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456A - 레버·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레버·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456A
KR20130027456A KR1020127020959A KR20127020959A KR20130027456A KR 20130027456 A KR20130027456 A KR 20130027456A KR 1020127020959 A KR1020127020959 A KR 1020127020959A KR 20127020959 A KR20127020959 A KR 20127020959A KR 20130027456 A KR20130027456 A KR 20130027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ovable
arms
movable body
le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835B1 (ko
Inventor
히데카즈 와키타
히사시 마쯔하시
Original Assignee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50Driving mechanisms with indexing or latch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with means to ensure stopping at intermediate operativ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과제] 레버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 제1, 제2 아암(19, 23) 사이에 형성되어 가동체(31)에 대한 제1, 제2 레버(13, 15)의 회전에 대해 제1, 제2 아암(19, 23)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벽(49)과,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에 형성되어 제1, 제2 레버(13, 15)의 축회전에 의한 제1, 제2 아암(19, 23)의 회전이동에 의해 제1, 제2 아암(19, 23)과 결합되고 제1, 제2 가동반(41, 43)에 접점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결합벽(45a, 45b, 47a, 47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버·스위치 장치{LEVER SWITCH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조등 등의 접점 조작을 행하는 레버·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버·스위치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도 10은, 레버·스위치 장치의 설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레버·스위치 장치의 스위치부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도 11의, 레버·스위치 장치(101)는, 전기적인 조작 지시를 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턴·시그널·스위치, 패싱·스위치, 메인·디머(dimmer) 전환 스위치, 및 와이퍼·워셔·스위치 등의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레버·스위치 장치(101)는, 조작 레버(103)와 스위치부(105)를 구비하고, 스위치부(105)가 스티어링·칼럼(104)에 고정된 보디(106)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조작 레버(103)는, 제1, 제2, 제3 레버(109, 107, 111)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레버(109)는, 일단(一端)에 회전 노브(112)가 고정되고 타단측에 제1 조작봉(113)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레버(107)는, 일단에 고정 노브(114)가 설치되고, 타단(他端)에 절도체(節度體) 지지통(115)이 일체 형성된다. 절도체 지지통(115)에 제2 조작봉(117)이 마련된다.
제3 레버(111)는, 제1 레버(109)의 외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단측에 제3 조작봉(119)을 구비한다.
그 외, 절도 스프링(121) 및 절도체(123) 등을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부(105)에는, 케이스(125)내에 가동체(127)가 배치되고, 축 (127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가동체(127)에 제4 조작봉(129)이 마련된다. 가동체(127)에는, 상기 제1 레버(109)가 축(107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케이스(125)의 하부에는, 극반(pole plate)(131)이 배치된다. 상기 극반 (131)의 상면측에는, 복수의 고정 접점이 마련된다. 극반(131)상에는 제1 가동반 (movable plate)(133), 제2 가동반(135), 제3 가동반(137), 제4 가동반(139)이 배치된다. 제1, 제3, 제4 가동반(133, 137, 139)은, 조작 레버(103)의 레버축 교차 방향(도 11에 있어서 지면(紙面) 직교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가동반(135)은, 레버축 방향(도 11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가동반(133)의 직선 이동에 의해 전조등이 점등, 소등되고, 제2 가동반(135)의 직선 이동에 의해 메인, 디머의 전환 및 패싱이 행해지며, 상기 제3 가동반(137)의 직선 이동에 의해 안개등(fog lamp)을 온, 오프시키고, 상기 제4 가동반(139)의 직선 이동에 의해 방향 지시등을 점멸시키는 구성으로 된다.
이 제1, 제2, 제3, 제4 가동반(133, 135, 137, 139)을 상기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 제3, 제4 가동반(133, 137, 139)에는 결합부(141, 143, 145)가 마련되고, 제2 가동반(135)에는 구멍부(147)가 마련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제1 레버(109)를 회전 노브(112)의 조작에 의해 축회전 조작하면 제1 조작봉(113)이 연동하고, 제1 조작봉(113)이 결합부(141)에 결합력을 가하여 제1 가동반(133)이 레버축 교차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전조등이 점소등한다. 제3 레버(111)의 축회전 조작에 의한 제3 가동반(137)의 이동도 동일하다.
메인, 디머의 전환 및 패싱을 위해서, 조작 레버(103)를 축(107a) 둘레로 요동 조작하면 제2 조작봉(117)을 통하여 제2 가동반(135)이 레버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때, 제1 조작봉(113), 제3 조작봉(119)은, 결합부(141, 143)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제3 가동반(133, 137)은 동작하지 않는다.
방향 지시등을 점멸시키기 위해서, 조작 레버(103)를 축(127a) 둘레로 요동 조작하면 제4 조작봉(129)을 통하여 제4 가동반(139)이 레버축 교차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때, 제1, 제3 조작봉(113, 119)은, 결합부(141, 143)에 결합하는 지면 직교 방향으로 동작하지만, 같은 방향에서의 결합부(141, 143)에 대한 클리어런스의 설정에 의해 결합부(141, 143)에 결합하지 않아, 제1, 제3 가동반(133, 137)은 동작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각종 레버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조작 레버(103)를 축(107a) 둘레로 요동 조작했을 때 제1 조작봉(113), 제3 조작봉(119)이 각각 제3 가동반(137)(결합부 (143)), 제1 가동반(133)(결합부(141))과 간섭하는 것을 피함에 있어서, 축(127a)의 축심과, 레버축 방향 후측에 배치되는 제3 조작봉(119)과의 사이의 거리를 크게 둘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레버축 방향의 스위치부(105)의 폭이 크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작 레버(103)를 축(127a) 둘레로 요동 조작했을 때, 제3 조작봉 (119)은 축(127a)의 축심에 인접해 배치한 경우에 비해, 축(127a)의 축심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만큼 레버축 교차 방향(지면 직교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거리가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상술의 제3 조작봉(119)의 이동 위치와, 제3 레버(11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제3 가동반(137)에 접리(接離)하는 고정 접점 배치 위치와의 거리가, 제3 조작봉(119)과 축(127a)의 축심이 멀어져 있는 만큼 크게 떨어져, 제3 레버(111)의 회전 조작에 의한 제3 가동반(137)의 접점 동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3 레버(111)의 회전 조작에 의한 제3 가동반(137)의 접점 동작을 확실히 행하기 위해, 제3 조작봉(119)을 길게 해서 제3 가동반(137)의 이동거리를 확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도 1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스위치부(105)의 높이가 크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평11-250772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레버 스위치 장치가 대형화하는 점이다.
본 발명은, 레버 스위치 장치를 소형화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체와, 상기 케이스측의 극반을 따라서 상기 가동체의 회전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극반에 대해 접점 동작을 행하는 제1, 제2 가동반과, 상기 가동체에 요동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동심(同心)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제2 레버를 구비한 레버·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제1, 제2 가동반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체의 회전축심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1, 제2 끼워맞춤부와, 상기 제1, 제2 레버에 그 레버축과 직교하는 축심으로 기부(基部)가 레버축을 따라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레버축 둘레로 회전 불능하게 지지되며 선단부가 상기 가동체의 회전축심을 사이에 두고 인접해서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되는 제1, 제2 아암과, 상기 제1, 제2 아암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체에 대한 상기 제1, 제2 레버의 회전에 대해 상기 제1, 제2 아암의 레버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벽과,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레버의 축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제2 아암의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제2 아암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가동반에 접점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결합벽을 구비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단에 의해, 제1, 제2 아암이 제1, 제2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되는 선단부를 가동체의 회전축에 가깝게 할 수 있어, 레버 스위치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좌우 레버·스위치 장치를 설치 관계로 나타내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2는 조작 레버 및 스위치부의 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3은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4는 케이스·커버를 떼어내어 나타내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5는 극반 및 언더·커버를 떼어내어 나타내는 주요부의 하면도이다.(실시예 1)
도 6은 극반, 언더·커버, 및 제2 가동반을 떼어내어 나타내는 주요부의 하면도이다.(실시예 1)
도 7은 극반, 언더·커버, 및 제1 가동반을 떼어내어 나타내는 주요부의 하면도이다.(실시예 1)
도 8은 제1 아암 및 제1 가동반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제2 레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9는 제1, 제2 아암 및 제2 가동반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 1, 제2 레버의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10은 레버·스위치 장치의 설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종래예)
도 11은 레버·스위치 장치의 스위치부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종래예)
레버 스위치 장치를 소형화함을 가능하게 한다는 목적을, 제1, 제2 가동반에 마련되어 가동체의 회전축심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1, 제2 끼워맞춤부와, 제1, 제2 레버에 그 축심과 직교하는 축심에서 기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부가 상기 가동체의 회전축심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되는 제1, 제2 아암과, 상기 제1, 제2 아암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에 대한 상기 제1, 제2 레버의 회전에 대해 상기 제1, 제2 아암의 레버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벽과,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레버의 축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제2 아암의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제2 아암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가동반에 접점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결합벽을 구비함에 의해 실현되었다.
실시예 1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적용한 레버·스위치 장치를 설치 관계로 나타내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레버·스위치 장치(1)는, 전기적인 조작 지시를 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턴·시그널·스위치, 패싱·스위치, 메인·디머 전환 스위치, 및 전조등 스위치 등의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레버·스위치 장치(1)는, 조작 레버(3, 5)와 스위치부(7, 9)를 구비하고, 스위치부(7, 9)는, 스티어링·칼럼에 고정된 보디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 실시예를, 한쪽의 조작 레버(3) 및 스위치부(7)로 설명한다.
도 2는 조작 레버 및 스위치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조작 레버(3)는, 화살표 A, B방향(스티어링·휠에 따른 방향), 동 C, D방향(스티어링·칼럼에 따른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작 레버(3)는, 예를 들면 턴·시그널·스위치의 기능을 갖고, 화살표 A 또는 B의 방향으로 조작하면, 턴·시그널이 점멸된다. 조작 레버(3)는, 예를 들면 패싱·스위치의 기능도 갖고, 화살표 C의 한계까지 조작하면, 전조등이 일시적으로 점등된다. 조작 레버(3)는, 예를 들면 메인·디머·스위치의 기능을 갖고, 화살표 C 또는 D의 방향으로 통상 조작하면, 전조등의 메인·디머의 전환을 행한다. 조작 레버(3)는, 예를 들면 전조등 스위치 등의 기능을 갖고, 제1 회전 노브(10)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전조등과 스몰 램프를 점등, 소등시키고, 제2 회전 노브(12)의 조작으로, 예를 들면 안개등을 온, 오프한다.
상기 조작 레버(3)는, 제1 레버(13) 및 상기 제1 레버(13)가 동축(同軸)으로 관통 배치되는 중공의 제2 레버(15)를 구비한다. 제1, 제2 레버(13, 15)는, 후술하는 가동반을 극반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조작축이다. 아울러, 제1, 제2 레버(13, 15)는, 제3 레버(16)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레버(13)의 일단에는, 클릭·블록(17)을 통하여 상기 제1 회전 노브(10)가 설치되고, 타단측에 제1 아암(19)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레버(15)의 일단에는, 상기 제2 회전 노브(12)가 설치되고, 타단측에 제2 아암(23)이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부(7)는, 케이스(25)와 상기 케이스(25)의 상측에 끼워 장착되는 케이스·커버(27)를 구비한다. 도 2, 도 3과 같이 상기 케이스(25)내에는, 칸막이벽(29)이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벽(29)의 일측에 가동체(31)가 배치된다. 이 가동체(31)는, 단부의 축(33)이 상기 케이스·커버(27)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 가동체(31)에 대해, 상기 조작 레버(3)가 제3 레버(16)에 형성된 축(35)에 의해서 화살표 C 또는 D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동체(31)의 회전축심은, 턴·시그널·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조작 레버(3)의 요동 중심이며, T/S회전축(P)으로 한다.
상기 칸막이벽(29)의 하측에는, 극반(37)이 배치된다. 이 극반(37)의 상면측에는, 복수의 고정 접점이 마련된다. 극반(37)의 하면측에는 다이오드 등의 소자류가 실장된다. 극반(37)의 하측에는, 언더·커버(39)가 마련된다.
상기 칸막이벽(29)의 하측에 있어서, 상기 극반(37)상에는 제1 가동반(41), 제2 가동반(43) 등이 배치된다. 제1, 제2 가동반(41, 43)은, 스티어링·휠에 따른 방향(도 2, 도 3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도 직선적으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가동반(41)의 직선 이동에 의해 전조등이 점등, 소등되고, 제2 가동반(43)의 직선 이동에 의해 안개등을 온, 오프하는 구성으로 된다.
[제1, 제2 아암 및 제1, 제2 가동반]
도 4는 케이스·커버 및 가동체를 떼어내고 나타내는 주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극반 및 언더·커버를 떼어내고 나타내는 주요부의 하면도이며, 도 6은 극반, 언더·커버, 및 제2 가동반을 떼어내고 나타내는 주요부의 하면도이고, 도 7은 극반, 언더·커버, 및 제1 가동반을 떼어내고 나타내는 주요부의 하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제1, 제2 가동반(41, 43)에는,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는, 제1, 제2 가동반(41, 43)에 대해 T/S회전축(P)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는, 일측이 개방되고 세 방면을 둘러싸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의 양벽은, 도 8, 도 9와 같이 제1, 제2 가동반(41, 43)의 직선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제1, 제2 결합벽(45a, 45b, 47a, 47b)으로 된다.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는, 제1, 제2 결합벽(45a, 45b, 47a, 47b)과 벽(45c, 47c)으로 세 방면을 둘러싸는 단면 형상으로 되고, 개방측이 케이스(25)에 형성한 규제벽(49)에 대향해서, 인접 배치된다. 벽(45c, 47c)은, 규제벽(49)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한다.
아울러, 규제벽(49)은,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양쪽 모두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는, 규제벽(49)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다.
이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에 상기 제1, 제2 아암(19, 23)의 제1, 제2 선단부(19a, 23a)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규제벽(49)은, 가동체(31)의 T/S회전축(P)상에서, 상기 제1, 제2 아암(19, 23)사이에 배치된다. 이 규제벽(49)은, 상기 제1, 제2 레버(13, 15)의 축(35)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가동체(31)에 대한 회전(스티어링·칼럼에 따른 방향의 회전)에 대해, 상기 제1, 제2 아암(19, 23)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도 8은 제1 아암 및 제1 가동반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제2 레버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제1, 제2 아암 및 제2 가동반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제2 레버의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도 8과 같이, 제1 아암(19)은, 상기 제1 선단부(19a)에 틀형상의 제1 기부(19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제1 아암(19)의 제1 선단부(19a)에는, 상기 인접측이 컷팅된 제1 반구부(19c)가 마련된다. 제1 반구부(19c)를 포함하여 제1 선단부(19a)의 인접측은, 평면부(19d)에 형성된다. 이 평면부(19d)는, T/S회전축(P)를 사이에 두고 규제벽(49)에 대면한다.
제1 기부(19b)는, 틀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리브(19ba)가 마련된다. 제2 레버(15) 선단 및 이 제2 레버(15)로부터 돌출된 제1 레버(13) 선단이나 바깥 주위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릿(15a, 13a)을 구비한다.
제1 아암(19)의 제1 기부(19b)는, 제1 레버(13) 선단에 끼워맞춤되고, 리브(19ba)가 슬릿(13a)에 끼워맞춤된다. 이 설치에 의해 제1 레버(13)의 축둘레에 대한 제1 아암(19)의 회전 방지가 이루어진다.
이 제1 아암(19)의 제1 기부(19b)는, 제1 레버(13) 선단에 피봇(19e)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레버(13) 선단으로의 제1 기부(19b)의 끼워맞춤에 의한 회전 방지와 피봇(19e)에 의한 회전 지지에 의해, 제1 아암(19)은, 제1 레버(13)에 대해, 그 레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또한 레버축 둘레로 회전 불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제1 기부(19b)의 피봇(19e)과 제1 레버(13)의 끼워맞춤만에 의해서도, 제1 레버(13)의 축둘레에 대한 제1 아암(19)의 회전 방지가 가능하지만, 이 끼워맞춤 부분으로의 하중에 의해 상기 끼워맞춤이 벗겨지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어, 리브(19ba)와 슬릿(13a)을 끼워맞춰서 회전 방지를 확실히 방지한다.
이 설치 상태에서, 제1 아암(19)의 제1 선단부(19a)는, 상기와 같이 제1 끼워맞춤부(45)에 끼워맞춤된다. 이 제1 아암(19)의 제1 선단부(19a)는, 제1 가동반(41)의 직선 이동 방향에서 제1 끼워맞춤부(45)의 제1 결합벽(45a, 45b)에 대해 클리어런스를 갖는다.
도 3, 도 9와 같이, 제2 아암(23) 및 제2 끼워맞춤부(47)도, 제1 아암(19) 및 제1 끼워맞춤부(45)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2 아암(23)은 상기 제2 선단부(23a)에 틀형상의 제2 기부(2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 기부(23b)가 제2 레버(15) 선단에 끼워맞춤된다. 제2 아암(23)의 제2 선단부(23a)에는, 상기 인접측이 컷팅된 제2 반구부(23c)가 마련된다. 제2 반구부(23c)를 포함하여 제2 선단부(23a)의 인접측은, T/S회전축(P)에 따른 평면부(23d)에 형성된다.
제2 아암(23)은 제2 레버(15)로의 끼워맞춤 부분이 T/S회전축(P)보다 떨어져 있고, 제2 아암(23)의 선단부(23a)가 T/S회전축(P)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2 가동반(43)의 끼워맞춤부(47)에 배치할 수 있도록, 제2 아암(23)은 제2 레버(15)와의 끼워맞춤 부분으로부터 제2 레버(15) 선단측에 향하여 단면으로 보아 대략 V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제1 아암(19), 제2 아암(23) 모두 T/S회전축(P)에 인접한 위치에서 대응하는 가동반(41, 43)의 끼워맞춤부(45, 47)와 끼워맞출 수 있고, 더욱이 각각 T/S회전축(P)으로부터 대략 등거리로 배치할 수 있다.
이 설치에 의해 제2 레버(15)의 축둘레에 대한 제2 아암(23)의 회전 방지가 이루어진다.
이 제2 아암(23)의 제2 기부(23b)는, 제2 레버(15) 선단에 피봇(23e)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레버(15) 선단으로의 제1 기부(23b)의 끼워맞춤에 의한 회전 방지와 피봇(23e)에 의한 회전 지지에 의해, 제2 아암(23)은, 제2 레버(15)에 대해, 그 레버축을 따라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레버축 둘레로 회전 불능하게 설치된다.
이 설치 상태에서, 제2 아암(23)의 제2 선단부(23a)는, 제2 끼워맞춤부(47)에 끼워맞춤된다. 이 제2 아암(23)의 제2 선단부(23a)는, 제2 가동반(43)의 직선 이동 방향에서 제2 끼워맞춤부(47)의 제2 결합벽(47a, 47b)에 대해 클리어런스를 갖는다.
아울러, 반구부(19c, 23c)는, 조작 레버(3)를 화살표 C 또는 D의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 제1, 제2 아암(19, 23)의 모든 움직임에 대해서 벽(45c, 47c)과의 사이에 균일한 접촉으로 되도록(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구 형상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조작 레버(3)를 화살표 A 또는 B의 방향으로 조작하여, 턴·시그널을 점멸시킬 때, 제1, 제2 아암(19, 23)의 제1, 제2 선단부(19a, 23a)는, T/S회전축(P)의 둘레로 약간 선회할 뿐이고,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내에서의 약간의 클리어런스 내에서 상대 이동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3)의 턴·시그널을 점멸시키는 조작에서는, 제1, 제2 가동반(41, 43)이 연동하지 않고, 직선 이동은 하지 않는다.
조작 레버(3)를 화살표 C 또는 D의 방향으로 조작하고, 전조등의 메인·디머의 전환 등을 행할 때, 제1, 제2 아암(19, 23)은,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의 벽(45c, 47c), 규제벽(49)에 결합되어 동작이 규제된다. 이 규제에 의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레버(13, 15)에 대해 제1, 제2 아암(19, 23)의 기부(19b, 23b)가 피봇(19e, 23e)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제1, 제2 가동반(41, 43)으로부터 반력을 받지 않고 조작 레버(3)의 화살표 C 또는 D의 방향으로의 조작을 무리 없이 행하게 할 수 있다.
제1 회전 노브(10)를 조작하면 제1 레버(13)가 축회전하여, 제1 아암(19)이 연동 회전한다. 이 제1 아암(19)의 회전에 의해 제1 선단부(19a)가 제1 끼워맞춤부(45)에 대한 클리어런스 이상으로 동작하고, 제1 결합벽(45a, 45b)에 결합되어 제1 가동반(41)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제1 가동반(41)의 직선 이동에 의해, 전조등과 스몰 램프를 점등, 소등시킬 수 있다.
제2 회전 노브(12)를 조작하면 제2 레버(15)가 축회전하고, 제2 아암(23)이 연동 회전한다. 이 제2 아암(23)의 회전에 의해 제2 선단부(23a)가 제2 끼워맞춤부(47)에 대한 클리어런스 이상으로 동작하고, 제2 결합벽(47a, 47b)에 결합하여 제2 가동반(43)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제2 가동반(43)의 직선 이동에 의해, 안개등을 온, 오프시킬 수 있다.
[실시예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스(2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체(31)와, 상기 케이스(25)측의 극반(37)을 따라서 상기 가동체(31)의 회전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극반(37)에 대해 접점 동작을 행하는 제1, 제2 가동반(41, 43)과, 상기 가동체(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동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제2 레버(13, 15)를 구비한 레버·스위치 장치(1)로서, 상기 제1, 제2 가동반(41, 43)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체(31)의 회전축심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와, 상기 제1, 제2 레버(13, 15)에 그 레버축과 직교하는 축심에서 기부(19b, 23b)가 레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또한 레버축 둘레로 회전 불능하게 지지되며 제1, 제2 선단부(19a, 23a)가 상기 가동체(31)의 회전축심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에 끼워맞춤되는 제1, 제2 아암(19, 23)과, 상기 제1, 제2 아암(19, 2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체(31)에 대한 상기 제1, 제2 레버(13, 15)의 회전에 대해 상기 제1, 제2 아암(19, 23)의 레버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벽(49)과,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레버(13, 15)의 축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제2 아암(19, 23)의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제2 아암(19, 23)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가동반(41, 43)에 접점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결합벽(45a, 45b, 47a, 47b)를 구비하였다.
이 때문에, 제1, 제2 아암(19, 23)이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에 끼워맞춤되는 제1, 제2 선단부(19a, 23a)를 T/S회전축(P)에 근접시킬 수 있어, 스위치부(7)의 조작 레버(3)의 축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제2 아암(19, 23)이 제1, 제2 끼워맞춤부(45, 47)에 끼워맞춤되는 제1, 제2 선단부(19a, 23a)를 T/S회전축(P)에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제2 아암(19, 23) 조작 레버(3)를 T/S회전축(P) 둘레로 조작했을 때 제1, 제2 회전 노브(10, 12)에 의한 제1, 제2 레버(13, 15)의 축회전 조작에 동반하여 제1, 제2 가동반(41, 43)의 접점 동작을 확실히 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조작봉을 길게 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스위치부(7)의 조작 레버(3)의 축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아암(19, 23)의 제1 선단부(19a, 23a)에, 각각의 인접측이 컷팅된 제1 반구부(19c, 23c)를 마련하였다.
이 때문에, 제1, 제2 선단부(19a, 23a)를 T/S회전축(P)에 의해 근접시킬 수 있고, 또한 조작 레버(3)를 화살표 C 또는 D의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 제1, 제2 아암(19, 23)의 모든 움직임에 대해서, 제1, 제2 아암(19, 23)이 벽(45c, 47c)과의 사이에서 작동을 할 수 있어, 제1, 2 가동반(41, 43)으로부터 반력을 받지 않고, 조작 레버(3)의 화살표 C 또는 D의 방향으로의 조작을 무리 없이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부에, 상기 규제벽에 대해 각각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벽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3)를 C, D방향으로 조작했을 때 상기 벽에 의해 제1, 제2 아암(19, 23)의 작동을 규제함에 의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조작 레버(3)를 D방향으로 조작했을 때 상기 벽에 의해 제1 아암(19)이 제1 끼워맞춤부(45)보다 레버축 방향으로 빠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제1 회동노브(10)(조작 레버(3))를 스몰 램프 점등 위치로 회동 조작해도 제1 가동반(41)은 작동하여 스몰 램프를 확실히 점등할 수 있다.
1 : 레버·스위치 장치
3, 5 : 조작 레버
13 : 제1 레버
15 : 제2 레버
19 : 제1 아암
19a : 선단부
19b : 기부
23 : 제2 아암
23a : 선단부
23b : 기부
25 : 케이스
31 : 가동체
37 : 극반
41 : 제1 가동반
43 : 제2 가동반
45 : 제1 끼워맞춤부
45a, 45b : 결합벽
45c : 벽
47 : 제2 끼워맞춤부
47a, 47b : 결합벽
47c : 벽
49 : 규제벽
P : T/S회전축

Claims (3)

  1.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체와,
    상기 케이스측의 극반(極盤)을 따라서 상기 가동체의 회전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극반에 대해 접점 동작을 행하는 제1, 제2 가동반과,
    상기 가동체에 요동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동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제2 레버를 구비한 레버·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제1, 제2 가동반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체의 회전축심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1, 제2 끼워맞춤부와,
    상기 제1, 제2 레버에 그 레버축과 직교하는 축심으로 기부가 레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또한 레버축 둘레로 회전 불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가 상기 가동체의 회전축심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되는 제1, 제2 아암과,
    상기 제1, 제2 아암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체에 대한 상기 제1, 제2 레버의 회전에 대해 상기 제1, 제2 아암의 레버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벽과,
    상기 제1, 제2 레버의 축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제2 아암의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제2 아암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제2 가동반에 접점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결합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기재된 스위치 구조로서,
    상기 제1, 제2 아암의 선단부에, 각각의 인접측이 컷팅된 반구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스위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스위치 구조로서,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부에, 상기 규제벽에 대해 각각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스위치 장치.
KR1020127020959A 2010-03-31 2011-03-25 레버·스위치 장치 KR101375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4367A JP5259640B2 (ja) 2010-03-31 2010-03-31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JP-P-2010-084367 2010-03-31
PCT/JP2011/001763 WO2011121958A1 (ja) 2010-03-31 2011-03-25 レバー・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456A true KR20130027456A (ko) 2013-03-15
KR101375835B1 KR101375835B1 (ko) 2014-03-17

Family

ID=4471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959A KR101375835B1 (ko) 2010-03-31 2011-03-25 레버·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33640B2 (ko)
EP (1) EP2555214B1 (ko)
JP (1) JP5259640B2 (ko)
KR (1) KR101375835B1 (ko)
CN (1) CN102822926B (ko)
BR (1) BR112012021566B1 (ko)
CA (1) CA2795446C (ko)
MX (1) MX2012009973A (ko)
RU (1) RU2518477C2 (ko)
WO (1) WO20111219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94155A1 (en) * 2018-11-06 2021-04-01 Techway Industrial Co., Ltd. Electric t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4252A1 (de) * 2011-03-17 2012-09-2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Lagerungsanordnung eines Lenkstockhebels an einem Lenksäulenteil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Lagerungsanordnung
JP6285791B2 (ja) * 2014-04-17 2018-02-28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レバースイッチ
DE102014011501A1 (de) * 2014-07-31 2016-02-04 Leopold Kostal Gmbh & Co. Kg Hebel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KR101879649B1 (ko) * 2017-01-16 2018-07-18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JP7246976B2 (ja) * 2019-03-07 2023-03-28 東洋電装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JP7269758B2 (ja) * 2019-03-07 2023-05-09 東洋電装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83Y2 (ko) * 1985-07-31 1991-04-08
JPH074749Y2 (ja) * 1988-12-27 1995-02-01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RU2002328C1 (ru) * 1992-01-31 1993-10-30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оператив "Аксон"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переключател ми
FR2692854B1 (fr) * 1992-06-29 1994-08-19 Valeo Commutation Manette pour commutateur électriqu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JP3172658B2 (ja) * 1995-07-05 2001-06-04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3574709B2 (ja) 1996-01-18 2004-10-06 ナイルス株式会社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JP3638183B2 (ja) * 1996-09-26 2005-04-13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FR2765387B1 (fr) * 1997-06-27 1999-09-10 Valeo Electronique Commutateur pour ensemble de commutation, en particulier de haut de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JP3691241B2 (ja) * 1998-02-27 2005-09-07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JP2000348572A (ja) 1999-06-02 2000-12-15 Niles Parts Co Ltd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2003132753A (ja) * 2001-10-22 2003-05-09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接点構造
DE10252379A1 (de) * 2002-11-12 2004-05-27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Lenkstockschalter
JP2004171790A (ja) 2002-11-15 2004-06-17 Yazaki Corp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4472514B2 (ja) 2004-12-27 2010-06-02 ナイルス株式会社 スイッチ構造
JP4991505B2 (ja) * 2007-12-06 2012-08-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94155A1 (en) * 2018-11-06 2021-04-01 Techway Industrial Co., Ltd. Electric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5214B1 (en) 2019-06-05
US9233640B2 (en) 2016-01-12
EP2555214A4 (en) 2018-04-11
KR101375835B1 (ko) 2014-03-17
RU2012141584A (ru) 2014-04-10
CA2795446A1 (en) 2011-10-06
RU2518477C2 (ru) 2014-06-10
CA2795446C (en) 2017-04-18
BR112012021566A2 (pt) 2017-04-18
CN102822926B (zh) 2015-06-17
MX2012009973A (es) 2012-09-21
US20130001056A1 (en) 2013-01-03
JP2011216367A (ja) 2011-10-27
JP5259640B2 (ja) 2013-08-07
CN102822926A (zh) 2012-12-12
EP2555214A1 (en) 2013-02-06
BR112012021566B1 (pt) 2020-11-03
WO2011121958A1 (ja)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835B1 (ko) 레버·스위치 장치
US6525283B2 (en) Multifunction rocker switch
EP0939009B1 (en) Lever switch for vehicles
EP2067659B1 (en) Lever switch device
US10626914B2 (en) Spherical bearing device and switch
JP5309205B2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143528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EP2130719B1 (en) Lever switch device
JP3944376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EP1304713B1 (en) Switch contact structure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4481784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2006185732A (ja) スイッチ構造
KR20160117792A (ko) 차량용 멀티 펑셔널 스위치 유니트
JP6243670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6468882B2 (ja) スイッチ装置
JP2011150948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2002313191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H08167346A (ja) ターンフラッシャスイッチ
JP2010049995A (ja) スイッチ装置
JP2008130500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20150097309A (ko)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JP2011233457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