서 루프수란, 편지의 표리 각각에 확인되는 니트 루프의 메쉬의 수이며, 턱 루프나 싱커 루프와 같은 메쉬는 루프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모세관 현상을 발현시키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표면 B 측의 단사의 실 섬도를 표면 A 측의 단사의 실 섬도보다 작게 하는, 바람직하게는 표면 B 측의 단사의 실 섬도를 표면 A 측의 단사의 실 섬도의 1/2 이하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지는 인체에 착용하는 섬유 제품에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편지의 표면 B가 외기 측, 표면 A가 피부 측에 위치하도록 이용하면, 상기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편지는 섬유 제품 중에서도 의류, 특히 스포츠웨어나 인너웨어 등의 땀 처리 기능이 필요한 의류 용도에 적합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아우터나 안감 등의 의류나 시트 등의 침구, 나아가서는 실금 팬츠 등의 위생 물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흡습 성능에 의한 쾌적성을 지니고, 또한 수분에 의한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을 저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에서 얻은 편지는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1) 표면 A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ⅰ) 편지 시료를 중농색(中濃色)의 직접 염료(Sumilight Blue 등) 1 %owf와 Na2SO4 5 g/l를 함유하는 염료액에 침지시켜 90℃ 30분 가열하여, 생지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분을 염색한다. 염색 후의 시료는 염색 전과 밀도가 변하지 않도록 셋트한다.
(ⅱ) 상기 (i)의 시료로부터 랜덤하게 종횡 1 cm×1 cm의 범위를 3곳 정하여, 실 등으로 입체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마킹한다.
(ⅲ) 시료의 표면 A의 마킹 부분을 3차원 표면 형상 측정 장치로 측정 간격 20 ㎛로 계측하여, 데이터의 기울기를 보정한 후, 엑셀의 등고선도로 높이의 max치를 20 ㎛마다 바꿔, 1 cm×1 cm의 시료 중에 치우침 없이 분포가 출현되는 높이를 표면 A의 최외면의 높이로 하고, 그로부터 0.13 mm 작은 값을 등고선도의 max치로 하여 2차원도를 작성함으로써, 표면 A의 최외층부(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를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치우침 없이 분포가 출현되는 높이」란, 1 cm×1 cm의 영역을 5 mm×5 mm씩 4개로 분할했을 때에, 분할된 어떤 영역에도 표면이 출현하는 높이를 의미한다.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를 이하의 방법으로 계측한다.
(ⅳ) 동일한 시료의 표면 A의 마킹 부분을 현미경으로 사진 촬영하고, 상기 (ⅲ)와 (ⅳ)의 데이터를 겹쳐, 표면 A의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의 착색된 실이 나타나 있는 부분을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으로서 산출한다. 한편, (ⅳ)의 화상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상기 (ⅲ)와 (ⅳ)의 데이터를 동일한 사이즈로 프린트 아웃하여, 1 cm×1 cm 부분의 종이의 중량을 측정한 후, 양쪽을 겁쳐, 최외층부를 잘라내고, 그 안에서의 염색사 부분을 더 잘라내어, 중량을 측정하여 산출하더라도 좋다. 편지의 표면 A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은 하기 식 (3)에 의해 산출된다:
편지의 표면 A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비율(면적%)=최외층부 표면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시료 면적 (3)
(2) 셀룰로오스 장섬유 혼율(중량%)
편지 전체의 셀룰로오스 혼율 X는 편지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교편율이며, 편지 편성시의 실의 소비 중량 또는 얻어진 편지를 분해하여 측정된 셀룰로오스 장섬유 중량으로부터 하기 식 (4):
X(중량%)=(편지 중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중량/편지 중량)×100 (4)
에 의해 산출되지만, 사용하는 실의 양에 의한 산출이 곤란한 경우에는 편지의 수분율로부터 산출하더라도 좋다.
(3) 착용 시험
염색 가공된 편지의 안쪽이 피부면이 되도록 제작된 셔츠를 착용하여, 28℃, 65% RH 환경의 인공 기후실에서 10분간 안정시킨 후에, 오타케루트고교사 제조 트레드밀 ORK-3000으로 시속 8 km로 30분 주행 운동을 하고, 다시 10분간 안정시켰다. 주행 운동 전의 촉감/매끄러움 및 쾌적감과 주행 운동 후의 끈적거리는 느낌 및 차가운 느낌을 각각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관능 평가했다:
<주행 운동 전의 촉감/매끄러움>
○: 촉감이나 매끄러움이 좋다.
△: 촉감이나 매끄러움이 약간 나쁘다.
×: 촉감이나 매끄러움이 나쁘다.
<주행 운동 전의 쾌적감>
○: 쾌적하다.
△: 약간 불쾌하다.
×: 불쾌하다.
<주행 운동 후의 끈적거리는 느낌>
○: 끈적거리는 느낌을 느끼지 않는다.
△: 끈적거리는 느낌을 약간 느낀다.
×: 끈적거리는 느낌을 느낀다.
<주행 운동 후의 차가운 느낌>
○: 차가운 느낌을 느끼지 않는다.
△: 차가운 느낌을 약간 느낀다.
×: 차가운 느낌을 느낀다.
[실시예 1]
다이얼 측이 18 GG, 실린더 측이 24 GG인 더블 이종 게이지 환편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84dtex/72f와, 33dtex/24f의 큐프라 환단면사와 56dtex/72f의 폴리에스테르 환단면사를 인터레이스 혼섬 후 가연(假撚)하여 제작한 복합사(권축 신장률 7.4%)와,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84dtex/72f를 4 가닥 당겨 정렬한 실(총 섬도 336dtex)을, 도 1의 편조직(도면에서의 둥근 숫자는 편성 순서를 나타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급사하여, 편지 그레이지(greige)를 얻었다. 이 그레이지를 액류 염색기로 80℃×20분으로 정련, 수세한 후에, 핀 텐터로 폭내기(tentering) 비율 20%로 180℃×90초의 프리셋트를 했다. 그 후, 액류 염색기로 130℃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염색, 흡수 가공, 수세를 행한 후에, 핀 텐터로, 주름이 잡힐 정도로 신장하여 150℃×90초의 파이널셋트를 행하여, 단위 중량 150 g/㎡, 두께 0.97 mm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표면 A 측에는, 배치된 실의 섬도 차이에 의한 볼록부가 존재하고, 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최외층부)은 편지 전체의 면적 중의 55%였다. 표면 A 최외층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편지 전체 면적의 2.5%이며,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경사 배치되어 있었다. 표면 B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0%였다. 표면 A의 수분 200 g/㎡ 부여시의 접촉 냉감치는 195 W/㎡·℃이며, 이 편지로부터 얻은 셔츠의 착용 시험에서는 운동 전에도 쾌적하고, 발한한 후에도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이 없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28 게이지 더블 환편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56dtex/72f와, 33dtex/24f의 큐프라 환단면사와 56dtex/72f의 폴리에스테르 환단면사를 인터레이스 혼섬 후 가연하여 제작한 복합사와,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56dtex/24f를, 도 2의 편조직(도면에서의 둥근 숫자는 편성 순서를 나타내고, 동일 행에 기록된 편성 부위(예컨대, 둥근 숫자 1과 13)에서는 동일한 사종(絲種)을 급사함)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급사하고, 복합사와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56dtex/24를 급사할 때에는 플레이팅하여 복합사가 편지 내측에 배치되도록 편성하고,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가공하여, 단위 중량 134 g/㎡, 두께 0.69 mm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표면 A 측에는 실 겹침에 의한 볼록부가 존재하고, 표면 A 최외층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4.7%이며,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경사 배치되어 있었다. 표면 B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0%였다. 표면 A의 수분 200 g/㎡ 부여시의 접촉 냉감치는 220 W/㎡·℃이며, 이 편지로부터 얻은 셔츠의 착용 시험에서는 운동 전에도 쾌적하고, 발한 후에도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이 없는 것이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28 GG의 트리코트 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에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56dtex/24f를 조직 10/23으로 하고, 미들에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56dtex/24f와 큐프라 환단면사 56dtex/30f를 조직 21/10으로 1 가닥 교대로 배치하고, 백에 폴리에스테르 W 단면 가공사 56dtex/30f를 조직 10/12로 하여 배치했다. 큐프라 환단면사는 주로 편지의 중간층에 배치되어 있었다.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가공 처리를 하여, 단위 중량 138 g/㎡, 두께 0.61 mm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표면 A 측에는 편조직에 의한 요철이 존재하고, 표면 A 최외층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9.3%이며,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경사 배치되어 있었다. 표면 B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0%였다. 표면 A의 수분 200 g/㎡ 부여시의 접촉 냉감치는 255 W/㎡·℃이며, 이 편지로부터 얻은 셔츠의 착용 시험에서는 쾌적하고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이 없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26 게이지 더블 환편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84dtex/72f와, 33dtex/24f의 큐프라 환단면사와 56dtex/72f의 폴리에스테르 환단면사를 인터레이스 혼섬 후 가연하여 제작한 복합사와,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56dtex/24f를, 도 3의 편조직(도면에서의 둥근 숫자는 편성 순서를 나타내고, 동일 행에 기록된 편성 부위(예컨대, 둥근 숫자 1과 5와 9)에서는 동일한 사종을 급사함)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급사하고, 복합사와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56dtex/24를 급사할 때에는 플레이팅하여 복합사가 편지 내측에 배치되도록 편성하고,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가공하여, 단위 중량 148 g/㎡, 두께 0.68 mm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표면 A에 있어서의 요철은 작고, 표면 A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4.2%이며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경사 배치되어 있었다. 표면 B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0%였다. 표면 A의 수분 200 g/㎡ 부여시의 접촉 냉감치는 229 W/㎡·℃이며, 이 편지로부터 얻은 셔츠의 착용 시험에서는 운동 전에도 쾌적하고, 발한 후에도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이 없는 것이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2의 큐프라 환단면 원사 33dtex/24f 대신에 레이온 84dtex/30f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편지를 제작하여, 단위 중량 147 g/㎡, 두께 0.78 mm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표면 A 측에는 실 겹침에 의한 볼록부가 존재하고, 표면 A 최외층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9.8%이며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경사 배치되어 있었다. 표면 B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5%였다. 표면 A의 수분 200 g/㎡ 부여시의 접촉 냉감치는 273 W/㎡·℃이며, 이 편지로부터 얻은 셔츠의 착용 시험에서는 쾌적하고,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이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2의 복합사를 56dtex/30f의 큐프라 환단면사로 변경하여, 도 2의 편조직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급사하고, 다른 조건은 실시예 2와 같은 식으로 하여, 단위 중량 127 g/㎡, 두께 0.68 mm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표면 A 측에는 실 겹침에 의한 볼록부가 존재하고, 표면 A 최외층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13.8%였다. 표면 B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3%였다. 표면 A의 수분 200 g/㎡ 부여시의 접촉 냉감치는 294 W/㎡·℃이며, 이 편지로부터 얻은 셔츠의 착용 시험에서는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이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28 GG의 더블 환편기를 사용하여, 56dtex/24f의 큐프라 환단면사와 56dtex/72f의 폴리에스테르 환단면사를 인터레이스 혼섬 후 가연하여 제작한 복합사와 폴리에스테르 환단면 가공사 84dtex/72f를 1 가닥 교대로 배치하여 도 4에 도시하는 편조직으로 편성했다.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가공을 하여, 단위 중량 139 g/㎡, 두께 0.71 mm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표면 A에 있어서의 요철은 작고, 표면 A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18.8%로 크며, 셀룰로오스 장섬유가 경사 배치되어 있지 않았다. 표면 B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면적 비율은 18%였다. 수분 200 g/㎡ 부여시의 접촉 냉감치는 355 W/㎡·℃이며, 이 편지로부터 얻은 셔츠의 착용 시험에서는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이 큰 것이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모든 실을 폴리에스테르 환형 단면 가공사 84dtex/72f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식으로 하여, 단위 중량 126 g/㎡, 두께 0.66 mm의 편지를 얻었다. 편지는 폴리에스테르 100%이고, 수분 200 g/㎡ 부여시의 접촉 냉감치는 348 W/㎡·℃이며, 이 편지로부터 얻은 셔츠의 착용 시험에서는 운동 전후의 쾌적성이 부족한 것이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의한 편지를 이용하면, 불감증설시에 무더움이 없고 쾌적하며, 소량의 발한시나 장시간의 운동 등에 의한 다량의 발한시에도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을 경감할 수 있는 의복 등의 섬유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섬유 제품, 예컨대 스포츠웨어, 인너웨어, 아우터 등의 의복이나 침구 등에서는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셀룰로오스계 장섬유 5~25 중량% 및 합성 섬유 75~95 중량%를 적어도 포함하는 편지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 A에 있어서, 상기 편지의 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편지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셀룰로오스계 장섬유의 출현 부분의 면적이 0.2~15%이며, 그리고 상기 표면 A의 200 g/㎡ 수분 부여시의 접촉 냉감성(冷感性)이 180~330 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지(knitted fabric).
  2.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0.5~1.2 mm인 편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A에 깊이 0.13~0.50 mm의 요철을 갖는 편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A와 반대측의 표면 B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편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 전체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혼율을 X, 그리고 상기 편지의 깊이 0.13 mm 이내의 영역 내의 셀룰로오스 장섬유의 출현 비율을 Y라고 할 때, X>Y인 편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장섬유가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장섬유와의 복합사인 편지.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편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표면 A가 착용시에 피부면에 위치하는 섬유 제품.
KR1020137009006A 2010-10-12 2011-03-31 다층 구조 편지 KR101398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9561 2010-10-12
JPJP-P-2010-229561 2010-10-12
PCT/JP2011/058310 WO2012049870A1 (ja) 2010-10-12 2011-03-31 多層構造編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420A true KR20130054420A (ko) 2013-05-24
KR101398699B1 KR101398699B1 (ko) 2014-05-27

Family

ID=4593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006A KR101398699B1 (ko) 2010-10-12 2011-03-31 다층 구조 편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09743A1 (ko)
EP (1) EP2628833B1 (ko)
JP (1) JP5788895B2 (ko)
KR (1) KR101398699B1 (ko)
CN (1) CN103154344B (ko)
TW (1) TWI475137B (ko)
WO (1) WO20120498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355A (ko) * 2015-09-28 2018-04-25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구조 환편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2546B (zh) * 2013-03-06 2015-04-08 上海嘉麟杰纺织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导湿高透气粗细针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CN103741350B (zh) * 2014-01-20 2015-07-29 浙江航艇针织有限公司 一种亲肤的按摩凸点编织物及其织造工艺
WO2015182088A1 (ja) * 2014-05-26 2015-12-03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繊維構造物、並びに衣類
CN105986358A (zh) * 2015-03-04 2016-10-05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吸水速干针织面料及其用途
KR101630277B1 (ko) 2015-04-08 2016-06-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접촉 냉감 및 흡수 냉감을 갖는 기능성 직물
CN107921758B (zh) * 2015-09-16 2021-01-19 小松美特料株式会社 着色纤维面料及着色纤维面料的制造方法
CN107227551A (zh) * 2016-03-24 2017-10-03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双面针织面料
CA3038041C (en) 2016-10-04 2021-02-09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Warp-knitted fabric
US11523647B2 (en) 2017-03-27 2022-12-13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Garment
CN107385655B (zh) * 2017-09-15 2019-04-02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纬编罗纹提花布的制作方法
EP3729987A4 (en) * 2017-12-18 2021-03-3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LINED CLOTHING
JP6940422B2 (ja) * 2018-01-22 2021-09-29 帝人株式会社 衣料用編物および衣料
TWI777054B (zh) * 2018-05-18 2022-09-11 雁丞有限公司 針織物品
JP6878497B2 (ja) * 2018-05-18 2021-05-26 雁丞有限公司Issetex Co., Ltd 編地
JP6946559B2 (ja) * 2018-05-25 2021-10-06 旭化成株式会社 経編地
CN112981679A (zh) * 2021-03-02 2021-06-18 黄育文 一种针织面料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8902A (en) * 1971-04-01 1973-06-12 Burlington Industries Inc Knit fabrics possessing improved durable press and comfort properties
US5508098A (en) * 1995-07-18 1996-04-16 Syntech Fibres (Pvt) Ltd. Two-layer knitted fabric for active and leisure wear
JP3796816B2 (ja) * 1996-05-31 2006-07-12 東レ株式会社 肌着用編地
JPH1053941A (ja) * 1996-06-05 1998-02-24 Asahi Chem Ind Co Ltd 清涼性を有する布帛
JPH1025643A (ja) 1996-07-09 1998-01-27 Asahi Chem Ind Co Ltd 多層構造布帛
JP3772423B2 (ja) 1996-10-30 2006-05-10 東レ株式会社 編地および運動用衣服
JPH10219551A (ja) * 1997-01-31 1998-08-18 Asahi Chem Ind Co Ltd 人造セルロース繊維含有多層構造布帛
JP2001081652A (ja) 1999-09-08 2001-03-27 Toyobo Co Ltd ぬれ感の小さい編織物
JP2001164446A (ja) * 1999-12-13 2001-06-19 Gunze Ltd 丸編地
JP2001288651A (ja) * 2000-03-31 2001-10-19 Nisshinbo Ind Inc セルロース系繊維編地及びその加工方法
JP3843297B2 (ja) * 2000-04-03 2006-11-08 東洲貿易株式会社 速乾性編地及び速乾性編物製品
JP4559022B2 (ja) * 2002-12-09 2010-10-06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保水性編地
JP2008537667A (ja) * 2005-04-08 2008-09-18 シーカー ワイアレス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モバイルの位置検出
GB2430443A (en) * 2005-09-23 2007-03-28 Lenzing Fibers Ltd Wicking fabric
JP4800043B2 (ja) * 2006-01-17 2011-10-26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立体編地
JP5214131B2 (ja) * 2006-10-30 2013-06-19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吸水伸長性複合糸および布帛
CN101270530B (zh) * 2007-03-23 2011-06-15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聚酯长丝针织擦拭布
JP5346186B2 (ja) * 2008-08-06 2013-11-20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多層編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355A (ko) * 2015-09-28 2018-04-25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구조 환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5137B (zh) 2015-03-01
WO2012049870A1 (ja) 2012-04-19
JP5788895B2 (ja) 2015-10-07
CN103154344A (zh) 2013-06-12
TW201215721A (en) 2012-04-16
EP2628833A4 (en) 2014-12-24
JPWO2012049870A1 (ja) 2014-02-24
EP2628833A1 (en) 2013-08-21
EP2628833B1 (en) 2016-03-23
CN103154344B (zh) 2014-10-22
KR101398699B1 (ko) 2014-05-27
US20130209743A1 (en)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699B1 (ko) 다층 구조 편지
KR102004666B1 (ko) 다층 구조 환편지
EP3604650B1 (en) Garment
JP7324343B2 (ja) 緯編地
JP5580604B2 (ja) 編地
JP5346186B2 (ja) 多層編地
JP5698448B2 (ja) 布帛
JP2015101808A (ja) 編地
JP2010285705A (ja) 2層構造丸編地
JP2011099179A (ja) 運動負荷軽減布帛
JP2011026727A (ja) ベタツキ感軽減布帛
JP2010236131A (ja) スポーツウエア
JP2016216887A (ja) スポーツウエ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