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701A - 전도 억제구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도 억제구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701A
KR20130049701A KR1020120057180A KR20120057180A KR20130049701A KR 20130049701 A KR20130049701 A KR 20130049701A KR 1020120057180 A KR1020120057180 A KR 1020120057180A KR 20120057180 A KR20120057180 A KR 20120057180A KR 20130049701 A KR20130049701 A KR 2013004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ed
main body
restrict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990B1 (ko
Inventor
기요히데 이시와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8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connected to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전도 억제구는, 설치면에 대하여 접촉하는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와 설치구의 저부를 접속하며 또한 상기 대좌부보다 직경이 작은 축부를 가지는 다리 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설치면의 진동시에 상기 설치구의 전도를 억제하고, 상기 설치면에 지지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지지되며 또한 상기 대좌부 상면의 상방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1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는 제 1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1 규제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축부의 상기 저부측의 단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2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며 또한 상기 제 1 축 관통부와 축부의 극간에 비하여 당해 축부의 단부와의 극간이 좁게 형성된 제 2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2 규제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전도 억제구 및 화상 형성 장치{TOPPLING SUPPRESSING IMPLEMEN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도(轉倒) 억제구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나 가구 등의 가옥 내에 설치되는 설치구에 대하여, 지진 등에 의해 바닥면이나 책상의 상면 등의 설치면이 진동했을 경우에 설치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하여, 하기의 일본국 특개2011-10691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이다.
일본국 특개2011-10691호 공보(단락번호 0021 ~ 0027, 도 1 ~ 도 5)에는, 대좌(臺座)(1)와 수직축(2)을 가지는 지지 다리(B)에 대하여, 점착 매트(30)를 통하여 바닥면에 지지되며 또한 대좌(1)를 에워싸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저판(10)과, 저판(10)의 상면에 지지되며 또한 수직축(2)이 관통하는 U자형 홈 형상의 수직축 삽입부(22)를 가지는 고정구(A)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설치면을 따른 진동시에 전도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방안에 의하면, 설치면에 대하여 접촉하는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와 설치구의 저부를 접속하며 또한 상기 대좌부보다 직경이 작은 축부를 가지는 다리 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설치면의 진동시에 상기 설치구의 전도를 억제하는 전도 억제구로서; 상기 설치면에 지지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지지되며 또한 상기 대좌부 상면의 상방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1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는 제 1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1 규제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축부의 상기 저부측의 단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2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며 또한 상기 제 1 축 관통부와 축부의 극간에 비하여 당해 축부의 단부와의 극간이 좁게 형성된 제 2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2 규제부를 가지는 상기 전도 억제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전도 억제구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제 1 규제부 및 제 2 규제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전도 억제구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설치면측의 면에 장착되며, 상기 설치면에 박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기 설치면에 대한 이동을 억제하는 접착 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4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전도 억제구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 1 규제부 사이에 장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규제부의 상기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정 가능한 제 1 조정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5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전도 억제구가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2 규제부 사이에 장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규제부의 상기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정 가능한 제 2 조정구를 가진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6 방안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저부에 지지된 다리 부재로서, 설치면에 대하여 접촉하는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와 장치 본체의 저부를 접속하며 또한 상기 대좌부보다 직경이 작은 축부를 가지는 상기 다리 부재와; 상기 설치면에 지지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지지되며 또한 상기 대좌부 상면의 상방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1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는 제 1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1 규제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축부의 상기 저부측의 단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2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며 또한 상기 제 1 축 관통부에 비하여 상기 축부와의 극간이 좁게 형성된 제 2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2 규제부,를 가지며, 설치면의 진동시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전도를 억제하는 전도 억제구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6 방안에 의하면, 제 1 축 관통부와 축부의 극간에 비하여 축부와의 극간이 좁게 형성된 제 2 축 관통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설치면의 진동시에 전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안에 의하면, 제 1 규제부 및 제 2 규제부가 착탈 불가능한 경우에 비하여, 설치구를 이동시킬 때에 제 1 규제부 및 제 2 규제부를 제거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방안에 의하면, 억제 부재를 설치면에서 벗겨낼 수 있다.
상기 제 4, 5 방안에 의하면, 제 1 규제부 및 제 2 규제부의 높이를 임의의 높이로 조정할 수 있으며, 다른 높이의 다리부에 대응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다리 부재 및 전도 억제구의 요부 설명도.
도 4는 실시예 1의 전도 억제구의 설명도이며, 도 4의 (A)는 사시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화살표(Ⅳ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의 (C)는 도 4의 (B)의 화살표(Ⅳ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4의 (A)의 분해도.
도 6은 실시예 1의 조정구의 설명도이며, 도 6의 (A)는 실시예 1의 전도 억제구에 조정구가 장착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의 (B)는 조정구의 사시도, 도 6의 (C)는 도 6의 (B)에 나타낸 조정구의 변경예의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며, 도 7의 (A)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설치면이 세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의 설명도, 도 7의 (B)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설치면이 가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의 설명도, 도 7의 (C)는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설치면이 세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의 설명도, 도 7의 (D)는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설치면이 가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의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2의 다리 부재 및 전도 억제구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예(이하, 실시예라고 기재함)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하고, 화살표(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이라 한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紙面)의 이면에서 표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면에서 이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 있어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절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대형 프린터(U)는 프린터(U)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U1), 급지 장치(U2), 화상 기록 장치의 일례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 및 후처리 장치(U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조작부(U1)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U1a)나 화상 형성 장치의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입력 버튼(U1b)을 가진다.
상기 급지 장치(U2)는 매체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 TR2)를 가진다. 급지 트레이(TR1, TR2)에는 매체의 일례로서의 시트(S)가 수용되고, 급지 장치(U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삽입, 인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급지 트레이(TR1, TR2)에 수용된 시트(S)는 취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 롤(Rp)에 의해 취출되며, 분리 부재의 일례로서의 분리 롤(Rs)에 의해 1매씩 분리된다. 분리 롤(Rs)에 의해 분리된 시트(S)는 반송로의 일례로서의 급지로(SH1) 상에 배치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송 롤(Ra)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로 공급된다.
급지 장치(U2)의 상단에는 수동 급지부의 일례로서의 수동 트레이(TRt)가 지지되어 있다. 수동 트레이(TRt)에 수용된 시트(S)는 급지 트레이(TR1, TR2)와 마찬가지로 픽업 롤(Rp), 분리 롤(Rs), 반송 롤(Ra)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로 반송된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는, 프린터(U)를 제어하는 제어부(C) 및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잠상(潛像) 형성 장치의 구동 회로의 일례로서의 레이저 구동 회로(D), 전원 회로(E) 등을 가지고 있다. 제어부(C)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레이저 구동 회로(D)는, 정보 단말(도시 생략)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Y:황색, M:마젠타, C:시안, K:흑색의 각 색의 화상 정보를 작성하고, 그에 따른 구동신호를 소정의 시기에 각 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의 잠상 형성 장치(ROSy, ROSm, ROSc, ROSk)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각 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의 전방으로 인출된 인출 위치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 내부에 장착된 장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흑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K)에 있어서, 상(像) 유지체(Pk)의 주위에는 대전기(帶電器)(CCk), 현상기(Gk), 상 유지체 청소기(CLk)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의 상기 상 유지체(Py, Pm, Pc)의 주위에도 각각 상기 상 유지체(Pk)의 주위와 마찬가지로 대전기(CCy, CCm, CCc), 현상기(Gy, Gm, Gc), 상 유지체 청소기(CLy, CLm, CLc)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상 유지체(Py ~ Pk)는 각각 대전기(CCy ~ CCk)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후, 상기 잠상 형성 장치(ROSy ~ ROSk)가 출력하는 잠상 기입광(Ly, Lm, Lc, Lk)에 의해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상 유지체(Py ~ Pk) 표면의 정전 잠상은 현상기(Gy ~ Gk)에 의해 Y:황색, M:마젠타, C:시안, K:흑색의 색의 가시상, 소위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또한, 현상에 의해 현상기(Gy ~ Gk)의 현상제가 소비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의 상부에 배치된 현상제 보급장치(U3a)로부터 현상제가 보급된다. 상기 현상제 보급장치(U3a)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도시 생략), 소위 토너 카트리지가 착탈, 교환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 유지체(Py ~ Pk) 표면 상의 가시상은 1차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1차 전사 부재(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전사되고,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다색 화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형성된 다색 화상은 2차 전사 영역(Q4)으로 반송된다.
또한, 단색 화상만인 경우에는 흑색(K)의 상 유지체(Pk) 및 현상기(Gk)만이 사용되며, 흑색의 가시상만이 형성된다.
1차 전사 후, 상 유지체(Py ~ Pk) 표면의 잔류물은 상 유지체 청소기(CLy ~ CLk)에 의해 제거, 청소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중간 전사체 구동 부재(Rd), 장력 발생 부재(Rt), 사행(蛇行)방지 부재(Rw), 복수의 종동(從動) 부재(Rf), 2차 전사 대향 부재(T2a), 1차 전사 부재(T1y ~ T1k)에 의해 화살표(Ya)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 각 부재(Rd, Rt, Rw, Rf, T2a, T1y ~ T1k)는 소위 롤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2차 전사 대향 부재의 일례로서의 백업 롤(T2a)의 하방에는 2차 전사 유닛(Ut)이 배치되어 있다. 2차 전사 유닛(Ut)의 2차 전사 부재(T2b)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를 사이에 두고 백업 롤(T2a)에 접촉, 이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2차 전사 롤(T2b)이 중간 전사 벨트(B)와 압접(壓接)되는 영역에 의해 2차 전사 영역(Q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백업 롤(T2a)에는 접촉 도통 부재(T2c)가 맞닿아 있고, 상기 접촉 도통 부재(T2c)에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소정의 시기에 현상제의 대전 극성과 같은 극성의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2차 전사 대향 부재(T2a), 2차 전사 부재(T2b), 접촉 도통 부재(T2c)에 의해 실시예 1의 2차 전사기(T2)가 구성되어 있고, 1차 전사 부재(T1y ~ T1k), 중간 전사 벨트(B), 2차 전사기(T2)에 의해 실시예 1의 전사장치(T1y ~ T1k + T2 + B)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의 하방에는 매체 반입로의 일례로서의 시트 공급로(SH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지 장치(U2)로부터 급지된 시트(S)는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송 롤(Ra)을 통하여 급지 시기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다.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 시트(S)는 다색 화상이 2차 전사 영역(Q4)으로 반송되는 것에 시기를 맞춰서 전사 전 상류측 매체 안내 부재(SGr), 전사 전 하류측 매체 안내 부재(SG1)를 통하여 2차 전사 영역(Q4)으로 반송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B) 상의 다색 화상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을 통과할 때에 상기 2차 전사기(T2)에 의해 시트(S)에 전사된다. 또한, 다색 화상일 경우에는 중간 전사 벨트(B) 표면에 중첩하여 1차 전사된 토너 상이 일괄하여 시트(S)에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의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중간 전사체 청소기(CLB)에 의해 청소된다. 또한, 상기 2차 전사 부재(T2b) 및 중간 전사체 청소기(CLB)는 중간 전사 벨트(B)와 접촉, 이격 가능하게 배설(配設)되어 있으며, 다색 화상이 형성될 경우에는 최종 색의 미(未)정착 가시상이 중간 전사 벨트(B)에 1차 전사될 때까지 중간 전사 벨트(B)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미정착 가시상이 2차 전사된 시트(S)는 전사 후 매체 안내 부재(SG2), 매체 반송 부재(BH)를 통하여 정착 장치(F)에 반송된다. 정착 장치(F)는 가열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과, 가압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을 가지며, 한 쌍의 정착 부재(Fh, Fp)가 압력이 작용된 상태에서 접촉하는 정착 영역(Q5)으로 시트(S)가 반송된다. 시트(S) 상의 미정착 가시상은 정착 영역(Q5)을 통과할 때에 정착 장치(F)에 의해 가열 정착된다. 상기 정착 장치(F)의 하류측에는 전환 부재(G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환 부재(G1)는 시트 공급로(SH2)에서 반송되어 정착 영역(Q5)에서 가열 정착된 시트(S)를 배출로(SH3) 또는 반전로(SH4) 측 중 어느 일측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상기 배출로(SH3)로 반송된 시트(S)는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Rh)로부터 후처리 장치(U4)에 배출된다.
상기 반전로(SH4)에는 순환로(SH5)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 접속부에는 반송 방향 규제 부재(G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송 방향 규제 부재(G2)는 반전로(SH4)로 반송된 시트(S)를 일단 그대로 통과시키고, 통과한 시트(S)를 역방향으로 반송하여 순환로(SH5) 측으로 반송한다. 상기 순환로(SH5)로 반송된 시트(S)는 상기 시트 공급로(SH2)를 통하여 상기 전사 영역(Q4)으로 재송(再送)된다.
상기 도면 부호 SH2 ~ SH5로 나타낸 요소에 의해 매체 반송로(SH)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면 부호 SH, Ra, Rr, Rh, SG1, SG2, SGr, BH, G1, G2로 나타낸 요소에 의해 매체 반송 장치(SU)가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후처리 장치(U4)의 설명)
도 2에 있어서, 후처리 장치(U4)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와 접속하는 면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에서 화상 기록이 행해진 시트(S)를 반입하는 매체 반입구(U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매체 반입구(U4a)로부터 반입된 시트(S)는 제 1 전환 부재(U4b)의 전환에 의해, 우측 상부로 연장되는 상단 배출로(SH6),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처리 반송로(SH7) 중 어느 일측으로 반송된다. 또한 제 1 후처리 반송로(SH7)에는 제 2 후처리 반송로(SH8)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 접속부에 배치된 제 2 전환 부재(U4c)에 의해 시트(S)는 제 1 후처리 반송로(SH7) 또는 제 2 후처리 반송로(SH8) 중 어느 일측으로 반송된다.
상기 상단 배출로(SH6)로 반송된 시트(S)는 후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그대로 상단 배출 부재(Rh0)에 의해 상단 배출구(P0)로부터 배출된다.
제 1 후처리 반송로(SH7)의 하류측에는 단철(端綴) 장치(HTS)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철 장치(HTS)는 복수의 시트(S)를 적재하여 정돈하고 시트 다발의 단부에 제본 구멍을 형성하거나, ㄷ자 형상의 침을 시트 다발에 박아넣어서 철하거나, 혹은 철하지 않고 정돈해서 배출하는 단철 처리를 실행한다.
제 2 후처리 반송로(SH8)의 하류측에는 중철(中綴) 장치(NTS)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철 장치(NTS)는 복수의 시트(S)를 적재하여 정돈하고, 시트 다발의 중앙부를 ㄷ자 형상의 침으로 철한 후 2등분으로 접어서 배출하거나, 혹은 철하지 않고 2등분으로 접어서 배출하는 중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단철 장치(HTS)나 중철 장치(NTS)는 종래 공지이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08946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3-089463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리 부재 및 전도 억제구의 설명)
도 3은 실시예 1의 다리 부재 및 전도 억제구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설치구의 일례로서의 급지 장치(U2)나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 후처리 장치(U4)의 저부에는 설치면의 일례로서의 바닥면(1)에 지지되는 다리 부재의 일례로서의 풋(foot)(2)이 지지되어 있다.
도 2, 도 3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풋(2)은 바닥면(1)에 지지되는 원뿔대 형상의 대좌부(3)를 가진다. 대좌부(3)의 상면에는 연결 부재의 일례로서 내부에 나사 홈(도시 생략)이 형성된 하부 너트(3a)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대좌부(3)의 상방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의 축부(4)가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축부(4)의 외주면에는 조정부의 일례로서의 나사산(4a)이 형성되어 있고, 축부(4)의 하단부가 하부 너트(3a)의 나사 홈에 나사끼움되어 축부(4)와 대좌부(3)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각 장치(U2 ~ U4)에는 저면(6)에 피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본체 너트(7)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본체 너트(7)에는 축부(4)가 관통 가능하며 또한 나사산(4a)과 맞물리는 나사 홈(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각 장치(U2 ~ U4)에는 본체 너트(7)의 상방에, 저면(6)으로부터 상방, 즉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6a)가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 너트(7)를 관통한 축부(4)의 상단부가 오목부(6a)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장치(U2 ~ U4)를 바닥면(1)에 설치할 때에 축부(4)를 중심으로 하여 풋(2)을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산(4a)이 본체 너트(7)의 나사 홈에 나사끼움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본체 너트(7)가 지지된 저면(6)과 대좌부(3)의 저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풋(2)을 회전시킴으로써 바닥면(1)의 단차나 요철 등의 높이에 대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실시예 1의 전도 억제구의 설명도이며, 도 4의 (A)는 사시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화살표(Ⅳ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의 (C)는 도 4의 (B)의 화살표(ⅣC)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의 분해도이다.
도 3, 도 4에 있어서, 상기 풋(2)에는 전도 억제구의 일례로서의 내진 브래킷(11)이 장착되어 있다. 도 3 ~ 도 5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내진 브래킷(11)은 바닥면(1)에 지지되는 지지부의 일례로서 좌우 한 쌍의 저판(12)을 가진다. 상기 저판(12)에는 고정부의 일례로서 전후 한 쌍의 나사 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저판(12)의 저면에는 억제 부재의 일례로서의 내진 매트(13)가 지지되어 있으며, 내진 매트(13)가 바닥면(1)에 박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저판(12)의 바닥면(1)에 대한 면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내진 매트(13)는, 종래 공지의 탄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의 일례로서의 엘라스토머 수지제의 내진용 겔 매트를 채용 가능하며, 바닥면(1)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며 또한 바닥면(1)과의 마찰 및 수지의 탄성에 의해 면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판(12)의 상면에는 제 1 규제부의 일례로서 판형상의 상하 규제판(14)이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상하 규제판(14)은 좌우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 판형상의 상하 규제 본체부(14a)를 가지며, 상하 규제 본체부(14a)는 하면이 하부 너트(3a)의 상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하 규제 본체부(14a)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4b)와, 경사부(14b)의 하단에서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하측 피고정부(14c)를 가진다.
상기 하측 피고정부(14c)에는 나사 구멍(12a)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측 관통구(14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규제 본체부(14a)에는 제 1 축 관통부의 일례로서,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U자형 홈 형상으로 형성된 하측 축 관통홈(14e)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하측 축 관통홈(14e)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4)의 외경보다 크며 또한 하부 너트(3a)의 외경보다 작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하측 피고정부(14c)의 상면에는 제 2 규제부의 일례로서 좌우 규제 부재(16)가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좌우 규제 부재(16)는 좌우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 판형상의 좌우 규제 본체부(16a)를 가지며, 좌우 규제 본체부(16a)는 도 3,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4)의 저부(6) 측의 단부에 대응하는 본체 너트(7)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 규제 본체부(16a)의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6b)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16b)의 하단에는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측 피고정부(1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피고정부(16c)에는 나사 구멍(12a)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측 관통구(16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규제 본체부(16a)에는 제 2 축 관통부의 일례로서,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U자형 홈 형상으로 형성된 상측 축 관통홈(16e)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상측 축 관통홈(16e)은, 축부(4)의 저면(6) 측의 단부에 배치된 본체 너트(7)와의 극간이 하측 축 관통홈(14e)과 축부(4)의 극간(隙間)에 비하여 극간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 상측 축 관통홈(16e)은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너트(7)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하측 축 관통홈(14e)과 축부(4) 사이에 극간이 설정되어 있는데 반해, 상측 축 관통홈(16e)과 본체 너트(7)의 극간은 제로로 설정되어 있다.
도 4, 도 5에 있어서, 상기 상하 규제판(14) 및 좌우 규제 부재(16)는, 체결 부재의 일례로서, 관통구(14d, 16d)를 관통하여 나사 구멍(12a)에 나사 고정되는 볼트(17)에 의해, 풀림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와셔(18)를 사이에 두고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볼트(17)를 조임으로써 상하 규제판(14) 및 좌우 규제 부재(16)가 저판(12)에 장착됨과 함께, 볼트(17)를 푸는 것에 의해 상하 규제판(14) 및 좌우 규제 부재(16)가 저판(12)에 대하여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실시예 1의 조정구의 설명도이며, 도 6의 (A)는 실시예 1의 전도 억제구에 조정구가 장착된 상태의 일례의 설명도, 도 6의 (B)는 조정구의 사시도, 도 6의 (C)는 도 6의 (B)에 나타낸 조정구의 변경예의 설명도이다.
프린터(U)의 기종이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바닥면에 대하여 하부 너트(3a)나 본체 너트(7)의 높이가 다를 경우가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내진 브래킷(11')에서는 저판(12)과 상하 규제판(14) 사이 또는 상하 규제판(14)과 좌우 규제 부재(16) 사이에, 조정구의 일례로서 판형상의 스페이서(19)가 장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스페이서(19)는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스페이서(19)가 복수 준비되어 있으며, 하부 너트(3a)나 본체 너트(7)의 높이에 따라 장착하는 매수를 조정함으로써, 상하 규제 본체(14a)를 하부 너트(3a)의 상방에 근접하게 배치하거나, 좌우 규제 본체(16a)를 본체 너트(7)에 대응하는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의 (A)에서는, 일례로서 저판(12)과 상하 규제판(14)의 사이에 1매의 스페이서(19)가 장착되고, 상하 규제판(14)과 좌우 규제 부재(16)의 사이에 2매의 스페이서(19)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B), 도 6의 (C)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스페이서(19)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 구멍(12a)에 대응하는 조정용 관통구(19a)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 외측에서 삽입하기 쉽도록, 좌우 방향의 내측에서 나사 구멍(12a)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U자형 홈 형상의 조정용 관통부(19b)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내진 브래킷(11)은, 바닥면(1) 상에 설치된 프린터(U)의 풋(2)에 대하여 전후 방향 외측에서 장착되어 있다. 즉, 전방측의 풋(2)에 대해서는 내진 브래킷(11)이 전방에서 축 관통홈(14e, 16e)이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후방측의 풋(2)에 대해서는 후방에서 축 관통홈(14e, 16e)이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프린터(U)를 전후에서 사이에 끼우는 형태로 내진 브래킷(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진 브래킷(11)의 상하 규제판(14)은 상하 규제 본체부(14a)가 풋(2)의 하부 너트(3a)의 상면에 근접하게 배치됨과 함께, 좌우 규제 부재(16)는 축부(4)의 저면(6) 측의 단부에 대응하는 본체 너트(7)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의 (A) ~ 도 7의 (D)는 종래예 및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며, 도 7의 (A)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설치면이 세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의 설명도, 도 7의 (B)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설치면이 가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의 설명도, 도 7의 (C)는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설치면이 세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의 설명도, 도 7의 (D)는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설치면이 가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7의 (A)에 있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바닥면(01)이 상하 방향, 세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에는, 하부 너트(02)의 상면이 상하 규제 본체부(03)의 하면에 접촉해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장치 본체(04)의 전도가 억제된다. 그러나,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1)이 수평 방향, 가로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 상하 규제 본체부(03)와 풋(06)의 축부(07)의 접점부(07a)가, 지레의 지지점이 되어, 역점(力点)으로서의 바닥면(01)의 진동이, 작용점으로서의 장치 본체(04)의 저면(04a)에 증폭하여 전달됨으로써 장치 본체(04)가 크게 진동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증폭된 진동을 받아 장치 본체(04)의 저면(04a)과 풋의 축부(07)의 고정이 파손되거나, 축부(07)가 부러지거나 할 우려가 있어 장치 본체(04)가 전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수평 방향 진동의 증폭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하 규제 본체부(0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상하 규제 본체부(03)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에, 하부 너트(02)에서 상하 규제 본체부(03)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상하 방향의 진동을 억제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하 규제 본체부(03)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져서 설치가 곤란해지거나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 실시예 1의 내진 브래킷(11)에서는, 바닥면(1)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에는 하부 너트(3a)의 상면을 상하 규제 본체부(14a)의 하면이 규제하여 상하 방향의 진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바닥면(1)이 좌우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에는 하부 너트(3a)와 상하 규제 본체부(14a)가 접촉하기에 앞서, 본체 너트(7)와 좌우 규제 본체부(16a)가 접촉되어 있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레 작용이 발생하지 않아 바닥면(1)의 진동이 증폭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내진 브래킷(11)에서는, 도 7의 (B)에 나타낸 구성에 비하여 본체 너트(7)에 작용하는 부하가 과대하게 되는 것이 저감되어 있어, 본체 너트(7)나 축부(4)의 파손이 저감되며 프린터(U)의 전도가 억제된다.
또한, 실시예 1의 내진 브래킷(11)에서는, 프린터(U)를 전후 방향에서 사이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전방측의 내진 브래킷의 좌우 규제 본체부(16a)는 본체 너트(7)에 접촉되어 있고, 후방측의 내진 브래킷의 좌우 규제 본체부(16a)는 본체 너트(7)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면(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전방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는 전방측의 내진 브래킷의 좌우 규제 본체부(16a)가 본체 너트(7)를 규제하고, 후방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는 후방측의 내진 브래킷의 좌우 규제 본체부(16a)가 본체 너트(7)를 규제한다. 따라서, 바닥면(1)이 전후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에도 진동의 증폭이 저감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내진 브래킷(11)에서는, 스페이서(19)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으므로, 기존 프린터(U)의 풋(2)을 교환하거나 기존 프린터(U)의 풋(2)에 대응하는 내진 브래킷을 복수 종류 제작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스페이서(19)를 사용하여 상하 규제 본체(14a)나 좌우 규제 본체(16a)의 높이를 기존 풋(2)에 대응하여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비용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수 작업이나 프린터(U)의 하방으로 문방구나 동전 등이 떨어져 들어갔을 경우에, 일시적으로 프린터(U)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가 있는데, 내진 브래킷의 저판(12)과 규제 부재(14, 16)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내진 매트(13)를 박리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해지며 이동이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의 내진 브래킷(11)에서는, 저판(12)에 대하여 상하 규제판(14) 및 좌우 규제 부재(16)가 볼트(17)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저판(12)은 바닥면(1)에 남겨둔 채로, 규제부재(14, 16)를 제거해서 프린터(U)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프린터(U)의 일시적인 이동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8은 실시예 2의 다리 부재 및 전도 억제구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 2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도 8에 있어서, 실시예 2의 프린터(U)에서는, 본체 너트(7)가 생략되어 있고 프린터(U)의 오목부(6a′)에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풋(2)의 축부(4)의 나사산(4a)은 오목부(6a′)의 나사 홈에 나사끼움됨으로써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실시예 2의 내진 브래킷(11′)에서는, 좌우 규제 부재(16')의 상측 축 관통홈(16e)은, 본체 너트(7)가 아닌 축부(4)의 저면(6) 측의 단부에 대응하여, 극간이 하측 축 관통홈(14e)보다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측 축 관통홈(16e)의 좌우 방향의 폭은 축부(4)의 외경 이상, 하측 축 관통홈(14e)의 좌우 방향의 폭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내진 브래킷(11′)에서는, 바닥면(1)이 좌우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에는, 저면(6)으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축부(4)와 하측 축 관통홈(16e)이 접촉하기에 앞서, 축부(4)의 저면(6) 측의 단부에 상측 축 관통홈(16e)이 접촉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바닥면(1)의 진동이 증폭되는 것이 억제되어 프린터(U)의 전도가 억제된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 ~ (H08)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사기, FAX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설치구의 일례로서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풋을 가지는 임의인 구성, 예를 들면 캐비닛이나 책상, 책장이나 수납 선반, 가구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하 규제 본체부(14a)는, 대좌부(3)에 지지된 하부 너트(3a)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대좌부(3)의 진동을 규제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좌부(3)의 상면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하부 너트(3a)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하측 축 관통홈(14e)의 폭을 넓게 해서 하부 너트(3a)가 하측 축 관통홈(14e)에 대하여 극간을 두고 수용된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 규제 본체부(16a)는, 본체 너트(7)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축부(4)의 좌우 방향으로의 진동을 규제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축부(4)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체 너트(7)는 저면(6)의 내부에 매설되는 구성으로 하거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 규제 본체부(16a)의 상측 축 관통홈(16e)은, 본체 너트(7)에 접촉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시에 하측 축 관통홈(14e)이 축부(4)에 접촉하기에 앞서, 본체 너트(7)와 상측 축 관통홈(16e)이 접촉 가능하면, 접촉하지 않고 극간을 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저판(12)에 대하여 규제 부재(14, 16)가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접 등에 의해 착탈 불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내진 매트(13)를 사용하여 내진 브래킷(11)을 바닥면(1)에 대하여 박리할 수 있는, 즉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앵커 볼트 등을 사용하여 바닥면에 내진 브래킷(11)을 고정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하는 등, 임의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19)를 사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긴 구멍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여 길이를 조정 가능하거나, 풋의 높이에 따라 복수 종류의 높이의 내진 브래킷을 제작하는 등의 것도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면의 일례로서 바닥면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책상의 상면 등의 임의의 설치면에 적용가능하다.
1 - 바닥면 2 - 풋
3 - 대좌부 4 - 축부
6 - 저부 11, 11' - 내진 브래킷
12 - 저판 13 - 내진 매트
14 - 상하 규제판 14e - 하측 축 관통홈
16, 16' - 좌우 규제 부재 16e - 상측 축 관통홈
19 - 스페이서 U - 프린터
U3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Claims (6)

  1. 설치면에 대하여 접촉하는 대좌부(臺座部)와, 상기 대좌부와 설치구(設置具)의 저부를 접속하며 또한 상기 대좌부보다 직경이 작은 축부를 가지는 다리 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설치면의 진동시에 상기 설치구의 전도(轉倒)를 억제하는 전도 억제구(抑制具)로서,
    상기 설치면에 지지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지지되며 또한 상기 대좌부 상면의 상방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1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는 제 1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1 규제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축부의 상기 저부측의 단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2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며 또한 상기 제 1 축 관통부와 축부의 극간(隙間)에 비하여 당해 축부의 단부와의 극간이 좁게 형성된 제 2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2 규제부를 가지는 전도 억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제 1 규제부 및 제 2 규제부를 가지는 전도 억제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설치면측의 면에 장착되며, 상기 설치면에 박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기 설치면에 대한 이동을 억제하는 접착 부재를 가지는 전도 억제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 1 규제부 사이에 장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규제부의 상기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정 가능한 제 1 조정구(調整具)를 가지는 전도 억제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2 규제부 사이에 장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규제부의 상기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정 가능한 제 2 조정구를 가지는 전도 억제구.
  6.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저부에 지지된 다리 부재이며, 설치면에 대하여 접촉하는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와 장치 본체의 저부를 접속하며 또한 상기 대좌부보다 직경이 작은 축부를 가지는 상기 다리 부재와,
    상기 설치면에 지지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지지되며 또한 상기 대좌부 상면의 상방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1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는 제 1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1 규제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축부의 상기 저부측의 단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 2 규제부이며, 상기 축부가 관통하며 또한 상기 제 1 축 관통부에 비하여 상기 축부와의 극간이 좁게 형성된 제 2 축 관통부를 가지는 상기 제 2 규제부를 가지며, 설치면의 진동시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전도를 억제하는 전도 억제구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057180A 2011-11-04 2012-05-30 전도 억제구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561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1914 2011-11-04
JP2011241914A JP5018992B1 (ja) 2011-11-04 2011-11-04 転倒抑制具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701A true KR20130049701A (ko) 2013-05-14
KR101561990B1 KR101561990B1 (ko) 2015-10-20

Family

ID=4698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180A KR101561990B1 (ko) 2011-11-04 2012-05-30 전도 억제구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05264B2 (ko)
JP (1) JP5018992B1 (ko)
KR (1) KR101561990B1 (ko)
CN (1) CN103082705B (ko)
AU (1) AU2012203127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888B1 (ko) * 2020-02-20 2020-10-26 유연순 수납 가구용 전도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6569A (ja)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150122969A1 (en) * 2012-02-22 2015-05-07 Anshin Co., Lt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for heavy objects, and seismic isolation method
JP5744822B2 (ja) * 2012-11-16 2015-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貯湯タンクユニット
JP5601429B1 (ja) 2014-03-03 2014-10-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固定装置、機器の固定構造、機器の固定方法
JP6397256B2 (ja) * 2014-08-06 2018-09-26 Kyb株式会社 転倒防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
JP6747249B2 (ja) * 2015-11-28 2020-08-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6798220B2 (ja) * 2016-09-28 2020-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588411B2 (en) * 2017-03-24 2020-03-17 KaBob Enterprises LLC Anti-walking assembly for vibrating and sliding structures
US10716400B2 (en) * 2017-10-18 2020-07-2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horizontal leveling of server racks
CN109469805B (zh) * 2018-11-16 2024-04-19 浙江云来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超远距的全高清数字图像传输装置
JP7219125B2 (ja) * 2019-03-13 2023-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転倒防止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用載置台並びに画像形成装置
GB201906110D0 (en) * 2019-05-01 2019-06-12 Pineapple Contracts Ltd Furniture securement system
US11162635B2 (en) * 2019-09-24 2021-11-02 Richard Thompson Universal deck mount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JP2022152389A (ja) * 2021-03-29 2022-10-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支持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筐体構造、備品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0183A (en) * 1921-10-26 1923-04-03 Moon Elmer Clyde Typewriter clamp
US2304311A (en) * 1940-08-05 1942-12-08 Richard W Luce Fastener means
US5131621A (en) * 1991-06-18 1992-07-21 American Gage And Machine Company Universal hold-down assembly for pump assemblies and the like
US5624098A (en) * 1995-04-11 1997-04-29 Whirlpool Corporation Anti-tip anchor device for an appliance in combination with an interlock switch
US5699993A (en) * 1995-06-20 1997-12-23 Hill; Matthew Seismic anchoring device for equipment
JP3409611B2 (ja) 1996-10-04 2003-05-26 良三 米田 物体の耐震支持装置
JPH10262759A (ja) 1997-03-26 1998-10-06 Uchida Yoko Co Ltd Oa機器等の精密機器用免震台
JP3603707B2 (ja) * 1999-12-03 2004-12-22 コクヨ株式会社 家具の床固定装置
JP2002000379A (ja) * 2000-06-20 2002-01-08 Kawamura Electric Inc ラック
AU2001283516A1 (en) * 2000-07-31 2002-02-13 Hoppmann Corporation Machine leveler and method
US6409129B1 (en) * 2000-09-02 2002-06-25 Silicon Integrated Systems Corporation Fixing device for setting anti-shock foot stand
JP3987292B2 (ja) * 2001-02-27 2007-10-03 株式会社リコー 転倒防止装置
JP3906662B2 (ja) 2001-09-19 2007-04-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3858649B2 (ja) 2001-09-19 2006-12-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2005278712A (ja) * 2004-03-26 2005-10-13 Toto Ltd キッチンまたはキッチンの高さ調整方法
JP2006055377A (ja) * 2004-08-20 2006-03-02 Seno:Kk 機器の固定手段
JP2008212328A (ja) * 2007-03-02 2008-09-18 Seno:Kk 転倒防止用固定具
US7775498B2 (en) * 2007-06-26 2010-08-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nti-tip device for an appliance with an interlock switch
JP5107311B2 (ja) * 2009-06-30 2012-12-26 プロセブン株式会社 装置の固定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888B1 (ko) * 2020-02-20 2020-10-26 유연순 수납 가구용 전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94519A (ja) 2013-05-20
CN103082705A (zh) 2013-05-08
JP5018992B1 (ja) 2012-09-05
KR101561990B1 (ko) 2015-10-20
US9405264B2 (en) 2016-08-02
AU2012203127B2 (en) 2014-04-03
AU2012203127A1 (en) 2013-05-23
US20130112822A1 (en) 2013-05-09
CN103082705B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9701A (ko) 전도 억제구 및 화상 형성 장치
US8891996B2 (en) Power supply modul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8948644B2 (en) Power supply modul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10303107B2 (en) Image forming system
US7821681B2 (en) Image formation device and support body
US20130336695A1 (en) Process unit positio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2030824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necting method
JP6716340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30330100A1 (en) Frame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140033228A (ko) 화상 가열 장치
US112753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6798220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6021228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34671A (ja) 媒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53825B2 (ja)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472721B2 (ja) 給紙装置の電気コネクターと該給紙装置の上側に設置される画像形成装置の電気コネクターとの接続構造
JP2009271150A (ja) ローラ間距離調節方法、現像ギャップ調節方法、ローラ装置、作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長手部材装置
JP59536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84123A (ja) 画像形成装置
US11835916B2 (en) Operatio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3325682A (zh) 图像形成装置
JP6074349B2 (ja) 位置決めシー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54662A (ja) 画像形成装置
EP373102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1140071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