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803A -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한 자수기 - Google Patents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한 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803A
KR20130031803A KR1020120104983A KR20120104983A KR20130031803A KR 20130031803 A KR20130031803 A KR 20130031803A KR 1020120104983 A KR1020120104983 A KR 1020120104983A KR 20120104983 A KR20120104983 A KR 20120104983A KR 20130031803 A KR20130031803 A KR 20130031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embroidery machine
longitudinal
longitudinal porti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쯔 레써
Original Assignee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03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되는 직물을 고정 및 인장하기 위한 직물 인장 장치(21)를 구비하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직물 인장 장치(21)는 적어도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3, 25)을 가지며,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면서 직물 홀더(31)를 구비한다.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 사이의 공간은 직물(19)을 인장하도록 가변될 수 있으며, 공간을 가변하도록, 제1 길이방향 부분(23)은 자수기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길이방향 부분(23)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길이방향 부분(25)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이동가능하다.

Description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한 자수기 {EMBROIDERY MACHINE WITH FABRIC TENSIONING DEVICE}
본 발명은 특수한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한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 자수기에서, 직물은, 자수가 가능하도록, 자수 공정 전에 인장되어야 한다. 대형 자수기는 일반적으로 2개의 직물 샤프트를 가지며, 이로부터 직물이 스텐터링(stentering) 동안 회전하지 않거나, 그 위에서 직물이 회전한다. 직물에 필요한 인장은 직물 샤프트들(예를 들어, EP 0 950 746호 또는 EP 0 148 127호)의 반대 회전에 의해 이러한 유형의 기계들 내에서 이루어진다. 중간-크기 다중-헤드 편물기에서, 직물 인장을 위한 다른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자수기는, 예를 들어, DE 7318662호에, 2개의 클램핑 스트립들의 공간이 무릎 레버에 의해 증가하며, 이에 따라 클램핑 스트립들에 고정된 직물이 인장된다.
직물 샤프트들의 반대 회전은 체인, 케이블, 추가적인 드라이브 등과 같은 추가적인 장치 부재들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자수 헤드들에 대한 직물 위치는 언제나 정확히 조정될 수 없다. 별개 메카니즘 또는 별개 드라이브가 클램핑 스트립들 사이의 공간을 변경하고 직물을 인장하도록 종래 기술에 공지된 대안적인 인장 방법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US 2001/0037755 A1호는 소형 재봉틀/자수기를 개시한다. 이는, 2개의 공간 방향들로 드라이브에 의해 이동가능한 캐리어를 갖는다.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암들이 수동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직물을 고정하고, 캐리어에 부착된다. 암들은 일측에 고정되며, 이는 크고 일정한 인장이 유지될 수 없는 이유이다. 캐리어만이, 이에 따른 암들만이 드라이브에 의해 자수기에 연결되며, 따라서, 경미하게 이동가능하고, 큰 힘이 유도될 수 없다.
EP 0 950 746호 EP 0 148 127호 DE 7318662호 US 2001/00377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단점들을 갖지 않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자수되는 직물을 인장시키고, 인장을 위한 메커니즘이 가능한 한 단순하게 구성되도록 하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 및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들에서 나타날 것이다.
앞서 언급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자수기와 청구항 11에 따른 자수기 작동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특히, 이는 자수되는 직물을 인장하고 고정하기 위한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한 자수기이며,
- 직물 인장 장치는 적어도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을 가지며, 2개의 길이방향 부분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면서 직물 홀더를 구비하고,
- 2개의 길이방향 부분 사이의 공간은 직물을 인장하도록 가변될 수 있으며,
- 2개의 길이방향 부분 사이의 공간을 가변하도록, 제1 길이방향 부분은 자수기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길이방향 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길이방향 부분이, 바람직하게 드라이브에 의해, 제1 공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앞서 언급된 방법은, 특히, 자수되는 직물을 고정 및 인장하기 위한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하는 자수기 작동 방법으로서, 직물 인장 장치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을 가지며, 2개의 길이방향 부분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면서 직물 홀더를 구비하고,
- 길이방향 부분들 상에 직물을 배치하고 직물 홀더들 상의 직물을 인장하는 단계;
- 제1 길이방향 부분을 자수기로 연결하는 단계;
-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단계;
- 제1 길이방향 부분을 제1 길이방향 부분에 대해 제1 공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길이방향 부분들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키고, 직물을 인장하는 단계;
-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을 연결하는 단계; 및
- 제1 길이방향 부분과 자수기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여기서 언급되는 특징들은 바람직한 특징들로서 (개별적으로) 고려되며,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배타적이지 않은 한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 사이의 공간의 변경(이에 따라 직물이 인장됨)될 수 있고, 제1 길이방향 부분은 자수기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자수기 및/또는 베이스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없다. 제1 길이방향 부분이 자수기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때,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이 방지되며, 편의상 연결이 해제된 후에만 다시 이동가능하다. 그러나, 이때, 제2 길이방향 부분이 제1 길이방향으로 편의상 제1 길이방향 부분과 자수기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더 일반적으로, 2개의 길이방향 부분들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 제1 공간 방향으로 다른 길이방향 부분과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자수기의 상세한 구성은, 직물 인장 장치가 제1 및 제2 측면 부분을 가지며, 제1 및 제2 측면 부분이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직물 홀더들을 가지며, 제2 길이방향 부분으로부터 제1 길이방향 부분으로 바람직하게 연장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만약 측면 부분들이 제2 길이방향 부분에 견고하게 연결되면, 이들이 제1 길이방향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 및 제2 측면 부분은, 특히, 바람직하게 제1 길이방향 부분이 자수기에 연결되거나 고정될 때, 편의상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으로) 제2 길이방향 부분과 함께 이동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2 길이방향 부분과 제1 및 제2 측면 부분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길이방향 부분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0.5 또는 1 미터 및/또는 최대 15 또는 10 미터 길이이다. 제1 및/또는 제2 측면 부분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0.3 또는 0.6 미터 및/또는 최대 2.0 또는 1.6 미터 길이이다.
길이방향 부분은 바람직하게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방향이 맞춰진다. 이는 측면 부분들에도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편의상, 길이방향 부분들과 측면 부분들은, (자수 공정 동안 공동(common) 이동을 위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형성한다. 직물 인장 장치는 프레임 또는 크릴(creel)을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 또는 크릴은 길이방향 부분들로부터 형성되며, (만약 측면 부분들이 제공된다면) 측면 부분들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프레임을 구비한 다중-헤드 자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2개의 직물 샤프트들을 구비한 대형 자수기에 적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2개의 길이방향 부분들은 각각 직물 샤프트를 갖는다. 직물 샤프트들은 기술된 직물 홀더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직물 샤프트는 다른 직물 샤프트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그 공간이 가변한다.
직물 홀더들은 길이방향 부분들 또는 측면 부분들 상의 직물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제1 및 제2 측면 부분 상의 직물 홀더들은 바람직하게 클램핑 스트립들이다.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 상의 직물 홀더들은 바람직하게 클램핑 스트립들 또는 직물 롤들(rolls) 또는 직물을 감기 위한 직물 샤프트들이다. 그러나, 롤들 또는 샤프트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직물의 인장이 공간을 가변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가능해야 한다.
전술한 클램핑 스트립들은 편의상 각각의 경우 측면 부분들을 따라 연장하는 직물을 위한 지지부(support) 및 복수의 클램핑 부재들을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들 및 지지부는 그들 사이에 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만약 클램핑 부재들이 지지부를 둘러싸서 클램핑 시 상호작용하면 기술적으로 유리하다. 클램핑 부재들과 지지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길이방향 부분들 또는 측면 부분들을 가로지르는 직물의 이동이 방지된다. 클램핑 스트립들은, 예를 들어, 프로파일(profile) 형태를 갖는다. 그 길이는 바람직하게 200 내지 600 mm이며, 편의상 알루미늄으로부터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길이방향 부분들은, 자수기가 작동하는 동안 또는 직물을 자수하도록,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 및 교차하는 제2 공간 방향으로 같이 이동가능하다. 공동 이동하는 동안,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부분들의 위치 및/또는 방향은 고정되거나 변하지 않는다. 2개의 공간 방향들은 편의상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또한, 2개의 공간 방향들이 (실질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 평면에 있는, 다른 다양한 형태의 기계들도 가능하다.
제1 및/또는 제2 공간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수단이 자수 공정 동안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의 공동 이동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드라이브가 편의상 직물을 자수하는 동안 제1 공간 방향으로 2개의 길이방향 부분들의 공동 이동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길이방향 부분은 바람직하게 제1 길이방향 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즉, 제1 길이방향 부분이 자수기에 연결될 때) 제1 공간 방향으로 동일한 드라이브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드라이브는 2개의 길이방향 부분들이 제1 공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거나, 제1 길이방향 부분의 동시 이동 없이 제1 공간 방향으로 제2 길이방향 부분을 이동하도록 하는 위치에 있다. 물론, 제2 길이방향 부분은 제1 공간 방향으로 대안적인 다른 또는 추가의 드라이브에 의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자수 공정 동안 제1 및 제2 공간 방향으로 길이방향 부분들의 이동이 제공된다면, 제1 공간 방향으로 이동을 위해 드라이브가 바람직하게 제공되며, 제2 공간 방향으로 이동을 위해 다른 드라이브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은 편의상 서로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서, (연결이 해제될 때) 공간이 가변할 수 있고, (길이방향 부분들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고정될 수 있다. 직물 인장 장치가 가이드 수단을 가지면 유리하며, 그 위에 제1 길이방향 부분이 제1 공간 방향으로 (제2 길이방향 부분에 대해) 변위가능 하게 설치된다. 가이드 수단은 편의상 제2 길이방향 부분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전술한 가이드 수단은 제1 공간 방향으로 자수기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편의상, 가이드 수단은 로드 또는 스트립이며, 그 위에 제1 길이방향 부분이 변위가능 하게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수단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의 해제가능한 연결을 위해 제1 고정 수단이 제공되면 유리하다. 고정 수단은 제1 길이방향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공간 방향으로 제2 길이방향 부분에 대한 제1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은 제1 고정 수단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제1 공간 방향으로 제2 길이방향 부분에 대한 제1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은 편의상 제1 고정 수단이 해제된 후에만 가능하다.
전술한 자수기로의 제1 길이방향 부분의 고정을 위해 제1 길이방향 부분을 자수기로 해제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고정 수단이 제공되면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자수기에 대한 제1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은 편의상 제2 고정 수단이 해제된 후에만 가능하다.
바람직한 변형 구성에 따르면,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제1 및/또는 제2 고정 수단이 제1 길이방향 부분을 위해 제공된다. 각각의 경우, 제1 및/또는 제2 고정 수단이 제1 길이방향 부분의 2개의 말단 (또는 그 영역)에 제공되면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나아가, 제1 고정 수단이 제1 길이방향 부분을 따라 1.5 내지 3 미터, 특히 2 내지 2.5 미터로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면 바람직하다. 제2 고정 수단 역시 마찬가지이다.
물론, 자수기로 제1 길이방향 부분을 연결하고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 사이의 연결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및 제2 고정 수단을 독립적으로 및/또는 연속하여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하나의 고정 수단이 작동할 때 다른 고정 수단도 작동하도록 제1 및 제2 고정 수단을 결합시키는 것이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제2 고정 수단은 편의상 제1 고정 수단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고정 수단의 접촉에 의해, 제1 길이방향 부분과 자수기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제1 공간 방향으로 자수기에 대한 제1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이 방지된다. 한편, 접촉에 의해, 가이드 수단과 제1 길이방향 사이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어서, 제1 공간 방향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에 대한 제2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언급된(도면도 참조) 고정 수단은, 자수기의 일부로서 또는 자수기에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장치의 특정 구성을 독립적으로 개시한다.
제1 고정 수단은 편의상 클램프이며, 이는 제1 위치에서 가이드 수단에 대해 가압된다. 그 결과, 클램프와 가이드 수단 사이에 마찰 결합 및/또는 양(positive)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가압은 스프링 수단 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프가 직물의 인장에 의해 가압되거나, 가이드 수단에 대해 제1 길이방향 부분 상에서 직물에 의한 힘에 의해 가압되면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클램프(또는 그 일부)는 (제1) 위치에서 직물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바람직하게 고정되며, 가이드 수단에 대해 또는 정위치로 가압되며, 가이드 수단과 클램핑 된다. 만약 접촉 압력이 제1 길이방향 부분 상의 직물에 의한 힘에 따르며, 그 크기가 커질수록, 직물에 의한 힘도 커지도록 클램프가 구성되면 유리하다. 그 결과, 자기-잠금(self-locking)이 이루어진다. 클램프는 바람직하게 제2 고정 수단과의 접촉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 위치에서 클램프가 가이드 수단으로부터 해제되거나 적어도 전술한 접촉 압력이 (제1 위치에 비해) 감소하여, 제1 공간 방향으로 가이드 수단을 따라 제2 길이방향 부분에 대해 제1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이 가능하다. 제2 고정 수단은 제1 길이방향 부분을 자수기로 연결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제2 고정 수단은 자수기에 변위가능하게 고정된 볼트 또는 핀이다. 따라서, 제1 공간 방향으로 자수기에 대한 제1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이 핀과 클램프의 접촉에 의해 (클램프의 제2 위치에서) 방지되면 바람직하다. 만약 클램프가 제1 길이방향 부분에 부착되면, 핀은, 예를 들어, 이 클램프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수기와 제1 길이방향 부분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클램프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갖는다. 플레이트는 개구를 가지며, 이를 통해 가이드 수단이 이동한다. (가이드 수단에 대해) 플레이트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개구의 2개의 상호 대향하는 에지들(edges)이 가이드 수단과 접촉하고, 전술한 클램핑이 이루어진다. 스프링 수단이 편의상 제공되며, 이는 플레이트에 힘을 가하여, 경사진 위치에 놓이게 하며, 플레이트의 에지들이 가이드 수단과 접촉하게 한다. 만약 가이드 수단이 플레이트에 대해 변위하거나, 직물에 의한 인장 압력이 제1 길이방향 부분에 작용하면, 플레이트의 경사진 위치가 강화되는데, 이는 개구의 에지들 중 하나가 가이드 수단에 의해 끌어지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용어들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들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모호한 경우에 그러하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선호되는 정의들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길이방향 부분"과 "측면 부분"이라는 용어는 개념적인 한계를 위해 선택되었으며 그 상대적인 길이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나, 길이방향 부분은 바람직하게 측면 부분보다 실제로 더 길다.
자수기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제2 측면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1 측면 부분의 공간이 가변한다. 길이방향 부분들과 그 공간 변화(고정 수단, 드라이브 등)와 관련하여 개시되는 특징들은,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 바람직한 특징들로서 측면 부분들과 관련하여서도 개시된다. 이는 자수기와 자수기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모두에 적용된다. "제1 길이방향 부분", "제2 길이방향 부분", "제1 공간 방향" 등의 용어는, 물론, "제1 측면 부분", "제2 측면 부분", "제2 공간 방향" 등으로 교체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자수기가 개시되며, 제1 및 제2 측면 부분 사이의 공간을 가변하도록, 제1 측면 부분이 자수기에 고정되고(또는 자수기에 연결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자수기에 대해 바람직하게 이동할 수 없거나, 베이스에 대해, 제1 측면 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측면 부분이 제2 공간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드라이브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나아가, 만약 2개의 길이방향 부분들과 2개의 측면 부분들이 제2 공간 방향 및 바람직하게 교차하는 제1 공간 방향으로 직물을 자수하도록 자수기에 대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공간 방향으로 (직물을 자수하는 동안) 2개의 길이방향 부분들과 2개의 측면 부분들의 공동 이동을 위해, 드라이브가 편의상 제공되며, 제1 측면 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측면 부분이 제2 공간 방향으로 동일한 드라이브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물론, 제2 측면 부분은 대안적으로 다른 또는 추가적인 드라이브에 의해 제2 공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만약 "부착가능한"과 "제거가능한"이 언급되면, 해제가능한 연결이라는 것이 이해되고, 즉, 앞서의 고정 수단의 사용에 의해, 바람직하게 장치의 정상 작동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해제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이 이해된다.
만약 제1 부분이 이동가능하거나 제2 부분에 대해 이동한다는 점이 언급되면, 바람직하게 일반적인 상대적 이동이 개시되며, 즉,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이동만이 개시된 것이 아니라, 제1 부분에 대한 제2 부분의 이동도 개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수되는 직물을 고정 및 인장하기 위한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하는 자수기 작동 방법도 포함하고, 직물 인장 장치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을 가지며, 2개의 길이방향 부분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면서 직물 홀더를 구비한다.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부분들 상에 직물을 배치하고 직물을 직물 홀더들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직물은 편의상 고정되기 전에 예비-인장되며, 예비-인장 동안의 힘은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부분들 사이의 공간을 가변하는 것에 의한) 실제 인장 과정 후의 인장력의 적어도 20 또는 40 % 및/또는 최대 80 또는 60 %이다. 직물을 직물 홀더들에 고정한 후에, 제1 길이방향 부분이 자수기에 연결되어, 제1 공간 방향으로 자수기에 대한 제1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이 방지된다. 동시에 또는 순차로,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제1 공간 방향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에 대한 제2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이 가능하다. 길이방향 부분들 사이의 공간은 증가하며, 제1 공간 방향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에 대한 제2 길이방향 부분의 후속 이동에 의해 직물이 인장된다. 인장 후에,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은 다시 연결되어, 그 공간이 고정되고, 제1 길이방향 부분과 자수기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다.
직물을 자수하도록, 제1 공간 방향 및 교차하는 제2 공간 방향으로 자수기에 대한 길이방향 부분들의 공동 이동이 발생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제1 길이방향 부분에 대한 제2 길이방향 부분의 이동이 발생하면서, 동일한 드라이브에 의해, 제1 길이방향 부분이 자수기에 연결되며, 직물을 자수하는 동안 제1 공간 방향으로 자수기에 대한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의 공동 이동이 드라이브와 함께 발생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하나 이상의 특징들(또는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가능한 기능들)의 사용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방법과 관련하여 언급된 하나 이상의 방법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개략적인 도면은, 실제의 비율을 나타내지 않는다.
도 1은 자수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자수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3d는 직물 인장 공정의 복수의 개략적인 도면(측면도)을 도시한다.
도 4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는 직물 인장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자수기(11)를 도시한다. 본 예시에서, 이는 다중-헤드 자수기, 기계 형태이며, 이 형태에서 본 발명의 직물 인장 개념이 특히 잘 수행될 수 있다. 자수기(11)는, 제1 및 제2 측면 부분(27, 29)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3, 25)(미도시)을 구비한 직물 인장 장치(21)를 갖는다. 직물 인장 장치(21) 또는 길이방향 부분들(23, 25) 및 측면 부분들(27, 29)의 수평 방향 도시는 바람직한 구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 개념은, 물론, 수직 또는 다른 각도 위치들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고정된 자수 헤드 때문에, 자수 공정 동안 자수 헤드들에 대해 직물(19)을 이동시켜야 한다. 길이방향 부분들(23, 25)과 측면 부분들(27, 29)은 이를 위해 자수기(11)에 대해 또는 자수 헤드들에 대해 제1 및 제2 공간 방향(61, 72)으로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설계된다. 공간 방향들(61, 72)은, 이 경우에, 직물 인장 장치(21)의 방향을 따라 수평하며 직선으로 방향이 맞춰진다. 또한, 공간 방향들(61, 72)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수직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면 부분들(27, 29)에 대한 길이방향 부분들(23, 25)의 배열에 해당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공간 방향들(61, 72)의 방향과 달리,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각각의 경우에 별개의 드라이브가 제1 및 제2 공간 방향(61, 72)으로 이동을 위해 제공된다(도 4 참조). 자수 공장의 시작 전에, 직물(19)이 직물 인장 장치(21) 상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예시에서, 롤(roll)과 함께 모바일 직물 롤 캐리어들(13)이 제공되며, 이로부터 직물 웹(19)이 회전하지 않고 직물 인장 장치(21)로 당겨질 수 있다. 만약 직물 롤이 자수기(11)의 양측에 위치한다면, 각각의 경우에, 직물(19)이 길이방향 부분들(23, 25)과 측면 부분들(27, 29)로 최종적으로 고정되기 전에 반대 회전 방향으로 직물 롤들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직물 웹(19)이 예비-인장(pretensioned)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d는 개략적인 도면에서 직물(19)이 인장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직물 인장 장치의 제1 길이방향 부분(23)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5)이 도시된다. 2개의 길이방향 부분들(23, 25)은 직물 홀더들(31)을 가지며, 본 예시에서, 각각의 경우, 직물 지지부(33)와 복수의 클램핑 부재들(35)을 구비하는 클램핑 스트립들(clamping strips)이다. 직물 지지부(33)는 스트립 형태를 가지며, 클램핑 부재들(35)은 (실질적으로) C-형태의 프로파일이고,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지지부(33)를 둘러쌀 수 있다. 직물(19)을 직물 홀더들(31)에 고정하기 전에, 직물(19)은 예비인장될 수 있다. 일단 클램핑 부재들(35)이 부착되면, 즉, 2개의 길이방향 부분들(23, 25) 상의 직물이 클램핑 시 직물 지지부(33)와 클램핑 부재들(35) 사이에 수용될 때, 실제 인장 고정이 시작될 수 있다. 자수 공정 동안, 2개의 직물 부분들(23, 25)이 서로 연결되며, 즉, 정해진 위치에서 서로 고정되어, 자수 헤드들에 대해 2개의 공간 방향들(61, 72)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우선 언급되어야 한다. 길이방향 부분들(23, 25) 사이의 연결은 기어 랙(39)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2 길이방향 부분(25)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와 반대로, 제1 길이방향 부분(23)으로 기어 랙(39)의 연결은 해제가능하다. 기어 랙(39)은 가이드 수단(37)을 갖거나 또는 그러한 것에 연결된다. 가이드 수단(37)은, (고정 수단(41)의 해제 후) 가이드 수단(37)을 따라 제1 공간 방향(61)으로 제2 길이방향 부분(25)에 대해 제1 길이방향 부분(23)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1 길이방향 부분(23)과 가이드 수단(37) 사이의 해제가능한 연결은 (제1) 고정 수단(41), 여기서는 각각의 경우, 가이드 수단(37)이 관통하는 개구(46)를 갖는 2개의 플레이트들(43)의 형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플레이트들(43)을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 수단(37)은 클램핑 시 개구(46)의 에지들(edges) 사이에 수용된다. 플레이트들(43)은 홀더들(47)에 의해 일측에 고정되나, 플레이트들(43)의 회전 또는 피벗이 가능하다. 도시된 예시에서, 홀더들(47)은 그루브들(grooves)이며, 이 안에 상기 플레이트들(43)의 측면들이 수용되어, 플레이트들(43)의 측면들 상에 (또는 이에 평행한) 회전 축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며, 플레이트들(43)의 경사진 배치가 가능하다. 편의상, 플레이트들(43)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며, 스프링 부재들(45)에 의해 플레이트들(43)로 연결된다. 따라서, 스프링 힘이 플레이트들(43)에 작용하여, 경사진 위치가 되도록 하고, 플레이트들(43)과 가이드 수단(37) 사이가 접촉하도록 한다. 이 접촉은 순차로 클램핑이 되며, 그 강도는 제1 길이방향 부분(23)으로 인장된 직물(19)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따라 변하며, 따라서 자기-잠금(self-locking)이 발생한다. 이 힘이 강할수록, 가이드 수단(37) 상의 플레이트(43)의 접촉 압력이 커진다. 이는 가이드 수단(37)이 플레이트 개구(46)의 하나의 에지를 끌기 때문이며, 따라서 더 큰 경사진 위치를 일으키고, 순차로 더 큰 클램핑을 일으킨다. 따라서 클램핑의 강도는 인장되는 직물의 특성과 인장력에 적합해진다. 제1 길이방향 부분(23)과 가이드 수단(37) 사이의 연결은 볼트(53)에 의해 해제되며, 플레이트들(43)과 접촉할 수 있고 따라서 그들의 경사진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d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들(43)은 경사진 위치로 서로를 향해 연장한다. 볼트(53)는 서로 접근하는 플레이트들(43)의 측면들 사이에서 이동하며, 그들이 분리되도록 가압한다. 따라서, 플레이트들(43)과 가이드 부재(37) 사이의 클램핑이 해제된다. 볼트(53)는 또한 자수기 상에 제1 길이방향 부분(23)을 고정하는 기능을 가져서,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23)의 이동이 방지된다. 도 3b 및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볼트(53)와 플레이트들(43)의 접촉은 동시에 제1 길이방향 부분(23)과 가이드 부재(37)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면서, 자수기와 제1 길이방향 부분(23) 사이를 (해제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이는 지금까지의 인장 공정을 위한 기술적인 전제조건들을 완성시킨다. 제1 길이방향 부분(23)이 볼트(53)를 넘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이동하면서 직물 홀더들(31)에 연결된 직물(19)의 인장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플레이트들(43)을 분리하도록 가압하는, 볼트(53)가 제거되며, 이에 따라, 제1 길이방향 부분(23)와 가이드 부재(37)의 연결이 해제되고 동시에 제1 길이방향 부분(23)의 위치가 자수기에 대해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2 길이방향 부분(25)이 제1 길이방향 부분(2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1 공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기어 휠(38)에 의해 기어 랙(39)에 가동적인(operative) 연결을 갖는, 드라이브에 의해 발생한다.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3, 25) 사이의 공간은, 원하는 직물 인장이 이루어질 때까지 증가한다. 다음으로, 볼트가 후진하여, 플레이트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다시 플레이트들 사이의 가이드 수단(37)을 클램핑 방법으로 수용한다. 볼트(53)를 후진시키는 것에 의해, 제1 길이방향 부분(23)과 자수기 사이의 연결도 해제되며, 길이방향 부분들(23, 25)이 자수기에 대해 함께 이동가능하게 되고, 이는 이어지는 자수 공정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도시된 드라이브(55)는 압축 공기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고, 볼트(53)는 제2 고정 수단(51)으로 결합된다. 도 3a 내지 3d는, 도시된 순서로, 직물을 배치하는 동안 직물 인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며(도 3a), 길이방향 부분들(23, 25) 사이의 연결의 해제(도 3b), 직물의 인장(도 3c)과 자수기(도 3d)를 도시한다.
도 4는 서브-프레임을 갖는 직물 인장 장치(21)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들(23, 25), 2개의 측면 부분들(27, 29), 클램핑 부재들(25)(하나의 클램핑 부재만이 지시되며, 각각의 경우, 길이방향 부분 또는 측면 부분마다 있을 수 있음)을 구비한 클램핑 스트립 형태의 연관된 직물 홀더들, (제2) 고정 수단의 볼트를 위한 드라이브(55), 각각의 경우, 제1 및 제2 공간 방향(61, 72)으로 길이방향 부분들(23, 25) 또는 측면 부분들(27, 29)의 이동을 위한 드라이브(63, 73), 및 가이드들(69, 79)에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 랙들(39, 77)에 토크를 전달하는 샤프트들(65, 75)이 도시되어 있다.
11: 자수기
13: 모바일 직물 롤 캐리어(mobile fabric roll carrier)
19: 직물/직물 웹
21: 직물 인장 장치
23: 제1 길이방향 부분(전방)
25: 제2 길이방향 부분(후방)
27: 제1 측면 부분(좌)
29: 제2 측면 부분(우)
31: 직물 홀더
33: 직물 지지부
35: 클램핑 부재
37: 가이드 수단
38: 기어 휠
39: 기어 랙
41: 제1 고정 수단
43: 클램프(플레이트-형태)/플레이트
45: 스프링 부재
46: 클램프 또는 플레이트의 개구
47: 홀더
51: 제2 고정 수단
53: 볼트
55: 핀을 위한 드라이브
61: 제1 공간 방향/제1 이동 방향
63: 제1 공간 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드라이브
65: 샤프트
69: 기어 랙 가이드
72: 제2 공간 방향/제2 이동 방향
73: 제2 공간 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드라이브
75: 샤프트
77: 기어 랙
79: 기어 랙 가이드

Claims (15)

  1. 자수되는 직물(19)을 고정 및 인장하기 위한 직물 인장 장치(21)를 구비하는 자수기로서,
    직물 인장 장치(21)는 적어도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3, 25)을 가지며,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면서 직물 홀더(31)를 구비하고,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 사이의 공간은 직물(19)을 인장하도록 가변될 수 있으며,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 사이의 공간을 가변하도록,
    제1 길이방향 부분(23)은 자수기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길이방향 부분(23)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길이방향 부분(25)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이, 직물(19)을 자수하도록,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 및 교차하는 제2 공간 방향(72)으로 같이 이동가능하며,
    직물(19)을 자수하는 동안 제1 공간 방향(61)으로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의 공동(common) 이동을 위해 드라이브(63)가 제공되고,
    제1 길이방향 부분(23)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길이방향 부분(25)이 동일한 드라이브(63)에 의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길이방향 부분(23)과 제2 길이방향 부분(25)이 서로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며,
    직물 인장 장치(21)가 제2 길이방향 부분(25)에 연결되는 가이드 수단(37)을 구비하고, 제1 길이방향 부분(23)이 제1 공간 방향(61)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고정 수단(41)이 제1 길이방향 부분(23)을 가이드 수단(37)으로 해제가능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1 길이방향 부분(23)을 자수기 상에 고정하도록 제2 고정 수단(51)이 제1 길이방향 부분(23)을 자수기로 해제가능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며,
    제2 고정 수단(51)이 제1 고정 수단(41)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고정 수단들(41, 51)의 접촉에 의해,
    제1 길이방향 부분(23)과 자수기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23)의 이동이 방지되며,
    가이드 수단(37)과 제1 길이방향 부분(23)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면, 제1 길이방향 부분(23)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제2 길이방향 부분(23)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제2 고정 수단(51)은 자수기에 변위가능하게 잠기는 볼트(53)이며,
    제1 고정 수단(41)은, 제1 위치에서, 가이드 수단(37)에 대한 직물(19)의 인장에 의해 가압되어 자기-잠금(self-locking)되는 클램프(43)이며, 제2 길이방향 부분(25)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23)의 이동이 방지되고,
    볼트(53)와의 접촉에 의해 클램프(43)가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클램프(43)가 가이드 수단(37)에 의해 해제되어, 제2 길이방향 부분(25)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23)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제2 위치에서 볼트(53)와 클램프(43)의 접촉에 의해,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제1 길이방향 부분(23)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5)에서 직물 홀더들(31)은 클램핑 스트립들(clamping strips)이거나 직물(19)을 감기 위한 롤들(roll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 인장 장치(21)는 제1 및 제2 측면 부분(27, 29)을 가지며,
    제1 및 제2 측면 부분(27, 29)은,
    제2 길이방향 부분(25)으로부터 제1 길이방향 부분(23)으로 연장하며,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직물 홀더들(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면 부분(27, 29) 사이의 공간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면 부분(27, 29) 사이의 공간이 가변하도록,
    제1 측면 부분(27)이 자수기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측면 부분(27)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측면 부분(29)이 제2 공간 방향(72)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과 2개의 측면 부분(27, 29)은, 직물(19)을 자수하도록,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 및 교차하는 제2 공간 방향(72)으로 같이 이동가능하며,
    직물(19)을 자수하는 동안 제2 공간 방향(72)으로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과 2개의 측면 부분(27, 29)의 공동 이동을 위해 드라이브(73)가 제공되고,
    제1 측면 부분(27)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측면 부분(29)이 동일한 드라이브(73)에 의해 제2 공간 방향(72)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수기 상에 제1 길이방향 부분(23)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측면 부분(27, 29)이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제2 길이방향 부분(25)과 함께 이동가능하며,
    제2 길이방향 부분(25)과 제1 및 제2 측면 부분(27, 29)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면 부분(27, 29) 상의 직물 홀더들(31)은 클램핑 스트립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클램핑 스트립들 각각은 측면 부분들(27, 29)을 따라 연장하는 직물(19)을 위한 지지부(33)와 복수의 클램핑 부재들(35)을 가지며,
    클램핑 부재들(35)과 지지부(33)는 그들 사이에 직물(19)을 수용할 수 있고,
    클램핑 부재들(25)은 지지부(33)를 둘러싸서 클램핑 시 상호작용하며,
    클램핑 부재들(35)과 지지부(33)의 상호작용에 의해 측면 부분들(27, 29)을 가로지르는 직물(19)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14. 자수되는 직물(19)을 고정 및 인장하기 위한 직물 인장 장치(21)를 구비하는 자수기 작동 방법으로서, 직물 인장 장치(21)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3, 25)을 가지며,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서로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며, 직물 홀더(31)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부분들(23, 25) 상에 직물(19)을 배치하고 직물 홀더들(31) 상의 직물(19)을 고정하는 단계;
    제1 길이방향 부분(23)을 자수기로 연결하는 단계;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3, 25)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제2 길이방향 부분(25)을 제1 길이방향 부분(23)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이동시켜서, 길이방향 부분들(23, 25)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키고, 직물(19)을 인장하는 단계;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3, 25)을 연결하는 단계; 및
    제1 길이방향 부분(23)과 자수기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작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직물(19)을 자수하도록, 동일한 드라이브(63)에 의해,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 및 교차하는 제2 공간 방향(72)으로 2개의 길이방향 부분(23, 25)의 공동 이동이 발생하며,
    제1 길이방향 부분(23)이 자수기에 연결되는 동안, 제1 길이방향 부분(23)에 대해 제2 길이방향 부분(25)의 이동이 발생하고,
    직물(19)을 자수하는 동안, 자수기에 대해 제1 공간 방향(61)으로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23, 25)의 공동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작동 방법.
KR1020120104983A 2011-09-21 2012-09-21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한 자수기 KR20130031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564/11 2011-09-21
CH01564/11A CH705553A1 (de) 2011-09-21 2011-09-21 Stickmaschine mit Stoffspann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803A true KR20130031803A (ko) 2013-03-29

Family

ID=4682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983A KR20130031803A (ko) 2011-09-21 2012-09-21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한 자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73245B1 (ko)
KR (1) KR20130031803A (ko)
CN (1) CN103015078B (ko)
CH (1) CH705553A1 (ko)
TW (1) TWI58228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9922B1 (en) * 2016-02-23 2021-02-17 Nike Innovate C.V. Non-rigid material multi-frame manufactur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1819B4 (de) * 2015-09-09 2020-02-13 Saurer Ag Schiffchenstickmaschine mit Stickgatter
CN107012627A (zh) * 2017-04-05 2017-08-04 浙江宏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布匹预应力拉伸装置
CN106988043A (zh) * 2017-04-17 2017-07-28 贵州绣之魂民族服饰有限公司 一种面积可调式手工苗绣专用辅助工具
CN111118768B (zh) * 2020-02-07 2021-03-02 殷航 一种具有织物拉紧功能的刺绣机
CN111206352B (zh) * 2020-02-07 2020-12-08 涡阳县欣芯服饰有限公司 一种具有织物拉紧功能的刺绣机的工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910A (ko) * 2001-05-18 2001-07-25 이점길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JP2001262458A (ja) * 2000-03-15 2001-09-26 Aisin Seiki Co Ltd ミシン及び縫製物保持装置
KR100397867B1 (en) * 2002-12-31 2003-09-13 Humantex Co Ltd Continuous embroidery frame for embroidery or quilting machine
JP2004194905A (ja) * 2002-12-18 2004-07-15 Aisin Seiki Co Ltd 刺繍機
JP2006255037A (ja) * 2005-03-15 2006-09-28 Barudan Co Ltd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2010051794A (ja) * 2008-08-01 2010-03-11 Nsd Corp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92141A (fr) * 1925-01-26 1925-07-28 Wolf Et Dupeyron Ets Cadre universel pour broderie entièrement démontable
DE7318662U (de) 1973-05-18 1973-08-16 Maschinenfabrik Zangs C Ag Schnellspannrahmen fuer mehrkopf- stickmaschinen
ATE28091T1 (de) 1983-12-21 1987-07-15 Kleger Ag Perfekta Maschbau Gatter fuer eine grossstickmaschine.
JPS63139585A (ja) * 1986-12-01 1988-06-11 プリンスミシン株式会社 布団等のミシン装置
JPH07305257A (ja) * 1994-05-09 1995-11-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枠
JPH1053951A (ja) * 1996-08-02 1998-02-24 Barudan Co Ltd 布張枠より大きい柄の刺繍加工方法
EP0950746B1 (de) 1998-01-08 2000-03-22 Franz Lässer AG Spannvorrichtung zum Spannen einer um die Stoffwellen einer Stickmaschine gelegten Stoffbahn
DE19831992C2 (de) * 1998-07-16 2000-07-13 Schmale Holding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aus einer textilen Bahn vereinzelten Textilstücken
ITMI20031284A1 (it) * 2003-06-24 2004-12-25 Cesare Pederzini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tessuti a telaio decorati mediante l'esecuzione di ricami o mediante l'applicazione di elementi decorativi del tipo paillettes, perline, cordonetti, fettucce o simili.
JP5479724B2 (ja) * 2008-12-19 2014-04-23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及び縫製方法
KR101370753B1 (ko) * 2009-09-17 2014-03-06 엔에스디 가부시끼가이샤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458A (ja) * 2000-03-15 2001-09-26 Aisin Seiki Co Ltd ミシン及び縫製物保持装置
KR20010069910A (ko) * 2001-05-18 2001-07-25 이점길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JP2004194905A (ja) * 2002-12-18 2004-07-15 Aisin Seiki Co Ltd 刺繍機
KR100397867B1 (en) * 2002-12-31 2003-09-13 Humantex Co Ltd Continuous embroidery frame for embroidery or quilting machine
JP2006255037A (ja) * 2005-03-15 2006-09-28 Barudan Co Ltd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2010051794A (ja) * 2008-08-01 2010-03-11 Nsd Corp ミシン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051794호(2010.03.11.)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9922B1 (en) * 2016-02-23 2021-02-17 Nike Innovate C.V. Non-rigid material multi-frame manufact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705553A1 (de) 2013-03-28
EP2573245A1 (de) 2013-03-27
EP2573245B1 (de) 2014-04-02
CN103015078B (zh) 2016-07-06
TWI582288B (zh) 2017-05-11
CN103015078A (zh) 2013-04-03
TW201329310A (zh)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1803A (ko) 직물 인장 장치를 구비한 자수기
US20110290166A1 (en) Embroidering machine
CN101484625B (zh) 绣花机中的布张紧装置
CN210368248U (zh) 一种布料刺绣机用面料绷紧装置
KR101790642B1 (ko)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 이를 위한 다중-바늘 헤드, 쓰레드 절단 부재 및 쓰레드 절단기
JP3736458B2 (ja)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おけるトリックプレート間隔変更装置
KR100818177B1 (ko) 자수기 및 천 펼침 방법
ZA200603127B (en) Apparatus for applying canvas to a frame
US8127698B1 (en) Yarn tensioning mechanism
JP4785525B2 (ja) 刺繍機の布張り方法及び装置
TW201114970A (en) Multi-head-embroidery machine and tenter frame therefor
JPH0238711B2 (ko)
KR200434506Y1 (ko)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CN217826881U (zh) 一种假发织发用夹具
CN111070868A (zh) 一种椭圆形印花机工作台
KR20110046336A (ko) 다중-헤드 자수기 및 이를 위한 클램핑 프레임
JP7090948B1 (ja) スクリーン印刷用紗張り装置
KR102001561B1 (ko) 보강시트 고정장치
KR20020028363A (ko) 견장기
CN106796211B (zh) 用于纱线测试设备的半自动纱线变换设备
GB1574274A (en) Material tensioning apparatus
CN110699878A (zh) 一种多机头电脑绣花机
CN114955733A (zh) 一种电网建设用线缆辅助夹紧系统
KR20130008960A (ko) 자수기용 피자수물 클램핑 장치
WO2008007831A1 (en) Cloth tensioning apparatus in embroider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